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375B1 - 차량용 전자 장치, 다기능 제어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자 장치, 다기능 제어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375B1
KR101801375B1 KR1020170024048A KR20170024048A KR101801375B1 KR 101801375 B1 KR101801375 B1 KR 101801375B1 KR 1020170024048 A KR1020170024048 A KR 1020170024048A KR 20170024048 A KR20170024048 A KR 20170024048A KR 101801375 B1 KR101801375 B1 KR 101801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device
function
camera
multifunction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우석
백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맨캔두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맨캔두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맨캔두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24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Abstract

차량용 전자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영상 제공 기능 및 네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용 전자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카메라와 통신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고, 또한 소정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하에서 작동되는 네비게이션 앱이 설치되어 있으며,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다기능 제어 장치 및 설치된 자동 테더링 앱을 통해 자동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여 다기능 제어 장치가 무선 인터넷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차량에 시동이 켜지면 자동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자 장치, 다기능 제어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MULTIFUNCTION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자 장치, 다기능 제어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 테더링 기능을 통해 네비 정보를 제공하고,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제어하는 차량용 전자 장치, 다기능 제어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각종 자동차에 탑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 중 하나가 네비게이션 장치 및 블랙박스 장치이다. 네비게이션 장치는 차량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고, 맵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사용자에게 안내해주는 장치이다.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안내에 따라 목적지까지 운행하게 된다. 최근 보급되고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는 단순히 네비게이션 기능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DMB 수신 기능, 동영상 및 오디오 파일 재생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장치는 차량 제조시에 설치되는 매립형 네비게이션이 있을 수 있으나, 최근에는 네비게이션 앱을 운전자의 스마트폰에 다운받아 스마트폰 자체를 네비게이션으로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이 주행중이거나 주정차 중에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며, 이를 통해 차량 사고 시에 관련 증거를 확보하고, 운전자가 차와 멀리 떨어진 경우에도 차량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네비게이션 장치(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53665호 참조)를 살펴보면, 매립형 네비게이션의 경우 네비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SD 카드를 통해 수동 업데이트하거나 방문 업데이트 등을 해야하는 바 네비게이션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어왔다. 또한, 스마트폰을 네비게이션으로 활용할 경우 스마트폰의 화면 상에 전화나 문자 알림 메시지가 떠서 안전 운전을 방해하고,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스마트폰의 화면은 일반적으로 그 크기가 작고 화면 사이즈의 변경이 불가능하므로 사용에 불폄함이 있어왔다.
아울러, 블랙박스와 네비게이션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제어 장치가 존재하지 않아 각각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별개의 모니터가 필요하고, 각각을 제어하기 위해 개별적인 장치가 따로 필요하여 두 기능을 한번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불편함이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네비 정보의 자동 업데이트가 가능하고 스마트폰과는 별개로 네비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네비게이션 장치와 블랙박스 장치를 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차량용 전자 장치, 다기능 제어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네비 정보의 자동 업데이트가 가능하고 스마트폰과는 별개로 네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차량의 상태까지 점검할 수 있고, 네비게이션 장치와 블랙박스 장치를 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차량용 전자 장치, 다기능 제어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영상 제공 기능 및 네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용 전자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카메라와 통신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고, 또한 소정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하에서 작동되는 네비게이션 앱이 설치되어 있으며,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다기능 제어 장치 및 설치된 자동 테더링 앱을 통해 자동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여 다기능 제어 장치가 무선 인터넷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차량에 시동이 켜지면 자동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제어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통신 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다기능 