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0045A - 자동세발기 - Google Patents

자동세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0045A
KR20110110045A KR1020110029423A KR20110029423A KR20110110045A KR 20110110045 A KR20110110045 A KR 20110110045A KR 1020110029423 A KR1020110029423 A KR 1020110029423A KR 20110029423 A KR20110029423 A KR 20110029423A KR 20110110045 A KR20110110045 A KR 20110110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t
head
liquid
nozzle link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헤이 나가마츠
아키라 야마구치
마사시 후루사와
가즈시게 무라카미
마사루 이와사키
가즈히데 야마모토
마유미 오카자키
히로코 나카야마
요스케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아쿠아 가부시키가이샤
다카라 벨몬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8367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21224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8368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2122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8367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21225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65777A external-priority patent/JP5574864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아쿠아 가부시키가이샤, 다카라 벨몬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0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6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in the form of bowls or similar ope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18Hair-colouring ca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6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in the form of bowls or similar open containers
    • A45D19/08Adaptations of wash-basins
    • A45D19/10Backward lavabo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14Closed washing devices, e.g. washing ca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16Surface treatment of hair by steam, oil,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과제] 두부를 자동으로 세발(洗髮)하는 특성을 살리고, 효과적인 미스트의 분무를 행한다.
[해결수단] 자동세발기(1)는 싱크(2)에 수용된 두부를 향해서 세정수 또는 제액 중 어느 하나의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링크(11, 12)를 구비하고, 싱크(2)에 피세발자의 두부를 수용했을 때에, 싱크(2) 내에 밀폐공간(8b)이 형성되며, 이 밀폐공간(8b) 내에 두부가 연장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밀폐공간(8b) 내에 미스트를 분무하는 미스트 분무부를 마련했다.

Description

자동세발기 {AUTOMATIC HAIR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싱크(sink)에 수용된 두부(頭部)를 자동으로 세발(洗髮)하는 자동세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被)세발자의 두부를 수용하는 싱크의 내측에 두부를 향해서 세정수(洗淨水)를 분사하는 노즐링크를 구비하고, 이 노즐링크에 의해서 피세발자의 두부나 머리카락에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자동으로 세발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자동세발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개평7-236511호 공보
그런데, 최근, 미용실 등에서 트리트먼트 효과나, 릴렉세이션(relaxation)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피세발자의 두부에 미스트를 분무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것을 근거로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피세발자의 두부를 자동으로 세발하는 자동세발기에서는 두부를 자동으로 세발 가능하다라는 특성을 살리고, 효과적으로 미스트를 분무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두부를 자동으로 세발한다고 하는 특성을 살리고, 효과적으로 미스트를 분무 가능한 세발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피세발자의 두부를 수용하는 싱크와, 이 싱크에 수용된 두부를 향해서 세정수 또는 제액(劑液) 중 어느 하나의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링크를 구비하는 자동세발기에 있어서, 상기 싱크에 피세발자의 두부를 수용했을 때에 상기 싱크 내에 밀폐공간이 형성되고, 이 밀폐공간 내에 두부가 연장해 있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밀폐공간 내에 미스트를 분무하는 미스트 분무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명의 자동세발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미스트 분무부는 미스트를 발생하는 미스트 발생장치와, 이 미스트 발생장치가 발생한 미스트를 상기 싱크에 도입하는 미스트 반송관과, 상기 싱크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미스트 반송관이 반송된 미스트를 상기 싱크 내로 토출하는 미스트 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미스트 반송관에 배수트랩(water discharging trap)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명의 자동세발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미스트 토출구의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명의 자동세발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미스트 발생장치에 의한 미스트의 발생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드레인수가 상기 배수트랩으로 유입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명의 자동세발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밀폐공간 내에 연장해 있는 두부를 향해서 상기 노즐링크로부터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미스트 분무부 및 상기 분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부에 의한 액체의 분사와, 상기 미스트 분무부에 의한 미스트의 분무가 연동하여 실행되도록 상기 분사부와 상기 미스트 분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명의 자동세발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분무부에 의한 액체의 분사를 수반하는 세정공정 및 상기 미스트 분무부에 의한 미스트의 분무를 수반하는 미스트 행정(行程)을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의 행정이 소정의 순서로 늘어 놓인 코스를 실행하는 것을 지시하는 지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부를 통하여 상기 코스의 실행이 지시된 경우, 상기 코스에서의 각 공정의 순서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분사부에 의한 액체의 분사와, 상기 미스트 분무부에 의한 미스트의 분무가 실행되도록 상기 분사부와 상기 미스트 분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명의 자동세발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분사부는 샴푸액이 혼입한 액체를 분사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컨디셔너액이 혼입한 액체를 분사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코스는 샴푸액이 혼입한 액체의 분사를 수반하는 샴푸 행정보다도 상기 미스트 행정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각 행정의 순서가 설정되며, 또는, 상기 코스는 컨디셔너액이 혼입한 액체의 분사를 수반하는 컨디셔닝 행정보다도 상기 미스트 행정이 나중에 이루어지도록 각 행정의 순서가 설정되고, 또는, 상기 코스에는 컨디셔너액이 혼입한 액체의 분사 및 상기 미스트 분무부에 의한 미스트의 분무를 수반하는 행정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명의 자동세발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미스트 분무부는 미스트를 발생하는 미스트 발생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스트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며, 이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와 연계(連係)하여 상기 분사부에 의한 액체의 분사와 상기 미스트 분무부에 의한 미스트의 분무가 연동하여 실행되도록 상기 분사부와 상기 미스트 분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명의 자동세발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노즐링크는 상기 싱크에 수용된 두부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액체를 분사 가능한 구성으로 되고, 상기 싱크에 수용된 두부에서의 높은 장소에 액체를 분사하는 위치에 상기 노즐링크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집중적으로 상기 노즐링크로부터 액체를 분사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명의 자동세발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크에 수용된 두부에서의 높은 장소에 액체를 분사한 후, 이 분사에 의해 당해 두부에 부착한 액체가 당해 두부를 따라서 낙하하는 것과 대응시켜, 당해 두부를 따라서 낙하하는 액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장소에 액체가 분사되도록 상기 노즐링크의 이동 및 상기 노즐링크에 의한 액체의 분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명의 자동세발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크에 수용된 두부에서의 높은 장소에 액체를 분사한 후, 이 분사에 의해 당해 두부에 부착한 액체가 당해 두부를 따라서 낙하하는 것과 대응시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액체가 왕복하여 분사되도록 상기 노즐링크를 제어하면서, 당해 두부를 따라서 낙하하는 액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장소에 액체가 분사되도록 상기 노즐링크의 이동 및 상기 노즐링크에 의한 액체의 분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명의 자동세발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크에 수용된 두부에서의 높은 장소에 액체를 분사한 후, 이 분사에 의해 당해 두부에 부착한 액체가 당해 두부를 따라서 낙하하는 것과 대응시켜, 상기 노즐링크로부터 분사되는 액체의 분사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명의 자동세발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노즐링크를 상기 싱크에 수용된 두부의 두정부(頭頂部, 정수리부)에 대응하는 두정위치로부터 후두부에 대응하는 후두위치까지의 사이를 반복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링크가 상기 두정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집중적으로 액체를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명의 자동세발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두부의 다른 부위에 각각 액체를 분사하는 복수의 상기 노즐링크를 구비하고, 이들 노즐링크의 각각을 단일의 모터에 접속된 동력전달기구를 통하여 동기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명의 자동세발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싱크에 수용된 두부의 두정부에 대응하는 두정위치로부터 후두부에 대응하는 후두위치까지의 사이를 반복 가능하게 구성된 노즐링크와, 상기 싱크에 수용된 두부로부터 늘어뜨려진 머리카락에 대응하는 머리카락 위치로부터 목(首元)에 대응하는 목위치까지의 사이를 반복 가능하게 구성된 하부 노즐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링크가 상기 두정위치로부터 상기 후두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동기하여 상기 하부 노즐링크가 상기 머리카락 위치로부터 상기 목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노즐링크가 상기 후두위치로부터 상기 두정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동기하여 상기 하부 노즐링크가 상기 목위치로부터 상기 머리카락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명의 자동세발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서 회전하는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수반하는 상기 기어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노즐링크와 상기 하부 노즐링크를 동기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명의 자동세발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동력전달기구를 상기 싱크의 일측면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두부를 자동으로 세발하는 특성을 살리고, 효과적인 미스트의 분무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세발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자동세발기를 위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싱크 보유지지대의 외부 프레임을 떼어낸 다음 자동세발기(1)를 가로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4의 (A)는 자동세발기(1)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 4의 (B)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자동세발기의 물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수로도(水路圖)이다.
도 6은 싱크 접속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싱크 접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싱크 접속부가 구비하는 각부재의 각각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싱크 접속부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구동기구가 노출한 상태의 싱크의 좌측면도이며, 도 10의 (B)는 싱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자동세발기 및 미스트 발생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2는 조작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자동세발기 및 미스트 발생장치의 동작, 특히, 운전코스가 선택되고, 선택된 운전코스가 실행될 때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자동세발기 및 미스트 발생장치의 동작, 특히, 스캘프 케어(scalp care) 코스의 실행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자동세발기 및 미스트 발생장치의 동작, 특히, 미스트 행정의 실행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은 자동세발기 및 미스트 발생장치의 동작, 특히, 헤어 케어 코스 I 또는 헤어 케어 코스 II의 실행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7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세발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8의 (A)는 도 17의 싱크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18의 (B)는 상부 노즐링크 및 하부 노즐링크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자동세발기의 물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수로도이다.
도 20은 두부 지지 네트 및 목용 노즐링크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두부 지지 네트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자동세발기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3은 자동세발기의 자동세발시에서의 기본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4의 (A)는 릴렉세이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4의 (B)는 제1 헹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4의 (C)는 샴푸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의 (A)는 제2 헹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5의 (B)는 컨디셔너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5의 (C)는 제3 헹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의 (A)는 멘톨(menthol)약제 분사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6의 (B)는 제4 헹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자동세발기(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자동세발기(1)를 위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싱크 보유지지대(3)의 외부 프레임을 떼어낸 다음 자동세발기(1)를 가로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의 (A)는 자동세발기(1)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자동세발기(1)의 물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수로도이다.
도 1 ~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세발기(1)는 피세발자의 두부를 수용하기 위한 싱크(2)와, 싱크(2)를 보유지지하는 싱크 보유지지대(3)와, 싱크 보유지지대(3)의 전방(前方)에 배치되고, 피세발자가 앉기 위한 의자(4)(도 4)와, 의자(4)를 보유지지하는 의자 보유지지대(5)(도 4)를 구비하고 있다.
싱크(2)는, 도 1 ~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면에 개구를 가지는 사발 모양의 부재이다. 싱크(2)의 앞쪽에는 위쪽을 향한 자세의 피세발자의 목을 싱크(2)의 내측에 임(臨)하게 한 상태로 하여, 피세발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두부 지지 네트(70)가 배치되어 있다. 또, 싱크(2)의 앞쪽의 벽부(2A)에는 의자(4)에 앉은 상태에서 피세발자가 위쪽을 향하고, 두부 지지 네트(70)에 후두부를 얹은 상태에서 목을 얹을 수 있는 목받침(7)이 배치되어 있다. 싱크(2)의 상면의 개구는 커버(8)에 의해 덮힐 수 있다. 커버(8)는 그 후단이 연결부(9)(도 4)를 통하여 싱크(2)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고, 연결부(9)를 중심으로 하여 연직면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세발시 등에는 커버(8)를 연 상태에서 의자(4)에 앉아 있는 피세발자의 목을 목받침(7)에 얹은 후, 커버(8)를 닫음으로써, 피세발자의 두부를 싱크(2) 내에 수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8)에는 피세발자의 두부에 대응하여 두부 컷-아웃(cut-out) 부분(8a)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싱크(2) 내에 피세발자의 두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커버(8)가 닫힌 경우, 두부에 의해 두부 컷-아웃 부분(8a)이 폐색되고, 싱크(2)와 커버(8)로 둘러싸인 공간에 대략 밀폐된 밀폐공간(8b)(도 4)이 형성되며, 이 밀폐공간(8b)에 두부가 연장해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밀폐공간(8b)이란, 완전하게 밀폐된 공간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밀폐공간(8b) 내에 마련된 각 노즐링크(후술)로부터 분사된 세정수가 밀폐공간(8b)으로부터 외부로 누설하지 않는 정도의 수밀성이 유지된 공간을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밀폐공간(8b) 내에 마련된 각 노즐링크로부터 샴푸액이나, 컨디셔너액 등의 약제가 조금도 혼입되어 있지 않은 액체인 세정수(물) 또는 샴푸액이나 컨디셔너액 등의 약제가 혼입된 액체인 제액 중 어느 하나를 분사 가능하지만, 제1 실시형태에서 이들 세정수나 제액을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간단히 「세정수」라고 표현하는 것으로 한다.
자동세발시에는 밀폐공간(8b)에 마련된 각 노즐링크(후술)로부터 두부에 대해서 세정수가 분사되어, 두부의 세발이 행해진다. 그 때, 밀폐공간(8b)에 두부가 연장해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각 노즐링크로부터 분사된 세정수가 밀폐공간(8b)의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막으면서, 원활한 자동세발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밀폐공간(8b)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피세발자의 두부에 대해서 미스트를 분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했지만, 커버(8)의 두부 컷-아웃 부분(8a)에는 두부 컷-아웃 부분(8a)과 두부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틈새를 폐색하기 위한 페이스 씰(face seal)이 마련되어 있고, 이 페이스 씰에 의해 밀폐공간(8b)의 밀폐성(수밀성)이 보다 높아질 수 있다.
싱크(2) 내에는 피세발자의 두부 및 머리카락을 향해서 세정수를 분사하기 위한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가 배치되어 있다.
상부 노즐링크(11)는 피세발자의 두부에 따르도록, 도 4의 (A)에서의 도시 위치에서 오른쪽으로 비스듬히 위로 볼록한 대략 원호 모양으로 만곡하고, 소정간격으로 노즐을 가지는 관 모양의 부재로서, 그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편지지로 지지되어 있고, 피세발자의 두부를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한다.
하부 노즐링크(12)는 피세발자의 머리카락을 둘러싸도록, 도 4에서의 도시 위치에서 왼쪽으로 볼록한 대략 활 형상으로 만곡하고, 소정간격으로 노즐을 가지는 관 모양의 부재로서, 그 단부가 상부 노즐링크(11)보다도 아래쪽에서 회전 가능하게 편지지로 지지되어 있다. 이 하부 노즐링크(12)는 후방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후방 측에 늘어뜨려진 피세발자의 머리카락을 세정한다.
또, 싱크(2) 내에는 위쪽을 향한 자세의 피세발자의 목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는 목용 노즐링크(80)가 배치되어 있다.
상부 노즐링크(11), 하부 노즐링크(12) 및 목용 노즐링크(80)에는 각각 복수의 노즐이 구비되어 있고, 세발시에는 상부 노즐링크(11), 하부 노즐링크(12), 및 목용 노즐링크(80) 내로 보내져 온 세정수가 각 노즐로부터 분사된다.
상부 노즐링크(11), 하부 노즐링크(12)는 회동하고, 목용 노즐링크(80)는 고정이다. 각 노즐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피세발자의 두부 및 머리카락의 전체를 세정할 수 있다. 싱크(2) 내의 뒤쪽 상부에는 핸드샤워(13)가 배치되어 있다. 유저(미용실의 종업원 등)는 핸드샤워(13)의 오른쪽에 배치된 콕(cock)(14)을 돌림으로써, 핸드샤워(13)로부터 방수하는 수량을 조절하여 수동으로 세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싱크(2)의 후부 측면(100)에는 두정 마사지 노즐(150)이 마련되어 있다. 이 두정 마사지 노즐(150)은 두부의 마사지를 목적으로 하여, 두부 지지 네트(70)에 지지된 두부의 두정부에 대해서 세정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다.
또, 도 1을 참조하여, 싱크(2)의 우측면(100a)에는 우측두(右側頭) 마사지 노즐(151)이 마련되고, 싱크(2)의 좌측면(100b)에는 좌측두(左側頭) 마사지 노즐(152)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측두 마사지 노즐은 두부의 마사지를 목적으로 하여, 두부 지지 네트(70)에 지지된 두부의 측두부에 대해서 세정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다.
두정 마사지 노즐(150)이나, 우측두 마사지 노즐(151), 좌측두 마사지 노즐(152)로부터는 후술하는 마사지 행정이나, 마사지 동작의 실행시에 세정수가 분사되어 피세발자의 두부가 마사지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자동세발기(1)에서 사용하는 물은 기외(機外)의 수도설비 및 급탕(給湯)설비(도시생략)로부터 믹싱밸브(15) 및 급수관(16)을 통하여 기내(機內)에 공급된다. 믹싱밸브(15)에는 수도설비로부터 물공급부(17)를 통하여 물이 공급됨과 아울러, 급탕설비로부터 탕공급부(18)를 통하여 뜨거운 물이 공급된다. 믹싱밸브(15)는 물공급부(17) 및 탕공급부(18)로부터 공급되는 물 및 뜨거운 물을 혼합하여, 온수로 하여 급수관(16)으로 송출하기 위한 것이다. 급수관(16) 내의 도중부에는 믹싱밸브(15)로부터 송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제1 써미스터(thermistor)(19)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써미스터(19)의 검지결과에 근거하여 모터(20)가 구동됨으로써, 믹싱밸브(15)가 개폐되어 물과 뜨거운 물과의 혼합비율이 조정되어, 설정온도의 온수가 생성된다. 믹싱밸브(15)는 모터(20)에서 조정되는 전동 타입이다. 모터(20)는 DC모터 또는 직류전동기이며, 브러쉬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 싱크(2)의 측방에는 조작패널(60)이 마련되어 있고, 예를 들어, 저탕(貯湯)탱크(25)(후술)에 저장되는 온수의 설정온도 등은 유저가 조작패널(60)을 조작함으로써 결정된다. 급수관(16)은 도중부(제1 써미스터(19)보다도 하류 측)로부터 핸드샤워용 급수관(21)과 저탕용 급수관(22)으로 분기하고 있다. 핸드샤워용 급수관(21)은 콕(14)에 의해서 개폐 가능한 핸드샤워용 밸브(23)를 통하여 핸드샤워(13)에 연통하고 있다. 한편, 저탕용 급수관(22)은 급탕밸브로서의 저탕밸브(24)를 통하여 저탕탱크(25) 내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저탕탱크(25)의 내부에는 당해 저탕탱크(25)에 모여 있는 온수의 수위를 검지하기 위한 제1 수위센서(26) 및 제2 수위센서(27)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저탕탱크(25) 내의 온수가 사용되어, 소정의 수위에 이르른 것이 제2 수위센서(27)에 의해 검지된 경우에는 저탕밸브(24)가 열려, 저탕탱크(25) 내에 온수가 공급된다. 그 후, 저탕탱크(25) 내의 온수가 소정의 최고 수위에 이르른 것이 제1 수위센서(26)에 의해 검지되면, 저탕밸브(24)가 닫혀, 온수의 공급이 정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저탕탱크(25) 내에는 소정의 수위 이상으로 항상 온수가 모인 상태로 되어 있다.
저탕탱크(25)의 상부(제1 수위센서(26)보다도 위쪽)에는 제1 수위센서(26)의 고장 등에 기인하여 저탕탱크(25) 내에 최고 수위 이상의 온수가 공급된 경우에, 그 여분의 온수를 저탕탱크(25)의 외부로 넘쳐 나오게 하기 위한 일수구(溢水口)(28)가 형성되어 있다. 일수구(28)로부터 넘쳐 나온 온수는 오버플로우 탱크(29)에 의해서 받게 되고, 이 오버플로우 탱크(29)에 연통하는 배수관(30)을 통과하여 기외로 배출된다. 오버플로우 탱크(29) 내에는 오버플로우 센서(31)가 배치되고, 예를 들어 배수관(30)이 막혀 오버플로우 탱크(29) 내의 수위가 최고 수위에 도달한 것이 오버플로우 센서(31)에 의해서 검지된 경우에는 자동세발기(1)의 운전이 정지된다.
저탕탱크(25)의 최하부에는 일단이 메인펌프(32)에 접속된 흡입관(33)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메인펌프(32)는 인버터(64)(도 11)로부터 교류전류가 공급됨으로써 구동되고, 흡입관(33)을 통하여 저탕탱크(25) 내의 온수를 흡입하는 것이다. 흡입관(33)의 도중에는 샴푸액이 수용된 샴푸용기(34)에 이르는 샴푸 공급관(35)과, 컨디셔너액이 수용된 컨디셔너 용기(36)에 이르는 컨디셔너 공급관(37)이 접속되어 있다. 샴푸 공급관(35) 및 컨디셔너 공급관(37)의 도중부에는 각각 샴푸용 펌프(38) 및 컨디셔너용 펌프(39)가 구비되어 있고, 샴푸용 펌프(38) 및 컨디셔너용 펌프(39)의 기능에 의해, 흡입관(33) 내를 통과하는 온수에 샴푸액 및 컨디셔너액의 혼입량을 적당히 조정함으로써, 메인펌프(32)에는 그 때 사용해야 할 세정수가 길러 담게 된다.
또한, 도 5에서의 도시는 생략했지만, 샴푸액이나 컨디셔너액 등의 약제를 수용하는 용기는 샴푸용기(34), 컨디셔너 용기(36) 외에도 복수의 다른 것도 수용되게 되어 있고, 복수의 용기의 각각에 약액이 유통하는 공급관이 접속됨과 아울러, 공급관의 각각에, 용기에 수용된 약액을, 공급관을 통하여 흡입관(33)에 공급하기 위한 펌프가 마련되어 있다.
흡입관(33)으로부터 메인펌프(32) 내에 흡입된 세정수는 6개의 분로(分路)를 가지는 송수관(送水管)(40)으로 송출된다. 송수관(40) 내에는 필터(41)가 마련되어 있고, 그 하류 측의 6개의 분로에는 상부 노즐밸브(42), 하부 노즐밸브(43), 목용 노즐밸브(74), 배수밸브(44), 두정밸브(155) 및 측두밸브(156)의 6개의 밸브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노즐밸브(42), 하부 노즐밸브(43), 목용 노즐밸브(74), 배수밸브(44), 두정밸브(155) 및 측두밸브(156)가 마련된 6개의 분로에는, 각각, 분기로(46, 47, 75, 48, 158, 159)가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다. 상부 노즐밸브(42)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된 분기로(46)의 종단은 상부 노즐링크(11)에 접속되고, 하부 노즐밸브(43)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된 분기로(47)의 종단은 하부 노즐링크(12)에 접속되며, 목용 노즐밸브(74)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된 분기로(75)의 종단은 목용 노즐링크(80)에 접속되어 있다.
두정밸브(155)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된 분기로(158)의 종단은 두정 마사지 노즐(150)에 접속되고, 또, 측두밸브(156)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된 분기로(159)의 종단은 도중에서 분기하여, 우측두 마사지 노즐(151) 및 좌측두 마사지 노즐(152)의 각각에 접속된다.
싱크(2)의 저면에는 당해 싱크(2) 내에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50)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수구(50)는 하수의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싱크 측 배수트랩(51)을 통하여 배수관(30)에 연통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싱크(2)의 배수구(50)로부터 배출된 물은 배수관(30)을 통과하여, 기외로 배수되도록 되어 있다. 배수밸브(44)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된 분기로(48)의 종단은 싱크 측 배수트랩(51)에 접속되어 있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세발기(1)는 미스트 발생장치(90)가 접속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스트 발생장치(90)는 미스트를 발생하여 싱크(2) 내로 공급하는 장치이며, 미스트의 발생에 제공하는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미스트용 탱크(90a)와, 이 미스트용 탱크(90a)로부터 공급된 온수로부터 미스트를 생성하는 미스트 발생부(90b)를 구비하고 있다.
미스트용 탱크(90a)에는 미스트용 탱크(90a)에 저장된 온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90c)와, 미스트용 탱크(90a)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미스트용 써미스터(90d)가 마련되어 있다.
