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2082A - 세라믹 선재 형성 방법,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초전도 선재 - Google Patents

세라믹 선재 형성 방법,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초전도 선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082A
KR20110122082A KR1020110107993A KR20110107993A KR20110122082A KR 20110122082 A KR20110122082 A KR 20110122082A KR 1020110107993 A KR1020110107993 A KR 1020110107993A KR 20110107993 A KR20110107993 A KR 20110107993A KR 20110122082 A KR20110122082 A KR 20110122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vessel
ceramic
heat treatment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3830B1 (ko
Inventor
문승현
이헌주
유상임
하홍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남
Publication of KR20110122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60/026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mprising copper oxide
    • H10N60/0296Processes for depositing or forming copper oxide superconductor layers
    • H10N60/0548Processes for depositing or forming copper oxide superconductor layers by deposition and subsequent treatment, e.g. oxidation of pre-deposited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01B12/02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2/06Films or wires on bases or co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copper oxide or solid solutions thereof with other oxides
    • C04B35/4504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copper oxide or solid solutions thereof with other oxides containing rare earth oxides
    • C04B35/4508Type 1-2-3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27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obtaining fibres
    • C04B35/62231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obtaining fibres based on oxide 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coating;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the vacuum, e.g. vacuum locks
    • C23C14/56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coating;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the vacuum, e.g. vacuum locks for coating elongated subs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58After-treatment
    • C23C14/5806Therm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58After-treatment
    • C23C14/5846Reactive treatment
    • C23C14/5853Oxid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20Permanent 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203Permanent superconducting devices comprising high-Tc ceram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05Alkaline earth oxides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beryllium oxide
    • C04B2235/3215Barium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24Rare earth oxide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scand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81Copper oxides, cuprat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uO or Cu2O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65Aspects relating to heat treatments of ceramic bodies such as green ceramics or pre-sintered ceramics, e.g. burning, sintering or melting processes
    • C04B2235/658Atmosphere during thermal treatment
    • C04B2235/6583Oxygen containing atmosphere, e.g. with changing oxygen pressures
    • C04B2235/6584Oxygen containing atmosphere, e.g. with changing oxygen pressures at an oxygen percentage below that of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tallur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Superconductor Devic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은 선재 기판 상에 세라믹 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박막 증착 유닛; 및 상기 박막 증착 유닛에서 형성된 세라믹 박막을 포함하는 선재 기판을 열처리하기 의한 열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열처리 유닛은, 상기 선재 기판을 연속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고 차례로 인접한 제 1 용기, 제 2 용기 및 제 3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용기, 상기 제 2 용기 및 상기 제 3 용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펌핑되어 독립적인 진공을 유지할 수 있고 서로 독립적으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세라믹 선재 형성 방법,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초전도 선재{METHOD OF FORMING CERAMIC WIRE, SYSTEM OF FORMING THE SAME, AND SUPERCONDUCTOR WI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라믹 선재에 관한 것이다.
초전도체(superconductor)는 낮은 온도에서 전기 저항이 '0'에 가까워져 많은 량의 전류를 흘릴 수 있다. 최근, 이축 배향된 집합조직을 갖는 얇은 완충층 또는 금속 기판 상에 초전도막을 형성하는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Coated Conductor)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상기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는 일반적인 금속선보다 월등히 우수한 단위 면적당 전류 수송 능력을 갖는다. 상기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는 전력 손실이 적은 전력 분야, MRI, 초전도 자기부상열차 및 초전도 추진선박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꺼운 세라믹의 세라믹 선재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념의 실시예들은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은 선재 기판 상에 세라믹 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박막 증착 유닛; 및 상기 박막 증착 유닛에서 형성된 세라믹 박막을 포함하는 선재 기판을 열처리하기 의한 열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열처리 유닛은, 상기 선재 기판을 연속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고 차례로 인접한 제 1 용기, 제 2 용기 및 제 3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용기, 상기 제 2 용기 및 상기 제 3 용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펌핑되어 독립적인 진공을 유지할 수 있고 서로 독립적으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빠른 속도로 세라믹 후막의 세라믹 선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의 실시예들에 따른 세라믹 선재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YBCO의 상태도(phase diagram)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념의 실시예들에 따라 형성된 세라믹 선재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YBCO의 상태도(phase diagram)로, 본 발명의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선재의 형성방법을 나타낸다.
