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566A - Hif-1 단백질 축적의 억제제 - Google Patents

Hif-1 단백질 축적의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566A
KR20110096566A KR1020117015381A KR20117015381A KR20110096566A KR 20110096566 A KR20110096566 A KR 20110096566A KR 1020117015381 A KR1020117015381 A KR 1020117015381A KR 20117015381 A KR20117015381 A KR 20117015381A KR 20110096566 A KR20110096566 A KR 20110096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phenyl
group
compound
angiogene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립프 바브니츠
마티아스 겔링
토마스 헨켈
엠. 린하르트 슈미츠
Original Assignee
인터메드 디스커버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메드 디스커버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인터메드 디스커버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96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e.g. coumaran, bufuralol, befunolol, clobenfurol, amioda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6Central respiratory anale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disorders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8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gonadal disorders or for enhancing fertility, e.g. inducers of ovulation or of spermatogen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07/78Benzo [b] furans; Hydrogenated benzo [b] fur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07/93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a ring other than six-membe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docri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He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Fura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관신생-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시클로펜타벤조푸란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HIF-1 단백질 축적의 억제제 {INHIBITORS OF HIF-1 PROTEIN ACCUMULATION}
본 발명은 혈관신생-관련 장애, 바람직하게는 폐 고혈압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해 유용한 시클로펜타벤조푸란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저산소증-유도가능한 인자 1 (HIF-1)은, 세포 불멸화, 줄기 세포 풀의 유지, 세포 탈분화, 적혈구형성, 유전자 불안정성, 맥관형성, 대사 재프로그램화, 자가 성장 인자 신호화 및 침습/전이를 포함하여, 저산소증에 대한 적응 반응의 주요 측면에 관련된 몇 가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 인자이다.
HIF-1 전사 인자는 산소-조절된 HIF-1α 및 구성적 발현된 HIF-1β에 의한 헤테로이량체로서 형성된다. 후자는 표적 유전자의 중복 배터리를 조절하는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관련된 HIF-2α 단백질과 이량체화된다. HIF-1 복합체는 예를 들어 VEGF, EPO, LDH, PDK1 등과 같은 많은 유전자의 발현을 매개하고, 이것은 상기 언급된 생물학적 과정 내에서 주요 매개인자인 것으로 간주된다.
HIF-1의 전사 활성은 저산소증 자극에 의해 밀접하게 조절된다. 정상산소증 (약 20% O2) 조건 하에서, 프롤릴 히드록실라제 (PHD)에 의한 산소 매개 프롤릴 히드록실화에 대한 대상으로서 HIF-1α (뿐만 아니라 HIF-2α)는 높은 회전율의 기초가 된다 (반감기: 약 5분). PHD에 의한 변형은 본 히펠-린다우(von Hippel-Lindau) 종양 억제인자 단백질 (VHL)의 결합을 위해 필요하고, 이것은 엘론긴(Elongin) C에 결합하며 이에 의해 유비퀴틴화를 위해 HIF-1α를 표적화하는 유비퀴틴 리가제 복합체를 회복시킨다. 유비퀴틴화 HIF-1α 단백질은 프로테오솜 복합체에 의해 분해된다. 반대로, 히드록실화 및 유비퀴틴화의 비율은 저산소증 조건 하에서 감퇴되고, 그 결과 예를 들어 HIF-1α의 니트로실화에 의한 축적 및 안정화가 얻어진다 (도 1a 참조: 저산소증 또는 VEGF 자극에 기인한 HIF-1 단백질 매개된 (전구-혈관신생) 활성을 나타내는 도면).
HIF-1 단백질 의존성 전사의 특정한 조절은 맥관형성 및 혈관 재형성의 특정한 조절/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병리학적 맥관형성 및 혈관 재형성은 다수의 인간 장애, 예컨대 암 (즉, 종양 맥관형성) 또는 폐 고혈압과 관련되고, 예를 들어 산소의 부족 (저산소증; 도 1a 비교)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HIF-1 활성은 연속 저산소증, 간헐적 저산소증, 성장 인자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유도되고, 예를 들어 만성 연속적 및 간헐적 저산소증에 대한 부적응 반응을 매개하고, 이것이 폐 고혈압 및 전신 고혈압증의 발생의 기초가 된다 (문헌 [Semenza GL. Physiology (Bethesda), 2009; 24: 97-106] 참조). 매우 최근들어, HIF-1, EPO 및 VEGF 활성은 유아에서의 폐 고혈압과 관련되었다 [Lemus-Varela ML et al., Expression of HIF-1alpha, VEGF and EPO in peripheral blood from patients with two cardiac abnormalities associated with hypoxia , Clin Biochem, 2009].
HIF-1은 산소-의존적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이에 의해 조직 산소화에서의 변화에 대한 적응 반응을 매개한다. (문헌 [J.J.Haddad, Oxygen-sensing mechanisms and the regulation of redox-responsive transcription factors in development and pathophysiology, Respir Res 2002, 3:26] 및 [G.Semenza, Targeting HIF-1 for Cancer Therapy. NatRevCancer 2003, 3: 721-732] 참조).
HIF-1은 또한 세포 증식 및 혈관신생을 자극하는 VEGF 수용체 과의 리간드인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의 전사 활성화를 자극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문헌 [J.M.G. Larkin and T.Eisen, Renal cell carcinoma and the use of Sorafenib. 2006, Therapeutics and Clinical Risk Management, 2(1): 87-98] 참조). HIF-1의 억제 및 기능 손실이 감소된 종양 성장, 맥관형성 및 전이와 관련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문헌 [G.Semenza, Evaluation of HIF-1 inhibitors as anticancer agents, Drug Discovery Today 2007, 12(19/20): 853-859] 참조).
HIF-1 과다발현은 종양 성장, 맥관형성 증가 및 전이와 관련된 동물 모델에서 관찰되었다. 대부분의 국소 진행된 고형 종양은 산소 이용가능성이 감소된 영역을 함유한다. 이러한 종양내 저산소증은 급속한 암 세포 증식 및 혈관 형성의 혼란의 결과로서 적절한 양의 산소의 확산을 막는 기능성 혈관으로부터 멀리 있는 종양 세포로부터 생긴다. 한편, 생검 부분에서 HIF-1α 과다발현의 면역조직화학 검출은 많은 암에서 전조 인자가 된다. 다양한 분자 메카니즘을 통해서 더 많아지는 수의 신규 항암제가 HIF-1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Semenza G.L.; 2007, Drug Discovery Today, Vol. 12, 19/20, 853-859]. 주어진 환자에게 어떤 약물의 조합을 투여할지를 결정하는 것이 암 치료 결과를 개선하는데 주된 장애물로 남아있다.
이러한 결과와는 반대로, HIF-1 매개 전사의 억제가 반대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고, 따라서 저산소증 및 혈관신생 (신생혈관형성) 관련 장애의 치료를 위한 표적으로서 HIF-1을 인정한다.
HIF-1 작용이 예를 들어 저산소증 및 기타 자극, 예를 들어 VEGF-수용체 신호에 의해 유발된 조절 경로 내에서 더욱 하류에 위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해 표적화된 중재 지점은 예를 들어 시판되는 VEGF-수용체 억제제, 예를 들어 수니티닙, 소라페닙 및 아바스틴에 비해 훨씬 더 특이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도 1b 참조).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VEGF 또는 기타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RTK) 억제제에 비하여 저산소증 유발된 생리학적 신호화를 더욱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영향을 미치거나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신규의 치료 접근법이 고안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치료적 접근법의 조합에 의해 치료법이 최적화 (개인화)될 수 있고 부작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용한 약리학적 작용이 세포막을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항체와 같은 생물학적 물질에 비해 뛰어난 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포유동물 세포 내에서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반면, 항체-기초 효과인자는 세포의 내부에 심지어 접근하는 것도 불가능할 수 있다.
더욱 특정한 질환들이 HIF-1 발현 뿐만 아니라 관련된 Hif 단백질에 의존적인 것으로 당 기술분야로부터 알려져 있다.
자궁내막증은 자궁 강 밖에 자궁외 자궁내막 조직의 존재를 의미한다. 이것은 그들의 생식 기간 동안에 여성에게 걸릴 수 있는 일상적인 질환이다.
Hif-1은 자궁내막증의 조절에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문헌 [Becker et al., 2-Methoxyestradiol Inhibits Hypoxia-Inducible Factor-1alpha and Suppresses Growth of Lesions in a Mouse Model of Endometriosis, Am J Pathol 2008, 172: 534-544] 참조). VEGF 발현의 매개인자로서 VEGF 및/또는 HIF-1 (신호)의 억제제는 예를 들어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및 폐 고혈압과 같은 폐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잠재적인 치료적 접근법으로서 당 기술분야에 기재되어 있다. (문헌 [H.Kanazawa, Role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the pathogenesi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MedSciMonit. 2007, 13(11): RA 189-195] 참조).
당 기술분야에 HIF-1은 저산소증 및 안기오텐신 수용체 발현을 통한 염증 과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문헌 [G.R.Smith, Cancer, inflammation and the AT1 and AT2 receptors, Journal of Inflammation, 2004, 1:3] 참조).
HIF-1은 저산소증-유도된 신장 섬유증 및 ESRD에 대해 치료적 접근을 위한 표적으로서 당 기술분야에 기재되어 있다. (문헌 [M.Nangaku et al., Role of chronic hypoxia and hypoxia inducible factor in kidney Disease. Chinese Medical Journal 2008: 121(3): 257-264, 257] 참조).
HIF-1의 상향 조절이 페로니병과 관련되는 것으로 당 기술분야에 기재되어 있다. (문헌 [M. Lucattelli et al., A new mouse model of Peyronie's disease: an increased expression of hypoxia-inducible factor-1 target genes during the development of penile changes. Int J Biochem Cell Biol. 2008, 40(11):2638-48] 참조).
Hif-1 알파 과다발현이 발기장애와 관련되는 것으로 당 기술분야에 기재되어 있다. (문헌 [M. Lee et al., Efficient gene expression system using the RTP801 promoter in the corpus cavernosum of high-cholesterol diet-induced erectile dysfunction rats for gene therapy. J Sex Med. 2008 Jun;5(6):1355-64] 참조).
당 기술분야에 HIF-1 과다발현이 섬유증을 촉진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문헌 [V.H. Haase, Pathophysiological Consequences of HIF Activation: HIF as a modulator of fibrosis. Ann N Y Acad Sci. 2009,1177:57-65] 참조).
당 기술분야에 저산소증-유도 HIF-1이 공피증의 진행의 기여인자로서 기재되어 있다. (문헌 [K.H. Hong et al., Hypoxia induces expression of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in scleroderma skin fibroblasts. Clin Exp Immunol. 2006, 146(2):362-70] 참조).
당 기술분야에 저산소증에 기인한 HIF-1 과다발현이 임상적으로 ARDS 진행과 관련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문헌 [N. Hirani, The regulation of interleukin-8 by hypoxia in human macrophages--a potential role in the pathogenesis of th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Mol Med. 2001, 7(10):685-97] 참조).
당 기술분야에서 HIF-1은 아테롬성동맥경화증과 관련되어 있다. (문헌 [N. Adhikari et al., Transcription factor and kinase-mediated signaling in atherosclerosis and vascular injury. Curr Atheroscler Rep. 2006, 8(3):252-60] 및 [J.C. Sluimer and M.J. Daemen, Novel concepts in atherogenesis: angiogenesis and hypoxia in atherosclerosis. J Pathol. 2009, 218(1):7-29] 참조). HIF-1 발현은 혈관모세포종과 관련된다. (문헌 [D. Zagzag et al., Expression of hypoxia-inducible factor 1alpha in brain tumors: association with angiogenesis, invasion, and progression. Cancer. 2000, 88(11):2606-18] 및 [M. Krieg et al., Up-regulation of hypoxia-inducible factors HIF-1alpha and HIF-2alpha under normoxic conditions in renal carcinoma cells by von Hippel-Lindau tumor suppressor gene loss of function. Oncogene. 2000, 19(48):5435-43] 참조).
