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509B1 -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 - Google Patents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509B1
KR102208509B1 KR1020200024351A KR20200024351A KR102208509B1 KR 102208509 B1 KR102208509 B1 KR 102208509B1 KR 1020200024351 A KR1020200024351 A KR 1020200024351A KR 20200024351 A KR20200024351 A KR 20200024351A KR 102208509 B1 KR102208509 B1 KR 102208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window
unit
window pair
fol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연
장혁수
최영철
Original Assignee
장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연 filed Critical 장재연
Priority to KR1020200024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only the wing moving transvers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는, 직선 형태로 형성된 주행 가이드(12); 한쪽에 상기 주행 가이드(12)의 직선 형태와 다른 방향으로 캠 웨이(32)가 형성되고 상기 주행 가이드(12)를 따라 왕복 주행하는 캠 유닛(30); 상기 캠 유닛(30)의 이동을 멈추게 하는 스토퍼(20); 및 창문짝(7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캠 웨이(32)를 따라 이동하도록 캠 팔로워(42)가 배치되는 팔로워 유닛(4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Sideways movement device of Window Door}
본 발명은 창문 문짝에 설치되어 직선 이동하는 창문의 문짝을 일정 구간에서 사행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 문짝과 창틀 사이는 개폐 및 이동에 필요한 유격 공간이 형성되고, 이 유격 공간으로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실내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창문 문짝을 닫은 후에 창문 문짝과 창틀을 밀착할 필요가 있다.
상기 유격 공간을 없애기 위하여, 창문 문짝이 닫히기 직전에 사행 주행하도록 하여 창문 문짝과 창틀을 밀착하도록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술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2가지 기술적 특징이 필요하다.
첫째 특징, 창문짝이 주행 이동 방향(A)으로 이동하여 특정 지점에서 측면 이동 방향(B)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직선 방향으로 주행하는 호차 바퀴의 진행 방향으로부터 창문짝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창문짝이 바퀴와 상관없이 사행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갖추어져야 한다.
둘째 특징, 창문짝이 직선 주행과 사행 주행을 유도할 수 있는 가이드 장치를 갖추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창문짝이 직선 주행과 사행 주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는 돌기에 의한 방식과 별도의 가이드 레일을 이용한 방식이 있다.
돌기에 의한 방식의 창문짝 측방 이동 장치는, 직선 주행하던 창문짝이 돌기에 충돌되어 방향을 바꾸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창문짝의 주행 충격 때문에 돌기의 고정 장치의 손상이 잦고, 특히 이로 인해 돌기의 정 위치 유지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별도의 가이드 레일을 이용하는 방식의 창문짝 측방 이동 장치는, 주행 바퀴에 필요한 레일과 별도로, 직선과 사행 구간을 동시에 지닌 레일을 더 설치해야 하고, 이로써 제작 비용이 증가하고, 프레임의 요철을 추가 구성함으로써 청소를 어렵게 하거나, 미관을 훼손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사행 유도 가이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KR 10-2013-0024373 A KR 20-0174449 Y1 KR 10-1998053 B1 KR 10-1736794 B1 KR 10-1550541 B1 KR 10-1423691 B1 KR 10-1142795 B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돌기에 의한 방식과 별도의 가이드 레일을 이용한 방식의 사행 가이드 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는, 직선 형태로 형성된 주행 가이드(12); 한쪽에 상기 주행 가이드(12)의 직선 형태와 다른 방향으로 캠 웨이(32)가 형성되고 상기 주행 가이드(12)를 따라 왕복 주행하는 캠 유닛(30); 상기 캠 유닛(30)의 이동을 멈추게 하는 스토퍼(20); 및 창문짝(7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캠 웨이(32)를 따라 이동하도록 캠 팔로워(42)가 배치되는 팔로워 유닛(4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는, 상기 캠 유닛(30)이 상기 스토퍼(20)한테서 멀어질 때, 상기 캠 유닛(30)이 상기 팔로워 유닛(40)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의 상기 리턴 유닛(50)은, 한쪽이 상기 캠 유닛(30)에 설치되며, 다른 한쪽이 상기 팔로워 