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444A -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444A
KR20110095444A KR1020100014913A KR20100014913A KR20110095444A KR 20110095444 A KR20110095444 A KR 20110095444A KR 1020100014913 A KR1020100014913 A KR 1020100014913A KR 20100014913 A KR20100014913 A KR 20100014913A KR 20110095444 A KR20110095444 A KR 20110095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ur
soy flour
mixed
raw
s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8950B1 (ko
Inventor
정우석
정종일
허화영
박철수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4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9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95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밀가루에 생콩가루를 첨가하여 콩의 아이소플라본, 단백질, 안토시아닌, 식이섬유 등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높이고, 가공적성을 향상시킨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 및 상기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은 콩이 함유하고 있는 다량의 양질 수용성 단백질, 루나신, 보우만-벌크 트립신 억제제와 같은 기능성 단백질과 항산화 효과가 입증된 아이소플라본, 안토시아닌 등이 첨가되어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며, 가공적성이 향상되어 국수, 빵, 과자 등 원하는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 및 그의 제조방법{Wheat flour mixed with soybean flou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밀가루에 생콩가루를 첨가하여 콩의 아이소플라본, 단백질, 안토시아닌, 식이섬유 등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높이고, 가공적성을 향상시킨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 및 상기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08년 우리나라의 식량자급률은 49.2%, 곡물자급률은 24.4%로, 이 중 국내에서 자체 생산된 식량작물의 연간 1인당 소비량은 쌀이 전체의 90.3%를 차지하고, 밀가루가 1.9%, 그리고 기타 콩을 비롯한 작물이 7.7%인 것으로 나타났다(통계청). 그러나, 통계청 양곡 소비량 조사가 빵, 라면, 스파게티 등 가공제품은 제외하고 집에서 직접 조리한 양만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통계자료라고 볼 수 없다.
농식품부의 비공식 통계자료에 따르면, 2008년 기준으로 1인당 연간 쌀 79㎏, 밀가루 33 ㎏을 소비하는 것으로 집계되어 현재 밀은 우리 식생활에서 쌀 다음으로 중요한 식량작물이라 할 수 있다.
같은 해 우리나라의 밀가루 생산량은 1,575,000톤 이었으며, 국내 출하액은 8,081억원이었다. 이렇게 생산된 밀가루의 99.4%는 수입 밀가루이며, 국내산 밀가루는 0.6%에 해당한다(한국제분공업협회).
한편, 밀의 품종에 따른 질적 특성과 그 용도는 아래와 같다.
구분 대표 품종(국외/국내)
경질밀 Hard Red Spring Wheat(HRS)
(국외: Hank, DNS/국내: 없음)
품질이 가장 좋은 제빵용
Hard White Wheat(HWW)
(Mitre, ASW/금강밀)
제면용
Hard Red Winter Wheat
(Buchanan/조경, 탑동)
제빵용
Durum Wheat
(Kalka, Hyperno/없음)
가장 경질의 밀
연질밀 Soft Red Winter Wheat
(Bowie, Yenda/우리밀)
케익, 과자류
Soft White Wheat
(Stephens, Tunns, Macken/없음)
과자류, 국수용
경질밀은 단백질이 많고(11.5 ~ 13.5%), 탄성이 높은 반죽을 만드는데 적합하여 제빵용으로 주로 사용되며, 연질밀은 단백질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반죽하여 제품을 만들었을 때 부품성이 낮아 과자나 국수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밀가루는 단백질의 함량에 따라 강력분, 중력분, 박력분과 특수용도 분으로 구분하여 사용되며, 각각의 특징은 아래 표 2와 같다.
구분 질적 특성 용도
강력분 단백질 함량(11.5 ~ 13.5%)
경질밀을 주원료로 사용
글루텐의 양이 많고 탄성이 큰 반죽 생성
식감이 쫄깃쫄깃하고 이스트가 발효함에 따라 생성되는 가스를 잘 보유함.
제빵용
(식빵 및 각종 빵류)
중력분 단백질 함량(9.0 ~ 11.0%)
경질밀과 연질밀을 원료로 이용
강력분과 박력분의 중간 특성.
가정용 다목적 밀가루
국수, 라면, 만두용
프랑스빵
박력분 단백질 함량(7.5 ~ 8.5%)
연질밀을 주원료로 사용
부드러운 반죽을 생성
강력분에 비해 입자가 적음.