또, 미스트 발생부(90b)에는 초음파에 의해서 미스트용 탱크(90a)로부터 공급된 온수를 진동시킴으로써, 온수를 안개 상태로 하여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장치(90f)와, 이 초음파 발생장치(90f)의 기능에 의해 발생한 미스트를 미스트 반송관(91)으로 송출하기 위한 팬(90g)을 구비하고 있다.
미스트 반송관(91)은 일단이 미스트 발생장치(90)에 접속됨과 아울러, 타단이 싱크 접속부(94)(도 3 ~ 도 5)를 통하여 싱크(2)에 접속되어 있고, 미스트 발생장치(90)에서 발생한 미스트는 이 미스트 반송관(91)을 통과하여 싱크(2) 내에 공급된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싱크(2)의 후부 측면(100)에 통 모양의 미스트 토출관(101)이 싱크(2)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한 상태로 마련되고, 이 미스트 토출관(101)의 단부의 개구에는 미스트 토출구(10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미스트 토출관(101)은 미스트 반송관(91)에 접속되어 있고, 미스트 발생장치(90)로부터 공급된 미스트는 미스트 반송관(91) 및 이 미스트 토출관(101)을 통하여 미스트 토출구(102)로부터 싱크(2)의 내부로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스트 발생장치(90)와, 미스트 토출구(102)와, 미스트 반송관(91)이 협동하여 밀폐공간(8b) 내에 미스트를 분무하는 미스트 분무부로서 기능한다.
도 3 ~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스트 반송관(91)상에는 배수트랩(92)이 마련되어 있다.
이하, 배수트랩(92)의 기능과 함께, 미스트 반송관(91)에서의 미스트의 흐름 및 싱크(2)로부터 미스트 반송관(91)으로 유입한 역류수(후술)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미스트 반송관(91)은 미스트 발생장치(90)가 발생한 미스트를 싱크(2) 내로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기 때문에, 싱크(2) 내에서 세정에 제공한 세정수 등이 미스트 반송관(91)으로 유입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싱크(2)로부터 미스트 반송관(91)으로 유입한 세정수 등의 액체를 편의적으로 「역류수」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이유에 의해, 역류수가 미스트 반송관(91)으로 많이 유입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그리고, 역류수가 미스트 반송관(91)을 통하여 미스트 발생장치(90) 본체로 유입한 경우, 미스트 발생장치(90)의 고장의 원인이 됨과 아울러, 싱크(2)로의 원활한 미스트의 공급이 저해되는 원인이 된다.
이것을 근거로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스트 반송관(91)에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하는 배수트랩 입구관(93)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미스트 반송관(91)과 배수트랩 입구관(93)과의 접속부(95)는 싱크 접속부(94)보다도 아래쪽에 마련되며, 싱크(2)로부터 미스트 반송관(91)으로 유입한 역류수는 미스트 반송관(91)의 경사를 따라서 접속부(95)를 향하여 흐르며, 이 접속부(95)에서 배수트랩 입구관(93)으로 유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역류수가 미스트 발생장치(90)에 도달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미스트 반송관(91)상에 배수트랩 입구관(93)을 마련함으로써, 미스트 발생장치(90)로 유입한 역류수가 미스트 발생장치(90)로 유입하지 않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미스트 발생장치(90)로부터 싱크(2)로 공급되는 미스트가 배수트랩 입구관(93)으로 유입해 버려, 원활한 미스트의 공급을 방해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것을 근거로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수트랩 입구관(93)의 하부에, 이른바 'S'자 트랩으로 이루어지는 배수트랩(9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트랩(92)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U'자 모양으로 굴곡하여 형성된 액체저장부(9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액체저장부(96)에 배수트랩 입구관(93)을 통하여 역류수가 공급되며, 소정의 수위에서 항상 액체가 저장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배수트랩(92)의 액체저장부(96)에서 저장된 액체가 마개로서의 역할을 하며, 미스트 발생장치(90)로부터 싱크(2)로 공급되는 미스트가 배수트랩 입구관(93)으로 유입하는 것이 방지되며, 이것에 의해, 원활한 미스트의 공급을 방해할 수 있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미스트 반송관(91)은 싱크(2)에 공급되는 미스트가 통과하는 배관이기 때문에, 미스트의 유통에 기인하여 내부에 드레인수가 발생하지만, 이 미스트 반송관(91)의 내부에 발생한 드레인수도 미스트 반송관(91)으로 유입한 역류수와 마찬가지로, 배수트랩 입구관(93)을 통하여 배수트랩(92)에 공급되고, 이것에 의해, 드레인수가 미스트 발생장치(90)로 유입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미스트 발생장치(90)에 의한 미스트의 발생에 수반하여, 미스트 발생장치(90)의 내부에서 발생한 드레인수는 미스트 발생장치(90)에 접속된 드레인수 배출관(97)으로부터 미스트 발생장치(90)의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으로 되며, 또한, 이 드레인수 배출관(97)의 타단이 배수트랩 입구관(93)에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미스트 발생장치(90)로부터 배출된 드레인수는 적절히 배수트랩(92)에 공급되어, 보다 확실히 배수트랩(92)에서의 액체의 저장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드레인수를 배출하는 전용의 경로나, 이 경로상에 마련된 전자밸브, 전자밸브의 제어에 제공하는 기기 등을 마련하지 않고, 드레인수의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제조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배수트랩(92)의 출구 측에는 배수트랩 출구관(98)이 접속되어 있다.
도 3 ~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트랩 출구관(98)의 타단은 상술한 배수관(30)에 접속되어 있고, 배수트랩(92)의 액체저장부(96)에서 소정의 수위를 넘어, 배수트랩 출구관(98)으로 유입한 액체는 배수트랩 출구관(98)을 통하여 배수관(30)으로 유출하고, 배수관(30)을 통하여 기외로 배출된다. 즉, 미스트 반송관(91)으로 유입한 역류수나, 미스트 발생장치(90)에 의한 미스트의 발생에 수반하여 생긴 드레인수는 기존의 배수관(30)을 통하여 기외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싱크(2)의 배수관(30)이라는 기존의 설비를 이용하여, 역류수나 드레인수를 기외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새로이 기외로 액체를 배출하는 기구를 마련한 경우와 비교하여, 비용의 삭감 및 제조 용이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스트 토출구(102)는 싱크(2)의 내측을 향하여 노출한 상태이며, 미스트 토출구(102)에 역류수가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우산부를 마련하는 등 하고 있지 않다. 이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미스트는 싱크(2) 내에서 소정의 약용 성분을 포함한 미스트를 피세발자의 두부에 접촉시킴으로써 트리트먼트 효과를 주고, 또, 향기가 좋고 따뜻한 미스트를 두부에 접촉시킴으로써, 릴렉세이션 효과를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싱크(2) 내에 공급된다. 따라서, 미스트가 어느 정도의 따뜻함을 유지하면서 미스트 토출구(102)로부터 피세발자의 두부에 직접 분무된 경우에, 상술한 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미스트 토출구(102)에 대응하는 위치에 우산부를 마련한 경우, 미스트 토출구(102)에 역류수가 유입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지만, 우산부에 의해, 미스트 토출구(102)로부터 피세발자의 두부에 대해 직접 미스트가 분사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음과 아울러, 미스트가 우산부를 우회한 다음 피세발자의 두부에 분무되게 되며, 이 우회에 기인하여, 미스트의 온도가 저하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상을 고려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스트 토출구(102)가 싱크(2) 내에서 노출한 상태가 되고, 싱크(2)에 수용된 두부에 대해서 미스트 토출구(102)로부터 직접 미스트가 분사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트리트먼트 효과나 릴렉세이션 효과 등을 효과적으로 생기게 하고 있다.
또한, 미스트 토출구(102)에 대응하는 위치에 우산부를 마련하지 않은 경우, 미스트 토출구(102)에 역류수가 적지 않게 유입하게 되지만, 상술한 배수트랩(92) 등의 기능에 의해, 미스트 발생장치(90)에 역류수가 유입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됨과 아울러, 원활한 미스트의 공급이 저해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도 6은 싱크 접속부(94)를 싱크(2)의 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싱크 접속부(9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싱크(2)의 후부 측면(100)에 통 모양의 미스트 토출관(101)이 싱크(2)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한 상태로 마련되고, 이 미스트 토출관(101)의 단부의 개구에는 미스트 토출구(10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미스트 토출관(101)은 상술한 미스트 반송관(91)에 접속되어 있고, 미스트 발생장치(90)로부터 공급된 미스트는 미스트 반송관(91) 및 이 미스트 토출관(101)을 통하여 미스트 토출구(102)로부터 싱크(2)의 내부로 공급된다.
여기서, 도 1, 2,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스트 토출구(102)는 싱크(2)의 내측을 향하여 노출한 상태이며, 미스트 토출구(102)에 역류수가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우산부를 마련하는 등 하고 있지 않다. 이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미스트는 싱크(2) 내에서 소정의 약용 성분을 포함한 미스트를 피세발자의 두부에 접촉시킴으로써 트리트먼트 효과를 주고, 또, 향기가 좋고 따뜻한 미스트를 두부에 접촉시킴으로써, 릴렉세이션 효과를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싱크(2) 내에 공급된다. 따라서, 미스트가 어느 정도의 따뜻함을 유지하면서 미스트 토출구(102)로부터 피세발자의 두부에 직접 분무된 경우에, 상술한 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미스트 토출구(102)에 대응하는 위치에 우산부를 마련한 경우, 미스트 토출구(102)에 역류수가 유입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지만, 우산부에 의해 미스트 토출구(102)로부터 피세발자의 두부에 대해 직접 미스트가 분사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음과 아울러, 미스트가 우산부를 우회한 다음 피세발자의 두부에 분무되게 되며, 이 우회에 기인하여, 미스트의 온도가 저하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상을 고려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스트 토출구(102)가 싱크(2) 내에서 노출한 상태로 되고, 싱크(2)에 수용된 두부에 대해서 미스트 토출구(102)로부터 직접 미스트가 분사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트리트먼트 효과나 릴렉세이션 효과 등을 효과적으로 생기게 하고 있다.
또한, 미스트 토출구(102)에 대응하는 위치에 우산부를 마련하지 않았던 경우, 미스트 토출구(102)에 역류수가 적지 않게 유입하게 되지만, 상술한 배수트랩(92) 등의 기능에 의해 미스트 발생장치(90)에 역류수가 유입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됨과 아울러, 원활한 미스트의 공급이 저해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 모양」의 미스트 토출관(101)으로부터 미스트가 분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미스트는 어느 정도의 지향성을 가지고, 두부에 대해서 분사되게 되어, 상술한 트리트먼트 효과나, 릴렉세이션 효과를 더욱 생기게 할 수 있다.
특히,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스트 토출구(102)는 싱크(2)의 후부 측면(100)의 중앙 하부에 마련되어 있고, 공기 중에서 상승하는 성질을 가지는 안개 상태의 미스트를 바람직하게 위쪽을 향한 자세의 피세발자의 두부의 전역에 널리 퍼지게 할 수 있다. 즉, 싱크(2)의 후부 측면(100)의 중앙 하부에 마련된 미스트 토출구(102)로부터 위쪽을 향한 자세의 피세발자의 후두부 부근에 미스트가 분사되면, 미스트가 상승하면서, 두부의 형상에 따라서 두부의 전역에 널리 퍼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세발 중에는, 싱크(2) 내에서 두부 지지 네트(70)에 피세발자의 후두부가 지지된 상태(도 2, 도 4도 아울러 참조)로 되지만, 이 경우, 두부 지지 네트(70)로부터 머리카락이 연직 아래쪽으로 늘어뜨려지게 된다. 이것을 근거로 하여, 싱크(2)의 후부 측면(100)의 중앙 하부에 미스트 토출구(102)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연직 아래쪽으로 늘어뜨려지는 머리카락의 측방으로부터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고, 늘어뜨려지는 머리카락을 포함한 머리카락의 전역에 바람직하게 미스트를 널리 퍼지게 할 수 있다.
도 8은 싱크 접속부(94)가 구비하는 각부재의 각각의 사시도로서, (A)는 미스트 토출부(110)를 나타내고, (B)는 앞쪽 노출부 고정부재(111)를 나타내며, (C)는 뒤쪽 토출부 고정부재(112)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의 (B), 도 8의 (C)에서는 일부 단면도로 되어 있다. 도 9는 싱크 접속부(94)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싱크 접속부(94)는 미스트 토출부(110)와 앞쪽 토출부 고정부재(111)와 뒤쪽 토출부 고정부재(112)를 구비하고 있다.
앞쪽 토출부 고정부재(111)는 싱크(2)에 대해서 고정되는 부재이며,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반 모양의 앞쪽 플랜지부(114)와, 이 앞쪽 플랜지부(114)의 지름보다도 작은 지름을 가지고, 앞쪽 플랜지부(114)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마련된 원통 모양의 접촉부(113)와, 이 접촉부(113)보다도 작은 지름을 가지고, 접촉부(113)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마련된 원통 모양의 돌출부(115)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싱크(2)의 후부 측면(100)에서 싱크 접속부(94)가 마련되는 위치에는 후부 측면(100)을 관통하여 관통구멍(116)(도 7)이 마련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116)의 지름은 돌출부(115)의 지름과 대략 동일하게 되고, 돌출부(115)는 관통 가능하며, 또한, 접촉부(113)는 관통 불가능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앞쪽 토출부 고정부재(111)는 관통구멍(116)에 대해서 돌출부(115)가 끼워맞춤(관통)하고, 또한, 접촉부(113)의 전면(前面)이 후부 측면(100)의 이면에 접촉한 상태로 싱크(2)에 대해서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돌출부(115)에서 관통구멍(116)을 관통하고, 싱크(2)의 내부로 연장해 나간 부분의 외주에는 수컷 나사부가 형성되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수컷 나사부에 대해서 너트(117)가 나사맞춤되며, 이 너트(117)와, 접촉부(113)의 전면에 의해서 싱크(2)의 후부 측면(100)이 끼워지지되어, 싱크(2)에 대해서 앞쪽 토출부 고정부재(111)가 고정된다.
앞쪽 토출부 고정부재(111)의 내부에는 앞쪽 토출부 수납부(119)(도 8의 (B), 도 9)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뒤쪽 토출부 고정부재(112)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 토출부 고정부재(111)의 앞쪽 플랜지부(114)와 대응한 형상을 가지는 원반 모양의 뒤쪽 플랜지부(118)와, 이 뒤쪽 플랜지부(118)의 지름보다도 작은 지름을 가지고, 뒤쪽 플랜지부(118)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마련된 기초부(120)와, 이 기초부(120)의 후방에 마련된 통 모양의 배관 접속부(12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관 접속부(121)에 대해서, 상술한 미스트 반송관(91)이 기밀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접속된다.
상술한 앞쪽 토출부 고정부재(111)의 앞쪽 플랜지부(114)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앞쪽 나사구멍(122)이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뒤쪽 토출부 고정부재(112)의 뒤쪽 플랜지부(118)에서 앞쪽 나사구멍(122)의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뒤쪽 나사구멍(1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앞쪽 플랜지부(114)와 뒤쪽 플랜지부(118)가 겹쳐 맞춰진 상태에서 앞쪽 나사구멍(122) 및 뒤쪽 나사구멍(123)의 각각에 전용의 볼트 및 너트가 장착되고, 이것에 의해, 앞쪽 플랜지부(114)에 대해서 뒤쪽 플랜지부(118)가 고정됨과 아울러, 앞쪽 토출부 고정부재(111)에 대해서 뒤쪽 토출부 고정부재(112)가 고정된다.
뒤쪽 토출부 고정부재(112)의 내부에는 뒤쪽 토출부 수납부(124)(도 8의 (C), 도 9)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미스트 토출부(110)는 상술한 미스트 토출관(101)과, 이 미스트 토출관(101)의 기단에 접속되고, 미스트 토출관(10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축방향이 되고 있는 얇은 원기둥 모양의 위치결정부(125)를 구비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125)의 내부에는 미스트 토출관(101)의 내주에 연결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내부 공동(空洞)(126)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위치결정부(125)의 후면에는 내부 공동(126)에 연결한 개구(127)가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미스트 토출부(110)를 조립한 상태에서 앞쪽 토출부 고정부재(111)와, 뒤쪽 토출부 고정부재(112)를 연결한 경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127)와, 뒤쪽 토출부 고정부재(112)의 배관 접속부(121)의 내부 공동이 연통한다. 이것에 의해, 배관 접속부(121)에 접속된 미스트 반송관(91)으로부터 도입된 미스트는 배관 접속부(121)을 통하여 미스트 토출관(101)으로 유입한다.
위치결정부(125)의 좌우의 측면의 중앙에는 위치결정부(125)의 축방향에 따라서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한 보스(130)가 마련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 토출부 고정부재(111)와 뒤쪽 토출부 고정부재(112)는 내부에 미스트 토출부(110)를 조립한 상태에서 연결된다.
상술하면, 앞쪽 토출부 고정부재(111)의 내부에 형성된 앞쪽 토출부 수납부(119)(도 8의 (B), 도 9)와, 뒤쪽 토출부 고정부재(112)의 내부에 형성된 뒤쪽 토출부 수납부(124)(도 8의 (C), 도 9)를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위치결정부 수납공간(131)에 미스트 토출부(110)의 위치결정부(125)가 수납되고, 또한, 미스트 토출부(110)의 미스트 토출관(101)이 앞쪽 토출부 고정부재(111)의 돌출부(115)의 내부로 연장해 있고, 그 선단이 돌출부(115)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상태가 되도록 미스트 토출관(101)이 조립된 다음, 앞쪽 토출부 고정부재(111)와 뒤쪽 토출부 고정부재(112)가 연결된다.
그 때, 위치결정부 수납공간(131)에서 수납한 위치결정부(125)의 좌우의 측면의 중앙에 형성된 보스(13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보스(130)가 끼워맞춤하는 보스용 홈(133)이 형성되며, 이 보스용 홈(133)의 각각에 대해서, 보스(130)의 각각이 끼워맞춤한 상태에서 위치결정부 수납공간(131)에 위치결정부(125)가 수납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 하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스트 토출관(101)이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동하고, 또한, 회동 후에는 회동 후에서의 미스트 토출관(101)의 위치가 유지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돌출부(115)의 내부로부터 돌출한 미스트 토출관(101)을 파지하고, 이 미스트 토출관(101)을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도 6 및 도 9의 화살표 Y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위치결정부 수납공간(131)에서 보스(130)를 중심으로 하여 미스트 토출부(110)의 위치결정부(125)가 회동한다. 또한, 미스트 토출관(101)의 외주가 돌출부(115)의 내주에 접촉하고, 그 이상의 회동이 규제될 때까지의 범위 내에서 미스트 토출관(101)의 회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스트 토출관(101)의 회동에 수반하여, 위치결정부 수납공간(131)에서 위치결정부(125)가 회동한 경우, 위치결정부(125)가 위치결정부 수납공간(131)의 내측에 접촉하고, 슬라이딩하면서 회동하도록 위치결정부 수납공간(131)의 크기, 형상 및 위치결정부(125)의 크기, 형상이 각각 정해져 있다. 이것에 의해, 미스트 토출관(101)을 회동한 경우, 위치결정부(125)와 위치결정부 수납공간(131)과의 접촉에 수반하는 마찰력에 의해, 회동 후의 미스트 토출관(101)의 방향이 유지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스트 토출관(101)의 방향을 소정의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고, 또한, 변경 후에는 미스트 토출관(101)의 변경 후의 방향이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두부의 크기, 형상은 사람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미스트 토출관(101)에 형성된 미스트 토출구(102)의 최적인 방향은 사람에 따라 다르다. 그리고, 미스트 토출관(101)의 방향을 소정의 범위로 변경 가능하게 함으로써, 피세발자에 따라 미스트 토출구(102)의 방향을 최적으로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스트 토출관(101)을 파지하여 회동한다는 매우 간이한 작업에 의해서 미스트 토출관(101)의 미스트 토출구(102)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고, 또한, 단시간의 작업으로 해결되기 때문에, 피세발자 및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는 모두 편지지로 지지한 상태에서 동기하여 반복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의 (B)를 참조하여, 상부 노즐링크(11)는 회전축 A를 중심으로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고, 도 4의 (B)에 나타내는 두정위치(T1)로부터 회전하여, 후두위치(T2)에 이르고, 그곳으로부터 화살표 E방향으로 역회전하여 두정위치(T1)로 돌아온다고 하는 반복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부 노즐링크(11)가 두정위치(T1)에 있는 경우, 상부 노즐링크(11)에 형성된 각 노즐의 각각으로부터 화살표 Y1방향으로 세정수가 분사되고, 이것에 의해, 피세발자의 두정부 부근에 세정수가 분사되게 된다. 또, 상부 노즐링크(11)가 후두위치(T2)에 있는 경우, 상부 노즐링크(11)에 형성된 각 노즐의 각각으로부터 화살표 Y2방향으로 세정수가 분사되고, 이것에 의해, 피세발자의 후두부 부근에 세정수가 분사되게 된다.
한편, 하부 노즐링크(12)는 회전축 B를 중심으로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고, 도 4의 (B)에 나타내는 머리카락 위치(T3)로부터 회전하여 목위치(T4)에 이르며, 그곳로부터 화살표 F방향으로 역회전하여 머리카락 위치(T3)로 돌아온다고 하는 반복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하부 노즐링크(12)가 머리카락 위치(T3)에 있는 경우, 하부 노즐링크(12)에 형성된 각 노즐의 각각으로부터 화살표 Y3방향으로 세정수가 분사되고, 피세발자가 늘어뜨려진 머리카락에 세정수가 분사되게 된다. 또, 하부 노즐링크(12)가 목위치(T4)에 있는 경우, 하부 노즐링크(12)에 형성된 각 노즐의 각각으로부터 화살표 Y4방향으로 세정수가 분사되며, 피세발자의 목 부근에 세정수가 분사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구동기구(189)에 의해,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는 이하와 같이 동기하여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도 4의 (B)를 참조하여, 상부 노즐링크(11)가 두정위치(T1)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하부 노즐링크(12)가 머리카락 위치(T3)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노즐링크(11)가 두정위치(T1)에 위치하고, 하부 노즐링크(12)가 머리카락 위치(T3)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 상부 노즐링크(11)가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면, 하부 노즐링크(12)도 동기하여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고, 상부 노즐링크(11)가 후두위치(T2)에 이르렀을 때에 대략 동시에 하부 노즐링크(12)가 목위치(T4)에 이른다. 또한, 상부 노즐링크(11)가 후두위치(T2)에 이르고, 하부 노즐링크(12)가 목위치(T4)에 이른 후에는 이들 노즐링크의 각각은 반전하여 이동한다. 즉, 상부 노즐링크(11)가 후두위치(T2)에, 하부 노즐링크(12)가 목위치(T4)에 있는 것으로 하여, 상부 노즐링크(11)가 화살표 C와 역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면, 하부 노즐링크(12)도 동기하여 화살표 D와 역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고, 상부 노즐링크(11)가 두정위치(T1)에 이르렀을 때에 동시에 하부 노즐링크(12)가 머리카락 위치(T3)에 이른다.
여기서, 예를 들면, 상부 노즐링크(11)가 세정수를 분사하면서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하부 노즐링크(12)가 세정수를 분사하면서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등,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에 대한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의 각각의 이동 방향이 다른 경우,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의 각각이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에 대해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부터 피세발자의 두부 및 머리카락에 대해서 세정수를 분사하게 되어, 머리카락이 얽힌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노즐링크(11)와 하부 노즐링크(12)가 동기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에 대한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의 각각의 이동 방향이 항상 일치하여, 머리카락이 얽힌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89)(제어부)의 제어 하에서,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는 동기하면서 속도를 바꾸어 이동을 하거나, 일정한 범위 이동한 후 일시정지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반복이동하거나 하는 등, 복잡한 이동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술한 같은 상부 노즐링크(11)와 하부 노즐링크(12)와의 동기한 움직임을 실현하는 구동기구(189)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의 (A)는 싱크 보유지지대(3)를 떼어내 싱크(2)의 측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의 싱크(2)의 좌측면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89)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0의 (B)는 당해 상태에서의 싱크(2)의 정면도(정면에서 보아 대략 왼쪽 반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싱크(2)의 좌측면(190)에서 하부에는 스텝핑(stepping) 모터(19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스텝핑 모터(191)는 모터구동회로(미도시)에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89)의 제어 하에서, 모터구동회로로부터 구동펄스가 입력되며, 입력된 구동펄스에 근거하여 소정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회동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스텝핑 모터(191)는 구동펄스의 수에 비례하여 그 운동량이 규정되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89)에 의한 정확한 위치결정제어를 실현 가능하다.
