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857A -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857A
KR20110101857A KR1020100021170A KR20100021170A KR20110101857A KR 20110101857 A KR20110101857 A KR 20110101857A KR 1020100021170 A KR1020100021170 A KR 1020100021170A KR 20100021170 A KR20100021170 A KR 20100021170A KR 20110101857 A KR20110101857 A KR 20110101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layer
decoration sheet
sheet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림
Original Assignee
강호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호림 filed Critical 강호림
Priority to KR1020100021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1857A/ko
Publication of KR20110101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폴리올레핀 재질로 구성되는 상부 필름층의 저면으로 유색 폴리에틸렌 재질의 필름층이 적층되어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코레이션 시트는 친환경적인 소재를 사용하여 환경 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종래 데코레이션 시트에서 나타나는 백화 현상을 억제하는 한편, 평활도 및 내-파열성과 같은 물성이 크게 개선되었다.

Description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 제조 방법{Decoration Sheet and Process for Fabricating Thereof}
본 발명은 데코레이션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활도와 내-크랙 특성이 우수하며 백화 현상의 우려가 없는 등 물성이 크게 개선된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식용 시트' 또는 '인테리어 시트'라고도 불리는 데코레이션 시트(decoration sheet)는 나무무늬 모양과 같은 각종 무늬를 인쇄하여 시트를 형성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데코레이션 시트는 중밀도섬유판(MDF, medium density fiberboard), 고밀도섬유판(HDF, high density fiberboard) 또는 파티클 보드(particle board, PB) 등으로 제조되는 책상이나 장롱과 같은 가구에서 고가의 원목을 대신하여 원목의 질감을 대신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냉장고, 세탁기 등과 같은 전자제품의 표면에 이를 접착시킴으로서 자연친화적인 느낌이나 자연스러운 질감을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데코레이션 시트로서 종이 시트에 내수성과 은폐력을 위하여 아크릴 수지나 요소 수지 등에 종이를 침지한 함침지에 인쇄층을 형성한 종이 시트가 사용되었다. 그렇지만, 종이 시트는 인장력이 없어서, 2차 가공을 위하여 프로파일 랩핑(profile wrapping)이나 오버레이(overlay) 가공을 할 경우에 쉽게 찢어져서 2차 가공 생산 속도가 저하되는 등 생산성의 문제와 함께, 엠보싱 처리 과정에서 찢어지는 문제로 인하여 질감의 표현이 한정된다. 특히, 요소 수지 등의 함침 비용을 무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함침 후에 딱딱해진 종이 시트를 MDF나 나무 등에 접착시켜 완성된 2차 가공품인 몰딩이나 패널(panel)을 다시 건자재나 나무로 조립하기 위해서 전기톱 등으로 절단하는 경우에 절단된 가장자리가 거칠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단순한 종이 시트가 아니라 폴리올레핀 필름을 부착한 "폴리올레핀 데코레이션 시트"가 개발되었다. 그 중에서 우선 폴리염화비닐(PVC)로 제조되는 'PVC 데코레이션 시트'가 먼저 사용되었는데,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PVC 데코레이션 시트의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반적인 PVC 데코레이션 시트는 유색 시트(13)의 상면으로 예를 들어 그라비아 인쇄 등의 방법으로 인쇄층(12)과 PVC 재질의 투명필름층(11)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런데 이와 같은 PVC 데코레이션 시트의 경우, 투명필름층(11)으로 사용되는 PVC의 경도가 약하여 내구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색도를 높이는데 데 한계가 있다. 더욱이, PVC에는 환경호르몬이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소각하거나 또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다이옥신을 배출하는 등 환경유해물질로서 인체에 해로운 물질로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는 PVC 데코레이션 시트를 대신하여 폴리프로필렌(PP)을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 데코레이션 시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도 2는 종래의 폴리프로필렌 데코레이션 시트의 개략적인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종래의 폴리프로필렌 데코레이션 시트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유색 시트(21)의 상면에 그라비아 인쇄 등의 방법으로 인쇄층(22)을 형성하고, 그 하면으로는 프라이머층(23)을 형성하여 가구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데코레이션 시트는 PVC에 비하여 환경 친화적이라는 장점이 있어서 PVC 데코레이션 시트를 대신하는 데코레이션 시트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데코레이션 시트는 그 특성상 적어도 100㎛ 이상의 두께를 확보할 필요가 있는데,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데코레이션 시트는 두께가 100㎛ 이상일 때 필름의 평활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합지하고자 하는 경우에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가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필수 공정인 나무 또는 MDF에 부착하고자 하는 경우에 폴리프로필렌 데코레이션 시트는 MDF와의 진공 성형 과정에서 모서리 부분에 필름의 백화(白化) 현상이 발생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다. 