케익, 카스테라
과자, 튀김용
특수용도분 - Bleached flour: 색소를 제거하기 위해 표백된 밀가루
- Matured flour: 제품의 부피를 위해서 숙성기간을 길게 한 밀가루(26주)
- Malted flour: 효소작용을 강화시킨 밀가루
- Enriched flour: 철분과 칼슘, 경우에 따라 비타민을 첨가한 밀가루
- Blended flour: 여러 종류의 밀가루를 혼합하여 질적인 면을 높인 밀가루
- Self rising flour: 소다, 소금, 인산염 등이 포함되어 팽창을 강화시킨 밀가루
상기 표에서 언급된 글루텐은 밀 단백질 중 글리아딘과 글루테닌이 서로 결합하여 생긴 단백질이다. 밀가루에 물을 더해 반죽하면 물에 녹지 않는 단백질(글리아딘, 글루테닌)이 수화하여 지질과 결합한다. 밀가루 속의 녹말과 단백질은 모두 친수성 고분자이므로 물을 부어 반죽하면 물 분자를 흡착하는 성질이 있다. 상기 글리아딘과 글루테닌은 물을 충분히 흡수하여 서로 당겨서 가는 실같이 되며(사상구조), 이것이 평행으로 또는 교차해서 그물 조직을 만든다. 즉, 밀가루 입자 속에서 떨어져 있던 글리아딘과 글루테닌 분자가 물로 인해 결합하여 글루텐을 만드는데, 단백질 함량과 글루텐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조성에 따라 글루텐의 점탄성이 결정된다.
결국, 본 발명은 생콩가루를 첨가하여 단백질 함량을 높이고, 가공적성을 향상시킨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 및 상기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으로 제조한 국수, 빵 및 과자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콩을 건조하여 분말상으로 가공한 생콩가루를 첨가하여 단백질 함량을 높이고, 가공적성을 향상시킨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생콩가루는 콩을 세척 후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한 다음 100 ~ 150 ㎛의 크기로 분말화 하여 혼합 밀가루분 전체에 대해 10 ~ 40%(w/w), 바람직하게는 10 ~ 20%(w/w)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콩은 특수 처리된 콩 종자로 생산한 대원콩, 대원콩과 유사한 종실성분특성을 지닌 콩, 또는 황색소립콩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1) 콩을 건조하여 분쇄기에 넣고 건식 분쇄하는 단계; (2) 상기 건식 분쇄 단계를 거친 생콩가루 10 ~ 40중량%와 밀가루 60 ~ 90중량%를 혼합하여 혼합 밀가루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은 제빵용의 강력분, 제면용의 중력분, 제과용의 박력분 등으로 이용가능하며, 반죽 숙성단계를 거쳐 생면, 건면, 우동, 만두, 과자, 빵 등 원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콩이 함유하고 있는 다량의 양질 수용성 단백질, 루나신(lunasin), 보우만-벌크 트립신 억제제(Bawman-Bulk Trypsin Inhibitor)와 같은 기능성 단백질과 항산화 효과가 입증된 아이소플라본, 안토시아닌 등이 첨가된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밀가루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은 가공적성이 향상되어 국수(생면 또는/및 건면), 빵, 과자 등의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콩가루(대원콩) 혼합 비율에 따른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의 Mixograph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생콩가루(S015) 혼합 비율에 따른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의 Mixograph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생콩가루(대원콩) 혼합 비율에 따른 삶은 국수의 경도와 색택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생콩가루(S015) 혼합 비율에 따른 삶은 국수의 경도와 색택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생콩가루(대원콩) 혼합 비율에 따른 식빵 부피 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생콩가루(S015) 혼합 비율에 따른 식빵 부피 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 제조
2008년도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생산된 국내 육성품종 대원콩과 육성 중인 황색소립콩(계통명: S015)을 세척 후 농산물 건조기에서 건조시킨 다음 Pinmill(대화정밀사, 충청남도 천안, 한국)을 사용하여 총 2회에 걸쳐 제분하였으며, 밀은 2009년 6월에 수확한 금강밀을 Buhler 제분기(MLU-202, Buhler Ltd, 스위스)를 이용하여 제분하고, 상기 콩가루와 밀가루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표 3 및 표 4에 정리하였다.
