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497B1 - 더치커피 추출기 - Google Patents

더치커피 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497B1
KR101595497B1 KR1020140124980A KR20140124980A KR101595497B1 KR 101595497 B1 KR101595497 B1 KR 101595497B1 KR 1020140124980 A KR1020140124980 A KR 1020140124980A KR 20140124980 A KR20140124980 A KR 20140124980A KR 101595497 B1 KR101595497 B1 KR 101595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water
tank
unit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관
Original Assignee
김선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관 filed Critical 김선관
Priority to KR1020140124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3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0Urns with devices for keeping beverages hot or co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 전원장치, 살균 장치, 온도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커피로 공급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추출부 및 상기 커피추출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피추출부에서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여 숙성시키는 숙성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기는 냉장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 물탱크, 커피탱크, 숙성탱크를 별도로 냉장고에 저장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이 편리하고, 커피탱크와 숙성탱크의 착탈이 가능하여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탱크 상단 또는 주위에 자외선램프를 장착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키고, 물탱크 하단에는 다수의 점적장치를 부착하여 동시에 많은 물방울들이 떨어져 추출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더치커피 추출기{Dutch coffee extractor}
본 발명은 더치커피(dutch coffee)를 생산하는 추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더치커피 추출기에 냉장장치, 자외선램프 및 점적 장치를 부가하여 위생적으로 안전하고, 추출된 커피를 저온 숙성할 수 있으며, 생산성이 향상된 더치커피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커피의 추출방법에는 대표적으로 커피가 담긴 여과지에 뜨거운 물을 부어 커피액을 추출하는 드립커피 추출법과, 포트에 커피를 충전한 다음에 고압상태로 고온의 물을 통과시켜 커피액을 추출하는 에스프레소커피 추출법 등이 널리 쓰이고 있다.
커피 추출법을 구분 짓는 가장 큰 요인인 커피의 용해도는, 커피생두의 로스팅 정도, 그리고 커피용수의 온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커피 가공과정의 하나인 로스팅은 생두에 일정한 열을 가해서 볶는 과정을 말하며 약하게 로스팅할수록 특정 온도에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떨어지고, 강하게 볶으면 반대로 용해도가 증가한다.
다양한 추출법에 따라 해당 추출법에서 커피의 맛을 가장 좋게 하면서 또한 그 맛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커피생두의 로스팅 강도에 맞는 다양한 물의 온도, 즉 다양한 추출온도가 필요하며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의 온도와 커피의 분말화 정도에 따라 카페인을 포함한 커피성분의 용해 특성이 달라지는 것에 기인한다.
최근에는 다량의 커피분말이 충전된 용기에 소량의 찬물을 장시간 투과시키면서 차가운 상태에서 커피액을 추출하는 더치커피 추출법도 점차 널리 보급되고 있다.
더치커피란 물을 사용하여 3시간 이상 추출한 독특하고 향이 좋은 커피를 일컫는 것으로, 과거 네덜란드령 인도네시아 식민지에서 로브스터종의 커피가 재배되었는데, 커피를 유럽으로 운반하던 선원들이 배에서 커피를 먹기 위해서 고안된 것이라고 한다. 장기간의 항해 기간 동안에, 커피를 먹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고안했는데 그 중에 하나가 현재의 더치커피로 발전한 것이라고 한다.
찬물로 커피를 내린 결과, 커피의 쓴맛이 적게 나면서 부드러울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서 숙성되어 독특한 맛과 향이 있어서, 네델란드 선원들이 즐겨 먹었다는 것이다.
