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0636A -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 - Google Patents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0636A
KR20110120636A KR1020100040128A KR20100040128A KR20110120636A KR 20110120636 A KR20110120636 A KR 20110120636A KR 1020100040128 A KR1020100040128 A KR 1020100040128A KR 20100040128 A KR20100040128 A KR 20100040128A KR 20110120636 A KR20110120636 A KR 20110120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water
level sensor
water level
press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2160B1 (ko
Inventor
이정민
주기동
권기출
박대우
방승훈
이상문
이재석
심영섭
장석후
전세균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0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160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1/00Feed-water supply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 F22D5/26Automatic feed-control systems
    • F22D5/28Automatic feed-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amount of steam withdrawn; responsive to steam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 F22D5/26Automatic feed-control systems
    • F22D5/34Applications of 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이 공급되면 중앙연산 처리부에서 압력센서가 "오프"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가 "온"상태이면 저수위센서 고장 여부 판단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가 "오프"상태이면 저수위센서도 "오프"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저수위센서가 "온"상태이면 초기 단계로 되돌아가고 "오프"상태이면 물 보급장치 제어부를 통해 물 보급장치를 "온"시키는 단계와; 물 보급장치가 "온"되면 저수위센서가 "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저수위센서가 "오프"상태를 유지하면 압력센서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저수위센서가 "온"상태이면 정해진 시간(A분)이 경과될 때까지 계속해서 물을 보충시키며 저수위센서가 "온"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저수위센서가 "온"된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A분)이 경과되면 압력센서가 "온"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가 "온"상태이면 정해진 시간(F분)이 경과될 때까지 계속해서 물을 보충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가 "오프"상태이면 정해진 시간(B분)이 경과될 때까지 계속해서 물을 보충시키며 압력센서가 "온"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각각 정해진 시간(F분) 또는 (B분)이 경과되면 물 보급장치의 구동을 차단하여 대기 차단형 물탱크로의 물 보충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대기 차단형 보일러에 대해서 물탱크 내부에 물이 부족할 경우 자동으로 물탱크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보일러가 정지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가동이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보일러의 사용 또는 조작법에 대한 숙지 부족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고, 또 물탱크 내부 물의 양을 보일러가 가동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항상 적정량이 되도록 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과다 공급(과압)에 따른 제품 파손 또는 물부족에 따른 제품 과열 등의 대해서 제품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 및 각종 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물이 보급되어 물 넘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를 위해 물 보급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Method for automatic water-supplying in boiler having closed type water tank}
본 발명은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대기 차단형(일명 "밀폐형"이라고도 함) 물탱크 내 물부족 상태를 확인한 후 수동으로 물을 보충시켜 주던 것으로 자동으로 보충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시켜 주고, 제품 및 난방 배관 내부에 물이 부족하여 제품이 작동 정지되는 것을 방지시켜 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제품 및 난방 배관 내부의 물의 양을 보일러가 가동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항상 적정량을 공급시켜 주어 과다 공급(과압)에 따른 제품파손 또는 물부족에 따른 제품과열 등에 대한 제품을 보호할 수 있고, 부품 및 각종 센서들의 오작동으로 인한 지속적으로 물이 보충되어 물 넘침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센서의 추가로 제품의 상태를 정확하게 검지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밀폐상태에 따라 대기 개방식과 대기 차단식이 있는데, 이때 대기차단식의 경우 난방 순환수의 흐름 통로가 대기와 밀폐되어 있는 구조로 난방배관의 위치와 관계없이 