본 발명의 생콩가루(대원콩) 혼합비율에 따른 혼합 밀가루분의 물리적 특성
밀가루 회분
(%)
입도
(㎛)
밀가루 색깔
밝기
(L)
적색도
(a)
황색도
(b)
콩가루 5.82a 117.00a 87.30d -3.24f 20.91a
금강밀 0.46f 85.23b 89.50a -1.03a 9.97f
콩가루 10% 0.99e 85.83b 89.29a -1.46b 11.77e
콩가루 20% 1.56d 87.00b 88.91b -1.97c 13.74d
콩가루 30% 1.80c 87.73b 88.64c -2.33d 15.28c
콩가루 40% 2.26b 88.21b 88.55c -2.55e 16.24b
본 발명의 생콩가루(S015) 혼합비율에 따른 혼합 밀가루분의 물리적 특성
밀가루 회분
(%)
입도
(㎛)
밀가루 색깔
밝기
(L)
적색도
(a)
황색도
(b)
콩가루 5.43a 116.90a 87.11d -3.40f 21.38a
금강밀 0.46f 85.23b 89.50a -1.03a 9.97f
콩가루 10% 0.95e 85.80b 89.19a -1.43b 12.48e
콩가루 20% 1.38d 85.05b 88.78b -2.07c 14.23d
콩가루 30% 1.76c 82.71b 88.68b -2.39d 15.57c
콩가루 40% 2.25b 88.21b 88.30c -2.68e 16.72b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원콩과 S015 콩으로 제조된 콩가루 분말의 입도는 각각 117 및 116 ㎛이었으며, 각 콩가루가 혼합된 혼합 밀가루분은 85 ~ 88 ㎛ 정도였다.
또한, 상기 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의 회분 함량은 AACC 08-01 방법(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0th ed. The Association: St. Paul, MN, USA)에 준하여 측정하였으며, 색깔은 Minolta JS-555(Minolta Camera Co., Ltd., 일본)를 이용하여 밝기, 적색도와 황색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의 입도는 다파장 레이저 입자 크기 분석기(LS13320, Beckman Coulter, Inc. 미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밀가루(금강분)와 비교하여, 콩가루는 회분 함량이 높고, 가루의 입자가 컸으며, 분말의 색의 밝기는 어둡고, 적색도가 낮으며, 황색도가 높고, 대원콩과 S015 콩의 콩가루간의 물리적 차이는 없었다.
상기와 같은 콩가루의 특성으로 인해 콩가루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혼합 밀가루의 회분 함량은 증가하고, 입자 크기는 줄어 들었으며, 밀가루 색은 어두워지고, 적색도가 낮아졌으며,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실시예 2.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의 단백질 특성 확인
본 발명에 따른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의 단백질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혼합 밀가루분의 단백질 함량을 AACC 46-30 방법(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0th ed. The Association: St. Paul, MN, USA)에 준하여 측정하였으며, 침전가는 밀가루분 3 g을 이용하여 Axford 등의 방법(Axford, D.W.E., McDermott, E.E. and Redman, D.G., 1979. Note on the sodium Dodecyl Sulfate test of breadmaking quality: Comparison with Pelschenke and Zeleny tests. Cereal Chem., 56, 582-584)에 따라 측정하였다.
또한, 밀가루 반죽시 가수율과 반죽시간은 10 g 믹소그래프(mixograph; National Mfg. Co., 미국)를 이용하여 AACC 54-40A 방법(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0th ed. The Association: St. Paul, MN, USA) 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콩가루는 밀가루와 비교해 단백질 함량이 2.5배 이상 높았지만 콩가루는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침전가는 매우 낮았다. 또한, S015는 대원콩에 비해 단백질 함량은 높았지만 침전가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콩가루의 높은 단백질 함량과 낮은 침전가로 인해 콩가루 혼합 비율이 높아질수록 혼합분의 단백질 함량은 높았지만 침전가는 낮아졌으며, 대원콩과 S015와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순수 콩가루는 글루텐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믹소그래프를 이용한 반죽 특성을 평가할 수 없었다.
또한, 콩가루 혼합 비율이 증가할 수록 반죽시 요구되는 가수량은 감소하였는데, 대원콩과 S015 모두 혼합비율이 30%를 전후하여 감소폭이 증가하였다.
