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47613A1 -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을 포함하는 비닐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을 포함하는 비닐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47613A1
WO2018147613A1 PCT/KR2018/001553 KR2018001553W WO2018147613A1 WO 2018147613 A1 WO2018147613 A1 WO 2018147613A1 KR 2018001553 W KR2018001553 W KR 2018001553W WO 2018147613 A1 WO2018147613 A1 WO 201814761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yer
tile flooring
flooring material
weight
transpare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155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헌조
서지연
김웅길
윤삼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1334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13226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Publication of WO201814761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476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을 타일 바닥재의 투명층으로 적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도 타일 바닥재로서 구조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을 포함하는 비닐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을 포함하는 비닐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비닐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을 타일 바닥재의 투명층으로 적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도 타일 바닥재로서 구조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을 포함하는 비닐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비닐 타일 바닥재(VT, Vinyl Tile)는 폴리염화비닐 수지(poly vinyl chloride, 이하 'PVC') 재질과 가소제 등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PVC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바닥재에 대하여 종래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65494호 등으로 선 출원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바닥재는 아래로부터 이면층, 발포층, 인쇄층, 투명 PVC층, 표면처리층을 포함한 순서로 적층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PVC 재질의 투명층 가공을 위하여 바닥재에 첨가된 가소제(일 예로, 디옥틸프탈레이트)에 의하여 새집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유독 물질인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와 포름알데히드(HCHO)가 발생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투명층의 재질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고자 하였으나, 이 경우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하부에 위치한 이종(異種) 수지(폴리염화비닐 수지 재질)의 층들과의 층간의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률의 차이로 인해 바닥재에 컬링이 생겨 구조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친환경적이면서, 구조안정성이 우수한 바닥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특허문헌 1) KR 10-2004-0065494 A (공개일: 2004.07.2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을 타일 바닥재의 투명층으로 적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도 타일 바닥재로서 구조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을 포함하는 비닐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층(120);
상기 베이스층(120)의 상부에 적층되는 인쇄층(130);
상기 인쇄층(130)의 상부에 적층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140); 및
상기 투명층(140)의 상부에 적층되는 표면처리층(150);을 포함하는 컬링이 1.5mm이하(80℃,24hr/-5℃,24hr)인 비닐 타일 바닥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베이스층(120)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140)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b)상기 베이스층(120)의 상부에 인쇄층(130)을 형성하는 단계;
(c)상기 인쇄층(130)의 상부에 상기 투명층(140)을 적층하는 단계;
(d)상기 투명층(140)의 표면에 소정 디자인의 엠보를 형성하는 단계; 및
(e)상기 엠보가 형성된 투명층(140)의 상부에 표면처리층(15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컬링이 1.5mm이하(80℃,24hr/-5℃,24hr)인 비닐 타일 바닥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을 타일 바닥재의 투명층으로 적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도 타일 바닥재로서 구조안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투명층의 상, 하부의 층들과 계면접착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 타일 바닥재의 일 실시예의 적층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층을 공압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 타일 바닥재의 일 실시예의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 타일 바닥재의 일 실시예의 적층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 타일 바닥재(100)는, 아래에서 위로 베이스층(120), 인쇄층(130), 투명층(140) 및 표면처리층(15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비닐 타일 바닥재의 각 층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층 (120)
베이스층(120)은 타일 바닥재(100)의 기본층으로, 볼륨감을 부여해줌과 아울러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베이스층(120)은 발포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층(120)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재질 또는 통상적으로 타일 바닥재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실시예로 상기 베이스층(120)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40-70중량부 및 필러 100-80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염화비닐 단독중합체로서 중합도가 일례로, 850-1100 또는 900-100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내구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의 중합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벤조에이트계 가소제, 시트레이트계 가소제, 포스페이트계 가소제 및 아디페이트계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40-70중량부 또는 45-6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가공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러는 탄산칼슘, 목분, 운모, 비정질 실리카, 활석, 제올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황산칼슘,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카올린, ATH(Alumina trihydrate)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일례로 상기 필러는 탄산칼슘일 수 있고, 이 경우에 가격 및 범용성 측면에서 유리하고, 내열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필러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00-800중량부, 또는 150-70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베이스층(120)은 필요에 따라, 활제, 열안정제 및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의 종류 및 함량은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베이스층(120)의 두께가 일례로, 1-5mm 또는 2-4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타일 바닥재의 볼륨감을 부여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제조 비용이 상승하여 적절하지 못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인쇄층 (130)
인쇄층(130)은 상기 베이스층(120)의 상부에 적층되어 타일 바닥재에 다양한 외관 및 디자인 효과를 부여해줄 수 있다. 상기 인쇄층(130)은 베이스층(120)의 상부에 적층 가공(라미네이팅)된 백색시트(미도시) 표면에 전사인쇄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20-30중량부, 필러 20-100중량부 및 안료 8-2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가소제 및 필러는 위에서 서술한 베이스층(120)에 포함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가소제 및 필러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안료는 이산화티탄(TiO2)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인쇄층(130)이 전사인쇄를 통해 형성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베이스층(120) 상에 직접 그라비아(gravure) 또는 스크린 인쇄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일례로, 두께가 0.005-0.5mm 또는 0.01-0.1mm일 수 있고 이 경우에 타일 바닥재에 다양한 외관 및 디자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투명층 (140)
투명층(140)은 상기 인쇄층(130)의 상부에 적층되어 인쇄층(130)을 보호해줌과 아울러, 하부에 적층된 층들에서 방출되는 각종 유해물질을 차단해준다.