당 기술분야에서 HIF-1 발현은 종양 세포의 전이 표현형을 위한 기여 인자로 기재되어 있다. (문헌 [N. Simiantonaki et al., Hypoxia-inducible factor 1 alpha expression increases during colorectal carcinogenesis and tumor progression. BMC Cancer. 2008, 8:320] 참조).
HIF-1은 황반변성의 치료를 위한 치료 표적으로서 당 기술분야에 기재되어 있다. (문헌 [O. Arjamaa O, Regulatory role of HIF-1alpha in the pathogenesis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Ageing Res Rev. 2009, 8(4):349-58] 참조).
인간에서 약제로서 사용되는 혈관신생 억제제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소라페닙의 사용 (넥사바르(Nexavar)®, 바이엘 헬쓰케어에 의한 상표)이 다른 것들 중에서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 수용체를 억제함으로써 혈관신생 (예를 들어, 종양 맥관형성)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키나제 억제제로서 당 기술분야에 기재되어 있다. (문헌 [J.M.G. Larkin and T. Eisen, Renal cell carcinoma and the use of Sorafenib. 2006, Therapeutics and Clinical Risk Management, 2(1): 87-98] 참조).
수니티닙 (수텐트®, 화이자에 의한 상표, 앞서 SU11248로 배포됨)이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혈소판-유래 성장 인자 수용체,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수용체, KIT, 및 FLT3의 억제를 통하여 직접적인 항종양 및 항-혈관신생 활성을 나타내는 항-혈관신생 효과인자로서 당 기술분야에 기재되어 있다. (문헌 [P. Marzola P et al., Early anti-angiogenic activity of SU11248 evaluated in vivo by dynamic 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an experimental model of colon carcinoma. Clin Cancer Res 2005, 11(16): 5827-32] 및 [S. de Boueard et al., Anti-angiogenic and anti-invasive effects of sunitinib on experimental human glioblastoma. Neuro Oncol. 2007, 9(4):412-23] 참조). PTK787/ZK 222584 (바탈라닙, 노바티스 및 바이엘 쉐링 AG 합작)는 앞서 항-혈관신생 VEGF 수용체 억제제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문헌[A. Alajati et al., Spheroid-based engineering of a human vasculature in mice.. Nat Methods 2008, 5, 439-445] 참조.
다른 VEGF 수용체 억제제는 반데타닙 (작티마(Zactima)®, 아스트라제네카에 의한 상표; 앞서 ZD6474로 배급됨), AZD2171 (레센틴(Recentin)®, 아스트라제네카에 의한 상표) 및 항체 베바시즈맵 (아바스틴®, 제넨테크/로쉐에 의한 상표)이다.
그러나, HIF 억제제로서 사용되는 공지된 VEGF 및 RTK 억제제의 성질은 모든 측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고, 따라서 추가의 HIF 억제제, 특히 저산소증 및 혈관신생 (신생혈관형성) 관련 장애의 치료를 위해 유용한 HIF-1 억제제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화합물에 비해 장점을 가진 화합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화합물은 비교적 낮은 투여량에서 HIF를 효과적으로 억제해야 하고, 혈관신생-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해 유용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 청구범위의 주제에 의해 해결된다.
놀랍게도, 특정한 시클로펜타벤조푸란이 HIF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러한 시클로펜타벤조푸란이 즉 아글라이아(Aglaia) 식물의 다양한 종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로카글라올 또는 로카글라미드로서 일컬어지는 천연 생성물의 부류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다수의 시클로펜타벤조푸란 유도체가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고, 다시 말해서 염증 과정 및 발암에서 주요 역할을 차지하는 NF-KB 전사 인자에 대해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시클로펜타벤조푸란은 강력한 항암제로서 [King, M. A. et al., J. Chem. Soc., Chem. Commun. 1982: 1150-1151], 즉 항-백혈병 제로서 [Lee, S. K. et al., Chem. Biol. Interaet. 1998, 115: 215-228; US 4,539,414] 공지되어 있다. 또한, 시클로펜타벤조푸란 유도체가 통증의 치료를 위해 (WO 2008/014066) 및 염증 및/또는 자기면역 질환의 치료를 위해 (EP 1 693 059; WO 2005/113529; WO 2006/129318) 유용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WO 01/12592는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로서 유용한 히드록삼산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다.
EP 1 016 408은 만성 난치성 염증 및 만성 류마티스 관절염을 포함한 특정 장애를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특정한 C-C 케모카인 생성 억제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HIF-1 의존성 루시페라제 전사의 매우 강력한 (낮은 nM) 억제 및 HIF-1 의존성 표적 유전자 전사 (예를 들어, PDK1)의 한자리 숫자 나노몰 억제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효과는 전사 (mRNA) 수준에서 매개되지 않고 치료 방식 (신호 유도 후 화합물 적용)으로 도달될 수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HIF-의존성 효과는 HIF-1α 단백질 자체의 강력한 억제에 의해 유발되었음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Hif-1a 단백질 특이적인 것으로 밝혀졌고 번역 과정의 비-특이적 억제의 결과는 아니다. 시험관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두자리 숫자 나노몰 IC50에서 HUVEC 발아 (혈관신생; 혈관 형성)의 강력한 억제를 나타낸다. 이러한 시험관내 모델에서, 화합물은 수니티닙 (수텐트®) 및 소라페닙 (넥사바르®)과 같은 시판되는 벤치마크 화합물에 비해 양호하게 작용한다. VEGF 유도된 HUVEC 발아 검정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2.5 내지 6배 인자 만큼 수텐트®에 비해 양호하고 (낮고) 50 내지 100배 인자 만큼 넥사바르®에 비해 양호한 IC50 값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값은 데페록사민에 의해 HUVEC가 유도될 때(저산소증) 더욱 개선된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화합물의 IC50은 33 내지 100의 인자만큼 수텐트®에 비해 양호한 반면, 넥사바르®는 이러한 활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저산소증 및 VEGF 자극 (경로: 도 1a 및 1b 참조)이 일부 특징을 공유하지만 상당한 차이를 갖는다는 것을 증명하고,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예를 들어 신생혈관형성 및/또는 혈관 재형성의 치료에 대해 예를 들어 수니티닙 (수텐트®) 및 소라페닙 (넥사바르®)와 같은 VEGF 수용체 억제제에 비하여 완벽히 새로운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VEGF/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또는 HIF-1 신호화의 기타 상류 조절인자의 일반적인 부작용은 예를 들어 설사, 습진, 모발 손실, 출혈, 고혈압, 갑상선기능저하증, 오심, 구토, 홍반, 가려움, 피로, 통증 및 아밀라제 및 리파제 활성 증가이다.
그러나, HIF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시클로펜타벤조푸란이 문헌에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비뇨생식관의 질환, 눈 질환, 폐 질환, 신장 질환, 골관절염 및 류마티스성 장애; 특히 바람직하게는 폐 고혈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혈관신생-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생리학상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H; -F; -Cl; -Br; -I; -NO2; -CN; -OH; -O-C1-8-알킬; -O-페닐; -O-C1 -8-알킬-페닐; -O-C(=O)-C1 -8-알킬; -O-C(=O)-페닐; 산소 원자 중 하나를 통해 결합된 -C5 -12-탄수화물; 6-(1,2-디히드록시-에틸)-3-메톡시-2-히드록시-1,4-디옥산-2-일을 나타내거나; 또는
R1 및 R2 또는 R2 및 R3 또는 R3 및 R4는 이들이 결합된 2개의 탄소 원자와 함께 -O-CH2-O-를 가진 5-원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O-CH2-CH2-O-를 가진 6-원 고리를 형성하는 반면, 다른 라디칼 R1 내지 R4는 상기 언급된 것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5 및 R6은 페닐이고;
R7은 -OH; -O-C1 -12-알킬; -O-페닐; -O-C1 -8-알킬-페닐; -O-C(=O)-C1 -8-알킬; -O-C(=O)-페닐이고;
R8은 -H; -OH; -O-C1 -8-알킬; -O-페닐; -NH2; -NH-C1 -8-알킬; -N(C1 -8-알킬)2이고;
R9는 -H; -C(=O)-OH; -C(=O)-O-C1 -8-알킬; -C(=O)-O-페닐; -C(=O)-C1 -8-알킬; -C(=O)-O-C1-8-알킬; -C(=O)-NH2; -C(=O)-NH-C1 -8-알킬; -C(=O)-N(C1 -8-알킬)2이거나; 또는 -C(=O)-헤테로시클릴을 나타내고, 상기 헤테로시클릴은 C(=O)-기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N-원자를 함유하고;
R10 및 R11은 -H이거나; 또는
R8 및 R10은 함께 =O, =S 또는 =NR15을 나타내거나,
(여기에서 R15는 -C1 -8-알킬; -OH; -O-C1 -8-알킬; 또는 -O-페닐임)
또는 R10 및 R11이 함께 단일 결합을 형성하고 R8 및 R9가 함께 화학식 II의 기를 형성하고;
<화학식 II>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1*은 R8을 통한 결합이고,
2*는 R9를 통한 결합이고,
점선은 단일 또는 이중 결합이고, 여기에서 이중 결합의 경우에 R12는 존재하지 않으며,
R12는 -H 또는 -C1 -3-알킬이고;
R13은 -H; -C1 -8-알킬; -OH; -O-C1 -8-알킬; 또는 -O-페닐이고;
R14는 -H, -C1 -8-알킬이거나; 또는
R13 및 R14는 이들이 결합된 탄소 및 질소 원자와 함께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알킬"은 각각의 경우에 비치환되거나, 또는 -F, -Cl, -Br, -I, -OH, -OCH3, -OCH2CH3, -O-CH2-페닐, -OC(=O)CH3, -CHO, -CO2H, -NH2, -NH-(C1 -8-알킬), -NH-(페닐), -NH-(CH2-페닐), -N(C1 -8-알킬)2 및 헤테로시클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여기에서 상기 헤테로시클릴은 알킬 잔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N-원자를 함유하며,
여기에서 "페닐"은 각각의 경우에 비치환되거나, 또는 -F, -Cl, -Br, -I, -OH, -OCH3, -OCH2CH3, -OC(=O)CH3, -CN, -NO2, -NH2, -CH3, CF3, -CHO 및 -CO2H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치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알킬" 또는 "C1 -8-알킬"은 포화 또는 불포화, 직쇄 또는 분지쇄 및/또는 고리형 탄화수소를 가리킨다. 따라서 용어 "알킬"은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 뿐만 아니라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및 "시클로알키닐"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알킬 잔기의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sec-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n-펜틸, n-헥실, n-헵틸 및 n-옥틸이다. 바람직한 알케닐 잔기의 예는 비닐, 알릴 및 부타디에닐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알키닐 잔기의 예는 에티닐 및 프로파르길을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시클릭 탄화수소가 적어도 3개의 고리 원자의 존재를 필요함을 인식한다. 바람직한 시클로알킬 잔기의 예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헥실이다. 