유닛(40)에 설치되며, 탄성 복원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는, 상기 캠 웨이(32)의 어느 구간에 상기 캠 유닛(30)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사선 구간, 곡선 구간 중에 어느 하나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는, 상기 캠 웨이(32)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끝단에 캠 유닛(30)의 주행 방향과 일치하는 직선 구간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는, 상기 캠 웨이(32)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끝단에 원호 구간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는, 상기 캠 유닛(30)과 상기 팔로워 유닛(40)이 복수로 제공되고, 어느 하나의 캠 유닛(30)과 다른 하나의 캠 유닛(30)을 연결하는 브리지(5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는, 상기 스토퍼(20)와 상기 캠 유닛(30)과 상기 팔로워 유닛(40)이 복수로 제공되고, 어느 하나의 캠 유닛(30)은 복수의 스토퍼(20) 중에 어느 하나의 스토퍼(20)를 회피하여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는, 종래 돌기에 의한 방식과 별도의 가이드 레일을 이용한 방식에서 취약한 내구성 문제와 돌기의 돌출에 따른 미관 훼손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는, 직선 구간과 사행 구간을 갖는 가이드 장치에서 높은 제조 비용의 낮출 수 있으면서도 창문짝의 좌우 거동을 손쉽게 달성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창문짝이 열린 상태, 도 1의 (b)는 창문짝이 닫히지 직전 상태 및 도 1의 (C)는 창문짝이 창틀에 밀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예시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의 구성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에서 캠 유닛과 캠 팔로워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에서 캠 플레이트가 종래 레일과 요홈 결합을 이루어 직선 주행 할 수 있도록 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부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각각의 캠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리턴 유닛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부터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각각으로 분리 설치된 캠 플레이트와 이에 따라 각각으로 설치된 스토퍼에 의해 서로 충돌되지 않으면서도 캠 플레이트가 스토퍼를 지나가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캠 플레이트가 주행 바퀴의 레일 측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직선 주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캠 플레이트가 주행 레일에 설치되고, 캠 팔로워가 창문짝에 설치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 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창문에 적용하여 창문짝(70)을 옆으로 이동시키는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창문 분야가 아닌 다른 산업 분야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먼저, 창문짝(70)이 열린 상태에서 닫힐 때, 창문짝(70)이 창틀(60)에 밀착하는 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는 창문짝이 열린 상태, 도 1의 (b)는 창문짝이 닫히지 직전 상태 및 도 1의 (C)는 창문짝이 창틀에 밀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예시도면이다.
창문은 창틀(60)에서 창문짝(70)이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창틀(60)은 직선 주행 가이드(12)가 형성되고, 상기 창문짝(70)은 호차(80)가 설치되며, 상기 호차(80)는 상기 직선 주행 가이드(12)를 따라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창문짝(70)은 상대 창문짝(71)과 유격 공간(g)을 갖도록 떨어져 있고, 창문 형태에 따라 상대 창문짝(71)은 창문에 고정될 수 있고, 직선 주행 가이드(1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직선 주행 가이드(12)는 직선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호차(80)는 선행기술문헌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직선 주행 가이드(12)를 기준으로 창문짝(70)을 좌우 거동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의 (a)는 창문짝(70)이 열린 상태를 보인 것으로써, 상대 창문짝(71)과 유격 공간(g)을 갖는다. 이로써 창문짝(70)은 주행에 방해 요소 없이 자유롭게 직선 주행 가이드(1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1의 (b)는 창문짝(70)이 닫히기 직전의 상태를 보인 것으로써, 창틀(60)의 끝부분에 거의 다가왔지만 여전히 유격 공간(g)을 갖는다.
도 1의 (c)는 창문짝(70)이 완전하게 닫힌 상태를 보인 것으로써, 창틀(60) 또는 상대 창문짝(71)에 밀착되어 상기 유격 공간(g)이 없다.
