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309A - 캡슐에 포함된 차 잎을 우려내는 방법 - Google Patents

캡슐에 포함된 차 잎을 우려내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309A
KR20110100309A KR1020117017744A KR20117017744A KR20110100309A KR 20110100309 A KR20110100309 A KR 20110100309A KR 1020117017744 A KR1020117017744 A KR 1020117017744A KR 20117017744 A KR20117017744 A KR 20117017744A KR 20110100309 A KR20110100309 A KR 20110100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beverage
enclosure
tea leave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7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6056B1 (ko
Inventor
마띠유 오잔느
Original Assignee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53265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10030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filed Critical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10100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Im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2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llowing a specific operational sequence, e.g. for improving the taste of the extraction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캡슐 인클로저에서 차 잎을 침지시키기 위해서 캡슐에 펌핑 및 가열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온수를 도입하는 단계,
b) 차 잎이 침투되는 단계,
c) 필요한 용량의 음료가 전달될 때까지 캡슐에 온수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물은 상기 3 개의 단계동안 펌핑 및 가열 수단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전달되며,
- 단계 a) 의 개시로부터 상기 단계 c) 가 종료할 때까지 캡슐에 연속으로 도입되거나, 또는
- 상기 단계 b) 동안 폐기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잎을 포함하는 인클로저를 갖춘 캡슐에 의해 음료 기계에서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캡슐에 포함된 차 잎을 우려내는 방법{PROCESS OF BREWING TEA LEAVES CONTAINED IN A CAPSULE}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캡슐에 포함된 차 잎 또는 다른 종류의 허브 잎을 우려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절한 음료 기계에서 음료를 우려내는 상이한 음료 캡슐이 공지되어 있다.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상업적으로 성공적인 캡슐 시스템은, 추출 장치 내로 공기 또는 물 투과가능한 캡슐을 배치하는 것, 캡슐에 온수를 주입하는 것 및 캡슐 밖으로 액체 추출물을 방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캡슐에 의해 제조된 음료 대부분은 용해가능한 액체 또는 분말 내용물의 용해로부터 비롯된 커피 또는 음료이다.
차 음료의 제조를 고려하면, WO 2007/042414 는 잎차 제품 등을 포함하는 캡슐로부터 제조된 차 음료에 특히 더 적합한 캡슐을 개시한다. 차 음료의 품질은 잎차 내용물의 품질, 즉 사용된 차의 기원 (토질, 건조, 혼합 등) 및 이들의 보관 상태에 크게 의존한다. 예컨대, 차 내용물은 , 통상 산소 및 빛에 민감하다. 바람직한 차 내용물은 작은 조각으로 잘리거나 부서진 산개된 잎 (loose leaf) 으로부터 취해진다. 그러나, 우려내기 조건은 사용된 내용물의 품질을 완전 만족시키기 위해서 중요하다.
통상, 음료 기계는, 이 기계가 항상 동일한 제품, 예컨대 커피를 처리하기 때문에 동일방식으로 모든 캡슐을 처리한다.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만들기 위해서 다른 기계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들 기계는 다른 커피 또는 초콜렛 또는 차 또는 카푸치노를 만들 수 있다. 예컨대, EP 1 440 640 은 이러한 기계 형식을 개시한다. 이 기계는 다양한 음료 (커피, 초콜렛, 우유 등) 를 생산할 수 있다. 제조 사이클은, 4 개의 단계, 즉 프리 웨트 (pre-wet), 중단 (pause), 우려내기/혼합 및 퍼지 (purge) 단계를 포함한다. 중단 단계는, 시간 주기를 위한 프리 웨트 단계중 주입된 물에 음료 내용물은 침지되게 한다.
동일한 프로세스에 따라 모두 추출되는 상이한 기원의 로스트 및 분쇄 커피에 반해, 매우 다양한 차 잎, 즉 많은 상이한 향기 (aromas) 를 내뿜는 블랙 티, 그린 티, 화이트 티, 레드 티, 허벌 티가 존재하며, 이러한 잎 각각은 특정 추출을 필요로 할 수 있다. 특히, 차 잎의 우려내기가 추출에 사용되는 물의 온도에 따르며, 차 잎의 추출중 이러한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캡슐에서 도입되기 전에 물의 온도가 제어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제어는 물 가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물은 캡슐에 도입되면, 유체의 온도를 더 제어하는 것에 대해서는 공지되어 있지 않다. 통상, 우려내기 사이클에서 구현되는 중단 단계에 기인하여, 유체 온도가 추출중 떨어지는 것이 관찰되며, 이로 인해 최적의 우려내기가 유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 잎을 포함하는 캡슐로부터 차 음료의 준비 프로세스에서 차 잎의 우려내기 프로세스를 개선함으로써 품질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모든 추출 프로세스 중 최적의 우려내기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차 잎을 포함하는 캡슐로부터 차 음료의 제조 프로세스에서의 차 잎 우려내기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캡슐 인클로저에서 차 잎을 침지시키기 위해서 캡슐에 펌핑 및 가열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온수를 도입하는 단계,
b) 차 잎이 침투되는 단계,
c) 필요한 용량의 음료가 전달될 때까지 캡슐에 온수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물은 상기 3 개의 단계동안 펌핑 수단 및 가열 수단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전달되며,
- 단계 a) 의 개시로부터 상기 단계 c) 가 종료할 때까지 캡슐에 연속으로 도입되거나, 또는
- 상기 단계 b) 동안 폐기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잎을 포함하는 인클로저를 갖춘 캡슐에 의해 음료 기계에서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차 잎을 포함하는 캡슐에서 온수의 도입에 의해 차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적용되며, 캡슐은 물을 도입하는 입구와 추출된 차 음료를 배출하는 출구를 포함한다. 이 입구 및/또는 출구는 기계의 천공 수단에 의해 미리 형성되거나 만들어질 수 있다. 온수가 펌핑 수단 및 가열 수단으로부터 전달된다. 이들 수단은, 통상 펌핑 수단이 가열 수단에 냉수를 전달하고, 가열 수단이 캡슐에 온수를 전달하도록 함께 연결된다. 펌핑 수단은 솔레노이드 펌프일 수 있다. 가열 수단은, 물 입구 및 물 출구에 연결되는 챔버 -일반적으로 튜브- 에 배치된 저항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가열 수단은 전달된 온수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단계 a) 에서, 물은 캡슐 인클로저에서 차 잎 모두를 적어도 침지시키기 위해서 캡슐에 도입된다. 이 단계 a) 중, 차 잎은 젖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a) 중, 물은 적어도 150 ㎖/분의 유량으로 도입된다. 이러한 유량 값은 음료 제조 시간 길이를 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캡슐의 급속 충전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유량 값은, 물을 가열하기 위해 사용된 히터의 유형 및 고 유량으로 온수를 제공하는 히터의 능력에 따를 수 있다.