이후에 이 더치커피는 흔히 콜드 브루(cold brew), 즉 찬물로 내리는 커피로 알려지게 되었고, 최근에는 커피가, 가정으로 점점 확산됨에 따라, 품질 좋은 고급 커피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커지고 있고, 그 대안으로 더치커피가 떠오르고 있다. 더치커피는 상온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풍미를 잃지 않는 기간이 다른 커피보다 길어 유통에 유리하고, 또한 원액상태로 판매가 되기 때문에, 물이나, 우유, 시럽 등을 자신의 기호에 따라 넣기만 하면 커피가 완성되어 오히려, 캡슐커피보다 편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널리 쓰이는 드립식 커피 추출방법과 비교하여, 더치커피의 추출방법을 살펴보면 구조적으로는 드립커피 추출법과 유사하지만 0℃~30℃ 정도인 낮은 온도의 물(냉수)이 중력에 의해 분쇄된 커피가루를 장시간에 걸쳐 통과하면서 매우 천천히 용해되는 커피성분을 추출하므로 추출온도와 추출시간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더치커피는 뜨거운 물을 사용하는 일반 추출법에 비해 차가운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커피 본연의 향미성분을 우려내기 위해서는 긴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추출과정은 마치 병원에서 수액을 맞는 것처럼 차가운 물을 한 방울씩 떨어뜨리면서 아주 오랜 시간에 걸쳐 소량씩 추출하도록 진행된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생수(냉수)의 온도변화에 따른 물맛감소와 세균증식, 추출액의 장시간 주위공기 노출에 따른 풍미감소와 변질, 추출장치 전반에 주위 공기의 냄새나 먼지 유입 등 다양한 나쁜 요인이 개입되는 것은 물론 커피분말 용기 내부에서 커피분말과 물의 뒤섞임 상태와 분포에 따라서도 다양한 변수가 발생된다는 점이다.
또한 장시간에 걸친 추출과정은 맛과 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인 카페인의 함량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커피음료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카페인은 대략 70℃ 근방에서 활발히 추출되기 때문에 차가운 물을 이용해서 추출한 더치커피에는 카페인의 추출량에 비해 커피 특유의 쓴맛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추출될 수 있다.
이처럼, 기존의 더치커피 추출기구는 상온에서 한 방울씩 물을 떨어뜨려 추출하는 형태이다. 목재나 금속의 프레임 거치대에 유리로 제작한 물탱크, 커피탱크, 원액탱크를 차례로 거치시켜 10~12 시간이라는 장시간에 걸쳐 내리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종래기술의 더치커피 추출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지지대(1)와, 상기 지지대(1)의 내부 하측에 구비된 저장용기(2)와, 하단에는 지름이 작은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커피가루가 저장되며 상기 저장용기(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1)에 구비된 추출용기(3)와, 내부에 물이 저장되고 하단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추출용기(3)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1)에 구비된 저수용기(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저수용기(4)의 배출구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속도를 조절하는 밸브(4a)가 구비되어, 배출구를 통해 물이 한방울씩 떨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저수용기(4)에 찬물을 저장한 상태에서 저수용기(4)를 지지대(1)에 설치하면, 저수용기(4)에서 한방울씩 떨어진 물이 상기 추출용기(3)에 저장된 커피가루로 낙하되어 커피를 추출한 후 상기 저장용기(2)로 낙하하여 수집된다.
