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496A - 화상형성장치 및 이의 소모품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이의 소모품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496A
KR20110115496A KR1020100035033A KR20100035033A KR20110115496A KR 20110115496 A KR20110115496 A KR 20110115496A KR 1020100035033 A KR1020100035033 A KR 1020100035033A KR 20100035033 A KR20100035033 A KR 20100035033A KR 20110115496 A KR20110115496 A KR 20110115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key
prevention
consumables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0915B1 (ko
Inventor
이병조
박진호
설광조
김건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5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915B1/ko
Priority to US12/923,620 priority patent/US8606146B2/en
Priority to EP10189096.0A priority patent/EP2378372B8/en
Priority to CN201110091687.0A priority patent/CN102221808B/zh
Publication of KR20110115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496A/ko
Priority to US14/075,724 priority patent/US881823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Abstract

현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등의 소모품의 오장착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장착구조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장착구조는, 프레임과; 서로 다른 위치에 오장착 방지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소모품과; 오장착 방지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복수의 소모품의 오장착을 방지하는 복수의 오장착 방지키와; 프레임에 설치되며, 복수의 오장착 방지키 각각이 각 소모품 별로 다르게 설치되도록 가이드하는 키설치부를 가지며, 복수의 소모품 각각이 장착되는 장착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이의 소모품 장착구조{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RUCTURE FOR INSTALLING CONSUMPTION GOODS THEREOF}
본 발명은 인쇄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이의 소모품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현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등의 소모품의 오장착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화상형성장치 및 이의 소모품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복합기 등의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등에 의하여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이들 가운데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칼라 예컨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 칼라별로 마련된 복수의 현상기를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현상기와는 별도로 마련되며, 각 현상제에 대해 대응하는 색상의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여기서 현상기와 현상제 카트리지는 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 가운데 대표적인 소모품으로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대하여 분리 결합 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한편,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토너 소모품은 복수의 칼라별로 동일 내지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초기 화상형성장치 조립 과정 내지는 사용자에 의한 소모품 교체 과정에서 오장착 가능성이 있다.
한편, 소모품의 오장착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마련함에 있어서 각 색상별로 상이한 구조의 오장착 방지구조를 마련하는 경우는 각 색상별 소모품의 제작에 이용되는 금형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생산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모품의 장착 방향의 선단에 오장착 방지구조를 마련하는 경우는 소모품의 오장착시 미삽입에 따른 소모품의 낙하 파손 염려가 있고, 그의 후단에 오장착 방지구조를 마련하는 경우는 강제 삽입에 의한 후단부 파손 위험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일 금형으로 제조 가능한 오장착 방지키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장착구조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모품의 무게중심을 고려한 오장착 방지구조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장착구조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장착구조는, 프레임과; 서로 다른 위치에 오장착 방지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소모품과; 상기 오장착 방지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소모품의 오장착을 방지하는 복수의 오장착 방지키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오장착 방지키 각각이 각 소모품 별로 다르게 설치되도록 가이드하는 키설치부를 가지며, 복수의 소모품 각각이 장착되는 장착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장착 방지키 각각은 동일 형상으로 되며, 상기 키설치부에 대한 상기 오장착 방지키의 설치 방향에 따라 오장착 방지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키설치부는, 상기 소모품의 장착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장착홀과; 상기 복수의 소모품 별로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오장착 방지키의 설치방향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설치부는, 상기 오장착 방지키가 설치되는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소모품 별 상기 오장착 방지키의 설치방향을 식별하는 식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장착방지키는, 상기 장착홀에 상기 규제부를 회피하여 삽입되고 상기 소모품이 장착되는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의 일면 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소모품이 오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소모품은, 각 색상별로 구분되며 그 장착위치를 달리하는 복수의 현상기 또는 각 색상별로 구분되며 그 장착위치를 달리하는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오장착 방지부에 대응되는 형상이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코어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현상기의 하우징 또는 상기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의 하우징 각각을 단일 금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소모품의 무게중심이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 상에 위치된 이후에 상기 오장착 방지부와 상기 오장착 방지키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소모품에 대한 상기 오장착 