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507B1 -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 - Google Patents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507B1
KR102264507B1 KR1020200001095A KR20200001095A KR102264507B1 KR 102264507 B1 KR102264507 B1 KR 102264507B1 KR 1020200001095 A KR1020200001095 A KR 1020200001095A KR 20200001095 A KR20200001095 A KR 20200001095A KR 102264507 B1 KR102264507 B1 KR 102264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olling unit
bracket
movable 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연
장혁수
최영철
Original Assignee
장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연 filed Critical 장재연
Priority to KR1020200001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보디(20); 상기 보디(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창문 문짝이 주행하도록 하는 주행 휠(30); 상기 보디(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창문 문짝에 설치되는 브래킷(50); 및 상기 보디(20)의 측면(21)에 배치되고, 상기 창문 문짝이 주행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상기 브래킷(50)이 상기 보디(20)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측방 가동 유닛(4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Sideways movement Door Roller of windows}
본 발명은 창문 문짝에 설치되어 직선 이동하는 창문의 문짝을 일정 구간에서 사행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 문짝과 창틀 사이는 개폐 및 이동에 필요한 유격공간이 형성되고, 이 유격공간으로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실내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창문 문짝을 닫은 후에 창문 문짝과 창틀을 밀착할 필요가 있다.
상기 유격공간을 없애기 위하여, 창문 문짝이 닫히기 직전에 사행 주행하도록 하여 창문 문짝과 창틀을 밀착하도록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창문은 창틀의 레일과 창문 문짝과 호차를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고, 특허문헌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호차에 주행 휠 이외에 측방 이동을 위한 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에서 창문 문짝을 측방으로 이동하기 위한 구성은, 호차의 상면에 요입홈을 형성하고, 금속 볼 또는 봉을 좌우로 구르도록 배치하며 상판이 금속 볼 위에 얹히도록 하여 상판이 금속 볼 때문에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난 기술에 따르면, 창문 문짝은 구동 롤러와 레일 구성으로 직선 왕복 주행하며, 상기 금속 볼 또는 봉의 구성으로 직선 주행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창문 문짝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은 기술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첫째, 상기 금속 볼 또는 봉을 수용하기 위한 구성이 호차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호차의 전체적인 높이가 높아지고, 이로써 인해 창문 문짝의 프레임은 수직 방향으로 높이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으로, 유리 면적은 프레임보다 열관류율이 상대적으로 좋을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창문 문짝의 프레임의 높이가 높음으로써 유리 면적이 축소되어 단열성을 낮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유리 면적이 좁아짐으로써 시야 확보에 불리할 수 있다.
둘째, 상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난 기술은 금속 볼에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고, 금속 볼 또는 봉이 정위치로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 즉, 볼의 경우 홈을 이탈하여 이동하거나 봉의 경우 좌ㅇ우측으로 비틀어져 평행 유지 간격이 깨짐으로써 상판의 이동 목적 기능을 해칠 수 있다.
셋째, 볼 또는 봉의 지름은 원활한 구름을 위해서 창문 중량에 대비하여 크기 이상이 사용되어야 하지만, 프레임의 높이 증가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작은 지름의 볼 또는 봉이 사용됨으로써 구름 성능이 저하되고, 이물질에 대해선 큰 지름의 볼 또는 봉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욱 민감한 영향을 받는다.
넷째, 호차는 일반적으로 주행 휠의 원활한 구름을 위해 볼 베어링이 장착된다. 주행 휠용 볼 베어링은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대응력이 높을 수 있으나, 측면 또는 사선 방향에서 응력이 작용할 때 볼 베어링을 구성하는 내륜과 외륜에 클리어런스의 변화를 가중하고 구름 성능이 저해되며 나아가 볼 베어링의 내구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즉, 상기 특허문헌 1처럼 볼 또는 봉을 호차 상부에 구성하면, 호차에 구성된 볼 베어링의 구름 성능은 및 내구성이 불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은, 호차의 보디, 볼 또는 봉, 창문 문짝 순서로 구성되는데, 볼 또는 봉이 관절 기능을 함으로써 창문 문짝이 수직을 유지하면 몸체가 창문 문짝의 반대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특히 창문 문짝이 측방으로 이동했을 때 볼 또는 봉이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고 호차의 주행 휠에 편심을 발생시키며, 주행 휠용 볼 베어링의 구름 성능 및 내구성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호차의 구름 성능 및 내구성을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창문 문짝의 좌우 거동을 원활히 하면서도 호차에 포함된 베어링의 수명이 비정상적으로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방안이 필요하다.