스텝핑 모터(191)에는 스텝핑 모터(191)의 회전구동력을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201)가 접속되어 있다.
이하, 동력전달기구(201)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스텝핑 모터(191)의 위쪽에는 하부 기어(193)가 마련되어 있다. 이 하부 기어(193)와, 스텝핑 모터(191)의 로터축에 장착된 풀리(미도시)에는 스텝핑 모터(191)의 회전구동력을 하부 기어(193)에 전달하기 위한 하부 타이밍벨트(194)가 감아 돌려져 있고, 스텝핑 모터(191)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감속비로 감속되어 하부 기어(193)가 회전한다.
이 하부 기어(193)의 출력축에는 하부 노즐링크(12)가 접속되어 있고, 하부 노즐링크(12)는 하부 기어(193)의 회전에 따라 회동한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기어(193)가 도 10의 (A)에 나타내는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하부 노즐링크(12)는 머리카락 위치(T3)로부터 목위치(T4)로 향하는 방향(화살표 D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또, 하부 기어(193)가 도 10의 (A)에 나타내는 화살표 Y방향으로 회동한 경우, 하부 노즐링크(12)는 목위치(T4)로부터 머리카락 위치(T3)로 향하는 방향(화살표 F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하부 노즐링크(12)는 마이크로 컴퓨터(89)의 제어 하에서, 상부 노즐링크(11)와 동기하여, 머리카락 위치(T3)와 목위치(T4)와의 사이를 회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하부 기어(193)의 위쪽에는 이 하부 기어(193)에 치합(齒合)하는 상부 기어(196)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기어(196)는 하부 기어(193)의 회전에 따라, 하부 기어(193)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상부 기어(196)의 위쪽에는 풀리(197)가 마련되어 있고, 상부 기어(196)와 풀리(197)에는 상부 기어(196)의 회전구동력을 풀리(197)에 전달하기 위한 상부 타이밍벨트(198)가 감아 돌려져 있으며, 상부 기어(196)의 회전에 따라, 풀리(197)가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풀리(197)의 출력축에는 상부 노즐링크(11)가 접속되어 있고, 상부 노즐링크(11)는 상부 기어(196)의 회전에 따라 회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기어(196)가 도 10의 (A)에 나타내는 화살표 Y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이 때 하부 기어(193)는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음), 상부 노즐링크(11)는 두정위치(T1)로부터 후두위치(T2)로 향하는 방향(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동하며, 또, 상부 기어(196)가 도 10의 (A)에 나타내는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이 때 하부 기어(193)는 화살표 Y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음), 상부 노즐링크(11)는 후두위치(T2)로부터 두정위치(T1)로 향하는 방향(화살표 E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상부 노즐링크(11)는 마이크로 컴퓨터(89)의 제어 하에서, 하부 노즐링크(12)와 동기하여, 두정위치(T1)와 후두위치(T2)와의 사이를 회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구동기구(189)의 구동에 수반하는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의 동기한 움직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부 노즐링크(11)가 두정위치(T1)에 위치하고, 또한, 하부 노즐링크(12)가 머리카락 위치(T3)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스텝핑 모터(191)를 도 10의 (A)의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스텝핑 모터(191)의 화살표 X방향으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하부 기어(193)가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하부 기어(193)의 화살표 X방향으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머리카락 위치(T3)에 위치하는 하부 노즐링크(12)가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하부 기어(193)의 화살표 X방향으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부 기어(196)가 화살표 Y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상부 기어(196)의 화살표 Y방향으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풀리(197)가 화살표 Y방향으로 회전하며, 이 풀리(197)의 화살표 Y방향으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두정위치(T1)에 위치하는 상부 노즐링크(11)가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부 노즐링크(11)가 두정위치(T1)로부터 후두위치(T2)로 향하여 이동하는 것과 동기하여, 하부 노즐링크(12)가 머리카락 위치(T3)로부터 목위치(T4)로 향하여 이동한다.
또한, 하부 노즐링크(12)가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한 결과, 하부 노즐링크(12)가 목위치(T4)에 이르면, 이것과 동시에, 상부 노즐링크(11)가 후두위치(T2)에 이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노즐링크(12)가 목위치(T4)에 이름과 동시에, 상부 노즐링크(11)가 후두위치(T2)에 이르도록 상부 기어(196)나, 하부 기어(193), 풀리(197), 그 외의 노즐링크의 회동에 관한 부재가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노즐링크(12)가 목위치(T4)에 이르고, 이것과 아울러 상부 노즐링크(11)가 후두위치(T2)에 이르른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89)의 제어 하에서, 스텝핑 모터(191)가 도 10의 (A)에서의 반시계방향(도 10의 (A)에 대해 화살표 Y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스텝핑 모터(191)의 화살표 Y방향으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하부 기어(193)가 화살표 Y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하부 기어(193)의 화살표 Y방향으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목위치(T4)에 위치하는 하부 노즐링크(12)가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하부 기어(193)의 화살표 Y방향으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부 기어(196)가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상부 기어(196)의 화살표 X방향으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풀리(197)가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하며, 이 풀리(197)의 화살표 X방향으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후두위치(T2)에 위치하는 상부 노즐링크(11)가 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부 노즐링크(11)가 후두위치(T2)로부터 두정위치(T1)로 향하여 이동하는 것과 동기하여, 하부 노즐링크(12)가 목위치(T4)로부터 머리카락 위치(T3)로 향하여 이동한다.
또한, 하부 노즐링크(12)가 머리카락 위치(T3)에 이른 것이나, 또, 목위치(T4)에 이른 것은, 스텝핑 모터(191)에 입력된 구동펄스수로부터 산출되는 회전스텝수에 근거하여 적절히 검출된다.
또,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기어(196)에는 기어위치 검지스위치(200)가 마련되어 있다. 이 기어위치 검지스위치(200)는 상부 노즐링크(11)가 두정위치(T1)를 넘어 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하고, 또, 상부 노즐링크(11)가 후두위치(T2)를 넘어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한 것을 검출하기 위한 마그넷식 센서이다. 상부 노즐링크(11)가 두정위치(T1)를 넘어 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부 기어(196)가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상부 기어(196)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는 마그넷에 의해, 기어위치 검지스위치(200)의 접점이 도통하고, 마이크로 컴퓨터(89)의 소정의 포트에 그 취지의 신호가 출력된다. 당해 신호가 입력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스텝핑 모터(191)의 구동을 정지하고, 이것에 의해, 상부 노즐링크(11)가 두정위치(T1)를 넘어 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과 동시에, 상부 노즐링크(11)와 동기하여 움직이는 하부 노즐링크(12)가 머리카락 위치(T3)를 넘어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상부 노즐링크(11)가 후두위치(T2)를 넘어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부 기어(196)가 화살표 Y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상부 기어(196)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는 마그넷에 의해, 기어위치 검지스위치(200)의 접점이 도통하고, 마이크로 컴퓨터(89)의 소정의 포트에 그 취지의 신호가 출력된다. 당해 신호가 입력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스텝핑 모터(191)의 구동을 정지하고, 이것에 의해, 상부 노즐링크(11)가 후두위치(T2)를 넘어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과 동시에, 상부 노즐링크(11)와 동기하여 움직이는 하부 노즐링크(12)가 목위치(T4)를 넘어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1은 자동세발기(1) 및 미스트 발생장치(90)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세발기(1)는 마이크로 컴퓨터(89)를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자동세발기(1)의 각부를 중추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CPU나 R0M, RAM, 그 외 주변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도시하지 않는 발진기가 생성한 기준 클락(reference clock)에 근거하여 각종의 계시(計時)동작을 실행 가능하다.
마이크로 컴퓨터(89)에는 제1 수위센서(26), 제2 수위센서(27), 오버플로우 센서(31), 제1 써미스터(19)로부터 각종 검출신호가 입력되고, 또, 각종 지시를 행하기 위한 조작패널(60)로부터 지시에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 마이크로 컴퓨터(89)에는 모터(20), 저탕밸브(24), 샴푸용 펌프(38), 컨디셔너용 펌프(39), 인버터(64), 상부 노즐밸브(42), 하부 노즐밸브(43), 배수밸브(44), 목용 노즐밸브(74) 등이 제어대상으로서 접속되어 있다.
모터(20)에는 믹싱밸브(15)가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모터(20)를 구동 제어하여 믹싱밸브(15)를 개폐시킴으로써, 급수관(16)으로 보내지는 온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마이크로 컴퓨터(89)에는 메인펌프(32)에 교류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메인펌프(32)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의 토출압력을 제어하는 인버터(64)가 접속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펌프(32)로부터 토출된 세정수는 상부 노즐밸브(42), 하부 노즐밸브(43) 및 목용 노즐밸브(74)를 통하여, 상부 노즐링크(11), 하부 노즐링크(12) 및 목용 노즐링크(80)에 형성된 노즐로부터 분사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인버터(64)를 제어함으로써, 각 노즐링크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마이크로 컴퓨터(89)에는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구동모터(103)가 접속되어 있다. 구동모터(103)는 스텝핑 모터에 의해서 구성되며, 마이크로 컴퓨터(89)로부터 입력된 구동신호에 근거하여, 구동기구를 통하여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마이크로 컴퓨터(89)는 구동모터(103)를 제어함으로써,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의 이동속도를 변경하거나, 이들 상부 노즐링크(11), 하부 노즐링크(12)를 일시정지하거나 하는 등, 이들 상부 노즐링크(11), 하부 노즐링크(12)에 복잡한 이동을 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89)나, 구동모터(103), 각 노즐링크 등이 협동하여, 밀폐공간(8b) 내에 연장해 있는 두부를 향해서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부로서 기능한다.
한편,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스트 발생장치(90)는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를 구비하고 있다.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는 미스트 발생장치(90)의 각부를 중추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CPU나 R0M, RAM 그 외 주변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에는 미스트용 써미스터(90d)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된다.
또,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에는 히터(90c)나, 초음파 발생장치(90f), 팬(90g) 등이 제어대상으로서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89)와,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는 인터페이스부(99)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이들 마이크로 컴퓨터(89)와,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규격에 준거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89)와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가 협동하여, 자동세발기(1) 및 미스트 발생장치(90)의 쌍방을 제어한다.
도 12는 조작패널(6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조작패널(60)의 왼쪽 위에 배치된 전원스위치(220)는 자동세발기(1)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이다.
전원스위치(220)에 오른쪽에 배치된 탱크온도 조정스위치(221)는 저탕탱크(25)에 저장되는 물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이 탱크온도 조정스위치(221)가 조작됨으로써 설정된 설정온도는 전원스위치(220)와 탱크온도 조정스위치(221)와의 사이에 형성된 설정온도 표시패널(226)에 액정표시된다.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저탕탱크(25)에 저장되는 물의 온도가 설정온도가 되도록 모터(20)를 제어하여, 믹싱밸브(15)의 개폐상태를 조정하고, 물과 뜨거운 물과의 혼합비율을 조정한다. 또한, 저탕탱크(25) 내에 히터를 마련하고, 이 히터에 의해서 저탕탱크(25)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조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전원스위치(220)의 아래쪽에는 저탕탱크(25)에 물을 저장하는 것을 지시하는 급탕스위치(222)가 배치되고, 이 급탕스위치(222)의 오른쪽에는 저탕탱크(25)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것을 지시하는 탱크 배수스위치(223)가 배치되며, 이 탱크 배수스위치(223)의 오른쪽에는 저탕탱크(25)에 저장된 물을 다 사용하는 것을 지시하는 유즈-업(use-up) 스위치(224)가 배치되어 있다. 또, 급탕스위치(222)의 아래쪽에는 흡입관(33)이나, 분기로(46, 47, 75, 48)에 체류한 물(즉, 차가워질 가능성이 있는 물)을 각 노즐링크로부터 배출하는 것을 지시하는 초기 배수스위치(225)가 배치되어 있다.
초기 배수스위치(225)의 오른쪽에는 용기선택 에리어(228)가 형성되어 있고, 용기선택 에리어(228)에는 복수의 용기선택 스위치(229)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용기선택 스위치(229)는 후술하는 코스 운전의 실행시에 코스에 포함되는 동작 행정(후술)의 각각에서 샴푸용기(34), 컨디셔너 용기(36)를 포함하는 복수의 용기 가운데, 어느 용기에 수용된 약계를 사용할지를 지시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용기선택 에리어(228)의 왼쪽 아래에는 풀코스 스위치(230)가 배치되어 있다. 풀코스 스위치(230)는 실행하는 운전코스로서, 운전코스의 하나인 풀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운전코스는 소정의 동작 행정이 소정의 순서로 늘어 놓인 것으로, 1의 운전코스의 실행이 지시된 경우, 이 운전코스에 포함되는 일련의 동작 행정이 차례대로 실행된다.
동작 행정에는, 예를 들면, 샴푸액을 포함한 세정수에 의해서 피세발자의 두부를 세발하는 샴푸 행정이나, 컨디셔너액을 포함한 세정수에 의해서 피세발자의 두부를 컨디셔닝하는 컨디셔닝 행정, 약액을 포함하지 않는 세정수에 의해서 피세발자의 두부를 헹굼하는 헹굼 행정 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내용이 다른 복수의 운전코스(풀코스나, 파워풀코스, 스캘프 케어 코스, 헤어 케어 코스 I, 헤어 케어 코스 II 등)가 준비되어 있다.
풀코스 스위치(230)의 오른쪽에는 실행하는 동작 행정으로서 샴푸액을 포함한 세정수에 의해서 피세발자의 두부를 세발하는 샴푸 행정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인 샴푸 스위치(231)가 배치되어 있고, 이 샴푸 스위치(231)의 오른쪽에는 실행하는 동작 행정으로서 컨디셔너액을 포함한 세정수에 의해서 피세발자의 두부를 컨디셔닝하는 컨디셔닝 행정을 선택하기 위한 컨디셔닝 스위치(232)가 배치되어 있다. 또, 샴푸 스위치(231)의 아래쪽에는 실행하는 행정으로서 약액을 포함하지 않는 세정수에 의해서 피세발자의 두부를 헹굼하는 헹굼 행정을 선택하기 위한 헹굼 스위치(233)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샴푸 행정, 컨디셔닝 행정 및 헹굼 행정 중 어느 하나만의 실행을 지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헹굼 스위치(233)의 오른쪽에는 실행하는 운전코스로서 운전코스 중 하나인 파워풀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파워풀코스 스위치(234)가 배치되어 있다.
파워풀코스 스위치(234)의 오른쪽에는 델리케이트(delicate) 스위치(236)가 배치되어 있다. 델리케이트 스위치(236)는 머리카락이 손상되어 있는 사람이나, 머리카락이 얽히기 쉬운 사람을 세발하는 경우에 조작되는 스위치이며, 이 델리케이트 스위치(236)가 조작된 경우, 머리카락이 손상되어 있는 사람이나, 머리카락이 얽히기 쉬운 사람에게 대응한 씻기 방법에 의한 세발이 실행된다.
스캘프 케어 스위치(238)는 실행하는 운전코스로서 운전코스 중 하나인 스캘프 케어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헤어 케어 스위치(239)는 실행하는 운전코스로서 헤어 케어 코스 I 또는 헤어 케어 코스 II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스캘프 케어 코스, 헤어 케어 코스 I 및 헤어 케어 코스 II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들 스캘프 케어 스위치(238) 및 헤어 케어 스위치(239)의 아래쪽에는 머리길이 선택 스위치(241)가 배치되어 있다. 머리길이 선택 스위치(241)는 피세발자의 머리카락의 길이를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머리카락의 길이가 4단계로 구분되어 있고, 4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선택 가능하다.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머리카락의 길이에 따라, 각 노즐링크의 이동을 제어하고, 또, 노즐링크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압력을 제어한다.
머리길이 선택 스위치(241)의 아래쪽에는 남은시간 표시패널(242)이 형성되고, 이 남은시간 표시패널(242)의 오른쪽에는 남은시간 조정스위치(243)가 배치되어 있다.
남은시간 표시패널(242)에는 운전코스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운전코스의 실행이 종료할 때까지의 남은 시간이 표시되고, 1개의 동작 행정의 실행이 지시되어 있는 경우는, 당해 동작 행정이 종료할 때까지의 남은 시간이 표시된다. 또, 남은시간 조정스위치(243)는 남은 시간을 연장하고, 또, 단축할 때에 조작되는 스위치이다.
남은시간 조정스위치(243)의 아래쪽에는 수압 조정스위치(244)가 배치되어 있다. 수압 조정스위치(244)는 각 노즐링크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이 수압 조정스위치(244)의 아래쪽에는 스타트/스톱 지시스위치(24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타트/스톱 지시스위치(245)는 실행하는 운전코스로서 1개의 운전코스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나, 실행하는 동작 행정으로서 1개의 동작 행정의 실행이 지시된 경우에, 실제로 운전코스의 실행의 개시를 할 때나, 실제로 1개의 동작 행정의 개시를 지시할 때에 조작되는 스위치이며, 이 스타트/스톱 지시스위치(245)가 조작됨으로써 운전코스에 관한 동작이나, 1개의 동작 행정에 관한 동작의 실행이 개시된다. 또, 스타트/스톱 지시스위치(245)는 운전코스에 관한 동작이나, 1의 동작 행정에 관한 동작의 실행중에 당해 동작을 일시적으로 중지할 때에 조작되는 스위치이며, 자동세발기(1)의 동작중에 이 스타트/스톱 지시스위치(245)가 조작되면, 자동세발기(1)의 동작이 일시적으로 중단되고, 다시, 스타트/스톱 지시스위치(245)가 조작되면, 자동세발기(1)의 동작이 재개한다.
다음으로, 자동세발기(1) 및 미스트 발생장치(90)에 전원이 투입되고 나서, 복수의 운전코스 중 어느 하나의 운전코스가 선택되어, 그 운전코스의 실행이 개시될 때까지에서의 자동세발기(1) 및 미스트 발생장치(90)의 동작에 대해서,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상기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유저에 의해, 미스트 발생장치(90)의 전원이 투입됨과 아울러(스텝 SA1), 자동세발기(1)의 전원이 투입된다(스텝 SA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동세발기(1)와 미스트 발생장치(90는 별체의 장치이며, 각각의 장치에 대해서 별도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있고, 각각의 장치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전원의 투입이 행해진다.
또한, 자동세발기(1)와 미스트 발생장치(90)를 별체의 장치로 함으로써, 미스트를 분무하는 기능이 필요한 자동세발기(1)에 대해서는 미스트 발생장치(90)를 접속함으로써 당해 기능을 부가하는 한편, 당해 기능이 필요없는 자동세발기(1)에 대해서는 미스트 발생장치(90)를 접속하지 않음으로써, 당해 기능을 부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미스트를 발생하는 기구는 비교적 큰 기구로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상기 구성에 의해, 당해 기능이 필요없는 자동세발기(1)가 불필요하게 대형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스트를 발생하는 미스트 발생기구를 소형화한 다음, 자동세발기(1)에 내장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자동세발기(1)의 전원이 투입되면, 자동세발기(1)의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미스트 발생장치(90)의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와 소정의 프로토콜에 근거한 통신을 행하고, 미스트 발생장치(90)의 각부 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A3). 여기서, 미스트 발생장치(90)의 각부 상태에 관한 정보란, 구체적으로는 미스트 발생장치(90)가 정상적으로 미스트를 발생하고, 발생한 미스트를 정상적으로 자동세발기(1)의 싱크(2)에 공급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정상적으로 미스트의 공급을 할 수 없는 경우는 어떤 원인으로 정상적으로 미스트의 공급을 할 수 없는 상황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정상적으로 미스트의 공급을 할 수 없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면, 미스트 발생장치(90)의 전원이 투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미스트용 탱크(90a)에 물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경우, 초음파 발생장치(90f) 등의 각 기기에 에러가 발생하고 있는 상태의 경우 등이 있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89)에, 실행하는 운전코스로서, 어느 하나의 운전코스를 선택하는 취지의 지시가 입력된다(스텝 SA4).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는 조작패널(60)의 풀코스 스위치(230), 파워풀코스 스위치(234), 스캘프 케어 스위치(238), 헤어 케어 스위치(239)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실행해야 할 운전코스를 선택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풀코스 및 파워풀코스에는 미스트를 분사하는 동작이 포함되지 않고, 한편, 스캘프 케어 코스, 헤어 케어 코스 I 및 헤어 케어 코스 II에는 미스트를 분사하는 동작이 포함되어 있다. 이것을 근거로 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적절히 스캘프 케어 코스, 헤어 케어 코스 I 및 헤어 케어 코스 II를, 개념적으로, 「미스트 연동코스」라고 칭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스텝 SA4에서 입력된 운전코스가 미스트 연동코스(= 스캘프 케어 코스, 헤어 케어 코스 I 또는 헤어 케어 코스 II)인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A5).
스텝 SA4에서 입력된 운전코스가 미스트 연동코스가 아닌 경우(스텝 SA5 : 아니오),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처리순서를 스텝 SA9로 이행한다.
스텝 SA4에서 입력된 운전코스가 미스트 연동코스인 경우(스텝 SA5 : 예),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스텝 SA3에서 취득한 정보에 근거하여, 미스트 발생장치(90)가 자동세발기(1)에 대해서 정상적으로 미스트를 공급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A6).
미스트 발생장치(90)가 자동세발기(1)에 대해서 정상적으로 미스트를 공급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닌 경우(스텝 SA6 : 아니오), 마이크로 컴퓨터(89)는 그 취지를 알린다(스텝 SA7).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설정온도 표시패널(226)에 미스트 발생장치(90)에 어떠한 에러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소정의 표시를 행함으로써, 미스트 발생장치(90)가 정상적으로 미스트를 공급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것을 유저에 대해서 알린다. 이 경우, 유저는 설정온도 표시패널(226)의 표시내용을 참조함으로써, 미스트 발생장치(90)에 어떠한 에러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고, 이 인식에 근거하여, 에러를 해소하기 위한 대처(예를 들면, 미스트 발생장치(90)의 전원이 투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경우는 전원을 투입하는 등의 처치)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스텝 SA6에서 미스트 발생장치(90)가 자동세발기(1)에 대해서 정상적으로 미스트를 공급할 수 있는 상태인 경우(스텝 SA6 : 예),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입력된 운전코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미스트 발생장치(90)에 출력하고(스텝 SA8), 처리순서를 스텝 SA9로 이행한다.
스텝 SA9에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스텝 SA4에서 입력된 운전코스가 미스트 연동코스인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A10).
스텝 SA4에서 입력된 운전코스가 미스트 연동코스인 경우(스텝 SA10 : 예),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스타트/스톱 지시스위치(245)가 조작된 것을 트리거로서, 운전개시를 나타내는 정보를 미스트 발생장치(90)에 송신하고(스텝 SA11), 처리순서를 스텝 SA12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A4에서 입력된 운전코스가 미스트 연동코스가 아닌 경우(스텝 SA10 : 아니오),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처리순서를 스텝 SA12로 이행한다.
스텝 SA12에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스텝 SA4에서 입력된 운전코스의 실행을 개시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스텝 SA4에서 입력된 운전코스가 미스트 연동코스인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A13).
