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253B1 -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253B1
KR100682253B1 KR1020060036418A KR20060036418A KR100682253B1 KR 100682253 B1 KR100682253 B1 KR 100682253B1 KR 1020060036418 A KR1020060036418 A KR 1020060036418A KR 20060036418 A KR20060036418 A KR 20060036418A KR 100682253 B1 KR100682253 B1 KR 100682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plenishment
switch
water level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이진우
박대우
권기출
이황의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6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8Level sensors, e.g. water level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은,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이 간단한 스위치의 온/오프 조작으로 가능하도록 하여, 기존 회전식 밸브의 조작에 따른 불편함을 개선함은 물론, 스위치의 온으로부터 물보충이 이루어질 때 그 물보충 시간의 제한을 통해 자동으로 물보충을 중지시켜 물보충이 과다하게 이루어지면서 초래되는 물 넘침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밀폐형 보일러, 저수위센서, 물보충 스위치, 보급수 전자변

Description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Device of Controlling Water Supplying of Closed Type Boiler and Method of Contoll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장치에 대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저수위센서 20; 물보충 스위치
30; 마이컴 40; 보급수 전자변
본 발명은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형 보일러의 순환수 공급이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개방형 보일러는 배관의 저수위 센서(저수위 전극봉)와 물탱크의 만수위 센서(만수위 전극봉)에서 검지되는 신호 즉, 저수위센서가 오프로 검지되면 연소를 정지하고, 자동으로 보급수 전자변을 온하여 만수위 센서가 검지될 때까지 물보충을 하는 자동 물보충 기능을 가진다.
반면, 밀폐형 보일러는 저수위센서가 있고, 만수위를 검지하는 수단이 없는 관계로, 자동 물보충에 어려움이 있고, 이에따라 수동 물보충만을 실시할 수 밖에 없었다.
즉, 종래의 밀폐형 보일러는 직수측 배관에 부착된 회전식 밸브를 직접 회전시켜 물 보충이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물보충을 할 때마다 보일러 아래에 부착된 조그만 밸브를 돌리는데 상당한 불편함이 있고, 상기의 밸브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고착으로 인해 밸브의 회전이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너무 자주 사용할 경우에는 밸브의 연결상태가 불량해지면서 누수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이 간단한 스위치의 온/오프 조작으로 가능하도록 하여, 기존 회전식 밸브의 조작에 따른 불편함을 개선함은 물론, 스위치의 온으로부터 물보충이 이루어질 때 그 물보충 시간의 제한을 통해 자동으로 물보충을 중지시켜 물보충이 과다하게 이루어지면서 초래되는 물 넘침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장치는,
물탱크의 공급배관에 설치되어 저수위 상태를 검지하는 저수위센서;
사용자에 의해 온/오프가 수동 조작되는 물보충 스위치;
상기 저수위센서의 오프 검지시 사용자에 의한 상기 물보충 스위치의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저수위 에러 검출신호를 출력하고, 물보충 스위치의 온 조작으로부터 물보충시 물보충 에러를 검출하는 마이컴; 및,
상기 물보충 스위치의 온 동작으로부터 마이컴에서 물보충 제어신호를 출력시 구동하여 물탱크로 물보충을 실시하는 보급수 전자변; 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물보충 제어방법은,
보급수 전자변이 오프인 상태에서 물보충 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인가를 검지하는 단계;
상기 물보충 스위치가 오프이고, 저수위센서의 오프 검지시간이 일정시간을 경과하면 저수위 에러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물보충 스위치의 온으로부터 보급수 전자변이 온되면 저수위센서가 온 또는 오프인지를 검지하는 단계;
상기 검지된 저수위센서가 오프이면 그 오프 검지시간이 설정된 일정시간을 경과하였는가를 체크하고 그 체크시간에 따라 보급수 전자변을 오프시킨 후 물보급 에러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검지된 저수위센서가 온이면 물보충의 시간을 체크하고 그 체크된 시간이 설정된 물보충 제한시간을 경과하는 경우 보급수 전자변을 오프시켜 물보충을 중지하고, 경과하지 않으면 보급수 전자변의 온 상태를 유지하여 물보충을 계속 진행시키는 단계; 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물보충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저수위센서의 오프 검지시간이 설정된 일정시간을 경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급수 전자변을 오프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진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물보충 스위치의 조작실수나 고장인 상태에서 저수위센서의 온 상태가 일정시간동안 검지되면 보급수 전자변을 오프하여 물보충을 차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진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물보충스위치에 의한 물보충은 물보충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온 상태로 수동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장치에 대한 블럭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장치는, 저수위센서(10), 물보충 스위치(20), 마이컴(30), 그리고 보급수 전자변(40)를 포함한다.
