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694B1 -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694B1
KR102475694B1 KR1020210154321A KR20210154321A KR102475694B1 KR 102475694 B1 KR102475694 B1 KR 102475694B1 KR 1020210154321 A KR1020210154321 A KR 1020210154321A KR 20210154321 A KR20210154321 A KR 20210154321A KR 102475694 B1 KR102475694 B1 KR 102475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ller
slide
roller
door
inn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Priority to KR1020210154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34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32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창호의 호차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창호에 설치되는 호차외부프레임, 상기 호차외부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 상기 제1결합홈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돌기 및 상기 연장돌기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가 포함되는 호차부; 및 상기 호차부의 제1결합홈으로 삽입되는 호차내부프레임, 상기 호차내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 및 상기 호차내부프레임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호차내부프레임이 상기 호차부의 제1결합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걸림돌기에 걸림되도록 구성되는 제2걸림돌기가 포함되는 슬라이드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 창호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가 호차부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롤러의 파손 등에 따른 롤러 교체 문제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DOOR CAR COUPLING STRUCTURE FOR SLIDE WINDOWS}
본 발명은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창호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가 호차부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롤러의 파손 등에 따른 롤러 교체 문제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차는 슬라이드 창호나 슬라이드 도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창틀이나 문틀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구름 운동을 하면서 슬라이드 창호 및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259841 호에는 창문용 호차가 개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창문용 호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a 및 도 1b에 따르면 상기 종래의 창문용 호차는, 높이 조절용 수직 장홈부(11)가 형성되고 중앙에 안내장공(12)이 형성된 외부몸체(10)와, 상기 높이 조절용 수직 장홈부(11)에 교차하는 높이 조절용 경사 장홈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장공(12)에 끼워지는 돌기(22)가 형성된 상기 외부몸체(10)에 내설되어 조절나사(30)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내부몸체(20)와, 상기 높이 조절용 수직 장홈부(11)와 높이 조절용 경사 장홈부(21)의 교차지점에 축설되 2개의 휠(40)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내부몸체(20)의 양측 상부에 외부몸체(10)의 상부 내측면에 점접촉되는 만곡부(23)를 형성하여 창문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별도의 체결나사 등을 이용하여 창문 프레임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어 작업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고, 롤러 등의 파손에 따른 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259841 호(2001.12.2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589631 호(2006.06.07.)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슬라이드 창호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가 호차부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롤러의 파손 등에 따른 롤러 교체 문제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에는, 창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창호의 호차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창호에 설치되는 호차외부프레임, 상기 호차외부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 상기 제1결합홈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돌기 및 상기 연장돌기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가 포함되는 호차부; 및 상기 호차부의 제1결합홈으로 삽입되는 호차내부프레임, 상기 호차내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 및 상기 호차내부프레임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호차내부프레임이 상기 호차부의 제1결합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걸림돌기에 걸림되도록 구성되는 제2걸림돌기가 포함되는 슬라이드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걸림돌기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호차내부프레임이 상기 호차부의 제1결합홈의 상부를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의 상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제1걸림돌기에 걸림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상기 호차내부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설치핀에 의해 관통되도록 구성되는 롤러프레임; 및 상기 호차내부프레임과 롤러프레임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호차내부프레임과 롤러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롤러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높이조절나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차부에는, 상기 제1결합홈의 전방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호차내부프레임이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호차내부프레임의 상면 하부와 접촉되어 상기 호차내부프레임의 상면 하부가 걸림되도록 구성되는 이동방지돌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차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창호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른 창틀과 슬라이드 창호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충격완화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에 의하면, 슬라이드 창호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가 호차부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롤러의 파손 등에 따른 롤러 교체 문제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부의 호차내부프레임이 호차부의 제1결합홈의 상부를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제2걸림돌기의 하부가 제1걸림돌기의 상부와 접촉되면서 제1걸림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슬라이드부가 호차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드부가 호차부의 하부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이조절나사의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호차내부프레임과 롤러프레임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롤러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현장에서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높이조절나사를 이용하여 롤러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결합홈의 전방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동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호차내부프레임이 호차부의 제1결합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호차내부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호차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창호와 창틀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충격완화부가 구비됨으로써, 슬라이드 창호와 창틀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에 따른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창문용 호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가 적용된 슬라이드 창호의 대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의 호차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의 슬라이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의 충격완화부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창호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가 호차부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롤러의 파손 등에 따른 롤러 교체 문제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가 적용된 슬라이드 창호의 대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의 호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의 슬라이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에는, 호차부(100) 및 슬라이드부(20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는 창틀(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창호(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롤러(220)가 포함되는 슬라이드부(200)가 호차부(100)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롤러(220)의 파손 등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호차부(100)에는 상기 슬라이드 창호(2)에 설치되는 호차외부프레임(110), 상기 호차외부프레임(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120), 상기 제1결합홈(120)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돌기(130) 및 상기 연장돌기(130)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140)가 포함된다.