본 발명의 투명층(140)은 친환경성을 위하여 기존의 폴리염화비닐 수지 대신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위로 인쇄부착층(141), 내구층(143) 및 UV부착층(145)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층(140)이 하부의 인쇄층(130)과 상부의 표면처리층(150)에 용이하게 계면접착될 수 있도록 인쇄부착층(141)과 UV부착층(145)이 내구층(143)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이하 상기 투명층(140)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인쇄부착층(141)과 UV부착층(145)은 폴리올레핀계 부착성 수지 및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부착성 수지는 폴리올레핀 주쇄에 극성기인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무수물(anhydride)이 그래프트 되어 분지쇄를 이루는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의미한다.
상기 폴리올레핀 주쇄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는 상기 폴리올레핀 주쇄가 폴리프로필렌(PP)일 경우 PP계 부착성 수지, 폴리에틸렌(PE)일 경우 PE계 부착성 수지라 명명한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은 말레산, 프탈산, 이타콘산, 씨트라콘산, 알케닐숙신산, 씨스-1,2,3,6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4-메틸-1,2,3,6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이거나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카르복실산의 무수물은 상술한 예의 무수물일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무수물은 상기 폴리올레핀 주쇄에 0.1-5중량% 또는 0.5-3중량%로 그래프트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폴리올레핀계 부착성 수지 내의 극성기가 적어질 수 있어 하부의 폴리염화비닐 수지 재질의 인쇄층과의 계면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가공성 및 투명층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그래프트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부착성 수지는 접착강도가 4kgf/2cm초과 또는 5kgf/2cm초과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상기 투명층(140)이 각각 하부의 인쇄층(130)과 상부의 표면처리층(150)과의 계면접착력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접착강도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부착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강도는 ASTM D903에 의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프로필렌과 프로필렌을 제외한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과 프로필렌을 제외한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탄소수 4-20의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알파올레핀의 예로는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 일 예로,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 아이소택틱 프로필렌(isotactic propylene)의 반복적인 구조에 에틸렌이 랜덤 공중합된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propylene based elastomer)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내의 에틸렌은 5-20중량% 또는 7-15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투명층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딱딱해질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비캣 연화점이 저하되어 점착성(Tacky)을 가질 수 있어 공정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함량 범위 내의 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용융 지수(Melt Index, MI)가 1-8g/10min(190℃, 2.16kg) 또는 2-5g/10min(190℃, 2.16kg)일 수 있다. 상기 범위 외일 경우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의 용융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용융 지수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파단 시 인장강도(Tensil strength)가 10-30Mpa, 파단 연신율(Elongation)이 1200-2000% 및 굴곡 탄성율(Flexural Modulus)이 90-130Mpa일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인장강도, 연신율 및 굴곡 탄성율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투명층의 영률값이 1600-3000kgf/cm2을 만족할 수 있어 타일 바닥재의 구조안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인장강도 및 연신율은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굴곡 탄성율은 ASTM D790에 의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인쇄부착층(141)은 구체적 일례로, 부착성 및 내마모성이 양호한 PP계 부착성 수지 100중량부에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10-100중량부, 20-70중량부 또는 30-5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상기 인쇄부착층(141)이 딱딱해져 최종 타일 바닥재에 컬링(curling)이 발생되는 등 구조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PP계 부착성 수지의 함량이 적어져 부착성 및 내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부착층(141)은 일례로, 두께가 8-20㎛ 또는 10-18㎛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너무 얇게 형성됨에 따라 라미네이팅 공정 시 하부의 인쇄층(130)과의 계면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재료비가 많이 소요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투명층(140)과 하부의 인쇄층(130) 사이의 박리강도는 2.0kgf/20mm이상, 2.1kgf/20mm이상 또는 2.4kgf/20mm이상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투명층(140)과 하부의 인쇄층(130) 사이에 우수한 계면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투명층(140)과 하부의 인쇄층(130) 사이의 박리강도의 상한치는 제한하지 않으나, 비제한적 일 실시예로 5kgf/20mm이하 또는 4.5kgf/20mm이하일 수 있다.