상기 저수위센서(10)는 배관에 물이 비었는지 또는 차있는지를 감지한 후 이를 마이컴(30)에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물 공급로의 일단에 마련된 저수위 전극포트에 설치된다.
상기 물보충 스위치(20)는 보급수 전자변(40)를 개방시켜 물탱크로의 물보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수동 조작되는 것으로, 상기 물탱크의 일단에 마련된다.
상기 마이컴(30)은 저수위센서(10)의 온/오프 검지시간은 물론, 상기 물보충 스위치(20)의 온 조작신호에 따라 보급수 전자변(4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으로, 저수위 에러와 물보충 에러를 판정하고 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경보음의 출력을 제어한다.
상기 보급수 전자변(40)은 상기 마이컴(30)의 제어를 받아 물탱크로의 물보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온/오프 구동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일러의 전원 온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저수위 센서(10)가 오프되어 물탱크로의 물보충이 필요로 하는 경우, 마이컴(30)은 물보충 스위치(20)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검지한다.
이때, 상기 물보충 스위치(20)가 오프된 상태에서, 저수위센서(10)의 오프 검지시간이 일정시간을 경과하는 경우, 상기 마이컴(30)은 저수위 에러로 판정한 후 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음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물보충 스위치(20)가 오프된 상태에서 저수위센서(10)의 오프 검지시간이 설정된 일정시간을 경과하지 않을 경우, 상기 마이컴(30)은 보급수 전자변(40)을 오프시키는 제어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의 경보음으로부터 물보충 스위치(20)를 온으로 수동 조작하는 경우, 상기 물보충 스위치(20)의 온으로부터 마이컴(30)은 보급수 전자변(40)을 온시켜 물탱크로의 물보충을 진행시킨다.
이때, 상기의 물보충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도 저수위센서(10)가 오프로 검지되는 경우, 상기 마이컴(30)은 상기 오프의 검지시간이 설정된 일정시간을 경과하였는가를 체크하게 되는 바,
상기의 체크시간을 경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급수 전자변(40)을 계속 온시키고, 상기의 체크시간을 경과할 경우에는 상기 마이컴(30)이 보급수 전자변(40)을 오프시킨 후 보급수 전자변(40)의 고장 또는 단수 또는 누수에 의한 물보급 에러임을 판정한 후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보음 출력의 제어동작을 진행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의 물보충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저수위센서(10)가 온으로 검지되면, 상기 마이컴(30)은 물보충의 시간을 체크하고 그 체크된 시간이 설정된 물보충 제한시간을 경과하는 경우 보급수 전자변(40)을 오프시켜 물보충을 중지시킨다.
반면, 상기의 설정된 물보충 제한시간을 경과하지 않을 경우, 상기 마이 컴(30)은 보급수 전자변(40)의 온 상태를 계속 유지시켜 물탱크로의 물보충을 계속 진행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의 조작실수로 물보충 스위치(20)가 온 상태로 계속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물보충 스위치(20)가 온 된 상태에서 고장되는 경우, 상기 마이컴(30)은 보급수 전자변(40)을 강제적으로 오프시켜 물보충을 강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물이 넘쳐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물보충스위치(20)에 의한 물보충은 상기 물보충스위치(20)가 오프된 상태에서 온 상태로 수동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가능할뿐,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실수로 물보충 스위치(20)가 온 된 상태에서 정전이 발생하거나, 또는 물보충 스위치(20)가 온 된 상태에서 고장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온 된 물보충 스위치(20)를 오프시킨 후 다시 온 시켜야만 이를 마이컴(30)이 검지하여 보급수 전자변(40)을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이 간단한 스위치의 온/오프 조작으로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이를 통해 기존 회전식 밸브의 조작에 따른 불편함을 개선함은 물론, 스위치의 온으로부터 물보충이 이루어질 때 그 물보충 시간의 제한을 통해 자동으로 물보충을 중지시켜 물보충이 과다하게 이루어지면서 초래되는 물 넘침의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5)

  1. 물탱크의 공급배관에 설치되어 저수위 상태를 검지하는 저수위센서;
    사용자에 의해 온/오프가 수동 조작되는 물보충 스위치;
    상기 저수위센서의 오프 검지시 사용자에 의한 상기 물보충 스위치의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저수위 에러 검출신호를 출력하고, 물보충 스위치의 온 조작으로부터 물보충시 물보충 에러를 검출하는 마이컴; 및,
    상기 물보충 스위치의 온 동작으로부터 마이컴에서 물보충 제어신호를 출력시 구동하여 물탱크로 물보충을 실시하는 보급수 전자변; 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장치.
