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0036A - 잔디 깎기 기계 - Google Patents

잔디 깎기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0036A
KR20110110036A KR1020110029136A KR20110029136A KR20110110036A KR 20110110036 A KR20110110036 A KR 20110110036A KR 1020110029136 A KR1020110029136 A KR 1020110029136A KR 20110029136 A KR20110029136 A KR 20110029136A KR 20110110036 A KR20110110036 A KR 20110110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arm
shutter
shaft
housing
oper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7410B1 (ko
Inventor
가즈키 시모조노
데츠오 이이다
히로시 고바야시
노부유키 히로세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0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8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edges of lawns or fields, e.g. for mowing close to trees or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2/00Mowers convertible to apparatus for purposes other than mowing; Mowers capable of performing operations other than mowing
    • A01D42/005Mulc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1Casings;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101/00Lawn-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회전식 잔디 깎기 기계(10)는, 블레이드(14)에 의해 깎인 잔디가 반출될 곳을 전환하는 셔터(40)와, 이 셔터(40)를 조작하는 셔터 조작 기구(50)를 포함한다. 셔터 조작 기구(50)는 제1 축(51), 제2 축(52), 제1 링크 아암(53), 제2 링크 아암(54), 제3 링크 아암(55) 및 조작 레버(61)를 갖는다. 제1 축(51)은 하우징(11)에 위치되어 있다. 제1 링크 아암(53)은 제1 축(51)을 중심으로 스윙 가능하고, 조작 레버(61)를 갖는다. 제2 축(52)은 제1 축(51)에 대해 인접하고 또 평행하게 위치하며,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제3 링크 아암(55)을 통해 셔터(40)에 연결되어 있다. 제2 링크 아암(54)은 상대 회전이 규제되도록 제2 축(52)에 부착됨으로써, 제2 링크 아암(54)은 제2 축(52)을 중심으로 스윙 가능하고, 제1 링크 아암(53)에 의해 스윙 구동된다.

Description

잔디 깎기 기계{LAWNMOW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회전식 잔디 깎기 기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에 의해 깎인 잔디가 반출되어야 할 곳을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전환하는 셔터 조작 기구에 관한 것이다.
회전식 잔디 깎기 기계에서,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에 수납된 블레이드는 잔디 위에서 회전하여 잔디를 깎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잔디 깎기 기계에는 배깅 모드(bagging mode)를 이용하는 형식의 잔디 깎기 기계가 있다. 배깅 모드를 이용하는 잔디 깎기 기계에서, 블레이드에 의해 깎인 잔디(즉, 깎인 잔디)는 그 깎인 잔디를 담는 주머니 또는 수납체에 수납된다. 깎인 잔디 전부는 깎은 장소가 정돈된 모습이 되도록 제거될 수 있어, 이러한 잔디 깎기 기계는 골프장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배깅 모드를 이용하는 잔디 깎기 기계의 일 예는 일본특허 제377150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 제3771507호에 개시된 잔디 깎기 기계는, 셔터가 완전히 개방되어 깎인 잔디가 깎인 잔디 수납체 안에 수납되는 배깅 모드(bagging mode)와, 셔터가 완전히 폐쇄되어 깎인 잔디가 하우징 아래의 영역으로 배출되는 멀칭 모드(mulching mode)와, 셔터가 배깅 모드와 멀칭 모드 사이에서 손으로 원하는 만큼의 개방 정도로 설정되는 중간 모드 사이에서 수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하우징에는 깎인 잔디가 반출되는 반출 통로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반출 통로에는 깎인 잔디 수납체가 부착될 수 있다. 셔터는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 셔터는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 가능하며, 이 선회의 중심은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이다. 깎인 잔디를 반출하기 위한 반출 통로의 개방 정도는 셔터에 의해서 조절된다. 조작 레버는 아암을 통해 셔터에 부착되어 있다. 조작 레버는 선회하도록 조작 가능하며, 이 선회의 중심은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이다. 조작 레버의 선회각(조작 각도)은 셔터의 선회각(개폐 각도)과 같다.
