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4304A -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 - Google Patents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4304A
KR20110104304A KR1020100023372A KR20100023372A KR20110104304A KR 20110104304 A KR20110104304 A KR 20110104304A KR 1020100023372 A KR1020100023372 A KR 1020100023372A KR 20100023372 A KR20100023372 A KR 20100023372A KR 20110104304 A KR20110104304 A KR 20110104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er
control means
thermal
thermal power
pow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8223B1 (ko
Inventor
김홍진
Original Assignee
김홍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진 filed Critical 김홍진
Priority to KR1020100023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223B1/ko
Publication of KR20110104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에 화력이 배출될 수 있는 화력조절수단을 설치하여 조리기 바닥의 온도가 조절되게 하여 조리기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한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는 조리기의 바닥 일측에 화력조절장치를 설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력조절수단은 다수의 화구가 형성된 본체와 ; 상기 본체에 형성된 화구에 대향되는 화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화구들이 겹쳐지거나 엇갈림에 의해 불꽃의 흐름을 단속하는 화력조절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cooking device with heat adjuster}
본 발명은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에 화력이 배출될 수 있는 화력조절수단을 설치하여 조리기 바닥의 온도가 조절되게 하여 조리기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한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생선이나 육류를 굽는 구이용 조리기의 중앙에 화력조절수단을 설치하여 화력조절수단의 개폐에 따라 조리기의 바닥 온도가 조절되게 하여 조리기 바닥이 과열됨에 의해 조리되는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한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화력조절수단을 구성하는 개폐수단이 온도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게 함으로써 조리기의 바닥에 가해지는 열기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화력조절수단을 통과하여 상부로 전달되는 열기로 다른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한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조리하는 수단인 조리기에는 많은 종류의 것이 있다.
이러한 조리기 중에는 휴대용 가스렌지 등의 화기(火器)를 이용하여 식탁에서 직접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기가 있으며, 이러한 조리기들 중 특히, 생선이나 육류를 직접 조리하는 수단으로 구이판 등이 있다.
이러한 조리기(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수용공간을 갖으며 중앙 부분이 위쪽으로 돌출되어 가장자리 부분으로 국물이 흘러 고이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구성된 조리기는 상부에 올려진 육류 등에 조리기 바닥의 열이 전달되어 육류가 익게 된다.
이러한 조리기는 통상적의로 화기에서 발생된 열이 조리기의 중앙부 저면에 가해지고, 이렇게 화기로부터 가해지는 열기가 과해지면 조리기의 바닥이 과열되어 조리되는 음식물이 타서 먹을 수 없게 되므로 조리과정에서 수시로 화기의 불꽃을 조절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써, 조리기의 바닥에 가해지는 열기가 조리기의 바닥에 가해지는 열이 조리기의 바닥에 전달되거나 또는 조리기 바닥을 통과하여 상부로 전달되어 조리기의 바닥에 가해지는 열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리되는 음식물이 타지 않게 조리할 수 있는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화력조절수단이 조리기의 열에 의해 작동되게 하여 조리기의 바닥이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개방되어 화력이 조리기 바닥을 통과하여 상부로 전달되게 함으로써 조리기 바닥이 과열되지 않게 하며, 이렇게 상부로 전달되는 열은 다른 조리용기에 전달되어 다른 음식물의 조리에 사용될 수 있게 한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는 조리기의 바닥 일측에 화력조절장치를 설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력조절수단은 다수의 화구가 형성된 본체와 ; 상기 본체에 형성된 화구에 대향되는 화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화구들이 겹쳐지거나 엇갈림에 의해 불꽃의 흐름을 단속하는 화력조절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리기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조리기의 중앙에 설치된 화력조절수단에 의해 조리기 바닥이 가열되는 온도가 조절되게 함으로써, 조리기의 바닥이 과열되어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화력조절수단이 조리기 바닥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조절하지 않고도 화력조절수단이 작동되어 조리기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더욱이, 화력조절수단을 통과하는 열기를 이용하여 또 다른 조리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할 수 있어 하나의 화기를 이용하여 하나 두 종류 이상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력조절수단의 중앙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음식물을 넣을 수 있게 함으로써, 화력조절수단 자체의 열기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조리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조리기에 구비된 화력조절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부분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조리기에 구비된 화력조절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부분단면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조리기의 일예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조리기에 구비된 화력조절수단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부분단면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화력조절수단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조리기의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화력조절수단이 