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4028A -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4028A
KR20110104028A KR1020117016046A KR20117016046A KR20110104028A KR 20110104028 A KR20110104028 A KR 20110104028A KR 1020117016046 A KR1020117016046 A KR 1020117016046A KR 20117016046 A KR20117016046 A KR 20117016046A KR 20110104028 A KR20110104028 A KR 20110104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intake
holding
intake chamber
hold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7675B1 (ko
Inventor
요시카즈 오가사와라
노리아키 이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4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64Transferring, feeding or handling devices;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61F13/1559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having elastic ribbons fixed thereto; Devices for applying the ribb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흡수성 물품(10)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1a)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유지부(51)의 유지면(53)에 제1 시트형 부재(10)를 유지하는 것과, 상기 유지면(53)으로부터 상기 제1 시트형 부재(10)를 제2 시트형 부재(20a, 24a)에 전달하여 부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유지면(53)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54)으로부터의 흡기에 의해 상기 유지면(53)에 유지된 상기 제1 시트형 부재(10)는, 상기 제2 시트형 부재(20a, 24a)로의 전달시에, 먼저 전달되는 부분과 후에 전달되는 부분을 갖는다. 상기 유지부(51)는,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54)에 연통하는 제1 흡기실(56d)과, 상기 후에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54)에 연통하는 제2 흡기실(56u)의 2개의 흡기실(56)을 적어도 갖는다. 상기 제1 흡기실(56d)과 상기 제2 흡기실(56u)이 서로 통기 불가능하게 구획된 상태로, 상기 제1 시트형 부재(10)를 상기 제2 시트형 부재(20a, 24a)에 전달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COMPOSITE ELEMENT CONSISTING OF SHEET-LIKE MEMBERS AND ADAPTED FOR USE IN ABSORPTIVE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라인에서는, 유지부의 유지면에 유지된 제1 시트형 부재를 상기 유지면으로부터 제2 시트형 부재에 전달하여 부착하여,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를 제조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여기서, 이 유지면에 의한 제1 시트형 부재의 유지는, 통상 상기 유지면에 형성된 다수의 흡기 구멍으로부터의 흡기에 의해 유지면에 생기는 흡인력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또, 이들 흡기 구멍은, 상기 유지부 내에 딱 하나 구획 형성된 흡기실에 연통하고, 이 흡기실의 부압 상태에 기초하여 흡기 구멍으로부터의 흡기가 행해지고 있다(특허문헌 1을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98193호
그러나, 전달시에, 제1 시트형 부재의 일부가 먼저 전달되고, 나머지 부분이 그 후에 전달되는 것처럼, 전달 타이밍이 부분적으로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일부가 전달된 시점에서는, 상기 일부를 흡인했던 흡기 구멍은 이미 제1 시트형 부재로 덮여 있지 않기 때문에, 작은 흡입 저항으로 흡기 가능해져 상기 흡기실의 부압 레벨이 저하된다. 그 결과, 후에 전달되는 상기 나머지 부분을 흡인하는 흡기 구멍의 흡인력이 작아져, 전달전에 상기 나머지 부분의 유지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이 유지성의 저하에 의해 제1 시트형 부재가 변형 등을 초래하여, 제2 시트형 부재에의 부착 정밀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제1 시트형 부재를 제2 시트형 부재에 전달하여 부착할 때, 그 부착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한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유지부의 유지면에 제1 시트형 부재를 유지하는 것과, 상기 유지면으로부터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를 제2 시트형 부재에 전달하여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면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으로부터의 흡기에 의해 상기 유지면에 유지된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는, 상기 제2 시트형 부재로의 전달시에, 먼저 전달되는 부분과 후에 전달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에 연통하는 제1 흡기실과, 상기 후에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에 연통하는 제2 흡기실의 2개의 흡기실을 적어도 가지며,
상기 제1 흡기실과 상기 제2 흡기실이 서로 통기 불가능하게 구획된 상태로,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를 상기 제2 시트형 부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유지면을 포함한 유지부를 가지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유지부의 유지면에 제1 시트형 부재를 유지하고, 상기 유지면으로부터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를 제2 시트형 부재에 전달하여 부착하고,
상기 유지면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으로부터의 흡기에 의해 상기 유지면에 유지된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는, 상기 제2 시트형 부재로의 전달시에, 먼저 전달되는 부분과 후에 전달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에 연통하는 제1 흡기실과, 상기 후에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에 연통하는 제2 흡기실의 2개의 흡기실을 적어도 가지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제1 흡기실과 상기 제2 흡기실이 서로 통기 불가능하게 구획된 상태로,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를 상기 제2 시트형 부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명확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시트형 부재를 제2 시트형 부재에 전달하여 부착할 때의 부착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회용 기저귀(1)의 평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 중의 II-II 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기저귀(1)의 다른 양태의 동단면도이다.
도 3은 기저귀(1)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제조 장치(31)에서 행해지는 처리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제조 장치(31)의 설명도이다.
도 6의 A는 워크 유지 펠릿(51)의 정면도이고, 도 6의 B 및 도 6의 C는 각각 도 6의 A 중의 B-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및 C-C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의 A는 반송 롤러(71)의 확대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 중의 B-B 단면도이다.
도 8의 A 내지 도 8의 E는, 전달 위치(Qout)에서 행해지는 흡수성 본체(10)의 전달 모습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유지면(53)의 흡인 구조의 일반예의 설명도이고, 도 6의 A 중에서의 IX-IX 단면에서의 도면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반예의 흡인 구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의 설명도이다.
도 11의 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유지 펠릿(51)의 흡기 영역(55)의 구분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1의 B는 도 11의 A 중의 B-B 단면도이고, 도 11의 C는 도 11의 A 중의 C-C 단면도이다.
도 12는 흡기 구조의 일례의 설명도로서, 도 12의 A는 도 5 중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12의 B는 도 12의 A 중의 B-B 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각 흡기관(81)의 타단 개구(82b)의 부압 챔버 드럼(85)에의 접속 위치의 바람직한 예의 설명도이고, 도 13의 B는 도 13의 A 중의 B-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13의 C는 이 접속 위치의 바람직한 예의 작용 효과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제조 장치(31)의 그 밖의 실시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15의 A 내지 도 15의 C는 그 밖의 실시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16의 A는 그 밖의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유지 펠릿(51) 내의 흡기실(56)의 구분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6의 B는 도 16의 A 중의 B-B 단면도이고, 도 16의 C는 도 16의 A 중의 C-C 단면도이다.
도 17의 A는 워크 유지 펠릿(51)의 길이 방향이 CD 방향을 향한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 17의 B는 동 길이 방향이 MD 방향을 향한 상태의 설명도이고, 양 도면 모두 워크 유지 펠릿(51)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워크 유지 펠릿(51)을 제거하고 나타낸 중간 챔버 부재(83)의 설명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확해진다.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유지부의 유지면에 제1 시트형 부재를 유지하는 것과, 상기 유지면으로부터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를 제2 시트형 부재에 전달하여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면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으로부터의 흡기에 의해 상기 유지면에 유지된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는, 상기 제2 시트형 부재로의 전달시에, 먼저 전달되는 부분과 후에 전달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에 연통하는 제1 흡기실과, 상기 후에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에 연통하는 제2 흡기실의 2개의 흡기실을 적어도 가지며,
상기 제1 흡기실과 상기 제2 흡기실이 서로 통기 불가능하게 구획된 상태로,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를 상기 제2 시트형 부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 흡기실과 제2 흡기실이 서로 통기 불가능하게 구획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를 상기 제2 시트형 부재에 전달한다. 따라서, 전달시에, 제1 흡기실의 흡기 상태가 제2 흡기실에 미치는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의 제2 시트형 부재로의 전달후에 발생할 수 있는, 상기 후에 전달되는 부분에 따른 구멍의 흡인력의 저하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일련의 전달 동작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걸쳐, 유지면은 제1 시트형 부재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시트형 부재의 변형 등을 유효하게 억제하여, 부착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의 상기 제2 시트형 부재로의 전달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의 흡기가 약해지고,
상기 후에 전달되는 부분의 상기 제2 시트형 부재로의 전달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후에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의 흡기가 약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 시트형 부재에서 구멍이 담당하는 부분의 전달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구멍의 흡기를 약하게 하기 때문에, 상기 구멍의 흡인력을 약하게 하여, 유지면으로부터 제2 시트형 부재로의 제1 시트형 부재의 전달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흡기를 약하게 한 구멍은, 약하게 한 순서로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를 향해 공기를 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 시트형 부재에서 전도 완료해야 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구멍은, 순차적으로 공기를 분출하기 때문에, 상기 전도 완료해야 하는 부분으로의 흡인력을 완전히 소멸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유지면으로부터 제2 시트형 부재로의 제1 시트형 부재의 전달을 보다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유지부에서의 상기 제1 흡기실과 상기 제2 흡기실 사이의 위치에는, 상기 제3 흡기실이 구획되어 있고,
