KR100884220B1 -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 Google Patents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220B1
KR100884220B1 KR1020070074417A KR20070074417A KR100884220B1 KR 100884220 B1 KR100884220 B1 KR 100884220B1 KR 1020070074417 A KR1020070074417 A KR 1020070074417A KR 20070074417 A KR20070074417 A KR 20070074417A KR 100884220 B1 KR100884220 B1 KR 100884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pests
ultrasonic
smok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130A (ko
Inventor
이종순
박경만
노재혁
Original Assignee
이종순
박경만
노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순, 박경만, 노재혁 filed Critical 이종순
Priority to KR1020070074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220B1/ko
Publication of KR20090011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61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 A01M1/2066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burning insecticide, e.g. impregnated candles, burning co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6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waves, fields or rays, e.g. sound waves, microwaves, electric waves, magnetic fields, light 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ir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의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의 해충 유인부와 연막부 및 초음파부를 동시에 작동 또는, 각각 사용하여 보다 손쉽고 넓은 범위 내에서 다양한 종류의 해충을 박멸 및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함과 함께 전원발생부(11)를 갖는 외관 케이스(10)와, 해충의 유입을 유도하여 해충을 박멸하는 해충 유인부(20)와, 해충을 박멸하는 화학성분(36)이 타면서 발생되는 연막에 의해 해충을 박멸하는 연막부(30)와, 해충의 접근 방지 및 해충을 살충하도록 초음파가 발생되는 초음파부(40)와, 상기 해충 유인부(20)와 연막부(30) 및 초음파부(40)는 외관 케이스(10)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것이다.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해충 유인부, 연막부, 초음파부

Description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Multi type vermin extermination appratus}
본 발명은 해충 박멸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해충의 먹이나 연막 및 초음파를 동시에 이용하거나 각각 이용하여 상기 해충을 보다 손쉽고 넓은 범위 내에서 박멸 및 제거하도록 하는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충의 박멸은 상기 해충의 살충하도록 살충제를 사방으로 분사하여 해충을 박멸하는 방법, 상기 해충이 지나다니는 길목에 살충성분이 함유한 미끼를 이용하여 해충을 박멸하는 방법 또는, 해충 박멸용 화학성분을 태워 발생되는 연막을 이용하여 해충을 박멸하는 방법 및, 해충이 싫어하는 주파수대의 초음파를 발생하여 해충을 박멸, 제거하는 방법 등 다양한 형태의 방법을 이용하여 해충을 박멸 및 제거하고 있다.
상기의 해충은 모기, 파리 및 개미, 바퀴벌레 또는 쥐 등과 같이 사람에게 병균, 세균을 옮겨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모든 벌레들을 총칭해서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해충을 박멸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 및 기구는 각각 제조되어 있음에 따라 이를 각각 작동시켜 해충을 박멸하거나 또는, 각각의 제품을 산 후 각 제품을 동시에 작동시켜 해충을 박멸하여야 한다.
