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472A -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 Google Patents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472A
KR20230024472A KR1020210106012A KR20210106012A KR20230024472A KR 20230024472 A KR20230024472 A KR 20230024472A KR 1020210106012 A KR1020210106012 A KR 1020210106012A KR 20210106012 A KR20210106012 A KR 20210106012A KR 20230024472 A KR20230024472 A KR 20230024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pp
layer
film
film layer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6660B1 (ko
Inventor
이광원
오새한
Original Assignee
이광원
오새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원, 오새한 filed Critical 이광원
Priority to KR1020210106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660B1/ko
Publication of KR20230024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472A/ko
Priority to KR1020230113514A priority patent/KR20230129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32B2037/268Releas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Abstract

본 발명은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해 CPP(Casting Polypropylene) 필름층 상부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층이 점착된 CPP/PET 혼합층을 마련하는 A단계; 상기 A단계를 통해 마련된 상기 CPP/PET 혼합층의 상면에 잉크 조성물을 이용해 인쇄를 수행하는 B단계; 상기 B단계를 통해 상면 상에 인쇄층이 형성된 상기 CPP/PET 혼합층의 상면에 코팅 조성물을 이용해 코팅을 수행하는 C단계; 상기 C단계를 통해 상면 상에 인쇄층 및 코팅층이 형성된 상기 CPP/PET 혼합층 하면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D단계; 상기 D 단계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상기 CPP/PET 혼합층 하면에 알루미늄 박막층을 점착시키는 E단계; 상기 E단계를 통해 상기 CPP/PET 혼합층 하면에 점착된 알루미늄 박막층 하면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F단계; 및 상기 F단계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 처리가 이루어진 상기 알루미늄 박막층 하면에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수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수지, 충진제 및 안료를 포함하는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해 CPP(Casting Polypropylene) 필름층을 점착시키는 G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METHOD OF MANUFACTURING SEMI-INCOMBUSTIBLE FIREPROOF FILM BASED ON CPP FILM LAYER AND SEMI-INCOMBUSTIBLE FIREPROOF FILM MANUFACTURED THEREOF}
본 발명은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정 수준의 불연성을 갖춘 방화 필름은 화재 발생 시 불이 옮겨진 대상이 불이 번져 더욱 커지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해당 대상의 표면상에 부착되어 대형 화재로의 위험성 증가를 최대한 차단시키고, 이와 동시에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 및 유독가스의 배출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한 필름에 해당합니다.
이와 같은 방화 필름은 특히 대형 건물의 현관문이나 건물 비상구문과 같이 방화문으로 설계되기 힘든 일반 가정 내 방문에 적용되어, 가정 내 화재로 인한 피해가 빠른 시간 내에 번질 수 있는 가능성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일반 가정의 방문을 비롯한 다양한 가구 혹은 가정 설비 등에 쉽게 부착 설치하여 우수한 수준의 불연성 및 방화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필름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정 수준의 불연성을 갖춘 방화 필름으로서 가정 내 방문과 같은 특정 설비 표면상에 부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2542호의"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마감용 시트"(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준불연 방화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들은, 폴리프로필렌(PP) 원단의 필름층에 하면에는 프라이머를 통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지고, 상면에는 코로나 처리 후 1도 내지 3도에서의 인쇄를 거쳐 다시 복수 회차에 걸친 바니시(Varnish) 처리가 수행되어 제조되는 폴리프로필렌(PP) 원단을 원단으로 한 단층형 필름 구조에 그쳐 불연성 및 방화성과 관련한 물성이 낮은 수준에 그침은 물론이고, 제조된 필름의 표면 경도, 내오염성,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 등의 물성 역시 낮은 수준에 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준불연 방화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들은, 제조되는 방화 필름의 치수 안정성, 표면 은폐성과 관련한 물성 또한 낮은 수준에 그치고, 필름을 부착하고자하는 대상의 표면상태, 대상의 주변 온도 및 습도 등의 조건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한 기능적 불량이 쉽게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불연성 및 방화성과 관련한 물성은 물론이고, 표면 경도, 치수 안정성, 표면 은폐성, 내오염성,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 등의 물성 또한 우수하며, 필름을 부착하고자하는 대상의 표면상태, 대상의 주변 온도 및 습도 등의 조건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들이 쉽게 영향을 받지 않고 높은 일정 수준을 지속 유지할 수 있는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은,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수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수지, 충진제 및 안료를 포함하는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해 CPP(Casting Polypropylene) 필름 상부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이 점착된 CPP/PET 혼합층을 마련하는 A단계; 상기 A단계를 통해 마련된 상기 CPP/PET 혼합층의 상면에 잉크 조성물을 이용해 인쇄를 수행하는 B단계; 상기 B단계를 통해 상면 상에 인쇄층이 형성된 상기 CPP/PET 혼합층의 상면에 코팅 조성물을 이용해 코팅을 수행하는 C단계; 상기 C단계를 통해 상면 상에 인쇄층 및 코팅층이 형성된 상기 CPP/PET 혼합층 하면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D단계; 상기 D 단계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상기 CPP/PET 혼합층 하면에 알루미늄 박막층을 점착시키는 E단계; 상기 E단계를 통해 상기 CPP/PET 혼합층 하면에 점착된 알루미늄 박막층 하면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F단계; 및 상기 F단계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 처리가 이루어진 상기 알루미늄 박막층 하면에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수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수지, 충진제 및 안료를 포함하는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해 CPP(Casting Polypropylene) 필름층을 점착시키는 G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은, 상기 G단계를 통해 최상측의 코팅층을 기준으로 하방을 향해 상기 인쇄층, CPP/PET 혼합층, 알루미늄 박막층 및 CPP 필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의 필름에 대해 드라이 라미네이팅(Dry Laminating) 처리를 수행하여 인접한 상하 층간의 열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H단계;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은, 상기 H단계를 통해 드라이 라미네이팅을 거친 다층 구조의 필름 내 CPP 필름층 하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점착층을 형성하는 I단계; 및 상기 I단계를 통해 알루미늄 박막층 하면에 형성된 점착층에 이형지를 부착시키는 J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A단계 및 상기 G단계를 통해 CPP 필름 및 CPP 필름층 형성에 이용되는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수지 55중량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수지 12 중량부, 충진제 23 중량부 및 안료 9중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A단계는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해 0.05㎛ 내지 0.1㎛의 두께를 갖추도록 마련된 CPP(Casting Polypropylene) 필름과 0.012㎛의 두께를 갖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점착시켜 CPP/PET 혼합층을 마련하는 단계이고, 상기 E단계는 상기 D 단계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상기 CPP/PET 혼합층 하면에 0.006㎛의 두께를 갖춘 알루미늄 박막층을 점착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G단계는 상기 F단계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 처리가 이루어진 상기 알루미늄 박막층 하면에 0.012㎛의 두께를 갖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을 점착시키는 단계이다.
