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763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763A
KR20160032763A KR1020140122790A KR20140122790A KR20160032763A KR 20160032763 A KR20160032763 A KR 20160032763A KR 1020140122790 A KR1020140122790 A KR 1020140122790A KR 20140122790 A KR20140122790 A KR 20140122790A KR 20160032763 A KR20160032763 A KR 20160032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ptical member
substrate
organic ligh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6502B1 (ko
Inventor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2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502B1/ko
Priority to US14/734,405 priority patent/US9455310B2/en
Publication of KR20160032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투과되는 광의 회절을 방지하는 광학 부재를 구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소 영역 및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화소 영역의 제1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발광 구조물, 화소 영역 및 투과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공통 배선들, 투과 영역에 배치되며, 공통 배선들에 인접하여 발생되는 광의 회절을 방지하는 광학 부재 및 발광 구조물 및 광학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과되는 광의 회절이 방지됨으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의 선명도는 증가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광학 부재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 장치는 경량 및 박형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음극선관 표시 장치를 대체하는 표시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액정 표시 장치와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있다. 이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박막에 음극과 양극을 통하여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여 여기자를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에 의해 특정한 파장의 빛이 발생되는 현상을 이용한다.
최근 투과 영역과 화소 영역을 구비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를 투과시킬 수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투과 영역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공통 배선들에 의해 투과 영역으로 입사되는 외광이 회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배선들은 불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외광은 공통 배선을 투과할 수 없다. 따라서,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 사이의 투과 영역을 통과하는 외광은 회절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회절 현상 때문에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의 선명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과 영역에 광학 부재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목적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소 영역 및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화소 영역의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발광 구조물, 상기 화소 영역 및 상기 투과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공통 배선들, 상기 투과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공통 배선들에 인접하여 발생되는 광의 회절을 방지하는 광학 부재 및 상기 발광 구조물 및 상기 광학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라운드진 상면 및 평탄한 저면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를 통과한 광들은 상기 제1 기판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투과 영역이 개재되는 상기 공통 배선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광학 부재의 상면의 곡률이 조절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공통 배선들은 데이터 배선, 스캔 배선 및 전원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공통 배선들은 불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상기 광학 부재 및 상기 제2 기판은 동일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프레넬 렌즈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발광 구조물은 반도체 소자, 복수의 절연층, 화소 정의막, 제1 전극,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화소 영역으로부터 상기 투과 영역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투과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 상에 광학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공통 배선은 상기 광학 부재와 동일한 레벨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투과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은 상기 광학 부재와 동일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광학 부재는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광학 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상기 투과 영역에 위치하는 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채우는 투명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투명 부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 및 상기 광학 부재는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 및 상기 광학 부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투과 영역에 광학 부재를 구비하여 투과 영역을 통해 투과되는 사물 또는 이미지의 선명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I-I'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의 제조 방법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소 영역 및 투과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영역에는 복수의 화소들(10, 20, 30)이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투과 영역에는 투과창(40)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화소(10)는 적색 광을 방출할 수 있고, 다른 화소(20)는 녹색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또 다른 화소(30)는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투과창(40)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화소들(10, 20, 30) 및 투과창(40)을 둘러싸는 부분(예를 들어, 데드 스페이스)에는 공통 배선들(데이터 배선, 스캔 배선, 전원 배선 등)과 절연층(예를 들어, 화소 정의막, 보호층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I-I'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제1 기판(110), 발광 구조물(200), 광학 부재(230), 복수의 공통 배선들(260), 제2 기판(2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 구조물(200)은 화소 영역(I)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학 부재(230)는 투과 영역(II)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영역(I)에서는 화상이 표시될 수 있고, 투과 영역(II)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가 투과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투과 영역(II)을 갖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제1 기판(110)은 투명한 재질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110)은 유리, 석영, 합성 석영(synthetic quartz), 불화칼슘(CaF2) 및 불소 도핑 석영(F-doped quartz), 소다라임(sodalime), 무알칼리(non-alkal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가 화소 영역(II) 및 투과 영역(II)을 구비함에 따라, 제1 기판(110)도 화소 영역(I)과 투과 영역(II)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투과 영역(II)은 전술한 투과창(40)에 해당될 수 있다.