  2. 보급수 전자변이 오프인 상태에서 물보충 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인가를 검지하는 단계;
    상기 물보충 스위치가 오프이고, 저수위센서의 오프 검지시간이 일정시간을 경과하면 저수위 에러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물보충 스위치의 온으로부터 보급수 전자변이 온되면 저수위센서가 온 또는 오프인지를 검지하는 단계;
    상기 검지된 저수위센서가 오프이면 그 오프 검지시간이 설정된 일정시간을 경과하였는가를 체크하고 그 체크시간에 따라 보급수 전자변을 오프시킨 후 물보급 에러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검지된 저수위센서가 온이면 물보충의 시간을 체크하고 그 체크된 시간이 설정된 물보충 제한시간을 경과하는 경우 보급수 전자변을 오프시켜 물보충을 중지하고, 경과하지 않으면 보급수 전자변의 온 상태를 유지하여 물보충을 계속 진행시키는 단계; 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보충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저수위센서의 오프 검지시간이 설정된 일정시간을 경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급수 전자변을 오프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보충 스위치의 조작실수나 고장인 상태에서 저수위센서의 온 상태가 일정시간동안 검지되면 보급수 전자변을 오프하여 물보충을 차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보충스위치에 의한 물보충은 물보충스위치가 오프 된 상태에서 온 상태로 수동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방법.
KR1020060036418A 2006-04-21 2006-04-21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82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418A KR100682253B1 (ko) 2006-04-21 2006-04-21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418A KR100682253B1 (ko) 2006-04-21 2006-04-21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253B1 true KR100682253B1 (ko) 2007-02-15

Family

ID=38106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418A KR100682253B1 (ko) 2006-04-21 2006-04-21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2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731B1 (ko) * 2006-06-21 2007-03-1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및 그 방법
KR100693730B1 (ko) * 2006-06-21 2007-03-1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
KR101172160B1 (ko) 2010-04-29 2012-08-0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
CN105004059A (zh) * 2015-06-29 2015-10-28 叶秀兰 一种热水器控制系统
KR101990857B1 (ko) 2017-12-20 2019-06-1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물 보급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696B1 (ko) * 1995-08-28 1999-02-18 배순훈 자동보충수 밸브 제어 방법
KR200188229Y1 (ko) 2000-02-09 2000-07-15 주식회사롯데기공 가스보일러의 시운전장치
KR100291489B1 (ko) 1998-12-31 2001-06-01 김우련 가스보일러의 시운전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696B1 (ko) * 1995-08-28 1999-02-18 배순훈 자동보충수 밸브 제어 방법
KR100291489B1 (ko) 1998-12-31 2001-06-01 김우련 가스보일러의 시운전방법 및 장치
KR200188229Y1 (ko) 2000-02-09 2000-07-15 주식회사롯데기공 가스보일러의 시운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731B1 (ko) * 2006-06-21 2007-03-1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및 그 방법
KR100693730B1 (ko) * 2006-06-21 2007-03-1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
KR101172160B1 (ko) 2010-04-29 2012-08-0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
CN105004059A (zh) * 2015-06-29 2015-10-28 叶秀兰 一种热水器控制系统
KR101990857B1 (ko) 2017-12-20 2019-06-1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물 보급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253B1 (ko)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287469A1 (en) Pump operated plumbing fixtures with overflow detection
JP6932788B2 (ja) 燃料タンク内の燃料を供給するための方法及び組立体
WO2018036548A1 (zh) 液体投放装置及洗衣机
JP2008045788A (ja) 蒸気調理器
KR200450438Y1 (ko) 수위감지 센서를 이용한 펌프 구동장치
JP6213895B2 (ja) 水洗大便器
KR20170055377A (ko) 수중운동체용 자흡식 펌프의 마중물 유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043777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101172160B1 (ko)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
KR100682252B1 (ko)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46335B1 (ko) 보일러의 단수 감지방법
KR200378107Y1 (ko) 가습기의 자동 물보충 장치
KR100646337B1 (ko) 보일러의 누수 감지방법
CN210030124U (zh) 管线机及净水器
JP2006349210A (ja) ボイラ用薬品注入装置
JP2010091207A (ja) 風呂自動機能付き給湯機
KR100682250B1 (ko)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누수 검지 장치 및 방법
TWI643689B (zh) 線切割機水箱的自動補離子水系統
JP5374928B2 (ja) 燃焼器の燃料供給装置
KR100693732B1 (ko)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
KR100693730B1 (ko)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
JP2001263818A (ja) 給湯装置
CN107023053B (zh) 一种具有双液位进补水功能的控制水箱
JP2002233688A (ja) 全自動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