아울러,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데코레이션 시트를 가구 등에 부착하기 위해서 나사 체결하는 경우에 크랙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평활도를 개선함은 물론이고 가구 등에 부착, 결합하는 과정에서 결합 수단에 의하여 크랙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파열성과 같은 물성이 개선된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화 현상이 없는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경 친화적인 소재로 제조가 가능하여, 환경 친화적인 데코레이션 시트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목적은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하는 도면을 통해서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의 제 1 필름층; 상기 제 1 필름층의 저면으로 적층되는 폴리에틸렌(PE) 수지의 제 2 필름층; 상기 제 1 필름층의 표면 또는 상기 제 1 필름층과 상기 제 2 필름층 사이에 형성되는 인쇄층을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시트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 필름층은 방향화 폴리프로필렌(OPP) 또는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 수지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필름층의 저면으로 적층되며,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제조되는 제 3 필름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3 필름층은 상기 제 1 필름층과 동일한 고분자 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인쇄층은 상기 제 1 필름층과 상기 제 2 필름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필름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a)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의 제 1 필름층과, 폴리에틸렌(PE) 수지의 제 2 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 1 필름층의 표면 또는 배면, 또는 상기 제 2 필름층의 표면으로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 1 필름층의 배면 또는 상기 제 2 필름층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제 1 필름층과 상기 제 2 필름층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쇄층이 형성된 상기 제 1 필름의 표면으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a) 단계와 (b) 단계 사이 또는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데코레이션 시트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상기 제 1 필름층과 상기 제 2 필름층의 접합 시트의 저면 또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의 제 3 필름층의 상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제 1 필름층-제 2 필름층의 접합 시트와 상기 제 3 필름층을 합지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이때, 상기 (a) 단계와 (b) 단계 사이, 상기 (c) 단계와 (d) 단계 사이, 또는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데코레이션 시트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프로필렌을 대신하여 유색 시트의 재질로서 폴리에틸렌을 사용하고, 그 표면과 경우에 따라서는 이면으로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필름층이 합지되어 있는 데코레이션 시트를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의 데코레이션 시트는 친-환경 소재의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종래 PVC 시트가 가지고 있는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대한 위험을 해소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 폴리프로필렌 시트와 비교하여 평활도가 개선되어 합지 공정에서도 아무런 문제가 없을 뿐만 아니라, 가구 등에 부착하기 위해서 나사와 같은 결합 수단과의 접촉에 의하여 야기되는 크랙 형성을 방지하였다. 또한, 시트의 주변으로 형성되는 백화 현상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폴리염화비닐(PVC) 타입의 데코레이션 시트의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폴리프로필렌(PP) 타입의 데코레이션 시트의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시트의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 차트.
도 5a 내지 도 5e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시트의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 차트.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데코레이션 시트와 종래의 데코레이션 시트를 부착한 상태에서 파손 정도를 보여주는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데코레이션 시트를 서랍의 표면재로서 제작한 상태에서 서랍의 상태를 도시한 사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데코레이션 시트 110, 210 : 제 1 필름층
120, 220 : 인쇄층 130, 230 : 제 1 접착층
140, 240 : 제 2 필름층 170, 270 : 프라이머층
250 : 제 2 접착층 260 : 제 3 필름층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것과 같은 종래의 데코레이션 시트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던 중에 본 발명을 완성하였는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e는 각각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데코레이션 시트의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데코레이션 시트(100)는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 소재의 제 1 필름층(110)과, 상기 제 1 필름층(110)의 배면 또는 표면으로 형성되는 인쇄층(120)과, 제 1 필름층(110)의 배면으로 접착층(130)을 통하여 합지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유색 시트인 제 2 필름층(140)과, 제 2 필름층(140)의 저면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17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 1 필름층(110)은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 재질로서,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투명성, 표면광택성 및 기계적 강도가 양호한 방향화(연신)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OPP) 또는 투명도는 다소 낮지만 조색을 조절하여 원하는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는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asting polypropylene, CPP)로 제조될 수 있다.
