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897B1 -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897B1
KR100679897B1 KR1020050133422A KR20050133422A KR100679897B1 KR 100679897 B1 KR100679897 B1 KR 100679897B1 KR 1020050133422 A KR1020050133422 A KR 1020050133422A KR 20050133422 A KR20050133422 A KR 20050133422A KR 100679897 B1 KR100679897 B1 KR 100679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freezing
heating
mod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돈형
오원호
이원석
정준환
정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롯데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롯데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롯데기공
Priority to KR1020050133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8Level sensors, e.g. water level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보일러의 난방수가 부동액인 경우에 동결모드에서 안정적인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보일러의 상태가 동결조건인지를 비교분석하여 보일러의 상태가 정상모드인지 동결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동결모드 판단단계와; 보일러의 운전모드가 정상모드이면 정상운전을 하고, 보일러의 운전모드가 동결모드이면 보일러의 난방배관을 통해 난방수가 순환되는지를 감지하는 물순환 감지단계와; 난방수가 순환되지 않는 상태임을 감지하면 완전 동결상태로 확인하여 보일러의 운전을 정지하고, 난방수가 순환되는 상태임을 감지하면 난방배관을 통해 유동되는 난방수가 부동액임을 확인하는 부동액 확인단계와; 상기 부동액 확인단계에 의해 난방수가 부동액임이 확인되면 보일러의 운전모드가 정상모드로 전환되도록 보일러의 동결모드를 해제하는 동결모드 해제단계를; 포함한다.
보일러, 동결, 운전, 난방수, 부동액

Description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Method for driving a boiler on the freezing mo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방법을 보인 단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상태를 보인 순서도,
도 3은 종래의 보일러를 보인 개략도.
본 발명은 보일러의 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일러의 난방수가 부동액인 경우에 동결모드에서 안정적인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실내에 설치된 리모콘에 의해 설정된 정보에 따라 온수 및 난방수를 발생시키는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난방기를 일컫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일러(100)는 리모콘(200)과 전기신호상으로 연결된 제어부(101)의 제어에 따라 가열부(102)에 의해 가열된 물이 순환펌프의 작동으로 난방배관(103)을 통해 순환되거나 온수배관(104)을 통해 순환되어 온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에는 난방배관(103)과 연결된 물탱크(105)가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105)에는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검지기(106)가 구비되며, 상기 물탱크(105)에 수도관과 연결된 물보충관(107)이 구비되고, 상기 물보충관(107)에 물보충밸브(108)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1)는 수위검지기(106)에 의해 저수위의 온/오프신호 혹은 고수위의 온/오프신호에 따라 물보충밸브(108)를 개폐하여 물보충관(107)을 통해 물탱크(105)에 물을 보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보일러는 난방배관이 동결되면 보일러의 제어부가 동결모드로 전환되면서 보일러의 작동이 중지시키게 되는데, 상기 난방배관에 주입되는 난방수가 물의 동결온도에서도 결빙되지 않는 부동액인 경우에도 동결모드에 의해 보일러의 운전이 중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난방수가 부동액인 경우에도 동결모드에 의해 보일러의 운전이 중지됨으로써, 부동액의 효과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의 난방수가 부동액인 경우에 동결모드에서 안정적인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결모드에서 영하의 온도를 갖는 난방수가 상 온상태로 원활히 회복되도록 하는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감지기기 없이 난방수의 순환 상태를 원활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은 보일러의 상태가 동결조건인지를 비교분석하여 보일러의 상태가 정상모드인지 동결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동결모드 판단단계와; 보일러의 운전모드가 정상모드이면 