상기 투명층(140)과 하부의 인쇄층(130) 사이의 박리강도는 Universal Testing Machine(UTM)을 사용하여 기판 위에 폭 20mm, 길이 150mm의 투명층(140) 시편을 놓은 후 100mm/min의 속도로 일정하게 기판으로부터 180°로 잡아당겨 인가되는 하중을 시편의 너비로 나누어 측정하는 Peel off test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UV부착층(145)은 구체적 일례로, 원가가 저렴하고, 간단한 코로나 처리만으로 상부의 표면처리층(150)과 부착력이 우수한 PE계 부착성 수지 100중량부에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5-100중량부, 10-50중량부 또는 20-4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상기 UV부착층(145)이 딱딱해져 최종 타일 바닥재에 컬링(curling)이 발생되는 등 구조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PE계 부착성 수지의 함량이 적어져 부착성 및 내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UV부착층(145)은 일례로, 두께가 8-20㎛ 또는 10-18㎛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너무 얇게 형성됨에 따라 상부의 표면처리층(150)과의 계면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재료비가 많이 소요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투명층(140)과 상부의 표면처리층(150) 사이의 계면접착력은 ASTM D3359에 의거하여 칼을 사용하여 표면처리층(150) 표면에 100개의 격자무늬 흠집을 낸 후, 흠집이 난 상기 표면처리층(150) 표면에 접착테이프를 붙여 손바닥으로 힘껏 누른 후 접착테이프를 떼어냈을 때의 박리정도를 측정하는 Cross cut test로 측정할 수 있고, 그 결과값은 하기 식 1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식 1]
계면접착력 = (접착테이프를 제거한 후 표면처리층(150) 표면에 남은 개수/ 표면처리층(150) 표면에 흠집을 낸 개수)
상기 투명층(140)과 상부의 표면처리층(150) 사이의 계면접착력은 96/100이상, 97/100이상 또는 99/100이상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UV부착층(145)과 상부의 표면처리층(150) 사이에 우수한 계면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구층(143)은 투명층(140)의 주된 층을 이루는 것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랜덤-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내구층에 포함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적 일 실시예로, 결정화도가 낮아 구조 변형에 유리한 랜덤-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상기 인쇄부착층(141) 및 UV부착층(145)에서 사용된 엘라스토머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내구층(143)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50-200중량부, 60-180중량부 또는 100-16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상기 내구층(143)이 딱딱해져 최종 타일 바닥재에 컬링(curling)이 발생되는 등 구조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내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구층(143)은 일례로, 두께가 100-140㎛ 또는 110-13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너무 얇게 형성됨에 따라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투명층(140)의 제 역할을 수행하기가 어려울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너무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재료비가 많이 소요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투명층(140)을 구성하는 상기 인쇄부착층(141), 내구층(143) 및 UV부착층(145) 각각은 선택적으로 광안정제, 슬립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함량은 0초과-10중량부 또는 0.5-8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층(140)의 영률은 1600-3000kgf/cm2, 1800-2800kgf/cm2 또는 2000-2500kgf/cm2일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이 상기 범위 내의 영률을 가짐으로써 하부에 위치한 폴리염화비닐 수지 재질의 층들과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률의 차이가 현저히 적어져 타일 바닥재의 컬링을 방지하여 구조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의 영률(Kgf/cm2)은 폭 10mm, 길이 60mm의 Doogy bone형태의 투명층 시편을 상온하에서 Universal Testing Machine(UTM)을 사용하여 연신속도 50mm/min의 조건으로 인장 시험을 하였을 때, 길이/폭 방향으로 변형에 대한 힘의 비율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의 컬링은 1.5mm이하, 1.0mm이하 또는 0.5mm이하일 수 있다.