발광 구조물(200)은 제1 기판(110)의 화소 영역(I)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구조물(200)은 구동 트랜지스터(160), 제1 절연층(170), 게이트 절연층(180), 제2 절연층(190), 제1 전극(210), 화소 정의막(220), 발광층(240), 제2 전극(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160)는 액티브층(120), 게이트 전극(130), 소스 전극(140) 및 드레인 전극(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티브층(120)은 제1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액티브층(120)은 산화물 반도체, 무기물 반도체(예를 들어, 아몰퍼스 실리콘(amorphous silicon), 폴리 실리콘(poly silicon)) 또는 유기물 반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층(120) 상에는 제1 절연층(17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70)은 액티브층(12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절연층(170)은 기판(110)의 투과 영역(II)에 배치되지 않는다. 제1 절연층(170)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30)은 제1 절연층(170) 중에서 하부에 액티브층(120)이 위치하는 부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30)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30) 상에는 게이트 절연층(180)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80)은 게이트 전극(13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게이트 절연층(180)은 투과 영역(II)에 배치되지 않는다. 게이트 절연층(180)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80) 상에는 소스 전극(140) 및 드레인 전극(150)이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140)은 제1 절연층(170) 및 게이트 절연층(180)의 일부를 관통하여 액티브층(1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드레인 전극(150)은 제1 절연층(170) 및 게이트 절연층(180)의 일부를 관통하여 액티브층(12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140) 및 드레인 전극(150)은 각기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소스 전극(140) 및 드레인 전극(150) 상에는 제2 절연층(19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90)은 소스 전극(140) 및 드레인 전극(15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절연층(190)은 투과 영역(II)에 배치되지 않는다. 제2 절연층(190)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210)은 제2 절연층(19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210)은 제2 절연층(190)의 일부를 관통하여 소스 전극(140)과 접속될 수 있다. 제1 전극(210)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220)은 제2 절연층(190)의 일부 및 제1 전극(210)의 일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220)은 제1 전극(210)의 양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220)은 유기 물질 또는 무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 전극(210) 상에 발광층(240)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240)은 상이한 색광들(즉,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등)을 방출시킬 수 있는 발광 물질들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발광층(240)은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등과 같은 상이한 색광들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발광 물질들이 적층되어 백색광을 발광할 수도 있다. 제2 전극(250)은 화소 정의막(220) 및 발광층(2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250)은 화소 정의막(220) 및 발광층(24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전극(250)은 투과 영역(II)에 배치되지 않는다.
공통 배선들(260)은 제1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공통 배선들(260)은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영역(I)의 최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공통 배선들(260)은 실질적으로 투과 영역(II)을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고, 공통 배선들(260)이 위치하는 영역은 전술한 데드 스페이스 또는 주변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통 배선들(260) 데이터 배선, 스캔 배선 또는 전원 배선 등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공통 배선들(260)은 불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외광(external light)은 공통 배선들(260)을 투과하지 못한다. 여기서, 상기 외광은 외부로부터 제1 기판(110)을 통해 입사되고, 투과 영역(II)을 투과하는 광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배선들(260)은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 질화물(AlNx), 은을 함유하는 합금, 텅스텐 질화물(WNx), 구리를 함유하는 합금, 크롬 질화물(CrNx), 몰리브데늄을 함유하는 합금, 티타늄 질화물(TiNx), 탄탈륨 질화물(TaNx), 스트론튬 루테늄 산화물(SRO), 아연 산화물(ZnOx), 주석 산화물(SnOx), 인듐 산화물(InOx), 갈륨 산화물(GaO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배선들(260)이 불투명한 물질을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투과 영역(II)을 둘러싸며 배치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260)과 투과 영역(II)은 슬릿(slit)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이중 슬릿을 향해 광(light)을 통과 시킬 경우, 회절(예를 들어, 에돌이)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회절 현상은 평면파인 상기 광이 상기 이중 슬릿을 통과함에 따라 구면파들로 변경되고, 상기 구면파들에서 간섭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면파들에서 보강 간섭과 상쇄 간섭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이중 슬릿을 통과한 상기 광은 불규칙한 광의 세기를 가진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와 비교했을 때,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는 복수의 투과 영역들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과 영역들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복수의 공통 배선들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투과 영역들 및 공통 배선들은 상기 이중 슬릿에 해당될 수 있고, 상기 투과 영역들을 투과하는 외광은 상기 빛에 해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광은 불규칙한 광의 세기를 가질 수 있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의 선명도는 감소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공통 배선들(260)은 게이트 전극(130)과 동일한 레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통 배선들(260)은 게이트 전극(13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부재(230)는 제1 기판(110)의 투과 영역(II)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 부재(230)는 제1 기판(110)의 화소 영역(I)에 위치하고,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2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부재(230)는 라운드진 상면 및 평탄한 저면을 가질 수 있다. 