보일러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 있어서 종래 대기 개방형 보일러의 시운전은 배관의 저수위센서와 만수위센서를 검지하여, 저수위센서가 오프로 검지되면 자동으로 보급수 전자변을 온하여 만수위센서가 온으로 검지 될 때까지 물 보급을 실시하고, 순환펌프를 구동시켜 배관 내 순환수를 순환시켜 배관 내의 공기를 빼며, 저수위센서가 오프로 검지되면 순환펌프를 오프한 후 다시 보급수 전자변을 온하는 것으로 제어동작을 수행하여 시운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기 차단형 보일러는 수동밸브를 조작하여 물 보충을 하고, 또한 저수위센서만 있고 만수위를 검지하는 수단이 없는 관계로, 자동 물 보급 또는 보충이 어려웠고, 이에 따라 저수위센서가 온으로 검지되는 경우에 순환펌프만 가동하여 난방 측과 온수 측의 공기빼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시운전이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 대기 차단형 보일러의 경우 내부 또는 난방 배관에 물이 없을 경우 작동을 정지하고,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물을 보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물부족으로 인하여 보일러의 작동이 정지되었을 때 사용자가 확인 후 수동으로 물 보충을 한 후 보일러를 재작동시켜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이 야기되고, 때에 따라서는 보일러 앞에 물건이 있는 경우는 물을 보급 및 보충하기가 어려운 경우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수동으로 물 보급 및 보충할 때, 물 보급을 소량으로 할 경우 물부족으로 잦은 정지가 발생하며, 물 보급을 과다하게 할 경우는 부품 및 제품의 파손 또는 물 넘침으로 인한 사용자 재산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부품 및 각종 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한 지속적으로 물이 보급될 경우 물 넘침으로 인한 제품의 파손 또는 침수로 인한 사용자의 재산상 피해를 줄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 보일러의 사용 또는 조작법에 대한 숙지 부족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고, 대기 차단형 보일러에 대해서 물탱크 내부에 물이 부족할 경우 자동으로 물탱크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보일러가 정지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가동이 되도록 하며, 또 물탱크 내부 물의 양을 보일러가 가동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항상 적정량이 되도록 물의 양을 조절하여 과다 공급(과압)에 따른 제품 파손 또는 물부족에 따른 제품 과열 등의 대해서 제품을 보호할 수 있고, 또한 부품 및 각종 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물이 보급되어 물 넘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를 위해 물 보급을 차단할 수 있는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방법은, 저수위센서를 통해 대기 차단형 물탱크 내의 저수위를 검지하는 저수위 검지부와; 압력센서를 통해 물탱크 내 압력을 검지하는 수압력 검지부와; 소정의 제어프로그램에 대응하여 보일러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연산 처리부와; 물탱크 내로 연결된 물 보급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물 보급장치 제어부와; 각종 상태정보를 표기해 주는 표시부와; 난방수의 순환을 위해 순환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물순환 제어부와; 난방수 및 온수의 가열에 필요한 연소기능 구동부품에 대한 제어를 하는 연소 제어부;를 구비한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 구성함에 있어서, 전원이 공급되면 중앙연산 처리부에서 압력센서가 "오프"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가 "온"상태이면 저수위센서 고장 여부 판단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가 "오프"상태이면 저수위센서도 "오프"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저수위센서가 "온"상태이면 초기 단계로 되돌아가고 "오프"상태이면 물 보급장치 제어부를 통해 물 보급장치를 "온"시키는 단계와; 물 보급장치가 "온"되면 저수위센서가 "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저수위센서가 "오프"상태를 유지하면 압력센서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저수위센서가 "온"상태이면 정해진 시간(A분)이 경과될 때까지 계속해서 물을 보충시키며 저수위센서가 "온"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저수위센서가 "온"된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A분)이 경과되면 압력센서가 "온"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가 "온"상태이면 정해진 시간(F분)이 경과될 때까지 계속해서 물을 보충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가 "오프"상태이면 정해진 시간(B분)이 경과될 때까지 계속해서 물을 보충시키며 압력센서가 "온"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각각 정해진 시간(F분) 또는 (B분)이 경과되면 물 보급장치의 구동을 차단하여 대기 차단형 물탱크로의 물 보충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저수위센서 고장 여부 판단 서브루틴은, 저수위센서가 "오프"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저수위센서가 "온"상태이면 초기단계로 되돌아가고, "오프"상태이면 물 보급장치를 정해진 시간(C초)씩 "온" 및 "오프"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물 보급장치를 정해진 시간(C초)씩 "온" 및 "오프"시킨 반복횟수가 정해진 횟수(D회)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반복횟수가 정해진 횟수(D회) 미만이면 초기단계로 되돌아가고, 정해진 횟수(D회) 이상이면 다시 