단계 a) 그리고 잎이 젖은 직후에, 차 잎을 침투시키는 단계 b) 가 시작된다. 이 단계중, 차잎이 펴질 수 있도록 휴지상태가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단계 b) 중, 물의 도입이 중단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우려내기 동안 캡슐 내측에서 온수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물은 연속적으로 펌핑되고 가열되어야 함에 주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단계 a) 의 시작시부터 단계 c) 의 종료시가지 캡슐에 물은 연속도입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된 물은 3 단계, 즉, a), b), c) 를 포함하는 모든 우려내기 사이클을 따라 결코 중단되지 않는다. 이 양태에서, 물 공급 흐름을 중단시키지 않는다는 사실은 차 잎에 손해를 주어 캡슐 구조에 의해 가열된 물의 흡수를 보상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양태에 의해, 캡슐에 온수를 연속 도입하는 사실은 캡슐 내측에서 우려내기 물의 온도를 유지한다.
덜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물은 ,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계 b) 동안 폐기물로 보내진다. 가열 수단 및 펌핑 수단으로부터 온수를 연속으로 전달한다는 사실은, 온수가 캡슐에 도입되지 않을지라도, 단계 b) 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기물로 온수가 보내진 후 캡슐에 다시 물은 도입될 때 펌핑 수단 및 가열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물의 온도의 매우 중요한 변화를 회피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르면, 침투 단계 b) 동안에 펌핑 수단 및 가열 수단에 의해 전달된 물 유량은 결코 널 (null) 이 아니다. 단계 b) 동안, 물은 적어도 20 ㎖/분, 일반적으로 20 ~ 80 ㎖/분,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분의 침투 유량으로 생성된다. 적어도 20 ㎖/분의 물 유량을 유지하는 것은 캡슐 부재에 의한 열의 흡수를 보상하고, 침투 단계중 전달된 온수의 온도를 목표 값으로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계 a) 중 도입된 물의 양은 캡슐의 내부 용량 미만이다. 이후,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단계 b) 중 물의 도입은 차 잎 인클로저의 충전을 완료할 수 있다. 캡슐의 내부 용량에 따르면, 단계 b) 중 도입된 물은 캡슐 내부 용량의 용적을 넘칠 수 있으며, 이러한 마지막 경우, 캡슐의 출구에 배치된 용기 또는 컵에서 드립 흐름이 생성된다.
이 단계 b) 중, 차의 추출이 시작된다. 일반적으로, 단계 b) 의 시간 길이는 적어도 5 초,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초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계 b) 중, 물은 침투 유량보다 우세한 교반 유량으로 캡슐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기 (b') 동안 단순 도입되어 차 잎을 교반한다. 차 잎이 물의 도입 없이 또는 적은 유량의 물의 도입을 고려하여 휴지 상태가 되는 조용한 (quiet) 주기에 해당하는 침투 단계 b) 중, 침투 유량보다 우세한 교반 유량에서의 물의 짧은 도입은 차 잎을 움직여 교반하고, 차 잎이 다시 휴지 상태가 되기 이전에 캡슐에서 차 잎을 재분배시킬 수 있게 물의 강한 제트분사를 만들어낸다. 차 잎의 이러한 교반 및 재분배에 기인하여, 차 추출물 조성이 높은 위치를 만드는 단계 a) 다음의 차 잎의 고정화 및 이후 이러한 위치로부터 근처 영역에서의 추가의 추출 금지 대문에, 차 잎 추출이 강화된다. 차 잎 교반에 충분한 물 제트분사를 제공하기 위해서, 교반 유량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0 ㎖/분을 초과한다. 물 유량이 80 ㎖/분 또는 널 (null) 이하로 유지되는 나머지 주기 동안 수개의 물 교반 제트 분사가 분리된다. 단계 b) 에서, 물은 캡슐에 도입되어 차 잎을 교반하는 주기의 수, 이러한 주기 (들) 의 시간 길이 및 단계 b) 의 총 시간 길이가 적어도,
- 우려내기된 차 잎의 특성, 특히 차 잎의 크기, 차 잎의 건조, 차 잎의 향기, 및
- 최종 음료의 원하는 농도 (strength) 의 함수로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 b) 에서, 물은 차 잎을 (2 개의 교반 주기 (b') 에 해당) 1 또는 2 회 교반하도록 캡슐에 도입된다. 일반적으로, 물은 캡슐에 도입되어 차 잎을 교반하는 각각의 주기의 시간 길이는 5 초 미만이다. 차 잎이 교반되는 2 개의 시간 주기 사이의 시간 길이는 5 ~ 15 초 동안 지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단계 c) 중, 음료의 원하는 용량을 제공하기에 필요한 물의 나머지는 캡슐에 도입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c) 중, 가장 짧은 음료 전달 시간과 일치하기 위해서 적어도 150 ㎖/분의 유량으로 도입된다.