방지부의 설치위치와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에 대한 상기 키설치부의 설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프레임과; 서로 다른 위치에 오장착 방지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담지체에 가시화상을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기와; 상기 오장착 방지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현상기의 오장착을 방지하는 복수의 오장착 방지키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오장착 방지키 각각이 각 현상기 별로 다르게 설치되도록 가이드하는 키설치부를 가지며, 복수의 현상기 각각이 장착되는 장착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오장착 방지키 각각은 동일 형상으로 되며, 상기 키설치부에 대한 상기 오장착 방지키의 설치 방향에 따라 오장착 방지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키설치부는, 상기 현상기의 장착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장착홀과; 상기 복수의 현상기 별로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오장착 방지키의 설치방향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설치부는, 상기 오장착 방지키가 설치되는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현상기 별 상기 오장착 방지키의 설치방향을 식별하는 식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장착방지키는, 상기 장착홀에 상기 규제부를 회피하여 삽입되고 상기 현상기가 장착되는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의 일면 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현상기가 오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오장착 방지부에 대응되는 형상이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코어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현상기의 하우징을 단일 금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현상기의 무게중심이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 상에 위치된 이후에 상기 오장착 방지부와 상기 오장착 방지키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현상기에 대한 상기 오장착 방지부의 설치위치와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에 대한 상기 키설치부의 설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장착구조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는 각 색상별 오장착 방지에 기여하는 오장착 방지키를 실질상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단일 금형으로 오장착 방지키를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오장착 방지구조물을 생산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모품의 장착을 가이드하는 장착 가이드부재에 대한 오장착 방지키를 설치함에 있어서, 각 색상별로 그 설치 위치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된 식별부를 마련함으로써 오장착 방지키의 설치 에러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장착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부분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장착 가이드부재와 오장착 방지키의 결합 관계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 각각은 도 3의 IV 영역 확대 도면으로서, 장착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키설치부와 오장착 방지키의 각 색상별 결합 관계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 각각은 도 3의 IV 영역의 배면 확대 도면으로서, 장착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키설치부와 오장착 방지키의 각 색상별 결합 관계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저면도.
도 7a 내지 도 7d 각각은 도 2의 현상기의 오장착 방지부와 오장착 방지키의 각 색상별 상호작용 관계를 보인 부분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장착구조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싱글패스 방식으로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탠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로서, 상담지체(101)를 포함하는 현상기(110), 광주사유니트(30), 전사유니트(40) 및 정착유니트(50)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공급될 인쇄매체(M)가 적재되는 공급유니트(20)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 공급유니트(20)에 적재된 인쇄매체(M)는 픽업롤러(21)를 통하여 픽업되고, 이송경로를 통하여 전사유니트(40)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담지체(101)는 광주사유니트(30)에서 주사된 광빔에 감응하여 각 색상별 잠상(latent image)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상담지체(101)로서 인쇄매체의 공급방향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제1 내지 제4상담지체를 예로 들어 나타내었다.
현상기(110)는 현상제 카트리지(130)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수용하며, 상담지체(101)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이 현상기(110)는 각 칼라별로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도 1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칼라를 각각 구현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4현상기(110Y)(110M)(110C)(110K)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현상제 카트리지(130)는 각 색상별 현상기에 맞추어 제1 내지 제4현상제 카트리지(130Y)(130M)(130C)(130K)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기(110)와, 현상제 카트리지(130)를 별도로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단일 구성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현상기(110) 내부에 상담지체(101)가 마련된 구성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상기 외부에 마련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여기서, 현상기(110)와 현상제 카트리지(130)는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관련한 대표적인 소모품(100)이다. 따라서 현상제 카트리지(130)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가 소모 되거나, 현상기(110)의 수명이 다 된 경우는 색상별로 맞추어 새제품으로 교환하여야 한다. 한편, 소모품(100)을 교체하거나, 화상형성장치의 생산과정에서 소모품(100)을 장착함에 있어서, 각 소모품(100)은 그 유형에 따라 동일 내지 유사한 하우징 구조를 가지므로 장착시 오장착의 우려가 있다. 상기한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모품 장착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광주사유니트(30)는 상기 복수의 상담지체(101) 각각에 잠상이 형성되도록 빔을 주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광주사유니트(30)는 광원(미도시)과, 이 광원에서 조사된 빔을 편향 주사시키는 빔편향기(31)와, 빔편향기(31)에서 편향된 광빔을 상담지체(101) 상에 주사 결상하는 결상렌즈(35) 및 빔편향기(31)에서 주사된 광의 진행 경로를 변환하는 반사부재(37)를 포함한다.