정상운전을 하고, 보일러의 운전모드가 동결모드이면 보일러의 난방배관을 통해 난방수가 순환되는지를 감지하는 물순환 감지단계와; 난방수가 순환되지 않는 상태임을 감지하면 완전 동결상태로 확인하여 보일러의 운전을 정지하고, 난방수가 순환되는 상태임을 감지하면 난방배관을 통해 유동되는 난방수가 부동액임을 확인하는 부동액 확인단계와; 상기 부동액 확인단계에 의해 난방수가 부동액임이 확인되면 보일러의 운전모드가 정상모드로 전환되도록 보일러의 동결모드를 해제하는 동결모드 해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결모드 해제단계의 다음으로 보일러의 상태가 강제가열조건에 해당되면 난방수가 정상상태로 회복되도록 일정시간동안 보일러의 연소 작동을 수행하여 난방수를 강제로 가열하는 강제 가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제 가열단계에서 강제가열조건은, 보일러의 외부에서 감지되는 외기의 온도가 동결온도인 영하의 온도를 갖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제 가열단계에서 강제가열조건은, 보일러의 버너를 통과한 직후의 난방수 온도인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동결온도인 영하의 온도를 갖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제 가열단계에서 강제가열조건은, 외기의 온도가 상온이고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동결온도인 영하의 온도를 가지며 보일러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가동을 위해 다시 전원이 온된 상태로 변경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결모드 판단단계에서 동결조건은, 보일러의 버너를 통과한 직후의 난방수 온도인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동결온도인 영하의 온도를 갖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순환 감지단계에서 난방수의 순환 감지는, 보일러의 순환펌프를 소정의 시간동안 가동시키면서 보일러의 물탱크의 수위검지기로 상기 물탱크의 수위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방법을 보인 단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은 보일러가 동결모드인지 판단하는 동결모드 판단단계(S10)와, 보일러가 동결모드이면 난방수가 순환되는지를 감지하는 물순환 감지단계(S20)와, 난방수가 순환되면 부동액임을 확인하는 부동액 확인단계(S30)와, 보일러의 동결모드를 해제하는 동결모드 해제단계(S40)를 포함하고, 이와 같은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보일러가 동결모드 상태에서 원활히 운전된다.
상기 동결모드 판단단계(S10)는 보일러의 상태가 동결조건인지를 비교분석하여 보일러의 상태가 정상모드인지 동결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말하는 것으로, 보일러의 운전이 동결모드 즉 동결운전 상태로 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동결모드 판단단계(S10)에서 보일러의 동결조건은 보일러의 버너를 통과한 직후의 난방수 온도인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동결온도인 영하의 온도를 갖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한 동결조건은 난방수의 출탕온도를 측정하고 이 출탕온도가 영하일 때 보일러가 동결모드로 운전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순환 감지단계(S20)는 보일러의 운전모드가 정상모드이면 정상운전을 하고 보일러의 운전모드가 동결모드이면 보일러의 난방배관을 통해 난방수가 순환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를 말하는 것이다.
상기 물순환 감지단계(S20)는 보일러가 동결모드일 때 즉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영하일 때 난방수가 난방배관을 통해 순환될 수 있는지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난방배관에 주입된 난방수가 부동액인지를 판별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물순환 감지단계(S20)에서 난방수의 순환 감지는 보일러의 순환펌프를 소정의 시간동안 가동시키면서 보일러의 물탱크의 수위검지기로 상기 물탱크의 수위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별도의 감지장비를 설치하지 않고도 보일러에 이미 설치되어있는 장비를 통해 난방수의 순환을 감 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부동액 확인단계(S30)는 난방수가 순환되지 않는 상태임을 감지하면 완전 동결상태로 확인하여 보일러의 운전을 정지하고 난방수가 순환되는 상태임을 감지하면 난방배관을 통해 유동되는 난방수가 부동액임을 확인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부동액 확인단계(S30)는 동결조건에서 난방수가 순환됨을 감지하여 난방배관에 주입된 난방수가 빙점이하에서 잘 동결되지 않는 부동액임을 확인함으로써, 보일러의 난방수가 동결된 상태가 아니어서 정상운전이 가능한 상태임을 확인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동결모드 해제단계(S40)는 부동액 확인단계(S30)에 의해 난방수가 부동액임이 확인되면 보일러의 운전모드가 정상모드로 전환되도록 보일러의 동결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말하는 것이다.