또는, 광학 부재(230)의 상면은 반원의 단면 형상, 반 타원의 단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면은 제1 기판(110)에 접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광학 부재(230)는 반 볼록 렌즈(half convex lens)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260)에 의해 상기 외광이 회절됨에 따라, 상기 외광의 회절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광학 부재(230)가 상기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26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광학 부재(230)는 상기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260)에 의해 회절된 외광의 진행 방향을 제1 기판(110)의 상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광의 진행 방향은 제1 기판(110)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학 부재(230)의 상면의 곡률은 투과 영역(II)이 개재되는 공통 배선들(26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외광의 진행 방향이 제1 기판(110)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광은 균일한 광의 세기를 가질 수 있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의 선명도는 증가될 수 있다.
광학 부재(230)는 투명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부재(230)는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 아크릴, 폴리아미드, 실록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광학 부재(230)는 투명한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부재(230)는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질화물(SiON), 알루미늄 산화물(AlOx), 알루미늄 질화물(AlNx), 티타늄 산화물(TiOx), 아연 산화물(ZnO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기판(110), 광학 부재(230) 및 제2 기판(270)이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제1 기판(110), 광학 부재(230) 및 제2 기판(270)이 실질적으로 유사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외광은 제1 기판(110)과 광학 부재(230) 사이의 계면에서 굴절되지 않을 수 있고, 광학 부재(230)를 투과한 상기 외광은 굴절 없이 제2 기판(270)을 투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투과율은 증가될 수 있고, 선명도 또한 개선될 수 있다.
제2 기판(270)은 발광 구조물(200) 및 광학 부재(2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270)은 실질적으로 제1 기판(110)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판(270)은 유리, 석영, 합성 석영, 불화칼슘 및 불소 도핑 석영, 소다 라임, 무알칼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260) 사이에 광학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광이 투과 영역(II)에서 회절되지 않기 때문에, 유기발광 표시 장치(100)는 균일한 외광의 세기를 갖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110), 광학 부재(230) 및 제2 기판(270)이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경우, 상기 외광이 반사될 수 있는 층간 계면이 감소될 수 있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의 선명도는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 기판(310)의 화소 영역(I)에 액티브층(320) 및 복수의 공통 배선들(460)이 형성될 수 있다. 공통 배선들(460)은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배선들(460)은 실질적으로 투과 영역(II)을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통 배선들(460)이 형성되는 영역은 주변 영역 또는 데드 스페이스에 해당될 수 있다. 더욱이, 공통 배선들(460)은 데이터 배선, 스캔 배선 또는 전원 배선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통 배선들(460)은 불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광은 공통 배선들(460)을 투과할 수 없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액티브층(320)과 공통 배선들(460)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액티브층(320)과 동일한 재료로 공통 배선들(460)을 형성한 후, 공통 배선들(460)에만 소정의 물질을 도핑 처리하여 공통 배선들(460)은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공통 배선들(460)은 액티브층(320)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330)(도 3c 참조)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공통 배선들(460)은 게이트 전극(33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배선들(460)은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 질화물, 은을 함유하는 합금, 텅스텐 질화물, 구리를 함유하는 합금, 크롬 질화물, 몰리브데늄을 함유하는 합금, 티타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스트론튬 루테늄 산화물, 아연 산화물, 주석 산화물, 인듐 산화물, 갈륨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310)은 투명한 재질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310)은 유리, 석영, 합성 석영, 불화칼슘 및 불소 도핑 석영, 소다라임, 무알칼리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액티브층(320)은 산화물 반도체, 무기물 반도체 또는 유기물 반도체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절연층(370)은 제1 기판(310)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절연층(370)은 액티브층(320) 및 공통 배선들(46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으로부터 투과 영역(II)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연층(370)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330)은 제1 절연층(370) 중에서 하부에 액티브층(320) 이 위치하는 부분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330)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380)은 