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932B1 - 온수사용 검출을 이용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 - Google Patents

온수사용 검출을 이용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932B1
KR101039932B1 KR1020080134594A KR20080134594A KR101039932B1 KR 101039932 B1 KR101039932 B1 KR 101039932B1 KR 1020080134594 A KR1020080134594 A KR 1020080134594A KR 20080134594 A KR20080134594 A KR 20080134594A KR 101039932 B1 KR101039932 B1 KR 101039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boiler
emergency operation
water flow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6517A (ko
Inventor
방승훈
이황의
이정민
이재석
채정민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4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932B1/ko
Publication of KR20100076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35Three-way-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사용 검출을 이용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전원이 공급되면 조작장치(리모컨)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조작장치의 이상동작 또는 파손으로 인해 없는 것(연결되지 않은 상태)으로 판단되면 온수사용 검출부의 출력이 일정시간 "온"이 되었거나 "온"된 횟수가 카운트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온수사용 검출부가 일정시간 "온"되거나 "온"된 횟수의 카운트 값이 검출되면 응급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조작장치나 스위치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도 응급운전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어 조작부에 대한 원가상승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소비자가 직접 보일러 앞까지 가서 작동시킬 필요가 없어 보일러의 조작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온수사용검출, 응급운전, 조작장치, 수류검지

