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152B1 - 초전도체 및 초전도체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초전도체 및 초전도체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152B1
KR101456152B1 KR1020120085768A KR20120085768A KR101456152B1 KR 101456152 B1 KR101456152 B1 KR 101456152B1 KR 1020120085768 A KR1020120085768 A KR 1020120085768A KR 20120085768 A KR20120085768 A KR 20120085768A KR 101456152 B1 KR101456152 B1 KR 101456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rare earth
barium
copp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9558A (ko
Inventor
유상임
이정우
최순미
문승현
이헌주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서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서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85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152B1/ko
Priority to US14/420,113 priority patent/US20150228379A1/en
Priority to RU2015104312/28A priority patent/RU2598150C1/ru
Priority to PCT/KR2012/008132 priority patent/WO2014025088A1/en
Priority to JP2015526454A priority patent/JP2015532630A/ja
Publication of KR20140019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60/85Superconducting a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01B12/02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2/06Films or wires on bases or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08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heat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60/026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mprising copper oxi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60/026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mprising copper oxide
    • H10N60/0296Processes for depositing or forming copper oxide superconductor layers
    • H10N60/0548Processes for depositing or forming copper oxide superconductor layers by deposition and subsequent treatment, e.g. oxidation of pre-deposited materia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60/85Superconducting active materials
    • H10N60/855Ceramic superconductors
    • H10N60/857Ceramic superconductors comprising copper 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Superconductor Devic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초전도막 형성방법이 기술된다. 상기 방법은 희토류, 바륨 및 구리를 포함하는 비정질의 희토류-구리-바륨 산화물을 제공하고, 그리고 비정질의 희토류-구리-바륨 산화물을 열처리하여 분산된 희토류 산화물 알갱이를 함유하는 초전도체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초전도체 및 초전도체 형성방법{SUPERCONDUCTO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초전도체에 관한 것이다.
초전도체(superconductor)는 낮은 온도에서 전기 저항이 사라져 많은 양의 전류를 흘릴 수 있다. 최근, 이축 배향된 집합조직을 갖는 얇은 완충층 또는 금속 기판 상에 초전도막을 형성하는 2세대 고온초전도체(Coated Conductor)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2세대 고온초전도체는 여러 가지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세대 고온초전도체를 이용한 선재는 일반적인 금속선 보다 월등히 우수한 단위 면적당 전류 수송 능력을 갖는다. 2세대 고온초전도체를 이용한 선재는 전력기기의 전력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MRI, 초전도 자기부상열차 및 초전도 추진선박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자속 고정점들을 함유하는 초전도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자속 고정점들을 함유하는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자속 고정점들을 함유하는 초전도체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초전도체의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기판상에 희토류, 바륨 및 구리를 포함하는 희토류-구리-바륨 산화물을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희토류-구리-바륨 산화물을 열처리하여, 상기 희토류-구리-바륨 산화물의 내부에 분산된 희토류 산화물의 알갱이를 함유하는 초전도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희토류-구리-바륨 산화물을 열처리하는 것은: 10-2토르 이하의 제1 산소분압 하에서 상기 기판을 850도 이상의 제1 온도까지 가열하여 상기 희토류-구리-바륨 산화물이 비정질 상태를 갖도록 하는 제1 열처리 단계; 상기 제1 온도 하에서 상기 제1 산소분압보다 높은 상기 10-2토르 이상의 제2 산소분압으로 열처리하여, 상기 희토류-구리-바륨 산화물이 액체 상태를 갖도록 하는 제2 열처리 단계; 및 상기 제2 산소분압 하에서 상기 기판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상기 850도 이하의 제2 온도로 감소시켜, 단결정 구조의 희토류-구리-바륨 산화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 박막을 제공한다. 상기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 박막은 단결정 구조의 희토류-바륨- 구리 산화물; 및 상기 단결정 구조의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 내에 배치되어 상기 단결정 구조의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의 초전도체 내에서 자속 고정점들로 작용하는 희토류 산화물 알갱이 및 바륨-구리 산화물 알갱이를 포함한다.
상기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 박막은 상기 단결정 구조의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 내에 분산되어 함유된 구리 산화물의 알갱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토류 산화물 알갱이들은 길쭉한 모양을 갖는다.