제 1 필름층(110)의 표면 또는 배면으로 인쇄층(120)이 형성되는데, 이 인쇄층(120)은 예컨대 그라비아 인쇄 등의 방법으로 일정한 무늬,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데코레이션 시트(100)를 가구 등에 부착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원목 무늬를 갖는다. 이때, 인쇄층(120)은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필름층(110)과 제 2 필름층(140) 사이에 형성되거나,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필름층(11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층(120)은 제 1 필름층(110)의 저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제 2 필름층(14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으로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필름층(110)이 데코레이션 시트(100)의 최상층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것처럼 무광 또는 유광의 코팅층이 제 1 필름층(110)의 표면으로 형성되어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 필름층(110) 또는 인쇄층(120)의 배면으로 합지되는 제 2 필름층(140)은 제 1 필름층(110)과 다른 소재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 수지로 형성되어 2개의 필름층이 적층된 형태를 이룬다. 제 2 필름층(140)은 제 1 필름층(110)과 달리 일정한 색채를 가지는 유색 시트로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 시트 층으로 사용되었던 폴리프로필렌을 대신하여 폴리에틸렌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제 2 필름층의 두께를 100㎛ 이상으로 형성하더라도 폴리프로필렌과 달리 폴리에틸렌은 평활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합지 과정에서 어려움이 없다. 뿐만 아니라, 폴리에틸렌은 폴리프로필렌과 달리 늘어나더라도 절리 현상에 따른 백화 현상이 없기 때문에 장식 무늬의 질감이 변형되지 않는다. 특히, 제 2 필름층(140)은 일종의 유색 시트로서, 인쇄층(120)의 바탕색 또는 배경색과 같은 일정한 색상을 부여함과 동시에 다른 물성을 위하여, 제 2 필름층(140)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로서 폴리에틸렌 수지 외에도 적절한 안료를 포함하는 성분이 제 2 필름층(140)에 첨가될 수 있다.
한편, 제 1 필름층(110)과 제 2 필름층(130)을 하나의 시트로 합지하기 위해서, 인쇄층(120)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필름층(110)과 제 2 필름층(130) 사이로 접착층(130)이 형성된다. 접착층(130)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제로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폴리우레탄 계열의 접착제 또는 에폭시 계열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필름층(140)의 저면으로도 폴리우레탄 계열 또는 에폭시 계열의 프라이머층(170)이 형성됨으로써, 데코레이션 시트의 부착력 향상은 물론이고, 제 2 필름층(14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프라이머층(170)의 저면으로 가구 등에 대한 부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아크릴계의 점착제가 도포될 수 있으며, 제품으로서의 활용을 위하여 점착제의 저면으로 이형지가 부착되어, 실제 가구 등에 부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형지를 점착제층에서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데코레이션 시트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인테리어 시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시트의 제조 공정을 첨부하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재질의 제 1 필름층(110)과 폴리에틸렌 재질의 제 2 필름층(140)을 준비한다(S402).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 1 필름층(110)은 대략 20 ~ 60 ㎛, 바람직하게는 30 ~ 50 ㎛의 두께로 형성되며, 제 2 필름층(120)은 1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 150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 1 필름층(110)의 표면 또는 배면, 또는 제 2 필름층(140)의 표면으로 원목 무늬와 같은 장식 문양을 갖는 인쇄층을 대략 1 ~ 10 ㎛의 두께로 형성한다(S404). 이때, 만약 제 1 필름층(110)의 표면과 배면으로 인쇄층(120)을 형성하는 경우에, 인쇄층(120)의 형성 방향에 따라, 도 3a 또는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데코레이션 시트가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제 1 필름층(110)의 배면으로 인쇄층(120)을 형성하거나 또는 제 2 필름층(120)의 표면으로 인쇄층(120)을 형성하는 경우와 같이, 제 1 필름층(110)과 제 2 필름층(140) 사이에 인쇄층(120)을 형성하는 경우에, 데코레이션 시트의 상면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 재질의 제 1 필름층(110)이 형성되므로,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코팅 처리에 의하여 제 1 필름층(110)의 상면으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S406).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무광 또는 유광의 약품을 사용한 코팅, 예를 들어 불소 코팅 처리를 하거나 또는 바니시 처리를 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코팅층은 대략 1 ~ 10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코팅층의 형성 공정(S406)은 제 1 필름층(210)과 제 2 필름층(220)의 합지 공정 이후에도 수행될 수 있는 등 엠보싱 처리(S412) 공정 이전에 행해질 수 있다.
