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7506A -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7506A
KR20090027506A KR1020070092772A KR20070092772A KR20090027506A KR 20090027506 A KR20090027506 A KR 20090027506A KR 1020070092772 A KR1020070092772 A KR 1020070092772A KR 20070092772 A KR20070092772 A KR 20070092772A KR 20090027506 A KR20090027506 A KR 20090027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ctronic device
voltage
backup battery
inpu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2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7506A/ko
Publication of KR20090027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의 입력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에 따라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압컨트롤러(10)와, 상기 전압컨트롤러(10)에 의해 전원이 차단된 경우, 시스템 구성부(6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백업배터리(20)와, 상기 전압컨트롤러(10) 또는 백업배터리(20)로부터 전원공급을 전달받아 상기 시스템 구성부(6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소모가 많은 디스플레이부에 대해서는 백업배터리가 전원을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소용량의 백업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입력전압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제외한 다른 구성부품들에 대하여 백업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전자기기를 재부팅하거나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소멸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Figure P1020070092772
백업배터리, 용량, 네비게이션, 시거잭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는 어댑터를 통해 외부로부터 교류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동작한다. 상기 배터리는 보통 방전된 이후에는 충전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자기기에는 휘발성 메모리가 구비되는데, 상기 휘발성 메모리는 배터리 또는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중단되면 저장 중이던 데이터가 모두 사라지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전원을 공급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 OFF상태에서 전원을 ON하여 부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사용 도중 공급 전원이 불안정하여 전자기기의 전원이 OFF상태가 되면 다시 전원을 ON하여 부팅하여야 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최근에는 전자기기에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위해 백업배터리를 사용하여 메인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또는 전원공급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에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차량 시거잭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네비게이션의 경우에는 차량의 시동을 켤 때나 접촉불량으로 인해 전원공급이 불안정하게 되는 때, 상기 네비게이션의 전원이 순간적으로 OFF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백업배터리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백업배터리에 의해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전자기기의 전체소모 전력에 대하여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디스플레이부에도 계속하여 전원을 공급해야 했으므로 대용량의 백업배터리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백업배터리에 의해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때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디스플레이부에는 전원 공급을 중단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의 입력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에 따라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압컨트롤러와, 상기 전압컨트롤러에 의해 전원이 차단된 경우, 시스템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백업배터리와, 상기 전압컨트롤러 또는 백업배터리로부터 전원공급을 전달받아 상기 시스템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압컨트롤러는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밖인 경우,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전압컨트롤러에 의해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밖인 경우, 상기 백업배터리로부터 전원공급을 전달받아 시스템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전압컨트롤러에 의해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전압컨트롤러로부터 전원공급을 전달받아 시스템 구 성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전압컨트롤러에 의해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백업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압컨트롤러는 차량 시거잭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는 상기 전압컨트롤러 또는 백업배터리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의 전압을 시스템의 각 구성부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기기는 네비게이션 장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a)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의 입력전압을 검출하는 단계와, (b)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밖인 경우,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백업배터리로부터 전원공급을 전달받아 시스템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제어방법은 (d)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외부로부터 전원공급을 전달받아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백업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단계는 차량 시거잭으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받은 전원의 입력전압을 검출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는 네비게이션 장치일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전력소모가 많은 디스플레이부에 대해서는 백업배터리가 전원을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소용량의 백업배터리와 소용량의 캐패시터를 사용하여 전자기기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급전원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제외한 다른 구성부품들에 대하여 백업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전자기기를 재부팅해야 하는 등의 시스템 동작이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자기기의 전원제어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는 전압컨트롤러(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압컨트롤러(10)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의 입력전압을 검출한다.
이때, 상기 전압컨트롤러(10)는 차량 시거잭(40)으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기기는 메인배터리를 포함하지 않는 네비게이션 장치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는 주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차량 시거잭(40)으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한다. 즉, 상기 전압컨트롤러(10)는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밖인 경우에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한다. 이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의 입력전압이 상기 전자기기의 정격에 적합한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범위의 하한 미만인 경우에 백업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상기 전자기기의 시스템을 안정화하고, 상기 전자기기에 과전류가 흐르거나 전원이 OFF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는 백업배터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백업배터리(20)는 상기 전압컨트롤러(10)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 시스템 구성부(60)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 구성부(60)는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에서 디스플레이부(50)를 제외한 나머지의 시스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중에서 많은 비중의 전력을 소모하는 시스템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차량 시거잭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네비게이션의 경우에 CCFL 방식의 LCD에 의해 구성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네비게이션의 전체 전력소모에서 80% 정도의 비중을 차지한 다. 따라서 상기 백업배터리(20)가 상기 시스템 구성부(60)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모든 시스템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상기 백업배터리(20)는 더 많은 전력 소모를 필요로 한다.