우수한 결정성을 갖는 초전도체를 보다 빠른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초전도체 내부에 자속고정점들(pinning centers)로 기능할 수 있는 희토류 산화물의 알갱이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GdBCO의 상태도(phase diagram)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초전도막의 형성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형성된 에피택시 초전도막의 TEM 이미지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형성된 에피택시 초전도막의 XRD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초전도막 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초전도막 형성장치의 막 증착 유닛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릴투릴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초전도막 형성장치의 열처리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초전도체로 GdBCO가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GdBCO의 상태도(phase diagram)이다. 제1 영역(R1)은 대략 10-2 Torr 이하의 산소분압 및 850℃ 이하의 온도에서의 상태일 수 있다. 제2 영역(R2)은 대략 10-1 ~ 10-2 Torr 이하의 산소분압 및 850℃ 이상의 온도에서의 상태일 수 있다. 제3 영역(R3)은 대략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 보다 높은 산소분압이고, 보다 낮은 온도에서의 상태일 수 있다.
제1 영역(R1)에서, GdBCO는 Gd2O3, GdBa6Cu3Oy 및 액상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액상은 Ba, Cu 및 O가 주성분이고 Gd가 녹아 들어간 액체 상태이다. 제2 영역(R2)에서, GdBCO는 Gd2O3 및 액상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3 영역(R3)에서, GdBCO는 에피택시 GdBCO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개념의 실시예들에 따른 초전도막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초전도막의 형성방법이 개략적으로 설명된다.
도 2를 참조하여, 기판(10)이 제공된다. 기판(10)은 2축 배향된 집합조직(biaxially aligned textured structure)을 가질 수 있다. 기판(10)은 예를 들어, 금속 기판일 수 있다. 금속 기판은, 압연 열처리된 Ni, Ni계 합금(Ni-W, Ni-Cr, Ni-Cr-W 등), 스테인레스, 은, 은 합금, Ni-은 복합체 등의 입방정계 금속일 수 있다. 기판(10)은 판상 또는 선재를 위한 테이프 형상일 수 있다.
기판(10) 상에 IBAD 층(20)이 형성될 수 있다. IBAD 층(20)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확산 방지막(예를 들면, Al2O3), 씨드막(예를 들면, Y2O3), 및 MgO 막을 포함할 수 있다. IBAD 층(20)은 IBAD 방법으로 형성된다. MgO 막 상에 에피택시 성장된 호모 에피 MgO(homoepi-MgO) 막이 더 형성될 수 있다. IBAD 층(20) 상에 버퍼층(30)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30)은 LaMnO3, LaAlO3, CeO2 또는 SrTiO3 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30)은 스퍼터링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IBAD 층(20) 및 버퍼층(30)은 기판과 그 상부의 초전도 물질과의 반응을 방지하고 2축 배향된 집합조직의 결정성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버퍼층(30) 상에 초전도 전구체 막(precursor film, 40)이 형성된다. 초전도 전구체 막(40)은, 예를 들어 희토류 원소(RE) 중의 적어도 하나(예를 들어, Gd), 구리(Cu) 및 바륨(Ba)을 포함할 수 있다.
초전도 전구체 막(40)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초전도 전구체 막(40)은, 예를 들면 증발법(reactive co-evaporation), PLD, 스퍼터링, CVD, 유기금속 증착법(Metal Organic Deposition: MOD) 또는 졸-겔(sol-gel)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초전도 전구체 막(40)의 형성은 전술한 특정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방법으로, 초전도 전구체 막(40)은 증발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증발법은 희토류 원소(RE) 중의 적어도 하나, 구리(Cu) 및 바륨(Ba)을 담은 그릇들에 전자 빔을 조사하여, 생성되는 금속 증기(metal vapor)를 기판 상에 제공하여 초전도 전구체 막을 증착할 수 있다. 희토류 원소(RE)는 이트륨(Y) 및 란타늄족 원소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란타늄족 원소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La, Nd, Sm, Eu, Gd, Tb, Dy, Ho, Er, Tm, Yb, Lu 등을 포함한다.