상기 호차외부프레임(110)은 'ㄴ' 형상 또는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창호(2)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별도의 결합나사 등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120)은 이러한 상기 호차외부프레임(110)에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드 창호(2)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후술되는 슬라이드부(200)가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돌기(130)는 상기 제1결합홈(120)에서 연장 형성되어 후술되는 슬라이드부(200)의 호차내부프레임(210)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걸림돌기(140)는 상기 연장돌기(130)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홈(120)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부(200)의 제2걸림돌기(230)가 걸림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장돌기(130) 및 제1걸림돌기(140)는 상기 제1결합홈(120)에 삽입되는 호차내부프레임(210)의 측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연장돌기(130) 및 제1걸림돌기(140)의 형상은 후술되는 슬라이드부(200)의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면 얼마든지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차부(100)에는 상기 제1결합홈(120)의 전방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이 상기 제1결합홈(12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의 상면 하부와 접촉되어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의 상면 하부가 걸림되도록 구성되는 이동방지돌기(15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동방지돌기(150)는 상기 제1결합홈(120)의 전방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결합홈(120)에 삽입되는 호차내부프레임(210)이 걸림되어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이 상기 제1결합홈(120)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방지돌기(150)는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의 하부로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이 하부 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상기 제1걸림돌기(140)와 함께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을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의 후방 부분을 하부 방향으로 눌러서 탈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200)에는 상기 호차부(100)의 제1결합홈(120)으로 삽입되는 호차내부프레임(210),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220) 및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이 상기 호차부(100)의 제1결합홈(12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걸림돌기(140)에 걸림되도록 구성되는 제2걸림돌기(230)가 포함된다.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은 상기 호차부(100)의 제1결합홈(120)에 삽입되어 여러 걸림부재들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별도의 결합나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롤러(220)의 파손 등에 따른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별도의 장비 없이 상기 호차부(100)의 호차외부프레임(110)으로부터 용이하게 탈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220)는 별도의 설치핀(221)에 의해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에는 상기 설치핀(221)에 의해 관통되도록 구성되는 제1관통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관통홈(211)은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제1관통홈(211)의 형상은 후술되는 높이조절나사(250)에 의한 롤러(220)의 높이 조절을 위한 형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돌기(230)는 상기 제1걸림돌기(14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이 상기 제1결합홈(12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걸림돌기(14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걸림돌기(140)에 걸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걸림돌기(230)는 상기 제1걸림돌기(140)의 상부에 걸림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은 상기 호차외부프레임(110)의 상부를 통해 제1결함홈(120)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롤러(220) 등의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호차외부프레임(110)의 상부를 통해 제1결합홈(120)에서 탈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200)에는,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22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설치핀(221)에 의해 관통되도록 구성되는 롤러프레임(240) 및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과 롤러프레임(240)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과 롤러프레임(240)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롤러(22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높이조절나사(25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롤러프레임(240)에는 상기 설치핀(221)에 의해 관통되는 제2관통홈(2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관통홈(241)은 대각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나사(250)의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과 롤러프레임(240)의 사이 간격이 조절되는 경우, 상기 설치핀(221)이 상기 제2관통홈(241)의 경사진 형상을 타고 움직이게 되어 상기 롤러(22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높이조절나사(250)를 조절하여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과 롤러프레임(240)의 사이 간격이 멀어지게 되는 경우 상기 롤러(220)가 하부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높이조절나사(250)를 