방법의 상이한 단계에 따른 상이한 물 유량이, 단계 a) 내지 단계 c) 를 구현하기 위한 총 시간이 40 초 ~ 2 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은 30 ~ 95 ℃ 의 온도로 캡슐에 도입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차 잎을 포함하는 인클로저,
상기 인클로저의 적어도 하나의 여과측을 한정하는 여과 벽, 및
여과 벽 다음에 여과된 액체의 경로에 위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 틈을 갖는 오버플로우 벽을 포함하는 캡슐에 의해 구현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천공 수단,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 틈을 만들거나 각각 나타낼 수 있는 별개의 천공 표시 수단과 관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여과 벽은,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 틈, 또는 천공 수단 또는 별개의 천공 표시 수단이 중간 수평 평면 위에 배치되도록 캡슐이 배향될 때, 인클로저를 통과하는 중간 수평 평면 아래에서부터 연장한다. 이러한 캡슐은 WO 2007/042414 에 더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시스템으로서,
식별 부재를 갖춘 캡슐을 포함하는 음료 내용물, 및
상기 캡슐을 수용하는 음료 제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제조 장치는, 캡슐 식별 부재의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서 식별 부재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 및 상기 판독 수단에 연결되어 판독된 정보에 대응하여 음료 제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설계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별 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차 잎을 우려내는 장치에 명령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식별 부재는 바코드, 칼라 코드 (비쥬얼 센서에 의해 식별됨), RFID 태그 (RF 센서에 의해 식별됨), 인덴트 (indent), 컷아웃, 돌기, 구멍 (기계 센서에 의해 식별됨), 마그네틱 코드, 전자 코드, 인덕션 코드, 컨덕션 코드 등과 같은 임의의 특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별 부재는 외부로부터 물리적으로 접촉되도록 설계되고, 변형가능하고, 변위가능하며, 제거가능하고 및/또는 천공가능한 커버에 의해 덮인다. 이러한 종류의 식별 부재를 나타내는 캡슐은 EP 1 950 150 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기계로 판독가능한 정보는, 수온, 단계 a), b), 및/또는 c) 의 물 유량 값, 단계 b) 에서의 교반주기의 수, 단계 a), b) 및/또는 c) 의 시간 길이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다. 상기 캡슐이 사용되는 음료 기계는, 단계 a), b), 및 c) 의 물 유량 값, 단계 b) 에서의 교반주기의 수, 판독 정보에 대응하는 상이한 단계의 시간 길이를 제어하기 위해서 설계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식별 부재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은 우려내기 파라미터, 특히, 단계 a), b), 및 c) 의 물 유량 값, 단계 b) 에서의 교반주기의 수, 상이한 단계의 시간 주기, 상이한 특징 및/또는 기원을 갖는 차 잎 내용물을 포함하는 캡슐에 따른 상이한 차 음료의 우려내기를 위한 유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캡슐" 은, 또한 "카트리지" 또는 "패키지" 를 의미한다. 용어 "캡슐" 이 주로 사용될 것이다. 용어 "우려내기" 또는 "우려냄" 은 동의어로서 사용된다. 용어 "우려낸 유체" 는 음료 내용물을 우려내기 위해 작용하는 액체, 더 일반적으로는, 온수를 말한다.
본 출원에서, 용어 "차" 는 그린 티, 블랙 티, 화이트 티, 차이 티, 향차 (flavoured tea), 및 허브 또는 과일 차와 같은 모든 종류의 잎 차를 포함한다. 용어 "잎 차/차 잎" 또는 "잎 내용물" 은 완전 잎, 절단 또는 잘라진 잎, 잎의 작은 조작, 분말 또는 더스트와 같은 어떠한 형태의 우려내기 가능한 차 또는 다른 내용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하기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우려내기 프로세스의 각 단계에 따른 캡슐에 도입되는 온수 흐름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우려내기 프로세스의 각 단계에 따른 캡슐에 도입되는 온수 흐름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 은 우려내기 전 캡슐 우려내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 는 캡슐의 우려내기 중 도 3 의 캡슐 우려내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프로세스의 각 단계에 대한 캡슐에 도입되는 온수 흐름과 이들 상이한 흐름의 도입의 시간 길이의 값들을 나타낸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a) 에서, 캡슐에는 150 ㎖/분의 물 유량을 갖는 온수가 채워진다. 캡슐에 도입되는 물의 용량은 캡슐 찻잎 인클로저 용량에 해당한다.
단계 b) 에서는,
먼저, 캡슐에는 온수가 다시 채워지지만, 찻잎을 교반하지 못하여 찻잎이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50 ㎖/분의 가장 낮은 유량으로 채워지고,
이후, 캡슐에는 찻잎을 교반하고 찻잎을 재분배하기 위해서 3 초의 짧은 시간 동안 150 ㎖/분의 큰 유량 (단계 b') 으로 온수가 채워지며,
이후, 마지막으로 캡슐에는 온수가 다시 채워지지만, 찻잎을 교반하지 못하여 재분배된 찻잎이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50 ㎖/분의 가장 낮은 유량으로 채워진다.
단계 b) 동안, 주입된 물의 용량이 캡슐 찻잎 인클로저 용량에 일치할 때, 물은 캡슐 출구를 통해 최종 컵 또는 용기 내로 부드럽게 떨어진다.
단계 c) 에서, 최종적으로 원하는 차 음료의 용량이 캡슐 출구를 통해 흘러 컵에 채워질 때까지, 캡슐에는 먼저, 150 ㎖/분의 유량으로 그리고 다음으로 225 ㎖/분의 유량으로 온수가 채워진다.
마시기 위해 준비되는 차 음료의 제조 및 분배 프로세스는 51 초 동안 지속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우려내기 프로세스의 각 단계에 따른 캡슐에 도입되는 온수 흐름과 이들 상이한 흐름의 도입의 시간 길이의 값들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단계 a) 에서, 캡슐에는 150 ㎖/분의 물 유량을 갖는 온수가 채워진다. 캡슐에 도입되는 물의 용량은 캡슐 용량에 해당한다.
