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841Y1 - 창문용 호차 - Google Patents

창문용 호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841Y1
KR200259841Y1 KR2019980023054U KR19980023054U KR200259841Y1 KR 200259841 Y1 KR200259841 Y1 KR 200259841Y1 KR 2019980023054 U KR2019980023054 U KR 2019980023054U KR 19980023054 U KR19980023054 U KR 19980023054U KR 200259841 Y1 KR200259841 Y1 KR 2002598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window
groove
inner body
lo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674U (ko
Inventor
이장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19980023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841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6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6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8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841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몸체(20)의 양측 상부에 외부몸체(10)의 상부 내측면에 점접촉되는 만곡부(23)를 형성하여 창문(50)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회동되어 2개의 휠(40)에 창문(50)의 하중이 균등하게 작용될 수 있도록하여 창문(50)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게 하고, 내부몸체(20)의 양측의 높이 조절용 경사장홈부(21)의 하부에 수평으로 높이 유지홈부(21a)를 형성하여 개구부(21b)가 상기 높이 유지홈부(21a)에 연결되도록하여 휠 높이(H) 조절시 휠(40)이 불시에 빠지지 않도록 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창문용 호차
본 고안은 창문용 호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 몸체의 좌우 이동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2개의 휠에 균등한 하중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창문의 개폐 작용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창문용 호차는 외부몸체에 내설된 내부몸체를 조절나사에 의해 좌우 이동시키게 되면 2개의 휠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며, 호차를 창문에 설치하고 창틀과의 유격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휠의 높이를 낮춘 상태에서 창틀에 창문을 끼운후 휠의 높이를 높여 창문이 유동될 염려가 없도록 조절하게된다.
이렇게 2개의 휠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 창문용 호차에는 창문의 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데 창틀의 레일 및 창문의 제작상 오차나 외부적이 요인에 의해 2개의 휠에 작용하는 하중은 실질적으로 달라지게 되며, 창문을 여닫는 과정에서 한쪽 휠에만 하중이 집중되어 조기에 마모되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서 창문이 흔들리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요인으로 작용되는 등의 문제점를 야기시키게 된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2개의 휠에 창문으로부터 하중이 균등하게 분산될 수 있게 한 창문용 호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조절나사를 이용하여 내부몸체를 휠의 높이가 증대되는 방향으로 최대한 조절시 휠이 내부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내부몸체의 양측 상부에 외부몸체의 상부 내측면에 점접촉되는 만곡부를 형성하여 창문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한 창문용 호차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내부몸체의 양측의 높이 조절용 경사장홈부의 하부에 수평으로 높이 유지홈부를 형성하여 개구부가 상기 높이 유지홈부에 연결되도록 한 창문용 호차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도 1는 본 고안의 창문용 호차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창문용 호차를 보인 결합상태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창문용 호차를 보인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창문용 호차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부몸체 11 : 높이 조절용 수직장홈부
12 : 안내장공 20 : 내부몸체
21 : 높이 조절용 경사장홈부
21a : 높이 유지홈부 21b : 개구부
22 : 돌기 23 : 만곡부
30 : 조절나사 31 : 축
40 : 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용 수직 장홈부(11)가 형성되고 중앙에 안내장공(12)이 형성된 외부몸체(10)와, 상기 높이 조절용 수직 장홈부(11)에 교차하는 높이 조절용 경사장홈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장공(12)에 끼워지는 돌기(22)가 형성된 상기 외부몸체(10)에 내설되어 조절나사(30)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내부몸체(20)와, 상기 높이 조절용 수직 장홈부(11)와 높이 조절용 경사 장홈부(21)의 교차지점에 축설되 2개의 휠(40)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내부몸체(20)의 양측 상부에 외부몸체(10)의 상부 내측면에 접촉되는 만곡부(23)를 형성하여 창문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내부몸체(20) 양측에 형성된 높이조절용 경사 장홈부(21)에 2개의 휠(40)을 축(31)으로 각각 축설한후 내부몸체(20)를 외부몸체(10)의 하부에서 밀어넣어 축(31)의 끝부분이 높이조절용 수직 장홈부(11)에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외부몸체(10)로부터 조절나사(30)를 내부몸체(20)에 체결함으로서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창문용 호차의 휠 높이(H)를 조절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조절나사(30)를 돌려주게 되면 내부몸체(20)가 좌우로 이동되며 이에따라 높이조절용 경사 장홈부(21)와 높이조절용 수직 장홈부(11)의 교차지점에 위치하게 되는 축(31)이 상하로 이동됨으로서 휠 높이(H)가 조절되는 것이다.
휠 높이(H)의 조절시 내부몸체(20)의 돌기(22)는 외부몸체(10)의 안내장공(12)내에서 지지되는 상태로 이동된다.
휠 높이(H)가 조절나사(30)에 의해 조절되는 본 고안의 창문용 호차를 창문(50)에 결합하여 창문(50)을 창틀(60)에 끼우게 되면 창문(50)의 하중이 2개의 휠(40)에 작용하게 된다.
이때 2개의 휠(40)에 작용하는 창문(50)의 하중이 제작상의 오차 및 외부 조건에 의해 균일하지 않으면 외부몸체(10)의 상부 내측면에 점접촉되고 있는 만곡부(23)가 안내장공(12) 내에서 지지되는 돌부(22)를 중심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지지점이 2개의 휠(40)에 창문(50)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이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이동한다.
이때 내부몸체(20)의 회동범위는 미세한 것으로 조절나사(30)는 외부몸체(10)의 장공(13)을 통해 내부몸체(20)에 체결되기 때문에 하중이 집중되는 방향으로 내부몸체(20)이 만곡부(23)를 지지점으로하여 회동되는데 지장을 주지 않는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몸체(20)의 양측의 높이조절용 경사 장홈부(21)의 하부에 수평으로 높이 유지홈부(21a)를 연결되게 형성하여 개구부(21b)가 상기 높이 유지홈부(21a)에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수평으로 높이조절용 경사장홈부(21)에 연결되게 형성된 상기 높이 유지홈부(21a)는 작업자가 조절나사(30)를 돌려 내부몸체(20)를 이동시킴으로서 휠(40)이 이탈될 수 있는 위치에 도달되기 전에 이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서 휠 높이(H)의 조절시 휠(40)이 빠질 염려가 없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조절나사(30)를 돌려 축(31)이 높이조절용 경사장홈부(21)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휠 높이(H)가 조절되지만 수평상태로 형성된 높이 유지홈부(21a)에 도달하는 위치부터는 변화가 없게 되므로 작업자는 휠 높이(H)가 최대한 높게 조절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되고 이에따라 조절나사(30)를 돌리는 작업을 중지하게 되어 휠(40)이 불시에 빠지게 되는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내부몸체(20)를 외부몸체(10)로부터 분해하려고 할 경우에는 조절나사(30)를 더 돌려 높이 유지홈부(21a)에 연결된 개구부(21b)와 높이조절용 경사장홈부(21)의 개구부(21b)가 일치되게 하면 된다.
본 고안은 내부몸체(20)의 양측 상부에 외부몸체(10)의 상부 내측면에 점접촉되는 만곡부(23)를 형성하여 창문(50)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회동되어 2개의 휠(40)에 창문(50)의 하중이 균등하게 작용될 수 있도록하여 창문(50)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게 하고, 내부몸체(20)의 양측의 높이 조절용 경사장홈부(21)의 하부에 수평으로 높이 유지홈부(21a)를 형성하여 개구부(21b)가 상기 높이 유지홈부(21a)에 연결되도록하여 휠 높이(H) 조절시 휠(40)이 불시에 빠지지 않도록 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높이 조절용 수직 장홈부(11)가 형성되고 중앙에 안내장공(12)이 형성된 외부몸체(10)와, 상기 높이 조절용 수직 장홈부(11)에 교차하는 높이 조절용 경사 장홈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장공(12)에 끼워지는 돌기(22)가 형성된 상기 외부몸체(10)에 내설되어 조절나사(30)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내부몸체(20)와, 상기 높이 조절용 수직 장홈부(11)와 높이 조절용 경사 장홈부(21)의 교차지점에 축설되 2개의 휠(40)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내부몸체(20)의 양측 상부에 외부몸체(10)의 상부 내측면에 점접촉되는 만곡부(23)를 형성하여 창문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호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몸체(20)의 양측의 높이조절용 경사 장홈부(21)의 하부에 수평으로 높이 유지홈부(21a)를 연결되게 형성하여 개구부(21b)가 상기 높이 유지홈부(21a)에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호차.
KR2019980023054U 1998-11-25 1998-11-25 창문용 호차 KR2002598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054U KR200259841Y1 (ko) 1998-11-25 1998-11-25 창문용 호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054U KR200259841Y1 (ko) 1998-11-25 1998-11-25 창문용 호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674U KR20000010674U (ko) 2000-06-26
KR200259841Y1 true KR200259841Y1 (ko) 2002-02-19