제어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통신 장치의 자동 테더링 앱이 실행하는 자동 테더링 기능과 연결되어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카메라와 통신 연결되는 통신부, 설치된 네비게이션 앱을 관리하는 앱 관리부 및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 및 카메라가 제공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고, 차량에 시동이 켜지면 상기 자동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은, 복수개의 카메라가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복수개의 카메라 중에서 어느 하나의 카메라에 복수개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이 저장되는 단계 및 영상을 저장하는 카메라와 통신 연결된 다기능 제어 장치가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비 정보의 자동 업데이트가 가능하고 스마트폰과는 별개로 네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차량의 상태까지 점검할 수 있고, 네비게이션 장치와 블랙박스 장치를 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차량용 전자 장치, 다기능 제어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UI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 및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차량용 전자 장치의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 상태 점검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및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치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UI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 및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차량용 전자 장치의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 상태 점검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50), 카메라 모듈(70), 통신 장치(10) 및 다기능 제어 장치(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50)는 후술할 카메라 모듈(70) 및 다기능 제어 장치(30)가 제공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장치이며, 터치 방식의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다기능 제어 장치(30)가 네비 정보를 제공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50)는 네비 정보를 운전자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길안내를 할 수 있고, 또한 다기능 제어 장치(30)가 다른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면 그러한 정보를 운전자 내지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차 내부에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다기능 제어 장치(30)는 카메라 모듈(70)로부터 차량 주변 영상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통해 운전자 또는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50)의 종류로는 차량 제조 당시에 기설치된 순정 모니터(53)일 수 있다(도 3(a) 참조). 이러한 순정 모니터(53)는 영상 입력 포트가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치의 경우 순정 모니터(53)의 영상 입력 포트를 통해 외부 카메라가 연결되어 D1, VGA, HD 및 Full HD 를 포함하는 다양한 화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50)로는 개인용 스마트폰 내지 테블릿의 표시 장치 그리고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사용할 예정인 표시 장치와 같은 개별 모니터(55)일 수도 있는바(도 3(b) 참조), 네비게이션 장치 및 블랙 박스의 화면으로 사용할 디스플레이 장치(50)가 없는 차량의 경우에도 개인용 스마트폰과 같은 표시 장치가 있는 장비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치를 운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70)은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장치로서 블랙 박스(또는 대쉬캠) 기능 및 안전 운전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70)는 복수개가 차량에 설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5대의 카메라가 차량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 개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도 2 참조).
이러한 5대의 카메라는 내부 설치 카메라 및 외부 설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 설치 카메라는 전방 카메라(71)로서 차량 실내의 룸미러 부근에 설치될 수 있으며, 외부 설치 카메라는 차량 외부의 범퍼 부근에 설치될 수 있는 최전방 카메라(77), 차량 외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방 카메라(73, 75) 및 차량 외부의 후방 번호판 주변에 설치될 수 있는 후방 카메라(7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복수개의 카메라를 사용함에 따라 사각 지대를 제거할 수 있으며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전방 카메라(71)는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것으로서, 스팩으로는 Full HD 디지털 전송방식, 해상도 1920x1080, 화각 120도 및 프레임 30fps일 수 있으나, 이러한 스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방 카메라(71)는 자신을 포함하여 다른 4대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SD카드 또는 외장 SSD와 같은 저장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저장 부재의 형태 및 종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저장 부재에는 상시 영상와 모션 영상 그리고 주행 및 주차 이벤트 영상이 저장될 수 있고, 대응하는 할당 공간(폴더)이 존재할 수 있다.
이렇게 촬영 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전방 카메라(71)는 후술할 다기능 제어 장치(30)와 통신 연결(예를 들어, 유선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을 다기능 제어 장치(30)에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할 스마트폰과 통신 연결(예를 들어, Wifi 동글)되어 촬영된 영상을 스마트폰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다기능 제어 장치(30)는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통해 촬영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또한 스마트폰의 표시 장치에서 촬영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바 편리함이 증대된다.