도 5는 YBCO의 상태도(phase diagram)로, 본 발명의 개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선재의 형성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세라믹 선재 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세라믹 선재 형성장치의 막 증착 유닛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릴투릴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세라믹 선제 형성장치의 열처리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형성된 세라믹 선재의 전기적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 세라믹 물질은 대표적으로 초전도체일 수 있다. 그러나, 세라믹 물질이 초전도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세라믹 물질로 초전도체가 예를 들어 설명된다. 또한 초전도체의 예로 YBCO 및 SmBCO가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초전도체는 ReBCO를 포함할 수 있다. ReBCO는 Re1 + xBa2 - xCu3O7 -y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때 0 ≤ x ≤ 0.5, y 일 수 있다. 상기 희토류 원소(Re)는 이트륨(Y) 및 란타늄족 원소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란타늄족 원소 원소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La, Nd, Sm, Eu, Gd, Tb, Dy, Ho, Er, Tm, Yb, Lu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의 실시예들에 따른 세라믹 선재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YBCO의 상태도(phase diagram)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세라믹 선재의 형성방법이 개략적으로 설명된다.
제 1 단계(S10)로, 선재 기판 상에 세라믹 전구체막이 형성된다. 상기 세라믹 전구체막은 결정화가 진행되지 않은 비정질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선재 기판은 2축 배향된 집합조직(biaxially aligned textured structure)을 갖는 모재일 수 있다. 상기 모재는 집합조직을 갖는 금속, 단결정 기판, 또는 금속 기판 상에 제공된 집합조직을 갖는 산화물 버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또는 단결정 기판은, 압연 열처리된 Ni, Ni계 합금(Ni-W, Ni-Cr, Ni-Cr-W등), 은, 은 합금, Ni-은 복합체 등의 입방정계 금속일 수 있다. 상기 산화물 버퍼층은 세라믹 중간층, MgO, LaAlO3, LaMnO3, 또는 SrTiO3 등일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은 상기 모재와 그 상부의 세라믹 물질과의 반응을 방지하고 2축 배향된 집합조직의 결정성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라믹 전구체막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전구체막은, 예를 들면 증발법(co-evaporation), 레이저 어블레이션(laser ablation), CVD, 유기금속 증착법(Metal Organic Deposition: MOD), 또는 졸-겔(sol-gel)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방법으로, 상기 세라믹 전구체막은 증발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법은 희토류 원소(Re) 중의 적어도 하나, 구리(Cu) 및 바륨(Ba)을 담은 그릇들에 전자 빔을 조사하여, 생성되는 금속 증기(metal vapor)를 상기 선재 기판 상에 제공하여 세라믹 전구체막(precursor film)을 증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토류 원소(Re)는 이트륨(Y) 및 란타늄족 원소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란타늄족 원소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La, Nd, Sm, Eu, Gd, Tb, Dy, Ho, Er, Tm, Yb, Lu 등을 포함한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세라믹 전구체막은 유기금속 증착법(Metal Organic Deposition: MOD)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용매에 희토류(Re)-아세테이트, 바륨(Ba)-아세테이트, 구리(Cu)-아세테이트를 용해시키고, 증발 증류 및 재용해-중합(Refluxing) 공정을 거쳐서, 희토류 원소(Re) 중의 적어도 하나, 구리(Cu) 및 바륨(Ba)을 포함하는 금속 전구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선재 기판 상에 상기 금속 전구용액을 도포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제 1 단계(S10)에서 형성된 상기 세라믹 전구체막인 ReBCO는 Re2BaCuO5(이하, "211"), ReBa3Cu2O6(이하, "132") 및 BaCu2O2(이하, "012")로 분해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012"는 저온에서 고체 상태이다. 즉, ReBCO의 분해 과정에서 "012"의 고체 상태가 나타난다. "012"은 해칭된 영역들에서 액체 상태를 갖는다. 회색 영역(gray area)은 열역학적으로 안정된 ReBCO를 갖는다.