상기 제1 흡기실에 연통하는 구멍과, 상기 제2 흡기실에 연통하는 구멍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3 흡기실에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흡기실, 상기 제2 흡기실 및 상기 제3 흡기실이 서로 통기 불가능하게 구획된 상태로,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를 상기 제2 시트형 부재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유지면의 구멍의 흡인 동작을 더욱 세분화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면은, 일련의 전달 동작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걸쳐, 제1 시트형 부재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유지부는 주회 궤도를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제2 시트형 부재는, 상기 주회 궤도에서의 전달 위치의 롤러에 걸어 돌려져 연속하여 주행하는 연속 시트이고,
상기 유지부가 상기 전달 위치를, 상기 제2 시트형 부재의 주행 방향을 따라서 통과할 때, 상기 유지부의 유지면의 상기 제1 시트형 부재가 상기 제2 시트형 부재로 전달되고,
전달할 때 상기 유지면에서 상기 주회 궤도의 하류측이 되는 영역에,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지면에서 상류측이 되는 영역에, 상기 후에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유지부가 상기 전달 위치를 통과할 때, 상기 유지부로부터 상기 제2 시트형 부재로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를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과 상기 후에 전달되는 부분 각각에는, 이들 부분을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수축시키는 탄성 부재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구멍의 흡기에 의해 상기 제1 시트형 부재가 상기 유지면에 흡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 및 후에 전달되는 부분이, 대응하는 상기 탄성 부재로부터의 수축력에 대항하여 신장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본 제조 방법의 작용 효과를 유효하게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의 전달후에 발생할 수 있는, 상기 후에 전달되는 부분에 따른 구멍의 흡인력의 저하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의 전달후에도, 상기 후에 전달되는 부분의 신장 상태는 유지면 상에서 유효하게 유지된다. 그 결과, 전달 과정에서의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과 상기 후에 전달되는 부분의 수축차를 억제할 수 있어, 제2 시트형 부재로의 부착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흡기실 및 상기 제2 흡기실은, 상기 유지부의 내부에서 서로 통기 불가능한 챔버형으로 구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1 흡기실 및 상기 제2 흡기실은, 서로 통기 불가능한 챔버형으로 상기 유지부의 내부에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일련의 전달 동작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걸쳐, 유지면은 제1 시트형 부재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유지면을 포함한 유지부를 가지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유지면에 제1 시트형 부재를 유지하고, 상기 유지면으로부터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를 제2 시트형 부재에 전달하여 부착하고,
상기 유지면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으로부터의 흡기에 의해 상기 유지면에 유지된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는, 상기 제2 시트형 부재로의 전달시에, 먼저 전달되는 부분과 후에 전달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에 연통하는 제1 흡기실과, 상기 후에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에 연통하는 제2 흡기실의 2개의 흡기실을 적어도 가지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제1 흡기실과 상기 제2 흡기실이 서로 통기 불가능하게 구획된 상태로,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를 상기 제2 시트형 부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장치.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제1 흡기실과 제2 흡기실이 서로 통기 불가능하게 구획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를 상기 제2 시트형 부재에 전달한다. 따라서, 전달시에, 제1 흡기실의 흡기 상태가 제2 흡기실에 미치는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의 제2 시트형 부재로의 전달후에 발생할 수 있는, 상기 후에 전달되는 부분에 따른 구멍의 흡인력의 저하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일련의 전달 동작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걸쳐, 유지면은 제1 시트형 부재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시트형 부재의 변형 등을 유효하게 억제하여, 부착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에 따른 연속 시트의 복합체(1a)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31)는, 예를 들어, 일회용 기저귀(1)의 제조 라인에 적용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일회용 기저귀(1)의 설명도이다. 도 1은 기저귀(1)의 평면도이고, 도 2의 A는 도 1 중의 II-II 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기저귀(1)의 다른 양태의 동 단면도이다. 도 3은 기저귀(1)의 사시도이다.
이 기저귀(1)는, 착용자의 배측부를 덮는 배측띠 부재(20)와, 착용자의 등측부를 덮는 등측띠 부재(24)와, 착용자의 가랑이에 딱 맞게 붙여져 뇨 등의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성 본체(1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의 전개 상태에서는, 배측띠 부재(20)와 등측띠 부재(24)가 서로간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나열된 상태로, 이들의 사이에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10e, 10e)가 걸쳐서 고정되어 있고, 그 외관 형상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H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C10)를 접는 위치로 하여 반으로 접고, 이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띠부재(20, 24)끼리, 착용자의 옆구리에 접촉해야 할 부위에서 고정되면, 이들 띠부재(20, 24)끼리 환상으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몸통 둘레 개구(3) 및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5, 5)가 형성된 착용 상태의 기저귀(1)가 된다.
전술한 고정 구조로서, 용착 등의 착탈 불가능한 접합 구조를 이용하면, 팬츠형 기저귀가 되는 한편, 패스닝 테이프(fastening tape) 부재(도시되지 않음) 등의 착탈 가능한 접합 구조를 이용하면, 오픈형 기저귀가 된다. 이하, 도 1 및 도 2의 A를 참조하면서, 기저귀(1)의 각 구성 부품(10, 20, 24)에 관해 설명한다.
흡수성 본체(10)는, 펄프 섬유 등의 액체 흡수성 섬유를,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진 흡수체(11)와, 흡수체(11)를 착용자의 피부쪽에서 덮는 표면 시트 부재(12)와, 흡수체(11)를 표면 시트 부재(12)의 반대쪽에서 덮어 기저귀(1)의 외장을 겸하는 이면 시트 부재(13)를 포함하고 있다. 흡수체(11)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표면 시트 부재(12)는, 예를 들어 흡수체(11)보다 큰 평면 사이즈의 액투과성의 부직포이다. 또, 이면 시트 부재(13)는, 흡수체(11)보다 큰 평면 사이즈의 액불투과성 시트이며, 그 일례로는, 폴리에틸렌 등의 액불투과성의 샘방지 시트(14)와, 부직포 등의 외장 시트(15)가 접합된 2층 구조의 이면 시트 부재(13)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이면 시트 부재(13)와 표면 시트 부재(12) 사이에 흡수체(11)를 끼운 상태에서, 흡수체(11)의 4변으로부터 외측으로 튀어나온 부분에서, 이면 시트 부재(13)와 표면 시트 부재(12)가 액자형으로 접합되고, 이에 따라, 흡수성 본체(10)가 형성된다.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시트 부재(12)와 흡수체(11) 사이 또는 이면 시트 부재(13)와 흡수체(11) 사이에, 티슈 페이퍼 등의 액투과성 시트(16)를 개재해도 좋다. 또, 이면 시트 부재(13)의 폭방향의 양단부에서, 샘방지 시트(14)와 외장 시트(15) 사이에 길이 방향을 따르고 있는 실고무 등의 탄성 부재(17)를 신장한 상태에서 개재하여 고정해도 좋고, 그렇게 하면, 이들 탄성 부재(17)에 의해, 기저귀(1)의 각 다리 둘레 개구(5, 5)에는 다리 둘레 주름부가 형성되어 신축성이 부여된다.
배측띠 부재(20) 및 등측띠 부재(24)는 모두, 예를 들어 부직포 등의 유연한 시트를 소재로 한다. 여기서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직포(21, 21)를 2장 겹쳐서 각 띠부재(20, 24)가 형성되어 있고, 각 띠부재(20, 24)는, 각각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대응하는 단부(10e, 10e)에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단,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장이 겹쳐진 부직포(21, 21)의 사이에,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단부(10e, 10e)를 개재하여 고정해도 좋다. 또, 각 띠부재(20, 24)에 실고무 등의 탄성 부재를 신장한 상태에서 고정하여, 이들 띠부재(20, 24)에 신축성을 부여해도 좋다.
이러한 기저귀(1)는, 제조 라인을 연속하여 흐르는 어느 하나의 부품을 기재로 하고, 상기 기재에 대하여 각종 부품이 접합되거나 하여 완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31)는, 그 하나의 공정을 담당하고 있다.
도 4는, 이 제조 장치(31)에서 행해지는 처리의 모식도이고, 도 5는 제조 장치(31)의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제조 장치(31)의 폭방향을 「CD 방향」이라고 하고, 이 CD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MD 방향」이라고 한다. 즉, MD 방향이란, CD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내의 임의의 방향을 말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MD 방향에서 서로 직교하는 2방향을, 각각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 공정에서는, 한쌍의 띠부재(20, 24)에 대하여 흡수성 본체(10)를 걸쳐서 접착하는 처리를 행하고, 이에 따라, 기저귀(1)의 반제품은 도 1과 같은 대략 H형상이 된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조 장치(31)에 공급되는 시점의 한쌍의 띠부재(20, 24)는, MD 방향을 따르고 있는 연속체(20a, 24a)의 형태로, 서로 CD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된 상태로 연속 반송되고 있다. 또, 흡수성 본체(10)쪽도 MD 방향으로 연속하는 연속체(10a)의 형태로 연속 반송되고 있다. 즉, 흡수성 본체(10)를 구성하는 표면 시트 부재(12) 및 이면 시트 부재(13)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연속 시트의 상태이고, 그리고, 이들 표면 시트 부재(12) 및 이면 시트 부재(13) 사이에 흡수체(11)가 개재되면서 각 흡수체(11)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된 상태이다.
그 때문에, 이 제조 장치(31)에서는, 우선, 커터 장치(61)(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흡수성 본체의 연속체(10a)를 흡수체(11, 11) 사이의 부위에서 CD 방향을 따라서 분할하고, 이에 따라, 길이 방향이 MD 방향을 향한 흡수성 본체(10)를 생성한다. 그리고, CD 방향을 따르고 있는 축심(C41) 둘레에 구동 회전하는 회전 드럼(42)이, 그 외측 둘레면에서 상기 흡수성 본체(10)를 수취하고, 이 수취한 위치(이하, 수취 위치(Qin)라고 함)로부터, 회전 드럼(42)의 구동 회전에 의해 흡수성 본체(10)를 정해진 전달 위치(Qout)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흡수성 본체(10)를 그 평면 중심 둘레에 90°선회함으로써,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MD 방향으로부터 띠부재의 연속체(20a, 24a)의 병렬 방향인 CD 방향으로 변경한다.
