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653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653A
KR20110095653A KR1020100015241A KR20100015241A KR20110095653A KR 20110095653 A KR20110095653 A KR 20110095653A KR 1020100015241 A KR1020100015241 A KR 1020100015241A KR 20100015241 A KR20100015241 A KR 20100015241A KR 20110095653 A KR20110095653 A KR 20110095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area
electrode
thin film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4195B1 (ko
Inventor
하재흥
황규환
윤석규
송영우
이종혁
최준호
정진구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5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195B1/ko
Priority to JP2010228947A priority patent/JP5639839B2/ja
Priority to US13/026,714 priority patent/US9099674B2/en
Publication of KR20110095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8Transparent cathodes, e.g. comprising thin meta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4Cath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 H10K59/80522Cath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 H10K59/80524Transparent cathodes, e.g. comprising thin meta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26Top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31Two-side emission, e.g. transparent OLEDs [T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과율을 향상시켜 투명하도록 함과 동시에 대향 전극에서의 전압 강하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투과 영역과 상기 투과 영역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화소 영역들이 구획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제1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각 화소 영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덮고, 상기 투과 영역 및 화소 영역들 모두에 형성되며, 상기 투과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개구를 구비한 패시베이션막과, 상기 패시베이션막 상에 상기 각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화소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각 박막 트랜지스터를 가릴 수 있도록 상기 각 박막 트랜지스터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화소 전극과,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과 대향되고 광투과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투과 영역 및 화소 영역들에 걸쳐 위치하는 대향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의 사이에 개재되어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과, 도전성 물질로 구비되고 상기 제1개구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대향 전극에 접하는 도전부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시야각, 콘트라스트(contrast), 응답속도, 소비전력 등의 측면에서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MP3 플레이어나 휴대폰 등과 같은 개인용 휴대기기에서 텔레비젼(TV)에 이르기까지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장치 내부의 박막 트랜지스터나 유기 발광 소자를 투명한 형태로 만들어 줌으로써, 투명 표시 장치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투명 표시 장치에서는, 스위치 오프 상태일 때 반대편에 위치한 사물 또는 이미지가 유기 발광 소자 뿐만 아니라 박막 트랜지스터 및 여러 배선 등의 패턴 및 이들 사이의 공간을 투과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데, 비록 투명 표시 장치라 하더라도 전술한 유기 발광 소자,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들 자체의 투과율이 그리 높지 않고, 이들 사이 공간도 매우 적어 전체 디스플레이의 투과율은 높지 못하다.
또한, 전술한 패턴들, 즉, 유기 발광 소자,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배선들의 패턴들에 의해 사용자는 왜곡된 이미지를 전달받게 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패턴들 사이의 간격이 수백 nm 수준이기 때문에, 가시광 파장과 동일 수준이 되어 투과된 빛의 산란을 야기하게 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외광에 대한 투과율을 높이기 위하여 화면 전체에 대해 공통으로 증착되는 대향 전극을 얇게 형성할 경우에는 이 대향 전극에서 전압 강하(즉, IR drop) 현상이 나타날 우려가 있고, 특히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크기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현상이 두드러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투과 영역에서의 투과율을 향상시켜 투명하도록 함과 동시에 대향 전극에서의 전압 강하를 줄일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과하는 빛의 산란을 억제하여 투과 이미지의 왜곡 현상이 방지된 투명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과 영역과 상기 투과 영역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화소 영역들이 구획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제1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각 화소 영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덮고, 상기 투과 영역 및 화소 영역들 모두에 형성되며, 상기 투과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개구를 구비한 패시베이션막과, 상기 패시베이션막 상에 상기 각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화소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각 박막 트랜지스터를 가릴 수 있도록 상기 각 박막 트랜지스터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화소 전극과,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과 대향되고 광투과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투과 영역 및 화소 영역들에 걸쳐 위치하는 대향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의 사이에 개재되어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과, 도전성 물질로 구비되고 상기 제1개구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대향 전극에 접하는 도전부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화소 전극의 면적은 상기 화소 영역들 중 하나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도전 라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각 화소 전극과 중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투과 영역의 면적은 상기 화소 영역들과 상기 투과 영역의 면적의 합에 대해 5% 내지 9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패시베이션막은 투명한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전부는 상기 기판과 상기 대향 전극의 사이에 개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전부는 상기 대향 전극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투과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투명한 복수의 절연막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절연막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투과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개구와 연결된 제2개구를 구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화소 전극은 반사 전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전부는 역 테이퍼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전부는 복수의 홀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투과 영역과 상기 투과 영역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화소 영역들이 구획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제1면 상에 형성되고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각 화소 영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소 회로부와, 상기 화소 회로부들을 덮고, 상기 투과 영역 및 화소 영역들 모두에 형성되며, 상기 투과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개구를 구비한 제1절연막과, 상기 제1절연막 상에 상기 각 화소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화소 회로부를 가릴 수 있도록 상기 각 화소 회로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화소 전극과,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들과 대향되고 광투과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투과 영역 및 화소 영역들에 걸쳐 위치하는 대향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의 사이에 개재되어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과, 도전성 물질로 구비되고 상기 제3개구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대향 전극에 접하는 도전부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각 