전사유니트(40)는 상담지체(101)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경로를 따라 공급되는 인쇄매체(M)에 전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사유니트(40)는 복수의 상담지체(101)와 마주하게 배치된 전사벨트(41)와 전사백업롤러(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전사유니트(40)를 통하여 인쇄매체(M)에 전사된 화상은 정착유니트(50)를 통하여 정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장착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부분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장착 가이드부재와 오장착 방지키의 결합 관계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장착구조는 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된 프레임(15)과, 복수의 소모품(100)의 장착을 가이드하는 장착 가이드부재(200) 및 오장착 방지키(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소모품(100)으로서 도 1의 현상기(110)를 예로 들어 나타내었다. 여기서 현상기(110)는 장착 가이드부재(200)에 대향하는 저면에 형성된 오장착 방지부(113)를 포함한다. 이 오장착 방지부(113)는 각 색상별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오장착 방지키(30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현상기(110)의 오장착을 방지한다. 장착 가이드부재(200)는 복수의 오장착 방지키(300) 각각이 각 소모품(100)별로 다르게 설치되도록 가이드하는 키설치부(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장착 가이드부재(200)는 제1 내지 제4현상기(110Y)(110M)(110C) (110K) 각각이 장착되는 제1 내지 제4장착 가이드부재(200Y)(200M)(200C)(200K)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장착 가이드부재(200Y)(200M)(200C)(200K) 각각에 대한 제1 내지 제4현상기(110Y)(110M)(110C)(110K) 각각의 결합시, 도 2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며, 슬라이딩 결합시 오장착 방지부(113)와 오장착 방지키(300)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오장착을 방지한다.
도 4a 내지 도 4d 각각은 도 3의 IV 영역 확대 도면으로서, 장착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키설치부와 오장착 방지키의 각 색상별 결합 관계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장착 가이드부재(200Y)(200M) (200C)(200K) 각각의 키설치부(210)에 설치되는 복수의 오장착 방지키(300Y)(300M) (300C)(300K) 각각은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이 복수의 오장착 방지키는 키설치부(210)에 대한 설치 방향에 따라 오장착 방지위치를 달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키설치부(210)는 소모품의 장착방향(A)의 가로방향으로 장착 가이드부재(200)에 형성된 장착홀(211)과, 오장착 방지키(300)의 설치방향을 규제하는 규제부(213)를 포함한다. 규제부(213)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소모품(100) 별로 장착 가이드부재(2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각 색상별 오장착 방지키(300)의 설치방향을 규제한다. 즉, 규제부(213)는 제1 내지 제4현상기의 장착 위치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후술하는 오장착 방지키(300)가 4가지 모드를 구분하여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규제부(213)는 장착홀(211)의 소모품의 장착방향(A)의 가로방향 길이를 B라 할 때, 규제부(213)의 동일방향 폭(C)은 대략 B/4의 관계를 가지며, 장착홀(211)의 길이를 사등분할 때 각 색상별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오장착 방지키(300)는 장착 가이드부재(200)의 판면과 나란하게 장착 가이드부재(200)의 이면에 결합되는 결합부(310)와, 장착 가이드부재(200)의 일면 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부(310)는 장착 가이드부재(200)의 이면에 대해 나사결합, 리벳결합, 접착제에 의한 접합,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결합부(310)에 형성된 제1결합홈(310a)과, 키설치부(210)에 형성된 제2 또는 제3결합홈(215a)(215b) 사이에 리벳(330)에 의한 결합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다.
