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759A -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759A
KR20110113759A KR1020117020052A KR20117020052A KR20110113759A KR 20110113759 A KR20110113759 A KR 20110113759A KR 1020117020052 A KR1020117020052 A KR 1020117020052A KR 20117020052 A KR20117020052 A KR 20117020052A KR 20110113759 A KR20110113759 A KR 20110113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hoistway
fixing
main body
clip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0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코 고이즈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3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리프팅빔을 설치하는 경우와 같이, 그 설치방법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개소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피유지부재를 간단한 순서로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고정체에 피유지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에 있어서, 피유지부재의 일부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이 대향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를 마련한다. 그리고, 클립장치의 고정 시에, 상기 볼록부를 피유지부재의 상기 일부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배치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CLIP DEVICE FOR ELEVATOR AND SUPPORT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서 리프팅빔(lifting beam, 양중량(揚重梁))이나 가이드레일 등을 유지하기 위한 클립장치 및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 설치하는 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이나 균형추는, 승강로 내에 세워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의해서 그 승강방향이 안내되고 있다. 이 가이드레일은, 승강로 벽측에 마련된 브라켓과 가이드레일 측에 마련된 브라켓이 볼트나 용접에 의해서 고정됨으로써, 승강로 내의 소정 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그런데, 가이드레일 측에 마련되는 브라켓은, 레일클립이라고 불려지는 소형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가이드레일에 고정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
이 레일클립은, 일반적으로, 가이드레일의 측방에서 브라켓에 볼트 고정됨과 아울러, 브라켓에 의해서 가이드레일의 플랜지부를 강고하게 끼워 넣고, 그 마찰력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유지하고 있다. 즉, 특허문헌 1 내지 3에 기재의 레일클립을 이용하여 가이드레일을 승강로 내에 세워 설치하는 경우, 가이드레일의 플랜지부에 고정용 구멍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또한, 가이드레일의 고정할 때에, 그 플랜지부에 고정용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는, 이하에 나타내는 몇 가지의 과제가 발생한다.
즉, 가이드레일의 플랜지부에 형성하는 구멍의 위치는, 엘리베이터의 설치 현장마다 다르다. 이 때문에,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용 구멍을 형성하면, 가이드레일의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설치 현장에 의해서는, 그 현장이 건축 도면대로 시공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실제의 시공 상태에 맞추어 가이드레일을 현지에서 절단하거나 혹은, 가이드레일의 제작 전에 현지조사를 행하고, 현지에서 실측한 결과에 기초하여 가이드레일의 제작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가이드레일을 현지에서 절단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의 설치 작업자가, 가이드레일의 절단기를 현지에 가지고 들어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의 부담이 크고, 설치의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가이드레일의 제작 전에 현지조사를 행하는 경우는, 현지조사를 행하기 위한 시간의 확보가 필요하게 되어, 엘리베이터의 설치공정이 큰 폭으로 지연되어 버린다. 또한, 상기 현지조사에 있어서는, 승강로 내에 새롭게 비계(飛階, 발판)를 만들어 정확하게 치수를 측정할 필요가 있어, 현지조사에 요구되는 부담, 시간, 비용이 모두 큰 폭으로 증대해 버린다.
특허문헌 1 내지 3에 기재된 레일클립은, 이와 같은 사정에 감안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레일클립은, 피유지부재(상기 예에 대해서는, 가이드레일)에 고정용의 구멍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므로, 볼트에 의한 직접 체결을 행할 수 없는 개소, 혹은, 직접 체결이 곤란한 개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 유용 및 활용되고 있다.