한편, 전방 카메라(71)는 디지털 줌(zoom)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방에 위치한 소정의 물체, 특히 차량의 번호판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방 카메라(71)는 평시에는 120도의 시야각을 가지면서 넓은 범위의 영상을 촬영하나,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할 때는 모션 감도가 미리 조정된 디지털 줌 기능을 활성화시켜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고, 이후 디지털 줌 기능이 OFF 되면서 좁아졌던 시야각이 점진적으로 자동으로 다시 복귀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의 번호판 영상을 확보하면서도 운전에 필요한 주변 영상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줌 기능은 카메라가 상시 영상을 촬영할 때뿐만 아니라 이벤트 영상을 촬영할 때도 작동할 수 있는바, 전방 카메라(71)의 줌 기능은 차량 번호판 식별이외에 특정 이벤트를 촬영할 때도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최전방 카메라(77), 측방 카메라(73, 75) 및 후방 카메라(79)는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어 차량 주변을 촬영하는 영상 장치로서 스팩으로는 HD 아날로그 전송방식, 해상도 1280x720, 화각 130도 및 프레임 30fps일 수 있으나, 이러한 스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다 보니 악조건 하에서도 우수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최전방 카메라(77), 측방 카메라(73, 75) 및 후방 카메라(79)에는 에폭시 충진과 같이 방수 및 방열 설계가 될 수 있고 선이 끊겼다가 다시 연결시에도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또한 방수 및 방열 설계 방식은 전술한 내용 이외에 다양할 수 있다. 아울러, 최전방 카메라(77), 측방 카메라(73, 75) 및 후방 카메라(79)는 IR(적외선)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야간 촬영 시에도 물체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는 자동 테더링 기능을 통해 다기능 제어 장치(30)가 무선 인터넷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통신 장치(10)로는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자동 테더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비이면 그 종류 및 형태에 제한이 없다. 통신 장치(10)로서 스마트폰을 고려하면, 스마트폰에는 자동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는 자동 테더링 앱(20)이 설치될 수 있다(도 6 참조). 즉, 본 발명의 경우는 스마트폰의 화면을 통해 네비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폰은 자동 테더링 기능을 통해 다기능 제어 장치(30)가 무선 인터넷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네비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50)에서 제공될 수 있다.
종래에는 스마트폰을 네비게이션 화면으로 활용하는바 전화가 오거나 메시지가 오면 그에 대한 알람으로 인해서 스마트폰의 화면이 가려진다거나 화면이 전화 모드로 전환되는 등의 이유로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을 주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과는 별개인 디스플레이 장치(50)에서 네비 정보를 제공하는 바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네비 정보를 받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안전 운전을 할 수 있다.
자동 테더링 기능 활성화 과정을 보면, 우선 차량과 스마트폰은 블루투스 등의 방식을 통해 통신 연결되어 있으며, 스마트폰의 자동 테더링 앱(20)은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또한 자동 테더링 수행을 위한 승인 비밀 번호도 이미 설정되어 사용자가 비밀 번호를 입력하거나 아니면 자동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자동 테더링 앱(20)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경우, 스마트폰과 다기능 제어 장치(30)가 블루투스와 같은 통신 방식으로 통신 연결되고 자동 테더링 앱(20)은 자동 테더링 기능(핫스팟)을 실행하면서 비밀번호 확인과 같은 핫스팟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접속이 허용된 후 다기능 제어 장치(30)는 무선 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자동 테더링 앱(20)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지 않는 경우, 스마트폰과 다기능 제어 장치(30)가 블루투스와 같은 통신 방식으로 통신 연결된 후, 다기능 제어 장치(30)는 스마트폰에 자동 테더링 앱(20) 실행을 요청하고 그러한 요청에 따라 자동 테더링 앱(20)은 자동 테더링 기능(핫스팟)을 실행하면서 비밀번호 확인과 같은 핫스팟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접속이 허용된 후 다기능 제어 장치(30)는 무선 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 테더링 기능을 사용할 때,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로 연결되는 다기능 제어 장치(30)와 스마트폰에는 단독 ID가 부여되어 서로에 대해서만 Tx(송신부) 및 Rx(수신부)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연결 시에 다기능 제어 장치(30)와 스마트폰은 다른 외부 기기를 검색하지 않고 바로 서로 연결되고, 그 결과 상호 간에 접속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카메라(71)와 스마트폰은 WiFi 와 같은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촬영된 영상이 스마트폰으로 전송되어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보거나 확인할 수 있다.
