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7686B1 - 네비게이션 장치에 적용가능한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촬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장치에 적용가능한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촬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7686B1
KR100837686B1 KR1020070013756A KR20070013756A KR100837686B1 KR 100837686 B1 KR100837686 B1 KR 100837686B1 KR 1020070013756 A KR1020070013756 A KR 1020070013756A KR 20070013756 A KR20070013756 A KR 20070013756A KR 100837686 B1 KR100837686 B1 KR 100837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image
vehicle
memory
memor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익
신한철
오기환
Original Assignee
이수익
신한철
오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익, 신한철, 오기환 filed Critical 이수익
Priority to KR1020070013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05Solid-state data logg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 발생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차량의 사고 장면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충격을 검출하는 충격센서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주변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충격센서부에 의한 검출 충격이 기설정된 기준 충격 이상되거나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 의한 검출 가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가속도 이상이면 사고 발생으로 판단하는 사고 판단부; 및 상기 사고 판단부에 의해 사고 발생 판단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사고시점을 포함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는 동영상 촬영 방법을 제안한다.
충격 센서, 속도 센서, 차량 사고, 카메라, 기록, 동영상, 촬영, 메모리셀 분할

Description

네비게이션 장치에 적용가능한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THE MOVING PICTURE OF VEHICLE TRAFFIC ACCIDENT FOR CAR NAVIG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도.
도 2의 (a),(b)는 도 1의 메모리부 및 메모리셀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메모리셀의 중요도 순위에 대한 갱신 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장치의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촬영 방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
도 6은 도 4의 녹화 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카메라 장치 110 : 조작부
120 : 충격센서부 130 : 가속도 센서부
140 : 카메라 모듈 150 : 사고 판단부
160 : 표시부 170 : 메모리부
171 : 메모리 172 : 메모리셀 관리부
MC1~MCn : 복수의 메모리셀 200 : 네비게이션 장치
230 : GPS 모듈 210 : 전원부
250 : 네비게이션 표시부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주행중에 차량의 접촉사고나 추돌 또는 충돌 사고 등과 같은 차량의 사고 발생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차량의 사고 장면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사고 경위 등 차량 사고 직전의 상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차량 사고 직후의 현장 보존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해마다 증가하면서 차량 사고도 엄청나게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 사고 발생시, 차주는 사고 현장 보전 및 사고 처리를 위해 상당 시간 동안 차도를 점거하므로 교통 정체의 주요 요인이 되었다.
통상, 차량 사고 발생시, 중요 논쟁점은 어느 차량이 가해 차량이고 그 가해 정도가 어느정도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차량 주행중에 사고가 발생되면 대부분의 경우에는 사고 발생지점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지점에 정차하게 되므로, 스키드 마크(skid mark)도 없고 목격자도 없는 경우에는 차량 사고에 대한 객관적 정보는 없게 되며, 이러한 차량의 사고 발생 후에는 분쟁거리가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험사, 경찰서, 차주 모두가 어느정도의 시간적 및 경제적 손실을 불가피하게 부담하여야 한다.