상기 도 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문짝(70)이 창틀(60) 또는 상대 창문짝(71)에 밀착되기 위해서는, 창문짝(70)이 일반적으로 주행하는 방향과 다른 비스듬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또한, 창문짝(70)이 원활하게 열리기 위해서는, 창문짝(70)과 창틀(60) 또는 상대 창문짝(71)과 유격 공간(g)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이하, 도 2부터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의 구성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에서 캠 유닛과 캠 팔로워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에서 캠 플레이트가 종래 레일과 요홈 결합을 이루어 직선 주행 할 수 있도록 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부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는, 주행 가이드(12), 스토퍼(20), 캠 플레이트(30), 팔로워 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주행 가이드(12)는 창문의 진행 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선 운동하는 창문은 주행 가이드(12)가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행 가이드(12)는 도 14에서처럼 창틀(60)에 형성된 레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주행 가이드(12)는 창틀(6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주행 가이드(12)는 창틀 또는 창틀에서 연장된 어떠한 형상이든 상관없이 캠 플레이트(30)와 요홈 결합하며 창문짝(70)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0)는 일정 구간에서 캠 플레이트(30)를 정지시키는 수단일 수 있다. 캠 플레이트(30)가 정지된 순간에도 창문짝(70)은 진행하던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창문짝(70)과 일체화된 팔로워 유닛(40)은 캠 플레이트(30)에 형성된 캠 웨이(3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창문짝(70)은 캠 웨이(32)의 형상에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20)는 캠 플레이트(30)를 멈추게 하는 수단이므로 창틀(60) 또는 창틀(60)에서 연장된 어떠한 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기술적 특성상 상기 스토퍼(20)는 상기 창틀(60)의 수직으로 배치된 창틀 프레임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으로, 캠 플레이트(30)는 스토퍼(20)와 맞부딪힐 수 있도록 형상화 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20)는 단수 또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캠 플레이트(30)의 중앙부에 캠 웨이(32)가 형성될 수 있고, 캠 웨이(32) 형상은 창문짝(70)의 목표 이동 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되어 제공될 수 된다. 또한, 상기 캠 플레이트(30)의 외관 형태는 상기 주행 가이드(12)와 요홈 결합을 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변경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20)에 맞부딪힐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 플레이트(30)는 스토퍼(20)에 의해 정지된 순간에 캠 웨이(32)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구속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팔로워 유닛(40)은 창문짝(70)에 설치될 수 있고,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창문짝(7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창문짝(7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팔로워 유닛(40)은 상기 캠 웨이(32)를 따라 이동하도록 캠 팔로워(42)가 배치될 수 있고,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핀(pin)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캠 웨이(32)와의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롤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창문짝(70)이 닫히는 방향으로 주행하면 캠 플레이트(30)가 스토퍼(20)에 가로막혀 더는 이동할 수 없을 때, 상기 캠 팔로워(42)는 상기 캠 웨이(32)의 형상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팔로워 유닛(40)을 상기 주행 가이드(12)에 대하여 측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창문짝(70)은 팔로워 유닛(4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창문짝(70)이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캠 팔로워(42)는 창문짝(70)이 닫히는 방향(A)으로 제1 거리(w1)만큼 이동하고, 창문짝(70)이 밀착하는 방향(B)으로 제2 거리(w2)만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주행 바퀴 또는 호차(80)는 직선 주행과 사행 주행을 하는 기능을 지니며, 또는 불특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볼 캐스터 구성일 수도 있다.
상기 호차(80)는 직선 주행 바퀴를 적용한 경우 상기 캠 웨이(32)를 따라 상기 캠 팔로워(42)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주행 휠이 샤프트 축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알려진 구성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창문짝(70)이 스토퍼(20) 또는 창틀(60)의 세로 프레임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로서, 도 5의 (a)는 평면도이고, 도 5의 (b)는 측면도이며, 상기 주행 가이드(2)는 생략되어 있다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30)가 팔로워 유닛(40)으로부터 스토퍼(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진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60)과 창문짝(70)은 유격 공간(g)이 형성되어 있다. 캠 플레이트(30)가 팔로워 유닛(40)으로부터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캠 팔로워(42)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후방 오른쪽의 제1 위치(42a)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30)가 스토퍼(20)에 닿는 순간에 여전히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60)과 창문짝(70)은 유격 공간(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 플레이트(30)가 스토퍼(20)에 닿으면 캠 플레이트(30)는 창문짝(70)이 닫히는 방향으로 더는 진행할 수 없다.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30)가 스토퍼(20)에 닿은 상태에서 창문짝(70)이 닫히는 방향을 더 진행하면 제1 위치(42a)에 위치한 캠 팔로워(42)가 캠 웨이(32)를 따라 전진 이동한다. 캠 웨이(32)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캠 팔로워(42)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진행한다. 캠 플레이트(30)가 밀린 위치에 있을 때, 캠 팔로워(42)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방 왼쪽의 제2 위치(42b)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캠 웨이(32)가 창틀(60)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팔로워 유닛(40)은 창틀(60)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60)과 창문짝(70) 간의 유격 공간이 없어진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는, 창문짝(70)이 닫힐 때 창문짝을 창틀 또는 상대 창문짝(71)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반대로, 창문짝(70)이 열릴 때, 팔로워 유닛(40)은 창문짝(7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함께 후퇴할 수 있다.