알킬 잔기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F, -Cl, -Br, -I, -OH, -OCH3, -OCH2CH3, -O-CH2-페닐, -OC(=O)CH3, -CHO 및 -CO2H, -NH2, -NH-(C1 -8-알킬), -NH-(페닐), -NH-(CH2-페닐), -N(C1 -8-알킬)2 및 헤테로시클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여기에서 상기 헤테로시클릴은 알킬 잔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N-원자를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아지리디닐,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및 피페리디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NH(C1-8-알킬)은 -NH(CH3), -NH(CH2CH3) 및 -NH(CH(CH3)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N(C1 -8-알킬)2는 -N(CH3)2, -N(CH2CH3)2, N(CH(CH3)2)2 및 -N(C3H7)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치환된 알킬 잔기의 예는 -CF3, -CH2CH2-OCH3, -CH2CH2NH2, -CH2CH2-NH(CH3), -CH2CH2-N(CH3)2, -CH2CH2-NH(CH2CH3), -CH2CH2-N(CH2CH3)2, -CH2-CH2-피롤리디닐, -CH2CH2CH2-피롤리디닐, -CH2CH2CH2-아제티디닐 및 -CH2CH2CH2-아지리디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페닐"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F, -Cl, -Br, -I, -OH, -OCH3, -OCH2CH3, -OC(=O)CH3, -CN, -NO2, -NH2, -CH3, -CF3, -CHO 및 -CO2H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치환된 벤젠 잔기, 예컨대 페닐, o-플루오로페닐, m-플루오로페닐, p-플루오로페닐, o-클로로페닐, m-클로로페닐, p-클로로페닐, o-아니실, m-아니실, p-아니실 등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헤테로시클릴" 또는 "헤테로고리"란 N, O 및 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헤테로원자, 바람직하게는 N을 함유하는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3- 내지 7-원 고리, 즉 3-, 4-, 5-, 6- 또는 7-원 고리를 가리키고, 여기에서 상기 고리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OCH3, -OCH2CH3, -OC(=O)CH3, -OC(=O)CH2CH3, -OC(=O)CH2(CH3)2, -NHC(=O)CH3, -NHC(=O)CH2CH3, -NHC(=O)CH(CH3)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기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헤테로시클릴 또는 헤테로고리의 예는 아지리디닐,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이미다졸릴,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및 피리디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탄수화물" 또는 "C5 -12-탄수화물"은 각각 임의로 데스옥시 형태로 있는 1 또는 2개의 펜토스 (C5-탄수화물 또는 C10-탄수화물) 및/또는 1 또는 2개의 헥소스 (C6-탄수화물 또는 C12-탄수화물)로 구성된 단당류 또는 이당류를 가리키고, 각각의 형태에서 이당류는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서로에 연결되고, 비치환되거나, 또는 메틸, 에틸, 아세틸, 벤조일 또는 3,4,5-트리히드록시벤조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4 또는 5개 치환기로 치환된다. 바람직한 펜토스의 예는 각각 피라노시드 또는 푸라노시드 형태의 자일로스, 아라비노스이다. 바람직한 헥소스의 예는 각각 피라노시드 또는 푸라노시드 형태의 글루코스, 6-데옥시글루코스, 람노스이다. 바람직한 글리코시드 연결의 예는 1 → 4 및 1 → 6이다. "탄수화물" 또는 "C5 -12-탄수화물" 잔기는 산소 원자 중 하나를 통해 고급 화학식에 결합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생리학상 허용되는 염은 생리학상 허용되는 산과의 염 뿐만 아니라 생리학상 허용가능한 염기와의 염을 포함한다. 생리학상 허용되는 산은 HCl, HBr, H2SO4, H3PO4 등과 같은 무기 산; 및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시트르산, 말레산, 말산, 젖산, 푸마르산 등과 같은 유기 산을 포함한다. 생리학상 허용되는 염기는 암모니아 및 유기 아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입체이성질체, 예컨대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형태, 염, 용매화물, 예컨대 수화물, 다형체 등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H; -F; -Cl; -Br; -I; -NO2; -CN; -OH; -O-C1-8-알킬; -O-페닐; -O-C1 -8-알킬-페닐; -O-C(=O)-C1 -8-알킬; -O-C(=O)-페닐; 산소 원자 중 하나를 통해 결합된 -C5 -12-탄수화물; 6-(1,2-디히드록시-에틸)-3-메톡시-2-히드록시-1,4-디옥산-2-일을 나타내거나; 또는
R1 및 R2 또는 R2 및 R3 또는 R3 및 R4는 이들이 결합된 2개의 탄소 원자와 함께 -O-CH2-O-를 가진 5-원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O-CH2-CH2-O-를 가진 6-원 고리를 형성하는 반면, 다른 라디칼 R1 내지 R4는 상기 언급된 것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8은 -H; -OH; -O-C1 -8-알킬; -O-페닐; -NH2; -NH-C1 -8-알킬; -N(C1 -8-알킬)2이고;
R9는 -H; -C(=O)-OH; -C(=O)-O-C1 -8-알킬; -C(=O)-O-페닐; -C(=O)-C1 -8-알킬; -C(=O)-O-C1-8-알킬; -C(=O)-NH2; -C(=O)-NH-C1 -8-알킬; -C(=O)-N(C1 -8-알킬)2이거나; 또는 -C(=O)-헤테로시클릴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상기 헤테로시클릴은 C(=O)-기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N-원자를 함유하고;
R10 및 R11은 -H이거나; 또는
R8 및 R10은 함께 =O, =S 또는 =NR15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R15은 -C1 -8-알킬; -OH; -O-C1 -8-알킬; 또는 -O-페닐임).
화학식 I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화학식 Ia, Ib, Ic 또는 Id이다:
Figure pct00003
화학식 I 또는 Ia 중 하나에 따른 화합물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H; -F; -Cl; -Br; -I; -NO2; -CN; -OH; -O-C1-8-알킬; -O-페닐; -O-C1 -8-알킬-페닐; -O-C(=O)-C1 -8-알킬; -O-C(=O)-페닐을 나타내고;
R5 및 R6은 페닐이고;
R7 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OH 또는 -O-C1 -8-알킬이고;
R9, R10 및 R11은 -H이다.
화학식 I, Ia 또는 Ib 중 하나에 따른 화합물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H; -F; -Cl; -Br; -I; -NO2; -CN; -OH; -O-C1-8-알킬; -O-페닐; -O-C1 -8-알킬-페닐; -O-C(=O)-C1 -8-알킬; -O-C(=O)-페닐을 나타내고;
R5 및 R6은 페닐이고;
R7은 -OH 또는 -O-C1 -8-알킬이고;
R8은 -OH이고;
R9, R10 및 R11은 -H이다.
화학식 I, Ia, Ib, Ic 또는 Id 중 하나에 따른 화합물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H; -F; -Cl; -Br; -I; -NO2; -CN; -OH; -O-C1-8-알킬; -O-페닐; -O-C1 -8-알킬-페닐; -O-C(=O)-C1 -8-알킬; -O-C(=O)-페닐을 나타내고;
R5 및 R6은 페닐이고;
R7 및 R8은 -OH이고;
R9, R10 및 R11은 -H이다.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R1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H; -OH; -O-C1 -8-알킬; -O-페닐; -O-C1 -8-알킬-페닐; -O-C(=O)-C1 -8-알킬; -O-C(=O)-페닐을 나타내고;
단, 라디칼 R1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H가 아니고;
R2 및 R4는 -H이고;
R5 및 R6은 페닐이고;
R7 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OH 또는 -O-C1 -8-알킬이고;
R9, R10 및 R11은 -H이다.
화학식 I, Ia, Ib, Ic 또는 Id 중 하나에 따른 화합물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R1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H; -OH; -O-C1 -8-알킬; -O-페닐; -O-C1 -8-알킬-페닐; -O-C(=O)-C1 -8-알킬; -O-C(=O)-페닐을 나타내고;
단, 라디칼 R1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H가 아니고;
R2 및 R4는 -H이고;
R5 및 R6은 페닐이고;
R7 및 R8은 -OH이고;
R9, R10 및 R11은 -H이다.
화학식 I, Ia, Ib, Ic 또는 Id 중 하나에 따른 화합물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R1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H; -OH; -O-C1 -8-알킬; -O-페닐; -O-C1 -8-알킬-페닐을 나타내고;
단, 라디칼 R1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H가 아니고;
R2 및 R4는 -H이고;
R5 및 R6은 페닐이고;
R7 및 R8은 -OH이고;
R9, R10 및 R11은 -H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화학식 Ie이다:
<화학식 Ie>
Figure pct00004
화학식 Ie에 따른 화합물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R1은 -H; 비치환되거나, 또는 -OCH3, -OCH2CH3, -NH2, -NH(CH3), -NH(CH2CH3)-, N(CH3)2, -N(CH2CH3)2,
Figure pct00005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된 -O-C1-18-알킬; 비치환된 -O-CH2-페닐; 바람직하게는 -N(CH3)2 또는
Figure pct00006
로 치환된 -OCH2CH2-를 나타내고;
R3은 -OH; 비치환된 -O-페닐; 비치환되거나, 또는 -F, -Cl, -OCH3, -OCH2CH3, -NH2, -NH(CH3), -NH(CH2CH3), -NH(CH(CH3)2), -NH(C(CH3)3), -NH(CH2-페닐) 또는 -NH(페닐) (여기에서 각각의 경우에 페닐은 비치환된다), -N(CH3)2, -N(CH2CH3)2,
Figure pct00007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된 -O-C1 -8-알킬; 비치환된 -O-CH2-페닐을 나타내고;
R5 및 R6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F, -Cl, -Br, -I, -OH, -OCH3, -NH2, -CH3 및 -CF3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이다.
본 발명에 따르고 화학식 If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을 하기 표 (표 1)에 요약한다:
<화학식 If>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g에 따른다.
<화학식 Ig>
Figure pct00012
상기 식에서,
R1은 -H 및 -OCH3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H; -CH2NHCH3; -CH2N(CH3)2; 및
Figure pct00013
로 치환된 -CH2-로부터 선택되고;
Ra은 -F, -Cl 또는 -OCH3이고;
Rd은 -H, -F 또는 -Cl이다.
화학식 I, Ia, Ib, Ic, Id, Ie, If 또는 Ig 중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1,3,3a,8b)-3-(3-플루오로페닐)-6,8-디메톡시-3a-(4-메톡시페닐)-2,3,3a,8b-테트라히드로-1H-벤조[d]시클로펜타[b]푸란-1,8b-디올 (명세서의 목적을 위해 "IMD-019064"로 일컬어짐):
Figure pct00014
;
(1,3a,8b)-3a-(4-클로로페닐)-3-페닐-6-(2-(피롤리딘-1-일)에톡시)-2,3,3a,8b-테트라히드로-1H-벤조[d]시클로펜타[b]푸란-1,8b-디올 (명세서의 목적을 위해 "IMD-026259"로 일컬어짐, WO 2005/113529, 실시예 33 참조):
Figure pct00015
;
(1,3a,8b)-3a-(4-클로로페닐)-6-(2-(메틸아미노)에톡시)-3-페닐-2,3,3a,8b-테트라히드로-1H-벤조[d]시클로펜타[b]푸란-1,8b-디올 (명세서의 목적을 위해 "IMD-026260"으로 일컬어짐, WO 2005/113529, 실시예 34 참조):
Figure pct00016
;
및 이들의 생리학상 허용되는 염.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은, 혈관신생-관련 장애, 바람직하게는 폐 고혈압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a, 1b, 1c, 1e, 1f 또는 1g의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모든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본 발명에 따른 약제에 적용되고 따라서 이하에서 반복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약제는 상기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및 생리학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은 혈관신생-관련 장애, 바람직하게는 폐 고혈압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하여 상기 기재된 것과 같은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모든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약 조성물에 적용되고, 따라서 이하에서 반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약 조성물은 액체, 예를 들어 용액, 분산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 또는 고체, 예를 들어 분말, 페이스트, 겔 등일 수도 있다.
