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026A - 교반·탈포 장치 및 교반·탈포 방법 - Google Patents

교반·탈포 장치 및 교반·탈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026A
KR20110096026A KR1020117011363A KR20117011363A KR20110096026A KR 20110096026 A KR20110096026 A KR 20110096026A KR 1020117011363 A KR1020117011363 A KR 1020117011363A KR 20117011363 A KR20117011363 A KR 20117011363A KR 20110096026 A KR20110096026 A KR 20110096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container
stirring
defoaming
revol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3538B1 (ko
Inventor
도시야 니시다
요시아키 간다
도시오 구몬다이
데쓰야 사카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샤신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샤신카가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샤신카가쿠
Publication of KR20110096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1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with receptacles rotated about two different axes, e.g. receptacles having planetary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9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with stirrers having planetary mo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수용한 피처리물을 확실하게 교반(攪拌)·탈포(脫泡)할 수 있는 교반·탈포 장치 및 교반·탈포 방법을 제공한다. 공전(公轉) 축선(軸線) C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자전(自轉) 축선 C2가 설치된 테이블(2)과, 피처리물을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2)에 설치되어 자전 축선 C2 주위로 자전 가능하고, 또한 테이블(2)의 공전 축선 C1 주위의 회전에 따라 공전하는 용기(3)를 구비하고, 자전 축선 C2는, 공전 축선 C1에 대하여 트위스트(twist)의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반·탈포 장치 및 교반·탈포 방법{STIRRING AND DEFOAMING DEVICE AND STIRRING AND DEFOAMING METHOD}
본 발명은, 용기에 수용한 피처리물을 교반(攪拌)·탈포(脫泡)할 수 있는 교반·탈포 장치 및 교반·탈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교반·탈포 장치로서, 공전(公轉) 축선(軸線)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자전(自轉) 축선이 설치된 테이블과, 피처리물을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어 자전 축선 주위로 자전 가능하고, 또한 테이블의 공전 축선 주위의 회전에 따라 공전하는 용기를 구비하고, 자전 축선이, 공전 축선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하기 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교반·탈포 장치는, 용기를 공전 축선 주위로 공전시킴으로써, 용기 내의 피처리물을 탈포할 수 있고, 또한 교반·탈포 방법으로서 용기를 공전 축선 주위로 공전시키면서 상기 공전 축선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경사진 자전 축선 주위로 자전시킴으로써, 용기 내의 피처리물을 교반·탈포할 수 있는 것이며, 각종 피처리물을 단시간에 교반·탈포할 수 있는 것이다.
일본 특허 제2711964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교반·탈포 장치 및 교반·탈포 방법에 있어서는, 자전 축선이 공전 축선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으므로, 용기에 수용된 피처리물에 작용하는 공전에 의한 원심력이, 주로, 자전 축선과 공전 축선에 의해 형성되는 면 위에서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피처리물을 수용한 용기를 공전시키면서 자전시켜도, 용기 내의 소정 개소(예를 들면, 용기 저부의 자전 축선 근방 개소)에 있어서, 피처리물이 잘 혼합되지 않고 잔존하는 결과, 교반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어,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개선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용기에 수용한 피처리물을 확실하게 교반·탈포할 수 있는 교반·탈포 장치 및 교반·탈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에 관한 교반·탈포 장치는, 공전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자전 축선이 설치된 테이블과, 피처리물을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어 자전 축선 주위로 자전 가능하고, 또한 테이블의 공전 축선 주위의 회전에 따라 공전하는 용기를 구비하고, 자전 축선은, 공전 축선에 대하여 트위스트(twist)의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교반·탈포 장치에 있어서는, 피처리물을 수용한 용기를 테이블에 설치하여 공전 축선 주위로 공전시킴으로써, 용기 내의 피처리물을 탈포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용기를 공전시키면서 자전 축선 주위로 자전시킴으로써, 용기 내의 피처리물을 교반·탈포할 수 있다.
여기서, 자전 축선은, 공전 축선에 대하여 트위스트의 위치에 있으므로, 용기에 수용된 피처리물에 작용하는 공전에 의한 원심력은, 주로, 자전 축선을 통하여, 또한 공전 축선에 평행한 기준면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피처리물을 수용한 용기를 공전시키면서 자전시키면, 용기에 수용된 피처리물은, 상기 기준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공전에 의한 원심력과 자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전체적으로 잘 혼합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에 수용한 피처리물을 확실하게 교반·탈포할 수 있다.
