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573B1 - 액상커피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액상커피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573B1
KR101323573B1 KR1020110146307A KR20110146307A KR101323573B1 KR 101323573 B1 KR101323573 B1 KR 101323573B1 KR 1020110146307 A KR1020110146307 A KR 1020110146307A KR 20110146307 A KR20110146307 A KR 20110146307A KR 101323573 B1 KR101323573 B1 KR 101323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ffee
liquid
stock solution
discharg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7546A (ko
Inventor
반채일
Original Assignee
키친아트플러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친아트플러스(주) filed Critical 키친아트플러스(주)
Priority to KR1020110146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573B1/ko
Publication of KR20130077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2Liquid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8Pum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커피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액상커피 원액과 액상커피 원액 희석수가 토출되어 컵에 혼합되는 액상커피 디스펜서에 있어서, 토출버튼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장치와; 액상커피 팩에 연결된 토출호스에 설치되며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액상커피 팩의 액상커피 원액을 흡입하여 컵에 토출하는 솔레노이드 펌프와; 액상커피 팩과 솔레노이드 펌프 사이의 토출호스 라인에 병렬분기되어 설치되는 세척호스와; 세척호스에 설치되며 제어장치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방에 의해 토출호스와 솔레노이드 펌프에 묻어있는 잔류 액상커피 원액을 씻어내리도록 솔레노이드 펌프에 의해 흡입되어 세척호스를 통하여 액상커피 원액과 액상커피 원액 희석수가 혼합된 컵에 토출되는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상커피 디스펜서{Liquid coffee dispenser}
본 발명은 액상커피를 여러 번 뽑더라도 액상커피 고유의 맛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액상커피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 커피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는 커피는 냉동건조된 분말 커피에 프림이나 설탕 등이 혼합된 커피인데, 이러한 커피는 원두커피에 비해 맛과 향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요즈음은 원두커피를 즐기는 사람이 많아졌고, 원두커피를 즐기는 사람은 가격은 좀 비싸지만 원두커피 전문점을 이용하거나 직접 가정에서 커피메이커를 이용하여 만들어 마시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일반 커피 자동판매기가 아닌 원두커피 원액이 액상으로 담겨있는 액상커피 팩을 이용한 액상커피 디스펜서가 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액상커피 디스펜서의 액상커피 토출방식을 도 3을 통해서 살펴보면, 동전을 투입한 후에 액상커피 토출버튼(1)을 누르거나 또는 동전을 투입하지 않고 액상커피 토출버튼(1)을 누르면 제어장치(2)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펌프(3)가 작동하면서 액상커피 팩(4)의 액상커피(원두커피) 원액이 토출되어 컵(5)에 담기는 동시에 액상커피 원액 희석수(6)가 컵(5)에 담겨서 한 잔의 액상커피가 만들어진다.
그런데 액상커피를 토출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펌프(3)와 토출호스(7)에 액상커피 원액이 묻어 있고,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펌프(3)의 하부 토출호스는 액상커피 원액을 컵에 토출하기 위해서 항상 개방되어 있어서 공기가 유입되어 있기 때문에 액상커피 원액을 토출하게 되면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펌프(3)와 토출호스(7)에 묻어있는 설탕이 함유된 액상커피 원액이 공기와 접촉하는 경우에 액상커피 원액의 변질로 인해 맛의 변화 및 세균에 오염될 수 있고,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펌프(3)에 묻어있는 액상커피 원액에 포함된 수분의 증발로 인해 액상커피 원액의 점도가 높아져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펌프(3)에 눌러 붙게 됨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펌프(3)의 토출기능에 영향을 주어 정량 토출이 불가하거나 토출 기능 상실 등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아주 높다.