제1 절연층(370) 상에 형성될 수 있고, 게이트 전극(33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으로부터 투과 영역(II)까지 연장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380)이 제1 절연층(370) 상에 형성된 후, 제1 절연층(370) 및 게이트 절연층(380)의 일부를 관통하여 액티브층(32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콘택홀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절연층(370) 및 게이트 절연층(380)의 타부를 관통하여 액티브층(32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콘택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절연층(380)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소스 전극(340)은 상기 제1 콘택홀을 채우고, 상기 제1 콘택홀 내로 연장되어 액티브층(320)의 일측과 접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350)은 상기 제2 콘택홀을 채우고, 상기 제2 콘택홀 내로 연장되어 액티브층(320)의 타측과 접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전극(340) 및 드레인 전극(350)은 각기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스 전극(340), 드레인 전극(350), 게이트 전극(330) 및 액티브층(320)을 포함하는 구동 트랜지스터(360)가 형성될 수 있다.
소스 전극(340) 및 드레인 전극(350) 상에는 제2 절연층(39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층(390)은 소스 전극(340) 및 드레인 전극(35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으로부터 투과 영역(II)까지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층(390)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380) 상에 제2 절연층(390)이 형성된 후, 제2 절연층(390)의 일부를 관통하여 소스 전극(34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3 콘택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제1 전극(410)은 제2 절연층(39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410)은 상기 제3 콘택홀을 통하여 소스 전극(340)과 접속될 수 있다. 제1 전극(410)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420)은 제2 절연층(390)의 일부 및 제1 전극(410)의 일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420)은 제1 전극(410)의 양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420)은 유기 물질 또는 무기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 전극(410) 상에 발광층(440)이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440)은 상이한 색광들을 방출시킬 수 있는 발광 물질들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발광층(440)은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등과 같은 상이한 색광들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발광 물질들이 적층되어 백색광을 발광할 수도 있다.
제2 전극(450)은 화소 정의막(420), 발광층(440) 및 제2 절연층(39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450)은 화소 정의막(420), 발광층(440) 및 제2 절연층(39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450)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절연층(370), 구동 트랜지스터(360), 게이트절연층(380), 제2 절연층(390), 제1 전극(410), 화소 정의막(420), 발광층(440) 및 제2 전극(450)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물(50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e를 참조하면, 제1 기판(310)의 투과 영역(II)에 위치하는 제1 절연층(370), 게이트 절연층(380), 제2 절연층(390) 및 제2 전극(450)이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공통 배선들(460)은 투과 영역(II)의 외곽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고, 공통 배선들(460)은 제거되지 않는다.
도 3f를 참조하면, 광학 부재(430)는 제1 기판(310)의 투과 영역(II)에 형성될 수 있다. 광학 부재(430)는 제1 기판(310)의 화소 영역(I)에 위치하는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46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광학 부재(430)의 상면은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광학 부재(430)의 상면은 반원의 단면 형상, 반 타원의 단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광학 부재(430)는 반 볼록 렌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460)에 의해 상기 외광이 회절됨에 따라, 상기 외광의 회절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광학 부재(430)가 상기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46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광학 부재(430)의 상면의 곡률은 투과 영역(II)이 개재되는 공통 배선들(46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외광의 진행 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제2 기판(470)은 발광 구조물(500) 및 광학 부재(4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470)은 실질적으로 제1 기판(310)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판(470)은 유리, 석영, 합성 석영, 불화칼슘 및 불소 도핑 석영, 소다 라임, 무알칼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예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투과 영역(II)에 배치된 절연층들을 제외하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제1 기판(510), 발광 구조물(600), 제2 기판(670), 광학 부재(630), 복수의 공통 배선들(6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구조물(600)은 구동 트랜지스터(560), 제1 절연층(570), 게이트 절연층(580), 제2 절연층(590), 제1 전극(610), 화소 정의막(620), 발광층(640), 제2 전극(6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660)는 액티브층(520), 게이트 전극(530), 소스 전극(540) 및 드레인 전극(5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 구조물(600) 및 공통 배선들(660)은 화소 영역(I)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학 부재(630)는 투과 영역(II)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영역(I)에서는 화상이 표시될 수 있고, 투과 영역(II)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가 투과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투과 영역(II)을 갖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제1 기판(510) 