설치된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은 화력조절수단의 작동에 따른 화염의 방향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리기는 조리기 자체의 일측에 저면의 화기(火器)에서 발생된 불꽃이 통과하거나 통과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화력조절수단이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즉, 화기에서 발생된 불꽃이 조리기의 바닥에 열을 전달하게 하거나 또는 조리기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불꽃의 열기가 조리기에 덜 전달되게 함으로써 조리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물이 타지 않게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는 조리기(1)의 바닥 일측에 화력조절장치(2)를 설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력조절수단(2)은 다수의 화구(21a)가 형성된 본체(21)와 ; 상기 본체에 형성된 화구(21a)에 대향되는 화구(22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화구(21a, 22a)들이 겹쳐지거나 엇갈림에 의해 불꽃의 흐름을 단속하는 화력조절판(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리기(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이 형성된 통상의 조리기의 중앙에 상기 화력조절수단(2)을 설치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조리기(1)에 설치되는 상기 화력조절수단(2)은 조리기(1)의 바닥판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화기(火器)의 화력이 집중되는 조리기(1)의 중앙에 설치된다.
이러한 화력조절수단(2)은 조리기(1)에 가해진 화력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조리기를 지지하여 조리기를 가열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력조절수단(2)의 상부에 작은 조리기를 올리고 이 조리기에 다른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화력조절수단(2)을 구성하는 상기 본체(21)는 도 8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기(1)에 고정되고, 도 2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을 이루는 통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동심원상에 다수의 화구(2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21)에 형성된 화구(21a)를 개폐시킴에 의해 조리기(1)의 저면에 가해진 화염이 화구(21a)를 통해 흐르거나 조리기(1)의 저면으로 흐르게 된다.
즉,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1)에 형성된 화구(21a)가 닫히면 화염은 조리기(1)의 저면을 따라 흘러 조리기(2)가 가열되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구(21a)가 열리면 화염은 화구(21a)를 통과하여 위쪽으로 흘러 조리기(1)가 덜 가열되는 것이다.
이렇게 본체(21)에 형성된 화구(21a)를 개폐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화력조절판(2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화력조절판(22)은 도 3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21)에 형성된 화구(21a)에 대향되는 화구(2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화력조절판(22)은 도 3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1)의 화구(21a)가 형성된 부분의 하부에 설치되며, 회전 또는 이동하여 화구(22a)와 화구(21a)가 서로 정렬되거나 어긋난 상태가 된다.
즉,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화구(21a, 22a)가 서로 정렬된 상태가 되면 화구(21a)가 개방되어 화염은 화력조절수단(2)의 위쪽으로 흐르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화구(21a, 22a)가 서로 어긋난 상태가 되면 화구(21a)가 막혀 화염은 조리기(1)의 저면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력조절수단(2)은 상기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조리기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의 역할을 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두 화구(21a, 22a)가 서로 정렬된 상태가 되면 화구(21a)가 개방되어 화염은 화력조절수단(2)의 위쪽으로 흐를 때의 화염에 의해 또 다른 조리기가 가열되어 조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화력조절수단(2)을 구성하는 본체(21)의 중앙에는 아래로 파인 조리홈(211)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1)의 중앙을 아래를 향해 굽혀 홈이 형성되게 하여 조리홈(211)을 형성하여 이 조리홈(211)에 마늘이나 고추 등 소량의 감미용 재료를 익힐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화구(22a)와 화구(21a)가 서로 정렬되거나 어긋난 상태하기 위해서는 상기 화력조절판(22)을 작동시켜야 하며, 이렇게 화력조절판(22)을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화력조절판(22)의 일측에는 화력조절판(22)을 회전시켜 상기 화구들(21a, 22a)이 서로 정렬되거나 어긋나게 하기 위한 조절수단(2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절수단(23)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한 두 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수동으로 조작되는 조절수단(23)으로는 상기 본체(21)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231)을 관통하여 화력조절판(22)에 결합된 조절레버(23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동식 조절수단(23)은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레버(232)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밀거나 당겨 화력조절판(22)을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조절레버(232)는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1)으 측벽에 노출되는 정도로 짧게 형성하거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기(1)의 바깥쪽까지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수동으로 화력조절판(22)을 작동시킬 경우 사용자가 화상을 입거나 사용자가 수시로 화력조절판을 작동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으므로 자동으로 작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자동으로 작동되게 하기 위한 조절수단(23)은 일측 단부는 상기 조리기(11)에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화력조절판(22)에 고정되어 조리기(1)의 열에 의해 신축되는 바이메탈(23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리기(1)와 화력조절판(22) 사이에 바이메탈(233)을 설치하여 바이메탈(233)이 열에 의해 신축되는 과정에서 상기 화력조절판(22)이 작동되게 한 것이다.
