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1142A - 1-[4-(4-니트로-페녹시)-페닐]-프로판-1-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1-[4-(4-니트로-페녹시)-페닐]-프로판-1-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1142A
KR20110121142A KR1020100040599A KR20100040599A KR20110121142A KR 20110121142 A KR20110121142 A KR 20110121142A KR 1020100040599 A KR1020100040599 A KR 1020100040599A KR 20100040599 A KR20100040599 A KR 20100040599A KR 20110121142 A KR20110121142 A KR 20110121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o
phenyl
coccidium
phenox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8098B1 (ko
Inventor
박현
김성연
석 김
이규양
김춘매
서지희
김낙정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40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098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콕시디움 억제 활성을 갖는 1-[4-(4-니트로-펜옥시)-페닐]-프로판-1-온(1434NJ022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1-[4-(4-니트로-펜옥시)-페닐]-프로판-1-온(1434NJ0221)은 콕시디움, 즉 톡소포자충의 증식에 뛰어난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1-[4-(4-니트로-페녹시)-페닐]-프로판-1-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1-[4-(4-nitro-penoxy)-phenyl]-propane-1-on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the disease caused by Toxoplasmosis and Coccidium}
본 발명은 1-[4-(4-니트로-펜옥시)-페닐]-프로판-1-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C.M. Jin et al., Experimental Parasitology, 121 (2), pp132-136, 2009
[문헌 2] Jiang JH, Jin CM, Kim YC, Kim HS, Park WC, Park H., Biol Pharm Bull. 31(12):2273-6, 2008
[문헌 3] McFadden D.C., Seeber F., Boothroyd J.C., Antimicrob. Agents Chemother., 41,1849-1853, 1997
[문헌 4] Georgiev V.S., Drugs,48,179-188,1994
[문헌 5] Jang, S. I., Jun, M. H., Lillehoj, H. S., Dalloul, R. A., Kong, I. K., Kim, S. and Min, W. G. Anticoccidial effect of green tea-based diets against Eimeria maxima. Vet. Parasitol. 144:172-175, 2007
[문헌 6] Daugschies et al.. Veterinary Parasitology 103, pp. 299-308, 2002
톡소포자충, Eimeria tenella 를 포함한 콕시디움은 인수공통 질병을 유발함으로써 가축이나 인간에게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콕시디움에 대한 치료 및 예방제로서 항생제를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치료 효율이 비교적 낮고, 항생제 내성원충이 출현하였으며, 잔류독성 문제가 발생하여 새로운 약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Daugschies et al.. Veterinary Parasitology 103, pp. 299-308, 2002).
산업동물에 있어서 콕시디움 감염증은 가축 폐사, 사료효율 감소, 증체 감소, 약제 사용에 따른 비용증대 및 인건비 증대 등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고 있다. 특히 양계산업과 양돈산업은 콕시디움 감염증으로 인해 가장 막대한 피해를 입는 대표적 축종이라 할 수 있다. 양계 산업에 있어서 콕시디움 감염증의 원인체는 Eimeria, Leucocytozoon , Haemoproteus , Toxoplasma , Sarcocystis Cryptosporidium 등이 보고되고 있으나, 이들 중 Eimeria에 의한 피해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돈산업에 있어서 주요 콕시디움 감염증 원인체는 Eimeria , Isospora, Cryptosporidia Toxoplasma 등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들 콕시디움에 감염된 개체의 임상증상은 대체적으로 식욕부진, 설사 및 체중감소가 주된 증상이며 폐사율은 높지 않은 편이다. 양계산업에 있어서 콕시디움에 의한 경제적 손실은 미국에서만 연간 15억달러(1조8천억원)이상 피해를 보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Weber, 1997), 양돈의 경우 덴마아크에서 두당 15%의 증체율 감소(Bayer Health Care)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이로 인한 경제적 피해는 막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산업동물에 있어서 콕시디움 감염증의 예방 대책은 농가 청결관리 및 소독철저, 항콕시디움제의 예방적 투여, 주요 매개물(설치류, 기구 등)의 차단, 농가간 전파 파단 등이며, 현재 실험적 백신이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상용화 단계는 아니다. 또한 본 질병에 의한 치료방법은 ionophores, sulphonamides, diclazuril, amprolium, furozolidone등의 항콕시디움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항콕시디움제 남용 및 내성원충의 출현 등으로 치료에 상당한 양과 시일이 소요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특히 현행 유통되고 있는 사료의 대부분에 사료첨가용 항콕시디움제가 일정부분 들어있어, 내성획득을 쉽게 하는 원충의 특성 상, 항콕시디움제를 이용한 콕시디움의 근절은 요원한 실정이다(Daugschies et al.. Veterinary Parasitology 103, pp. 299-308, 2002).