그리고, 자전 축선이 공전 축선에 대하여 트위스트의 위치는, 자전 축선과 공전 축선이 평행이 아니고, 또한 교차하지 않는 위치 관계이다. 즉, 자전 축선과 공전 축선이 동일 평면형이 되지 않는 위치 관계인 것을 의미한다.
특히, 상기 용기는, 중심 축선 방향 중 적어도 일단부가 폐색(閉塞)되어 있고, 상기 중심 축선이 상기 자전 축선과 일치하고, 중심 축선 방향의 타단부가 상기 일단부보다 상기 공전 축선에 가까와지도록,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교반·탈포 방법은, 피처리물을 수용한 용기를, 공전 축선 주위로 공전시키고, 또한 상기 공전 축선에 대하여 트위스트의 위치에 있는 자전 축선 주위로 자전시킴으로써, 피처리물을 교반·탈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교반·탈포 장치 및 교반·탈포 방법에 있어서는, 자전 축선이 공전 축선에 대하여 트위스트의 위치에 있으므로, 피처리물을 수용한 용기를 공전시키면서 자전시키면, 용기에 수용된 피처리물이, 상기 기준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공전에 의한 원심력과 자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전체적으로 잘 혼합될 수 있는 결과, 피처리물을 확실하게 교반·탈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교반·탈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교반·탈포 장치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은 교반·탈포 공정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A)는 종래의 교반·탈포 장치에 의한 교반·탈포 공정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 (B)는 (A)의 P―P선 단면도, (C)는 본 발명에 관한 교반·탈포 장치에 의한 교반·탈포 공정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 (D)는 (C)의 Q―Q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교반·탈포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개략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교반·탈포 장치 및 교반·탈포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본 실시예에서의 교반·탈포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교반·탈포 장치(1)는, 복수 개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피처리물을 교반·탈포 처리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리고, 피처리물은, 예를 들면, 의약용 재료나 전자 부품 재료, 액정용 재료 등의 기포(氣泡)를 기피하는 피교반(被攪拌) 재료이다.
상기 교반·탈포 장치(1)는, 공전 축선 C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자전 축선 C2가 설치된 테이블(2)과, 피처리물을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2)에 설치되어 자전 축선 C2 주위로 자전 가능하고, 또한 테이블(2)의 공전 축선 C1 주위의 회전에 따라 공전하는 용기(3)를 구비한다.
그리고, 용기(3)를 공전·자전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으로서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다양한 구성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테이블(2)을 공전 축선 C1 주위로 회전시키는 공전용의 모터와, 용기(3)를 자전 축선 C2 주위로 회전시키는 자전용의 모터를 구비하는 구동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또는, 테이블(2)을 공전 축선 C1 주위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용기(3)를 자전 축선 C2 주위로 자전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구동 수단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전달 수단은, 예를 들면, 풀리와 벨트, 또는 기어의 조합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축 베어링을 사용하여 공전과 자전을 독립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또한 예를 들면, 파우더 브레이크 등을 사용함으로써 자전의 회전수를 가변으로 할 수도 있다.
테이블(2)은, 공전 축선 C1과 자전 축선 C2가 설치되고, 공전 축선 C1 주위로 회전 가능한 회전식 테이블이며, 그 두께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공전 축선 C1 주위로 회전 가능한 베이스부(21)(공전 방향 화살표 R1)와, 상기 베이스부(21) 상에 설치되고, 자전 축선 C2 주위로 회전 가능한 받이부(22)(자전 방향 화살표 R2)를 구비한다.
베이스부(21)는, 상면의 중앙 부분을 수직으로 통과하도록 설치된 공전 축선 C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면의 주위 에지부의 일부가 경사면(211)으로 되어 있다. 이 경사면(211)은, 공전 축선 C1과 직교하는 평면인 기초면 P1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진 평면이며, 공전 축선 C1에 가까울수록 하방으로 되도록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경사면(211)은, 공전 축선 C1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한쌍 설치되어 있다.
