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504A -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 - Google Patents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504A
KR20110112504A KR1020100031636A KR20100031636A KR20110112504A KR 20110112504 A KR20110112504 A KR 20110112504A KR 1020100031636 A KR1020100031636 A KR 1020100031636A KR 20100031636 A KR20100031636 A KR 20100031636A KR 20110112504 A KR20110112504 A KR 20110112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indow
height
gea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2795B1 (ko
Inventor
염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안
Priority to KR1020100031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795B1/ko
Publication of KR20110112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69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기어조절용홀을 통해 창호용호차의 내부로 높이조절구를 삽입하여 창호용호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는, 외부하우징, 내부하우징, 높이조절부, 롤러하우징을 포함하는 창호용호차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외부하우징의 전방부에 회전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내부하우징의 전방부에 나사결합되는 조정스크류; 상기 조정스크류의 일측단부에 구비된 웜휠기어(worm wheel gear); 및 상기 웜휠기어가 노출되도록 상기 외부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된 기어조절용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술한 창호용호차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Roller assembly for windows and doors with height adjusting means through lateral side, and tool for adjusting the height therefor}
본 발명은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용호차의 측방에서 창호용호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용호차는 미닫이 창호의 하면에 설치되어 롤러가 창틀의 레일상에서 구름에 따라 사용자가 창호를 원활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창호용호차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81473호(공개일자 2008.09.10)에는 창호용호차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종래의 창호용호차는 높이가 조절가능한 구조로 이뤄져 있는데, 하면에 창호용호차(10)가 고정된 창호(1)를 창틀의 가이드 레일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드라이버로 조정나사(15)를 회전시켜 조정함에 따라 창호용호차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때, 드라이버로 상기 조정나사(15)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작업자가 창호의 일측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드라이버로 조정나사(15)를 조절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창호용호차가 하나의 창호 하면 양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도록 적용되어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었으나, 최근에는, 2중 또는 3중 유리를 이용한 창호가 개발되면서 창호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창호의 하면 양측에 창호용호차가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되는 구조가 시도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창호용호차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즉, 2중 또는 3중 유리를 이용한 창호는 무게가 상당하여 작업자가 창호의 일측을 들어올려 조정나사(15)를 조절하는 작업에 많은 힘이 들고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2중 또는 3중 유리를 이용한 창호에 적용되어 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창호용호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용호차의 측방에서 창호용호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는, 양측면에 한 쌍의 수직장공이 형성된 외부하우징; 상기 한 쌍의 수직장공과 연통되도록 양측면에 한 쌍의 경사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하우징; 상기 외부하우징과 내부하우징의 전후방향 이격거리 변경을 통해 상기 수직장공과 경사장공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수직장공 및 경사장공을 관통하는 샤프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상기 샤프트가 관통고정되는 관통홀 및 적어도 하나의 호차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내부하우징에 수용되는 롤러하우징;을 포함하는 창호용호차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외부하우징의 전방부에 회전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내부하우징의 전방부에 나사결합되는 조정스크류; 상기 조정스크류의 일측단부에 구비된 웜휠기어(worm wheel gear); 및 상기 웜휠기어가 노출되도록 상기 외부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된 기어조절용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일측의 기어조절용홀은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타측의 기어조절용홀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일측의 기어조절용홀은 광폭부의 하부에 협폭부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협폭부의 하단에 꺽임부가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창호용호차는 제1, 2창호용호차가 병렬설치되되, 상기 제1창호용호차 양측의 기어조절용홀 및 상기 제2창호용호차 일측의 기어조절용홀은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창호용호차 타측의 기어조절용홀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창호용호차 일측의 기어조절용홀은 광폭부의 하부에 협폭부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협폭부의 하단에 꺽임부가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높이조절구는,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의 호차롤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구로서, 상기 기어조절용홀을 통해 상기 창호용호차의 내부로 진입가능한 축몸체; 상기 웜휠기어를 회전조작하기 위해 상기 웜휠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축몸체의 일측 단부에서 이격되어 구비된 웜기어(worm gea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본 발명의 높이조절구는,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의 병렬설치된 호차롤러의 높이를 동시에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구로서, 상기 기어조절용홀을 통해 상기 창호용호차의 내부로 진입가능한 축몸체; 상기 제1, 2창호용호차의 