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783B1 -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783B1
KR102241783B1 KR1020180078114A KR20180078114A KR102241783B1 KR 102241783 B1 KR102241783 B1 KR 102241783B1 KR 1020180078114 A KR1020180078114 A KR 1020180078114A KR 20180078114 A KR20180078114 A KR 20180078114A KR 102241783 B1 KR102241783 B1 KR 102241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unit
extraction
cooling functi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006A (ko
Inventor
오준엽
Original Assignee
(주) 에스브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스브이씨 filed Critical (주) 에스브이씨
Priority to KR1020180078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7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0Urns with devices for keeping beverages hot or cool
    • A47J31/505Urns with devices for keeping beverages hot or cool with heat-supply re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는 하우징부, 커피 원액을 보관하는 컨테이너부, 내부에 상기 컨테이너부를 포함하면서 기 결정된 온도 범위를 유지시키는 냉장고, 컨테이너부의 일 영역에 연결되고, 컨테이너부의 내부에 보관된 커피 원액을 유통시켜서 커피를 외부로 추출하는 커피 추출부 및 냉장고 및 커피 추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COFFEE DISPENSER HAVING COOLING FUNCTION}
본 발명은 커피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 기능을 갖고 저온에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커피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까지 커피 추출 방식은 놀라운 발전을 거듭해왔다. 사람의 손에 의존하던 터키식 침출법에서부터 핸드 드립, 기계 드립, 버큠포트, 모카포트, 에스프레소 머신, 콜드 브루 등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고 소개되어 왔다.
핸드 드립은 중력의 원리를 이용하여 뜨거운 물을 천천히 부어 추출하는 필터식 추출방식이다. 기계 드립은 전자식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뜨거운 물을 고르게 부어 커피를 뽑는 대량 추출방식이다. 버큠포트는 증기의 압력, 물의 삼투압 현상을 이용해 추출하는 진공식 추출방식이다. 모카포트는 가열된 물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압력을 이용해서 추출하는 추출기구이다. 모카포트를 이용할 경우에는 비교적 쉽고 간단하게 에스프레소 방식에 가까운 커피맛을 낼 수 있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보일러의 압력과 모터를 이용하여 빠른 시간에 추출하는 현대식 커피 추출 방식이다. 이러한 에스프레서 머신은 커피를 손쉽게 추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분쇄한 원두를 상온이나 차가운 물에 장시간 우려내 쓴말이 덜하고 부드러운 풍미를 느낄 수 있는 커피 추출 방식인 콜드 브루 방식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콜드브루 방식은 가공 공정상 찬물에 우려내는 방식이므로 추출된 커피가 멸균되지 못하여 상온에서 계속 노출될 경우에 세균 번식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콜드브루 방식은 추출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일정량을 추출하여 냉장 보관하게 된다. 냉장보관된 콜드브루 커피도 음용을 위해 냉장고에서 꺼내 쓰다보면 공기 중 세균이 콜드브루 용기에 침투되서 오염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448230호(공고일 : 2014년10월08일) 특허문헌 2 : 한국등록특허 제10-0920237호(공고일 : 2009년10월05일) 특허문헌 3 : 한국등록특허 제10-0712900호(공고일 : 2007년05월02일)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본 발명은 콜드 브루 커피의 추출 및 보관을 저온상태의 디스펜서 내부에서 일괄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세균 노출이나 세균 번식율 낮춰줄 수 있는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는, 하우징부, 커피 원액을 보관하는 컨테이너부 내부에 상기 컨테이너부를 포함하고, 기 결정된 온도 범위를 유지시키는 냉장고, 상기 컨테이너부의 일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컨테이너부의 내부에 보관된 커피 원액을 유통시켜서 커피를 외부로 추출하는 커피 추출부 및 상기 냉장고 및 상기 커피 추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하우징부는, 측면에 개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개방 부재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냉장고의 내외로 상기 컨테이너부를 유출입시키는 개방 영역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상기 컨테이너부는, 커피 원액을 저장하는 용기 부재와 상기 용기 부재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커피 추출부와 연결되는 토출 부재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커피 추출부는, 추출된 커피를 외부로 토출하는 커피 토출구 및 일단이 상기 컨테이너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커피 토출부에 연결되서 유통되는 상기 커피 원액에서 음용 가능한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 라인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추출 라인에 정수액을 유통시켜 상기 추출 라인에 잔존하는 커피 추출 잔존물을 세척하는 세척 부재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추출 라인은, 내부에 유통하는 상기 커피 원액 및 상기 음용 가능한 커피가 상기 커피 토출구를 통해서 토출되기 전까지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밀폐된다.