즉, 살충제 살포 및 미끼, 연막 이용 또는 초음파 발생하는 제품이 각각 제조 및 판매되고 있음에 따라 상기의 제품에 따른 박멸하고자 하는 해충의 종류가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박멸하고자 하는 해충의 종류에 따라 해충 박멸방법 및 제품을 달리 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해충을 박멸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각 해충을 박멸하기 위해 서로 다른 종류의 제품을 사용함에 따라 상기 해충을 박멸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해충 박멸을 위해 사용되는 제품에 따라 각각 적용되는 범위가 한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해충의 박멸이 적은 범위 내에서만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해충 박멸에 따른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해충을 유인하여 박멸하는 해충 유인부와 연막을 이용하는 연막부 및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부가 일체로 결합된 해충 박멸장치를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의 해충 박멸장치의 해충 유인부와 연막부 및 초음파부를 동시에 작동시키거나 또는, 주변사항에 따라 각각 사용함에 따라 상기 해충을 먹이와 연막 및 초음파로 보다 손쉽고 넓은 범위 내에서 박멸 및 제거함은 물론 다양한 종류의 해충을 용이하게 박멸 및 제거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해충의 접근 방지 및 해충을 살충하여 박멸하도록 하는 해충 박멸장치에 있어서, 상기 해충 박멸장치의 외관을 형성함과 함께 전원발생부를 갖는 외관 케이스를 설치하고, 상기 외관 케이스에는 해충 및 해충의 알까지 살충하는 먹이가 삽입되고 상기 먹이의 냄새에 따라 해충의 유입 및 해충의 유로인 유입통로가 형성되는 해충 유인부를 설치하며, 상기 외관 케이스에는 해충을 박멸하는 화학성분이 내포되고 상기 화학성분이 발화에 의해 타면서 연막을 형성하는 연막부를 설치하고, 상기 외관 케이스에는 해충의 접근 방지 및 해충을 밖으로 내몰거나 상기 해충을 살충하도록 초음파가 발생되는 초음파부를 설치하며, 상기 해충 유인부와 연막부 및 초음파부는 외관 케이스에 일체형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해충 유인부와 연막부 및 초음파부가 일체로 결합된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의 해충 유인부에 의해 해충을 유인하여 먹이로 살충, 박멸하거나 상기 연막부에서 화학성분이 함유된 연막을 이용하여 해충을 살충, 박멸하거나, 초음파부에서 발생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해충을 살충, 박멸함에 따라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 내에서 각종 해충을 보다 손쉽고 편리하게 살충, 박멸,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의 해충 유인부와 연막부 및 초음파부를 각각 사용하거나 동시에 사용하거나 주변사항에 따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각종 해충을 하나의 제품을 사용하여 살충, 박멸함에 따라 상기 해충의 살충, 박멸, 제거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의 각 부를 사용방법을 다르게 함에 따라 각종 해충 즉, 파리, 모기나 개미, 바퀴벌레 및 쥐 등의 접근 방지 및 내몰거나 살충, 박멸, 제거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를 평면에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의 해충 유인부를 단면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의 연막부를 단면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의 초음파부를 단면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의 전원발생부를 단면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사람에게 병균, 세균을 옮겨 해를 끼치는 모기, 파리 및 개미, 바퀴벌레 또는 쥐 등과 같은 해충을 살충, 박멸함은 물론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도록 상기 해충 박멸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동시에 행하는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크게, 외관 케이스(10)와 해충 유인부(20) 및 연막부(30), 초음파부(4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해충 유인부(20)와 연막부(30) 및 초음파부(40)는 다양한 방법으로 해충을 박멸, 제거하기 위하여 동시에 사용하거나 각각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외관 케이스(10)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의 외관 케이스(10)는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외관 케이스(10) 내에는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의 각종 구성 및 장치 등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의 외관 케이스(10)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 및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모양 및 색상을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구매자 및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 및 선택사항을 넓히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외관 케이스(10)는 가격이 저렴하면서 외부의 충격에 강한 합성수지재 및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의 외관 케이스(10)에 의해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의 각종 구성 및 장치 등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한편, 상기 외관 케이스(10) 내에는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로 외부의 전원이 인가됨은 물론 상기 인가된 전원에 의해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를 동작시키도록 하는 전원발생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원발생부(11)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 즉, 전기가 흐르도록 상기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지(112)가 설치되는 전지 투입부(1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지 투입부(111)는 투입되는 전지(112)의 종류 즉, 일반 건전지, 충전식 건전지, 수은전지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발생부(11)는 전지(112)를 투입하는 방식 및 충전장치가 내장된 충전식, 콘센트에 끼우는 코드식 등의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의 사용목적, 효과 및 구매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해충 유인부(20)는 해충이 살충성분이 함유된 먹이를 섭취하게 하여 그 자리에서 바로 즉사하거나 돌아다니다가 죽으므로 해충 및 해충의 알까지 박멸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해충 유인부(20)는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해충을 박멸하기 위해 살충성분이 함유된 먹이가 놓여짐은 물론 상기 먹이의 냄새에 따라 해충을 유인하여 상기 유인된 해충이 유입 및 통과하도록 하는 상기 해충의 유로인 유입통로(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통로(21)는 상기 해충 유인부(20) 내로 유입된 해충이 오래동안 