웜휠기어를 동시에 회전조작하기 위해 각 웜휠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축몸체의 일측 단부에서 이격되어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구비된 웜기어(worm gea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외부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기어조절용홀을 통해 창호용호차의 내부로 높이조절구를 삽입하여 창호용호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창호를 들어올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창호용호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 편의, 작업 능률,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높이조절구의 단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기어조절용홀의 형상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높이조절구의 축몸체가 지지될 수 있도록 기어조절용홀의 형상을 광폭부의 하부에 협폭부가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하여, 높이조절구로 창호용호차의 높이조절 시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협폭부의 하단에 꺽임부를 더욱 연장 형성하여 높이조절구의 축몸체가 더욱 견고하게 지지됨에 따라 높이조절구로 창호용호차의 높이조절 시 좌우측으로 흔들리지 않고 더욱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웜기어가 구비된 높이조절구를 이용하여 나란히 병렬로 설치된 한 쌍의 창호용호차의 높이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창호용호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용호차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용호차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용호차의 높이가 낮은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용호차의 높이가 높은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도 4의 "A-A"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용호차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용호차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창호용호차가 나란히 병렬로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창호용호차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창호용호차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창호용호차의 높이가 낮은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창호용호차의 높이가 높은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3은 도 11의 "B-B"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창호용호차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창호용호차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창호용호차의 높이가 낮은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창호용호차의 높이가 높은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8은 도 16의 "C-C"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높이조절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높이조절구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2높이조절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2높이조절구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창호용호차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창호용호차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창호용호차의 높이가 조절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창호용호차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창호용호차는, 크게, 외부하우징(100), 내부하우징(200), 높이조절부(300), 롤러하우징(400)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외부하우징(100)은 창호용호차의 외관을 이루는 요소로서, 측단면이 대략 "Π"자 형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한 쌍의 수직장공(H1)이 마주하여 형성된다.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전방부 및 후방부 내측에는 창호용호차의 전후부를 폐쇄하는 고정편(102)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편(102)에는 고정편홀(102h)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후방부 양측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홀(106)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상면 전후단부에는 고정사나를 이용하여 창호용호차를 창호의 하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104)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하우징(200)은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요소로서, 평단면이 대략 "ㄷ"자 형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한 쌍의 경사장공(H2)이 마주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경사장공(H2)은 상기 한 쌍의 수직장공(H1)과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부하우징(200)의 전방부에는 나사홀(200h)이 형성되고, 후방부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딩홀(106)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슬라이딩돌기(20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 내부하우징(200)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돌기(206)가 상기 슬라이딩홀(106)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내부하우징(200)의 전후방향 운동이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장공(H2)의 양측에는 상기 경사장공(H2)과 동일한 경사를 갖는 보조경사장공(20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창호용호차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요소로서, 조정스크류(310), 웜휠기어(320, worm wheel gear), 기어조절용홀(330a, 330b)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조정스크류(310)는 일측이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전방부에 구비된 고정편(102)의 고정편홀(102h)에 회전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내부하우징(200)의 전방부에 형성된 나사홀(200h)에 나사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웜휠기어(320)는 상기 조정스크류(310)의 일측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어조절용홀(330a, 330b)은 상기 웜휠기어(320)가 노출되도록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기어조절용홀(330a, 330b)은,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양측면에 