상에 제1 절연층(57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570)은 액티브층(52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570) 상에 게이트 절연층(580)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580)은 게이트 전극(53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580) 상에 제2 절연층(59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590)은 소스 전극(540), 드레인 전극(550) 및 공통 배선들(66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절연층(660)은 투과 영역(II)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절연층(570), 게이트 절연층(580) 및 제2 절연층(590)은 각기 투명한 무기 재료 또는 투명한 유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기 재료는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알루미늄 산화물(AlOx), 알루미늄 질화물(AlNx), 티타늄 산화물(TiOx), 아연 산화물(ZnO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기 재료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acrylate monomer), 페닐아세틸렌(phenylacetylene), 디아민(diamine), 디안하이드라이드(dianhydride), 실록산(siloxane), 실란(silane), 파릴렌(parylene), 올레핀계 고분자(polyethylene, polyprop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플루오르수지(fluororesin), 폴리실록산(polysiloxa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절연층(570), 게이트 절연층(580) 및 제2 절연층(590)이 광학 부재(63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유사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공통 배선들(660)은 게이트 절연층(580)과 제2 절연층(5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즉, 공통 배선들(660)은 소스 전극(540) 및 드레인 전극(550)과 동일한 레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통 배선들(660)은 소스 전극(540) 및 드레인 전극(55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 배선들(660)은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영역(I)의 최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공통 배선들(660)은 실질적으로 투과 영역(II)을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고, 공통 배선들(660)이 위치하는 영역은 데드 스페이스 또는 주변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공통 배선들(660) 데이터 배선, 스캔 배선 또는 전원 배선 등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공통 배선들(660)은 불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외광은 공통 배선들(660)을 투과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공통 배선들(660)은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 질화물, 은을 함유하는 합금, 텅스텐 질화물, 구리를 함유하는 합금, 크롬 질화물, 몰리브데늄을 함유하는 합금, 티타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스트론튬 루테늄 산화물, 아연 산화물, 주석 산화물, 인듐 산화물, 갈륨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배선들(660)이 불투명한 물질을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투과 영역(II)을 둘러싸며 배치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660)과 투과 영역(II)은 슬릿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이중 슬릿을 향해 광을 통과 시킬 경우, 회절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회절 현상은 평면파인 상기 광이 상기 이중 슬릿을 통과함에 따라 구면파들로 변경되고, 상기 구면파들에서 간섭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면파들에서 보강 간섭과 상쇄 간섭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이중 슬릿을 통과한 상기 광은 불규칙한 광의 세기를 가진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와 비교했을 때,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에는 복수의 투과 영역들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과 영역들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복수의 공통 배선들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투과 영역들 및 공통 배선들은 상기 이중 슬릿에 해당될 수 있고, 상기 투과 영역들을 투과하는 외광은 상기 빛에 해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광은 불규칙한 광의 세기를 가질 수 있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의 선명도는 감소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공통 배선들(660)은 게이트 전극(530)과 동일한 레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통 배선들(560)은 게이트 전극(53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부재(630)는 투과 영역(II)에서 제2 절연층(59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부재(630)는 제1 기판(510)의 화소 영역(I)에 위치하고,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6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부재(630)는 라운드진 상면 및 평탄한 저면을 가질 수 있다. 또는, 광학 부재(630)의 상면은 반원의 단면 형상, 반 타원의 단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면은 게이트 절연층(580)에 접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광학 부재(630)는 반 볼록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660)에 의해 상기 외광이 회절됨에 따라, 상기 외광의 회절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광학 부재(630)가 상기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66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광학 부재(630)는 상기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660)에 의해 회절된 외광의 진행 방향을 제1 기판(510)의 상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광의 진행 방향은 제1 기판(510)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학 부재(630)의 상면의 곡률은 투과 영역(II)이 개재되는 공통 배선들(66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외광의 진행 방향이 상기 제1 기판(510)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광은 균일한 광의 세기를 가질 수 있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의 선명도는 증가될 수 있다.