계속해서, 제 2 필름층(140)의 저면으로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계열의 프라이머를 도포한다(S408). 프라이머층(170)을 형성하기 위해서 프라이머는 대략 10 g/㎡의 도포량으로 도포되며, 프라이머층(170)은 대략 1~10 ㎛의 두께로 도포된다. 이어서, 인쇄층(120)이 형성된 제 1 필름층(110)과 프라이머층(170)이 저면에 형성된 제 2 필름층(140)을 합지한다(S410).
이때, 제 1 필름층(110)과 제 2 필름층(140)을 각각 반대되는 롤러에 권취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제 1 롤러로부터 제 1 필름층(110)을 풀어서 폴리우레탄 계열의 접착제 용기로 이동하여 제 1 필름층(110)의 저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130)을 형성하고, 제 2 롤러로부터 제 2 필름층(140)이 풀어지면서 제 1 필름층(110)의 저면과 합쳐지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제 2 필름층(140)의 상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한 뒤, 제 1 필름층(110)의 저면과 합지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접착제는 대략 20g/㎡의 도포량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 1 필름층(110)과 제 2 필름층(140)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층(130)은 대략 5 ~ 20㎛ 정도로 도포될 수 있다.
이어서, 2개의 필름층이 합쳐진 합지 시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기 위해서 합지 시트를 엠보-롤(embo roll)에 통과시키는 엠보싱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S412). 엠보싱 처리가 완료됨에 따라,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전체 데코레이션 시트로 다수의 엠보싱 무늬가 형성된 데코레이션 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엠보싱 처리 공정은 제 1 필름층(110)과 제 2 필름층(140)이 합지된 이후에 수행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제 1 필름층(110)의 배면 또는 표면으로 인쇄층(120)을 형성한 직후에도 가능한데, 이 경우에는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필름층(110) 및 인쇄층(120)에 대해서만 엠보싱 무늬가 형성된 데코레이션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는 프라이머층(170)의 저면으로 아크릴계의 점착제를 사용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점착제층의 저면으로 이형지를 부착하여 '인테리어 시트'로 사용할 수 있는데, 점착제층의 형성 및 이형지의 부착은 본 기술분야에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공정에 따라, 유색 시트로서 폴리에틸렌 소재의 제 2 필름층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데코레이션 시트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데코레이션 시트(100)에서 상부에 형성되는 제 1 필름층(110)과 하부에 형성되는 제 2 필름층(140)이 서로 다른 소재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상층과 하층이 그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다른 소재로 제조됨에 따라 제 1 필름층(110)과 제 2 필름층(120)의 합지 필름은 엠보싱 공정과 같은 2차 공정에 따라 컬링(curling)이 형성될 수 있으며, 용융점이 상이하기 때문에 열-컨트롤이 쉽지 않아 선명한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시트를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시트(200)를 구성하는 적층 구조 중에서 전술한 데코레이션 시트(100)에서와 동일한 구성인 제 1 필름층(210), 인쇄층(220), 제 1 접착층(230), 제 2 필름층(240) 및 프라이머층(27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시트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제 1 필름층(210)과, 제 1 필름층(110)의 저면(도 5a) 또는 표면(도 5b)에 형성되는 인쇄층(220)과, 제 1 필름층(210) 또는 인쇄층(22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 1 접착층(230)을 통하여 제 1 필름층(210)으로 접착되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제 2 필름층(240)과, 제 2 필름층(24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 2 접착층(250)을 통하여 제 2 필름층(240)의 저면으로 합지되는 제 3 필름층(260)과, 제 3 필름층(260)의 저면에 도포되는 프라이머층(270)과, 최상층의 제 1 필름층(210)에 대한 내-스크래치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유광 또는 무광의 코팅층(280, 도 5a)을 포함한다.