특히 캠 플레이트(30)는 주행 가이드(12) 때문에 비스듬한 방향으로 움직임이 제한되고, 이로써 캠 팔로워(42)는 캠 웨이(32)를 따라 비스듬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캠 팔로워(42)의 이동으로 팔로워 유닛(40)이 창문짝(70)을 창틀(6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상기 캠 플레이트(3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 상기 주행 가이드(12)를 따라 활주하도록 슬라이드 페이스(33)가 선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가이드(12)표면과의 마찰 저항을 줄이기 위해 슬라이드 페이스(33)는 끝부분이 좁은 돌기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돌기 형상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캠 플레이트(30)가 좌우로 흔들림이 없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주행 가이드(12)는 캠 플레이트(30)의 양쪽 측면에 접촉하여 캠 플레이트(30)가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페이스(33)의 양쪽 측면 모두가 접촉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 플레이트(3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 또는 하면에 중앙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하면 상기 주행 가이드(12)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된 레일과 결합하게 함으로써 레일을 주행 가이드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캠 플레이트(30)는, 슬라이드 페이스(33)가 주행 가이드(12)에서 활주 되어 직선 운동을 하지만, 주행 가이드(12)에서 옆으로 이탈하지 않고, 주행 가이드(12)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 또는 옆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움직임이 제한된다.
상기 캠 플레이트(3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캠 웨이(32)의 어느 한쪽에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드 페이스(33)와 평행하게 레스트 파트(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스트 파트(3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 팔로워(42)가 캠 웨이(32)의 경사 구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창문짝(70)이 주행할 때 창문짝(70)은 주행 중 좌우로 흔들릴 수 있다. 그러나 캠 팔로워(42)가 상기 레스트 파트(34)에 위치하여 주행하거나, 멈추었을 때 상기 캠 팔로워(42)는 레스트 파트(34)에 구속되어 옆 방향으로 변위가 없을 수 있고, 이로써 창틀(60)과 창문짝(70) 간의 거리가 변화 없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캠 팔로워(42)가 상기 레스트 파트(34)에 위치하면 창문짝(70)에 바람이 불거나 창문짝(70)에 인력 등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캠 웨이(32)의 영향을 받지 않아서 창문짝(70)은 흔들림이 방지됨과 동시에 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는, 종래의 기술에 비교하여 구성이 간소화되었고, 이로써 종래 돌기에 의한 방식과 별도의 가이드 레일을 이용한 방식에서 취약한 내구성 문제가 해소될 수 있으며, 돌기의 돌출에 따른 미관 훼손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복잡하고 수많은 구성요소 예컨대, 직선 구간과 사행 구간을 갖는 가이드 장치는 높은 제조 비용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는, 구성요소를 간소화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으면서도 창문짝의 좌우 거동을 손쉽게 달성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턴 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리턴 유닛(50)은, 창문짝이 주행할 때 캠 팔로워(42)가 상기 레스트 파트(34)의 초기 위치인 제1 위치(42a)에 유지되도록 돕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턴 유닛(50)은 창문짝(70)이 닫힌 상태에서 열릴 때, 캠 플레이트(30)의 제2 위치(42b)에 위치하던 캠 팔로워(42)가 초기의 제1 위치(42a)로 쉽게 복귀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작용을 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캠 플레이트(30)에 외부 힘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리턴 유닛(50)은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30)를 팔로워 유닛(40)에서 전진한 제1 위치(42a)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30)의 진행이 멈추어 있고, 팔로워 유닛(40)이 제1 위치(42a)를 벗어나 전진 진행하는 순간부터, 상기 리턴 유닛(50)에 긴장이 형성되어, 도 7에서처럼 창문짝이 좌측으로 밀착 즉, 팔로워 유닛(40)이 제2 위치(42b)에 위치될 경우 상기 