마주하여 각각 형성되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기어조절용홀(330a)은 광폭부의 하부에 협폭부가 수직연장되어 형성되고, 타측의 기어조절용홀(330b)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높이조절부(300)에 따르면, 상기 웜휠기어(320)의 회전시 상기 조정스크류(310)의 일측이 고정편홀(102h)에 회전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조정스크류(310)의 타측이 상기 나사홀(200h)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하우징(200)이 나사결합의 상대 회전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상기 외부하우징(100)과 상기 내부하우징(200)의 전후방향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변경시킴에 따라 상기 수직장공(H1)과 상기 경사장공(H2)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수직장공(H1) 및 경사장공(H2)을 관통하는 샤프트(S)는 상기 수직장공(H1)과 상기 경사장공(H2)의 상대적인 위치이동에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승강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외부하우징(100)과 상기 내부하우징(200)의 전후방향 이격거리가 길어지도록 상기 조정스크류(310)가 회전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장공(H1)과 상기 경사장공(H2)의 상대적인 위치이동에 따라 상기 샤프트(S)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외부하우징(100)과 상기 내부하우징(200)의 전후방향 이격거리가 짧아지도록 상기 조정스크류(310)가 회전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장공(H1)과 상기 경사장공(H2)의 상대적인 위치이동에 따라 상기 샤프트(S)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샤프트(S)와 함께 연동되어 승강하는 상기 롤러하우징(400)은 상기 내부하우징(200)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샤프트(S)가 관통고정되는 관통홀(H3) 및 양측단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한 쌍의 호차롤러(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통홀(H3)에 관통고정되는 샤프트(S)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롤러하우징(400)도 함께 승강하게 되고, 상기 롤러하우징(400)에 구비된 한 쌍의 호차롤러(R)도 함께 승강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S)가 상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롤러하우징(400)이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여 호차롤러(R)도 상승하게 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S)가 하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롤러하우징(400)이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여 호차롤러(R)도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관통홀(H3)의 양측에는 상기 보조경사장공(202)에 각각 삽입되도록 돌출형성된 한 쌍의 경사돌기(40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경사돌기(402)는 상기 롤러하우징(400)이 상기 샤프트(S)를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창호용호차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높이조절구(500a)에 의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구(500a)는, 일측의 기어조절용홀(330a)을 통해 창호용호차의 내부로 진입가능한 축몸체(510)와, 웜휠기어(320)를 회전조작하기 위해 상기 웜휠기어(320)와 치합되도록 상기 축몸체(510)의 일측 단부에서 이격되어 구비된 웜기어(521, worm gear)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축몸체(510)의 일측 외주부에는 지지플랜지(512)가 구비되고, 상기 축몸체(510)의 타측에는 손잡이(530)가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뤄진 높이조절구(500a)를 이용하여 창호용호차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높이조절구(500a)의 일측 단부를 일측의 기어조절용홀(330a)의 광폭부를 통해 창호용호차의 내부로 진입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조절구(500a)의 일측 단부를 타측의 기어조절용홀(330b)에 관통시켜 상기 지지플랜지(512)가 외부하우징(100)의 내벽면에 걸리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조절구(500a)를 수평하게 하여 상기 축몸체(510)가 상기 일측의 기어조절용홀(330a)의 협폭부에 위치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웜기어(521)가 상기 웜휠기어(320)와 치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타측의 기어조절용홀(330b) 및 지지플랜지(512)에 의해 상기 높이조절구(500a)의 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협폭부에 의해 상기 축몸체(510)가 지지되며, 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구(500a)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높이조절구(500a)의 손잡이(530)를 회전시켜 상기 웜기어(521)가 상기 웜휠기어(320)를 회전조작하도록 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의 기어조절용홀(330a)의 하단 일측에 대략 수평방향으로 꺽임부(330c)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처럼 꺽임부(330c)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높이조절구(500a)의 손잡이(530)를 회전시 상기 축몸체(510)가 상방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용호차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8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측방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창호용호차가 설치된 상태에서 창호용호차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한 쌍의 창호용호차가 설치된 창호의 양측과 중앙측에는 높이조절구(500a)가 진입할 수 있도록 홀(도 8a의 "hole")을 미리 형성한다.
먼저, 도 8a의 창호용호차의 높이를 높이조절구(500a)를 이용하여 조절하기 위해 높이조절구(500a)의 일측 단부를 창호용호차의 기어조절용홀(330a)의 광폭부를 통해 창호용호차의 내부로 진입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조절구(500a)의 일측 단부를 창호용호차의 기어조절용홀(330b)에 관통시켜 상기 지지플랜지(도 19의 512)가 외부하우징(100)의 내벽면에 걸리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조절구(500a)를 수평하게 하여 상기 축몸체(도 19의 510)가 상기 창호용호차의 기어조절용홀(330a)의 협폭부에 위치되게 하여 상기 웜기어(도 19의 521)가 상기 웜휠기어(320)와 치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타측의 기어조절용홀(330b) 및 지지플랜지(도 19의 512)에 의해 상기 높이조절구(500a)의 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협폭부에 의해 상기 축몸체(도 19의 510)가 지지되며, 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구(500a)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조절구(500a)의 손잡이(도 19의 530)를 회전시켜 상기 웜기어(도 19의 521)가 창호용호차의 웜휠기어(320)를 회전조작하여 높이를 조절한다.