한편, 상기 전달 위치(Qout)에는 반송 롤러(71)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반송 롤러(71)에는, CD 방향으로 한쌍의 띠부재의 연속체(20a, 24a)가 걸려서 돌려져 MD 방향으로 연속 반송되고 있다. 따라서, 회전 드럼(42)의 구동 회전에 의해 흡수성 본체(10)가 상기 전달 위치(Qout)를 통과할 때에는, 한쌍의 띠부재의 연속체(20a, 24a)에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10e, 10e)가 접착되고, 이에 따라, 전술한 도 1의 대략 H형상의 이전 단계인 도 4의 대략 사다리꼴의 반제품(1a)이 생성된다.
그리고, 여기까지가, 이 제조 장치(31)의 담당 처리 범위이다. 참고로, 이 예에서는, 흡수성 본체(10)가 「제1 시트형 부재」에 해당하고, 한쌍의 띠부재의 연속체(20a, 24a)가 「제2 시트형 부재」에 해당하고, 대략 사다리꼴의 반제품(1a)이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에 해당한다. 이하, 이 제조 장치(31)의 각 구성 요소(61, 41, 71)에 관해 설명한다.
<<<커터 장치(61)>>>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터 장치(61)는, CD 방향을 따르고 있는 축심(C61a, C61b) 둘레에 정해진 주속(V61)으로 연속하여 구동 회전하는 상하 한쌍의 롤(61a, 61b)을 갖는다. 주속(V61)은, 예를 들어 흡수성 본체의 연속체(10a)의 반송 속도(V10a)와 거의 동일한 속도로 설정된다.
여기서, 상측 롤(61a)의 외측 둘레면은 평활면이다. 그리고, 그 외측 둘레면이, 상기 수취 위치(Qin)에서 회전 드럼 장치(41)에 가장 근접하여 마주보도록 상측 롤(61a)이 배치되어 있다. 또, 하측 롤(61b)의 외측 둘레면에는, CD 방향을 따르고 있는 1장의 평날(62)이 설치되고, 상기 외측 둘레면의 둘레 길이는, 흡수성 본체(10)의 설계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따라서, 이들 상하측 롤(61a, 61b)의 구동 회전에 의해 흡수성 본체의 연속체(10a)가 MD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보내지는 과정에서, 하측 롤(61b)의 평날(62)이 상측 롤(61a)의 외측 둘레면과 마주보고 흡수성 본체의 연속체(10a)를 사이에 끼움으로써, 동 연속체(10a)의 선단측에는, 상기 설계 길이분의 흡수성 본체(10)가 분할 생성된다.
상측 롤(61a)에 있어서는, 그 외측 둘레면에 복수의 흡기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들 흡기 구멍에 의한 흡기 동작이, 상측 롤(61a)의 둘레 방향에 관해, 하측 롤(61b)과 가장 근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수취 위치(Qin)와 마주보는 위치까지의 범위에 걸쳐 항상 행해진다. 따라서, 분할 생성되는 흡수성 본체(10) 및 분할에 의해 새롭게 형성된 연속체(10a)의 선단부는, 모두 상측 롤(61a)의 외측 둘레면에 확실하게 흡인 유지되어 확실하게 회전 드럼 장치(41)의 수취 위치(Qin)로 보내진다.
<<<회전 드럼 장치(41)>>>
회전 드럼 장치(41)는, CD 방향을 따르고 있는 축심(C41) 둘레에 구동 회전하는 회전 드럼(42)과, 흡수성 본체(10)를 유지하기 위해, 회전 드럼(42)의 외측 둘레면에 둘레 방향으로 등피치로 나란히 지지된 복수장(도시예에서는 8장)의 워크 유지 펠릿(51)(유지부에 해당)을 갖고 있다.
회전 드럼(42)은 대략 원통형 부재이며, 적절한 모터 등을 구동원으로 하여, 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의 한방향으로 정해진 각속도(ω)로 구동 회전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각 워크 유지 펠릿(51)은, 상기 축심(C41)을 원심으로 하는 정원형의 주회 궤도(Tr) 상을, 상기 각속도(ω)에 기초하는 정해진 이동 속도(V51)로 이동한다.
이 주회 궤도(Tr) 상에는, 전술한 수취 위치(Qin)와 전달 위치(Qout)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수취 위치(Qin)에서는, 커터 장치(61)로부터 각 워크 유지 펠릿(51)이 흡수성 본체(10)를 수취하고, 전달 위치(Qout)에서는 동 전달 위치(Qout)의 상기 반송 롤러(71)와 협동하여, 워크 유지 펠릿(51) 상의 흡수성 본체(10)를 한쌍의 띠부재의 연속체(20a, 24a)에 접합하여 전달한다.
도 6의 A는 워크 유지 펠릿(51)의 정면도이고, 도 6의 B 및 도 6의 C는 각각 도 6의 A 중의 B-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및 C-C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워크 유지 펠릿(51)은, 흡수성 본체(10)를 면접촉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면(53)을 가진 대략 직사각형의 플레이트형 부재이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면(53)을 회전 드럼(42)의 회전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고 있다. 유지면(53)에는,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거의 전면(全面)에 걸쳐 복수의 흡기 구멍(54)(구멍에 해당)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흡기 구멍(54)은, 워크 유지 펠릿(51) 내부의 흡기실(56)이나 흡기관(81) 등의 관로를 거쳐 후술하는 부압 존(Z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흡기 구멍(54)으로부터의 흡기에 의해, 상기 유지면(53)에는 흡수성 본체(10)를 유지하기 위한 흡인력이 생긴다. 이 흡기 동작은, 도 5의 수취 위치(Qin)로부터 전달 위치(Qout)까지의 범위에 걸쳐 행해지고, 그 이외의 범위에서는 대체로 정지된다. 이 흡기 동작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 유지면(53)의 길이 방향은 워크 유지 펠릿(51)의 길이 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취 위치(Qin)에서의 워크 유지 펠릿(51)의 길이 방향을 MD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면, 커터 장치(61)로부터, 길이 방향이 MD 방향을 향한 상태로 보내지는 흡수성 본체(10)를, 상기 유지면(53)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면(53)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곡률 반경(R53)은 도 5의 주회 궤도(Tr)의 회전 반경과 대체로 동일한 값이다. 따라서, 수취 위치(Qin)에서의 워크 유지 펠릿(51)의 이동 속도(V51)를, 워크 유지 펠릿(51)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등속으로 유지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워크 유지 펠릿(51)의 이동 속도(V51)가 흡수성 본체의 연속체(10a)의 반송 속도(V10a)와 같아지도록 회전 드럼(42)의 각속도(ω)를 설정해 두면, 워크 유지 펠릿(51)은, 커터 장치(61)로부터 보내지는 흡수성 본체(10)를, 그 전체 길이에 걸쳐 거의 주름이 없는 신장된 상태로 수취할 수 있다.
또, 워크 유지 펠릿(51)은, 도 5 내지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면(53)의 평면 중심을 통과하여 회전 드럼(42)의 회전 반경 방향을 따르고 있는 선회 축심(C53) 둘레에 선회 가능하다. 따라서, 이 선회 축심(C53) 둘레에 워크 유지 펠릿(51)이 선회됨으로써, 워크 유지 펠릿(51) 상의 흡수성 본체(10)도 워크 유지 펠릿(51)과 일체가 되어 선회하고, 이에 따라,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이 MD 방향으로부터 CD 방향으로 변경된다. 그리고, 전달 위치(Qout)에서 흡수성 본체(10)의 전달이 종료되면, 다시 수취 위치(Qin)에서 흡수성 본체(10)를 수취하기 위해 90°선회하고, 이에 따라 워크 유지 펠릿(51)의 길이 방향은 CD 방향으로부터 MD 방향으로 복귀된다. 이 선회 동작의 구동원으로는 적절한 모터 등을 들 수 있다.
