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7628A -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7628A
KR20110097628A KR1020110011305A KR20110011305A KR20110097628A KR 20110097628 A KR20110097628 A KR 20110097628A KR 1020110011305 A KR1020110011305 A KR 1020110011305A KR 20110011305 A KR20110011305 A KR 20110011305A KR 20110097628 A KR20110097628 A KR 20110097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ock
shell
hous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4354B1 (ko
Inventor
타카히로 야마지
코지 하야시
타케시 신도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7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01R13/62994Lever acting on a connector mounted onto the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 조립체는, 서로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커넥터는, 복수의 제1 콘택트와, 제1 하우징과, 제1 쉘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콘택트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 정렬 유지되어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다. 상기 제1 쉘은 스프링부와 접점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피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치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고 있다. 상기 접점부는 상기 스프링부에 의해 상기 피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2 커넥터는, 제2 쉘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끼워 맞춰질 때, 상기 제2 쉘이 적어도 상기 제1 쉘의 상기 접점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쉘과 상기 제2 쉘이 서로 접속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USED THEREIN}
본 발명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커넥터는 회로 기판에 탑재·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제2 커넥터는 케이블에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타입의 커넥터 조립체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2008-277020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당해 공보의 내용은 참조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8-277020호의 커넥터 조립체는, 회로 기판용의 커넥터(제1 커넥터)와 케이블용의 커넥터(제2 커넥터)로 이루어진다. 제1 커넥터는 제1 쉘(shell)을 구비하고, 제2 커넥터는 제2 쉘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쉘은 회로 기판의 그라운드(ground)부에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제2 쉘은 케이블의 실드선(shield wire)에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끼워 맞추면, 제2 커넥터의 제2 쉘이 제1 커넥터의 제1 쉘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케이블의 실드선은 2개의 커넥터를 경유하여 회로 기판의 그라운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8-277020호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설편(tongue piece)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블의 실드선과 회로 기판의 그라운드부와의 사이의 전기적 경로의 수를 늘리기 위해, 제1 커넥터의 설편과 제2 커넥터의 설편은 서로 접속된다. 그러나, 커넥터 조립체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 커넥터 조립체의 2개의 쉘이 충분히 접촉되지 않고, 그 때문에 커넥터 조립체의 실드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라도 2개의 쉘이 충분히 접촉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서로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커넥터는, 복수의 제1 콘택트와, 제1 하우징과, 제1 쉘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콘택트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 정렬 유지(retain)되어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다. 상기 제1 쉘은 스프링부와 접점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피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치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고 있다. 상기 접점부는 상기 스프링부 의해 상기 피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2 커넥터는, 제2 쉘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끼워맞춰질 때, 상기 제2 쉘이 적어도 상기 제1 쉘의 상기 접점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쉘과 상기 제2 쉘이 서로 접속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량의 실시 형태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바르게 이해되고, 그리고 그 구성에 대해서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분리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제2 커넥터는 직선 방향(Z방향)에 있어서 소정 위치에 놓여 있고, 제2 커넥터는 제1 커넥터에 끼워 맞춰져 있지 않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끼워 맞춰져 있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를 