이하에, 그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의 종단면도이며, 상기 레일클립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클립장치(24)를 사용하여,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리프팅빔(25)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브라켓(26)이 마련되어 있으며, 리프팅빔(25)은 클립장치(24)를 사용하여 상기 브라켓(2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프팅빔(25)은, 엘리베이터의 설치 시에 승강로(1)의 내부에 배치하는 각종 기기류를 들어올릴 때의 들어올리는 근원으로서 또한, 엘리베이터의 설치 시나 설치 후에,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배치하는 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서 활용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설치 시, 리프팅빔(25)은 설치 순서의 최초의 단계에서 적정한 위치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기기에는, 승강로(1)의 천장부 부근에 배치해야 하는 것도 있기 때문에, 리프팅빔(25)은 가능한 한 승강로(1)의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리프팅빔(25)을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설치해 두면, 설치위치가 높은 기기의 설치를 행할 때에도 리프팅빔(25)을 사용하여 설치 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그 설치 작업에 필요로 하는 부하를 큰 폭으로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공개실용신안 실개소52-119255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공개실용신안 실개소52-150168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공개특허 특개2003-48673호 공보
통상, 클립장치(24)에는 올바른 설치방향이 있으며, 그 설치방향이 올바르지 않으면 클립장치(24)는, 유지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립장치(24)를 이용하여 리프팅빔(25)을 고정하는 경우는, 클립장치(24)의 설치 후에 클립장치(24)를 윗쪽으로부터 들여다 보고 클립장치(24)가 올바르게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했다.
또한, 도 8은 종래의 클립장치의 올바른 설치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종래의 클립장치가 올바르지 못한 설치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8 및 도 9에서는, 좌측에 도 6의 D-D 화살표를 따라서 바라본 것을, 우측에 도 6의 E-E 화살표를 따라서 바라본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엘리베이터의 설치 작업자는, 클립장치(24)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프팅빔(25)에 대해서 정면으로 마주하고 있는 것을 눈으로 윗쪽에서 확인하고, 만일, 클립장치(24)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프팅빔(25)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고정되고 있는 경우는, 클립장치(24)를 다시 올바르게 고정할 필요가 있었다.
이와 같이, 상기 레일클립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클립장치(24)를 사용하는 경우, 클립장치(24)의 적용은, 그 설치상태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곳으로 한정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리프팅빔(25)의 배치에 의해서는, 상기 적용 제한 때문에 클립장치(24)를 이용할 수 없으며, 리프팅빔(25)의 고정에 용접고정이나 볼트고정등, 다른 방법을 채용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또한, 도 10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지지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리프팅빔(25)의 고정을 용접에 의해서 행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용접작업은, 그 자격을 가지고 있는 자밖에 행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리프팅빔(25)을 용접에 의해서 브라켓(26)에 고정하는 경우는, 그 작업자가 한정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리프팅빔(25)을 용접고정하는 경우도, 상기 클립장치(24)에 의한 고정과 마찬가지로, 작업 후의 시공상태(즉, 용접부(27))를 눈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클립장치(24)에 의한 고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고정 개소는, 용접 후의 시공상태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곳으로 한정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리프팅빔(25)에 고정용의 구멍을 형성하여 리프팅빔(25)을 볼트고정하는 경우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고정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문제가 생겨 버린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리프팅빔을 설치하는 경우와 같이, 그 설치방법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개소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피유지부재를 간단한 순서로 적절히 유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 및 그 클립장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고정체에 피유지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로서, 승강로 고정체의 일면을 밀어붙이는 제1 밀어붙임부와, 승강로 고정체의 일면과의 사이에 피유지부재의 일부를 끼운 상태에서, 피유지부재의 일부를 승강로 고정체의 일면 측으로 밀어붙이는 제2 밀어붙임부와, 피유지부재의 일부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마련되며 대향면으로부터 