이러한 더치커피 추출기의 자세한 구성 및 작용은 공개특허 10-2012-0078180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이러한 더치커피 추출기는 상온에서 노출된 상태로 장시간 추출해야 하므로 먼지나 세균 번식에 취약하고, 하절기 25~30 ℃의 온도에서 쉽게 변질될 수 있는 위생상의 문제와 추출한 뒤에 다시 냉장 숙성고로 옮겨 3~4일을 숙성시켜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허 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7818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관리가 편리하고, 추출된 커피를 저온 숙성할 수 있으며, 단시간에 많은 커피 원액이 추출되도록 제작된 새로운 구조의 더치식 커피 추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 전원장치, 살균 장치, 온도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커피로 공급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추출부 및 상기 커피추출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피추출부에서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여 숙성시키는 숙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커피추출부측에서 상기 커피추출부를 관측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드글라스를 포함하는 상부도어, 상기 상부도어의 하부에서 상기 숙성부를 차폐하는 불투명의 하부도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피추출부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하부에서 물탱크의 물을 균등하게 분사하여 공급하는 다수의 점적장치 및 상기 점적장치의 하부에서 상기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적장치는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커피추출부로 공급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에 결합되는 유량조절밸브 및 다수의 분사홀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급수관의 말단에 장착된 후 상기 공급되는 물을 점적으로 분사시키는 분무판을 구비하는 분사노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피추출부는, 상부에 상기 분사노즐이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에 의해 상부가 밀폐되어 내부에 커피가 저장되는 커피탱크, 상기 커피탱크의 하부에서 추출되어 배출되는 상기 커피액을 1차로 여과시키는 하부여과필터, 상기 추출된 커피액을 상기 숙성부로 배출하는 배출관, 배출관의 내부에서 상기 커피액을 2차 여과하는 제2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와 커피탱크는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적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피추출부와 상기 숙성부가 서로 분리결합 가능하게 적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기는 냉장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 물탱크, 커피탱크, 숙성탱크를 별도로 냉장고에 저장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이 편리하고, 커피탱크와 숙성탱크의 착탈이 가능하여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탱크 상단 또는 주위에 자외선램프를 장착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키고, 물탱크 하단에는 다수의 점적장치를 부착하여 동시에 많은 물방울들이 떨어져 추출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기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기의 일구성인 점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기의 일구성인 점적 장치를 구성하는 분사노즐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기의 전반적인 결합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기(10)는 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20), 전원장치(30), 살균 장치(31), 타이머(32), 온도조절장치(33, 34)를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2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어부(100), 상기 제어부(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커피로 공급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추출부(200) 및 상기 커피추출부(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피추출기(10)에서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여 숙성시키는 숙성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0)의 전원장치(30), 살균 장치(31), 타이머(32), 추출부 온도조절 장치(33), 숙성부 온도조절 장치(34)는 외부로 노출시켜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커피추출부(200)와 숙성부(300)에 온도조절장치(33, 34)를 두어 독립적인 온도 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상기 커피추출부(200)에는 위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외선램프(35),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40), 상기 물탱크(40)의 하부에서 물탱크(40)의 물을 균등하게 분사하여 공급하는 다수의 점적장치(41), 상기 점적장치(41)의 하부에서 상기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탱크(50) 및 상기 커피탱크(50)의 하단에는 지름이 작은 추출액 이송장치인 배출관(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숙성부(300)는 상기 커피탱크(50)로부터 추출된 커피액이 저장되는, 저온 숙성이 가능한 숙성탱크(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피탱크(50)와 격리되며, 외부의 빛이 유입되지 않는 구조의 도어(23)가 부착되는 것으로서, 통상의 더치커피 추출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상기 커피추출부(200)와 상기 숙성부(300)는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로 분리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통상의 더치커피 추출기에서 필수적인 구성인 물탱크(40), 커피탱크(50), 숙성탱크(60) 및 상기 물탱크(40), 커피탱크(50) 및 숙성탱크(60)를 안착 고정시키는 프레임(20)을 설계하였고, 프레임(20)의 앞쪽, 즉 커피추출공간은 글라스도어인 상부도어(21)와 사이드글라스(22) 등으로 둘러싸서 커피탱크(50) 내부를 잘 살펴볼 수 있으면서도 주위 환경(외부공기)와 차단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커피추출부측에서 상기 커피추출부(200)를 관측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드글라스(22)를 포함하는 상부도어(21)와 상기 상부도어(21)의 하부에서 상기 숙성부(300)를 차폐하는 불투명의 하부도어(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장시간 커피를 추출하다 보면 물탱크(40)를 비롯한 모든 용기에 담긴 물에서 대장균 번식 등이 우려되며 글라스도어(21)는 완벽한 밀폐를 달성할 수 없으므로 실내에 부유하는 병균에 의한 세균번식이 우려된다. 이를 가장 작은 부피와 적은 동력으로 효과적으로 살균해 주는 것은 자외선램프(35)이다.