이를 방지하고자 액상커피 팩(4)을 교체할 때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펌프(3)와 토출호스(7) 등의 액상커피 원액 유통 부품의 세척을 실시할 수 있지만 별도의 세척과정이 필요하여 관리자의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95715호(2010년 09월 01일)(출원번호 제2009-0014667호)(명칭: 액상음료 디스펜서 겸용 냉온(정)수기)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909714호(2009년 07월 29일)(출원번호 제2008-0001662호)(명칭: 커피와 차를 분리배출하는 디스펜서 일체형 냉온수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액상커피의 공기접촉을 차단하는 한편 액상커피 팩의 교체시마다 액상커피 원액 유통 부품의 세척을 하지 않으면서 액상커피의 맛이 변질되지 않고 고유의 맛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액상커피의 토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액상커피 디스펜서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커피 원액과 액상커피 원액 희석수가 토출되어 컵에 혼합되는 액상커피 디스펜서에 있어서, 토출버튼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장치와; 액상커피 팩에 연결된 토출호스에 설치되며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액상커피 팩의 액상커피 원액을 흡입하여 컵에 토출하는 솔레노이드 펌프와; 액상커피 팩과 솔레노이드 펌프 사이의 토출호스 라인에 병렬분기되어 설치되는 세척호스와; 세척호스에 설치되며 제어장치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방에 의해 토출호스와 솔레노이드 펌프에 묻어있는 잔류 액상커피 원액을 씻어내리도록 솔레노이드 펌프에 의해 흡입되어 세척호스를 통하여 액상커피 원액과 액상커피 원액 희석수가 혼합된 컵에 토출되는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를 포함하는 액상커피 디스펜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액상커피 디스펜서에 있어서, 액상커피 팩과 세척호스 사이의 토출호스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 펌프에 의한 액상커피 원액 흡입시에 개방되고,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방시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의 액상커피 팩으로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상커피 디스펜서에 있어서, 체크밸브의 개방은 솔레노이드 펌프의 흡입력에 의한 압축코일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입구를 막고 있던 패킹이 입구를 열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액상커피 원액과 액상커피 원액 희석수가 컵에 토출되어 혼합된 후에 솔레노이드 펌프가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시켜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가 솔레노이드 펌프와 토출호스에 묻어있는 액상커피 원액을 세척하고, 솔레노이드 펌프가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를 토출한 후에 작동을 중지함에 따라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는 솔레노이드 펌프 위쪽의 토출호스에 잔류하고 있어서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는 토출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액상커피 원액과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액상커피의 맛이 변질 및 변패되지 않고 고유의 맛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솔레노이드 펌프에 묻어있는 액상커피 원액을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가 세척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펌프에 액상커피 원액이 눌러 붙어 있지 않게 됨에 따라 솔레노이드 펌프의 정상적인 토출기능에 의해 정량의 액상커피 원액을 토출하게 되며, 또한, 액상커피 팩의 교체시마다 매번 액상커피 원액 유통 부품의 세척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 관리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체크밸브의 기술구성 및 동작상태도.
도 3은 종래기술의 기술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액상커피 디스펜서는 액상커피 원액과 이 액상커피 원액을 음용이 가능하게 적당히 희석하는 액상커피 원액 희석수를 컵에 토출하여 혼합함으로써 한 잔의 음용 가능한 액상커피를 만드는데, 이에 더하여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액상음료 디스펜서는 제어장치(10)와; 솔레노이드 펌프(20)와; 세척호스(30)와; 솔레노이드 밸브(40)와;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50); 및 체크밸브(60)를 포함한다.
제어장치(10)는 토출버튼(1)에 의해 제어되고, 솔레노이드 펌프(20)는 액상커피 팩(4)에 연결된 토출호스(7)에 설치되며 제어장치(10)에 의해 제어되어 액상커피 팩(4)의 액상커피 원액을 흡입하여 컵(5)에 토출한다.
세척호스(30)는 액상커피 팩(4)과 솔레노이드 펌프(20) 사이의 토출호스(7) 라인에 병렬분기되어 설치되고, 솔레노이드 밸브(40)는 세척호스(30)에 설치되며 제어장치(10)에 의해 개폐된다.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50)는 솔레노이드 밸브(40)의 개방에 의해 토출호스(7)와 솔레노이드 펌프(20)에 묻어있는 잔류 액상커피 원액을 씻어내리도록 솔레노이드 펌프(20)에 의해 흡입되어 세척호스(30)를 통하여 액상커피 원액과 액상커피 원액 희석수(6)가 혼합된 컵(5)에 토출된다.
체크밸브(60)는 액상커피 팩(4)과 세척호스(30) 사이의 토출호스(7)에 설치되어 제어장치(10)에 의한 솔레노이드 펌프(20)의 작동에 따라 액상커피 원액의 흡입시에 개방되는데,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처럼 솔레노이드 펌프(20)의 흡입력에 의해 압축코일스프링(61)이 압축되면서 패킹(62)에 의해 막혀있던 입구(63)가 열려 액상커피 팩(4)의 액상커피 원액이 흡입된다. 또한 체크밸브(60)는 제어장치(10)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40)의 개방시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50)의 액상커피 팩(4)으로의 역류를 방지한다.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50)는 제어장치(10)에 의한 솔레노이드 펌프(20)의 작동에 의한 액상커피 원액의 정량 토출 완료 후에 곧바로 제어장치(10)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40)의 개방과 솔레노이드 펌프(20)의 작동에 의해 세척호스(30)를 통하여 토출된다.