화소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 화소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도전 라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 도전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각 화소 영역을 지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투과 영역의 면적은 상기 화소 영역들과 상기 투과 영역의 면적의 합에 대해 5% 내지 9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절연막은 투명한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전부는 상기 기판과 상기 대향 전극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도전부는 상기 대향 전극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투과 영역 및 화소 영역들에는 투명한 물질로 구비된 복수의 제2절연막들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막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투과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3개구와 연결된 제4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화소 전극은 반사 전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전부는 역 테이퍼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전부는 복수의 홀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외광에 대한 투과율을 높여 투명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구현함과 동시에 대향 전극의 면저항을 감소시켜 대향 전극의 전압 강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투과하는 빛의 산란을 억제하여 투과 이미지의 왜곡 현상이 방지된 투명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 또는 도 3의 유기 발광부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도 4의 화소 회로부의 일 예를 포함한 유기 발광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도 5의 유기 발광부의 일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유기 발광부의 일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유기 발광부의 다른 일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유기 발광부의 또 다른 일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도전부의 패턴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도전부의 패턴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유기 발광부의 또 다른 일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도전부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도전부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도전부의 패턴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유기 발광부의 또 다른 일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유기 발광부의 또 다른 일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기판(1)의 제1면(11)에 디스플레이부(2)가 구비된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서 외광은 기판(1) 및 디스플레이부(2)를 투과하여 입사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광이 투과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도 1에서 볼 때, 화상이 구현되는 측에 위치한 사용자가 기판(1) 하부 외측의 이미지를 관찰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도 2는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는 기판(1)의 제1면(11)에 형성된 유기 발광부(21)와 이 유기 발광부(21)를 밀봉하는 밀봉기판(23)을 포함한다.
상기 밀봉기판(23)은 투명한 부재로 형성되어 유기 발광부(21)로부터의 화상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고, 유기 발광부(21)로 외기 및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한다.
상기 기판(1)과 상기 밀봉기판(23)은 그 가장자리가 밀봉재(24)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기판(1)과 밀봉기판(23)의 사이 공간(25)이 밀봉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공간(25)에는 흡습제나 충진재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밀봉기판(23) 대신에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박막 밀봉필름(26)을 유기 발광부(21) 상에 형성함으로써 유기 발광부(21)를 외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밀봉필름(26)은 실리콘옥사이드 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와 같은 무기물로 이루어진 막과 에폭시, 폴리이미드와 같은 유기물로 이루어진 막이 교대로 성막된 구조를 취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한 박막 상의 밀봉구조이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도 4는 도 2 또는 도 3의 유기 발광부(2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의 화소 회로부(PC)의 보다 구체적인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볼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 발광부(21)는 외광이 투과되도록 구비된 투과 영역(TA)과, 이 투과 영역(TA)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화소 영역들(PA)로 구획된 기판(1) 상에 형성된 것이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각 화소 영역(PA) 내에는 화소 회로부(PC)가 구비되어 있으며, 스캔 라인(S), 데이터 라인(D) 및 구동전원 라인(V)과 같은 복수의 도전 라인이 이 화소 회로부(P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화소 회로부(PC)의 구성에 따라 상기 스캔 라인(S), 데이터 라인(D) 및 구동전원 라인(V) 외에도 더 다양한 도전 라인들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화소 회로부(PC)는, 스캔 라인(S)과 데이터 라인(D)에 연결된 제1박막 트랜지스터(TR1)와, 제1박막 트랜지스터(TR1)와 구동 전원 라인(V)에 연결된 제2박막 트랜지스터(TR2)와, 제1박막 트랜지스터(TR1)와 제2박막 트랜지스터(TR2)에 연결된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이 때, 제1박막 트랜지스터(TR1)는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되고, 제2박막 트랜지스터(TR2)는 구동 트랜지스터가 된다. 상기 제2박막 트랜지스터(TR2)는 화소 전극(2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5에서 제1박막 트랜지스터(TR1)와 제2박막 트랜지스터(TR2)는 P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가 N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의 개수는 반드시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소 회로부(PC)에 따라 2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 1 이상의 커패시터가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캔 라인(S), 데이터 라인(D) 및 구동전원 라인(V)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화소 영역(PA)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캔 라인(S), 데이터 라인(D) 및 구동전원 라인(V)들 모두가 상기 화소 영역(PA)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각 화소 영역(PA)은 각 서브픽셀에서 발광이 이뤄지는 영역이 되는 데, 이렇게 발광이 이뤄지는 영역 내에 화소 회로부(PC)가 위치하고 스캔 라인(S), 데이터 라인(D) 및 구동전원 라인(V)을 포함하는 도전 라인들이 가로지르기 때문에 사용자는 투과 영역(TA)을 통해 외부를 볼 수 있게 된다. 이 투과 영역(TA)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캔 라인(S), 데이터 라인(D) 및 구동전원 라인(V)들 각각의 일부가 지나가기 때문에 투과율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소 중 하나인 도전 패턴의 면적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투과 영역(TA)의 투과율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화상이 구현되는 영역을 화소 영역(PA)과 투과 영역(TA)으로 나누고, 디스플레이 전체 투과율을 떨어뜨리는 요소 중 하나인 도전 패턴들의 대부분을 화소 영역(PA)으로 배치함으로써 투과 영역(TA)의 투과율을 높여, 화상이 구현되는 영역 전체의 투과율을 종래의 투명 표시장치 대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화소 영역(PA)과 투과 영역(TA)의 분리에 따라 투과 영역(TA)을 통해 외부를 관찰할 때에, 외부광이 화소 회로부(PC) 내의 소자들의 패턴과 관련하여 산란함에 따라 발생되는 외부 이미지 왜곡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화소 영역(PA)과 화소 영역(PA) 사이의 투과 영역(TA)에도 스캔 라인(S), 데이터 라인(D) 및 구동전원 라인(V)을 포함하는 도전 라인들이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있기는 하나, 이 도전 라인들은 매우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이는 사용자의 세밀한 관찰에 의해서만 발견될 뿐, 유기 발광부(21)의 전체 투과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며, 특히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데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또 사용자가 상기 화소 영역(PA)에 가리워진 영역만큼 외부 이미지를 볼 수 없다 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를 놓고 봤을 때에, 상기 화소 영역(PA)은 마치 투명 글라스의 표면에 복수의 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것이므로, 사용자가 외부 이미지를 관찰하는 데에는 큰 무리가 없게 된다.