스텝 SA4에서 입력된 운전코스가, 미스트 연동코스인 경우, 즉, 스텝 SA4에서 입력된 운전코스가 스캘프 케어 코스, 헤어 케어 코스 I 및 헤어 케어 코스 II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스텝 SA13 : 예),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와 협동하여, 해당하는 운전코스에 준하여 자동세발기(1) 및 미스트 발생장치(90)의 각부를 제어하여, 당해 운전코스를 실행한다(스텝 SA14). 스텝 SA14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스텝 SA4에서 입력된 운전코스가 미스트 연동코스가 아닌 경우, 즉, 스텝 SA4에서 입력된 운전코스가 풀코스 및 파워풀코스 중 어느 하나인 경우(스텝 SA13 : 아니오), 마이크로 컴퓨터(89)는 해당하는 운전코스에 준하여, 자동세발기(1)의 각부를 제어하여, 당해 운전코스를 실행한다(스텝 SA15). 스텝 SA15의 동작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다음으로, 스캘프 케어 코스의 실행시에서의 자동세발기(1) 및 미스트 발생장치(90)의 동작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스캘프 케어 코스의 실행시에서의 자동세발기(1) 및 미스트 발생장치(9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스캘프 케어 코스에서는 일련의 동작 행정 가운데, 최초의 동작 행정 및 최후의 동작 행정이 미스트의 분무를 수반하는 미스트 행정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4를 참조하여, 우선, 스캘프 케어 코스의 실행이 개시된다(스텝 SB1).
스캘프 케어 코스의 실행의 개시는 스캘프 케어 스위치(238)가 조작됨으로써, 실행해야 할 운전코스로서 스캘프 케어 코스가 선택되고, 또한, 싱크(2) 내에 피세발자의 두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커버(8)가 닫힌 다음, 스타트/스톱 지시스위치(245)가 조작된 것을 트리거로서 행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싱크(2) 내에 피세발자의 두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커버(8)가 닫힌 경우, 두부에 의해 두부 컷-아웃 부분(8a)이 폐색되고, 싱크(2)와 커버(8)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대략 밀폐된 밀폐공간(8b)(도 4)이 형성되며, 이 밀폐공간(8b)에 두부가 연장해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미스트 행정을 개시한다(스텝 SB2). 즉, 스캘프 케어 코스에서는 미스트의 분무를 수반하는 미스트 행정이 최초의 동작 행정이다. 환언하면, 스캘프 케어 코스에서는 후술하는 샴푸 행정이나, 헹굼 행정(세정수의 분사를 수반하는 행정)에 앞서, 미스트 행정이 실행된다.
여기서, 미스트 행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미스트 행정의 실행시에서의 자동세발기(1) 및 미스트 발생장치(9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미스트 행정이 개시되면(스텝 SC1),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인버터(64)를 통하여 메인펌프(32)를 제어하여, 매우 약한 분사압력으로 각 노즐링크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한다(스텝 SC2). 이 세정수의 분사는 미스트의 분무가 행해지고 있는 동안, 계속해서 실행된다. 여기서, 매우 약한 분사압력이란, 각 노즐링크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가 싱크(2)에 수용된 두부에 닿지 않도록 하는 분사압력이다. 또, 각 노즐링크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온도가 비교적 높아지도록 믹싱밸브(15)가 제어되어 저탕탱크(25)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제어된다.
이 스텝 SC2의 동작은 이하를 목적으로 한다.
즉, 스캘프 케어 코스의 개시시에는 싱크(2)와 커버(8)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공간(8b)의 온도가 낮은 경우도 있고, 또, 싱크(2)나 커버(8)의 밀폐공간(8b) 측의 표면온도가 낮은 경우도 있다. 그리고, 밀폐공간(8b)의 온도나, 싱크(2), 커버(8)의 표면온도가 낮은 경우에, 밀폐공간(8b) 내에 미스트를 충만시킨 경우, 미스트의 온도가 저하해 버려, 미스트에 의한 트리트먼트 효과나 릴렉세이션 효과가 저감할 가능성이 있다. 이것을 근거로 하여, 스텝 SC2의 동작은 싱크(2)에서의 밀폐공간(8b)에의 미스트의 공급에 앞서, 밀폐공간(8b)의 온도나, 싱크(2), 커버(8)의 표면온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스텝 SC2의 처리 후,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에 대해서, 미스트 분무처리 명령을 출력한다(스텝 SC3). 미스트 분무처리 명령이란,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에 미스트 분무준비 처리(후술) 등의 자동세발기(1)에의 미스트의 공급에 관한 일련의 처리의 실행의 개시를 지시하는 명령이다.
미스트 분무처리 명령이 입력된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는 미스트 발생장치(90)의 각부를 제어하여, 미스트 분무준비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C4).
구체적으로는,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는 히터(90c)를 구동함으로써, 미스트용 탱크(90a)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가열한다. 그리고, 미스트용 써미스터(90d)로부터 입력된 검출값에 근거하여, 미스트용 탱크(90a)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소정 온도(예를 들면, 75℃)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는 히터(90c)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 미스트용 탱크(90a)에 저장된 물을 소정 온도에 이르게 할 때까지의 일련의 동작이 미스트 분무준비 처리에 해당한다.
또한, 트리트먼트 효과나, 릴렉세이션 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미스트의 온도범위가 알려져 있고, 싱크(2) 내에 공급되는 미스트의 온도가 당해 온도범위가 되도록 상술한 소정온도는 적절한 값으로 정해진다.
스텝 SC4에서의 미스트 분무준비 처리의 실행 중,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는 미스트 분무준비 처리가 종료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스텝 SC5).
미스트 분무준비 처리가 종료한 경우(스텝 SC5 : 예),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는 싱크(2)에서의 밀폐공간(8b)으로의 미스트의 분사를 개시한다(스텝 SC6).
구체적으로는,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는 초음파 발생장치(90f)를 구동하여, 미스트용 탱크(90a)로부터 초음파 발생장치(90f)에 공급되는 물을 초음파로 진동시키고, 그 물을 안개 상태로 함으로써 미스트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팬(90g)을 구동함으로써, 초음파 발생장치(90f)가 생성한 미스트를, 미스트 반송관(91)을 통하여 싱크(2)에서의 밀폐공간(8b)으로 송입(送入)한다. 이것에 의해, 미스트 반송관(91) 및 이 미스트 토출관(101)을 통하여 미스트 토출구(102)로부터 싱크(2)의 내부로 미스트가 공급된다.
스텝 SC6에서의 미스트의 분사의 개시와 동시에,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미스트 행정을 실행하는 시간으로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을 카운트다운한다. 즉,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미스트 행정이 종료할 때까지의 남은 시간을 계시한다(스텝 SC7).
또한, 미스트 행정을 실행해야 할 시간으로서 미리 정해진 시간은 미스트를 분사하는 것에 의한 트리트먼트 효과나 릴렉세이션 효과의 달성 상태와, 미스트가 분사되는 시간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고,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30초 이상인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미스트 발생장치(90)에 미스트의 분무의 실행을 계속할 수 없도록 하는 이상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감시하면서(스텝 SC8), 남은 시간이 30초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감시한다(스텝 SC9).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미스트의 분무의 실행을 계속할 수 없도록 하는 이상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이하와 같이 하여 검출한다. 즉,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는 미스트용 탱크(90a)에 저장된 물 상태(온도나, 양)나, 초음파 발생장치(90f)의 동작 상태 등을 항상 감시하고, 미스트의 분무의 실행을 계속할 수 없도록 하는 이상이 발생한 경우(예를 들면, 미스트용 탱크(90a)에 저장된 물의 온도의 이상 상승이나, 초음파 발생장치(90f)의 동작 이상 등), 그것을 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는 미스트의 분무의 실행을 계속할 수 없도록 하는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지한 경우, 그 취지의 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89)에 출력한다.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근거하여, 미스트의 분무의 실행을 계속할 수 없도록 하는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출한다.
스텝 SC8 및 스텝 SC9에서의 감시 중, 미스트 발생장치(90)에 미스트의 분무의 실행을 계속할 수 없도록 하는 이상이 발생한 경우(스텝 SC8 : 예),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미스트 행정을 종료한다(스텝 SC11). 미스트 행정의 종료 후에는 길들임(break-in) 행정이 실행된다(도 14 참조).
또한, 미스트의 분무의 실행을 계속할 수 없도록 하는 이상이 발생한 것을 유저에게 알리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스트의 분무 중에, 미스트 발생장치(90)에 미스트의 분무의 실행을 계속할 수 없도록 하는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는 자동세발기(1)의 동작을 정지하는 것이 아니라, 미스트의 분무에 관한 처리를 생략하여, 자동세발기(1)의 동작을 계속한다. 이것은, 미스트의 분무는 후술하는 샴푸 행정이나 컨디셔닝 행정과 비교하여, 부가적인 기능이며, 미스트의 분무를 하지 않는 경우라도 비교적 피세발자의 만족도를 해치지 않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서, 미스트의 분무를 생략한 다음 자동세발기(1)의 동작을 계속하여 실행함으로써, 운전코스의 원활한 실행을 담보하고, 보다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하고 있다.
또한, 미스트 발생장치(90)에 이상이 생기고 있는 경우는 자동세발기(1)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도록 해도 된다.
스텝 SC9에서 남은 시간이 30초에 이르른 경우(스텝 SC9 : 예),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마사지 동작을 실행한다(스텝 SC12).
이 마사지 동작은 피세발자에게 일정한 마사지 효과를 주는 것을 목적으로서 행해지는 동작이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89)는 각종의 밸브 등을 제어하고, 두정 마사지 노즐(150), 우측두 마사지 노즐(151) 및 좌측두 마사지 노즐(152)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고, 두정부 및 우측 두부에 세정수를 분사한다. 여기서, 분사되는 세정수는 온수로 한다. 이와 같이 피세발자의 두정부나 측두부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온수를 분사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노즐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사시, 간헐적으로 세정수를 분사하거나, 또, 분사압력의 강약을 변경하면서 분사하거나 해도 된다. 이들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보다 높은 마사지 효과를 얻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미스트 발생장치(90)에 미스트의 분무의 실행을 계속할 수 없도록 하는 이상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감시하면서(스텝 SC13), 남은 시간이 없어졌는지(남은 시간 = 0초) 여부를 감시한다(스텝 SC14).
스텝 SC13에서 미스트 발생장치(90)에 미스트의 분무의 실행을 계속할 수 없도록 하는 이상이 발생한 경우(스텝 SC13 : 예),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미스트 행정을 종료한다(스텝 SC11).
한편, 남은 시간이 없어진 경우(스텝 SC14 : 예),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인버터(64)나 각 밸브를 제어하여, 마사지 동작을 정지하고, 또한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와 협동하여, 미스트의 분무를 정지하며(스텝 SC15), 이것에 의해, 미스트 행정의 실행을 종료한다(스텝 SC11).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남은 시간이 30초에 이른 이후에는 미스트의 분무와 마사지 동작에 수반하는 각 노즐링크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사가 동시 병행적으로 행해진다.
이 동작은 싱크(2)에서의 밀폐공간(8b)에 두부가 연장해 있고, 이 밀폐공간(8b)에서 두부에 대해서 각 노즐링크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며, 또, 이 밀폐공간(8b) 내에서 미스트를 분무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가능한 동작이다. 그리고, 미스트의 분무와 마사지 동작에 수반하는 노즐링크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사를 동시 병행적으로 행한 경우, 미스트에 의한 릴렉세이션 효과, 트리트먼트 효과 및 마사지 동작에 의한 마사지 효과를 피세발자에게 동시에 줄 수 있어, 이들 효과의 달성도를 상승적(相乘的)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미스트를 피세발자의 두부에 분무한 경우, 두부의 모공이 열리는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스트에 의한 두부의 모공의 개화(開化)와, 마사지 동작에 수반하는 두부로의 세정수의 분사를 동시에 행할 수 있어, 보다 마사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스캘프 케어 코스에서는 후술하는 샴푸 행정보다 먼저, 미스트 행정이 실행된다. 이것에 의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미스트를 피세발자의 두부에 분무한 경우, 두부의 모공이 열리는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샴푸 행정보다 먼저 미스트 행정을 실행하고, 이 행정에서 두부의 모공을 열어 둠으로써, 이후 행해지는 샴푸 행정에서 샴푸액을 포함하는 세정수의 분사에 의한 모공의 피지(皮脂) 오염의 세정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미스트의 분사에 의해, 릴렉세이션 효과를 피세발자에게 줄 수 있지만, 스캘프 케어 코스의 전반(前半)에 이 릴렉세이션 효과를 피세발자에게 줌으로써, 스캘프 케어 코스하는 동안, 피세발자를 릴렉스시킬 수 있다.
그런데, 전게(前揭) 도 14를 참조하여, 스텝 SB2의 미스트 행정이 종료한 후, 마이크로 컴퓨터(89)는 길들임 행정을 실행한다(스텝 SB3).
이 길들임 행정은 두부에 세정수가 분사되는 것에 대하여 피세발자에게 익숙함을 주어, 피세발자를 릴렉스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동작 행정이다.
길들임 행정에서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비교적 약한 분사압력으로 세정수를 분사시키면서,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를 매우 완만한 속도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피세발자에 대해, 마치 입수(入手)에 의해서 천천히 어루만져지는 것 같은 감각을 주어, 피세발자에게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스캘프 케어 코스가 개시된 직후의 행정인 길들임 행정에서, 이와 같이 완만한 속도로 각 노즐링크를 이동하면서 세정수를 분사시킴으로써, 피세발자를 놀래키는 일 없이, 기계로 세발되고 있다고 하는 감촉을 불식하여, 고급감을 낼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목용 노즐밸브(74) 등을 제어하여, 피세발자의 목에 대해 목용 노즐링크(80)로부터 세정수를 분사시킨다. 여기서, 분사되는 세정수는 온수로 한다. 이와 같이 피세발자의 목에 온수를 분사시킴으로써, 목의 혈류가 좋아져, 두부 전체의 긴장이 느슨하게 되어, 마사지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약세정 행정을 실행한다(스텝 SB4).
이 약세정 행정은 다음의 동작 행정인 제1 샴푸 행정의 전에, 샴푸액이나 컨디셔너액을 포함하지 않는 세정수(이하, 적절히 「헹굼수」라고 표현함)에 의해서, 머리카락에 부착한 오염을 어느 정도 흘리기 위한 동작 행정이다.
이 약세정 행정에서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어느 정도 강한 분사압력으로 세정수를 분사시키면서,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를 어느 정도 빠른 속도로 이동시킴으로써, 두부 및 머리카락의 전역에 헹굼수를 분사하고, 이것에 의해, 두부에 부착한 오염을 어느 정도 흘린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제1 샴푸 행정을 실행한다(스텝 SB5).
이 제1 샴푸 행정은 샴푸액을 포함한 세정수(이하, 적절히 「샴푸 세정수」라고 표현함)에 의해서 피세발자의 머리카락을 세발하는 행정이다.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샴푸용 펌프(38)를 제어하여, 세정수에 샴푸액을 혼입하여 샴푸 세정수를 생성한다.
제1 샴푸 행정에서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어느 정도 강한 분사압력으로 샴푸 세정수를 분사시키면서,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를 어느 정도 빠른 속도로 이동시킴으로써, 두부 및 머리카락의 전역에 샴푸 세정수를 분사하고, 이것에 의해, 두부의 전역에 샴푸 세정수를 널리 퍼지게 하여 두부의 전역을 세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는 동기하면서 속도를 바꾸어 이동을 하거나, 일정한 범위 이동한 후 일시 정지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반복이동하거나 등 복잡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하여, 두부의 소정의 부분에 집중적으로 샴푸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하거나, 각 노즐링크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왕복이동시키면서, 이동시키거나 함으로써, 두부의 세정의 효율화 및 두부의 세정 효과의 증대 및 마사지 효과의 향상을 실현하면서, 두부의 세발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것은 세정수의 분사를 수반하는 다른 동작 행정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제1 헹굼 행정을 실행한다(스텝 SB6).
이 제1 헹굼 행정은 제1 샴푸 행정에서 두부에 분사되고, 두부 및 머리카락에 잔류하는 샴푸 세정수를 헹궈 떨어뜨리기 위한 동작 행정이다.
제1 헹굼 행정에서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어느 계도 강한 분사압력으로 헹굼수를 분사시키면서,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를 어느 정도 빠른 속도로 이동시킴으로써, 두부 및 머리카락의 전역에 헹굼수를 분사하고, 이것에 의해, 두부 및 머리카락에 잔류하는 샴푸 세정수를 헹궈 떨어뜨린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제2 샴푸 행정을 실행한다(스텝 SB7).
이 제2 샴푸 행정은 제1 샴푸 행정 및 제2 헹굼 행정을 거쳐, 어느 정도 깨끗하게 된 두부에 대해, 다시, 세발을 실행함으로써, 보다 확실히 두부의 세발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동작 행정이다.
제2 샴푸 행정에서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어느 정도 강한 분사압력으로 샴푸 세정수를 분사시키면서,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 를 어느 정도 빠른 속도로 이동시킴으로써, 두부 및 머리카락의 전역에 샴푸 세정수를 분사하고, 이것에 의해, 두부의 전역에 샴푸 세정수를 널리 퍼지게 하여 두부의 전역을 세발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마무리 헹굼 행정을 실행한다(스텝 SB8).
이 마무리 헹굼 행정은 제2 샴푸 행정에서 두부에 분사되고, 두부 및 머리카락에 잔류하는 샴푸 세정수를 헹궈 떨어뜨리기 위한 동작 행정이다.
마무리 헹굼 행정에서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어느 정도 강한 분사압력으로 헹굼수를 분사시키면서,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를 어느 정도 빠른 속도로 이동시킴으로써, 두부 및 머리카락의 전역에 헹굼수를 분사하고, 이것에 의해, 두부 및 머리카락에 잔류하는 샴푸 세정수를 헹궈 떨어뜨린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마사지 행정을 실행한다(스텝 SB9).
이 마사지 동작은 피세발자에게 일정한 마사지 효과를 주는 것을 목적으로서 행해지는 동작이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89)는 각종의 밸브 등을 제어하여, 두정 마사지 노즐(150), 우측두 마사지 노즐(151) 및 좌측두 마사지 노즐(152)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고, 두정부 및 우측 두부에 세정수를 분사한다. 여기서, 분사되는 세정수는 온수로 한다. 이와 같이 피세발자의 두정부나, 측두부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온수를 분사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노즐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사시에 간헐적으로 세정수를 분사하거나, 또, 분사압력의 강약을 변경하면서 분사하거나 해도 된다. 이들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보다 높은 마사지 효과를 얻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와 협동하여, 미스트의 분무를 개시한다(스텝 SB10).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컨디셔닝 행정을 실행한다(스텝 SB11).
이 컨디셔닝 행정은 피세발자의 두부 및 머리카락에 컨디셔너액을 포함하는 세정수(이하, 적절히 「컨디셔너 세정수」라고 표현함)를 분사하여, 이른바 컨디셔닝을 행하기 위한 행정이다.
컨디셔닝 행정에서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어느 정도 강한 분사압력으로 컨디셔너 세정수를 분사시키면서,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를 어느 정도 빠른 속도로 이동시킴으로써, 두부 및 머리카락의 전역에 컨디셔너 세정수를 분사하고, 이것에 의해, 두부의 전역에 컨디셔너 세정수를 널리 퍼지게 하여 두부의 전역을 컨디셔닝한다.
또한, 스텝 SB10에서 미스트의 분무가 개시되어 있기 때문에, 이 컨디셔닝 행정은 미스트의 분무와 동시 병행적으로 실행된다.
여기서, 미스트를 피세발자의 두부에 분무한 경우, 머리카락의 큐티클(cuticle)이 열리는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스트의 분무와 컨디셔닝 행정이 동시 병행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미스트에 의한 큐티클의 개화와, 컨디셔너 세정수의 두부로의 분사를 동시에 행할 수 있어, 컨디셔닝에 의한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싱크(2)에서의 밀폐공간(8b)에 두부가 연장해 있고, 이 밀폐공간(8b)에서 두부에 대해서 각 노즐링크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며, 또, 이 밀폐공간(8b) 내에서 미스트를 분무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미스트의 분무와 컨디셔닝 행정을 동시 병행적으로 실행 가능하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최종 헹굼 행정을 실행한다(스텝 SB12).
이 최종 헹굼 행정은 컨디셔닝 행정에서 두부에 분사되고, 두부 및 머리카락에 잔류하는 컨디셔너 세정수를 가볍게 헹궈 떨어뜨리기 위한 동작 행정이다.
최종 헹굼 행정에서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비교적 약한 분사압력으로 헹굼수를 분사시키면서,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를 이동시킴으로써, 두부 및 머리카락의 전역에 헹굼수를 분사하고, 이것에 의해, 두부나 머리카락에 남는 컨디셔너 세정수를 가볍게 헹궈 떨어뜨린다.
또한, 스텝 SB10에서 미스트의 분무가 개시되어 있기 때문에, 이 최종 헹굼 행정은 미스트의 분무와 동시 병행적으로 실행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미스트를 분무한 경우, 피세발자를 릴렉스시킬 수 있지만, 최종 헹굼 행정 중에 미스트의 분무를 실행함으로써, 피세발자를 릴렉스시키면서, 최종 헹굼 행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싱크(2)에서의 밀폐공간(8b)에 두부가 연장해 있고, 이 밀폐공간(8b)에서 두부에 대해서 각 노즐링크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며, 또, 이 밀폐공간(8b) 내에서 미스트를 분무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미스트의 분무와 최종 헹굼 행정을 동시 병행적으로 실행 가능하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미스트의 분무를 정지하고(스텝 SB13), 스캘프 케어 코스의 실행을 종료한다(스텝 SB14).
이와 같이, 스캘프 케어 코스에서는 동작 행정의 최후에도 미스트의 분사가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미스트의 분사에 의해, 릴렉세이션 효과를 피세발자에게 줄 수 있지만, 스캘프 케어 코스의 후반(後半)에 미스트를 분사함으로써, 스캘프 케어 코스를 끝낸 피세발자를 릴렉스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피로를 완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헤어 케어 코스 I 또는 헤어 케어 코스 II의 실행시에서의 자동세발기(1) 및 미스트 발생장치(90)의 동작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헤어 케어 코스 I 또는 헤어 케어 코스 II의 실행시에서의 자동세발기(1) 및 미스트 발생장치(9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우선, 헤어 케어 코스 I 또는 헤어 케어 코스 II의 실행이 개시된다(스텝 SD1).
헤어 케어 코스 I 또는 헤어 케어 코스 11의 실행의 개시는 헤어 케어 스위치(239)가 조작됨으로써, 실행해야 할 운전코스로서 헤어 케어 코스 I 또는 헤어 케어 코스 II가 선택되고, 또한, 싱크(2) 내에 피세발자의 두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커버(8)가 닫힌 다음, 스타트/스톱 지시스위치(245)가 조작된 것을 트리거로서 행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싱크(2) 내에 피세발자의 두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커버(8)가 닫혔을 경우, 두부에 의해 두부 컷-아웃 부분(8a)이 폐색되고, 싱크(2)와 커버(8)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대략 밀폐된 밀폐공간(8b)(도 4)이 형성되며, 이 밀폐공간(8b)에 두부가 연장해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길들임 행정(스텝 SD2), 약세정 행정(스텝 SD3), 제1 샴푸 행정(스텝 SD4), 제1 헹굼 행정(스텝 SD5), 제2 샴푸 행정(스텝 SD6) 및 마무리 헹굼 행정(스텝 SD7)의 각 동작 행정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마사지 행정의 각 동작 행정을 실행함과 아울러(스텝 SD81), 마사지 행정의 실행의 도중부터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와 협동하여, 미스트의 분무를 개시한다(스텝 SD82).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선택된 운전코스가 헤어 케어 코스 I인지, 헤어 케어 코스 II인지를 판별한다(스텝 SD9).