이 경우에, 상기 커피 추출부는, 상기 추출 라인에 인접하는 제1 모터부, 상기 제1 모터부에 인접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에 인접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에 인접하는 제2 모터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턴온하고, 상기 제1 모터부를 동작시켜서 커피 원액을 상기 추출 라인 상에 유입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에, 상기 세척 부재는, 내부에 정수물을 보관하는 정수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터부를 동작시켜 상기 정수 탱크에 저장된 정수물을 상기 추출 라인으로 유통시킨다.
이 경우에,상기 제어부는, 세척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추출 라인 상에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턴오프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콜드 브루 커피의 추출 및 보관을 저온상태의 디스펜서 내부에서 일괄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세균 노출이나 세균 번식율 낮춰줄 수 있고,
콜드 브루 커피 추출 후 추출라인을 세척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인 콜드 브루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측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정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의 측면에 구비된 개방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개방부재에 의해서 개방된 냉장고 내부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의 후면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의 커피 추출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일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100)는 하우징부(110),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컨테이너부(120), 냉장고(130), 커피 추출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100)는 내부에 커피 원액을 저장하는 컨테이너부(120)를 냉장 보관하는 냉장고(130)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컨테이너부(120)는 커피 원액을 저장한 상태에서 냉장고(130)에 보관할 수 있다. 냉장고(130)는 섭씨 2℃ ~ 3℃를 유지하는 냉장 기능을 제공하므로, 냉장고(130)에 보관되는 컨텐이너부(120)는 신선한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테이너부(120)에 저장된 커피 원액을 커피 추출부(140)에 의해서 저온으로 추출하여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커피 추출부(140)는 커피 추출 동작 이후에 잔유하는 커피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동작을 추가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50)는 냉장고(130)의 온/오프 동작, 온도 조절 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커피 추출부(140)를 제어하여 커피 추출 동작의 시작과 종료를 실행하고, 커피 추출 동작 종료 후에 커피 추출부(140)를 자체적으로 세척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냉장고(130)의 내부 온도, 습도 등을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센싱값을 수신하여 냉장고(130)의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 상태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순환 팬(131)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100)는 전면부에 구비된 커피 토출구(미도시)를 통해서 토출된 추출된 커피를 머그컵과 같은 용기에 담을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다. 도 2에서 커피 디스펜서(100)의 전면부 하부에 머그컵을 놓은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이러한 개방형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100)는 전면부에 제어부(150)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100)의 전면부에 구비된 터치 디스플레이(미도시), 키패드(미도시) 등과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서 제어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100)는 테이블(200) 상에 설치할 수 있고, 포터블한 사이즈로 제작될 경우에는 이동이 용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의 측면에 구비된 개방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100)는 하우징부(110)의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 개방 부재(111)를 구비한다. 개방 부재(111)는 커버로 덮여 있고, 사용자가 커버를 개방하면 개방 부재(111)를 통해서 냉장고(130)의 내부로 물체를 입출입할 수있다.
