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432A -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432A
KR20110093432A KR1020100013478A KR20100013478A KR20110093432A KR 20110093432 A KR20110093432 A KR 20110093432A KR 1020100013478 A KR1020100013478 A KR 1020100013478A KR 20100013478 A KR20100013478 A KR 20100013478A KR 20110093432 A KR20110093432 A KR 20110093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terminal
vehicle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6326B1 (ko
Inventor
이용후
임남주
Original Assignee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3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326B1/ko
Publication of KR20110093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avig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은, 블랙박스 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차량용 단말기에 있어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기내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 구동을 위한 필수 구성들 및 블랙박스와 상호 연동되기 위한 필수 구성들로만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스위칭 제어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내 배터리의 전원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n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terminal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블랙박스 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차량용 단말기에 있어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기내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 구동을 위한 필수 구성들 및 블랙박스와 상호 연동되기 위한 필수 구성들로만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스위칭 제어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내 배터리의 전원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 불필요한 기능에 대해서는 슬립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블랙박스를 결합하는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슬립 모드는 CPU와 메모리를 제외한 모든 구성요소에 대해서 전원을 차단함으로 인해 블랙박스를 사용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본 발명은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네비게이션 단말기 내의 배터리가 동작되는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전력 소비가 많은 LCD등 다수의 칩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차단하고, 블랙박스로의 전원공급 및 블랙박스 활용에 필요한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GPS 수신모듈, 메모리, CPU등에만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여 블랙박스에서 필요한 GPS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블랙박스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운행 및 사고발생시 당시 상황의 정보를 영상과 음성으로 촬영 및 기록하여 보다 정확한 당시 정황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와 같은 블랙박스는 미국, 유럽 등의 일부 국가에서 상용차를 중심으로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진행중이며, 국내에도 2010년 차량용 블랙박스 의무화 입법이 추진중에 있다. .
이러한 필요에 의해 현재 국내에서도 차량용 블랙박스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상기 블랙박스는 차량 내부 또는 외부 상황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기 위해 단말기의 내, 외부에 카메라 및 마이크를 설치하고, 차량운행 전 구간을 녹화하는 `상시녹화'와 일정 충격을 받았을 때만 녹화할 수 있는 `충격녹화'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시녹화는 말 그대로 차량운행 중 항상 녹화를 하는 방식이며, 자체 내장된 감지센서(G센서)에 충격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정해놓은 일정시간 동안 `충격 녹화'로 파일이 메모리카드 다른 폴더 안에 저장되는 방식이다.
참고로, 상기와 같은 블랙박스는 카메라와 마이크가 내장된 별도의 단말기 형태로 출시되어 차량에 설치되거나,차량 내부의 룸미러 등에 장착해 자체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동영상을 저장하는데 제품에 따라서 차량 전면, 차량 내부 또는 전면과 내부 모두를 녹화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에 탑재된 카메라는 볼록 거울과 같은 광각렌즈(시야각 약 120°~ 170°)를 사용해 운전자 시야보다 넓은 전면을 촬영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블랙박스의 영상 저장 시간은 촬영해상도에 따라각각 상이하지만 대체로 HD급일 경우 4GB 용량 메모리카드가 1시간 이내 영상을 담을 수 있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한편, GPS(Global Position Information) 장비를 구비하는 통신단말기는 상기 GPS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자신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현재에는 상기 GPS를 이용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이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CD 등과 같은 저장매체에 지도 정보를 저장하고,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이동될 때 상기 GPS가 이동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위치를 확인하여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수신되는 GPS 정보에 따라 자신의 이동위치를 상기 지도상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상기 GPS로부터 지도 정보 및 자신의 위치정보를 다운로드하고,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수신되는 GPS 정보에 따라 자신의 이동위치를 상기 지도상에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자동차의 네비게이터(navigator) 또는 휴대용 통신단말기 들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네비게이션 단말기내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의 경우는 구동을 위한 전원은 대부분 차량으로부터 공급되어진다. 따라서,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블랙박스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블랙박스는 블랙박스의 기능을 활용하기 위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USB등과 같은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블랙박스의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블랙박스의 경우 대부분 구동 전원이 차량으로부터 공급되기 때문에 차량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종래에는 블랙박스와 네비게이션 단말기간의 전원 공급라인을 연결하여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블랙박스가 네비게이션 단말기내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으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배터리의 공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슬립모드로 전환하거나 일부 기능에 대한 제한 사용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LCD 밝기를 줄여주거나, 불필요한 전원 공급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한 경우 블랙박스에서 사용해야 하는 GPS 수신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USB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블랙박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종래에는 차량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차단되는 경우 블랙박스 단말기는 동작할 수 없는 문제점과, 블랙박스 단말기가 네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는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배터리 슬립모드로 인한 블랙박스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GPS 