반죽시간은 대원콩의 경우, 30% 혼합비율까지 증가하였으며, 20% 일때 4.1분으로 밀가루 보다 1분 길었던 반면, S015는 10% 혼합비율일 때 반죽시간은 같았지만 이후는 감소하였다.
반죽안정도는 콩 단백질의 영향으로 콩가루의 혼합 비율이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며, 대원콩과 S015와의 차이는 없었다. 특히, 믹소그램을 보면 40% 혼합 비율에서는 밀가루나 30% 이하의 혼합비율과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이로부터 콩가루 혼합비율이 40% 이상이 되면 밀가루가 지닌 반죽의 특성을 잃어버리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라 제빵의 경우 40% 이상의 콩가루 혼합은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생콩가루(대원콩) 혼합비율에 따른 혼합 밀가루분의 단백질 특성
밀가루 단백질
(%)
침전가
(㎖)
믹소그래프
가수량
(%)
반죽시간
(분)
안정도
(㎜)
콩가루 34.60a 11.00f - - -
금강밀 13.23f 57.00a 63.25a 3.10b 18.00c
콩가루 10% 14.74e 50.00b 60.50b 3.70a 33.50a
콩가루 20% 16.18d 45.50c 58.00c 4.10a 28.00b
콩가루 30% 18.14c 40.50d 53.50d 3.75a 31.50ab
콩가루 40% 19.64b 32.50e 47.75e 2.50c 35.00a
본 발명의 생콩가루(S015) 혼합비율에 따른 혼합 밀가루분의 물리적 특성
밀가루 단백질
(%)
침전가
(㎖)
믹소그래프
가수량
(%)
반죽시간
(분)
안정도
(㎜)
콩가루 39.16a 10.00f - - -
금강밀 13.23f 57.00a 63.25a 3.10a 18.00c
콩가루 10% 14.96e 54.00b 58.50b 3.10a 29.00b
콩가루 20% 17.04d 48.00c 57.00c 2.90b 30.00b
콩가루 30% 19.72c 38.50d 53.50d 2.30c 28.50b
콩가루 40% 21.21b 32.00e 48.75e 2.35bc 42.50a
실시예 3.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의 호화 특성 확인
본 발명에 따른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의 호화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혼합 밀가루분의 아밀로스 함량은 Gibson 등의 방법(Gibson T. S., Solah, V. A., and McCleary, B. V. 1997. A procedure to measure amylose in cereal starches and flours with concanavalian A. Journal of Cereal Science 25, 111-119)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호화 특성은 시료 15 g을 이용하여 Micro-viscoamylograph(Brabender Inc., 독일)로 분석하였다.
콩가루는 밀가루와 비교하여 지방 성분이 많이 때문에 통상적으로 아밀로스 함량 측정시 지방을 제거한 후에 측정하고 있으며, 10% 내외 함량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에서는 밀가루와 동일하게 분석하여 2% 미만으로 확인되었으며, 콩의 품종간 차이는 없었다. 한편, 밀가루는 아밀로스 함량이 24.63%이었으며, 혼합분의 경우 콩가루 혼합 비율이 높을수록 아밀로스 함량이 낮아졌다.