도 8b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용호차가 나란히 병렬로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측방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창호용호차가 나란히 병렬설치된 상태에서 각 창호용호차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한 쌍의 창호용호차가 설치된 창호의 양측과 중앙측에는 높이조절구(500a)가 진입할 수 있도록 홀(도 8b의 "hole")을 미리 형성한다.
먼저, 도 8b의 좌측(또는 우측)에 위치된 창호용호차의 높이를 높이조절구(500a)를 이용하여 조절하기 위해 높이조절구(500a)의 일측 단부를 좌측(또는 우측)에 위치된 창호용호차의 기어조절용홀(330a)의 광폭부를 통해 창호용호차의 내부로 진입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조절구(500a)의 일측 단부를 좌측(또는 우측)에 위치된 창호용호차의 기어조절용홀(330b)에 관통시켜 상기 지지플랜지(도 19의 512)가 외부하우징(100)의 내벽면에 걸리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조절구(500a)를 수평하게 하여 상기 축몸체(도 19의 510)가 상기 좌측(또는 우측)에 위치된 창호용호차의 기어조절용홀(330a)의 협폭부에 위치되게 하여 상기 웜기어(도 19의 521)가 상기 웜휠기어(320)와 치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타측의 기어조절용홀(330b) 및 지지플랜지(도 19의 512)에 의해 상기 높이조절구(500a)의 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협폭부에 의해 상기 축몸체(도 19의 510)가 지지되며, 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구(500a)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조절구(500a)의 손잡이(도 19의 530)를 회전시켜 상기 웜기어(도 19의 521)가 좌측(또는 우측)에 위치된 창호용호차의 웜휠기어(320)를 회전조작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도 8b의 좌측(또는 우측)의 창호용호차의 높이조절이 완료되면, 위와 동일한 순서로 나머지 창호용호차의 높이도 높이조절구(500a)를 이용하여 조절한다.
상기에서는, 한 쌍의 창호용호차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순차적으로 하나씩 조절하였으나, 한 쌍의 창호용호차의 높이를 한 쌍의 높이조절구(500a)를 이용하여 동시에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3실시예에 따른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제2, 3실시예에 따른 창호용호차는, 높이조절부의 기어조절용홀을 제외한 구성이 제1실시예의 창호용호차와 동일하므로, 제2, 3실시예에 따른 창호용호차에 대한 설명은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인 기어조절용홀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에 따른 창호용호차는 제1창호용호차로 명명하고, 제3실시예에 따른 창호용호차는 제2창호용호차로 명명하도록 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창호용호차와 제2창호용호차는 나란히 병렬설치된다.
먼저, 제1창호용호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창호용호차에 형성된 기어조절용홀(330a', 330b')은, 도 9, 도 10,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창호용호차의 외부하우징(100')의 양측면에 마주하여 형성된다.
일측의 제1기어조절용홀(330a')은 광폭부의 하부에 협폭부가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타측의 제2기어조절용홀(330b')은 상기 일측의 기어조절용홀(330a')의 광폭부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수직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창호용호차의 동작은 제1실시예의 창호용호차와 동일하게 이뤄질 수 있다.
즉, 외부하우징(100')과 내부하우징(200)의 전후방향 이격거리가 길어지도록 조정스크류(310')가 회전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장공(H1)과 상기 경사장공(H2)의 상대적인 위치이동에 따라 샤프트(S)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외부하우징(100')과 내부하우징(200)의 전후방향 이격거리가 짧아지도록 조정스크류(310')가 회전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장공(H1)과 경사장공(H2)의 상대적인 위치이동에 따라 샤프트(S)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제2창호용호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2창호용호차에 형성된 기어조절용홀(330a'', 330b'')은, 도 14, 도 15,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창호용호차의 외부하우징(100'')의 양측면에 마주하여 형성된다.