적절한 생리학상 허용되는 담체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적절한 액체 담체는 물, 에탄올 등을 포함한다. 적절한 고체 담체는 전형적인 제약 부형제, 예컨대 충진제, 결합제, 활택제, 붕해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점에서, 예를 들어 문헌 [D.E.Bugay et al., Pharmaceutical Excipients, Informa Healthcare; 1 edition (1998년 12월 1일)]을 참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약 조성물은 불활성 비-독성 제약상 적절한 보조제, 예컨대 부형제, 용매, 비히클, 유화제 및/또는 분산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하기 보조제는 예를 들어 물, 고체 부형제, 예컨대 분쇄된 천연 또는 합성 미네랄 (예, 탈컴 또는 실리케이트), 당 (예, 락토스), 비-독성 유기 용매, 예컨대 파라핀, 식물성 유 (예, 참깨유), 알콜 (예, 에탄올, 글리세롤), 글리콜 (예,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화제, 분산제 (예,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윤활제 (예, 황산마그네슘)를 언급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대 생리학상 허용되는 담체의 상대적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99.9:0.1 내지 0.1:99.9의 비율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은 혈관신생-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해 상기 기재된 제약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약 투여 형태를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모든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약 투여 형태에 적용되고 따라서 이하에서 반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약 투여 형태는 예를 들어 전신, 국소 또는 국부 투여를 위해 적합할 수도 있다. 전신 투여는 예를 들어 정맥, 흡입 또는 경구 투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비-전신 또는 전신 활성을 나타낼 수 있고, 여기에서 후자가 바람직하다. 전신 활성을 수득하기 위하여,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약 투여 형태를 다른 것들 중에서도 경구, 비경구 또는 흡입으로 투여할 수 있고, 여기에서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비-전신 활성을 수득하기 위하여,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약 투여 형태를 다른 것들 중에서 국소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하여, 점막으로의 투여 (즉, 볼, 혀, 설하, 직장, 비내, 폐, 결막 또는 질내) 또는 체내로의 투여를 위한 제약 투여 형태가 특히 적절하다. 투여는 흡수를 피함으로써 (즉, 심장내, 동맥내, 정맥내, 척수강내 또는 허리내 투여) 또는 흡수를 포함함으로써 (즉, 피내, 피하, 경피, 근육내 또는 복강내 투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약 투여 형태를 그 자체로 또는 제약 투여 형태 (투여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해 적절한 제약 투여 형태는 특히 일반 및 장용성 정제, 캡슐, 당의정, 환제, 과립, 펠릿, 분말, 고체 및 액체 에어로졸, 시럽, 에멀젼, 현탁액 및 용액이다. 비경구 투여를 위해 적절한 제약 투여 형태는 주사 및 주입 용액이다.
활성 화합물은 0.001 내지 100 중량%의 농도로 제약 투여 형태에 존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활성 화합물의 농도는 0.5 내지 90 중량%이어야 하고, 즉 규정된 투여 범위를 허용하기에 충분한 양이어야 한다.
경구 투여의 경우에, 정제는 물론 시트르산나트륨뿐만 아니라 전분, 젤라틴 등과 같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향미 증진제 또는 착색제를 경구 투여를 위한 수성 제제에 첨가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의 경우에 효과적인 결과를 얻기 위하여 약 0.0001 내지 100 mg/kg, 바람직하게는 약 0.001 내지 10 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1 mg/kg 체중의 양을 투여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경구 투여의 경우에, 양은 약 0.001 내지 100 mg/kg,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50 mg/kg 체중이다.
이것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상황에서 다시 말해서 체중, 적용 경로, 활성 성분에 대한 개체의 반응; 제조 방식 및 적용이 수행되는 시간 또는 간격의 함수로서 언급된 양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상기 언급된 최소량 미만을 사용하는 것이 충분할 수 있는 반면, 다른 경우에 언급된 상한선이 초과되어야 할 수도 있다. 더 많은 양을 적용하는 경우에, 이들을 하루에 걸쳐 분산되는 다수의 개별 투여로 나누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하기 시험 및 실시예에서의 퍼센트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고 부는 중량 기준이다. 액체/액체 용액을 위해 기록된 용매 비율, 희석 비율 및 농도는 각각 부피를 기준으로 한다.
제약 투여 형태는 예를 들어 여기에 함유된 활성 화합물의 즉시 방출 또는 서방성 프로파일을 나타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HIF-1 단백질 축적의 억제제이고, 따라서 HIF-1 단백질 축적을 억제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예측불가능하고 유용한 약리학상 및 약동학상 활성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들은 인간 및 동물에서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해 적절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HIF 억제제이고, 다양한 혈관신생-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해 적절하거나 혈관신생-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해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혈관신생-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혈관신생-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해 유용하다.
혈관신생-관련 장애는 바람직하게는 비뇨생식관의 질환, 바람직하게는 여성 생식관의 비-염증성 질환, 자궁의 자궁내막증, 난소의 자궁내막증, 난관의 자궁내막증, 장의 자궁내막증, 흉터의 자궁내막증, 직장질 중격의 자궁내막증, 질의 자궁내막증, 및 골반 복막의 자궁내막증; 눈 질환, 바람직하게는 황반 변성, 난황상 이상증 (베스트병), 망막병증, 당뇨 망막병증, 녹내장, 신경혈관 녹내장, 맥락막 신생혈관형성, 잠재 맥락막 신생혈관형성, 각막의 신생혈관형성, 후수정체 섬유증식증 및 홍채혈관신생; 폐 질환, 바람직하게는 기도 재형성, COPD (만성 폐쇄성 호흡기 장애); ARDS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유아 호흡 곤란 증후군, 폐 고혈압, 폐 사르코이드증, 및 특발성 폐 섬유증; 신장 질환, 바람직하게는 신장병증, 만성 저혈압증 유발 질환, ESRD, 신 섬유증, 신동맥 협착, 및 사구체신염; 골관절염, 바람직하게는 무릎관절증, 고관절증, 다발성관절증, 수근관절증 및 추가의 관절증; 류마티스성 장애, 바람직하게는 류마티스 관절염; 뼈 질환; 바람직하게는 골다공증 및 연골세포 관련 장애; 심근 혈관신생; 전이; 자궁내막증; 상처 치유; 발기 장애, 바람직하게는 페로니 병; 양성 증식 질환, 바람직하게는 양성 종양; 혈관종, 바람직하게는 간 혈관종, 해면 혈관종, 및 글리펠-트레나우니-웨버(KTW) 증후군; 피부병, 바람직하게는 공피증; 빈혈, 바람직하게는 적혈구생성; 전신성 질환; 바람직하게는 전신성 경화; 및 사르코이드증; 내성 감소제, 바람직하게는 방사선민감화, 화학약품민감화, 및 약물 내성 감소제; 소아 악성종양; 조직 조작; 세포고사 자극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폐 고혈압, 폐 사르코이드증, 및 특발 폐 섬유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폐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질환은 일반적으로 혈관신생-관련으로 간주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명세서의 목적을 위하여, 용어 "폐 고혈압", "폐 사르코이드증" 및 "특발 폐 섬유증"이란 각각 이들이 혈관신생-관련되든지 아니든지 여부에 무관하게 폐 고혈압, 폐 사르코이드증 및 특발 폐 섬유증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혈관신생-관련 장애는 비뇨생식관 질환, 바람직하게는 여성 생식관의 비-염증성 질환, 자궁의 자궁내막증, 난소의 자궁내막증, 난관의 자궁내막증, 장의 자궁내막증, 흉터의 자궁내막증, 직장질 중격의 자궁내막증, 질의 자궁내막증, 및 골반 복막의 자궁내막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혈관신생-관련 장애는 눈 질환, 바람직하게는 황반 변성, 난황상 녹내장 (베스트병), 망막병증, 당뇨 망막병증, 녹내장, 신경혈관 녹내장, 맥락막 신생혈관형성, 잠재 맥락막 신생혈관형성, 각막의 신생혈관형성, 후수정체 섬유증식증 및 홍채혈관신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혈관신생-관련 장애는 폐 질환, 바람직하게는 기도 재형성, COPD (만성 폐쇄성 호흡기 장애); ARDS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유아 호흡 곤란 증후군, 폐 고혈압, 폐 사르코이드증, 및 특발성 폐 섬유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혈관신생-관련 장애는 신장 질환, 바람직하게는 신장병증, 만성 저혈압증 유발 질환, ESRD, 신 섬유증, 신동맥 협착, 및 사구체신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혈관신생-관련 장애는 골관절염, 바람직하게는 무릎관절증, 고관절증, 다발성관절증, 수근관절증 및 추가의 관절증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혈관신생-관련 장애는 류마티스성 장애, 바람직하게는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은 다양한 경로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입수가능한 형성 블록으로부터 출발하여 충분히 합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화합물은 식물, 바람직하게는 아글라이아 식물의 다양한 종으로부터 단리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식물로부터 단리된 전구체 생성물은 합성 (반-합성 경로)에서 출발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단리에 의하여, 단리에 의해 수득된 화합물의 반-합성 유도체화에 의하여 또는 앞서 공개되거나 새로운 합성 경로에 의하여 수득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예를 들어 천연 생성물, 이러한 천연 생성물의 유도체 또는 총 합성 유사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위하여, "HIF-1"은 단백질을 설명하는 반면 "Hif-1"은 유전자/mRNA를 설명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해 적절한 일부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저산소증 유도 HIF -1 의존성 루시페라제 발현의 억제
2개의 세포주 ( Jurkat T 및 293T 세포)에서 HIF -1 루시페라제 -의존성 리포터 유전자 활성에 미치는 화합물의 투여량-반응 곡선
HIF-1-의존성 루시페라제 리포터 유전자를 로티펙트(Rotifect)TM ((칼 로쓰(Carl Roth) GmbH)에 의한 상표; 독일 칼스루흐)로의 트랜스펙션에 의하여 293T 세포 내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렉트로포레이션에 의하여 Jurkat T 세포 내로 트랜스펙션하였다. 두 세포주 모두 HIF-1-의존성 리포터 유전자를 이용하여 형질감염시켰다. 다음날, 세포를 표시된 서브마이크로몰 농도의 시험 화합물과 함께 1시간 동안 예비배양한 다음 정상산소증 또는 저산소증 (1% O2) 조건 하에서 추가로 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에, 세포를 수집하고 이어서 발광분석기에서 루시페라제 활성을 분석하였다.
3개의 일례의 화합물에 대한 결과를 도 2a (293T 세포) 및 2b (Jurkat T 세포)에 나타낸다. 상대 빛 단위를 나타내고, 실험을 3회 수행하고 평균 값을 나타낸다.
발광분석기에서 루시페라제 활성의 분석은, 239T 세포 (도 2a) 및 Jurkat 세포 (도 2b)에서 각각의 화합물의 50 nM 이상의 화합물 농도에서 HIF-1 매개 루시페라제 활성의 상당한 억제가 HIF-1 활성을 상당히 억제하는 반면, 10 nM은 HIF-1-의존성 전사에 단지 작은 영향 만을 나타냄을 밝혔다.