상기 컬링은 고온 변형(80℃에서 24시간 동안)에서 방치하고 이를 상온에 꺼내 충분히 25℃가 되도록 기다리고 또는, 저온 변형(-5℃에서 24시간 동안)에서 방치한 후 이를 상온에 꺼내 충분히 25℃가 되도록 기다린 후에 타일 바닥재의 가장자리가 바닥으로부터 컬링이 발생하는 높낮이를 두께 게이지로 측정할 수 있다.
표면처리층 (150)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표면처리층(150)은 투명층(140)의 상부에 적층되어 타일 바닥재(100) 표면의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켜주며, 오염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러한 표면처리층(150)은 통상의 UV 경화형 수지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층(150)은 구체적 일 예로, UV 경화형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40중량부, 아크릴계 모노머 30-50중량부, 광개시제 1-10중량부 및 첨가제 1-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층의 일례로 두께가 15-20㎛일 수 있다.
한편, 베이스층(120)의 하부에는 타일 바닥재(100) 상, 하부의 전반적인 컬링(curling) 발란스를 잡아주는 이지층(110)이 더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이지층(110)은 통상적으로 타일 바닥재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이지층(110)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생략될 수 있다. 즉 베이스층(120)이 두껍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베이스층(120)이 이지층(110)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비닐 타일 바닥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컬링이 1.5mm이하인 비닐 타일 바닥재의 제조방법은
(a)베이스층(120)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140)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b)상기 베이스층(120)의 상부에 인쇄층(130)을 형성하는 단계;
(c)상기 인쇄층(130)의 상부에 상기 투명층(140)을 적층하는 단계;
(d)상기 투명층(140)의 표면에 소정 디자인의 엠보를 형성하는 단계; 및
(e)상기 엠보가 형성된 투명층(140)의 상부에 표면처리층(15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베이스층(120)을 형성하는 단계는 캘린더링(calendering), T-die 압출 또는 블로우(blow) 공정을 통해 베이스층(120)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12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a)단계에서 투명층(140)을 형성하는 단계는 3중 공압출 공정을 통해 아래로부터 위로 인쇄부착층(141), 내구층(143) 및 UV부착층(145)을 포함하는 투명층(140)을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인쇄부착층(141), 내구층(143) 및 UV부착층(145)은 공압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공압출 시 가공온도는 170-250℃ 이내로 실시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인쇄부착층(141) 및 UV부착층(145)의 가공온도는 210-230℃이고, 내구층(143)의 가공온도는 220-25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상기 인쇄부착층(141), 내구층(143) 및 UV부착층(145)에 포함되는 각 조성이 용융되지 않을 수 있어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폴리올레핀계 부착성 수지가 흘러내려 필름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어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 가공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쇄부착층(141), 내구층(143) 및 UV부착층(145)의 조성 및 기타 특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b)단계는 상기 베이스층(120)의 상부에 백색시트(미도시)를 적층한 후 이의 상부에 전사인쇄를 통해 인쇄층(130)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b)단계는 상기 베이스층(120) 상부에 직접 그라비아(gravure) 또는 스크린 인쇄 등을 통해 인쇄층(130)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a)단계와 (b)단계 사이에 선택적으로 베이스층(120)의 저면에 이지층(110)을 열 합판하여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합판은 120-160℃ 또는 130-150℃의 온도에서 실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c)단계는 인쇄층(130) 상부에 위에서 3중 공압출로 형성된 아래로부터 위로 인쇄부착층(141), 내구층(143) 및 UV부착층(145)을 포함하는 투명층(140)을 열 합판하여 적층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열 합판은 120-160℃ 또는 130-150℃의 온도에서 실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d)단계는 상기 투명층(140)의 표면에 소정 형상의 엠보(미도시)를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엠보는 엠보롤을 이용하여 가압하여 형성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e)단계는 상기 엠보가 형성된 투명층(140)의 상부에 UV 경화형 도료를 도포한 후 UV 경화시켜주어 표면처리층(150)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d)단계와 (e)단계 사이에 투명층(140)과 표면처리층(150)의 계면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투명층(140)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 실시예 >
1. 비닐 타일 바닥재 제조
실시예 1
(베이스층 형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가소제 50중량부, 탄산칼슘 200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혼련한 다음, 2본롤을 이용하여 1차 2차 믹싱하여 베이스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베이스층 제조용 조성물을 16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 2.47㎜인 베이스층을 형성한다.