다른 방법으로, 초전도 전구체 막(40)은 유기금속 증착법(Metal Organic Deposition: MOD)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용매에 희토류(RE)-아세테이트, 바륨(Ba)-아세테이트, 구리(Cu)-아세테이트를 용해시키고, 증발 증류 및 재용해-중합(Refluxing) 공정을 거쳐서, 희토류 원소(RE) 중의 적어도 하나, 구리(Cu) 및 바륨(Ba)을 포함하는 금속 전구용액을 제조한다. 기판 상에 금속 전구용액을 도포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초전도 전구체 막(40)이 형성된 기판(10)을 제1 열처리한다. 제1 열처리는 10-3 Torr 내지 10-6 Torr의 산소분압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1 열처리의 산소분압은, 예를 들어 대략 10-5 Torr일 수 있다. 제1 열처리의 온도는 700 ~ 1000℃ (예를 들면, 대략 860℃)로 상승될 수 있다. 제1 열처리는 도 1의 경로 I을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제1 열처리에 의하여, 기판(10 상에 비정질의 초전도 전구체 막(4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비정질의 초전도 전구체 막(40)이 형성된 기판(10)을 제2 열처리한다. 제2 열처리는 700 ~ 1000℃ (예를 들면, 대략 86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2 열처리는 제1 열처리에서 보다 산소분압을 증가시켜 수행될 수 있다. 제2 열처리 동안 산소분압은, 예를 들어 10-5 Torr로부터 10-2 Torr 내지 10-1 Torr(예를 들어 30mTorr)로 증가될 수 있다. 제2 열처리는 도 1의 경로 II를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제2 열처리에 의하여, 비정질의 초전도 전구체 막(40)은 액상의 초전도 전구체 막(41)으로 변하고, 액상의 초전도 전구체 막(41) 내에 희토류 산화물(예를 들면, Gd2O3)이 형성될 수 있다. 희토류 산화물(43)은 기판(10) 상의 버퍼층(30)으로부터 성장(dendric growth)될 수 있다. 즉, 경로 II를 따른 제2 열처리에 의하여, 희토류 산화물(43)을 함유하는 액상의 초전도 전구체막(41)이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여, 희토류 산화물(43)을 함유하는 액상의 초전도 전구체막(41)을 제3 열처리한다. 제3 열처리는 대략 10-2 Torr 내지 수 10-1 Torr의 산소분압(예를 들면, 100mTorr) 하에서 온도를 감소시키는 냉각(cooling process)일 수 있다. 냉각 속도는 1℃/1hr 이상(대략 5℃/1hr)일 수 있다. 제3 열처리는 도 1의 경로 III을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제3 열처리에 의하여,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의 에피택시 초전도막(45)이 형성된다.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의 에피택시 초전도막(45)은 희토류 산화물(43)의 희토류를 소모하면서 액상의 초전도 전구체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매우 빠른 공정으로 결정성이 띄어난 에피택시 초전도막(4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희토류 산화물(43)의 크기는 줄어들고, 희토류 산화물(43)은 길쭉한 모양의 알갱이들로 변화된다. 희토류 산화물(43)의 알갱이들은 대략 1㎛이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에피택시 초전도막(45) 내에는 희토류 산화물(43)의 알갱이들 뿐만 아니라, 액상의 잔류물(48) 및 구리 산화물(47)의 알갱이들이 추가로 함유될 수 있다. 에피택시 초전도막(45)의 상부면 상에는 또 다른 액상의 잔류물(49)이 잔류할 수 있다. 액상의 잔류물들(48, 49)은 에피택시 초전도막(45)으로 변화되지 않은 액상의 초전도 전구체막(41)에 기인하고, 바륨-구리 산화물일 수 있다.