저수위센서가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저수위센서가 "온"상태이면 초기단계로 되돌아가고, "오프"상태를 유지하면 표시부 상에 저수위센서가 이상상태임을 표시해 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압력센서 고장 여부 판단 서브루틴은, 압력센서가 "온"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가 "오프"상태이면 저수위센서가 "온"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이전단계로 되돌아가고, "온"상태이면 물 보급장치를 정해진 시간(C초)씩 "오프" 및 "온"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물 보급장치를 정해진 시간(C초)씩 "오프" 및 "온"시킨 반복횟수가 정해진 횟수(D회)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반복횟수가 정해진 횟수(D회) 미만이면 저수위센서가 "온"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이전단계로 되돌아가고, 정해진 횟수(D회) 이상이면 다시 압력센서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가 "오프"상태이면 저수위센서가 "온"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이전단계로 되돌아가고, "온"상태를 유지하면 표시부 상에 압력센서가 이상상태임을 표시해 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물 보충 중 상기 저수위센서가 "오프"상태를 유지하므로 인해 압력센서 고장 여부 판단 서브루틴을 수행하기에 앞서, 물 보급장치가 작동되기 시작된 후 정해진 시간(E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만약 정해진 시간(E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압력센서 고장 여부 판단 서브루틴을 수행하고, 정해진 시간(E분)이 경과되었으면 물 보급장치의 구동을 차단하고 표시부 상에 물 보급장치가 이상상태임을 표시해 주는 단계;를 더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 자동 물 보충방법에 의하면, 대기 차단형 보일러에 대해서 물탱크 내부에 물이 부족할 경우 자동으로 물탱크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보일러가 정지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가동이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보일러의 사용 또는 조작법에 대한 숙지 부족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고, 또 물탱크 내부 물의 양을 보일러가 가동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항상 적정량이 되도록 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과다 공급(과압)에 따른 제품 파손 또는 물부족에 따른 제품 과열 등의 대해서 제품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 및 각종 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물이 보급되어 물 넘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를 위해 물 보급을 차단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의 개략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의 개략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방법은,
저수위센서(1)를 통해 대기 차단형 물탱크 내의 저수위를 검지하는 저수위 검지부(2)와; 압력센서(3)를 통해 물탱크 내 압력을 검지하는 수압력 검지부(4)와; 소정의 제어프로그램에 대응하여 보일러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연산 처리부(5)와; 물탱크 내로 연결된 물 보급장치(6)의 구동을 제어하는 물 보급장치 제어부(7)와; 각종 상태정보를 표기해 주는 표시부(8)와; 난방수의 순환을 위해 순환펌프(9)의 구동을 제어하는 물순환 제어부(10)와; 난방수 및 온수의 가열에 필요한 연소기능 구동부품에 대한 제어를 하는 연소 제어부(11);를 구비한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 구성함에 있어서,
전원이 공급되면 중앙연산 처리부(5)에서 압력센서(3)가 "오프"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3)가 "온"상태이면 저수위센서 고장 여부 판단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단계(S2)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3)가 "오프"상태이면 저수위센서(1)도 "오프"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저수위센서(S3)가 "온"상태이면 초기 단계로 되돌아가고 "오프"상태이면 물 보급장치 제어부(7)를 통해 물 보급장치(6)를 "온"시키는 단계(S4)와;
물 보급장치(6)가 "온"되면 저수위센서(1)가 "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5)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저수위센서(1)가 "오프"상태를 유지하면 압력센서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단계(S6)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저수위센서(1)가 "온"상태이면 정해진 시간(A분; 예를 들어 1분)이 경과될 때까지 계속해서 물을 보충시키며 저수위센서(1)가 "온"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5)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S7)와;
상기에서 저수위센서(1)가 "온"된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A분)이 경과되면 압력센서(3)가 "온"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8)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3)가 "온"상태이면 정해진 시간(F분; 예를 들어 1분))이 경과될 때까지 계속해서 물을 보충시키는 단계(S9)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3)가 "오프"상태이면 정해진 시간(B분; 예를 들어 2분)이 경과될 때까지 계속해서 물을 보충시키며 압력센서(3)가 "온"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8)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S10)와;