(이지층 형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가소제 20중량부, 탄산칼슘 200중량부 및 카본 블랙안료 10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혼련한 다음, 2본롤을 이용하여 1차 및 2차 믹싱하여 이지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이지층 제조용 조성물을 16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가 300㎛인 이지층을 형성한다.
그 후 상기 베이스층의 저면에 이지층을 열 합판하여 적층한다.
(인쇄층 형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가소제 25중량부, 탄산칼슘 50중량부, 이산화티탄 10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혼련한 다음, 2본롤을 이용하여 1차 및 2차 믹싱하여 인쇄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인쇄층 제조용 조성물을 16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가 65㎛인 백색시트를 형성한다.
그 후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에 백색시트를 적층한다.
또한, 백색시트 표면에 전사 인쇄방법을 통해 인쇄무늬를 형성하여 인쇄층을 형성한다.
(투명층 형성)
인쇄부착층 제조용 조성물(A 조성물) 제조
PP계 부착성 수지 100중량부에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40중량부 및 광안정제 0.7중량부를 혼합하여 인쇄부착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내구층 제조용 조성물(B 조성물) 제조
랜덤(Random)-PP 100중량부에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140중량부 및 광안정제 1.2중량부를 혼합하여 내구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UV부착층 제조용 조성물(C 조성물) 제조
PE계 부착성 수지 100중량부에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30중량부 및 광안정제 0.65중량부를 혼합하여 UV부착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인쇄부착층과 UV부착층이 각각 내구층의 아래 및 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A, B 및 C 조성물을 230℃의 온도에서 3중 T-die 공압출 성형하여 두께가 15㎛인 인쇄부착층, 두께가 120㎛인 내구층, 두께가 15㎛인 UV부착층을 형성하여 총 두께가 150μm인 투명필름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투명필름의 영률은 길이 방향으로 2022kgf/cm2, 폭 방향으로 2062kgf/cm2이다.
그런 다음, 아래로부터 위로 인쇄부착층, 내구층 및 UV부착층의 적층구조로 형성한 투명필름(투명층)을 상기 인쇄층의 상부에 열 합판하여 적층한다.
그후 상기 투명층의 표면에 소정 형상의 엠보(미도시)를 형성한다.
(표면처리층 형성)
UV 경화형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30중량부, 아크릴계 모노머 40중량부, 광개시제 5중량부 및 첨가제 3중량부를 혼합하여 표면처리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표면처리층 제조용 조성물을 롤코팅 방식에 의해 상기 투명층에 전면 도포한 후 자외선 조사하여, 두께가 15-20㎛인 표면처리층을 형성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약 3.0㎜의 두께를 가진 실시예의 비닐 타일 바닥재를 완성하였다.
비교예 1
투명층을 이하의 조성 및 방법으로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형성하여 총 3.0㎜의 두께를 가진 비교예 1의 비닐 타일 바닥재를 완성하였다.
(투명층 형성)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가소제 20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혼련한 다음, 2본롤을 이용하여 1차 및 2차 믹싱하여 투명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투명층 제조용 조성물을 16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가 150㎛인 투명층(투명필름)을 형성한다.
비교예 2
투명층이 인쇄부착층 및 UV부착층을 포함하지 않고, 단일층으로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형성하여 총 3.0㎜의 두께를 가진 비교예 2의 비닐 타일 바닥재를 완성하였다.
(투명층 형성)
랜덤(Random)-PP 100중량부에 광안정제 0.5중량부를 반바리 믹서로 혼련한 다음, 2본롤을 이용하여 1차 및 2차 믹싱하여 투명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투명층 제조용 조성물을 16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가 150㎛인 투명층(투명필름)을 형성한다.
참조예 1
투명층 내의 인쇄부착층 제조용 조성물을 이하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형성하여 총 3.0㎜의 두께를 가진 참조예 1의 비닐 타일 바닥재를 완성하였다.
인쇄부착층 제조용 조성물(A 조성물) 제조
PP계 부착성 수지 100중량부에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150중량부 및 광안정제 1.25중량부를 혼합하여 인쇄부착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참조예 2
투명층 내의 UV부착층 제조용 조성물을 이하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형성하여 총 3.0㎜의 두께를 가진 참조예 2의 비닐 타일 바닥재를 완성하였다.