KR 20-0174449 Y1 KR 10-1998053 B1 KR 10-1736794 B1 KR 10-1550541 B1 KR 10-1423691 B1 KR 10-1142795 B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창문 문짝이 창문 문짝 주행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창문 문짝을 가동할 수 있고, 무거운 중량에 견딜 수 있으며, 호차에 포함된 베어링의 수명이 비정상적으로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문 문짝의 구성에서 창문 문짝의 프레임 높이를 줄이고 유리창 부분을 더 넓게 형성시켜 열관류율을 더욱 높이고 시야를 더욱 넓게 확장해 조망권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보디(20); 상기 보디(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창문 문짝이 주행하도록 하는 주행 휠(30); 상기 보디(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창문 문짝에 설치되는 브래킷(50); 및 상기 보디(20)의 측면(21)에 배치되고, 상기 창문 문짝이 주행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상기 브래킷(50)이 상기 보디(20)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측방 가동 유닛(4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의 상기 측방 가동 유닛(40)은, 상기 보디(20)의 측면(2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샤프트(42); 상기 샤프트(42)에 설치되어 정위치에서 회전되는 롤링 유닛(41); 및 상기 브래킷(5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롤링 유닛(41)과 접촉하는 제1 하부 레일(5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의 상기 측방 가동 유닛(40)은, 상기 보디(20)의 측면(21) 내부에 설치된 베어링(22); 상기 베어링(22)에 설치되어 상기 보디(20)의 측면(21)으로부터 돌출된 롤링 유닛(41); 및 상기 브래킷(5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롤링 유닛(41)과 접촉하는 제1 하부 레일(5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의 상기 측방 가동 유닛(40)은, 상기 보디(20)의 측면(2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보디(20)의 상측이 개방되어 상기 보디(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2 하부 레일(28); 상기 제2 하부 레일(28)의 상부에 배치되는 롤링 유닛(41); 및 상기 브래킷(5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롤링 유닛(41)과 접촉하는 제1 하부 레일(5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상기 롤링 유닛(41)이 볼 형태 또는 봉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상기 롤링 유닛(41)에 제1 요철(4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부 레일(54)에 제2 요철(56)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요철(44)과 상기 제2 요철(56)이 맞물려 상기 브래킷(50)이 상기 보디(20)에 대하여 상기 주행 휠(30)의 주행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상기 롤링 유닛(41)에 제1 요철(44)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부 레일(28)에 제2 요철(56)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요철(44)과 상기 제2 요철(56)이 맞물려 롤링 유닛(41) 간의 평행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상기 브래킷(50)이 상기 보디(20)로부터 측방으로 이동하는 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상기 보디(20)에 돌출되게 설치된 핀(70); 및 상기 브래킷(50)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가이드 홀(60)이 형성된 가드 플레이트(58)를 포함하고, 상기 핀(70)이 상기 가이드 홀(60)에 수용되어 상기 브래킷(50)이 상기 보디(20)로부터 측방으로 이동하는 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보디(20); 상기 보디(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창문 문짝이 주행하도록 하는 주행 휠(30); 상기 보디(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창문 문짝에 설치되는 브래킷(50); 및 상기 보디(20)에 회전축이 고정되어 상기 창문 문짝이 주행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롤링 유닛(41)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50)은 상기 롤링 유닛(41)과 접촉하여 상기 창문 문짝이 주행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보디(20); 상기 보디(20)에 형성된 제2 하부 레일(28); 상기 제2 하부 레일(28)의 상부에 배치되는 롤링 유닛(41); 및 브래킷(5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롤링 유닛(41)과 접촉하는 제1 하부 레일(54)을 포함하고, 상기 롤링 유닛(41)은 제1 요철(44)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부 레일(28)은 제2 요철(56)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요철(44)과 상기 제2 요철(56)이 맞물려 롤링 유닛(41) 간의 평행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창문 문짝을 측방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측방 거동 유닛을 호차에 설치하되 보디의 최저 위치에 구성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가동 호차를 호차의 상부에 구성함으로써 발생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첫째, 측방 거동 유닛을 호차의 보디에서 최저 위치에 구성함으로써 창문 문짝 프레임의 높이를 낮게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창틀 재료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단열성이 높은 유리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창문의 전체적인 단열성을 더욱 높게 확보 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측방 거동 유닛의 베어링을 호차의 보디에 고정 배치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개별적으로 이동되는 볼 또는 봉의 평행 간격 훼손에 따른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특히, 베어링의 고정 배치함으로써 볼 또는 봉의 이동, 즉, 창문 문짝의 중심이동으로 인한 편심 