Ⅳ-Ⅳ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Ⅴ선을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Ⅵ선을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커넥터 조립체를 저면(底面)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의 제1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커넥터 조립체의 제2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2 커넥터를 저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3의 커넥터 조립체의 피치 방향(Y방향) 단부(端部)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커넥터 조립체를 ⅩⅢ-ⅩⅢ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특정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첨부의 청구 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10)는, 서로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된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커넥터(100)는,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탑재되도록 구성된 기판 탑재 커넥터이다. 제2 커넥터(200)는, 케이블(50)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커넥터이다. 제1 커넥터(100)가 케이블(50)에 접속된 제2 커넥터(200)와 끼워 맞춰져 있을 때, 케이블(50)은,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와의 끼워 맞춤·접속 부분으로부터 제1 커넥터(100)의 전방 방향(+X방향)으로 연장(extend)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나는 제2 커넥터(200)는,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분리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3 및 도 6에 나타나는 제2 커넥터(200)는,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에 끼워 맞춰져 있는 끼워 맞춤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커넥터 조립체(10)는, 제2 커넥터(200)를 제1 커넥터(100)에 대하여 대략 L자 형상으로(즉 2방향으로 연속하여), 분리 위치에서 끼워 맞춤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조립된다. 상세하게는, 우선 제2 커넥터(200)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00) 상방의 분리 위치에 놓여 있다. 제2 커넥터(200)를, 제1 커넥터(100)를 항하여 이동시킨다(하방으로 이동시킴). 도 2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200)는, 제1 커넥터(100)와 맞닿고, 제2 커넥터(200)는, 제1 커넥터(100)에 대하여 수직 방향(Z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에 위치한다. 이어서, 제2 커넥터(200)를 끼워 맞춤 위치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커넥터(200)를 제1 커넥터(100)의 전방 방향(+X방향)으로 이동시켜, 그에 의해 끼워 맞춤 위치에 있어서 제2 커넥터(200)를 제1 커넥터(100)에 대하여 끼워 맞춤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소정 위치는, 수직 방향에 있어서 끼워 맞춤 위치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고, 수평 위치에 있어서 끼워 맞춤 위치와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제1 커넥터(100)는,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1 콘택트(110)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 하우징(120)과,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1 쉘(130)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제1 콘택트(110)는, 제1 하우징(120)에 의해, 피치 방향(Y방향)에 있어서 정렬·유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제1 하우징(120)은, 제1 콘택트(110)를 인서트 성형(insert-molding)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1 콘택트(110)는, 제1 접촉부(112)와 SMT부(114)를 구비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커넥터(200)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2 콘택트(210)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 하우징(220)과,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2 쉘(230)과,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잠금 바(lock bar;260)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제2 콘택트(210)는, 제2 하우징(220)에 의해, 피치 방향(Y방향)에 있어서 정렬·유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제2 하우징(220)은, 제2 콘택트(210)를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2 콘택트(210)는, 제2 접촉부(21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커넥터(100)가 제2 커넥터(200)와 끼워 맞춰질 때, 제1 커넥터(100)의 제1 접촉부(112)는, 제2 커넥터(200)의 제2 콘택트(210)(상대측 콘택트)와 접촉하고, 이에 의해 제1 쉘(130)과 제2 쉘(230)이 서로 접속된다. SMT부(114)는, 제1 커넥터(100)가 회로 기판에 탑재될 때, 회로 기판에 형성된 신호 패턴과 접속된다. 제1 콘택트(110)는, XZ평면 상에 있어서 만곡된 저부를 구비한 대략 U자 형상 단면을 갖고 있고, 대략 U자 형상 단면의 저부는, 제1 커넥터(100)의 후방(―X방향)을 향하고 있다. 