선택된 운전코스가 헤어 케어 코스 I인 경우(스텝 SD9 : 헤어 케어 코스 I),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컨디셔닝 행정을 실행하고(스텝 SD11), 처리순서를 스텝 SD14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헤어 케어 코스 I에서는 미스트의 분무와 컨디셔닝 행정이 동시 병행적으로 행해진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서, 미스트를 피세발자의 두부에 분무한 경우, 머리카락의 큐티클이 열리는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헤어 케어 코스 I에서는 미스트의 분무와 컨디셔닝 행정이 동시 병행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미스트에 의한 큐티클의 개화와 컨디셔너 세정수의 두부로의 분사를 동시에 행할 수 있어, 컨디셔닝에 의한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운전코스가 헤어 케어 코스 II인 경우(스텝 SD9 : 헤어 케어 코스 II),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자동세발기(1)의 동작을 일시정지한다(스텝 SD12).
그리고, 이 일시정지 중에 유저(이 경우에서의 유저란, 피세발자에 대해서 두부의 트리트먼트 등의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간(미용사 등)을 가리키며, 자동세발기(1)를 동작시키는 인간과 다른 사람이라도 됨)는 자신의 손에 의해 피세발자의 두부를 트리트먼트하고, 당해 트리트먼트의 종료 후, 커버(8)를 닫고, 스타트/스톱 지시스위치(245)를 조작한다(스텝 SD13).
일시정지 후에, 스타트/스톱 지시스위치(245)가 조작된 것을 트리거로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처리순서를 스텝 SD14로 이행한다.
스텝 SD14에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미스트 행정을 실행한다. 또한, 이 스텝 SD14에서의 미스트 행정에서는, 도 15를 참조하고,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남은 시간이 없어진 경우라도(스텝 SC14 : 예), 스텝 SC15에서 미스트의 분무를 정지하는 일 없이, 미스트의 분무를 계속해서 행한다.
또, 도 15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 SD14에서의 미스트 행정의 실행 중, 미스트 장치에 어떠한 에러가 발생하고, 미스트의 공급을 할 수 없도록 하는 상황에 이르렀을 때에는 미스트 행정이 생략되어, 다음의 행정인 최종 헹굼 행정(스텝 SD15)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헤어 케어 코스 I에서는 컨디셔닝 행정의 후의 미스트 행정이 실행되고, 또, 헤어 케어 코스 II에서는 사람 손에 의한 트리트먼트의 후에 미스트 행정가 실행된다. 이것에 의해, 컨디셔닝 행정에서 분사된 컨디셔너의 성분이나 트리트먼트에서의 트리트먼트액의 성분이 미스트 행정에서의 미스트의 분무에 의한 큐티클의 개화에 수반하여, 보다 머리카락에 침투해, 컨디셔닝의 효과 및 트리트먼트의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최종 헹굼 행정을 실행한다(스텝 SD15).
또한, 스텝 SD14에서 미스트의 분무가 정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최종 헹굼 행정은 미스트의 분무와 동시 병행적으로 실행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미스트를 분무한 경우, 피세발자를 릴렉스시킬 수 있지만, 최종 헹굼 행정 중에 미스트의 분무를 실행함으로써, 피세발자를 릴렉스시키면서, 최종 헹굼 행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싱크(2)에서의 밀폐공간(8b)에 두부가 연장해 있고, 이 밀폐공간(8b)에서 두부에 대해서 각 노즐링크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며, 또, 이 밀폐공간(8b) 내에서 미스트를 분무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미스트의 분무와 최종 헹굼 행정을 동시 병행적으로 실행 가능하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와 협동하여, 미스트의 분무를 정지하고(스텝 SD16), 헤어 케어 코스 I 또는 헤어 케어 코스 II의 실행을 종료한다(스텝 SD17).
이와 같이, 헤어 케어 코스 II에서는 미스트의 분무의 직후에 유저(미용사 등)의 손 기술에 의한 트리트먼트를 행하고, 당해 트리트먼트의 직후에 미스트의 분무를 행한다는 동작이 가능하다. 한편으로, 유저(미용사 등)가 사람 손에 의해서 이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은 곤란했다.
이와 같이 미스트의 분무와 다른 동작을 연속해서 행할 수 있는 것은 미스트 발생장치에 접속된 자동세발기(1)에서 마이크로 컴퓨터(89)와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가 협동하여 미스트의 분무를 포함하는 각종 동작을 실행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것은 다른 운전코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세발기(1)는 피세발자의 두부를 수용하는 싱크(2)와, 이 싱크(2)에 수용된 두부를 향해서 세정수를 분사하는 상부 노즐링크(11), 하부 노즐링크(1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자동세발기(1)는 미스트를 발생하는 미스트 발생장치(90)와, 이 미스트 발생장치(90)가 발생한 미스트를 싱크(2)에 도입하는 미스트 반송관(91)을 구비하고 있고, 싱크(2) 내에서 미스트 반송관(91)의 단부에 형성된 미스트 토출구(102)를 노출시킨 다음, 미스트 반송관(91)에 배수트랩(92)이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미스트 토출구(102)가 싱크(2) 내에서 노출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싱크(2)에 수용된 두부에 대해서 미스트 토출구(102)로부터 직접 미스트가 분사 가능하며, 트리트먼트 효과나 릴렉세이션 효과 등이 경감되지 않는다. 그리고, 미스트 토출구(102)가 노출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미스트 토출구(102)로부터 미스트 반송관(91)에 역류수가 유입하게 되지만, 배수트랩(92)의 기능에 의해, 미스트 반송관(91)으로 유입한 역류수가 미스트 발생장치(90)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한 다음, 원활한 미스트의 공급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싱크(2)에 수용된 두부를 향하여 미스트를 분사 가능하도록 싱크(2) 내에서 미스트 토출구(102)가 노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스트 토출구(102)는 싱크(2)의 후부 측면(100)의 중앙 하부에서 그 개구가 노출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공기 중에서 상승하는 성질을 가지는 안개 상태의 미스트를 바람직하게 위쪽을 향한 자세의 피세발자의 두부의 전역에 널리 퍼지게 할 수 있다. 즉, 싱크(2)의 후부 측면(100)의 중앙 하부에 마련된 미스트 토출구(102)로부터 위쪽을 향한 자세의 피세발자의 후두부 부근에 미스트가 분사되면, 미스트가 상승하면서, 두부의 형상에 따라서 두부의 전역에 널리 퍼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싱크(2) 내에서 두부 지지 네트(70)에 피세발자의 후두부가 지지된 상태(도 2, 도 4도 아울러 참조)가 되지만, 이 경우, 두부 지지 네트(70)로부터 머리카락이 연직 아래쪽으로 늘어뜨려지게 된다. 그리고, 싱크(2)의 후부 측면(100)의 중앙 하부에 미스트 토출구(102)가 마련되고 있기 때문에, 연직 아래쪽으로 늘어뜨려지는 머리카락의 측방으로부터 늘어뜨려지는 머리카락의 전역에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고, 늘어뜨려지는 머리카락을 포함한 머리카락의 전역에 바람직하게 미스트를 널리 퍼지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스트 토출구(102)의 방향을 변경 가능하다.
여기서, 두부의 크기, 형상은 사람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미스트 토출관(101)에 형성된 미스트 토출구(102)의 최적한 방향은 사람에 따라 다르다. 그리고, 미스트 토출관(101)의 방향을 소정의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게 함으로써, 피세발자에 따라 미스트 토출구(102)의 방향을 최적으로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스트 토출관(101)을 파지하고 회동한다고 하는 매우 간이한 작업에 의해서, 미스트 토출관(101)의 미스트 토출구(102)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고, 또한, 단시간의 작업으로 해결되기 때문에, 피세발자 및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스트 발생장치(90)에 의한 미스트의 발생에 수반하여, 미스트 발생장치(90)의 내부에서 발생한 드레인수는 미스트 발생장치(90)에 접속된 드레인수 배출관(97)으로부터 미스트 발생장치(90)의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으로 되고, 또한, 이 드레인수 배출관(97)의 타단이 배수트랩 입구관(93)에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미스트 발생장치(90)로부터 배출된 드레인수는 적절히 배수트랩(92)에 공급되어, 보다 확실히 배수트랩(92)에서의 액체의 저장이 행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수트랩(92)의 출구 측을 싱크(2)의 배수관(30)에 접속하고 있다.
즉, 도 3 ~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트랩 출구관(98)의 타단은 배수관(30)에 접속되어 있고, 배수트랩(92)의 액체저장부(96)에서 소정의 수위를 넘어 배수트랩 출구관(98)으로 유입한 액체는 배수트랩 출구관(98)을 통하여 배수관(30)으로 유출하고, 배수관(30)을 통하여 기외로 배출된다. 즉, 미스트 반송관(91)으로 유입한 역류수나 미스트 발생장치(90)에 의한 미스트의 발생에 수반하여 발생한 드레인수는 기존의 배수관(30)을 통하여 기외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싱크(2)의 배수관(30)이라는 기존의 설비를 이용하여, 역류수나 드레인수를 기외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새로이 기외로 액체를 배출하는 기구를 마련한 경우와 비교하여, 비용의 삭감 및 제조 용이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세발기(1)는 싱크(2)에 피세발자의 두부를 수용했을 때에, 싱크(2) 내에 밀폐공간(8b)이 형성되고, 또한, 이 밀폐공간(8b)에 두부가 연장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세발기(1)에서는 밀폐공간(8b) 내에 연장해 있는 두부를 향해서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89)나, 구동모터(103), 각 노즐링크 등이 협동하여 분사부로서 기능함)와, 밀폐공간(8b) 내에 미스트를 분무하는 미스트 분무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스트 발생장치(90)와, 미스트 토출구(102)와, 미스트 반송관(91)이 협동하여, 미스트 분무부로서 기능함)를 마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밀폐공간(8b) 내에서 두부에 대해서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두부의 세정을 자동으로 행한다는 자동세발기(1)의 특정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미스트의 분무가 가능하게 된다. 즉, 자동세발기(1)에서는 각 노즐링크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여, 피세발자의 두부를 세발한다는 성질상, 싱크(2)에 밀폐공간(8b)을 형성하고, 이 밀폐공간(8b)에 피세발자의 두부를 연장시켜 둔 다음, 밀폐공간(8b) 내에서 각 노즐링크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여 두부를 세발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밀폐공간(8b)을 이용하여 밀폐공간(8b) 내에 미스트를 충만시킴으로써, 피세발자의 두부에 대해서 미스트를 분무하고 있기 때문에, 밀폐공간(8b)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미스트의 분무를 실현할 수 있으며, 또한, 피세발자의 두부에 대해서 확실히 미스트를 접촉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세정수의 분사와 미스트의 분무가 연동하여 실행되도록 자동세발기(1)의 각부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세정수의 분사 후에 미스트를 분무하거나, 또, 미스트를 분무한 후에 세정수를 분사하거나 할 수가 있고, 세정수의 분사의 타이밍과의 관계에서 보다 미스트의 분무에 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타이밍으로 미스트의 분무를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세정수의 두부로의 분사와 미스트의 분무를 동시에 실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5를 참조하여, 미스트 행정에서는 미스트의 분무와 마사지 동작에 수반하는 각 노즐링크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사가 동시 병행적으로 행해진다.
또, 도 14를 참조하여, 스캘프 케어 코스에서는 미스트의 분무와 컨디셔닝 행정 및 최종 헹굼 행정이 동시 병행적으로 실행된다.
또, 도 16을 참조하여, 헤어 케어 코스 I에서는 미스트의 분무와 컨디셔닝 행정 및 최종 헹굼 행정이 동시 병행적으로 실행되며, 헤어 케어 코스 II에서는 미스트의 분무와 유저의 손에 의한 피세발자로의 트리트먼트 및 최종 헹굼 행정이 동시 병행적으로 실행된다.
세정수의 두부로의 분사와 미스트의 분무와의 동시 병행적인 실행은 싱크(2)에서의 밀폐공간(8b)에 두부가 연장해 있고, 이 밀폐공간(8b)에서 두부에 대해서 각 노즐링크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며, 또, 이 밀폐공간(8b) 내에서 미스트를 분무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가능한 동작이다.
그리고, 미스트의 분무와 세정수의 분사를 동시 병행적으로 행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미스트에 의한 릴렉세이션 효과, 트리트먼트 효과 및 미스트에 의한 모공의 개화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릴렉세이션 효과나, 트리트먼트 효과, 세정 효과, 마사지 효과 등을 피세발자에게 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세발기(1)는 세정수의 분사를 수반하는 동작 행정(예를 들면, 제1 샴푸 행정이나, 제1 헹굼 행정, 컨디셔닝 행정 등) 및 미스트의 분무를 수반하는 미스트 행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의 행정이 소정의 순서로 늘어 놓인 운전코스(스캘프 케어 코스나, 헤어 케어 코스 I, 헤어 케어 코스 II)를 실행하는 것을 지시하는 조작패널(60)(지시부)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어느 하나의 운전코스의 실행이 지시된 경우, 당해 운전코스에서의 각 행정의 순서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으로 세정수의 분사와 미스트의 분무가 실행되도록 자동세발기(1)의 각부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하면, 운전코스를 실행함으로써, 피세발자에 대해서 미스트의 분무에 의한 릴렉세이션 효과나, 마사지 효과를 주면서, 세정수의 분사에 의해 피세발자의 두부를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세발기(1)는 샴푸액이 혼입한 세정수를 분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캘프 케어 코스에서는 샴푸액이 혼입한 세정수의 분사를 수반하는 샴푸 행정보다도 미스트의 분무를 수반하는 미스트 행정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각 행정의 순서가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미스트를 피세발자의 두부에 분무한 경우, 두부의 모공이 열리는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샴푸 행정보다 먼저 미스트 행정을 실행하고, 이 행정에서 두부의 모공을 열어 둠으로써, 이후 행해지는 샴푸 행정에서 샴푸액을 포함하는 세정수의 분사에 의한 모공의 피지 오염의 세정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세발기(1)는 컨디셔너액이 혼입한 세정수를 분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캘프 케어 코스나, 헤어 케어 코스 I, 헤어 케어 코스 II에서는 컨디셔너액이 혼입한 세정수의 분사를 수반하는 컨디셔닝 행정의 실행 중에 미스트의 분무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미스트를 피세발자의 두부에 분무한 경우, 머리카락의 큐티클이 열리는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미스트의 분무와 컨디셔닝 행정을 동시 병행적으로 실행함으로써, 미스트에 의한 큐티클의 개화와 컨디셔너 세정수의 두부에의 분사를 동시에 행하게 되어, 컨디셔닝에 의한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헤어 케어 코스 I에서는 컨디셔닝 행정의 후의 미스트 행정이 실행되며, 또, 헤어 케어 코스 II에서는 사람 손에 의한 트리트먼트의 후에 미스트 행정이 실행된다. 이것에 의해, 컨디셔닝 행정에서 분사된 컨디셔너의 성분이나, 트리트먼트에서의 트리트먼트액의 성분이 미스트 행정에서의 미스트의 분무에 의한 큐티클의 개화에 수반하여, 보다 머리카락에 침투해, 컨디셔닝의 효과 및 트리트먼트의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
마이크로 컴퓨터(89)는 미스트 발생장치(90)를 제어하는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이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160)와 연계하여, 세정수의 분사와 미스트의 분무가 연동하여 실행되도록 자동세발기(1)의 각부 및 미스트 발생장치(90)의 각부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자동세발기(1)와 미스트 발생장치(90)가 별체라도,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세정수의 분사와 미스트의 분무를 연동시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세발기(1)는 두부가 다른 부위에 각각 세정수를 분사하는 상부 노즐링크(11), 하부 노즐링크(12)를 구비하고, 이들 노즐링크의 각각을 단일의 스텝핑 모터(191)에 접속된 동력전달기구(201)를 통하여 동기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단일의 스텝핑 모터(191)에 접속된 동력전달기구(201)를 통하여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의 각각의 노즐링크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들 노즐링크를 동기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노즐링크마다 스텝핑 모터(191)를 마련하고, 각 스텝핑 모터(191)를 제어함으로써, 각 노즐링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스텝핑 모터(191)의 대수가 적게 되어, 제조 비용의 삭감을 실현할 수 있고, 또,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간이화하여, 제조 용이성이 향상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세발기(1)는 싱크(2)에 수용된 두부의 두정부에 대응하는 두정위치(T1)로부터 후두부에 대응하는 후두위치(T2)까지의 사이를 반복 가능하게 구성된 상부 노즐링크(11)와, 싱크(2)에 수용된 두부로부터 늘어뜨려지는 머리카락에 대응하는 머리카락 위치(T3)로부터 목에 대응하는 목위치(T4)까지의 사이를 반복 가능하게 구성된 하부 노즐링크(12)를 구비하고, 상부 노즐링크(11)가 두정위치(T1)로부터 후두위치(T2)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동기하여 하부 노즐링크(12)가 머리카락 위치(T3)로부터 목위치(T4)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또한, 상부 노즐링크(11)가 후두위치(T2)로부터 두정위치(T1)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동기하여 하부 노즐링크(12)가 목위치(T4)로부터 머리카락 위치(T3)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상부 노즐링크(11)가 세정수를 분사하면서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하부 노즐링크(12)가 세정수를 분사하면서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등,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에 대한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의 각각의 이동 방향이 다른 경우,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의 각각이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에 대해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부터 피세발자의 두부 및 머리카락에 대해서 세정수를 분사하게 되어, 머리카락이 얽힌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노즐링크(11)와 하부 노즐링크(12)가 동기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에 대한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의 각각의 이동 방향이 항상 일치하여, 머리카락이 얽힌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의 이동 중, 이들 노즐링크가 확실히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력전달기구(201)는 스텝핑 모터(191)의 구동에 따라서 회전하는 하부 기어(193), 상부 기어(196)를 구비하고, 스텝핑 모터(191)의 구동에 수반하는 이들 기어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부 노즐링크(11)와 하부 노즐링크(12)를 동기하여 이동시킬 수 있어, 정확한 위치결정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력전달기구(201)가 하부 기어(193), 상부 기어(196)를 구비함으로써, 이들 기어를 통하여 적절히 스텝핑 모터(191)의 회전구동력을 상부 노즐링크(11), 하부 노즐링크(12)에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노즐링크(11)와, 하부 노즐링크(12)를 반대 방향으로 동기하여 회동시킬 필요가 있지만, 하부 기어(193) 및 상부 기어(196)를 치합시킨 다음, 하부 기어(193)의 회전에 따라 하부 노즐링크(12)가 회동하고, 상부 기어(196)의 회전에 따라 상부 노즐링크(11)가 회동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적절하고 또한 확실하게 상부 노즐링크(11)와 하부 노즐링크(12)를 반대 방향으로 동기하여 회동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기어(196)에 기어위치 검지스위치(200)를 마련하고, 기어위치 검지스위치(200)의 검출값에 근거하여,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스텝핑 모터(191)의 구동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노즐링크(11)가 두정위치(T1)를 넘어 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부 기어(196)가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상부 기어(196)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는 마그넷에 의해, 기어위치 검지스위치(200)의 접점이 도통하며, 마이크로 컴퓨터(89)의 소정의 포트에 그 취지의 신호가 출력된다. 당해 신호가 입력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스텝핑 모터(191)의 구동을 정지하고, 이것에 의해, 상부 노즐링크(11)가 두정위치(T1)를 넘어 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과 동시에, 상부 노즐링크(11)와 동기하여 움직이는 하부 노즐링크(12)가 머리카락 위치(T3)를 넘어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상부 노즐링크(11)가 후두위치(T2)를 넘어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부 기어(196)가 화살표 Y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상부 기어(196)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는 마그넷에 의해, 기어위치 검지스위치(200)의 접점이 도통하며, 마이크로 컴퓨터(89)의 소정의 포트에 그 취지의 신호가 출력된다. 당해 신호가 입력된 마이크로 컴퓨터(89)는 스텝핑 모터(191)의 구동을 정지하고, 이것에 의해, 상부 노즐링크(11)가 후두위치(T2)를 넘어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과 동시에, 상부 노즐링크(11)와 동기하여 움직이는 하부 노즐링크(12)가 목위치(T4)를 넘어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력전달기구(201)를 싱크(2)의 좌측면(190)에 마련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반인 하부 기어(193) 및 상부 기어(196)의 면이 싱크(2)의 좌측면(190)에 따른 상태가 되도록 동력전달기구(201)를 싱크(2)의 좌측면(190)에 마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동력전달기구(201)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어, 싱크(2)의 좌측면(190)의 왼쪽에 형성된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하여, 바람직하게 동력전달기구(201)를 수납할 수 있고, 또한, 자동세발기(1)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하부 기어(193) 및 풀리(197)의 출력축을 상부 노즐링크(11) 및 하부 노즐링크(12)의 회전축과 바람직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자동세발기(1)는 상부 노즐링크(11)와 하부 노즐링크(12)를 구비하고, 이들이 협동하는 구성이었지만, 노즐링크의 수나, 형상은 실시형태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싱크(2) 내에 미스트를 공급하는 자동세발기(1)에 넓게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세발기(301)는 약제분사기구(390)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세발기(1)와 물리적인 구성상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도 17에서 301은 자동세발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자동세발기(301)는 피세발자의 두부를 수용하기 위한 싱크(302)와, 싱크(302)를 보유지지하는 싱크 보유지지대(303)와, 싱크 보유지지대(303)의 전방에 배치되고, 피세발자가 앉기 위한 의자(304)와, 의자(304)를 보유지지하는 의자 보유지지대(305)를 구비하고 있다.
싱크(302)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면에 개구를 가지는 사발 모양의 부재이다. 싱크(302)의 앞쪽에는 위쪽을 향한 자세의 피세발자의 목을 싱크(302)의 내측에 임하게 한 상태로 하고, 피세발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두부 지지 네트(370)가 배치되어 있다. 또, 싱크(302)의 앞쪽의 벽부(302A)에는 의자(304)에 앉은 상태에서 피세발자가 위로 향하고, 두부 지지 네트(370)에 후두부를 얹은 상태에서 목을 얹을 수 있는 목받침(307)이 배치되어 있다. 싱크(302)의 상면의 개구는 커버(308)에 의해 덮힐 수 있다. 커버(308)는 그 후단이 연결부(309)를 통하여 싱크(302)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고, 연결부(309)를 중심으로 하여 연직면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세발시 등에는 커버(308)를 연 상태에서 의자(304)에 앉아 있는 피세발자의 목을 목받침(307)에 얹은 후, 커버(308)를 닫음으로써, 피세발자의 두부를 싱크(302) 내에 수용할 수 있다.
싱크(302) 내에는 피세발자의 두부 및 머리카락을 향해서 제액 또는 세정수를 분사하기 위한 상부 노즐링크(311) 및 하부 노즐링크(3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액이란, 샴푸액 또는 컨디셔너액이 혼입된 액체를 가리키며, 세정수란, 샴푸액 및 컨디셔너액을 포함하는 약제가 조금도 혼입되어 있지 않은 액체(물)를 가리키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들 제액과 세정수를 명확하게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적절히 「세정수」라고 표현하는 것으로 한다.
상부 노즐링크(311)는 피세발자의 두부에 따르도록 도시 위치에서 위로 볼록한 대략 원호 모양으로 만곡하고, 소정간격으로 노즐을 가지는 관 모양의 부재로서, 그 좌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편지지로 지지되어 있으며, 피세발자의 두부를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한다.
하부 노즐링크(312)는 피세발자의 머리카락을 둘러싸도록 도시 위치에서 왼쪽으로 볼록한 대략 활 형상으로 만곡하고, 소정간격으로 노즐을 가지는 관 모양의 부재로서, 그 좌단부가 상부 노즐링크(311)보다도 아래쪽에서 회전 가능하게 편지지로 지지되어 있다. 이 하부 노즐링크(312)는 후방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후방 측에 늘어뜨려진 피세발자의 머리카락(상상선으로 나타낸다.)을 세정한다. 또, 싱크(302) 내에는 위쪽을 향한 자세의 피세발자의 목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는 목용 노즐링크(380)가 배치되어 있다.