발생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측방 거동 유닛에서 종래 기술에 비교하여 지름이 상대적으로 큰 볼 또는 봉을 적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볼 또는 봉이 작은 변위로 이동하더라도 창문 문짝의 적정한 측방 이동 거리를 구현할 수 있고, 편심 크기를 상대적으로 줄임으로써 상대적으로 볼 또는 봉과 상대 구성품 간의 접촉 면적을 넓게 확보하여 더욱 큰 응력에 견딜 수 있으며, 큰 응력을 견디면서 측방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써 가동 호차의 내구성을 더욱 견고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볼 또는 봉이 이동할 때 관련 부품과 요철 결합을 이룸으로써 평행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측방 거동 유닛의 구성품이 보디 또는 브래킷 등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으로써 창문 문짝이 측방 거동할 때 창문으로부터 호차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측방 가동 호차의 위치를 주행 휠의 레일 접점과 최소 거리에 위치시킴으로써, 하중 중심점을 최대한 낮출 수 있고, 이로써 창문 문짝의 기울어짐에 따른 호차의 뒤틀림 문제와 창문 문짝의 좌우 이동에 따른 응력 변화로부터 측방 가동 호차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창문 문짝이 창문 문짝 주행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창문 문짝을 가동할 수 있고, 무거운 중량에 견딜 수 있으며, 호차에 포함된 베어링의 수명이 비정상적으로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창문 문짝을 창문 문짝 주행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호차의 낮은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창문 문짝의 구성에서 창문틀의 높이를 줄일 수 있고, 유리창 부분을 더 넓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조망권을 더욱 크게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창문 문짝을 측방으로 또는 비스듬하게 이동시키도록 하는 구성에서 롤링 유닛 등을 포함하는 구성이 항상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본래의 기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창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측방 가동 호차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면으로써, 도 4는 위에서 내려다본 방향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밑에서 올려다본 방향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에서 측방 가동 유닛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 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 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할 수 있다.
한편으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창문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창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창문은 창틀과 창문 문짝(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창틀은 상부 창틀(1)과 하부 창틀(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부 창틀(1)과 하부 창틀(2)에는 레일(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창문 문짝(4)은 하부 창문틀(5), 유리(6), 주행 호차(7) 및 측방 거동 유닛(7a)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주행 호차(7)는 상기 레일(3)에서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주행 호차(7)는 주행 휠(8)과 샤프트(9) 및 베어링(8a)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주행 휠(8)은 레일(3)과 접촉하여 구르는 운동을 하고, 샤프트(9)는 창문 문짝(4)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으며, 베어링(8a)은 주행 휠(8)의 회전 운동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측방 거동 유닛(7a)은 창문 문짝(4)이 측방 또는 사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비교예는 도 2의 (a)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비교예를 살펴보면 측방 거동 유닛(7a)은 주행 호차(7)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하부 창문틀(5)의 상하 높이를 증가시켜 설계해야 하고, 특히 호차 몸체에 작용하는 창문 문짝(4)의 하중점이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창문 문짝(4)의 하중점 즉, 무게 중심이 높으면 호차 몸체에 결합한 주행 휠의 뒤틀림 현상이 증가 되고, 뒤틀림 현상은 주행 휠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창문 문짝(4)의 크기가 대형일수록 주행 휠의 내구성은 더욱 심하게 침해받을 수 있다.
주행 휠의 뒤틀림 현상은 측방 거동 유닛(7a)이 작동할 때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측방 거동 유닛(7a)이 주행 호차(7)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창문 문짝(4)은 가공 오차, 시공 오차, 바람 영향 등 다양한 변수 때문에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응력을 받을 수 있다.
측방 거동 유닛(7a)에 의해 창문 문짝(4)이 제1 중심(o1)에서 제2 중심(o2)으로 이동할 때, 창문 문짝(4)의 무게 중심 또한 측방으로 이동하여 주행 휠(8)의 중심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로써 발생한 편심은 주행 호차의 몸체를 기울어지게 하며 특히, 창문 문짝의 기울임 현상과 맞물려 주행 휠의 뒤틀림 현상은 더욱 가중된다.
창문 문짝(4)의 기울어짐 현상 때문에 경사 하중과 창문 문짝의 측면 이동으로 인한 편심 하중은 샤프트(9)를 통하여 베어링(8a)에 비틀어지는 힘으로 전달될 수 있다.
주행 휠은 원활한 구름을 위하여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은 회전축에 수직 방향으로 응력이 작용하는 레디얼 계열의 베어링일 수 있다. 레디얼 계열 베어링은 회전축에 대한 수직 대응력은 높지만, 회전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에는 취약한 특성이 있다. 즉, 베어링은 회전축이 레일과 직각 방향을 유지할 때 내구성이 높다.
따라서 레디얼 베어링과 주행 휠(8)은 레일(3)과 접촉된 상태에서 수직 응력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이 때문에 주행 휠(8)은 레일(3)과 접촉된 상태에서 수직 형태를 유지하려는 힘이 발생한다.