단계 b) 에서,
찻잎이 정지되어 있고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캡슐에 온수가 도입되지 않는다. 아직, 펌프에서의 물의 굄 (stagnation) 과 스케일 (scale) 의 형성을 회피하기 위해서 짧은 주기동안 펌프는 정지되지 않으며; 온수 흐름이 캡슐 출구로부터 바로 유도되어 폐수로 버려진다.
이후, 캡슐에는 찻잎을 교반하고 찻잎을 재분배하기 위해서 3 초 동안 150 ㎖/분의 유량 (단계 b') 으로 온수가 채워지며,
이후, 온수 흐름이 폐수로 유도되어 캡슐에 어떠한 흐름도 진입하지 않아 재분배된 잎이 정지되어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단계 c) 에서, 최종적으로 원하는 차 음료의 용량이 캡슐을 통해 흘러 컵에 채워질 때까지, 캡슐에는 먼저, 150 ㎖/분의 유량으로 그리고 다음으로 225 ㎖/분의 유량으로 온수가 채워진다.
마시기 위해 준비되는 차 음료의 제조 및 분배 프로세스는 51 초 동안 지속된다.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프로세스의 구현을 위해 특별히 적용된 구조의 캡슐 시스템을 도시한다.
캡슐 (2) 과 음료 우려내기 장치 (10) 를 포함하는 캡슐 시스템 (1) 이 제공된다. 단순화를 위해서, 음료 우려내기 장치는 단지 개략적으로 나타나는데, 사실상,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 내에 있는 추가의 기술적 특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캡슐은 잎차 (leaf tea) 등과 같은 음료 내용물을 갖는 인클로저 (20) 를 포함한다. 인클로저는 컵형상 하우징 (21) 및, 이 하우징 (21) 의 둘레 내부 단차 (23) 에 고정 부착되는 여과 벽 (22) 에 의해 구별된다. 인클로저는 기체 및 빛이 투과하지 못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은 사실상, 여과벽 (22) 의 일반적인 프로파일을 결정하는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과 같은 상이한 횡단면을 둘러싼다. 인클로저는, 통상 약 1 ~ 10 g, 바람직하게는 2 ~ 5 g 의 잎 음료 내용물의 분량 (dose) 을 수용하는 크기를 갖는다. 잎 음료 내용물의 분량은 생성될 음료의 최종 용량에 의존할 수도 있다. 별개의 한잔의 차를 위해서, 약 2 g 이 통상의 분량일 수 있지만, 차 포트 (pot) 를 위해서는 약 8 ~ 10 g 이 통상의 분량일 수 있다. 도 3 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은 우려내기 장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치되므로, 여과 벽 (22) 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그리고 인클로저의 실질적으로 저부로부터 연장한다. 이를 위해, 캡슐은 우려내기 장치 (1) 에서 "수직" 배열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컵 형상 하우징 (21) 은 큰 개구로 배향되고 그 저부는 수직 위치로 배향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캡슐이 적어도 인클로저의 중간 수평면 (p) 위에 배치되는 오버플로우 개구 (25) 를 갖는 오버플로우 벽 (3) 을 포함하는 것이다. 여과 벽 (22) 과 오버플로우 벽 (3) 은 이론에 묶이지 않고 가정된 사이 공간 "s" 을 형성하기에 충분히 짧은 거리로 이격되어 있어, 주로 인클로저의 저부에 국한된 짙은 (denser) 음료부의 상향 이동을 촉진할 수 있는 "사이펀 (siphon)" 의 일종으로서 작동한다.
밀봉 벽과 하우징 양자는 산소 차단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인클로저는 음료 내용물의 신선도가 연장된 시간 주기 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산소가 없을 수 있다. 밀봉 벽은 가요성 멤브레인 또는 반강성 플라스틱 부품일 수 있다. 천공 가능한 밀봉 멤브레인이 이러한 단일층 또는 다층 멤브레인으로 바람직한데, 통상, PET/알루미늄/PP, PE/EVOH/PP, PET/금속화된/PP, 알루미늄/PP 의 적층체가 바람직하다. 인클로저는 산소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N2, N2O 또는 CO2 와 같은 불활성 가스를 가득 포함할 수도 있다.
캡슐은, 하우징 (21) 의 림 (24) 에 부착되며 밀봉 벽 (3) 에 중첩되는 커버 (4)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커버는 내부 채널 (40) 을 형성한다. 식별 부재 (51) 가 이 커버 상에 (또는 커버 아래에 조차) 존재할 수 있다. 이 식별 부재는 캡슐 내측에 존재하는 찻잎의 보다 양호한 우려내기를 위해 구현되는 우려내기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캡슐의 하우징의 형상은 매우 중대한 것은 아니다. 상이한 이유들로 인해 절두 원추형, 타원형 또는 반구형 형상이 참고로 부여된다. 이는, 관통시 밀봉 벽을 통한 음료의 배출을 위해 더 큰 표면과 내부 압력의 감소를 가능케 한다. 하우징은 또한 플라스틱 열성형 또는 알루미늄 딥 드로잉에 의해 산업적으로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더 매끄러운 코너를 갖는 형상은 핸들링 부재의 제거 및 이에 따른 캡슐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다시 우려내기 장치 (10) 에 대해 언급하면, 우려내기 장치는 규정된 바와 같이 "수직" 배열로 캡슐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캡슐 핸들링 부재 (30, 31) 를 포함한다. 이러한 핸들링 부재 (30, 31) 는 캡슐에 대해 개방 및 폐쇄될 수 있으며 캡슐을 적소에 고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머신 죠 (jaw) 또는 임의의 적절한 기계적 인클로징 수단일 수 있다. 캡슐에 포함된 유체압이 비교적 낮고,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대기압으로 폐쇄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폐쇄력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또한, 캡슐이 낮은 우려내기 압력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따라서 캡슐을 완전히 둘러쌀 필요없이 우려내기중 물을 제 위치에 밀착 유지한다. 이는 기계의 단순화를 예상케하며 기계 비용을 감소시킨다.