상기 동결모드 해제단계(S40)는 보일러의 동결모드를 해제하여 동결조건에서 보일러가 정상적으로 운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방법은 상기 동결모드 해제단계(S40)의 다음으로 보일러의 상태가 강제가열조건에 해당되면 난방수가 정상상태로 회복되도록 일정시간동안 보일러의 연소 작동을 수행하여 난방수를 강제로 가열하는 강제 가열단계(S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강제 가열단계(S50)는 빙점이하 즉 영하로 떨어진 난방수를 어는 정도 강제로 가열하여 상온이 되도록 함으로써, 동결모드가 해제되어 보일러가 정상적으 로 운전될 때에 난방온도를 맞추기 위해 보일러의 과도하게 운전되어 버너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강제 가열단계(S50)에서 강제가열조건은 보일러의 외부에서 감지되는 외기의 온도가 동결온도인 영하의 온도를 갖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외기의 온도가 빙점이하인 영하일 때 동결조건인 난방수를 강제로 가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강제 가열단계(S50)에서 강제가열조건은 보일러의 버너를 통과한 직후의 난방수 온도인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동결온도인 영하의 온도를 갖는 상태인 것 또한 바람직한데, 이는 강제가열조건을 동결조건과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적용시켜 난방수의 강제적인 가열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강제 가열단계(S50)에서 강제가열조건은 외기의 온도가 상온이고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동결온도인 영하의 온도를 가지며 보일러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가동을 위해 다시 전원이 온된 상태로 변경된 상태인 것 또한 바람직한데, 이는 난방수가 동결조건에 있으므로 별도의 조건에 대한 확인이 없이 보일러가 꺼졌다가 켜지면 즉 보일러가 가동되는 상태이면 난방수의 강제적인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상태를 보인 순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의 전원이 온되면 보일러의 제어부가 난방수의 출탕측 난방배관에 설치된 서미스터를 통해 난방수의 출탕온도를 측정하게 된다(S1).
상기 서미스터에 의해 측정되어 제어부로 입력되는 난방수의 출탕온도를 상기 제어부가 동결조건 즉 영상인가 영하인가를 비교분석하여 보일러가 동결모드인가를 판단한다(S2).
상기 서미스터에 의해 측정된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영상 즉 0?? 이상이면 정상모드로 판단하여 보일러를 정상운전시키고(S21), 동결모드 운전을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서미스터에 의해 측정된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영하 즉 0?? 이하이면 동결모드로 판단하여 보일러의 난방배관과 연결된 순환펌프를 가동시킨다(S3).
상기 순환펌프가 가동된 후에 보일러의 난방배관과 연결된 물탱크에 설치된 수위검지기를 통해 상기 물탱크의 수위변화를 검지한다(S4).
상기 수위검지기에 의해 제어부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통해 상기 제어부가 난방배관을 통해 난방수가 순환되고 있는가를 판단한다(S5).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는 수위 정보를 통해 물탱크의 수위가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난방배관이 완전 동결된 상태이므로 보일러의 운전을 정지시키고(S51), 동결모드 운전을 종료한다.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는 수위 정보를 통해 물탱크의 수위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난방배관을 통해 난방수가 순환되고 있는 상태임으로 이 난방수는 빙점이하에서 잘 얼지 않는 부동액임이 확인되어 보일러에 설정되어 있는 동결모드를 해제한다(S6).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보일러의 동결모드가 해제되면 빙점이하의 난방수가 상온으로 그 온도가 상승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보일러의 버너를 가동시켜 난방수를 일정시간동안 강제로 가열한다(S7).
상기 난방수의 가열에 의해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상온이 되면 보일러가 정상적으로 가동되도록 제어부가 보일러를 정상운전시키고(S8) 동결모드 운전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일러의 난방수가 부동액인 경우에 동결모드에서 안정적인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난방수로 부동액이 주입된 경우에 동결모드에서도 보일러가 정상적으로 원활히 작동되고 동결 및 동파가 원천적으로 방지된 상태로 보일러의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동결모드에서 영하의 온도를 갖는 난방수가 상온상태로 원활히 회복되도록 함으로써, 보일러의 정상운전 시에 보다 빠른 난방이 이루어지면서 난방을 위한 보일러의 과열 작동이 원활히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감지기기 없이 난방수의 순환 상태를 원활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방수의 순환에 대한 감지가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보일러의 상태가 동결조건인지를 비교분석하여 보일러의 상태가 정상모드인지 동결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동결모드 판단단계(S10)와;
    보일러의 운전모드가 정상모드이면 정상운전을 하고, 보일러의 운전모드가 동결모드이면 보일러의 난방배관을 통해 난방수가 순환되는지를 감지하는 물순환 감지단계(S20)와;
    난방수가 순환되지 않는 상태임을 감지하면 완전 동결상태로 확인하여 보일러의 운전을 정지하고, 난방수가 순환되는 상태임을 감지하면 난방배관을 통해 유동되는 난방수가 부동액임을 확인하는 부동액 확인단계(S30)와;