일측의 제3기어조절용홀(330a'')은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타측의 제4기어조절용홀(330b'')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창호용호차의 동작도 제1실시예의 창호용호차와 동일하게 이뤄질 수 있다. 즉, 외부하우징(100'')과 내부하우징(200)의 전후방향 이격거리가 길어지도록 조정스크류(310'')가 회전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장공(H1)과 상기 경사장공(H2)의 상대적인 위치이동에 따라 샤프트(S)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외부하우징(100'')과 내부하우징(200)의 전후방향 이격거리가 짧아지도록 조정스크류(310'')가 회전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장공(H1)과 경사장공(H2)의 상대적인 위치이동에 따라 샤프트(S)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히 병렬설치된 제1창호용호차(도면의 우측에 위치)와 제2창호용호차(도면의 좌측에 위치)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높이조절구(500a)와,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높이조절구(500b)에 의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1창호용호차 및 제2창호용호차가 설치된 창호의 일측과 중앙측에는 높이조절구(500a, 500b)가 진입할 수 있도록 홀(도 23의 "hole")을 미리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높이조절구(500a)를 제1높이조절구(500a)라 명명하고,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높이조절구(500b)를 제2높이조절구(500b)라 명명한다.
제1높이조절구(500a)는, 기어조절용홀을 통해 창호용호차의 내부로 진입가능한 축몸체(510)와, 제2창호용호차의 웜휠기어(320'')를 회전조작하기 위해 제2창호용호차의 웜휠기어(320'')와 치합되도록 축몸체(510)의 일측 단부에서 이격되어 구비된 웜기어(521, worm gear);를 포함한다.
즉,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높이조절구(500a)의 축몸체(510)는, 제1, 2, 3기어조절용홀(330a', 330b', 330a'')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축몸체(510)의 단부가 제4기어조절용홀(330b'')에 위치하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러한 상태에서 제2창호용호차의 웜휠기어(320'')와 치합되도록 상기 축몸체(510)의 일측 단부에서 이격된 위치에 하나의 웜기어(521)가 구비되는 것이다.
제2높이조절구(500b)는 기어조절용홀을 통해 창호용호차의 내부로 진입가능한 축몸체(510)와, 제1, 2창호용호차의 웜휠기어(320', 320'')를 동시에 회전조작하기 위해 각 웜휠기어(320', 320'')와 동시에 치합되도록 축몸체(510)의 일측 단부에서 이격되어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구비된 웜기어(523, 525);를 포함한다.
즉,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높이조절구(500b)의 축몸체(510)는, 제1, 2, 3기어조절용홀(330a', 330b', 330a'')을 관통한 상태로 축몸체(510)의 단부가 제4기어조절용홀(330b'')에 위치하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러한 상태에서 제2창호용호차의 웜휠기어(320'')와 치합되는 하나의 웜기어(523), 제1창호용호차의 웜휠기어(320')와 치합되는 다른 하나의 웜기어(525)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높이조절구(500a)와 제2높이조절구(500b)의 축몸체(510)의 일측 외주부에는 각각 지지플랜지(512)가 구비되고, 각 축몸체(510)의 타측에는 각각 손잡이(530)가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뤄진 높이조절구(500a, 500b)를 이용하여 제1, 2창호용호차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높이조절구(500a)의 일측 단부를 창호의 일측에 형성된 홀(hole)과 제1기어조절용홀(330a')의 광폭부를 통해 제1창호용호차의 내부로 진입시킨다.
