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122B1 - 보일러의 동결방지 운전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동결방지 운전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122B1
KR950009122B1 KR1019920009066A KR920009066A KR950009122B1 KR 950009122 B1 KR950009122 B1 KR 950009122B1 KR 1019920009066 A KR1019920009066 A KR 1019920009066A KR 920009066 A KR920009066 A KR 920009066A KR 950009122 B1 KR950009122 B1 KR 950009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unit
freezing
combustion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9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672A (ko
Inventor
이황의
신연철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최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최창선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9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122B1/ko
Publication of KR930023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1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일러의 동결방지 운전제어 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제어부 블럭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가스보일러의 전체 개략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컴 11' : 기구운전 지시부
12 : 온도 검출부 13 : 온도검지기
14' : 경보기 15' : 표시램프
18' : 기능부품 19' : 연소기
19 : 연소구동부품 제어부 111 : 동결온도 인식부
112 : 연소지시 판단부 113 : 차기이행 명령부
114 : 연소이행 판단 명령부 115 : 기능부품 구동부
116 : 기능부품 구동신호 출력부 117 : 타이머
118 : 펌프운전 제어부
본 발명은 보일러의 동결시 운전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일러에서 동결온도가 검지되면 소정시간 동안 순환펌프를 구동시켜 소정시간이내에서 기구내의 온도가 동결온도범위 또는 그 이상의 온도로 검지되면 동결방지 운전 또는 연소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한 보일러의 온도로 동결방지 운전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보일러에서는 기구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결 또는 동파방지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즉, 외기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지고 이 온도가 소정의 온도센서를 통해 검지되면, 소정의 제어부에서 순환펌프와 3방변등을 구동시켜 순환수를 회전시키던가 기구내 각각의 수로 파이프에 히터등을 부착시켜 외기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가 되면 히터를 구동시키는 방법등이 구비되어 있었다.
따라서, 외기의 온도가 영하이하로 떨어지더라도 동결 또는 동파기능이 작동되어 보일러가 구동되지 않더라도 전원코드가 꽂혀있는 상태라면 기구의 동결 및 동파 예방기능이 가능하였다.
또한, 펌프가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 일본국 특허출원 소 60-298974호가 있는데, 이는 압력스위치와 유량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일 때에, 온도센서에 통해 검출한 온도가 저온검출회로의 소정치 이하이면 펌프의 보조코일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고 주코일에만 전류가 흐르게하여 주코일 자신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펌프 자체가 동결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제시한 모든 동결방지 장치는 추운겨울 사용자의 부주의로 보일러로 전원코드를 콘센트로부터 빼놓은 상태로 장기간 외출을 하였거나, 또는 정상사용중 정전이 되었는데, 마침 외기의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게 되면 순환수를 순환시켜 주는 순환펌프와 3방변 및 파이프를 가열시켜 주는 히터등을 포함하여 펌프의 주코일이 작동하지 못하게 되어 보일러 내부의 각 수로, 탱크 및 순환펌프등이 동결되어 버리게 된다.
