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937B1 - 야생동물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야생동물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937B1
KR102391937B1 KR1020200041992A KR20200041992A KR102391937B1 KR 102391937 B1 KR102391937 B1 KR 102391937B1 KR 1020200041992 A KR1020200041992 A KR 1020200041992A KR 20200041992 A KR20200041992 A KR 20200041992A KR 102391937 B1 KR102391937 B1 KR 102391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frame
door
wild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4667A (ko
Inventor
박광배
박진석
이종태
김재형
Original Assignee
박광배
박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배, 박진석 filed Critical 박광배
Priority to KR1020200041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937B1/ko
Publication of KR20210124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01M23/20Box traps with dropping doors or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38Electric tra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0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mechan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0/00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생동물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장치에 있어서,
포획된 야생동물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망(11)이 측면에 결합된 프레임(10);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측에 결합된 문틀(12);
상기 문틀(12)의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어 와이어(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도르래(13);
상기 문틀(12)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롤러(22)의 주행경로를 이루는 롤러삽입홈(14);
상기 문틀(12)의 후방 양측에 형성되어 회전봉(16)을 지지하는 회전봉지지브라켓(15);
상기 회전봉지지브라켓(15)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봉(16);
양측 길이방향으로 돌출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롤러(22)가 구비되어, 상기 문틀(12)의 롤러삽입홈(14)을 따라 승강운동하는 문(20);
일단은 상기 문(20)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도르래(13)를 경유하여 회전봉(16)에 결합되어 상기 문(20)을 승강시키는 와이어(30);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봉(16)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40);
상기 회전봉(16)과 구동모터(40)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40)의 회전력을 회전봉(16)에 전달하는 체인(50);
포획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포획장치

Description

야생동물 포획장치 {Wild Animal Capturing Device}
본 발명은 야생동물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물유인부를 구비하여 야생동물을 유인함으로써 포획률을 높이는 한편, 전기충격장치를 구비하여 포획된 야생동물이 포효함으로 인한 주변 피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포획된 야생동물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원격의 관리자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야생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이나 숲에 서식하는 멧돼지 등의 야생동물의 서식 개체수가 증가함에 따라 숲에서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특산종 및 식물자원과 농가에서 가꾸어 놓은 작물에 대한 피해가 극에 달하고 있다.
야생동물의 잦은 출몰은 대부분 막대한 농작물 피해와 직결되며, 멧돼지의 경우에는 민첩성과 파격성으로 인명피해까지 발생되고 있으며, 고속도로까지 출몰하여 자동차와 충돌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유해야생동물은 멧돼지를 포함하여 개, 뉴트리아, 멧비둘기, 청설모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야생동물들은 먹이를 구하기 위해 주택가의 하수구나 쓰레기장 등 먹이가 있는 곳에 출몰하여 각종 전염병을 옮기는 매개체가 될 우려도 있다.
이들은 유기되어 야생화되며, 왕성한 번식력으로 인해 기하학적으로 개체수가 증가하여 자연 생태계를 파괴시키고 있다.