리턴 유닛(50)은 최대의 긴장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창문짝(70)이 도 5의 (b)의 닫힌 상태에서, 도 5의 (a)의 열린 상태로 전환하면 상기 리턴 유닛(50)에 축적되어있던 복원력은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30)를 직선 이동시키고, 그 결과 팔로워 유닛(40)은 최초 위치인 제1 위치(42a)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리턴 유닛(5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이 상기 캠 플레이트(30)에 설치되며, 다른 한쪽이 상기 팔로워 유닛(40)에 설치될 수 있으며, 탄성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턴 유닛(50)은 인장 코일 스프링, 압축 코일 스프링, 탄성 고무줄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30)와 팔로워 유닛(40)에 설치되어 인장 복원력으로 상기 캠 플레이트(30)를 당겨서 상기 팔로워 유닛(40)의 전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에는 캠 플레이트(30)의 한쪽에 제1 고정부(38)가 형성되어 있고, 팔로워 유닛(40)에 제2 고정부(4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턴 유닛(50)의 한쪽은 상기 제1 고정부(38)에 설치되고, 상기 리턴 유닛(50)의 다른 한쪽은 상기 제2 고정부(4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은 캠 플레이트(30)와 팔로워 유닛(40)에 설치되어 압축 복원력으로 상기 캠 플레이트(30)를 밀어내어 상기 팔로워 유닛(40)의 전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 고무줄은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과 같은 구성으로 설치되어 인장 복원력을 구현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캠 플레이트(30)를 당겨서 상기 팔로워 유닛(40)의 전방으로 전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리턴 유닛(50)은 창문짝(70)의 주행 중 이물질, 또는 외력에 의한 충격 발생 시에도 캠 플레이트(30)의 위치를 고정하여 캠 팔로워(42)의 초기의 제1 위치(42a)를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리턴 유닛(50)은 캠 플레이트(30)의 복원 수단으로서, 또는 창문짝(70)이 주행할 때 창문짝(70)과 동시에 이동되도록 캠 플레이트(30)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이러한 기능이 충족되는 수단이라면 그러한 모든 수단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는, 도 8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캠 플레이트(30)와 상기 팔로워 유닛(40)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고, 브리지(5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52)는 상기 어느 하나의 캠 플레이트(30)와 다른 하나의 캠 플레이트(30)를 연결할 수 있고, 내구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스토퍼(20) 설치만으로 복수의 캠 플레이트(30)를 멈추게 할 수 있고, 이로써, 별도 추가의 스토퍼(20)를 설치하지 않고 창틀(60)의 세로 프레임을 스토퍼(20) 기능을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리턴 유닛(50)을 하나만 장착할 수 있는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호차(80) 등에 의해 캠 플레이트(30)를 일체화할 수 없을 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처럼 상기 캠 플레이트(30)와 리턴 유닛(50)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캠 플레이트(30)와 상기 리턴유닛(50)은 창문짝(70)의 양쪽에 배치할 수 있다.
즉, 창문짝(70)이 닫힐 때, 창문짝(70)의 전방과 후방이 동시에 창틀(60) 또는 상대 창문짝(71)에 밀착될 수 있다. 이로써 창문짝(70)을 이루는 모든 프레임에서 밀착력을 우수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0부터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는, 도 10과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20)와 상기 캠 플레이트(30)와 상기 팔로워 유닛(40)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캠 플레이트(30)는 복수의 스토퍼(20) 중에 어느 하나의 스토퍼(20)를 회피하여 이동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캠 플레이트(30)가 복수의 스토퍼(20) 중에 어느 하나의 스토퍼(20)를 회피는 구성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창문짝(70)이 닫히는 방향을 기준으로 선행 위치에 배치된 캠 플레이트(30)는 도 12의 (b)에서처럼 모서리가 절개된 구성일 수 있고, 도 11의 (b)와 도 13의 (a)에서 처럼 두께를 다르게 설계할 수 있으며, 높낮이를 다르게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창문짝(70)이 닫히는 방향을 기준으로 선행 위치에 배치된 캠 플레이트(30)는 후행 위치에 배치된 스토퍼(20)와 간섭하지 않고 통과할 수 있다.
