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647A -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 - Google Patents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647A
KR20140051647A KR1020120117935A KR20120117935A KR20140051647A KR 20140051647 A KR20140051647 A KR 20140051647A KR 1020120117935 A KR1020120117935 A KR 1020120117935A KR 20120117935 A KR20120117935 A KR 20120117935A KR 20140051647 A KR20140051647 A KR 20140051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quito
voltage
carbon dioxide
net
mosquito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민우
Original Assignee
양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민우 filed Critical 양민우
Priority to KR1020120117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1647A/ko
Publication of KR20140051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64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3Attracting insects by the simulation of a living being, i.e. emission of carbon dioxide, heat, sound waves or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3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electroc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3/00Manual implements, other than sprayers or powder distributor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e.g. butterfly nets
    • A01M3/02Fly-swatters
    • A01M3/025Fly-swatters using electroc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전기를 이용한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는 그 모양 및 형상은 타격부와 손잡이부로 대분 구성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전원부와 전압 변환부로 구성하고 타격부에 전류가 통하는 부하부를 구성함으로써, 모기가 사람에게 근접하면 본 발명 전압을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의 전원 작동스위치를 누르고 고압망부를 모기에게 가져다 대면 곧바로 전압이 순간적으로 증폭되면서 전류가 흐르고 이로 인해 모기 또는 해충이 감전되어 죽게 되는 것이며 원거리에 있는 모기의 유인을 위해 이산화탄소의 생성 및 강제 발산, 그리고 사람의 체온과 동일한 열과 빛을 발열시킴으로써 모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게 되며, 유인 후 살충된 모기의 처리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모기의 박멸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With insecticidal mosquito incentives and mosquito net}
본 발명은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 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기채 본체의 내부에 발열체인 히터를 내장하여 사람 또는 가축 등의 체온과 유사하게 함과 아울러 발열체의 열을 확산시켜 모기의 촉각을 자극하도록 하며, 상기 모기채 본체의 일측에 이산화탄소(CO2)를 분출하도록 하여 모기를 유인하여 상기 모기채 본체의 헤드부 일측에 설치된 고압망에 의해 감전시키도록 하는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람을 무는 모기는 짝짓기를 한 암모기로 숫모기는 피가 필요 없기 때문에 보통 숲이나 밖에서 살며 사람을 물지 않으며 알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사람이나 동물의 피가 꼭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피에 들어있는 철분 등이 알의 영양소가 되며 따라서 모기가 사람을 무는 이유는 암놈이 영양소가 필요하기 때문에 피를 빠는 것이다.
사람의 피부 분비샘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 젖산, 아미노산, 암모니아 등을 감지하기 때문인데 몸집이 크고 뚱뚱한 사람은 땀과 열이 많아 모기에게 쉽게 물린다.
예를 들어 젖산은 20m 거리에서, 이산화탄소는 10m 밖에서 벌써 알아차리고 그곳으로 꼬인다. 한 생물이 화학물질이 자극이 되어 그쪽으로 모이는 현상을 양성(陽性, Positive)주화성(走化性)이라 하는데, 모기가 전형적인 예가 되겠다. 그러니 대사기능이 떨어지는 어른들 보다는 물질대사가 활발한 어린이가, 병약한 이보다는 건강한 사람이 모기에 더욱 잘 물리며 이산화 탄소의 농도가 짙은 사람, 여성 호르몬을 가진 여성,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이 잘 물린다고 한다.