제 2 단계(S20)로, 상기 세라믹 전구체 막이 증착된 상기 선재 기판이 열처리된다. ReBCO의 분해 성분 중 "012"이 액체 상태를 갖도록, 산소 분압 및/또는 열처리 온도가 조절된다.(S21) 이때, ReBCO는 액체 상태의 "012" 내에 "211" 및 "132"가 녹아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도 2의 영역 A) 산소 분압 및/또는 열처리 온도가 조절되어, 경계선 I를 지남에 따라, "012" 액체 상태로부터 안정된 에피택시 ReBCO 막이 형성될 수 있다.(S22) 보다 구체적으로, 액체 상태의 "012" 내에 녹아 있던 "211" 및 "132"으로부터, 상기 선재 기판의 표면 상에 핵이 생성되고, 이로부터 ReBCO 막이 에피 성장할 수 있다.(도 2의 영역 B)
도 3을 참조하여, 이와 같은 방법으로 버퍼층(11)을 갖는 선재 기판(10) 상에 형성된 ReBCO 막(12)은, 상기 버퍼층(11)에 인접하고 초전도상을 갖는 제 1 부분(13)과, 상기 제 1 부분(13) 상에 초전도상과 다른 상을 갖는 제 2 부분(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13)에서 희토류: 바륨: 구리의 비는 1: 2: 3이고, 상기 제 2 부분(14)에서 희토류: 바륨: 구리의 비는 1: 2: 3과 다를 수 있다. 왜냐하면, ReBCO 막의 하부에서 상기 액체 상태의 "012"에 녹아 있던 "211" 및 "132"으로부터 ReBCO 막이 에피 성장되는 동안, 상기 ReBCO 에피 박막의 상부에는 여전히 세라믹 전구체가 잔존한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형성된 ReBCO 막의 상부 표면은 상기 제 2 부분(14)으로, 상기 세라믹 전구체의 흔적인 비화학량론적인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14)은 상기 제 1 부분(13)과 다른 결정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13)은 Re2O3 알갱이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ReBCO 막 형성 방법에서, 상기 세라믹 전구체막은 희토류: 바륨: 구리의 비가 1: x: 3(0 < x < 2), 예를 들면 1: 1.5: 3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 2: 3의 비를 갖는 ReBCO 전구체는 공기 중에서 분해되는 불안정(unstable) 구조인 반면, 예를 들면 1: 1.5: 3의 비를 갖는 ReBCO 전구체는 공기 중에서도 안정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때문에, 1: 2: 3의 비를 갖는 ReBCO 전구체막은 열처리 공정 전까지 진공 하에 있어야 하지만, 1: 1.5: 3의 비를 갖는 ReBCO 전구체막은 공기 중에 노출될 수 있다. 1: x: 3(0 < x < 2)의 비를 갖는 ReBCO 전구체막은 전술한 열처리 공정에 의하여, 희토류: 바륨: 구리의 비가 1: 2: 3인 제 1 부분(13)과, 상기 제 1 부분(13) 상에 희토류: 바륨: 구리의 비가 1: 2: 3과는 다른 상기 제 2 부분(14)을 포함하는 ReBCO 초전도막으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부분(14)은 고체 상태의 "012"를 포함할 수 있다. "211" 및 "132"는 상기 제 1 부분(13)의 에피 성장 동안 소모되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세라믹 선재의 형성방법이, 도 2의 YBCO 상태도 상의 다양한 열처리 경로의 예들을 고려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4 및 5는 YBCO의 상태도(phase diagram)로, 본 발명의 개념의 실시예들에 따른 세라믹 선재의 형성방법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선재의 형성방법이 설명된다.
제 1 단계(S10)로, 전술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선재 기판 상에 상기 세라믹 전구체막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단계(S10)에서 형성된 상기 세라믹 전구체막인 ReBCO는 Re2BaCuO5(이하, "211"), ReBa3Cu2O6(이하, "132") 및 BaCu2O2(이하, "012")로 분해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012"는 저온에서 고체 상태이다. 즉, ReBCO의 분해 과정에서 "012"의 고체 상태가 나타난다.
제 2 단계(S20)로, 상기 세라믹 전구체막이 증착된 상기 선재 기판이 열처리된다. 상기 열처리 공정은, 도 4의 상태도의 경로를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경로 1을 따른 열처리 공정은 상대적으로 낮은 산소 분압(예를 들면, 1×10-5 ~ 1×10-4 Torr) 하에서 수행된다. 열처리 온도는 상온에서 대략 800℃으로 증가될 수 있다.
ReBCO의 분해 성분 중 "012"이 액체 상태를 갖도록, 도 4의 상태도의 경로 2를 따라 산소 분압 및/또는 열처리 온도가 조절된다.(S21) 상기 산소 분압은, 예를 들면 1×10-2 ~ 3×10-1 Torr로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온도는, 예를 들면 800℃ 이상일 수 있다. 이때, ReBCO는 액체 상태의 "012" 내에 "211" 및 "132"가 녹아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의 상태도의 경로 3을 따라 산소 분압 및/또는 열처리 온도가 조절되어, 경계선 I를 지남에 따라 "012" 액체 상태로부터 안정된 에피택시 ReBCO 막이 형성될 수 있다.(S22) 상기 산소 분압은, 예를 들면 5×10-2 ~ 3×10-1 Torr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온도는 800℃ 이하의 온도, 예를 들면 상온으로 감소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체 상태의 "012" 내에 녹아 있던 "211" 및 "132"으로부터, 상기 선재 기판의 표면 상에 핵이 생성되고, 이로부터 ReBCO 막이 에피 성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선재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선재의 형성방법이 설명된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하여, 전술한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기술적 특징들에 동일한 설명 및 동일한 기능을 하는 기술적 특징들은 생략된다.