이러한 화소 영역(PA)과 투과 영역(TA)의 전체 면적 대비 투과 영역(TA)의 면적의 비율이 5% 내지 90% 범위에 속하도록 화소 영역(PA)과 투과 영역(TA)이 형성된다.
화소 영역(PA)과 투과 영역(TA)의 전체 면적 대비 투과 영역(TA)의 면적의 비율이 5% 보다 작으면, 도 1에서 디스플레이부(2)가 스위치 오프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2)를 투과할 수 있는 빛이 적어 사용자가 반대 측에 위치한 사물 또는 이미지를 보기 어렵다. 즉, 디스플레이부(2)가 투명하다고 할 수 없게 된다. 투과 영역(TA)의 면적이 화소 영역(PA)과 투과 영역(TA)의 전체 면적 대비 5% 정도라 하더라도 화소 영역(PA)이 전체 투과 영역(TA)에 대하여 아일랜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고, 화소 영역(PA) 내에 가능한 한 모든 도전 패턴들이 배치되어 있어 태양광의 산란도를 최저화시키므로,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로서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소 회로부(PC)에 구비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산화물 반도체와 같이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로 형성하고, 유기 발광 소자도 투명 소자로 형성할 경우에는 더욱 투명 디스플레이로서의 인식이 커질 수 있다.
화소 영역(PA)과 투과 영역(TA)의 전체 면적 대비 투명 영역(TA)의 면적의 비율이 90% 보다 크면 디스플레이부(2)의 화소 집적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화소 영역(PA)에서의 발광을 통해 안정적인 화상을 구현하기 어렵다. 즉, 화소 영역(PA)의 면적이 작아질수록, 화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유기 발광층(223)에서 발광하는 빛의 휘도가 높아져야 한다. 이와 같이, 유기 발광 소자를 고휘도 상태로 작동시키면 수명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하나의 화소 영역(PA)의 크기를 적정한 크기로 유지하면서 투명 영역(TA)의 면적 비율을 90%보다 크게 하면, 화소 영역(PA)의 수가 줄어 해상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상기 화소 영역(PA)과 투과 영역(TA)의 전체 면적 대비 투과 영역(TA)의 면적의 비율은 20% 내지 70%의 범위에 속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미만에서는 투과 영역(TA)에 비해 상기 화소 영역(PA)의 면적이 지나치게 크므로, 사용자가 투과 영역(TA)을 통해 외부 이미지를 관찰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70%를 초과할 경우 화소 영역(PA) 내에 배치할 화소 회로부(PC) 설계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상기 화소 영역(PA)에는 화소 회로부(PC)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 전극(221)이 구비되며, 상기 화소 회로부(PC)는 상기 화소 전극(221)에 가리워지도록 상기 화소 전극(221)과 중첩된다. 그리고, 전술한 스캔 라인(S), 데이터 라인(D) 및 구동전원 라인(V)을 포함하는 도전 라인들도 모두 이 화소 전극(221)을 지나가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소 전극(221)은 화소 영역(PA)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약간 정도 작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가 볼 때 화소 전극(221)에 의해 전술한 화소 회로부(PC)가 가리워진 상태가 되며, 도전 라인들의 상당 부분도 가리워진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투과 영역(TA)을 통해서는 도전 라인들의 일부만을 볼 수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전체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되며, 투과 영역(TA)을 통해 외부 이미지를 잘 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투과 영역(TA)에서의 외광 투과율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상기 투과 영역(TA)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절연막들에 개구(229)를 형성한다. 그리고 투과 영역(TA)에는 도전부(27)를 더 형성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7은 상기 유기 발광부(21)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5에 나타낸 화소 회로부(PC)를 구현한 것이다.
도 7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1) 의 제1면(11) 상에 버퍼막(211)이 형성되고, 이 버퍼막(211) 상에 제1박막 트랜지스터(TR1), 커패시터(Cst) 및 제2박막 트랜지스터(TR2)가 형성된다.
먼저, 상기 버퍼막(211) 상에는 제1반도체 활성층(212a) 및 제2반도체 활성층(212b)이 형성된다.