상기에서 각각 정해진 시간(F분) 또는 (B분)이 경과되면 물 보급장치(6)의 구동을 차단하여 대기 차단형 물탱크로의 물 보충을 종료하는 단계(S1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저수위센서 고장 여부 판단 서브루틴(S2)은,
저수위센서(1)가 "오프"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1)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저수위센서(1)가 "온"상태이면 초기단계(S1)로 되돌아가고, "오프"상태이면 물 보급장치(6)를 정해진 시간(C초; 예를 들어 5초)씩 "온" 및 "오프"시키는 단계(S22,S23)와;
상기에서 물 보급장치(6)를 정해진 시간(C초)씩 "온" 및 "오프"시킨 반복횟수가 정해진 횟수(D회; 예를 들어 5회)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4)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반복횟수가 정해진 횟수(D회) 미만이면 초기단계(S1)로 되돌아가고, 정해진 횟수(D회) 이상이면 다시 저수위센서(1)가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5)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저수위센서(1)가 "온"상태이면 초기단계(S1)로 되돌아가고, "오프"상태를 유지하면 표시부(8) 상에 저수위센서(1)가 이상상태임을 표시해 주는 단계(S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압력센서 고장 여부 판단 서브루틴(S6)은,
압력센서(3)가 "온"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1)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3)가 "오프"상태이면 저수위센서(1)가 "온"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이전단계(S5)로 되돌아가고, "온"상태이면 물 보급장치(6)를 정해진 시간(C초)씩 "오프" 및 "온"시키는 단계(S62,S63)와;
상기에서 물 보급장치(6)를 정해진 시간(C초)씩 "오프" 및 "온"시킨 반복횟수가 정해진 횟수(D회)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4)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반복횟수가 정해진 횟수(D회) 미만이면 저수위센서(1)가 "온"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이전단계(S5)로 되돌아가고, 정해진 횟수(D회) 이상이면 다시 압력센서(3)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65)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3)가 "오프"상태이면 저수위센서(1)가 "온"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이전단계(S5)로 되돌아가고, "온"상태를 유지하면 표시부(8) 상에 압력센서(3)가 이상상태임을 표시해 주는 단계(S6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물 보충 중 상기 저수위센서(1)가 "오프"상태를 유지하므로 인해 압력센서 고장 여부 판단 서브루틴(S6)을 수행하기에 앞서, 물 보급장치(6)가 작동되기 시작된 후 정해진 시간(E분; 예를 들어 5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2)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정해진 시간(E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압력센서 고장 여부 판단 서브루틴(S6)을 수행하고, 정해진 시간(E분)이 경과되었으면 물 보급장치(6)의 구동을 차단하고 표시부(8) 상에 물 보급장치(6)가 이상상태임을 표시해 주는 단계(S13);를 더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 방법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위센서(1)를 통해 대기 차단형 물탱크 내의 저수위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지하여 중앙연산 처리부(5)로 전달하는 저수위 검지부(2)와, 압력센서(3)를 통해 물탱크 내 압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검지하에 중앙연산 처리부(5)로 전달하는 수압력 검지부(4), 소정의 제어프로그램을 수행하며 보일러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연산 처리부(5), 상기 중앙연산 처리부(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물탱크 내로 연결된 물 보급장치(6)의 구동을 제어하는 물 보급장치 제어부(7), 상기 중앙연산 처리부(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각종 상태정보를 표기해 주는 표시부(8), 상기 중앙연산 처리부(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난방수의 순환을 위해 순환펌프(9)의 구동을 제어하는 물순환 제어부(10) 및, 상기 중앙연산 처리부(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난방수 및 온수의 가열에 필요한 연소기능 구동부품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연소 제어부(11)를 구비하게 된다.
이하에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보일러에 대한 자동 물 보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일러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중앙연산 처리부(5)에서는 수압력 검지부(4)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대기 차단형 물탱크 내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센서(3)가 "오프"상태(즉, 대기 차단형 물탱크 내의 수위가 만수위 이하)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1).
이와 같이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3)가 "온"상태(즉, 만수위로 인해 압력센서(3)가 "온"되어 있는 상태)이면 저수위센서 고장 여부 판단 서브루틴을 수행하게 된다(S2).
