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799B1 - 창문용 호차 - Google Patents

창문용 호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799B1
KR101861799B1 KR1020150159052A KR20150159052A KR101861799B1 KR 101861799 B1 KR101861799 B1 KR 101861799B1 KR 1020150159052 A KR1020150159052 A KR 1020150159052A KR 20150159052 A KR20150159052 A KR 20150159052A KR 101861799 B1 KR101861799 B1 KR 101861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roller
hole
outer case
inn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808A (ko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김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현 filed Critical 김정현
Priority to KR1020150159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7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55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32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케이스와 조절나사를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롤러를 최대로 올렸을 때 내부케이스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조절나사가 공회전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창문용 호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롤러인출공(111)을 구비하는 바닥판(110)과, 수직장공(121)을 구비하는 전,후방 지지판(120)과, 절개부(131)를 구비하는 양측 한 쌍의 측판(130)과, 일측 측판(130)의 절개부(131)에 형성되는 나사지지공(140)을 구비하는 상부가 개방된 외부케이스(100); 상기 외부케이스(10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내장되어 전,후방 지지판(210)에 형성된 경사장공(211)과, 일측 측판(220)에 형성된 나사결합공(230)을 구비하는 내부케이스(200); 상기 롤러인출공(111)을 통해 그 하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내부케이스(200)에 내장되어 수직장공(121)과 경사장공(211)을 관통하는 리벳(3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300); 상기 나사지지공(140)에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끼워지는 환홈(410)과, 나사결합공(230)에 결합되는 수나사(420)를 구비하여 내부케이스(200)를 좌우로 이동시켜 롤러(300)의 높이를 조절하고, 롤러(300)의 최대 상승시 나사결합공(230)에서 수나사(420)가 공회전하는 조절나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창문용 호차{WINDOW ROLLER}
본 발명은 창문용 호차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외부케이스와 조절나사를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롤러를 최대로 올렸을 때 내부케이스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조절나사가 공회전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창문용 호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을 시공할 때 문틀을 먼저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문틀에 창문을 끼워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문틀은 시공 설치할 때 잘못 시공하거나 또는 시공 설치 후, 문틀이 건물벽 하중에 눌려 비틀리게 되면 창문과 문틀 사이에 틈이 벌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문틀이나 창문 자체를 분리시켜 다시 맞추려면 작업시간과 인력소모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문틀과 창문의 벌어지는 틈새를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창문용 호차에 설치된 롤러의 높낮이를 조절나사로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문틀과 창문의 벌어진 틈새에 따라 호차의 롤러 높이를 조절하면서 간단히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창문용 호차는 미닫이 창문의 하부에 설치되어 롤러가 문틀의 레일을 타고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창문을 원활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창문용 호차는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8887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의 하부에는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롤러가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롤러는 내부케이스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케이스는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에는 조절나사가 체결되고, 그 조절나사의 끝단은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내부케이스의 구멍에 나사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나사를 회전시켜 주게 되면 조절나사는 별도의 부품인 홀더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제자리에서 회전되고, 내부케이스만이 조절나사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내부케이스에 설치된 롤러는 수직장공과 경사장공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되면서 그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창문용 호차에 있어서는 외부케이스와 조절나사의 조립시 조절나사를 빠지지 않도록 제자리에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별도의 부품인 홀더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불편하고 조립공수도 많아져서 비경제적으로 원가가 상승함과 동시에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창문용 호차에 있어서는 롤러를 최대로 올렸을 때 내부케이스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의 구조가 없고, 롤러를 최대로 올린 상태에서도 조절나사가 내부케이스의 구멍에 나사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조절나사가 공회전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무리하게 조절나사를 돌릴 경우 조절나사와 내,외부케이스 및 리벳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이와 같이 무리한 힘이 가해질 경우 외부케이스가 벌어지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창문용 호차에 있어서는 외부케이스의 하부가 완전히 개방되었기 때문에, 외부케이스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롤러의 구동시 발생하는 먼지나 분진 등의 이물질이 외부케이스의 내부로 쉽게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188830호에서는 외부케이스와 조절나사의 조립시 조절나사를 빠지지 않도록 제자리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품인 홀더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케이스에 상부구멍은 크고 하부구멍은 작은 역오뚜기형의 구멍을 형성하여 조절나사를 상부구멍에 끼운 상태에서, 조절나사를 하부로 내려 조절나사의 요홈이 