스토퍼(320)는 장착홀(210)에 규제부(213)를 회피하여 삽입되고, 소모품이 장착되는 장착 가이드부재(200)의 일면 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스토퍼(320)는 제1 내지 제4현상기의 장착 위치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상기 규제부(213)와의 관계에서 4가지 모드를 표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스토퍼(320)는 4가지 모드를 표현하기 위하여, 제1 내지 제3스토퍼(321)(323)(3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토퍼(321)는 결합부(310)의 일측에 그 단부로부터 화살표 A 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대략 4분의 3 영역에 걸쳐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310)의 일측의 타단부에는 대략 4분의 1 영역이 오픈된다. 제2스토퍼(323)는 결합부(310)의 타측에 그 단부로부터 화살표 A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대략 4분의 2영역에 걸쳐 제1스토퍼(321)의 돌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3스토퍼(325)는 제2스토퍼(323)에 대하여 대략 4분의 1만큼 이격되게 결합부(310)의 타측에 화살표 A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대략 4분의 1영역에 걸쳐 제1스토퍼(321)의 돌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동일 형상의 오장착 방지키(300)를 키설치부(210)에 설치함에 있어서, 규제부(213)의 형성위치 및 스토퍼(320) 형상에 의하여 각 색상별로 규제위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a 내지 도 4d 각각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의 오장착 방지키(300Y)(300M)(300C)(300K)과 제1 내지 제4장착 가이드부재(200Y)(200M) (200C)(200K) 사이의 결합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오장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토퍼의 구체적인 예로서 제1 내지 제3스토퍼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필요한 모드에 따라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d 각각은 도 3의 IV 영역의 배면 확대 도면으로서, 장착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키설치부와 오장착 방지키의 각 색상별 결합 관계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키설치부(210)는 식별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별부(250)는 오장착 방지키(300)가 설치되는 장착 가이드부재(200)의 일면(예, 도 3의 저면)에 형성되어, 복수의 소모품 별 오장착 방지키(300)의 설치방향을 육안으로 식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식별부(250)를 더 포함함으로써, 장착 가이드부재(200)에 대하여 오장착 방지키(300) 설치시, 각 색상별로 육안으로 용이하게 구별하여 장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저면도이다. 도 6은 복수의 현상기 가운데 제4현상기(110K)를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2의 장착 가이드부재(200)와 마주하는 현상기(110)의 저면에 오장착 방지부(113)가 각 색상별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즉, 제4현상기(110K)의 경우는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오장착 방지부(113K)가 형성된다. 반면, 다른 색상의 현상기의 경우는 점선으로 각각 나타낸 위치에 오장착 방지부(113Y)(113M)(113C)가 형성된다. 여기서, 점선으로 나타낸 오장착 방지부는 편의상 표현한 것으로서, 제4현상기(110K)의 경우는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한 오장착 방지부(113)를 제외하고는 제1 내지 제4현상기의 하우징 각각은 동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오장착 방지부에 대응되는 형상이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한 코어를 바꾸어 가면서 현상기 하우징을 제조하는 경우 단일 금형으로 복수의 현상기의 하우징 각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6에 있어서 동일 금형으로 제3현상기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는 이에 대응되는 코어를 금형에 적용하는 것으로, 굵은 선으로 나타낸 오장착 방지부(113) 형성부분 D를 부분 D'으로 바꿀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일 금형을 이용하여 각 색상의 현상기를 제조하는 경우 금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 금형으로 제조되는 소모품으로서 현상기의 하우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토너저장부의 하우징의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 각각은 도 2의 현상기의 오장착 방지부와 오장착 방지키의 각 색상별 상호작용 관계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색상별로 오장착 방지부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장착 가이드부재의 위치에 오장착 방지키를 설치함으로써, 도 7a 내지 도 7d 각각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색상별 오장착 방지부와 오장착 방지키가 매칭됨으로써, 각 색상별 소모품이 오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모품 장착구조는 장착 가이드부재의 판면 상에 오장착 방지키를 설치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소모품과 오장착 방지 구조 사이의 상호 작용하는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소모품이 장착 가이드부재(200) 상에 슬라이딩 결합시, 복수의 소모품의 무게중심이 장착 가이드부재 상에 위치된 이후에 오장착 방지부(113)와 오장착 방지키(200)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모품의 오창착시 소모품의 낙하 파손 내지 강제 삽입에 의한 소모품 후단부 파손 위험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하우징 15: 프레임
20: 공급유니트 30: 노광유니트
40: 전사유니트 50: 정착유니트
100: 소모품 101: 상담지체
110: 현상기 113: 오장착 방지부
130: 현상제 카트리지 200: 장착 가이드부재
210: 키설치부 211: 장착홀
213: 규제부 300: 오장착 방지키
310: 결합부 320: 스토퍼

Claims (15)

  1.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장착구조에 있어서,
    프레임과;
    서로 다른 위치에 오장착 방지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소모품과;
    상기 오장착 방지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소모품의 오장착을 방지하는 복수의 오장착 방지키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오장착 방지키 각각이 각 소모품 별로 다르게 설치되도록 가이드하는 키설치부를 가지며, 복수의 소모품 각각이 장착되는 장착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장착 방지키 각각은 동일 형상으로 되며,