또한, 주행중의 사고 발생 외에 흔히 발생되는 주정차 차량에 대한 접촉 사고의 경우, 차주나 목격자가 현장에 있지 않을 경우에는 가해자가 연락을 해오지 않는한 가해 차량의 정보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주행 또는 주정차 중인 차량 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 사고의 원인 규명이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
종래 차량 사고 처리 시스템중의 일예로, 공개특허 제2002-67246호에 개시된 자동차용 사고처리 시스템은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면 충격감지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고 에어 탱크에 장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에어를 분출시키고 분출되는 에어에 의해 소정 색상의 페인트를 분사구를 통해 지면에 분사하는 기술에 관련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장치는, 자동차 충돌시 분사하게 되는 페인트는 휘발성 물질로 인정시간이 경과하거나 온도가 차가워지면 굳게 되므로 정기적으로 교환 또는 관리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으며, 충돌을 감지하는 센서에 따라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밸브 동작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탱크와 수용용기에 보관된 페인트를 혼합하여 분사구가 막히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종래 장치는, 충격에 따른 페인트 분사 방식이므로, 사고 상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 주행중에 차량의 접촉사고나 추돌 또는 충돌 사고 등과 같은 차량의 사고 발생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차량의 사고 장면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사고 경위 등 차량 사고 직전의 상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차량 사고 직후의 현장 보존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충격을 검출하는 충격센서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주변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충격센서부에 의한 검출 충격이 기설정된 기준 충격 이상되거나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 의한 검출 가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가속도 이상이면 사고 발생으로 판단하는 사고 판단부; 및 상기 사고 판단부에 의해 사고 발생 판단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사고시점을 포함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충격을 검출하는 충격센서부;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GPS 모듈;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주변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충격센서부에 의한 검출 충격이 기설정된 기준 충격 이상되거나 상기 GPS 모듈로부터의 속도에 기초한 가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가속도 이상이면 사고 발생으로 판단하는 사고 판단부; 및 상기 사고 판단부에 의해 사고 판단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사고시점을 포함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는, 차량의 시거잭을 통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GPS 모듈과, 영상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네비게이션 표시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기기에 적용되는 동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충격을 검출하는 충격센서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주변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충격센서부에 의한 검출 충격이 기준 충격 이상되거나 상기 GPS 모듈로부터의 속도에 근거한 가속도가 기준 가속도 이상이면 사고 발생으로 판단하는 사고 판단부; 및 상기 사고 판단부에 의해 사고 판단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사고시점을 포함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네비게이션 기기의 전원부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의 영상이나 상기 메모리부로부터의 영상을 상기 네비게이션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복수의 메모리셀을 포함하는 메모리 ; 및 상기 메모리의 복수의 메모리셀 각각에 별도의 파일을 매칭시키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에 중요도 순위를 영상 유무, 영상 저장 일자 및 락여부에 따라 부여하여 현재 촬영 영상의 저장을 위해 중요도 순위가 낮은 메모리셀 및 파일을 할당하는 메모리셀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셀 관리부는, 락이 안걸린 메모리셀중에서, 저장 영상이 없는 메 모리셀을 가장 낮은 중요도 순위를 부여하고, 저장 영상이 있는 메모리셀중에서는 영상 저장 일자가 오래된 순서로 낮은 중요도 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셀 관리부는, 사고 발생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할당받은 메모리셀에 순환적 덮어쓰기 방식으로 영상을 저장하고, 사고 발생인 경우에는 상기 사고시점을 포함하는 현재 기록중인 영상을 상기 할당받은 메모리셀에 저장함과 동시에 중요도 순위를 갱신하고, 이후 상기 중요도 순위상 최하위 순위인 메모리셀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촬영 방법은, 동작개시되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부의 메모리셀과 파일을 할당하는 할당단계; 카메라 모듈을 통해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할당단계에서 상기 할당받은 메모리셀 및 파일에 상기 촬영된 영상을 순환적 덮어쓰기 방식으로 저장하는 영상 촬영 단계; 상기 영상 촬영 단계 수행 동안에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사고 발생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촬영 단계를 수행하는 사고 발생 판단 단계; 상기 사고 발생 판단 단계에서 사고 발생으로 판단시, 상기 할당받은 메모리셀에 사고시점을 포함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녹화 단계; 녹화 정지 조건이 만족되면 않으면 상기 녹화 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녹화 정지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의 전체 과정의 종료인지를 판단하는 종료 판단 단계; 및 상기 종료 판단 단계에서, 종료가 아닌 경우에는 최저 중요도 순위에 해당되는 메모리셀 및 파일을 다시 지정하여 영상 촬영 단계로 진행하는 재할당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촬영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충격을 