주행 휠(8)이 레일(3)과 접촉된 상태에서 수직 형태를 유지하려는 힘이 발생한 상태에서 측방 거동 유닛(7a)의 작동으로 편심 하중과 편심 하중을 더욱 증가시키는 힘으로 작용하는 창문 문짝의 경사 하중 때문에 베어링(8a)의 뒤틀림 응력이 높아진다. 즉, 비틀어지려는 힘과 자세를 유지하려는 힘이 상충하여 베어링(8a)에 응력을 작용할 수 있고, 그 응력은 베어링(8a)과 샤프트(9)의 내구성을 약화하는 문제점이 있다.
창문 문짝의 하중 작용점이 상대적으로 낯은 위치에 놓이면 베어링(8a)과 샤프트(9)의 내구성을 약화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측방 가동 호차의 설치 위치를 호차 몸체의 하부, 즉 주행 휠의 레일 접점부 방향으로 최대한 근접시킴으로써 주행 휠의 뒤틀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 거동 유닛(40)이 호차 구성에서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도 2의 (a)의 비교예와 비교할 때 높이(h) 만큼 낮아질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창문 문짝(4)에서 하부 창문틀(5)을 높이(h)만큼 낮게 제공할 수 있고, 창문 문짝의 최상측 높이가 비교예와 실시예가 같을 때 실시예는 유리 부분을 더욱 넓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창문 문짝(4)이 측방으로 거동하거나 기울어짐이 작용할 때, 주행 휠(30)에 포함된 베어링에 응력은 비교예에 비교하여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편하중 또는 편심에 따른 힘이 같을 때 주행 휠(3)의 베어링에 작용하는 토크(T)는 거리에 비례하여 커질 수 있다.
Figure 112020000837802-pat00001
T: 주행 휠에 작용하는 토크,
F: 작용 힘,
r: 작용점까지의 반지름
비교예에서 발생하는 제1 토크(T1)는 "F" 곱하기 "r1"이고, 실시예에서 발생하는 제2 토크(T2)는 "F" 곱하기 "r2"이다.
상기 제1, 2 토크(T1, T2)에서 작용힘 "F"는 같으므로, "r1"과 "r2"에 따라 제1, 2 토크(T1, T2)가 계산될 수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의 반지름 "r2"가 비교예의 "r1"보다 작으므로 실시예의 제2 토크(T2)가 비교예의 제1 토크(T1)보다 작다.
따라서 측방 거동 유닛(40)의 높이가 낮을수록 주행 휠(30) 또는 주행 휠(30)의 베어링에 작용하는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의 (a)의 비교예에서 살펴보면, 롤링 유닛 즉, 볼 또는 봉이 이동되며 구름으로써 창문 문짝과 동시에 롤링 유닛이 이동하는 데 반하여, 도 2의 (b) 실시예에서는 롤링 유닛(41)의 회전축을 고정함으로써 창문 문짝의 이동 즉, 무게 중심이 이동할 때 고정지점에서 롤링 유닛(41)이 대응할 수 있고, 주행 휠(30)에 작용하는 편심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 3부터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면으로써, 도 4는 위에서 내려다본 방향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밑에서 올려다본 방향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에서 측방 가동 유닛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보디(20), 주행 휠(30), 브래킷(50) 및 측방 가동 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디(20)는 실시예에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나타냈지만, 이는 좌우 구름 바퀴를 적용한 호차의 몸체에서 나타나는 형태이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이 수평 방향으로 정렬된 바퀴를 적용한 호차의 보디에서는 또 다른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상기 주행 휠(30)은 상기 보디(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창문 문짝이 주행하도록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주행 휠(30)은 레일(3)에 접촉하여 구르면서 접촉할 수 있고, 주행 휠(30)의 회전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주행 휠(30)은 수직으로 배치되면 주행 휠(30)의 일부는 경사 형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휠(30)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고, 내부에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50)은 상기 보디(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창문 문짝(4)과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방 가동 유닛(40)은, 상기 보디(20)의 중간 높이 또는 중간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창문 문짝이 주행할 때 무게 중심을 좀 더 낮출 수 있다.