에피택시 성장된 초전도막(45) 내에 생성된 알갱이들(43, 47)은 초전도체의 자속 고정점들로 기능할 수 있다. 희토류 산화물(43)의 알갱이들의 폭은 대략 수십nm 내지 100nm일 수 있다. 희토류 산화물(43)의 알갱이들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100nm 이하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형성된 에피택시 초전도막(45)의 TEM 이미지들이다. 도 7은 기판(10) 상에 형성된 에피택시 초전도막(45), 그 내부에 함유된 희토류 산화물(43)의 알갱이, 및 액상의 잔류물들(48, 49)을 보여준다. 도 8 및 도 9는 기판(10) 상에 형성된 에피택시 초전도막(45) 및 희토류 산화물(예를 들면, Gd2O3)(43)의 알갱이를 보여준다. 희토류 산화물(43)의 알갱이들의 폭은 대략 수십nm이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형성된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의 에피택시 초전도막(45)의 XRD이다. 도 10은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의 에피택시 초전도막(45)의 좋은 결정성을 보여준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에피택시 초전도막의 성장 과정은 액상 에피택시 성장법(liquid Phase Epitaxy: LPE)과 유사하다. 한편, 도 1은 GdBCO의 상태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구체적인 산소 분압 및 열처리 온도는 희토류 원소(RE)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초전도막의 형성을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열처리는 벌크 초전도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비정질의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을 준비한다. 전술한 열처리를 통하여 비정질의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은 단결정 구조의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로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단결정 구조의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은 그의 내부에 분산되어 함유된 희토류 산화물의 알갱이들 및 바륨-구리 산화물의 알갱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초전도막 형성 장치의 일 예가 개략적으로 설명된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초전도막 형성 장치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일 예로 초전도 선재를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개념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초전도막 형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여, 초전도막 형성장치는 기판 상에 초전도 전구체 막을 형성하기 위한 박막 증착 유닛(100), 박막 증착 유닛(100)에서 형성된 초전도 전구체 막을 포함하는 기판을 열처리하기 위한 열 처리 유닛(200) 및 기판 공급/회수 유닛(300)을 포함한다. 박막 증착 유닛(100), 열 처리 유닛(200) 및 기판 공급/회수 유닛(300) 사이에 기판이 통과하고 진공을 유지할 수 있는 진공 로드(20)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초전도막 형성장치의 박막 증착 유닛(1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박막 증착 유닛(100)은, 공정 챔버(110), 릴투릴(reel to reel) 장치(120), 및 증착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정 챔버(110)는 기판(10)에 초전도 전구체 막을 형성하는 증착 공정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공정 챔버(110)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측벽(111) 및 제2 측벽(112)을 포함한다. 제1 측벽(111)에 기판 공급/회수 유닛(300)과 연결되는 인입부(113)가 제공되고, 제2 측벽(112)에 열 처리 유닛(200)에 연결되는 인출부(114)가 제공된다. 기판(10)은 선재 공급/회수 유닛(300)으로부터 인입부(113)를 통해 공정 챔버(110) 안으로 인입되고, 인출부(114)를 통해 열 처리 유닛(200)으로 인입된다.
증착부재(130)는 릴투릴 장치(120)의 아래에 제공될 수 있다. 기판(10)의 표면에 초전도 물질의 증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 증착부재(130)는 증발법(co-evaporation)을 이용하여, 기판(10) 상에 초전도 전구체 막을 제공할 수 있다. 증착부재(130)는, 기판(10) 하부에, 전자빔에 의하여 금속 증기를 제공하는 금속 증기 소스들(131, 132,133)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증기 소스들은 희토류를 위한 소스, 바륨을 위한 소스 및 구리를 위한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릴투릴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릴투릴 장치(120)는 제1 릴 부재(121) 및 제2 릴부재(122)를 포함하며, 제1 릴부재(121) 및 제2 릴부재(122)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한다. 증착부재(130)는 제1 릴부재(121)와 제2 릴부재(122) 사이에 위치하는 기판의 아래에 위치한다. 제1 릴부재(121) 및 제2 릴부재(122)는 초전도 전구체 막의 증착이 이루어지는 영역에서 기판(10)을 멀티턴(multiturn)시킨다. 즉, 기판(10)은 제1 릴부재(121)와 제2 릴부재(122) 사이를 왕복하며 제1 릴부재(121) 및 제2 릴부재(122)에 턴된다. 제1 릴부재(121)는 공정 챔버(110)의 제1 측벽(111)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제2 릴부재(122)는 공정 챔버(110)의 제2 측벽(112)에 인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1 릴부재(121) 및 제2 릴부재(122)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릴부재(121) 및 제2 릴부재(122)는 기판(10)의 왕복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릴부재(121) 및 제2 릴부재(122)는 각각 제1 릴부재(121) 및 제2 릴부재(122)의 연장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릴들을 포함한다. 기판(10)는 각각의 릴에서 한번씩 턴한다. 각각의 릴은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기판(10)과의 마찰력에 의해서 회전된다. 평면상에서 볼 때, 제2 릴부재(122)는 기판(10)의 멀티턴을 위해 제1 릴부재(121)와 약간 어긋나게 배치된다. 기판(10)은 제1 릴부재(121) 및 제2 릴부재(122)를 오가면서, 제1 릴부재 및 제2 릴부재(122)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초전도막 형성장치의 열처리 유닛(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열 처리 유닛(200)은 기판(10)을 연속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고 차례로 인접한 제1 용기(210), 제2 용기(220) 및 제3 용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용기(210) 및 제3 용기(230)는 서로 이격된다. 제2 용기(220)의 중심 부분은, 제1 용기(210) 및 제3 용기(230)가 서로 이격된 공간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용기(220)는 제1 용기(210) 및 제3 용기(230) 각각의 일부들을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제1 용기(210), 제2 용기(220) 및 제3 용기(230)는 실린더형의 석영관(quartz)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용기(210)는 박막 증착 유닛(100)의 인출부(114)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용기 및 제3 용기는 그 양단에 기판(10)이 통과할 수 있는 인입부들 및 인출부들(211, 212, 231, 232)을 포함할 수있다. 기판(10)은, 제1 용기의 제1 인입부(211)로 인입되어 제1 용기의 제1 인출부(212)로 인출되고, 제2 용기의 중심 부분을 통과하고, 제3 용기의 제2 인입부(231)로 인입되어 제3 용기의 제2 인출부(232)로 인출될 수 있다.