검출하는 충격센서부(120)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부(130)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주변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40)과, 상기 충격센서부(120)에 의한 검출 충격이 기설정된 기준 충격 이상되거나 상기 가속도 센서부(130)에 의한 검출 가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가속도 이상이면 사고 발생으로 판단하는 사고 판단부(150)와, 상기 사고 판단부(150)에 의해 사고 발생 판단시, 상기 카메라 모듈(1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사고시점을 포함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저장하는 메모리부(170)와, 상기 카메라 모듈(1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촬영 장치는, 정보 입력을 위한 조작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110)를 통해 동영상 촬영을 지시하는 등과 같이 각종 동작을 지시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특정 영상에 대한 락을 걸기 위한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충격센서부(120)는 기존의 여러 종류의 충격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충격에 따라 자기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부(130)는, 기존의 여러 종류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기술을 이용하는 마이크로 자이로 가속도 센서와 같은 소형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가속도 센서부(130)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차량의 속도의 시간적 변화를 계산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140)을 한 개 이용할 수 있고, 또는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예를 들면, 차량의 사고를 촬영하기에 적합한 차량의 전방 촬영용 카메라 모듈과 후방 촬영용 카메라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의 (a),(b)는 도 1의 메모리부 및 메모리셀의 구성도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메모리부(170)는, 복수의 메모리셀(MC1~MCn)을 포함하는 메모리(171)와, 상기 메모리부의 복수의 메모리셀(MC1~MCn) 각각에 별도의 파일을 매칭시키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MC1~MCn)에 중요도 순위를 영상 유무, 영상 저장 일자 및 락여부에 따라 부여하여 현재 촬영 영상의 저장을 위해 중요도 순위가 낮은 메모리셀 및 파일을 할당하는 메모리셀 관리부(17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MC1~MCn) 각각은 상기 조작부(110)를 통한 지시에 따라 락이 걸릴 수 있으며, 이와같이 락(lock)이 걸린 메모리 셀에는 덮어쓰기 방식의 기록이 수행되지 않는다.
상기 메모리셀 관리부(172)는, 락이 안걸린 메모리셀중에서, 저장 영상이 없는 메모리셀을 가장 낮은 중요도 순위를 부여하고, 저장 영상이 있는 메모리셀중에서는 영상 저장 일자가 오래된 순서로 낮은 중요도 순위를 부여한다.
상기 메모리셀 관리부(172)는, 사고 발생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할당받은 메모리셀에 순환적 덮어쓰기 방식으로 영상을 저장하고, 사고 발생인 경우에는 상기 사고시점을 포함하는 현재 기록중인 영상을 상기 할당받은 메모리셀에 저장함과 동시에 중요도 순위를 갱신하고, 이후 상기 중요도 순위상 최하위 순위 메모리셀을 다시 할당한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MC1~MCn) 각각은 복수의 메모리 영역(M1~M6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 영역(M1~M60) 각각은 1분 간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용량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메모리셀의 중요도 순위에 대한 갱신 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171은 첫 번째 메모리셀을 지정하는 단계이고, S172는 지정된 메모리셀이 락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고, S173은 상기 지정된 메모리셀에 영상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고, S174는 상기 지정된 메모리셀에 저장 영상이 없는 경우에 중요도 순위 최소값을 부여하는 단계이고, S175는 상기 지정된 메모리셀에 저장 영상이 있는 경우에는 저장 일자에 따라 중요도 순위를 부여하는 단계이며, S176은 메모리에 대한 리세트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이고, S177은 리세트가 아니면 다음 메모리셀을 지정한 다음에 상기 S172로 진행하는 단계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동영상 촬영 장치는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아서 독자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나, 차량의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고, 여기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가능한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장치의 실시예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동영상 촬영 장치는 네비게이션 장치(200)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는, 차량의 시거잭을 통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0)와,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GPS 모듈(230)과, 영상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네비게이션 표시부(2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동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충격을 검출하는 충격센서부(120)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주변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40)과, 상기 충격센서부(120)에 의한 검출 충격이 기준 충격 이상되거나 상기 GPS 모듈(230)로부터의 속도에 근거한 가속도가 기준 가속도 이상이면 사고 발생으로 판단하는 사고 판단부(150)와, 상기 카메라 모듈(1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60)와, 상기 사고 판단부(150)에 의해 사고 판단시, 상기 카메라 모듈(1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사고시점을 포함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저장하는 메모리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네비게이션 기기(200)의 전원부(210)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는다.