자외선램프(35)는 상기 물탱크(40)와 상기 숙성탱크(6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자외선을 직접 또는 간접 조사하도록 배치된다. 도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부 사이드 글라스(22) 쪽에 배치되어 주로 물탱크(40)를 비추도록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되는 냉각부(80)는, 상기 물탱크(40) 주변에서 상기 커피탱크(50)를 거쳐 상기 숙성탱크(60)의 주변까지를 포함하는 커피추출공간을 냉각시키도록 구성되며, 커피추출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냉각핀에 의해 상기 냉각부에서 발생시키는 냉기를 고르게 분포시키도록 작동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글라스도어(21)와 사이드글라스(22)에 의해 주위와 차단된 공간인 커피추출공간에는 냉각부(80)로부터 뻗어 나온 히트파이프(heat pipe)들과 히트파이프에 연결되어 각각의 용기를 둘러싸도록 알맞게 성형된 냉각핀을 다수 배열하여 외부공기가 직접 유입되어도 즉시 냉기로 바뀔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커피추출공간을 프레임(20)과 글라스(22)로 둘러싸고, 프레임(20)의 뒤편으로는 열전소자 등에 의해 가열되는 방열핀의 열기를 배출시키는 덕트를 구성하되 추출공간에 사용되고 빠져나가는 냉기를 덕트에 직접 유입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덕트 내부에는 상기 열전소자와 연결된 방열핀이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20) 또는 상기 덕트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량 조절기가 더 형성되어, 상기 냉기의 순환량과 상기 열기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방열핀으로 인하여 열전소자는 상대적으로 방열에 덜 제약을 받은 상태로 많은 양의 전류를 흘려 히트파이프와 냉각핀을 급속도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3장으로 적층되는 방열핀은 열전소자 가열면의 열을 전달하는 히트파이프에 의해 열을 전달받아 덕트 내부에 전달하며 덕트 하단에서 순환팬에 의해 올라오는 냉기와 직접 접촉하여 효과적으로 냉각된다.
결국 대부분의 장시간 연속운전 상태에서 상단 공기흡입구로 들어가는 실내 공기온도와 비슷한 온도의 냉기-열기 혼합공기가 덕트 상단의 공기배출구로 배출되므로 추출기를 실내벽면에 다수 개 배치하여도 실내공기질 저하는 크지 않게 된다.
순환팬의 작동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냉기흡입구의 입구 크기가 작을수록 순환팬은 커피추출공간을 통과하는 냉기를 적게 빨아들이게 된다. 또한 프레임(20) 외부로 나와 있는 공기흡입량 조절기가 적게 열려 있을수록 순환팬은 커피추출공간 내부에 체류하는 냉기를 상대적으로 많이 빨아들이게 된다. 순환팬이 빨아들인 냉기(또는 냉기와 외기의 혼합공기)는 하단공기흡입구를 통하여 덕트 쪽으로 유입되며 유입된 차가운 공기는 방열핀을 식히게 된다. 즉 순환팬과 공기흡입량 조절기의 유기적인 작동은 커피 추출기(10)의 작동중간에 내부 추출공간의 온도조절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서 커피추출공간의 공기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덕트 내의 방열용 공기흐름을 세차게 할 필요가 있을 때 주로 사용된다.
순환팬의 회전속도는 공기흡입량 조절기의 개폐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작동초기에 냉기가 부족할 때 열전소자를 활발히 가동시키면서 커피추출공간 내부의 냉기를 아껴두고 상대적으로 많이 가열된 방열핀을 통해 덕트 내부에 퍼지는 열기는 빠르게 배출할 필요가 있다. 이때 공기흡입량 조절기는 많이 열려서 많은 외부공기를 따로 흡입할 필요가 있다. 반대로 장시간 운전을 통해 커피추출공간이 충분히 냉각되면 공기흡입량 조절기는 매우 작게 열거나 완전히 닫아서 순환팬의 회전속도를 매우 낮춘다. 이렇게 되면 무소음에 가까운 상당히 정숙한 운전이 이루어지면서 불필요한 냉기의 소모량도 아낄 수 있다. 방열핀 가열에 의한 덕트 내부의 열기는 충분히 차가운 냉기와 섞이면서 적은 유동량에 의해서도 충분히 냉각된다.