도 3에서는 컨테이너부(120)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컨테이너부(120)는 냉장고(130)의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부(110)의 측면에 개방 부재(111)를 구비함으로써, 간편하게 컨테이너부(120)를 냉장고(130)에 보관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개방부재에 의해서 개방된 냉장고 내부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개방 부재(111)에 의해서 개방된 냉장고(130)의 내부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냉장고(130)의 내부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고, 섭씨 2℃ ~ 3℃의 온도를 유지한다. 냉장고(130)의 내부에는 커피 추출부(140)로부터 연장된 추출 라인(141)의 일단이 노출된다. 추출 라인(141)의 일단은 컨테이너부(130)의 일영역에 연결되고, 컨테이너부(130)의 내부에 저장된 커피 원액을 커피 추출부(140) 쪽으로 유통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냉장고(130)의 내부에는 내부 온도 및 습도 등을 조절하기 위해서 순환 팬(131)을 더 구비한다. 순환 팬(131)은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내부 온도, 내부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풍속, 풍향 등이 가변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의 후면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100)는 후면에 순환 팬(131)을 구비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순환 팬(131)은 냉장고(130)의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동작한다. 순환 팬(131)을 작동시켜서 냉장고(130)의 내부 세균 번식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의 커피 추출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커피 추출부(140)는 추출 라인(141), 제1 펌프(142), 제1 스위치(143), 제2 스위치(144) 및 제2 펌프(145)를 포함한다.
추출 라인(141)은 일단이 컨테이너부(120)에 연결되고, 타단이 커피 토출구에 연결된다. 추출 라인(141)은 추출된 커피가 이송되는 호스이다. 추출 라인(141)은 커피가 유통되므로 커피추출 동작이 이루어지면 제1 펌프(142)의 동작에 의해서 컨테이너부(120)에서 커피 토출구 방향으로 커피 원액이 이송되면서 커피가 추출된다. 이러한 추출 라인(141)의 커피 추출 방식은 이미 알려진 콜드 브루 추출 방식과 사실상 동일하다.
제1 스위치(143)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된다. 제1 스위치(143)는 온(on)되면 추출 라인(141)에는 커피 원액이 흐르면서 콜드 브루 추출 동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커피 추출 동작이 완료되더라도 제어부(150)는 제1 스위치(143)를 일정 시간 동안 온(on)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이유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제2 스위치(144)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된다. 제2 스위치(144)는 온(on)되면 정수 라인(미도시)을 통해서 정수 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추출 라인(141) 쪽으로 유통시킨다. 이때 제2 펌프(145)의 펌핑 동작에 의해서 정수 탱크에 저장된 정수물이 제2 스위치(144)를 통과해서 제1 스위치(143)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 스위치(143)를 통과한 정수물은 추출 라인(141)을 통과해서 커피 토출구에서 외부로 토출된다.
추출 라인(141)에 대한 세척 동작이 완료되면, 제어부(150)는 제2 펌프(145)의 동작을 중지하고, 제2 스위치(144)를 오프한다. 그리고, 제1 펌프(142)를 구동시켜서 추출 라인(141)에 잔존하는 커피 잔유물, 정수물을 커피 토출구로 배출시킨다.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50)는 제1 스위치(143)를 오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피 추출 동작 후에 추출 라인(141)을 세정하는 세정 동작은 필수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도 있다. 이러한 세정 동작에 대한 제어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 펌프(145)는 정수 탱크(미도시)에 연결된 정수 호스를 통해서 정수를 커피 추출부(140) 쪽으로 유통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 110 : 하우징부
111 : 개방 부재 120 : 컨테이너부
121 : 용기 부재 123 : 토출 부재
130 : 냉장고 131 : 순환 팬
140 : 커피 추출부 141 : 추출 라인
142 : 제1 펌프부 143 : 제1 스위치
144 : 제2 스위치 145 : 제2 펌프부
150 : 제어부 200 : 테이블

Claims (10)

  1.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에 있어서,
    하우징부;
    커피 원액을 저장하는 용기 부재와 상기 용기 부재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커피 추출부와 연결되는 토출 부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부;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내부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고, 내부 공간에 상기 컨테이너부를 보관하고, 상기 컨테이너부의 내부에 저장된 커피 원액을 커피 추출부 쪽으로 이동시키고, 커피 추출부를 통해서 외부로 커피를 토출할 때까지 기 결정된 온도 범위를 유지시키는 냉장고;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추출된 커피를 외부로 토출하는 커피 토출구 및 일단이 상기 컨테이너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커피 토출구에 연결되서 유통되는 상기 커피 원액에서 음용 가능한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 라인을 포함하는 상기 커피 추출부; 및