(투명층 형성)
UV부착층 제조용 조성물(C 조성물) 제조
PE계 부착성 수지 100중량부에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150중량부 및 광안정제 1.25중량부를 혼합하여 UV부착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참조예 3
투명층 내의 내구층 제조용 조성물을 이하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형성하여 총 3.0㎜의 두께를 가진 참조예 3의 비닐 타일 바닥재를 완성하였다.
내구층 제조용 조성물(B 조성물) 제조
랜덤-폴리프로필렌 100중량부에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40중량부 및 광안정제 0.7중량부를 혼합하여 내구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참조예 4
투명층 내의 내구층 제조용 조성물을 이하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위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형성하여 총 3.0㎜의 두께를 가진 참조예 4의 비닐 타일 바닥재를 완성하였다.
내구층 제조용 조성물(B 조성물) 제조
랜덤(Random)-PP 100중량부에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220중량부 및 광안정제 1.6중량부를 혼합하여 내구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참조예 5
실시예 1과 대비할 때, 투명층에 포함되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아닌 에틸렌-옥텐 엘라스토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형성하여 총 3.0㎜의 두께를 가진 참조예 5의 비닐 타일 바닥재를 완성하였다.
2. 비닐 타일 바닥재 물성 측정
상기 1에서 제조한 비닐 타일 바닥재의 내의 인쇄층과 투명층의 계면접착력, 투명층과 표면처리층의 계면접착력, 투명층(투명필름)의 영률, 타일 바닥재의 컬링 및 내마모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인쇄층과 투명층의 계면접착력(kgf/20mm)은 UTM 장비(LLOYD Instrument社 LRX Plus)를 사용하여 기판 위에 폭 20mm, 길이 150mm의 시편을 놓은 후 100mm/min의 속도로 일정하게 기판으로부터 180°로 잡아당겨 인가되는 하중을 시편의 너비로 나누어 측정하는 Peel off test로 측정하였다.
-상기 투명층과 표면처리층의 계면접착력은 ASTM D3359에 의거하여 칼을 사용하여 표면처리층(150) 표면에 100개의 격자무늬 흠집을 낸 후, 흠집이 난 상기 표면처리층(150) 표면에 접착테이프(nichiban社 CT-24)를 붙여 손바닥으로 힘껏 누른 후 접착테이프를 떼어냈을 때의 박리정도를 측정하는 Cross cut test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값은 하기 식 1을 통해 계산하였다.
[식 1]
계면접착력 = (접착테이프를 제거한 후 표면처리층(150) 표면에 남은 개수/ 표면처리층(150) 표면에 흠집을 낸 개수)
-상기 투명층의 영률(Kgf/cm2)은 폭 10mm, 길이 60mm의 Doogy bone형태의 시편을 상온하에서 UTM 장비(LLOYD Instrument社 LRX Plus)를 사용하여 연신속도 50mm/min의 조건으로 인장 시험을 하였을 때, 길이/폭 방향으로 변형에 대한 힘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타일 바닥재의 컬링(△mm)은 폭 180mm, 길이 920mm인 시편을 각각 고온 변형(80℃에서 24시간 동안)에서 방치하고 이를 상온에 꺼내 충분히 25℃가 되도록 기다리고 또는, 저온 변형(-5℃에서 24시간 동안)에서 방치한 후 이를 상온에 꺼내 충분히 25℃가 되도록 기다린 후 타일 바닥재의 가장자리가 바닥으로부터 컬링이 발생하는 높낮이를 두께 게이지로 측정하였다.
(+ : 컬의 방향이 위로 향함, - : 컬의 방향이 아래로 향함)
-상기 타일 바닥재의 내마모성(g) 은 Tabor社의 Abrasion Test장비를 이용하여 1kg의 중량 하중 조건에서 H-18 휠로 1000회 마모시킨후 질량변화 값을 측정하였다.
Figure PCTKR2018001553-appb-T000001
-PP계 부착성 수지 : 말레산 무수물이 폴리프로필렌 주쇄에 0.8-3중량%로 그래프트되고, 접착강도가 6kgf/2cm초과인 롯데케미칼社의 Adpoly BP-402를 사용하였다.
-PE계 부착성 수지 : 말레산 무수물이 폴리에틸렌 주쇄에 0.8-3중량%로 그래프트되고, 접착강도가 5kgf/2cm초과인 롯데케미칼社의 Adpoly EM-400을 사용하였다.