머물면서 상기 유입통로(21)에 놓여진 먹이를 섭취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통로(21)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유입통로(21)는 불규칙적이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굴곡되게 형성하거나 또는, 길이 복잡한 미로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유입통로(21)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해충 유인부(20)의 상부에는 해충의 먹이 즉, 살충성분이 함유된 먹이 교환에 따른 투입 및 제거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해충 유인부(20)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뚜껑(22)이 개폐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뚜껑(22)의 일측은 외관 케이스(1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및 축 결합되어 있고, 상기 뚜껑(22)의 타측은 뚜껑(22)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후크 결합 및 나사 체결되어 있는데, 상기 뚜껑(22)을 개폐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방법 이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의 뚜껑(22)에는 유입통로(21)에 놓여진 해충의 먹이 냄새를 보다 멀리, 넓게 퍼지도록 상기 먹이의 냄새을 방출하는 복수개의 방출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해충 유인부(20) 측인 외부 케이스(10)에는 유입통로(21)에 놓여진 해충 먹이의 살충 유효기간 및 교체주기를 외부에서 확인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4)는 표시된 부분이 점점 줄어드는 방식 및 색상 변화에 의한 방식, 교체주기에 따라 다른 색상의 불빛이 표시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하는데, 이는 해충 먹이의 교체주기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방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해충 유인부(20) 내의 유입통로(21)에는 상기 해충 유인부(20)의 유입통로(21) 내로 유입된 해충이 달라붙어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유입통로(21) 내에서 해충이 죽어 박멸하도록 상기 해충이 달라붙는 접착력을 갖는 패드(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막부(30)는 해충을 살충, 박멸하는 화학성분(36)이 내포되며, 상기 내포된 화학성분(36)이 발화, 점화에 의해 타면서 연막을 발생하여 상기의 연막을 해충이 흡입 및 접촉됨에 따라 해충이 죽으면서 박멸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연막부(30)는 도 2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막부(30)에는 해충을 살충 및 박멸하는 화학성분(36)이 담겨지는 연막홈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막홈부(31)의 상부에는 상기 연막홈부(31)의 상부를 밀폐하여 화학성분(36)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연막홈부(31)의 상부의 개방에 따라 화학성분(36)이 타면서 발생되는 연막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하여 상기 연막홈부(31)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부재(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재(32)의 상방측인 외관 케이스(10)에는 해충 박멸장치(100)의 외부로 연막이 보다 원활하게 방출되도록 뚫려진 구멍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32)의 일측에는 상기 개폐부재(32)의 개폐를 외부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하는 조작부(32a)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막홈부(31)의 상부인 외관 케이스(10)에는 상기 조작부(32a)가 삽입 결합됨은 물론 상기 개폐부재(32)가 개폐되게 상기 조작부(32a)의 왕복이동이 가능도록 장공형태의 개폐유도공(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막홈부(31)의 내면에는 전원발생부(11)와 연결됨과 함께 상기 개폐부재(32)의 개방에 따라 상기 전원발생부(11)의 전원에 의해 발열하면서 화학성분(36)을 태워 상기 화학성분(36)이 함유한 연막을 형성하도록 발열체(3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막홈부(31)의 상면 외측에는 상기 개폐되는 개폐부재(32)와의 접촉 및 분리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32)의 개폐를 감지함은 물론 상기 연막홈부(31) 내에 담겨진 화학성분(36)의 남겨진 양이나 화학성분(36)의 유무를 감지 및 상기 연결된 전원발생부(11)를 제어하도록 하는 감지센서(3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초음파부(40)는 상기 해충이 싫어하거나 살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거나 해충을 밖으로 내몰거나 또는, 해충을 살충, 박멸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초음파부(40)는 도 2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관 케이스(10) 내에 전원발생부(11)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발생부(11)에서 보내지는 전원 즉, 전기에 의해 작동되면서 해충의 접근 방지 및 밖으로 내몰거나 또는, 살충, 박멸하도록 하는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발생부(41)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 초음파부(40) 측의 외관 케이스(10)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초음파발 생부(41)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초음파발생부(41)에서 발생되는 초음파를 외부로 널리 확산하도록 하는 덮개부(42)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덮개부(42)에는 초음파발생부(41)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외부로 보다 원활하게 확산되도록 상기 초음파를 확산하는 복수개의 초음파확산공(4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초음파부(40)의 외측인 상기 외관 케이스(10)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발생부(11)와 초음파발생부(41)를 서로 연결 및 차단하여 상기 초음파발생부(41)에서 초음파를 발생 및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발생부(11)를 온(ON), 오프(OFF)시키는 스위칭부(4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초음파부(40)에는 상기 각종 해충을 살충 및 박멸 또는, 접근 방지, 밖으로 내몰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각종 해충의 주파수 대역에 맞는 주파수 대역대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초음파발생부(41)에서 발생되는 주파수를 변환하도록 하는 주파수 변환부(44)가 상기 초음파발생부(41)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집 안에 있는 해충 즉, 파리, 모기 및 개미, 바퀴벌레, 쥐 등과 같은 해충에 의해 사람에게로 병균 및 세균이 옮겨져서 사람이 아프거나 해를 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해충을 살충 및 제거하도록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를 사용한다.