제1 커넥터(100)는 전반부(front half part)와 후반부(rear half part)를 구비하고 있고, 제1 접촉부(112)는, 제1 커넥터(100)의 후반부에 있어서 제1 하우징(120)에 매입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제1 접촉부(112)는 제1 커넥터(100)의 후반부에 있어서 제1 하우징(120)에 유지되어 있다. SMT부(114)는, 제1 하우징(120)과 제1 쉘(130)로 둘러싸인 영역(105) 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 9 및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쉘(130)은, 저판부(132)와, 2개의 측부(134)와, 2개의 잠금 수용부(lock receiving portion;136)와, 2개의 가이드부(138)를 구비하고 있다. 저판부(132)는 피치 방향(Y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고 있다. 측부(134)는, 저판부(132)의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兩端)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제1 하우징(120)의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를 각각 덮고 있다. 바꿔 말하면, 제1 하우징(120)은, 제1 쉘(13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다. 잠금 수용부(136)는, 측부(134)의 후단에 있어서 Z방향으로 솟아오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138)는, 잠금 수용부(136)로부터 경사진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저판부(132)는, 주로 제1 커넥터(100)의 전반부에 위치하고 있다. 저판부(132)는, 제1 커넥터(100)가 회로 기판에 탑재되었을 때, 회로 기판과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잠금 수용부(136)는, Z방향 및 Y방향으로 규정되는 평면을 갖고 있다. 바꿔 말하면, 잠금 수용부(136)는, X방향으로 직교하는 수직면을 갖고 있다. 가이드부(138)는, X방향 및 Z방향으로 경사진 평면을 갖고 있다.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저판부(132)에는 1개의 스프링부(140)와 1개의 접점부(142)를 구비하는 콘택트가 2조 형성되어 있다. 이들 2조의 콘택트는, 제1 쉘(130)의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부(140)의 각각은 피치 방향(Y방향)으로 연장되어 피치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고 있다. 스프링부(140)의 각각은 저판부(132)에 한쪽만 고정되어 있고, 이에 의해 자유단과 고정단을 갖고 있다. 피치 방향에 있어서, 고정단보다도 자유단 쪽이 제1 쉘(130)의 중심에 가깝다. 바꿔 말하면, 자유단은, 피치 방향에 있어서 제1 쉘(130)의 중심과 스프링부(140)와의 사이에 놓여 있다. 접점부(142)는,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서로 끼워질 때, 제2 쉘(230)에 눌려져 접속된다. 접점부(142)는, 피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이동 가능해지도록, 스프링부(140)에 지지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점부(142)는, 수직 방향(Z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부(140)는, 제1 커넥터(100)의 긴 길이 방향인 피치 방향(콘택트 피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커넥터(100)가 전체로서 작은 경우라도, 스프링부(140)를 비교적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부(140)에 필요한 탄성을 확보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접점부(142)는 전술한 스프링부(140)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제2 쉘(230)에 접속된다. 바꿔 말하면, 제1 쉘(130)과 제2 쉘(230)은, 보다 안정적으로 서로 접촉하고, 따라서, 커넥터 조립체(10)는 높은 실드 성능(shielding capability)을 갖는다. 스프링부(140)는 저판부(132)에 설치되고, 제1 쉘(130)은 Z방향에 있어서 저판부(132)와 대향하는 상판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커넥터(100)의 높이 방향(Z방향)에 있어서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제1 쉘(130)에는, 저판부(132)로부터 전방을(+X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자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부(150)는, 제1 커넥터(100)가 탑재되는 회로 기판 상에 설치된 그라운드부에 대하여 접속 고정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에 끼워 맞춰져 있을 때, 제2 커넥터(200)에 접속된 케이블(50)은, 제2 커넥터(200)와 제1 커넥터(100)의 끼워 맞춤 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단자부(150)는, 저판부(132)의 전측(前側)에 위치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케이블(50)은,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중심 도체)(52)과, 신호선(52)을 전기적으로 실드하는 실드선(외부 도체)(54)을 구비하고 있다. 실드선(54)은, 케이블(50)이 제2 커넥터(200)에 접속되어 있을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제2 쉘(230)에 접속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쉘(230)과 제1 쉘(130)의 접촉부 근방에 단자부(150)가 위치하고 있는 점에서, 케이블(50)의 실드선(54)과 회로 기판의 그라운드부를 비교적 짧은 경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프링부(140) 및 접점부(142)로 이루어지는 2조의 콘택트는, 제1 쉘(130)의 피치 방향의 중심을 사이에 두도록 하여, 밸런스 좋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쉘(130)과 제2 쉘(230)이 서로 접속되어 있을 때, 제1 쉘(130)과 제2 쉘(230)은, 피치 방향에 있어서 전자파를 밸런스 좋게 실드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140) 및 접점부(142)는, 제1 쉘(130)의 측면도 상부도 아니라 저판부(132)에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스프링부(140) 및 접점부(142)는 제1 쉘(130)의 저부 근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2 커넥터(200)가 회로 기판에 탑재된 제1 커넥터(100)에 끼워 맞춰져 있을 때, 제1 쉘(130)과 제2 쉘(230)의 접속부를 회로 기판의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도, 