<<<반송 롤러(71)>>>
도 7의 A는 전달 위치(Qout)에 배치된 반송 롤러(71)의 확대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 중의 B-B 단면도이다. 반송 롤러(71)는, CD 방향을 향한 축심(C71)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종동의 롤러(71)이다. 그 외측 둘레면에는, 한쌍의 띠부재의 연속체(20a, 24a)가 걸려서 돌려지고, 동 연속체(20a, 24a)의 주행에 따라 종동 회전한다. 한쌍의 띠부재의 연속체(20a, 24a)의 주행 속도(V20a)(반송 속도)는, 회전 드럼(42)의 워크 유지 펠릿(51)의 상기 이동 속도(V51)와 대략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롤러(71)의 외형 형상은, 워크 유지 펠릿(51)의 유지면(53)의 볼록형(도 6의 B)에 대응하여, CD 방향의 중앙부가 움푹 패인 모양으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달 위치(Qout)에서는 워크 유지 펠릿(51)의 길이 방향은 CD 방향을 향하고 있고, 또 워크 유지 펠릿(51)의 유지면(53)의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양단부보다 중앙부쪽이 회전 드럼(42)의 회전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팽창한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원호 형상에 대응하여, 반송 롤러(71)의 외측 둘레면의 형상은, 반송 롤러(71)의 반경이 CD 방향의 단부로부터 중앙부에 걸쳐서 서서히 작아지는 원호형의 롤커브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반송 롤러(71)는, 전달 위치(Qout)를 통과하는 워크 유지 펠릿(51)과의 사이에서, 흡수성 본체(10)를, 그 CD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균등하게 끼워 넣어 확실하게 유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이 롤커브의 곡률 반경(R71)을, 워크 유지 펠릿(51)의 상기 원호 형상에 따른 곡률 반경(R53) 이상, 동 곡률 반경(R53)의 1.2배 이하로 하면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률 반경(R53)보다 큰 곡률 반경으로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CD 방향의 양단부에서 유지면(53)과 반송 롤러(71)가 국소적으로 흡수성 본체(10)에 강하게 닿은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흡수성 본체(10)가 받을 수 있는 손상을 경감할 수 있다. 전술한 곡률 반경(R53)보다 곡률 반경(R71)을 크게 설정하는 경우의 기준으로는, 예를 들어, 흡수성 본체(10)의 설계 두께만큼 크게 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반송 롤러(71)의 소재로는, 워크 유지 펠릿(51)이 접촉할 때의 접촉 압력에 의해, 적어도 외측 둘레부가 탄성 변형하도록 하는 유연한 소재가 바람직하고, 그 일례로는 스폰지형의 우레탄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소재를 이용하면, 전달시에 워크 유지 펠릿(51)과 반송 롤러(71) 사이에 끼워지는 흡수성 본체(10)에 큰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달 위치(Qout)에서의 흡수성 본체(10)의 전달 동작에 관해>>>
도 8의 A 내지 도 8의 E는, 전달 위치(Qout)에서 행해지는 흡수성 본체(10)의 전달 모습의 설명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달 위치(Qout)의 반송 롤러(71)의 외측 둘레면에는, 한쌍의 띠부재의 연속체(20a, 24a)가 걸려서 돌려져 연속 반송되고 있고, 반송 롤러(71)의 외측 둘레면의 일부가 상기 주회 궤도(Tr) 상의 상기 전달 위치(Qout)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워크 유지 펠릿(51)의 유지면(53)쪽도, 상기 주회 궤도(Tr)를 따라서 상기 전달 위치(Qout)를 통과한다. 그리고, 유지면(53)에 유지된 흡수성 본체(10)의 각 부분이, 상기 전달 위치(Qout)를 통과할 때, 상기 각 부분이 순차적으로 반송 롤러(71)의 외측 둘레면 상의 한쌍의 띠부재의 연속체(20a, 24a)에 접착하여 동 연속체(20a, 24a)에 전달된다. 따라서, 이 전달 동작은, 반송 롤러(71)의 외측 둘레면을 따르고 있는 곡면에의 전사, 즉, 소위 곡면 전사의 양상을 나타낸다.
여기서, 이 곡면 전사의 경우에는, 유지면(53)으로부터 상기 한쌍의 띠부재의 연속체(20a, 24a)로의 흡수성 본체(10)의 전달 동작은, 유지면(53)의 전면(全面)에 걸쳐 동시에는 행해지지 않고, 유지면(53)에서 흡수성 본체(10)를 전달하는 영역이, 주회 궤도(Tr)의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순차적으로 이행하는 형태로 행해진다. 즉, 전달 타이밍이, 적어도 유지면(53)에서의 하류측의 영역(55d)(이하, 하류측 영역이라고도 함)과 상류측의 영역(55u)(이하, 상류측 영역이라고도 함)의 양자에서 달라지게 된다. 환언하면, 흡수성 본체(10)는, 먼저 전달되는 부분(하류측 영역(55d)에 유지되는 부분)과, 후에 전달되는 부분(상류측 영역(55u)에 유지되는 부분)을 갖는다고도 할 수 있다.
한편, 유지면(53)의 흡인 구조의 일반예로는, 도 9의 단면도(도 6의 A 중에서의 IX-IX 단면에서의 단면도에 해당)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크 유지 펠릿(51)의 내부에, 흡기실(156)로서 부압 상태의 대략 폐공간을 하나만 구획 형성하고, 이 흡기실(156)을 유지면(53) 상의 모든 흡기 구멍(54)에 통기 가능하게 연통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흡인 구조에서 전술한 곡면 전사를 행하면, 전달 동작의 후반에서 유지면(53)의 흡인력이 저하되어, 흡수성 본체(10)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전달 동작을 정확하게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상세하게는, 우선, 도 8의 A의 전달전이나, 도 8의 B와 같이 유지면(53)에서의 하류측 영역(55d)이 바로 흡수성 본체(10)를 전달할 때에는, 유지면(53)은, 그 거의 전역에 걸쳐 흡수성 본체(10)로 덮여 있고, 그 때문에, 흡수성 본체(10)는 유지면(53)의 전역에 걸쳐 정해진 레벨의 흡인력으로 확실하게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도 8의 C 및 도 8의 D와 같이, 유지면(53)에서의 하류측 영역(55d)이 전달 위치(Qout)의 통과를 끝내고, 유지면(53)에서의 상류측 영역(55u)이 전달 위치(Qout)의 통과를 시작할 때에는, 상기 하류측 영역(55d)에 대응하는 흡수성 본체(10)의 부분은 이미 띠부재의 연속체(20a, 24a)에 전달이 완료되었기 때문에, 상기 시점에서는 상기 하류측 영역(55d)는 흡수성 본체(10)로 덮여 있지 않다.
그렇게 하면, 이 하류측 영역(55d)의 흡기 구멍(54)은 작은 흡입 저항으로 흡기 가능한 상태가 되어 대량의 외기를 솔선하여 흡입하고, 상기 흡기실(156)의 부압 레벨이 극단적으로 저하된다. 그 결과, 유지면(53)에서의 상류측 영역(55u)의 흡기 구멍(54)의 흡인력이 작아져, 상기 상류측 영역(55u)의 유지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버린다. 그리고, 이것에 기인하여, 흡수성 본체(10)의 상기 상류측 영역(55u)에 대응하는 부분이, 전달되기 전에 변형 등을 초래하여, 한쌍의 띠부재의 연속체(20a, 24a)로의 부착 정밀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흡수성 본체(10)의 폭방향의 양단부에는, 다리 둘레 주름부를 형성하기 위한 탄성 부재(17)가 고정되어 있고, 유지면(53)에 유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17)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이다. 따라서, 일련의 전달 동작의 후반에서, 도 9에 나타낸 유지면(53)의 상류측 영역(55u)의 흡인력이 저하되면, 상류측 영역(55u)이 흡인 유지해야 할 흡수성 본체(10)의 폭방향의 한쪽 단부가, 탄성 부재(17)의 수축력에 대항할 수 없어 길이 방향으로 단축되고,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는 폭방향으로 비대칭인 형상으로 상기 한쌍의 띠부재의 연속체(20a, 24a)에 접착되어 버린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워크 유지 펠릿(51)의 유지면(53)을 적어도 상류측 영역(55u)과 하류측 영역(55d)의 2개로 구분하고, 워크 유지 펠릿(51)의 내부에는 상기 영역(55u, 55d)마다 흡기실(56u, 56d)을 형성하고, 이들 흡기실(56u, 56d)끼리를 서로 통기 불가능하게 구획하고 있다(도 11의 A 내지 도 11의 C를 참조). 그리고, 이에 따라, 유지면(53)에서의 하류측 영역(55d)의 흡기 구멍(54)의 흡기 상태의 영향이 상류측 영역(55u)의 흡기 구멍(54)에 미치지 않도록 절연하고, 그 결과, 전달 동작의 후반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유지면(53)의 상류측 영역(55u)의 흡인력의 저하를 방지하고 있다.