이때, 상기 저수위센서 고장 여부 판단 서브루틴(S2)에서는 먼저, 저수위센서(1)가 "오프"상태인지를 판단(S21)하게 되는데, 그 결과 저수위센서(1)가 "온"상태(즉, 압력센서(3)와 저수위센서(1)가 모두 "온"상태이면 양 센서가 모두 정상상태이고 물탱크 내 수위 역시 만수위 상태)이면 초기단계(S1)로 되돌아가고, 압력센서(3)는 만수위를 나타내는 "온"상태인데 저수위센서(1)는 "오프"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면 물 보급장치(6)를 정해진 시간(C초; 예를 들어 5초)씩 "온"(S22) 및 "오프"(S23)시키면서 물탱크 내 물을 흔들어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 보급장치(6)를 정해진 시간(C초)씩 "온" 및 "오프"시킨 다음 반복횟수가 정해진 횟수(D회; 예를 들어 5회) 이상인지를 판단(S24)하여 만약 반복횟수가 정해진 횟수(D회) 미만이면 초기단계(S1)로 되돌아가 다시 압력센서(3)와 저수위센서(1)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와 같은 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면 계속해서 물 보급장치(6)를 정해진 시간(C초) 간격을 두고 반복해서 "온" 및 "오프"시키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되, 물 보급장치(6)를 정해진 시간(C초)씩 "온" 및 "오프"시키는 과정을 정해진 횟수(D회) 이상 실시했으면 다시 저수위센서(1)가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25).
이와 같이 물 보급장치(6)를 정해진 시간(C초)씩 "온" 및 "오프"시키는 과정을 정해진 횟수(D회) 이상 실시한 후 저수위센서(1)의 상태를 확인해본 결과 "온"상태이면 저수위센서(1)도 정상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초기단계(S1)로 되돌아가고, 물 보급장치(6)를 정해진 시간(C초)씩 "온" 및 "오프"시키는 과정을 정해진 횟수(D회) 이상 실시했는데도 불구하고 "오프"상태를 유지하면 저수위센서(1)가 고장 등과 같은 이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와 같은 상태를 표시부(8) 상에 표시(S26)해 줌으로써 사용자 또는 보일러의 점검자가 대기 차단형 물탱크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저수위센서(1)에서 이상현상이 발생되었음을 육안을 통해 쉽게 인지하고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초기 단계(S1)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3)가 "오프"상태이면 일단 만수위상태는 아닌 것으로 인식하고 물탱크 내 수위가 저수위 상태이어서 물을 보충시켜 주어야만 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저수위센서(1)도 "오프"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3).
이와 같이 판단한 결과 저수위센서(S3)가 "온"상태이면 일단 물탱크 내 수위가 저수위는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초기 단계로 되돌아가고, "오프"상태이면 물탱크 내 수위가 저수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중앙연산 처리부(5)에서는 물 보급장치 제어부(7)를 통해 물 보급장치(6)를 "온"시켜 물탱크로의 물 보충일 시작하게 된다(S4).
이와 같이 물 보급장치(6)가 구동되기 시작하여 물탱크 내로의 물 보충이 실시되기 시작하면 상기 중앙연산 처리부(5)에서는 저수위 검지부(2)의 출력신호를 계속 입력받아 저수위센서(1)가 "온"되는지를 판단(S5)하여 만약 계속해서 저수위센서(1)가 "오프"상태를 유지하면 압력센서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서브루틴을 수행하게 된다(S6).
이때, 상기 압력센서 고장 여부 판단 서브루틴(S6)에서는 먼저, 상기와 같이 저수위센서(1)가 "오프"상태를 유지하는 가운데 압력센서(3)도 "온"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61).