-랜덤(Random)-PP : 롯데케미칼社의 SFC-550B를 사용하였다.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 아이소택틱 프로필렌의 반복적인 구조에 에틸렌이 랜덤 공중합된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로, 상기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내의 에틸렌의 함량이 9중량%이고, 용융지수가 3.7g/10min(190℃, 2.16kg), 파단 시 인장강도가 17.2Mpa, 파단 시 연신율이 1682% 및 굴곡 탄성율이 110Mpa인 Exxonmobil社의 Vistamaxx 3980FL을 사용하였다.
-에틸렌-옥텐 엘라스토머 : 용융지수가 1.2g/10min(190℃, 2.16kg), 파단 시 인장강도가 38Mpa, 파단 시 연신율이 660% 및 굴곡 탄성율이 83Mpa인 LG화학社의 LC100을 사용하였다.
상기 표 1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은 투명층의 영률이 1600-3000Kgf/cm2을 만족하여 층간의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률의 차이로 인해 타일 바닥재에 컬링이 1.5mm이하를 만족하여 구조안정성이 우수하며 내마모성이 또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VC필름을 포함하는 타일 바닥재인 비교예 1과 같이 인쇄층과 투명층 및 표면처리층의 계면접착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과 같이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지 못해 투명층의 영률이 1600-3000Kgf/cm2을 만족하지 못하여 타일 바닥재에 컬링이 매우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는 투명층이 단일층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과 같이 별도의 인쇄부착층 및 UV부착층을 포함하지 못해 하부의 인쇄층 및 상부의 표면처리층과 계면접착력이 매우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투명층 내 인쇄부착층 및 UV부착층 각각이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특정 함량 범위 초과하여 포함한 참조예 1 및 참조예 2는 각각 인쇄층과 투명층 및 투명층과 표면처리층의 계면접착력이 저하되며 내마모성 또한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투명층 내 내구층이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특정 함량 미만으로 포함한 참조예 3은 투명층의 영률이 1600-3000Kgf/cm2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해 타일 바닥재의 컬링이 큰 것을 알 수 있었고, 투명층 내 내구층이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특정 함량 초과하여 포함한 참조예 4는 실시예 1에 비해 내마모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아닌 에틸렌계 엘라스토머를 사용한 참조예 5는 투명층의 영률이 1600-3000Kgf/cm2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해 타일 바닥재에 컬링이 1.5mm이하를 만족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타일 바닥재의 친환경성 측정
아래의 표 2는 본 발명의 타일 바닥재(100)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TVOC(총휘발성유기화합물) 및 Toluene 방출량을 비교한 시험결과자료이다.
시험항목 단위 시험결과 시험방법
실시예 1 비교예 1
친환경타일 에코노타일
TVOC 방출량 mg/㎡h 0.048 0.087 실내 공기질공정시험기준(환경부 고시제2010-24호)
Toluene 방출량 mg/㎡h 0.020 0.081
상기 표 2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타일 바닥재(100)와 비교예 1의 타일 바닥재를 '실내 공기질 공정시험기준(환경부 고시 제2010-24호)'에 따른 시험방법을 통해 TVOC 및 Toluene 방출량을 비교시험해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타일 바닥재(100)가 TVOC 및 Toluene 방출량이 현저히 저감되어 친환경 성능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부호의 설명〕
100 : 비닐 타일 바닥재 110 : 이지층
120 : 베이스층 130 : 인쇄층
140 : 투명층 141 : 인쇄부착층
143 : 내구층 145 : UV부착층
150 : 표면처리층

Claims (15)

  1. 베이스층(120);
    상기 베이스층(120)의 상부에 적층되는 인쇄층(130);
    상기 인쇄층(130)의 상부에 적층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140); 및
    상기 투명층(140)의 상부에 적층되는 표면처리층(150);을 포함하는 컬링이 1.5mm이하(80℃,24hr/-5℃,24hr)인 비닐 타일 바닥재(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140)은 아래에서 위로 인쇄부착층(141), 내구층(143) 및 UV부착층(145)을 포함하는 것인 비닐 타일 바닥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착층(141) 및 UV부착층(145)은 폴리올레핀계 부착성 수지 및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인 비닐 타일 바닥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부착성 수지는 폴리올레핀 주쇄에 극성기인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무수물(anhydride)이 그래프트 되어 분지쇄를 이루는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것인 비닐 타일 바닥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주쇄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인 것인 비닐 타일 바닥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아이소택틱 프로필렌(isotactic propylene)의 반복적인 구조에 에틸렌이 랜덤 공중합된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인 것인 비닐 타일 바닥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내의 에틸렌의 함량은 5-20중량%인 것인 비닐 타일 바닥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착층(141)은 PP계 부착성 수지 100중량부에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10-1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비닐 타일 바닥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140)과 하부의 인쇄층(130) 사이의 계면접착력(Peel off test)은 2.0kgf/20mm이상인 것인 비닐 타일 바닥재.