상하 노즐링크(311, 312) 및 목용 노즐링크(380)에는 각각 복수의 노즐이 구비되어 있고, 세발시에는 상하 노즐링크(311, 312) 및 목용 노즐링크(380) 내에 보내져 온 제액이나 세정수가 각 노즐로부터 분사된다. 상하 노즐링크(311, 312)는 회동하고, 목용 노즐링크(380)는 고정이다. 각 노즐로부터 제액이나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피세발자의 두부 및 머리카락의 전체를 세정할 수 있다. 싱크(302) 내의 뒤쪽 상부에는 핸드샤워(313)가 배치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미용실의 종업원 등)는 핸드샤워(313)의 우측에 배치된 콕(314)를 돌림으로써, 핸드샤워(313)로부터 방수하는 수량을 조절하여 수동으로 세발할 수 있다.
자동세발기(301)에서 사용하는 물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외의 수도설비 및 급탕설비(도시생략)로부터 믹싱밸브(315) 및 급수관(316)을 통하여 기내에 공급된다. 믹싱밸브(315)에는 수도설비로부터 물공급부(317)를 통하여 물이 공급됨과 아울러, 급탕설비로부터 탕공급부(318)를 통하여 뜨거운 물이 공급된다. 믹싱밸브(315)는 물공급부(317) 및 탕공급부(318)로부터 공급되는 물 및 뜨거운 물을 혼합하여, 온수로 하여 급수관(316)으로 송출하기 위한 것이다. 급수관(316) 내의 도중부에는 믹싱밸브(315)로부터 송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써미스터(319)가 배치되어 있다. 써미스터(319)의 검지결과에 근거하여 모터(320)가 구동됨으로써, 믹싱밸브(315)가 개폐되어 물과 뜨거운 물과의 혼합비율이 조정되어 설정온도의 온수가 생성된다. 믹싱밸브(315)는 모터(320)로 조정되는 전동타입이다. 모터(320)는 DC모터 또는 직류전동기이며, 브러쉬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 싱크(302)의 측방에는 조작패널(360)(도 18)이 마련되어 있고, 설정온도는 오퍼레이터(유저)가 조작패널(360)을 조작함으로써 결정된다. 급수관(316)은 도중부(써미스터(319)보다도 하류 측)로부터 핸드샤워용 급수관(321)과 저탕(貯湯)용 급수관(322)으로 분기하고 있다. 핸드샤워용 급수관(321)은 콕(314)에 의해서 개폐 가능한 핸드샤워용 밸브(323)를 통하여 핸드샤워(313)에 연통하고 있다. 한편, 저탕용 급수관(322)은 급탕밸브로서의 저탕밸브(324)를 통하여 저탕탱크(325) 내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저탕탱크(325)의 내부에는 당해 저탕탱크(325)에 모여 있는 온수의 수위를 검지하기 위한 제1 수위센서(326) 및 제2 수위센서(327)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저탕탱크(325) 내의 온수가 사용되고, 소정의 최저 수위에 도달한 것이 제2 수위센서(327)에 의해 검지된 경우에는 저탕밸브(324)가 열려, 저탕탱크(325) 내에 온수가 공급된다. 그 후, 저탕탱크(325) 내의 온수가 소정의 최고 수위에 도달한 것이 제1 수위센서(326)에 의해 검지되면, 저탕밸브(324)가 닫혀져 온수의 공급이 정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저탕탱크(325) 내에는 최저 수위와 최고 수위와의 사이에서 항상 온수가 모인 상태로 되어 있다.
저탕탱크(325)의 상부(제1 수위센서(326)보다도 위쪽)에는 제1 수위센서(326)의 고장 등에 기인하여 저탕탱크(325) 내에 최고 수위 이상의 온수가 공급된 경우에, 그 여분의 온수를 저탕탱크(325)의 외부로 넘쳐 나오게 하기 위한 일수구(328)가 형성되어 있다. 일수구(328)로부터 넘쳐 나온 온수는 오버플로우 탱크(329)에 의해서 받아지고, 이 오버플로우 탱크(329)에 연통하는 배수관(330)을 통과하여 기외로 배출된다. 오버플로우 탱크(329) 내에는 오버플로우 센서(331)가 배치되고, 예를 들어 배수관(330)이 막혀 오버플로우 탱크(329) 내의 수위가 최고 수위에 도달한 것이 오버플로우 센서(331)에 의해서 검지된 경우에는, 자동세발기(301)의 운전이 정지된다.
저탕탱크(325)의 최하부에는 일단이 메인펌프(332)에 접속된 흡입관(333)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메인펌프(332)는 인버터(364)(도 22)로부터 교류전류가 공급됨으로써 구동되며, 흡입관(333)을 통하여 저탕탱크(325) 내의 온수를 흡입하는 것이다. 흡입관(333)의 도중에는 샴푸액이 수용된 샴푸 용기(334)에 이르는 샴푸 공급관(335)과, 컨디셔너액이 수용된 컨디셔너 용기(336)에 이르는 컨디셔너 공급관(337)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컨디셔너 용기(336)에는 트리트먼트액이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샴푸 공급관(335) 및 컨디셔너 공급관(337)의 도중부에는 각각 샴푸용 펌프(338) 및 컨디셔너용 펌프(339)가 구비되어 있고, 샴푸용 펌프(338) 및 컨디셔너용 펌프(339)의 작동에 의해, 흡입관(333) 내를 통과하는 온수에 샴푸액 및 컨디셔너액의 혼입량을 적당히 조정함으로써, 메인펌프(332)에는 그 때 사용해야 할 세정수가 길러 담게 된다.
흡입관(333)으로부터 메인펌프(332) 내로 흡입된 세정수는 복수(예를 들어, 4개)의 분로를 가지는 송수관(340)으로 송출된다. 송수관(340) 내에는 필터(341)가 마련되어 있고, 그 하류 측의 4개의 분로에는 상부 노즐밸브(342), 하부 노즐밸브(343), 목용 노즐밸브(374), 배수밸브(344)의 4개의 밸브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노즐밸브(342), 하부 노즐밸브(343), 목용 노즐밸브(374) 및 배수밸브(344)가 마련된 4개의 분로에는 각각 분기로(346, 347, 375, 348)가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다. 상부 노즐밸브(342)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된 분기로(346)의 종단은 상부 노즐링크(311)에 접속되며, 하부 노즐밸브(343)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된 분기로(347)의 종단은 하부 노즐링크(312)에 접속되며, 목용 노즐밸브(374)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된 분기로(375)의 종단은 목용 노즐링크(380)에 접속되어 있다.
싱크(302)의 저면에는 당해 싱크(302) 내에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50)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출구(350)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트랩(351)을 통하여 배수관(330)에 연통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싱크(302)의 배출구(350)로부터 배출된 물은 배수관(330)을 통과하여 기외로 배수되도록 되어 있다. 배수밸브(344)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된 분기로(348)의 종단은 배수트랩(351)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세발기(301)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멘톨계의 약제를 싱크(302)에 수용된 피세발자의 두부에 분사하는 약제분사기구(390)를 구비하고 있다.
약제분사기구(390)는 멘톨계의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수용용기(391)와, 이 약제수용용기(391)에 약제 반송관(392)을 통하여 접속되며, 약제수용용기(391)에 수용된 약제를 피세발자의 두부에 분사하는 약제 분사노즐(393)을 구비하고 있다. 약제 반송관(392)에는 약제 공급용 펌프(394)와, 약제 노즐밸브(395)가 순차 접속되어 있다. 멘톨계의 약제를 피세발자의 두부에 분사할 때에는 약제 노즐밸브(395)가 열린 상태가 됨과 아울러, 약제 공급용 펌프(394)가 구동하여, 약제수용용기(391)에 수용된 멘톨계의 약제가 약제 반송관(392)을 통하여 약제 분사노즐(393)로 반송되고, 약제 분사노즐(393)로부터 피세발자의 두부를 향해서 분사된다.
멘톨계의 약제가 두부에 분사된 경우, 피세발자에게 상쾌감, 청량감을 줄 수 있어, 피세발자의 쾌적성이 향상한다.
도 20은 두부 지지 네트(370) 및 목용 노즐링크(380)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목용 노즐링크(380)는, 도 2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M'자 모양으로 굽혀진 관 모양의 부재로서, 2개의 모서리부에 브래킷(381, 381)이 용접으로 고정되고, 이 브래킷(381, 381)을 통하여 싱크(302)의 앞쪽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다. 목용 노즐링크(380)의 수평부(382)는 피세발자의 목의 형상에 따라 아래로 볼록하게 만곡하고 있고, 상부의 중앙 가까이에는 적절한 간격을 두고, 3개의 노즐(383, 383, 383)이 장착되어 있다. 또, 수평부(382)에는, 도 2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수평부(382)에 직교하고, 싱크(302)의 내측을 향하여 대략 수평으로 연장하는 2개의 지지봉(384)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2개의 지지봉(384)에는 두부 지지 네트(370)의 양단의 지지부(371)가 지지되어 있다.
두부 지지 네트(370)는 수지성형부재이며, 도 21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양단에 지지봉(384)이 끼워지는 지지부(371)를 가지고 있다. 이 두부 지지 네트(370)는 피세발자의 후두부 정점에 대응하는 중앙부(372) 가까이의 그물눈(372A)이 크고, 양단의 지지부(371)에 가까워질수록 그물눈(371A)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 두부 지지 네트(370)는, 도 18을 참조하여, 상부 노즐링크(311) 및 하부 노즐링크(312)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 즉 각 링크(311, 312)의 궤적을 회피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노즐링크(311) 및 하부 노즐링크(312)는 모두 편지지로 지지한 상태에서 동기하여 반복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8의 (B)를 참조하여, 상부 노즐링크(311)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고, 도 18의 (B)에 나타내는 두정위치(T1)로부터 회전하여, 후두위치(T2)에 이르러, 그곳으로부터 화살표 E방향으로 역회전하여 두정위치(T1)로 돌아온다고 하는 반복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부 노즐링크(311)가 두정위치(T1)에 있는 경우, 상부 노즐링크(311)에 형성된 각 노즐의 각각으로부터 화살표 Y1방향으로 세정수가 분사되고, 이것에 의해, 피세발자의 두정부 부근에 세정수가 분사되게 된다. 또, 상부 노즐링크(311)가 후두위치(T2)에 있는 경우, 상부 노즐링크(311)에 형성된 각 노즐의 각각으로부터 화살표 Y2방향으로 세정수가 분사되며, 이것에 의해, 피세발자의 후두부 부근에 세정수가 분사되게 된다.
한편, 하부 노즐링크(312)는 회전축 B를 중심으로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고, 도 18의 (B)에 나타내는 머리카락 위치(T3)로부터 회전하여, 목위치(T4)에 이르러, 그곳으로부터 화살표 F방향으로 역회전하여 머리카락 위치(T3)로 돌아온다고 하는 반복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하부 노즐링크(312)가 머리카락 위치(T3)에 있는 경우, 하부 노즐링크(312)에 형성된 각 노즐의 각각으로부터 화살표 Y3방향으로 세정수가 분사되어, 피세발자의 늘어뜨려진 머리카락에 세정수가 분사되게 된다. 또, 하부 노즐링크(312)가 목위치(T4)에 있는 경우, 하부 노즐링크(12)에 형성된 각 노즐의 각각으로부터 화살표 Y4방향으로 세정수가 분사되어, 피세발자의 목 부근에 세정수가 분사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기구에 의해, 상부 노즐링크(311) 및 하부 노즐링크(12)는 이하의 같이 동기하여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도 18의 (B)를 참조하여, 상부 노즐링크(311)가 두정위치(T1)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하부 노즐링크(312)가 머리카락 위치(T3)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노즐링크(311)가 두정위치(T1)에 위치하고, 하부 노즐링크(312)가 머리카락 위치(T3)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 상부 노즐링크(311)가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면, 하부 노즐링크(312)도 동기하여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며, 상부 노즐링크(311)가 후두위치(T2)에 이르렀을 때에 대략 동시에 하부 노즐링크(312)가 목위치(T4)에 이른다. 또한, 상부 노즐링크(311)가 후두위치(T2)에 이르고, 하부 노즐링크(312)가 목위치(T4)에 이른 후에는, 이들 노즐링크의 각각은 반전하여 이동한다. 즉, 상부 노즐링크(311)가 후두위치(T2)에, 하부 노즐링크(312)가 목위치(T4)에 있는 것으로 하여, 상부 노즐링크(311)가 화살표 C와 역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면, 하부 노즐링크(312)도 동기하여 화살표 D와 역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고, 상부 노즐링크(311)가 두정위치(T1)에 이르렀을 때에 동시에 하부 노즐링크(312)가 머리카락 위치(T3)에 이른다.
여기서, 예를 들면, 상부 노즐링크(311)가 세정수를 분사하면서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하부 노즐링크(312)가 세정수를 분사하면서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등,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에 대한 상부 노즐링크(311) 및 하부 노즐링크(312)의 각각의 이동 방향이 다른 경우, 상부 노즐링크(311) 및 하부 노즐링크(312)의 각각이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에 대해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부터 피세발자의 두부 및 머리카락에 대해서 세정수를 분사하게 되어, 머리카락이 얽힌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노즐링크(311)와 하부 노즐링크(312)가 동기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에 대한 상부 노즐링크(311) 및 하부 노즐링크(312)의 각각의 이동 방향이 항상 일치하여, 머리카락이 얽힌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노즐링크(311) 및 하부 노즐링크(312)의 이동 중, 이들 노즐링크가 확실히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389)의 제어하에서, 상부 노즐링크(311) 및 하부 노즐링크(312)는 동기하면서 속도를 바꾸고 이동을 하거나, 일정한 범위 이동한 후 일시정지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반복이동하거나 등, 복잡한 이동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구성에 의해 싱크(302) 내의 두부 지지 네트(370)에 피세발자의 두부를 위치시켰을 때에, 그 목이 싱크(302)의 내측에 임한다. 그리고, 이 피세발자의 목을 향하여 목용 노즐링크(380)로부터 세정수가 분사되기 때문에, 상부 노즐링크(311) 및 하부 노즐링크(312)의 동작과 어울려, 목을 포함한 대략 완전한 자동세발이 가능하게 된다. 또, 두부 지지 네트(370)는 각 노즐링크(311, 312)의 이동 궤적을 피하도록 배치했기 때문에, 두부 지지 네트(370)가 노즐링크(311, 312)의 동작의 지장이 되지 않고,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두부의 지지부가 네트(370)로 형성됨으로써, 각 노즐링크(311, 312)로부터의 세정수가 피세발자의 후두부에 널리 퍼지기 쉬워진다. 또, 두부 지지 네트(370)의 양단의 지지부(371)가 목용 노즐링크(380)의 지지봉(384)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두부 지지 네트(370)를 장착하기 위해서, 일부러 싱크(302)에 추가가공 등을 할 필요가 없이, 간이한 장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목용 노즐링크(380)는 양단이 싱크(302)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목용 노즐링크(380)의 주위에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어, 핸드샤워(313)에 의한 세발을 행할 때에, 목용 노즐링크(380)가 방해가 되지 않고 세발시의 손의 움직임이 저해되지 않는다. 또, 두부 지지 네트(370)와 목용 노즐링크(380)는 피세발자의 목 아래쪽에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도 좌우의 세발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두부 지지 네트(370)는 후두부 정점에 대응하는 중앙부(372)의 그물눈이 커지기 때문에 각 노즐링크(311, 312)로부터의 세정수가 후두부 정점의 근방에 널리 퍼지기 쉽고, 양단의 지지부(371)에 가까워질수록 그물눈이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부(371) 가까이의 강도가 높아져, 지지의 강도가 향상한다.
도 22는 자동세발기(301)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자동세발기(301)의 동작은 마이크로 컴퓨터(389)에 의해 제어된다. 마이크로 컴퓨터(389)에는 제1 수위센서(326), 제2 수위센서(327), 오버플로우 센서(331), 제1 써미스터(319) 외에, 당해 자동세발기(301)의 동작내용을 설정 조작하기 위한 조작패널(360)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게 되어 있다.
또, 마이크로 컴퓨터(389)에는 모터(320), 저탕밸브(324), 샴푸용 펌프(338), 컨디셔너용 펌프(339), 상부 노즐밸브(342), 하부 노즐밸브(343), 목용 노즐밸브(374), 배수밸브(344), 약제 공급용 펌프(394) 및 약제 노즐밸브(395) 등이 제어대상으로서 접속되어 있다. 모터(320)에는 믹싱밸브(315)가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모터(320)를 구동제어하여 믹싱밸브(315)를 개폐시킴으로써, 급수관(316)으로 보내지는 온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389)에는 메인펌프(332)에 교류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메인펌프(332)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의 토출압력을 제어하는 인버터(364)가 접속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펌프(332)로부터 토출된 세정수는 상부 노즐밸브(342), 하부 노즐밸브(343)를 통하여, 상부 노즐링크(311), 하부 노즐링크(312)의 노즐로부터 분사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인버터(364)를 제어함으로써, 각 노즐링크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마이크로 컴퓨터(389)에는 상부 노즐링크(311) 및 하부 노즐링크(312)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구동모터(398)가 접속되어 있다. 구동모터(398)는 스텝핑 모터에 의해서 구성되며, 마이크로 컴퓨터(389)로부터 입력된 구동신호에 근거하여, 도시하지 않는 구동기구를 통하여 상부 노즐링크(311) 및 하부 노즐링크(312)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구동모터(398)를 제어함으로써, 상부 노즐링크(311) 및 하부 노즐링크(312)의 이동속도를 변경하거나 이들 상하 노즐링크(311, 312)를 일시정지하거나 하는 등, 이들 상하 노즐링크(311, 312)에 복잡한 이동을 시킬 수 있다. 자동세발기(301)의 자동세발시에서의 상부 노즐링크(311) 및 하부 노즐링크(312)의 움직임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3은 자동세발기(301)의 자동세발시에서의 기본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세발기(301)는 자동세발을 행할 때, 릴렉세이션 공정, 제1 헹굼 공정, 샴푸 공정, 제2 헹굼 공정, 컨디셔너 공정, 제3 헹굼 공정, 멘톨약제 분사공정 및 제4 헹굼 공정의 각 공정을 순차 실행한다. 이하, 각 공정에서의 자동세발기(301)의 동작을 도 24 ~ 도 2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적으로, 두부를 따라서 두정부로부터 목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을 아래쪽 방향이라고 하고, 역으로 향하는 방향을 위쪽 방향으로 한다. 환언하면, 상부 노즐링크(311)에 대해서 두정위치(T1)로부터 후두위치(T2)로 향하는 방향이 아래쪽 방향이며, 그 역으로 향하는 방향이 위쪽 방향이다. 또, 하부 노즐링크(312)에 대해서 머리카락 위치(T3)로부터 목위치(T4)로 향하는 방향이 아래쪽 방향이며, 그 역으로 향하는 방향이 위쪽 방향이다. 피세발자의 두부에서는 아래쪽 방향을 향하여 머리카락이 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노즐링크(311)와 하부 노즐링크(312)와는 동기하여 움직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쪽의 노즐링크의 움직임만을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노즐링크(311) 및 하부 노즐링크(312)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압력은 가장 낮은 레벨 1로부터 가장 높은 레벨 12까지의 12단계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4의 (A)는 릴렉세이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릴렉세이션 공정은 피세발자의 두부에 대해 처음으로 세정수가 분사되는 공정이며, 두부에 세정수가 분사되는 것에 대하여 피세발자에 익숙함을 주어, 피세발자를 릴렉스시키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릴렉세이션 공정에서는 분사압력의 레벨의 평균값이 후술하는 샴푸 공정이나 컨디셔너 공정에서의 분사압력의 평균값보다 낮게 되도록 분사압력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샴푸공정에서의 분사압력의 레벨의 평균값이 레벨 9이며, 컨디셔너 공정에서의 분사압력의 레벨의 평균값이 레벨 8인 한편, 릴렉세이션 공정에서의 분사압력의 레벨의 평균값은 레벨 6 정도이다.
우선 도 24의 (A)의 A1을 참조하여,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구동모터(398) 등을 제어하여, 포인트 PD1에 세정수가 분사되는 위치까지 하부 노즐링크(312)를 이동한 후, 인버터(364) 등을 제어하여, 하부 노즐링크(312)로부터 포인트 PDl에 대해 예를 들면 3초간 세정수를 분사시킨다.
다음으로, 도 24의 (A)의 A2를 참조하여,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세정수를 분사시키면서, 목위치(T4)에 이를 때까지 하부 노즐링크(312)를 이동시킨다. 그 때,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매우 완만한 속도로 하부 노즐링크(312)를 이동시킨다. 이것은 피세발자에 대해, 마치 사람 손에 의해서 천천히 어루만져지는 것 같은 감각을 주어, 피세발자에게 안심감을 주기 위함이다. 또한, 자동세발 개시 직후의 공정인 릴렉세이션 공정에서 이와 같이 완만한 속도로 하부 노즐링크(312)를 이동하면서 세정수를 분사시킴으로써, 피세발자를 놀래키는 일 없이, 기계로 세발되고 있다고 하는 감촉을 불식하여, 고급감을 내기 위함이다.
여기서, 도 24의 (A)의 A2에서,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하부 노즐링크(312)에 의해서 피세발자의 후두부 부근에 세정수를 분사시키는 경우(화살표 E 및 화살표 F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분사압력을 높게 한다.
이것은, 피세발자의 후두부 부근에 세정수를 분사시키는 경우, 세정수를 쏘아 올리는 상태가 되지만, 이것에 기인하여 피세발자의 후두부에 도달하는 세정수의 수압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피세발자의 후두부 부근에 세정수를 분사시키는 경우, 후두부로부터 늘어뜨려진 머리카락에 의해서, 하부 노즐링크(312)로부터 분사된 세정수가 후두부에 도달하는 것이 저해되게 되지만, 이것에 기인하여 피세발자의 후두부에 도달하는 세정수의 수압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인간의 두부에서 후두부는 다른 개소보다 둔감한 경향이 있지만, 후두부 부근에 분사하는 세정수의 분사압력을 높게 함으로써, 피세발자에게 세정수의 분사에 의한 마사지 효과를 확실히 주기 위함이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두부 지지 네트(370)가 있는 위치의 두부에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압력(화살표 F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압력)을 두부 지지 네트(370)가 없는 위치의 두부에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압력보다 높게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두부 지지 네트(370)가 있는 위치의 두부에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압력을 레벨 9로, 그 이외의 부분에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압력을 레벨 7로 각각 제어한다.
이것은, 네트의 존재에 기인하여 네트가 있는 위치의 두부에 대해서 세정수가 약하게 분사된다고 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두부 지지 네트(370)와 후두부에 끼워져 머리카락이 움직이기 어려워져, 이들에 끼워진 머리카락에 의해서 하부 노즐링크(312)로부터 분사된 세정수가 후두부에 도달하는 것이 저해되지만, 이것에 기인하여 피세발자의 후두부에 도달하는 세정수의 수압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노즐링크(311)에 대해서도 상술한 하부 노즐링크(312)에 대한 제어와 동일한 제어를 함과 아울러, 이 제어는 자동세발기(301)에 의해서 자동세발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 행해진다.
또한, 상부 노즐링크(311) 및 하부 노즐링크(312)가 후두부 부근에 세정수를 분사하고 있는지 여부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389)가 구동모터(398)에 출력한 구동신호에 근거하여 검출하도록 해도 되고, 또, 상부 노즐링크(311) 및 하부 노즐링크(312)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를 마이크로 컴퓨터(389)에 접속하고, 당해 위치검출센서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24의 (A)의 A3을 참조하여,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목용 노즐밸브(374) 등을 제어하여, 피세발자의 목에 닿는 포인트 PK1에 대해 목용 노즐링크(380)로부터 세정수를 분사시킨다. 여기서, 분사되는 세정수는 온수로 한다. 이와 같이 피세발자의 목에 온수를 분사시킴으로써, 목의 혈류가 좋아져, 두부 전체의 긴장이 느슨하게 되어, 마사지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후, 이 목용 노즐링크(380)로부터의 온수의 분사는 릴렉세이션 공정이 종료할 때까지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장시간에 걸쳐 피세발자의 목에 온수가 분사되게 되어, 효과적으로 상술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 24의 (A)의 A3에서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상부 노즐링크(311)를 두정위치(T1)로, 또, 하부 노즐링크(312)를 머리카락 위치(T3)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도 24의 (A)의 A4를 참조하여,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세정수를 분사시키면서 두정위치(T1)로부터 후두위치(T2) 사이를 반복이동하도록 상부 노즐링크(311)를 구동한다. 그 때,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상부 노즐링크(311)가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의 분사압력을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의 분사압력보다도 높게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상부 노즐링크(311)가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의 분사압력의 레벨이 레벨 8로, 그리고, 상부 노즐링크(311)가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의 분사압력의 레벨이 레벨 5로 각각 되도록 분사압력을 제어한다.