제1 용기(210), 제2 용기(220) 및 제3 용기(230)는 독립적인 진공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용기(210), 제2 용기(220) 및 제3 용기(230)는 각각 별도의 펌핑 포트들(214, 224, 234) 및 산소 공급부들(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산소 공급부들을 통하여 산소가 공급되어, 제1 용기(210), 제2 용기(220) 및 제3 용기(230) 내의 산소 분압이 서로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용기(210) 내의 산소 분압은 제3 용기(230) 내의 산소분압 보다 낮고, 제2 용기(220) 내의 산소분압은 제1 용기(210) 내와 제3 용기(230) 내의 산소분압의 사이로 유지되도록 될 수 있다. 제1 용기(210)에 인접한 부분에서 제3 용기(230)에 인접한 부분으로 갈수록, 제2 용기(220) 내의 산소분압은 증가할 수 있다.
제1 용기(210), 제2 용기(220) 및 제3 용기(230)는 이들을 둘러싸는 퍼니스 내에 제공된다. 제1 용기(210) 및 제3 용기(230)가 이격된 부분이 퍼니스의 중심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용기(220)의 중심 부근의 온도는 제1 용기(210) 및 제3 용기(230) 내의 온도보다 높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용기(210) 및 제3 용기(230) 내의 온도는 제2 용기(220)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열처리 과정이 도 14의 열처리 유닛(200)과 함께 설명된다. 경로 I은 상기 기판(10)이 열처리 유닛(200)의 제1 용기(210)를 통과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제1 용기(210)는 상대적으로 낮은 산소분압(예를 들면, 1×10-6 ~ 1×10-3 Torr)을 가질 수 있다. 제1 용기(210) 내의 온도는 제1 인입부(211)로부터 증가되어 제1 인출부(212)에서 대략 800℃가 될 수 있다. 경로 II는 기판(10)이 열처리 유닛(200)의 제2 용기(220)의 중심 부분을 통과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제2 용기(220)은, 예를 들면 1×10-2 ~ 10-1 Torr의 산소분압을 가질 수 있다. 제1 용기(210)에 인접한 부분에서 제3 용기(230)에 인접한 부분으로 갈수록, 제2 용기(220) 내의 산소분압은 증가할 수 있다. 제2 용기(220)의 중심 부분의 온도는 대략 850℃ 이상일 수 있다. 경로 III은 기판(10)이 열처리 유닛(200)의 제3 용기(230)를 통과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제3 용기(230)는, 예를 들면 5×10-2 ~ 3×10-1 Torr의 산소분압을 가질 수 있다. 제3 용기(230) 내의 온도는 제2 인입부(221)의 대략 850℃로부터 제2 인출부(222)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냉각 속도는 1℃/1hr 이상(대략 5℃/1hr)일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는, 박막 증착 유닛(100), 열처리 유닛(200) 및 기판 공급/회수 유닛(300)이 일체로 구성되어, 기판(10)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것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먼저 공급/회수 유닛(300)이 박막 증착 유닛(100) 및 열처리 유닛(200) 각각에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먼저, 기판을 감은 기판 공급/회수 유닛이 박막 증착 유닛(100)에 장착된다. 박막 증착 유닛(100)에서, 기판 상에 초전도 전구체 막이 형성된다. 박막 증착 유닛(100)은 전술한 예와 다른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박막 증착 유닛(100)은 유기금속 증착(Metal Organic Deposition: MOD)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다음, 초전도 전구체 막이 형성된 기판을 감은 선재 공급/회수 유닛은, 박막 증착 유닛(100)으로부터 분리된다. 초전도 전구체 막이 형성된 기판은 열처리 유닛(2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후 초전도 전구체 막이 형성된 기판은 열처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판은 선재 타입이 아니라 대면적의 판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급/회수 유닛은 전술한 예와는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기판은 박막 증착장치에 제공되고, 기판 상에 초전도 전구체막이 형성된다. 초전도 전구체 막이 형성된 기판은 전술한 열처리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에 제공되어 열처리된다.