이와 같이 동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귀가하여 보일러를 작동시키거나, 정전이 해제되어 보일러에 소정전압이 인가되면 보일러는 동결방지 동작이나 연소동작에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동결방지 동작에 들어가게 되면 보일러 내부의 순환계통부가 모두 동결중이거나 동결완료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순환펌프나 3방변에 통전이 이루어지게 되어 각각이 작동을 하게 되나, 동결에 의하여 임펠러나 3방변 이동 게이트등이 움직이지 못하게 되므로 순환펌프용 모터나 3방변 구동용 모터등에 무리를 주게 되어 각각의 구성부품이 고장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동결된 상태에서 연소장치가 작동하게 되면 순환수의 순환 불가능으로 인해 온도검지소자인 더어미스터등을 통한 출탕온도의 온도검지가 불가능하게 됨에도 불구하고 연소가 진행되므로 열교환기등이 소손 및 파손될 우려가 있는등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정의 온도검지소자를 통해 외기온도를 검출한 결과 동결온도로만 판별되면, 완전동결상태 또는 동결중에 무관하게 무조건 모든 기능부품의 구동을 차단시켜 줌과 동시에 연소동작을 차단시켜 기능부품의 파손, 손상 및 소손등을 미연에 방지시켜 주나, 이 경우 완전동결이 이루어지지 않고 동결이 진행중인 경우에도 기기의 운전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소정의 온도검지소자를 통해 보일러내의 동결온도가 검지되면 소정시간 동안 순환펌프를 구동시키면서 온도를 계속 검출하여 소정시간이내에서 기구내의 온도가 동결온도범위 또는 그 이상의 온도로 상승하면 동결방지 운전 또는 연소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되, 소정시간 동안 순환펌프를 구동시켰는데도 불구하고 동결온도상태가 계속 검지되면 보일러내에 설치된 일체의 기능부품 구동을 차단시키고 연소동작도 이행되지 않도록함과 동시에 표시램프를 점등시키고 소정의 경보음을 발생시켜 주므로서 보일러의 동결 및 동파시에 동결방지 운전이 수행되거나 연소동작으로 인한 각 기능부품의 파손이나 손상 및 소손등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전동결이 아닐때의 기기운전 정지를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를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가스보일러(100)를 나타낸 것으로써, 수동조작장치(11)가 외부에 연결된 케이싱(101)안에 설치되어 보일러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와; 난방이나 급탕을 위한 온수를 데우기 위해 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기(20)와; 난방순환수를 저장하는 물탱크(30)와; 온수와 냉수의 순환을 위한 서로 다른 경로를 지니고 있는 2차 열교환기(40)와를 상호 결합하여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소기(20)의 케이싱(21)내에는 다수개의 버너로 이루어진 버너군(22)이 형성되고, 그의 상측방향에는 과열을 방지시키기 위한 온도퓨즈(24')가 부착된 1차 열교환기(24)가 설치되어 그곳을 통과하는 물을 상기 버너군(22)이 가열하게 되며, 상기 연소기케이싱(21)의 바닥면에는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23)가 설치되고, 상기 버너군(22)의 근방에는 버너군(22)을 점화하는 스파커(25)에 연결된 스파커플러그(26)와 버너군(22)의 착화를 감지하는 프레임로드(27)가 설치되며, 상기 연소기케이싱(21)의 상면에는 배기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부(28)가 보일러 케이싱(101)을 뚫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버너군(22)의 하방에는 가스를 공급시키기 위한 가스관(50)이 설치되는데, 여기에는 통전시 가스를 통과시키는 2개의 전자변(51), (52)과 가스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비례변(53)이 가스공급 경로에 대하여 가스관(50)의 상류로부터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30)에는 물탱크(30)내의 수량을 검지하기 위한 플로트 스위치(31)와 넘치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오버플로우관(32), 온돌바닥을 회전한 난방수를 회수하는 것으로 필터(33')가 설치된 환수관(33) 및 상기 1차 열교환기(24)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34)이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물공급관(34)에는 물의 순환을 조정하기 위한 순환펌프(35)가 아래 방향에 설치되어진다.
한편, 상기 2차 열교환기(40)에는 상기 1차 열교환기(24)로부터 유입되는 온수를 안내하는 온수관(41)과 수도를 통해 물을 방출하는 것으로 동결방지히터(42')와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온수의 직접적인 출탕온도를 감지하는 더어미스터(60)가 부착된 온수방출관(42), 가스보일러의 외부로부터의 찬물을 유입하는 것으로 필터(43')와 수류의 유무를 검지하는 수류스위치(43") 및 직수온도에 따른 일정수량을 통과시켜 안정된 비례제어 온도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기계적자동수량 제어장치(70)가 설치된 직수유입관(43) 및 상기 환수관(33)에 연결되어 2차 열교환기(40)를 순환한 물이 환수되도록 하는 보조관(46)이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물공급관(34)은 삼방변(44)을 통하여 온수관(41)과 난방을 위한 물이 통과되는 난방온수 공급관(45)에 연결되어진다.