따라서, 신약의 개발이 절실하나 신약개발에 드는 비용이 막대하고, 효능 검정에 드는 부대비용, 내성 획득 시 또 다른 신약을 재개발 해야 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유수의 제약회사에서 항콕시디움제제의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항콕시디움제제의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의 다수의 연구자들이 내성획득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제제 개발에 연구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상태이지만 뚜렷한 개발 성과가 없는 실정이다.
최근 의약품의 연구동향은 여러 가지 부작용이나 독성 및 내성 등이 심각해지고 있으므로 세계적으로 천연물로부터의 의약품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이것들이 질병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치료용량이 숙주에 대해서는 독성을 주지 않고 감염원에 대해서는 살충효과가 매우 커야 하나 독성이 적으며 내성기생충에 유효한 새로운 항생물질을 연구개발하고, 병용투여와 같은 방법으로 내성기생충의 출현 및 독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 억제 효과를 갖는 물질을 확인하던 중, 본 발명의 1-[4-(4-니트로-펜옥시)-페닐]-프로판-1-온 화합물이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 억제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A)로 표기되는 1-[4-(4-니트로-펜옥시)-페닐]-프로판-1-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 억제활성을 갖는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A)로 표기되는 1-[4-(4-니트로-펜옥시)-페닐]-프로판-1-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의 대상 동물은 돼지, 소, 염소 등의 포유류; 잉어, 금붕어 등의 어류; 및 꿩, 닭, 오리, 칠면조 등의 가금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사용가능하며,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말레산, 퓨마르산, 글루코산, 메탄설폰산, 아세트산, 글리콜산, 석신산, 타타르산, 4-톨루엔설폰산, 갈락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시트르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사용할 수 있고,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아황산 및 인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설폰산 및 염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즉, 상기 화학식 (A)의 화합물을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및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수혼화성 유기용매에 녹이고 과량의 유기산을 가하거나, 무기산의 산 수용액을 가한 후 침전시키거나 결정화시킨 후,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킨 다음 건조시키거나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화합물의 하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2
상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화학식 1 화합물은 출발물질인 4-하이드록시 프로피오페논에 4-브로모 니트로벤젠을 1당량 내지 2당량 사용하고, 염기 1당량 내지 3당량과 구리촉매 0.1당량 내지 1당량 존재하에 커플링 반응으로 제조한다.
상기반응에서 염기는 K2CO3 또는 Na2CO3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리촉매로는 Copper(II) oxide (CuO), Copper(I) oxide (Cu2O), Copper acetate(Cu(OAc)2), Copper bromide dimethylsulfide complex(CuBr.Me2S) 또는 Cu powder, 좀 더 바람직하게는 K2CO3 내지 CuO을 사용한다. 반응용매로는 피리딘, 아세토니트릴 및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 좀 더 바람직하게는 피리딘 용매에서 반응 시킨다. 반응온도는 상온 내지 용매의 비등점까지이다. 이때 출발물질은 상업적으로 시판 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수의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수의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용매화물, 수화물 및 입체이성질체를 모두 포함하며,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수의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은 수의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세탄올, 스테아릴알콜, 유동파라핀,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신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수의학적 조성물은 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고,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좌제, 멸균 주사용액, 멸균 외용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의학적 조성물은 동물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1 내지 100 mg/㎏의 양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화합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예로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및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및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및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 0.0001 내지 100㎎/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쥐,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및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4-(4-니트로-펜옥시)-페닐]-프로판-1-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항원충보조제를 제공한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1-[4-(4-니트로-펜옥시)-페닐]-프로판-1-온은 톡소포자충의 증식에 뛰어난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수의학적 조성물 및 항원충보조제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항톡소포자충 활성에 대한 1-[4-(4-니트로-펜옥시)-페닐]-프로판-1-온의 생체 내 억제효과를 도시하는 도이고,
도 2는 분변 속 충란 개수를 나타낸 도이고,
도 3은 콕시디움 감염 6일 후 1-[4-(4-니트로-펜옥시)-페닐]-프로판-1-온의 콕시디움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4은 콕시디움 감염 7일 후 1-[4-(4-니트로-펜옥시)-페닐]-프로판-1-온의 콕시디움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5은 콕시디움 감염 9일 후 1-[4-(4-니트로-펜옥시)-페닐]-프로판-1-온의 콕시디움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4-(4-니트로- 펜옥시 )- 페닐 ]-프로판-1-온 화합물의 합성
본 발명에서는 적외선 분광법,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질량 분광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 X-선 구조결정법, 선광도 측정법과 대표적인 화합물의 원소분석 계산치와 실측치의 비교에 의해 분자구조를 확인하였다.