    상기 키설치부에 대한 상기 오장착 방지키의 설치 방향에 따라 오장착 방지위치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장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설치부는,
    상기 소모품의 장착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장착홀과;
    상기 복수의 소모품 별로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오장착 방지키의 설치방향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장착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설치부는,
    상기 오장착 방지키가 설치되는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소모품 별 상기 오장착 방지키의 설치방향을 식별하는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장착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장착방지키는,
    상기 장착홀에 상기 규제부를 회피하여 삽입되고 상기 소모품이 장착되는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의 일면 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소모품이 오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장착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모품은,
    각 색상별로 구분되며 그 장착위치를 달리하는 복수의 현상기 또는 각 색상별로 구분되며 그 장착위치를 달리하는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장착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장착 방지부에 대응되는 형상이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코어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현상기의 하우징 또는 상기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의 하우징 각각을 단일 금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장착구조.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모품의 무게중심이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 상에 위치된 이후에 상기 오장착 방지부와 상기 오장착 방지키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소모품에 대한 상기 오장착 방지부의 설치위치와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에 대한 상기 키설치부의 설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장착구조.
  9.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서로 다른 위치에 오장착 방지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담지체에 가시화상을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기와;
    상기 오장착 방지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현상기의 오장착을 방지하는 복수의 오장착 방지키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오장착 방지키 각각이 각 현상기 별로 다르게 설치되도록 가이드하는 키설치부를 가지며, 복수의 현상기 각각이 장착되는 장착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장착 방지키 각각은 동일 형상으로 되며,
    상기 키설치부에 대한 상기 오장착 방지키의 설치 방향에 따라 오장착 방지위치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키설치부는,
    상기 현상기의 장착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장착홀과;
    상기 복수의 현상기 별로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오장착 방지키의 설치방향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설치부는,
    상기 오장착 방지키가 설치되는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현상기 별 상기 오장착 방지키의 설치방향을 식별하는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장착방지키는,
    상기 장착홀에 상기 규제부를 회피하여 삽입되고 상기 현상기가 장착되는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의 일면 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현상기가 오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장착 방지부에 대응되는 형상이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코어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현상기의 하우징을 단일 금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기의 무게중심이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 상에 위치된 이후에 상기 오장착 방지부와 상기 오장착 방지키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현상기에 대한 상기 오장착 방지부의 설치위치와 상기 장착 가이드부재에 대한 상기 키설치부의 설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00035033A 2010-04-15 2010-04-15 화상형성장치 및 이의 소모품 장착구조 KR101670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033A KR101670915B1 (ko) 2010-04-15 2010-04-15 화상형성장치 및 이의 소모품 장착구조
US12/923,620 US8606146B2 (en) 2010-04-15 2010-09-29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ructure for installing consumables thereof
EP10189096.0A EP2378372B8 (en) 2010-04-15 2010-10-27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ructure for installing consumables thereof
CN201110091687.0A CN102221808B (zh) 2010-04-15 2011-04-13 图像形成装置及用于安装其耗材的结构
US14/075,724 US8818237B2 (en) 2010-04-15 2013-11-08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ructure for installing consumable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033A KR101670915B1 (ko) 2010-04-15 2010-04-15 화상형성장치 및 이의 소모품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496A true KR20110115496A (ko) 2011-10-21
KR101670915B1 KR101670915B1 (ko) 2016-11-01

Family

ID=4427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033A KR101670915B1 (ko) 2010-04-15 2010-04-15 화상형성장치 및 이의 소모품 장착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606146B2 (ko)
EP (1) EP2378372B8 (ko)
KR (1) KR101670915B1 (ko)