또한, 1차 열교환기(24)를 통과하는 상기 물공급관(34)에는 전화방지 바이메탈(34')과 출탕온도를 측정하는 더어미스터(34")가 물의 흐름에 대하여 상류로부터 각각 설치되고, 상기 환수관(33)과 직수유입관(43) 사이에는 물탱크(30)에 물이 부족할때 물을 보충해 주기 위한 수도물 보급변(54)이 설치되며, 외부적인 상황에 의해 난방온수관(45)으로 물이 흐르지 못할때 비등을 방지하기 위한 바이패스관(55)은 상기 환수관(33)과 난방온수 공급관(45) 사이에 연결되고, 보일러의 외부온도를 감지하는 저온감지 바이메탈(56)은 보일러 케이싱(101)의 내벽에 설치되어지고, 에어헤드(60)와 압력계(61)가 일체로 설치된 상기 물공급관(34)의 중간부와 삼방변(44)의 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관에는 차압 스위치(70)와 마이크로 스위치(71)가 설치되어 진다.
그리고 본 발명 장치의 중심이 되는 상기 제어부(10)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컴(10')을 중심으로 하는 제어회로로서, 마이컴(10')내에는 온도검지기(13)가 연결된 온도 검출부(1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보일러의 동결온도를 인식하는 동결온도 인식부(111)와; 상기 동결온도 인식부(111)와 수동조작장치(11)내의 기구운전 지시부(11')로부터 소정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연소의 지시여부를 판단하는 연소지시 판단부(112)와; 발진기(17)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117)와; 상기 타이머(117)에 의해 제어를 받으며 상기 연소지시 판단부(112)에서 출력되는 소정신호를 입력받아 완전동결 상태가 아니면 연소이행 판단 명령부(114)에 소정의 연소이행 명령을 출력시키고 완전동결온도 상태이면 기능부품 구동부(115)에 소정의 차단신호를 출력시켜 주는 차기이행 명령부(113)와; 상기 차기이행 명령부(113)에서 소정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기기운전 지시부(11')에 따른 소정의 연소이행 명령신호를 출력시켜 주는 연소이행 판단 명령부(114)와; 상기 차기이행 명령부(113)와 연소이행 판단 명령부(114)로부터 소정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각각의 기능부품에 따른 소정의 구동신호 및 정지신호를 출력시켜주는 기능부품 구동부(115)와; 상기 기능부품 구동부(115)로부터 소정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순환펌프(35)를 소정시간동안 구동시켜 주는 펌프운전 제어부(118)와; 상기 기능부품 구동부(115)와 펌프운전 제어부(118)로부터 소정의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경보제어부(14), 표시램프 제어부(15), 펌프 제어부(16), 기능부품 제어부(18) 및 연소 제어부(19)를 통해 각각의 부품(즉, 경보기(14'), 표시램프(15'), 순환펌프(35), 기능부품(18') 및 전자변과 스파커 및 송풍기로 구성되는 연소기(9'))을 선택적으로 구동 및 정지시켜 주는 기능부품 구동신호 출력부(116)와를 구비하여서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 방법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코드가 '온'이 되었거나 정전후 재통전되면 운전스위치가 '온'이 되었는지를 검출하여(S1), 운전스위치가 '온'이 되면 동결방지 운전 온도범위(예를 들어 0-7℃) 및 그 이상온도인지를 검출하여(S2) 그 결과 동결방지 운전 온도범위 및 그 이상온도가 아닌 상태에서(S2에서 NO) 동결온도(예를 들어 0℃이하)이면 (S3) 소정시간동안 순환펌프(35)를 구동(S4)시키면서 상기 소정시간 이내에 동결방지 운전 온도범위 및 그 이상온도인지를 계속 검출하고(S5) 그대로 동결방지 운전 온도범위 및 그 이상온도가 아니면(S5에서 NO) 기구운전 정지 및 연소 불이행 명령을 출력시켜 순환펌프(35) 및 기능구동 부품의 구동을 차단(S12)시킨 다음 동결 상태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알리는 표시램프(15')와 경보기(14')를 구동(S13)시키되, 상기 과정(S2, S5)에서 검출한 결과 동결방지 운전 온도범위 및 그 이상온도이면 연소구동부품 제어부(19)를 통해 연소기(19')를 구동시키는 과정(S6)을 수행하고, 상기 과정(S1)에서 운전스위치를 검출한 결과 '오프'상태이면 동결방지 운전 