케이블(50)의 실드선(54)에서 회로 기판의 그라운드부까지의 전기적 경로를 짧게 하는 것에 기여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콘택트(210)의 제2 접촉부(212)는, 갈고리(hook)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접촉부(212)는, 제1 콘택트(110)의 제1 접촉부(112)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00)에 대하여 제2 커넥터(200)가 수직 방향(높이 방향: Z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에 놓였을 때에는, 제1 접촉부(112)와 제2 접촉부(212)는 서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도 3 및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200)를 소정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갈고리 형상의 제2 접촉부(212)의 파인 곳에 제1 접촉부(112)가 삽입 접속되게 되어, 그에 의해 제1 콘택트(110)와 제2 콘택트(210)가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제2 하우징(220)은, 그 양단 부분에 있어서 잠금 바(260)를 회전이 자유롭게(회동(turn)이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잠금 바(260)는, 주부(主部; 262)와, 2개의 피(被)유지부(264)와, 2개의 대략 U자 형상부(266)를 구비하고 있다. 주부(262)는 피치 방향(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유지부(264)의 각각은, 주부(262)의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피치 방향(Y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대략 U자 형상부(266)의 각각은, 피유지부(264)로부터 연장되고 그리고 대략 U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되어 있다. 대략 U자 형상부(266)의 각각은 단부를 갖고 있다. 대략 U자 형상부(266)의 단부는, 잠금 바(260)가 제2 하우징(2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해지도록 제2 하우징(220)에 지지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하우징(220)에는, 각각 피유지부(264)와 대응하도록 제2 하우징(220)으로부터 돌출된 2개의 "차양부"(eaves portion;2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차양부(224)는, 수직 방향(Z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의해 나타나는 차양부(224)는, 피치 방향(Y방향) 및 전후 방향(X방향)과 경사진 에지(226)를 갖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의 끼워 맞춤 상태를 잠금 바(260)가 잠금했을 때, 에지(226)는, 잠금 바(260)의 대응하는 피유지부(264)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를 전반적으로 작게 하면, 2개의 커넥터를 서로 끼워 맞추도록 유지하는 힘은 작아진다. 따라서, 서로 끼워 맞춰져 있는 커넥터가 의도하지 않고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또는, 커넥터를 서로 끼워 맞추려고 할 때의 조작상의 곤란성을 회피하기 위해, 잠금 바(260)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제2 쉘(230)은, 상측 쉘(240)과 하측 쉘(250)을 구비하고 있다. 제2 하우징(220)은 제2 쉘(23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다.
상측 쉘(240)은, 제2 하우징(220)의 형성시에 인서트 성형됨으로써, 제2 하우징(220)에 대하여 조입(incorporate)된 것이다. 이 상측 쉘(240)의 일부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하우징(220)의 차양부(224)에 조입되게, 상측 쉘(240)에 보호부(244)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부(244)는, 차양부(224)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양부(224)와 보호부(244)로 잠금 유지부(270)가 구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잠금 유지부(270)의 표면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부(244)에 의해 부분적으로 보호되어 있다. 잠금 유지부(270)는, 후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잠금 바(260)에 의한 끼워 맞춤 상태의 잠금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측 쉘(250)은, 상측 쉘(240)과 달리 인서트 성형되어 있지 않다. 하측 쉘(250)은, 케이블(50)이 제2 커넥터(200)에 접속된 후, 제2 커넥터(200)의 하측에 부착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50)의 실드선(54)을 그랜드 바(70)에 접속하고, 신호선(52)을 제2 콘택트(210)에 접속함으로써, 케이블(50)이 제2 커넥터(200)에 접속된다. 하측 쉘(250)을 제2 하우징(220)의 저면에 부착하고, 그 때에, 하측 쉘(250)은 상측 쉘(240)에 접속된다. 하측 쉘(250)에는 납땜부(254)가 형성되어 있고, 납땜부(254)가 그랜드 바(70)에 납땜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케이블(50)의 실드선(54)에 대하여, 제2 쉘(230)(하측 쉘(250))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커넥터 조립체(10)의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를 서로 끼워 맞추기 위한 끼워 맞춤 동작 및, 그 끼워 맞춤 상태를 잠금하기 위한 잠금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200)는, 끼워 맞춤 동작 전에는, 초기 위치로서 제1 커넥터(100) 상방의 분리 위치에 놓여 있다. 제2 커넥터(200)를, 초기 위치로부터, 도 2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소정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제1 커넥터(100)를 향하여 이동시킨다(즉,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제2 커넥터(200)가 소정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140)에 의해 지지된 접점부(142)가 하측 쉘(250)에 밀어붙여져, 제1 쉘(130)과 제2 쉘(230)이 서로 접속한다.