한편, 상기 커피탱크(50)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상기 분사노즐(40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상부커버(52), 상기 상부커버(52)에 의해 상부가 밀폐되어 내부에 커피가 저장되는 커피탱크(50), 상기 커피탱크(50)의 하부에서 추출되어 배출되는 상기 커피액을 1차로 여과시키는 하부여과필터(51), 상기 추출된 커피액을 상기 숙성부(300)로 배출하는 배출관(53) 및 상기 배출관(53)의 내부에서 상기 커피액을 2차 여과하는 제2필터(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여과필터(51)는 추출기(10) 내 저장되는 커피가루의 하부를 지지하며 추출되는 커피액을 1차적으로 여과하는 구성으로, 특히 상기 하부여과필터(51)는 그 중앙부위는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태로 별도의 여과공이 형성되지 않고, 하부여과필터(51)의 주변부 일정 부위에만 커피액이 여과되어 투과되는 여과공이 형성되는 형태로, 냉수가 커피가루를 투과하면서 커피액으로 추출되는 시간을 증대(조절)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체에 걸쳐 고르게 통공이 형성되는 상부커버(52)와 달리, 상기 하부여과필터(51)에는 여과공이 하부여과필터(51)의 일정 부위 즉, 환형 형태로 주변부 일정 부위 둘레에만 형성됨으로써, 불려진 커피가루를 투과하면서 추출되는 커피액의 배출량을 조절(이는 다시 말해 커피가루를 투과하면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냉수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임)하여, 추출기 내 저장된 커피가루의 양 등에 따라 냉수의 투과속도 또는 커피액의 추출량을 조절(즉, 추출기 내에 저장되는 커피가루의 양에 따라 여과공의 수나 직경이 다른 다양한 하부여과필터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여과필터(51)에서 별도의 여과공이 형성되지 않는 중앙부위는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부위로 투과되어 나오는 커피액이 자연스럽게 외측 주변부로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게 유도한다.
상기 물탱크(10), 점적 장치(41), 커피탱크(50), 포집 및 이송 장치(53), 숙성탱크(60)는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제작하여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추출되는 동안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여 다른 공정상의 문제로 전체의 문을 여닫을 필요가 없으며, 불필요한 온도의 변화나 손실을 막아 추출액의 안정화를 가져온다.
상기 물탱크(10) 하단에는 상기 커피탱크(50)에 물을 공급하는 점적장치(41)를 포함하되, 상기 점적장치(41)는 상기 물탱크(10)의 물을 상기 커피탱크(50)로 공급하는 급수관(410), 상기 급수관(410)에 결합되는 유량조절밸브(420) 및 다수의 분사홀(405)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급수관(410)의 말단에 장착된 후 상기 공급되는 물을 점적으로 분사시키는 분무판(402)을 구비하는 분사노즐(400)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기(10)의 일구성인 점적 장치(41)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조절밸브(420)를 조절하면 분사노즐(400)을 통해 세팅한 만큼의 수량이 커피탱크(50)로 점적되고, 스틱형 조절밸브(422)를 통해 분사노즐(400)들이 동시에 개폐되어 물방울 크기가 일괄 조절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기(10)의 일구성인 점적 장치(41)를 구성하는 분사노즐(400)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400)은 급수관(410)에 결합되는 노즐소켓(401), 노즐소켓(401) 하부에 결합되는 분무판(40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무판(402)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분사홀(405)이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분사노즐(400)은 노즐소켓(401)을 통해 공급된 물을 분무판(402)과 분사홀(405)을 통해 분산시켜, 분산된 물이 저장된 커피로 고르게 분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더치커피 추출기(10)에는 분사노즐(400)을 포함하는 다수의 점적장치(41)가 부착되어 커피탱크 상에 동시에 많은 물방울들이 떨어져 추출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급수관(410)에는 유량조절밸브(420)가 구비되어, 상기 급수관(410)을 통해 커피탱크(5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커피탱크(50)에 물을 과도하게 많이 공급하거나 적게 공급하여 추출된 커피의 맛이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항상 일정한 맛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미도시된 개폐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강제로 급수관(410)을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탱크(10)를 분리하는 경우 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커피탱크(50) 하단에는 추출구가 다수로 형성되며, 추출 중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여과필터(51)가 