제 1 단계(10)로, 전술한 일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선재 기판 상에 세라믹 전구체막이 형성된다. 제 2 단계(S20)로, 상기 세라믹 전구체막이 증착된 상기 선재 기판이 열처리된다. 상기 열처리 공정은 도 5의 상태도의 경로를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경로 1을 따른 열처리는, 예를 들면 5×10-2 ~ 3×10-1 Torr의 산소 분압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열처리 온도는 상온에서 대략 800℃ 이상으로 증가될 수 있다. 경로 1을 따라 산소 분압 및/또는 열처리 온도가 조절되어, "012"이 액체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ReBCO는 액체 상태의 "012" 내에 "211" 및 "132"가 녹아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S21)
도 5의 상태도의 경로 2를 따라 산소 분압 및/또는 열처리 온도가 조절되어 경계선 I를 지남에 따라 안정된 ReBCO 막이 형성될 수 있다.(S22) 상기 산소 분압은, 예를 들면 5×10-2 ~ 3×10-1 Torr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온도는 800℃ 이하의 온도, 예를 들면 상온으로 감소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체 상태의 "012" 내에 녹아 있던 "211" 및 "132"으로부터, 상기 선재 기판의 표면 상에 핵이 생성되고, 이로부터 ReBCO 막이 에피 성장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ReBCO 막의 성장 과정은 액상 에피 성장법(liquid Phase Epitaxy: LPE)과 유사하다. 한편, 도 2, 도 4 및 도 5는 YBCO의 상태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구체적인 산소 분압 및 열처리 온도는 희토류 원소(Re)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의 일 예가 개략적으로 설명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일 예이고, 본 발명의 개념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세라믹 선재 형성장치는 선재 기판 상에 세라믹 전구체막을 형성하기 위한 박막 증착 유닛(100), 상기 박막 증착 유닛(100)에서 형성된 세라믹 전구체막을 포함하는 선재 기판을 열처리하기 의한 열처리 유닛(200) 및 선재 공급/회수 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 증착 유닛(100), 상기 열처리 유닛(200) 및 상기 선재 공급/회수 유닛(300) 사이에 상기 선재 기판이 통과하고 진공을 유지할 수 있는 진공 파이프(20)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세라믹 선재 형성장치의 박막 증착 유닛(1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박막 증착 유닛(100)은, 공정 챔버(110), 릴투릴(reel to reel) 장치(120), 및 증착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정 챔버(110)는 상기 선재 기판(10)에 상기 세라믹 전구체막을 형성하는 증착 공정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공정 챔버(110)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측벽(111) 및 제 2 측벽(11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측벽(111)에 상기 선재 공급/회수 유닛(300)과 연결되는 인입부(113)가 제공되고, 상기 제 2 측벽(112)에 상기 열처리 유닛(200)에 연결되는 인출부(114)가 제공된다. 상기 선재 기판(10)은 상기 선재 공급/회수 유닛(300)으로부터 상기 인입부(113)를 통해 상기 공정 챔버(110) 안으로 인입되고, 상기 인출부(114)를 통해 상기 열처리 유닛(200)으로 인입된다.
상기 증착부재(130)는 상기 릴투릴 장치(120)의 아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선재 기판(10)의 표면에 상기 세라믹 물질의 증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증착부재(130)는 증발법(co-evaporation)을 이용하여, 상기 선재 기판(10) 상에 상기 세라믹 전구체막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증착부재(130)는, 상기 선재 기판(10) 하부에, 전자빔에 의하여 금속 증기를 제공하는 금속 증기 소스들(131, 132,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증기 소스들은 희토류를 위한 소스, 바륨을 위한 소스 및 구리를 위한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릴투릴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릴투릴 장치(120)는 제 1 릴 부재(121) 및 제 2 릴부재(122)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릴부재(121) 및 제 2 릴부재(122)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한다. 상기 증착부재(130)는 상기 제 1 릴부재(121)와 상기 제 2 릴부재(122)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선재 기판의 아래에 위치한다. 상기 제 1 릴부재(121) 및 제 2 릴부재(122)는 상기 세라믹 전구체막의 증착이 이루어지는 영역에서 상기 선재 기판(10)을 멀티턴(multiturn)시킨다. 즉, 상기 선재 기판(10)은 상기 제 1 릴부재(121)와 상기 제 2 릴부재(122) 사이를 왕복하며 상기 제 1 릴부재(121) 및 상기 제 2 릴부재(122)에 턴된다. 상기 제 1 릴부재(121)는 상기 공정 챔버(110)의 제 1 측벽(111)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상기 제 2 릴부재(122)는 상기 공정 챔버(110)의 제 2 측벽(112)에 인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릴부재(121) 및 상기 제 2 릴부재(122)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릴부재(121) 및 상기 제 2 릴부재(122)는 상기 선재 기판(10)의 왕복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 1 릴부재(121) 및 상기 제 2 릴부재(122)는 각각 상기 제 1 릴부재(121) 및 상기 제 2 릴부재(122) 의 연장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릴들을 포함한다. 상기 선재 기판(10)는 각각의 릴에서 한번 씩 턴한다. 