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731B1 -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731B1
KR100693731B1 KR1020060055939A KR20060055939A KR100693731B1 KR 100693731 B1 KR100693731 B1 KR 100693731B1 KR 1020060055939 A KR1020060055939 A KR 1020060055939A KR 20060055939 A KR20060055939 A KR 20060055939A KR 100693731 B1 KR100693731 B1 KR 100693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sensor
receivers
water flow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이진우
박대우
권기출
이황의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5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은, 물 보충을 위한 급수라인에 복수의 수전자변을 직렬로 연결하여, 복수의 수전자변 중 어느 하나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수류센서에 의해 물 흐름이 감지될 때 다른 하나의 수전자변에 대한 고장을 검출하고 그 검출상태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통보하여 불필요한 물보급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방지하면서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더욱더 향상시키는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일러, 수류센서, 수전자변, 물보충 급수라인

Description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 및 그 방법{Device of Detecting Error of Automatic Water Supplying Pipe and Method of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수전자변 불량검출장치가 적용되는 보일러의 원리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검출장치에 대한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검출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물탱크 5a,5b; 제 1,2 수전자변
8 ; 물보충 급수라인 11; 만수위센서
12; 저수위센서 13a,13b; 제 1,2 수전자변 구동부
14; 타임비교부 15; 비교연산부
16; 수류센서 17; 제어부
18; 경고부
본 발명은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에 대한 불량상태를 검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물보급밸브인 수전자변의 고장시 이를 검지한 후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물탱크로 공급되는 물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만수위센서, 배관에 물이 비었는지 또는 차있는지를 감지하는 저수위센서, 그리고 상기 만수위센서와 저수위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물탱크로의 물 공급과 차단을 위해 자동으로 온/오프되는 자동물보급밸브인 수전자변을 포함한다.
즉, 종래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는 저수위센서가 오프시 물탱크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수전자변이 온되어 물탱크로 물을 보충하고, 만수위센서가 온되면 수전자변이 오프되어 물탱크로의 물 보충을 중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보일러는 수전자변의 고장 발생시 그 고장상태를 인식하는 기능이 없는 관계로, 수전자변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계속적으로 물탱크에 물 보충이 이루어지면서 여러가지 소비자 피해를 유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물 보충을 위한 급수라인에 복수의 수전자변을 직렬로 연결하여, 복수의 수전자변 중 어느 하나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수류센서에 의해 물 흐름이 감지될 때 다른 하나의 수전자변에 대한 고장을 검출하고 그 검출상태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통보하여 불필요한 물보급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는, 물탱크로 공급되는 물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만수위센서; 배관에 물이 비었는지 또는 차있는지를 감지하는 저수위센서; 상기 만수위센서와 저수위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물탱크로의 물 공급과 차단을 위해 구동하는 제 1,2 수전자변 구동부; 상기 제 1,2 수전자변 구동부의 구동으로부터 온/오프 동작하는 제 1,2 수전자변; 상기 제 1,2 수전자변의 온 동작시 보일러의 물 자동 공급흐름을 감지하는 수류센서; 상기 수전자변의 구동시간을 체크하는 타임비교부; 상기 타임비교부의 체크시간을 기준시간과 비교하는 비교연산부; 상기 수전자변의 온 또는 오프상태시 이루어지는 수류센서의 검출정보 및, 상기 비교연산부의 연산결과를 토대로 제 1,2 수전자변의 불량상태를 체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 어에 따라 제 1,2 수전자변의 불량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메세지를 출력하는 경고부; 를 포함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2 수전자변은 보일러의 급수라인에 직렬로 설치되어 동시에 온 동작시 물탱크로의 물보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수전자변 불량 검출방법은,
저수위센서가 오프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저수위센서가 오프시 제 1 수전자변은 온 동작시키고, 제 2 수전자변은 오프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제 1,2 수전자변의 온-오프 동작시 수류센서가 온 동작 중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수류센서가 온 동작이면 제 2 수전자변이 불량임을 판단하고, 수류센서가 오프 동작이면 제 1 수전자변은 오프 동작시키고, 제 2 수전자변은 온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제 1,2 수전자변의 오프-온 동작시 수류센서가 온 동작 중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수류센서가 온 동작이면 제 1 수전자변이 불량임을 판단하고, 수류센서가 오프 동작이면 제 1,2 수전자변을 동시에 온 시켜 물탱크로의 물 보충을 실시하는 단계; 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수전자변 불량검출장치가 적용되는 보일러의 원리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검출장치에 대한 블럭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자변 불량 검출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는 물탱크(1), 온수 열교환기(2), 주 열교환기(3), 써미스터(4), 제 1,2 수전자변(5a)(5b), 순환펌프(6), 기수분리기(7), 물보충 급수라인(8), 배수라인(9), 그리고 전자기판(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의 연결구조를 가지는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는 만수위센서(11), 저수위센서(12), 제 1,2 수전자변 구동부(13a)(13b), 타임비교부(14), 비교연산부(15), 수류센서(16), 제어부(17), 그리고 경고부(18)를 포함한다.