받이부(22)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 축선을 자전 축선 C2로 하여 상기 자전 축선 C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받이부(22)는, 자전 축선 C2가 베이스부(21)의 경사면(211)에 수직으로 되도록 상기 경사면(211) 상에 형성되어 있고, 공전 축선 C1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한쌍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자전 축선 C2는, 공전 축선 C1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한쌍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공전 축선 C1과 자전 축선 C2와의 위치 관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전 축선 C1과 자전 축선 C2는, 평행은 아니고, 또한 교차하지 않는 위치 관계, 바꾸어 말하면, 동일 평면형이 되지 않는 위치 관계이며, 이른바 트위스트의 위치의 관계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전 축선 C2는, 공전 축선 C1과 직교하는 평면인 기초면 P1에 대하여 소정 각도 θ로 경사지고, 또한 자전 축선 C2를 통하여 공전 축선 C1에 평행한 평면인 기준면 P2와 공전 축선 C1과의 사이의 이격(離隔) 거리가 소정 거리 X로 되도록, 공전 축선 C1에 대하여 교차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초면 P1에 대한 자전 축선 C2의 각도 θ는, 10°내지 80°로 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50°로 되어 있다. 또한, 공전 축선 C1과 기준면 P2와의 사이의 이격 거리 X(즉, 공전 축선 C1과 자전 축선 C2와의 이격 거리)는, 용기(3)의 반경과 같은 거리, 또는 용기(3)의 반경보다 약간 작은 거리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공전 축선 C1에 대하여 대칭으로 한쌍 설치되어 있는 자전 축선 C2끼리의 이격 거리는, 용기(3)의 직경과 같거나 또는 상기 직경보다 약간 작은 거리로 되어 있다.
용기(3)는, 중심 축선 방향 중 적어도 일단부(3a)가 폐색된 통형체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3)는, 중심 축선 방향의 일단부(3a)가 개방할 수 없도록 밀폐되어 있고, 타단부(3b)가 교반·탈포 처리된의 피처리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개방 가능하게 밀폐된 통형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3)는, 일단부가 폐색되고 타단부가 개구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용기 본체(31)와, 상기 용기 본체(31)의 타단부 개구를 밀폐할 수 있는 커버부(32)를 구비한다. 그리고, 용기(3)는, 받이부(22)의 수에 대응한 수만큼 준비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2개 준비되어 있다.
이 용기(3)는, 테이블(2) 상에 설치되어 자전 축선 C2 주위로 자전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용기(3)는, 그 중심 축선이 받이부(22)의 중심 축선인 자전 축선 C2와 일치하도록 받이부(22)에 끼워넣어져 테이블(2)에 설치된다. 따라서, 용기(3)는, 테이블(2)의 공전 축선 C1 주위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전 축선 C1 주위로 공전(공전 방향 화살표 R1)하고, 받이부(22)의 자전 축선 C2 주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자전 축선 C2 주위로 자전(자전 방향 화살표 R2)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3)는, 개방 가능한 타단부(3b)[커버부(32) 측)]가 공전 방향 하류측으로 되고, 개방 불가능하게 밀폐된 일단부(3a)(저부측)가 공전 방향 상류측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3)의 자전 축선 C2 방향의 길이는, 상기 용기(3)를 테이블(2)에 설치한 상태에서, 공전 축선 C1을 통하여 기준면 P2과 직교하는 평면인 경면(鏡面) P3보다 공전 방향 상류측에 용기(3) 전체가 위치하도록 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즉, 용기(3)는, 테이블(2)에 설치했을 때 타단부(3b)가 일단부(3a)보다 공전 축선 C1에 가까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교반·탈포 장치(1)에 있어서는, 피처리물을 수용한 용기(3)를 테이블(2)의 받이부(22)에 장착하고, 상기 테이블(2)을 공전 축선 C1 주위로 회전시켜 용기(3)를 공전시키면, 공전에 의한 원심력이 피처리물에 작용하고, 상기 피처리물을 용기(3)의 내면에 가압하여 피처리물에 내재(內在)하는 기포를 피처리물의 표면을 향해 이동시켜 인출할 수 있어, 피처리물을 탈포할 수 있다(탈포 공정).