도 2, 도 5 및 도 7에 나타나는 제2 커넥터(200)를 제1 커넥터(100)에 대하여 수평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시키고(구체적으로는, +X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 그에 의해 도 3, 도 6 및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를 끼워 맞춘다. 제2 커넥터(200)의 제1 커넥터(100)에 대한 상대 이동 동안, 도 7 및 도 8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접점부(142)는 하측 쉘(250) 상을 미끄럼 이동한다. 접점부(142)가 충분한 스프링력을 갖는 스프링부(140)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점에서, 접점부(142)가 미끄럼 이동하는 동안, 접점부(142)와 하측 쉘(250)의 접촉은 유지된 채로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잠금 바(260)를 조작함으로써,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수평 이동한다. 상세하게는, 도 2, 도 5 및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200)가 소정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잠금 바(260)를 제1 커넥터(100)의 후방을 향하여 쓰러뜨리도록 회동시킨다. 잠금 바(260)의 대략 U자 형상부(266)가 가이드부(138)에 닿아 눌려지고, 그에 의해 제2 하우징(220)이 +X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2 커넥터(200)는, 제1 커넥터(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수평 이동한다. 잠금 바(260)를 추가로 쓰러뜨리면, 제2 커넥터(200)는, 대략 U자 형상부(266)가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잠금 수용부(136)에 대하여 밀어붙여지기까지(끼워 맞춤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수평 방향으로 계속 움직인다. 잠금 바(260)의 대략 U자 형상부(266)는, X방향(수직 방향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잠금 수용부(136)의 수직면에 밀어붙여진다. 다음으로, 잠금 수용부(136)에 대하여 밀어붙여진 잠금 바(260)에 의해,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와의 끼워 맞춤 상태가 잠금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잠금 유지부(270)는, 차양부(224)의 에지(226)에 대하여 보호부(244)를 조입하여 형성되어 있고, 수직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2 하우징(22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잠금 바(260)는, 잠금 바(260)를 쓰러뜨리는 과정에 있어서, 잠금 바(260)가 잠금 수용부(136)에 밀어붙여지기 전에 일시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잠금 바(260)의 피유지부(264)가 잠금 유지부(270)를 넘는다.
도 3, 도 6 및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에 끼워 맞춰져 있을 때, 잠금 바(260)의 피유지부(264)는 잠금 유지부(270)의 경사진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잠금 유지부(270)는, 끼워 맞춤 상태의 잠금이 유지되어 있을 때, 수직 방향과 경사진 방향에 있어서 잠금 바(26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잠금 바(260)의 대략 U자 형상부(266)가 잠금 수용부(136)에 대하여 전후 방향(X방향)에 있어서 밀어붙여져 있는 점에서, 잠금 유지부(270)는 적어도 수직 방향(Z방향)과 전후 방향(X방향)의 쌍방에 경사진 방향에 있어서 잠금 바(260)의 피유지부(264)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유지부(264) 및 잠금 유지부(270)의 에지(226)가 피치 방향(Y방향) 및 전후 방향(X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도 12의 잠금 유지부(270)는, 수직 방향(Z방향), 피치 방향(Y방향) 및 전후 방향(X방향) 모두에 경사진 방향에 있어서, 잠금 바(260)의 피유지부(264)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잠금 바(260)가 재차 변형되어 잠금 바(260)의 피유지부(264)가 잠금 유지부(270)를 넘어 되돌아오지 않는 한, 잠금 바(260)에 의한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의 끼워 맞춤 상태의 잠금이 유지된다. 바꿔 말하면, 잠금 유지부(270)는, 잠금 바(260)가 잠금 수용부(136)에 밀어붙여져 있을 때, 잠금 바(260)가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하여 끼워 맞춤 상태의 잠금을 유지한다. 또한, 잠금 바(260)의 피유지부(264)가 잠금 유지부(270)를 넘을 때, 잠금 바(260)의 조작자는, 잠금 바(260)의 일시적인 변형 등에 의한 클릭감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잠금 상태의 유지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특히, 피유지부(264)는, 스프링 등과 비교하여 딱딱하고(적어도 탄력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고), 피치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짧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클릭감은, 피유지부(264)가 쉘 등에 형성된 스프링 형상의 부위를 넘을 때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피유지부(264)가 잠금 유지부(270)를 넘을 때에 발생한다. 따라서, 끼워 맞춤 상태의 잠금의 유지가 이루어졌는지 아닌지를 조작자가 이해하는 것이 한층 용이해진다.