다음으로, 제1높이조절구(500a)의 일측 단부가 제2기어조절용홀(330b'), 창호의 중앙측에 형성된 홀(hole), 제3기어조절용홀(330a'')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제4기어조절용홀(330b'')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1높이조절구(500a)의 지지플랜지(512)가 제2창호용호차의 외부하우징(100'') 내벽면에 걸리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1높이조절구(500a)를 수평하게 하여 상기 축몸체(510)가 상기 제1기어조절용홀(330a')의 협폭부에 위치되게 하여 상기 웜기어(521)가 상기 제2창호용호차의 웜휠기어(320'')와 치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4기어조절용홀(330b'') 및 상기 지지플랜지(512)에 의해 상기 제1높이조절구(500a)의 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협폭부에 의해 상기 축몸체(510)가 지지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높이조절구(500a)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높이조절구(500a)의 손잡이(530)를 회전시켜 상기 웜기어(521)가 상기 웜휠기어(320'')를 회전조작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높이조절구(500a)를 이용하여 제2창호용호차의 호차롤러(R)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제2창호용호차의 호차롤러(R)의 높이가 제1창호용호차의 호차롤러(R) 높이와 같아지도록 조절한다.
즉, 도 23과 같은 상태에서 도 24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조절한다. 조절이 완료되면 제1높이조절구(500a)를 빼낸다.
다음으로, 제2높이조절구(500b)의 일측 단부를 창호의 일측에 형성된 홀(hole)과 제1기어조절용홀(330a')의 광폭부를 통해 제1창호용호차의 내부로 진입시킨다.
다음으로, 제2높이조절구(500b)의 일측 단부가 제2기어조절용홀(330b'), 창호의 중앙측에 형성된 홀(hole), 제3기어조절용홀(330a'')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제4기어조절용홀(330b'')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2높이조절구(500b)의 지지플랜지(512)가 제2창호용호차의 외부하우징(100'') 내벽면에 걸리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2높이조절구(500b)를 수평하게 하여 상기 축몸체(510)가 상기 제1기어조절용홀(330a')의 협폭부에 위치되게 하여 상기 웜기어(523)가 상기 제2창호용호차의 웜휠기어(320'')와 치합되고, 상기 웜기어(525)가 제1창호용호차의 웜휠기어(320')와 치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4기어조절용홀(330b'') 및 상기 지지플랜지(512)에 의해 상기 제2높이조절구(500b)의 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협폭부에 의해 상기 축몸체(510)가 지지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높이조절구(500b)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높이조절구(500b)의 손잡이(530)를 회전시켜 상기 웜기어(523)가 상기 제2창호용호차의 웜휠기어(320'')를 회전조작함과 동시에 상기 웜기어(525)가 제1창호용호차의 웜휠기어(320')를 회전조작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높이조절구(500b)를 이용하여 제1, 2창호용호차의 호차롤러(R) 높이를 동시에 조절하여 원하는 높이로 조절한다.
즉, 도 24와 같은 상태에서 도 25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조절한다. 조절이 완료되면 제2높이조절구(500b)를 빼낸다.
마지막으로, 제1창호용호차와 제2창호용호차의 높이가 조절완료된 상태에서, 창호의 일측에 형성된 홀(hole)에 커버(도 25의 cover)를 삽입하여 홀(hole)을 막아 외부로부터 창호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26에는 한 쌍의 창호에 각각 설치된 창호용호차의 높이가 조절완료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 100', 100'':외부하우징 102:고정편
102h:고정편홀 104:고정홀
106:슬라이딩홀 200:내부하우징
200h:나사홀 202:보조경사장홀
206:슬라이딩돌기 300, 300', 300'':높이조절부
310, 310', 310'':조정스크류 320, 320', 320'':훰휠기어
330a, 330a', 330a'', 330b, 330b', 330b'':기어조절용홀
330c:꺽임부 400:롤러하우징
402:경사돌기 500a, 500b:높이조절구
510:축몸체 521, 523, 525:웜기어
530:손잡이 H1:수직장공
H2:경사장공 H3:관통홀
S:샤프트 R:호차롤러

Claims (9)

  1. 양측면에 한 쌍의 수직장공이 형성된 외부하우징; 상기 한 쌍의 수직장공과 연통되도록 양측면에 한 쌍의 경사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하우징; 상기 외부하우징과 내부하우징의 전후방향 이격거리 변경을 통해 상기 수직장공과 경사장공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수직장공 및 경사장공을 관통하는 샤프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상기 샤프트가 관통고정되는 관통홀 및 적어도 하나의 호차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내부하우징에 수용되는 롤러하우징;을 포함하는 창호용호차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외부하우징의 전방부에 회전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내부하우징의 전방부에 나사결합되는 조정스크류;