그러나 동물보호에 대한 규제와 인식이 높아지면서 야생동물을 마음대로 포획할 수 없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야생동물은 법적으로 포획이 금지되어 있으며, 한시적으로 허용된 기간 및 장소에서만 지정한 야생동물만을 포획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대부분은 총기를 사용하나 총기 사용은 소음이나 안전 사고를 초래한다. 또한, 덫을 이용해 동물의 발목을 잡는 방법이나 이동통로에 설치된 올가미형 포획장치는 야생동물에 치명적인 상처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야생동물 보호 규제로 인해, 야생동물을 산채로 포획할 수 있는 다양한 포획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야생동물 포획장치는 야생동물이 출몰하는 지역이나 부근에 설치되어 포획장치 내부로 스스로 진입하는 야생동물만을 포획할 수 있어 포획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설치 장소가 대부분 원격지이기 때문에 감시자가 현장을 방문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포획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포획장치에 포획된 야생동물이 포효하는 소리는 주변 민가에 다양한 측면에서 피해를 주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포획방법을 동원하여 야생동물의 포획율을 높임과 동시에, 원격에서 포획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포획된 야생동물의 포효하는 소리에 의한 주변 피해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포획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등록특허 10-16081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유해야생동물을 생포하여, 인명피해를 예방하고 농가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물유인부를 구비하여 야생동물을 유인함으로써 포획률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충격장치를 구비하여 포획된 야생동물이 포효함으로 인한 주변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획된 야생동물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원격에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야생동물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장치에 있어서, 포획된 야생동물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망이 측면에 결합된 프레임;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의 전방측에 결합된 문틀; 상기 문틀의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어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도르래; 상기 문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롤러의 주행경로를 이루는 롤러삽입홈; 상기 문틀의 후방 양측에 형성되어 회전봉을 지지하는 회전봉지지브라켓; 상기 회전봉지지브라켓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봉; 양측 길이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문틀의 롤러삽입홈을 따라 승강운동하는 문; 일단은 상기 문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도르래를 경유하여 회전봉에 결합되어 상기 문을 승강시키는 와이어;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봉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 상기 회전봉과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회전봉에 전달하는 체인; 포획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에 인접하게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되, 야생동물의 체열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열감지센서로부터 체열데이터가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문이 닫히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야생동물을 포획장치로 유인하는 동물유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물유인부는, 포획장치 주변에 소리를 출력하여 야생동물을 유인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동물유인부는, 주변 소음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소음측정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소음측정장치에 의해 전송된 주변 소음의 소음레벨 보다 소정 데시벨 더 높게 상기 스피커의 출력레벨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동물유인부는, 상기 프레임의 바닥에 결합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판모터; 상기 회전판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되, 회전판에 배치된 먹이를 항해 바람을 불어 먹이의 냄새를 프레임 사방으로 전파시키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물유인부는 먹이의 냄새를 프레임의 사방으로 확산시켜 야생동물을 프레임으로 유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판에 인접하게 프레임 바닥에 결합되어 먹이에 접근한 야생동물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중감지센서에 하중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야생동물이 포획장치 내부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문이 닫히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중감지센서의 상부에 설치되되, 전기충격을 부가하여 야생동물을 기절시키는 전기충격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하중감지센서에 의해 하중이 감지되면 상기 전기충격장치에 전기를 인가하여 야생동물을 기절시킴으로써, 포획된 야생동물이 포효함으로 인한 주변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틀 상부에 결합되되, 태양의 이동경로에 따라 방향과 각도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조정되어 효율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전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 내측에 결합되어 포획된 야생동물을 촬영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카메라; 원격에 위치한 관리자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원격송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중감지센서에서 하중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포획된 야생동물을 카메라가 촬영한 후 원격송신모듈을 통해 관리자서버로 촬영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는 유해야생동물을 생포하여 인명피해를 예방하고, 농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는 동물유인부를 구비하여 야생동물의 포획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는 전기충격을 부가하여 포획된 야생동물이 포효함으로 인한 주변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포획된 야생동물을 원격에서 실시간 모니텅이 가능함으로써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는 태양전지를 구비하여 전력을 자체적으로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문이 개폐되는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으로 동물을 유인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충격부가 작동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문이 개폐되는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으로 동물을 유인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충격부가 작동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는 프레임(10), 문틀(12), 문(20), 와이어(30), 구동모터(40), 체인(50), 제어부(20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프레임(10)에는 포획된 야생동물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망(11)이 측면에 결합된다.
망(11)은 복수 개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어, 망(11)을 통해 야생동물이 포획장치 내부로 진입한 것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도 1에서는 프레임(10) 내부 구성이 명확히 확인되도록 하기 위해, 후방에 결합된 망(11)만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프레임(10)은 직육면체, 원통형 또는 타원 터널형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프레임(10)의 전방측에는 문틀(12)이 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문틀(12)에는 도르래(13)와 롤러삽입홈(14)이 구비된다.
도르래(13)는 문틀(12)의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어 와이어(3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롤러삽입홈(14)은 문틀(12)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롤러(22)의 주행경로를 이룬다.
와이어(30)의 일단은 문(20)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도르래(13)를 경유하여 회전봉(16)에 결합되어 문(20)을 승강시킨다.