상기 백업배터리(20)는 상기 전압컨트롤러(10)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 시스템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상기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상태와 같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전압컨트롤러(10)는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밖인 경우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데, 이때 상기 시스템 구성부(6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백업배터리(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백업배터리(20)가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는 전원공급을 하지 않고, 상기 시스템 구성부(6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은 상기 전달받은 전원을 디스플레이부(50)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모든 구성요소에 공급하게 되면 상기 백업배터리(20)의 용량이 일정 이상이 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는 전원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제어부(30)는 상기 전압컨트롤러(10) 또는 백업배터리(20)로부터 전원공급을 전달받아 상기 시스템 구성부(60)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제어부(30)는 상기 전압컨트롤러(10)에 의해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밖인 경우, 상기 백업배터리(20)로부터 전원공급을 전달받아 상기 시스템 구성부(6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는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백 업배터리(20)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을 디스플레이부(50)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모든 구성요소에 공급하는 경우 상기 백업배터리(20)가 대용량화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전원제어부(30)는 상기 전압컨트롤러(10)에 의해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전압컨트롤러(10)로부터 전원공급을 전달받아 상기 시스템 구성부(60)에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전압컨트롤러(10)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의 입력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이 상기 전자기기의 작동에 적합한 범위 이내인 경우에 한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을 상기 전원제어부(30)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제어부(30)는 상기 전압컨트롤러(10)에 의해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백업배터리(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백업배터리(20)를 충전한다. 이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의 입력전압이 상기 전자기기의 작동에 적합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백업배터리(20)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입력전원의 이상 발생시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이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차량 시거잭으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경우, 차량의 시동시에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에 입력되는 전원의 입력전압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백업배터리(20)에 충전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는 컨버터(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버터(70)는 상기 전압컨트롤러(10) 또는 백업배터리(20)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의 전압을 시스템의 각 구성부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한다. 예컨대 상기 컨버터(70)는 상기 전압컨트롤러(10)로부터 전달받은 입력전압을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서 필요로 하는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전원제어부(20)로부터 전달받은 입력전압을 상기 시스템 구성부(60)에서 필요로 하는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스템 구성부(60)에 변환된 전압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컨버터(70)는 상기 시스템 구성부(60)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복수 개의 컨버터(70)가 상기 전원제어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는 Over-voltage Protection Block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Over-voltage Protection Block은 입력전원의 전압이 규정 이상일 경우 전원을 차단한다. 예컨대 규정 전압이 5V인데, 입력전원의 전압이 5.5V 이상인 경우에 입력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백업배터리(20)에는 충전전압의 안정화를 위해 전압을 보정하는 캐패시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전원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의 전원제어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의 전 원제어방법은 차량 시거잭(40)으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100). 예컨대 차량 시거잭으로부터 주전원을 공급받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경우, 차량 시거잭의 5V 출력과 연결되어 주전원을 입력받는다.
다음으로, 상기 차량 시거잭(40)으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의 입력전압을 검출한다(S110). 이때, 상기 입력전압을 검출하는 것은 상기 입력받은 전원의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 시거잭(4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시스템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할 것인지, 아니면 백업배터리(20)로부터 전원공급을 전달받아 시스템 구성부(60)에 전원을 공급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이때,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제 130 단계를 수행하고, 반면에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에는 제 150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 12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차량 시거잭(40)으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을 시스템의 각 구성부에 공급한다(S130). 이때,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는 상기 차량 시거잭(40)으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에 과전류가 흐르거나 또는 전원이 OFF될 우려가 없어 상기 백업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 상기 차량 시거잭(4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음으로 써 동작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백업배터리(20)를 충전한다(S140). 상기 백업배터리(20)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 시스템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상기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상태와 같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의 입력전압이 상기 전자기기의 작동에 적합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백업배터리(20)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입력전원의 이상 발생시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이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 시거잭으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경우, 차량의 시동시에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에 입력되는 전원의 입력전압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백업배터리(20)에 충전을 수행한다.