아울러, 상기 G단계를 통해 최상측의 코팅층을 기준으로 하방을 향해 상기 인쇄층, CPP/PET 혼합층, 알루미늄 박막층 및 CPP 필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의 필름 내 상기 CPP/PET 혼합층은 75 중량부를 갖추고, 알루미늄 박막층은 16 중량부를 갖추며, CPP 필름층은 45 중량부를 갖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일례로써 본 발명은 앞 서 설명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완전한 불연에 가까운 수준의 준불연성 및 방화성과 더불어, 표면 경도, 치수 안정성, 표면 은폐성, 내오염성,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 등의 물성 또한 우수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필름을 부착하고자하는 대상의 표면상태, 대상의 주변 온도 및 습도 등의 조건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들이 쉽게 영향을 받지 않는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종래의 카렌다 작업 시 가공성의 한계로 인해 배합 사용되었던 가소제가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의 제조에 있어 완전히 배제되어 필름 자체의 생리학적인 인체 무해성이 갖춰진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본 발명의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CPP/PET 혼합층(110)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100) 제조방법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이하에서 도1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CPP/PET 혼합층 제조단계 <S110, A단계>
본 단계(S110)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수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수지, 충진제 및 안료를 포함하는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해 마련되는 CPP(Casting Polypropylene) 필름 상부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이 점착되어 전체 필름(100) 구조상의 기저가 되는 CPP/PET 혼합층(110)을 마련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CPP/PET 혼합층 제조단계(S110)를 통해 CPP(Casting Polypropylene) 필름 형성에 이용되는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수지 55중량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수지 12 중량부, 충진제 23 중량부, 안료 9중량부 및 무독안정제와 자외선흡수제 등의 추가 첨가제 1중량부를 포함하도록 조성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우선,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 내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수지는 치수 안정성 및 표면 경도에 영향을 주는 호모 폴리머형 수지 성분으로, 최종 적으로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수지가 포함된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통해 제조된 CPP/PET 혼합층(110)을 기저로 상하로 적층된 다층 구조를 이루는 준불연 방화 필름(100)의 접착 작업성이 우수하도록 할 뿐만 이나라, 접착 작업이 완료되여 설치 대상의 표면상에 부착됨에 있어 표면 구조의 굴곡에 대응되어 적정 수준의 휘어짐 및 부드러움을 갖추도록 하기 위한 조성으로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이 55중량부를 갖춤이 바람직하다.
이는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 내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수지가 55 중량부 미만으로 마련될 시 CPP 필름 및 CPP/PET 혼합층(110)을 기저로 상하로 적층된 다층 구조를 이루는 준불연 방화 필름(100)이 설치 대상의 표면상에 부착됨에 있어 표면 구조의 굴곡에 대응되어 접어지거나 휘어지는 과정에서 쉽게 깨짐거나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치수 안정성의 불량이 나타나고, 55 중량부를 초과할 시 CPP/PET 혼합층(110)을 기저로 상하로 적층된 다층 구조를 이루는 준불연 방화 필름(100)의 표면 경도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접착 작업성은 물론이고 치수 안정성의 성능까지도 저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 내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수지는 아래 설명될 충진제의 조성과 함께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통해 제조된 CPP/PET 혼합층(110)을 기저로 상하로 적층된 다층 구조를 이루는 준불연 방화 필름(100)의 필름 적합성과 함께 필름의 작업과정에 발생하는 구조적 변화에 의한 백화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수지 12 중량부 및 충진제 23 중량부를 갖춤이 바람직하다.
이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수지와 충진제가 각각 12 중량부와 23 중량부의 적정 함량을 벗어날 경우, 온도 변화에 따른 CPP/PET 혼합층(110)을 기저로 상하로 적층된 다층 구조를 이루는 준불연 방화 필름(100)의 신장 혹은 수축이 손쉽게 발생되고, 해당 과정에서 백화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필름 적합성을 우수하게 갖추기 위해 적정 함량 수준이 지켜져야 한다.
