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093B1 - 데이터의 외부 이동이 용이한 차량용 블랙박스 - Google Patents

데이터의 외부 이동이 용이한 차량용 블랙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093B1
KR101836093B1 KR1020170043068A KR20170043068A KR101836093B1 KR 101836093 B1 KR101836093 B1 KR 101836093B1 KR 1020170043068 A KR1020170043068 A KR 1020170043068A KR 20170043068 A KR20170043068 A KR 20170043068A KR 101836093 B1 KR101836093 B1 KR 101836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xternal device
black box
unit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6576A (ko
Inventor
박호상
김성진
김길웅
Original Assignee
(주)아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아이트로닉스
Publication of KR20170116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의 외부 이동이 용이한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촬영시간대별로 분할하여 복수 개의 파일형태로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메모리가 구비된 외부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영상 촬영과 저장 및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 중에서 선택된 영상이 상기 표시부에서 재생중이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외부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표시부 상에 백업 아이콘을 생성하고, 사용자로부터 백업 아이콘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재생중인 파일의 재생을 중지하고, 해당 파일을 즉시 상기 외부 기기로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블랙박스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외부 기기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데이터의 외부 이동이 용이한 차량용 블랙박스{Black Box For Vehicle Capable of transferring of internal data to External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블랙박스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외부 메모리나 외부 장치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이 주행중이거나 주차중의 여부에 관계없이 주변의 영상을 획득, 기록함으로써 차량에 가해진 테러, 사고, 오염등의 행위에 대하여 차량 소유주가 추후 대처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특히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고 상황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통상의 블랙박스는 단순히 차량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기능만을 갖는 것이 아니라, 영상 저장시 차량의 상태정보나 운전 조작정보를 같이 저장하여 사고가 발생한 경우 차량의 상태정보나 운전 조작정보에 기초하여 사고 원인을 알아낼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한국공개특허 제2012-0138094호 등에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블랙박스 장치는 저장수단으로 SD 메모리 카드(Secure Digital Memory Card)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는 가격 대비 큰 저장용량 및 10클래스(Class)의 경우 최소 초당 10 메가 바이트(Mega Byte)의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가 확보되는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블랙박스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압축방법으로는 JPEG, MPEG, H264 등의 방법을 사용하며, 전체화면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하는 키 프레임(Infra Frame)에다가 키 프레임과 비교하여 변화가 발생한 부분인 예측 프레임(Predicted Frame)을 추가하여 저장하는 방식의 압축방식을 통해, 가능한 영상의 저장 용량을 줄이고자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량에 부착된 블랙박스에 의해 촬영되는 모든 영상데이터, 차량운행정보를 블랙박스장치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큰 메모리 용량이 요구되기 마련이다. 영상을 초당 30프레임의 범위 내에서 저장하기 때문에 고압축률과 고용량의 메모리를 장착하여도 녹화 설정에 따라 메모리의 용량이 단시간 내에 차 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메모리에 저장되는 영상은 차곡차곡 쌓여 가다가, 용량이 다 찬 시점부터는 맨 처음 녹화된 영상 프레임부터 삭제되어 가면서 새로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으로 대체되는데, 32G 용량의 메모리에 고스펙의 영상을 저장할 경우 대략 5시간 내외의 영상만 저장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메모리의 저장 용량이 한정되어 장시간의 영상을 저장하기 힘들기 때문에, 이미 시간이 제법 흐른 뒤에 사용자가 해당 시점의 영상을 찾고자 할 경우 검색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때문에 사용자가 다시 보기를 원하거나 따로 보관하기를 원하는 영상 파일이 있을 경우 해당 파일을 기본 메모리에서 지워지기 전에 백업을 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블랙박스 장치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를 탑재하고 있어, 사용자가 녹화 영상을 블랙박스의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재생시키고 내용을 바로 확인하는 것이 점점 흔한 일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영상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에 불과하여, 실제 영상을 이용하여 제보를 하거나 소셜미디어나 웹 스토리지, 메일 서비스 