각각의 릴은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선재 기판(10)과의 마찰력에 의해서 회전된다.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제 2 릴부재(122)는 상기 선재 기판(10)의 멀티턴을 위해 상기 제 1 릴부재(121)와 약간 어긋나게 배치된다. 상기 선재 기판(10)은 상기 제 1 릴부재(121) 및 상기 제 2 릴부재(122)를 오가면서, 상기 제 1 릴부재 및 상기 제 2 릴부재(122)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세라믹 선재 형성장치의 열처리 유닛(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열처리 유닛(200)은 상기 선재 기판(10)을 연속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고 차례로 인접한 제 1 용기(210), 제 2 용기(220) 및 제 3 용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용기(210) 및 상기 제 3 용기(230)는 서로 이격된다. 상기 제 2 용기(220)의 중심 부분은, 상기 제 1 용기(210) 및 상기 제 3 용기(230)가 서로 이격된 공간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2 용기(220)는 상기 제 1 용기(210) 및 상기 제 3 용기(230) 각각의 일부들을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용기(210), 상기 제 2 용기(220) 및 상기 제 3 용기(230)는 실린더형의 석영관(quartz)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용기(210)는 상기 박막 증착 유닛(100)의 상기 인출부(11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용기 및 상기 제 3 용기는 그 양단에 상기 선재 기판(10)이 통과할 수 있는 인입부들 및 인출부들(211, 212, 231, 232)을 포함할 수있다. 상기 선재 기판(10)은, 상기 제 1 용기의 제 1 인입부(211)로 인입되어 상기 제 1 용기의 제 1 인출부(212)로 인출되고, 상기 제 2 용기의 중심 부분을 통과하고, 상기 제 3 용기의 제 2 인입부(231)로 인입되어 상기 제 3 용기의 제 2 인출부(232)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용기(210), 상기 제 2 용기(220) 및 상기 제 3 용기(230)는 독립적인 진공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용기(210), 상기 제 2 용기(220) 및 상기 제 3 용기(230)는 각각 별도의 펌핑 포트들(214, 224, 234)을 가질 수 있다. 산소공급 라인들(215, 225, 235)을 통하여 산소가 공급되어, 상기 제 1 용기(210), 상기 제 2 용기(220) 및 상기 제 3 용기(230) 내의 산소 분압이 서로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용기(210) 내의 산소 분압은 상기 제 3 용기(230) 내의 산소 분압 보다 낮고, 상기 제 2 용기(220) 내의 산소 분압은 상기 제 1 용기(210) 내와 상기 제 3 용기(230) 내의 산소 분압의 사이로 유지되도록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용기(210)에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제 3 용기(230)에 인접한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제 2 용기(220) 내의 산소 분압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용기(210), 상기 제 2 용기(220) 및 상기 제 3 용기(230)는 이들을 둘러싸는 열처리로 내에 제공된다. 상기 제 1 용기(210) 및 상기 제 3 용기(230)가 이격된 부분이 상기 열처리로의 중심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용기(220)의 중심 부근의 온도는 상기 제 1 용기(210) 및 상기 제 3 용기(230) 내의 온도 보다 높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용기(210) 및 상기 제 3 용기(230) 내의 온도는 상기 제 2 용기(220)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열처리 과정이 도 9에서 전술한 열처리 유닛(200)과 함께 설명된다. 상기 경로 1의 처리 과정은 상기 선재 기판(10)이 상기 열처리 유닛(200)의 상기 제 1 용기(210)를 통과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 1 용기(210)는 상대적으로 낮은 산소 분압(예를 들면, 1×10-5 ~ 1×10-4 Torr)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용기(210) 내의 온도는 상기 제 1 인입부(211)으로부터 증가되어 상기 제 1 인출부(212)에서 대략 800℃가 될 수 있다. 상기 경로 2의 처리 과정은 상기 선재 기판(10)이 상기 열처리 유닛(200)의 상기 제 2 용기(220)의 중심 부분을 통과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 2 용기(220)은, 예를 들면 1×10-2 ~ 3×10-1 Torr의 산소 분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용기(210)에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제 3 용기(230)에 인접한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제 2 용기(220) 내의 산소 분압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용기(220)의 중심 부분의 온도는 대략 80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경로 3의 처리 과정은 상기 선재 기판(10)이 상기 열처리 유닛(200)의 상기 제 3 용기(230)를 통과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 3 용기(230)는, 예를 들면 5×10-2 ~ 3×10-1 Torr의 산소 분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3 용기(230) 내의 온도는 상기 제 2 인입부(221)의 대략 800℃로부터 상기 제 2 인출부(222)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처리 과정이 도 9에서 전술한 열처리 유닛(200)과 함께 설명된다. 상기 제 1 용기(210), 상기 제 2 용기(220) 및 상기 제 3 용기(230)는 독립적인 진공을 유지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용기(210), 상기 제 2 용기(220) 및 상기 제 3 용기(230)는 하나의 펌핑 포트에 의하여 진공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1 용기(210), 상기 제 2 용기(220) 및 상기 제 3 용기(230)는 하나의 실린더형의 용기일 수 있다.