또한,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 내 충진제는 탄석(탄산 칼슘, CaCO3)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 내 충진제 내 안료는 이산화티탄의 백색 안료 외에도 실시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안료가 적용 가능하고, 9중량부를 갖춰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무독 안정제 혹은 자외선 흡수제와 같은 추가 첨가제 또한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 내 포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첨가제의 함량 수준은 1중량부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조성적 특징을 갖춰 마련되는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해 CPP(Casting Polypropylene) 필름을 제조함에 있어, 결과적으로 제조되는 CPP 필름은 0.05㎛ 내지 0.1㎛의 두께를 갖추도록 마련됨이 바람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해 제조되는 CPP 필름이 0.07㎛의 두께를 갖출 경우,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수지 55중량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수지 12 중량부, 충진제 23 중량부의 조성을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치수 안정성, 표면 경도 및 필름 적합성 등의 물성이 가장 우수한 수준으로 갖춰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해 0.07㎛의 두께로 제조된 CPP 필름은 X축 기준 2,215 MPa, Y축 기준 2,890 MPa의 인장강도를 갖추게 되고, 이와 동시에 X축 기준 630 %, Y축 기준 690 %의 신장율과 X축 기준 1.164 N/cm, Y축 기준 1,451 N/cm의 인열강도를 갖추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조성적 특징을 갖춰 마련되는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해 앞 서 설명한 구조적 특징을 갖춘 CPP(Casting Polypropylene)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캘린더 가공(calender finish) 방식에 따라 진행되고, 결과적으로 최종 제조되는 CPP(Casting Polypropylene) 필름이 압출 무연신의 특성을 갖추게 된다.
다음으로, CPP/PET 혼합층(110)의 이중 구조중 상측에 배치되는 또 하나의 필름층에 해당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은 '한교아이씨'사에서 출시되는 열경화성 수지 기반의 인쇄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제품을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CPP/PET 혼합층 제조단계(S110)에서 이용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은 0.05㎛ 내지 0.1㎛의 두께를 갖춘 CPP 필름에 대비해 0.012㎛의 두께를 갖추도록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CPP/PET 혼합층(110) 아래 배치되는 또 하나의 필름층에 해당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층(120)은 CPP 필름의 위에서 잡아주는 역할을 통해 CPP/PET 혼합층(110) 전체의 신장성을 적정 수준으로 보완하고, 최종적으로 다층 구조를 이루어 제조되는 준불연 방화 필름(100)의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개선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의 기능성에 대한 발현 수준은 앞 서 설명한 CPP필름에 대비한 두께가 적정 수준을 갖추도록 함이 가장 중요하다.
이와 같은 CPP 필름과 PET 필름을 상하로 배치한 상태에서 CPP 필름의 상측과 PET 필름의 하측 사이에 소정의 난연 점착제 성분을 도포하여 상호 일체를 이루도록 접착 공정을 별도로 진행하여 결과적으로 하나의 필름층을 구성하는 CPP/PET 혼합층(110)이 마련되도록 한다.
(2) 인쇄 단계 <S120, B단계>
본 단계(S120)는 앞 서 진행된 CPP/PET 혼합층 제조단계(S110)를 통해 마련된 CPP/PET 혼합층(110)의 상면에 잉크 조성물을 이용해 내면 인쇄를 수행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인쇄 단계(S120)는 45℃ 내지 70℃의 온도 환경에서 인쇄 장치의 처리 속도가 45 m/s에 맞춰 진행됨에 따라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0.0003 ㎛ 두께의 인쇄층이 CPP/PET 혼합층(110)의 상면에 형성되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잉크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용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우레탄 아크릴 수지 안료와 색소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적용 가능한 제품예로는 ㈜진성 잉크사의 'PP-MD'제품이 해당된다.
(3) 코팅 단계 <S125, C단계>
본 단계(S125)는 앞 서 진행된 인쇄 단계(S120)를 통해 인쇄층이 형성된 CPP/PET 혼합층(110)의 상면에 코팅 조성물을 이용해 외면 인쇄를 수행하여 인쇄층을 덮는 코팅층(111)을 형성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코팅 단계(S125)는 60℃ 내지 70℃의 온도 환경에서 코팅 장치의 처리 속도가 40 m/s에 맞춰 80 Mesh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진행됨에 따라 0.0004 ㎛ 두께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111)이 인쇄된 CPP/PET 혼합층(110)의 상면에 형성되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코팅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 수지(주식회사 미래화학, NS-CLEAR)를 주제로 하여, 주제 15 중량부를 기준으로 경화제 2 중량부 및 시너(Thinner) 5 중량부가 포함되도록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에 따라 코팅층(111)은 방염 불소 코팅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며, 이 경우 코팅 조성물은 캐스트 폴리에틸렌 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한 불소 방염코팅제를 적용하여 실시 가능하다.