또한, 콩가루는 밀가루에 비해 전분 함량이 적어 아밀로그래프를 이용한 점도 측정에서 점성을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혼합분의 경우에는 콩가루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혼합분의 전분 함량이 감소하여 호화 최고, 최저 및 최종 점도가 낮아졌으며, 최고점도와 최저점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breakdown과 최종점도와 최저점도의 차이인 setback도 낮았다. 또한, 혼합비율에 따른 점도는 대원콩이 S015 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호화특성은 삶은 국수의 점성과 탄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콩가루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점도가 낮아짐에 따라 국수의 식미가 나빠지는 것을 예측할 수 있으며, 품종간 점도 차이는 같은 콩가루 혼합비율이라 하더라도 국수 식미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생콩가루(대원콩) 혼합비율에 따른 혼합 밀가루분의 호화 특성
밀가루 아밀로스
(%)
아밀로그래프
최고점도
(BU)
최저점도
(BU)
최종점도
(BU)
Breakdown
(BU)
Setback
(BU)
콩가루 1.40f 4.50f 4.50f 7.00f 0.00d 2.00f
금강밀 24.63a 370.50a 272.50a 554.00a 97.50a 277.00a
콩가루 10% 21.28b 192.00b 127.00b 314.00b 64.50b 184.00b
콩가루 20% 19.82c 126.00c 90.50c 221.00c 35.50c 129.00c
콩가루 30% 16.78d 84.50d 71.50c 170.00d 13.00d 97.50d
콩가루 40% 13.59e 47.00e 42.50d 104.50e 4.50d 61.00e
본 발명의 생콩가루(S015) 혼합비율에 따른 혼합 밀가루분의 호화 특성
밀가루 아밀로스
(%)
아밀로그래프
최고점도
(BU)
최저점도
(BU)
최종점도
(BU)
Breakdown
(BU)
Setback
(BU)
콩가루 1.78f 8.50f 8.50f 17.50f 0.00e 9.00f
금강밀 24.63a 370.50a 272.50a 554.00a 97.50a 277.00a
콩가루 10% 21.32b 171.50b 104.00b 261.00b 67.00b 154.50b
콩가루 20% 19.28c 117.50c 73.50c 182.50c 43.50c 107.50c
콩가루 30% 15.90d 68.50d 51.50d 127.50d 17.00d 75.00d
콩가루 40% 13.94e 40.50e 33.00e 82.00e 7.50de 48.00e
실시예 4.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으로 제조한 국수 특성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혼합 밀가루분을 이용하여 Park 등의 방법(Park, C.S., Hong, B.H., Baik, B-K., 2003. Protein quality of wheat desirable for making fresh white salted noodles and its influence of processing and texture of noodles. Cereal Chemistry 80, 297-303)
구체적으로, 밀가루 100 g(14% 수분함량기준)에 소금물을 넣고 pin mixer(National Mgf. Co., Linclon, NE)에서 4분간 혼합하고, 최종 소금물의 농도를 2.0%로 조절하였다. 국수 제조는 Ohtake 국수제조기(Ohtake Noodle Machine Mfg. Co., 일본)을 이용하였으며, 최초 면대 생성을 위한 롤러 간격을 3 ㎜로 하였다.
상온에서 1시간 숙성하여, 2.40, 1.85 및 1.30 ㎜ 롤러 간격으로 면대 형성 후 dial thickness gauge(Peacock Dial Thickness Gauge G, Ozaki Mfg., Co., 일본)을 이용해 면대 두께를 측정하였으며, 면대 색깔은 Monolta JS-555(Minolta Camera Co., Ltd., Japan)로 측정하였다.
또한, 우동 면발을 만들기 위해 12번 절단 롤을 이용하였다.
밀가루를 이용한 국수 제조시 단백질 함량이 높아질수록 국수를 만들때 필요한 적정가수량이 감소하고, 면대 두께가 두꺼워지며, 면대 밝기가 어두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콩가루 혼합율이 높아질수록 국수 면대 제조에 필요한 가수량이 대원콩과 S015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며, 면대 두께는 대원콩에서는 10%까지는 증가하였으나 이후 감소하여 40% 혼합분에서는 밀가루와 비슷한 면대 두께를 나타내었다. 이는 콩가루 30% 이하 혼합분과 40% 혼합분이 면대 형성에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양상은 S015에서도 동일하였다.