또한, 상기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카메라 모듈(140)로부터의 영상이나 상기 메모리부(170)로부터의 영상을 상기 네비게이션 표시부(250)로 출력한다.
게다가,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200)에 본 발명의 동영상 촬영 장치(100)를 접속하기 위해서 커넥터(CON)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넥터(CON)는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200)에 형성된 제1 커넥터(CON1)와 상기 동영상 촬영 장치(100)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넥터(CON1)와 접속하기 위한 제2 커넥터(CON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동영상 촬영 장치(100)를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200)에 연결하여 사용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200)의 일부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촬영 방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고, 도 6은 도 4의 녹화 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촬영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촬영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동영상 촬영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아서 독자적으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네비게이션 표시부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영상 촬영 장치에 대해서 설 명한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동영상 촬영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으면 동작을 개시하며, 이때 본 발명의 동영상 촬영 장치의 메모리부(170)는 복수의 메모리셀(MC1~MCn)중에서 현재 촬영 영상의 저장을 위해 메모리셀을 할당한다.
도 1 및 도 2의 (a),(b)를 참조하여 메모리셀 할당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메모리부(170)는, 복수의 메모리셀(MC1~MCn)을 포함하는 메모리(171)와, 메모리셀 관리부(172)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셀 관리부(172)는, 동작개시되면, 상기 메모리부의 복수의 메모리셀(MC1~MCn) 각각에 별도의 파일을 매칭시키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MC1~MCn)에 중요도 순위를 영상 유무, 영상 저장 일자 및 락여부에 따라 부여하여 현재 촬영 영상의 저장을 위해 중요도 순위가 낮은 메모리셀 및 파일을 할당한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MC1~MCn) 각각은 복수의 메모리 영역(M1~M6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 영역(M1~M60) 각각은 1분간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용량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첫 번째 메모리셀을 지정하고(S171), 상기 지정된 메모리셀이 락상태인지를 판단하며(S172), 락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지정된 메모리셀에 영상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S173), 상기 지정된 메모리셀에 저장 영상이 없는 경우에 중요도 순위 최소값을 부여한다(S174). 상기 지정된 메모리셀에 저장 영상이 있는 경우에는 저장 일자에 따라 중요도 순위를 부여한다(S175). 다음, 메모리에 대한 리세트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여(S176), 리세트가 아니면 다음 메모리셀을 지정한 다음에 상기 지정된 메모리셀에 대한 락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172)로 진행한다(S177).
이와같은 과정을 통해서, 상기 메모리셀 관리부(172)는, 락이 안걸린 메모리셀중에서, 저장 영상이 없는 메모리셀을 가장 낮은 중요도 순위를 부여하고, 저장 영상이 있는 메모리셀중에서는 영상 저장 일자가 오래된 순서로 낮은 중요도 순위를 부여한다.
다음, 상기 동영상 촬영 장치의 충격센서부(120)는 상기 차량의 충격을 검출하여 사고 판단부(150)로 충격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동영상 촬영 장치의 가속도 센서부(130)는,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사고 판단부(150)로 가속도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동영상 촬영 장치의 카메라 모듈(140)은 상기 차량의 주변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상기 사고 판단부(150)로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상기 사고 판단부(150)는, 상기 충격센서부(120)에 의한 검출 충격이 기설정된 기준 충격 이하이거나 상기 가속도 센서부(130)에 의한 검출 가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가속도 이하인 경우에는 사고 발생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170)에서, 상기 메모리셀 관리부(172)는, 사고 발 생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할당받은 메모리셀에 순환적 덮어쓰기 방식으로 영상을 계속 저장한다.