이때, 솔레노이드 펌프(20)는 액상커피 원액의 정량 토출 완료 후에 작동을 멈추는 것은 아니고, 작동상태에서 액상커피 원액의 정량 토출 완료와 동시에 제어장치(10)가 솔레노이드 밸브(40)를 개방시켜 솔레노이드 펌프(20)가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50)를 흡입하여 컵(5)에 토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펌프(20)가 작동중이라 하더라도 솔레노이드 펌프(20)는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50)를 흡입해야 하므로 흡입력이 분산되어 액상커피 원액에 대한 흡입력을 발생하지 못하여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50)의 흡입시 액상커피 원액은 흡입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50)의 흡입시 체크밸브(60)가 열려 액상커피 원액이 흡입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기 위해서 체크밸브(60)의 압축코일스프링(61)의 강도를 통상의 압축코일스프링 강도의 3배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이상 기술한 본 발명의 액상커피 디스펜서의 작동에 대한 설명을 이하에서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액상커피의 종류를 선택하여 토출버튼(1)을 누르면 제어장치(10)에 의해 솔레노이드 펌프(20)가 작동하게 되고, 이어서 솔레노이드 펌프(20)의 흡입력이 체크밸브(60)의 압축코일스프링(61)에 가해져 압축코일스프링(61)이 도 2처럼 압축되면서 패킹(62)이 막고 있던 입구(63)를 열면 액상커피 팩(4)의 액상커피 원액이 토출호스(7)를 통하여 정량 토출되어 솔레노이드 펌프(20)를 통과하여 컵(5)에 토출된다. 이렇게 컵(5)에 액상커피 원액이 정량 토출됨과 동시에 액상커피 원액을 희석하는 액상커피 원액 희석수(6)가 컵(5)에 토출된다.
이렇게 액상커피 원액과 액상커피 원액 희석수(6)가 제어장치(10)의 제어에 의한 솔레노이드 펌프(20)의 작동에 따라 컵(5)에 동시에 1차로 토출되는데, 토출 완료와 동시에 제어장치(10)는 액상커피 원액 토출시 닫혀있던 세척호스(30)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40)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솔레노이드 펌프(20)는 작동중에 있다.
이에 따라 작동중이던 솔레노이드 펌프(20)에 의해 2차로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50)가 흡입되어 세척호스(30)를 따라 흐르면서 T자 연결관(70)을 통해서 토출호스(7)를 지나서 액상커피 원액 토출시 토출호스(7) 내에 묻어있던 잔류 액상커피 원액을 세척하는 한편, 솔레노이드 펌프(20)를 통과하면서 솔레노이드 펌프(20) 내에 묻어있던 잔류 액상커피 원액을 세척하여 액상커피 원액과 액상커피 원액 희석수(6)가 1차로 토출되어 있는 컵(5)에 2차로 토출되어 음용 가능한 커피 한잔을 만들게 된다.
이처럼 솔레노이드 밸브(40)와 솔레노이드 펌프(20)는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50)를 컵(5)에 정량 토출한 다음에 제어장치(10)에 의해 작동을 중지하게 되는데, 작동을 중지함에 따라 솔레노이드 펌프 위쪽의 토출호스(7)에는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50)가 일부 잔류하고 있어서 액상커피 원액을 컵(5)에 토출하기 위해서 항상 개방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펌프 아래쪽의 토출호스(7)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액상커피 원액과의 접촉을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50)가 차단하게 된다.
이렇게 액상커피 원액의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함과 아울러서 토출호스(7)와 솔레노이드 펌프(20)를 깨끗하게 세척함에 따라 액상커피의 맛이 변질되지 않기 때문에 액상커피 고유의 맛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솔레노이드 펌프(20)를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50)가 액상커피 원액의 토출시 마다 매번 세척함에 따라 솔레노이드 펌프(20)의 토출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되어 정량의 액상커피 원액을 토출하게 된다.