상기 중간 높이는 상기 보디(20)의 가장 낮은 위치에서 가장 높은 위치를 기준으로 5%부터 75% 높이일 수 있고, 상기 측방 가동 유닛(40)은 75% 수준보다 낮은 높이일 때, 무게 중심이 낮아지는 효과가 명확하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방 가동 유닛(40)은, 창문 문짝이 주행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상기 브래킷(50)이 상기 보디(20)에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방 가동 유닛(40)은 롤링 유닛(41)이 제자리에 머무르도록 구속되는 고정 형식과 롤링 유닛(41)이 구르면서 움직이는 유동 형식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 형식은 이하에서 설명된 것처럼 다양한 형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고정 형식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20)에 베어링(22)이 고정되고, 상기 베어링(22)에 샤프트(42)가 설치된 구성일 수 있고, 이로써 샤프트(42)의 회전축은 보디(20)에 고정되지만, 샤프트(42)는 베어링(22)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형식은 베어링(22)의 외륜이 제1 하부 레일(54)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 형식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20)에 베어링(22)이 고정되고, 상기 베어링(22)에 샤프트(42)가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42)에 별도의 롤링 유닛(41)이 더 설치된 구성일 수 있고, 이로써 샤프트(42)의 회전축은 보디(20)에 고정되지만, 샤프트(42)와 롤링 유닛(41)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형식은 롤링 유닛(41)이 제1 하부 레일(54)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3 고정 형식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20)에 샤프트(42)가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42)에 별도의 롤링 유닛(41)이 설치된 구성일 수 있고, 이로써 샤프트(42)는 보디(20)에 고정되지만, 롤링 유닛(41)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3 고정 형식은 롤링 유닛(41)이 제1 하부 레일(54)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유동 형식은 이하에서 설명된 것처럼 다양한 형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유동 형식은, 보디(20) 일부에 제2 하부 레일(28)을 형성할 수 있고, 롤링 유닛(41)이 상기 제2 하부 레일(28)에서 구를 수 있으며, 상기 롤링 유닛(41)의 상부는 제1 하부 레일(54)이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롤링 유닛(41)은 볼(ball) 형태 또는 봉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제2 유동 형식은, 제2 하부 레일(28)과 롤링 유닛(41)과 제1 하부 레일(54)에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요철은 제2 하부 레일(28)과 제1 하부 레일(54)에 돌출선 또는 요홈선이 형성될 수 있고, 롤링 유닛(41)은 반대 형상, 예컨대 제1, 2 하부 레일(54, 28)의 돌출선과 맞물리도록 요홈선이 형성되거나, 제1, 2 하부 레일(54, 28)의 요홈선과 맞물리도록 돌출선이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창문 문짝이 창문 문짝 주행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창문 문짝을 가동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처럼 주행 호차의 상측에 측방 거동 유닛(7a)을 구성할 때, 창문 프레임의 수직 길이가 높아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보디(20)의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창문 문짝(4)의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다. 이로써 창문 문짝(4)의 기울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응력과 창문 문짝의 좌우 거동으로 발생하는 편심 응력으로부터 주행 휠(30)에 포함된 베어링의 좌우 뒤틀림 즉, 토크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창문 문짝의 무게 또는 창문 문짝의 가동에 따른 응력을 레일(3) 등으로 신속하게 분산시킴으로써 호차(10)에 포함된 베어링의 수명이 비정상적으로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창문 문짝의 무게를 분산시킴으로써 좀 더 무거운 중량에 견딜 수 있어 대형 창문을 안전하게 시공하고 운용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측방 가동 유닛(40)은, 베어링(22), 롤링 유닛(41) 및 제1 하부 레일(5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22)은 상기 주행 휠(30)의 제1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제2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보디(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22)은 상기 롤링 유닛(41)의 원활한 회전을 돕는다.
상기 롤링 유닛(41)은 상기 베어링(22)에 설치되어 회전할 수 있고, 바퀴가 상기 보디(20)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레일(54)은 상기 브래킷(5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고,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롤링 유닛(41)의 바퀴와 접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상기 롤링 유닛(41)의 제2 회전축이 호차(10)의 최상측 부분보다 낯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호차(10)의 전체 높이를 낮출 수 있다.