우려내기 장치는 물탱크와 같은 물 공급장치 (32), 물 펌프 (33), 히터 (34) 및 핸들링 부재 (30) 를 통해 관리되는 온수 주입 라인 (35) 을 포함한다. 우려내기 장치는 당업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음료 제조 사이클을 관리하기 위해서 제어기 (39) 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보드 (도시 생략) 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배압 (backpressure) 밸브 (36) 는, 캡슐에서 물 입구를 만드는 니들(들) 또는 블레이드(들)와 같은 주입 부재 (38) 의 입구측에서 압력을 낮게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배압 밸브는 생략될 수 있고, 저압으로 유체를 전달하는 저압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고압 펌프로의 펌프의 견고함 및 신뢰성 때문에 고압 펌프에 대한 매체가 바람직하며, 배압 밸브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우려내기 장치는 커버 (4) 를 관통하여 음료 출구를 만드는 수단 (37)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수단 (37) 은 캡슐에 대한 핸들링 부재 (30, 31) 의 폐쇄 후에 작동될 수 있다. 관통 수단은 커버 (4) 를 통해 힘을 가하거나 안내된다. 관통 장치는 솔레노이드 또는 다른 임의의 등가의 구동 수단 또는 수작업으로 구동될 수 있다.
우려내기 장치는 캡슐의 식별 부재 (51) 의 정보를 제어기 (39) 를 통해 우려내기 명령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검출 유닛 (50)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정보는, 특히 캡슐 내측에 존재하는 차 잎에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프로세스의 단계 a), b) 및 c) 가 차 잎의 각각의 유형에 맞게 적용된 특정의 특징, 예컨대 단계 a), b) 및 c) 의 유량 값, 단계 b) 에서의 교반주기의 수, 상이한 단계의 시간 길이에 의해 구현되도록 정보가 제어 유닛 (39) 에 명령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정보는 비광학 방식으로 캡슐 (1) 로부터 광학 판독, 예컨대, 캡슐의 회부 형태의 심미적 느낌에 악영향을 미치며, 음료 제조 프로세스의 환경에서 바코드의 가독성 (legibility) 에 기인하여 실패하는 경향이 있는 바코드로서 판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보는 디지털 방식으로 코드화된다. 정보는 캡슐 (1) 의 면의 표면 변조의 변화에 의해 코드화될 수 있는데, 예컨대 구멍 또는 오목부는 하나의 논리 상태 (예컨대, "0") 를 나타낼 수 있고, 다른 표면 상태 ("오복무 없음" 또는 "구멍 없음") 는 다른 논리 상태 (예컨대, "1") 를 나타낼 수 있다. 바코드를 비광학식 (또는 광학식) 으로 검출할 수 있는 표면 변조로 대체하면 캡슐로부터 판독되는 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4 에 대해서, 본 발명의 방법은 하기와 같이 작동한다. 캡슐은 우려내기 장치에 삽입되고, 캡슐 핸들링 부재 (30 ,31) 는 캡슐에 대해 폐쇄되어 캡슐을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된 밀봉 벽에 위치시킨다. 출구 개구는 커버 (4) 를 관통하여 개구를 개방된 상태로 두는 관통 수단 (37) 에 의해 형성된다. 캡슐의 반대측에는, 유체 주입 부재 (38) 가 캡슐의 인클로저에 도입된다. 이에 따라, 온수가 비교적 낮은 압력, 바람직하게는 0.2 바를 초과하지 않는 압력으로 캡슐에 주입된다. 온수는 캡슐을 천천히 채워 인클로저에 있는 음료 내용물을 침지시킨다. 우려내기된 음료는 여과 벽 (22) 을 통해 여과된다. 음료의 진한 부분 (5) 이 인클로저의 바닥부에 정착되려 할 수도 있는데, 음료의 진한 부분이 여과 벽에 적절하게 근접배치되기 때문에 여과 벽을 통해 또한 여과된다. 진한 음료수는 공간의 하부와 공간의 상부 사이에서 압력의 변화에 의해 유발되여 이에 따라 "사이펀" 과 유사하게 작용하는 사이 공간 "s" 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음료의 나머지가 상이한 수직 레벨에서 여과 벽을 통해 인클로저에 있는 유체의 상부 레벨까지 통과함으로써 여과된다.
오버플로우 틈이, 바람직하게는 인클로저의 총 높이의 3/4 을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인클로저의 총 높이의 4/5 를 초과하여 배치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음료 내용물의 더 완벽한 침지와 보다 양호한 우려냄 프로세스를 부여하는 인클로저로부터의 음료의 느린 추출을 보장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인클로저의 "총 높이" 는, 캡슐이 우려내기 작업을 위해 준비된 음료 장치에서 위치될 때 인클로저의 최상부 지점과 인클로저의 최하부 지점을 분리시킨 총 거리를 위미한다. 가능한 양태에서, 여과 벽은 인클로저의 총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도 3 및 도 4 에 따른 우려내기 방법의 원리는 다양한 변수와 등가물을 포함한다.
예컨대, 오버플로우 벽 (3) 이 관통되지 않고, 프리컷 (pre-cut) 오버플로우 틈에 의해 프리 오픈될 수도 있다. 프리컷 오버플로우 틈은 캡슐의 제조 단계에서 미리 만들어진 틈을 의미한다. 음료 내용물의 신선도는, 우려내기 직전에 밀봉이 해제된 밀봉된 출구를 갖는 기밀식 커버와 같은 다른 수단, 또는 캡슐을 에워싸는 기밀식 오버랩 패키지의 사용에 의해 보존될 수도 있다.
캡슐은 커버 (4) 및 커버의 채널링 기능 없이 고려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우려내어진 액체가 오버플로우 벽 (3) 을 통과하여 용기로 하방 이동함에 따라 우려내어진 액체를 수집하도록, 전방 핸들링 부재 (31) 가 설계될 수도 있다.