등에 업로드하기 위해서는 해당 영상의 파일을 PC나 스마트폰 등으로 전송하는 단계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이렇게 블랙박스의 기본 메모리에 저장된 녹화 영상 파일을 PC 등으로 복사하기 위해, 공급 전원을 제거하여 제품을 종료하고 주로 SD 메모리카드 등의 방식을 사용하는 기본 메모리를 탈거하여 가정에 있는 PC로 직접 들고 가서 복사 및 백업 작업을 실시해야만 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으로는 기본 메모리가 블랙박스로부터 제거되어 있는 동안 제품이 동작하지 못하는 점에 대한 사용자의 불편함과 불안함을 야기시킬 수 밖에 없었고, 이러한 이유로 주기적인 저장 영상 확인 및 메모리 포맷 등의 수명 관리, 그리고 제품의 정상 동작을 점검해야 할 주의 의무를 소홀히 하는 경우가 잦아, 결국 제품의 오작동이나 저장매체의 논리적, 물리적인 손상을 초래하여 손해를 입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2014-0128827호에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된 외부 영상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저장장치가 연결된 경우 사용자 입력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을 외부 저장장치로 백업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은 외부 저장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전체 또는 설정 범위의 영상을 일괄적으로 전송하는 기술로서 사용자가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면서 선별적으로 영상을 백업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그 외, 한국등록특허 제1658803호에서는 스마트 단말과 블랙박스를 무선통신으로 연결하고,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블랙박스에 저장된 영상의 리스트를 수신한 후 각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삭제 명령, 백업 명령, 재생 명령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또한 각 영상 데이터에 대한 백업이나 재생은 가능하나, 영상 재생과 백업 동작이 동시에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즉, 영상 실시간 스트리밍을 통한 재생 및 파일 리스트 상에서 선택된 영상 데이터의 백업은 각각 가능하나, 사용자가 영상을 확인한 후 백업을 하기 위해서는 일단 스트리밍을 통해 영상 파일을 재생하여 영상을 확인하면, 파일 리스트 상에서 확인한 해당 영상 데이터를 선택한 후 백업 메뉴를 클릭하여 원하는 영상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로 백업하게 되는 것으로, 영상 재생 과정과 리스트 상에서 확인한 영상 데이터를 찾는 과정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과정에서 확인한 영상 데이터가 아닌 다른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원하지 않는 영상 데이터가 백업이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단말기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각 기기 간에 소정 거리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의 검색 과정 및 단말기 간의 통신 수립 과정이 필요하고, 무선통신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블랙박스에서는 해당 기능이 제공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현재 재생중인 영상 파일을 즉시 외부 메모리나 외부 장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이면서 정확하게 원하는 영상파일의 백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블랙박스에서도 적용이 가능하고, 별도의 주변 기기 검색 및 통신 수립 과정이 없이도 영상 파일을 외부 장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재 촬영영상이 표시되는 화면 상에 마킹 아이콘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촬영 중인 영상에 대한 락 처리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락 처리된 영상 파일에 대한 보호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청구범위 복사 부분입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블랙박스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외부 기기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고, 사용자 실수에 의해 다른 영상 파일이 잘못 백업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임의로 현재 촬영 중인 영상에 대한 락 설정이 가능하여 중요한 시점의 녹화 영상에 대한 보호가 보다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a ~ 2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이동하는 방법에 따라 실제 사용자가 보게 되는 블랙박스 화면을 순서대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OTG 케이블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로 이동하기 위한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라 OTG 케이블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로 이동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마킹 아이콘을 이용한 영상 락 설정 및 영상 백업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서, 마킹 아이콘을 이용한 영상 락 설정 및 영상 파일의 저장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a ~ 7c는 제 3 및 4 실시예에 따른 마킹 아이콘을 이용한 영상 락 설정 방법에 따라 실제 사용자가 보게 되는 블랙박스 화면을 순서대로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는 영상 촬영부(10), 저장부(20), 표시부(30), 입력부(40), 인터페이스부(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 촬영부(10)는 차량의 전방 또는/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로서 설치된 위치에 따라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측면, 내부의 영상을 촬영한다.