대원콩의 가루를 혼합한 혼합분으로 국수 제조시 국수 면대 밝기는 콩가루 혼합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는데, 10% 혼합시와 20% 혼합시가 차이 없었으나 30% 이상 혼합시에는 낮아졌다. 또한, 적색도는 혼합비율이 10% 일때는 밀가루와 비슷하였지만 20% 이상에서는 감소하였으며, 황색도는 콩가루의 영향으로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반면, S015 콩가루의 혼합분로 제조한 국수 면대 밝기와 적색도는 대원콩의 혼합분과 유사하게 콩가루 혼합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지만 10% 혼합시 국수 면대 밝기는 대원콩의 동일함량 혼합분보다 높았다. 황색도는 대원콩과 비슷하게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본 발명의 생콩가루(대원콩) 혼합비율에 따른 혼합 밀가루분으로 제조한 국수 특성
밀가루 가수량
(%)
면대두께
(㎜)
면대색깔
밝기
(L)
적색도
(a)
황색도
(b)
금강밀 33.00a 1.75d 77.73a -1.12a 18.37e
콩가루 10% 29.00b 1.97a 73.97b -1.18a 21.19d
콩가루 20% 27.00c 1.86c 73.28b -1.60b 24.33c
콩가루 30% 25.00d 1.91b 70.42c -1.70b 28.87b
콩가루 40% 23.00e 1.76d 69.02d -1.51b 31.24a
본 발명의 생콩가루(S015) 혼합 비율에 따른 혼합 밀가루분으로 제조한 국수 특성
밀가루 가수량
(%)
면대두께
(㎜)
면대색깔
밝기
(L)
적색도
(a)
황색도
(b)
금강밀 33.00a 1.75d 77.73a -1.12a 18.37e
콩가루 10% 29.00b 1.97a 76.06b -1.41b 21.69d
콩가루 20% 27.00c 1.93b 72.38c -1.82c 26.34c
콩가루 30% 25.00d 1.92b 70.38d -1.79c 30.20b
콩가루 40% 23.00e 1.79c 69.66e -1.74c 31.88a
실시예 5.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으로 제조한 삶은 국수 특성 확인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국수 20 g을 끓는 물 500 ㎖에서 18분간 삶은 후, 찬물에 헹구어 Texture analyser(Stable Micro Systems, 영국)를 이용하여 Park 등의 방법(Park, C.S., Hong, B.H., Baik, B-K., 2003. Protein quality of wheat desirable for making fresh white salted noodles and its influence of processing and texture of noodles. Cereal Chemistry 80, 297-303)에 따라 삶은 국수의 경도(hardness), 탄성(springness) 및 점성(cohesiveness)를 측정하였다.
이때, 매 측성시 5가닥의 국수를 이용하였으며, 삶은 후 5분 이내 측정하였고, 최소 3회 반복 실시하였다. 또한, 식미 검정은 3.175 ㎜ 금속날을 이용하여 1.0 ㎜/초의 속도로 70% strain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원콩의 콩가루 혼합분을 이용하여 만든 삶은 국수의 경도는 콩가루 혼합율이 30%까지 증가하였는데 이는 높아진 콩가루 혼합 비율에 따른 혼합분의 단백질 함량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콩가루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호화 점도가 낮아졌기 때문에 삶은 국수의 점성과 탄성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콩가루의 혼합율이 10%일 때에는 밀가루와 차이가 없었으며, 20% 이상에서는 점성이 크게 감소하고, 30% 이상에서는 탄성의 감소폭이 컸다.
또한, S015의 콩가루 혼합분을 이용한 삶은 국수의 경도는 콩가루의 혼합율이 10%일 때 가장 높았으며, 20% 이상에서는 감소하였지만 S105가 대원콩보다 단백질 함량이 높아 삶은 국수의 경도가 높게 나타났다. 탄성은 혼합율 20% 까지는 밀가루에 비하여 약간 낮았지만 점성은 10%의 혼합비율에서도 밀가루에 비해 크게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S015는 대원콩과 다른 국수 식미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생콩가루(대원콩) 혼합 비율에 따른 혼합 밀가루분으로 제조한 삶은 국수 특성
밀가루 삶은 국수
경도
(N)
탄성
(비율)
점성
(비율)
금강밀 5.04d 0.95a 0.66a
콩가루 10% 7.53bc 0.94a 0.62b
콩가루 20% 7.63b 0.90b 0.60b
콩가루 30% 8.22a 0.89bc 0.56c
콩가루 40% 7.24c 0.88c 0.53d
본 발명의 생콩가루(S015) 혼합 비율에 따른 혼합 밀가루분으로 제조한 삶은 국수 특성
밀가루 삶은 국수
경도
(N)
탄성
(비율)
점성
(비율)
금강밀 5.04d 0.95a 0.66a
콩가루 10% 9.24a 0.92b 0.57c
콩가루 20% 9.08a 0.93b 0.60b
콩가루 30% 8.62b 0.88c 0.58bc
콩가루 40% 8.30c 0.88c 0.51d
실시예 6.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으로 제조한 식빵 특성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혼합 밀가루분을 이용하여 Finney의 방법(Finney, K.F. 1984. An optimized, straight-dough, bread-making method after 44 years. Cereal Chemistry. 25, 20-27)에 따라 식빵을 제조하되, 밀가루 100 g(14% 수분함량 기준)을 이용해 straight-dough methods로 제조하였다.