Claims (11)

  1. a) 캡슐 인클로저에서 차 잎을 침지시키기 위해서 캡슐에 펌핑 및 가열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온수를 도입하는 단계,
    b) 차 잎이 침투되는 단계,
    c) 필요한 용량의 음료가 전달될 때까지 캡슐에 온수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물은 상기 3 개의 단계동안 펌핑 수단 및 가열 수단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전달되며,
    - 단계 a) 의 개시로부터 상기 단계 c) 가 종료할 때까지 캡슐에 연속으로 도입되거나, 또는
    - 상기 단계 b) 동안 폐기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잎을 포함하는 인클로저를 갖춘 캡슐에 의해 음료 기계에서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동안, 온수가 적어도 20 ㎖/분의 침투 유량으로 상기 펌핑 수단 및 가열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잎을 포함하는 인클로저를 갖춘 캡슐에 의해 음료 기계에서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동안, 온수가 20 ~ 80 ㎖/분의 침투 유량으로 상기 펌핑 수단 및 가열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잎을 포함하는 인클로저를 갖춘 캡슐에 의해 음료 기계에서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동안 도입된 물의 양은 캡슐의 내부 용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잎을 포함하는 인클로저를 갖춘 캡슐에 의해 음료 기계에서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은 30 ~ 95 ℃ 의 온도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잎을 포함하는 인클로저를 갖춘 캡슐에 의해 음료 기계에서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차 잎을 포함하는 인클로저 (20),
    상기 인클로저의 적어도 하나의 여과측을 한정하는 여과 벽 (22), 및
    여과 벽 다음에 여과된 액체의 경로에 위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 틈 (25) 을 갖는 오버플로우 벽 (3) 을 포함하는 캡슐 (2) 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잎을 포함하는 인클로저를 갖춘 캡슐에 의해 음료 기계에서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벽은, 상기 오버플로우 틈 (25) 이 중간 수평 평면 (P) 위에 배치되도록 캡슐이 배향될 때, 상기 인클로저 (20) 를 통과하는 상기 중간 수평 평면 (P) 아래에서부터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잎을 포함하는 인클로저를 갖춘 캡슐에 의해 음료 기계에서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8. 음료 제조 시스템으로서,
    식별 부재 (6) 를 갖춘 캡슐 (1) 을 포함하는 음료 내용물, 및
    상기 캡슐을 수용하는 음료 제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제조 장치는, 캡슐 식별 부재 (6) 의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서 식별 부재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 (x) 및 상기 판독 수단에 연결되어 판독된 정보에 대응하여 음료 제조 장치 (11) 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설계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별 부재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차 잎을 우려내는 장치에 명령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기계로 판독가능한 정보는, 수온, 단계 a), b), 및/또는 c) 의 물 유량 값, 단계 b) 에서의 교반주기의 수, 단계 a), b) 및/또는 c) 의 시간 길이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1) 은,
    차 잎을 포함하는 인클로저 (20),
    상기 인클로저의 적어도 하나의 여과측을 한정하는 여과 벽 (22), 및
    여과 벽 다음에 여과된 액체의 경로에 위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 틈 (25) 을 갖는 오버플로우 벽 (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벽은, 상기 오버플로우 틈 (25) 이 중간 수평 평면 (P) 위에 배치되도록 캡슐이 배향될 때, 상기 인클로저 (20) 를 통과하는 상기 중간 수평 평면 (P) 아래에서부터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KR1020117017744A 2008-12-30 2009-12-22 캡슐에 포함된 차 잎을 우려내는 방법 KR101676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73075.6 2008-12-30
EP08173075 2008-12-30
PCT/EP2009/067729 WO2010076264A1 (en) 2008-12-30 2009-12-22 Process of brewing tea leaves contained in a caps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309A true KR20110100309A (ko) 2011-09-09
KR101676056B1 KR101676056B1 (ko) 2016-11-14

Family

ID=405326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743A KR101726887B1 (ko) 2008-12-30 2009-12-22 캡슐에 포함된 차 잎을 우려내는 방법
KR1020117017744A KR101676056B1 (ko) 2008-12-30 2009-12-22 캡슐에 포함된 차 잎을 우려내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743A KR101726887B1 (ko) 2008-12-30 2009-12-22 캡슐에 포함된 차 잎을 우려내는 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9743802B2 (ko)
EP (2) EP2384134B2 (ko)
JP (3) JP5681115B2 (ko)
KR (2) KR101726887B1 (ko)
CN (2) CN102264265B (ko)
AU (2) AU2009334801B2 (ko)
BR (2) BRPI0923745A2 (ko)
CA (2) CA2748384C (ko)
DK (2) DK2384133T3 (ko)
ES (2) ES2417829T3 (ko)
HK (2) HK1164075A1 (ko)
PL (2) PL2384134T3 (ko)
PT (2) PT2384133E (ko)
RU (2) RU2552985C2 (ko)
SG (2) SG172193A1 (ko)
TW (2) TW201032765A (ko)
WO (2) WO2010076263A1 (ko)
ZA (2) ZA20110561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573B1 (ko) * 2011-12-29 2013-10-30 키친아트플러스(주) 액상커피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2895B2 (ja) * 2009-08-28 2015-05-27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遠心法による飲料調製用カプセルシステム
WO2011141535A1 (en) 2010-05-12 2011-11-17 Nestec S.A. Support, capsule,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by centrifugation
PL3521207T3 (pl) 2010-07-22 2020-06-15 K-Fee System Gmbh Kapsułka porcyjna z kodem kreskowym
US9499333B2 (en) * 2010-11-11 2016-11-22 Nestec S.A. Capsule, beverage production machine and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a nutritional product
US10034570B2 (en) 2011-11-09 2018-07-31 LaVit Technology LLC Capsule 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US10080459B2 (en) 2011-11-09 2018-09-25 La Vit Technology Llc Capsule-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DE102012105282A1 (de) 2012-06-18 2013-12-19 K-Fee System Gmbh Portionskaps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mit einer Portionskapsel
AU2013283163B2 (en) 2012-06-29 2016-05-05 K-Fee System Gmbh Portion capsule having an identification on the inner periphery thereof
WO2014006048A2 (en) * 2012-07-06 2014-01-09 Unilever Plc Package recognition system
IN2015DN01695A (ko) * 2012-09-07 2015-07-03 Nestec Sa
JP6321672B2 (ja) 2012-12-13 2018-05-09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遠心淹出システムにおいてカプセルにより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パラメータレシピ
DE102012223291A1 (de) 2012-12-14 2014-06-18 K-Fee System Gmbh Portionskaps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mit einer Portionskapsel
CH707374B1 (de) * 2012-12-19 2016-08-31 Delica Ag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für eine Kapsel und Getränkezubereitungssystem.