본 발명은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에 관한 것으로서, 원거리에 있는 모기를 효과적인 방법으로 유인한 뒤 자동으로 살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실내 또는 야외에서 모기에게 물림으로 인한 신체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성 모기채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모기나 파리 등의 해충 퇴치 방법은 모기장을 치고 모기향을 피워 접근을 막거나, 스프레이 형태의 살충제를 뿌리거나, 액체나 고체 형태의 살충제를 전기를 이용하여 발산시키는 방법 또는 밝은 빛이나 해충들이 좋아하는 물질 등을 이용하여 유인하여 가두어 잡는 방법, 그 외에 파리채 등을 이용하여 타격을 가하여 잡고
모기의 경우 맨손으로 잡는 예가 많았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눈앞을 날아다니는 모기나 파리 등을 잡는 데에는 효율성이 매우 떨어져 퇴치율이 저조한 큰 단점이 있고, 다양한 형태의 살충제는 사용 시
인체에 직간접적인 해(害)를 줄 우려가 있고 위생상의 좋지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9676호 '전기를 이용한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가 제안된바 있으며, 상기 종래 '전기를 이용한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는 전기를 이용하여 해충을 감전시켜
퇴치하는 테니스 라켓의 망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공급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전기를 이용한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는 기존의 다양한 형태의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각종 모기나 파리 등의 해충이 퇴치되므로 사용이 매우 간편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휴대하면서 사용하거나 고정하여 사용함으로써 퇴치 효율을 높일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는 통상적인 소형 배터리 또는 충전배터리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통상의 소형 배터리는 배터리의 전기가 소진되면 교체하여야 하므로, 배터리 구입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배터리의 소진으로 인하여 전압이 낮아져 모기를 죽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출원번호 10-2010-0027772를 들 수 있는데 이는 휴대용 전기 해충퇴치기에 관한 것으로서, 충전을 위한 전원입력 경로를 다양하게 구비하되, 접속된 하나의 경로로만 전원을 입력받아 충전시키는 한편, 사용 시에만 즉, 스윙하여 해충을 퇴치할 때만 전원을 공급시키는 상용전압을 구동 전압으로 변환시켜 제공하는 핸드폰충전기의 핸드폰 충전잭(11B); 컴퓨터의 USB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USB잭(11C)을 포함 휴대용 전기 해충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스윙시에만 전원을 공급하여 모기를 잡는 기술인데 빠른 속도로 날아다니는 작은 모기를 잡기가 여간해서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에는 빛을 발산하는 램프 등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하고 이를 흡입 팬을 이용하여 강제 포집하는 장치가 제안되었는데, 이러한 해충 포집 장치로는 특허등록 제0928094호 "흡입식 해충 포집 장치"가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케이스(10)의 전면에 형성된 유입구(12)의 전방에 구비되어 해충을 유도하는 유도램프(3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12)와 연통 되는 유입 덕트(20)와, 상기 유입 덕트(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램프(30)에 의해 유도된 해충을 강제로 흡입하는 흡입 팬(24)과, 상기 흡입 팬(24)의 후측에 구비되어 해충이 부딪혀 죽게 되는 커터 망(26)과, 상기 유입 덕트(20)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커터 망(26)을 통과한 해충이 포획되는 포집망(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등록특허는 유도램프(30)에 의해 유도된 해충이 흡입 팬(24)에 의해 강제로 흡입되는 경우 커터 망(26)에 의해 해충이 부딪혀 죽게 되어 흡입 팬(24)에 의해 강제로 흡입된 해충의 생존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는 해충이 흡입 팬(24)을 통하여 흡입되는 과정에서 흡입 팬 날개에 부딪히기 때문에 흡입 팬(24)이 오염되어 위생이나 미관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흡입 팬(24)을 케이스(10)에서 분리하여 자주 세척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는 흡입 팬(24)을 통하여 흡입되는 해충을 커터 망(26)을 통하여 절단하기 때문에 해충의 절단에 따라 커터 망(26)이 손쉽게 오염되어 자주세척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출원번호 20-2010-0002412 고안의 명칭: 플렉시블 헤드를 가진 해충 퇴치기를 들 수 있는데 전기가 통하는 망체부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
이부와, 망체부 및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네크부와, 손잡이부에 설치된 메인전원스위치 및 작동스위치를 포함하는 해충 퇴치기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는 망체부와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탄성판과; 상기 탄성 판을 밀폐하는 고무로 된 주름 관으로 이루어져 휘어질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헤드를 가진 해충 퇴치기를 제공하는 다양한 기술이 선행되어 있었다.
상기 기술들은 전기를 축전기에 모아두었다가 순간적으로 전압을 증폭시켜 +전류와 -전류를 흐르게 하여 모기 및 해충을 발견시 감전시킴으로 해충들을 퇴치할 수 있는 퇴치기가 개시된 바 있다.