상기의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에는 해충을 유인하여 먹이를 섭취하도록 하여 박멸하는 해충 유인부(20)가 설치됨은 물론 상기 해충을 살충, 박멸하기 위한 화학성분(36)을 태워 이를 흡입 및 접촉함에 따라 해충을 박멸하는 연막부(30)가 설치됨과 함께 상기 해충이 싫어하거나 죽일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부(40)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박멸하고자 하는 해충의 종류 및 해충 박멸 방법에 따라 상기의 해충 유인부(20), 연막부(30), 초음파부(40)를 각각 사용하거나 상기 각 부(20,30,40) 중 원하는 부만 묶어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각 부(20,30,40)를 한꺼번에 동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구매자의 사용방법 등에 따라 어떠한 방법으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의 각 부(20,30,40)를 각각 사용할 경우 즉,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에서 해충 유인부(20)만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를 해충이 지나다니는 길목이나 해충이 많이 있는 곳에 설치한다.
그러면, 상기 해충 유인부(20)의 유입통로(21)에 놓여진 먹이 즉, 해충이 먹으면 해충 및 해충의 알까지 살충, 박멸하도록 살충성분이 함유된 먹이의 냄새가 뚜껑(22)의 각 방출공(23)을 통해 주변으로 확산된다.
상기 확산되는 먹이의 냄새에 따라 해충이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의 해충 유인부(20)로 유인되고, 상기 유인된 해충은 해충 유인부(20)의 유입통로(21)를 통해 상기 해충 유인부(20)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된 해충은 길이가 길긴 굴곡진 형태 및 복잡한 미로형태의 유입통로(21)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유입통로(21)에 놓여진 먹이를 섭취한 후 그 자리 에서 바로 즉사하거나 또는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죽으므로 인해 상기 해충 및 해충의 알까지 박멸하게 된다.
상기 해충 유인부(20)에 놓여진 먹이가 오래되어 살충성분이 떨어지거나 또는, 먹이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해충 유인부(20)의 상부에 설치된 뚜껑(22)을 개방하여 상기 개방된 뚜껑(22)에 의해 나타나는 유입통로(21)에 먹이를 교체 및 투입한 후 상기 뚜껑(22)을 닫으면 상기와 같은 작용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먹이 교체 시기, 투입 시기 및 살충 유효기간 등은 뚜껑(22)을 열어 육안으로 직접하거나 또는, 외부 케이스(1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24)의 작동 상태를 보고 손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해충 유인부(20)의 유입통로(21)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접착력을 갖는 패드(2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입통로(21) 내의 먹이에 의한 냄새를 따라 상기 유입통로(21) 내로 유입된 해충은 상기 패드(25)에 의해 붙어버리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패드(25)에 붙은 해충은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즉, 먹이를 섭취하지 못함에 따라 상기 유입통로(21) 내에서 죽으므로 인해 박멸된다.