상기 경로 1의 처리 과정은 상기 선재 기판(10)이 상기 열처리 유닛(200)의 인입부로부터 중심 부분을 향하는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경로 2의 처리 과정은 상기 선재 기판(10)이 상기 열처리 유닛(200)의 중심 부분에서 인출부로 향하는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유닛(200)은, 예를 들면 1×10-2 ~ 3×10-1 Torr의 산소 분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유닛(200)의 중심 부분의 온도는 대략 80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유닛(200) 내의 온도는 상기 중심 부분으로부터 상기 인입부 및 상기 인출부로 향할수록 낮아질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는, 상기 박막 증착 유닛(100), 상기 열처리 유닛(200) 및 상기 선재 공급/회수 유닛(300)이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선재 기판(10)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것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먼저 상기 선재 공급/회수 유닛이 상기 박막 증착 유닛(100) 및 상기 열처리 유닛(200) 각각에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선재 기판(10)을 감은 릴이 상기 박막 증착 유닛(100)의 상기 선재 공급/회수 유닛에 장착된다. 상기 박막 증착 유닛(100)에서, 상기 선재 기판(10) 상에 상기 세라믹 전구체막이 형성된다. 상기 박막 증착 유닛(100)은 전술한 예와 다른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박막 증착 유닛(100)은 유기금속 증착(Metal Organic Deposition: MOD)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다음, 상기 세라믹 전구체막이 형성된 상기 선재 기판(10)을 감은 상기 릴, 상기 박막 증착 유닛(100)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세라믹 전구체막이 형성된 선재 기판(10)은 상기 열처리 유닛(2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세라믹 전구체막이 형성된 상기 선재 기판(10)은 열처리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형성된 세라믹 선재의 전기적 구조적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예를 들어 형성된 세라믹 선재는 SmBa2Cu3O7-x이었고, 그 두께는 1.5㎛이었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형성된 SmBa2Cu3O7 -x 세라믹 선재의 임계온도(Tc)가 94.5K인 것을 보여주었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형성된 SmBa2Cu3O7-x 세라믹 선재의 전기적 특성을 보여준다. 측정에 사용된 세라믹 선재는 SmBa2Cu3O7-x 상에 Ag가 덮힌 구조로, 410A 정도의 임계전류(Ic)를 보였고, 임계전류 밀도는 2.27MA/cm2이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형성된 SmBa2Cu3O7-x 세라믹 선재의 결정성을 나타낸다. 우수한 결정 특성을 보였다.