회로 구조는 다이오드=> 콘덴서 ==>다이오드=>콘덴서=>다이오드 콘덴서가 트랜스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그렇게 되면 100V가 10000V 이상까지 올라가게 되는데 전류는 미약하다(0.005A정도) 이렇게 만들어진 직류전압이 10000V 이상 되게 되면 코로나방전이라는걸 하는데 가까운 거리에 금속이 있다면 물리적인 접촉 없이도 전기가 그 금속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전압이 높을수록 이 작용은 매우 활발해지며
이 모기채를 보면 그물망 두 장이 서로 가깝게 마주보고 있으며 이 사이에 벌레가 붙게 되면 바로 죽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들은 눈앞을 날아다니는 모기 등을 잡는 데에는 효율성이 매우 떨어져 모기 및 해충 퇴치율이 저조한 큰 단점 있고, 다양한 형태의 살충제는 사용 시 인체에 직·간접적인 해(害)를 줄 우려가 있고 위생상 좋지 못한 문제점까지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해충 퇴치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시되었으나 가장 중요한 실질적인 눈앞을 날아다니는 모기 및 해충을 곧바로 퇴치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고, 사용시마다 설치 또는 살충제 교환 등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며, 사용에 효율성을 증진시켰다 하더라고 살충제 사용으로 인해 인체에 해를 줄 우려와 살충제 분사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모기가 좋아하는 유인 환경을 만들어 벽이나 천장 등에 본원을 거치하여주면 일일이 모기를 잡으로 다니지않아도 스스로 모기가 고압망부에 접촉하여 모기 및 해충을 감전시켜 퇴치하는 것이며 모기를 직접 잡고자 할 때는 상기 모기채를 천정이나 벽의 고정부에서 분리하여 수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모기채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인체 유해성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모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인한 뒤 살충이 이루어지게 되는 퇴치기를 제공함으로써 모기의 박멸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그 목적은 모기채 본체의 내부에 발열체인 히터를 내장하여 사람 또는 가축 등의 체온과 유사하게 함과 아울러 발열체의 열을 확산시켜 모기의 촉각을 자극하도록 하며, 상기 모기채 본체의 일측에 이산화탄소를 분출하도록 하여 모기를 유인하여 상기 모기채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고압망에 의해 감전사하도록 하는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모기유인 기능을 갖는 모기채에 관한 곳으로 이러한 목적 달성하기 위한 고전압이 흐르는 고압망과, 상기 고압망의 일측 단에 손잡이가 마련된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는 원거리에 있는 모기의 유인을 위해 발열과 이산화탄소를 내부에서 생성시킨 후 강제 발산시킴으로써 모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게 되며, 유인 후 고압 전기에 의해 살충하게 됨으로써 모기의 박멸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인 모기 유인 기능을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전기 모기퇴치기를 통하여, 기존의 다양한 형태의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본 발명을 작동하기만 하면 모기 및 해충이 퇴치되므로 사용이 매우 간편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휴대하면서 사용하거나 고정하여 사용하여 모기 퇴치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즉, 휴대가 가능하고 실내 및 야외 어디에서는 사용할 수 있으며, 모기 유인의 기능을 겸하고 있는 등 기능성을 높임과 동시에, 움직이는 해충의 퇴치 시 기존의 파리채의 사용과는 달리 퇴치에 실패할 경우가 거의 없고, 약품을 사용하지 아니
하므로 인체에 전혀 해가 없는 등 그 효과가 큰 발명이라 하겠다.
특히, 모기 유인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열매체로서 PTC나 카본 소자를 모기채 본체를 소정위치에 장착함으로써 사람 또는 가축 등의 체온과 유사하게 함과 아울러 발열체의 열을 확산시켜 모기의 촉각을 자극하도록 하며, 상기 모기채 본체의 일측에 이산화탄소를 분출하도록 하여 모기를 유인하여 상기 모기채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고압망에 의해 감전시키도록 함으로서, 모기의 유인이 쉽게 이루어져 모기의 살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의 일실시 예에 의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의 일실시예에 의한 작동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의 일실시예에 의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의 일실시예에 의한 벽 설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의 일실시예에 의한 천장 설치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에 관한 것으로,
모기채 본체(20)의 내부에 발열체인 히터(340)를 내장하여 발열체의 열을 확산시켜 모기의 촉각을 자극하도록 하며, 부가적으로 상기 모기채 본체(20)의 일측에 이산화탄소를 분출하도록 하여 모기를 유인하여 상기 모기채 본체(20)의 일측에 설치된 고압망에 의해 감전시키도록 하는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가 사람을 무는 이유는 암컷이 알을 만드는 데 필요한 단백질 공급을 위해서이다. 모기는 사람의 호흡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나 피부에서 분비되는 젖산 등으로 사람을 인식한다. 땀을 많이 흘리거나 샤워를 잘하지 않아서 생기는 체취는 모기가 가장 좋아하는 냄새이다. 모기가 옮기는 질병으로는 말라리아, 상피병, 일본 뇌염, 황열병, 뎅기열 등이 있다.
모기는 인류와 함께 공존해오면서 여러 가지 질병과 전염병으로 수천 명의 사람과 수만의 가축의 목숨을 빼앗아 가는 모기는 과학문명의 발달과 더불어 공해와 지구온난화로 모기가 더욱 번식하기 좋은 조건을 제공하게 되었으며, 환경공해에 적응하면서 내성이 생겨 현재까지 해충을 완전히 방제할 뚜렷한 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모기와 같은 유해 해충을 구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종래에는 살충제를 분무하거나, 살충제를 증발시키는 장치를 사용하여 해충을 퇴치하는 수단이 있지만, 살충제는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해충의 내성이 강해져서 싶게 죽지 않는 단점이 있다.