그 결과 압력센서(3)도 "오프"상태이면 물을 계속해서 보충시켜 주는 상태를 유지하며 저수위센서(1)가 "온"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이전단계(S5)로 되돌아가고, 이와 반대로 상기 압력센서(3)가 "온"상태이면 일단 저수위센서(1)에는 이상이 없는데 압력센서(3)에 이상이 발생되어 "온"상태가 유지되고 있는지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작동중인 물 보급장치(6)를 정해진 시간(C초; 예를 들어 5초) 동안 "오프"(S62)시켰다가 다시 정해진 시간(C초; 예를 들어 5초) 동안 "온"(S63)시켜 주며 물탱크 내의 물을 흔들어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 보급장치(6)를 정해진 시간(C초)씩 "오프" 및 "온"시킨 다음 반복횟수가 정해진 횟수(D회; 예를 들어 5회) 이상인지를 판단(S64)하여 만약 반복횟수가 정해진 횟수(D회) 미만이면 이전단계(S5)로 되돌아가 다시 저수위센서(1)와 압력센서(3)의 상태를 순차적으로 판단하여, 상기와 같은 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면 계속해서 물 보급장치(6)를 정해진 시간(C초) 간격을 두고 반복해서 "오프" 및 "온"시켜 주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되, 물 보급장치(6)를 정해진 시간(C초)씩 "오프" 및 "온"시키는 과정을 정해진 횟수(D회) 이상 실시했으면 다시 압력센서(3)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65).
이와 같이 물 보급장치(6)를 정해진 시간(C초)씩 "오프" 및 "온"시켜 주는 과정을 정해진 횟수(D회) 이상 실시한 후 다시 압력센서(3)의 상태를 확인해본 결과 "오프"상태이면 압력센서(3)가 정상 작동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전단계(S5)로 되돌아가고, 물 보급장치(6)를 정해진 시간(C초)씩 "오프" 및 "온"시키는 과정을 정해진 횟수(D회) 이상 실시했는데도 불구하고 "온"상태를 유지하면 압력센서(3)가 고장 등과 같은 이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와 같은 상태를 표시부(8) 상에 표시(S66)해 줌으로써 사용자 또는 보일러의 점검자가 대기 차단형 물탱크 내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센서(3)에서 이상현상이 발생되었음을 육안을 통해 쉽게 인지하고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물 보급장치(6)를 작동시킨 후 저수위센서(1)의 상태를 확인(S5)해본 결과 저수위센서(1)가 "온"상태(즉, 압력센서(3)는 "오프"상태를 유지하는 가운데 저수위센서(1)가 "온"상태로 전환된 상태)이면 정해진 시간(A분; 예를 들어 1분)이 경과될 때까지 계속해서 물 보충을 더 시켜 준 다음 그래도 저수위센서(1)가 "온"된 상태인지를 유지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이전단계(S5)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S7).
이와 같이 저수위센서(1)가 "온"된 상태 이후 지속시킨 물 보충시간이 정해진 시간(A분)을 경과하게 되면 상기 중앙연산 처리부(5)에서는 물탱크 내의 수위가 만수위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압력센서(3)가 "온"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8).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3)가 "온"상태이면 대기 차단형 물탱크 내의 수위가 완전한 만수위를 갖도록 정해진 시간(F분; 예를 들어 1분)이 경과될 때까지 계속해서 물을 더 보충시켜 주게 된다(S9).
그러나,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저수위센서(1)와 압력센서(3)가 정상작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저수위가 검지되어 물 보급장치(6)를 구동시켜 물탱크 내로의 물 보충을 정상적으로 시킴으로 인해 저수위센서(1)가 "온"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압력센서(3)가 "온"되지 않고 "오프"상태를 유지하면(즉, S8에서 No) 수압이 약하여 비록 물 보충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압력센서(3)가 "온"되지 않고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정해진 시간(B분; 예를 들어 2분)이 경과될 때까지 계속해서 물 보충을 더 시켜 주며 압력센서(3)가 "온"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8)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S10).
상기와 같이 저수위센서(1)가 "온"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1분 경과 후에 압력센서(3)가 "온"되었거나 계속해서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물 보충을 각각 정해진 시간(F분; 예를 들어 1분)(B분; 예를 들어 2분) 동안 더 실시한 후에는 물 보급장치(6)의 구동을 차단하여 대기 차단형 물탱크로의 물 보충을 종료하게 된다(S11).