상기 버퍼막(211)은 불순 원소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버퍼막(211)은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 알루미늄옥사이드, 알루미늄나이트라이드,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티타늄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이나,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등의 유기물 또는 이들의 적층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막(211)은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1반도체 활성층(212a) 및 제2반도체 활성층(212b)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G-I-Z-O층[(In2O3)a(Ga2O3)b(ZnO)c층](a, b, c는 각각 a≥0, b≥0, c>0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일 수 있다. 이렇게 제1반도체 활성층(212a) 및 제2반도체 활성층(212b)을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할 경우에는 광투과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제1반도체 활성층(212a) 및 제2반도체 활성층(212b)을 덮도록 게이트 절연막(213)이 버퍼막(211) 상에 형성되고, 게이트 절연막(213) 상에 제1게이트 전극(214a) 및 제2게이트 전극(214b)이 형성된다.
제1게이트 전극(214a) 및 제2게이트 전극(214b)을 덮도록 게이트 절연막(213) 상에 층간 절연막(215)이 형성되고, 이 층간 절연막(215) 상에 제1소스 전극(216a)과 제1드레인 전극(217a) 및 제2소스 전극(216b)과 제2드레인 전극(217b)이 형성되어 각각 제1반도체 활성층(212a) 및 제2반도체 활성층(212b)과 콘택 홀을 통해 콘택된다.
도 7에서 볼 때, 상기 스캔 라인(S)은 제1게이트 전극(214a) 및 제2게이트 전극(214b)의 형성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라인(D)은 제1소스 전극(216a)과 동시에 제1소스 전극(216a)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구동전원 라인(V)은 제2소스 전극(216b)과 동시에 제2소스 전극(216b)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커패시터(Cst)는 제1게이트 전극(214a) 및 제2게이트 전극(214b)의 형성과 동시에 하부 전극(220a)이, 제1드레인 전극(217a)과 동시에 상부 전극(220b)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1박막 트랜지스터(TR1), 커패시터(Cst) 및 제2박막 트랜지스터(TR2)의 구조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의 구조가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제1박막 트랜지스터(TR1) 및 제2박막 트랜지스터(TR2)는 탑 게이트 구조로 형성된 것이나, 제1게이트 전극(214a) 및 제2게이트 전극(214b)이 각각 제1반도체 활성층(212a) 및 제2반도체 활성층(212b) 하부에 배치된 바텀 게이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 밖에도 적용 가능한 모든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1박막 트랜지스터(TR1), 커패시터(Cst) 및 제2박막 트랜지스터(TR2)를 덮도록 패시베이션막(218)이 형성된다. 상기 패시베이션막(218)은 상면이 평탄화된 단일 또는 복수층의 절연막이 될 수 있다. 이 패시베이션막(218)은 무기물 및/또는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시베이션막(218) 상에는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제1박막 트랜지스터(TR1), 커패시터(Cst) 및 제2박막 트랜지스터(TR2)를 가리도록 화소 전극(221)이 형성되고, 이 화소 전극(221)은 패시베이션막(218)에 형성된 비아 홀에 의해 제2박막 트랜지스터(TR2)의 드레인 전극(217b)에 연결된다. 상기 각 화소 전극(221)은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각 화소마다 서로 독립된 아일랜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패시베이션막(218) 상에는 상기 화소 전극(221)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화소 정의막(219)이 형성되며, 화소 전극(221) 상에는 유기 발광층(223)과 대향 전극(222)이 순차로 적층된다. 상기 대향 전극(222)은 전체 화소 영역(PA)들과 투과 영역(TA)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유기 발광층(223)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막이 사용될 수 있다. 저분자 유기막을 사용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들 저분자 유기막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홀 주입층, 홀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등은 공통층으로서, 적, 녹, 청색의 픽셀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과는 달리, 이들 공통층들은 대향전극(222)과 같이, 전체 화소 영역(PA)들 및 투과 영역(TA)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221)은 애노우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상기 대향 전극(222)은 캐소오드 전극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데, 물론, 이들 화소 전극(221)과 대향 전극(222)의 극성은 서로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화소 전극(221)은 각 화소마다 화소영역(PA)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실제 화소 정의막(219)에 의해 가리워지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화소 영역(PA)과 일치하거나 이보다 약간 정도 작은 영역이 된다. 그리고 상기 대향 전극(222)은 유기 발광부 전체의 모든 화소들을 덮도록 공통 전극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소 전극(221)은 반사전극이 될 수 있고, 상기 대향 전극(222)은 투명 전극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기 발광부(21)는 대향 전극(222)의 방향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전면 발광형(top emission type)이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화소 전극(221)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일함수가 높은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향 전극(222)은 일함수가 작은 금속 즉,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향 전극(222)은 투과율이 높도록 박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화소 전극(221)이 반사전극으로 구비될 경우, 그 하부에 배치된 화소 회로부는 화소 전극(221)에 의해 가리워진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도 7에서 볼 때, 대향 전극(222)의 상부 외측에서 사용자는 화소 전극(221) 하부의 제1박막 트랜지스터(TR1), 커패시터(Cst) 및 제2박막 트랜지스터(TR2)의 각 패턴과 스캔 라인(S), 데이터 라인(D) 및 구동 전원 라인(V)의 일부를 관찰할 수 없게 된다.