그리고,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에서 연막부(30)만 사용할 경우에는 외관 케이스(10)의 개폐유도공(35)에 삽입 돌출되어 있는 개폐부재(32)의 조작부(32a)를 조작하여 상기 개폐부재(32)를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이동되는 개폐부재(32)에 의해 연막부(30)의 연막홈부(31) 상부가 개방됨과 함께 상기 연막홈부(31)의 상부에 설치된 감지센서(34)가 개폐부 재(32)의 이동 및 연막홈부(31)의 상부 개방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센서(31)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감지센서(31)는 전원발생부(11)를 작동시키고, 상기 전원발생부(11)의 작동에 따라 전원발생부(11)와 연결된 발열체(33)는 상기 전원발생부(11)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한다.
상기 발열체(33)의 발열에 의해 상기 연막홈부(31) 내에 담겨진 해충을 살충, 박멸하는 화학성분(36)이 타면서 연막이 발생된다.
상기 발생되는 연막은 연막홈부(31)의 상부로 올라가면서 상기 연막홈부(31)의 상방측인 외관 케이스(10)의 뚫려진 구멍을 통해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의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방출되는 연막은 보다 넓은 범위로 확산되고, 상기 확산되는 연막을 해충이 흡입 및 접촉되면 상기 연막에 함유된 화학성분(36)에 의해 해충이 살충, 박멸된다.
상기 화학성분(36)이 다 타서 상기 연막홈부(31) 내에 화학성분이 없을 경우에는 감지센서(34)가 이를 감지하여 전원발생부(11)의 작동을 차단하는 신호를 보내고, 상기 작동이 차단된 전원발생부(11)에 의해 발열체(33)는 더 이상 열을 발열하지 않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연막홈부(31) 내에 화학성분(36)을 채워 넣고 나서 상기 개폐부재(32)를 이동시켜 상기 연막홈부(31)의 상부를 폐쇄한다.
이런 상태에서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의 연막부(30)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작동하면 된다.
이 때, 상기 감지센서(34)는 개폐부재(32)의 개폐 및 상기 연막홈부(31)의 상부 개방, 상기 연막홈부(31) 내에 화학성분(36)의 남겨진 양이나 유무 등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전원발생부(11)를 제어한다.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에서 초음파부(40)만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초음파부(40)의 외측인 상기 외관 케이스(10)에 설치된 스위칭부(43)를 조작하여 온(ON)위치에 놓는다.
그러면, 상기 전원발생부(11)가 작동되어 초음파발생부(41)로 전원을 공급됨에 따라 상기 초음파발생부(41)에서 해충이 싫어하거나 살충, 박멸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가 발생된다.
상기 초음파발생부(41)에서 발생된 초음파는 덮개부(42)의 각 초음파확산공(42a)을 통해 멀티 해충 박멸장치(100)의 외부로 방출, 확산됨에 따라 상기 초음파에 의해 해충이 사람에게 접근하거나 집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거나 또는, 집안의 해충이 밖으로 내몰리는 현상 및 초음파에 의해 해충이 살충, 박멸된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발생부(41)에는 주파수 변환부(44)가 연결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대를 갖는 각종 해충의 주파수 대역대에 맞도록 상기 주파수 변환부(44)를 조작하여 서로 다른 초음파를 발생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주파수 변환부(44)에 의해 초음파발생부(41)에서 다른 초음파가 발생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해충 즉, 각종 해충 중 원하는 해충의 접근 방지 및 밖으로 내몰거나 살충, 박멸한다.
상기 초음파부(40)의 사용이 완료되면 스위칭부(43)를 오프(OFF)위치에 놓음 에 따라 상기 전원발생부(11)를 정지시켜 상기 전원발생부(11)와 상기 초음파발생부(41)를 차단하므로 인해 상기 초음파발생부(41)에서 초음파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의 해충 유인부(20)와 연막부(30) 및 초음파부(40)를 각각 사용하여 해충을 살충, 박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의 해충 유인부(20)와 연막부(30) 및 초음파부(40)를 동시에 같이 사용하여 해충을 살충, 박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의 해충 유인부(20)와 연막부(30) 및 초음파부(40)에 의해 살충, 박멸되는 해충의 종류가 서로 다르도록 하여 즉, 상기 해충 유인부(20)에서는 해충의 바퀴벌레, 개미와 같이 기어 다니는 해충을 살충, 박멸하고, 상기 연막부(30)에서는 날아다니는 파리, 모기 및 크기가 큰 쥐와 같은 해충을 살충, 박멸하며, 상기 초음파부(40)에서는 상기의 해충 및 다른 해충을 살충, 박멸하도록 한다.