닿는 면을 엠보싱(凹凸)처리하고, 커피추출액은 포집 및 이송장치의 경사로를 따라 배출관(53)을 통해 숙성탱크(60)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커피탱크(50)에는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커피탱크(50)의 탈착을 감지하는 미도시된 리미트스위치 등의 탈착감지수단이 구비되며, 또한, 배수관에도 별도의 유량조절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탈착감지수단의 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커피탱크(50)를 지지대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폐쇄하여 커피액의 누설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기(10)에 의하면, 냉각부(80)를 구비하고 있어 물탱크(40), 커피탱크(50), 숙성탱크(60)를 별도로 냉장고에 저장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이 편리하고, 커피탱크(50)와 숙성탱크(60)의 착탈이 가능하여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물탱크(40) 상단 또는 주위에 자외선램프(35)를 장착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키고, 물탱크(40) 하단에는 다수의 점적장치(41)를 부착하여 동시에 많은 물방울들이 떨어져 추출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10: 더치커피 추출기 100: 제어부
200: 커피추출부 300: 숙성부
20: 프레임 21: 상부도어
22: 사이드글라스 23: 하부도어
30: 전원장치 31: 살균 장치
32: 타이머 33: 물탱크 온도조절 장치
34: 커피탱크 온도조절 장치 35: 자외선램프
40: 물탱크 41: 점적 장치
50: 커피탱크 51: 하부여과필터
52: 상부 커버 53: 배출관
54: 제2필터 60: 숙성탱크
80: 냉각부
400: 분사노즐 401: 노즐 소켓
402: 분무판 405: 분사홀
410: 급수관 420: 유량조절밸브
422: 스틱형 조절밸브

Claims (7)

  1. 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20);
    전원장치(30), 살균 장치(31), 온도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어부(100);
    상기 제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커피로 공급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추출부(200); 및
    상기 커피추출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피추출부에서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여 숙성시키는 숙성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커피추출부(200)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40);
    상기 물탱크의 하부에서 물탱크의 물을 균등하게 분사하여 공급하는 다수의 점적장치(41); 및
    상기 점적장치의 하부에서 상기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탱크(50);를 포함하며,
    상기 점적장치(41)는,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커피추출부로 공급하는 급수관(410);
    상기 급수관에 결합되는 유량조절밸브(420); 및
    다수의 분사홀(405)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의 말단에 장착된 후 상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점적으로 분사시키는 분무판(402);을 구비하는 분사노즐(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추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커피추출부 측에서 상기 커피추출부를 관측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드글라스(22)를 포함하는 상부도어(21);
    상기 상부도어의 하부에서 상기 숙성부를 차폐하는 불투명의 하부도어(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추출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추출부(200)는,
    상부에 상기 분사노즐이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상부커버(52);
    상기 상부커버에 의해 상부가 밀폐되어 내부에 커피가 저장되는 커피탱크(50);
    상기 커피탱크의 하부에서 추출되어 배출되는 커피액을 1차로 여과시키는 하부여과필터(51);
    추출된 커피액을 상기 숙성부로 배출하는 배출관(53); 및
    배출관의 내부에서 상기 커피액을 2차 여과하는 제2필터(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40)와 커피탱크(50)는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추출부(200)와 상기 숙성부(300)가 서로 분리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
KR1020140124980A 2014-09-19 2014-09-19 더치커피 추출기 KR101595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980A KR101595497B1 (ko) 2014-09-19 2014-09-19 더치커피 추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980A KR101595497B1 (ko) 2014-09-19 2014-09-19 더치커피 추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497B1 true KR101595497B1 (ko) 2016-02-18