Description

온수사용 검출을 이용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Emergent driving method for boiler using operation detection of hot water}
본 발명은 온수사용 검출을 이용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장치(리모컨)의 유/무를 판단하여 동작이상 또는 파손 등으로 인해 조작장치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응급운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작장치나 SW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도 응급운전을 자동으로 실시되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Boiler)는, 석유나 석탄 및 가스 등을 연료로 사용하여 이를 연소시키거나 히터에 전기를 공급시켜 발생되는 연소열 및 전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여 각종 난방시설 등에 더운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을 끓이는 시설을 말하며, 주택용 보일러의 경우에는 실내의 바닥 등에 설치된 배관에 더운물을 공급하여 난방을 하거나, 급수관을 통해 온수의 공급 등에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 보일러는 리모컨 또는 본체 조작부를 포함하는 조작장치를 조작하여, 선택적으로 난방을 하거나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보일러는 보일러 자체의 문제는 없으나, 리모컨 등과 같은 조작장치의 동작이상 또는 파손 등이 발생될 경우 보일러 자체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는데, 이러한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서비스업체에 연락하여 수리가 완료될 때까지는 난방 또는 온수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278126호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을 제안한 바 있는데, 이는 전원인가 후 조작장치의 동작이상 또는 파손 등과 같은 응급운전이 설정 또는 선택되면 조작장치(리모컨)의 조작이나 상태를 무시하는 단계와; 수류를 검지하여 수류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난방을 작동하되 삼방변을 난방방향으로 절환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설정시간 난방해제 입력을 검지하여 난방해제 입력이 있으면 통상운전 모드로 복귀하고, 설정시간 경과후에는 강제적으로 난방을 정지하고 통상모드로 복귀토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난방사용중 수류검지가 ON되면 삼방변이 온수방향으로 절환되며 온수사용을 하는 단계와; 온수사용중에 연속해서 온수사용을 상시 검지하여 온수사용이 정지되면 온수사용 연소OFF가 되면서 설정시간을 대기하는 단계와; 설정시간동안 온수의 재사용시 온수출탕시간을 신속하게 하기 위하여 삼방변을 온수방향으로 계속 고정하는 단계와;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삼방변을 난방으로 절환하여 난방모드로 작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진 구성을 갖는다.
즉, 사용자에 의해 응급운전이 선택되어 보일러의 응급 운전이 시작되면 동절기의 기온으로 셋팅되어 난방 및 온수가 고온으로 운전되어 있던 것을 보일러의 외부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의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응급 운전시에도 난방 및 온 수를 제어부로 입력되는 온도와 대응되게 설정되어 있는 온도로 운전하고, 보일러의 외부 온도 감지에 따라 각 계절에 맞는 상태로 응급운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응급운전이라 함은 보일러의 조작장치(리모컨)의 고장 또는 파손에 의해 소비자가 보일러를 가동할 수 없을 경우 서비스를 받기 전 임시적으로 보일러를 가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응급운전방법은 별도의 응급운전 SW나 입력부 등을 두고 있어 조작장치(리모컨) 파손 시 이 장치를 이용하여 보일러를 동작시키기 때문에 조작부에 대한 원가상승 등의 문제가 있고, 또 소비자가 직접 보일러 앞까지 가서 작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이라, 별도의 조작부가 없는 보일러에 대해서는 응급운전을 시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별도의 응급운전 선택을 위한 스위치나 입력부의 설치를 배제하고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장치(리모컨)의 유/무를 판단하여 동작이상 또는 파손 등으로 인해 조작장치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각종 온수사용 기기에서의 온수 사용 여부를 검출하되, 조작장치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전원 공급 이전에 온수의 사용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면 응급운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작장치나 SW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도 응급운전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어 조작부에 대한 원가상승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소비자가 직접 보일러 앞까지 가서 작동시킬 필요가 없어 보일러의 조작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온수사용 검출을 이용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방법은, 조작장치와 온수사용 검출부, 수류 검출부, 외기온도 검출부, 온수 및 난방수 온도 검출부, 전원 공급부, 제어부 및 기능부품 구동부를 구비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전원이 공급되면 조작장치(리모컨)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조작장치의 이상동작 또는 파손으로 인해 없는 것(연결되지 않은 상태)으로 판단되면 온수사용 검출부의 출력이 일정시간 "온"이 되었거나 "온"된 횟수가 카운트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온수사용 검출부가 일정시간 "온"되거나 "온"된 횟수의 카운트 값이 검출되면 응급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온수사용 검출부의 출력이 일정시간 "온"되지 않았거나, "온"된 횟수가 카운트 되지 않을 경우에는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응급운전 도중 또는 완료 후 수류를 검지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수류를 검지한 결과 수류가 검지되지 않으면 삼방변을 난방방향으로 절체하는 단계 와; 다시 조작장치의 유무를 판단하여 없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응급운전을 유지하고 조작장치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통상모드로 돌입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응급운전 도중 또는 완료 후 수류를 검출한 결과 수류가 검지되면 삼방변을 온수방향으로 절체하는 단계와; 다시 수류가 계속해서 검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온수사용의 정지로 인해 수류가 검지되지 않으면 연소를 "오프"시키고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와; 설정시간 대기 후 삼방변을 난방방향으로 절체하고 난방전환에 따른 설정시간을 대기하는 단계와; 난방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다시 조작장치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응급운전 선택을 위한 스위치나 입력부의 설치를 배제하고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장치(리모컨)의 유/무를 판단하여 동작이상 또는 파손 등으로 인해 조작장치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각종 온수사용 기기에서의 온수 사용 여부를 검출하여, 조작장치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온수사용 기기의 사용이 검출되면 응급운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작장치나 