상기 해충 유인부(20)와 연막부(30) 및 초음파부(40)에서 살충, 박멸하고자 하는 해충은 상기에서 설명한 해충을 살충, 박멸하거나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의 각 부(20,30,40)의 조작방법에 따라 다른 해충을 살충, 박멸할 수 있는데, 이는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구매자의 사용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이,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의 각 부(20,30,40)가 작동되는 방법에 의해 다양한 각종 해충을 동시 다발적으로 살충, 박멸한다.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의 각 부(20,30,40)의 사용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각 부(20,30,40)를 각각 사용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다만, 상기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100)의 각 부(20,30,40) 중 어느 것을 먼저 사용하며, 어떤 해충을 살충, 박멸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차이 정도이다.
도 1은 본 발명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를 평면에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의 해충 유인부를 단면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의 연막부를 단면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의 초음파부를 단면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의 전원발생부를 단면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의 해충 유인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원발생부 20: 해충 유인부
21: 유입통로 22: 뚜껑
23: 방출공 24: 디스플레이부
30: 연막부 31: 연막홈부
32: 개폐부재 33: 발열체
34: 감지센서 35: 개폐유도공
36: 화학성분 40: 초음파부
41: 초음파발생부 42: 덮개부
43: 스위칭부 44: 주파수 변환부
100: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Claims (13)

  1. 해충의 접근 방지 및 해충을 살충하여 박멸하도록 하는 해충 박멸장치에 있어서,
    상기 해충 박멸장치의 외관을 형성함과 함께 전원발생부를 갖는 외관 케이스를 설치하고,
    상기 외관 케이스에는 해충 및 해충의 알까지 살충하는 먹이가 삽입되고 상기 먹이의 냄새에 따라 해충의 유입 및 해충의 유로인 유입통로가 형성되는 해충 유인부를 설치하며,
    상기 외관 케이스에는 해충을 박멸하는 화학성분이 내포되고 상기 화학성분이 발화에 의해 타면서 연막을 형성하는 연막부를 설치하고,
    상기 외관 케이스에는 해충의 접근 방지 및 해충을 밖으로 내몰거나 상기 해충을 살충하도록 초음파가 발생되는 초음파부를 설치하며,
    상기 해충 유인부와 연막부 및 초음파부는 외관 케이스에 일체형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해충 유인부의 상부는 상기 해충 유인부 내로 해충의 먹이를 투입 및 제거하도록 하는 뚜껑이 개폐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해충 유인부의 뚜껑에는 해충의 먹이 냄새를 방출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방출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해충 유인부 내의 유입통로에는 상기 해충 유인부 내로 유입된 해충이 달라붙도록 접착력을 갖는 패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해충 유인부의 유입통로는 불규칙적이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굴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해충 유인부의 유입통로는 미로형태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해충 유인부에는 먹이의 유효기간 및 교체주기를 외부에서 확인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연막부는,
    외부 케이스에 형성되어 해충을 박멸하는 화학성분이 담겨지는 연막홈부와,
    상기 연막홈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막홈부의 상부를 개폐함은 물론 상기 연막홈부의 상부측 개방에 따라 화학성분이 타면서 발생하는 연막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연막홈부의 내면에 설치되어 전원발생부와 연결됨과 함께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에 따라 화학성분이 타면서 연막을 형성하도록 상기 전원발생부의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체와,
    상기 전원발생부와 연결됨과 함께 상기 연막홈부의 상면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되는 개폐부재와의 접촉 및 분리에 의해 개폐부재의 개폐를 감지, 화학성분의 유무를 감지 및 전원발생부를 제어하도록 하는 감지센서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연막홈부의 상부인 외관 케이스에는 장공의 개폐유도공을 형성하고, 개폐부 재의 상면에는 개폐유동공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개폐시 손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하는 조작부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초음파부는,
    전원발생부와 연결됨은 물론 외관 케이스에 삽입 설치되어 해충의 접근을 방지 및 해충을 밖으로 내몰거나 살충하도록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발생부와,