실시예 2: HIF -1 루시페라제 억제 활성을 가진 화합물의 IC 50 값 결정
HIF-1-의존성 루시페라제 리포터 유전자를 293T 세포로 트랜스펙션시켰다. 다음날 아침, 세포를 표시된 농도의 화합물과 1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저산소증 (저산소증 챔버)를 8시간 동안 유도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수집하고 용해시켰다. 20 마이크로리터의 검정 완충액을 20 마이크로리터의 추출물에 주입함으로써 세포 추출물에서 루시페라제 활성을 발광분석기 (듀오 루매트(Duo Lumat) LB 9507, 버트홀드(Berthold))에서 측정하였다. 10초 동안 빛 방출을 측정하고, 상대 빛 단위를 제공한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내고, 각각 IMD-026259, IMD-026260 및 IMD-019064에 대해 관찰된 19, 18 및 23 nM의 IC50 값을 나타낸다.
실시예 3: HRE - 루시페라제 발현에 미치는 화합물 중재의 시간-의존성
293T 세포를 HIF-1-의존성 루시페라제 리포터 유전자로 트랜스펙션한 후에,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세포를 정상산소증 또는 저산소증 (8 h, 1% O2) 조건 하에서 더욱 배양하였다. 저산소증의 유도 전 1 시간 또는 유도 후 2 및 4 시간에 IMD의 효과적인 차단 농도 (각각 250 nM)를 첨가하였다.
IMD-019064; IMD-026259 및 IMD-026260은 심지어 저산소증 유도 후 4시간에도 HIF-1-의존성 루시페라제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HIF-1 반응의 유도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단백질이 이미 안정화될 때 진행중인 HIF-1-의존성 전사를 방해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도 4).
실시예 4: Hif -1 mRNA 발현에 미치는 화합물의 효과
본 발명의 화합물이 HIF-1-1 전사의 억제를 통해 HIF-1-1 억제 작용을 발휘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화합물을 HIF-1α mRNA 생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시험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인간 세포를 3시간 동안 시험 화합물의 효과적인 차단 농도 (250 nM)에 노출시켰다. 이어서 세포를 각각 정상산소증 또는 저산소증 조건 하에서 더욱 배양하였다 (45분, 1% O2). 그 후에 세포 샘플을 수집하고 RNA를 추출하였다. 특정한 프라이머 및 PE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스(Applied Biosystems) 역 전사 시약을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SYBR 그린 I 검출 화학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스) 및 ABI 프리즘 7300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시간 PCR을 수행하였다. Hif-1α의 발현을 정량화하고 결과를 Hprt1 및 β-액틴 ("하우스키핑-유전자") 발현에 대해 정상화하였다. 상이한 유전자의 상대 량을 비교 CT 방법에 의해 계산하였다. 정상산소증 대조 세포의 HIF-1α 전사를 임의로 1로 설정하였다. 대표적인 실험을 도 5에 나타낸다. 저산소증은 사용된 조건 하에서 약 3의 인자만큼 HIF-1α 전사를 증가시키는 반면, qPCR에 의한 HIF-1α mRNA 발현의 정량화는 시험된 화합물의 의미있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시험된 물질 (IMD-019064; IMD-026259 및 IMD-026260)은 정상산소증 조건에서나 저산소증 조건에서나 양쪽 모두 Hif-1α mRNA 생성에 어떠한 효과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HIF-1-의존성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IMD-화합물의 효과는 HIF-1α 전사에 매개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도 5).
실시예 5. HIF -1 표적 유전자 발현에 대한 IMD 화합물의 효과
인간 293T 세포를 각각 정상산소증 조건 하에서 또는 저산소증 조건 (1% 산소) 하에서 4시간 및 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수집한 다음 RNA를 단리하고 역 전사효소 키트를 사용하여 올리고 (dT)20 프라이머로부터 cDNA를 생성하였다. 이러한 유전자 발현을 하기 2개의 선택된 HIF-1α 표적 유전자에 대하여 실시간 PCR에 의해 측정하였다: LDH-A (락테이트 탈수소효소 이소형 A) 및 PDK1 (피루베이트 탈수소효소 키나제 1). ABI 프리즘 7300 시스템을 이용하여 특정한 프라이머 및 SYBR 그린 I 검출 화학 시스템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스)을 사용하여 cDNA로 실시간 PCR을 수행하였다. 액틴을 내부 대조로서 측정하였다. 비교 CT 방법에 의하여 상이한 유전자의 상대적 양을 계산하였다. 비교를 돕기 위하여, 3개의 유전자 각각에 대해 정상산소증 조건 하의 유전자 발현을 임의로 1로 설정하였다. 2개의 독립적인 실험은 LDH에 비해 가장 현저하게 유도된 유전자로서 PDK1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도 6a에 나타낸다.
PDK1을 억제하기 위한 화합물의 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각의 억제제 (IMD-019064; IMD-026259; 및 IMD-026260)의 3개의 상이한 농도에서 293T 세포를 1시간동안 전처리하였다. 이어서, 정상산소증/저산소증 조건 하에서 추가로 8시간 동안 세포를 배양하고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PDK1의 발현을 실시간 PCR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결과를 도 6b에 나타내고, 이것은 모든 3개의 억제제가 내인성 PDK1 유전자의 활성화를 강력하게 억제함을 보여준다. IC50 값은 8 내지 12 nM의 범위인 것으로 결정되었으며 (IMD 026259, 9 nM; IMD 026260, 8nM; 및 IMD 019064, 12nM), 이것은 내인성 유전자 (예, PDK1)가 리포터 유전자 (예, 루시페라제)에서보다 더욱 강력하게 억제됨을 나타낸다.
또한, HID-1α-의존성 표적 유전자 발현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IMD-019064, IMD-026259 및 IMD-026260의 능력이 증명되었다.
실시예 6: 저산소증 유도된 HIF -1α 단백질 축적의 억제
저산소증-유도된 HIF -1 안정화의 예방을 위한 화합물의 투여량-의존성 결정
HIF-1α 단백질의 안정화/축적에 대한 IMD-026259, IMD-026260 및 IMD-019064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293T 세포를 표시된 농도의 모든 3개의 화합물과 함께 예비배양하였다. 1시간의 예비배양 후에, 293T 세포를 표시된 농도의 화합물과 함께 예비-배양하고 각각 정상산소증 또는 저산소증 (4시간, 1% O2) 조건 하에서 더욱 배양하였다. 1×SDS 샘플 완충액에서 세포의 용해 및 초음파처리 후에, 면역블롯팅에 의하여 HIF-1α 양에 대해 샘플을 분석하였다. 환원 SDS-PAGE에 의하여 용해물에 함유된 단백질의 동일한 양을 분리하고 HIF-1α를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체 및 부하 대조 액틴과의 면역블롯팅에 의해 더욱 분석하였다 (동일한 단백질 양의 부하를 증명함).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HIF-1α 단백질의 축적은 정상산소증 조건하에서 검출되지 않는 반면(-), 저산소증에 의해 유도된다(+). HIF-1α 단백질 축적은 50 nM 이상의 화합물 농도에서 상당히 및 특이적으로 방지되었다. 250 nM의 IMD-019064 및 IMD-026260의 농도는 HIF-1α 단백질 축적을 거의 완전히 차단하였다.
실시예 7: 무 세포 단백질 번역의 억제
시험관내에서 무 세포 단백질 번역에 대한 IMD-019064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도 8에서의 분석 원리 참조). 4개의 상이한 바이러스 단백질을 코드화하는 브롬 모자이크 바이러스(BMV) mRNA를 IMD-019064 (도 9a), IMD-026259, IMD-026260 (도 9b) 또는 시클로헥시미드 (Chx, 10 μM) (포지티브 대조)의 존재 및 부재 하에서 리보솜과 함께 배양하고 형성된 단백질을 SDS-PAGE에 의해 분석하였다.
도 9a에 나타낸 것과 같이, IMD-019064는 시험관내 단백질 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시클로헥시미드는 새로 합성된 단백질의 형성을 강력히 억제하였다 (도 9a, 레인:Chx). 관련된 (nM) 농도에서 시험관내 단백질 번역에 대한 IMD-019064 (도 9a), IMD-026259, IMD-026260 (도 9b)의 의미있는 효과가 관찰되지 않는 반면, 시클로헥시미드 (Chx: 포지티브 대조)는 단백질 번역을 억제하였다. 패널은 대표적인 SDS-PAGE 단백질 겔을 나타낸다. 비히클-함유 번역 반응 (Veh)은 100% 번역 효능을 나타내는 반면, 포지티브 대조로서 사용된 단백질 번역의 공지된 억제제인 시클로헥시미드 (Chx: 10 ㎍/ml)는 의미있는 단백질 감소를 나타낸다.
실시예 8: 무 세포 단백질 번역의 억제
시험관내 번역에 대한 화합물의 효과. 번역에 대한 잠재적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TNT® 결합된 망상적혈구 용해 시스템 (세포 유리 단백질 발현)을 사용하였다. 플래그-표시된(Flag-tagged) NF-κB p50 단백질을 시험관내에서 제조하였다. 100 nM의 각각의 화합물 (IMD-019064; IMD-026259 및 IMD-026260) 및 용매 대조로서 DMSO를 포함하는 망상적혈구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플래그-표지 NF-κB p50 단백질의 비-방사능 시험관내 번역 후에, SDS-PAGE에 의해 단백질을 분리하고 생성된 p50 단백질을 플래그 항체를 사용한 면역블롯팅에 의해 검출하였다 (도 10 참조).
이러한 결과는, 무 세포 시험관내 번역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검출가능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실시예 7로부터의 결과와 함께- 단백질 합성/번역에 미치는 시험 화합물의 직접적이고 비-특이적인 효과를 매우 사실같지 않게 만든다.
실시예 9: 세포에서 신호-의존성 아미노산 혼입의 특이적 억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단백질 합성의 비-특이적 억제제인 것으로 문헌에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IMD-019064 (로카글라올 유도체)가 단백질 합성의 직접적인 억제제인지의 문제가 상이한 수준에서 해결되었다. 활성화된 신호화 캐스캐이드 (예, IL-1 신호화 경로)가 IMD-019064의 억제 활성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세포 검정 (비자극 및 IL-1b-자극 내피 세포 내로 방사능표지된 아미노산의 혼입)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아미노산 혼입의 억제에 관하여, IL-1 자극된 세포에 비해 비-자극된 세포에서 20의 인자만큼 높은 농도쪽으로 투여량-반응 곡선의 변위가 관찰되었다. 이것은 IL-1 의존성 신호화가 IMD-019064의 단백질 합성-억제 활성에 사실상 기여함을 나타낸다. 세포 단백질 번역에 미치는 IMD-019064의 IC50 값은 이전의 IL-1 유도 후에 상당히 저하된다. 이러한 세포 검정은, 세포 단백질 합성에 미치는 IMD-019064의 억제 활성이 예를 들어 IL-1 의존성 신호화 캐스캐이드를 특이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매개됨을 나타낸다 (도 11 참조).