셔터가 완전 개방에서부터 완전 폐쇄까지 선회하는 개폐 각도는 하우징의 크기와 깎인 잔디 반출 통로의 구멍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구멍은 비교적 크므로, 개폐 각도도 클 수 밖에 없다. 한편, 조작 레버가 완전 개방에서부터 완전 폐쇄까지 조작되는 조작 각도와, 아암의 이동 범위는 잔디 깎기 기계에서의 다른 부재의 위치의 제약을 받는다. 다시 말하면, 조작 각도와 아암의 이동 범위는 조작 레버가 엔진 또는 다른 부재에 간섭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잔디 깎기 기계의 크기가 대형인 경우, 하우징이 크므로 이러한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잔디 깎기 기계의 크기가 소형인 경우에는 하우징이 작다. 이 때문에, 상기 제약의 한계 내에서 셔터의 개폐에 필요한 조작 각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셔터의 개폐에 필요한 조작 각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잔디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깎기용 블레이드와, 이 블레이드를 수납하기 위한 하부 개방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깎인 잔디 수납체를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깎인 잔디 반출 통로와, 이 깎인 잔디 반출 통로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한 셔터 및 이 셔터를 조작하는 셔터 조작 기구를 구비하는 잔디 깎기 기계로서, 상기 셔터 조작 기구는 조작 레버, 제1 축, 제2 축, 제1 링크 아암 및 제2 링크 아암을 구비하며, 제1 축은 하우징에 위치해 있고, 제2 축은 제1 축에 대해 인접하고 또 평행하게 위치하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셔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링크 아암은 제1 축을 중심으로 스윙 가능하고, 조작 레버를 구비하며, 제2 링크 아암은, 제2 축에 대한 제2 링크 아암의 상대 회전이 규제되지만 제2 링크 아암이 제2 축을 중심으로 스윙 가능하도록 제2 축에 부착되고, 제2 링크 아암이 제1 링크 아암에 의해 스윙 구동되도록 제1 링크 아암에 연결되는 것인 잔디 깎기 기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셔터 조작 기구는 조작 레버, 제1 축, 제2 축, 제1 링크 아암 및 제2 링크 아암의 조합을 구비한다. 제2 축은 제1 축에 대해 인접하고 또 평행하게 위치해 있다.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제1 링크 아암은 제1 축을 스윙 중심으로 하여 스윙한다. 제2 링크 아암은 제1 링크 아암에 의해 스윙 구동되어, 제2 축을 회전하게 한다. 그 결과, 제2 축은 회전함으로써 셔터를 개폐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두 개의 축과 두 개의 링크 아암이 조합되므로, 제1 링크 아암의 길이에 대한 제2 링크 아암의 길이의 비율(아암 길이 비율)은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 아암 길이 비율을 작게 설정함으로써, 제1 링크 아암(조작 레버)의 스윙각에 대한 제2 링크 아암의 스윙각의 비율은 커진다. 그 결과, 셔터의 개폐 각도는 조작 레버의 조작 각도보다 커진다.
셔터가 완전 개방에서부터 완전 폐쇄까지 선회하는 개폐 각도는 하우징의 크기와 깎인 잔디 반출 통로의 구멍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개폐 각도에 대해 조작 레버의 조작 각도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아암 길이 비율이 작게 설정되면 된다. 조작 레버의 조작 각도를 작게 함으로써, 이 조작 각도는 조작 레버가 엔진 또는 다른 부재에 간섭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고, 셔터의 개폐에 필요한 조작 각도는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제2 축은 제1 축에 대해 인접하고 또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및 제2 링크 아암은 근접되게 될 수 있다. 그 결과, 셔터 조작 기구의 점유 공간이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잔디 깎기 기계의 크기가 소형인 경우에도 셔터 조작 기구는 충분히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축은 제3 링크 아암을 통해 셔터에 연결된다. 이 때문에, 제2 축은 셔터에 대해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소형의 잔디 깎기 기계에 있어서 셔터 조작 기구의 점유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도록, 제2 축은 더욱 적합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잔디 깎기 기계는 조작 레버의 조작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조작 안내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조작 안내부는, 조작 레버를 제1 링크 아암의 스윙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수평의 길쭉한 형상의 안내 구멍과, 수평의 길쭉한 형상의 안내 구멍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위치결정 홈을 가지며, 복수 개의 위치결정 홈은 조작 레버를 임의의 스윙 조작 위치로 설정하기 위한 수직의 상부 개방 홈을 갖고, 조작 레버는 조작력이 해제되어 있을 때 수평의 길쭉한 형상의 안내 구멍으로부터 복수 개의 위치결정 홈 중 어느 하나의 위치결정 홈으로 끼워 넣어지는 방향으로 압박 부재에 의해 압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 레버가 어느 하나의 위치결정 홈에 끼워진 상태, 즉 로크 상태인 때에는, 조작 레버 자체의 무게에 압박력이 더해진 비교적 큰 복합력에 의해 로크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조작 레버의 로크 상태는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 후, 복합력에 저항하여 작업자가 조작 레버를 손으로 들어 올리는 조작(언로크 조작)을 함으로써, 조작 레버는 위치결정 홈으로부터 벗어나 길쭉한 형상의 안내 구멍으로 들어간다. 그 결과, 조작 레버는 로크 상태에서 언로크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언로크 조작은 조작 레버를 손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수행된다. 이 때문에, 언로크 조작 동안에는 작업자의 체중이 조작 레버에 위로부터 작용하는 일은 없다. 압박 부재에는 여분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그에 상응하는 만큼 압박력이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언로크 조작 시의 조작력이 작으므로, 조작성이 높아진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잔디 깎기 기계의 크기가 소형인 경우에도 셔터 조작 기구는 충분히 배치될 수 있고, 소형의 잔디 깎기 기계에 있어서 셔터 조작 기구의 점유 공간을 작게 할 수 있으며, 언로크 조작 시의 조작력이 작으므로, 조작성이 높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디 깎기 기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잔디 깎기 기계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하우징, 셔터 및 셔터 조작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셔터 본체가 완전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의 잔디 깎기 기계를 나타내는 밑면도이다.