또, 이렇게 화소 전극(221)이 반사전극으로 구비됨에 따라 발광된 광이 관찰자 쪽으로만 발산되므로 관찰자의 반대방향으로 소실되는 광량을 줄일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221)이 그 하부의 화소 회로의 다양한 패턴을 가리는 역할을 하므로 관찰자가 보다 선명한 투과 이미지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화소 전극(221)도 투명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반사막 없이 일함수가 높은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으로 구비되면 충분하다. 이렇게 화소 전극(221)이 투명할 경우 사용자가 대향 전극(222)의 상부 외측에서 화소 전극(221) 하부의 제1박막 트랜지스터(TR1), 커패시터(Cst) 및 제2박막 트랜지스터(TR2)의 각 패턴과 스캔 라인(S), 데이터 라인(D) 및 구동 전원 라인(V)의 일부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화소 전극(221)이 투명하다 하더라도 빛의 투과율이 100%가 될 수 없으므로, 투과되는 광에 손실이 발생할 것이고, 상기 도전 패턴들도 화소 전극(221)의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이므로, 화소 전극(221)에 의해 외광의 투과율이 더 떨어지게 될 것이므로, 이들 도전 패턴들에 직접 외광이 입사될 때에 비해 외광과의 간섭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도전 패턴들에 직접 외광이 입사될 때에 비해 외부 이미지의 왜곡 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패시베이션막(218), 게이트 절연막(213), 층간 절연막(215) 및 화소 정의막(219)은 투명한 절연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기판(1)은 상기 절연막들이 갖는 전체적인 투과율보다 작거나 같은 투과율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 투과 영역(TA)의 광투과율을 더욱 높이고, 투과 영역(TA)에서 다층의 투명한 절연막들로 인한 광간섭 현상 및 이로 인한 색순도 저하와 색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투과 영역(TA)에 대응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절연막들 중 적어도 일부 절연막에 개구(229)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 투과 영역(TA)의 외광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투과 영역(TA)의 면적을 늘리던가, 또는 투과 영역(TA)에 형성되는 재료의 투과율을 높이던가 해야 한다. 그런데, 투과 영역(TA)의 면적을 늘리는 것은 화소 회로부(PC)의 설계에 대한 제한으로 인해 한계가 있어 결국 투과 영역(TA)에 형성되는 재료의 투과율을 높여야 한다. 그러나 재료 자체의 투과율을 높이는 것은 재료 개발의 어려움으로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투과 영역(TA)에 대응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절연막들 중 적어도 일부 절연막에 개구(229)를 형성한다.
도 7에서 볼 때, 화소 회로부(PC)를 덮는 패시베이션막(218)에 제1개구(224)를 형성하고, 패시베이션막(218) 상의 화소 정의막(219)에 제2개구(225)를 형성한다. 그리고, 층간절연막(215)에는 제3개구(226)를, 게이트 절연막(213)에는 제4개구(227)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제1개구(224) 내지 제4개구(227)는 서로 연결되도록 해 개구(229)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구(229)는 각 절연막의 형성 시 마스크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절연막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습식 에칭 공정이나 기타 다른 패터닝 방법에 의해 제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구(229)는 스캔 라인(S), 데이터 라인(D) 및 구동 전원 라인(V)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 버퍼막(211)에는 개구를 연장하지 않았는 데, 이는 기판(1) 외측으로부터 침투되는 불순물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버퍼막(211)에도 개구를 형성해 제4개구(227)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구(229)는 반드시 도 7에 도시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과 영역(TA)의 절연막들, 즉, 화소 정의막(219), 패시베이션막(218), 층간절연막(215), 게이트 절연막(213) 및 버퍼막(211)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개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투과 영역(TA)에 개구(229)를 형성함으로써 투과 영역(TA)에서의 광투과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외부 이미지의 관찰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222)은 그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 박막의 금속으로 형성되고, 유기 발광부 전체의 모든 화소들을 덮도록 공통 전극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면저항이 커 전압강하가 발생되기 쉽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대향 전극(222)에 접하는 도전부(27)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전부(27)은 전기전도도가 높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투과 영역(TA)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229)와 중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이 개구(229)에서 대향 전극(222)과 콘택되도록 한다.