상기 만수위센서(11)는 물보충 급수라인(8)을 통해 물탱크(1)로 공급되는 물의 만수위를 감지한 후 이를 제어부(17)에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물탱크(1)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전자기판(10)에 전기적으로 접속 구성된다.
상기 저수위센서(12)는 물보충 급수라인(8)에 물이 비었는지 또는 차있는지를 감지한 후 이를 제어부(17)에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물보충 급수라인(8)과 제 1,2 수전자변(5a)(5b)의 배관이 연결되는 기수분리기(7)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전자기판(10)에 전기적으로 접속 구성된다.
상기 제 1,2 수전자변 구동부(13a)(13b)는 상기 제어부(17)에 의해 구동되어 물탱크(1)로의 물 공급과 차단하는 제 1,2 수전자변(5a)(5b)을 온/오프시키는 것으로, 상기 전자기판(10)내에 구성된다.
상기 타임비교부(14)는 상기 제 1,2 수전자변 구동부(13)에 의한 제 1,2 수전자변(5a)(5b)의 온/오프 시간을 체크하도록 상기 전자기판(10)내에 구성되고, 상기 비교연산부(15)는 상기 타임비교부(14)에 의해 이루어지는 온/오프의 시간을 기준시간과 비교한 후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17)에 출력하도록 상기 전자기판(10)내에 구성된다.
상기 수류센서(16)는 상기 제 1,2 수전자변(5a)(5b)의 온/오프로부터 이루어지는 물보충 급수라인(8)의 물 흐름을 감지한 후 이를 제어부(17)에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전자기판(10)에 전기적으로 접속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7)는 상기 제 1,2 수전자변(5a)(5b)의 온 또는 오프상태시 이루어지는 상기 수류센서(16)의 검출정보 및, 상기 비교연산부(15)의 연산결과를 토대로 제 1,2 수전자변(5a)(5b)의 불량상태를 최종적으로 체크하는 것으로, 상기 전자기판(10)내에 구성된다.
상기 경고부(18)는 상기 제어부(17)의 제어에 따라 제 1,2 수전자변(5a)(5b)의 불량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메세지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전자기판(10)과 전기적으로 접속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2 수전자변(5a)(5b)은 물탱크(1)로의 물보충을 위한 물보충 급수라인(8)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 1,2 수전자변(5a)(5b)이 동시에 온 동작될 경우에만 상기 물탱크(1)로의 물보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자기판(10)내에 구성되는 타임비교부(14), 비교연산부(15), 제어부(17)는 물론, 상기 전자기판(10)에 전기적으로 접속 구성되는 만수위센서(11), 저수위센서(12), 수류센서(16), 그리고 경고부(18)는 서로 회로적으로 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난방 및 온수 공급이 가능하도록 보일러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직수는 온수 열교환기(2)를 통해 가열되면서 그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가스 공급으로 주 열교환기(3)의 가열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어부(17)의 제어를 받는 순환펌프(6)의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주 열교환기(3)에 설치되는 배관으로는 기수분리기(7)를 통해 흐름이 안내되는 난방수가 통과하게 되는 바,
상기 난방수는 주 열교환기(3)에 의해 가열된 후 방이나 거실 또는 욕실 등의 난방배관으로 순환됨으로써 필요로 하는 난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온수 공급 및 난방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만수위센서(11)와 저수위센서(12)의 감지정보를 통해 물탱크(1)의 물 보충이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7)는 먼저 제 1,2 수전자변 구동부(13a)()13b)을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복수로 이루어지면서 물보충 급수라인(8)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 1,2 수전자변(5a)(5b)의 불량상태를 체크하게 된다.