Claims (12)

  1. 기판상에 희토류, 바륨 및 구리를 포함하는 희토류-구리-바륨 산화물을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희토류-구리-바륨 산화물을 열처리하여, 상기 희토류-구리-바륨 산화물의 내부에 분산된 희토류 산화물의 알갱이를 함유하는 초전도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희토류-구리-바륨 산화물을 열처리하는 것은:
    10-2토르 이하의 제1 산소분압 하에서 상기 기판을 850도 이상의 제1 온도까지 가열하여 상기 희토류-구리-바륨 산화물이 비정질 상태를 갖도록 하는 제1 열처리 단계;
    상기 제1 온도 하에서 상기 제1 산소분압보다 높은 상기 10-2토르 이상의 제2 산소분압으로 상기 기판을 열처리하여, 상기 희토류-구리-바륨 산화물이 액체 상태를 갖도록 하는 제2 열처리 단계; 및
    상기 제2 산소분압 하에서 상기 기판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상기 850도이하의 제2 온도로 감소시켜, 단결정 구조의 희토류-구리-바륨 산화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전도체의 형성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희토류 산화물은 상기 제 2 열처리 단계에서 생성되고,
    상기 단결정 구조의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은, 상기 희토류 산화물 내의 희토류를 소모하면서 상기 액체 상태의 상기 희토류-구리-바륨 산화물로부터 성장하는 초전도체의 형성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산소분압은 10-6 ~ 10-3 토르이고, 상기 제2 산소분압은 10-2 ~ 10-1토르인 초전도체의 형성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희토류 산화물의 알갱이는 1㎛이하의 크기를 갖는 초전도체의 형성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집합조직을 갖는 금속 또는 상기 금속의 상기 기판상에 집합조직을 갖는 산화물 버퍼층을 포함하고,
    상기 희토류 산화물은 상기 기판 또는 상기 산화물 버퍼층으로부터 성장하는 초전도체의 형성방법.
  6. 단결정 구조의 희토류-바륨- 구리 산화물; 및
    상기 단결정 구조의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 내에 배치되어 상기 단결정 구조의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의 초전도체 내에서 자속 고정점들로 작용하는 희토류 산화물 알갱이 및 바륨-구리 산화물 알갱이를 포함하는 희토류-바륨- 구리 산화물 박막.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결정 구조의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 내에 분산되어 함유된 구리 산화물 알갱이들을 더 포함하는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 박막.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희토류 산화물 알갱이들은 1㎛이하의 크기를 갖는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 박막.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희토류 산화물 알갱이들은 길쭉한 모양을 갖는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 박막.
  10.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 박막; 및
    상기 희토류-바륨-구리 산화물 박막의 상부면에 형성된 바륨-구리 산화물들을 포함하는 초전도막.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집합조직을 갖는 금속, 또는 금속 기판 상에 집합조직을 갖는 산화물 버퍼층을 포함하는 초전도막.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는 1000도이고, 상기 제 2 온도는 700도인 초전도체의 형성방법.