이때, 제 2 필름층(240)의 저면에 도포되는 제 2 접착층(250)은 제 1 접착층(230)과 동일한 소재의 접착제일 수 있으며, 제 2 접착층(250)을 통하여 제 2 필름층(240)의 저면으로 적층되는 제 3 필름층(260)은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다. 제 3 필름층(260)을 이루는 플라스틱 소재로서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방향화 폴리프로필렌 또는 캐스팅 폴리프로필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필름층(210)과 동일한 소재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시트(200)는 유색 시트로서 폴리에틸렌 소재를 사용하여 종래의 폴리프로필렌 소재가 갖는 단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상부에 적층되는 제 1 필름층(210)과 하부에 적층되는 제 3 필름층(220)을 동일한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시트의 제조 공정을 첨부하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도 4를 통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대략 20 ~ 60 ㎛의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제 1 필름층(210)/제 3 필름층(260)과, 100 ~ 150 ㎛의 폴리에틸렌 재질의 제 2 필름층(240)을 각각 준비하고(S602), 제 1 필름층(210)의 표면 또는 배면, 또는 제 2 필름층(240)의 표면으로 1 ~ 10 ㎛ 두께의 인쇄층을 형성한다(S604). 인쇄층(220)이 제 1 필름층(220)과 제 2 필름층(240) 사이에 형성된 경우에는 불소 코팅 처리 또는 바니시 처리에 의하여 제 1 필름층(210)의 상면으로 대략 1 ~ 10 ㎛ 두께의 코팅층(280)을 형성한다(S606). 전술한 것처럼 코팅층 형성 공정(S606)은 예를 들어서 제 1 필름층(210)과 제 2 필름층(240)의 접착 공정(S608) 이전이나, 제 1 필름층(210)-제 2 필름층(240)의 '중간 합지 시트'의 저면으로 제 3 필름층(260)을 적층시키기 위한 합지 공정(S612) 이전 또는 이후 등, 엠보싱 처리(S614)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롤러를 이용하여 합지시키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쇄층(220)이 형성된 제 1 필름층(210)의 배면, 또는 제 2 필름층(240)의 상면으로 폴리우레탄 계열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 1 필름층(210)의 저면으로 제 2 필름층(240)을 접착시켜(S608), 제 1 필름층(210)-제 2 필름층(240)이 적층되어 있는 '중간 합지 시트'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제 3 필름층(260)의 저면으로 폴리우레탄 계열의 프라이머를 대략 1 ~ 10 ㎛의 두께로 도포한 뒤(S610),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 1 롤러에 의하여 권취되어 있는 제 1 필름층(210)-제 2 필름층(240)의 '중간 합지 시트'의 저면 또는 제 3 필름층(260)의 상면으로 폴리우레탄 계열의 접착제를 대략 5 ~ 20 ㎛의 두께로 도포하고, 프라이머층(270)이 저면에 형성된 제 3 필름층(260)을 '중간 합지 시트'의 저면과 합쳐지는 합지 단계가 수행된다(S614).