돌출하고 피유지부재의 일부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배치되는 볼록부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고정체에 피유지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로서, 본체부와, 본체부를 승강로 고정체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본체부에 마련되며 고정수단에 의해서 본체부가 승강로 고정체에 고정될 때에 승강로 고정체의 일면으로 밀어붙여지는 제1 밀어붙임부와, 본체부에 마련되며 고정수단에 의해서 본체부가 승강로 고정체에 고정될 때에 승강로 고정체의 일면과의 사이에 끼운 피유지부재의 일부를 승강로 고정체의 일면 측으로 밀어붙이는 제2 밀어붙임부와, 고정수단에 의해서 본체부가 승강로 고정체에 고정되었을 때에 피유지부재의 일부에 대향하는 본체부의 대향면에 마련되며 대향면으로부터 돌출하고 피유지부재의 일부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배치되는 볼록부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 설치하는 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로서,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마련된 고정체와, 고정체의 상면에 재치(載置, 얹어놓음)되며 그 일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리프팅빔과, 고정체에 리프팅빔을 유지하는 클립장치를 구비하며, 클립장치는, 본체부와, 본체부를 고정체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본체부에 마련되며 고정체의 상면으로 밀어붙여진 제1 밀어붙임부와, 본체부에 마련되며 고정체의 상면과의 사이에 끼운 리프팅빔의 일부를 고정체의 상면 측으로 밀어붙이는 제2 밀어붙임부와, 리프팅빔의 일부에 대향하는 본체부의 대향면에 마련되며 대향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오목부 내에 배치된 볼록부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리프팅빔을 설치하는 경우와 같이, 그 설치방법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개소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피유지부재를 간단한 순서로 적절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클립장치의 올바른 설치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클립장치가 올바르지 못한 설치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지지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의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중복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하거나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A-A 화살표를 따라서 바라본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상측에 도 1의 B-B 화살표를 따라서 바라본 것을, 그리고 하측에 도 1의 C-C 화살표를 따라서 바라본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도 5에 있어서, 1은 건축구조가 강(剛)구조인 건물의 내부에 형성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2는 승강로(1)를 구획하는 일측의 승강로벽, 3은 승강로벽(2)에 대향하는 타측의 승강로벽, 4는 승강로(1)의 천장부이다.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리프팅빔(5)이 수평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리프팅빔(5)은 엘리베이터의 설치 시에, 승강로(1)의 내부에 배치하는 각종 기기류를 들어올릴 때의 들어올리는 근원으로서, 또한, 엘리베이터의 설치 시나 설치 후에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배치하는 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으로서 활용되는 것이다. 리프팅빔(5)은, 예를 들면, 횡단면 I자 모양을 나타내는 강재 등으로 이루어지며,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있어서 승강로벽(2 및 3)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리프팅빔(5)은 그 길이가 긴 쪽이 승강로벽(2 및 3)의 대향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면이 천장부(3)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리프팅빔(5)은 일단부가 브라켓(6)과 클립장치(7)를 매개로 승강로벽(2)에, 타단부가 브라켓(8)과 클립장치(9)를 매개로 승강로벽(3)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6)은, 예를 들면, 판 모양 부재가 L자 모양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L자의 한쪽 변측(邊側)이 승강로(1) 꼭대기부의 승강로벽(2)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L자의 다른쪽 변측이, 승강로벽(2)으로부터 승강로(1) 내에 수평하게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10은 승강로(1)의 꼭대기부의 승강로벽(2)에 마련된 앵커볼트, 11은 너트이다. 브라켓(6)의 한쪽 변측은 앵커볼트(10)와 너트(11)를 사용하여 승강로벽(2)에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리프팅빔(5)은, 그 일단부가 상기 브라켓(6)의 다른쪽 변측의 상면에 재치되어 있으며, 클립장치(7)에 의해서 브라켓(6)에 유지되어 있다.
리프팅빔(5)을 유지하는 이 클립장치(7)에는, 본체부(12)와, 본체부(12)를 브라켓(6)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수단은, 1조의 볼트(13) 및 너트(14)에 의해 구성된다. 즉, 상기 볼트(13)는 본체부(12)에 형성된 설치구멍(관통구멍, 15)과 브라켓(6)의 다른쪽 변측에 형성된 관통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윗쪽으로부터 삽통된 후, 브라켓(6)의 다른쪽 변측의 아래쪽에서, 그 나사부에 너트(14)가 장착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볼트(13)가 단단히 조여짐으로써, 볼트(13)의 머리 부 및 너트(14)에 의해서 본체부(12)와 브라켓(6)의 다른쪽 변측을 상하로부터 끼워 넣고, 본체부(12)를 브라켓(6)에 고정한다.