여기서, 사람 손에 의해서 두부를 주무르기 마사지하는 경우,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에 따른 원활한 마사지를 실현하기 위해, 통상,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주무르는 경우보다도,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주무르는 경우가 주무르는 힘이 강하다.
그리고, 상술한 제어에서는 아래쪽 방향으로 상부 노즐링크(311)를 이동시키는 경우, 즉,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차례차례 세정수를 분사시키는 경우의 분사압력이, 역방향으로 상부 노즐링크(311)를 이동시키는 경우, 즉,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차례차례 세정수를 분사시키는 경우의 분사압력과 비교하여 높게 된다. 이 때문에, 자동세발 중, 사람 손에 의해서 마사지되고 있다는 감각을 피세발자에게 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어에 의하면,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차례차례 세정수를 분사시키는 경우의 분사압력이 약하기 때문에, 역모(逆毛, 곤두 선 머리카락) 상태가 발생하기 어려워, 머리카락이 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피세발자의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24의 (A)의 A4에서는 상부 노즐링크(311)에 상술한 이동을 2회 반복하게 한다.
다음으로, 도 24의 (A)의 A5를 참조하여,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두정위치(T1)로부터 후두위치(T2) 사이를 반복이동하도록 상부 노즐링크(311)를 이동시킴과 아울러, 머리카락 위치(T3)로부터 목위치(T4) 사이를 반복이동하도록 하부 노즐링크(312)를 이동시킨다. 이동하는 동안,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양 노즐링크로부터 세정수를 분사시킨다.
다음으로, 도 24의 (A)의 A6를 참조하여,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상부 노즐링크(311)를 이하와 같이 제어한다.
즉, 우선, 상부 노즐링크(311)를 두정위치(T1)로 이동시키고, 상부 노즐링크(311)를 일시정지시킨다. 일시정지 중,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인버터(364) 등을 제어하고, 분사압력의 높낮이를 0.5초 간격으로 전환하면서 상부 노즐링크(311)로부터 포인트 PU1에 대해서 세정수를 분사시킨다. 높낮이의 전환은 분사압력이 높은 상태 및 낮은 상태가 각각 2회씩 오도록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분사임력이 높은 상태일 때의 분사압력의 레벨이 레벨 8로, 그리고, 분사압력이 낮은 상태일 때의 분사압력의 레벨이 레벨 5로, 각각 되도록 분사압력을 제어한다. 그 후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분사압력의 높낮이를 1초 간격으로 전환하면서 상부 노즐링크(311)로부터 세정수를 분사시킨다. 높낮이의 전환은 높은 상태 및 낮은 상태가 각각 1회씩 오도록 행해진다.
이와 같이, 피세발자의 두부가 있는 개소에 대해, 분사압력의 높낮이가 소정의 간격으로 전환하면서 세정수가 분사된 경우, 당해 개소가 사람 손에 의해서 강약을 주면서 주무르고 있다고 하는 감각을 피세발자에게 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노즐링크(311)의 일시정지중에, 분사압력의 높낮이가 전환하기 때문에, 이 일시정지 중에는 두부의 동일 개소에 대해서 분사압력의 높낮이가 전환하면서 세정수가 분사되게 된다. 이 때문에, 당해 개소가 사람 손에 의해서 강약을 주어 주무르고 있다고 하는 감각을 보다 강하게 피세발자에게 줄 수 있다.
여기서, 사람 손에 의해서 주무르기 마사지하는 경우, 통상, 서서히 강약을 주는 간격을 두고 주무르기 마사지를 행한다고 하는 동작이 행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수를 분사하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분사압력의 높낮이를 전환하는 간격이 길어진다. 이것에 의해, 세정수가 분사되고 있는 개소가 사람 손에 의해서 주무르고 있는 감각을 보다 강하게 피세발자에게 줄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포인트 PU1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 노즐링크(311)를 일시정지시킨 후, 일시정지를 해제하고, 포인트 PU2로 세정수가 분사되는 위치에 이를 때까지 상부 노즐링크(311)를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이 포인트 PU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부 노즐링크(311)를 일시정지시키고, 포인트 PU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사압력의 높낮이를 전환하면서 세정수를 분사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상부 노즐링크(311)를 PU1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PU5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킴과 아울러, PU1 ~ PU5에 대응하는 위치의 각각에서 상부 노즐링크(311)를 일시정지시키며, 일시정지 중에 분사압력의 높낮이를 전환하면서 세정수를 분사시킨다.
이것에 의하면, 피세발자의 두부의 복수의 부위에 대해서, 사람 손에 의해서 강약을 주어 주무르고 있다고 하는 감각을 피세발자에게 줄 수 있다.
도 24의 (A)의 A7에서는 도 A3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진다.
도 24의 (B)는 제1 헹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제1 헹굼 공정은 다음의 공정인 샴푸 공정 전에 세정수(샴푸액이나 컨디셔너액을 포함하지 않음)에 의해서, 머리카락에 부착한 오염을 흘리기 위한 공정이다.
이 제1 헹굼 공정에서는, 릴렉세이션 공정과 마찬가지로, 분사압력의 레벨의 평균값이 샴푸 공정에서의 평균값이나, 컨디셔너 공정에서의 평균값보다 낮아지도록 분사압력이 제어된다. 이것에 의해, 피세발자가 두부에 세정수가 분사되는 것에 대해, 보다 익숙해지도록 한다.
도 24의 (B)의 B1에서는 도 24의 (A)의 A1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도 24의 (B)의 B2를 참조하여,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세정수를 분사시키면서, 두정위치(T1)로부터 후두위치(T2) 사이를 반복이동하도록 상부 노즐링크(311)를 이동시킴과 아울러, 머리카락 위치(T3)로부터 목위치(T4) 사이를 반복이동하도록 하부 노즐링크(312)를 이동시킨다. 당해 동작 중,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상부 노즐링크(311)가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서의 세정수의 분사압력을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서의 세정수의 분사압력보다도 높게 한다. 마찬가지로,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하부 노즐링크(312)가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 지정한 경우에서의 세정수의 분사압력을,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서의 세정수의 분사압력보다도 높게 한다.
다음으로, 도 24의 (B)의 B3를 참조하여,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상부 노즐링크(311)를 두정위치(T1)로 이동시킨 후, 세정수를 분사시키면서, 상부 노즐링크(311)를 범위 H1에 대응하는 부위에 세정수가 분사되는 범위(이하, 간단히 「범위 H1」라고 한다. 범위 H2 ~ H9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내를 4왕복시킨다. 그 후,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상부 노즐링크(311)를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세정수를 분사시키면서 범위 H2 내를 4왕복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범위 H1 ~ H4의 각각의 범위에서 세정수를 분사시키면서 상부 노즐링크(311)를 4왕복시킨다. 이것에 의해, 범위 H1 ~ H4의 각각의 범위에서 집중적으로 세정수가 분사되게 되며, 이들 범위의 각각에서 보다 확실히 머리카락에 부착한 오염을 흘릴 수 있다.
도 24의 (B)의 B4에서는 도 24의 (A)의 A4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진다.
도 24의 (C)는 샴푸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샴푸공정은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에 의해서 피세발자의 머리카락을 세발하는 공정이다.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샴푸용 펌프(338)을 제어하여, 물에 샴푸액을 혼입하여 제액을 생성한다.
또한, 이 샴푸공정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상술한 릴렉세이션 공정보다도 상부 노즐링크(311) 및 하부 노즐링크(12)를 빠른 속도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피세발자에 대해 적절한 자극을 주어, 기분 좋음을 느끼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효율 좋게 세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샴푸공정에서는 릴렉세이션 공정이나, 컨디셔너 공정, 헹굼 공정 등과 비교하여, 분사압력의 레벨의 평균값이 높아지도록 분사압력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다른 공정과 비교하여, 피세발자에 대해 강한 자극을 줌으로써, 마사지가 되고 있는 간격을 두드러지게 하여, 마사지의 피크가 오고 있는 것을 인식시킴과 아울러, 피세발자의 쾌적성을 향상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샴푸공정에서의 분사압력의 레벨의 평균값이 레벨 9가 되도록 분사압력을 제어한다.
도 24의 (C)의 C1에서는 도 A6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진다. 이 도 24의 (C)의 C1에 나타내는 동작은 「지압 워싱(finger-press washing)」이라고 칭해지는 동작이다. 도 24의 (C)의 C1에 나타내는 동작이 실행됨으로서, 도 24의 (A)의 A6의 설명에서 서술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포인트 PU1 ~ 포인트 PU5에 대해 집중적으로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이 분사되게 되어, 두부 전체에 샴푸액을 널리 퍼지게 할 수 있고, 또한, 머리카락의 근원에 이를 때까지 샴푸액을 침투시킬 수 있다.
도 24의 (C)의 C2에서는 이하의 동작이 행해진다. 이 도 24의 (C)의 C2에 나타내는 동작은 「왕복 워싱」이라고 칭해지는 동작이다.
즉,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상부 노즐링크(311)를 두정위치(T1)까지 이동시킨 후, 소정의 시간 동안, 두정위치(T1)에서 상부 노즐링크(311)의 움직임을 정지하고, 상부 노즐링크(311)로부터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을 포인트 Po1을 향하여 분사한다. 이 포인트 Po1은 「싱크(302)에 수용된 두부에서의 높은 장소」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상부 노즐링크(311)로부터 샴푸액 및 컨디셔너액의 어느 것도 포함하지 않는 세정수를 분사하면서, 상부 노즐링크(311)를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때,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포인트 Po1에 부착한 제액(샴푸액)이 두부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데 맞추어, 흘러 떨어지는 제액(샴푸액)의 위치에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상부 노즐링크(311)의 움직임을 제어하면서, 상부 노즐링크(311)를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사전의 실험이나 시뮬레이션 등에 의해, 포인트 Po1에 부착한 제액이 두부를 따라서 흘러 떨어질 때의 속도나, 분사 후의 경과시간과 당해 경과시간이 경과했을 때의 두부에서의 세정수의 위치와의 관계 등이 미리 산출되어 있고, 또한, 흘러 떨어지는 제액에 맞추어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상부 노즐링크(311)를 움직이는 경우에 상부 노즐링크(311)를 어떻게 움직여야 하는지를 판명하고 있으며, 이 움직임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미리 프로그래밍되어 마이크로 컴퓨터(389)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다.
상부 노즐링크(311)가 후두위치(T2)에 이를 때까지 이동하면,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세정수를 분사시키면서, 상부 노즐링크(311)를 위쪽 방향으로 두정위치(T1)에 이를 때까지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다시 두정위치(T1)에서 포인트 Po1을 향하여 샴푸액을 포함하는 제액을 분사하고, 또한 포인트 Po1에 부착한 제액(샴푸액)이 두부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데 맞추어, 흘러 떨어지는 제액(샴푸액)의 위치에 샴푸액 및 컨디셔너액의 어느 것도 포함하지 않는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상부 노즐링크(311)의 움직임을 제어하면서, 상부 노즐링크(311)를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상술한 같은 상부 노즐링크(311)의 왕복이동을 소정의 회수 반복하여 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상부 노즐링크(311)가 두정부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을 분사하고, 또한 포인트 Po1에 부착한 제액(샴푸액)이 두부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데 맞추어, 흘러 떨어지는 제액(샴푸액)의 위치에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상부 노즐링크(311)의 움직임을 제어하면서, 상부 노즐링크(311)를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포인트 Po1, 환언하면, 상부 노즐링크(311)로부터 제액이 분사되는 범위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서 샴푸액을 포함한 약제가 분사된 다음, 포인트 Po1에 부착한 제액(샴푸액)이 두부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데 맞추어, 흘러 떨어지는 제액(샴푸액)의 위치에 세정수가 분사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흘러 떨어지는 제액의 머리카락으로의 침투 및 거품내기가 두부의 전역에서 촉진되게 되어, 중력에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 성질을 최대한 이용하여 두부의 전역에 걸쳐 바람직하게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을 널리 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부 노즐링크(311)가 두정위치(T1)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이 분사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그 이외의 사이에도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을 분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샴푸액의 소비량을 삭감할 수 있어, 런닝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이 두부의 전역에 널리 퍼지는 상태를 유지한 다음, 런닝코스트의 억제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상부 노즐링크(311)가 두정위치(T1)에 위치하고 있을 때만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이 분사되는 구성이었지만, 예를 들면, 두정위치(T1)와 후두위치(T2)와의 중간위치에 상부 노즐링크(311)가 이르렀을 때에도 제액을 분사하도록 해도 된다. 즉, 포인트 Po1 등의 두부에서의 높은 위치에서 집중적으로 제액을 분사하는 한에서 상술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24의 (C)의 C3에서는 이하의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도 24의 (C)의 C3에 나타내는 동작은 「니드(knead) 워싱」이라고 칭해지는 동작이다. 또, 도 24의 (D)에서 도 24의 (C)의 C3를 확대한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즉,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상부 노즐링크(311)를 두정위치(T1)까지 이동시킨 후, 소정의 시간 동안, 두정위치(T1)에서 상부 노즐링크(311)의 움직임을 정지하고, 상부 노즐링크(311)로부터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을 포인트 Po1(도 24의 (C)의 C2 참조)을 향하여 분사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화살표 G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샴푸액 및 컨디셔너액을 포함하지 않는 세정수를 분사하면서, 상부 노즐링크(311)를 소정의 거리만큼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화살표 Y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샴푸액 및 컨디셔너액을 포함하지 않는 세정수를 분사하면서, 상부 노즐링크(311)를 당해 소정의 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화살표 Y1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서의 세정수의 분사압력보다도 화살표 G1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서의 세정수의 분사압력을 높게 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머리카락의 얽힘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그 후,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화살표 G2, Y2, G3, Y3, G4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쪽 방향으로의 이동과, 위쪽 방향으로의 이동을 교호로 반복하면서, 상부 노즐링크(311)를 후두위치(T2)에 이를 때까지 이동시킨다. 마찬가지로,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하부 노즐링크(312)를 머리카락 위치(T3)까지 이동시킨 후, 목위치(T4)에 이를 때까지, 상술한 상부 노즐링크(311)와 동일한 동작을 하부 노즐링크(312)에 시킨다.
상기 동작시에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포인트 Po1(도 24의 (C)의 C2 참조)에 부착한 제액(샴푸액)이 두부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데 맞추어, 흘러 떨어지는 제액(샴푸액)의 위치에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상부 노즐링크(311)의 움직임을 제어하면서, 상부 노즐링크(311)의 아래쪽 방향으로의 이동과, 위쪽 방향으로의 이동을 교호로 반복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4의 (D)를 참조하여, 두부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 제액이 범위 H10에 존재하고 있는 동안에, 화살표 GI 및 화살표 Y1가 나타내는 일련의 동작이 행해지고, 두부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 제액이 범위 H11에 존재하고 있는 동안에, 화살표 G2 및 화살표 Y2가 나타내는 일련의 동작이 행해지며, 두부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 제액이 범위 H12에 존재하고 있는 동안에, 화살표 G3 및 화살표 Y3가 나타내는 일련의 동작이 행해지고, 두부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 제액이 범위 H13에 존재하고 있는 동안에, 화살표 G4가 나타내는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사전의 실험, 시뮬레이션 등에 의해 상술한 움직임이 되도록 상부 노즐링크(311)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이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마이크로 컴퓨터(389)에 의해 상부 노즐링크(311)의 움직임이 제어된다.
이상과 같은 동작을 행함으로써, 도 24의 (C)의 C2의 설명에서 서술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포인트 Po1, 환언하면, 상부 노즐링크(311)로부터 제액이 분사되는 범위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서 샴푸액을 포함한 약제가 분사된 다음, 포인트 Po1에 부착한 제액(샴푸액)이 두부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데 맞추어, 흘러 떨어지는 제액(샴푸액)의 위치에 세정수가 분사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흘러 떨어지는 제액의 머리카락으로의 침투 및 거품내기가 두부의 전역에서 촉진되게 되어, 중력에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 성질을 최대한 이용하여 두부의 전역에 걸쳐 바람직하게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을 널리 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화살표 Y1, Y2, Y3이 나타내는 움직임에서는 두부에 따른 제액의 흐름에 반(反)하여 세정수가 분사되게 되어, 샴푸액을 포함하는 제액을 더욱 두부에 침투시킬 수 있고, 또한, 당해 제액을 더욱 거품이 일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노즐링크(311)가 두정위치(T1)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이 분사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그 이외의 사이에도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을 분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샴푸액의 소비량을 삭감할 수 있어, 런닝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상부 노즐링크(311)가 두정위치(T1)에 위치하고 있을 때만,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이 분사되는 구성이었지만, 예를 들면, 화살표 G3가 나타내는 움직임일 때에 상부 노즐링크(311)로부터 제액을 분사하도록 해도 된다. 즉, 포인트 Po1 등의 두부에서의 높은 위치에서 집중적으로 제액을 분사하면, 상술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24의 (C)의 C4에서는 이하의 동작이 행해진다. 이 도 24의 (C)의 C4에 나타내는 동작은 「러빙(rubbing) 워싱」이라고 칭해지는 동작이다.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상부 노즐링크(311)를 두정위치(T1)까지 이동시킨 후, 소정의 시간의 동안, 두정위치(T1)에서 상부 노즐링크(311)의 움직임을 정지하고, 상부 노즐링크(311)로부터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을 포인트 Po1(도 24의 (C)의 C2 참조)을 향하여 분사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샴푸액 및 컨디셔너액을 포함하지 않는 세정수를 분사시키면서, 피세발자의 두부에서의 좁은 범위에 대응하는 범위 H5 내를 복수 회 왕복시킨다. 여기서, 피세발자의 두부에서의 좁은 범위란, 상하 방향에서의 0.5㎝ 이상 3㎝ 이하의 범위(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2㎝)로 규정되어 있고, 이 범위에 왕복하여 세정수가 분사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두부에서의 약 2㎝의 범위에 세정수가 왕복하여 분사되도록 2초간의 사이에 상부 노즐링크(311)에 8왕복시킨다. 그 때,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세정수의 분사압력을 비교적 높게 함과 아울러, 상부 노즐링크(311)의 이동속도를 비교적 빠르게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분사압력의 레벨을 레벨 8로 제어한다.
이와 같이, 두부에서의 좁은 범위에 대해서, 고속으로 왕복이동하는 상부 노즐링크(311)로부터 높은 분사압력의 세정수가 분사됨으로써, 당해 부위에 적절한 자극을 줄 수 있어, 피세발자에 대해 당해 부위가 사람 손에 의해서 두부가 마사지되고 있는 것 같은 감각을 줄 수 있다. 또한, 두부의 가려운 부분을 사람 손에 의해서 긁고 있는 것 같은 감촉을 실현할 수 있어, 피세발자의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릴렉세이션 공정, 제1 헹굼 공정과 비교해, 강한 분사압력으로 세정수가 분사되게 되어, 릴렉세이션 공정, 제1 헹굼 공정을 통해 두부에 세정수가 분사되는 것에 익숙해져 온 피세발자에 대해 적당한 자극을 줄 수 있다. 그리고, 피세발자는 적당한 자극을 느끼게 됨으로써, 강한 마사지감을 얻을 수 있다.
그 후,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상부 노즐링크(311)를 소정 거리만큼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범위 H6에서 범위 H5와 동일한 동작을 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범위 H5 ~ H9의 각각의 범위에서 세정수를 분사시키면서 상부 노즐링크(311)를 복수 회 왕복시킨다. 이것에 의해, 두부에서의 다른 복수의 부위에 대해서 상술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시에,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포인트 Po1(도 24의 (C)의 C2 참조)에 부착한 제액(샴푸액)이 두부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데 맞추어, 흘러 떨어지는 제액(샴푸액)의 위치에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상부 노즐링크(311)의 움직임을 제어하면서, 상부 노즐링크(311)의 왕복이동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두부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 제액이 범위 H5에 대응하는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에 범위 H5에서의 상부 노즐링크(311)의 왕복이동이 행해지고, 두부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 제액이 범위 H6에 대응하는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에 범위 H6에서의 상부 노즐링크(311)의 왕복이동이 행해지며, 두부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 제액이 범위 H7에 대응하는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에 범위 H7에서의 상부 노즐링크(311)의 왕복이동이 행해지고, 두부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 제액이 범위 H8에 대응하는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에 범위 H8에서의 상부 노즐링크(311)의 왕복이동이 행해지며, 두부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 제액이 범위 H9에 대응하는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에 범위 H9에서의 상부 노즐링크(311)의 왕복이동이 행해진다. 또한, 사전의 실험, 시뮬레이션 등에 의해 상술한 움직임이 되도록 상부 노즐링크(311)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이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마이크로 컴퓨터(389)에 의해 상부 노즐링크(311)의 움직임이 제어된다.
이상과 같은 동작을 행함으로써, 도 24의 (C)의 C2의 설명에서 서술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포인트 Po1, 환언하면, 상부 노즐링크(311)로부터 제액이 분사되는 범위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서 샴푸액을 포함한 약제가 분사된 다음, 포인트 Po1에 부착한 제액(샴푸액)이 두부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데 맞추어, 흘러 떨어지는 제액(샴푸액)의 위치에 세정수가 분사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흘러 떨어지는 제액의 머리카락으로의 침투 및 거품내기가 두부의 전역에서 촉진되게 되어, 중력에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 성질을 최대한 이용하여 두부의 전역에 걸쳐 바람직하게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을 널리 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도 24의 (C)의 C4가 나타내는 일련의 동작에 대해서는, 두부에 따른 제액의 흐름에 반하여 세정수가 분사되는 경우가 있어, 샴푸액을 포함하는 제액을 더욱 두부에 침투시킬 수 있고, 또한, 당해 제액을 더욱 거품이 일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노즐링크(311)가 두정위치(T1)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이 분사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그 이외의 사이에도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을 분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샴푸액의 소비량을 삭감할 수 있어, 런닝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범위 H5 ~ H9의 5개의 범위가 존재했지만, 범위의 수는 5개에 한정하지 않고, 그 이상의 범위가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예에서는 상부 노즐링크(311)가 두정위치(T1)에 위치하고 있을 때만,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이 분사되는 구성이었지만, 예를 들면, 범위 H7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 노즐링크(311)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도 제액을 분사하도록 해도 된다. 즉, 포인트 Po1 등의 두부에서의 높은 위치에서 집중적으로 제액을 분사하면, 상술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24의 (C)의 C5에서는 도 24의 (C)의 C2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진다.
도 25의 (A)는 제2 헹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제2 헹굼 공정은 샴푸공정에서 두부에 분사되고, 두부 및 머리카락에 잔류하는 샴푸액을 포함하는 제액을 헹궈 떨어뜨리기 위한 공정이다.
이 제2 헹굼 공정에서는 분사압력의 레벨의 평균값이 샴푸공정에서의 평균값보다 낮아지도록 분사압력이 제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헹굼 공정에서의 분사압력의 레벨의 평균값이 레벨 8이 되도록 제어된다.
도 25의 (A)의 D1에서는 도 24의 (A)의 A3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지며, 도 25의 (A)의 D2에서는 도 24의 (B)의 B2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지며, 도 25의 (A)의 D3에서는 도 24의 (C) 및 (D)의 C3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도 25의 (A)의 D4를 참조하여,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하부 노즐링크(312)를 목위치(T4)까지 이동시킨 후, 화살표 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정수를 분사하면서, 소정의 거리만큼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화살표 J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정수를 분사하면서, 하부 노즐링크(312)를 당해 소정의 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때,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하부 노즐링크(312)를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서의 세정수의 분사압력을,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서의 세정수의 분사압력보다 높게 한다.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하부 노즐링크(312)가 머리카락 위치(T3)에 이를 때까지 상술한 동작을 반복해서 행하게 한다.