필요에 따라 제 1 필름층(210)-제 2 필름층(240)-제 3 필름층(260)이 적층되어 있는 '최종 합지 시트'에 대해서 엠보싱 처리를 수행하면(S614),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데코레이션 시트(200) 전체에 걸쳐 연속적인 엠보싱 무늬를 갖는 데코레이션 시트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제 1 필름층(210)으로 인쇄층(220) 및 코팅층(280)을 형성한 직후에 엠보싱 처리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적층 구조를 갖는 데코레이션 시트를 제조할 수도 있으며, 제 1 필름층(210)-제 2 필름층(240)의 '중간 합지 시트'를 얻은 후에 엠보싱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도 5e에 도시된 것과 같은 데코레이션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3 필름층(260)의 저면에 도포된 프라이머층(270)의 저면으로 점착제를 도포하고, 점착제층의 저면으로 이형지를 부착하여 '인테리어 시트'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2개 필름층 구조의 데코레이션 시트의 제조
40 ㎛ 두께의 방향화 폴리프로필렌(율촌화학)의 제 1 필름층에 배면에 인쇄기(국제기계)를 사용하여 원목 무늬를 갖는 3 ㎛ 두께의 인쇄층을 형성하고, 제 1 필름층의 표면으로 3 ㎛의 무광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100 ㎛ 두께의 폴리에틸렌(중앙화학)의 배면으로 폴리우레탄 계열의 프라이머(대광산업사)를 10 g/㎡의 도포량으로 사용하여 3 ㎛ 두께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드라이 라미네이팅 합지기(오리엔탈 기계)를 사용하여 제 1 필름층의 배면으로 폴리우레탄 계열의 접착제(대광산업사)를 20 g/㎡의 도포량으로 사용하여 10 ㎛ 두께의 접착층을 형성하고, 제 1 필름층의 저면으로 프라이머층이 도포된 제 2 필름층을 합지하였다.
실시예 2 : 3개 필름층 구조의 데코레이션 시트의 제조
40 ㎛ 두께의 방향화 폴리프로필렌의 제 1 필름층에 배면에 인쇄기를 사용하여 원목 무늬를 갖는 3 ㎛ 두께의 인쇄층을 형성하고, 제 1 필름층의 표면으로 3 ㎛의 무광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드라이 라미네이팅 합지기를 사용하여 제 1 필름층의 배면으로 폴리우레탄 계열의 접착제를 20 g/㎡의 도포량으로 사용하여 10 ㎛ 두께의 접착층을 형성하고, 제 1 필름층의 저면으로 100 ㎛ 두께의 폴리에틸렌 재질의 제 2 필름층을 접착하였다. 40 ㎛ 두께의 방향화 폴리프로필렌의 배면으로 3 ㎛ 두께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드라이 라미네이팅 합지기를 사용하여 제 1 필름층-제 2 필름층이 합지된 시트의 배면으로 10 ㎛ 두께의 접착층을 형성하고, 합지 시트의 저면으로 프라이머층이 도포된 제 3 필름층을 합지하였다.
시험예 1 : 기본 물성 측정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통하여 각각 제조된 데코레이션 시트를 대상으로 외관, 외관, 내열성, 내한열반복성, 도막밀착성, 흡수성, 연필 경도, 작업성, 내오염성(KS G ISO 4211; 아세트산, 암모니아, 세척제, 아세톤, 식초, 증류수)을 측정하였다. 모두 아무런 이상이 없었으며 연필 경도는 H로 측정되었다.
시험예 2 : 크랙 특성 비교
본 시험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데코레이션 시트와 종래의 폴리프로필렌 데코레이션 시트를 가정용 서랍재의 표면재로서 사용할 경우의 품질을 비교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데코레이션 시트와 종래의 폴리프로필렌 데코레이션 시트(한화)를 서랍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스크류를 체결한 상태를 비교한 것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데코레이션 시트는 스크류 체결 과정에서 표면재가 찢어지거나 보드가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의 데코레이션 시트는 그러한 문제점이 없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최종적으로 서랍재로서 본 발명의 데코레이션 시트를 조립한 후에도 백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등 깨끗한 모서리면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라면 상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다 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변형과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점은 첨부하는 청구의 범위를 통하여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Claims (10)

  1.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의 제 1 필름층;
    상기 제 1 필름층의 저면으로 적층되는 폴리에틸렌(PE) 수지의 제 2 필름층;
    상기 제 1 필름층의 표면 또는 상기 제 1 필름층과 상기 제 2 필름층 사이에 형성되는 인쇄층
    을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층은 방향화 폴리프로필렌(OPP) 또는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PP) 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코레이션 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름층의 저면으로 적층되며,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제조되는 제 3 필름층을 더욱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시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필름층은 상기 제 1 필름층과 동일한 고분자 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코레이션 시트.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제 1 필름층과 상기 제 2 필름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필름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더욱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시트.