데이터)를 공급받을 수 없는 문제점 및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슬립모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배터리로부터 모든 모듈로의 전원공급 및 블랙박스로의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네비게이션 단말기내의 배터리 소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랙박스 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차량용 단말기에 있어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기내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 구동을 위한 필수 구성들 및 블랙박스와 상호 연동되기 위한 필수 구성들로만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스위칭 제어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내 배터리의 전원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연결된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내부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블랙박스 단말기로 제공하고, 설정된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 및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의 상기 배터리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전원 관리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은, CPU, 메모리, GPS 수신기, 블랙박스와 연결되는 USB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은, LCD, A/V 처리 모듈, FMT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관리 제어부는,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검출하는 전원 검출부; 상기 전원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차량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설정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설정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의 배터리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차량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블랙박스 단말기로 USB 인터페이스의 전원 라인을 통해 전원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수신되는 GPS 데이터를 상기 USB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블랙박스 단말기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연결된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검출하는 전원 검출부; 상기 전원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차량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설정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과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과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배터리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연결된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내부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블랙박스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기 설정된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 및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의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내의 배터리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은, CPU, 메모리, GPS 수신기, 블랙박스와 연결되는 USB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은, LCD, A/V 처리 모듈, FMT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 신호에 따라 차량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설정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설정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의 배터리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 신호에 따라 차량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블랙박스 단말기로 USB 인터페이스의 전원 라인을 통해 전원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수신되는 GPS 데이터를 상기 USB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블랙박스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연결된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 신호에 따라 차량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설정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과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발생된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과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배터리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은 최근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다양한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블랙박스 단말기가 일반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블랙박스에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블랙박스의 특징으로 어떠한 상황에서도 블랙박스를 동작할 수 있는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서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절전모드에서도 블랙박스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전원 및 데이터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블랙박스 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차량용 단말기에 있어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기내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 구동을 위한 필수 구성들 및 블랙박스와 상호 연동되기 위한 필수 구성들로만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스위칭 제어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내 배터리의 전원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랙박스는 사고 발생시 전원 공급이 안정적으로 되어 있지 않거나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특정 상황(슬립모드)에서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블랙박스의 활용의 최대화 및 안정적인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할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자.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에 대한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단말기는 블랙박스 단말기(100)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블랙박스 단말기(100)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각각 구비하고 있는 USB 인터페이스(110, 290)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USB 인터페이스(290)를 통해 블랙박스 단말기(100)로 블랙박스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GPS 데이터를 제공하고, 또한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블랙박스 단말기(100)가 정상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내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USB인터페이스(290)를 통해 블랙박스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블랙박스 단말기(100)는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DC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도 있으며,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와 같이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내부 배터리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것이다.