복수 개의 도르래(13)를 구비하여, 와이어(30)와 결합된 문(20)이 수평을 유지하며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문틀(12)의 후방 양측에는 회전봉지지브라켓(15)이 형성되어, 회전봉(16)을 지지한다.
회전봉(16)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봉지지브라켓(15)에 결합된다.
구동모터(40)는 프레임(10)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봉(16)에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체인(50)은 회전봉(16)과 구동모터(40)에 결합되어 구동모터(40)의 회전력을 회전봉(16)에 전달한다.
체인(50)과 연동된 구동모터(40)의 회전방향에 따라 와이어(30)가 회전봉(16)에 감기거나 풀려서 문(20)의 승강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문(20)에는 돌출부(21)와 롤러(22)가 구비된다.
돌출부(21)는 문(20)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롤러(22)는 상기 돌출부(2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돌출부(21)에는 복수 개의 롤러(22)가 구비되어 문(20)이 롤러삽입홈(14)을 따라 승강운동한다.
문(20)의 상부측에는 와이어(30)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형성된다.
문(20)의 정면에는 야생동물이 탈출하지 못하도록 봉이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구동모터(40)의 회전력과 문(20)의 자중에 의하여 문(20)의 개폐가 이뤄지며, 야생동물이 포획장치 내부로 들어왔을 때 문(20)이 닫혀 포획된다.
제어부(200)는 포획장치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의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는 태양전지(100)를 구비하여 전기를 공급한다.
태양전지(100)는 문틀(12) 상부에 결합되어, 태양의 이동경로에 따라 방향과 각도가 제어부(200)에 의해 조정되어 효율적으로 전기를 공급한다.
제어부(200)는 포획장치가 설치된 장소에서 태양의 위치를 감지하여, 최고의 효율로 전력을 생산하도록 태양전지(100)를 제어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획장치의 문(20)이 개폐되는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구동모터(40)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문(20)의 승강운동 방향이 결정된다.
구동모터(40)는 체인(50)에 결합되어 회전력이 회전봉(16)으로 전달된다.
회전봉(16)의 회전 수만큼, 회전봉(16)의 축을 중심으로 와이어(30)가 감기거나 풀린다.
회전봉(16)의 반지름을 R이라고 했을 때,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30)의 길이는 회전봉(16)의 원주길이(2 πR)와 같다.
구동모터(40)가 시계방향으로 구동하여 와이어(30)가 감기는 경우, 문(20)이 상승운동을 한다. 반대로, 구동모터(40)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여 와이어(30)가 풀리는 경우, 문(20)이 하강운동을 한다.
이 때, 도르래(13)는 와이어(30)가 풀리면서 구부러지지 않도록 와이어(30)를 지지한다.
와이어(30)에는 장력이 작용되어 팽팽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는 열감지센서(60), 동물유인부(90), 하중감지센서(70)를 더 포함한다.
열감지센서(60)는 문(20)에 인접하게 프레임(10)의 일측에 결합된다.
열감지센서(60)는 야생동물의 체열을 감지하여 제어부(200)로 전송한다.
제어부(200)는 열감지센서(60)로부터 체열데이터가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문(20)이 닫히도록 구동모터(40)를 제어한다.
야생동물의 체열을 감지한 즉시 문(20)을 닫게 되면, 야생동물이 프레임(10) 내부로 충분히 진입하지 않은 경우 프레임(10)을 탈출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야생동물은 경계가 심하기 때문에 스스로 포획장치 안으로 진입하도록 소정 시간의 여유를 두었다가 문(20)을 닫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포획장치 내부로 진입한 동물이 포획이 가능할 정도로 충분히 깊숙히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하중센서를 구비하였다.
하중감지센서(70)는 프레임(10) 바닥에 결합되어 먹이에 접근한 야생동물의 하중을 감지한다.
제어부(200)는 하중감지센서(70)에 의해 하중이 감지되면, 야생동물이 포획가능할 정도로 포획장치 내부로 깊숙히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문(20)이 닫히도록 구동모터(40)를 제어한다.