  6. (a)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의 제 1 필름층과, 폴리에틸렌(PE) 수지의 제 2 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 1 필름층의 표면 또는 배면, 또는 상기 제 2 필름층의 표면으로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 1 필름층의 배면 또는 상기 제 2 필름층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제 1 필름층과 상기 제 2 필름층을 접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시트의 제조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이 형성된 상기 제 1 필름의 표면으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시트의 제조 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와 (b) 단계 사이 또는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데코레이션 시트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시트의 제조 방법.
  9.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상기 제 1 필름층과 상기 제 2 필름층의 접합 시트의 저면 또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의 제 3 필름층의 상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제 1 필름층-제 2 필름층의 접합 시트와 상기 제 3 필름층을 합지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시트의 제조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와 (b) 단계 사이, 상기 (c) 단계와 (d) 단계 사이, 또는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데코레이션 시트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100021170A 2010-03-10 2010-03-10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101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170A KR20110101857A (ko) 2010-03-10 2010-03-10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170A KR20110101857A (ko) 2010-03-10 2010-03-10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857A true KR20110101857A (ko) 2011-09-16

Family

ID=44953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170A KR20110101857A (ko) 2010-03-10 2010-03-10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185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7613A1 (ko) * 2017-02-10 2018-08-16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을 포함하는 비닐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92843A (ko) * 2017-02-10 2018-08-20 (주)엘지하우시스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을 포함하는 비닐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58101A (ko) * 2017-11-21 2019-05-29 (주)엘지하우시스 가식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07904A1 (ko) * 2017-12-01 2019-06-06 황부건 항균성이 부가된 쓰고 지우기가 가능한 기능성 시트
KR20230024472A (ko) * 2021-08-11 2023-02-21 이광원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7613A1 (ko) * 2017-02-10 2018-08-16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을 포함하는 비닐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92843A (ko) * 2017-02-10 2018-08-20 (주)엘지하우시스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을 포함하는 비닐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58101A (ko) * 2017-11-21 2019-05-29 (주)엘지하우시스 가식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07904A1 (ko) * 2017-12-01 2019-06-06 황부건 항균성이 부가된 쓰고 지우기가 가능한 기능성 시트
KR20230024472A (ko) * 2021-08-11 2023-02-21 이광원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44252C2 (ru) Панель пол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анели пола
TWI337132B (en) Wood veneer surfaced decorative laminate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6660300B (zh) 压花的和热熔层压的多层复合膜
NL2013046B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waterproof floor or wall covering, method of producing a panel.
CN103492175B (zh) 地板元件
KR101813456B1 (ko) 목재 보드의 피니싱 방법
TR201802876T4 (tr) Bir polimerik kompozit katman içeren bir panel ve böyle bir panelin üretim yöntemi.
CA2720236C (en) Manufacturing process for a laminated structure
DE102012022461B4 (de) Abriebfestes dekoratives Beschichtungsmaterial,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s abriebfesten dekorativen Beschichtungsmaterials
JP2019511970A (ja) 化粧板、その使用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含む積層体、床仕上げ材
KR20110101857A (ko)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09061680A (ja) 強化床材とその製造方法
JP2010234710A (ja) 扉部材の製造方法
JP2000117903A (ja) 化粧材、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の製造方法
KR101207513B1 (ko)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목재패널의 제조방법
JP5519364B2 (ja) 木質調加飾シート、その製造方法、木質調樹脂成形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10038261A1 (ja) 天然木薄紙およびその製法
KR101637154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가구용 경량패널의 제조방법
KR101081235B1 (ko) 목재 패널의 제조방법
KR100781345B1 (ko) 데코레이션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N215149954U (zh) 一种实木皮uv漆面生态板
US20190061398A1 (en) Printed laminate with digital prin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e
EP2647504A1 (en) Semiautomatic apparatus of detachment of film carrier and application of peelable layer for continuous or composite final coil for the coating of furniture surfaces
WO2016180610A1 (en) Process for preparing a multi-layer coated substrate
WO2004035304A1 (en) Thermoplastic-glass composite laminat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