(4) 제1표면처리 단계 <S130, D단계>
본 단계(S130)는 앞 서 진행된 코팅 단계(S125)를 통해 상면에 코팅층(111)과 인쇄층이 형성된 CPP/PET 혼합층(110)의 하면에 프라이머 조성물 이용해 표면처리를 수행하여 제1프라이머층(112을 형성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제1표면처리 단계(S130)는 CPP/PET 혼합층(110)과 아래 설명될 알루미늄 박막층(120)의 상하 점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라이머 처리 형태의 표면처리과정이 사전에 처리되도록 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를 위해, 프라이머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용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주제인 우레탄 아크릴 수지(진광(주), JR-100(Y)) 15 중량부와 경화제(진광(주), JL-600) 2 중량부가 포함되도록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표면처리 단계(S130)는 60℃ 내지 70℃의 온도 환경에서 프라이머 처리장치의 처리 속도가 40 m/s에 맞춰 80 Mesh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진행됨에 따라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0.0004 ㎛ 두께의 제1프라이머층(112)이 CPP/PET 혼합층(110)의 하면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이어, 실시에 따라 하면에 프라이머층(113)이 형성된 CPP/PET 혼합층(110)은 제1표면처리 단계(S130)를 통해 프라이머 처리 작업 후 엠보싱 작업을 추가 진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엠보싱 작업은 130℃의 온도환경에서 엠보 처리장치의 처리 속도가 25m/s에 맞춰 진행되도록 하여 CPP/PET 혼합층(110)의 하면에 프라이머 처리에 이어 엠보싱 처리까지 이어져 진행된다.
(5) 알루미늄 박막층 점착단계 <S140, E단계>
본 단계(S140)는 앞 서 진행된 제1표면처리 단계(S130)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CPP/PET 혼합층(110) 하면에 알루미늄 박막층(120)을 점착시키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에 따라, CPP/PET 혼합층(110)의 하면과 알루미늄 박막층(120)의 상면 사이에는 제1프라이머층(112)이 배치된다.
여기서, CPP/PET 혼합층(110)과 CPP 필름층(130) 사이에 배치되는 또 하나의 필름층에 해당하는 알루미늄 박막층(120)은 '삼일호일(주)'사에서 출시되는 제품을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박막층(120)은 0.05㎛ 내지 0.1㎛의 두께를 갖춘 CPP/PET 혼합층(110) 내 CPP 필름 및 0.012㎛의 두께를 갖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에 대비해 0.006㎛의 두께를 갖추도록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루미늄 박막층(120)은 최종적으로 다층 구조를 이루어 제조되는 준불연 방화 필름(100)을 특정 대상에 적용함에 있어 해당 적용 대상의 표면상의 요청에 대응되어 표면 은폐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알루미늄 박막층(120)의 기능성에 대한 발현 수준은 앞 서 설명한 CPP/PET 혼합층(110)과 CPP 필름층(130)에 대비한 두께가 적정 수준을 갖추도록 함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앞 서 진행된 제1표면처리 단계(S130)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CPP/PET 혼합층(110)의 하면에 알루미늄 박막층(130)을 점착시키는 과정은 구체적으로, 50℃의 숙성온도 조건 하에서 24시간 이상 숙성을 진행 한 뒤, 다음 과정을 진행함이 바람직하다.
(6) 제2표면처리 단계 <S150, F단계>
본 단계(S150)는 앞 서 진행된 알루미늄 박막층 점착단계(S140)를 통해 CPP/PET 혼합층(110) 하면에 점착된 알루미늄 박막층(120) 하면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를 수행하여 제2프라이머층(121)을 형성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제2표면처리 단계(S150)는 CPP/PET 혼합층(110)이 부착된 알루미늄 박막층(120)과 아래 설명될 CPP 필름층(130)의 상하 점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라이머 처리 형태의 표면처리과정이 사전에 처리되도록 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를 위해, 프라이머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용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주제인 우레탄 아크릴 수지(진광(주), JR-100(Y)) 15 중량부와 경화제(진광(주), JL-600) 2 중량부가 포함되도록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표면처리 단계(S140)는 60℃ 내지 70℃의 온도 환경에서 프라이머 처리장치의 처리 속도가 40 m/s에 맞춰 100 Mesh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진행됨에 따라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0.0004 ㎛ 두께의 제2프라이머층(121)이 알루미늄 박막층(120)의 하면에 형성되도록 한다.
(7) CPP 필름층 점착단계 <S160, G단계>
본 단계(S160)는 앞 서 진행된 제2표면처리 단계(S1350)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알루미늄 박막층(120)의 하면에 CPP 필름층(130)을 점착시키는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CPP(Casting Polypropylene) 필름층(130) 형성에 이용되는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수지 55중량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수지 12 중량부, 충진제 23 중량부, 안료 9중량부 및 무독안정제와 자외선흡수제 등의 추가 첨가제 1중량부를 포함하도록 조성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CPP 필름층(130) 형성에 기반이 되는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의 적정 조성 및 함량 조건에 대한 임계적 의의는 앞 서 설명한 CPP/PET 혼합층(110) 내 CPP 필름의 제조시 이용되는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의 적정 조성 및 함량 조건에 대한 임계적 의의와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8) 드라이 라미네이팅 단계 <S170, H단계>
본 단계(S170)는 앞 서 진행된 알루미늄 박막층 점착단계(S160)를 거쳐 최상측의 코팅층(111)을 기준으로 하방을 향해 인쇄층, CPP/PET 혼합층(110), 알루미늄 박막층(120) 및 CPP 필름층(1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의 필름에 대해 드라이 라미네이팅(Dry Laminating) 처리를 수행하여 인접한 상하 층간의 열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또한, 드라이 라미네이팅 단계(S170)는 50℃ 내지 60℃의 온도 환경에서 드라이 라미네이팅 장치의 처리 속도가 40 m/s에 맞춰 진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드라이 라미네이팅 단계(S170)를 거치고 난 다층 구조의 필름의 단면 구조는 주요 기능성 필름층인 CPP/PET 혼합층(110), 알루미늄 박막층(120) 및 CPP 필름층(130)의 3층 필름 구조가 갖춰지고, 이를 통해 준불연성 방화 필름으로서의 충분한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실시에 따라서는, 앞 서 설명한 최상측의 코팅층(111)을 시작으로 하방을 향해 인쇄층, CPP/PET 혼합층(110), 제1프라이머층(112), 알루미늄 박막층(120), 제2프라이머층(121) 및 CPP 필름층(130)의 인접한 상하 층간의 연결이 단순 배치를 이룬 상태에서 상호 접하는 면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드라이 라미네이팅을 통해 접착이 완전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용되는 접착제 조성물은 2액형으로 주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경화제 1중량부, 용제 6 중량부를 교반하여 마련되며, 60 Mesh 코팅 룰을 통해 도포를 수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드라이 라미네이팅 단계(S170)를 거침에 따라 최상측의 코팅층(111)을 기준으로 하방을 향해 인쇄층, CPP/PET 혼합층(110), 알루미늄 박막층(120) 및 CPP 필름층(1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의 필름 내 각 층별 중량 수준의 대비 비율은 필름 전체(100)의 기능성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아래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한정됨이 바람직하다.