다기능 제어 장치(30)는 소정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체제 하에서 운영되는 전자 장비로서, 네비 정보를 포함한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여 차량 내에 인포테인먼트 환경을 형성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다기능 제어 장치(30)는 통신부(33), 앱 관리부(35), 데이터 출력부(43), 상태 점검부(45) 및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3)는 차량,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70) 및 외부 기기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우선, 스마트폰의 자동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 될 경우 통신부(33)는 스마트폰과 통신 연결되어 다기능 제어 장치(30)가 무선 인터넷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33)가 스마트폰과 통신 연결되는 방식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USB 연결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유무선 연결 방식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33)를 통해 무선 인터넷이 가능함에 따라 맵 데이터와 같은 네비 정보를 자동 업데이트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SD 카드를 사용하는 수동 업데이트, 방문 업데이트 및 인터넷을 통한 직접 업데이트가 필요하지 않아 네비 정보 업데이트에 드는 수고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3)를 통해 실시간 교통 정보가 자동으로 반영되어 운전자에게 보다 나은 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3)는 차량과 블루투스 연결 내지 AUX IN 연결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다기능 제어 장치(30)는 차량 오디오 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통신부(33)는 별도의 외부 기기와도 블루투스 연결 내지 AUX IN 연결이 가능하다.
아울러, 통신부는 전술한 카메라 모듈(70)과 유선 내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다기능 제어 장치(30)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통해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통해 보거나 확인할 수 있다.
앱 관리부(35)는 다기능 제어 장치(30) 내에 앱을 설치하거나 설치된 앱을 관리하는 모듈이다. 다기능 제어 장치(30)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체(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OS 4.4.2 킷캣)와 같은 소정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하에서 운영될 수 있으며, 앱 관리부(35)는 전술한 스마트폰의 자동 테더링 기능이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을 포함한 인터넷 통신을 통해 다양한 앱을 다기능 제어 장치(30)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설치되는 앱으로는 네비게이션 앱, 검색 앱 및 각종 컨텐츠 앱을 포함하여 그 제한이 없는바, 다기능 제어 장치(30)가 스마트폰 내지 테블릿 PC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설치되는 네비게이션 앱으로는 시중에 나와있는 모든 앱(예를 들어, T맵, 아틀란 3D, 카카오 네비 등)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이중에서 원하는 앱을 사용하여 길안내를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앱을 설치하는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장치(50)에는 네비게이션 앱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터치부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 설치 터치부를 터치하고 인증 절차를 거친 후에 네비게이션 앱을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폰의 자동 테더링 기능 또는 다기능 제어 장치(30)의 자체적인 무선 통신 기능(예: WiFi)을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앱을 다운받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 네비게이션 앱이 설치될 때 최소한의 데이터 용량만이 설치되는바 운전자가 네비게이션 앱을 사용할 시에 데이터 소모량이 많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의 경우는 앱 관리부(35)에 네비게이션 앱의 데이터 전체가 설치되어 운전자가 네비게이션 앱을 사용할 시에 실시간 교통 정보만 다운받으면 되어 데이터 소모량이 크지 않게 된다.
아울러, 이렇게 네비게이션 앱을 사용함에 있어서 데이터 소모량이 작으므로 전력 소모가 크지 않게 되어 차량 배터리와 스마트폰 배터리에 부담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앱 관리부(35)에 네비게이션 앱의 데이터 전체가 설치되는바 설치 후에 테더링 기능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실시간 교통 정보를 받을 수 없을 뿐이며 다기능 제어 장치(30)의 네비게이션 앱을 이용하여 길안내 등 네비게이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기능 제어 장치(30)는 음성 인식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운전자가 네비게이션 앱을 사용할 시에 주소 내지 목적지를 음성을 통해 검색 내지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네비게이션 기능 제공을 위해 다기능 제어 장치(30)에는 네비게이션 앱이 아닌 별개의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소프트웨어)이 탑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데이터 출력부(43)는 다기능 제어 장치(30)가 제공할 수 있는 각종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50)에 제공하는 모듈이다. 운전자 내지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통해 네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및 음성 정보를 받아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부(43)는 다양한 컨텐츠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통해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 주행 영상, 저장 영상 및 이벤트 영상 등을 음성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50)에서 재생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그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기능 제어 장치(30)에는 다양한 컨텐츠 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앱을 실행하여 앱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부(43)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5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앱이 활성화될 경우 네비 정보를 데이터 출력부(43)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5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5 에서 알 수 있듯이, 데이터 출력부(43)는 디스플레이 장치(50)에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유저 인터페이스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온오프 터치부, 외부 사운드 녹화 터치부, 내장 스피커 출력 터치부, 전원 터치부, 녹화된 영상 검색 및 재생 터치부, 실시간 영상 확인 터치부, 긴급 녹화 터치부, 세부 설정 터치부, 각종 정보 표시창 및 안드로이드 OS 전환 터치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세부 설정 터치부를 터치하면 스피커 볼륨 조절 기능, 메모리 카드 포멧 기능, 터치 보정 기능, 배터리 방전 차단을 위한 저전압 설정 기능, 시간 설정 기능 및 충격 감도 설정을 위한 모션 충격 설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아울러, 안드로이드 OS 전환 터치부를 터치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50)에 각종 앱이 표시되어 네비게이션 앱을 활성화할 수 있거나 다른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도 5 참조).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50)에는 네비게이션 앱을 다운받는데 이용되는 설치 터치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출력부(43)는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5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이 모두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특정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만이 디스플레이 장치(50)에 표시될 수도 있다.