또한, 상기 용기(3)를 공전시키면서 자전 축선 C2 주위로 자전시키면, 공전에 의한 원심력과 자전에 의한 원심력이 피처리물에 작용하여, 상기 피처리물을 용기(3)의 내면에 가압하면서 자전에 의해 잘 혼합할 수 있어 피처리물을 교반·탈포할 수 있다(교반·탈포 공정).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3)의 공전 방향 R1과 자전 방향 R2가 역방향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용기(3)의 공전 방향 R1이 공전 축선 방향 위쪽으로부터 볼 때 시계 방향으로 되고, 자전 방향 R2이 자전 축선 방향 타단부측으로부터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전 방향 R1과 자전 방향 R2가 같은 방향으로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즉, 공전 방향 R1은, 공전 축선 C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구체적으로는, 용기(3)의 타단부(3b)[커버부(32) 측]가 공전 방향 하류측으로 되고, 일단부(3a)(저부측)가 공전 방향 상류측으로 되는 회전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도 반시계 방향{구체적으로는, 용기(3)의 타단부(3b)[커버부(32) 측]가 공전 방향 상류측으로 되고, 일단부(3a)(저부측)가 공전 방향 하류측으로 되는 회전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마찬가지로, 자전 방향 R2도, 자전 축선 C2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도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리고, 공전 방향 R1과 자전 방향 R2는, 어떤 조합으로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관한 교반·탈포 장치(1)에 의한 교반·탈포 방법의 작용을, 도 3의 (A) 내지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교반·탈포 장치(100)에 의한 교반·탈포 방법의 작용과 비교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도 3은 (A) 및 (B)가 종래의 교반·탈포 장치(100)를 나타내고, (C) 및 (D)가 본 실시예에 관한 교반·탈포 장치를 나타내고, 각각의 도면은 설명의 형편 상 간략화하여 모식적(模式的)으로 기재하고 있다.
종래의 교반·탈포 장치(100)는, 자전 축선 C200이 공전 축선 C100과 직교하는 기초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지고, 또한 공전 축선 C100과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준면 P200으로 되는 평면에는 공전 축선 C100이 위치한. 즉, 자전 축선 C200과 공전 축선 C100으로 형성되는 평면이 기준면 P200으로 된다. 따라서, 용기(300)를 공전시켰을 때 작용하는 원심력은, 주로 기준면 P200을 따라 작용하게 된다(화살표 F100). 예를 들면, 공전에 의한 원심력 중 용기(300)의 저부와 자전 축선 C200이 교차하는 점에 작용하는 원심력은, 기준면 P200을 따라 작용한다. 따라서, 종래의 교반·탈포 장치(100)에 의한 교반·탈포 방법은, 용기(300)를 공전 축선 C100 주위로 공전시키면서 상기 공전 축선 C100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경사진 자전 축선 C200 주위로 자전시키는 방법이며, 도 3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300)에 수용된 피처리물은, 기준면 P200을 따른 공전 직경 방향 외측 방향(화살표 F100)과 용기(300)의 내면에 가압되면서 자전에 의한 원심력을 받아 잘 혼합할 수 있다. 그러면, 예를 들면, 용기(300)의 저부의 자전 축선 C200 근방의 피처리물이 충분히 잘 혼합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결과적으로 교반이 불충분해질 경우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관한 교반·탈포 장치(1)에 있어서는, 자전 축선 C2가 공전 축선 C1에 대하여 트위스트의 위치로 되어 있으므로, 기준면 P2로 되는 평면은 공전 축선 C1에 대하여 소정 거리 X 이격되어 평행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3)를 공전시켰을 때 작용하는 원심력은, 주로 기준면 P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화살표 F1). 예를 들면, 공전에 의한 원심력 중 용기(3) 저부와 자전 축선 C2가 교차하는 점에 작용하는 원심력은, 기준면 P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교반·탈포 장치(1)에 의한 교반·탈포 방법은, 피처리물을 수용한 용기(3)를, 공전 축선 C1 주위로 공전시키고, 또한 상기 공전 축선 C1에 대하여 트위스트의 위치에 있는 자전 축선 C2 주위로 자전시키는 방법이며, 도 3의 (C) 및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3)에 수용된 피처리물은, 기준면 P2에 교차하는 공전 직경 방향 외측 방향(화살표 F1)으로 용기(3) 내면에 가압되면서 자전에 의한 원심력을 받아 그 전체가 구석 구석 잘 혼합되어 확실하게 교반된다.