도 11의 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 유지 펠릿(51)의 영역(55)의 구분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1의 B는 도 11의 A 중의 B-B 단면도이고, 도 11의 C는 도 11의 A 중의 C-C 단면도이다.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크 유지 펠릿(51)의 유지면(53)은, 그 폭방향에 관해 3개의 영역(55)으로 구분되어 있다. 즉, 전달시에 주회 궤도(Tr)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흡기 영역(55d)과, 이 하류측 흡기 영역(55d)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류측 흡기 영역(55u)과, 이들 흡기 영역(55d, 55u)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흡기 영역(55m)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각 흡기 영역(55d, 55m, 55u)에 대응하여, 워크 유지 펠릿(51)의 내부에는 3개의 흡기실(56)이 서로 거의 등용적으로, 그리고 서로 통기 불가능한 챔버형(공간의 전체 방위가 벽부로 둘러싸인 상태)으로 구획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워크 유지 펠릿(51)의 내부 공간에는, 유지면(53)의 길이 방향을 따르고 있는 2장의 칸막이벽(57a, 57b)이 서로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이들 칸막이벽(57a, 57b)에 의해 3개의 흡기실(56)은 서로 통기 불가능하게 격리되어 있다. 또, 이들 3개의 흡기실(56), 즉, 하류측 흡기실(56d)(제1 흡기실에 해당), 중앙 흡기실(56m)(제3 흡기실에 해당) 및 상류측 흡기실(56u)(제2 흡기실에 해당)에는, 각각 전용 흡기관(81d, 81m, 81u)이 후술하는 중간 챔버 부재(83)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도 12의 B를 참조), 각 흡기관(81d, 81m, 81u)이, 각각 대응하는 흡기실(56) 내의 공기를 독립적으로 흡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흡기실(56d, 56m, 56u)의 기압 상태를,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완전한 절연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상에 의해, 전달 동작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걸쳐, 유지면(53)은 흡수성 본체(10)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하류측 흡기실(56d)용의 흡기관을 하류측 흡기관(81d)이라고도 하고, 중앙 흡기실(56m)용의 흡기관을 중앙 흡기관(81m)이라고도 하고, 상류측 흡기실(56u)용의 흡기관을 상류측 흡기관(81u)이라고도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각 흡기 영역(55d, 55m, 55u)은, 자신이 담당하는 흡수성 본체(10)의 부분의 전달 동작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흡기 영역(55)과는 독립적으로 흡기를 정지하여 약하게 하면 된다. 즉, 하류측 흡기 영역(55d), 중앙 흡기 영역(55m) 및 상류측 흡기 영역(55u)의 각 흡기 영역(55)이, 각각 전달 위치(Qout)를 통과할 때, 각 흡기 영역(55d, 55m, 55u)은 서로 다른 흡기 영역(55)과는 독립적으로 자신의 흡기를 정지하면 된다. 환언하면, 각 흡기 영역(55d, 55m, 55u)은, 각각 반송 롤러(71)로 상기 한쌍의 띠부재의 연속체(20a, 24a)를 사이에 끼우면서 반송 롤러(71)에 접촉하고 있을 때, 다른 흡기 영역(55)과는 독립적으로 자신의 흡기를 정지하면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면, 전달해야 할 흡수성 본체(10)의 부분이, 각 흡기 영역(55)에 계속 흡착되어 전달이 저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각 흡기 영역(55)으로부터의 전달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정지된 흡기 영역(55)의 흡기 동작은, 그 흡기 영역(55)이 속하는 워크 유지 펠릿(51)이 수취 위치(Qin)를 통과할 때 재개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각 흡기 영역(55d, 55m, 55u)의 전달 동작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흡기 영역(55) 단위로 흡기 동작을 독립적으로 정지 가능한 흡기 구조의 일례로는, 도 12의 A 및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를 들 수 있다. 도 12의 A는 도 5 중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12의 B는 도 12의 A 중의 B-B 단면도이다. 도 12의 A 중에서는, 후술하는 부압 챔버 드럼(85)을 그 중심 종단면에서 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 및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흡기 구조는, 부압원으로서, 내부 공간의 일부가 부압 존(Z1)에 설정된 부압 챔버 드럼(85)과, 부압 챔버 드럼(85)과 워크 유지 펠릿(51)의 상기 흡기실(56) 사이를 중계하기 위해, 워크 유지 펠릿(51)보다 회전 드럼(42)의 회전 반경 방향의 내측 위치에 워크 유지 펠릿(51)과 마주보고 워크 유지 펠릿(51)마다 배치된 중간 챔버 부재(83)를 갖고 있다. 그리고, 각 중간 챔버 부재(83)는, 중간 챔버 부재(83)마다 설치된 전술한 3개의 흡기관(81)에 의해 상기 부압 챔버 드럼(85)의 상기 내부 공간에 연통되어 있고, 이에 따라, 각 중간 챔버 부재(83)는, 각각 담당하는 워크 유지 펠릿(51)의 흡기 동작을 행한다.
상세하게는,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챔버 부재(83)의 내부 공간은, 3개의 대략 폐쇄된 방(84)으로 구획되어 있다. 각 방(84)은, 서로 거의 등용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 워크 유지 펠릿(51) 내의 상기 하류측 흡기실(56d), 중앙 흡기실(56m) 및 상류측 흡기실(56u)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고 있고, 즉, 각 방(84)에는, 각각, 상기 3개의 흡기관(81) 중의 대응하는 1개의 흡기관(81)의 일단 개구(82a)가 통기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워크 유지 펠릿(51)의 길이 방향이 MD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는, 각 방(84)은, 각각 모든 흡기실(56d, 56m, 56u)과 연통하지만, 이에 비해, 동 길이 방향이 CD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는, 각 방(84)은, 대응하는 흡기실(56)에만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워크 유지 펠릿(51)의 길이 방향이 MD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는, 3개의 모든 흡기관(81d, 81m, 81u)이 협동하여 각 흡기실(56)의 흡기 동작을 행하지만, 워크 유지 펠릿(51)의 길이 방향이 CD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는, 각각 대응하는 1개의 흡기관(81)에 의해서만 각 흡기실(56)의 흡기 동작이 행해진다. 즉, 하류측 흡기관(81d)에 의해서만 하류측 흡기실(56d)의 흡기 동작이 행해지고, 중앙 흡기관(81m)에 의해서만 중앙 흡기실(56m)의 흡기 동작이 행해지고, 상류측 흡기관(81u)에 의해서만 상류측 흡기실(56u)의 흡기 동작이 행해진다. 그 결과, 상기 전달 위치(Qout)에서 유지면(53)의 각 흡기 영역(55d, 55m, 55u)은 서로 독립적으로 흡기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부압 챔버 드럼(85)은, 도 5 및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드럼(42)과 동일 코어에 병렬 배치되어 회전 드럼(42)과 함께 일체가 되어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통체를 본체로 한다. 통체의 내측의 도우넛형의 공간은, 도시하지 않은 적절한 구획 부재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부압 존(Z1)과 비부압 존(Z0)으로 존 분할되어 있다. 부압 존(Z1)은, 도시하지 않은 적절한 배관에 의해 블로워 등의 감압 장치에 연결되어, 항상 외기압보다 정해진 레벨만큼 낮은 부압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한편, 비부압 존(Z0)은, 외기압 또는 외기압보다 약간 높은 정압으로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부압 존(Z1)은, 상기 수취 위치(Qin)로부터 전달 위치(Qout)까지의 각도 범위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고, 비부압 존(Z0)은, 전달 위치(Qout)로부터 수취 위치(Qin)까지의 각도 범위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다.
또, 부압 챔버 드럼(85)의 외측 둘레벽부에는, 워크 유지 펠릿(51)마다(즉, 중간 챔버 부재(83)마다) 상기 3개의 흡기관(81)의 타단 개구(82b)가 각각 접속되어 있고, 각 흡기관(81)은 전술한 부압 존(Z1) 및 비부압 존(Z0)에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타단 개구(82b)의 상기 부압 챔버 드럼(85)에의 접속 위치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압 챔버 드럼(85)의 둘레 방향의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에 걸쳐 순차적으로, 하류측 흡기실(56d)에 대응하는 하류측 흡기관(81d), 중앙 흡기실(56m)에 대응하는 중앙 흡기관(81m), 상류측 흡기실(56u)에 대응하는 상류측 흡기관(81u)의 순서로, 서로 둘레 방향의 위치를 다르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드럼(42)이 회전하면, 이것과 일체로 회전하는 부압 챔버 드럼(85)에 의해, 각 흡기관(81)도 부압 존(Z1) 및 비부압 존(Z0)의 외측 둘레를 주회 이동하지만, 그 때, 흡기관(81)의 타단 개구(82b)가 비부압 존(Z0)에 들어가는 타이밍이, 상기 3개의 흡기관(81d, 81m, 81u)끼리의 사이에서 서로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각 흡기 영역(55d, 55m, 55u)은 전달 위치(Qout)를 통과할 때, 그 통과순으로 순차 독립적으로, 흡기 영역(55) 단위로 흡기 동작을 정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각 흡기 영역(55d, 55m, 55u)의 전달 동작에 연동시키면서 흡기 영역(55) 단위로 흡기를 정지하는 것이 달성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비부압 존(Z0)을 외기압보다 높은 정압 상태로 해 두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해 두면, 전달 위치(Qout)의 통과를 끝낸 각 흡기 영역(55)은, 순차적으로 그 흡기 구멍(54)으로부터 흡수성 본체(10)를 향해 공기를 분출하게 된다. 즉, 도 8의 A 내지 도 8의 E에 나타낸 각 흡기 영역(55d, 55m, 55u)은, 각각, 흡기 동작을 정지한 순서인 하류측 흡기 영역(55d), 중앙 흡기 영역(55m) 및 상류측 흡기 영역(55u)의 순서로 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달 위치(Qout)를 통과한 후에도 잔류의 우려가 있는 흡인력을 완전히 소멸시킬 수 있어, 흡수성 본체(10)의 띠부재의 연속체(20a, 24a)로의 전달성을 각별하게 높일 수 있다. 또, 워크 유지 펠릿(51)의 유지면(53)에 부착된 섬유 부스러기 등의 이물질도 제거할 수 있어 정화성이 우수하고 흡기 구멍(54)의 막힘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흡기관(81)의 타단 개구(82b)의 부압 챔버 드럼(85)에의 접속 위치를, 서로 회전 드럼(42)의 축심(C41)을 따르고 있는 방향으로 다르게 하여 배치하고, 도 13의 A 및 도 13의 B(도 13의 A 중의 B-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압 존(Z1)과 비부압 존(Z0)의 경계선(BL)을, 각 흡기관(81d, 81m, 81u)끼리 서로 부압 챔버 드럼(85)의 둘레 방향으로 다르게 하여 위치시키면 된다.