이와 달리, 상기 충격센서부(120)에 의한 검출 충격이 기설정된 기준 충격 이상되거나 상기 가속도 센서부(130)에 의한 검출 가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가속도 이상이면 사고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부(170)에서, 상기 메모리셀 관리부(172)는, 상기 사고 발생인 경우에는 상기 사고시점을 포함하는 현재 기록중인 영상을 상기 할당받은 메모리셀에 저장함과 동시에 중요도 순위를 갱신하고, 이후 상기 중요도 순위상 최하위 순위 메모리셀을 할당한다.
전술한 바와같은 동영상 촬영 장치의 동작중에, 표시부(160)는, 상기 카메라 모듈(1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동영상 촬영 장치는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아서 독자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나, 차량의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전원부(210)와 GPS 모듈(230)등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동영상 촬영 장치를 저렴하고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영상 촬영 장치가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하는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가능한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동영상 촬영 장치는 네비게이션 장치(200)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전원부(210)는, 차량의 시거잭을 통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 촬영 장치의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200)의 GPS 모듈(230)은,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여 속도 검출신호를 동영상 촬영 장치에 출력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동영상 촬영 장치의 충격센서부(120)는, 상기 차량의 충격을 검출하여 상기 사고 판단부(150)로 충격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140)은 상기 차량의 주변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상기 사고 판단부(150)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사고 판단부(150)는, 상기 충격센서부(120)에 의한 검출 충격이 기준 충격 이상되거나 상기 GPS 모듈(230)로부터의 속도에 근거한 가속도가 기준 가속도 이상이면 사고 발생으로 판단한다.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카메라 모듈(1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메모리부(170)는 상기 사고 판단부(150)에 의해 사고 판단시, 상기 카메라 모듈(1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사고시점을 포함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저 장한다.
또한, 상기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네비게이션 표시부(250)에 상기 카메라 모듈(140)로부터의 영상이나 상기 메모리부(170)로부터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촬영 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촬영 방법에서, 먼저 본 발명의 동영상 촬영 장치의 동작이 개시되면, 할당 단계에서는,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부(170)의 메모리셀과 파일을 할당한다(S100).
즉, 본 발명의 동영상 촬영 장치의 메모리부(170)는 복수의 메모리셀(MC1~MCn)중에서 현재 촬영 영상의 저장을 위해 메모리셀을 할당하며, 이러한 메모리셀 할당은 도 1 및 도 2의 (a),(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질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 영상 촬영 단계에서는, 카메라 모듈(140)을 통해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할당단계(S100)에서 상기 할당받은 메모리셀 및 파일에 상기 촬영된 영상을 순환적 덮어쓰기 방식으로 저장한다(S200).
다음, 사고 발생 판단 단계에서는, 상기 영상 촬영 단계(S200) 수행 동안에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사고 발생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촬영 단계를 수행한다(S300).
다음, 녹화 단계에서는, 상기 사고 발생 판단 단계(S300)에서 사고 발생으로 판단시, 상기 할당받은 메모리셀에 사고시점을 포함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며, 이때 현재 지정된 메모리셀의 중요도 순위를 이전의 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셀보다 높은 중요도 순위로 갱신한다(S400,S500).
다음, 종료 판단 단계에서는 녹화 정지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상기 녹화 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녹화 정지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의 전체 과정의 종료인지를 판단한다(S600).
그리고, 재할당단계(S700)에서는 상기 종료 판단 단계(S600)에서, 종료가 아닌 경우에는 최저 중요도 순위에 해당되는 메모리셀 및 파일을 다시 지정하여 영상 촬영 단계로 진행한다.