이 도전부(27)는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버퍼막(211) 상에 형성해, 개구(229)를 통해 노출되도록 한 후, 개구(229)에서 대향 전극(222)이 도전부(27)를 덮도록 해 대향 전극(222)과 콘택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전부(27)가 제1게이트 전극(214a) 및 제2게이트 전극(214b)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게이트 전극(214a) 및 제2게이트 전극(214b)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도전부(27)는 게이트 절연막(213) 상에 형성되고, 개구(229)는 층간 절연막(215)부터 형성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이트 절연막(213)에 제4개구(227)를 형성한 후에 제1게이트 전극(214a) 제2게이트 전극(214b) 및 도전부(27)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도전부(27)를 제1게이트 전극(214a) 및 제2게이트 전극(214b)과 동일한 물질로 동시에 형성하면 도 5 및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도전부(27)를 스캔 라인(S)과 평행한 직선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전부(27)가 제1소스/드레인 전극(216a,217a) 및 제2소스/드레인 전극(216b,217b)과 동일한 물질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도전부(27)는 층간 절연막(215) 상에 형성되고, 개구(229)는 패시베이션막(218)부터 형성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과 같은 형태로 개구(229)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도전부(27)를 제1소스/드레인 전극(216a,217a) 및 제2소스/드레인 전극(216b,217b)과 동일한 물질로 동시에 형성하면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도전부(27)를 데이터 라인(D) 또는 Vdd 라인(V)과 평행한 직선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데이터 라인(D) 및 스캔 라인(S)과 평행한 직선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전부(27)가 화소 전극(221)과 동일한 물질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도전부(27)는 패시베이션막(218) 상에 형성되고, 개구(229)는 화소 정의막(219)부터 형성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과 같은 형태로 개구(229)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27)는 도 13에서 볼 수 있듯이, 역 테이퍼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기 발광층(223) 중 공통층(223a)으로 말미암아 도전부(27)와 대향 전극(222)이 콘택되지 않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13에서 볼 수 있듯이, 역 테이퍼를 갖는 형상으로 도전부(27)를 형성한 후에 공통층(223a) 및 대향 전극(222)을 순차 형성할 경우, 도전부(27)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공통층(223a)이 끊어지기 때문에 도전부(27)와 대향 전극(222)이 콘택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4는 도전부(27)의 역 테이퍼 구조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전부(27)가 복수의 금속 물질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식각비를 이용하여 도 14와 같은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도전부(27)는 하부로부터 제1도전부(27a), 제2도전부(27b) 및 제3도전부(27c)가 순차 적층된 구조를 갖는 데, 이 때, 제2도전부(27b)가 제3도전부(27c)보다 안쪽으로 인입된 구조를 취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전술한 도 13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전부(27)는 도 15에서 볼 수 있듯이 다수의 홀(27d)을 형성함으로써 유기물인 공통층(223a)이 도전부(27) 측면에 증착될 확률을 줄이고, 도전부(27)와 대향 전극(222)의 콘택 확률을 더 높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 상기 도전부(27)는 대향 전극(222)과 기판(1)의 사이에 개재된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도 16에서 볼 수 있듯이, 대향 전극(222)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도전부(27)는 스캔 라인(S)과 평행한 직선상으로 형성되거나, 데이터 라인(D) 또는 Vdd 라인(V)과 평행한 직선상으로 형성되거나, 데이터 라인(D) 및 스캔 라인(S)과 평행한 직선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화소전극(221a), 제2화소전극(221b) 및 제3화소전극(221c)에 대응되게 하나의 개구(229)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제1데이터 라인(D1) 내지 제3데이터 라인(D3)은 각각 제1화소전극(221a) 내지 제3화소전극(221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1Vdd라인(V1)은 제1화소전극(221a) 및 제2화소전극(221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Vdd라인(V2)은 제3화소전극(221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복수의 서브픽셀에 대하여 하나의 큰 개구(229)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투과율을 더욱 높일 수 있고, 광산란에 의한 이미지 왜곡 효과도 더욱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큰 개구(229)를 통해 노출된 도전부(27)가 대향 전극(222)과 콘택될 수 있으므로, 대향 전극(222)의 전압 강하를 방지하는 효과도 뛰어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기판 2: 디스플레이부
11: 제1면 21: 유기 발광부
23: 밀봉 기판 24: 밀봉재
25: 공간 26: 밀봉 필름
27: 도전부 211: 버퍼막
212a,b: 제1,2반도체 활성층 213: 게이트 절연막
214a,b: 제1,2게이트 전극 215: 층간 절연막
216a,b: 제1,2소스 전극 217a,b: 제1,2드레인 전극
218: 패시베이션막 219: 화소정의막
220a: 하부 전극 220b: 상부 전극
221: 화소 전극 222: 대향 전극
223: 유기 발광층 224: 제1개구
225: 제2개구 226: 제3개구
227: 제4개구 229: 개구
PA: 화소 영역 TA: 투과 영역
PC: 화소 회로부 S: 스캔 라인
D: 데이터 라인 V: Vdd 라인
TR1,2: 제1,2박막 트랜지스터 Cst: 커패시터

Claims (24)

  1. 투과 영역과 상기 투과 영역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화소 영역들이 구획된 기판;
    상기 기판의 제1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각 화소 영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덮고, 상기 투과 영역 및 화소 영역들 모두에 형성되며, 상기 투과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개구를 구비한 패시베이션막;
    상기 패시베이션막 상에 상기 각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화소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각 박막 트랜지스터를 가릴 수 있도록 상기 각 박막 트랜지스터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화소 전극;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과 대향되고 광투과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투과 영역 및 화소 영역들에 걸쳐 위치하는 대향 전극;
    상기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의 사이에 개재되어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 및
    도전성 물질로 구비되고 상기 제1개구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대향 전극에 접하는 도전부;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의 면적은 상기 화소 영역들 중 하나의 면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도전 라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각 화소 전극과 중첩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영역의 면적은 상기 화소 영역들과 상기 투과 영역의 면적의 합에 대해 5% 내지 90%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막은 투명한 물질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는 상기 기판과 상기 대향 전극의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는 상기 대향 전극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투명한 복수의 절연막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투과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개구와 연결된 제2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은 반사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는 역 테이퍼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는 복수의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표시장치.