하부구멍에 끼워지도록 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부구멍에 끼워진 조절나사가 상부로 유동하기 때문에 조절나사를 견고하게 조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등록실용신안 제20-0388873호(등록일자 : 2005.06.27) 특허문헌 2 : 등록실용신안 제20-0188830호(등록일자 : 2000.05.0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외부케이스와 조절나사를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경제적으로 원가를 절감함과 동시에 조립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창문용 호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롤러를 최대로 올렸을 때 내부케이스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조절나사가 공회전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조절나사와 내,외부케이스 및 리벳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창문용 호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케이스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케이스의 외관이 미려하고, 롤러의 구동시 발생하는 먼지나 분진 등의 이물질이 외부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 창문용 호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케이스의 하부에는 롤러인출공이 구비된 바닥판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케이스의 전,후방에는 수직장공이 구비된 지지판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외부케이스의 양측에는 절개부가 구비된 한 쌍의 측판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일측 측판의 절개부에는 나사지지공을 형성하며, 상기 외부케이스에 내부케이스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내장하되, 상기 내부케이스의 전,후방 지지판에는 경사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케이스의 일측 측판에는 나사결합공을 형성하며, 상기 롤러인출공을 통해 롤러의 하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내부케이스에 롤러를 내장하되, 상기 수직장공과 경사장공을 관통하는 리벳에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상기 외부케이스의 나사지지공에 조절나사의 환홈을 끼워 빠지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직접 조립하며, 상기 내부케이스의 나사결합공에 조절나사의 수나사를 결합하여 내부케이스를 좌우로 이동시켜 롤러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롤러의 최대 상승시 나사결합공에서 수나사가 공회전하도록 결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절개부와 나사지지공은 조절나사의 조립시 바닥판을 중심으로 상부가 벌어지도록 하고, 상기 벌어진 나사지지공 사이로 조절나사의 환홈을 끼우고 절개부를 오므려서 조립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롤러의 최대 상승시 내부케이스의 타단은 외부케이스의 타측 한 쌍의 측판에 걸리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전,후방 지지판의 상부 타측에는 전,후방 지지판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핀을 리벳팅하고, 상기 내부케이스의 상부 타측에는 좌우이동시 고정핀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걸림턱이 구비된 절취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걸림턱은 롤러의 최대 상승시 고정핀에 걸리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나사결합공에는 수나사의 나사홈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텐션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롤러의 최대 상승시 나사결합공의 텐션돌출부가 벌어지면서 수나사를 공회전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창문용 호차에 따르면, 외부케이스의 나사지지공에 조절나사의 환홈이 빠지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직접 끼워지기 때문에, 외부케이스와 조절나사를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경제적으로 원가를 절감함과 동시에 조립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러를 최대로 올렸을 때 내부케이스의 타단이 외부케이스의 타측 측판에 걸리거나 또는 내부케이스의 걸림턱이 외부케이스의 고정핀에 걸려 이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조절나사가 나사결합공에서 공회전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조절나사와 내,외부케이스 및 리벳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핀으로 외부케이스의 전,후방 지지판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케이스의 하부가 롤러인출공을 제외하고 바닥판에 의해 폐쇄되므로 외관이 미려함과 동시에 롤러의 구동시 발생하는 먼지나 분진 등의 이물질이 외부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1b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롤러가 최대로 상승한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나사와 나사지지공 및 나사결합공의 조립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창문용 호차는 도 1a,1b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롤러인출공(111)을 구비하는 바닥판(110)과, 수직장공(121)을 구비하는 전,후방 지지판(120)과, 절개부(131)를 구비하는 양측 한 쌍의 측판(130)과, 일측 측판(130)의 절개부(131)에 형성되는 나사지지공(140)을 구비하는 상부가 개방된 외부케이스(100); 상기 외부케이스(10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내장되어 전,후방 지지판(210)에 형성된 경사장공(211)과, 일측 측판(220)에 형성된 나사결합공(230)을 구비하는 내부케이스(200); 상기 롤러인출공(111)을 통해 그 하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내부케이스(200)에 내장되어 수직장공(121)과 경사장공(211)을 관통하는 리벳(3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300); 상기 나사지지공(140)에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끼워지는 환홈(410)과, 나사결합공(230)에 결합되는 수나사(420)를 구비하여 내부케이스(200)를 좌우로 이동시켜 롤러(300)의 높이를 조절하고, 롤러(300)의 최대 상승시 나사결합공(230)에서 수나사(420)가 공회전하는 조절나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창문용 호차는 미닫이 창문의 하부에 설치되어 롤러(300)가 문틀의 레일을 타고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창문을 원활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창문용 호차는 외부케이스(100), 내부케이스(200), 롤러(300) 및 조절나사(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창문용 호차의 외부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외부케이스(100)는 바닥판(110)과 지지판(120)과 측판(130) 및 나사지지공(1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는 도 1a에서와 같이 개방되고,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하부는 도 1b에서와 같이 바닥판(110)에 의해 롤러인출공(111)을 제외하고는 폐쇄된다.