아울러, 다기능 제어 장치(30)는 소정 조건이 달성될 경우 자동으로 복수개의 카메라 중에서 어느 하나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만을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통해 표시하는 트리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지시등 레버를 동작시키고 이러한 동작 신호를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를 통해 다기능 제어 장치(30)가 인지할 경우 데이터 출력부(43)는 해당 측방 카메라(73, 75)가 촬영한 영상만을 디스플레이 장치(50)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르게는, 다기능 제어 장치(3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지시등의 시그널 선과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동된 지시등 방향을 촬영하는 측방 카메라(73, 75)가 촬영한 영상만을 디스플레이 장치(5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의 속도가 기준치 이하로 감속되거나 또는 브레이크가 작동할 경우 데이터 출력부(43)는 최전방 카메라(77)가 촬영하는 영상만을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운전자가 후진 기어를 작동시키면 데이터 출력부(43)는 후방 카메라(79)가 촬영하는 영상만을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태 점검부(45)는 차량의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를 점검하는 모듈이다. 다기능 제어 장치(30)는 차량의 상시 전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태 점검부(45)를 통해 차량의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동이 꺼지고 일정 시간이 흐른 후에 배터리 전압은 소정분만큼 떨어지게 되는데, 이 떨어지는 전압량이 정상치보다 크면 배터리 상태를 점검하여 배터리를 교환해야 하는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시동을 켜고 일정 시간이 흐른 후에 배터리 전압은 소정분만큼 상승하게 되는데, 이 상승하는 전압량이 정상치보다 낮으면 배터리 상태를 점검하여 배터리를 교환해야 하는 시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 을 통해 살펴보면, 도 8(a)는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 배터리 강하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정상 상태(A)인 경우 12.5V의 전압이 시동을 끄면 12.3V로 하강하게 되나, 비정상 상태(B)인 경우에는 12.0V까지 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상태 점검부(45)는 배터리 전압이 정상치보다 많이 떨어진 점을 인지하고 배터리 점검이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8(b)는 차량의 시동이 켜진 후 배터링 상승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정상 상태(C)인 경우 12.3V의 전압이 시동을 켜면 12.5V로 상승하게 되나, 비정상 상태(D)인 경우에는 12.4V까지만 상승할 수 있으며, 상태 점검부(45)는 배터리 전압이 정상치보다 덜 상승한 점을 인지하고 제너레이터 점검이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 8 에 도시된 그래프의 형태 및 수치는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얼마든지 다양한 그래프 형태 및 수치가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상태 점검부(45)가 배터리 또는 제너레이터의 상태가 좋지 않다는 점을 파악한 후에, 상태 점검부(45)는 후술할 제어부(40)에 이러한 점검 결과를 전달하고 제어부(40)는 데이터 출력부(43)에게 배터리 또는 제너레이터 점검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5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도 9 참조). 경우에 따라서는 상태 점검부(45)는 직접 데이터 출력부(43)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50)가 점검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점검 알림 메시지는 문자 형태일 수 있고, 또한 경고 음성 등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태 점검부(45)는 서지(surge) 전압 차단 기능이 있으며, 서지 전압을 차단함으로써 카메라 모듈(70)을 서지 전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운영을 제어하는 모듈이다. 특히, 다기능 제어 장치(30)는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슬립 모드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슬립 모드를 제어부(40)가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다기능 제어 장치(30)가 슬립 모드 하에 운영되는바 차량의 시동이 켜진 후 바로 다기능 제어 장치(30)가 부팅되어 사용자는 부팅까지 긴 시간을 기다릴 필요가 없게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준다. 한편, 슬립 모드 하에서 다기능 제어 장치(30)의 부팅 시간은 3초 이하일 수 있으나 이러한 시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40)는 배터리 저전압 차단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는 상시 전원에 연결될 수 있으며 슬립 모드 시에 배터리의 전압이 소정치 이하(예를 들어, 승용차의 경우 11.8V)로 내려가게 되면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40)는 다기능 제어 장치(30)의 전원을 OFF 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저전압 차단 기능이 작동할 시에 제어부(40)는 데이터 출력부(43)를 통해 저전압 차단 기능을 수행한다는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추후 차량을 재시동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치를 재가동(ON 상태)할 때 전원이 OFF 된 원인, 즉 저전압 차단 기능으로 인해 전원이 OFF 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운전자 내지 사용자는 전원이 OFF 된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저전압 차단 기능은 차량의 시동을 끄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통해 