    상기 조정스크류의 일측단부에 구비된 웜휠기어(worm wheel gear); 및
    상기 웜휠기어가 노출되도록 상기 외부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기어조절용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2.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의 기어조절용홀은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타측의 기어조절용홀은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기어조절용홀은 광폭부의 하부에 협폭부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협폭부의 하단에 꺽임부가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용호차는 제1, 2창호용호차가 한 쌍으로 병렬설치되도록 구성되어, 병렬 설치된 위치에서, 상기 제1창호용호차 양측의 기어조절용홀 및 상기 제2창호용호차 내측의 기어조절용홀은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창호용호차 외측의 기어조절용홀은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창호용호차의 외측 기어조절용홀은 광폭부의 하부에 협폭부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협폭부의 하단에 꺽임부가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의 호차롤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구로서,
    상기 기어조절용홀을 통해 상기 창호용호차의 내부로 진입가능한 축몸체;
    상기 웜휠기어를 회전조작하기 위해 상기 웜휠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축몸체의 일측 단부에서 이격되어 구비된 웜기어(worm gear);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구.
  9.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의 병렬설치된 호차롤러의 높이를 동시에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구로서,
    상기 기어조절용홀을 통해 상기 창호용호차의 내부로 진입가능한 축몸체;
    상기 제1, 2창호용호차의 웜휠기어를 동시에 회전조작하기 위해 각 웜휠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축몸체의 일측 단부에서 이격되어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구비된 웜기어(worm gear);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구.
KR1020100031636A 2010-04-07 2010-04-07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 KR101142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636A KR101142795B1 (ko) 2010-04-07 2010-04-07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636A KR101142795B1 (ko) 2010-04-07 2010-04-07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504A true KR20110112504A (ko) 2011-10-13
KR101142795B1 KR101142795B1 (ko) 2012-05-08

Family

ID=45028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636A KR101142795B1 (ko) 2010-04-07 2010-04-07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79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62388A (zh) * 2013-07-22 2013-10-23 傅海 一种滑轮
EP2881530A4 (en) * 2012-08-01 2016-04-20 Kcc Corp Co Ltd SLIDING WINDOWS
CN105569481A (zh) * 2015-12-25 2016-05-11 蒋卫振 便于组装的滑轨轮组
CN106703576A (zh) * 2017-02-22 2017-05-24 伍志勇 一种家具滑动门的弹性阻尼转轮调节结构
CN106703575A (zh) * 2017-02-13 2017-05-24 伍志勇 一种用于家具滑动门的转动轮调节结构
CN108412348A (zh) * 2018-05-04 2018-08-17 中山市益雅五金科技有限公司 一种可配合缓冲器使用的滑轮
CN109441268A (zh) * 2018-11-20 2019-03-08 深圳市派阁智能五金科技有限公司 一种门窗上定位轮调节装置
KR20190132063A (ko) * 2018-05-18 2019-11-27 (주)노토스 슬림형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
CN110770409A (zh) * 2017-07-19 2020-02-07 个人特诺斯科瑞沃里有限公司 设置有多个调节件的门以及衣柜门用滑动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799B1 (ko) 2015-11-12 2018-05-28 김정현 창문용 호차
KR101648770B1 (ko) 2015-12-21 2016-08-18 한국유리산업(주) 창호용 기밀장치 및 그를 구비한 창호
KR102264507B1 (ko) 2020-01-04 2021-06-11 장재연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