한편으로, 보디(20)는 상기 베어링(22)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돌출되도록 샤프트(42)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샤프트(42)에 베어링(22)이 설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베어링(22)과 상기 롤링 유닛(41)은 구름 작용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서 서로 치환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시행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22)은 레디얼 베어링, 오일레스 베어링 등 다양한 형태의 모든 베어링을 포함하며, 창문 문짝에 설치되는 브래킷(50)의 좌우 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모든 회전체를 적용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42)에 베어링(22)이 설치하는 구성으로 시행하면 베어링(22)의 바깥 바퀴에 타이어를 씌울 수 있고, 타이어는 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경질 고무 등의 비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 있고, 이로써 내마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롤링 유닛(41)은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디(20)의 양쪽에 각각으로 한 개가 설치될 수 있으나, 2개 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하부 레일(54)은 상기 브래킷(50)의 양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제1 하부 레일(54)은 상기 보디(20)의 한쪽에 배치된 2개 이상의 롤링 유닛(41)과 접촉할 수 있고,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제1 하부 레일(54)은 상기 보디(20)의 다른 한쪽에 배치된 2개 이상의 롤링 유닛(41)과 접촉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킷(50)이 측방으로 가동할 때 브래킷(50)이 기우뚱하지 않고 수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상기 롤링 유닛(41)을 보디(20)의 어느 한쪽에 2개 이상씩 양쪽에 설치함으로써 최소한 4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창문 문짝의 무게를 분산할 수 있어 더욱 규모가 큰 창문을 시공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으로, 도 5부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롤링 유닛(41)에 제1 요철(44)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하부 레일(54)에 제2 요철(5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요철(44)과 상기 제2 요철(56)이 맞물러 회전축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브래킷(50)이 상기 롤링 유닛(41)에서 측방으로 이동할 때 이탈하지 않고 정해진 경로를 따라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요철(44)이 볼록한 형상이면, 상기 제2 요철(56)은 오목한 형상일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제1 요철(44)이 오목한 형상이면, 상기 제2 요철(56)은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상기 브래킷(50)이 상기 보디(20)로부터 측방으로 이동하는 범위가 한정되는 것일 수 있다. 이로써 브래킷(50)이 임으로 과도하게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다른 구성 요소 예를 들면 하부 창문틀(5)에 부딪히는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핀(70)과 가드 플레이트(58)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핀(70)은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디(20)에 형성된 핀 홀(26)에 조립될 수 있다.
상가 가드 플레이트(58)는 상기 브래킷(50)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홀(6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핀(70)은 상기 가이드 홀(60)에 수용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브래킷(50)이 상기 보디(20)로부터 측방으로 이동하는 범위가 한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의 (a)는 브래킷(50)이 최대한 왼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a” 만큼 이동하면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킷(50)이 최대한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의 (a)는 평면도, 도 9의 (b)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도 9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 가동 유닛(4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측방 가동 유닛(40)은, 제2 하부 레일(28), 롤링 유닛(41) 및 제1 하부 레일(5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주행 휠(30)은 상기 보디(20)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주행 휠(30)은 창문 문짝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 레일(28)은 상기 보디(20)에 오목하게 형성된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하부 레일(28)은 보디(20)의 상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깊숙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부 레일(28)은 상기 보디(20)에 상기 주행 휠(30)의 제1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하부 레일(28)은 창문 문짝(4)이 주행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상기 보디(20)의 전후방의 측면(21)에 형성할 수 있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디(20) 좌ㅇ우측의 측면(21)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부 레일(28)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주행 휠(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부 레일(28)이 상기 보디(20) 내부에 형성되면 측면(21)은 상기 보디(20)의 내부 벽체일 수 있다.
상기 롤링 유닛(41)은 상기 제2 하부 레일(28)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주행 휠(30)의 제1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의 제2 회전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링 유닛(41)은 볼(ball) 형상 또는 가늘고 긴 원통 형상의 봉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로써 롤링 유닛(41)의 지름이 얇아져 호차(10)의 전체 높이를 낮게 설계하도록 하는 데에 이점이 있다.