광학 부재(630)는 투명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부재(630)는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 아크릴, 폴리아미드, 실록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광학 부재(630)는 투명한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부재(630)는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티타늄 산화물, 아연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절연층(570), 게이트 절연층(580) 및 광학 부재(630)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절연층(570), 게이트 절연층(580) 및 광학 부재(630)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외광은 제1 기판(510)과 제1 절연층(570) 사이의 계면, 제1 절연층(570)과 게이트 절연층(580) 사이의 계면 및 게이트 절연층(580)과 광학 부재(630) 사이의 계면에서 굴절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의 투과율은 증가될 수 있고, 선명도 또한 개선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예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700)는 제1 기판(710)의 형상을 제외하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5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700)는 제1 기판(710), 발광 구조물(800), 복수의 공통 배선들(860), 제2 기판(8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구조물(800)은 구동 트랜지스터(760), 제1 절연층(770), 게이트 절연층(780), 제2 절연층(790), 제1 전극(810), 화소 정의막(820), 발광층(840), 제2 전극(8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760)는 액티브층(720), 게이트 전극(730), 소스 전극(740) 및 드레인 전극(7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700)는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 구조물(800) 및 공통 배선들(860)은 화소 영역(I)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710)의 돌출부는 투과 영역(II)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영역(I)에서는 화상이 표시될 수 있고, 투과 영역(II)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7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가 투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700)는 투과 영역(II)을 갖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제1 기판(710)은 투명한 재질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710)은 유리, 석영, 합성 석영, 불화칼슘 및 불소 도핑 석영, 소다라임, 무알칼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700)가 화소 영역(II) 및 투과 영역(II)을 구비함에 따라, 제1 기판(110)도 화소 영역(I)과 투과 영역(II)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기판(710)은 투과 영역(II)에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라운드진 상면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돌출부는 반원의 단면 형상, 반 타원의 단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반 볼록 렌즈의 형상일 수 있다.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860)에 의해 상기 외광이 회절됨에 따라, 상기 외광의 회절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기판(710)의 투과 영역(II)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86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860)에 의해 회절된 외광의 진행 방향을 제1 기판(710)의 상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광의 진행 방향은 제1 기판(710)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돌출부의 곡률은 투과 영역(II)이 개재되는 공통 배선들(86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외광의 진행 방향이 제1 기판(710)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광은 균일한 광의 세기를 가질 수 있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7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의 선명도는 증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예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900)는 투명 부재(1030)를 제외하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900)는 제1 기판(910), 발광 구조물(1000), 복수의 공통 배선들(1060), 제2 기판(1070), 투명 부재(10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구조물(1000)은 구동 트랜지스터(960), 제1 절연층(970), 게이트 절연층(980), 제2 절연층(990), 제1 전극(1010), 화소 정의막(1020), 발광층(1040), 제2 전극(10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960)는 액티브층(920), 게이트 전극(930), 소스 전극(940) 및 드레인 전극(9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900)는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 구조물(1000) 및 공통 배선들(1060)은 화소 영역(I)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투명 부재(1030)는 투과 영역(II)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영역(I)에서는 화상이 표시될 수 있고, 투과 영역(II)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9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가 투과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900)는 투과 영역(II)을 갖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900)가 화소 영역(II) 및 투과 영역(II)을 구비함에 따라, 제1 기판(910)도 화소 영역(I)과 투과 영역(II)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기판(910)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투과 영역(II)에 개구가 위치할 수 있다. 투과 영역(II)에 상기 개구를 포함하는 제1 기판(910)은 실질적으로 복수의 개구들을 갖는 메쉬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판(910)은 투명한 재질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910)은 유리, 석영, 합성 석영, 불화칼슘 및 불소 도핑 석영, 소다라임, 무알칼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910)의 개구에 투명 부재(1030)가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투명 부재(1030)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1060)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라운드진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반 볼록 렌즈의 형상일 수 있다.