이에, 블랙박스 단말기(100)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되는 GPS 데이터 및 전원을 USB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수신하여 블랙박스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되 바와 같이, 블랙박스 단말기(100)는 외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20)와,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여 충돌이 감지되는 경우 카메라를 구동하여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충돌 센싱값을 생성하는 센서(130) 및 상기 카메라(120)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되는 GPS 데이터를 상호 대응될 수 있도록 저장하는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핵심적 기술적 특징에는 블랙박스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그 상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전원 검출부(210), 제어부(220), 전원 공급부(230), 스위칭부(240), 메모리(250), GPS 수신부(260), 디스플레이부(280), A/V 처리부(280-1), FMT(280-2), USB 인터페이스(2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검출부(210)는 차량으로부터 DC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검출 신호를 제어부(220)로 제공한다.
메모리(25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및 소프트웨어등의 프로그램 및 맵(Map)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GPS 수신기(26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80)에 디스플레이되는 맵 정보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대응시키기 위한 GPS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20)로 제공하고, 제어부(220)에서 USB 인터페이스(290)를 통해 블랙박스 단말기(100)으로도 제공되게 된다.
전원 공급부(23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배터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네비게이션 단말기(200) 내부의 각 블록 구성들에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즉,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공급하게 되고, 차량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290)의 전원 라인을 통해 블랙박스 단말기(100)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스위칭부(240)는 제어부(220)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80), A/V 처리부(280-1) 및 FMT(280-2)로 전원 공급부(230)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스위칭하여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전원 검출부(210)에서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다고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220)에서 공급되는 전원 공급 차단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부(240)는 전원 공급부(230)에서 디스플레이부(280), A/V 처리부(280-1), FMT(280-2)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스위칭부(240)는 전원 검출부(210)에서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220)에서 제공되는 전원 공급 스위칭 신호에 따라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DC 전원을 디스플레이부(280), A/V 처리부(280-1), FMT(280-2)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게 된다.
제어부(220)는 전원 검출부(210)에서 제공되는 검출 신호에 따라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되지 않은 경우 정상적으로 네비게이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즉, 스위칭부(240)로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디스플레이부(280), A/V 처리부(280-1), FMT(280-2)로 차량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 제어한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230)(배터리)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부(230)의 전원이 USB 인터페이스(290), GPS 수신부(260), CPU(미도시) 및 메모리(250)로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스위칭부(240)에 전원 공급 차단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전원 공급부(230)로부터 디스플레이부(280), A/V 처리부(280-1), FMT(280-2)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스위칭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원 공급부(230)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USB 인터페이스(290)를 통해 블랙박스 단말기(100)에도 동시에 공급하여 블랙박스 단말기(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전원 공급과 전원 차단 제어를 수행함으로서, 제어부(220)는 GPS 수신부(260)로부터 수신되는 GPS 데이터를 블랙박스 단말기(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활용하기 위해 USB 인터페이스(290)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블랙박스 단말기(100)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실시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먼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전원 검출부(210)에서 차량으로부터 정상적으로 DC 전원이 공급되는지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제어부(220)로 제공한다.
제어부(220)는 전원 검출부(210)로부터 제공되는 검출 신호가 정상적인 전원 공급 검출 신호인 경우 즉, 정상적으로 차량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정상적으로 네비게이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즉, 스위칭부(240)로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디스플레이부(280), A/V 처리부(280-1), FMT(280-2)로 차량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 제어하고, 다른 구성요소들 역시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전원 검출부(210)에서의 검출결과,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먼저, 전원 공급부(230) 즉, 내부 배터리를 제어하여 배터리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배터리(2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모든 구성요소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블랙박스 단말기(100)의 활용을 위한 필수 구성들에게만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즉, 제어부(220)는 차량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스위칭부(240)로 전원 공급 차단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블랙박스 단말기(100)의 활용에 크게 영향이 적은 디스플레이부(280), A/V 처리부(280-1), FMT(280-2)로는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스위칭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블랙박스 단말기(100)의 활용을 위한 예를 들어, GPS 수신부(260), 메모리(250), CPU(미도시) 및 USB 인터페이스(290)로는 배터리(230)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전원 공급부(230)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USB 인터페이스(290)의 전원 라인을 통해 블랙박스 단말기(100)로 공급되어 블랙박스 단말기(100)가 정상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220)는 블랙박스 단말기(100)의 정상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GPS 수신부(260)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 역시 USB 인터페이스(290)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블랙박스 단말기(100)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를 간단하게 요약해 보기로 하자.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DC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동작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배터리를 활용하여 내비게이션을 동작하기 위해서는, 부분적인 전원 관리를 해 주어야 한다. 즉, 불필요한 동작에 대해서 절전 모드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필요하다.