예를 들어, 도 13의 B의 예에서는, 하류측 흡기관(81d), 중앙 흡기관(81m) 및 상류측 흡기관(81u)의 순서로, 각 타단 개구(82b)의 접속 위치가, 상기 축심(C41)을 따르고 있는 방향으로 나란히 설정되어 있다. 또, 흡기관(81d, 81m, 81u)의 각 경계선(BL)은, 서로 흡기관(81d, 81m, 81u)의 타단 개구(82b)의 둘레 방향의 나열순과는 역순으로 둘레 방향으로 다르게 배치되어 있고, 즉, 하류측 흡기관(81d)용 경계선(BLd)보다 중앙 흡기관(81m)용 경계선(BLm)쪽이 하류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경계선(BLm)보다 하류측에 상류측 흡기관(81u)용 경계선(BLu)이 위치하고 있고, 이들 경계선(BL)의 외관 형상은 대략 계단형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면, 부압 챔버 드럼(85)의 외측 둘레벽면 상에, 다수의 타단 개구(82b)의 접속용 스페이스를 물리적으로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부압 챔버 드럼(85)의 외경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모든 타단 개구(82b)를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되어 있으면, 예를 들어, 도 1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흡기관(81d, 81m, 81u)의 접속 위치끼리를 부압 챔버 드럼(85)의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랩시켜 배치한 경우라 하더라도, 대략 계단형의 경계선(BL)에 의해, 특정한 흡기관(81)의 타단 개구(82b)만을 선택적으로, 부압 존(Z1)으로부터 비부압 존(Z0)에 넣을 수 있다. 즉, 3개의 흡기관(81d, 81m, 81u)을 서로 독립적으로 비부압 존(Z0)에 넣을 수 있다. 그 결과, 각 흡기관(81d, 81m, 81u)의 흡기 동작의 독립성을 확보하면서도, 부압 챔버 드럼(85)의 소직경화를 도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부압 챔버 드럼(85)의 구동 회전에 요하는 동력도 적게 할 수 있다. 또, 부압 챔버 드럼(85)의 치수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도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워크 유지 펠릿(51)을 회전 드럼(42)의 외측 둘레면에 설치하여, 워크 유지 펠릿(51)에 정원형의 주회 궤도(Tr)를 이동시켰지만, 전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직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의 주회 궤도를 이동시켜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2의 A의 양태의 기저귀(1)를 제조했지만, 전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5의 제조 장치(31)를 이용하여, 도 2의 B의 양태의 기저귀(1)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전달 위치(Qout)에서의 한쌍의 띠부재의 연속체(20a, 24a)는, 부직포(21)가 2장 겹쳐진 상태에서는 반송되지 않고, 각 연속체(20a, 24a)는 각각 1장 상태로 반송된다. 그리고, 전달 위치(Qout)에서는, 상기 1장의 부직포(21)를 포함하는 띠부재의 연속체(20a, 24a)에 대하여 흡수성 본체(10)를 접착하여 사다리꼴의 반제품으로 한다. 그리고, 이 제조 장치(31)의 하공정(下工程)에서, 상기 반제품에 대하여, 또한 1장의 부직포를 포함하는 띠부재의 연속체(20a, 24a)를 합류시켜, 상기 연속체(20a, 24a)를 상기 반제품에서의 띠부재의 연속체(20a, 24a) 상에,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각 단부(10e, 10e)를 끼우도록 겹쳐서 접합하고, 그 결과, 도 2의 B에 대응하는 기저귀(1)의 반제품이 제조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뇨 등의 배설액을 흡수하는 일회용 기저귀(1)를 예시했지만, 전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경혈 등의 배설액을 흡수하는 생리용 냅킨의 제조에 적용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면(53)에 3개의 흡기 영역(55d, 55m, 55u)을 형성하고, 각 흡기 영역(55d, 55m, 55u)에 대응하여 합계 3개의 흡기실(56d, 56m, 56u)을 워크 유지 펠릿(51)의 내부에 구획했지만, 이들의 갯수는 복수이면 되고, 예를 들어, 흡기 영역(55)의 수 및 흡기실(56)의 수를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워크 유지 펠릿(51)은, 회전 드럼(42)에 대하여 회전 드럼(42)의 둘레 방향으로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었지만, 전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워크 유지 펠릿(51)이 회전 드럼(4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드럼(42)의 둘레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회전 드럼(42)뿐만 아니라, 각 워크 유지 펠릿(51)도 왕복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각 워크 유지 펠릿(51)의 절대 좌표계에서의 주회 궤도(Tr) 상의 주회 동작은, 회전 드럼(42) 자체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 동작에 상기 왕복 이동 동작이 합성된 복합 동작이 된다. 여기서, 이 복합 동작은, 주회 궤도(Tr) 상의 각 회전 위치에 대응하여 할당되어 있어도 좋고, 그 경우에는, 절대 좌표계에서의 워크 유지 펠릿(51)의 주회 동작은, 각 회전 위치에 둘레 방향의 이동 속도(V51)를 대응하여 이루어진 정해진 속도 패턴에 기초하여 행해지게 된다. 즉, 각 워크 유지 펠릿(51)은, 360°의 1회전을 1주기로 하는 속도 패턴에 기초하여 주회 동작을 반복한다. 이러한 복합 동작이 가능한 회전 드럼 장치를 개시한 문헌으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98193호를 예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워크 유지 펠릿(51)의 내부의 흡기실(56d, 56m, 56u)은, 서로의 통기가 항상 불가능한 상태의 챔버형으로 구획되었지만, 전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하류측 흡기실(56d)과 상류측 흡기실(56u)이 서로 통기 불가능하게 구획된 상태로, 흡수성 본체(10)를 한쌍의 띠부재의 연속체(20a, 24a)에 전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전술한 구성 이외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5의 A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즉, 워크 유지 펠릿(51)은, 전술한 흡기실(56) 대신, 유지면(53)과는 반대쪽 면에 유지면(53)의 흡기 구멍(54)과 연통하는 오목부를 갖는다. 또, 이 오목부는 리브형의 칸막이벽(57c, 57d)에 의해 3개의 오목부(59d, 59m, 59u)로 구분되고, 각 오목부(59d, 59m, 59u)는, 각각 각 흡기 영역(55d, 55m, 55u)에 대응된다. 또한, 이들 3개의 오목부(59d, 59m, 59u)는 가동벽(92)에 의해 덮여 있고, 이에 따라, 인접하는 부압 공간(SP)으로부터 차폐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서, 우선, 전달시 이외에는,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벽(92)의 상대 이동에 의해, 모든 오목부(59d, 59m, 59u)가, 가동벽(92)에 관통 형성된 동일한 관통 구멍(94a)과 마주보고 부압 공간(SP)에 연통되고, 이에 따라, 워크 유지 펠릿(51)의 유지면(53)에는 흡인력이 생긴다. 그리고, 이 때의 각 오목부(59d, 59m, 59u)는, 서로 통기 가능한 상태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전달시에 있어서는, 가동벽(92)의 상대 이동에 의해, 도 1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오목부(59d, 59m, 59u)는, 이들 각 오목부(59d, 59m, 59u)에 대응하여 가동벽(92)에 관통 형성된 각 관통 구멍(94d, 94m, 94u)과 마주보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각 오목부(59d, 59m, 59u)는, 대응하는 관통 구멍(94d, 94m, 94u)을 통하여 부압 공간(SP)에 연통되고, 그 결과, 워크 유지 펠릿(51)의 유지면(53)에는 흡인력이 생긴다. 그리고, 이 때의 각 오목부(59d, 59m, 59u)는 서로 통기 불가능하게 구획된 상태이고, 이에 따라, 전달 동작의 후반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유지면(53)의 상류측 영역(55u)의 흡인력의 저하는 유효하게 방지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크 유지 펠릿(51)의 내부 공간을 유지면(53)의 폭방향에 관해 3개의 흡기실(56d, 56m, 56u)로 구획했지만, 전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 흡기실(56d, 56m, 56u)을, 또한 각각 유지면(53)의 길이 방향에 관해 복수의 흡기실(56)로 구획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6의 A 내지 도 16의 C의 예에서는, 폭방향을 따르고 있는 2장의 칸막이벽(57e, 57f)이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이들 칸막이벽(57e, 57f)에 의해, 흡기실(56d)은 서로 통기 불가능한 3개의 흡기실(56dd, 56dm, 56du)로 구획되고, 흡기실(56m)은 서로 통기 불가능한 3개의 흡기실(56md, 56mm, 56mu)로 구획되고, 흡기실(56u)은 서로 통기 불가능한 3개의 흡기실(56ud, 56um, 56uu)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획한 경우에는, 또 이하와 같이 구성하면, 흡수성 본체(10)의 전달시뿐만 아니라, 수취시의 유지성도 높일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한 것이 된다.
우선, 중간 챔버 부재(83)이지만, 이 구성은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즉,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챔버 부재(83)의 내부 공간은, 주회 궤도(Tr)을 따르고 있는 방향에 관해 3개의 방(84)으로 구획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회 궤도(Tr)의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에 걸쳐, 하류측 방(84d)과, 중앙 방(84m)과, 상류측 방(84u)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 중간 챔버 부재(83)는, 회전 드럼(42)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방(84d, 84m, 84u)끼리의 상대 위치 관계는 불변이다.
이에 비해, 워크 유지 펠릿(51)쪽은 선회 축심(C53) 둘레에 선회하기 때문에, 워크 유지 펠릿(51)의 길이 방향이 CD 방향을 향한 상태와 동 MD 방향을 향한 상태 사이에서, 주회 궤도(Tr)의 상하류 방향에 관한 흡기실(56, 56, … 56)끼리의 위치 관계가 변화한다.
그리고, 이 점에 관하여, 바람직하게는, 워크 유지 펠릿(51)이 MD 방향 및 CD 방향 중 어느 쪽을 향하고 있는지에 상관없이, 그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하류측에 위치하는 흡기실(56)에는, 중간 챔버 부재(83)의 하류측 방(84d)이 통기 가능하게 연통되고,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중앙에 위치하는 흡기실(56)에는, 중간 챔버 부재(83)의 중앙 방(84m)이 통기 가능하게 연통되고,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상류측에 위치하는 흡기실(56)에는, 중간 챔버 부재(83)의 상류측 방(84u)이 통기 가능하게 연통되도록 구성하면 된다.