코팅층(111)은 7 내지 9 중량부를 갖추고, 인쇄층은 9 중량부를 갖추고, CPP/PET 혼합층(110)은 72 내지 75 중량부를 갖추며, 제1프라이머층(112)은 6 내지 10 중량부를 갖추며, 알루미늄 박막층(120)은 16 중량부를 갖추며, 제2프라이머층(121)은 6 내지 10 중량부를 갖추며, CPP 필름층(130)은 45 내지 63 중량부를 갖춤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전체 준불연 방화 필름(100)의 적층 구조상의 각 층이 갖추고 있는 중량의 비율과 두께의 수준은 해당 필름 전체가 갖추고 있는 불연성, 방화성, 치수안정성, 표면 은폐성, 표면 경도,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가스 차단성, 인체 무해성 등의 물성을 효과적으로 제공함에 영향을 준다.
(9) 점착층 형성단계 <S180, I단계>
본 단계(S180)는 앞 서 진행된 드라이 라미네이팅 단계(S170)를 거친 다층 구조의 필름 내 알루미늄 박막층(130) 하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점착층(141)을 형성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러한, 점착층 형성단계(S180)는 최상측의 코팅층(111)을 기준으로 하방을 향해 인쇄층, CPP/PET 혼합층(110), 알루미늄 박막층(120) 및 CPP 필름층(1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의 필름이 특정 설치 대상에 부착되어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일 아래 위치한 CPP 필름층(130) 아래에 점착물질을 부가하게 된다.
여기서, 점착층(141)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은 '더원코리아(주)'사의 수성점착제 제품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형성되는 점착층(141)은 0.0006 ㎛ 두께와 40 중량부의 무게를 갖춤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층 형성단계(S180)는 50℃ 내지 120℃의 온도 환경에서 점착제 코팅 장치의 처리 속도가 25 m/s에 맞춰 진행되도록 한다.
(10) 이형지 부착단계 <S185, J단계>
본 단계(S180)는 앞 서 진행된 점착층 형성단계(S180)를 통해 알루미늄 박막층 하면에 형성된 점착층(141)에 이형지(140)를 부착시켜 점착층(141)이 외부 공기상에 상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준불연 방화 필름(100)의 사용 시에는 이형지(140)를 벗겨내고, 점착층(141)을 노출시켜 최상측의 코팅층(111)을 기준으로 하방을 향해 인쇄층, CPP/PET 혼합층(110), 알루미늄 박막층(120) 및 CPP 필름층(1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의 필름이 설치 대상 표면 상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이형지(140)은 백상지로서 120 중량부의 무게를 갖춤이 바람직하다.
2.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의 구조에 관한 설명
이와 같은 일련의 제조과정을 거쳐 생성되는 CPP/PET 혼합층(110)을 기저로 한 준불연 방화 필름(1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으로 적층된 단면 구조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적층 구조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열거하면, 최상측의 코팅층(111)을 시작으로 하방을 향해 인쇄층, CPP/PET 혼합층(110), 제1프라이머층(112), 알루미늄 박막층(120), 제2프라이머층(121) 및 CPP 필름층(130), 점착층(141) 및 이형지(140) 순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각 층을 이루는 조성적, 구조적 특징들은 결과적으로 제조되는 준불연 방화 필름(100)의 불연성, 방화성, 치수안정성, 표면 은폐성, 표면 경도,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가스 차단성, 인체 무해성 등의 물성을 종래와 달리 확연히 개선시킨다.
특히, 불연성에 대한 특성은 준불연이라 기재하지만 실질적으로 완전 불연성의 수준에 가까운 정도이고, 이와 연계되는 열 안정성에 대한 치수 안정성 수준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경우 기저가 되는 CPP/PET 혼합층(110)의 연화 온도가 168℃의 수준에 달할 정도로서 매우 우수하고 온도 및 습도에 의한 부착 후의 구조적 변화 혹은 탈리 현상 등이 전혀 없다.