특히, 모기는 숙주 동물의 체취, 숙주 동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 및 이산화탄소 등에 유인되는 습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모기를 퇴치하는 방법으로는, 모기향 등을 사용하는 화학적 방제법, 미꾸라지 등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제법, 향기 등으로 모기를 유인한 다음 고전압 등을 인가하여 모기를 퇴치시키는 물리적 방제법, 및 물웅덩이를 없애거나 모기 유충이 살 수 없도록 주위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적 방제법 등이 있다.
현재, 축사 또는 정원 등에는 모기를 퇴치하기 위하여 물리적 방제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고전압을 이용한 물리적 방제의 경우에는 사람 및 가축의 감전, 고전압에 의하여 모기가 살충 될 때 발생하는 불똥 등으로 인한 화재 위험, 및 전력이 많이 소모되는 단점과, 모기가 살충 될 때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단지 모기를 쫓는 것은 일시적인 효과는 있지만 근원적으로 모기를 박멸하기는 불가능할 뿐 아니라 모기들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에도 한계가 있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모기를 유인하는 요인을 순서대로 나열해보면 가장 멀리 작용하는 것은 체취, 그 다음은 이산화탄소, 체온과 체습, 시각(모기가 좋아하는 색깔)의 순서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모기는 공기 중 0.01%의 이산화탄소를 감지하고 반응을 보이는 예민한 감각 기관을 촉수(아랫입술수염)에 가지고 있을 정도로 후각이 대단히 예민하고, 대기 중에 포함된 0.03 ~ 0.04%의 이산화탄소가 사람이 발산하는 곳에는 4 ~ 5%까지 올라간다고 하며, 15 ~ 20m 떨어진 곳에서도 사람 또는 가축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모기는 빨강, 파랑, 검정 등 진한 색을 좋아하며, 10m 밖에서도 색을 구별할 정도로 좋은 눈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모기의 습성을 이용한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살충기 중에서 모기가 좋아한다는 청색 계통이 형광등을 설치하여 모기를 유인하고 유인된 모기를 감전시키는 모기 유입 퇴치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살충기는 형광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발산되는 가시광선에 의해 모기의 눈에 자극을 줌으로서, 모기는 접근하지 않고, 하루살이, 불나방, 날벌레들만 접근하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원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모기채 본체(20) 일측에 설치되어 고압이 전해지어 접촉한 모기에 살충작업을 수행하는 그물 형태의 고압망(40)과, 이에 덧되어 설치되는 전기 감전을 보호하는 비전도체로 이루어진 안전망(60)과 사용자가 파지하며 내부에 배터리(80) 및 충전부(100)가 수용되며 작동스위치(180)가 설치되어 상기 모기채 본체(20)와 결합하는 손잡이부(200)와, 벽 또는 천정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220)와 상기 고압망(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40)와 공급된 전원을 고전압으로 승압하여 정류하여 증폭시키는 전압 증폭부와 콘덴서(260,Condenser)로 구성되는 전압 변환부(28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압망(40)과 손잡이부(200)를 연결하는 연결전선(320)으로 구성되며 상기 모기채 본체(20) 일측에 히터(340)가 설치되어 발열하며 이산화 탄소 발생장치(360)가 부착되어 이산화 탄소 배출공(380)이나
바람직한 송풍수단에 의하여 이산화 탄소가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모기채 본체(20)일 측에 설치되어 모기를 유인하기 위한 램프 또는 가시광선과 이산화탄소를 생성시키는 이산화탄소 발생장치(360)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송풍이나 배출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전면 측에 설치되어 35~45℃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가운데 열을 발산하는 발열수단인 히터(340)를 포함하며 이러한 유인물로 접촉한 모기에 의해 통전되는 고압망이 구성 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원부(240)는 상용전압을 구동전압으로 변환시켜 제공하는 어댑터(120)와 어댑터 잭(140); 상용전압을 구동전압으로 변환시켜 제공하는
충전 잭(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발열수단인 히터(340)로는 일정 온도의 유지가 가능한 PTC 소자 또는 카본히터(Carbon Heater)를 포함한 전기히터가 상기 모기채 본체(20)에 내장되며 바이메탈(420)과 온도 조절기(440)에 의하여 온도를 조절하여 외부에 상기 모기를 유인하기 위한 열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바이메탈(420)과 온도 조절기(440)는 일정온도이상 올라 가지못하는 단속장치로서 화재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부(100)는 오피엠프(Operational Amplifier)를 포함한 비교회로로 이루어져 기준전압인 어느 한 입력 경로를 통해 이미 충전되고 있는 전원의 전압 값보다 높은 전압 즉, 다른 입력 경로로 입력되는 전원이 더해져 입력되면, 나중에 입력된 전원을 파이패스(By Pass)시키는 레지스터(Resisto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부(100)는 실시간 입력되는 충전부(100)의 충전량과 사전에 미리 설정된 충전부(100)의 용량 기준 값을 비교하여, 입력되는 충전부(100)의 충전량이 기준 값 이상이면, 상기 충전부(100) 사이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부호나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도면을 참조로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모기 유인 기능을 갖는 모기채 놀이 기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외부의 구성을 보면, 상측의 테니스 라켓의 형상과 유사한