특히, 특정 기능을 수행시 특정 기능에 필요하지 않는 기능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배터리를 활용한 최장시간을 활보할 수 있도록 마련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블랙박스 단말기(100)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블랙박스 단말기(1O0)에서 활용해야 하는 CPU, Memory, GPS, USB 등에 대한 전원 공급을 지원하며, 블랙박스 동작에 대한 안정적인 공급과 장시간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블랙박스 사용시에 내비게이션 단말기(200)에서 필요하지 않는 LCD, AVIN, AVOUT, FMT, Audio 등 다양한 Chip 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서, Chip에 전원공급을 해지하기 위해서 리소스 해지 루틴을 수행한 이후에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DC 전원이 다시 공급되는 경우, 이전에 전원 공급이 되지 않았던 칩들에 대해 차량의 DC 전원을 다시 공급하여 네비게이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의 동작과 상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단계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에서 차량으로부터 정상적으로 DC 전원이 공급되는지 검출하여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1).
판단 결과, 차량으로부터 정상적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고 판단되는 경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정상적으로 네비게이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네비게이션 단말기(200) 내부 모든 구성요소들에게 차량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 S10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먼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02).
만약,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동작을 종료하고,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전원이 오프되지 않은 경우, 블랙박스 단말기(100)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03).
판단 결과, 블랙박스 단말기(100)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내부 배터리를 제어하여 배터리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이때,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모든 구성요소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블랙박스 단말기(100)의 활용을 위한 필수 구성들에게만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즉, 차량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블랙박스 단말기(100)의 활용에 크게 영향이 적은 디스플레이부, A/V 처리 모듈, FMT 모듈등으로는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리소스를 해제한다(S104).
리소스 해제 후, 블랙박스 단말기(100)의 블랙박스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예를 들어 메모리, CPU, GPS 수신기, USB 등으로는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고, 블랙박스 단말기(100)의 활용에 크게 영향이 적은 디스플레이부, A/V 처리 모듈, FMT 모듈등으로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다(S105).
따라서,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USB 인터페이스의 전원 라인을 통해 블랙박스 단말기(100)로 공급되어 블랙박스 단말기(100)가 정상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블랙박스 단말기(100)의 정상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GPS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블랙박스 단말기(100)로 제공함으로써,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블랙박스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S106, S107).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블랙박스 단말기 110 : USB 인터페이스
120 : 카메라 130 : 센서
140 : 메모리 200 : 네비게이션 단말기
210 : 전원 검출부 220 : 제어부
230 : 전원 공급부 240 : 스위칭 제어부
250 : 메모리 260 : GPS 수신부
270 : 스위칭부 280 : 디스플레이부
280-1 : A/V 처리부 280-2 : FMT
290 : USB 인터페이스

Claims (11)

  1. 블랙박스 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연결된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내부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블랙박스 단말기로 제공하고,
    설정된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 및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의 상기 배터리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전원 관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은, CPU, 메모리, GPS 수신기, 블랙박스와 연결되는 USB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은, LCD, A/V 처리 모듈, FMT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 제어부는,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검출하는 전원 검출부;
    상기 전원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차량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설정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설정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의 배터리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차량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블랙박스 단말기로 USB 인터페이스의 전원 라인을 통해 전원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수신되는 GPS 데이터를 상기 USB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블랙박스 단말기로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5. 블랙박스 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연결된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에 있어서,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검출하는 전원 검출부;
    상기 전원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차량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설정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 과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과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배터리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은, CPU, 메모리, GPS 수신기, 블랙박스와 연결되는 USB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은, LCD, A/V 처리 모듈, FMT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차량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블랙박스 단말기로 USB 인터페이스의 전원 라인을 통해 전원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수신되는 GPS 데이터를 상기 USB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블랙박스 단말기로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8. 블랙박스 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연결된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내부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블랙박스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기 설정된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 및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의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내의 배터리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은, CPU, 메모리, GPS 수신기, 블랙박스와 연결되는 USB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은, LCD, A/V 처리 모듈, FMT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 신호에 따라 차량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설정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설정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질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의 배터리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 신호에 따라 차량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블랙박스 단말기로 USB 인터페이스의 전원 라인을 통해 전원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수신되는 GPS 데이터를 상기 USB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블랙박스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전원 제어방법.