종래의 포획장치는 야생동물이 출몰하는 지역이나 부근에 설치되어 포획장치 내부로 스스로 진입하는 야생동물만을 포획할 수 있어 포획율이 낮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동물유인부(90)를 구비하였으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4 그리고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동물유인부(90)는 야생동물의 청각과 후각을 자극하여 포획장치로 유인하는 구성이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청각을 이용한 동물유인부(90)의 세부구성으로 스피커(91)와, 소음측정장치(92)가 구비된다.
복수 개의 스피커(91)를 통해 포획장치 주변에 소리를 출력하여 야생동물을 유인한다.
예시적으로, 야생동물이 먹이를 먹는 소리와 같은 야생동물이 좋아하는 소리를 출력한다.
먹이를 먹는 소리를 듣게 되면, 굶주린 야생동물이 소리에 반응하여 포획장치로 유인되는 것이다.
소음측정장치(92)는 주변 소음을 측정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제어부(200)로 전송한다.
소음측정장치(92)는 포획장치가 설치된 주변 소음 환경, 낮과 밤의 생활 소음레벨을 고려하여 측정한다.
주변 소음 레벨이 스피커(91)의 출력레벨보다 높으면, 야생동물이 소리를 듣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0)에서는 전송된 소음데이터를 기반으로, 주변 소음의 소음레벨 보다 소정 데시벨 더 높게 출력하도록 스피커(91)의 출력레벨을 제어한다.
주변 소음의 소음레벨보다 더 높은 데시벨의 소리를 출력하여, 야생동물이 소리를 듣고 포획장치로 모이도록 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각을 이용한 동물유인부(90)의 세부구성으로 회전판(93), 회전판모터(94), 그리고 송풍팬(95)이 구비된다.
회전판(93)은 프레임(10) 바닥에 결합되고, 회전판모터(94)에 의해 회전한다.
송풍팬(95)은 회전판(93) 일측에 결합되며, 회전판(93) 상부에는 먹이가 배치된다.
송풍팬(95)은 회전판(93)과 함께 회전하며, 회전판(93)에 배치된 먹이를 향해 바람을 불어준다.
송풍팬(95)을 통해 먹이 냄새를 프레임(10)의 사방으로 확산시켜 야생동물을 프레임(10)으로 유인하는 것이다.
야생동물은 멀리서 먹이 냄새를 맡고, 먹이를 먹기 위해 포획장치로 모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는 야생동물의 청각과 후각을 자극하는 동물유인부(90)를 구비하여 야생동물을 유인함으로써 포획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는 전기충격장치(80)를 더 포함한다.
도 6이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충격장치(80)는 하중감지센서(70)의 상부에 설치된다.
전기충격장치(80)는 하중감지센서(70)에 의해 하중이 감지되면, 전기충격을 부가하여 야생동물을 기절시킨다.
포획된 야생동물의 강한 저항으로 인해 야생동물이 상해를 입거나, 포획장치가 망가지기도 한다.
또한, 야생동물이 포효하는 소리로 인해 주변에 있던 야생동물들이 도망가기도 하고, 인근 민가에 공포감을 불러 일으킴과 동시에 수면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포획된 야생동물에 전기 충격을 주어 기절시킴으로써, 포획된 야생동물이 포효함으로 인한 주변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포획장치는 설치 장소가 감시자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감시자가 현장을 방문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포획여부를 알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제어부(200)의 모니터링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열감지센서(60)로부터 체열데이터가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문(20)이 닫히도록 구동모터(40)를 제어한다.
제어부(200)는 카메라(96)와, 원격송신모듈(300)을 더 포함한다.
카메라(96)는 프레임(10) 내측에 결합되어, 포획된 야생동물을 촬영하여 제어부(200)로 전송한다.