빵 부피는 오븐에서 구워낸 직후 Loaf volumeter(National Mfg. Co., 미국)으로 측정하였으며, 빵 속질(crumb)의 경도(firmness)는 빵을 2시간 동안 상온에서 식힌 다음 빵의 중심부에서 2.0 ㎝ 두께로 잘라 압축 테스트(compression test)을 실시하였다. 이때, 경도는 Texture Analyser(Stable Micro Systems, 영국)를 이용하여 2.5 ㎝ 직경의 플라스틱 플런저(plunger)로 빵 두께의 25% stain 조건으로 1.0 ㎜/초의 속도로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software(SAS Institute, Cary, NC)를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최소 3회 이상 반복 실시하였다.
대원콩 혼합분을 이용한 식빵 평가 결과, 콩가루의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가수량과 반죽높이는 감소하였으며, 빵 무게와 부피도 감소하였다. 반면, 속질 경도는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S015에서도 동일하게 확인되었다.
특히, 30% 이상의 혼합분에서는 반죽시간이 밀가루보다 짧고 반죽높이도 급격히 낮아져 제빵에 부적하였다.
또한, 제빵 적성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빵 부피를 평가한 결과, 대원콩과 S015 모두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빵 부피가 감소하였는데 대원콩은 10% 혼합하였을 때는 밀가루로 만든 빵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S015는 10% 혼합분에서도 밀가루보다 적은 빵 부피를 보였다.
본 발명의 생콩가루(대원콩) 혼합 비율에 따른 혼합 밀가루분으로 제조한 식빵 특성
밀가루 가수량
(%)
반죽시간
(분)
반죽높이
(㎝)
빵 무게
(g)
빵 부피
(㎖)
속질경도
(N)
금강밀 63.00a 3.20c 7.70a 146.75a 955.00a 1.90d
콩가루 10% 61.00b 3.85b 7.55ab 145.84a 937.50a 2.20d
콩가루 20% 58.00c 5.95a 7.25b 142.36b 680.00b 10.76c
콩가루 30% 54.00d 3.90b 5.85c 140.33c 512.50c 13.05b
콩가루 40% 48.00e 2.80d 5.80c 131.80d 485.00c 29.15a
본 발명의 생콩가루(S015) 혼합 비율에 따른 혼합 밀가루분으로 제조한 식빵 특성
밀가루 가수량
(%)
반죽시간
(분)
반죽높이
(㎝)
빵 무게
(g)
빵 부피
(㎖)
속질경도
(N)
금강밀 63.00a 3.20c 7.70a 146.75a 955.00a 1.90e
콩가루 10% 59.00b 3.45b 7.35a 145.41a 840.00b 2.83d
콩가루 20% 57.00c 4.50a 6.90b 140.91b 742.50c 6.53c
콩가루 30% 54.00d 3.00d 5.80c 141.89b 590.00d 13.59b
콩가루 40% 49.00e 2.80e 5.80c 134.98c 495.00d 28.25a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콩을 건조하여 분말상으로 가공한 생콩가루를 첨가하여 단백질 함량을 높이고 가공적성을 향상시킨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콩가루는 콩을 세척한 후 건조기로 건조하여 100 ~ 150 ㎛의 크기로 분말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콩가루는 혼합 밀가루분 전체에 대해 10 ~ 40%(w/w)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콩은 대원콩 또는 황색소립콩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
  5. (1) 콩을 건조하여 분쇄기에 넣고 건식 분쇄하는 단계;
    (2) 상기 건식 분쇄 단계를 거친 생콩가루 10 ~ 40중량%와 밀가루 60 ~ 90중량%를 혼합하여 혼합 밀가루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 콩은 건조하여 100 ~ 150 ㎛의 크기로 분말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 제조방법.
  7. 제 1항의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으로 제조하여 단백질 함량을 높인 국수.
  8. 제 1항의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으로 제조하여 단백질 함량을 높인 식빵.
  9. 제 1항의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으로 제조하여 단백질 함량을 높인 과자.