상기 제1 하부 레일(54)은 상기 브래킷(5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롤링 유닛(41)과 접촉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호차(10)의 최상측 부분의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고, 이로써 창문 문짝의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으며, 창문 문짝의 무게 또는 창문 문짝의 가동에 따른 응력을 최대한 짧은 경로로 레일(3)에 분산시킬 수 있어 주행 휠(30)에 작용하는 응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호차(10)의 최상측 부분의 높이를 최대한 낮춤으로써 창문 문짝에서 유리 구성 부분을 좀 더 넓게 설계할 수 있어 조망권을 확보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롤링 유닛(41)을 구속한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롤링 유닛(41)이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롤링 유닛(41)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더라도 롤링 유닛(41)의 설치 목적에 맞도록 정상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50)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링 유닛(41)과 제1 하부 레일(54)의 상호 작용으로 “a”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이동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제2 하부 레일(28)은 평행하게 2곳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2곳의 롤링 유닛(41)으로 받침으로써 브래킷(50)이 기우뚱거림 없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고, 창문 문짝의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의 구성 위치는 호차의 보디의 전후좌우뿐만 아니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휠(30) 몸체의 중간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주행 휠(30)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하게 시킬 수 있어 주행 휠(30)이 마모되었거나 훼손되었을 때 쉽게 교체 처리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의 (a)는 평면도, 도 11의 (b)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도 11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 가동 유닛(4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측방 가동 유닛(40)은, 제1 하부 레일(54) 및 롤링 유닛(41)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롤링 유닛(41)은 볼 형태 또는 봉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레일(54)은 상기 보디(20)에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주행 휠(30)의 제1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롤링 유닛(41)은 상기 브래킷(50)의 하측에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제1 하부 레일(54)과 접촉하여 상기 주행 휠(30)의 제1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호차(10)의 최상측 부분의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고, 이로써 창문 문짝의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으며, 창문 문짝의 무게 또는 창문 문짝의 가동에 따른 응력을 최대한 짧은 경로로 레일(3)에 분산시킬 수 있어 주행 휠(30)에 작용하는 응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브래킷(50)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링 유닛(41)과 제1 하부 레일(54)의 상호 작용으로 “a”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상기 제1 하부 레일(54)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휠(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주행 휠(30)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하게 시킬 수 있어 주행 휠(30)이 마모되었거나 훼손되었을 때 쉽게 교체 처리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의 구성 위치를 창문의 직선 주행 방향으로부터 호차의 보디의 좌ㅇ우측에 구성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 가동 유닛(4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측방 가동 유닛(40)은, 제1 하부 레일(54) 및 롤링 유닛(41)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레일(54)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디(20)의 최상측 부분보다 낮도록 상기 보디(20)의 양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링 유닛(41)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50)의 양쪽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주행 휠(30)의 제1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롤링 유닛(41)은 상기 제1 하부 레일(54)에 접촉하여 구름 운동하며 상기 브래킷(5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호차(10)의 최상측 부분의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고, 이로써 창문 문짝의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으며, 창문 문짝의 무게 또는 창문 문짝의 가동에 따른 응력을 최대한 짧은 경로로 레일(3)에 분산시킬 수 있어 주행 휠(30)에 작용하는 응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브래킷(50)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링 유닛(41)과 제1 하부 레일(54)의 상호 작용으로 “a”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상기 롤링 유닛(41)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에 노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롤링 유닛(41)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하게 시킬 수 있어 롤링 유닛(41)이 마모되었거나 훼손되었을 때 쉽게 교체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링 유닛(41)의 제2 회전축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전축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창문 문짝의 무게 중심이 레일(3)에 좀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창문 문짝의 무게 또는 창문 문짝의 가동에 따른 응력이 레일(3)로 좀 더 신속하게 분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창문 문짝의 무게 중심이 레일(3)에 좀 더 가깝게 배치됨으로써 창문 문짝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응력이 작용하더라도 그러한 응력은 신속하게 분산됨으로써 주행 휠(30)에 포함된 베어링에 작용하는 영향을 최소로 줄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는, 창문 문짝에 설치되어 창문 문짝을 이동시키도록 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 상부 창틀 2: 하부 창틀
3: 레일 4: 창문 문짝
5: 하부 창문틀 6: 유리
7: 호차 8: 주행 휠
9: 샤프트
10: 호차 20: 보디
22: 베어링 26: 핀 홀
28, 54: 하부 레일 30: 주행 휠
40: 측방 가동유닛 41: 롤링 유닛
42: 샤프트 44, 56: 제1, 2 요철
50: 브래킷 52: 플레이트
58: 가드 플레이트
60: 가이드 홀 70: 핀

Claims (11)

  1. 보디(20);
    상기 보디(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창문 문짝이 주행하도록 하는 주행 휠(30);
    상기 보디(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창문 문짝에 설치되는 브래킷(50);
    상기 보디(20)의 측면(21)에 배치되고, 상기 창문 문짝이 주행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상기 브래킷(50)이 상기 보디(20)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측방 가동 유닛(40);
    상기 보디(20)에 돌출되게 설치된 핀(70); 및
    상기 브래킷(50)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가이드 홀(60)이 형성된 가드 플레이트(58)를 포함하고,
    상기 핀(70)이 상기 가이드 홀(60)에 수용되어 상기 브래킷(50)이 상기 보디(20)로부터 측방으로 이동하는 범위가 한정되는 것
    을 포함하는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가동 유닛(40)은,