온도범위인가를 계속 검출(S7)하여 동결방지 운전 온도범위내이면서 동결온도이면(S8에서 YES) 상기에서와 같이 순환펌프(35)를 소정시간동안 구동(S9)시키면서 상기 소정시간 이내에 동결방지 운전 온도범위 및 그 이상온도인지를 계속 검출하여(S10) 그대로 동결방지 운전 온도범위 및 그 이상온도가 아니면 기구운전 정지 및 연소 불이행 과정(S12)과 동결 표시 및 경보기능을 수행하는 과정(S10)을 순차적으로 수행시키고, 상기 과정(S8, S10)에서 검출한 결과 동결온도가 아니거나, 소정시간이 경과하기전 동결방지 운전 온도범위 및 그 이상온도가 검지되면 동결방지운전을 수행하는 과정(S11)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일러의 전원코드가 소정의 콘센트에 꼽혀져 보일러내에 전원전압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이거나, 상기와 같이 전원코드가 연결된 상태에서 소정시간 동안 정전된후 재차 통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연소지시파단부(112)에서 수동조작장치(11)내의 운전스위치가 '온'이 되는지를 검출하게 되는데, 만약 운전스위치가 '온'이 되어 기구운전 지시부(11')에서 소정신호가 출력되면(S1에서 YES), 연소지시 판단부(112)에서는 온도검지기(13)가 연결된 온도 검출부(1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보일러의 동결온도를 인식하는 동결온도 인식부(111)의 출력신호에 따라 연소동작을 지시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온도검지기(13)를 통해 외기의 온도를 검출한 결과 동결방지 운전온도범위 및 그 이상온도(S2에서 YES)이면, 연소지시 판단부(112)에서 이를 인식하여 그 결과를 차기이행 명령부(113)에 알리게 되므로, 타이머(117)의 제어를 받는 상기 차기이행 명령부(113)에서는 연소이행 판단 명령부(114), 기능부품 구동부(115) 및 기능부품 구동신호 출력부(116)를 통해 연소구동부품 제어부(19)에 소정의 연소동작 신호를 출력시키게 되어 전자변, 스파커 및 송풍기등으로 구성되는 연소기(19')가 구동(S6)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온도검지기(13)를 통해 기구내의 온도를 검출한 결과값을 인식하는 동결온도 인식부(111)에서 기구내의 온도를 인식한 결과 동결온도 이하이면, 차기이행 명령부(113)에서는 기구운전 지시부(11')에서 운전신호가 입력되어 연소에 따라 소정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상기 연소지시 판단부(112)의 출력신호에 무관하게 타이머(117)의 제어를 받아 기능부품 구동부(115), 펌프 운전 제어부(118), 기능부품 구동신호 출력부(116) 및 펌프 제어부(16)를 통해 소정의 구동신호를 출력(S4)시키게 되므로 순환펌프(35)가 타이머(117)에서 설정된 소정시간동안 구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기이행 명령부(113)에서는 순환펌프(35)가 구동되고 있는 시간동안 연소지시 판단부(112)를 통해 입력되는 동결온도 인식부(11)의 출력신호를 계속 입력받아 기구내의 온도가 동결방지 운전 온도범위 및 그 이상온도인가를 계속 검출하게 되는데, 이때 기구내의 온도가 소정시간이내에 동결방지 운전 온도범위 및 그 이상온도되면(즉 기구내의 온도가 동결온도이나 완전동결상태가 아니면), 상기에서와 같이 연소구동부품 제어부(19)를 통해 연소기(19')를 정상적으로 구동(S6)시켜 보일러가 완전동결상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운전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순화펌프(35)를 소정시간이상 구동시켰는데도 불구하고 기구내의 온도가 동결방지 운전온도범위 및 그 이상온도가 아닌 완전동결상태이면(S5에서 NO), 차기이행 명령부(113)에서 기구운전 정지 및 연소 불이행 명령을 출력시켜 순환펌프(35) 및 기능구동 부품의 구동을 차단시키고(S12), 표시램프(15')와 경보기(14')를 구동(S13)시키게 됨에 따라 순환펌프 및 기능부품(예를 들어 전자변, 스파커 및 송풍기등)의 구동이 차단되어 부품의 손상 및 파손등을 사전에 방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보일러의 완전 동결상태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손쉽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기구운전 지시부(11')에서 소정의 