도 5는 아래쪽으로부터 보이는 바와 같은 도 2의 셔터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셔터, 셔터 조작 기구 및 조작 안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옆면으로부터 보이는 바와 같은 도 3의 하우징, 셔터, 셔터 조작 기구 및 조작 안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셔터 조작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셔터 조작 기구를 나타내는 윗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셔터 조작 기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2의 셔터 본체가 완전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의 잔디 깎기 기계를 나타내는 밑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잔디 깎기 기계(10)는 잔디를 깎기 위한 보행용(walk-behind) 자기추진형(self-propelled) 작업 기구이다. 잔디 깎기 기계(10)는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전방부에 마련되는 좌우측 전륜(12, 12)과, 하우징(11)의 후방부에 마련되는 좌우측 후륜(13, 13)과, 하우징(11)의 중앙 내부에 수납되는 잔디 깎기용 블레이드(14)와, 하우징(11)의 상부에 마련되는 엔진(전력원)(15)과, 하우징(11)의 후방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조작 핸들(16)을 구비한다.
하우징(11)은 섀시로서의 역할도 한다. 엔진(15)은 하우징 윗면 위에 탑재되고 볼트로 고정됨으로써 일체로 조립된다. 엔진(15)은 엔진의 하단부로부터 아래에 있는 잔디(도시되지 않음)를 향해 하우징(11)으로 연장되는 출력축(15a)을 갖는 소위 수직형 엔진이다. 출력축(15a)은 잔디(땅)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인 구동축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14)는 클러치(21)를 통해 하우징(11) 내의 출력축(15a)에 부착되고, 구동 풀리(22)는 추진용 변속기(도시되지 않음)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출력축에 부착되어 있다. 블레이드(14)는 클러치(21)를 통해 엔진(15)에 의해 구동된다. 이로써, 블레이드(14)는 하우징(11) 내에서 출력축(15a)의 축심 SC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출력축(15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하는 블레이드(14)는 잔디를 깎아내고, 하우징(11) 내에서 기류(와류)를 생성한다. 이 와류에 의해, 블레이드(14)에 의해 깎인 잔디는 깎인 잔디 수납체(Bg)에 보내어져 그 안에 수납된다. 후륜(13, 13)(도 1 참조)도 또한 변속기를 통해 엔진(15)에 의해 구동되고, 이로써 잔디 깎기 기계(10)는 전방을 향해 자동 추진되며, 잔디 깎기 작업이 계속된다.
이에 따라 잔디 깎기 기계(10)는,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11) 안에 수납되어 있는 블레이드(14)가 잔디 위에서 회전함으로써 잔디가 깎이도록 구성되므로, 소위 회전식 잔디 깎기 기계라고 부른다. 이하에서는 블레이드(14)에 의해 깎인 잔디를 '깎인 잔디'라고 부른다.
이하에서는 하우징(1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하우징(11)을 위에서 본 것이다. 도 4는 하우징(11)을 아래에서 본 것이다. 하우징(11)은 하단면(잔디를 향하는 면) 전체만이 완전 개방되어 있다. 즉,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하우징(11)은 스크롤부(11d)(도 4 참조)가 마련된 스크롤 케이스(나선형 케이스)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깅 모드에 있어서, 스크롤부(11d)에 의해, 블레이드(14)에 의해서 깎인 잔디는 하우징(11) 내에서 화살표 방향 Rc(선회 방향 Rc)으로 선회하게 되고, 그 잔디는 화살표 R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깎인 잔디 반출 통로(31)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하우징(11)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1a), 외측 실린더부(11b), 내측 실린더부(11c), 스크롤부(11d) 및 깎인 잔디 반출 통로(31)를 구비한다. 상부 플레이트(11a)는 하우징(11)의 상단부를 차폐하고, 위에서부터 보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실질적으로 환형인 플레이트이다. 외측 실린더부(11b)는 출력축(15a)에 중심을 두고 상부 플레이트(11a)의 외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부재이다. 내측 실린더부(11c)는 출력축(15a)에 중심을 두고 상부 플레이트(11a)의 내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부재이다. 내측 실린더부의 직경은 외측 실린더부(11b)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된다.
깎인 잔디 반출 통로(31)는 외측 실린더부(11b)에 접선 방향으로 외측 실린더부(11b)에서부터 후방으로(보다 구체적으로는 윗방향이면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깎인 잔디 반출 통로(31)는 전방 단부 상에 하우징(11)에 인접한 통로 구멍(32)을 갖는다. 반출 통로는 잔디 주머니 또는 깎인 잔디 수납체(Bg)(도 1 참조)의 다른 구현예가 후방 단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깎인 잔디 수납체(Bg)는 깎인 잔디 반출 통로(3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깎인 잔디는 하우징(11)의 내부에서 출력축(15a)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깎인 잔디 반출 통로(31)에 운송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깎인 잔디 반출 통로(31)가 외측 실린더부(11b)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은 블레이드(14)의 회전 방향 Rc과 나란하게 되어 있다. 한편, 깎인 잔디 반출 통로(31)는 블레이드(14)의 회전 궤적에 접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통로 구멍(32)은 블레이드(14)의 회전 방향 Rc으로 개방되어 있다.