  13. 투과 영역과 상기 투과 영역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화소 영역들이 구획된 기판;
    상기 기판의 제1면 상에 형성되고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각 화소 영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소 회로부;
    상기 화소 회로부들을 덮고, 상기 투과 영역 및 화소 영역들 모두에 형성되며, 상기 투과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개구를 구비한 제1절연막;
    상기 제1절연막 상에 상기 각 화소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화소 회로부를 가릴 수 있도록 상기 각 화소 회로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화소 전극;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들과 대향되고 광투과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투과 영역 및 화소 영역들에 걸쳐 위치하는 대향 전극;
    상기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의 사이에 개재되어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 및
    도전성 물질로 구비되고 상기 제3개구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대향 전극에 접하는 도전부;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각 화소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도전 라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 도전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각 화소 영역을 지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영역의 면적은 상기 화소 영역들과 상기 투과 영역의 면적의 합에 대해 5% 내지 90%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막은 투명한 물질로 구비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는 상기 기판과 상기 대향 전극의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는 상기 대향 전극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영역 및 화소 영역들에는 투명한 물질로 구비된 복수의 제2절연막들이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막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투과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3개구와 연결된 제4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은 반사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표시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는 역 테이퍼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표시장치.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는 복수의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표시장치.
KR1020100015241A 2010-02-19 2010-02-19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84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241A KR101084195B1 (ko) 2010-02-19 2010-02-19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0228947A JP5639839B2 (ja) 2010-02-19 2010-10-08 有機発光表示装置
US13/026,714 US9099674B2 (en) 2010-02-19 2011-02-14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241A KR101084195B1 (ko) 2010-02-19 2010-02-19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653A true KR20110095653A (ko) 2011-08-25
KR101084195B1 KR101084195B1 (ko) 2011-11-17

Family

ID=44475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241A KR101084195B1 (ko) 2010-02-19 2010-02-19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99674B2 (ko)
JP (1) JP5639839B2 (ko)
KR (1) KR101084195B1 (ko)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1141A (ko) * 2012-11-13 2014-05-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62258A (ko) * 2012-11-14 2014-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발광소자
KR20140085243A (ko) * 2012-12-27 2014-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40087914A (ko) * 2012-12-31 2014-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5355A (ko) * 2013-05-16 2014-1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055236A (ko) * 2013-11-13 2015-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50078344A (ko) * 2013-12-30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50143967A (ko) * 2014-06-13 2015-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32763A (ko) * 2014-09-16 2016-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59003A (ko) * 2014-11-17 2016-05-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62661A (ko) * 2014-11-25 2016-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84006A (ko) * 2015-01-02 2016-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8978A (ko) * 2015-01-16 2016-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96760A (ko) * 2015-02-05 2016-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기판, 투명 표시 장치 및 투명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70031847A (ko) * 2015-09-11 2017-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037792A (ko) * 2015-09-25 2017-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70074252A (ko) * 2015-12-21 2017-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KR20170113932A (ko) * 2016-03-29 2017-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7658328A (zh) * 2016-07-26 2018-02-02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180012686A (ko) * 2016-07-26 2018-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81957A (ko) * 2017-01-09 2018-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이미지 센서 제조 방법
KR20180116512A (ko) * 2017-04-14 2018-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기판
US10236309B2 (en) 2016-10-14 2019-03-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332945B2 (en) 2016-12-09 2019-06-2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KR20220026540A (ko) * 2015-02-13 2022-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515B1 (ko) * 2012-05-03 2019-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1931176B1 (ko) * 2012-06-11 2018-1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695620B2 (ja) * 2012-09-19 2015-04-08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KR102059940B1 (ko) * 2012-11-29 2019-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754971B2 (en) * 2013-05-18 2017-09-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KR102067966B1 (ko) * 2013-08-30 2020-0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964807B2 (ja) 2013-08-30 2016-08-03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フレキシブル有機電界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85238A (ja) * 2014-03-20 2015-10-22 株式会社東芝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37135B1 (ko) * 2014-07-14 2021-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236381B1 (ko) * 2014-07-18 2021-04-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7532722A (ja) * 2014-08-22 2017-11-02 オーエルイーディーワークス ゲーエムベーハーOLEDWorks GmbH 発光デバイス
KR102213114B1 (ko) * 2014-09-29 2021-0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90785B1 (ko) * 2014-11-18 2021-08-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5633297B (zh) * 2014-11-25 2018-04-20 乐金显示有限公司 透视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389626B1 (ko) * 2014-12-11 2022-04-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76034A (ko) * 2014-12-22 2016-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9766763B2 (en) * 2014-12-26 2017-09-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Functional panel, light-emitting panel, display panel, and sensor panel
KR102449804B1 (ko) * 2015-03-02 2022-10-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867958B (zh) * 2015-04-01 2017-12-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KR102537989B1 (ko) * 2015-04-30 2023-05-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500273B1 (ko) * 2015-10-19 2023-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17091878A (ja) * 2015-11-12 2017-05-2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36147B1 (ko) 2015-12-31 2024-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표시장치
KR102521254B1 (ko) * 2016-06-01 2023-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04488A (ko) * 2016-07-04 2018-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666207B1 (ko) * 2016-12-30 2024-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결 클래드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90088899A1 (en) * 2017-09-18 2019-03-2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material to be sprayed for the device
CN108091677A (zh) * 2017-12-14 2018-05-29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装置以及阵列基板的制造方法