즉, 도 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크 유지 펠릿(51)의 길이 방향이 CD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는, 이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하류측에 위치하는 흡기실(56dd, 56dm, 56du)에 대하여 상기 하류측 방(84d)이 연통하고,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중앙에 위치하는 흡기실(56md, 56mm, 56mu)에 대하여 상기 중앙 방(84m)이 연통하고,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상류측에 위치하는 흡기실(56ud, 56um, 56uu)에 대하여 상기 상류측 방(84u)이 연통하는 한편, 도 1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크 유지 펠릿(51)의 길이 방향이 MD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는, 이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하류측에 위치하는 흡기실(56dd, 56md, 56ud)에 대하여 상기 하류측 방(84d)이 연통하고,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중앙에 위치하는 흡기실(56dm, 56mm, 56um)에 대하여 상기 중앙 방(84m)이 연통하고,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상류측에 위치하는 흡기실(56du, 56mu, 56uu)에 대하여 상기 상류측 방(84u)이 연통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우선 도 5의 전달 위치(Qout)에서는, 도 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하류측에 위치하는 흡기실(56dd, 56dm, 56du)과, 상대적으로 중앙에 위치하는 흡기실(56md, 56mm, 56mu)과, 상대적으로 상류측에 위치하는 흡기실(56ud, 56um, 56uu)의 삼자는, 서로 독립적으로 흡기 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전달 동작의 후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지면(53)의 상류측 영역(55u)의 흡인력의 저하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수취 위치(Qin)에서는, 도 1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하류측에 위치하는 흡기실(56dd, 56md, 56ud)과, 상대적으로 중앙에 위치하는 흡기실(56dm, 56mm, 56um)과, 상대적으로 상류측에 위치하는 흡기실(56du, 56mu, 56uu)의 삼자가, 서로 독립적으로 흡기 동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도 5와 같은, 흡수성 본체(10)의 수취 동작의 전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지면(53)의 흡인력의 저하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커터 장치(61)로부터 흡수성 본체(10)를 워크 유지 펠릿(51)이 수취할 때에는, 흡수성 본체(10)로 덮이는 유지면(53)의 영역이, 주회 궤도(Tr)의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순차적으로 넓어지고, 마지막으로 유지면(53)의 대략 전면(全面)이 흡수성 본체(10)로 덮여 수취 동작이 완료한다. 그 때문에, 수취 동작의 전반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면(53)의 하류측 영역만이 흡수성 본체(10)로 덮이고 상류측 영역은 덮이지 않은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전술한 도 9의 일반예의 흡인 구조와 같이 워크 유지 펠릿(51) 내에 흡기실(156)이 하나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수취 위치(Qin)에서도, 전술한 전달 위치(Qout)와 유사한 흡인력 저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취 동작의 전반에서는, 흡수성 본체(10)에 덮이지 않고 흡입 저항이 작은 상류측 영역으로부터, 솔선하여 외기가 흡기실(156)에 흡입되고, 그 결과, 흡기실(156)의 부압 레벨이 극단적으로 저하되어, 하류측 영역에서의 흡수성 본체(10)의 유지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이 점에 관하여, 전술한 도 1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기실(56d, 56m, 56u)을 또한 유지면(53)의 길이 방향으로 3개로 구획해 두면, 상기 하류측 영역에 대응하는 흡기실(56dd, 56md, 56ud)과, 상기 상류측 영역에 대응하는 흡기실(56du, 56mu, 56uu)은, 서로 독립적으로 흡기 동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본체(10)의 수취 동작의 전반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류측 영역의 흡인력의 저하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흡수성 본체(10)의 유지 불량도 유효하게 방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구체예로는, 이하의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우선, 도 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챔버 부재(83)의 상하류 방향(폭방향)의 중심 위치에 워크 유지 펠릿(51)의 선회 축심(C53)을 맞춘 상태로, 워크 유지 펠릿(51)이 중간 챔버 부재(83)에 서로 겹치게 하여 배치된다. 또, 중간 챔버 부재(83)와 대면하는 워크 유지 펠릿(51)의 벽부의 부위이며, 선회 축심(C53)을 원심으로 하는 정원형의 피치원(P59) 상의 부위에는, 한가운데의 흡기실(56mm)(선회 축심(C53)이 위치하는 흡기실(56mm))을 제외하고 흡기실(56, 56, … 56)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59)이 형성된다. 또한, 도 17의 A 및 도 1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크 유지 펠릿(51)이 CD 방향 및 MD 방향을 향했을 때, 중간 챔버 부재(83)의 벽부에서 워크 유지 펠릿(51)의 상기 관통 구멍(59)이 마주보는 부위에도 관통 구멍(89)이 형성된다(도 18을 참조).
그리고, 여기서, 이들 관통 구멍(89)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84d, 84m, 84u) 사이에 걸쳐서는 형성되지 않고, 관통 구멍(89)이 모두 그 관통 구멍(89)이 속하는 방(84) 내에 수습되는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7의 A 또는 도 1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흡기실(56)의 관통 구멍(59)도, 인접하는 흡기실(56, 56) 사이에 걸쳐서는 형성되지 않고, 관통 구멍(59)이 모두 그 관통 구멍(59)이 속하는 흡기실(56) 내에 수습되는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7의 A 및 도 1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크 유지 펠릿(51)이 CD 방향 및 MD 방향 중 어느 쪽을 향하고 있는지에 상관없이, 그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하류측에 위치하는 흡기실(56, 56, 56)에는, 하류측 방(84d)만이 연통하고,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중앙에 위치하는 흡기실(56, 56)에 대하여 상기 중앙 방(84m)만이 연통하고,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상류측에 위치하는 흡기실(56, 56, 56)에 대하여 상기 상류측 방(84u)만이 연통하고, 그 결과, 상대적으로 하류측에 위치하는 흡기실(56, 56, 56)과, 상대적으로 중앙에 위치하는 흡기실(56, 56)과, 상대적으로 상류측에 위치하는 흡기실(56, 56, 56)은, 서로 통기 불가능하게 구획된 상태로 독립적으로 흡기 동작을 행할 수 있다.
1 : 일회용 기저귀(흡수성 물품)
1a : 반제품(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
3 : 몸통 둘레 개구 5 : 다리 둘레 개구
10 : 흡수성 본체(제1 시트형 부재) 10a : 흡수성 본체의 연속체
10e : 단부 11 : 흡수체
12 : 표면 시트 부재 13 : 이면 시트 부재
14 : 샘방지 시트 15 : 외장 시트
16 : 액투과성 시트 17 : 탄성 부재
20 : 배측띠 부재
20a : 띠부재의 연속체(제2 시트형 부재)
21 : 부직포 24 : 등측띠 부재
24a : 띠부재의 연속체(제2 시트형 부재)
31 : 제조 장치 41 : 회전 드럼 장치
42 : 회전 드럼 51 : 워크 유지 펠릿(유지부)
53 : 유지면 54 : 흡기 구멍(구멍)
55 : 흡기 영역 55d : 하류측 흡기 영역
55m : 중앙 흡기 영역 55u : 상류측 흡기 영역
56 : 흡기실
56d : 하류측 흡기실(제1 흡기실) 56m : 중앙 흡기실
56u : 상류측 흡기실(제2 흡기실) 56dd : 흡기실
56dm : 흡기실 56du : 흡기실
56md : 흡기실 56mm : 흡기실
56mu : 흡기실 56ud : 흡기실
56um : 흡기실 56uu : 흡기실
57a : 칸막이벽 57b : 칸막이벽
57c : 칸막이벽 57d : 칸막이벽
57e : 칸막이벽 57f : 칸막이벽
59 : 관통 구멍 59d : 오목부
59m : 오목부 59u : 오목부
61 : 커터 장치 61a : 상측 롤
61b : 하측 롤 62 : 평날
71 : 반송 롤러 81 : 흡기관
81d : 하류측 흡기관 81m : 중앙 흡기관
81u : 상류측 흡기관 82a : 일단 개구
82b : 타단 개구 83 : 중간 챔버 부재
84 : 방 84d : 하류측 방
84m : 중앙 방 84u : 상류측 방
85 : 부압 챔버 드럼 89 : 관통 구멍
92 : 가동벽 156 : 흡기실
BL : 경계선 BLd : 경계선
BLm : 경계선 BLu : 경계선
Tr : 주회 궤도 Z0 : 비부압 존
Z1 : 부압 존 C10 : 중앙부
C41 : 축심 C53 : 선회 축심
C61a : 축심 C61b : 축심
C71 : 축심 P59 : 피치원
Qin : 수취 위치 Qout : 전달 위치

Claims (8)

  1.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유지부의 유지면에 제1 시트형 부재를 유지하는 것과, 상기 유지면으로부터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를 제2 시트형 부재에 전달하여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면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으로부터의 흡기에 의해 상기 유지면에 유지된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는, 상기 제2 시트형 부재로의 전달시에, 먼저 전달되는 부분과 후에 전달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에 연통하는 제1 흡기실과, 상기 후에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에 연통하는 제2 흡기실의 2개의 흡기실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제1 흡기실과 상기 제2 흡기실이 서로 통기 불가능하게 구획된 상태로,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를 상기 제2 시트형 부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의 상기 제2 시트형 부재로의 전달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의 흡기가 약해지고,
    상기 후에 전달되는 부분의 상기 제2 시트형 부재로의 전달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후에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의 흡기가 약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를 약하게 한 구멍은, 약하게 한 순서로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를 향해 공기를 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에서의 상기 제1 흡기실과 상기 제2 흡기실 사이의 위치에는, 제3 흡기실이 구획되어 있고,
    상기 제1 흡기실에 연통하는 구멍과, 상기 제2 흡기실에 연통하는 구멍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3 흡기실에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흡기실, 상기 제2 흡기실 및 상기 제3 흡기실이 서로 통기 불가능하게 구획된 상태로,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를 상기 제2 시트형 부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주회 궤도를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제2 시트형 부재는, 상기 주회 궤도에서의 전달 위치의 롤러에 걸어 돌려져 연속하여 주행하는 연속 시트이고,
    상기 유지부가 상기 전달 위치를, 상기 제2 시트형 부재의 주행 방향을 따라서 통과할 때, 상기 유지부의 유지면의 상기 제1 시트형 부재가 상기 제2 시트형 부재로 전달되고,
    전달할 때 상기 유지면에서 상기 주회 궤도의 하류측이 되는 영역에,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지면에서 상류측이 되는 영역에, 상기 후에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과 상기 후에 전달되는 부분 각각에는, 이들 부분을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수축시키는 탄성 부재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구멍의 흡기에 의해 상기 제1 시트형 부재가 상기 유지면에 흡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 및 후에 전달되는 부분이, 대응하는 상기 탄성 부재로부터의 수축력에 대항하여 신장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기실 및 상기 제2 흡기실은, 상기 유지부의 내부에서 서로 통기 불가능한 챔버형으로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
  8.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유지면을 포함한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유지면에 제1 시트형 부재를 유지하고, 상기 유지면으로부터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를 제2 시트형 부재에 전달하여 부착하고,
    상기 유지면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으로부터의 흡기에 의해 상기 유지면에 유지된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는, 상기 제2 시트형 부재로의 전달시에, 먼저 전달되는 부분과 후에 전달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먼저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에 연통하는 제1 흡기실과, 상기 후에 전달되는 부분을 흡인하는 구멍에 연통하는 제2 흡기실의 2개의 흡기실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제1 흡기실과 상기 제2 흡기실이 서로 통기 불가능하게 구획된 상태로, 상기 제1 시트형 부재를 상기 제2 시트형 부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장치.