또한, 클립장치(7)의 본체부(12)에는, 밀어붙임부(16 및 17), 안내부(18)가 마련되어 있다.
밀어붙임부(16)는, 본체부(12)가 브라켓(6)에 고정될 때에, 브라켓(6)의 상면을 아래쪽으로 밀어붙이는 부분이다. 즉, 볼트(13)가 단단히 조여져 본체부(12)가 브라켓(6)에 고정됨으로써, 밀어붙임부(16)가 브라켓(6)의 상면으로 밀어붙여진다. 이 때, 밀어붙임부(16)의 하단부가 브라켓(6)의 상면으로 파고들게 됨으로써, 본체부(12)는 브라켓(6)에 강고하게 유지된다.
밀어붙임부(17)은, 본체부(12)가 브라켓(6)에 고정될 때에, 리프팅빔(5) 중, 브라켓(6)에 재치된 부분의 가장자리부를 아래쪽(브라켓(6)의 상면측)으로 밀어붙이는 부분이다. 즉, 클립장치(7)를 이용하여 리프팅빔(5)을 브라켓(6)에 유지하는 경우는, 리프팅빔(5)의 상기 가장자리부의 상면에 윗쪽으로부터 밀어붙임부(17)를 맞닿게 함으로써, 밀어붙임부(17)와 브라켓(6)의 다른쪽 변측 상면과의 사이에 리프팅빔(5)의 상기 가장자리부를 끼워 넣고, 이 상태에서 볼트(13)를 단단히 조여 본체부(12)를 브라켓(6)에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리프팅빔(5)의 상기 가장자리부는, 밀어붙임부(17)에 의해서 브라켓(6)의 상면으로 밀어붙여지며, 강고하게 마찰 유지된다.
안내부(18)는, 클립장치(7)에 의해서 리프팅빔(5)을 브라켓(6)에 유지할 때에, 본체부(12)를 올바른 설치방향으로 배치시키기 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체부(12)에는 올바른 설치방향이 있으며, 본체부(12)를 그 올바른 설치방향으로 배치하지 않으면, 클립장치(7)는 그 유지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 즉, 이 안내부(18)의 기능에 의해, 밀어붙임부(17)는 리프팅빔(5)에 대해서 리프팅빔(5)의 상기 가장자리부를 밀어붙이기 위한 올바른 방향(이하, 「정규 방향」이라고 함)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안내부(18)에는, 리프팅빔(5)의 상기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대향면(19)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대향면(19)을 리프팅빔(5)의 상기 가장자리부의 단면에 면접촉시킴으로써, 본체부(12)를 리프팅빔(5)에 대해서 올바른 방향으로, 즉, 밀어붙임부(17)를 리프팅빔(5)에 대한 정규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향면(19)이 접촉하는 리프팅빔(5)의 상기 가장자리부의 단면은, 리프팅빔(5)을 설치할 때의 작업성 등도 고려하고, 예를 들면, 리프팅빔(5)의 길이가 긴 방향에 대해서 평행한 면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안내부(18)의 대향면(19)에는, 그 중앙부에, 대향면(19)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20)는, 본체부(12)(클립장치(7))의 리프팅빔(5)에 대한 위치결정기능과 본체부(12)를 볼트(13)에 의해서 고정할 때의 회전방지기능을 겸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리프팅빔(5)에는, 클립장치(7)에 의해서 유지되는 상기 가장자리부에, 볼록부(20)에 끼워맞춤되는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대향면(19)이 리프팅빔(5)의 상기 가장자리부의 단면에 면접촉하도록 본체부(12)가 적절히 고정되면, 상기 볼록부(2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21)에 끼워맞춰지고, 오목부(21) 내에 배치된다.