모기채 본체와 하측으로 원통형의 손잡이 등이 구성되는 몸통부로 결합 구성된 본체와, 충전부(100)로 구성되고, 상기 모기채 본체(20)에는 콘덴서(260)가 설치된 부하부인 전압 변환부(280)가 구성이 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망(40)일측에 설치된 유인등은 UV광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나 형광등 LED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모기를 유인하기 위한 효율적인 램프는 어떠한 램프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외선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UV광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생성시키게 되는 광 촉매재(Photocatalyst)를 사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 광 촉매재는
빛을 받아들여 화학반응을 촉진하는 물질을 말하고 이러한 반응을 광화학반응이라고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산화타이타늄 TiO 2가 있으며 이러한 반응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 탄소를 고압망 부근으로 강제 송풍 및 분출하여 모기를 유인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압망(40) 일측에 설치되어 35~45℃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가운데 열을 발산하는 발열체인 히터(34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를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의 일실시예에 의한 작동회로도로서 모기채 본체는 개방된 전면부위에 살충수단으로 고압의 전기가 흐르는 고압망(40)이 일정간격으로 촘촘한 그물처럼 다수 개 설치돼 있으며, 본체 내부에는 유인등(400)과 히터(340)가 장착돼 있는데 이 히터(340)는 35~45℃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가운데 열을 발산하는 발열수단인 전기로 작동되는 히터(340)로 일정 온도의 유지가 가능한 PTC(Positive Temperation Coefficient)또는 카본소재의 열선 소자가 본체 상단부에 내장돼 있으며, 열의 발산을 위한 통공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의 히터(340)의 소재로는 PTC 소자나 카본히터(Carbon Heater)가 바람직한데 이는 저압과 고압에서 모두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 전기저항선과 같이 붉은빛을 내지않아 화재의 위험이 없고, 산소를 태우지 않아 실내의 산소 보족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가운데 일정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의 일실시예에 의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그림으로 상기 본체 고압망(40)과 유인등(400)과 히터(340)와 이산화탄소 배출공(380)이 설치된 모기체 본체(20)프레임의 내측에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 되는 발열체가 내장되고, 고정부(220)에 의해 벽이나 천정에 걸 수 있어 접촉한 모기를 효과적으로 살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모기채 본체(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산화탄소를 발산하도록 분출공이 형성되고, 일측 단부가 이산화탄소 발생장치(360)와 연결된 발산호스로 구성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압망(40)은 한 쌍의 고압망이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고압망(40) 사이에 절연체로 구성된 안전망(60)이 개재되는 것이다.
상기 모기채 본체(20)의 내측에 설치되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 되는 발열체인 히터(340)가 내장되고, 고정부(220)에 의해 벽이나 천정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기채 본체의 발열체인 히터(340)의 일측에는 고압망(40)이 접면 되고, 상기 고압망(40)의 각각의 내측에는 히터(340)가 부착되며 이 히터(340)는 온도조절기(440)로 조절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열체인 히터(340)에서는 사람 또는 가축의 체온과 유사하게 35℃ ~ 45℃로 발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발열체인 히터(340)의 열이 주위에 전도됨으로써 모기만이 좋아하는 열감지선을 띠게 되어 모기를 빠르게 유인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의 일실시예에 의한 벽 설치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의 일실시예에 의한 천장 설치도이다.
이처럼 본원은 몸에 해로운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한 가지 자극제로만 모기를 유인하던 기존의 장치와는 달리 냄새가 나지 않는 이산화탄소와 가시광선, 자외선, 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 모든 재화는 강도 조절이 가능하며 광범위한 모기 종을 끌어들이기 위해 세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소형의 CO2 발생기는 주로 어항의 식물을 키우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며 시중에 많은 제품이 출시되어 있으며 이원리는 공기를 채집하여 탄소봉이나 카트리지 전극을 전기 분해하여 이산화 탄소를 발생하는 원리이며 바람직하게는 유기성 물질이나 발효된 효소 등을 이용하여 이산화 탄소를 발생케 하여 본원의 모기 유인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기채 본체(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외선 램프로부터 300 ~ 400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이 이산화티타늄 광 촉매제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빛을 비추게 되면, 상기 이산화티타늄 블록에서는 수산화 라디 칼(OH-)이 생성된다.