반면에, 창문짝(70)이 닫히는 방향을 기준으로 후행 위치에 배치된 캠 플레이트(30)는 후행 위치에 배치된 스토퍼(20)와 간섭되도록 절개 부분 없이 설계함으로써, 후행 위치의 캠 플레이트(30)는 후행 위치의 스토퍼(20)에 닿으면 더는 주행할 수 없고 멈출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13은 호차(80)가 볼 캐스트 구성으로 제공되는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차(80)를 기준으로 호차(80)의 양쪽에 상기 스토퍼(20)와 상기 캠 플레이트(30)와 상기 팔로워 유닛(40)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3의 상기 호차(80)는 볼 캐스트 구성으로 제공됨으로써, 창문짝(70)은 주행 가이드(12)에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고, 상기 직선 운동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 또는 옆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문짝(70)이 닫히는 방향을 기준으로 후행 위치에 배치된 캠 플레이트(30)는 후행 위치에 배치된 스토퍼(20)와 간섭할 수 있고, 이로써 후행 위치의 캠 플레이트(30)는 후행 위치의 스토퍼(20)에 닿으면 더는 주행할 수 없고 멈출 수 있다.
또한, 도 1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문짝(70)이 닫히는 방향을 기준으로 선행 위치에 배치된 캠 플레이트(30)는 후행 위치에 배치된 스토퍼(20)와 간섭하지 않고 통과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돌출된 레일을 주행 가이드(12)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예이다.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차(80)를 기준으로 호차(80)의 양쪽에 상기 스토퍼(20)와 상기 캠 플레이트(30)와 상기 팔로워 유닛(40)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4의 상기 호차(80)는 휠이 축 샤프트에서 축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휠의 외경은 홈이 형성되고 돌출된 레일의 요부와 휠이 결합되어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창문짝(70)은 주행 레일 또는 주행 가이드(12)에서 왕복 직선 주행을 할 수 있다.
도 14에서 상기 스토퍼(20)는 주행 가이드(12)의 한쪽에 설치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캠 플레이트(30)가 주행할 때 스토퍼(20)와 간섭하면 주행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캠 플레이트(30) 중에 선행 위치의 캠 플레이트(30)는 후행 위치의 스토퍼(20)와 간섭하지 않을 수 있고, 후행 위치의 캠 플레이트(30)는 후행 위치의 스토퍼(20)와 간섭할 수 있으며, 후행 위치의 스토퍼(20)와 간섭하면 주행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행 위치의 캠 플레이트(30)는 한쪽에 핀(39)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문짝(70)이 닫히는 방향을 기준으로 후행 위치에 배치된 캠 플레이트(30)는 후행 위치에 배치된 스토퍼(20)와 간섭할 수 있고,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핀(39)이 스토퍼(20)와 닿음으로써 후행 위치의 캠 플레이트(30)는 더는 주행할 수 없고 멈출 수 있다.
또한, 도 1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문짝(70)이 닫히는 방향을 기준으로 선행 위치에 배치된 캠 플레이트(30)는 후행 위치에 배치된 스토퍼(20)와 간섭하지 않고 통과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캠 플레이트가 주행 레일에 설치되고, 캠 팔로워가 창문짝에 설치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30)는 레일 또는 주행 가이드(12)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창문짝(70)에 캠 팔로워(42)를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창문짝(70)은 직선 운동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 또는 옆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5의 (a)는 창문짝(70)이 열린 상태로써 주행 가이드(12)에서 자유롭게 직선 이동하고, 창틀(60) 또는 상대 창문짝(71)과 유격 공간(g)이 형성되어 있으며, 캠 팔로워(42)는 제1 위치(42a)에 위치한다.