100: 박막 증착 유닛
200: 열처리 유닛
300: 공급/회수 유닛

Claims (4)

  1. 선재 기판 상에 세라믹 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박막 증착 유닛; 및
    상기 박막 증착 유닛에서 형성된 세라믹 박막을 포함하는 선재 기판을 열처리하기 의한 열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열처리 유닛은, 상기 선재 기판을 연속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고 차례로 인접한 제 1 용기, 제 2 용기 및 제 3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용기, 상기 제 2 용기 및 상기 제 3 용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펌핑되어 독립적인 진공을 유지할 수 있고 서로 독립적으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기 내의 산소 분압은 상기 제 3 용기 내의 산소 분압 보다 낮고, 상기 제 2 용기 내의 산소 분압은 상기 제 1 용기 내와 상기 제 3 용기 내의 산소 분압의 사이로 유지되는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 내의 온도는 상기 제 1 용기 및 상기 제 3 용기 내의 온도 보다 높은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기 및 상기 제 3 용기 내의 온도는 상기 제 2 용기로부터 떨어질수록 낮아지는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
KR1020110107993A 2010-02-05 2011-10-21 세라믹 선재 형성 방법,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초전도 선재 KR101123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151 2010-02-05
KR20100011151 2010-02-0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924A Division KR101158747B1 (ko) 2010-02-05 2010-08-03 세라믹 선재 형성 방법,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초전도 선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082A true KR20110122082A (ko) 2011-11-09
KR101123830B1 KR101123830B1 (ko) 2012-03-16

Family

ID=4492885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924A KR101158747B1 (ko) 2010-02-05 2010-08-03 세라믹 선재 형성 방법,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초전도 선재
KR1020110107993A KR101123830B1 (ko) 2010-02-05 2011-10-21 세라믹 선재 형성 방법,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초전도 선재
KR1020110107992A KR20110122081A (ko) 2010-02-05 2011-10-21 세라믹 선재 형성 방법,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초전도 선재
KR1020120066918A KR101183158B1 (ko) 2010-02-05 2012-06-21 세라믹 선재 형성 방법,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초전도 선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924A KR101158747B1 (ko) 2010-02-05 2010-08-03 세라믹 선재 형성 방법,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초전도 선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992A KR20110122081A (ko) 2010-02-05 2011-10-21 세라믹 선재 형성 방법,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초전도 선재
KR1020120066918A KR101183158B1 (ko) 2010-02-05 2012-06-21 세라믹 선재 형성 방법,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초전도 선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62477B2 (ko)
EP (1) EP2532013B1 (ko)
JP (1) JP5671556B2 (ko)
KR (4) KR101158747B1 (ko)
CN (1) CN102884594B (ko)
ES (1) ES2567462T3 (ko)
RU (1) RU2521827C2 (ko)
WO (1) WO20110966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831B1 (ko) * 2013-11-08 2015-01-29 주식회사 서남 세라믹 선재의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라믹 선재의 제조방법
KR101487834B1 (ko) * 2013-11-08 2015-02-03 주식회사 서남 세라믹 선재의 제조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05336B1 (en) * 2012-01-17 2018-05-23 Sunam Co., Ltd. Superconducting wi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1456152B1 (ko) * 2012-08-06 2014-11-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초전도체 및 초전도체 형성방법
KR101458513B1 (ko) 2012-08-29 2014-11-07 주식회사 서남 초전도 선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초전도 선재
KR20160006829A (ko) 2014-07-09 2016-01-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초전도체, 초전도 선재, 및 초전도체 형성방법
RU2641099C2 (ru) * 2016-06-17 2018-01-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М.В. Ломоносова" (МГУ) Высокотемпературная сверхпроводящая пленка на кристаллической кварцевой подложке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KR101719266B1 (ko) * 2016-06-27 2017-04-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초전도체, 초전도 선재, 및 초전도체 형성방법
WO2019107597A1 (ko) * 2017-11-29 2019-06-06 주식회사 서남 세라믹 선재의 제조방법
CN109112483B (zh) * 2018-08-03 2019-10-08 上海交通大学 一种高速率生长高性能稀土钡铜氧高温超导膜的热处理方法
CN110629177A (zh) * 2019-09-18 2019-12-31 上海超导科技股份有限公司 适用于生产二代高温超导带材的工艺方法
CN112575308B (zh) * 2019-09-29 2023-03-2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能在真空下带钢高效镀膜的真空镀膜装置
US11910726B2 (en) * 2021-02-26 2024-02-20 Metox International, Inc. Multi-stack susceptor reactor for high-throughput superconductor manufacturing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1823A (en) * 1987-06-12 1991-04-30 At&T Bell Laboratories Fabrication of oxide superconductors by melt growth method
US5157017A (en) 1987-06-12 1992-10-20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of fabricating a superconductive body