  10. 제3항에 있어서,
    UV부착층(145)은 PE계 부착성 수지 100 중량부에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5-1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비닐 타일 바닥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층(140)과 상부의 표면처리층(150) 사이의 ASTM D3359에 의거한 계면접착력(cross cut test)은 96/100-100/100인 것인 비닐 타일 바닥재.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구층(143)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50-2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비닐 타일 바닥재.
  13. (a)베이스층(120)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140)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b)상기 베이스층(120)의 상부에 인쇄층(130)을 형성하는 단계;
    (c)상기 인쇄층(130)의 상부에 상기 투명층(140)을 적층하는 단계;
    (d)상기 투명층(140)의 표면에 소정 디자인의 엠보를 형성하는 단계; 및
    (e)상기 엠보가 형성된 투명층(140)의 상부에 표면처리층(15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컬링이 1.5mm이하(80℃,24hr/-5℃,24hr)인 비닐 타일 바닥재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3중 공압출 공정을 통해 아래로부터 위로 인쇄부착층(141), 내구층(143) 및 UV부착층(145)을 포함하는 투명층(140)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인 비닐 타일 바닥재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착층(141) 및 UV부착층(145)의 가공온도는 210-230℃이고, 내구층(143)의 가공온도는 220-250℃인 것인 비닐 타일 바닥재의 제조방법.
PCT/KR2018/001553 2017-02-10 2018-02-06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을 포함하는 비닐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4761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18430 2017-02-10
KR10-2017-0018430 2017-02-10
KR10-2018-0013340 2018-02-02
KR1020180013340A KR102113226B1 (ko) 2017-02-10 2018-02-02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을 포함하는 비닐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7613A1 true WO2018147613A1 (ko) 2018-08-16

Family

ID=6310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1553 WO2018147613A1 (ko) 2017-02-10 2018-02-06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을 포함하는 비닐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14761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9656A (ko) * 2004-03-31 2007-01-18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용 화장재
KR20110101857A (ko) * 2010-03-10 2011-09-16 강호림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14088026A (ja) * 2013-11-18 2014-05-15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板
KR20150059455A (ko) * 2013-11-22 2015-06-01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알루미늄 복합 판넬
KR20160018146A (ko) * 2014-08-08 2016-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게이트 웨이 및 그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9656A (ko) * 2004-03-31 2007-01-18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용 화장재
KR20110101857A (ko) * 2010-03-10 2011-09-16 강호림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14088026A (ja) * 2013-11-18 2014-05-15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板
KR20150059455A (ko) * 2013-11-22 2015-06-01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알루미늄 복합 판넬
KR20160018146A (ko) * 2014-08-08 2016-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게이트 웨이 및 그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35865A1 (ko) Oled 패널 하부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WO2014209056A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59918A1 (ko) 윈도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14185685A1 (ko) 편광판
WO2019117676A2 (ko) 편광판,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WO2021045322A1 (ko) 실리콘 커버를 포함하는 인체에 무해한 고탄성 항균 매트
WO2020184778A1 (ko) 디지털프린팅소재를 겸비한 장식패널
WO2018004288A2 (ko)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
WO2022097872A1 (ko)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47613A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을 포함하는 비닐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128518A9 (ko)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WO2020226461A1 (ko) 실리콘계 점착성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WO2015156638A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성형품, 이의 제조방법
WO2023018306A1 (ko) 투명시트 제조방법 및 투명시트
WO2021132924A1 (ko) 봉지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봉지층 및 이를 포함하는 봉지화된 장치
WO2021066496A1 (ko) 주름진 표면을 갖는 적층 필름
WO2021075901A1 (ko) 경화성 조성물
WO2021246851A1 (ko) 폴리에스테르 이형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080498A1 (ko) 다층 배리어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
WO2023096413A1 (ko) 점착제
WO2019112175A1 (ko) 접착제 키트, 이를 포함하는 접착필름 및 봉지재, 및 유기전자장치의 봉지방법
WO2016006875A1 (ko) 초박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24071584A1 (ko) 다층필름, 이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WO2017200178A1 (ko) 데코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008901A1 (ko) 생분해성 다층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포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75144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75144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