영상을 보는 경우에도 작동할 수 있고, 차량의 시동을 켠 상태에서도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고온 관리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모듈(70) 및 다기능 제어 장치(30)에는 온도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40)는 이 온도 센서로부터 각 장비의 내부 온도를 제공받은 후에, 제공받은 온도가 기준치 온도를 초과할 경우 카메라 모듈(70) 또는 다기능 제어 장치(30)의 전원을 OFF 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온으로 인한 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고온 관리 기능이 작동할 시에 제어부(40)는 데이터 출력부(43)를 통해 고온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는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추후 차량을 재시동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치를 재가동(ON 상태)할 때 전원이 OFF 된 원인, 즉 고온으로 인해 전원이 OFF 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운전자 내지 사용자는 전원이 OFF 된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치는 네비게이션 기능뿐만 아니라 자신의 차량 주변 영상 제공 기능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영상 제공 기능은 단순히 저장된 영상을 제공하는 종래의 블랙박스 기능을 넘는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스마트폰의 표시 장치를 통해 운전자 내지 사용자에게 실시간 촬영 영상을 제공하고 확인하도록 할 수 있고, 차선 변경과 같이 특정 방향의 차량 운행 상태 파악이 필요한 경우에 원하는 방향의 영상을 제공하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만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실시간 제공하거나, 디지털 줌 기능을 통해 특정 물체 및 사건을 정밀하게 촬영하여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된 카메라 모듈 및 적외선 촬영 기능을 통해 사각 지대를 없애고 야간시에도 안전 운전을 유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치를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 10 및 1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 및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 중 특히 네비게이션 앱 운영 방법은, 차량의 시동을 켜는 단계(S10), 스마트폰에 설치된 자동 테더링 앱이 실행되고, 스마트폰과 다기능 제어 장치가 통신 연결되는 단계(S20) 및 자동 테더링 기능 하에서 다기능 제어 장치는 설치된 네비게이션 앱을 실행하여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차량의 시동을 켜는 단계(S10)는, 차량 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치인 디스플레이 장치(50), 다기능 제어 장치(30) 및 스마트폰이 설치 내지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켠다. 또한, 차량과 스마트폰은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시동이 켜지기 전에 네비게이션 장치는 슬립 모드 상태일 수 있는바 차량 배터리 소모를 줄이고, 다기능 제어 장치의 부팅 시간을 단축시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스마트폰에 설치된 자동 테더링 앱이 실행되고, 스마트폰과 다기능 제어 장치가 통신 연결되는 단계(S20)는, 우선 스마트폰의 자동 테더링 앱(20)은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등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또한 자동 테더링 수행을 위한 승인 비밀 번호도 이미 설정되어 사용자가 비밀 번호를 입력하거나 아니면 자동 입력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차량의 시동이 켜진 후에는 스마트폰의 자동 테더링 앱(20)은 실행되어 스마트폰과 다기능 제어 장치(30)는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다기능 제어 장치(30)는 무선 인터넷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 테더링 기능 하에서 다기능 제어 장치는 설치된 네비게이션 앱을 실행하여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S30)는, 다기능 제어 장치(30)가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게 된 후 다기능 제어 장치(30)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앱은 활성화되고, 다기능 제어 장치(30)는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50)에 제공하여 운전자가 활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기능 제어 장치(30)가 차량의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차량의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은, 차량의 시동을 끈 후 배터리 전압이 떨어지는 정도를 통해 배터리 상태 정검을 수행하고, 또한 시동을 켠 후 배터리 전압이 올라가는 정도를 통해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을 수행하고,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 결과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면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 중 특히 블랙 박스 운영 방법은, 복수개의 카메라가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S40), 복수개의 카메라 중에서 어느 하나의 카메라에 복수개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이 저장되는 단계(S50) 및 영상을 저장하는 카메라와 통신 연결된 다기능 제어 장치가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카메라가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S40)는, 차량에는 복수개의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설치된 카메라는 차량의 전방, 측방 및 후방을 촬영할 수 있다.