실시예 10: 세포 ( 생체내 ) 단백질 번역의 억제
공지된 번역 억제제 시클로헥시미드 (10 ㎍/ml) 및 각각 100 nM의 IMD-019064, IMD-026259 및 IMD-026260의 존재하에서 293T 세포를 생육시켰다. 유전자 발현 연구 (예를 들어, 실시예 2 및 5 비교)로부터 IC50 값 초과이지만 (대략 5 내지 10배) 비-특이적 효과를 일으킬 수도 있는 농도 미만의 농도를 나타내도록 후자의 투여량을 선택하였다. 세포를 10시간 및 24시간 후에 수집하고 세포 용해물을 생성하였다.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항-IKKγ/NEMO 항체로의 면역블롯팅을 위하여 세포 용해물에 함유된 단백질의 동일한 양을 사용하였다. IKKγ/NEMO는 구성적으로 발현된 비교적 불안정한 단백질이다. 따라서, 세포 단백질 번역의 성공적인 억제가 항-IKKγ/NEMO 신호의 상당한 저하를 가져와야 한다. 화합물 IMD-019064, IMD-026259 및 IMD-026260으로 293T 세포의 처리는 항-IKKγ/NEMO 신호의 감소를 가져오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은 시클로헥시미드에 의한 단백질 번역의 강력한 억제를 입증하였지만, 시험된 3개의 화합물 중 어느 것에 의한 번역의 비-특이적 억제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11: 저산소증 자극 후에 HUVEC 세포에서 혈관신생 발아의 억제
적용 전에 IMD-019064의 원액 [100 mM]을 DMSO 중에서 1:10으로 희석하고 100% DMSO를 사용하여 10 mM 내지 1 μM의 농도 범위를 포함하는 반 대수 단계로 연속 희석하였다. 최종 분석 농도는 100 μM 내지 10 nM의 범위이고 분석에서 1%의 최종 DMSO 농도였다. 공개된 원래의 프로토콜 [Korff and Augustin: J Cell Sci 112: 3249-58, 1999]의 변형에 의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간략하게, 500개의 내피 세포(EC)를 플라스틱 접시에 피펫으로 방울방울 떨어뜨리고 밤새 구상체 응집을 수행함으로써, 문헌 [Korff and Augustin: J Cell Biol 143: 1341-52, 1998]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상체를 제조하였다. 50개의 EC 구상체를 0.9 ml의 3D 콜라겐 기질에 매립시키고 24웰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에 피펫팅하여 중합을 수행하였다. 100 ㎕의 10배 농축 작업 희석액을 중합된 겔의 위에 피펫팅함으로써 30분 후에 데페록사민과 조합하여 HUVEC를 위한 시험 화합물 [100 μM; 화학적으로 유도된 저산소증의 유도]을 첨가하였다 (최종 화합물 농도를 위해 표 2 참조).
Figure pct00017
플레이트를 37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4% 파라포름알데히드를 첨가함으로써 고정하였다. 데이터 점 당 10개의 랜덤하게 선택된 구상체의 누적 발아 길이를 분석하고, 시험 화합물에 의해 상대 억제율을 결정하였다. 그래프패드 프리즘 5.01로 IC50 곡선의 설정 및 IC50 값의 계산을 수행하였다. 역 현미경 및 디지탈 영상화 소프트웨어 분석 3.2 (소프트 이미징 시스템 (Soft Imaging System), 독일 뮌스터(Muenster, Germany))을 사용한 영상 분석 시스템에 의하여 EC 및 섬유아세포 구상체의 발아 강도를 정량화하였다. 병행하여, NHDF (섬유아세포) 구상체를 3D 콜라겐 겔에 매립시키고, 상이한 농도의 IMD-019064와 함께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HUVEC 실험을 위해 사용된 절차에 따라서, 데이터 점 당 10개의 랜덤하게 선택된 구상체의 누적 발아 길이를 분석하였다.
시험 화합물 IMD-019064는 콜라겐 기질을 사용한 구상체-기재 혈관신생 분석에서 투여량-의존성 방식으로 화학적으로 (데페록사민; 100 μM) 유도된 저산소증에 의해 자극되는 인간 배꼽 정맥 내피 세포(EC) 발아 및 섬유아세포 산란을 억제한다. IMD-019064 처리에 의하여 HUVEC 구상체의 데페록사민 유도된 발아가 현저히 억제되었다. 30 nM의 IC50 값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3). NHDF (섬유아세포) 구상체 발아는 IMD-019064에 의하여 180 nM의 IC50 값만큼 억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 13). 이러한 연구 결과는 IMD-019064에 대해 인자 6 만큼 HUVEC 및 섬유아세포 민감성에서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저산소증 유도된 혈관신생 효과 (HUVEC 발아)의 억제가 비특이적 세포독성과 무관함을 증명한다.
IMD-026260; IMD-026259; 수텐트(Sutent)® (수니티닙(Sunitinib)) 및 소라페닙(Sorafenib) (넥사바르(Nexavar)®)를 가지고 동일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최종 화합물 농도에 대해 표 3 참조).
Figure pct00018
결과를 각각 도 13에 제시하고, 이것은 13 nM의 IC50 값 (도 13: 저산소증 유도된 EC 발아) 및 180 nM의 IC50 값 (도 13: NHDF 섬유아세포 산란)을 나타낸다. 이러한 데이터 (IMD-019064와 비교)는 HUVEC의 증가된 민감성을 나타내고, 그 결과 IMD-026260에 대해 HUVEC 및 섬유아세포 민감성의 13배 초과의 차이를 가져온다. 이것은 IMD-019064 연구결과를 입증하고, IMD-026260에 의한 비특이적 세포독성과는 무관하게 저산소증 유도된 혈관신생 효과 (HUVEC 발아)의 개선된 억제를 증명한다 (결과의 요약을 위하여 도 14b 참조).
실시예 12: VEGF -A 자극 후에 HUVEC 세포에서 혈관신생 발아의 억제
실시예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HUVEC 구상체를 생성하고 배양하고 3D 콜라겐 겔에 매립시키고 데페록사민 대신에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알파 (VEGF-A; 25 ng/ml)로 자극하였다. 세포 구상체를 상이한 농도의 IMD-026259; IMD-026260; 수텐트® (수니티닙) 및 소라페닙 (넥사바르®) (몰 [M], 표 4에 나타냄, 도 14a 참조)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Figure pct00019
데이터 점 당 10개의 랜덤하게 선택된 구상체의 누적 발아 길이를 분석하고 시험 화합물에 의한 상대적 억제율을 결정하였다. 그래프패드 프리즘® 5.01 (그래프패드 소프트웨어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한 상표)로 IC50 곡선의 설정 및 IC50 값의 계산을 수행하였다. HUVEC 구상체의 VEGF-A 유도된 발아는 IMD-026260 처리에 의해 현저히 억제되었다. 28 nM의 IC50 값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4a). 상기 기재된 실시예로부터의 결과를 도 14b에 요약한다. 저산소증 또는 VEGF 유도 후에 시험관내 혈관신생 (HUVEC 발아) 연구를 위해 IC50 값을 nM로 제공한다. 이러한 데이터에 의하여, IMD-019064; IMD-026259 및 IMD-026260이 시험관내에서 혈관신생 발아의 강력한 억제제로서 작용함이 명백하게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HUVEC 발아 (신생혈관형성)에 대해 강력한 억제 효과를 가지며, 이것은 시험관내에서 수텐트® (수니티브) 및 소라페닙 (넥사바르®)에 비해 뛰어나다.
실시예 13: 구상체 -기초 생체내 혈관신생 검정에서 항-혈관신생 시험 항목의 항-혈관신생 효능의 평가
유연근 세포 (SMC) 및 섬유아세포 (NHDF)의 존재 하에서 세포외 기질 성분에 매립된 (n=10) SCID 마우스에 인간 내피 세포 (EC; HUVEC)를 피하 적용하였다. 이식된 인간 EC (현탁액 중의 EC와 조합된 EC 구상체)는, 마우스 맥관과 접합되고 (연결되고) 숙주 (마우스) 혈관주위세포-포함된 인간 유래의 모세관의 복잡하고 관류된 3차원 망상을 형성한다. 새로 형성된 맥관구조의 질을 미세한 혈관 밀도 계수에 의해 검사한다. 연구의 목적은 구상체-기초 생체내 혈관신생 검정에서 시험 항목의 항-혈관신생 잠재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문헌 (Korff and Augustin: J Cell Biol 143: 1341-52, 1998)에 기재된 바와 같이 100개 EC를 플라스틱 접시에 피펫으로 방울방울 떨어뜨리고 밤새 구상체 형성함으로써 HUVEC 구상체를 제조하였다. 다음날 EC 구상체를 수집하고 현탁된 HUVEC, SMC 및 NHDF와 함께 마트리겔/피브린 용액에 혼합하였다. 플러그로서 사용된 최종 혼합물은 100.000 구상체 EC 및 200.000 단일 현탁된 EC, 300.000 SMC 및 100.000 NHDF를 함유하였다. SCID 마우스를 500 ㎕의 세포/기질 현탁액으로 피하 주사하였다.
표준 검정 (VEGF-A 및 FGF-2 자극 및 단지 EC 사용)에서, 첫 번째 관류된 혈관을 4일 내지 6일에 검출하였다. 생체내 생육 20일 후에, 웰이 약 50-60% 혈관주위세포-포함된 상태의 맥관구조를 확립하고 관류된 혈관을 관찰하였다. SCID 마우스를 각각 비히클 또는 IMD-026260 (0.3 mg/ml; 군 3)으로 처리하고; 매 3일 마다 p.o. 적용하였다.
모든 동물의 체중을 재고 마취시킨 후에 부검을 수행하였다. 마우스를 뇌 탈구에 의해 희생시키고 마트리겔(Matrigel)® (BD 바이오사이언스에 의한 상표) 플러그를 제거하였다. 마트리겔® 플러그를 사진찍고, 4% 로티-히스토픽스(Roti-Histofix) (로쓰, 독일 칼스루흐)에서 실온에서 4 내지 12 시간 동안 고정시켰다. 그 후에 반-밀폐된 조직 가공장치 레이카(Leica) TP 1020을 사용하여 플러그를 파라핀 매립하였다.
인간 맥관구조의 조직학적 검사를 위하여, 모든 플러그로부터 파라핀 부분 (두께 = 8 내지 10 ㎛)을 준비하였다. 인간 CD34 (NCL-END, 독일 베를린 메나리니)을 위한 단편을 염색함으로써 혈관 형성을 검출하였다. 플러그 당 3개의 부분을 분석하고 에클립스 TE2000-U 현미경 (니콘, 일본 가나가와)를 사용하여 200배의 배율로 각각의 부분으로부터 3개의 영상을 취하였다. 부분 당 분석된 면적 (3개의 영상)은 0.44 mm2이었다. NIS-요소 기본 연구 소프트웨어 (니콘, 일본 가나가와)를 사용하여 혈관 수 (CD34 포지티브)를 수동으로 결정하였다. IMD-026260으로의 처리는 비히클 대조에 비하여 인간 혈관 수의 의미있는 (p값 = 0.0001) 42% 감소를 가져왔다. 연구의 결과를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산점도 (중간 막대 포함)로 그래프로 표시한다.
실시예 14: 허혈 손상 (발작 모델) 후에 신경학적 손상의 감소
신경보호 활성을 검출하는 방법은 문헌 [Longa E.Z. et al., (Stroke, 20, 84-91, 1989]에 의해 기재되고 문헌 [Esneault et al., Neuroscience 18; 152(2): 308-20, 2008]에 적응된 것에 따른다. 래트 (수컷 Rj: 스프라그-돌리 래트, 체중 250-350 g)를 이소플루란 마취 (30% O2 하에서 유도를 위해 5%, 지속을 위해 2%)시킨다. 체온을 직장 온도 탐침으로 검사하고 실험 전체에 걸쳐 37 ℃± 1℃에서 가열 패드로 유지시킨다. 뇌 허혈의 유도를 포함한 기간 동안에 (MCAo 전 10 내지 15 분, 후 5분) 레이저 도플러 유량계 (무어 인스트루먼츠 MoorLAB)에 의하여 뇌 혈류를 연속하여 기록한다. 작동 현미경 하에서, 안와와 귀 사이에 피부 절개를 만들고 일시적인 근육을 해부한다. 레이저 도플러 탐침을 두개골의 오른쪽 측면에 놓는다.