스크롤부(11d)는 위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환형인 공간이고,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1a), 외측 실린더부(11b) 및 내측 실린더부(11c)에 의해 구획된다. 상부 플레이트(11a)와 외측 실린더부(11b) 사이의 모퉁이와 상부 플레이트(11a)와 내측 실린더부(11c) 사이의 모퉁이는 단면이 비교적 완만하고 아치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스크롤부(11d)는 깎인 잔디가 선회하고 옆에서 보았을 때 역U자형 단면이 되도록 형성된 통로이다. 스크롤부의 구성은 깎인 잔디가 선회하면서 깎인 잔디 반출 통로(31)를 향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깎인 잔디 반출 통로(31)의 통로 구멍(32)과 이어져 있다.
셔터(4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내주면[외측 실린더부(11b)의 내주면]에 위치되어 있다. 셔터(40)는 하우징(11)의 내부에서 상부 플레이트(11a)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회전 플레이트(41)와, 이 회전 플레이트(41)의 외측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셔터 본체(42)를 구비한다.
회전 플레이트(41)는 축 중심 SC와 동심으로 위치되어 있는 환형 평판이다. 도 2, 도 3,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본체(42)는 굽은 플레이트 부재로 형성되고, 회전 플레이트(41)의 외측 가장자리에서부터 하우징(11)의 외측 실린더부(11b)를 향해 연장되는 수평부(42a)와, 수평부(42a)의 단부에서부터 굽어져 외측 실린더부(11b)의 내주면을 따라 내리막으로 되어 있는 수직부(42b)를 구비한다. 수평부(42a)와 수직부(42b) 사이의 모퉁이(42c)는 스크롤부(11d)의 외측 모퉁이(11e)가 부합하는 비교적 완만한 아치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셔터 본체(42) 전체는 축심(SC)에 중심을 두도록 실질적으로 팬(fan)형상이다. 이와 같이 하여, 셔터 본체(42)는 축심 SC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플레이트(4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셔터(40)는 깎인 잔디 반출 통로(31)에서 하우징(11)에 인접한 통로 구멍(32)에 마련된 셔터 본체(42)를 갖는다. 셔터 본체(42)는 출력축(15a)의 축심(SC)을 선회 중심으로 하여 선회할 수 있다. 셔터 본체(42)는 통로 구멍(32)을 폐쇄하거나, 개방하거나, 개방 정도를 조절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셔터(40)는 도 2,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조작 기구(50)를 이용하여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셔터 조작 기구(50)는 제1 축(51), 제2 축(52), 제1 링크 아암(53), 제2 링크 아암(54), 제3 링크 아암(55), 조작 레버(61) 및 조작 안내부(71)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축(51)과 제2 축(52)은 하우징(11)의 후방부에서 상부 플레이트(11a) 위에 위치되고, 또한 엔진(15)의 출력축(15a)에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다.
하우징(11)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축 베어링부(81)와 제2 축 베어링부(82)를 갖는다. 제1 축(51)은 움직임이 축 방향으로 규제되도록 제1 축 베어링부(81)에 의해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제2 축(52)은 제1 축(51)에 인접하고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다. 제2 축(52)은 움직임이 축 방향으로 규제되도록 제2 축 베어링부(82)에 의해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제1 링크 아암(53)은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회전이 규제되도록 회전 가능한 제1 축(51)의 상단부(51a)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링크 아암(53)은 제1 축(51)을 스윙의 중심으로 하여 스윙할 수 있다. 제1 링크 아암(53)은 조작 레버(61)를 갖는다. 또한, 제1 축(51)은 하우징(11)에 고정되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의 제1 링크 아암(53)은 제1 축(5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됨으로써, 제1 축(51)을 스윙의 중심으로 하여 스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링크 아암(53)은 실질적으로 역U자형 부재이고, 수평 플레이트(53a)와, 이 수평 플레이트(53a)의 좌우측 단부에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플레이트(53b, 53b)를 구비한다. 수평 플레이트(53a)는 제1 축(51)의 상단부(51a)에 부착되고, 제2 축(52)을 향해 연장되는 아암부(53c)를 갖는다. 제2 축(52)에 평행한 제1 연결핀(56)은 아암부(53c)의 단부에 존재한다.
제2 링크 아암(54)은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접 단부의 상대 회전이 규제되도록 회전 가능한 제2 축(52)의 상단부(52a)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링크 아암(54)은 제2 축(52)을 스윙의 중심으로 하여 스윙할 수 있다. 제2 링크 아암(54)은 제1 연결핀(56)을 향해 연장되고, 제1 연결핀(56)에 연결되는 긴 구멍(54a)을 말단부에 갖는다. 긴 구멍(54a)은 얇고, 제2 링크 아암(5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관통한다.
셔터(40)의 셔터 본체(42)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 방향으로 돌기한 제2 연결핀(57)을 갖는다. 제2 연결핀(57)은 제2 축(52)에 평행하다.