본 발명은 2010년 2월 23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2010-37856호에 기초하고 있고, 그 내용은 참조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9)

  1. 서로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제1 커넥터는, 복수의 제1 콘택트와, 제1 하우징과, 제1 쉘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콘택트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 정렬 유지되어 있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고,
    상기 제1 쉘은 스프링부와 접점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피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치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스프링부에 의해 상기 피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제2 쉘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끼워 맞춰질 때, 상기 제2 쉘이 적어도 상기 제1 쉘의 상기 접점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쉘과 상기 제2 쉘이 서로 접속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회로 기판 상에 탑재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쉘은, 저판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저판부는,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회로 기판 상에 탑재될 때에 상기 회로 기판과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저판부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쉘은, 상기 저판부로부터 연장되는 단자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전반부(front half part)와 후반부(rear half part)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콘택트를, 주로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후반부에 유지하고 있고,
    상기 저판부는, 상기 피치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주로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전반부에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쉘은, 1개의 스프링부와 1개의 접점부를 구비하는 콘택트를 적어도 2조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쉘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상기 스프링부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잠금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커넥터는, 복수의 제2 콘택트와, 제2 하우징과, 잠금 바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콘택트는 상기 제2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잠금 바는,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turn) 가능해지도록 상기 제2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고,
    상기 제2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가 끼워 맞춤하고 있는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바를 쓰러뜨리도록 회동하면, 상기 잠금 바는 상기 잠금 수용부에 밀어붙여져, 이에 의해 상기 잠금 바는 상기 끼워 맞춤 상태를 잠금하는 커넥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잠금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잠금 유지부는, 상기 잠금 바가 상기 잠금 수용부에 밀어붙여지고 있을 때, 상기 잠금 바가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하여 상기 끼워 맞춤 상태의 상기 잠금을 유지하는 커넥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상태가 잠금되어 있을 때, 상기 잠금 바는 수직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용부에 밀어붙여져 있고,
    상기 끼워 맞춤 상태의 상기 잠금이 유지되어 있을 때, 상기 잠금 유지부는 상기 수직 방향과 경사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바의 위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상태가 잠금되어 있을 때, 상기 잠금 바는 상기 잠금 수용부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용부에 밀어붙여져 있고,
    상기 끼워 맞춤 상태의 상기 잠금이 유지되어 있을 때, 상기 잠금 유지부는 상기 수직 방향 및 상기 전후 방향과 경사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바의 위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상태의 상기 잠금이 유지되어 있을 때, 상기 잠금 유지부는 상기 수직 방향,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피치 방향과 경사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바의 위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조립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유지부는, 수직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유지부의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부에 의해 보호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2 쉘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바를 쓰러뜨리도록 회동할 때, 상기 잠금 바는 상기 잠금 유지부를 넘기 위해 변형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제1 커넥터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제1 커넥터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커넥터를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에 놓은 후, 상기 제2 커넥터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에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커넥터를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 위치에 놓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바가 상기 잠금 수용부에 밀어붙여지기까지 상기 잠금 바를 쓰러뜨리도록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커넥터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에 의해,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에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의 제1 커넥터로서 사용 가능한 커넥터.
  19.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의 제2 커넥터로서 사용 가능한 커넥터.
KR1020110011305A 2010-02-23 2011-02-09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 KR101184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37856A JP4922420B2 (ja) 2010-02-23 2010-02-23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10-037856 2010-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628A true KR20110097628A (ko) 2011-08-31
KR101184354B1 KR101184354B1 (ko) 2012-09-20

Family

ID=44476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305A KR101184354B1 (ko) 2010-02-23 2011-02-09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88370B2 (ko)
JP (1) JP4922420B2 (ko)
KR (1) KR101184354B1 (ko)
CN (1) CN102195198B (ko)
TW (1) TWI43446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748B1 (ko) * 2012-02-01 2013-10-01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US10054595B2 (en) 2013-09-27 2018-08-21 Ilbs Co., Ltd. Blood sugar managing watch and blood sugar manag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5516B2 (ja) * 2008-09-09 2010-08-04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コネクタ装置