도 3 내지도 5에서는, 볼록부(20)가 대향면(19)로부터 돌출하는 삼각형상을 나타내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우, 오목부(21)는, 예를 들면, 볼록부(20)의 형상에 대응하는 삼각형상의 도려낸 부분으로 구성된다. 또한, 볼록부(20) 및 오목부(21)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면, 어떤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볼록부(20)는, 상기 삼각형상 이외에, 반구형, 사각형상 등이어도 된다. 또한, 오목부(21)는, 상기 도려낸 부분 이외에 소정의 면에 형성된 움푹 패인 형상(구멍)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한편, 리프팅빔(5)의 타단부측을 유지하는 브라켓(8)과 클립장치(9)란, 상기 브라켓(6) 및 클립장치(7)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22는 승강로벽(3)으로부터 승강로(1) 내로 돌출하는 앵커볼트를, 23은 앵커볼트(22)를 사용하여 브라켓(8)을 승강로(1) 꼭대기부의 승강로벽(3)에 고정하는 너트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가지는 클립장치(7 및 9)를 사용하여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리프팅빔(5)을 설치하는 경우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치 작업자는, 미리,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브라켓(6 및 8)을 고정해 둔다. 그리고, 리프팅빔(5)의 일단부를 브라켓(6)의 상면에, 타단부를 브라켓(8)의 상면에 재치하고 리프팅빔(5)을 브라켓(6 및 8) 사이에 걸쳐 놓는다.
다음으로, 볼트(13) 및 너트(14)에 의해서 클립장치(7)의 본체부(12)를 브라켓(6)에 가고정한다. 이 때, 클립장치(7)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프팅빔(5)의 일단부의 양측으로 배치하고, 각 본체부(12)의 밀어붙임부(17)를 리프팅빔(5)의 일단부에 재치한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클립장치(9)를 브라켓(8)에 가고정하고, 클립장치(9)를 리프팅빔(5)의 타단부의 양측에 배치한다.
클립장치(7 및 9)를 가고정한 후, 클립장치(7 및 9)를 상기 상태로 배치한 채로 리프팅빔(5)을 그 길이가 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리프팅빔(5)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1개의 클립장치(7 혹은 9)를 리프팅빔(5)에 가볍게 밀어붙이면서 리프팅빔(5)을 슬라이드시켜, 그 본체부(12)의 볼록부(20)가 오목부(21)에 끼워맞춰진 시점에서 리프팅빔(5)의 슬라이드를 멈춘다. 또한, 리프팅빔(5)의 양측에 클립장치(7 및 9)가 가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리프팅빔(5)을 그 길이가 긴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볼록부(20)가 오목부(21)에 끼워맞춤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은, 그 감촉으로부터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별도로 눈으로 확인을 행하지 않더라도, 리프팅빔(5)의 위치결정을 정확하게, 또한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리프팅빔(5)을 적절한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각 클립장치(7 및 9)의 고정 작업을 행하여 리프팅빔(5)을 브라켓(6)에 유지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20)를 오목부(21)에 감합시킨 상태로 본체부(12)를 리프팅빔(5) 측으로 밀어붙여, 대향면(19)을 리프팅빔(5)의 소정의 면에 면접촉시킨다. 그리고, 그 상태를 유지한 채로 볼트(13)를 단단히 조이고, 볼트(13)의 머리부 및 너트(14)에 의해서 본체부(12)와 브라켓(6)(혹은 8)을 상하로부터 끼워넣는다.
또한, 클립장치(7 및 9)의 설치위치를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서, 대향면(19)이 대향하는 리프팅빔(5)의 각 단면(端面)에, 복수의 오목부(21)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해 두어도 된다.