상기 수산화 라디칼(OH-)은 주위의 유기화합물을 분해하여 사람이 호흡할 때 공기 흡입 후 내뿜게 되는 것과 같은 이산화탄소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압망(40)일측에 설치된 유인등은 바람직하게는 UV광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나 형광등, 삼파장 램프, LED램프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는 모기를 유인하기 위한 효율적인 램프로는 어떠한 램프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외선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UV광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생성시키게 되는 탄소 막대를 전기분해하는 광 촉매재를 이용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광 촉매재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 탄소를 고압망(40) 부근으로 강제 송풍하여 모기를 유인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공은 팬 모터로부터 회동력을 전달받는 송풍 수단의 동작에 의해 공기의 강제 흐름이 외부로 발생하게 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생성된 이산화탄소가 함께 외부로 발산되게 됨으로써 모기는 사람이 있는 것으로 인지하여 냄새가 발생하는 위치로 유인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산화탄소 발생장치(360)로 공기를 흡입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적용하였지만 바람직하게는 연소식 이산화탄소발생기를 본원에 적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분사된 이산화탄소는, 공기보다 밀도가 높아 하방으로 진행하려는 힘이 발생하고, 이산화탄소 배출공(380)의 분사력에 의해 측방으로 진행하려는 힘이 동시에 작용하여, 유체의 흐름이 완곡된 곡선 형상을 이룬다.
특히 이산화탄소가 모기체 본체(20)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하여, 완곡된 곡선 형상의 유체 흐름이 더욱 효과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원은 빛, 냄새, 열,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단을 통하여 모기나 파리 등의 해충을 유인한 후 고압망에 접촉하여 살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는 고정부를 이용하여 실내의 벽이나 천장 등에 걸게 되며 모기가 많은 가축의 외양간이나 돈사 등의 축산업에서도 널리 설치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사람 또는 가축의 체온 등을 유사하게 하여 모기를 유인한 상태에서 고압망(40)을 승압하여 전기가 공급되고, 상기 고압망(40) 사이에 모기가 접촉하게 됨으로써, 통전에 의해 모기를 감전시켜 죽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모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파리, 하루살이, 불나방, 날벌레드의 해충도 유인하여 죽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유인 퇴치기는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킴과 함께 인체에서와 같은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근접위치에 있는 모기뿐만 아니라 원거리의 모기까지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시 예에서는 모기의 살충수단으로서 고압망(40)이 사용되었으나, 고압망(40)은 노출의 위험이 있으므로 모기채 본체(20)의 내부에 자외선램프 외에 별도의 고압램프를 설치함으로써 유인된 모기를 고압램프의 전기를 이용해 순간적으로 살충시킬 수 있도록 변형된 구조를 이룰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변환부(280)는 전압 증폭부(300)에서 순간적으로 전압을 증폭시키면 이때 발생한 고전압이 콘덴서(Condenser)를 통해 고압망(40)에 전달된다.