KR1020100014913A 2010-02-19 2010-02-19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48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913A KR101248950B1 (ko) 2010-02-19 2010-02-19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913A KR101248950B1 (ko) 2010-02-19 2010-02-19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444A true KR20110095444A (ko) 2011-08-25
KR101248950B1 KR101248950B1 (ko) 2013-03-29

Family

ID=4493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913A KR101248950B1 (ko) 2010-02-19 2010-02-19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9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495B1 (ko) * 2012-08-10 2014-04-10 주식회사 밀다원 와플용 밀가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85366B1 (ko) * 2012-08-10 2014-04-14 주식회사 밀다원 제빵용 밀가루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068316A (zh) * 2014-06-24 2014-10-01 何伟荣 一种高完全蛋白质复合面粉
KR20230139489A (ko) 2022-03-28 2023-10-05 (주) 동주물산 분리대두단백과 시서스가 함유된 생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416A (ko) 2015-02-05 2016-08-16 신용문 콩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콩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9159A (ja) * 1994-09-27 1996-04-09 Kumamoto Seifun Kk 小麦粉加工食品の製造法
JPH11127807A (ja) * 1997-10-31 1999-05-18 Furai Star Kk 揚げ色が良く、退色しないフライ食品用パン粉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82265A (ko) * 2004-02-18 2005-08-23 윤재호 건강 칼국수의 제조방법
KR100936072B1 (ko) 2008-11-07 2010-01-1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생대두분말을 이용한 도넛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495B1 (ko) * 2012-08-10 2014-04-10 주식회사 밀다원 와플용 밀가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85366B1 (ko) * 2012-08-10 2014-04-14 주식회사 밀다원 제빵용 밀가루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068316A (zh) * 2014-06-24 2014-10-01 何伟荣 一种高完全蛋白质复合面粉
KR20230139489A (ko) 2022-03-28 2023-10-05 (주) 동주물산 분리대두단백과 시서스가 함유된 생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950B1 (ko) 201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ider et al. Pea, lentil and chickpea protein application in bread making.
KR101248950B1 (ko) 생콩가루 혼합 밀가루분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70087101A1 (en) Soy-fortified corn dough and tortillas
Deep Narayan et al. Effect of partially de-oiled peanut meal flour (DPMF) on the nutritional, textural, organoleptic and physico chemical properties of biscuits
Lima et al. The functional effectiveness of reprocessed rice bran as an ingredient in bakery products
CN114630589A (zh) 小麦麸组合物及其制造方法
De Bondt et al. Selective modification of wheat bran affects its impact on gluten-starch dough rheology, microstructure and bread volume
KR101270018B1 (ko) 청보리 분말을 포함하는 제과류의 제조방법
KR101220418B1 (ko) 생콩가루 혼합 쌀가루 및 이를 이용한 쌀과자 제조방법
Švec et al. Crumb evaluation of bread with hemp products addition by means of image analysis
Demir et al. Utilisation of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 and different legume flours in traditional couscous production in Turkey
Statsenko et al.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food concentrates of culinary sauces of increased nutritional and biological value.
EP1698234A1 (en) Foods containing large amount of functional component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190044259A (ko) 쌀을 이용한 스냅 쿠키의 제조방법
KR20040079320A (ko) 비-소맥 곡물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 조성물, 및 이로 부터제조된 파스타 면류
KR101118837B1 (ko) 기능성 밀가루,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식품
Contini et al. High nutritional value muffins produced with wholemeal rye (Secale cereale L.) and wholemeal bean (Phaseolus vulgaris L.) flour mix
Istrate et al. Influence of Hemp Flour on Dough Rheology and Bread Quality
Ezeocha et al. Quality evaluation of cake from wheat, bambara groundnut (Vigna subterranean) and velvet tamarind (Dalium guineense) flour blends
Cankurtaran Use of ancient wheat (einkorn and emmer) to improve the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gevreks
PL231240B1 (pl) Sposób wytwarzania makaronu i makaron
JP6838805B2 (ja) 中華生麺の製造方法及び中華生麺
KR100710407B1 (ko) 쌀을 주재료로 한 빵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빵 및이 빵 제조용의 프리믹스 가루
Mercier et al. Mixing properties and gluten yield of dough enriched with pea protein isolates.
Girma et al. Effects of Blending Semolina with Egg Powder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of Macaron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