도 25의 (A)의 D5에서는 도 24의 (C) 및 (D)의 C3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진다. 도 25의 (A)의 D6에서는, 하부 노즐링크(312)는 도 24의 (A)의 A5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하여, 상부 노즐링크(311)는 세정수를 분사하지 않는다. 도 25의 (A)의 D7에서는, 도 24의 (A)의 A5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진다. 도 25의 (A)의 D8에서는, 상부 노즐링크(311)는 도 24의 (A)의 A6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하며, 하부 노즐링크(312)는, 도 24의 (A)의 A6에서의 상부 노즐링크(311)와 대략 동일한 동작이 행해진다.
도 25의 (B)는 컨디셔너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컨디셔너 공정이란, 피세발자의 두부 및 머리카락에 컨디셔너액을 포함하는 세정수를 분사하고, 이른바 컨디셔닝을 행하기 위한 공정이다.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컨디셔너용 펌프(339)를 제어하여, 세정수에 컨디셔너액을 혼입한다. 컨디셔너 공정에서의 분사압력의 레벨의 평균값은 샴푸공정에서의 분사압력의 레벨의 평균값보다 낮고, 또한, 릴렉세이션 공정에서의 분사압력의 레벨의 평균값보다 높아지도록 제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컨디셔너 공정에서의 분사압력의 레벨의 평균값이 레벨 8이 되도록 제어한다.
도 25의 (B)의 E1에서는 도 24의 (A)의 A3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진다.
도 25의 (B)의 E2에서는 도 24의 (C)의 C2와 동일한 동작이 행해진다. 도 24의 (C)의 C2의 동작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하면,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상부 노즐링크(311)를 두정위치(T1)까지 이동시킨 후, 소정의 시간 동안, 두정위치(T1)에서 상부 노즐링크(311)의 움직임을 정지하고, 상부 노즐링크(311)로부터 컨디셔너액을 포함한 제액을 포인트 Po1을 향하여 분사한다. 이 포인트 Po1은 「싱크(302)에 수용된 두부에서의 높은 장소」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상부 노즐링크(311)로부터 샴푸액 및 컨디셔너액의 어느 것도 포함하지 않는 세정수를 분사하면서, 상부 노즐링크(311)를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때,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포인트 Po1에 부착한 제액(컨디셔너액)이 두부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데 맞추어, 흘러 떨어지는 제액(컨디셔너액)의 위치에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상부 노즐링크(311)의 움직임을 제어하면서, 상부 노즐링크(311)를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24의 (C)의 C2에서 설명한 효과와 마찬가지로, 컨디셔너액을 포함한 제액이 두부의 전역에 널리 퍼지는 상태를 유지한 다음, 런닝코스트의 억제를 실현할 수 있다.
도 25의 (B)의 E3에서는 도 24의 (C) 및 (D)의 C3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지고, 도 25의 (B)의 E4에서는 도 24의 (C)의 C2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진다. 이들 도 25의 (B)의 E3 및 도 25의 (B)의 E4가 나타내는 동작에 의해, 도 24의 (C) 및 (D)의 C3 및 도 24의 (C)의 C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디셔너액을 포함한 제액이 두부의 전역에 널리 퍼지는 상태를 유지한 다음, 런닝코스트의 억제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컨디셔닝액이 두부에 의해 침투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도 25의 (C)는 제3 헹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제3 헹굼 공정은 컨디셔너 공정에서 두부에 분사되어, 두부 및 머리카락에 잔류하는 컨디셔너액을 포함하는 세정수를 헹궈 떨어뜨리기 위한 공정이다.
이 제3 헹굼 공정에서는 분사압력의 레벨의 평균값이 샴푸 공정에서의 평균값보다 낮아지도록 분사압력이 제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헹굼 공정에서의 분사압력의 레벨의 평균값이 레벨 8이 되도록 제어된다.
도 25의 (C)의 F1에서는 도 24의 (C)의 A3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지고, 도 25의 (C)의 F2에서는 도 25의 (A)의 D8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지며, 도 25의 (C)의 F3에서는 도 24의 (B)의 B2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지고, 도 25의 (C)의 F4에서는 도 24의 (C) 및 (D)의 C3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지며, 도 25의 (C)의 F5에서는 도 24의 (B)의 B2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진다.
도 26의 (A)는 멘톨약제 분사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멘톨약제 분사공정은 멘톨계의 약제를 피세발자에 대해 분사하기 위한 공정이다. 멘톨약제 분사공정에서는 피세발자에 대해 멘톨계의 약제가 부드럽게 내뿜어지고 있다는 감각을 주기 위해, 약제가 분사될 때의 분사압력이 낮아지도록 분사압력이 제어된다. 예를 들면, 레벨 6에 상당하는 분사압력이 되도록 제어된다.
도 26의 (A)의 G1을 참조하여, 도 26의 (A)의 G1에서는 도 24의 (A)의 A7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진다. 그 때,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노즐링크(311)의 움직임을 완만한 것으로 함과 아울러, 상부 노즐링크(311)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압력을 낮게 한다.
다음으로, 도 26의 (A)의 G2를 참조하여, 도면의 화살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약제 공급용 펌프(394) 및 약제 노즐밸브(395) 등을 제어하여, 멘톨계의 약제를 피세발자의 두부에 분사시킨다.
멘톨계의 약제가 두부에 분사된 경우, 피세발자에게 상쾌감, 청량감을 줄 수 있어, 피세발자의 쾌적성이 향상한다.
도 26의 (B)는 제4 헹굼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제4 헹굼 공정은 멘톨약제 분사공정에서 피세발자에게 분사되어, 피세발자의 머리카락이나 두부에 잔류하는 멘톨계의 약제를 헹궈 떨어뜨리기 위한 공정이다.
도 26의 (B)의 H1을 참조하여, 도 26의 (B)의 H1에서는 도 24의 (A)의 A4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진다. 그 때,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세정수의 분사수압을 서서히 낮게 하여 간다. 이것에 의해, 피세발자에 대해 자동세발에 관한 일련의 동작이 종료하는 것을 인식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세발기(301)는 피세발자의 두부를 수용하는 싱크(302)를 구비하고, 싱크(302)에 수용된 두부를 세발한다. 그리고, 자동세발기(301)는 싱크(302)에 수용된 두부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세정수 또는 약제액 중 어느 하나의 액체를 분사 가능한 상부 노즐링크(311)와, 싱크(302)에 수용된 두부에서의 높은 장소에 액체를 분사 가능한 위치에 상부 노즐링크(311)가 위치하고 있을 때,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보다도 집중적으로 제액을 분사시키는 마이크로 컴퓨터(389)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두부의 높은 장소에 분사된 제액이 흘러 떨어짐으로써, 두부 전역에 제액이 널리 퍼지기 때문에, 중력을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 성질을 최대한 이용하여 두부의 전역에 걸쳐 바람직하게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을 널리 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싱크(302)에 수용된 두부에서의 높은 장소에 약제액을 분사한 후, 이 분사에 의해 당해 두부에 부착한 약제액이 당해 두부를 따라서 낙하하는 것과 대응시켜, 상부 노즐링크(311)의 이동 및 상부 노즐링크(311)에 의한 액체의 분사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하면, 두부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 제액을 이용하여, 두부의 전역에 바람직하게 제액을 널리 퍼지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두부의 전역에 샴푸를 분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런닝코스트의 억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싱크(302)에 수용된 두부에서의 높은 장소에 약제액을 분사한 후, 이 분사에 의해 당해 두부에 부착한 약제액이 당해 두부를 따라서 낙하하는 것과 대응시켜, 당해 두부에서의 약제액의 위치에 대응하는 장소에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상부 노즐링크(311)의 이동 및 상부 노즐링크(311)에 의한 액체의 분사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하면, 흘러 떨어지는 제액의 머리카락으로의 침투 및 거품내기가 두부의 전역에서 촉진되게 되어, 중력을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 성질을 최대한 이용하여 두부의 전역에 걸쳐 바람직하게 샴푸액(또는 컨디셔너액)을 포함한 제액을 널리 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노즐링크(311)가 두정위치(T1)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이 분사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그 이외의 사이에도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을 분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샴푸액의 소비량을 삭감할 수 있어, 런닝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이 두부의 전역에 널리 퍼지는 상태를 유지한 다음, 런닝코스트의 억제를 실현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싱크(302)에 수용된 두부에서의 높은 장소에 약제액을 분사한 후, 이 분사에 의해 당해 두부에 부착한 약제액이 당해 두부를 따라서 낙하하는 것과 대응시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세정수가 왕복하여 분사되도록 상기 노즐링크를 제어하면서, 당해 두부에서의 약제액의 위치에 대응하는 장소에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상부 노즐링크(311)의 이동 및 상부 노즐링크(311)에 의한 액체의 분사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하면, 제액(샴푸액 또는 컨디셔너액)이 두부를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 것과 대응시켜, 흘러 떨어지는 제액(샴푸액 또는)의 위치에 세정수가 분사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흘러 떨어지는 제액의 머리카락으로의 침투 및 거품내기가 두부의 전역에서 촉진되게 되어, 중력에 따라서 흘러 떨어지는 성질을 최대한 이용하여 두부의 전역에 걸쳐 바람직하게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을 널리 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세정수가 왕복하여 분사됨으로써, 두부를 따른 제약의 흐름에 반하여 세정수가 분사되게 되어, 샴푸액을 포함하는 제액을 더욱 두부에 침투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샴푸액을 포함하는 제액의 경우, 샴푸액을 더욱 거품이 일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노즐링크(311)가 두정위치(T1)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이 분사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그 이외의 사이에도 샴푸액을 포함한 제액을 분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샴푸액의 소비량을 삭감할 수 있어, 런닝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싱크(302)에 수용된 두부에서의 높은 장소에 약제액을 분사한 후, 이 분사에 의해 당해 두부에 부착한 약제액이 당해 두부를 따라서 낙하하는 것과 대응시켜, 상기 노즐링크로부터 분사되는 액체의 분사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4의 (C) 및 (D)의 C3에서 설명한 「니드 워싱」에서는 화살표 Y1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서의 세정수의 분사압력보다도 화살표 G1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서의 세정수의 분사압력을 높게 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차례차례 세정수를 분사시키는 경우의 분사압력이, 역방향으로 상부 노즐링크(311)를 이동시키는 경우, 즉,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차례차례 세정수를 분사시키는 경우의 분사압력과 비교하여 높아진다. 이 때문에, 자동세발 중, 사람 손에 의해서 마사지되고 있다고 하는 감각을 피세발자에게 줄 수 있다. 또한, 머리카락이 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차례차례 세정수를 분사시키는 경우의 분사압력이 약하기 때문에, 역모 상태가 발생하기 어려워, 머리카락이 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피세발자의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노즐링크(311)를 싱크(302)에 수용된 두부의 두정부에 대응하는 두정위치(T1)로부터 후두부에 대응하는 후두위치(T2)까지의 사이를 반복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마이크로 컴퓨터(389)는 상부 노즐링크(311)가 두정위치(T1)에 위치했을 때에 집중적으로 약제액을 분사시킨다.
이것에 의하면, 상부 노즐링크(311)로부터 제액이 분사되는 범위에서 가장 높은 위치인 두정위치(T1)에서 두부에서의 높은 위치인 두정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 제액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23 ~ 도 26을 이용하여 자동세발기(301)에 의한 자동세발에 관한 동작의 예를 설명했지만, 자동세발에 관한 동작은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각 동작의 순번이 바뀌거나, 또, 각 동작을 반복하여 행하도록 하거나 해도 된다.
또, 약제분사기구(390)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멘톨계의 약제를 상부 노즐링크(311)나, 하부 노즐링크(312)로부터 분사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 헹굼 공정에서 두부의 높은 위치에 집중적으로 세정수를 분사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라도 상술한 이유와 같은 이유에 의해 두부의 전역에 세정수가 널리 퍼지는 상태를 유지한 다음, 세정수의 소비량을 억제하고, 이것에 의해, 런닝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1, 301 자동세발기 2, 302 싱크
2A 벽부 8b 밀폐공간
11, 312 상부 노즐링크(노즐링크, 분사부, 노즐링크)
12, 312 하부 노즐링크(노즐링크, 분사부, 노즐링크)
30, 330 배수관 60, 360 조작패널(지시부)
89 마이크로 컴퓨터(제어부, 분사부) 90 미스트 발생장치(미스트 분무부)
91 미스트 반송관(미스트 분무부) 92 배수트랩
100 후부 측면 102 미스트 토출구(미스트 분무부)
103 구동모터(분사부) 110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
190 좌측면(1 측면) 191 스텝핑 모터(모터)
201 동력전달기구 T1 두정위치
T2 후두위치 T3 머리카락 위치
T4 목위치

Claims (17)

  1. 피세발자(被洗髮者)의 두부(頭部)를 수용하는 싱크(sink)와, 이 싱크에 수용된 두부를 향해서 세정수(洗淨水) 또는 제액(劑液) 중 어느 하나의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링크를 구비하는 자동세발기에 있어서,
    상기 싱크에 피세발자의 두부를 수용했을 때에, 상기 싱크 내에 밀폐공간이 형성되고, 이 밀폐공간 내에 두부가 연장해 있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밀폐공간 내에 미스트를 분무(噴霧)하는 미스트 분무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발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분무부는,
    미스트를 발생하는 미스트 발생장치와, 이 미스트 발생장치가 발생한 미스트를 상기 싱크에 도입하는 미스트 반송관과, 상기 싱크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미스트 반송관이 반송된 미스트를 상기 싱크 내로 토출하는 미스트 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미스트 반송관에 배수트랩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발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토출구의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자동세발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발생장치에 의한 미스트의 발생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드레인수가 상기 배수트랩으로 유입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발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공간 내에 연장해 있는 두부를 향해서 상기 노즐링크로부터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미스트 분무부 및 상기 분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부에 의한 액체의 분사와 상기 미스트 분무부에 의한 미스트의 분무가 연동하여 실행되도록 상기 분사부와 상기 미스트 분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발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분무부에 의한 액체의 분사를 수반하는 세정공정 및 상기 미스트 분무부에 의한 미스트의 분무를 수반하는 미스트 행정(行程)을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의 행정이 소정의 순서로 늘어 놓인 코스를 실행하는 것을 지시하는 지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부를 통하여 상기 코스의 실행이 지시된 경우, 상기 코스에서의 각 공정의 순서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분사부에 의한 액체의 분사와 상기 미스트 분무부에 의한 미스트의 분무가 실행되도록 상기 분사부와 상기 미스트 분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발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샴푸액이 혼입한 액체를 분사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컨디셔너액이 혼입한 액체를 분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코스는 샴푸액이 혼입한 액체의 분사를 수반하는 샴푸 행정보다도 상기 미스트 행정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각 행정의 순서가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코스는 컨디셔너액이 혼입한 액체의 분사를 수반하는 컨디셔닝 행정보다도 상기 미스트 행정이 나중에 이루어지도록 각 행정의 순서가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코스에는 컨디셔너액이 혼입한 액체의 분사 및 상기 미스트 분무부에 의한 미스트의 분무를 수반하는 행정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발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분무부는 미스트를 발생하는 미스트 발생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스트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이 미스트 발생장치 제어부와 연계하여, 상기 분사부에 의한 액체의 분사와 상기 미스트 분무부에 의한 미스트의 분무가 연동하여 실행되도록 상기 분사부와 상기 미스트 분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발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링크는 상기 싱크에 수용된 두부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액체를 분사 가능한 구성으로 되고,
    상기 싱크에 수용된 두부에서의 높은 장소에 액체를 분사하는 위치에 상기 노즐링크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집중적으로 상기 노즐링크로부터 액체를 분사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발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크에 수용된 두부에서의 높은 장소에 액체를 분사한 후, 이 분사에 의해 당해 두부에 부착한 액체가 당해 두부를 따라서 낙하하는 것과 대응시켜, 당해 두부를 따라서 낙하하는 액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장소에 액체가 분사되도록 상기 노즐링크의 이동 및 상기 노즐링크에 의한 액체의 분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발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크에 수용된 두부에서의 높은 장소에 액체를 분사한 후, 이 분사에 의해 당해 두부에 부착한 액체가 당해 두부를 따라서 낙하하는 것과 대응시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액체가 왕복하여 분사되도록 상기 노즐링크를 제어하면서, 당해 두부를 따라서 낙하하는 액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장소에 액체가 분사되도록 상기 노즐링크의 이동 및 상기 노즐링크에 의한 액체의 분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발기.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크에 수용된 두부에서의 높은 장소에 액체를 분사한 후, 이 분사에 의해 당해 두부에 부착한 액체가 당해 두부를 따라서 낙하하는 것과 대응시켜, 상기 노즐링크로부터 분사되는 액체의 분사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발기.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노즐링크를 상기 싱크에 수용된 두부의 두정부(頭頂部)에 대응하는 두정위치로부터 후두부에 대응하는 후두위치까지의 사이를 반복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링크가 상기 두정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집중적으로 액체를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발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두부가 다른 부위에 각각 액체를 분사하는 복수의 상기 노즐링크를 구비하고,
    이들 노즐링크의 각각을 단일의 모터에 접속된 동력전달기구를 통하여 동기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발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싱크에 수용된 두부의 두정부에 대응하는 두정위치로부터 후두부에 대응하는 후두위치까지의 사이를 반복 가능하게 구성된 상부 노즐링크와,
    상기 싱크에 수용된 두부로부터 늘어뜨려지는 머리카락에 대응하는 머리카락 위치로부터 목(首元)에 대응하는 목위치까지의 사이를 반복 가능하게 구성된 하부 노즐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링크가 상기 두정위치로부터 상기 후두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동기하여 상기 하부 노즐링크가 상기 머리카락 위치로부터 상기 목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또한,
    상기 노즐링크가 상기 후두위치로부터 상기 두정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동기하여 상기 하부 노즐링크가 상기 목위치로부터 상기 머리카락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발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서 회전하는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수반하는 상기 기어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노즐링크와 상기 하부 노즐링크를 동기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발기.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를 상기 싱크의 일측면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발기.
KR1020110029423A 2010-03-31 2011-03-31 자동세발기 KR201101100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83678A JP2011212249A (ja) 2010-03-31 2010-03-31 自動洗髪機
JPJP-P-2010-083678 2010-03-31
JPJP-P-2010-083679 2010-03-31
JP2010083680A JP2011212251A (ja) 2010-03-31 2010-03-31 自動洗髪機
JP2010083679A JP2011212250A (ja) 2010-03-31 2010-03-31 自動洗髪機
JPJP-P-2010-083680 2010-03-31
JPJP-P-2010-165777 2010-07-23
JP2010165777A JP5574864B2 (ja) 2010-07-23 2010-07-23 洗髪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045A true KR20110110045A (ko) 2011-10-06

Family

ID=44228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423A KR20110110045A (ko) 2010-03-31 2011-03-31 자동세발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239363A1 (ko)
EP (1) EP2371235A1 (ko)
KR (1) KR20110110045A (ko)
CN (1) CN102210511B (ko)
TW (1) TW2011436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354A (ko) * 2015-12-30 2017-07-10 코웨이 주식회사 폐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이동식 헤어 클리닝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1541B2 (ja) 2011-03-24 2015-03-11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
WO2013046645A1 (ja) * 2011-09-30 2013-04-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自動頭部ケア装置及び自動頭部ケア方法
US20140373265A1 (en) * 2011-10-03 2014-12-25 Panasonic Corporation Automatic head care system and automatic head care method
US20140073996A1 (en) * 2012-09-12 2014-03-13 Mauro Jaguan Portable Relaxation Therapy Massage Device for the Head
JP5807814B2 (ja) * 2013-03-06 2015-11-10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シャンプーボールに取付けられる頭部支持装置
CN103536414B (zh) * 2013-11-05 2016-03-30 福建省泉州市第七中学 护理型洗发机
CN104026846A (zh) * 2014-06-23 2014-09-10 刘世海 养发机
CN106307958B (zh) * 2015-07-08 2019-11-08 连云港市鼎尚包装有限公司 具有长短发自动按摩清洗功能的洗头机
CN105167383A (zh) * 2015-09-23 2015-12-23 张淼 自动洗头机
FR3061498B1 (fr) 2016-12-30 2019-05-24 L'oreal Systeme de traitement de la chevelure a raccorder a une arrivee d'eau
CN107212657A (zh) * 2017-06-26 2017-09-29 新生医疗美容有限公司 一种智能化可调控加热洗发养护专用座椅
ES2790373T3 (es) * 2017-11-27 2020-10-27 Maletti S P A Estación de lavado con cubierta
CN111544223A (zh) * 2018-07-17 2020-08-18 北京洛必达科技有限公司 一种中医理疗病床及其使用方法
CN109431045B (zh) * 2018-12-08 2022-04-22 余姚市恒正金属制品有限公司 腿部自适应伸缩系统
CN109691922B (zh) * 2018-12-27 2021-04-20 安徽舜邦精细化工有限公司 洗发剂自动出料机构
EP3708028A1 (en) * 2019-03-14 2020-09-16 Maletti S.p.A. Multifunctional device for the treatment of hair and skin
CN110200386B (zh) * 2019-07-08 2021-09-10 吉林大学 一种全自动便携洗头护理机
CN114711526A (zh) * 2022-03-28 2022-07-08 深圳市易智美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云服务的智能头部洗护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09426A1 (en) * 1992-08-31 1994-08-10 Toto Ltd. Automatic hair-washing apparatus
JP2938334B2 (ja) 1994-02-28 1999-08-23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洗髪機
JP3133690B2 (ja) * 1997-01-29 2001-02-13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洗髪機
JPH1119221A (ja) * 1997-06-30 1999-01-26 Takayoshi Fukuyama 育毛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0350614A (ja) * 1999-06-11 2000-12-19 Ohiro Seisakusho:Kk 洗髪機
TWI262772B (en) * 2002-03-22 2006-10-01 Takara Belmont Corp Hair dressing device equipped with hood
WO2005029998A1 (en) * 2003-09-26 2005-04-07 Hydroco (Australia) Pty Ltd Hair wash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354A (ko) * 2015-12-30 2017-07-10 코웨이 주식회사 폐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이동식 헤어 클리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43670A (en) 2011-12-16
CN102210511A (zh) 2011-10-12
EP2371235A1 (en) 2011-10-05
US20110239363A1 (en) 2011-10-06
CN102210511B (zh)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0045A (ko) 자동세발기
JP5162490B2 (ja) 自動洗髪機
US3343530A (en) Apparatus for treating a person&#39;s hair and scalp
EP3269885B1 (en) New-type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thereof
US20160325242A1 (en) Micro Bubble Device, System and Methods Related Thereto
KR100736172B1 (ko) 다기능 욕조
JP5574864B2 (ja) 洗髪機
JP2009078140A (ja) 身体ケア用洗浄水供給装置
JP2005253837A (ja) 自動洗髪機
JPH10314061A (ja) シャワー装置
KR20040053132A (ko) 자동세발기
KR100837441B1 (ko) 헤어 관리 머신
KR200402782Y1 (ko) 헤어세척대용 가압형 샤워장치
JP2011212249A (ja) 自動洗髪機
CN209996179U (zh) 一种超声洗脸装置
JP2015019670A (ja) 洗髪装置及び洗髪方法
JP4613561B2 (ja) 浴槽装置
JP2012024334A (ja) 洗髪機
JP2011212251A (ja) 自動洗髪機
KR20090094413A (ko) 욕조용 산소 마이크로나노 버블 혼합장치
JP2007007008A (ja) 泡洗浄器
JP7129224B2 (ja) 吐水装置
JP2004173969A (ja) 入浴・洗髪装置
JP2010178978A (ja) 洗髪機
KR20220123776A (ko) 세정액 공급수단을 갖는 세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