즉, 조리기(1)에 고정된 바이메탈(233)은 조리기와 동일 유사한 온도를 유지할 것이고, 조리기(1)가 회기에 의해 가열되면 바이메탈(233)도 열을 받아 신장할 것이며, 이러한 바이메탈(233)의 신장에 의해 화력조절판(22)이 밀려 화력조절판(22)에 형성된 화구(22a)와 본체(21)에 형성된 화구(21a)가 서로 정렬된 상태가 되어 화염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화구(21a, 22b)를 통과하여 상부로 흐르게 되어 조리기(1)에 전달되는 열이 줄어들게 된다.
두 화구(21a, 22a)가 정렬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면 조리기(1)가 식게 되고, 이에 따라 바이메탈(233)이 수축하면 화력조절판(22)은 위와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여 두 화구(22a, 22b)가 서로 어긋나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며, 위를 향한 화염의 통로가 막힘으로 화염은 조리기(1)의 저면을 향해 흘러 조리기(1)가 다시 가열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조절수단(23)으로 바이메탈(233)을 사용함으로써 화력조절판(22)이 조리기(1)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여 조리기(1)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두 화구(21a, 22b)가 개방되어 화염이 위를 향할 때에는 보조 조리기의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바이메탈(233)만으로 조절수단(23)을 구성할 경우 바이메탈(233)의 신축에 의해 화력조절판을 당기거나 미는 힘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234)을 더 설치하여 보다 용이하게 화력조절판이 밀리거나 당겨지게 할 수 있게 하였다.
도면상에서는 두 개의 스프링을 바이메탈(233)의 양측에 설치한 것으로 일예로 도시하였으며, 이렇게 설치된 스프링(234)중 좌측의 스프링 즉, 두 화구(21a, 22a)가 서로 정렬되어 열린 상태가 되게 화력조절판(22)을 미는 스프링이 반대쪽 스프링보다 탄성이 약한 것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스프링이 동일 한 탄성을 갖을 경우 탄성의 균형에 의해 밀거나 당기는 작용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화력조절수단(2)을 구성하는 본체(21)의 상부면에는 보조 조리기를 지지하는 지지돌기(213)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돌기(213)는 화력조절수단(2)의 상부면이 보조 조리기의 저면과 밀착되어 화구(21a)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리를 이용하여 조리를 할 때 상기 화력조절수단(2)의 위에도 보조 조리기를 놓아 조리를 할 수 있으며, 이때 보조 조리기의 저면이 화구(21a)를 막으면 화염이 화구(21a)의 위로 흐르지 못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21)의 상부면에는 보조 조리기를 지지하는 지지돌기(213)를 형성하여 보조 조리기를 설치하여도 화구(21a)가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지지돌기(21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을 돌기를 다수 형성하거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심원 상의 화구(21a)의 안쪽에 원형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기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리기(1)의 화력조절수단(2)과 결합되는 구멍의 저면 가장자리 또는 본체(21)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화기의 화염을 안내하는 화염안내날개(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화염안내날개(11)를 형성하면, 화염의 방향이 보다 분명하게 분리되어 화구(21a)가 열렸을 때는 화염이 위쪽으로 향하고, 화구(21a)가 막혔을 때에는 조리기(1)의 저면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리기는 상기 화력조절수단(2)을 이용하여 조리기(1)의 저면에 공급되는 화연의 방향을 조절하여 조리기(1)의 가열 상태를 조절할 수 있어 조리기(1)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화력조절수단(2)을 통해 위쪽으로 흐르는 화염을 이용하여 보조 조리기를 가열할 수 있게 하여 다른 음식물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것이다.