한편, 전원부(240)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기본이 되는 부분으로, 몸통부를 세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충전부(100)에 구성되는 전극에 몸통부의 하단 충전부(100)의 전극을 상호 접촉시켜 몸통부의 배터리(80)에 전기를 충전하여 휴대하여 사용하게 구성하고, 충전부(100)에 본체를 결합 고정하여 모기 등의 유인 및 퇴치 겸용으로 사용 시에는 바람직하게는 전원 변환스위치에 의해 전원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작동순서를 설명하면, 전기는 휴대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배터리(80)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유인 겸 퇴치용으로 벽이나 천정에 고정하여 사용할 때에는 충전부(100)를 이용하는 방법을 선택하는데, 이때 후자를 이용하게 되면 전원 변환스위치가 자동으로 배터리(80)전원을 차단하고, 충전기에 구성되는 전극과 몸통부의 하단 충전부(100)의 전극이 상호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작동스위치(180)를 ON으로 하면 전원부(240)에서 전압이 전압 증폭부(300)를 통과하면서 전압을 순간적으로 증폭시켜 이때 발생한 전압은 콘덴서(Condenser)를 통해 전류로에 전압부하가 걸리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기채 본체의 전류로는 다단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본 전류로는 전도선을 이용하여 그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그물형으로 구성된 전류로는 기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중하 3층으로 구성하고, 양쪽 상하층과 중간층은 서로 다른 극의 전류가 흐르게 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상하층은 -전류가 흐르게 구성하면 중간층은 +전류가 흐르게 하여 그 사이에 고전압이 발생하여 흐를 때 근접한 모기 및 해충이 감전되어 퇴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에는 약품을 사용하거나 지속적으로 사용이 불가한 부자재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휴대용으로 사용하거나, 고정하여 사용하는 퇴치기들이 별도로 구성되어있어 소비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에 기술들이 적용된 제품을 구매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에 적극적으로 휴대하며 해충 특히 모기나 파리 등을 발견하는 즉시 손쉽게 곧바로 퇴치함이 가능하고, 벽이나 천장 등에 고정하여 두면서도 해충들을 유인하여 잡을 수 있게 휴대성 및 효율성을 높이고, 약품 등으로 사용하지 아니하여 인체에 유해함이 없는 모기 및 파리 등의 해충 퇴치기로 사용이 매우 간편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휴대하면서 사용하거나 고정하여 사용함으로써 퇴치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즉, 휴대가 가능하고 실내 및 야외 어디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모기 유인의 기능을 겸하고 있는 등 기능성을 높임과 동시에 움직이는 해충의 퇴치 시 기존의 전기 모기채 사용과는 달리 위생상 안전하고, 약품을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인체에 전혀 해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 '전기를 이용한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는 스위치를 ON 시킨 상태에서는 고압망에 고전압이 항시 가해지므로, 유아가 사용시에 감전 등의 사용상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전기 모기채는 “테니스 채 형태”로써 구조적 특성상 전기가 흐르는 충전부(100)가 개방되어 있고, 전원스위치를 끄더라도 수천 볼트의 전압이 소멸하는데 최대 13초가 소요되며 어린이가 장난감으로 오인하여 감전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인화성 물질 근처에서 사용할 경우 스파크 등으로 인한 화재발생 가능성도 있다 "즉, 종래 '전기를 이용한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는 장난감 같은 모양으로 인해 식별력이 없는 유아들이 고전압의 고압망을 만지게 될 수 있으므로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는 감전의 위험이 있으며, 유아들뿐만 아니라 청소년이나 어른도 들고 있다 무의식중에 고압망을 만져 깜짝 놀라게 되는데, 이때 놀란 몸동작에 의해 주변의 위험한 도구나 지형에 부딪혀 큰 부상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에 대한 다른 변형 및 변경은 특히 청구의 범위에 설명된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에 의해 예의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실시 예의 측면들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하며 당업자는 상기 설명이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없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해석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본원 발명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짐이 바람직하고; 발명의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상은 본 발명의 범위에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원 발명은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원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판단되어 야만하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20: 모기채 본체 40: 고압망
60: 안전망 80: 배터리 
100: 충전부 120: 어댑터
140: 어댑터 잭 160: 충전잭
180: 작동스위치 200: 손잡이부
220: 고정부 240: 전원부
260: 콘덴서 280: 전압 변환부
300: 전압 증폭부 320: 연결전선
340: 히터 360: 이산화탄소발생장치
380: 이산화탄소 배출공 400: 유인등
420: 바이메탈 440: 온도조절기

Claims (6)

  1. 원형, 타원형, 사각형, 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모기채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고압이 전해지어 접촉한 모기에 살충작업을 수행하는 그물형태의 고압망과;
    이에 덧 되어져 설치되는 전기 감전을 보호하는 비전도체로 이루어진 안전망과;
    사용자가 파지하며 내부에 배터리 및 충전부가 수용되며 작동스위치(SW)가 설치되어 상기 모기채 본체와 결합하는 손잡이부와;