운전지시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상태에서(S1에서 NO) 온도 검지기(13)를 통해 기구내의 온도를 계속 검출한 결과, 기구내의 온도가 동결온도이면(S8에서 YES) 상기에서와 같이 순환펌프(35)를 소정시간동안 구동시키면서 소정시간 이내에 기구내의 온도가 동결방지 운전 온도범위 및 그 이상온도가 되는지를 계속 검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순환펌프(35)가 소정시간동안 구동되었는데도 불구하고 기구내의 온도가 동결방지 운전 온도범위 및 그 이상온도가 아닌 완전동결상태이면(S10 내지 NO), 상기에서와 같이 차기이행 명령부(113)에서 기구운전 정지 및 연소불이행 명령을 출력시켜 순환펌프(35) 및 기능구동 부품의 구동을 차단시킴과 동시에(S12), 표시램프(15')와 경보기(14')를 구동(S13)시킴에 따라 순환펌프 및 기능부품(예를 들어 전자변, 스파커 및 송풍기등)의 부품의 손상 및 파손등을 사전에 방지시킬 수 있고 또 사용자가 상기 표시램프 및 경보기를 통해 보일러가 현재 완전 동결상태임을 시각 및 청각적으로 알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과정(S8, S10)에서 기구내의 온도를 검출한 결과 동결온도가 아니거나, 동결온도이었다 할지라도 순환펌프(35)가 구동되고 있는 소정시간이내에 동결방지 운전 온도범위 및 그 이상온도이면(즉 기구내의 온도가 동결온도이나 완전동결상태가 아니면), 동결방지운전을 수행(S11)시키게 되므로 보일러내의 배관등의 동결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온도검지소자에서 보일러내의 온도가 동결온도로 검지되면, 소정시간 동안 순환펌프를 구동시키면서 기구내의 온도를 계속 검출하여 소정시간이내에 기구내의 온도가 동결온도범위 또는 그 이상의 온도로 검지되면 동결방지 운전 또는 연소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되, 소정시간 동안 순환펌프를 구동시켰는데도 불구하고 동결온도상태이면 완전동결상태로 인식하여 보일러내에 설치된 일체의 기능부품 구동을 차단시키고 연소동작도 이행되지 않도록함과 동시에 표시램프와 소정의 경보기를 구동시켜 주므로서 보일러를 구성하고 있는 각종 기능부품의 파손이나 손상 및 소손등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전동결상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기기의 운전이 정지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시킬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를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전원코드가 빠졌다가 다시 연결된 상태 또는 정전후 재통전시 마이컴내의 동결온도 인식부를 통해 검출한 결과 동결방지운전온도 보다 낮은 동결온도가 검출되면 운전스위치가 작동상태와 무관하게 기능부품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동결을 알리는 표시램프 및 경보기를 구동시켜 주는 제어방법이 구비된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동결온도 인식부(111)에서 동결방지 운전온도보다 낮은 동결온도가 검출되면 차기이행 명령부(113)의 소정신호를 입력받은 기능부품 구동부(115)에서 소정시간 동안 기능부품들을 구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동결방지 운전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기이행 명령부(113)에 의해 순환펌프(35)가 소정시간 동안 구동되고 있을시 기구내의 온도가 동결온도이나 완전동결상태가 아님으로 인해 동결방지 운전 온도범위 또는 그 이상의 온도로 검지되면 운전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동결방지 운전 또는 연소를 수행시키고, 동결방지 운전 온도범위 또는 그 이상의 온도가 검지되지 않으면 모든 기능부품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동결을 알리는 표시램프 및 경보기를 구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동결방지 운전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부품들은 순환펌프(35) 및 삼방변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동결방지 운전제어 방법.