    상기 냉장고 및 상기 커피 추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측면에 개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개방 부재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냉장고의 내외로 상기 컨테이너부를 유출입시키는 개방 영역을 형성하는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라인에 정수액을 유통시켜 상기 추출 라인에 잔존하는 커피 추출 잔존물을 세척하는 세척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라인은, 내부에 유통하는 상기 커피 원액 및 상기 음용 가능한 커피가 상기 커피 토출구를 통해서 토출되기 전까지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추출부는,
    상기 추출 라인에 인접하는 제1 모터부, 상기 제1 모터부에 인접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에 인접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에 인접하는 제2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턴온하고, 상기 제1 모터부를 동작시켜서 커피 원액을 상기 추출 라인 상에 유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부재는, 내부에 정수물을 보관하는 정수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터부를 동작시켜 상기 정수 탱크에 저장된 정수물을 상기 추출 라인으로 유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세척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추출 라인 상에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턴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
KR1020180078114A 2018-07-05 2018-07-05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 KR102241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114A KR102241783B1 (ko) 2018-07-05 2018-07-05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114A KR102241783B1 (ko) 2018-07-05 2018-07-05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006A KR20200005006A (ko) 2020-01-15
KR102241783B1 true KR102241783B1 (ko) 2021-04-19

Family

ID=6915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114A KR102241783B1 (ko) 2018-07-05 2018-07-05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7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743B1 (ko) 2022-08-20 2023-06-01 전정연 커넥터 연결형 커피 디스펜서
KR102541201B1 (ko) 2022-11-03 2023-06-13 전정연 휴대가 용이한 박스형 커피 디스펜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366B1 (ko) * 2016-10-24 2017-09-18 (주)더메리트 냉장기능을 갖는 압착 추출방식의 액상커피 추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900B1 (ko) 2006-07-06 2007-05-02 김영수 음료 추출장치
KR100920237B1 (ko) 2007-10-19 2009-10-05 최범수 커피 추출 장치
KR101323573B1 (ko) * 2011-12-29 2013-10-30 키친아트플러스(주) 액상커피 디스펜서
KR101448230B1 (ko) 2013-05-24 2014-10-08 고영 냉수를 이용한 커피 추출장치
KR101676011B1 (ko) * 2015-03-04 2016-11-16 주식회사 더치프레소 더치커피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366B1 (ko) * 2016-10-24 2017-09-18 (주)더메리트 냉장기능을 갖는 압착 추출방식의 액상커피 추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743B1 (ko) 2022-08-20 2023-06-01 전정연 커넥터 연결형 커피 디스펜서
KR102541201B1 (ko) 2022-11-03 2023-06-13 전정연 휴대가 용이한 박스형 커피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006A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4014B2 (ja) 煎出飲料を調製する装置
EP2531085B1 (en) Beverage dispenser with hygienic cleaning cycle
US11266264B2 (en) Automatic coffee maker process for preparing a cold brewed beverage
US9125521B2 (en) Combined multiple beverage brewing apparatus and brewing basket for use in same
KR101225535B1 (ko) 워터드립커피 자동 추출장치
US4911067A (en) Infusion beverage maker
JP5554249B2 (ja) 飲料を作るプロセスで使われるのに適する部品のセット
KR102241783B1 (ko)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
JP4397341B2 (ja) ミルクフォーマー
EP4044877B1 (en) Infusion module and coffee machine provided with said infusion module
KR101595497B1 (ko) 더치커피 추출기
US3527153A (en) Coffee maker
KR102462790B1 (ko) 커피 추출 장치
EP3510902B1 (en) Coffee machine
JP2006263028A (ja) エスプレッソコーヒーマシーン
CN107048913B (zh) 一种三合一多用途的功夫茶杯
EP1074207B1 (en) Espresso coffee machine
US6170387B1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heated beverage
KR20190082459A (ko) 콜드브루 커피 추출기
KR101905311B1 (ko) 음료 제조기
JPH0329617A (ja) 電気コーヒー沸し器
JPH08154833A (ja) コーヒー液抽出装置
JPS647428Y2 (ko)
JPS5971929A (ja) 焙焼器
WO2022039610A1 (en) Capsule, installation and process for obtaining products and extracts from complex prepa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