상기 바닥판(110)은 외부케이스(10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바닥판(110)에는 롤러(300)의 하부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롤러인출공(1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닥판(110)은 도 1 b에서와 같이 롤러인출공(111)을 제외하고는 폐쇄되므로 외관이 미려하고, 또한 종래와 달리 완전히 개방되지 않고 롤러인출공(111)만 개방되므로 롤러(300)의 구동시 발생하는 먼지나 분진 등의 이물질이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상기 지지판(120)은 바닥판(110)의 전,후방에서 상부로 각각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전,후방 지지판(120)에는 수직장공(121)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장공(121)에는 리벳(310)이 끼워진다.
상기 측판(130)은 전,후방 지지판(120)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각각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한 쌍의 측판(130) 사이에는 수직으로 절개부(131)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개부(131)는 별도로 형성한 것이 아니라 전,후방 지지판(120)의 양단에서 한 쌍의 측판(130)을 내측으로 각각 절곡함에 따라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나사지지공(140)은 일측 측판(130)의 절개부(131)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나사지지공(140)에는 조절나사(400)의 환홈(410)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조립된다. 이때, 상기 나사지지공(140)에 조절나사(400)의 환홈(410)이 빠지지 않도록 직접 끼워져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되기 때문에,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외부케이스(100)와 조절나사(400)를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나사지지공(140)은 전방 측판(130)과 후방 측판(130)의 서로 마주하는 절개부(131)에 대응하도록 각각 천공된 반원형의 구멍에 의해 형성된다. 즉, 상기 전방 측판(130)과 후방 측판(130)에 각각 형성된 2개의 반원형 구멍이 서로 마주하여 원형의 나사지지공(140)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절개부(131)와 나사지지공(140)은 조절나사(400)의 조립시 바닥판(110)을 중심으로 상부가 벌어지도록 하고, 상기 벌어진 나사지지공(140) 사이로 조절나사(400)의 환홈(410)을 끼우고 절개부(131)를 오므려서 조립한다. 이때, 상기 절개부(131)와 나사지지공(140)을 도 2에서와 같이 벌리고, 상기 벌어진 나사지지공(140) 사이 틈새로 조절나사(400)의 환홈(410)을 끼운 후, 상기 벌어진 절개부(131)와 나사지지공(140)을 도 5에서와 같이 다시 원상태로 오므리면, 조절나사(400)의 환홈(410)은 나사지지공(140)에 빠지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조립된다.