복수개의 카메라 중에서 어느 하나의 카메라에 복수개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이 저장되는 단계(S50)는, 설치된 복수개의 카메라 중에서 어느 하나의 카메라에는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 부재가 있으며, 이 저장 부재에 복수개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으로는 상시 영상와 모션 영상 그리고 주행 및 주차 이벤트 영상일 수 있다.
영상을 저장하는 카메라와 통신 연결된 다기능 제어 장치가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S60)는, 저장 부재가 있는 카메라와 다기능 제어 장치(30)는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다기능 제어 장치(30)는 저장된 영상을 전송받은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통해 저장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다기능 제어 장치(30)는 전술한 소정 조건이 달성될 경우 자동으로 복수개의 카메라 중에서 어느 하나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만을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통신 장치 20: 자동 테더링 앱
30: 다기능 제어 장치 33: 통신부
35: 앱 관리부 40: 제어부
43: 데이터 출력부 45: 상태 점검부
50: 디스플레이 장치 53: 순정 모니터
55: 개별 모니터 70: 카메라 모듈
71: 전방 카메라 73, 75: 측방 카메라
77: 최전방 카메라 79: 후방 카메라

Claims (15)

  1. 차량에 설치되어 영상 제공 기능 및 네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용 전자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차량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와 통신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고, 또한 소정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하에서 작동되는 네비게이션 앱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다기능 제어 장치; 및
    설치된 자동 테더링 앱을 통해 자동 테더링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다기능 제어 장치가 무선 인터넷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에 시동이 켜지면 상기 자동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되고,
    상기 다기능 제어 장치는 고온 관리 기능 및 상기 차량의 배터리 저전압 차단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고온 관리 기능으로 인해 상기 다기능 제어 장치 또는 상기 카메라의 전원이 OFF 된 경우 및 상기 차량의 배터리 저전압 차단 기능으로 인해 상기 다기능 제어 장치의 전원이 OFF 된 경우, 추후 전원이 ON 될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차량용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복수개가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다기능 제어 장치는 소정 조건이 달성될 경우 복수개의 카메라 중에서 어느 하나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차량용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는 상기 차량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최전방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준치 이하로 감속되거나 또는 브레이크가 작동할 경우 상기 최전방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차량용 전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에서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차량용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카메라는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 연결되어 저장된 영상이 상기 통신 장치의 표시 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차량용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의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차량의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 기능은,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 배터리 전압이 떨어지는 정도를 통해 배터리 상태 정검을 수행하고, 또한 시동이 켜진 후 배터리 전압이 올라가는 정도를 통해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을 수행하고,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 결과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면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 차량용 전자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차량에 기설치된 순정 모니터 또는 개별 모니터인 차량용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제어 장치에는 컨텐츠 앱 및 검색 앱을 포함하는 앱이 설치되어 있거나 설치 가능한 차량용 전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복수개가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카메라는 상기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카메라는 디지털 줌(zoom) 기능을 통해 소정의 물체 및 이벤트를 촬영하고, 촬영이 종료된 후에는 자동으로 점진적으로 시야각이 커지는 차량용 전자 장치.