    상기 부동액 확인단계(S30)에 의해 난방수가 부동액임이 확인되면 보일러의 운전모드가 정상모드로 전환되도록 보일러의 동결모드를 해제하는 동결모드 해제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모드 해제단계(S40)의 다음으로 보일러의 상태가 강제가열조건에 해당되면 난방수가 정상상태로 회복되도록 일정시간동안 보일러의 연소 작동을 수행하여 난방수를 강제로 가열하는 강제 가열단계(S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가열단계(S50)에서 강제가열조건은,
    보일러의 외부에서 감지되는 외기의 온도가 동결온도인 영하의 온도를 갖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가열단계(S50)에서 강제가열조건은,
    보일러의 버너를 통과한 직후의 난방수 온도인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동결온도인 영하의 온도를 갖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가열단계(S50)에서 강제가열조건은,
    외기의 온도가 상온이고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동결온도인 영하의 온도를 가지며 보일러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가동을 위해 다시 전원이 온된 상태로 변경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모드 판단단계(S10)에서 동결조건은,
    보일러의 버너를 통과한 직후의 난방수 온도인 난방수의 출탕온도가 동결온도인 영하의 온도를 갖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순환 감지단계(S20)에서 난방수의 순환 감지는,
    보일러의 순환펌프를 소정의 시간동안 가동시키면서 보일러의 물탱크의 수위 검지기로 상기 물탱크의 수위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
KR1020050133422A 2005-12-29 2005-12-29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 KR100679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422A KR100679897B1 (ko) 2005-12-29 2005-12-29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422A KR100679897B1 (ko) 2005-12-29 2005-12-29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9897B1 true KR100679897B1 (ko) 2007-02-08

Family

ID=3810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422A KR100679897B1 (ko) 2005-12-29 2005-12-29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8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949B1 (ko) * 2009-06-18 2011-11-17 주식회사 귀뚜라미 범양냉방 수배관 동파방지 기능을 구비한 히트펌프 시스템
WO2017071170A1 (zh) * 2015-10-30 2017-05-04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热泵热水机及其四通阀失效的防冻结控制方法和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949B1 (ko) * 2009-06-18 2011-11-17 주식회사 귀뚜라미 범양냉방 수배관 동파방지 기능을 구비한 히트펌프 시스템
WO2017071170A1 (zh) * 2015-10-30 2017-05-04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热泵热水机及其四通阀失效的防冻结控制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5332B2 (ja) 瞬間湯沸器
KR102216717B1 (ko) 전기 보일러의 순환이상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79897B1 (ko)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
US11846433B2 (en) Heated water recirculation control
KR101459278B1 (ko)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오동작 검출방법
KR100742942B1 (ko) 보일러의 자동 시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JP5821002B2 (ja) 給湯システム
JP4539692B2 (ja) 貯湯式給湯機
JP4668246B2 (ja) 温水利用システム
KR100705921B1 (ko)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구동부 불량검출장치
JP6523146B2 (ja) 浴室暖房機
KR100629777B1 (ko) 보일러의 배관누수 제어방법
KR20060019168A (ko) 연료절감을 위한 보일러 제어장치
KR102235208B1 (ko) 보일러의 응급운전 장치 및 방법
KR100559250B1 (ko) 난방수온을 이용한 가스보일러의 자동급수밸브/유수감지기고장 자동 검출방법 및 그 장치
KR101039932B1 (ko) 온수사용 검출을 이용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
KR100614583B1 (ko) 온도와 수위검지에 따라 운전제어가 가능한 보일러 및 그방법
JP2020165555A (ja) 燃焼機器
KR100968349B1 (ko) 보일러의 자동 시운전 제어방법
KR20230126853A (ko) 온수 예열이 가능한 온수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동작 판별 방법
KR100693732B1 (ko)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
KR100693730B1 (ko) 자동물보급 기능을 가진 보일러의 수전자변 불량 검출장치
JP4827064B2 (ja) 温水暖房システムの試運転装置
JP2002295851A (ja) 暖房装置の凍結防止方法
KR200369174Y1 (ko) 연료절감을 위한 보일러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