조절하여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과 롤러프레임(240)의 사이 간격이 가까워지게 되는 경우 상기 롤러(220)가 상부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높이조절나사(250)의 조절 방향에 따른 상기 롤러(220)의 높이 변화는 상기 제2관통홈(241)의 대각 경사 방향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기 높이조절나사(250)의 조절 방향에 따른 롤러(220)의 승강 및 하강 또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의 충격완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6a 및 도 6b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에는 상기 호차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창호(2)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른 창틀(1)과 슬라이드 창호(2)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충격완화부(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격완화부(30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1)과 슬라이드 창호(2)의 마찰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호차부(100)에는 상기 호차외부프레임(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160)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충격완화부(300)는 상기 제2결합홈(160)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2결합홈(160)은 상기 슬라이드 창호(2)의 측면과 접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결합홈(160)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충격완화부(300)가 상기 슬라이드 창호(2)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른 창틀(1)과 슬라이드 창호(2)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충격완화부(300)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충격완화홀(3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충격완화홀(310)은 상기 창틀(1)과 슬라이드 창호(2)의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가 상기 충격완화부(300)의 형상 변형 등에 의해 소모되어 상기 충격완화부(3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창틀(1)과 슬라이드 창호(2)에서 발생된 에너지에 의해 형상이 변화된 충격완화부(300)는 상기와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에너지의 소모 이후 다시 원형으로 변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충격완화홀(310)은 상기 충격완화부(300)의 몸체 전체에 걸쳐서 복수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충격완화홀(310)은 상기 충격완화부(300)의 몸체 전체에 걸쳐서 세 개로 구성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완화홀(310)은 상기 충격완화부(300)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충격완화홀(310)의 형상은 상기 충격완화부(300)가 상기 창틀(1)과 슬라이드 창호(2)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용이하게 소모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차부(100)의 제2결합홈(160)에는 밀림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충격완화부(300)에는 상기 밀림방지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밀림방지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호차부(100)의 제2결합홈(160)에 설치되는 충격완화부(300)가 상기 창틀(1)과 슬라이드 창호(2)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제2결합홈(160)에서 밀리거나 탈거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호차부(100)의 제2결합홈(160)에 밀림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충격완화부(300)에 밀림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 환경에 따라서, 상기 밀림방지돌기가 상기 충격완화부(300)에 형성되고 상기 밀림방지홈은 호차부(100)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밀림방지돌기 및 밀림방지홈의 형상 및 위치는 상기 충격완화부(300)가 상기 호차부(100)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창틀(1)과 슬라이드 창호(2)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충격완화부(300)가 상기 제2결합홈(160)에서 밀리거나 탈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얼마든지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 창호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가 호차부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롤러의 파손 등에 따른 롤러 교체 문제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 : 창틀 2 : 슬라이드 창호
100 : 호차부
110 : 호차외부프레임 120 : 제1결합홈
130 : 연장돌기 140 : 제1걸림돌기
150 : 이동방지돌기 160 : 제2결합홈
200 : 슬라이드부
210 : 호차내부프레임 211 : 제1관통홈
220 : 롤러 221 : 설치핀
230 : 제2걸림돌기
240 : 롤러프레임 241 : 제2관통홈
250 : 높이조절나사
300 : 충격완화부
310 : 충격완화홀

Claims (5)

  1. 창틀(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창호(2)의 호차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창호(2)에 설치되는 호차외부프레임(110), 상기 호차외부프레임(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120), 상기 제1결합홈(120)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돌기(130) 및 상기 연장돌기(130)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140)가 포함되는 호차부(100); 및
    상기 호차부(100)의 제1결합홈(120)으로 삽입되는 호차내부프레임(210),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220) 및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이 상기 호차부(100)의 제1결합홈(12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걸림돌기(140)에 걸림되도록 구성되는 제2걸림돌기(230)가 포함되는 슬라이드부(200);
    가 포함되며,