KR102364758B1 (ko) * 2020-02-25 2022-02-18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KR102373581B1 (ko) * 2020-01-23 2022-03-11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KR102208509B1 (ko) 2020-02-27 2021-01-26 장재연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
KR102448141B1 (ko) 2020-03-12 2022-09-27 장재연 2축 바퀴 장치
KR102478468B1 (ko) 2020-08-28 2022-12-19 장재연 바퀴 장치
KR102373584B1 (ko) * 2021-06-18 2022-03-11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걸림 안내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669B2 (ja) * 1993-04-12 2001-03-07 新関西ベアリング株式会社 戸 車
KR970005323Y1 (ko) * 1993-12-08 1997-05-29 박번 샷시 창문용 호차
KR200259841Y1 (ko) * 1998-11-25 2002-02-19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창문용 호차
JP4555960B2 (ja) 2003-11-28 2010-10-06 住友林業株式会社 戸車装置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81530A4 (en) * 2012-08-01 2016-04-20 Kcc Corp Co Ltd SLIDING WINDOWS
CN103362388A (zh) * 2013-07-22 2013-10-23 傅海 一种滑轮
CN105569481B (zh) * 2015-12-25 2017-08-29 蒋卫振 便于组装的滑轨轮组
CN105569481A (zh) * 2015-12-25 2016-05-11 蒋卫振 便于组装的滑轨轮组
CN106703575A (zh) * 2017-02-13 2017-05-24 伍志勇 一种用于家具滑动门的转动轮调节结构
CN106703576B (zh) * 2017-02-22 2018-05-08 伍志勇 一种家具滑动门的弹性阻尼转轮调节结构
CN106703576A (zh) * 2017-02-22 2017-05-24 伍志勇 一种家具滑动门的弹性阻尼转轮调节结构
CN110770409A (zh) * 2017-07-19 2020-02-07 个人特诺斯科瑞沃里有限公司 设置有多个调节件的门以及衣柜门用滑动装置
CN110770409B (zh) * 2017-07-19 2021-08-24 个人特诺斯科瑞沃里有限公司 设置有多个调节件的门以及衣柜门用滑动装置
CN108412348A (zh) * 2018-05-04 2018-08-17 中山市益雅五金科技有限公司 一种可配合缓冲器使用的滑轮
CN108412348B (zh) * 2018-05-04 2024-03-29 中山市益雅五金科技有限公司 一种可配合缓冲器使用的滑轮
KR20190132063A (ko) * 2018-05-18 2019-11-27 (주)노토스 슬림형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
CN109441268A (zh) * 2018-11-20 2019-03-08 深圳市派阁智能五金科技有限公司 一种门窗上定位轮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795B1 (ko)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795B1 (ko)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
US7987890B2 (en) Blinds and components thereof
EP3015637B1 (en) Screening device for a roof window and method for mounting such a screening device on a roof window
KR101866306B1 (ko) 자동차의 콘솔 높이 조절 장치
CN110422736A (zh) 用于定位电梯门联锁装置的方法和组件
DK3168408T3 (en) Locking arrangement and panel system
JP2007513271A (ja) 浮動ウインドウキャリヤを有する自動車用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
US6427385B1 (en) Window lift mechanism
CN106968540A (zh) 门窗滑轮以及门窗
JP4797913B2 (ja) 昇降天板付きデスク装置
JP4297906B2 (ja) 板状対象物の案内装置
KR101372577B1 (ko) 리프트 창문용 호차 어셈블리
JP2008079771A (ja) 昇降天板付きデスク装置
FI117251B (fi) Kääntöjärjestely ylä- ja alapuolisen ohjauskiskon varassa siirrettäviä levymäisiä elementtejä varten
CN104763283A (zh) 具有联动调节功能的淋浴门组件
CN107107721B (zh) 车辆顶棚的驱动机构以及包括其的顶棚设备
GR1010046B (el) Μηχανισμος κλειδωματος για κρυφο χωνευτο κουφωμα
EP1911917B1 (en) Motor-vehicle sliding door
CN207312883U (zh) 无井道电梯
JP7033103B2 (ja) 対象物移動装置
KR20100108766A (ko) 창호 시스템
EP4390028A1 (en) Roof window with a lifting device
RU2776408C2 (ru) При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элементом зубчатой рейки для сдвижной створки, сконструированной как просто сдвижная створка или как створка c подъемно-сдвижным механизмом, окна или двери
ES2906713T3 (es) Mecanismo operativo para puerta corredera elevable y puerta corredera elevable equipada con dicho mecanismo
EP2431318A1 (en) Closing systems for movable platfo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