즉, 물보충을 위해 저수위센서(12)가 오프된 상태에서, 제 1 수전자변 구동 부(13a)를 통해 제 1 수전자변(5a)을 온 동작시키고, 제 2 수전자변 구동부(13b)를 통해서는 제 2 수전자변(5b)을 오프 동작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17)는 상기 제 1,2 수전자변(5a)(5b)의 온-오프 동작시 물의 공급 흐름을 감지하는 수류센서(16)가 온 동작 중인가를 판단하게 되는데, 만약 상기 수류센서(16)가 온 동작중이면 제 2 수전자변(5b)이 불량임을 판정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2 수전자변(5a)(5b)이 동시에 온 동작하여야만 물탱크(1)로의 물 보충이 가능하므로, 상기 제 1 수전자변(5a)이 온 동작이고, 상기 제 2 수전자변(5b)이 오프 동작하면 물보충 급수라인(8)을 통한 물탱크(1)로의 물 보충은 정지되는 것이 정상이고, 이에따라 수류센서(16)의 동작 또한 오프되어야 하는데, 상기 제 1 수전자변(5a)이 온 동작이고, 상기 제 2 수전자변(5b)이 오프 동작된 상태에서 수류센서(16)가 온 동작중이면, 상기 제어부(17)는 제 2 수전자변(5b)을 불량으로 판정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제 2 수전자변(5b)이 불량인 경우, 타임비교부(14)는 상기 제 2 수전자변 구동부(13b)에 의한 제 2 수전자변(5b)의 오프시간을 체크한 후 이를 비교연산부(15)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비교연산부(15)는 상기 타임비교부(14)에 의해 이루어지는 오프의 시간을 기준시간과 비교한 후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17)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7)는 상기 수류센서(16)의 온 동작상태와 상기 비교연산부(15)에 의해 이루어지는 연산결과를 토대로 제 2 수전자변(5b)이 불량임을 최종 적으로 체크한 후 경고부(18)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상기 경고부(18)는 제 2 수전자변(5b)의 불량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경고메세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의 경고메세지로부터 제 2 수전자변(5b)에 대한 불량상태를 인지하게 되고, 이에따라 사용자는 후속조치로 물의 공급을 강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물보충을 위해 저수위센서(12)가 오프된 상태에서, 제 1 수전자변 구동부(13a)를 통해 제 1 수전자변(5a)을 오프 동작시키고, 제 2 수전자변 구동부(13b)를 통해서는 제 2 수전자변(5b)을 온 동작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17)는 상기 제 1,2 수전자변(5a)(5b)의 오프-온 동작시 물의 공급 흐름을 감지하는 수류센서(16)가 온 동작 중인가를 판단하게 되는데, 만약 상기 수류센서(16)가 온 동작중이면 제 1 수전자변(5a)이 불량임을 판정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2 수전자변(5a)(5b)이 동시에 온 동작하여야만 물탱크(1)로의 물 보충이 가능하므로, 상기 제 1 수전자변(5a)이 오프 동작이고, 상기 제 2 수전자변(5b)이 온 동작하면 물보충 급수라인(8)을 통한 물탱크(1)로의 물 보충은 정지되는 것이 정상이고, 이에따라 수류센서(16)의 동작 또한 오프되어야 하는데, 상기 제 1 수전자변(5a)이 오프 동작이고, 상기 제 2 수전자변(5b)이 온 동작된 상태에서 수류센서(16)가 온 동작중이면, 상기 제어부(17)는 제 1 수전자변(5a)을 불량으로 판정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제 1 수전자변(5a)이 불량인 경우, 타임비교부(14)는 상기 제 1 수전자변 구동부(13a)에 의한 제 1 수전자변(5a)의 오프시간을 체크한 후 이를 비교연산부(15)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비교연산부(15)는 상기 타임비교부(14)에 의해 이루어지는 오프의 시간을 기준시간과 비교한 후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17)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7)는 상기 수류센서(16)의 온 동작상태와 상기 비교연산부(15)에 의해 이루어지는 연산결과를 토대로 제 1 수전자변(5a)이 불량임을 최종적으로 체크한 후 경고부(18)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상기 경고부(18)는 제 1 수전자변(5a)의 불량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경고메세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의 경고메세지로부터 제 1 수전자변(5a)에 대한 불량상태를 인지하게 되고, 이에따라 사용자는 후속조치로 물의 공급을 강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 1 수전자변(5a)이 온 동작하고 제 2 수전자변(5b)이 오프된 상태, 또는 상기 제 1 수전자변(5a)이 오프 동작하고 제 2 수전자변(5b)이 온 상태에서 수류센서(16)가 오프동작중이면, 상기 제어부(17)는 물보충 급수라인(8)에 직렬로 설치된 제 1,2 수전자변(5a)(5b) 모두에서 불량이 검출되지 않음을 판정한 후 바로 물탱크(1)로의 물보충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17)의 제어를 받는 제 1,2 수전자변 구동부(13a)(13b)에 의해 제 1,2 수전자변(5a)(5b)이 동시에 온 동작되어 물탱크(1)로 물 보충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저수위센서(12)는 온 되며, 상기 제 1,2 수전자변(5a)(5b)의 온으로부터 물 보충이 완료되면 만수위센서(11)가 온 되고, 이에따라 제어부(17)는 제 1,2 수전자변 구동부(13a)(13b)를 오프시켜 제 1,2 수전자변(5a)(5b)에 의한 물 보충을 정상적으로 차단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 보충을 위한 급수라인에 복수의 수전자변을 직렬로 연결한 것으로, 이를 통해 복수의 수전자변 중 어느 하나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수류센서에 의해 물 흐름이 감지될 때 다른 하나의 수전자변에 대한 고장을 검출하고 그 검출상태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통보하여 불필요한 물보급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방지하면서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더욱더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3)