상기 내부케이스(200)는 창문용 호차의 내부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내부케이스(200)는 외부케이스(10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내장되고, 상기 내부케이스(200)는 전,후방 지지판(210)과 일측 측판(200)을 구비하는 'ㄷ'형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후방 지지판(210)에는 리벳(310)이 끼워지는 경사장공(21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측 측판(220)에는 조절나사(400)의 수나사(420)가 결합되는 나사결합공(23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내부케이스(200)의 나사결합공(230)에는 수나사(420)의 나사홈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텐션돌출부(231)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300)의 최대 상승시 나사결합공(230)의 텐션돌출부(231)가 벌어지면서 수나사(420)를 공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나사결합공(230)은 펀칭작업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나사결합공(230)의 내경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테이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전,후방 지지판(120)의 상부 타측에는 전,후방 지지판(12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핀(500)이 리벳팅되고, 상기 내부케이스(200)의 상부 타측에는 좌우이동시 고정핀(500)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걸림턱(241)을 가지는 절취부(240)가 형성된다.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전,후방 지지판(120)에는 고정핀(500)이 끼워지는 핀공(122)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내부케이스(200)의 걸림턱(241)은 롤러(300)의 최대 상승시 고정핀(500)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500)은 내부케이스(200)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롤러(300)는 롤러인출공(111)을 통해 그 하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내부케이스(200)에 내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롤러(300)는 수직장공(121)과 경사장공(211)을 관통하는 리벳(3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5에서와 같이, 상기 롤러(300)의 최대 상승시 내부케이스(200)의 타단은 외부케이스(100)의 타측 한 쌍의 측판(130)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타측 한 쌍의 측판(130)은 내부케이스(200)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롤러(300)의 최대 상승시 내부케이스(200)의 타단이 외부케이스(100)의 타측 한 쌍의 측판(130) 또는 내부케이스(200)의 걸림턱(241)이 고정핀(500)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롤러(300)의 최대 상승시 내부케이스(200)의 타단이 외부케이스(100)의 타측 한 쌍의 측판(130)에 걸리고 또한 내부케이스(200)의 걸림턱(241)이 고정핀(500)에 동시에 2중으로 걸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절나사(400)는 내부케이스(200)를 좌우로 이동시켜 롤러(3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이러한 조절나사(400)에는 외부케이스(100)의 나사지지공(140)에 빠지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는 환홈(410)이 구비되고, 또한 조절나사(400)에는 나사결합공(230)에 결합되어 내부케이스(20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수나사(4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절나사(400)의 수나사(420)는 롤러(300)의 최대 상승시 나사결합공(230)에서 공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조절나사(400)를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조여지는 방향으로 돌리면 내부케이스(20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수직장공(121)과 경사장공(211) 및 리벳(310)에 의해 롤러(300)는 하강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조절나사(400)를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풀어지는 방향으로 돌리면 내부케이스(200)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수직장공(121)과 경사장공(211) 및 리벳(310)에 의해 롤러(300)는 상승하게 된다. 이때, 도 4,5에서와 같이 롤러(300)가 최대로 상승한 상태에서는 내부케이스(200)의 타단이 외부케이스(100)의 타측 한 쌍의 측판(130)에 걸리고,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200)의 걸림턱(241)은 고정핀(500)에 걸려 내부케이스(200)의 이동은 정지되고, 이 상태에서 나사결합공(230)의 텐션돌출부(231)에 결합된 수나사(420)는 공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외부케이스(100)의 나사지지공(140)에 조절나사(400)의 환홈(410)이 빠지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직접 끼워지기 때문에, 외부케이스(100)와 조절나사(400)를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경제적으로 원가를 절감함과 동시에 조립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롤러(300)를 최대로 올렸을 때 내부케이스(200)의 타단이 외부케이스(100)의 타측 측판(130)에 걸리거나 또는 내부케이스(200)의 걸림턱(241)이 외부케이스(100)의 고정핀(500)에 걸려 이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조절나사(400)가 나사결합공(230)에서 공회전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조절나사(400)와 내,외부케이스(200)(100) 및 리벳(310)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고정핀(500)으로 외부케이스(100)의 전,후방 지지판(12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케이스(100)의 하부가 롤러인출공(111)을 제외하고 바닥판(110)에 의해 폐쇄되므로 외관이 미려함과 동시에 롤러(300)의 구동시 발생하는 먼지나 분진 등의 이물질이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외부케이스 110 : 바닥판
111 : 롤러인출공 120 : 지지판
121 : 수직장공 130 : 측판
131 : 절개부 140 : 나사지지공
200 : 내부케이스 210 : 지지판
211 : 경사장공 220 : 측판
230 : 나사결합공 231 : 텐션돌출부
240 : 절취부 241 : 걸림턱
300 : 롤러 310 : 리벳
400 : 조절나사 410 : 환홈
420 : 수나사 500 : 고정핀

Claims (6)