4-하이드록시 프로피오페논 5g(33.3 mmol)과 4-브로모 니트로벤젠 7.4g(36.6 mmol)을 피리딘 50 ml에 녹이고, K2CO3 9.3g(66.6 mmol)과 CuO 1.3g(16.65 mmol)을 첨가한 후 120 oC의 온도에서 7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셀라이트를 통과시켜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켜 용매는 제거하였다. 남는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아세테이트=5:1)로 정제한 후 에틸에테르-헥산 혼합용매로 재결정하여 7.49g (수득율 83%)의 하기 반응식과 같이 연노란색 고체상태의 목적화합물(이하 “1434NJ0221”라고 함)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 δ = 1.24(t, 3H), 3.00(q, 2H), 7.08-7.15(m, 4H), 8.04(d, 2H, J=8.8Hz), 8.25(d, 2H, J=8.8Hz)
MS(m/e, M+) : 271
(반응식 1)
Figure pat00003

참고예 1. 톡소포자충의 준비
항톡소포자충 실험에 사용된 톡소포자충 (RH strain of Toxoplasma gondii, ATCC, No. 50174)의 영양형(tachyzoite)은 ICR female mouse(KOATECH Co., Korea)에서 얻었다. 1x105개의 톡소포자충의 영양형을 6주령 ICR 마우스 복강에 주입한 뒤, 4일 후 마우스를 경추탈골 사망시켰다. 그리고 2%의 FBS(GIBCO, Lot No. 1315128)를 함유한 RPMI 1640 media (GIBCO, Lot No. 1346255) 5ml 씩 2번 복강에 주입하고 1분 30초 동안 가볍게 마사지 해준 뒤, 다시 복강액을 뽑아내고 5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 후, 침전물은 버리고 상층액은 새로운 50ml tube에 옮겨서 5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이렇게 얻은 상층액은 비교적 순수한 톡소포자충의 영양형은 10%의 FBS를 함유한 RPMI 1640배지에 재부유시키고 즉시 카운팅하였다. 이중 일부는 생체 내(in vivo) 및 실험관 내(in vitro) 실험에 사용하고 일부는 또 다시 새로운 ICR 마우스에 주입하여 유지하였다(C.M. Jin et al., Experimental Parasitology, 121 (2), pp132-136, 2009).
참고예 2. HeLa 세포배양
한국세포주은행에서 구입한 HeLa 세포는 10% FBS가 함유된 RPMI 1640 배지를 사용하여 37℃의 온도의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예 1. 1 -[4-(4-니트로- 펜옥시 )- 페닐 ]-프로판-1-온(1434 NJ0221 )의 항톡소포자충 활성 시험
시험관 내(in vitro)에서 1-[4-(4-니트로-펜옥시)-페닐]-프로판-1-온(1434NJ0221)의 톡소포자충 억제활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C.M. Jin et al., Experimental Parasitology, 121 (2), pp132-136, 2009).
한국세포주은행에서 구입한 HeLa 세포를 96well에 2x103/well씩 접종하고 6시간 후, 2%의 FBS가 함유된 RPMI 1640 배지로 교환하고 그로부터 18시간 후, 2%의 FBS가 함유된 RPMI 1640 배지로 교환 및 톡소포자충의 영양형을 HeLa 세포수의 5배되게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화합물과 대조군 피리메탄아민(pyrimethamine)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한 뒤 세포증식분석(cell 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PROMEGAL, Lot No.: 22257902))을 실시하고 2시간 후 490nm에서 흡광도(absorbance)를 측정하였다. 톡소포자충의 증식을 억제하는 농도 (EC50; 50% 세포증식억제농도)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산출하여 약효판정계수 선택성(selectivity)을 구하였다.