상기에 있어서 특히 저수위센서(1)가 "온"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압력센서(3)가 "온"되지 않고 "오프"상태를 유지(즉, S8에서 No)하는데도 불구하고 비교적 긴 시간(B분; 예를 들어 2분) 동안 계속해서 물탱크 내로 물을 보충시켜 줌으로써 비록 수압이 약하여 압력센서(3)가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하더라도 비교적 긴 시간 동안 물을 더 보충시켜 줌으로써 수압에 무관하게 대기 차단형 물탱크로의 물 보충은 충분히 이루어지게 되어 보일러를 통한 난방수 및 온수 공급에는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대기 차단형 물탱크 내로 물을 보충시키던 중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저수위센서(1)가 "오프"상태를 유지하므로 인해 압력센서 고장 여부 판단 서브루틴(S6)을 수행하기에 앞서, 물 보급장치(6)가 작동되기 시작된 후 정해진 시간(E분; 예를 들어 5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2);를 더 실시하도록 하여, 만약 정해진 시간(E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압력센서 고장 여부 판단 서브루틴(S6)을 계속 수행하고, 정해진 시간(E분)이 경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전에 검지한 결과 정상상태로 판단된 저수위센서(1)와 압력센서(3)가 물 보충에도 불구하고 "오프"상태를 유지하면 물 보급장치(6)에 이상이 발생되어 물 보충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물 보급장치(6)의 구동을 차단하고 표시부(8) 상에 물 보급장치(6)가 이상상태임을 표시해 주게 된다(S13).
따라서, 사용자 또는 보일러의 점검자가 대기 차단형 물탱크 내에 물이 자동으로 보충되지 않는 이유가 물 보급장치(6)의 이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육안을 통해 쉽게 인지하고 물 보급장치에 대한 필요 조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 정해진 시간(A-C, E, F)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1분, 2분, 5초, 5분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보일러의 열량이나 난방 및 온수 부하 량 등에 따라 변형 가능하고, 또한 정해진 반복횟수(D) 역시 5회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 또는 보일러 설치시 임의의 값으로 변경시킨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저수위센서 2 : 저수위 검지부
3 : 압력센서 4 : 수압력 검지부
5 : 중앙연산 처리부 6 : 물 보급장치
7 : 물 보급장치 제어부 8 : 표시부
9 : 순환펌프 10 : 물순환 제어부
11 : 연소 제어부

Claims (5)

  1. 저수위 검지부와 수압력 검지부, 중앙연산 처리부, 물 보급장치 제어부, 표시부, 물순환 제어부 및 연소 제어부;를 구비한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 구성함에 있어서,
    전원이 공급되면 중앙연산 처리부에서 압력센서가 "오프"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가 "온"상태이면 저수위센서 고장 여부 판단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가 "오프"상태이면 저수위센서도 "오프"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저수위센서가 "온"상태이면 초기 단계로 되돌아가고 "오프"상태이면 물 보급장치 제어부를 통해 물 보급장치를 "온"시키는 단계와;
    물 보급장치가 "온"되면 저수위센서가 "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저수위센서가 "오프"상태를 유지하면 압력센서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저수위센서가 "온"상태이면 정해진 시간(A분)이 경과될 때까지 계속해서 물을 보충시키며 저수위센서가 "온"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저수위센서 "온"후 정해진 시간(A분)이 경과되면 물 보급장치의 구동을 차단하여 대기 차단형 물탱크로의 물 보충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물 보충으로 인해 저수위센서가 "온"된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A분)이 경과되면 압력센서가 "온"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가 "온"상태이면 정해진 시간(F분)이 경과될 때까지 계속해서 물을 보충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가 "오프"상태이면 정해진 시간(B분)이 경과될 때까지 계속해서 물을 보충시키며 압력센서가 "온"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각각 정해진 시간(F분) 또는 (B분)이 경과되면 물 보급장치의 구동을 차단하여 대기 차단형 물탱크로의 물 보충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수위센서 고장 여부 판단 서브루틴은,
    저수위센서가 "오프"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저수위센서가 "온"상태이면 초기단계로 되돌아가고, "오프"상태이면 물 보급장치를 정해진 시간(C초)씩 "온" 및 "오프"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물 보급장치를 정해진 시간(C초)씩 "온" 및 "오프"시킨 반복횟수가 정해진 횟수(D회)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반복횟수가 정해진 횟수(D회) 미만이면 초기단계로 되돌아가고, 정해진 횟수(D회) 이상이면 다시 저수위센서가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저수위센서가 "온"상태이면 초기단계로 되돌아가고, "오프"상태를 유지하면 표시부 상에 저수위센서가 이상상태임을 표시해 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 고장 여부 판단 서브루틴은,