KR1020100013478A 2010-02-12 2010-02-12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146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478A KR101146326B1 (ko) 2010-02-12 2010-02-12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478A KR101146326B1 (ko) 2010-02-12 2010-02-12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432A true KR20110093432A (ko) 2011-08-18
KR101146326B1 KR101146326B1 (ko) 2012-05-21

Family

ID=44930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478A KR101146326B1 (ko) 2010-02-12 2010-02-12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3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775B1 (ko) * 2013-06-13 2014-09-11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내비게이션의 gps부를 공유하기 위한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WO2014200158A1 (ko) * 2013-06-13 2014-12-18 현대엠엔소프트(주) 블랙박스의 데이터를 내비게이션과 공유하기 위한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378Y1 (ko) 2021-04-12 2023-01-13 주식회사 이젠 차량용 전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86B1 (ko) * 2007-02-09 2008-06-13 이수익 네비게이션 장치에 적용가능한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촬영 장치 및 방법
KR20090027506A (ko) * 2007-09-12 2009-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775B1 (ko) * 2013-06-13 2014-09-11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내비게이션의 gps부를 공유하기 위한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WO2014200158A1 (ko) * 2013-06-13 2014-12-18 현대엠엔소프트(주) 블랙박스의 데이터를 내비게이션과 공유하기 위한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WO2014200157A1 (ko) * 2013-06-13 2014-12-18 현대엠엔소프트(주) 내비게이션의 gps를 공유하기 위한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326B1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5495B1 (ja) 車両用記録制御装置、車両用記録装置、車両用記録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10295622A1 (en) Event detecting device with low power consumption
KR20110115489A (ko) 차량용 도킹 스테이션과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JP2024059804A (ja) 撮像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120268601A1 (en) Method of recording traffic images and a drive recorder system
JP2008034177A (ja) バッテリー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146326B1 (ko)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TWM512273U (zh) 車載監視設備
US20140247682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Boost Mass Memory Performance Given Power Supply Availability
KR20100081283A (ko) 차량용 블랙박스와 내비게이션 통합장치
JP2013256167A (ja) ドライブレコーダシステム、および、車載カメラシステム
JP6235456B2 (ja) 車載型電子機器
CN108615272B (zh) 行车记录器
WO2013084446A1 (ja) ドライブレコーダ、および表示装置
KR20140128834A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관리 방법
JP6242848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4152281A1 (en) Vehicle recording device, vehicle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507526B1 (ko) 전자 장치에 장착된 외부 장치의 상태에 따라 무선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66716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201401482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urrent consumption of mobile terminal
US7675545B2 (en) Camera module having image processing procedure and method for integrating the same with host
CN106394407A (zh) 一种车载智能后视镜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066072B1 (ko) 상시 차량 감시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
JP7322437B2 (ja) 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01375B1 (ko) 차량용 전자 장치, 다기능 제어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