원격송신모듈(300)은 원격에 위치한 관리자서버(40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어부(200)는 포획된 야생동물을 카메라(96)로 촬영하여 원격송신모듈(300)을 통해 원격의 관리자서버(400)로 촬영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므로, 관리자가 직접 현장에 방문하지 않고 포획여부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야생동물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물유인부를 구비하여 야생동물을 유인함으로써 포획률을 높이는 한편, 전기충격장치를 구비하여 포획된 야생동물이 포효함으로 인한 주변 피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포획된 야생동물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원격의 관리자서버(400)로 전송함으로써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야생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 프레임
11 : 망
12 : 문틀
13 : 도르래
14 : 롤러삽입홈
15 : 회전봉지지브라켓
16 : 회전봉
20 : 문
21 : 돌출부
22 : 롤러
30 : 와이어
40 : 구동모터
50 : 체인
60 : 열감지센서
70 : 하중감지센서
80 : 전기충격장치
90 : 동물유인부
91 : 스피커
92 : 소음측정장치
93 : 회전판
94 : 회전판모터
95 : 송풍팬
96 : 카메라
100 : 태양전지
200 : 제어부
300 : 원격송신모듈
400 : 관리자서버

Claims (9)

  1. 야생동물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장치에 있어서,
    포획된 야생동물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망(11)이 측면에 결합된 프레임(10);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측에 결합된 문틀(12);
    상기 문틀(12)의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어 와이어(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도르래(13);
    상기 문틀(12)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롤러(22)의 주행경로를 이루는 롤러삽입홈(14);
    상기 문틀(12)의 후방 양측에 형성되어 회전봉(16)을 지지하는 회전봉지지브라켓(15);
    상기 회전봉지지브라켓(15)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봉(16);
    양측 길이방향으로 돌출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롤러(22)가 구비되어, 상기 문틀(12)의 롤러삽입홈(14)을 따라 승강운동하는 문(20);
    일단은 상기 문(20)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도르래(13)를 경유하여 회전봉(16)에 결합되어 상기 문(20)을 승강시키는 와이어(30);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봉(16)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40);
    상기 회전봉(16)과 구동모터(40)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40)의 회전력을 회전봉(16)에 전달하는 체인(50);
    포획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며,
    야생동물을 포획장치로 유인하는 동물유인부(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물유인부(90)는,
    포획장치 주변에 소리를 출력하여 야생동물을 유인하는 스피커(9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동물유인부(90)는,
    주변 소음을 측정하여 제어부(200)로 전송하는 소음측정장치(9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00)는 소음측정장치(92)에 의해 전송된 주변 소음의 소음레벨 보다 소정 데시벨 더 높게 상기 스피커(91)의 출력레벨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포획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문(20)에 인접하게 프레임(10)의 일측에 결합되되, 야생동물의 체열을 감지하여 제어부(200)로 전송하는 열감지센서(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00)는 열감지센서(60)로부터 체열데이터가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문(20)이 닫히도록 상기 구동모터(4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포획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유인부(90)는,
    상기 프레임(10)의 바닥에 결합된 회전판(93);
    상기 회전판(93)을 회전시키는 회전판모터(94);
    상기 회전판(93)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판(93)과 함께 회전하되, 회전판(93)에 배치된 먹이를 항해 바람을 불어 먹이의 냄새를 프레임(10) 사방으로 전파시키는 송풍팬(95);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물유인부(90)는 먹이의 냄새를 프레임(10)의 사방으로 확산시켜 야생동물을 프레임(10)으로 유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포획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93)에 인접하게 프레임(10) 바닥에 결합되어 먹이에 접근한 야생동물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센서(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중감지센서(70)에 하중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야생동물이 포획장치 내부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문(20)이 닫히도록 상기 구동모터(4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포획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감지센서(70)의 상부에 설치되되, 전기충격을 부가하여 야생동물을 기절시키는 전기충격장치(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00)는 하중감지센서(70)에 의해 하중이 감지되면 상기 전기충격장치(80)에 전기를 인가하여 야생동물을 기절시킴으로써, 포획된 야생동물이 포효함으로 인한 주변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포획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12) 상부에 결합되되, 태양의 이동경로에 따라 방향과 각도가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조정되어 효율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전지(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포획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 내측에 결합되어 포획된 야생동물을 촬영하여 제어부(200)로 전송하는 카메라(96);