    압력센서가 "온"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가 "오프"상태이면 저수위센서가 "온"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이전단계로 되돌아가고, "온"상태이면 물 보급장치를 정해진 시간(C초)씩 "오프" 및 "온"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물 보급장치를 정해진 시간(C초)씩 "오프" 및 "온"시킨 반복횟수가 정해진 횟수(D회)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반복횟수가 정해진 횟수(D회) 미만이면 저수위센서가 "온"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이전단계로 되돌아가고, 정해진 횟수(D회) 이상이면 다시 압력센서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압력센서가 "오프"상태이면 저수위센서가 "온"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이전단계로 되돌아가고, "온"상태를 유지하면 표시부 상에 압력센서가 이상상태임을 표시해 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물 보충 중 상기 저수위센서가 "오프"상태를 유지하므로 인해 압력센서 고장 여부 판단 서브루틴을 수행하기에 앞서, 물 보급장치가 작동되기 시작된 후 정해진 시간(E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만약 정해진 시간(E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압력센서 고장 여부 판단 서브루틴을 수행하고, 정해진 시간(E분)이 경과되었으면 물 보급장치의 구동을 차단하고 표시부 상에 물 보급장치가 이상상태임을 표시해 주는 단계;를 더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
KR1020100040128A 2010-04-29 2010-04-29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 KR101172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128A KR101172160B1 (ko) 2010-04-29 2010-04-29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128A KR101172160B1 (ko) 2010-04-29 2010-04-29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636A true KR20110120636A (ko) 2011-11-04
KR101172160B1 KR101172160B1 (ko) 2012-08-07

Family

ID=45391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128A KR101172160B1 (ko) 2010-04-29 2010-04-29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1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158B1 (ko) * 2012-07-23 2014-03-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압력계 지시값을 이용한 밀폐형 보일러의 물 보충장치
KR101579442B1 (ko) * 2014-07-23 2015-12-2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중화기 수위센서를 이용한 콘덴싱 보일러의 오버플로우 방지방법
KR101990857B1 (ko) 2017-12-20 2019-06-1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물 보급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1671B2 (ja) 2003-04-22 2008-04-02 株式会社サムソン ボイラの水位制御装置
KR100682253B1 (ko) 2006-04-21 2007-02-1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158B1 (ko) * 2012-07-23 2014-03-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압력계 지시값을 이용한 밀폐형 보일러의 물 보충장치
KR101579442B1 (ko) * 2014-07-23 2015-12-2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중화기 수위센서를 이용한 콘덴싱 보일러의 오버플로우 방지방법
KR101990857B1 (ko) 2017-12-20 2019-06-1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물 보급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160B1 (ko)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91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 error in the measurement of a water level in a washing machine
KR101172160B1 (ko)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
JP2011191039A (ja) 貯湯式給湯機システム
JP3725693B2 (ja) 配管の漏水検査方法並びに給湯システム
JP2015137818A (ja) 熱源機および風呂装置
JP6284867B2 (ja) 給湯装置
JP5181734B2 (ja) 貯湯式給湯機
JP2007255741A (ja) 給湯暖房熱源機
KR100665849B1 (ko) 히터 과열방지장치
KR101990857B1 (ko)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물 보급 제어방법
KR101172162B1 (ko)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시운전방법
KR20150031429A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2282207B1 (ko) 식기세척기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H07217992A (ja) 電気温水器
JP2013242091A (ja) 貯湯式給湯機
JP6066563B2 (ja) 給湯装置
KR100705921B1 (ko)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구동부 불량검출장치
KR101691130B1 (ko)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시운전방법
JP3827088B2 (ja) 暖房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0646337B1 (ko) 보일러의 누수 감지방법
KR20170013458A (ko) 보일러 내 완전동결 판단 및 그에 따른 동결방지 운전제어방법
JP2010156480A (ja) 燃焼機器
JP2009192189A (ja) 風呂湯張り機能付き給湯機
KR100693732B1 (ko)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
KR102479627B1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