CN (1) CN10222180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393B1 (ko) * 2012-02-07 2014-06-25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매체 수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996B1 (ko) * 2012-09-25 2019-09-2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카트리지, 및 오삽입 방지 시스템
JP1543378S (ko) * 2015-07-22 2016-02-08
JP6460002B2 (ja) * 2016-02-15 2019-0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95137A1 (en) * 1997-07-31 1999-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ner supplying device for imaging system
JP2000075659A (ja) * 1998-08-31 2000-03-14 Canon Inc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US20070189781A1 (en) * 2006-02-14 2007-08-16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Consumable cartridg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134097A (ja) * 2007-11-30 2009-06-18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263B2 (ja) 1987-12-04 1995-09-06 コニカ株式会社 多色画像形成装置
US5392102A (en) * 1992-05-26 1995-02-21 Konica Corporation Developing device having toner cartridge discriminator
JP3487704B2 (ja) * 1995-12-14 2004-01-19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US6619766B1 (en) * 1999-10-12 2003-09-16 Gateway, Inc. Device mounting and retention assembly
JP2006030957A (ja) * 2004-06-16 2006-02-0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683912B2 (ja) 2004-12-20 2011-05-18 株式会社リコー 機器およびこの機器に用いる装置ユニット
JP4603905B2 (ja) 2005-02-24 2010-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4753691B2 (ja) 2005-11-15 2011-08-2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トナー補給制御装置
JP4802872B2 (ja) 2006-06-08 2011-10-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着脱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80055053A (ko) 2006-12-14 200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와 그 동력 커플링장치
KR100884403B1 (ko) 2007-08-01 2009-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품 오삽입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상제 카트리지오삽입 방지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와, 현상제카트리지 및 이 현상제 카트리지의 제조방법
JP2009098409A (ja) 2007-10-17 2009-05-07 Kyocera Mit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95137A1 (en) * 1997-07-31 1999-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ner supplying device for imaging system
JP2000075659A (ja) * 1998-08-31 2000-03-14 Canon Inc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US20070189781A1 (en) * 2006-02-14 2007-08-16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Consumable cartridg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134097A (ja) * 2007-11-30 2009-06-18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393B1 (ko) * 2012-02-07 2014-06-25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매체 수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64780A1 (en) 2014-03-06
EP2378372B1 (en) 2019-11-27
CN102221808B (zh) 2016-02-03
US8818237B2 (en) 2014-08-26
EP2378372A3 (en) 2012-02-01
US8606146B2 (en) 2013-12-10
US20110255881A1 (en) 2011-10-20
CN102221808A (zh) 2011-10-19
EP2378372B8 (en) 2020-01-01
EP2378372A2 (en) 2011-10-19
KR101670915B1 (ko)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5926B2 (en)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3054058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2008158381A (ja) 画像形成装置
US1092874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optical print head
JP2012168463A (ja) 画像形成装置
CN110275416B (zh) 框体结构及图像形成装置
US1065659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optical print head
KR20110115496A (ko) 화상형성장치 및 이의 소모품 장착구조
JP6111689B2 (ja) トナー補給装置
JP709416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8792803B2 (en) Housing engagement structure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with walls having overlap portions
EP1975744B1 (en)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74682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803362B2 (ja) 画像形成装置
US11868059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housing cover, optical box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586139B2 (en) Opening-closing member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05057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hotosensitive cartridge
JP709470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71715A (ja) 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12441444A (zh) 供纸装置与设置于其上侧的图像形成装置的定位结构
JP2020064229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06409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333916A (ja) 画像形成装置の光ビーム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51082A (ja) 画像形成装置
JP2011107467A (ja) 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