KR1020117016046A 2008-12-18 2009-12-10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1587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22777 2008-12-18
JP2008322777A JP5572309B2 (ja) 2008-12-18 2008-12-18 吸収性物品に係るシート状部材の複合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028A true KR20110104028A (ko) 2011-09-21
KR101587675B1 KR101587675B1 (ko) 2016-01-21

Family

ID=4226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6046A KR101587675B1 (ko) 2008-12-18 2009-12-10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48053B2 (ko)
EP (1) EP2374437B1 (ko)
JP (1) JP5572309B2 (ko)
KR (1) KR101587675B1 (ko)
CN (1) CN101815490B (ko)
AU (1) AU2009327989A1 (ko)
WO (1) WO20100710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889A (ko) * 2017-11-17 2020-07-13 가부시키가이샤 즈이코 흡수성 물품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8034B2 (ja) * 2010-01-09 2014-05-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切断装置
JP5663227B2 (ja) * 2010-07-22 2015-02-04 花王株式会社 シートの転写装置
JP5838024B2 (ja) * 2010-08-30 2015-1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に係る連続シートの複合体の製造方法、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US8720666B2 (en) * 2012-04-16 2014-05-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es for transferring discrete articles
US8833542B2 (en) 2012-04-16 2014-09-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uid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discrete articles
US8607959B2 (en) 2012-04-16 2013-1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otational assemblie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discrete articles
US8820513B2 (en) 2012-04-16 2014-09-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transferring discrete articles
JP5926121B2 (ja) * 2012-05-31 2016-05-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US20140110052A1 (en) * 2012-10-23 2014-04-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transferring discrete articles onto a web
JP6275752B2 (ja) * 2013-03-15 2018-02-0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再締結可能な吸収性物品を組立てるための方法
US20140318695A1 (en) * 2013-04-26 2014-10-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ssembling Disposable Diaper Pants
US9463942B2 (en) 2013-09-24 2016-10-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positioning an advancing web
JP5707468B1 (ja) * 2013-10-30 2015-04-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に係る連続シートの複合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6370703B2 (ja) * 2014-12-25 2018-08-08 花王株式会社 シートの転写装置
JP6420904B2 (ja) * 2015-05-28 2018-11-07 株式会社瑞光 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US9737442B2 (en) * 2015-06-02 2017-08-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elastic parts under tension to an advancing carrier
US9511951B1 (en) 2015-06-23 2016-1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transferring discrete articles
US9511952B1 (en) 2015-06-23 2016-1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transferring discrete articles
US10653566B2 (en) * 2018-02-07 2020-05-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advancing an absorbent article
IT201800005102A1 (it) 2018-05-07 2019-11-07 Dispositivo di trattamento e di applicazione di spezzoni di confezionamento di articoli assorbenti
CN114030726A (zh) * 2021-11-30 2022-02-11 深圳市华鑫防伪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防伪标签的新型自动贴合装置
CN114848612A (zh) * 2022-04-28 2022-08-05 青岛博益特生物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片状材料覆膜工艺及其生产的覆膜片状材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8040A (ja) * 2002-11-01 2004-05-27 Zuiko Corp 着用物品の製造装置
JP2005298193A (ja) 2004-04-15 2005-10-27 Toa Kiko Kk ワーク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6876A (en) * 1985-10-18 1988-02-23 Kimberly-Clark Corporation Apparatus for repositioning discrete articles
JP2609252B2 (ja) * 1987-08-18 1997-05-14 ユニ・チャーム 株式会社 移動ウエブへの弾性バンド貼着装置
JPH01143752A (ja) 1987-11-30 1989-06-06 Kobe Steel Ltd 圧縮機用鋳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143752U (ko) * 1988-03-25 1989-10-03
JP2674863B2 (ja) * 1990-05-26 1997-11-12 松下電工株式会社 吸着パット
WO2001044086A1 (fr) * 1999-12-16 2001-06-21 Zuiko Corporation Procede et dispositif de transport
JP3681333B2 (ja) * 2000-12-26 2005-08-10 花王株式会社 搬送物の搬送方法
JP2003104620A (ja) * 2001-09-28 2003-04-09 Johnson & Johnson Kk 長尺テープから物品を切出し粘着テープに貼付ける装置
US7341087B2 (en) * 2002-01-02 2008-03-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paratus for applying discrete parts to a moving web
JP2005145597A (ja) * 2003-11-13 2005-06-09 Kao Corp 速度制御方法及び速度制御装置
US7533709B2 (en) * 2005-05-31 2009-05-19 Curt G. Joa, Inc. High speed vacuum porting
US7398870B2 (en) * 2005-10-05 2008-07-15 Curt G. Joa, Inc Article transfer and placement apparatus
DE602007001572D1 (de) * 2007-01-17 2009-08-27 Fameccanica Data Spa Vorrichtung zur Verstellung des Abstandes zwischen zu transportierenden Gegenständen und zum Drehen dieser Gegenstände
PL2486903T3 (pl) * 2007-02-21 2024-03-04 Curt G. Joa, Inc. Sposób i urządzenie do rozmieszczania wkładki z pojedynczym przeniesieniem
JP5123760B2 (ja) 2008-06-30 2013-01-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間欠切断転写装置
US8673098B2 (en) * 2009-10-28 2014-03-18 Curt G. Jo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tching segmented stretchable film and application of the segmented film to a moving web
US8820513B2 (en) * 2012-04-16 2014-09-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transferring discrete articles
US8607959B2 (en) * 2012-04-16 2013-1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otational assemblie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discrete artic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8040A (ja) * 2002-11-01 2004-05-27 Zuiko Corp 着用物品の製造装置
JP2005298193A (ja) 2004-04-15 2005-10-27 Toa Kiko Kk ワーク搬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889A (ko) * 2017-11-17 2020-07-13 가부시키가이샤 즈이코 흡수성 물품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74437B1 (en) 2016-04-06
JP5572309B2 (ja) 2014-08-13
CN101815490B (zh) 2014-07-09
KR101587675B1 (ko) 2016-01-21
CN101815490A (zh) 2010-08-25
AU2009327989A1 (en) 2011-07-28
US9248053B2 (en) 2016-02-02
US20110287918A1 (en) 2011-11-24
EP2374437A1 (en) 2011-10-12
WO2010071069A1 (ja) 2010-06-24
EP2374437A4 (en) 2013-05-01
JP2010142415A (ja)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4028A (ko) 흡수성 물품에 따른 시트형 부재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6092404B2 (ja) 吸収性物品の向きを変更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4244884A (zh) 用于传送离散制品的流体系统和方法
CN104220032A (zh) 用于传送离散制品的旋转组件和方法
CN104220033A (zh) 用于传送离散制品的方法
JP5624868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CN104245544A (zh) 用于传送离散制品的设备
JP5953453B1 (ja) 吸収性物品に係る単票状シートの搬送方法
KR101709359B1 (ko)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AU2009314878A1 (en)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device and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WO2010113610A1 (ja) 吸収性物品に係る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5210848B2 (ja) 吸収性物品に係る連続シートの複合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108472161B (zh) 用于制造与吸收性物品关联的连续片状物的组合体的方法和装置
US20130079207A1 (en) Manufacturing device for composite bodies of continuous sheet-like members
KR100636730B1 (ko) 일회용 기저귀의 가랑이 절곡 장치 및 가랑이 절곡 방법
JP6438806B2 (ja) 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KR20110129447A (ko) 웹 반송 장치 및 흡수체 제조 방법
JP6067868B2 (ja) 基材を切断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TWI556800B (zh)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s
JP6751710B2 (ja) 搬送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WO2018011905A1 (ja) 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2011120745A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193839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US20230240903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shaping and applying a segment to a moving web with side shifting pu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