ES2550092T3 (es) 2013-03-21 2015-11-04 Unilever N.V. Procedimiento, dispositivo y cápsula para la infusión de una bebida
USD732386S1 (en) 2013-03-21 2015-06-23 Conopco, Inc. Capsule
USD732387S1 (en) 2013-03-21 2015-06-23 Conopco, Inc. Capsule
US9320382B2 (en) 2013-07-15 2016-04-26 La Vit Technology Llc Capsule 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EP2837290A1 (de) * 2013-08-15 2015-02-18 Radeberger Gruppe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Teegetränks
US9364117B2 (en) 2013-08-30 2016-06-14 Seattle Espresso Machine Corporation Method for regulating flow rate in an espresso machine
US9433318B2 (en) 2013-08-30 2016-09-06 Seattle Espresso Machine Corpor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flow rate in an espresso machine
ITTV20130172A1 (it) 2013-10-18 2015-04-19 San Remo S R L Metodo per produrre ed erogare bevande a base di caffe'.
ITTV20130173A1 (it) * 2013-10-18 2015-04-19 San Remo S R L Macchina per produrre ed erogare bevande a base di caffe'
US10244884B2 (en) 2014-01-10 2019-04-02 Sestec S.A.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beverage
US20150257586A1 (en) * 2014-03-11 2015-09-17 Starbucks Corporation Dba Starbucks Coffee Company Single-serve beverage production machine
WO2016014564A1 (en) * 2014-07-21 2016-01-28 Abbott Laboratories In-pod pre-treatment phase to improve preparation of nutritional liquids
RU2017133486A (ru) 2015-02-27 2019-03-27 К-Фее Зюстем Гмбх Порционная капсула с прикрепленным посредством термосварки фильтрующим элементом
US9346611B1 (en) 2015-03-20 2016-05-24 Meltz, LLC Apparatus and processes for creating a consumable liquid food or beverage product from frozen contents
US9487348B2 (en) 2015-03-20 2016-11-08 Meltz, LLC Systems for and methods of providing support for displaceable frozen contents in beverage and food receptacles
US10314320B2 (en) 2015-03-20 2019-06-11 Meltz, LLC Systems for controlled liquid food or beverage product creation
US10111554B2 (en) 2015-03-20 2018-10-30 Meltz, LLC Systems for and methods of controlled liquid food or beverage product creation
AU2016257636B2 (en) * 2015-05-07 2020-07-30 Smart Wave Technologies, Inc. Signal and detection system for pairing products
AU2016274658B2 (en) 2015-06-10 2020-11-05 K-Fee System Gmbh Portion capsule with a three-ply nonwoven fabric
CN107848699A (zh) 2015-07-13 2018-03-27 K-Fee系统股份有限公司 具有切口的过滤元件
RU2018113775A (ru) 2015-09-18 2019-10-18 К-Фее Зюстем Гмбх Адаптер для порционной капсулы
EP3442381B1 (en) * 2016-04-14 2021-10-06 Cometeer, Inc. Systems for controlled liquid food or beverage product creation
US9907426B2 (en) 2016-05-20 2018-03-06 Seattle Espresso Machine Corporation Method for generation of superheated steam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US10390654B2 (en) 2016-05-20 2019-08-27 Seattle Espresso Machine Corporation Generation of superheated steam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US11524268B2 (en) 2016-11-09 2022-12-13 Pepsico, Inc. Carbonated beverage makers, methods, and systems
KR20200126887A (ko) 2017-04-27 2020-11-09 코메티어 인크. 원심 추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장치
JP7185642B2 (ja) * 2017-05-03 2022-12-07 ソシエテ・デ・プロデュイ・ネスレ・エス・アー 茶の調製方法
US11266264B2 (en) * 2018-06-21 2022-03-08 Sharkninja Operating Llc Automatic coffee maker process for preparing a cold brewed beverage
CN109124355B (zh) * 2018-08-27 2021-07-30 杭州易杯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制备胶囊茶饮料的方法及饮品机
US10624488B2 (en) * 2018-09-05 2020-04-21 Lify Compan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CN109875397A (zh) * 2019-02-26 2019-06-14 厦门维拓科力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茶饮机及其温度控制方法
US11724849B2 (en) 2019-06-07 2023-08-15 Cometeer, Inc. Packaging and method for single serve beverage product
US10813368B1 (en) * 2019-10-31 2020-10-27 Gregory Glancy Systems and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tablets of botanical extracts including tea
CN111671302A (zh) * 2020-05-21 2020-09-18 四川虹美智能科技有限公司 冲泡茶饮无人售卖装置及方法
CN112136935B (zh) * 2020-10-09 2022-08-05 西安冰峰饮料股份有限公司 一种茯茶原茶汤萃取工艺、原味茯茶饮料及其生产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7429A (ja) * 2003-01-24 2006-07-27 クラフト・フーヅ・リサーチ・アンド・ディベロップメント・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機械
WO2007042414A1 (en) * 2005-10-14 2007-04-19 Nestec S.A.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WO2007131559A1 (en) * 2006-05-12 2007-11-22 Illycaffe's.P.A. Method for extracting espresso coffee particularly from a cartridge with crema generating septum, and beverage obtainable from the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02049B (sv) 1976-04-01 1978-06-19 Rosengren Lars Beredningsapparat for drycker
DK162369C (da) 1982-07-19 1992-03-23 Mars G B Ltd Fremgangsmaade og dispenser til fremstilling af en infusionsdrikkevare
NL1003068C2 (nl) 1996-05-08 1997-11-18 Sara Lee De Nv Koffiefiltreerinrichting met bypass.