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1060)에 의해 외광이 회절됨에 따라, 상기 외광의 회절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기판(910)의 투과 영역(II)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106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1060)에 의해 회절된 외광의 진행 방향을 제1 기판(910)의 상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광의 진행 방향은 제1 기판(910)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돌출부의 곡률은 투과 영역(II)이 개재되는 공통 배선들(106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외광의 진행 방향이 제1 기판(910)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광은 균일한 광의 세기를 가질 수 있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9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의 선명도는 증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예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100)는 프레넬 렌즈(1230)를 제외하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100)는 제1 기판(1110), 발광 구조물(1200), 복수의 공통 배선들(1260), 제2 기판(1270), 프레넬 렌즈(1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구조물(1200)은 구동 트랜지스터(1160), 제1 절연층(1170), 게이트 절연층(1180), 제2 절연층(1190), 제1 전극(1210), 화소 정의막(1220), 발광층(1240), 제2 전극(1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1160)는 액티브층(1120), 게이트 전극(1130), 소스 전극(1140) 및 드레인 전극(1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100)는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 구조물(1200) 및 공통 배선들(1260)은 화소 영역(I)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레넬렌즈(1230)는 투과 영역(II)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영역(I)에서는 화상이 표시될 수 있고, 투과 영역(II)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11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가 투과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1100)는 투과 영역(II)을 갖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1100)가 화소 영역(II) 및 투과 영역(II)을 구비함에 따라, 제1 기판(1110)도 화소 영역(I)과 투과 영역(II)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기판(1110)은 투명한 재질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1110)은 유리, 석영, 합성 석영, 불화칼슘 및 불소 도핑 석영, 소다라임, 무알칼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110)의 투과 영역(II)에 프레넬 렌즈(1230)가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프레넬 렌즈(1230)는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1260)과 동일한 레벨에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1260)에 의해 외광이 회절됨에 따라, 상기 외광의 회절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기판(1110)의 투과 영역(II)에서 프레넬 렌즈(1230) 상기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126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넬 렌즈(1230)는 상기 인접하는 공통 배선들(1260)에 의해 회절된 외광의 진행 방향을 제1 기판(1110)의 상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광의 진행 방향은 제1 기판(1110)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광은 균일한 광의 세기를 가질 수 있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11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의 선명도는 증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구비할 수 있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박용 및 항공기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휴대용 통신 장치들, 전시용 또는 정보 전달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의료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등과 같은 수많은 디스플레이 기기들에 적용 가능하다.
10, 20, 30: 화소 40: 투과창
100, 500, 700, 900, 110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0, 310, 510, 710, 910, 1110: 제1 기판
120, 320, 520, 720, 920, 1120: 액티브층
130, 330, 530, 730, 930, 1130: 게이트 전극
140, 340, 540, 740, 940, 1140: 소스 전극
150, 350,550, 750, 950, 1150: 드레인 전극
160, 360, 560, 760, 960, 1160: 구동 트랜지스터
170, 370, 570, 770, 970, 1170: 제1 절연층
180, 380, 580, 780, 980, 1180: 게이트 절연층
190, 390, 590, 790, 990, 1190: 제2 절연층
200, 500, 600, 800, 1000, 1200: 발광 구조물
210, 410, 610, 810, 1010, 1210: 제1 전극
220, 420, 620, 820, 1020, 1220: 화소 정의막
230, 430, 630, 1030, 1230: 광학 부재
240, 440, 640, 840, 1040, 1240: 발광층
250, 450, 650, 850, 1050, 1250: 제2 전극
260, 460, 660, 860, 1060, 1260: 공통 배선
270, 470, 670, 870, 1070, 1270: 제2 기판
1030: 투명 부재

Claims (20)

  1. 화소 영역 및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화소 영역의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발광 구조물;
    상기 화소 영역 및 상기 투과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공통 배선들;
    상기 투과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공통 배선들에 인접하여 발생되는 광의 회절을 방지하는 광학 부재; 및
    상기 발광 구조물 및 상기 광학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라운드진 상면 및 평탄한 저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를 통과한 광들은 상기 제1 기판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영역이 개재되는 상기 공통 배선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광학 부재의 상면의 곡률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과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배선들은 데이터 배선, 스캔 배선 및 전원 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배선들은 불투명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상기 광학 부재 및 상기 제2 기판은 동일한 굴절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프레넬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구조물은 반도체 소자, 복수의 절연층, 화소 정의막, 제1 전극,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화소 영역으로부터 상기 투과 영역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 상에 광학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배선은 상기 광학 부재와 동일한 레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은 상기 광학 부재와 동일한 굴절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광학 부재는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광학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상기 투과 영역에 위치하는 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채우는 투명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투명 부재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 및 상기 광학 부재는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 및 상기 광학 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40122790A 2014-09-16 2014-09-1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66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790A KR102166502B1 (ko) 2014-09-16 2014-09-1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4/734,405 US9455310B2 (en) 2014-09-16 2015-06-0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790A KR102166502B1 (ko) 2014-09-16 2014-09-1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763A true KR20160032763A (ko) 2016-03-25