Figure pat00004
화합물을 처리한 후 세포증식분석으로 선택성을 조사한 결과,
HeLa 세포에서 현재 사용 중인 항톡소포자충 약물인 피리메탄아민(pyrimethamine)보다 더 높은 선택성을 보였다(표 1 참조).
Figure pat00005
실험예 2. 항톡소포자충 활성의 생체 내 ( in vivo ) 실험
생체 내(in vivo)에서 항톡소포자충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J.H. Jiang et al., Biol. Pharm. Bull. 31:2273-6, 2008).
톡소포자충의 영양형 1x105개를 6주령 ICR암컷 마우스 복강에 주입한다. 주입 2시간 후부터 화합물 100mg/kg/day 연속 4일간 경구 투여하고 마지막날 마우스를 경추탈골 사망시켰다. 복강 내의 톡소포자충의 영양형을 얻어 계량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본 발명의 1-[4-(4-니트로-펜옥시)-페닐]-프로판-1-온(1434NJ0221) 화합물은 생체내에서 43 %의 억제효과를 보였다(도 1 참조).
실험예 3. 콕시디움( Eimeriatenella, 291-7)충란 준비
콕시디움 난모세포(oocytes)는 칼륨 디클로메이트(Potassium Diclomate) 보존액에 8.5×104/ml의 갯수로 보존되어 있고, 보존액은 유독물질이므로 washing 과정을 실시하였다. 보존액을 버리고 보존액 양만큼 멸균 D.W.를 넣어 4,000rpm, 25분 동안 원심분리를 3번 실행하였다. 원심분리 할 때마다 상층액을 버리고 동량의 D.W.를 넣고, washing이 끝난 후 충란을 세어 농도를 구하였다. 충란이 든 희석액을 먼저 D.W.로 20배 희석하고 포화 염화나트륨(saturated NaCl)로 5배 희석(통상 5~10배)하여 ×100 배율에서 챔버(chamber)를 이용하여 counting 하였다. 충란의 최종 농도는 4.3×104/ml이다.
실험예 4. 항콕시디움 ( Anticoccidial ) 활성의 생체 내 ( in vivo ) 실험
생체 내(in vivo)에서 콕시디움 억제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Jang, S. I., et al., Vet. Parasitol. 144:172-175, 2007).
육추에 감염 전 3일 동안 사료에 적응을 시킨 후, 한 마리당 104/ml의 농도로 경구 감염을 실시하였다. 감염한 다음날부터 4일간 약물을 경구 투여한다. 약물은 1434NJ0221을 사용하며, DMSO만 투여하는 감염군과 비감염군의 2개 대조군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룹당 10수). 약물의 적정 경구투여 농도는 100mg/kg으로 1일 2회(아침, 저녁) 투여하고, 대조군의 경우 DMSO만 동일농도로 투여하였다.
약물투여기간이 끝난 다음 날 닭장의 분변을 모두 제거하고, 다음날부터 5일 동안 매일 분변을 수거하였다. 수거한 분변 sample은 희석과정을 통해 분변 속 충란 개수를 세어주었다. 즉, 먼저 D.W.로 1000배 희석한 후 균질화되면 1차 희석하고, 포화 염화나트륨(saturated NaCl)로 2차 희석하여 ×100 배율에서 챔버(chamber)를 이용해 counting 하였다(도 2 참조).
상기 실험 결과, 감염 대조군과 비교해서 감염 후 6일째에 본 발명의 1434NJ0221 화합물은 생체내에서 83.7%의 억제효과를 보였고, 감염 후 7일째에 본 발명의 1434NJ0221화합물은 각각 49.5% 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특히 감염 후 9일째에 본 발명의 1434NJ0221 화합물은 93.3% 의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1434NJ0221 화합물이 4일 동안 지속적인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 도 4 ; 도 5 참조).