제3 링크 아암(55)은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접 단부의 상대 회전이 규제되도록 제2 축(52)의 하단부(52b)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3 링크 아암(55)은 제2 축(52)을 스윙의 중심으로 하여 스윙할 수 있다. 제3 링크 아암(55)은 제2 연결핀(57)을 향해 연장되고, 제2 연결핀(57)에 연결되어 있는 긴 구멍(55a)을 말단부에 갖는다. 긴 구멍(55a)은 얇고, 제3 링크 아암(5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관통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61)는, 제1 링크 아암(53)에 부착되어 있는 수평 지지축(62)과, 이 지지축(6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 기단 부재(63)와, 이 레버 기단 부재(63)에 고정되어 있는 레버부(64)와, 이 레버부(64)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65)를 구비한다. 지지축(62)은 수직 플레이트(53b, 53b) 쌍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다. 레버 기단 부재(63)는 수평면의 실질적으로 U자형 부재이고, 지지축(62)에 평행한 수직 플레이트(63a)와, 이 수직 플레이트(63a)의 좌우측 단부에서부터 지지축(62)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좌우 측방향 플레이트(63b, 63b)를 구비한다. 수직 플레이트(63a)는 지지축(62)에 상대적으로 하우징(11)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다. 좌우 측방향 플레이트(63b, 63b) 쌍은 지지축(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레버부(64)의 기저 단부는 레버 기단 부재(63)의 수직 플레이트(63a)에서부터 윗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다음의 정의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조작 기구(50)를 제1 축(51)의 축 방향에서 본 경우에 이용될 것이다. 제1 축(51)의 중심 P1[제1 점(P1)]에서 제1 연결핀(56)의 중심 P2[제2 점(P2)]까지의 직선 S1은 제1 직선(S1)이다. 제1 연결핀(56)의 중심 P2[제2 점(P2)]에서 제2 축(52)의 중심 P3[제3 점(P3)]까지의 직선 S2는 제2 직선(S2)이다. 제2 축(52)의 중심 P3[제3 점(P3)]에서 제2 연결핀(57)의 중심 P4[제4 점(P4)]까지의 직선 S3은 제3 직선(S3)이다. 제1 축(51)의 중심 P1[제1 점(P1)]에서 레버부(64)의 중심 P5[제5 점(P5)]까지의 직선 S4는 제4 직선(S4)이다.
제3 점(P3)과 제4 및 제5 점(P4, P5)은 제1 직선(S1)을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뉘도록 위치되어 있다. 제3 직선(S3)은 제1 직선(S1)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있다. 제4 직선(S4)은 제3 직선(S3)에 대해 실직적으로 평행이다. 제1 직선(S1)에 대한 제2 직선(S2)의 각도 θ1와 제2 직선(S2)에 대한 제3 직선(S3)의 각도 θ2는 모두 예각이고, 예컨대 30°내지 60°의 범위에서 설정된다.
제2 직선(S2)의 길이 L2은 제1 직선(S1)의 길이 L1에 비해 짧게, 예컨대 1/2로 설정된다. 제3 직선(S3)의 길이 L3은 제2 직선(S2)의 길이 L2에 비해 길게, 예컨대 2배로 설정된다. 따라서, 제2 축(52)은 제1 축(51)에 인접해 있다.
조작 안내부(71)는 조작 레버(61)의 작동 방향을 안내(규정)하고, 도 2,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후방 벽 플레이트(72)에 형성된다. 조작 안내부(71)는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수평으로 배치된 길고 좁은 안내 구멍(73)과, 이 길쭉한 형상의 안내 구멍(73)을 형성하고 있는 가장자리 아래의 부분(73a)[하부 가장자리(73a)]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위치결정 홈(74)을 구비한다.
길쭉한 형상의 안내 구멍(73)은 조작 레버(61)의 레버부(64)를 제1 링크 아암(53)의 스윙 방향(수평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수평의 홈이고, 일직선 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 개(예컨대, 5개)의 위치결정 홈(74)은 조작 레버(61)의 스윙 조작 위치를 임의의 위치로 설정하기 위한 상부 개방의 수직 홈이고, 각각 길쭉한 형상의 안내 구멍(73)과 연통하고 있다. 길쭉한 형상의 안내 구멍(73)의 일 단부 측에 있는 위치결정 홈(74)의 위치는 완전 폐쇄 위치를 규정하고, 길쭉한 형상의 안내 구멍(73)의 다른 단부 측에 있는 위치결정 홈(74)의 위치는 완전 개방 위치를 규정한다. 위치결정 홈(74)의 간격은, 예컨대 셔터 본체(42)의 개방 정도가 25%씩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61)는, 조작력이 해제되어 있을 때, 길쭉한 형상의 안내 구멍(73)으로부터 복수 개의 위치결정 홈(74) 중 하나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압박 부재(75)로부터 압력을 받는다. 이 압박 부재(75)는, 예컨대 비틀어 돌려진 코일 스프링(리턴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비틀어 돌려진 코일 스프링의 코일은 지지축(62)에 끼워 넣어진다.
다음으로, 도 10에 기초하여 셔터 조작 기구(5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상기 도 9에 나타낸 셔터 조작 기구(50)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서는 상기 도 9에 나타낸 셔터 조작 기구(50)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실선으로 나타낸 조작 레버(61)를 도 10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스윙 조작한 결과, 셔터 조작 기구(50)는 점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변위된다. 이하에서 셔터 조작 기구(50)의 동작을 설명한다.
현재, 조작 레버(61)는 실선으로 나타낸 제1 조작 위치 Bu에 있다. 이 제1 조작 위치 Bu는 도 6에 나타낸 배깅 조작 위치 Bu, 즉 셔터의 완전 개방 조작 위치에 상당한다. 그 후, 조작 레버(61)는 도 10의 반시계 방향으로 제2 조작 위치 Mu까지 각도 θ11만큼 스윙 조작된다. 점선으로 나타낸 제2 조작 위치 Mu는 도 6에 나타낸 멀칭 조작 위치 Mu, 즉 셔터의 완전 폐쇄 조작 위치에 상당한다.