  1. 롤러인출공(111)을 구비하는 바닥판(110)과, 수직장공(121)을 구비하는 전,후방 지지판(120)과, 절개부(131)를 구비하는 양측 한 쌍의 측판(130)과, 일측 측판(130)의 절개부(131)에 형성되는 나사지지공(140)을 구비하는 상부가 개방된 외부케이스(100);
    상기 외부케이스(10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내장되어 전,후방 지지판(210)에 형성된 경사장공(211)과, 일측 측판(220)에 형성된 나사결합공(230)을 구비하는 내부케이스(200);
    상기 롤러인출공(111)을 통해 그 하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내부케이스(200)에 내장되어 수직장공(121)과 경사장공(211)을 관통하는 리벳(3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300);
    상기 나사지지공(140)에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끼워지는 환홈(410)과, 나사결합공(230)에 결합되는 수나사(420)를 구비하여 내부케이스(200)를 좌우로 이동시켜 롤러(300)의 높이를 조절하고, 롤러(300)의 최대 상승시 나사결합공(230)에서 수나사(420)가 공회전하는 조절나사(400)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절개부(131)와 나사지지공(140)은 조절나사(400)의 조립시 바닥판(110)을 중심으로 상부가 벌어지도록 하고, 상기 벌어진 나사지지공(140) 사이로 조절나사(400)의 환홈(410)을 끼우고 절개부(131)를 오므려서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호차.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300)의 최대 상승시 내부케이스(200)의 타단은 외부케이스(100)의 타측 한 쌍의 측판(130)에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호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전,후방 지지판(120)의 상부 타측에는 전,후방 지지판(12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핀(500)이 리벳팅되고, 상기 내부케이스(200)의 상부 타측에는 좌우이동시 고정핀(500)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걸림턱(241)을 가지는 절취부(2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호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200)의 걸림턱(241)은 롤러(300)의 최대 상승시 고정핀(500)에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호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200)의 나사결합공(230)에는 수나사(420)의 나사홈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텐션돌출부(231)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300)의 최대 상승시 나사결합공(230)의 텐션돌출부(231)가 벌어지면서 수나사(420)를 공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호차.
KR1020150159052A 2015-11-12 2015-11-12 창문용 호차 KR101861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052A KR101861799B1 (ko) 2015-11-12 2015-11-12 창문용 호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052A KR101861799B1 (ko) 2015-11-12 2015-11-12 창문용 호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808A KR20170055808A (ko) 2017-05-22
KR101861799B1 true KR101861799B1 (ko) 2018-05-28

Family

ID=59049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052A KR101861799B1 (ko) 2015-11-12 2015-11-12 창문용 호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7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830Y1 (ko) * 2000-01-13 2000-07-15 김기철 미닫이식 도어용 롤러 조립체
KR200388873Y1 (ko) 2005-04-25 2005-07-07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건축용 호차
KR101142795B1 (ko) 2010-04-07 2012-05-08 주식회사 시안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830Y1 (ko) * 2000-01-13 2000-07-15 김기철 미닫이식 도어용 롤러 조립체
KR200388873Y1 (ko) 2005-04-25 2005-07-07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건축용 호차
KR101142795B1 (ko) 2010-04-07 2012-05-08 주식회사 시안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808A (ko) 201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600B1 (ko) 가이드 레일에 대한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호차
KR101730775B1 (ko) 슬라이드 도어용 도어 높이 조절장치
KR20170119212A (ko) 슬라이딩 도어용 롤러 브라켓
KR101138288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102285654B1 (ko)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미닫이문용 호차
KR101775997B1 (ko) 창호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200483878Y1 (ko) 커튼러너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한 커튼레일 조립체
KR101861799B1 (ko) 창문용 호차
KR101640993B1 (ko) 도어용 힌지 장치
KR20180001371U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20150112986A (ko) 가이드 레일을 통해 가이드 방향으로 가구 부품을 가이드하기 위한 주행부 및 가구 피팅
KR102503989B1 (ko) 넌스크류 타입 창짝롤러 조립구조
KR20110010934U (ko) 슬라이딩 도어용 높낮이 조절형 로울러장치
KR102227736B1 (ko) 창호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KR101794259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JP5427098B2 (ja) レール装置
KR101831849B1 (ko) 닫힘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
KR101698458B1 (ko)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JP5048357B2 (ja) 開閉装置
KR101333052B1 (ko)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더 장착장치
KR200188830Y1 (ko) 미닫이식 도어용 롤러 조립체
EP2784256A1 (en) A support and adjustment device for a sliding door trolley
KR101148120B1 (ko) 도어 개폐구조
KR200453615Y1 (ko) 여닫이 창문용 처짐방지장치
JP4806652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