도 15의 (b)는 창문짝(70)이 닫힌 상태로써, 캠 유닛(30)이 스토퍼(20)에 가로막혀 주행할 수 없으므로 멈춘다. 창문짝(70)은 도 3에 표현된 제2 거리(w2)만큼 더 주행하면 캠 팔로워(42)는 제1 위치(42a)에서 제2 위치(42b)로 이동한다. 도 15의 (b)를 참조하면 캠 팔로워(42)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이로써 창문짝(70)이 창틀(60) 또는 상대 창문짝(71)과 밀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는, 슬라이딩 구조의 대상 물체가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옆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10: 선형 가이드 12: 주행 가이드
20: 스토퍼
30, 30a, 30b: 캠 플레이트
32: 캠 웨이 33: 슬라이드 페이스
34: 레스트 파트
38: 제1 고정부 39: 핀
40: 팔로워 유닛 42: 캠 팔로워
42a, 42b: 제1, 2 위치
48: 제2 고정부
50: 리턴 유닛 52: 브리지
60: 창틀 70: 창문짝
80: 호차
A: 창문짝의 주행 이동 방향 B: 창문짝의 측면 이동 방향

Claims (8)

  1. 직선 형태로 형성된 주행 가이드(12);
    한쪽에 상기 주행 가이드(12)의 직선 형태와 다른 방향으로 캠 웨이(32)가 형성되고 상기 주행 가이드(12)를 따라 왕복 주행하며, 상기 주행 가이드(12)에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하는 캠 유닛(30);
    상기 캠 유닛(30)의 이동을 멈추게 하는 스토퍼(20); 및
    창문짝(7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캠 웨이(32)를 따라 이동하도록 캠 팔로워(42)가 배치되는 팔로워 유닛(40);
    을 포함하는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유닛(30)이 상기 스토퍼(20)한테서 멀어질 때,
    상기 캠 유닛(30)이 상기 팔로워 유닛(40)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유닛(50)을 포함하고,
    상기 리턴 유닛(50)은,
    한쪽이 상기 캠 유닛(30)에 설치되며, 다른 한쪽이 상기 팔로워 유닛(40)에 설치되며, 탄성 복원력을 갖는 것
    을 포함하는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웨이(32)의 어느 구간에 상기 캠 유닛(30)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사선 구간, 곡선 구간 중에 어느 하나가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 웨이(32)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끝단에 캠 유닛(30)의 주행 방향과 일치하는 직선 구간이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 웨이(32)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끝단에 원호 구간이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유닛(30)과 상기 팔로워 유닛(40)이 복수로 제공되고,
    어느 하나의 캠 유닛(30)과 다른 하나의 캠 유닛(30)을 연결하는 브리지(52)
    를 포함하는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0)와 상기 캠 유닛(30)과 상기 팔로워 유닛(40)이 복수로 제공되고,
    어느 하나의 캠 유닛(30)은 복수의 스토퍼(20) 중에 어느 하나의 스토퍼(20)를 회피하여 이동하는 것
    을 포함하는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
KR1020200024351A 2020-02-27 2020-02-27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 KR102208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351A KR102208509B1 (ko) 2020-02-27 2020-02-27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351A KR102208509B1 (ko) 2020-02-27 2020-02-27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509B1 true KR102208509B1 (ko) 2021-01-26

Family

ID=74310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351A KR102208509B1 (ko) 2020-02-27 2020-02-27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5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027A (ko) 2022-06-03 2023-12-12 장재연 창문짝의 3축 방향 이동 장치
KR102690396B1 (ko) 2023-02-20 2024-07-30 장재연 창문짝의 측면방향 이동 장치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449Y1 (ko) 1997-08-12 2000-03-02 장형수 창문용 호차
KR20110053529A (ko) * 2009-11-16 2011-05-24 (주)엘지하우시스 수평밀착 창호의 창문을 잠금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모듈