조작 레버(61)가 도 10에 나타낸 반시계 방향으로 각도 θ11(예컨대, 15°)만큼 스윙 조작된 결과, 제1 링크 아암(53)은 도 10에 나타낸 반시계 방향으로 θ11만큼 스윙한다. 이 때, 제1 링크 아암(53)의 제1 연결핀(56)이 긴 구멍(54a)의 가장자리를 누름으로써, 제2 링크 아암(54)은 도 10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각도 θ12(예컨대, 30°)만큼 스윙한다. 이 때문에, 제2 축(52)은 도 10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3 링크 아암(55)은 도 10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각도 12만큼 스윙한다. 이 때, 제3 링크 아암(55)의 긴 구멍(55a)의 가장자리가 제2 연결핀(57)을 누름으로써, 제2 연결핀(57)은 긴 구멍(55a)을 따라 도 10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각도 θ12만큼 변위된다. 그 결과, 제2 연결핀(57)은 도 4에 나타낸 셔터(40)를 회전 변위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잔디 깎기 기계(10)의 전체적이 작용을 설명한다.
도 6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61)는 배깅 조작 위치 Bu로 설정됨으로써, 셔터 본체(42)는 도 4에 나타낸 완전 개방 위치(개방 정도 100%)에 위치한다. 통로 구멍(32)이 완전 개방됨으로써, 잔디 깎기 기계(10)는 배깅 모드를 이용하는 형식으로 설정되고, 블레이드(14)로 깎인 잔디('깎인 잔디')는 깎인 잔디 수납체 Bg(도 1 참조)에 수납될 수 있다.
그 후, 도 6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61)는 멀칭 조작 위치 Mu로 설정됨으로써, 셔터 본체(42)는 도 11에 나타내는 완전 폐쇄 위치(개방 정도 0%)에 위치한다. 통로 구멍(32)이 셔터 본체(42)에 의해 완전히 닫힘으로써, 잔디 깎기 기계(10)는 멀칭 모드를 이용하는 형식으로 설정되고, 깎인 잔디는 하우징(11) 내에서 더 작게 깎여, 하우징(11) 아래의 영역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조작 레버(61)를 배깅 조작 위치 Bu와 멀칭 조작 위치 Mu 사이의 임의의 위치로 설정함으로써, 셔터 본체(42)는 임의의 각도로 반출 통로 구멍(32)을 열도록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잔디 깎기 기계(10)는 중간 모드(배깅 모드와 멀칭 모드 사이의 중간 모드)를 이용하는 형식으로 설정되고, 깎인 잔디의 일부는 땅으로 되돌려지며 나머지의 깎인 잔디는 깎인 잔디 수납체 Bg(도 1 참조)에 수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전환 동작은, (1) 셔터 본체(42)가 완전 개방되어 깎인 잔디가 깎인 잔디 수납체 Bg에 수납되는 배깅 모드와, (2) 셔터 본체(42)가 완전 폐쇄되어 깎인 잔디가 하우징(11)의 아래 영역으로 반출되는 멀칭 모드와, (3) 셔터 본체(42)가 임의의 개방 정도로 설정된, 배깅 모드와 멀칭 모드 사이의 중간 모드로, 적절히 수행될 수 있다.
셔터 본체(42)를 임의의 개방 정도로 조작함으로써, 깎인 잔디의 반출 형태는 잔디의 상태, 작업 후 모습 또는 개인 취향에 따라 세밀하고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또, 중간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깎인 잔디 수납체 Bg로 반출되는 깎인 잔디의 반출 유량이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깎인 잔디가 깎인 잔디 수납체 Bg에 쌓이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져, 깎인 잔디 수납체 Bg의 교환 빈도를 줄일 수 있다.
전술한 구성 및 작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조작 기구(50)는 제1 축(51), 제2 축(52), 제1 링크 아암(53), 제2 링크 아암(54) 및 조작 레버(61)의 조합을 구비한다. 제2 축(52)은 제1 축(51)에 대해 인접하고 또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고, 셔터(40)에 연결되어 있다. 조작 레버(61)를 조작함으로써 제1 링크 아암(53)은 제1 축(51)을 스윙 중심으로 하여 스윙한다. 제2 링크 아암(54)은 제1 링크 아암(53)에 의해 스윙 구동되어 제2 축(52)을 회전시킨다. 그 결과, 제2 축(52)이 회전함으로써, 셔터(40)가 개폐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및 제2 축(51, 52)과 제1 및 제2 링크 아암(53, 54)이 조합되므로, 제1 링크 아암(53)의 길이 L1(도 9 참조)에 대한 제2 링크 아암(54)의 길이 L2(도 9 참조)의 비율 Ra=L2/L1, 즉 아암 길이 비율 Ra은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 아암 길이 비율 Ra을 작게 설정함으로써, 제1 링크 아암(53)과 조작 레버(61)의 스윙각 θ11(도 10 참조)에 대한, 제2 링크 아암(54)의 스윙각 θ12(도 10 참조)의 비율 Rθ=θ12/θ11은 커진다. 그 결과, 조작 레버(61)의 조작 각도 θ11에 대한 셔터(40)의 개폐 각도 θ12는 커진다.