그 외에도, 적용되는 대상의 표면 구조적 요철에 대응되어 우수한 은폐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정한 표면 경도의 부드러움을 통해 접힘 시 표면이 깨지거나 찢어지는 현상을 비롯한 백화 현상까지도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고 화재시 발생되는 발안성 포름 알데이드 가스에 대한 차단력이 우수하며, 인체에 유해한 가소제가 전혀 함유되지 않아 인체에 매우 무해한 상태이다.
3.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의 물성에 관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방화 필름(100)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CPP/PET 혼합층(110)을 기저로 한 준불연 방화 필름(100)에 대해 아래와 같은 다양한 실험 방법들을 통해 열방출율, 가스유해성, 연소성 및 방화도와 관련된 물성등의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당업계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수단에 의한 성질 등을 정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기 실험 방법들을 이용하였다.
우선, 각종 실험에 이용될 실시예를 마련하기 위해 앞 서 설명한 준불연 방화 필름(100) 제조방법을 반복 진행하여 다수개의 준불연 방화 필름(100)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수지 55중량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수지 12 중량부, 충진제 23 중량부, 안료 9중량부 및 무독안정제와 자외선흡수제 등의 추가 첨가제 1중량부를 포함한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해 캘린더 가공(calender finish) 방식에 따라 0.07㎛의 두께를 갖춘 압출 무연신의 CPP(Casting Polypropylene) 필름과 0.012㎛의 두께를 갖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을 점착하여 CPP/PET 혼합층(110)을 마련하였다.
이에 이어, CPP/PET 혼합층(110) 위로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용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우레탄 아크릴 수지 안료와 색소를 포함하는 인쇄 조성물을 이용해 60℃의 온도 환경에서 인쇄 장치의 처리 속도가 45 m/s에 맞춰 인쇄 작업이 진행되어 0.0003 ㎛ 두께의 인쇄층이 CPP/PET 혼합층(110)의 상면에 형성되도록 한다.
그 후, 인쇄층을 갖춘 CPP/PET 혼합층(110) 위에 우레탄 아크릴 수지(주식회사 미래화학, NS-CLEAR)를 주제로 하여, 주제 15 중량부를 기준으로 경화제 2 중량부 및 시너(Thinner)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이용해 70℃의 온도 환경에서 코팅 장치의 처리 속도가 40 m/s에 맞춰 80 Mesh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진행되어 0.0004 ㎛ 두께의 코팅층(111)이 CPP/PET 혼합층(110)의 상면에 형성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CPP/PET 혼합층(110)의 하면에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용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주제인 우레탄 아크릴 수지(진광(주), JR-100(Y)) 15 중량부와 경화제(진광(주), JL-600) 2 중량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해 70℃의 온도 환경에서 프라이머 처리장치의 처리 속도가 40 m/s에 맞춰 80 Mesh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표면처리를 수행하여 0.0004 ㎛ 두께의 제1프라이머층(112)이 CPP/PET 혼합층(110)의 하면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이어, 130℃의 온도환경에서 엠보싱 처리장치의 처리 속도가 25m/s에 맞춰 CPP/PET 혼합층(110)의 하면에 프라이머 처리에 이어 엠보싱 처리까지 이어져 진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0.006㎛의 두께를 갖춘 알루미늄 박막층(120)을 제1프라이머층(112)을 사이에 두고 CPP/PET 혼합층(110)의 하면에 부착시킨다.
다음으로, 알루미늄 박막층(120)의 하면에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용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주제인 우레탄 아크릴 수지(진광(주), JR-100(Y)) 15 중량부와 경화제(진광(주), JL-600) 2 중량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해 70℃의 온도 환경에서 프라이머 처리장치의 처리 속도가 40 m/s에 맞춰 80 Mesh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표면처리를 수행하여 0.0004 ㎛ 두께의 제2프라이머층(121)이 알루미늄 박막층(120)의 하면에 형성되도록 한다.
그 후,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수지 55중량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수지 12 중량부, 충진제 23 중량부, 안료 9중량부 및 무독안정제와 자외선흡수제 등의 추가 첨가제 1중량부를 포함한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해 캘린더 가공(calender finish) 방식에 따라 0.07㎛의 두께를 갖추도록 마련된 CPP(Casting Polypropylene) 필름층(130)을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알루미늄 박막층(120)의 하면에 부착시킨 후, 50℃의 숙성온도 조건 하에서 24시간동안 대기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쳐 최상측의 코팅층(111)을 기준으로 하방을 향해 인쇄층, CPP/PET 혼합층(110), 알루미늄 박막층(120) 및 CPP 필름층(1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의 필름에 대해60℃의 온도 환경에서 드라이 라미네이팅 장치의 처리 속도가 40 m/s에 맞춰 드라이 라미네이팅(Dry Laminating) 처리가 진행되도록 하여 인접한 상하 층간의 열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CPP 필름층(130) 하면에 더원코리아(주)'사의 수성점착제 제품에 해당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해 100℃의 온도 환경에서 점착제 코팅 장치의 처리 속도가 25 m/s에 맞춰 점착층(141)을 형성하는 과정이 진행된 후 백상지를 이형지로 하여 점착층(141) 표면을 덮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방화 필름(100)을 제조하였다.
(1) 가스 유해성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방화 필름(100)을 2회에 걸친 가스 유해성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해당 시험은 KS F 2271의 기준에 따라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 의뢰하여 도출된 결과이다.
시험 조건은 20.0±15.0℃의 온도 조건과 50±30% R.H 습도 조건 하에서 실내장식물의 불연, 준불연 재료의 KFI인정기준 제6조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1과 같다.