    벽 또는 천정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압망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공급된 전원을 고전압으로 승압하여 정류하여 증폭시키는 전압 증폭부와 콘덴서(Condenser)로 구성되는 전압 변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압망과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연결전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모기채 본체 일측에 히터가 설치되어 발열하며 이산화 탄소 발생장치가 부착되어 송풍수단에 의하여 이산화 탄소가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모기를 유인하기 위하여 램프 또는 가시광선과 이산화탄소를 생성시키는 이산화탄소 발생장치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송풍 수단이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전면 측에 설치되어 온도 조절기에 의하여 35~45℃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가운데 열을 발산하는 발열수단인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
  3. 청구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기채 본체에는 접촉한 모기에 의해 통전되는 고압망과 유인램프와 상기 모기채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산화탄소를 발산하도록 이산화탄소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
  4. 상기 본체에 투입되는 전원부는 상용전압을 구동전압으로 변환시켜 제공하는 어댑터와 어댑터 잭과 상용전압을 구동전압으로 변환시켜 제공하는 충전 잭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발열수단인 히터는 일정 온도의 유지가 가능한 PTC 소자 또는 카본히터(Carbon Heater)를 포함한 전기히터가 상기 모기채 본체에 내장되며 바이메탈과 온도 조절기에 의하여 상기 히터를 온도를 조절하여 외부에 열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
  5. 모기채 본체를 작동하는 배터리의 충전부는 오피엠프(Operational Amplifier)를 포함한 비교회로로 이루어져 기준 전압인 어느 한 입력 경로를 통해 이미 충전되고 있는 전원의 전압 값 중 더욱 높은 전압이 더해져 입력되면 나중에 입력된 전원을 바이패스(Bypass)시키는 레지스터(Resistor)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충전부는 실시간 입력되는 충전부의 충전량과 사전에 설정된 충전부의 용량 기준 값을 비교하여, 입력되는 충전부의 충전량이 기준 값 이상이면, 상기 충전부 사이에 연결된 스위칭소자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
  6. 모기채 본체는 개방된 전면부위에 살충수단으로 고압의 전기가 흐르는 고압망이 일정간격으로 그물처럼 다수 개 설치돼 있으며, 본체 내부에는 유인등과 히터가 장착돼 있는데 이 히터는 35~45℃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가운데 열을 발산하는 발열수단인 전기 히터로 일정 온도의 유지가 가능한 PTC(Positive Temperation Coefficient) 또는 카본소재의 열선 소자가 본체 상단부에 내장돼 있으며, 열의 발산을 위한 통공을 더 포함하며 빛, 냄새, 열,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단을 통하여 모기나 파리를 포함한 해충을 유인한 후 고압망에 접촉하여 살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
KR1020120117935A 2012-10-23 2012-10-23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 Ceased KR201400516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935A KR20140051647A (ko) 2012-10-23 2012-10-23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935A KR20140051647A (ko) 2012-10-23 2012-10-23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647A true KR20140051647A (ko) 2014-05-02

Family

ID=5088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935A Ceased KR20140051647A (ko) 2012-10-23 2012-10-23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164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3024A1 (ko) * 2016-11-17 2018-05-24 삼정크린마스터(주) 안전 스위치 구조를 갖는 전기 해충 퇴치기
CN114766451A (zh) * 2022-05-26 2022-07-22 段江生 一种电热杀虫机
KR102459821B1 (ko) * 2021-12-02 2022-10-27 주식회사 피앤지 휴대용 다용도 해충퇴치기
KR102729522B1 (ko) * 2024-03-18 2024-11-13 주식회사 위브메이드 전기 해충 퇴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3024A1 (ko) * 2016-11-17 2018-05-24 삼정크린마스터(주) 안전 스위치 구조를 갖는 전기 해충 퇴치기
KR102459821B1 (ko) * 2021-12-02 2022-10-27 주식회사 피앤지 휴대용 다용도 해충퇴치기
CN114766451A (zh) * 2022-05-26 2022-07-22 段江生 一种电热杀虫机
KR102729522B1 (ko) * 2024-03-18 2024-11-13 주식회사 위브메이드 전기 해충 퇴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7549B2 (en) System for trapping flying insects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ES2924038T3 (es) Aparato para atrapar insectos voladores dañinos y procedimiento de recuento de los insectos atrapados
ES2860906T3 (es) Aparato y método para atrapar plagas de insectos voladores
US7774976B2 (en) Insect trap
US20190281805A1 (en) Adaptive insect trap
JPH11346628A (ja) 蚊の誘殺器又は捕獲器
KR200453375Y1 (ko) 엘이디를 이용한 해충 트랩 장치
US20050274061A1 (en) Mosquito trapping device
US20180288992A1 (en) Insect Trap To Control Mosquito Population
US7441367B2 (en) Robotic pest removal system
KR20140051647A (ko)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
WO2020081031A2 (en) A catcher device developed for harmful flies and insects
CN2904651Y (zh) 捕蚊器
KR101621958B1 (ko)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CN106035283A (zh) 一种风力诱捕虫装置
KR20160091603A (ko) 해충 퇴치 모듈
MXPA05006570A (es) Trampa para insectos.
JP2016182131A (ja) 接触式捕捉器
KR200347665Y1 (ko) 모기 유인 퇴치기
JP2019058124A (ja) 昆虫誘引装置
CA2511015C (en) Insect trap
CN205922612U (zh) 一种风力诱捕虫装置
KR20120000882U (ko) 휴대용 전자 제충장치
KR101965568B1 (ko) 포충기
KR101917178B1 (ko) 가정용 자동 벌레 퇴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1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8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2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