Family

ID=55458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980A KR101595497B1 (ko) 2014-09-19 2014-09-19 더치커피 추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4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954B1 (ko) 2016-07-07 2017-06-15 임성현 더치커피 메이커 및 더치커피 제조 방법
KR101845629B1 (ko) * 2016-10-17 2018-05-18 정영진 더치커피 추출장치
CN109664155A (zh) * 2019-02-22 2019-04-23 天津越天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改进型的模具加工用冷却液可调速的滴加设备
KR20200104521A (ko) * 2019-02-27 2020-09-04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Uv 살균에 의해 유통기한이 연장되는 더치 커피의 제조방법
US11350786B2 (en) 2019-04-04 2022-06-0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Beverage brew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7803U (ko) * 1990-02-22 1991-11-06
JP2011083446A (ja) * 2009-10-16 2011-04-28 Nishiyama Kogyo Kk 飲料の低温抽出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120078180A (ko) 2010-12-31 2012-07-10 윤대민 더치커피기구의 수압 안정장치
KR20130014693A (ko) * 2013-01-21 2013-02-08 정삼규 온도조절 및 살균 시스템을 탑재한 더치커피 추출기
KR20140061837A (ko) * 2012-11-14 2014-05-22 강성호 더치식 커피 추출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7803U (ko) * 1990-02-22 1991-11-06
JP2011083446A (ja) * 2009-10-16 2011-04-28 Nishiyama Kogyo Kk 飲料の低温抽出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120078180A (ko) 2010-12-31 2012-07-10 윤대민 더치커피기구의 수압 안정장치
KR20140061837A (ko) * 2012-11-14 2014-05-22 강성호 더치식 커피 추출기
KR20130014693A (ko) * 2013-01-21 2013-02-08 정삼규 온도조절 및 살균 시스템을 탑재한 더치커피 추출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954B1 (ko) 2016-07-07 2017-06-15 임성현 더치커피 메이커 및 더치커피 제조 방법
KR101845629B1 (ko) * 2016-10-17 2018-05-18 정영진 더치커피 추출장치
CN109664155A (zh) * 2019-02-22 2019-04-23 天津越天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改进型的模具加工用冷却液可调速的滴加设备
KR20200104521A (ko) * 2019-02-27 2020-09-04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Uv 살균에 의해 유통기한이 연장되는 더치 커피의 제조방법
KR102225512B1 (ko) * 2019-02-27 2021-03-09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Uv 살균에 의해 유통기한이 연장되는 더치 커피의 제조방법
US11350786B2 (en) 2019-04-04 2022-06-0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Beverage brew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497B1 (ko) 더치커피 추출기
US7210401B1 (en) Single cup pod beverage brewer
CN103110314B (zh) 一种多选择自动沏茶装置
RU2567219C2 (ru) Установка по выдаче напитка с нагревателем камеры приготовления
WO2019072228A1 (zh) 冰箱
WO2019072226A1 (zh) 冰箱
WO2019072227A1 (zh) 冰箱
KR101398674B1 (ko) 더치식 커피 추출기
CN103622558B (zh) 一种带泡茶功能的饮水机
KR101496932B1 (ko) 더치커피 제조기구
CN107708506A (zh) 起泡棒
WO2019072229A1 (zh) 冰箱
KR101430912B1 (ko) 더치 커피 머신
US20160095466A1 (en) Fresh-brewed cold beverage dispensing machine
KR101116227B1 (ko) 휴대용 에스프레소 제조기
KR101002461B1 (ko)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
TWI715443B (zh) 飲品調製設備
CN113080709B (zh) 冰咖啡和冰果汁的制作系统及冰咖啡的制作方法
KR20200005006A (ko) 냉각 기능을 갖는 커피 디스펜서
KR101562179B1 (ko) 대용량 더치커피 추출 냉장살균 시스템
KR101648875B1 (ko) 저온추출 방식의 커피 추출장치
KR101834657B1 (ko) 저온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905311B1 (ko) 음료 제조기
US10849453B2 (en) Automatic beverage maker
US7066080B2 (en) Automatic drip coffee 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