JPH01274320A (ja) * 1988-04-26 1989-11-02 Nippon Sheet Glass Co Ltd セラミックス超電導線の製造方法
US5270296A (en) * 1988-12-29 1993-12-14 Troy Investments Inc. High critical 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with radially grown crystallites
ATE138500T1 (de) * 1991-02-14 1996-06-15 Vacuumschmelze Gmbh Oxidkeramischer supraleitender verbundkörp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H0623459A (ja) 1992-07-08 1994-02-01 Sumitomo Electric Ind Ltd ばね成形性に優れた鋼線の製造方法。
JPH06112713A (ja) 1992-08-21 1994-04-22 Conductus Inc 基板の対向する両面上に高温超伝導体膜を作製する方法
US5661114A (en) * 1993-04-01 1997-08-26 American Superconductor Corporation Process of annealing BSCCO-2223 superconductors
RU2232448C2 (ru) * 1997-06-18 2004-07-10 Массачусетс Инститьют Оф Текнолодж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ленки оксидного сверхпроводника и оксидное сверхпроводниковое изделие
KR100249782B1 (ko) 1997-11-20 2000-03-15 정선종 입방정 yba2cu3ox 박막을 장벽층으로 사용한 초전도 접합의 제조방법
US6974501B1 (en) * 1999-11-18 2005-12-13 American Superconductor Corporation Multi-layer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0336940B1 (ko) * 2000-08-02 2002-05-17 장인순 (100)<001>집합조직을 갖는 니켈판 위에화학증착법으로 에피택시알(epitaxial)하게NiO박막을 제조한 Ni/NiO 복합체 및 이의제조방법과 장치
CN100367525C (zh) 2001-07-31 2008-02-06 美国超导体公司 用于制造超导体材料的方法、系统和反应器
JP3851948B2 (ja) 2002-05-10 2006-11-29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超電導体の製造方法
US8182862B2 (en) * 2003-06-05 2012-05-22 Superpower Inc. Ion beam-assisted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 (HTS) deposition for thick film tape
US20050065035A1 (en) * 2003-06-10 2005-03-24 Rupich Martin W. Superconductor methods and reactors
JP4698937B2 (ja) 2003-06-12 2011-06-08 トピー工業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8153281B2 (en) * 2003-06-23 2012-04-10 Superpower, Inc.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process and apparatus to produce multi-layer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HTS) coated tape
US20050223984A1 (en) * 2004-04-08 2005-10-13 Hee-Gyoun Lee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apparatus usable in the manufacture of superconducting conductors
KR100669489B1 (ko) 2004-06-11 2007-01-16 한국전기연구원 박막 테이프 제조장치
US7582328B2 (en) 2004-08-20 2009-09-01 American Superconductor Corporation Dropwise deposition of a patterned oxide superconductor
KR100665587B1 (ko) 2005-05-12 2007-01-09 학교법인 한국산업기술대학 유기금속전구용액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유기금속증착법에 의한 박막형 산화물 초전도체 제조방법
JP2007220467A (ja) * 2006-02-16 2007-08-30 Sumitomo Electric Ind Ltd 超電導薄膜材料の製造方法、超電導機器、および超電導薄膜材料
KR100844276B1 (ko) 2006-11-24 2008-07-07 주식회사 디엠에스 롤 증착 장치
RU2386732C1 (ru) * 2008-12-18 2010-04-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уперОкс"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вухстороннего сверхпроводника второго поколения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831B1 (ko) * 2013-11-08 2015-01-29 주식회사 서남 세라믹 선재의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라믹 선재의 제조방법
KR101487834B1 (ko) * 2013-11-08 2015-02-03 주식회사 서남 세라믹 선재의 제조설비
WO2015068944A1 (ko) * 2013-11-08 2015-05-14 주식회사 서남 세라믹 선재의 제조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62477B2 (en) 2016-06-07
RU2012134904A (ru) 2014-03-10
KR20120079456A (ko) 2012-07-12
EP2532013B1 (en) 2016-01-13
CN102884594A (zh) 2013-01-16
JP5671556B2 (ja) 2015-02-18
KR101158747B1 (ko) 2012-06-22
KR101183158B1 (ko) 2012-09-17
KR20110091422A (ko) 2011-08-11
RU2521827C2 (ru) 2014-07-10
KR101123830B1 (ko) 2012-03-16
KR20110122081A (ko) 2011-11-09
WO2011096624A1 (en) 2011-08-11
CN102884594B (zh) 2016-06-08
ES2567462T3 (es) 2016-04-22
EP2532013A1 (en) 2012-12-12
EP2532013A4 (en) 2013-09-04
US20120329658A1 (en) 2012-12-27
JP2013519201A (ja)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158B1 (ko) 세라믹 선재 형성 방법,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초전도 선재
KR101429553B1 (ko) 초전도 선재 및 초전도 선재 형성방법
JP4713012B2 (ja) テープ状酸化物超電導体
JP2011165568A (ja) 酸化物超電導線材及び酸化物超電導線材の製造方法
JP2003034527A (ja) 厚膜テープ状酸化物超電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19266B1 (ko) 초전도체, 초전도 선재, 및 초전도체 형성방법
KR102152927B1 (ko) 초전도 선재 형성 방법
US9634223B2 (en) Superconductor, superconducting wi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uperconductor
KR101456152B1 (ko) 초전도체 및 초전도체 형성방법
KR20130009014A (ko) 초전도 선재 형성 방법
JP2004155647A (ja) 高温超伝導層の製造方法
WO2002093590A1 (fr) Supraconducteur oxyde sous forme de ruban et son mode de fabrication
JP2010238633A (ja) 希土類系厚膜酸化物超電導線材の製造方法
JP2017004847A (ja) 酸化物超電導線材の製造方法
JP2013109916A (ja) 酸化物超電導線材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