목의 중선 절개 후에, 오른쪽 경동맥(CCA), 외부 경동맥 (ECA) 및 내부 경동맥 (ICA)을 인접한 정맥 및 신경으로부터 단리한다. 이어서 CCA를 결찰시키고 CCA로부터의 분기점으로부터 6±2 mm에 ECA를 전기-응결시킨다. 반투명 고온 용융 접착제로 코팅된 끝을 가진 나일론 실(0.18 mm 직경)은 색전 (3 mm 길이, 0.36-0.38 mm 직경)를 구성한다. 색전은 작은 절개를 통해 ECA 내로 삽입되며 뇌 혈류가 30 내지 50% 만큼 감소하거나 약간의 저항성이 관찰될 때까지 ICA로 서서히 들어갈 것이다.
내강-안 결찰 후에, 목 절개부를 봉합한다. 레이저 도플러 탐침 및 직장 온도 탐침을 제거한다. 래트를 마취로부터 회복시키고 그들의 우리로 되돌려 보낸다.
90분 후에 래트를 재-마취시킨다. 재관류를 가능하게 하도록 색전 및 CCA의 결찰을 제거한다. 상처를 봉합하고 래트를 그들의 우리로 되돌려 보낸다. 탈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5일 동안 생리식염수 (1 ml/일)를 래트에 복강내(i.p.) 투여한다.
IMD-026259를 재관류 후 0, 2, 4 및 24시간에 정맥내 3개의 투여량 (1, 10 및 100 ㎍/kg)으로 평가하고 비히클 대조와 비교한다. 실험은 동일한 실험 조건 하에서 부형제로 투여된 가짜 대조 군을 포함한다. 따라서 실험은 5개의 군을 포함할 것이다. 군 당 12마리의 래트를 연구한다. 맹검 시험을 수행한다.
신경학적 점수
문헌 [Bederson and al. (Stroke, 1986, 17(3): 472-476)]의 방법의 변형에 따라서 신경학적 점수를 평가한다.
시험은 하기 기재된 바와 같이 14개 소집단으로 구성된다 (표 1):
먼저, 마비 쪽으로의 자발적 보행 및 원형 돌기를 관찰한다. 이어서, 꼬리를 고정시킨 래트를 거친 표면에 놓고 동측 및 대측 쪽으로 연속하여 서서히 밀어서 밀기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래트를 실험자의 오른쪽 및 왼쪽 손으로 연속하여 꼬리로 들고, 신체 회전 및 앞다리 및 뒷다리의 굴곡을 평가하기 위하여 벤치 위로 들어올린다.
각각의 부시험을 0 내지 2로 등급을 매긴다 (0 = 반응 없음 또는 전체 비정상 반응, 1 = 약하거나 비정상 반응, 2 = 정상 반응). 28의 최대 신경학적 점수에 의하여 결함의 부재를 표시한다.
시험을 수술 후 24 및 48시간에 수행한다.
경색 평가
이소플루란으로 수술 후에 48시간에 동물을 마취시키고 참수에 의해 죽인다. 뇌를 꺼내고 즉시 -20 ℃의 이소펜탄 용액 (시그마)에 동결시킨다. 뇌를 티슈-텍 (Tissue-Tek) (레이몬드 A 램브 리미티드, C/101.25)에 매립시키고 저온유지장치로 절단한다. 800 ㎛ 간격의 두정 단편 (20 ㎛)을 티오닌 (시그마, 0.05%)로 5분 동안 염색하였다. 단편을 스캔하고 이미지J 소프트웨어 (http://rsb.info.nih.gov/ij/)를 사용하여 경색 부피를 결정하였다. 전체 뇌 및 부종의 부피에 대해 경색 부피를 보정하였다 (동측 및 대측 반구의 부피 차이).
통계적 분석
이원 ANOVA (시간 x 처리)에 이어서 일원 ANOVA (처리) 및 비-쌍체 스튜던트 t 시험(unpaired student's t test)를 사용한 사후 비교에 의하여 신경학적 점수에서 수득된 정량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사물 인식 시험을 위하여, 비-쌍체 스튜던트 t 시험을 사용하여, 처리된 군을 적절한 대조 군과 비교함으로써 데이터를 분석할 것이다. 추가로, 각각의 군을 위하여, 친숙한 사물(E2F)을 조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새로운 사물(E2N)을 조사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비교하고, RI를 쌍체 스튜던트 t 시험을 사용하여 기회 값 (즉, RI=0)과 비교한다.
비-쌍체 스튜던트 t 시험을 사용하여 처리된 군과 적절한 대조 군을 비교함으로써 경색 평가 후에 수득된 정량 데이터를 분석한다.
실시예 15: 폐 고혈압 ( 생체외 ) (예측)
저산소증 폐 혈관수축( HPV )에 미치는 IMD 026259의 효능
이 연구에 의하여, IMD 026259가 HPV의 특정한 조절 메카니즘에 억제 작용을 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할 수 있다. 산소의 내인성 센서/감지를 억제함으로써 IMD 026259가 HPV를 억제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할 수 있다.
I) 급성 HPV 하에서 투여량 반응( DR ) 관계 (도 16 참조)
혈관수축의 비-저산소증 모델에서 HPV에 미치는 IMD-026259의 효과를 비교할 수 있다. 트롬복산 모방체 U46619의 식괴-적용에 의하여 이것을 유도할 수 있다.
실험 군:
a) 반복 HPV 하의 DR 곡선 (도 16 참조) (반복 저산소증 혈관수축)
b) 위약-적용으로 HPV의 반복
c) 반복 U46619 유도된 혈관수축으로의 DR 곡선
d) 반복 U46619 적용과 위약 적용의 대조
II ) 장기간의 HPV (180분의 연속 저산소증 환기)에 미치는 IMD 026259의 효과 조사
a) 180 분 저산소증 환기 mit IMD 026259 n=8
b) 위약과 함께 180 분 저산소증 환기 n=8
접근법 I)
마취된 마우스로부터의 폐를 수술에 의해 흉부로부터 추출한다. 폐를 관류하고 단리 하에 환기시킨다. 관류를 위하여 크렙스-헨셀레이트 완충액을 사용한다. 폐를 특정한 기체 혼합물 (21% O2, 5.3% CO2)로 환기시킨다. 반복된 저산소증 환기에 의하여 저산소증 혈관수축을 유도한다 (1% O2, 5.3% CO2). 저산소증 환기의 기간을 각각 10분간 지속하는 반면, 정상산소증 환기 단계를 각각 15분간 되풀이한다. 정상산소증 환기가 끝난 후 5분에 관류 매질에 억제제 (시험 항목)를 도입한다. HPV의 강도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화한다.
HPV 강도를 측정할 수 있고 폐압의 증가로서 나타낸다 (PAP; 문헌 [Weissmann et al., Respir Physiol. 1995]로부터의 도 16 참조). 폐를 일정한 부피로 관류시키기 때문에 PAP가 혈관 저항성에 직접 비례한다 (문헌 [Roth et al.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9, in press]; [Weissman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2006 103: 19093] 참조).
접근법 II)
이 연구에서, 접근법 I에 의해 발견된 바와 같이 연장된 HPV에 미치는 정의된 시험 항목 투여량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3시간 초과 동안 폐를 저산소증 환기시킨다 (1% O2) (예를 들어 문헌 [Weissmann et al., Am J Respir Cell Mol Biol: 34: 505-13, 2006] 참조).
실시예 16: 폐 고혈압 ( 생체내 ) (예측)
저산소증-유도된 폐 고혈압에 미치는 IMD-026259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하여, 만성 저산소증 하에 마우스를 유지시킨다 (10% O2, 노르모바르(normobar)). 이에 의하여, 폐 고혈압이 3 주 이내에 발생한다 ([Mittal et al., Circ Res. 2007 101: 258], [Circulation 2008, 118: 1183]).
심장 비대의 결정에 의하여, 우심실 수축기압 및 혈관 형태계측법의 정량화에 의하여 이러한 모델 내에서 폐 고혈압을 정량화한다.
2개의 상이한 투여량 (각각 1 및 3 mg/kg)에서 경구 위관영양법을 통해 3주 동안 하루 2번 IMD-026259의 적용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4개의 실험 군이 얻어진다 (연구 분과):
1) 정상산소증 대조 (3주 정상산소증) n=10
2) 저산소증 대조 (비히클 처리; 3주의 저산소증, 10% O2) n=10
3) 저산소증 (IMD-026259, 1mg/kg; 3주의 저산소증, 10% O2) n=10
4) 저산소증 (IMD-026259, 3mg/kg; 3주의 저산소증, 10% O2) n=10
상기 기재된 연구는 IMD-026259가 폐 고혈압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할 수 있는지의 여부, 특히 HIF-1의 억제에 의하여 저산소증-유도된 폐 고혈압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는지의 여부에 관한 문제에 답할 수 있다.