1 : 조리기
11 : 화염안내날개
2 : 화력조절수단
21 : 본체 21a : 화구(火口)
211 : 조리홈 213 : 돌출턱
22 : 화력조절판 22a : 화구(火口)
23 : 조절수단
231 : 관통홀 232 : 조절레버
233 : 바이메탈 234 : 스프링

Claims (7)

  1. 조리기(1)의 바닥에 화력조절장치(2)를 설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력조절수단(2)은 다수의 화구(21a)가 형성된 본체(21)와 ;
    상기 본체에 형성된 화구(21a)에 대향되는 화구(22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화구(21a, 22a)들이 겹쳐지거나 엇갈림에 의해 불꽃의 흐름을 단속하는 화력조절판(2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력조절수단(2)을 구성하는 본체(21)의 중앙에는 아래로 파인 조리홈(21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1)에 형성된 화구(21a)는 원형 링 형상으로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력조절판(22)은 원형 링 형상의 판에 다수의 화구(22a)를 천공하여 구성되며,
    상기 화력조절판(22)의 일측에는 화력조절판(22)을 회전시켜 상기 화구들(21a, 22a)이 서로 정렬되거나 어긋나게 하기 위한 조절수단(23)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23)은 상기 본체(21)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231)을 관통하여 화력조절판(22)에 결합된 조절레버(232)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23)은 일측 단부는 상기 조리기(1)에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화력조절판(22)에 고정되어 조리기(1)의 열에 의해 신축되는 바이메탈(233)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
  6. 제 1 항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화력조절수단(2)을 구성하는 본체(21)의 상부면에는 조리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돌기(213)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1)의 화력조절수단(2)과 결합되는 구멍의 저면 가장자리 또는 본체(21)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화기의 화염을 안내하는 화염안내날개(1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
KR1020100023372A 2010-03-16 2010-03-16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 KR101168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372A KR101168223B1 (ko) 2010-03-16 2010-03-16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372A KR101168223B1 (ko) 2010-03-16 2010-03-16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304A true KR20110104304A (ko) 2011-09-22
KR101168223B1 KR101168223B1 (ko) 2012-08-03

Family

ID=4495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372A KR101168223B1 (ko) 2010-03-16 2010-03-16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2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1443A (zh) * 2014-08-06 2014-11-26 筷子兄弟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烹饪工具及相应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720Y1 (ko) 2003-06-25 2003-10-04 권영세 직화구이용 고기 구이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1443A (zh) * 2014-08-06 2014-11-26 筷子兄弟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烹饪工具及相应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223B1 (ko) 201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8989B2 (ja) 熱源体が昇下降される調理容器
KR101965359B1 (ko) 화기조절판을 구비한 조리용기
KR101669632B1 (ko) 구이보조장치
US11168889B2 (en) Safely knob assembly for a burner
KR20140074483A (ko) 히터의 높낮이 조절식 양면 전기 구이 그릴
CN205372657U (zh) 一种具有智能控温控时装置的燃气灶
KR101168223B1 (ko) 화력조절수단이 구비된 조리기
KR100505831B1 (ko) 휴대용 조리기구
KR101436280B1 (ko) 휴대용 가스 난로
KR101993792B1 (ko) 열순환 및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101092526B1 (ko) 화력조절이 가능한 이중 구이판
KR101479422B1 (ko) 숯불구이기
KR101861601B1 (ko) 다기능 조리용기
JP5203866B2 (ja) 炊飯調理器
KR200356403Y1 (ko) 직화 조리기
KR101698888B1 (ko) 구이용 숯불 직화 그릴 버너
KR200441569Y1 (ko) 전기식 로스터
KR102132476B1 (ko) 조리기기
JP7280743B2 (ja) グリル装置及びガスこんろ
KR102591827B1 (ko)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
AU2018356929B2 (en) Grilling device with pressurised air supply
KR20190048426A (ko) 가스 점화유닛을 가지는 숯불 로스터
JP7129883B2 (ja) グリル
KR200197438Y1 (ko) 조리기구
AU750586B2 (en) Gas grill burn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