2,10 : 제어장치 4 : 액상커피 팩
6 : 액상커피 원액 희석수 7 : 토출호스
20 : 솔레노이드 펌프 30 : 세척호스
40 : 솔레노이드 밸브 50 :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
60 : 체크밸브 61 : 압축코일스프링

Claims (3)

  1. 삭제
  2. 토출버튼(1)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장치(10)와; 액상커피 팩(4)에 연결된 토출호스(7)에 설치되며 제어장치(10)에 의해 제어되어 액상커피 팩(4)의 액상커피 원액을 흡입하여 컵(5)에 토출하는 솔레노이드 펌프(20)와; 액상커피 팩(4)과 솔레노이드 펌프(20) 사이의 토출호스(7) 라인에 병렬분기되어 설치되는 세척호스(30)와; 세척호스(30)에 설치되며 제어장치(10)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40); 및 솔레노이드 밸브(40)의 개방에 의해 토출호스(7)와 솔레노이드 펌프(20)에 묻어있는 잔류 액상커피 원액을 씻어내리도록 솔레노이드 펌프(20)에 의해 흡입되어 세척호스(30)를 통하여 액상커피 원액과 액상커피 원액 희석수(6)가 혼합된 컵(5)에 토출되는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50)가 포함된 액상음료 디스펜서에 있어서,
    액상커피 팩(4)과 세척호스(30) 사이의 토출호스(7)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 펌프(20)에 의한 액상커피 원액 흡입시에 개방되고, 솔레노이드 밸브(40)의 개방시 액상커피 원액 세척수(50)의 액상커피 팩(4)으로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음료 디스펜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체크밸브(60)의 개방은 솔레노이드 펌프(20)의 흡입력에 의한 압축코일스프링(61)의 압축에 의해 입구(63)를 막고 있던 패킹(62)이 입구(63)를 열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음료 디스펜서.
KR1020110146307A 2011-12-29 2011-12-29 액상커피 디스펜서 KR101323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307A KR101323573B1 (ko) 2011-12-29 2011-12-29 액상커피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307A KR101323573B1 (ko) 2011-12-29 2011-12-29 액상커피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546A KR20130077546A (ko) 2013-07-09
KR101323573B1 true KR101323573B1 (ko) 2013-10-30

Family

ID=4899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307A KR101323573B1 (ko) 2011-12-29 2011-12-29 액상커피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5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743B1 (ko) 2022-08-20 2023-06-01 전정연 커넥터 연결형 커피 디스펜서
KR102541201B1 (ko) 2022-11-03 2023-06-13 전정연 휴대가 용이한 박스형 커피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783B1 (ko) * 2018-07-05 2021-04-19 (주) 에스브이씨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
KR101968048B1 (ko) * 2018-08-21 2019-04-10 권민지 거품커피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475U (ja) * 1993-10-07 1995-05-12 株式会社クボタ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の洗浄装置
JP2005110782A (ja) 2003-10-03 2005-04-28 Viku T & Associates:Kk 飲料用抽出装置及び飲料用抽出方法
KR20110008323U (ko) * 2010-02-19 2011-08-25 차승호 액상 전환기가 구비된 자동 판매기
KR20110100309A (ko) * 2008-12-30 2011-09-09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캡슐에 포함된 차 잎을 우려내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475U (ja) * 1993-10-07 1995-05-12 株式会社クボタ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の洗浄装置
JP2005110782A (ja) 2003-10-03 2005-04-28 Viku T & Associates:Kk 飲料用抽出装置及び飲料用抽出方法
KR20110100309A (ko) * 2008-12-30 2011-09-09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캡슐에 포함된 차 잎을 우려내는 방법
KR20110008323U (ko) * 2010-02-19 2011-08-25 차승호 액상 전환기가 구비된 자동 판매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743B1 (ko) 2022-08-20 2023-06-01 전정연 커넥터 연결형 커피 디스펜서
KR102541201B1 (ko) 2022-11-03 2023-06-13 전정연 휴대가 용이한 박스형 커피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546A (ko)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8365B2 (ja) 飲料調製装置
KR101323573B1 (ko) 액상커피 디스펜서
JP5197567B2 (ja) 飲料を加圧下で調製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967563B1 (ko) 음료 조제기
US9993106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beverages with differing tastes
US9919864B2 (en) Cartridg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AU2014266061B2 (en) Coffee brewing apparatus, coffee beverage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coffee beverage
US20160249764A1 (en) Automatic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such as espresso coffee, cappuccino and the like
RU236141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чайного напитк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камеры непрерывного смешивания
US20100034943A1 (en) System and Methods for On Demand Iced Tea
KR101077204B1 (ko) 커피머신
TWM604159U (zh) 萃茶機
KR20220024812A (ko) 가스 압축 용기로부터 공급된 가스가 농축된 음료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H09330468A (ja) コーヒー自動販売機
EP4000478B1 (en) Beverage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machine
KR102538743B1 (ko) 커넥터 연결형 커피 디스펜서
JP2007128478A (ja) 飲料自動販売機
JP2805468B2 (ja) 気液両用吐出装置
JP2006155255A (ja) 飲料抽出装置
JP2022149700A (ja) 飲料供給装置および飲料供給方法
AU2014336457A1 (en) Automatic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such as espresso coffee, cappuccino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