KR102166502B1 KR102166502B1 (ko) 2020-10-16

Family

ID=55455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790A KR102166502B1 (ko) 2014-09-16 2014-09-1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55310B2 (ko)
KR (1) KR1021665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8916A (zh) * 2016-10-14 2018-04-24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1599283A (zh) * 2019-02-20 2020-08-28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透明显示装置
US10896940B2 (en) 2019-02-22 2021-01-19 Samsung Display Co., Ltd.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6110A (zh) * 2018-01-09 2018-07-2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喷墨打印的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0676296B (zh) * 2019-09-30 2021-11-2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21070236A1 (ja) * 2019-10-08 2021-04-15 シャープ株式会社 発光デバイス
CN110828515A (zh) * 2019-10-25 2020-02-2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器件及其制备方法
CN110797385B (zh) * 2019-12-03 2022-04-1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以及制备方法
CN111833754B (zh) * 2020-04-27 2021-10-22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JP2023159473A (ja) * 2020-09-03 2023-11-01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780A (ko) * 2010-01-21 2011-07-2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10095653A (ko) * 2010-02-19 2011-08-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10100955A (ko) * 2010-03-05 2011-09-1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338250B1 (ko) * 2012-06-07 2013-1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KR20140085243A (ko) * 2012-12-27 2014-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538A (ko) 2005-06-23 200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1532056B1 (ko) * 2008-09-11 2015-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133085A (ko) 2011-05-30 2012-12-10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84737B1 (ko) * 2011-08-09 2018-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3084477A (ja) 2011-10-11 2013-05-09 Panasonic Corp 透明ディスプレイ装置
CN102662208B (zh) 2012-03-15 2015-05-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柱透镜光栅、液晶光栅及显示器件
KR101922051B1 (ko) 2012-05-24 2018-1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구비한 투명 표시장치
KR101381353B1 (ko) * 2012-07-06 2014-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36326B1 (ko) * 2012-11-21 2019-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6093575B2 (ja) * 2013-01-15 2017-03-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780A (ko) * 2010-01-21 2011-07-2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10095653A (ko) * 2010-02-19 2011-08-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10100955A (ko) * 2010-03-05 2011-09-1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338250B1 (ko) * 2012-06-07 2013-1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KR20140085243A (ko) * 2012-12-27 2014-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8916A (zh) * 2016-10-14 2018-04-24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CN107958916B (zh) * 2016-10-14 2023-08-22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1599283A (zh) * 2019-02-20 2020-08-28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透明显示装置
CN111599283B (zh) * 2019-02-20 2022-03-15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透明显示装置
US10896940B2 (en) 2019-02-22 2021-01-19 Samsung Display Co., Ltd.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581377B2 (en) 2019-02-22 2023-02-14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transparent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55310B2 (en) 2016-09-27
KR102166502B1 (ko) 2020-10-16
US20160079332A1 (en) 201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50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57510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596763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
KR102389626B1 (ko)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22451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368754B2 (en) Display device
KR10248568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80125674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257212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00042981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47611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JP2021015597A (ja) 表示装置
KR2016005950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052455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7005558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629667B2 (en)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first light-shielding layer having first opening and second light-shielding layer having second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KR102400751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6001543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755199B (zh) 顯示裝置
KR102417142B1 (ko) 표시 장치
KR2016007603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23711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137683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20220293684A1 (en) Display device
KR102459916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