그리고, 도 3의 (A)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교반·탈포 장치(1)에 의한 교반·탈포 공정 중의 피처리물은, 종래의 교반·탈포 장치(100)에 의한 교반·탈포 공정 중의 피처리물보다, 용기(3)의 중심 축선 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었던 상태, 구체적으로는, 용기(3)의 커버부(32)에 의해 가까운 부분까지 확대할 수 있었던 상태로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교반·탈포 공정 중의 피처리물은, 종래의 교반·탈포 공정 중의 피처리물보다, 용기(3)의 내면에 많이 접촉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자전 축선 C2끼리의 이격 거리가 용기(3)의 직경과 같거나 또는 약간 작은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기(3)의 직경보다 큰 경우라도 된다.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전 축선 C1과 기준면 P2와의 사이의 거리를 용기(3)의 반경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공전 축선 C1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한쌍 설치된 자전 축선 C2끼리의 이격 거리를 용기(3)의 직경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용기(3)의 중심 축선 방향의 길이가 긴 경우, 구체적으로는, 용기(3)를 받이부(22)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타단부(3b) 중 적어도 일부가 경면 P3보다 공전 방향 하류측까지 달하고, 일단부(3a)가 경면 P3보다 공전 방향 상류측으로 되도록 한 길이인 경우라도, 한쌍의 받이부(22) 각각에 용기(3)를 설치하면, 상기 용기(3)끼리는, 접촉하지 않고 입체 교차하는 배치로 된다. 따라서, 교반·탈포 장치(1)의 대형화를 회피하여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용기(3)를 공전 축선 C1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도록 배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양쪽의 자전 축선 C2끼리가 평행 또는 교차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3)가, 그 타단부(3b)가 일단부(3a)보다 공전 축선 C1에 가까와지도록 테이블(2)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일단부(3a)가 타단부(3b)보다 공전 축선 C1에 가까와지도록 설치해도 된다. 또는, 일단부(3a)와 타단부(3b)가 공전 축선 C1에 대하여 같은 이격 거리로 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3)를 2개 설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개만 또는 3개 이상 설치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3)가 통형체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대략 반구(半球) 형상의 보울형(bowl type)이라도 되고, 이 경우, 개구부의 중심과 저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선이 중심 축선으로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3)가 원통형상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각형의 통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3)가, 그 중심 축선 방향의 일단부(3a)가 개방할 수 없도록 밀폐되어 있고, 타단부(3b)가 개방 가능하게 폐색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양 단부(3a, 3b)가 개방 가능하게 폐색되는 경우나, 일단부(3a)가 개방 가능 또는 개방 불가능하게 폐색되고, 타단부(3b)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라도 된다. 그리고, 양 단부(3a, 3b)가 개방 가능하게 폐색되는 용기로서, 예를 들면, 시린지(syringe)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3)를 테이블(2)의 상면측에 설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용기(3)의 하면측에 설치하는 경우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공전 축선 C1이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경우라도 된다.
1: 교반·탈포 장치, 2: 테이블, 3: 용기, 21: 베이스부, 22: 받이부, C1: 공전 축선, C2: 자전 축선, P1: 기초면, P2: 기준면, P3: 경면

Claims (3)

  1. 공전(公轉) 축선(軸線)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자전(自轉) 축선이 설치된 테이블과, 피처리물을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자전 축선 주위로 자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테이블의 공전 축선 주위의 회전에 따라 공전하는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자전 축선은, 상기 공전 축선에 대하여 트위스트의 위치에 있는, 교반(攪拌)·탈포(脫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중심 축선 방향 중 적어도 일단부가 폐색(閉塞)되어 있고, 상기 중심 축선이 상기 자전 축선과 일치하고, 상기 중심 축선 방향의 타단부가 상기 일단부보다 상기 공전 축선에 가까와지도록,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는, 교반·탈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물을 수용한 용기를, 상기 공전 축선 주위로 공전시키고, 또한 상기 공전 축선에 대하여 트위스트의 위치에 있는 상기 자전 축선 주위로 자전시킴으로써, 상기 피처리물을 교반·탈포 처리하는, 교반·탈포 방법.