스위치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도 응급운전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어 조작부에 대한 원가상승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소비자가 직접 보일러 앞까지 가서 작동시킬 필요가 없어 보일러의 조작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의 제어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방법은, 조작장치(1)와 온수사용 검출부(2), 수류 검출부(4), 온수 및 난방수 온도 검출부(5), 전원 공급부(6), 제어부(7) 및 기능부품 구동부(8)를 구비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전원이 공급되면 조작장치(리모컨)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조작장치(1)의 이상동작 또는 파손으로 인해 없는 것(연결되지 않은 상태)으로 판단되면 온수사용 검출부(2)의 출력이 일정시간 "온"이 되었거나 "온"된 횟수가 카운트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온수사용 검출부(2)가 일정시간 "온"되거나 "온"된 횟수의 카운트 값이 검출되면 응급운전을 수행하는 단계(S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온수사용 검출부(2)의 출력이 일정시간 "온"되지 않았거나, "온"된 횟수가 카운트 되지 않을 경우(S2에서 No)에는 대기상태(S4)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또, 상기 응급운전(S3) 도중 또는 완료 후 수류를 검지하는 단계(S5)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수류가 검지되지 않으면 삼방변(11)을 난방방향으로 절체하는 단계(S6)와;
다시 조작장치(1)의 유무를 판단(S7)하여 없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응급운전을 유지(S3)하고 조작장치(1)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통상모드(S8)로 돌입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응급운전 도중 또는 완료 후 수류를 검지(S3)한 결과 수류가 검지되면 삼방변(11)을 온수방향으로 절체하는 단계(S9)와;
다시 수류가 계속해서 검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0)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온수사용의 정지로 인해 수류가 검지되지 않으면 연소를 "오프"시키고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S11)와;
설정시간 대기 후 삼방변을 난방방향으로 절체(S12)하고 난방전환에 따른 설정시간을 대기하는 단계(S13)와;
난방 설정시간이 경과(S14)되면 다시 조작장치(1)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7)로 되돌아가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능부품 구동부(8)는 보일러에 설치되어 있는 삼방변(11)과 순환펌프(12), 점화기(13), 가스밸브(14) 및 송풍기(15)의 구동을 제어하는 삼방변 구동부(81)와 펌프 구동부(82), 점화기 구동부(83), 가스밸브 구동부(84) 및 팬 구동부(8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온수사용 검출을 이용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의 제어장치는 도 1과 같이 조작장치(1)와 온수사용 검출부(2), 수류 검출부(4), 온수 및 난방수 온도 검출부(5), 전원 공급부(6), 제어부(7) 및 기능부품 구동부(8)를 구비함을 물론 상기 기능부품 구동부(8)는 보일러에 설치되어 있는 삼방변(11)과 순환펌프(12), 점화기(13), 가스밸브(14) 및 송풍기(15)의 구동을 제어하는 삼방변 구동부(81)와 펌프 구동부(82), 점화기 구동부(83), 가스밸브 구동부(84) 및 팬 구동부(85)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어장치를 구비한 보일러의 제어부(7)에서는 통상 보일러의 전원 스위치가 "온"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먼저 리모컨을 포함하는 각종 조작장치(1)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1).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7)에서 판단한 결과 리모컨을 포함하는 각종 조작장치(1)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판단된 경우에는 보일러의 조작장치에 이상이 없는 상태이므로 조작장치의 조작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는 통상운전모드(S8)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조작장치(1)의 이상동작 또는 파손 등으로 인해 없는 상태 즉,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되면 온수사용 검출부(2)가 일정시간 "온"이 되거나 "온"된 횟수를 카운트하게 된다(S2).
이와 같이 온수사용 검출부(2)가 일정시간 "온"되었거나 "온"된 횟수의 카운트 값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7)에서는 자체 내에 기억되어진 제어프로그램에 부 응하는 응급운전을 수행하게 된다(S3).
이와 같이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에서는 조작장치(1)나 스위치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도 응급운전이 자동으로 실시되므로 조작부에 대한 원가상승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소비자가 직접 보일러 앞까지 가서 응급운전 작동을 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보일러의 조작성이 대폭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온수사용 검출부(2)의 출력이 일정시간 "온"되지 않았거나, "온"된 횟수가 카운트 되지 않을 경우(S2에서 No)는 대기상태(S4)를 유지하게 된다.
또, 상기 제어부(7)에서 전술한 조건에 의해 응급운전(S3)을 시행하던 도중 또는 완료 후에는 수류 검출부(4)를 통해 사용자의 온수사용이 이루어지는지를 검출(즉, 수류를 검지)(S5)하여 수류가 검지되지 않으면 기능부품 구동부(8) 내의 삼방변 구동부(81)를 통해 삼방변(11)을 난방방향으로 절체시켜 보일러가 난방모드로 작동되도록 한다(S6).
이후 상기 제어부(7)는 다시 조작장치(1)의 유무를 판단(S7)하여 없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응급운전을 유지하고(S3) 조작장치(1)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통상모드(S8)로 돌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응급운전방법은 수류 검지에 의한 온수작동 방법을 구현하고 있기 때문에 적어도 수조 또는 기수분리기의 수류를 검지하는 온수사용 기기가 제공되어 있어야 한다.
한편, 상기에서 수류를 검지(S5)한 결과 수류가 검지되면 삼방변(11)을 온수 방향으로 절체(S9)하고 온수의 사용중 연속해서 온수사용을 상시 검지하기 위하여 다시 수류가 계속해서 검지되는지를 판단(S10)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시 온수사용 상태를 검출한 결과 온수사용의 정지로 인해 수류가 검지되지 않으면 연소를 "오프"시키고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S11)하면서 설정된 시간 동안 내에 온수의 재사용시 온수출탕 온도를 신속하게 올려주기 위해 삼방변(11)은 온수방향으로 계속 고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설정시간은 대기 후에는 삼방변(11)을 난방방향으로 절체(S12)하고 난방전환에 따른 설정시간을 대기(S13)한 다음 난방 설정시간이 경과(S14)되면 다시 조작장치(1)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7)로 되돌아가는 조작장치(1)의 유무에 따라 통상모드 또는 온수사용 여부에 따른 응급운전 등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의 제어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조작장치(리모컨) 2 : 온수사용 검출부
4 : 수류 검출부 5 : 온수 및 난방수 온도 검출부
6 : 전원 공급부 7 : 제어부
8 : 기능부품 구동부 11 : 삼방변
12 : 순환펌프 13 : 점화기
14 : 가스밸브 15 : 송풍기
81 : 삼방변 구동부 82 : 펌프 구동부
83 : 점화기 구동부 84 : 가스밸브 구동부
85 : 팬 구동부