시험기준 시험결과
1회차 2회차
실험용 쥐의 평균
행동정지 시간 9분 이상
14분 21초 13분 55초
- 실험용 쥐
계통 : ICR계(F) 2. 주령 : 5주 3.평균무게(g) : 18-22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방화 필름(100)은 실험용 쥐의 평균 행동정지 시간인 9분을 훨씬 넘긴 13분에서 15분 사이의 수준으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유해물질의 발생이 최소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불연성 및 방화성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열방출율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방화 필름(100)을 이용해 3회에 걸친 열방출율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해당 시험은 KS F ISO 5660-1의 기준에 따라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 의뢰하여 도출된 결과이다.
시험 조건은 20.0±15.0℃의 온도 조건과 50±30% R.H 습도 조건 하에서 실내장식물의 불연, 준불연 재료의 KFI인정기준 제5조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2와 같다.
시험기준 시험결과
1회차 2회차 3회차
총방출열량이 8 MJ/m2 이하 7.2 6.4 6.6
최대 열방출률이 200 kW/m2를 초과하는 시간이 10초 이내 0.0 0.0 0.0
시험체를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용 등이 없을 것
(복합자재의 경우 심재의 전부 용용, 소멸되는 것을 포함)
없음 없음 없음
수축률이 15% 이하일 것 0.0 0.0 0.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방화 필름(100)은 열방출율의 수준이 난연성능 및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제공함에 충분한 물성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45도 연소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방화 필름(100)을 이용해 3회에 걸친 45도 연소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해당 시험은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 의뢰하여 도출된 결과이다.
시험 조건은 20.0±15.0℃의 온도 조건과 50±30% R.H 습도 조건 하에서 방염성능기준(소방청고시 제2021-7호) 제6조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3와 같다.
시험항목 시험기준 시험결과
1회차 2회차 3회차
잔염시간 3초 이내 0 0 0
잔신시간 5초이내 0 0 0
탄화면적 30cm2 이내 23.2 25.5 24.5
탄화길이 20cm 이내 6.9 7.2 7.0
접염횟수 3회 이상 해당없음 해당없음 해당없음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방화 필름(100)은 종래의 공지된 줄불연 데코시트들과 달리 우수한 방염성을 갖추고 있어, 준불연 방화 필름으로서 종래와 차별화된 우수한 수준의 불연성 및 방화성을 제공 가능함을 알 수 있다.
(4) 방화도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방화 필름(100)을 이용해 5회에 걸친 방호도 시험(UL 94 : 2013, Thin Materials Vertical Burning Test)을 진행하였으며, 해당 시험은 FITI 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도출된 결과로서, 그 결과는 아래 표4와 같다.
[시험 조건]
-t1 : 첫 번째 접염 후 잔염시간 (s).
-t2 : 두 번째 접염 후 잔염시간 (s).
-t3 : 두 번째 접염 후 잔진시간 (s).
-전처리 조건 : (23±2)℃. 상대습도 (50±10)%에서 최소 48시간 방치
시험결과 기준
VTM-0 VTM-1 VTM-2
i) 잔염시간 (s) - - -
1회차 2회차 3회차 4회차 5회차 총합
t1 0 0 0 0 0 0 ≤ 10s ≤ 30s ≤ 30s
t2 0 4.7 0 5.1 6.4 16.2
ii) 총 잔염시간 (s) (t1+t2) - - -
16.2 ≤ 50s ≤ 250s ≤ 250s
iii) t2+t3 (s) - - -
1회차 2회차 3회차 4회차 5회차
0 4.7 0 5.1 6.4 ≤ 30s ≤ 60s ≤ 60s
iv) 125mm 표시선까지의 연소 여부 (YES, NO) - - -
1회차 2회차 3회차 4회차 5회차
NO NO NO NO NO NO NO NO
v) 낙하물에 의한 Cotton의 발화여부 (YES, NO) - - -
1회차 2회차 3회차 4회차 5회차
YES YES YES YES YES NO NO YES
vi) 판정
제시된 샘플은 UL94의 수직 연소성 측정법을 따른
상기 시험 결과에 따라 VTM-2 등급을 만족함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방화 필름(100)은 종래의 공지된 줄불연 데코시트들과 달리 방호도 시험(UL 94 : 2013, Thin Materials Vertical Burning Test) 기준 VTM-2 등급의 방호도를 갖춘 준불연 방화 필름으로서 종래와 차별화된 우수한 수준의 불연성 및 방화성을 제공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110 : CPP/PET 혼합층
111 : 코팅층
112 : 제1프라이머층
120 : 알루미늄 박막층
121 : 제2프라이머층
130 : CPP 필름층
140 : 이형지 141 : 점착층

Claims (7)

  1.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수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수지, 충진제 및 안료를 포함하는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해 CPP(Casting Polypropylene) 필름 상부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이 점착된 CPP/PET 혼합층을 마련하는 A단계;
    상기 A단계를 통해 마련된 상기 CPP/PET 혼합층의 상면에 잉크 조성물을 이용해 인쇄를 수행하는 B단계;
    상기 B단계를 통해 상면 상에 인쇄층이 형성된 상기 CPP/PET 혼합층의 상면에 코팅 조성물을 이용해 코팅을 수행하는 C단계;
    상기 C단계를 통해 상면 상에 인쇄층 및 코팅층이 형성된 상기 CPP/PET 혼합층 하면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D단계;
    상기 D 단계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상기 CPP/PET 혼합층 하면에 알루미늄 박막층을 점착시키는 E단계;
    상기 E단계를 통해 상기 CPP/PET 혼합층 하면에 점착된 알루미늄 박막층 하면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F단계; 및
    상기 F단계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 처리가 이루어진 상기 알루미늄 박막층 하면에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수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수지, 충진제 및 안료를 포함하는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해 CPP(Casting Polypropylene) 필름층을 점착시키는 G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은,
    상기 G단계를 통해 최상측의 코팅층을 기준으로 하방을 향해 상기 인쇄층, CPP/PET 혼합층, 알루미늄 박막층 및 CPP 필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의 필름에 대해 드라이 라미네이팅(Dry Laminating) 처리를 수행하여 인접한 상하 층간의 열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H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은,
    상기 H단계를 통해 드라이 라미네이팅을 거친 다층 구조의 필름 내 CPP 필름층 하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점착층을 형성하는 I단계; 및