Family

ID=69509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054U KR200259841Y1 (ko) 1998-11-25 1998-11-25 창문용 호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84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862B1 (ko) 2018-01-24 2019-06-17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호차용 결합장치
KR20190096615A (ko) 2018-02-09 2019-08-20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무피스 결합구조를 갖는 호차
KR102475694B1 (ko) 2021-11-10 2022-12-08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572B1 (ko) * 2000-05-31 2003-09-13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창문용 호차
KR101142795B1 (ko) * 2010-04-07 2012-05-08 주식회사 시안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862B1 (ko) 2018-01-24 2019-06-17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호차용 결합장치
KR20190096615A (ko) 2018-02-09 2019-08-20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무피스 결합구조를 갖는 호차
KR102475694B1 (ko) 2021-11-10 2022-12-08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674U (ko) 200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331513A (ja) 調節機構
KR200259841Y1 (ko) 창문용 호차
KR950008997A (ko) 유량제어밸브
DE69914036D1 (de) Verstellbares Scharnier für Türrahmen
KR100408360B1 (ko) 창문용 개폐장치
JP3570238B2 (ja) 戸当り金具
KR200187436Y1 (ko) 창문용 호차
JP4686034B2 (ja) レール高さ調整ユニット
JP3020457B2 (ja) 蝶 番
JP2577860B2 (ja) 扉用蝶番
KR200154409Y1 (ko) 버스의 루프 도어
KR200280529Y1 (ko) 유리문용 축 고정구 구조
KR200187460Y1 (ko) 속도조절용 개폐창이 구비된 플로어힌지 덮개판
JP2000052765A (ja) 自動車用サイドバイザー
KR200223137Y1 (ko) 창문용 로울러
KR200339928Y1 (ko) 도어잠금장치
KR20030058323A (ko) 이동회전점을 갖는 공작기계의 도어 개폐구조
KR0113434Y1 (ko) 냉장고의 도어힌지장치
JPH10169293A (ja) 調整戸車
KR100445360B1 (ko) 차량용 와이퍼의 암 헤드 캡 결합구조
KR200238549Y1 (ko) 호차
JPH0332230Y2 (ko)
KR0177652B1 (ko) 도어비젼 화면의 감시 각도 조절장치
KR200298050Y1 (ko) 높이가 조절되는 롤러
JP3107785B2 (ja) 扉支持用トップピボ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