JP5530278B2 (ja) * 2010-03-30 2014-06-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5090502B2 (ja) * 2010-06-30 2012-12-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5182334B2 (ja) * 2010-08-02 2013-04-1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13349B2 (ja) * 2011-03-29 2015-11-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接続対象物
JP5507507B2 (ja) * 2011-08-11 2014-05-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装置及びこの電気コネクタ装置に用いられるコネクタ
EP2590272B1 (en) * 2011-11-03 2014-05-21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TWI462688B (zh) * 2012-03-19 2014-11-21 Panasonic Corp 滑接導線用托架
CN103247913A (zh) * 2013-04-25 2013-08-14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快扣式板对板连接器组件
US9112302B2 (en) * 2013-05-02 2015-08-1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JP6249676B2 (ja) * 2013-08-21 2017-12-20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電気コネクタ
JP6156641B2 (ja) 2013-09-03 2017-07-05 第一精工株式会社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JP5716933B2 (ja) * 2013-10-04 2015-05-13 第一精工株式会社 配線基板連結装置
JP6380741B2 (ja) * 2014-06-20 2018-08-29 第一精工株式会社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JP6056830B2 (ja) * 2014-10-10 2017-01-1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JP2016143497A (ja) * 2015-01-30 2016-08-0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コネクタ
US9939483B2 (en) * 2015-10-07 2018-04-10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nnector mating assurance system and method
JP6741040B2 (ja) * 2018-05-10 2020-08-19 第一精工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装置
JP6658798B2 (ja) 2018-06-05 2020-03-0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CN208797213U (zh) * 2018-06-08 2019-04-26 安费诺电子装配(厦门)有限公司 一种带旋转锁杆的线端连接器及连接器组件
CN110611221B (zh) * 2018-06-14 2021-02-26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锁固结构及采用该锁固结构的线缆接头组件
JP7202937B2 (ja) * 2018-12-19 2023-01-1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CN111555067B (zh) * 2020-04-15 2022-03-04 东莞立讯技术有限公司 连接器
JP7404142B2 (ja) * 2020-04-17 2023-12-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ハーネス及び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9342A (ja) * 2003-06-27 2005-01-20 Jst Mfg Co Ltd 同軸ケーブルの電気コネクタ及び同軸ケーブル付き電気コネクタ
CN2718838Y (zh) * 2004-04-09 2005-08-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CN2736999Y (zh) * 2004-09-23 2005-10-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JP4090060B2 (ja) 2004-12-20 2008-05-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244732A (ja) * 2005-02-28 2006-09-14 Molex Inc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889243B2 (ja) * 2005-06-09 2012-03-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装置
JP2008016212A (ja) * 2006-07-03 2008-01-24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JP4286279B2 (ja) 2006-10-31 2009-06-24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装置
SG145604A1 (en) 2007-03-08 2008-09-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onnector apparatus
JP4900707B2 (ja) 2007-04-26 2012-03-21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522440B2 (ja) * 2007-07-26 2010-08-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搭載用コネクタ及びその相手方コネクタ並びにそれらを備えた電子機器
JP4391560B2 (ja) * 2007-11-29 2009-12-2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コネクタ
KR101457127B1 (ko) * 2008-05-09 2014-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4691738B2 (ja) * 2008-09-01 2011-06-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シールド機能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JP4515516B2 (ja) 2008-09-09 2010-08-04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コネク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748B1 (ko) * 2012-02-01 2013-10-01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US10054595B2 (en) 2013-09-27 2018-08-21 Ilbs Co., Ltd. Blood sugar managing watch and blood sugar manag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03736A (en) 2012-01-16
CN102195198B (zh) 2013-06-12
US20110207356A1 (en) 2011-08-25
JP4922420B2 (ja) 2012-04-25
US8388370B2 (en) 2013-03-05
CN102195198A (zh) 2011-09-21
TWI434466B (zh) 2014-04-11
KR101184354B1 (ko) 2012-09-20
JP2011175798A (ja) 201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354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
CN110021854B (zh) 连接器壳体以及连接器
US1021157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locking structures thereof
US9905944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KR102144862B1 (ko) 전기 커넥터, 및 스퀴브의 접속 장치
KR101797951B1 (ko) 커넥터
JP3122004U (ja) 電気コネクタ
US8777651B2 (en) Connector
JP7144305B2 (ja) コネクタ組立体
CN111162403B (zh) 连接器及线束
JP6859998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JP2009134947A (ja) 基板コネクタ
JP6750540B2 (ja) シールド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8006183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WO2015068692A1 (ja) 端子金具、及び、それを備える電気コネクタ
KR101313748B1 (ko) 커넥터
JP5134098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コネクタ組立体
US825170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able fixation
JP7028024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JP5181944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8311100A (ja) 電気コネクタ
JP2006107992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JP6520417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JP2022105124A (ja) 電気コネクタ
JP2022171889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