  4. 온도검지기(13)가 연결된 온도 검출부(12)의 출력신호를 통해 보일러의 동결온도를 인식하는 동결온도 인식부(111)와; 상기 동결온도 인식부(111)와 수동조작장치(11)내의 기구운전 지시부(11')로부터 소정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연소의 지시여부를 판단하는 연소지시 판단부(112)와; 발진기(17)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117)와; 상기 타이머(117)에 의해 제어를 받으며 상기 연소지시 판단부(112)에서 출력되는 소정신호를 입력받아 완전동결상태가 아니면 연소이행 판단 명령부(114)에 소정의 연소이행 명령을 출력시키고 완전동결온도 상태이면 기능부품 구동부(115)에 소정의 차단신호를 출력시켜 주는 차기이행 명령부(113)와; 상기 차기이행 명령부(113)에서 소정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기기운전 지시부(11')에 따른 연소이행 명령신호를 출력시켜 주는 연소이행 판단 명령부(114)와; 상기 차기이행 명령부(113)와 연소이행 판단 명령부(114)로부터 소정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각각의 기능부품에 따른 구동신호 및 정지신호를 출력시켜주는 기능부품 구동부(115)와; 상기 기능부품 구동부(115)로부터 소정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순환펌프(35)를 소정시간동안 구동시켜 주는 펌프운전 제어부(118)와; 상기 기능부품 구동부(115)와 펌프운전 제어부(118)로부터 소정의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경보제어부(14), 표시램프 제어부(15), 펌프 제어부(16), 기능부품 제어부(18) 및 연소 제어부(19)를 통해 각각의 부품을 선택적으로 구동 및 정지시켜 주는 기능부품 구동신호 출력부(116)를 구비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동결방지 운전제어 장치.
KR1019920009066A 1992-05-27 1992-05-27 보일러의 동결방지 운전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950009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9066A KR950009122B1 (ko) 1992-05-27 1992-05-27 보일러의 동결방지 운전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9066A KR950009122B1 (ko) 1992-05-27 1992-05-27 보일러의 동결방지 운전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672A KR930023672A (ko) 1993-12-21
KR950009122B1 true KR950009122B1 (ko) 1995-08-14

Family

ID=19333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9066A KR950009122B1 (ko) 1992-05-27 1992-05-27 보일러의 동결방지 운전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1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5916A (zh) * 2016-10-20 2018-04-27 樱花卫厨(中国)股份有限公司 热水器智能防冻预警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391B1 (ko) * 1997-05-30 2004-07-1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운전조작장치 상태에 따른 동결방지운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5916A (zh) * 2016-10-20 2018-04-27 樱花卫厨(中国)股份有限公司 热水器智能防冻预警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672A (ko) 199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9881B2 (en) Electric water heater with pulsed electronic control and detection
US9182159B2 (en) Water heat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186678B1 (ko) 연소 장치
KR101976646B1 (ko) 온수저장탱크를 구비한 난방전용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고장 검지방법
KR950009122B1 (ko) 보일러의 동결방지 운전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950004506B1 (ko) 보일러의 동결시 운전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3558439B2 (ja) 安全燃焼装置
KR20000032723A (ko) 가스 보일러의 3방향밸브 고장 감지방법
KR930001848B1 (ko) 가스보일러에서의 동결방지 운전방법
KR940009072B1 (ko) 가스보일러의 차압스위치 이상유무에 따른 초기운전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472066B1 (ko) 기름보일러의초기온수출탕수온제어장치및그방법
JP3811561B2 (ja) 一缶二水路式給湯装置
KR100286136B1 (ko) 가스보일러의 동결방지방법 및 장치
KR100302271B1 (ko) 가스보일러에서 가스누설검지시 시스템 제어방법
JPS6131388B2 (ko)
KR950009055B1 (ko) 가스보일러의 단축연소 검지방법 및 그 장치
KR960016352B1 (ko) 보일러에서 폐가스 배출시 안전연소 제어장치
KR100285882B1 (ko) 가스보일러의 완전동결시 시스템 제어방법 및 장치
KR960016353B1 (ko) 보일러의 안전연소 제어장치
KR950000935B1 (ko) 가스보일러의 단축연소 검지방법 및 그 장치
KR930010244B1 (ko) 가스보일러에서의 동결방지운전중 순환펌프 제어방법 및 그 장치
CA2409010C (en) Electric water heater with pulsed electronic control and detection
JP3788529B2 (ja) 燃焼制御装置
KR101592174B1 (ko) 보일러의 과열방지방법
KR950000934B1 (ko) 저출력 가스보일러의 온수 급속가열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