JP7179517B2 (ja) * 2018-03-01 2022-11-29 Tianma Japan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573917B1 (ko) * 2018-06-14 2023-09-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46222A (ko) * 2018-10-23 2020-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97871A (ko) * 2019-02-08 2020-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3508641A (zh) * 2019-02-27 2021-10-15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KR20200113055A (ko) * 2019-03-20 2020-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527596B2 (en) * 2019-07-24 2022-12-13 Tianma Japan, Ltd. Display device
KR20210130906A (ko) * 2020-04-22 2021-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42808A (ko) * 2020-05-18 2021-1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EP3933931A1 (en) * 2020-07-02 2022-01-05 L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230096570A (ko) * 2021-12-23 2023-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4411B2 (ja) * 2000-02-16 2010-03-17 出光興産株式会社 アクティブ駆動型有機el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282697B (en) * 2000-02-25 2007-06-11 Seiko Epson Corp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JP4788677B2 (ja) * 2000-02-25 2011-10-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900470B2 (en) * 2001-04-20 2005-05-31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318556A (ja) * 2001-04-20 2002-10-31 Toshiba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平面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59660A (ja) 2001-08-17 2003-02-28 Toshiba Corp 自己発光型表示装置の製造方法
TW588185B (en) 2001-09-06 2004-05-21 Sharp Kk Displa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7248235B2 (en) * 2001-09-14 2007-07-2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040025383A (ko) * 2002-09-19 2004-03-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46663B1 (ko) 2003-08-05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탑-이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EP1505666B1 (en) * 2003-08-05 2018-04-04 LG Display Co., Ltd. Top-emission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542997B1 (ko) * 2003-08-07 2006-01-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44138B1 (ko) 2003-11-12 2006-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소자
JP4287337B2 (ja) * 2003-11-24 2009-07-01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84825B1 (ko) * 2003-11-24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113045A (ko) * 2004-05-28 2005-12-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TWI227094B (en) * 2004-06-03 2005-01-21 Au Optronics Corp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thereof
KR100721948B1 (ko) * 2005-08-30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70040145A (ko) * 2005-10-11 2007-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용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69825B1 (ko) 2005-10-18 2007-10-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35583B1 (ko) * 2005-10-21 2006-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43376B1 (ko) * 2005-10-24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와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152139B1 (ko) * 2005-12-06 2012-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세정제 및 이를 사용하는 박막 트랜지스터표시판의 제조 방법
KR100745759B1 (ko) 2006-01-27 200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캐소드를 가진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KR101184640B1 (ko) * 2006-03-15 2012-09-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US8115376B2 (en) * 2006-06-19 2012-02-14 Sony Corporation Light-emitting display with auxiliary wiring se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59691B1 (ko) * 2007-03-07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43188B1 (ko) * 2007-03-21 2014-09-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장치의 제조방법 및 유기발광장치
KR20090016238A (ko) 2007-08-10 2009-02-13 황장환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유닛
US7816677B2 (en) * 2008-02-12 2010-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20090110624A (ko) * 2008-04-18 2009-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256863B2 (ja) * 2008-06-06 2013-08-07 ソニー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KR101572084B1 (ko) * 2008-07-16 2015-1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0026350A (ja) * 2008-07-23 2010-02-04 Hitachi Displays Ltd トップエミッション型有機el表示装置
KR101499233B1 (ko) * 2008-09-03 2015-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00030865A (ko) * 2008-09-11 2010-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1141A (ko) * 2012-11-13 2014-05-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62258A (ko) * 2012-11-14 2014-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발광소자
KR20140085243A (ko) * 2012-12-27 2014-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40087914A (ko) * 2012-12-31 2014-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5355A (ko) * 2013-05-16 2014-1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055236A (ko) * 2013-11-13 2015-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50078344A (ko) * 2013-12-30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50143967A (ko) * 2014-06-13 2015-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32763A (ko) * 2014-09-16 2016-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59003A (ko) * 2014-11-17 2016-05-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62661A (ko) * 2014-11-25 2016-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84006A (ko) * 2015-01-02 2016-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8978A (ko) * 2015-01-16 2016-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96760A (ko) * 2015-02-05 2016-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기판, 투명 표시 장치 및 투명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20026540A (ko) * 2015-02-13 2022-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70031847A (ko) * 2015-09-11 2017-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037792A (ko) * 2015-09-25 2017-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70074252A (ko) * 2015-12-21 2017-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US10109692B2 (en) 2016-03-29 2018-10-2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KR20170113932A (ko) * 2016-03-29 2017-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12686A (ko) * 2016-07-26 2018-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658328A (zh) * 2016-07-26 2018-02-02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CN107658328B (zh) * 2016-07-26 2023-08-04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US10236309B2 (en) 2016-10-14 2019-03-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332945B2 (en) 2016-12-09 2019-06-2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KR20180081957A (ko) * 2017-01-09 2018-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이미지 센서 제조 방법
KR20180116512A (ko) * 2017-04-14 2018-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39839B2 (ja) 2014-12-10
JP2011171278A (ja) 2011-09-01
US20110204369A1 (en) 2011-08-25
US9099674B2 (en) 2015-08-04
KR101084195B1 (ko)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19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9733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14698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8418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15643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22372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15644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19319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8419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9733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2317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9734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10816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3503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1902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3136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24392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1011059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1902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10071698A (ko) 평판 표시 장치
KR10180191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