    상기 I단계를 통해 알루미늄 박막층 하면에 형성된 점착층에 이형지를 부착시키는 J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및 상기 G단계를 통해 CPP 필름 및 CPP 필름층 형성에 이용되는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수지 55중량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수지 12 중량부, 충진제 23 중량부 및 안료 9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CPP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해 0.05㎛ 내지 0.1㎛의 두께를 갖추도록 마련된 CPP(Casting Polypropylene) 필름과 0.012㎛의 두께를 갖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점착시켜 CPP/PET 혼합층을 마련하는 단계이고,
    상기 E단계는 상기 D 단계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상기 CPP/PET 혼합층 하면에 0.006㎛의 두께를 갖춘 알루미늄 박막층을 점착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G단계는 상기 F단계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 처리가 이루어진 상기 알루미늄 박막층 하면에 0.012㎛의 두께를 갖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을 점착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를 통해 최상측의 코팅층을 기준으로 하방을 향해 상기 인쇄층, CPP/PET 혼합층, 알루미늄 박막층 및 CPP 필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의 필름 내 상기 CPP/PET 혼합층은 75 중량부를 갖추고, 알루미늄 박막층은 16 중량부를 갖추며, CPP 필름층은 45 중량부를 갖추며, 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KR1020210106012A 2021-08-11 2021-08-11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KR102576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012A KR102576660B1 (ko) 2021-08-11 2021-08-11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KR1020230113514A KR20230129962A (ko) 2021-08-11 2023-08-29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012A KR102576660B1 (ko) 2021-08-11 2021-08-11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3514A Division KR20230129962A (ko) 2021-08-11 2023-08-29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472A true KR20230024472A (ko) 2023-02-21
KR102576660B1 KR102576660B1 (ko) 2023-09-11

Family

ID=853278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012A KR102576660B1 (ko) 2021-08-11 2021-08-11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KR1020230113514A KR20230129962A (ko) 2021-08-11 2023-08-29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3514A KR20230129962A (ko) 2021-08-11 2023-08-29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766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505Y1 (ko) * 2007-12-21 2009-02-23 주식회사케노텍 난연단열필름
KR20110101857A (ko) * 2010-03-10 2011-09-16 강호림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12666A (ko) * 2011-07-26 2013-02-05 (주)엘지하우시스 난연성 복합 필름 및 이를 적용한 진공단열재
KR102188717B1 (ko) * 2020-06-04 2020-12-09 이광원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505Y1 (ko) * 2007-12-21 2009-02-23 주식회사케노텍 난연단열필름
KR20110101857A (ko) * 2010-03-10 2011-09-16 강호림 데코레이션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12666A (ko) * 2011-07-26 2013-02-05 (주)엘지하우시스 난연성 복합 필름 및 이를 적용한 진공단열재
KR102188717B1 (ko) * 2020-06-04 2020-12-09 이광원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962A (ko) 2023-09-11
KR102576660B1 (ko) 202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717B1 (ko)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KR100493535B1 (ko) 난연또는불연장식용적층시트
JP4905274B2 (ja) 不燃性化粧板
JP2011255663A (ja) 耐候性を有する難燃ポリマー部材、難燃性物品及び難燃化方法
JP2008080703A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材
US20230286198A1 (en) Eco-friendly thermoplastic polyurethane flooring material having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and abrasion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190070835A1 (en) Multi-layered flame retardant and chemical resistant composit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5051028B2 (ja) 不燃性化粧板
JP5162981B2 (ja) 不燃性化粧板
KR102576660B1 (ko)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KR102229710B1 (ko) 알루미늄을 이용한 난연 친환경 인테리어 필름과 그의 제조방법
EP3950326A1 (en) Transparent resin film, decorativ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decorative material
KR20150039898A (ko) 난연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8257B1 (ko) 친환경 방수 원단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친환경 방수 원단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CN103080623A (zh) 阻燃聚合物护套
KR102597691B1 (ko)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통해 제조된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KR102031687B1 (ko) 차음 바닥재
JP2808386B2 (ja) 防燃性銘木化粧シート、これを貼着して成る防燃性銘木化粧板、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CN111300939A (zh) 一种阻燃装饰膜
KR20090010155U (ko) 점착력이 우수한 장식용 점착시트
WO2018105887A1 (ko) 장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053417A1 (ja) 高強度難燃ポリマー部材
JP7322455B2 (ja) 難燃シート
JP7334437B2 (ja) ハウスラップ材
JP6521144B2 (ja) 不燃性化粧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