    상기 초음파부 측의 외관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초음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초음파를 외부로 확산함은 물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초음파발생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초음파확산공을 갖는 덮개부와,
    상기 외관 케이스의 초음파부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초음파발생부에서 초음파를 발생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발생부를 온, 오프시키는 스위칭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초음파부에는 초음파발생부와 연결되어 각종 해충의 주파수 대역에 맞는 주파수 대역대로 상기 초음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주파수를 변환하도록 하는 주파수 변환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발생부는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지가 설치되는 전지 투입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KR1020070074417A 2007-07-25 2007-07-25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KR100884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417A KR100884220B1 (ko) 2007-07-25 2007-07-25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417A KR100884220B1 (ko) 2007-07-25 2007-07-25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130A KR20090011130A (ko) 2009-02-02
KR100884220B1 true KR100884220B1 (ko) 2009-02-17

Family

ID=4068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417A KR100884220B1 (ko) 2007-07-25 2007-07-25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2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572B1 (ko) * 2014-04-03 2014-12-11 서치영 휴대용 모기퇴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2327A (zh) * 2016-07-18 2016-12-07 柳州永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超声波的除白蚁系统
CN106172326A (zh) * 2016-07-18 2016-12-07 柳州永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超声波的除蟑螂系统
CN112005993A (zh) * 2019-05-29 2020-12-01 王俞兴 一种非接触式清理蜂螨的装置和清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402B1 (ko) * 1987-07-02 1994-12-15 에스. 씨. 죤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벌레 유인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9990008943A (ko) * 1997-07-04 1999-02-05 염윤섭 해충 박멸장치
KR20000000201U (ko) * 1998-06-05 2000-01-15 박소영 해충 박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402B1 (ko) * 1987-07-02 1994-12-15 에스. 씨. 죤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벌레 유인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9990008943A (ko) * 1997-07-04 1999-02-05 염윤섭 해충 박멸장치
KR20000000201U (ko) * 1998-06-05 2000-01-15 박소영 해충 박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572B1 (ko) * 2014-04-03 2014-12-11 서치영 휴대용 모기퇴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130A (ko) 2009-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96296A1 (en) Fruit-Shaped Fruit Fly Trap
JP3320727B2 (ja) 害虫駆除
CN201451113U (zh) 多功能诱捕器
ZA200309734B (en) Insect trap.
KR101032713B1 (ko) 포충기
JPH11346628A (ja) 蚊の誘殺器又は捕獲器
MX2013007870A (es) Trampa de observacion mata insectos para la captura masiva y control del picudo del algodonero.
US20050055870A1 (en) Light attractant insect trap
KR100922329B1 (ko) 실내용 해충 포집 살충장치
KR100884220B1 (ko) 멀티형 해충 박멸장치
KR101621958B1 (ko)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KR101681748B1 (ko) 해충 포획 장치
US20210076654A1 (en) Insect Trapping Instrument
US20080216387A1 (en) Microencapsulated animal trap bait for electronic traps
US20080216385A1 (en) Microencapsulated animal trap bait for escape-proof repeating animal traps
JPH11346629A (ja) 蚊の誘殺器又は蚊の捕獲器
KR20150025689A (ko) Uv led를 이용한 해충 트랩 장치
KR102396188B1 (ko) 해충 포획장치
KR101787186B1 (ko) 해충 퇴치 모듈
JP2004305162A (ja) 捕虫器
KR100707929B1 (ko) 해충유인박멸기
KR101994264B1 (ko) 포충기
CN211881836U (zh) 蟑螂和类似昆虫的诱捕器
KR200306760Y1 (ko) 개미 유인상자
KR102070725B1 (ko) 해충퇴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