ES2223002T3 (es) 2000-09-06 2005-02-16 Mars, Incorporated (A Corporation Of Delaware, Usa) Procedimientos y aparato de preparacion de bebidas.
AU2002211489A1 (en) * 2000-10-06 2002-04-15 Boyd Coffee Company Encoded coffee packet
US7607385B2 (en) * 2003-01-24 2009-10-27 Kraft Foods R & D, Inc.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097074B2 (en) * 2003-01-24 2006-08-29 Kraft Foods R&D, Inc.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GB2397500B (en) 2003-01-24 2005-03-23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NL1026834C2 (nl) * 2004-08-12 2006-02-14 Sara Lee De Nv Bereiden van thee met behulp van een theepad en een koffiezetapparaat.
US8695482B2 (en) 2004-11-17 2014-04-15 Bunn-O-Matic Corporation Brewer having a programmable temperature component
ATE384463T1 (de) 2005-10-14 2008-02-15 Nestec S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es aus einer kapsel
US20100166928A1 (en) * 2006-08-18 2010-07-01 Francis Stamm Method for preparing a hot or cold drink by infusion in water, and device implementing the method
EP1894850B1 (en) * 2006-08-30 2009-05-06 Nestec S.A.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US7470697B2 (en) * 2006-09-01 2008-12-30 Adenosine Therapeutics, Llc Pyrrolo[3,2-D] pyrimidines that are selective antagonists of A2B adenosine receptors
EP1950150B1 (en) 2007-01-24 2010-03-03 Nestec S.A. Identification of beverage ingredient containing capsules
GB2447024A (en) * 2007-02-27 2008-09-03 Kraft Foods R & D Inc A dispensing machine for hot or cold drinks
EP2266446A1 (de) 2007-03-29 2010-12-29 Tchibo GmbH Getränkemaschine und Verfahren zum Zubereiten eines Getränk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7429A (ja) * 2003-01-24 2006-07-27 クラフト・フーヅ・リサーチ・アンド・ディベロップメント・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機械
WO2007042414A1 (en) * 2005-10-14 2007-04-19 Nestec S.A.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KR20080070654A (ko) * 2005-10-14 2008-07-30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음료 제조용 캡슐
WO2007131559A1 (en) * 2006-05-12 2007-11-22 Illycaffe's.P.A. Method for extracting espresso coffee particularly from a cartridge with crema generating septum, and beverage obtainable from the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573B1 (ko) * 2011-12-29 2013-10-30 키친아트플러스(주) 액상커피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64265B (zh) 2014-09-10
ZA201105618B (en) 2014-01-29
RU2530848C2 (ru) 2014-10-20
JP2012513784A (ja) 2012-06-21
ES2416487T3 (es) 2013-08-01
KR101726887B1 (ko) 2017-04-13
PL2384134T3 (pl) 2013-08-30
BRPI0923902A2 (pt) 2015-07-28
TW201032764A (en) 2010-09-16
CA2748379C (en) 2018-07-24
KR101676056B1 (ko) 2016-11-14
CA2748384C (en) 2017-03-28
AU2009334802B2 (en) 2015-04-09
JP5506817B2 (ja) 2014-05-28
US20110300276A1 (en) 2011-12-08
HK1164074A1 (en) 2012-09-21
JP5681115B2 (ja) 2015-03-04
SG172193A1 (en) 2011-07-28
BRPI0923745A2 (pt) 2016-01-19
HK1164075A1 (en) 2012-09-21
PL2384133T3 (pl) 2013-08-30
JP2012513785A (ja) 2012-06-21
CN102264266B (zh) 2014-11-05
RU2011131997A (ru) 2013-02-10
US20110250333A1 (en) 2011-10-13
ES2416487T5 (es) 2021-03-04
CA2748379A1 (en) 2010-07-08
EP2384133A1 (en) 2011-11-09
CN102264266A (zh) 2011-11-30
DK2384133T3 (da) 2013-07-01
EP2384134A1 (en) 2011-11-09
EP2384133B1 (en) 2013-03-27
EP2384134B2 (en) 2021-03-03
JP2015057105A (ja) 2015-03-26
AU2009334801A1 (en) 2011-07-21
PT2384133E (pt) 2013-07-05
US9743802B2 (en) 2017-08-29
AU2009334802A1 (en) 2011-07-21
WO2010076264A9 (en) 2010-09-10
ZA201105619B (en) 2014-01-29
CA2748384A1 (en) 2010-07-08
WO2010076264A1 (en) 2010-07-08
JP5876130B2 (ja) 2016-03-02
SG172194A1 (en) 2011-07-28
RU2552985C2 (ru) 2015-06-10
AU2009334801B2 (en) 2015-04-09
ES2417829T3 (es) 2013-08-09
EP2384134B1 (en) 2013-04-03
KR20110100308A (ko) 2011-09-09
US8722124B2 (en) 2014-05-13
PT2384134E (pt) 2013-07-10
DK2384134T3 (da) 2013-07-08
EP2384133B2 (en) 2020-07-01
WO2010076263A1 (en) 2010-07-08
CN102264265A (zh) 2011-11-30
RU2011131981A (ru) 2013-02-10
TW201032765A (en) 201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887B1 (ko) 캡슐에 포함된 차 잎을 우려내는 방법
RU2429179C2 (ru) Капсул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DK2587973T3 (en) Programming connecting to drink capsules
CA2763394C (en) Opening means for a capsule-based beverage prepar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