KR1020117011363A 2008-12-25 2009-12-24 교반·탈포 장치 및 교반·탈포 방법 KR101723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29973 2008-12-25
JP2008329973A JP5572311B2 (ja) 2008-12-25 2008-12-25 攪拌・脱泡装置及び攪拌・脱泡方法
PCT/JP2009/071438 WO2010074147A1 (ja) 2008-12-25 2009-12-24 攪拌・脱泡装置及び攪拌・脱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026A true KR20110096026A (ko) 2011-08-26
KR101723538B1 KR101723538B1 (ko) 2017-04-05

Family

ID=4228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363A KR101723538B1 (ko) 2008-12-25 2009-12-24 교반·탈포 장치 및 교반·탈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72311B2 (ko)
KR (1) KR101723538B1 (ko)
CN (2) CN102238992A (ko)
TW (1) TWI477318B (ko)
WO (1) WO20100741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0323B2 (ja) * 2012-01-27 2016-02-03 弘重 石井 遠心処理装置
TW201302298A (zh) * 2011-06-14 2013-01-16 Hiroshige Ishii 離心處理裝置
JP2013000637A (ja) * 2011-06-14 2013-01-07 Hiroshige Ishii 攪拌脱泡装置
TWI501809B (zh) * 2011-06-15 2015-10-01 Mitsuboshi Kogyo Co Ltd 攪拌及/或脫泡裝置
JP6903327B2 (ja) * 2017-02-22 2021-07-14 株式会社写真化学 回転運動伝達装置
JP6558841B1 (ja) * 2018-03-22 2019-08-14 株式会社写真化学 状態監視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撹拌・脱泡処理方法
CN112500790A (zh) * 2020-12-01 2021-03-16 朱舒畅 一种环氧改性硅树脂涂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7712A (ja) * 1995-10-23 1997-05-06 Kyoei Seisakusho:Kk 可搬式塗料撹拌機
JP2711964B2 (ja) 1992-08-27 1998-02-10 株式会社アイ・ケイ・エス 液体の攪拌・脱泡方法及び装置
KR20030089650A (ko) * 2003-05-29 2003-11-22 김영만 교반 및 탈포 장치
JP2004074130A (ja) * 2002-08-14 2004-03-11 I K S:Kk 溶剤等の攪拌・脱泡方法とその装置
JP2004243158A (ja) * 2003-02-12 2004-09-02 Thinky Corp 攪拌脱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0233A (ja) * 2002-04-26 2003-11-11 I K S:Kk 溶剤等の攪拌・脱泡装置
TW576717B (en) * 2002-10-25 2004-02-21 Japan Home Supply Kk Device for processing foodstuff material
JP3109925U (ja) * 2005-01-20 2005-06-02 文豪 王 インプレッション材料攪拌機の伝動装置
JP4551354B2 (ja) * 2006-05-08 2010-09-29 株式会社シンキー 攪拌脱泡装置
JP2008178850A (ja) * 2007-01-24 2008-08-07 I K S:Kk 被攪拌材の攪拌・脱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1964B2 (ja) 1992-08-27 1998-02-10 株式会社アイ・ケイ・エス 液体の攪拌・脱泡方法及び装置
JPH09117712A (ja) * 1995-10-23 1997-05-06 Kyoei Seisakusho:Kk 可搬式塗料撹拌機
JP2004074130A (ja) * 2002-08-14 2004-03-11 I K S:Kk 溶剤等の攪拌・脱泡方法とその装置
JP2004243158A (ja) * 2003-02-12 2004-09-02 Thinky Corp 攪拌脱泡装置
KR20030089650A (ko) * 2003-05-29 2003-11-22 김영만 교반 및 탈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77318B (zh) 2015-03-21
JP2010149049A (ja) 2010-07-08
KR101723538B1 (ko) 2017-04-05
JP5572311B2 (ja) 2014-08-13
TW201032892A (en) 2010-09-16
CN103623619A (zh) 2014-03-12
CN102238992A (zh) 2011-11-09
WO2010074147A1 (ja)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6026A (ko) 교반·탈포 장치 및 교반·탈포 방법
US8167480B2 (en) Processing unit
KR101237592B1 (ko) 교반·탈포 장치
CN1082941A (zh) 混合和处理松散物料的装置
US7438460B2 (en) Mixing device with vacuum box
US8534907B2 (en) Device for accelerating mixing and dissolving process of liquid water
KR101245415B1 (ko) 경사 원통형 혼합기
KR101197543B1 (ko) 교반 탈포 장치에 사용하는 용기, 및 교반 탈포 장치
JP2014030812A (ja) 混練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2004528960A (ja) 実験室用試験装置内の材料を撹拌部材により混合し均質化するための装置
JP2010149049A5 (ko)
JP2008119603A (ja) 撹拌装置
JP2016101576A (ja) 遠心機、及び装着機構
CN104828525A (zh) 泵盖理盖机及其理盖方法
CN203227566U (zh) 离心机
CN1856351A (zh) 搅拌器和带搅拌器的搅拌装置
JP2001276592A (ja) 攪拌脱泡装置
TWI501809B (zh) 攪拌及/或脫泡裝置
JP2005305369A (ja) 撹拌混合装置
JP2010094631A (ja) 混練装置
KR100824718B1 (ko) 자성을 갖는 하부식 교반날개조립체 제작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교반날개조립체 제작방법
JP2006305441A (ja) 撹拌脱泡装置
JP2010125661A (ja) 混練機及びこれを用いた混練方法
KR20150022354A (ko) 보조날개를 구비한 교반기
US5634717A (en) Bulk mixing flow di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