  11. 차량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차량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통신 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다기능 제어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통신 장치의 자동 테더링 앱이 실행하는 자동 테더링 기능과 연결되어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카메라와 통신 연결되는 통신부;
    설치된 네비게이션 앱을 관리하는 앱 관리부; 및
    상기 네비게이션 앱이 제공하는 정보 및 상기 카메라가 제공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에 시동이 켜지면 상기 자동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되고,
    상기 다기능 제어 장치는 고온 관리 기능 및 상기 차량의 배터리 저전압 차단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고온 관리 기능으로 인해 상기 다기능 제어 장치 또는 상기 카메라의 전원이 OFF 된 경우 및 상기 차량의 배터리 저전압 차단 기능으로 인해 상기 다기능 제어 장치의 전원이 OFF 된 경우, 추후 전원이 ON 될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다기능 제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 배터리 전압이 떨어지는 정도를 통해 배터리 상태 정검을 수행하고, 시동이 켜진 후 배터리 전압이 올라가는 정도를 통해 제너레이터 상태 정검을 수행하고, 또한 서지 전압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제어 장치.
  13. 제 1 항에 기재된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으로서,
    복수개의 카메라가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복수개의 카메라 중에서 어느 하나의 카메라에 복수개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이 저장되는 단계; 및
    영상을 저장하는 카메라와 통신 연결된 다기능 제어 장치가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카메라는 차량 내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를 포함하고,
    다기능 제어 장치는 차량의 속도가 기준치 이하로 감속되거나 또는 브레이크가 작동할 경우 전방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다기능 제어 장치는 서지(surge) 전압 차단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
KR1020170024048A 2017-02-23 2017-02-23 차량용 전자 장치, 다기능 제어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 KR101801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048A KR101801375B1 (ko) 2017-02-23 2017-02-23 차량용 전자 장치, 다기능 제어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048A KR101801375B1 (ko) 2017-02-23 2017-02-23 차량용 전자 장치, 다기능 제어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375B1 true KR101801375B1 (ko) 2017-11-24

Family

ID=6081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048A KR101801375B1 (ko) 2017-02-23 2017-02-23 차량용 전자 장치, 다기능 제어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3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125A (ko) * 2019-02-28 2020-09-11 임용순 차량 시청각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4972A (ja) * 2010-10-25 2012-05-17 Denso Corp 車載カメラ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4972A (ja) * 2010-10-25 2012-05-17 Denso Corp 車載カメラ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125A (ko) * 2019-02-28 2020-09-11 임용순 차량 시청각 시스템
KR102206874B1 (ko) * 2019-02-28 2021-01-22 임용순 차량 시청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1762B2 (en) Vehicle control system
JP6476423B2 (ja) 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70061708A1 (en) Method, apparutus and system for managing vehicle interlock application
EP2800066A1 (en) Vehicular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event using the same
US201302618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 image for a vehicle using on board diagnostic information
JP2008078793A (ja)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CN110889970A (zh) 寻车方法、寻车终端、寻车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JP2015122101A (ja) 車両用映像記録装置及び車載システム
KR20140128834A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관리 방법
KR101801375B1 (ko) 차량용 전자 장치, 다기능 제어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 운영 방법
JP2020042475A (ja)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91909B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데이터와 gis 연동 서비스 방법
JP2019169043A (ja)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JP6539840B2 (ja) 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546701B1 (ko) 차량운행 스마트 통합단말장치, 차량운행 스마트 통합단말장치를 이용한 차량 운행 정보 수집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TWI566208B (zh) 設定車載裝置的方法及其車載裝置
KR20140025877A (ko)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4502429A (zh) 视频记录镜
JP7366445B2 (ja) 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24084735A1 (ja) 情報提供方法、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101281143B1 (ko) 영상처리 및 저장 기능 통합형 교통신호 제어기
WO2022163317A1 (ja) 車両用装置
JP6744180B2 (ja) 運行記録システム
WO2022163314A1 (ja) 車両用装置
KR10226631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