셔터(40)가 완전 개방에서부터 완전 폐쇄까지 선회하는 개폐 각도 θ12는 하우징(11)의 크기와 깎인 잔디 반출 통로(31)의 구멍(32)[통로 구멍(32)]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개폐 각도 θ12에 대해 조작 레버(61)의 조작 각도 θ11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아암 길이 비율 Ra가 작게 설정되면 된다. 조작 레버(61)의 조작 각도 θ11를 줄임으로써, 이 조작 각도 θ11는 조작 레버(61)가 엔진(15)(도 2 참조) 또는 다른 부재에 간섭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고, 셔터(40)의 개폐에 필요한 조작 각도 θ12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제2 축(52)은 제1 축(51)에 대해 인접하고 또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및 제2 링크 아암(53, 54)은 근접해질 수 있다. 그 결과, 셔터 조작 기구(50)의 점유 공간이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잔디 깎기 기계(10)가 소형인 경우에도 셔터 조작 기구(50)는 충분히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축(52)이 제3 링크 아암(55)을 통해 셔터(40)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축(52)은 셔터(40)에 대해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소형 잔디 깎기 기계(10)에 있어서, 제2 축(52)은 셔터 조작 기구(50)의 점유 공간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더욱 최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61)가 어느 하나의 위치결정 홈(74)에 끼워진 상태, 즉 로크 상태인 때에는, 조작 레버(61) 자체의 무게에 압박력이 더해진 비교적 큰 복합력에 의해 로크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조작 레버(61)의 로크 상태는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 후, 복합력에 저항하여 작업자가 조작 레버(61)를 손으로 들어 올리는 조작(언로크 조작)을 함으로써, 조작 레버(61)는 위치결정 홈(74)으로부터 벗어나 길쭉한 형상의 안내 구멍(73)으로 들어간다. 그 결과, 조작 레버(61)는 로크 상태에서 언로크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언로크 조작은 조작 레버(61)를 손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수행된다. 이 때문에, 언로크 조작 동안에는 작업자의 체중이 조작 레버(61)에 위로부터 작용하는 일은 없다. 압박 부재(75)에는 여분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그에 상응하는 만큼 압박력이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언로크 조작 시의 조작력이 작으므로, 조작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잔디 깎기 기계(10)는 배깅 모드와 멀칭 모드 모두를 사용할 수 있는 회전식 잔디 깎기 기계에 이용하는 데 적합하다.

Claims (3)

  1. 잔디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15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깎기용 블레이드(14)와,
    상기 블레이드(14)를 수납하기 위한 하부 개방의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깎인 잔디 수납체(Bg)를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깎인 잔디 반출 통로(31)와,
    상기 깎인 잔디 반출 통로(3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축(15a)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한 셔터(40), 그리고
    상기 셔터(40)를 조작하는 셔터 조작 기구(50)
    를 구비하는 잔디 깎기 기계로서,
    상기 셔터 조작 기구(50)는 조작 레버(61), 제1 축(51), 제2 축(52), 제1 링크 아암(53) 및 제2 링크 아암(54)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축(51)은 상기 하우징(11)에 위치해 있고,
    상기 제2 축(52)은 상기 제1 축(51)에 대해 인접하고 또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셔터(4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링크 아암(53)은 상기 제1 축(51)을 중심으로 스윙 가능하고, 상기 조작 레버(61)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링크 아암(54)은, 상기 제2 축(52)에 대한 상기 제2 링크 아암(54)의 상대 회전이 규제되지만 상기 제2 링크 아암(54)이 상기 제2 축(52)을 중심으로 스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축(52)에 부착되고, 상기 제2 링크 아암(54)이 상기 제1 링크 아암(53)에 의해 스윙 구동되도록 상기 제1 링크 아암(53)에 연결되는 것인 잔디 깎기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52)은 제3 링크 아암(55)을 통해 상기 셔터(40)에 연결되는 것인 잔디 깎기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61)의 조작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조작 안내부(71)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 안내부(71)는, 상기 조작 레버(61)를 상기 제1 링크 아암(53)의 스윙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수평의 길쭉한 형상의 안내 구멍(73)과, 상기 수평의 길쭉한 형상의 안내 구멍(73)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위치결정 홈(74)을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위치결정 홈(74)은 상기 조작 레버(61)를 임의의 스윙 조작 위치로 설정하기 위한 수직의 상부 개방 홈을 갖고,
    상기 조작 레버(61)는 조작력이 해제되어 있을 때 상기 수평의 길쭉한 형상의 안내 구멍(73)으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위치결정 홈(74) 중 어느 하나의 위치결정 홈으로 끼워 넣어지는 방향으로 압박 부재(75)에 의해 압박되는 것인 잔디 깎기 기계.