    상기 호차외부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제2결합홈(160)이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제2결합홈(16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창호(2)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른 창틀(1)과 슬라이드 창호(2)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충격완화부(30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충격완화부(300)에는,
    상기 충격완화부(300)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창틀(1)과 슬라이드 창호(2)의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소모함으로써 상기 충격완화부(3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충격완화홀(3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돌기(230)는,
    상기 슬라이드부(200)의 호차내부프레임(210)이 상기 호차부(100)의 제1결합홈(120)의 상부를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140)의 상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제1걸림돌기(140)에 걸림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200)에는,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22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설치핀(221)에 의해 관통되도록 구성되는 롤러프레임(240); 및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과 롤러프레임(240)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과 롤러프레임(240)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롤러(22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높이조절나사(25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차부(100)에는,
    상기 제1결합홈(120)의 전방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이 상기 제1결합홈(12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의 상면 하부와 접촉되어 상기 호차내부프레임(210)의 상면 하부가 걸림되도록 구성되는 이동방지돌기(15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
  5. 삭제
KR1020210154321A 2021-11-10 2021-11-10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 KR102475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321A KR102475694B1 (ko) 2021-11-10 2021-11-10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321A KR102475694B1 (ko) 2021-11-10 2021-11-10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694B1 true KR102475694B1 (ko) 2022-12-08

Family

ID=84437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321A KR102475694B1 (ko) 2021-11-10 2021-11-10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6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841Y1 (ko) 1998-11-25 2002-02-19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창문용 호차
KR100589631B1 (ko) 2005-02-01 2006-06-19 민현승 높낮이 조절 호차
KR101946920B1 (ko) * 2018-06-11 2019-02-11 (주) 한길 하이브리드 창호완충 고정장치, 그리고 이를 부착한 창호틀
KR102251901B1 (ko) * 2020-12-07 2021-05-13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유연한 구조를 가지는 일체형 모서리 조립구
KR102264380B1 (ko) * 2020-08-26 2021-06-14 이성국 이송 롤러가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용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841Y1 (ko) 1998-11-25 2002-02-19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창문용 호차
KR100589631B1 (ko) 2005-02-01 2006-06-19 민현승 높낮이 조절 호차
KR101946920B1 (ko) * 2018-06-11 2019-02-11 (주) 한길 하이브리드 창호완충 고정장치, 그리고 이를 부착한 창호틀
KR102264380B1 (ko) * 2020-08-26 2021-06-14 이성국 이송 롤러가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용 결합장치
KR102251901B1 (ko) * 2020-12-07 2021-05-13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유연한 구조를 가지는 일체형 모서리 조립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06668A1 (en) Electromagnetic release door closer
US7695030B2 (en) Safety device against false maneuvers for sliding window and door frames
US10233684B2 (en) Furniture hinge for increasing jumping length of furniture door
KR102475694B1 (ko) 슬라이드 창호용 호차 결합구조
KR10171848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JP2012180637A (ja) 網戸用戸車
MX2023003668A (es) Ventana deslizante de montaje lateral.
JP5701906B2 (ja) 引出し引込み構造
KR102160790B1 (ko) 미닫이식 도어용 롤러 가이드 안전 장치
CN105672794B (zh) 一种可灵活调节的门窗导轨
KR20130003959U (ko)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
CZ27141U1 (cs) Kladkový mechanismus s automatickým nastavováním a nízkým hlukem
KR102052650B1 (ko) 미닫이 도어의 호차 고정구조
WO2018032530A1 (zh) 一种防坠的摩擦式滑撑铰链
CN210828991U (zh) 一种防噪音卷帘门
JP2009127365A (ja) 引戸
NZ587535A (en) Barrier assembly for balconies with a bi-fold window assembly and guide track on underside of handrail
CN208234356U (zh) 轿厢门锁啮合深度验证开关浮动装置
KR200468518Y1 (ko) 도어 댐퍼장치
KR20130003942U (ko) 이탈방지기능을 갖는 슬라이드 도어용 롤러장치
JP5936816B2 (ja) 可動ホーム柵
KR102542633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슬라이더
CN104129475B (zh) 钢质无门槛风雨密门
KR102129512B1 (ko) 미닫이 창호용 안전 상부레일
JP2017165503A (ja) エレベータのドアシュー及びエレベータ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