클립장치(7 및 9)의 상기 고정 작업에 대해서는, 볼트(13)를 단단하게 조이게 되면, 본체부(12)에 볼트(13)의 조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그러나, 본체부(12)는 볼록부(20)가 오목부(21)에 끼워맞춰져 있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볼트(13)가 조임방향으로 회전하면, 볼록부(20)가 오목부(21)의 내측면(오목부(21)의 가장자리부도 포함함)에 접촉하여, 그 회전동작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클립장치(7 및 9)의 고정 후, 본체부(12)가 올바르게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눈으로 확인할 필요는 없으며, 밀어붙임부(17)가 리프팅빔(5)에 대한 정규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하면, 리프팅빔(5)의 설치위치가 높아서 리프팅빔(5)이 천장부(4)에 근접할 것 같은 경우라도, 리프팅빔(5)을 브라켓(6 및 8)에 대해서 간단하게 한편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클립장치(7)(및 9)이면, 리프팅빔(5)이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나, 볼트(13)의 조임 후에 본체부(12)가 리프팅빔(5)에 대해서 정면으로 마주 대하고 있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이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구성의 클립장치(7)(및 9)를 적용하는 일례로서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리프팅빔(5)을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그 적용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엘리베이터 승강로(1)에 고정되고 있는 부재(고정체)에, 피유지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면, 여러 가지의 것에 적용할 수 있다. 그 적용은, 설치상태가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개소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이 때문에, 상기 클립장치(7)(및 9)를 사용하여 가이드레일의 고정을 행하여도 된다. 단, 고정작업 자체는 가능하며, 또한, 눈으로 확인할 수 없을 것 같은 장소에 대해서는, 특히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는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고정체에 피유지부재를 유지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의 리프팅빔의 유지나 가이드레일의 유지 등, 여러 가지의 것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승강로 2 : 승강로벽
3 : 승강로벽 4 : 천장부
5 : 리프팅빔 6 : 브라켓
7 : 클립장치 8 : 브라켓
9 : 클립장치 10 : 앵커볼트
11 : 너트 12 : 본체부
13 : 볼트 14 : 너트
15 : 설치구멍 16 : 밀어붙임부
17 : 밀어붙임부 18 : 안내부
19 : 대향면 20 : 볼록부
21 : 오목부 22 : 앵커볼트
23 : 너트 24 : 클립장치
25 : 리프팅빔 26 : 브라켓
27 : 용접부

Claims (8)

  1.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고정체에 피유지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로서,
    상기 승강로 고정체의 일면을 밀어붙이는 제1 밀어붙임부와,
    상기 승강로 고정체의 상기 일면과의 사이에 상기 피유지부재의 일부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피유지부재의 상기 일부를 상기 승강로 고정체의 상기 일면 측으로 밀어붙이는 제2 밀어붙임부와,
    상기 피유지부재의 상기 일부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마련되며,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피유지부재의 상기 일부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배치되는 볼록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
  2.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고정체에 피유지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로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기 승강로 고정체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본체부가 상기 승강로 고정체에 고정될 때에, 상기 승강로 고정체의 일면으로 밀어붙여지는 제1 밀어붙임부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본체부가 상기 승강로 고정체에 고정될 때에, 상기 승강로 고정체의 상기 일면과의 사이에 끼운 상기 피유지부재의 일부를, 상기 승강로 고정체의 상기 일면 측으로 밀어붙이는 제2 밀어붙임부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본체부가 상기 승강로 고정체에 고정되었을 때에 상기 피유지부재의 상기 일부에 대향하는 상기 본체부의 대향면에 마련되며,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피유지부재의 상기 일부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배치되는 볼록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설치구멍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를 상기 승강로 고정체에 고정하는 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승강로 고정체에 고정된 상기 본체부가 상기 볼트의 조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볼트를 1개만 사용하여 상기 승강로 고정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면은,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 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피유지부재의 길이가 긴 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어붙임부는, 상기 피유지부재의 상기 일부를 밀어붙이기 위한 상기 피유지부재에 대한 정규방향을 가지며, 상기 대향면이 상기 피유지부재의 상기 일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정규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
  7.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 설치하는 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로서,
    상기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마련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상면에 재치되며, 그 일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리프팅빔과,