도 6은 도 4의 녹화 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녹화 단계(S400)에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암호화하는 과정(S410)을 수행한 후에 암호화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S420), 이와같이 동영상을 특정 암호화 방식으로 저장함에 따라 보안상 정해진 ID 및 패스워드로만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게 되므로, 동영상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차량의 사고에 대한 블랙박스 기능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특정 암호화 방식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기존의 동영상 암호화 방 식중에서 하나의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 차량의 사고 발생시 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사고 발생 시점을 포함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므로, 사고 직전 상황 확인 및 사고 직후의 현장 보전을 위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에서, 차량 주행중에 차량의 접촉사고나 추돌 또는 충돌 사고 등과 같은 차량의 사고 발생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차량의 사고 장면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사고 경위 등 차량 사고 직전의 상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차량 사고 직후의 현장 보존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사고 발생시 자동적으로 사고 상황을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장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Claims (21)

  1.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충격을 검출하는 충격센서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주변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충격센서부에 의한 검출 충격이 기설정된 기준 충격 이상되거나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 의한 검출 가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가속도 이상이면 사고 발생으로 판단하는 사고 판단부; 및
    상기 사고 판단부에 의해 사고 발생 판단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사고시점을 포함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저장하는 메모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부는,
    복수의 메모리셀을 포함하는 메모리 ; 및
    상기 메모리부의 복수의 메모리셀 각각에 별도의 파일을 매칭시키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에 중요도 순위를 영상 유무, 영상 저장 일자 및 락여부에 따라 부여하여 현재 촬영 영상의 저장을 위해 중요도 순위가 낮은 메모리셀 및 파일을 할당하는 메모리셀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관리부는,
    락이 안걸린 메모리셀중에서, 저장 영상이 없는 메모리셀을 가장 낮은 중요도 순위를 부여하고, 저장 영상이 있는 메모리셀중에서는 영상 저장 일자가 오래된 순서로 낮은 중요도 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관리부는
    사고 발생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할당받은 메모리셀에 순환적 덮어쓰기 방식으로 영상을 저장하고, 사고 발생인 경우에는 상기 사고시점을 포함하는 현재 기록중인 영상을 상기 할당받은 메모리셀에 저장함과 동시에 중요도 순위를 갱신하고, 이후 상기 중요도 순위상 최하위 순위 메모리셀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
  6.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충격을 검출하는 충격센서부;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GPS 모듈;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주변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충격센서부에 의한 검출 충격이 기설정된 기준 충격 이상되거나 상기 GPS 모듈로부터의 속도에 기초한 가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가속도 이상이면 사고 발생으로 판단하는 사고 판단부; 및
    상기 사고 판단부에 의해 사고 판단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사고시점을 포함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저장하는 메모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부는,
    복수의 메모리셀을 포함하는 메모리 ; 및
    상기 메모리의 복수의 메모리셀 각각에 별도의 파일을 매칭시키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에 중요도 순위를 영상 유무, 영상 저장 일자 및 락여부에 따라 부여하여 현재 촬영 영상의 저장을 위해 중요도 순위가 낮은 메모리셀 및 파일을 할당하는 메모리셀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관리부는,
    락이 안걸린 메모리셀중에서, 저장 영상이 없는 메모리셀을 가장 낮은 중요도 순위를 부여하고, 저장 영상이 있는 메모리셀중에서는 영상 저장 일자가 오래된 순서로 낮은 중요도 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관리부는
    사고 발생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할당받은 메모리셀에 순환적 덮어쓰기 방식으로 영상을 저장하고, 사고 발생인 경우에는 상기 사고시점을 포함하는 현재 기록중인 영상을 상기 할당받은 메모리셀에 저장함과 동시에 중요도 순위를 갱신하고, 이후 상기 중요도 순위상 최하위 순위 메모리셀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
  11. 차량의 시거잭을 통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GPS 모듈과, 영상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네비게이션 표시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기기에 적용되는 동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충격을 검출하는 충격센서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주변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충격센서부에 의한 검출 충격이 기준 충격 이상되거나 상기 GPS 모듈로부터의 속도에 근거한 가속도가 기준 가속도 이상이면 사고 발생으로 판단하는 사고 판단부; 및
    상기 사고 판단부에 의해 사고 판단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사고시점을 포함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저장하는 메모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부는,
    복수의 메모리셀을 포함하는 메모리 ; 및
    상기 메모리의 복수의 메모리셀 각각에 별도의 파일을 매칭시키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에 중요도 순위를 영상 유무, 영상 저장 일자 및 락여부에 따라 부여하여 현재 촬영 영상의 저장을 위해 중요도 순위가 낮은 메모리셀 및 파일을 할당하는 메모리셀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네비게이션 기기의 전원부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의 영상이나 상기 메모리부로부터의 영상을 상기 네비게이션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관리부는,
    락이 안걸린 메모리셀중에서, 저장 영상이 없는 메모리셀을 가장 낮은 중요도 순위를 부여하고, 저장 영상이 있는 메모리셀중에서는 영상 저장 일자가 오래된 순서로 낮은 중요도 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관리부는,
    사고 발생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할당받은 메모리셀에 순환적 덮어쓰기 방식으로 영상을 저장하고, 사고 발생인 경우에는 상기 사고시점을 포함하는 현재 기록중인 영상을 상기 할당받은 메모리셀에 저장함과 동시에 중요도 순위를 갱신하고, 이후 상기 중요도 순위상 최하위 순위인 메모리셀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장치.