KR1020120085768A 2012-08-06 2012-08-06 초전도체 및 초전도체 형성방법 KR101456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768A KR101456152B1 (ko) 2012-08-06 2012-08-06 초전도체 및 초전도체 형성방법
US14/420,113 US20150228379A1 (en) 2012-08-06 2012-10-08 Superconducting body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RU2015104312/28A RU2598150C1 (ru) 2012-08-06 2012-10-08 Сверхпроводящий объект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PCT/KR2012/008132 WO2014025088A1 (en) 2012-08-06 2012-10-08 Superconducting body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2015526454A JP2015532630A (ja) 2012-08-06 2012-10-08 超伝導体及び超伝導体の形成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768A KR101456152B1 (ko) 2012-08-06 2012-08-06 초전도체 및 초전도체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558A KR20140019558A (ko) 2014-02-17
KR101456152B1 true KR101456152B1 (ko) 2014-11-03

Family

ID=5006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768A KR101456152B1 (ko) 2012-08-06 2012-08-06 초전도체 및 초전도체 형성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228379A1 (ko)
JP (1) JP2015532630A (ko)
KR (1) KR101456152B1 (ko)
RU (1) RU2598150C1 (ko)
WO (1) WO201402508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9033A (ja) * 1992-03-27 1993-10-26 Kokusai Chodendo Sangyo Gijutsu Kenkyu Center 臨界電流密度の高い酸化物超電導体の製造方法
JP2003327496A (ja) * 2002-05-10 2003-11-19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超電導体の製造方法
JP2012012247A (ja) * 2010-06-30 2012-01-19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酸化物超電導薄膜製造用の原料溶液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6697A (en) * 1989-02-10 1994-04-26 University Of Houston - University Park Oriented grained Y-Ba-Cu-O superconductors having high critical current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H0710732B2 (ja) * 1991-06-28 1995-02-08 工業技術院長 超電導体の製造方法
JPH07187671A (ja) * 1993-12-27 1995-07-25 Kokusai Chodendo Sangyo Gijutsu Kenkyu Center 酸化物超電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36613B1 (ko) * 1999-10-27 2002-05-16 이종훈 상.하 종자결정법을 이용한 고온초전도 단결정체 및 그 제조방법
JP3548801B2 (ja) * 2001-03-27 2004-07-28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特定の金属種に特定の配位子を配位させた金属錯体を含む溶液組成物、希土類超電導膜製造用溶液組成物、特定金属錯体の非結晶固形物、特定の金属種に特定の配位子を配位させた金属錯体を含む溶液の製造方法、希土類超電導膜製造用溶液の製造方法、及び超電導薄膜の形成方法。
US20050065035A1 (en) * 2003-06-10 2005-03-24 Rupich Martin W. Superconductor methods and reactors
US9362477B2 (en) * 2010-02-05 2016-06-07 Sunam Co., Ltd. Method of forming ceramic wire, system of forming the same, and superconductor wire using the same
JPWO2011132731A1 (ja) * 2010-04-21 2013-07-18 株式会社フジクラ 酸化物超電導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235766A (ja) * 2012-05-10 2013-11-21 Sumitomo Electric Ind Ltd 酸化物超電導薄膜とその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9033A (ja) * 1992-03-27 1993-10-26 Kokusai Chodendo Sangyo Gijutsu Kenkyu Center 臨界電流密度の高い酸化物超電導体の製造方法
JP2003327496A (ja) * 2002-05-10 2003-11-19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超電導体の製造方法
JP2012012247A (ja) * 2010-06-30 2012-01-19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酸化物超電導薄膜製造用の原料溶液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558A (ko) 2014-02-17
US20150228379A1 (en) 2015-08-13
WO2014025088A1 (en) 2014-02-13
JP2015532630A (ja) 2015-11-12
RU2598150C1 (ru) 201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553B1 (ko) 초전도 선재 및 초전도 선재 형성방법
KR101158747B1 (ko) 세라믹 선재 형성 방법, 세라믹 선재 형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초전도 선재
JP4713012B2 (ja) テープ状酸化物超電導体
KR102312749B1 (ko) 초전도 선재 제조를 위한 플라즈마 보조 인라인 시스템
Chen et al. Composition effects on the critical current of MOCVD-processed Zr: GdYBCO coated conductors in an applied magnetic field
KR101719266B1 (ko) 초전도체, 초전도 선재, 및 초전도체 형성방법
US20050007227A1 (en) Rare-earth-Ba-Cu-O superconductor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1456152B1 (ko) 초전도체 및 초전도체 형성방법
US9634223B2 (en) Superconductor, superconducting wi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uperconductor
KR102152927B1 (ko) 초전도 선재 형성 방법
JP7342310B2 (ja) 電源装置、超伝導装置、超伝導デバイス、及び超伝導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H0817253B2 (ja) 酸化物超伝導膜形成方法
JP2660246B2 (ja) 超伝導装置
JP2011249162A (ja) 超電導線材の製造方法
JPH0817254B2 (ja) 酸化物超伝導材料形成方法
JP2017004847A (ja) 酸化物超電導線材の製造方法
JP2010238633A (ja) 希土類系厚膜酸化物超電導線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