Claims (4)

  1. 조작장치와 온수사용 검출부, 온수 및 난방수 온도 검출부, 전원 공급부, 제어부 및 기능부품 구동부를 구비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전원이 공급되면 조작장치(리모컨)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조작장치의 이상동작 또는 파손으로 인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온수사용 검출부가 일정시간 "온"이 되었거나 "온"된 횟수가 카운트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온수사용 검출부가 일정시간 "온"되거나 "온"된 횟수의 카운트 값이 검출되면 응급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사용 검출을 이용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온수사용 검출부가 일정시간 "온"되지 않았거나, "온"된 횟수가 카운트 되지 않을 경우에는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사용 검출을 이용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급운전 수행 중 수류를 검지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수류를 검지한 결과 수류가 검지되지 않으면 삼방변을 난방방향으로 절체하는 단계와;
    다시 조작장치의 유무를 판단하여 없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응급운전을 유지하고 조작장치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통상모드로 돌입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사용 검출을 이용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급운전 수행 중 수류를 검출한 결과 수류가 검지되면 삼방변을 온수방향으로 절체하는 단계와;
    다시 수류가 계속해서 검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온수사용의 정지로 인해 수류가 검지되지 않으면 연소를 "오프"시키고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와;
    설정시간 대기 후 삼방변을 난방방향으로 절체하고 난방전환에 따른 설정시간을 대기하는 단계와;
    난방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다시 조작장치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사용 검출을 이용한 보일러의 응급 운전방법.
KR1020080134594A 2008-12-26 2008-12-26 온수사용 검출을 이용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 KR101039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594A KR101039932B1 (ko) 2008-12-26 2008-12-26 온수사용 검출을 이용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594A KR101039932B1 (ko) 2008-12-26 2008-12-26 온수사용 검출을 이용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517A KR20100076517A (ko) 2010-07-06
KR101039932B1 true KR101039932B1 (ko) 2011-06-09

Family

ID=4263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594A KR101039932B1 (ko) 2008-12-26 2008-12-26 온수사용 검출을 이용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9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214B1 (ko) * 2018-11-27 2020-03-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수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 응급운전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563A (ko) * 2004-06-29 2006-01-06 주식회사 롯데기공 보일러의 응급 운전방법
KR20060001300A (ko) * 2004-06-30 2006-01-06 주식회사 롯데기공 보일러의 온수 및 난방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614582B1 (ko) 2005-05-09 2006-08-28 주식회사 롯데기공 보일러의 난방/온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563A (ko) * 2004-06-29 2006-01-06 주식회사 롯데기공 보일러의 응급 운전방법
KR20060001300A (ko) * 2004-06-30 2006-01-06 주식회사 롯데기공 보일러의 온수 및 난방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614582B1 (ko) 2005-05-09 2006-08-28 주식회사 롯데기공 보일러의 난방/온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517A (ko)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646B1 (ko) 온수저장탱크를 구비한 난방전용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고장 검지방법
KR100974168B1 (ko) 보일러의 순환펌프 유량 제어방법
KR101562241B1 (ko) 연소기기의 배기온도 검출센서 빠짐 검지방법
KR20130055086A (ko) 동결방지용 전기히터를 이용한 보일러의 온수 예열 운전방법
KR101459278B1 (ko)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오동작 검출방법
KR101039932B1 (ko) 온수사용 검출을 이용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
KR100742942B1 (ko) 보일러의 자동 시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010921B1 (ko) 온수사용과 외기온도검출을 이용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
KR101582083B1 (ko) 보일러 온도조절기의 스위치 온 고장 시 안전 제어방법
JP4416631B2 (ja) 系統連系型の電源設備
KR101731533B1 (ko) 보일러의 온수 과열 방지방법
KR102014071B1 (ko) 온수저장탱크를 구비한 난방전용 보일러의 온수 난방 자동전환 제어방법
KR101038718B1 (ko) 태양열 시스템과 보일러를 연계 제어하는 제어기가 구비된 난방장치의 제어방법
KR101938565B1 (ko) 캐스케이드 보일러 시스템에서의 배관 오조립 검지방법
KR100968349B1 (ko) 보일러의 자동 시운전 제어방법
KR100679897B1 (ko)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
KR100551194B1 (ko) 보일러의 정전보상 이상감지 제어시스템
KR101679680B1 (ko) 보일러의 동결방지 운전제어방법
KR20000032723A (ko) 가스 보일러의 3방향밸브 고장 감지방법
JP3972845B2 (ja) 給湯システム
JP5042928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JP5880078B2 (ja) 貯湯式給湯システム
JP2017228483A (ja) 制御装置
KR950009122B1 (ko) 보일러의 동결방지 운전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786551B1 (ko) 온수기 및 보일러의 열교환기 내 결로방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