  18. 동작개시되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부의 메모리셀과 파일을 할당하는 할당단계;
    카메라 모듈을 통해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할당단계에서 상기 할당받은 메모리셀 및 파일에 상기 촬영된 영상을 순환적 덮어쓰기 방식으로 저장하는 영상 촬영 단계;
    상기 영상 촬영 단계 수행 동안에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사고 발생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촬영 단계를 수행하는 사고 발생 판단 단계;
    상기 사고 발생 판단 단계에서 사고 발생으로 판단시, 상기 할당받은 메모리셀의 중요도 순위를 이전의 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셀보다 높은 중요도 순위로 갱신하고, 상기 할당받은 메모리셀에 사고시점에 대한 정보 및 기설정된 시간 동안 촬영된 양상을 저장하는 녹화단계;
    상기 녹화 단계에서 녹화가 개시된 후 상기 녹화를 중지시키기 위한 기설정된 녹화 정지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상기 녹화 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상기 녹화 정지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의 전체 과정의 종료인지를 판단하는 종료 판단 단계(S600); 및
    상기 종료 판단 단계(S600)에서, 종료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셀 중 가장 낮은 중요도 순위에 해당되는 메모리셀 및 파일을 다시 지정하여 영상 촬영 단계로 진행하는 재할당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단계는,
    상기 메모리의 복수의 메모리셀 각각에 별도의 파일을 매칭시키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에 중요도 순위를 영상 유무, 영상 저장 일자 및 락여부에 따라 부여하여 현재 촬영 영상의 저장을 위해 중요도 순위가 낮은 메모리셀 및 파일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단계는,
    락이 안걸린 메모리셀중에서, 저장 영상이 없는 메모리셀을 가장 낮은 중요도 순위를 부여하고, 저장 영상이 있는 메모리셀중에서는 영상 저장 일자가 오래된 순서로 낮은 중요도 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암호화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에 암호화된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 촬영 방법.