한편, 제 12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차량 시거잭(40)으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S150). 이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전압이 상기 전자기기의 정격에 적합한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범위의 하한 미만인 경우에 상기 백업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상기 전자기기의 시스템을 안정화하고, 상기 전자기기에 과전류가 흐르거나 전원이 OFF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상기 백업배터리(20)로부터 전원공급을 전달받아 시스템 구성부(60)에 전원을 공급한다(S160). 이때, 디스플레이부(50)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중에서 많은 비중의 전력을 소모하는 시스템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백업배터리(20)는 상기 시스템 구성부(60)에만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예컨대 차량 시거잭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네비게이션의 경우에 CCFL 방식의 LCD에 의해 구성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네비게이션의 전체 전력소모에서 80% 정도의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상기 백업배터리(20)는 상기 시스템 구성부(60)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여 상기 백업배터리(20)의 용량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의 전원제어방법은 제 110 단계부터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즉, 입력받은 전원의 입력전압을 재검출하고, 상기 재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차량 시거잭(40)으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을 시스템의 각 구성부에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백업배터리(20)로부터 전원공급을 전달받아 상기 시스템 구성부(60)에 전원을 공급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자기기의 전원제어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상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압컨트롤러 20: 백업배터리
30: 전원제어부 40: 차량 시거잭
50: 디스플레이부 60: 시스템 구성부
70: 컨버터

Claims (12)

  1.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의 입력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에 따라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압컨트롤러와;
    상기 전압컨트롤러에 의해 전원이 차단된 경우, 시스템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백업배터리와;
    상기 전압컨트롤러 또는 백업배터리로부터 전원공급을 전달받아 상기 시스템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컨트롤러는,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밖인 경우, 전원공급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전압컨트롤러에 의해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밖인 경우, 상기 백업배터리로부터 전원공급을 전달받아 시스템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전압컨트롤러에 의해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전압컨트롤러로부터 전원공급을 전달받아 시스템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전압컨트롤러에 의해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백업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컨트롤러는,
    차량 시거잭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는,
    상기 전압컨트롤러 또는 백업배터리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의 전압을 시스템의 각 구성부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네비게이션 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9. (a)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의 입력전압을 검출하는 단계와;
    (b)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밖인 경우, 시스템 구성부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백업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전원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전원제어방법은,
    (d) 상기 검출된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외부로부터 전원공급을 전달받아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백업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전원제어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차량 시거잭으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받은 전원의 입력전압을 검출하도록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전원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네비게이션 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전원제어방법.
KR1020070092772A 2007-09-12 2007-09-12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KR20090027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772A KR20090027506A (ko) 2007-09-12 2007-09-12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772A KR20090027506A (ko) 2007-09-12 2007-09-12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506A true KR20090027506A (ko) 2009-03-17

Family

ID=40695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772A KR20090027506A (ko) 2007-09-12 2007-09-12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750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326B1 (ko) * 2010-02-12 2012-05-21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339796B1 (ko) * 2011-12-23 2013-12-10 곽영 블랙박스 상시 전원 공급 장치
WO2014200157A1 (ko) * 2013-06-13 2014-12-18 현대엠엔소프트(주) 내비게이션의 gps를 공유하기 위한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WO2022186502A1 (ko) * 2021-03-02 2022-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326B1 (ko) * 2010-02-12 2012-05-21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339796B1 (ko) * 2011-12-23 2013-12-10 곽영 블랙박스 상시 전원 공급 장치
WO2014200157A1 (ko) * 2013-06-13 2014-12-18 현대엠엔소프트(주) 내비게이션의 gps를 공유하기 위한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WO2022186502A1 (ko) * 2021-03-02 2022-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1954B2 (ja) 低電圧誤動作防止回路、方法ならびにそれを利用した電源回路および電子機器
US10727544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battery activation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20131367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condary battery
EP2276143B1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JP2009077466A (ja) 電池セルの表面温度で充電制御する充電システム
KR20090027506A (ko) 전자기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US7166989B2 (en) Power supply system for supplying power to an electronic apparatus
CN107202958B (zh) 用于测试电池的状况的方法和设备
JP2002222030A (ja) 携帯電子機器
JP2004260909A (ja) 多入力電源の充電装置
JP2007048645A (ja) 電子機器およびバッテリ装置
JP2007135362A (ja) 携帯端末装置
JP2006254612A (ja) 電池制御回路、該電池制御回路を備えた電子機器、充電制御プログラム、充電制御方法
JP2006148997A (ja)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KR100997482B1 (ko)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공급장치 및 방법
EP2725680B1 (en) Electronic device and power supplying control method thereof
JP2010148277A (ja) 充電装置
JP2809661B2 (ja) 電池駆動型情報処理装置、電池電源システムおよび電池管理装置
WO2017141654A1 (ja) 電源供給装置
JP2015076954A (ja) 電子機器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717909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該情報処理装置にて実行される消費電力制御方法
JP2005218238A (ja) 二次電池の充電制御方法および充電制御装置
JP6448278B2 (ja) 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JP2000245074A (ja) 蓄電池の容量低下防止方法
KR10136969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차단전압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