    상기 보디(20)의 측면(2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샤프트(42);
    상기 샤프트(42)에 설치되어 정위치에서 회전되는 롤링 유닛(41); 및
    상기 브래킷(5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롤링 유닛(41)과 접촉하는 제1 하부 레일(54);
    을 포함하는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가동 유닛(40)은,
    상기 보디(20)의 측면(21) 내부에 설치된 베어링(22);
    상기 베어링(22)에 설치되어 상기 보디(20)의 측면(21)으로부터 돌출된 롤링 유닛(41); 및
    상기 브래킷(5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롤링 유닛(41)과 접촉하는 제1 하부 레일(54);
    을 포함하는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가동 유닛(40)은,
    상기 보디(20)의 측면(2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보디(20)의 상측이 개방되어 상기 보디(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2 하부 레일(28);
    상기 제2 하부 레일(28)의 상부에 배치되는 롤링 유닛(41); 및
    상기 브래킷(5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롤링 유닛(41)과 접촉하는 제1 하부 레일(54);
    을 포함하는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유닛(41)이 볼 형태 또는 봉 형태로 구성된 것;
    을 포함하는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유닛(41)에 제1 요철(4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부 레일(54)에 제2 요철(56)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요철(44)과 상기 제2 요철(56)이 맞물려 상기 브래킷(50)이 상기 보디(20)에 대하여 상기 주행 휠(30)의 주행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
    을 포함하는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유닛(41)에 제1 요철(44)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부 레일(28)에 제2 요철(56)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요철(44)과 상기 제2 요철(56)이 맞물려 롤링 유닛(41) 간의 평행 간격을 유지하는 것;
    을 포함하는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001095A 2020-01-04 2020-01-04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 KR102264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095A KR102264507B1 (ko) 2020-01-04 2020-01-04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095A KR102264507B1 (ko) 2020-01-04 2020-01-04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507B1 true KR102264507B1 (ko) 2021-06-11

Family

ID=76376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095A KR102264507B1 (ko) 2020-01-04 2020-01-04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634B1 (ko) * 2023-06-01 2024-05-08 차경익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2123A (ja) * 1997-12-24 1999-07-06 Ryobi Ltd 引戸案内具
KR200174449Y1 (ko) 1997-08-12 2000-03-02 장형수 창문용 호차
KR100952986B1 (ko) * 2007-11-08 2010-04-15 소명정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미닫이문
KR101142795B1 (ko) 2010-04-07 2012-05-08 주식회사 시안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
WO2012093382A1 (en) * 2011-01-06 2012-07-12 Setal Ltd. Sliding and sealing closure system
KR101423691B1 (ko) 2013-04-12 2014-07-25 주식회사대성몰드테크 창문용 호차
KR101550541B1 (ko) 2014-05-08 2015-09-04 장혁수 호차
KR101736794B1 (ko) 2015-09-25 2017-05-17 김순희 레일상에서 사행하는 창호용 창문짝
KR101998053B1 (ko) 2019-04-02 2019-07-08 정희섭 창문용 로울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449Y1 (ko) 1997-08-12 2000-03-02 장형수 창문용 호차
JPH11182123A (ja) * 1997-12-24 1999-07-06 Ryobi Ltd 引戸案内具
KR100952986B1 (ko) * 2007-11-08 2010-04-15 소명정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미닫이문
KR101142795B1 (ko) 2010-04-07 2012-05-08 주식회사 시안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
WO2012093382A1 (en) * 2011-01-06 2012-07-12 Setal Ltd. Sliding and sealing closure system
KR101423691B1 (ko) 2013-04-12 2014-07-25 주식회사대성몰드테크 창문용 호차
KR101550541B1 (ko) 2014-05-08 2015-09-04 장혁수 호차
KR101736794B1 (ko) 2015-09-25 2017-05-17 김순희 레일상에서 사행하는 창호용 창문짝
KR101998053B1 (ko) 2019-04-02 2019-07-08 정희섭 창문용 로울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634B1 (ko) * 2023-06-01 2024-05-08 차경익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4507B1 (ko) 창문의 측방 가동 호차
CA2350051C (en) Enhanced performance tandem roller for patio doors
US8061903B2 (en) Bearing assembly with extended maintenance interval
KR102140480B1 (ko) 무인 운반차의 바퀴 주행장치
BRPI0916343B1 (pt) Mancal de deslizamento de empuxo feito de resina sintética
EP3812251A1 (en) Agv chassis mechanism and agv provided with same
AU2019425998B2 (en) Energy-saving and consumption-reducing belt conveyor
KR102024135B1 (ko) 리니어 모션 가이드 장치
CA2477628C (en) Segmented ball/roller guide for a linear motion bearing
US8439567B1 (en) Disc springs/carrier plate preload assembly
US4457046A (en) Track roller carriage assembly for supporting a sliding door, panel or the like
KR102478468B1 (ko) 바퀴 장치
CN108367763B (zh) 铁道车辆用导向转向架
US6951025B2 (en) Gas dynamic pressure bearing, spindle motor comprising a gas dynamic pressure bearing, and recording disk drive device and polygon scanner comprising a spindle motor
KR101508443B1 (ko) 롤러 베어링 케이지
CN213322507U (zh) 桥架式万向轮结构及具有其的自动导引运输车
US8382599B2 (en) Universal joint arrangement
EP3805501B1 (en) Sliding window/door system including annular roller device for sliding window/door
WO2020119388A1 (zh) 自动导引车辆的无弹性悬架结构
CN109025861B (zh) 天井钻机扶杆结构及天井钻机
JP5184563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2019173860A (ja) 複列ころ軸受
CN213744506U (zh) 一种振动机械用调心滚子轴承
EP2584223A1 (en) Drive screw system comprising slide bearing and slide bearing
JP7032089B2 (ja) 戸車装置、およびその戸車装置を備えた引き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