KR1020070013756A 2007-02-09 2007-02-09 네비게이션 장치에 적용가능한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촬영 장치 및 방법 KR100837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756A KR100837686B1 (ko) 2007-02-09 2007-02-09 네비게이션 장치에 적용가능한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촬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756A KR100837686B1 (ko) 2007-02-09 2007-02-09 네비게이션 장치에 적용가능한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촬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7686B1 true KR100837686B1 (ko) 2008-06-13

Family

ID=3977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756A KR100837686B1 (ko) 2007-02-09 2007-02-09 네비게이션 장치에 적용가능한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촬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6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326B1 (ko) * 2010-02-12 2012-05-21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WO2015099500A1 (ko) * 2013-12-27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사고 녹화 장치 및 그것의 방법
WO2015141967A1 (ko) * 2014-03-17 2015-09-24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영상 사고 기록 장치의 저장 공간에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836093B1 (ko) * 2016-04-08 2018-04-20 (주)아이트로닉스 데이터의 외부 이동이 용이한 차량용 블랙박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6586A (ja) 2000-02-24 2001-08-31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監視装置及び車両用監視システム
KR200279994Y1 (ko) 2002-03-27 2002-07-02 장태복 차량용 블랙 박스
KR20030068682A (ko) * 2002-02-15 2003-08-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차량용 사고 기록 장치 및 방법
KR20060085201A (ko) * 2005-01-21 2006-07-26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드라이브 레코더 및 드라이브 레코더의 제어 방법
KR20060120261A (ko) * 2004-02-25 2006-11-24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자동 충돌 트리거링된 비디오 시스템
KR20070003291A (ko) * 2005-07-01 2007-01-05 주식회사 케이티 텔레매틱스 단말기,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텔레매틱스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6586A (ja) 2000-02-24 2001-08-31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監視装置及び車両用監視システム
KR20030068682A (ko) * 2002-02-15 2003-08-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차량용 사고 기록 장치 및 방법
KR200279994Y1 (ko) 2002-03-27 2002-07-02 장태복 차량용 블랙 박스
KR20060120261A (ko) * 2004-02-25 2006-11-24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자동 충돌 트리거링된 비디오 시스템
KR20060085201A (ko) * 2005-01-21 2006-07-26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드라이브 레코더 및 드라이브 레코더의 제어 방법
KR20070003291A (ko) * 2005-07-01 2007-01-05 주식회사 케이티 텔레매틱스 단말기,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텔레매틱스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326B1 (ko) * 2010-02-12 2012-05-21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차량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WO2015099500A1 (ko) * 2013-12-27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사고 녹화 장치 및 그것의 방법
WO2015141967A1 (ko) * 2014-03-17 2015-09-24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영상 사고 기록 장치의 저장 공간에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836093B1 (ko) * 2016-04-08 2018-04-20 (주)아이트로닉스 데이터의 외부 이동이 용이한 차량용 블랙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540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40113763A1 (en) Device for storing a visual sequence in response to a warning signal on board a vehicle
CN108844754A (zh) 用于评估高级驾驶员辅助系统的测试装置
KR102609016B1 (ko) 택배차를 활용한 포트홀 실시간 탐지 장치
CN107341438A (zh) 基于计算机视觉的车内安全监测的方法和装置
KR100837686B1 (ko) 네비게이션 장치에 적용가능한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촬영 장치 및 방법
Reway et al. Test methodology for vision-based adas algorithms with an automotive camera-in-the-loop
CN106652477A (zh) 一种违章识别的方法及装置
CN106503622A (zh) 一种车辆反跟踪方法及装置
KR102029128B1 (ko) 운전자간 블랙박스 사고영상을 상호교환하기 위한 iot 플랫폼 및 그 구현 방법
CN103139595A (zh) 基于车辆的成像系统的功能诊断和验证
KR101648701B1 (ko) 차량 번호 판독 장치 및 그 방법
CA2756910A1 (en) Method for capturing images of vehicles
US10049506B2 (en) Documentation of a motor vehicle condition
JP2018124638A (ja) 道路交通管制装置、および、車両制御装置
KR101660254B1 (ko) 주차차단기의 번호인식시스템
CN110136091A (zh) 图像处理方法及相关产品
CN111798667A (zh) 非机动车的监控方法、监控服务器及监控系统、存储介质
JP6927773B2 (ja) 記録画像処理方法、記録画像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CN103927877A (zh) 一种机动车图像信息存储识读方法和系统
KR20210110093A (ko) 시동시 이벤트영상이 출력되는 블랙박스
CN109760695A (zh) 基于环视系统的交通事故图像处理装置
KR20130084753A (ko) 모바일 기기의 멀티 센서를 이용한 차량 운행 정보 제공 방법
KR101468407B1 (ko) 디지털 포렌식 촬영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개인영상정보 오남용 방지를 위한 차량장착용 디지털 포렌식 촬영 시스템
CN113240931A (zh) 停车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