KR20110124519A (ko) * 2010-05-11 2011-11-17 (주)엘지하우시스 수평 밀착 창호의 잠금모듈
KR20120043822A (ko) * 2010-10-27 2012-05-07 (주)엘지하우시스 수평밀착창호
KR101142795B1 (ko) 2010-04-07 2012-05-08 주식회사 시안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
KR101211854B1 (ko) * 2009-07-10 2012-12-12 (주)엘지하우시스 시스템 창호
KR20130024373A (ko) 2011-08-31 2013-03-08 장혁수 창호 시스템의 레일과 호차 및 이를 이용한 창호용 창문 거동 장치
KR101335198B1 (ko) * 2010-11-10 2013-11-29 주식회사 윈스터 수평밀착창호
KR101423691B1 (ko) 2013-04-12 2014-07-25 주식회사대성몰드테크 창문용 호차
KR101550541B1 (ko) 2014-05-08 2015-09-04 장혁수 호차
KR101736794B1 (ko) 2015-09-25 2017-05-17 김순희 레일상에서 사행하는 창호용 창문짝
JP2018188842A (ja) * 2017-05-01 2018-11-29 アクシス株式会社 開閉扉装置
KR101998053B1 (ko) 2019-04-02 2019-07-08 정희섭 창문용 로울러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449Y1 (ko) 1997-08-12 2000-03-02 장형수 창문용 호차
KR101211854B1 (ko) * 2009-07-10 2012-12-12 (주)엘지하우시스 시스템 창호
KR20110053529A (ko) * 2009-11-16 2011-05-24 (주)엘지하우시스 수평밀착 창호의 창문을 잠금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모듈
KR101142795B1 (ko) 2010-04-07 2012-05-08 주식회사 시안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
KR20110124519A (ko) * 2010-05-11 2011-11-17 (주)엘지하우시스 수평 밀착 창호의 잠금모듈
KR20120043822A (ko) * 2010-10-27 2012-05-07 (주)엘지하우시스 수평밀착창호
KR101335198B1 (ko) * 2010-11-10 2013-11-29 주식회사 윈스터 수평밀착창호
KR20130024373A (ko) 2011-08-31 2013-03-08 장혁수 창호 시스템의 레일과 호차 및 이를 이용한 창호용 창문 거동 장치
KR101423691B1 (ko) 2013-04-12 2014-07-25 주식회사대성몰드테크 창문용 호차
KR101550541B1 (ko) 2014-05-08 2015-09-04 장혁수 호차
KR101736794B1 (ko) 2015-09-25 2017-05-17 김순희 레일상에서 사행하는 창호용 창문짝
JP2018188842A (ja) * 2017-05-01 2018-11-29 アクシス株式会社 開閉扉装置
KR101998053B1 (ko) 2019-04-02 2019-07-08 정희섭 창문용 로울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027A (ko) 2022-06-03 2023-12-12 장재연 창문짝의 3축 방향 이동 장치
KR102690396B1 (ko) 2023-02-20 2024-07-30 장재연 창문짝의 측면방향 이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509B1 (ko) 창문짝의 측방 이동 장치
EP1688574A3 (en) Sliding window apparatus
CN111173395B (zh) 滑动门机构
KR101182413B1 (ko)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KR101548488B1 (ko) 포켓슬라이딩도어 자동닫힘장치
KR20100015373A (ko) 슬라이딩 도어 디바이스
WO2020173084A1 (zh) 一种门体组件和淋浴房
KR10171848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CN106840688A (zh) 无限检验连杆系统
KR101346534B1 (ko) 좌우 방향전환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
EP2025854A2 (en) Flush closing sliding door arranged in a pocket in the wall
KR101736794B1 (ko) 레일상에서 사행하는 창호용 창문짝
KR101746737B1 (ko)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WO2017113637A1 (zh) 一种用于冰箱门体的引导组件及冰箱
CN111677394A (zh) 一种具阻尼滑轨
KR20180001371U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US10065835B2 (en) Car door-shaft door coupling
JP2018083672A (ja) エレベータ
GB2558525A (en) Hinge assembly
US9663119B2 (en) Railroad vehicle and plug door for railroad vehicle
KR20180137259A (ko) 미닫이 도어용 도어스토퍼
JP6400901B2 (ja) 鉄道車両の引戸構造
KR20180036511A (ko) 개폐 장치
KR101988060B1 (ko) 차량용 도어 체커
JP2012251367A (ja) 回転体アシス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