하기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1434NJ0221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1434NJ0221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1434NJ0221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1434NJ0221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1434NJ0221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Claims (5)

  1. 하기 구조식 (A)로 표기되는 1-[4-(4-니트로-펜옥시)-페닐]-프로판-1-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Figure pat00006
    (A)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3. 제 1항의 구조식 (A)로 표기되는 1-[4-(4-니트로-펜옥시)-페닐]-프로판-1-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 세균 감염의 대상 동물은 포유동물, 어류 또는 가금류인 수의학적 조성물.
  5. 제 1항의 구조식 (A)로 표기되는 1-[4-(4-니트로-펜옥시)-페닐]-프로판-1-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항원충보조제.
KR1020100040599A 2010-04-30 2010-04-30 1-[4-(4-니트로-페녹시)-페닐]-프로판-1-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48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599A KR101148098B1 (ko) 2010-04-30 2010-04-30 1-[4-(4-니트로-페녹시)-페닐]-프로판-1-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599A KR101148098B1 (ko) 2010-04-30 2010-04-30 1-[4-(4-니트로-페녹시)-페닐]-프로판-1-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142A true KR20110121142A (ko) 2011-11-07
KR101148098B1 KR101148098B1 (ko) 2012-05-22

Family

ID=4539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599A KR101148098B1 (ko) 2010-04-30 2010-04-30 1-[4-(4-니트로-페녹시)-페닐]-프로판-1-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0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664A (ko) 2019-10-24 2022-06-20 스미또모 덴꼬오 하드메탈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아몬드 절삭 공구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4408B1 (en) * 1998-12-22 2001-02-27 Bayer Corporation Triazineone compounds for treating diseases due to Sarcocystis, Neospora and Toxoplasma
ATE463478T1 (de) 2001-09-27 2010-04-15 Kyorin Seiyaku Kk Diaryletherderivat, dessen additionssalz und immunosuppressiv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664A (ko) 2019-10-24 2022-06-20 스미또모 덴꼬오 하드메탈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아몬드 절삭 공구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8098B1 (ko) 201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3732B2 (en) Macrolide antibiotics and treatment of pasteurellosis
TWI523654B (zh) 抗生素巨環化合物以及其製造及使用之方法
KR20230156705A (ko)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및 약학적 조성물
TWI465242B (zh) 咸豐草及聚乙炔化合物之組合物及其用途
JP7236029B2 (ja) 消毒用製剤、並びに消毒方法
CN100343223C (zh) 百里酚或香芹酚的酯类化合物、制备方法及其药物活性组合物
KR101148098B1 (ko) 1-[4-(4-니트로-페녹시)-페닐]-프로판-1-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RU2197237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животных, вызванных бактериями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JPS60231698A (ja) 新規グリコペプチド抗生物質およびその製法
PT2549866T (pt) Composições endoparasiticidas
KR101542882B1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어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46511B1 (ko) 3-(4-메톡시벤질아미노메틸렌)-1,3-디히드로인돌-2-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Z204816A (en) Quinazolinone derivatives and anti-coccidiosis compositions
JP7361439B2 (ja) 防除用製剤、並びに土壌処理方法
KR102187953B1 (ko) 신규 퀴놀리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CN110269859B (zh) 喹噁啉-1,4-二氧类化合物在抗弓形虫感染上的应用
CN111432809B (zh) 二氨基胍衍生物及其饲用组合物在制备兽医用药物中的应用
KR101205713B1 (ko) 1-[2-(4-니트로-페닐)-벤즈옥사졸-5-일]-프로판-1-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포자충 및 콕시디움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18361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프락시딘을포함하는 톡소플라즈마증 치료용 조성물
KR102097598B1 (ko) 다이하이드로퀴놀린 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렴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48643B1 (ko) 항 헬리코박터피로리 작용을 가지는 신규 피리딘 유도체
WO2022139341A1 (ko) 클레마스틴을 포함하는 강박장애, 틱 장애 또는 뚜렛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834444B1 (ko) 물푸레나무로부터 분리된 올레우로페인 화합물을 포함하는톡소플라즈마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CN108096256B (zh) 洋椿苦素在制备抗贝氏隐孢子虫药物中的应用
KR100946466B1 (ko) 엔도페록시드 구조를 갖는 신규 구조의1,5-디페닐-8-메틸-6,7-디옥사-바이시클로[3.2.2]노난베타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플라즈마증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