KR1020110029136A 2010-03-30 2011-03-30 잔디 깎기 기계 KR101197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78998 2010-03-30
JP2010078998A JP5364630B2 (ja) 2010-03-30 2010-03-30 芝刈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036A true KR20110110036A (ko) 2011-10-06
KR101197410B1 KR101197410B1 (ko) 2012-11-05

Family

ID=44022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136A KR101197410B1 (ko) 2010-03-30 2011-03-30 잔디 깎기 기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34849B2 (ko)
EP (1) EP2371203B1 (ko)
JP (1) JP5364630B2 (ko)
KR (1) KR101197410B1 (ko)
CN (1) CN102210218B (ko)
AU (1) AU2011201449B2 (ko)
CA (1) CA2735486C (ko)
TW (1) TWI4223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2104710U1 (de) 2011-12-07 2013-01-29 Isc Gmbh Mähvorrichtung, insbesondere Rasenmäher
GB2502984B (en) * 2012-06-12 2016-09-07 Husqvarna Ab Hover lawnmowers
US9629307B2 (en) * 2013-07-12 2017-04-25 Excel Industries, Inc. Mower cutting chamber with adjustable discharge geometry
JP6272103B2 (ja) * 2014-03-27 2018-01-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作業機
TWI566685B (zh) * 2014-10-08 2017-01-21 Nian-Hao Liao Lawn mower
US10219432B2 (en) * 2015-04-21 2019-03-05 Kubota Corporation Grass cutter
US9699963B2 (en) * 2015-06-11 2017-07-11 Deere & Company Mulch kit control lever
CN108718663A (zh) * 2017-04-21 2018-11-02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割草机
JP7077160B2 (ja) * 2018-06-29 2022-05-30 株式会社マキタ 芝刈機
US11197420B2 (en) * 2018-08-01 2021-12-14 Honda Motor Co., Ltd. Variable mulching assembly for use with a lawnmower
US11470777B2 (en) * 2018-08-01 2022-10-18 Honda Motor Co., Ltd. Variable mulching assembly for use with a lawnmower
US11503762B2 (en) * 2018-11-29 2022-11-22 Honda Motor Co., Ltd. Shutter assembly for a lawnmower, lawnmower having same, and convertible lawnmower
US11096326B2 (en) 2019-01-09 2021-08-24 Honda Motor Co., Ltd. Shutter locking assembly for a lawnmower, lawnmower having same, and convertible lawnmower
US10945366B2 (en) * 2019-03-12 2021-03-16 Honda Motor Co., Ltd. Cutter housing assembly for a lawnmower, lawnmower having same, and convertible lawnmower
US20230070072A1 (en) * 2021-09-08 2023-03-09 Deere & Company Mulch gate control lev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4915U (ko) * 1987-08-04 1989-02-10
JPS6441220U (ko) * 1987-09-04 1989-03-13
US4951449A (en) * 1989-07-28 1990-08-28 The Toro Company Convertible lawn mower
US5191756A (en) * 1991-02-04 1993-03-09 Deere & Company Mulching mower apparatus
US5179823A (en) * 1991-07-23 1993-01-19 Pace Sang H Variable mulching mower with edger attachment
JPH05103524A (ja) * 1991-10-09 1993-04-27 Iseki & Co Ltd モーアデツキ
AU5579294A (en) * 1992-11-18 1994-06-08 James George Rolfe Rotary lawnmower attachment
US5442902A (en) * 1994-03-23 1995-08-22 Murray, Inc. Rotary mower having integrated deflector/mulching plug and improved blade
JP3771529B2 (ja) * 2002-03-26 2006-04-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JP3771507B2 (ja) * 2002-03-26 2006-04-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CN100539823C (zh) * 2002-03-26 2009-09-16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割草机
US20030182919A1 (en) * 2002-03-28 2003-10-02 Baumann James R. Deck assembly for a self-propelled, walk-behind rotary lawn mower
US6735932B2 (en) * 2002-05-23 2004-05-1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ariable mulching system for a lawnmower
US6843048B2 (en) * 2002-05-23 2005-01-1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ariable mulching system for a lawnm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7410B1 (ko) 2012-11-05
CA2735486A1 (en) 2011-09-30
CN102210218A (zh) 2011-10-12
AU2011201449B2 (en) 2014-01-16
CN102210218B (zh) 2013-12-18
TWI422321B (zh) 2014-01-11
CA2735486C (en) 2013-11-19
JP2011206008A (ja) 2011-10-20
TW201201678A (en) 2012-01-16
US20110239616A1 (en) 2011-10-06
EP2371203A1 (en) 2011-10-05
EP2371203B1 (en) 2012-12-12
AU2011201449A1 (en) 2011-10-20
JP5364630B2 (ja) 2013-12-11
US8234849B2 (en)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410B1 (ko) 잔디 깎기 기계
CA2418773C (en) Lawn mower
JP5325659B2 (ja) 芝刈機
US6751937B2 (en) Lawn mower discharge shutter
JP2014060936A (ja) 乗用芝刈機
TWI406631B (zh) 割草機
EP2229047B1 (en) A lawn mower
EP1541006B1 (en) Traveling lawn mower
JP2004159621A (ja) 芝刈機
EP1304027B1 (en) Lawnmower
JP2020156445A (ja) 芝刈機
JP7076395B2 (ja) モアー装置
JP2003052217A (ja) 走行型芝刈機
JPH0292208A (ja) 小型芝刈機
JPH0132515Y2 (ko)
JP2020156447A (ja) 芝刈機
JP2003219722A (ja) 走行型芝刈機
JPH06104013B2 (ja) 芝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