    원격에 위치한 관리자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원격송신모듈(3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중감지센서(70)에서 하중이 감지되면, 제어부(200)는 포획된 야생동물을 카메라(96)가 촬영한 후 원격송신모듈(300)을 통해 관리자서버(400)로 촬영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포획장치
KR1020200041992A 2020-04-07 2020-04-07 야생동물 포획장치 KR102391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992A KR102391937B1 (ko) 2020-04-07 2020-04-07 야생동물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992A KR102391937B1 (ko) 2020-04-07 2020-04-07 야생동물 포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667A KR20210124667A (ko) 2021-10-15
KR102391937B1 true KR102391937B1 (ko) 2022-04-28

Family

ID=7815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992A KR102391937B1 (ko) 2020-04-07 2020-04-07 야생동물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9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541A (ko) 2021-11-24 2023-05-31 주식회사 광진기업 인공지능 기반 야생동물 포획 시스템
KR20230076540A (ko) 2021-11-24 2023-05-31 주식회사 광진기업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원격 제어기와 격발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536B2 (ja) * 1992-06-22 2000-09-11 三洋電機株式会社 波長多重記録された光記録媒体の再生装置
JP2002218896A (ja) * 2001-01-24 2002-08-06 Mitsuhiro Fujiwara 害悪動物捕獲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6506062A (ja) 2002-11-14 2006-02-23 エルテーエス ローマン テラピー−ジステーメ アーゲー 揮発性物質の制御放出用ディスペンサー
KR101071875B1 (ko) 2008-12-18 2011-10-12 대한민국 동물 포획장의 개폐문 개폐장치
KR102077622B1 (ko) * 2019-05-08 2020-02-14 성기웅 기능성 야생동물 포획장치
JP6693653B2 (ja) 2016-01-26 2020-05-13 株式会社はなはな 有害動物の忌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536U (ja) * 2001-12-07 2002-06-28 イースタン實業株式会社 小動物捕獲装置
KR101471876B1 (ko) * 2013-03-29 2014-12-12 주식회사 세스코 포획기용 제어장치
KR101608143B1 (ko) 2014-07-25 2016-03-31 권재열 야생동물 포획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536B2 (ja) * 1992-06-22 2000-09-11 三洋電機株式会社 波長多重記録された光記録媒体の再生装置
JP2002218896A (ja) * 2001-01-24 2002-08-06 Mitsuhiro Fujiwara 害悪動物捕獲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6506062A (ja) 2002-11-14 2006-02-23 エルテーエス ローマン テラピー−ジステーメ アーゲー 揮発性物質の制御放出用ディスペンサー
KR101071875B1 (ko) 2008-12-18 2011-10-12 대한민국 동물 포획장의 개폐문 개폐장치
JP6693653B2 (ja) 2016-01-26 2020-05-13 株式会社はなはな 有害動物の忌避装置
KR102077622B1 (ko) * 2019-05-08 2020-02-14 성기웅 기능성 야생동물 포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667A (ko) 202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937B1 (ko) 야생동물 포획장치
US20130081322A1 (en) Humane animal trap
JP7261467B2 (ja) 動物捕獲装置
US200901903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elling Pests
KR200396720Y1 (ko) 조수퇴치 및 해충 포집장치
KR20080098276A (ko) 포충등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JP2009183242A (ja) 蚊の捕獲装置
CN113749067A (zh) 有害生物防治监测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101471874B1 (ko) 포획장치
IL299454A (en) Method of trap and destruction of arthropods
JPH11346629A (ja) 蚊の誘殺器又は蚊の捕獲器
KR102151592B1 (ko) 해충 포획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A2861794A1 (en) Insect traps and methods of trapping insects
KR100924160B1 (ko) 필터가 구비된 포충기
KR102603570B1 (ko) 지주부착형 해충유인 포획장치
KR101857372B1 (ko) 해충 트랩 장치
KR102402878B1 (ko) 해충 유인포집장치
JP2018029626A (ja) 動物の処分方法及び動物の処分装置
KR20200074604A (ko)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
US6671998B1 (en) Rodent removal device
JP2017209057A (ja) 動物の処分装置
JP5597125B2 (ja) ハエ等の飛翔防止及び捕獲用ネット構造
JP5493094B2 (ja) 害獣捕獲装置
KR20230013799A (ko) 소형 포유류 안전 포획장치
KR101471870B1 (ko) 해충 포획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