Claims (18)

  1. 혈관신생-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하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생리학상 허용되는 염:
    <화학식 I>
    Figure pct00020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H; -F; -Cl; -Br; -I; -NO2; -CN; -OH; -O-C1-8-알킬; -O-페닐; -O-C1 -8-알킬-페닐; -O-C(=O)-C1 -8-알킬; -O-C(=O)-페닐; 산소 원자 중 하나를 통해 결합된 -C5 -12-탄수화물; 6-(1,2-디히드록시-에틸)-3-메톡시-2-히드록시-1,4-디옥산-2-일을 나타내거나; 또는
    R1 및 R2 또는 R2 및 R3 또는 R3 및 R4는 이들이 결합된 2개의 탄소 원자와 함께 -O-CH2-O-를 가진 5-원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O-CH2-CH2-O-를 가진 6-원 고리를 형성하는 반면, 다른 라디칼 R1 내지 R4는 상기 언급된 것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5 및 R6은 페닐이고;
    R7은 -OH; -O-C1 -12-알킬; -O-페닐; -O-C1 -8-알킬-페닐; -O-C(=O)-C1 -8-알킬; -O-C(=O)-페닐이고;
    R8은 -H; -OH; -O-C1 -8-알킬; -O-페닐; -NH2; -NH-C1 -8-알킬; -N(C1 -8-알킬)2이고;
    R9는 -H; -C(=O)-OH; -C(=O)-O-C1 -8-알킬; -C(=O)-O-페닐; -C(=O)-C1 -8-알킬; -C(=O)-O-C1-8-알킬; -C(=O)-NH2; -C(=O)-NH-C1 -8-알킬; -C(=O)-N(C1 -8-알킬)2이거나; 또는 -C(=O)-헤테로시클릴을 나타내고, 상기 헤테로시클릴은 C(=O)-기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N-원자를 함유하고;
    R10 및 R11은 -H이거나; 또는
    R8 및 R10은 함께 =O, =S 또는 =NR15을 나타내거나,
    (여기에서 R15은 -C1 -8-알킬; -OH; -O-C1 -8-알킬; 또는 -O-페닐임)
    또는 R10 및 R11이 함께 단일 결합을 형성하고 R8 및 R9는 함께 화학식 II의 기를 형성하고;
    <화학식 II>
    Figure pct00021

    (상기 식에서,
    1*은 R8을 통한 결합이고,
    2*는 R9를 통한 결합이고,
    점선은 단일 또는 이중 결합이고, 여기에서 이중 결합의 경우에 R12는 존재하지 않으며,
    R12는 -H 또는 -C1 -3-알킬이고;
    R13은 -H; -C1 -8-알킬; -OH; -O-C1 -8-알킬; 또는 -O-페닐이고;
    R14는 -H, -C1 -8-알킬이거나; 또는
    R13 및 R14는 이들이 결합된 탄소 및 질소 원자와 함께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알킬"은 각각의 경우에 비치환되거나, 또는 -F, -Cl, -Br, -I, -OH, -OCH3, -OCH2CH3, -O-CH2-페닐, -OC(=O)CH3, -CHO, -CO2H, -NH2, -NH-(C1 -8-알킬), -NH-(페닐), -NH(-CH2-페닐), -N(C1 -8-알킬)2 및 헤테로시클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여기에서 상기 헤테로시클릴은 알킬 잔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N-원자를 함유하며,
    여기에서 "페닐"은 각각의 경우에 비치환되거나, 또는 -F, -Cl, -Br, -I, -OH, -OCH3, -OCH2CH3, -OC(=O)CH3, -CN, -NO2, -NH2, -CH3, CF3, -CHO 및 -CO2H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치환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혈관신생-관련 장애가 비뇨생식관의 질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비뇨생식관의 질환이 여성 생식관의 비-염증성 질환, 자궁의 자궁내막증, 난소의 자궁내막증, 난관의 자궁내막증, 장의 자궁내막증, 흉터의 자궁내막증, 직장질 중격의 자궁내막증, 질의 자궁내막증, 및 골반 복막의 자궁내막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혈관신생-관련 장애가 눈 질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5. 제4항에 있어서, 눈 질환이 황반 변성, 난황상 이상증 (베스트병), 망막병증, 당뇨 망막병증, 녹내장, 신경혈관 녹내장, 맥락막 신생혈관형성, 잠재 맥락막 신생혈관형성, 각막의 신생혈관형성, 후수정체 섬유증식증 및 홍채혈관신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혈관신생-관련 장애가 폐 질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7. 제6항에 있어서, 폐 질환이 기도 재형성, COPD (만성 폐쇄성 호흡기 장애); ARDS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유아 호흡 곤란 증후군, 폐 고혈압, 폐 사르코이드증 및 특발성 폐 섬유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8. 제1항에 있어서, 혈관신생-관련 장애가 신장 질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9. 제8항에 있어서, 신장 질환이 신장병증, 만성 저혈압증 유발 질환, ESRD, 신 섬유증, 신동맥 협착, 및 사구체신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10. 제1항에 있어서, 혈관신생-관련 장애가 골관절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11. 제10항에 있어서, 골관절염이 무릎관절증, 고관절증, 다발성관절증, 수근관절증 및 추가의 관절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12. 제1항에 있어서, 혈관신생-관련 장애가 류마티스성 장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13. 제12항에 있어서, 류마티스성 장애가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내지 R7은 제1항에 정의된 것과 같고;
    R8은 -H; -OH; -O-C1 -8-알킬; -O-페닐; -NH2; -NH-C1 -8-알킬; -N(C1 -8-알킬)2이고;
    R9는 -H; -C(=O)-OH; -C(=O)-O-C1 -8-알킬; -C(=O)-O-페닐; -C(=O)-C1 -8-알킬; -C(=O)-O-C1-8-알킬; -C(=O)-NH2; -C(=O)-NH-C1 -8-알킬; -C(=O)-N(C1 -8-알킬)2이거나; 또는 -C(=O)-헤테로시클릴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상기 헤테로시클릴은 C(=O)-기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N-원자를 함유하고;
    R10 및 R11은 -H이거나; 또는
    R8 및 R10은 함께 =O, =S 또는 =NR15을 나타내는 (여기에서 R15은 -C1 -8-알킬; -OH; -O-C1 -8-알킬; 또는 -O-페닐임),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혈관신생-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화합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H; -F; -Cl; -Br; -I; -NO2; -CN; -OH; -O-C1-8-알킬; -O-페닐; -O-C1 -8-알킬-페닐; -O-C(=O)-C1 -8-알킬; -O-C(=O)-페닐을 나타내고;
    R5 및 R6은 페닐이고;
    R7 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OH 또는 -O-C1 -8-알킬이고;
    R9, R10 및 R11은 -H인,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혈관신생-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화합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H; -OH; -O-C1 -18-알킬; -O-페닐; -O-C1 -18-알킬-페닐; -O-C(=O)-C1 -18-알킬; -O-C(=O)-페닐을 나타내고;
    단, 라디칼 R1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H가 아니고;
    R2 및 R4는 -H이고;
    R5 및 R6은 페닐이고;
    R7 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OH 또는 -O-C1 -8-알킬이고;
    R9, R10 및 R11은 -H인,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혈관신생-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화합물.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H; -OH; -O-C1 -18-알킬; -O-페닐; -O-C1 -8-알킬-페닐을 나타내고;
    단, 라디칼 R1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H가 아니고;
    R2 및 R4는 -H이고;
    R5 및 R6은 페닐이고;
    R7 및 R8은 -OH이고;
    R9, R10 및 R11은 -H인,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혈관신생-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화합물.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혈관신생-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하기 화학식 Ie에 따른 화합물.
    <화학식 Ie>
    Figure pct00022

    상기 식에서,
    R1은 -H; 비치환되거나, 또는 -OCH3, -OCH2CH3, -NH2, -NH(CH3), -NH(CH2CH3), -N(CH3)2, -N(CH2CH3)2,
    Figure pct00023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된 -O-C1-8-알킬; 비치환된 -O-CH2-페닐을 나타내고;
    R3은 -OH; 비치환된 -O-페닐; 비치환되거나, 또는 -F, -Cl, -OCH3, -OCH2CH3, -NH2, -NH(CH3), -NH(CH2CH3), -NH(CH(CH3)2), -NH(C(CH3)3), -NH(CH2-페닐) 또는 -NH(페닐) (여기에서 각각의 경우에 페닐은 비치환된다), -N(CH3)2, -N(CH2CH3)2,
    Figure pct00024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된 -O-C1 -8-알킬; 비치환된 -O-CH2-페닐을 나타내고;
    R5 및 R6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F, -Cl, -Br, -I, -OH, -OCH3, -NH2, -CH3 및 -CF3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이다.
KR1020117015381A 2008-12-05 2009-12-03 Hif-1 단백질 축적의 억제제 KR201100965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010208P 2008-12-05 2008-12-05
US61/120,102 2008-12-05
EP08021162 2008-12-05
EP08021162.6 2008-1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566A true KR20110096566A (ko) 2011-08-30

Family

ID=40428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381A KR20110096566A (ko) 2008-12-05 2009-12-03 Hif-1 단백질 축적의 억제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20040956A1 (ko)
EP (1) EP2373311A1 (ko)
JP (1) JP2012510964A (ko)
KR (1) KR20110096566A (ko)
CN (1) CN102300568A (ko)
AU (1) AU2009321723A1 (ko)
BR (1) BRPI0922938A2 (ko)
CA (1) CA2744391A1 (ko)
IL (1) IL213007A0 (ko)
MX (1) MX2011005482A (ko)
SG (1) SG171779A1 (ko)
WO (1) WO20100634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2765A2 (en) 2010-12-16 2012-06-21 The United State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ethods for decreasing body weight and treating diabetes
JP6179904B2 (ja) * 2012-11-05 2017-08-16 国立大学法人山口大学 ソラフェニブの副作用低減剤
US10568975B2 (en) 2013-02-05 2020-02-25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Nanoparticles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tracking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reof
CA2938592A1 (en) 2014-02-07 2015-08-13 Effector Therapeutics, Inc. Methods for treating fibrotic disease
FR3023290B1 (fr) * 2014-07-04 2016-08-19 Pf Medicament Derives de flavaglines
US20180008718A1 (en) * 2015-01-20 2018-01-11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Compositions for the sustained release of anti-glaucoma agents to control intraocular pressure
JP6846351B2 (ja) 2015-01-27 2021-03-24 ザ・ジョンズ・ホプキンス・ユニバーシティー 粘膜表面における活性薬剤の増強された輸送のための低張ヒドロゲル製剤
US11045456B2 (en) 2015-03-20 2021-06-29 Georgi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OPD and other inflammatory conditions
CN105085450A (zh) * 2015-09-14 2015-11-25 中国药科大学 苯并呋喃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治疗作用
WO2018160772A1 (en) 2017-02-28 2018-09-07 The United State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Method of treating obesity, insulin resistanc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clud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16788T1 (de) * 1995-02-27 2006-02-15 Toray Industries Medikament gegen pulmonale herzprobleme
JP4314742B2 (ja) * 1997-09-16 2009-08-19 東レ株式会社 C−cケモカイン産生抑制剤
JP2003507362A (ja) * 1999-08-18 2003-02-25 ワーナー−ランバート・カンパニー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イナーゼ阻害剤として有用なヒドロキサム酸化合物
EP1693059A1 (en) * 2005-02-22 2006-08-23 Deutsches Krebsforschungszentrum Use of rocaglamide derivatives as NF-AT-specific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certain inflammatory diseases
WO2006129318A2 (en) * 2005-05-31 2006-12-07 Pharmos Corporation Benzofuran derivatives with therapeutic activ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73311A1 (en) 2011-10-12
SG171779A1 (en) 2011-07-28
IL213007A0 (en) 2011-07-31
US20120040956A1 (en) 2012-02-16
MX2011005482A (es) 2011-06-16
CA2744391A1 (en) 2010-06-10
AU2009321723A1 (en) 2010-06-10
BRPI0922938A2 (pt) 2017-06-06
WO2010063471A1 (en) 2010-06-10
CN102300568A (zh) 2011-12-28
JP2012510964A (ja) 201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6566A (ko) Hif-1 단백질 축적의 억제제
Yang et al. Sonic hedgehog is an autocrine viability factor for myofibroblastic hepatic stellate cells
Li et al. 1, 25-dihydroxyvitamin D3 inhibits renal interstitial myofibroblast activation by inducing hepatocyte growth factor expression
Zhang et al. Sp1 and Sp3 transcription factors synergistically regulate HGF receptor gene expression in kidney
EP3444249B1 (en) Sodium channel blocker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e thereof
US11278549B2 (en) Method of treating obesity
TW200403057A (en) Combination therapy for hyperproliferative diseases
KR20130132956A (ko) 신생물의 치료를 위한 자식증 유도자 및 억제제 조합 요법
SK5052001A3 (en) Inhibition of the formation of vascular hyperpermeability
US2018013316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cancer including 2-methoxy-4-(3-(4-methoxyphenyl)prop-1-en-1-yl)phenol as active ingredient
JP2003531856A (ja) リン酸輸送阻害剤
JP7426941B2 (ja) 腎傷害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WO2020191501A1 (en) Methods and uses of bemithyl and derivatives for treating lung disease, fatty liver disease, and kidney disorders
JP2010070514A (ja) ピラゾール誘導体及びその医薬用途
JPWO2005089800A1 (ja) hsHRD3を含む医薬組成物
US9457016B2 (en) Methods for treating polycystic kidney disease
CN111662228B (zh) 吡啶酮酰联芳基胺类化合物及其用途
Grunz The Dorsalization of Spermann's Organizer Takes Place during Gastrulation in Xenopus laevis Embryos: (Spemann's organizer/dorsal mesoderm/neural induction/suramin/inhibition of notochord formation)
JPH1171332A (ja) トリフェニルメタン誘導体およびその用途
EP4357351A1 (en) Trap1 inhibitor and use thereof
KR102371980B1 (ko) 췌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keraye et al. Vismodegib for basal cell carcinoma and beyond: what dermatologists need to know
JP2019505536A (ja) 肥満の処置のための方法及び医薬組成物
KR20110117650A (ko) 2-[4-(-7-에틸-5H-피롤로[2,3-b]-피라진-6-일)프로판-2-올을 사용하는 사구체신염의 치료
AU2021225838A1 (en) Methods for treating endometri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