    상기 고정체에 상기 리프팅빔을 유지하는 클립장치
    를 구비하며,
    상기 클립장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기 고정체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체의 상면으로 밀어붙여진 제1 밀어붙임부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체의 상면과의 사이에 끼운 상기 리프팅빔의 상기 일부를, 상기 고정체의 상면 측으로 밀어붙이는 제2 밀어붙임부와,
    상기 리프팅빔의 상기 일부에 대향하는 상기 본체부의 대향면에 마련되며,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오목부 내에 배치된 볼록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빔은, 상기 일부에 복수의 오목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
KR1020117020052A 2009-03-17 2009-03-17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 KR201101137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5176 WO2010106641A1 (ja) 2009-03-17 2009-03-17 エレベーターのクリップ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の支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759A true KR20110113759A (ko) 2011-10-18

Family

ID=42739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0052A KR20110113759A (ko) 2009-03-17 2009-03-17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09942A1 (ko)
JP (1) JPWO2010106641A1 (ko)
KR (1) KR20110113759A (ko)
CN (1) CN102356037A (ko)
WO (1) WO20101066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4345B2 (ja) * 2011-01-27 2015-05-0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ブレーキ装置
CN103395671A (zh) * 2013-05-02 2013-11-20 长江润发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叶板凹型减震防滑导轨
JP6293078B2 (ja) * 2015-03-02 2018-03-1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装置
CN106865382A (zh) * 2017-02-22 2017-06-20 张家港奥斯卡电梯部件有限公司 一种限位牢固的t形电梯导轨
CN107055258A (zh) * 2017-02-22 2017-08-18 张家港奥斯卡电梯部件有限公司 一种t形的电梯导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778Y2 (ko) 1976-03-04 1981-03-11
JPS52150168A (en) 1976-06-07 1977-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ressure pan
JPS6124552Y2 (ko) * 1981-02-28 1986-07-23
JPS57158659U (ko) * 1981-03-31 1982-10-05
JPS6124552A (ja) * 1984-07-13 1986-02-03 Kuraray Co Ltd γ−アミノ酪酸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2729017B2 (ja) * 1993-01-26 1998-03-18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かご組構台
JP3058592B2 (ja) * 1996-07-01 2000-07-04 東京フアブリック工業株式会社 高さ調節機能付レール締結装置
JP2003027603A (ja) * 2001-07-19 2003-01-29 Nippon Light Metal Co Ltd 形材接合構造
JP2003048673A (ja) 2001-08-02 2003-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及び固定方法
JP4585228B2 (ja) * 2004-05-12 2010-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揚重梁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06641A1 (ja) 2010-09-23
JPWO2010106641A1 (ja) 2012-09-20
EP2409942A1 (en) 2012-01-25
CN102356037A (zh)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3759A (ko) 엘리베이터의 클립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지지장치
US10384912B2 (en) Machine base attachment device for elevator hoisting machine
CN209957183U (zh) 电梯用导轨的固定装置
EP2724971A1 (en) Support apparatus for elevator hoisting machine
JP5984661B2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支持装置
JP2007186328A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
KR100947452B1 (ko) 특수 족장 설비 빅 거더 해체용 지그
JPWO2015145669A1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およびその固定方法
EP2174902B1 (en) Elevator guide rail fixing brackets
HRP920417A2 (en) Guide rail system for elevators
JP2015055034A (ja) 梁補強構造および方法、ならびに、補助梁用支持具
JP2014098664A (ja) 壁体のせん断試験装置およびせん断試験装置への設置方法
JP5805737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架台および固定方法
US11390305B2 (en) Underfloor device of railway vehicle
JPWO2016038678A1 (ja) エレベータの機器取付装置
JP2017206334A (ja) エレベータ及びそのレールブラケット装置
JP2011157730A (ja) 橋梁用支承装置の据付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固定治具
JP5758848B2 (ja)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の位置ずれ測定方法
JP2021024651A (ja) 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の据付方法、および、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
CN114380228B (zh) 电梯用卷扬机以及电梯用卷扬机的设置方法
JP5900169B2 (ja) エレベーターの支持装置
JP2005324871A (ja) エレベータの揚重梁固定装置
JPH07180113A (ja) 免震支承のせん断変形修正構造
JP2014213975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内かごガイドレールの芯出し雇および芯出し方法
JP2018119306A (ja) 根太受け金物、床構造、及び床構造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