  1. 물탱크로 공급되는 물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만수위센서; 배관에 물이 비었는지 또는 차있는지를 감지하는 저수위센서; 를 포함하는 자동 물보급 기능을 가지는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만수위센서와 저수위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물탱크로의 물 공급과 차단을 위해 구동하는 제 1,2 수전자변 구동부;
    상기 제 1,2 수전자변 구동부의 구동으로부터 온/오프 동작하는 제 1,2 수전자변;
    상기 제 1,2 수전자변의 온 동작시 보일러의 물 자동 공급흐름을 감지하는 수류센서;
    상기 수전자변의 구동시간을 체크하는 타임비교부;
    상기 타임비교부의 체크시간을 기준시간과 비교하는 비교연산부;
    상기 수전자변의 온 또는 오프상태시 이루어지는 수류센서의 검출정보 및, 상기 비교연산부의 연산결과를 토대로 제 1,2 수전자변의 불량상태를 체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1,2 수전자변의 불량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메세지를 출력하는 경고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수전자변은 보일러의 급수라인에 직렬로 설치되어 동시에 온 동작시 물탱크로의 물보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
  3. 저수위센서가 오프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저수위센서가 오프시 제 1 수전자변은 온 동작시키고, 제 2 수전자변은 오프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제 1,2 수전자변의 온-오프 동작시 수류센서가 온 동작 중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수류센서가 온 동작이면 제 2 수전자변이 불량임을 판단하고, 수류센서가 오프 동작이면 제 1 수전자변은 오프 동작시키고, 제 2 수전자변은 온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제 1,2 수전자변의 오프-온 동작시 수류센서가 온 동작 중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수류센서가 온 동작이면 제 1 수전자변이 불량임을 판단하고, 수류센서가 오프 동작이면 제 1,2 수전자변을 동시에 온 시켜 물탱크로의 물 보충을 실시하는 단계; 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방법.
KR1020060055939A 2006-06-21 2006-06-21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및 그 방법 KR100693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939A KR100693731B1 (ko) 2006-06-21 2006-06-21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939A KR100693731B1 (ko) 2006-06-21 2006-06-21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731B1 true KR100693731B1 (ko) 2007-03-12

Family

ID=3810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939A KR100693731B1 (ko) 2006-06-21 2006-06-21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7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253B1 (ko) * 2006-04-21 2007-02-1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253B1 (ko) * 2006-04-21 2007-02-1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밀폐형 보일러의 물보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682253000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8999B2 (ja) 室外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CN110023683B (zh) 电锅炉的循环异常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KR100693731B1 (ko)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및 그 방법
JP5741824B2 (ja) 漏水検知システム
JP5975271B2 (ja) 貯湯式給湯システム
JP2011191039A (ja) 貯湯式給湯機システム
KR100705921B1 (ko)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구동부 불량검출장치
JP2009210231A (ja) 貯湯式給湯機
KR100693732B1 (ko)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
KR100693730B1 (ko)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
KR101172160B1 (ko)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
KR20060110898A (ko) 히터 과열방지장치
JP3579440B2 (ja) 複合熱源器を備えた大能力給湯システムにおける温度センサのセルフチェック方法
KR101172162B1 (ko)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시운전방법
KR100679897B1 (ko)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
JP4144577B2 (ja) 給湯装置
JP2008275234A (ja) 連結給湯システム
JP5146727B2 (ja) 燃焼装置
JP3359105B2 (ja) 複合熱源器を備えた大能力給湯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KR100629777B1 (ko) 보일러의 배관누수 제어방법
KR100682250B1 (ko)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누수 검지 장치 및 방법
KR100679817B1 (ko)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및 그 검출방법
JP6013264B2 (ja) 貯湯システム
JP2012163254A (ja) 貯湯式給湯装置
JP4942118B2 (ja) 加熱給湯装置における熱交換器の漏水検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