저장부(20)는 영상 촬영부(10)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영상 데이터는 일정 주기 단위의 녹화 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 단위로 저장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각 영상 파일은 1분 단위로 녹화된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저장부(20)는 내장 메모리 또는 SD 카드, Micro SD카드 등의 탈부착이 가능한 외장 메모리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저장부(20)는 블랙박스에 장착된 기본 메모리라는 개념으로 사용된 용어로서, 영상 데이터의 외부 이동을 위해 사용되는 USB 메모리 등의 외부 메모리와는 구별된다.
표시부(30)는 현재 촬영중인 영상을 표시하거나 재생중인 녹화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또한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조작을 위한 UI를 제공한다.
입력부(40)는 사용자가 기능 조작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서, 키패드 등의 물리적 키 입력수단 및 상술한 바와 같은 터치 스크린 형태의 터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50)는 블랙박스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와의 연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USB 포트가 사용되었다. 도 1에서는 인터페이스부(50)를 통해 연결되는 대표적인 외부 기기로서 USB 메모리(100)와 스마트 단말(200)이 예시되어 있다.
제어부(60)는 통상적으로 블랙박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파일의 외부기기로의 이동을 위한 제어부의 특징적인 제어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의 각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의 블록도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만을 선별적으로 도시하였으며, 이 외에 전원부, GPS모듈, 충격 감지 센서, 무선통신모듈 등의 각종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a ~ 2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이동하는 방법에 따라 실제 사용자가 보게 되는 블랙박스 화면을 순서대로 나타낸 그림이다.
블랙박스에서 녹화 영상의 재생이 이루어지는 경우, 재생 화면 일측에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OSD(On Screen Display) 처리된 별도의 명령 아이콘으로서 백업 아이콘(B)이 표시된다. 이러한 아이콘의 모양은 사용자가 한눈에 보기에도 파일의 전송 기능과 관련된 명령 아이콘이라는 것을 직감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영상파일을 외부기기로 이동하기를 원한다면 단지 백업 아이콘(B)을 클릭하기만 하면 된다.
사용자가 백업 아이콘(B)을 클릭하면 현재 재생 중인 녹화 영상의 재생이 멈춘 후 해당 녹화 영상 파일이 외부 기기로 복사된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외부 메모리, 스마트 단말 등 저장 영역을 갖는 각종 장치일 수 있다. 재생 중에는 파일을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우선 재생을 멈추고 인터페이스부(50)에 연결된 외부 기기에 해당 영상 파일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번 더 사용자의 의사를 확인하는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복사 중에는 복사의 진행 정도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블랙박스의 디스플레이부 일측에 그래프나 막대기 등의 UI를 이용하여 표시해 줄 수 있고 단순히 도 2c와 같이 복사 중인 상태라는 것만 표시해줄 수도 있다. 이후 파일 복사가 완료되면 이를 도 2d와 같이 팝업창의 멘트나 음성 코멘트 등으로 안내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복사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만약 복사하는 과정에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복사 실패 사실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다시 복사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한다.
원하는 녹화 영상 파일의 복사를 통해 백업이 완료되면, 블랙박스와 외부 기기간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는데, 연결 해제가 감지되면 앞서 생성된 백업 아이콘(B)이 사라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백업 아이콘(B)은 외부 기기가 결합되어 있는 동안에만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현재 백업 등의 데이터 외부 이동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OTG 케이블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로 이동하기 위한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제 2 실시예는 블랙박스와 스마트 단말(200)이 OTG 케이블(70)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OTG 케이블(70)은 USB OTG 규격을 갖고 블랙박스의 인터페이스부(50)에 접속되는 USB OTG 플러그(71)와 스마트 단말(200)에 결합되는 스마트폰용 플러그(73)가 케이블(72)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USB OTG(universal serial bus on-the-go)는 주 컴퓨터의 개입 없이 스마트기기와 같은 포터블 장치들 간에서도 동작될 수 있도록 수정된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규격을 뜻하는 것으로, 주변기기들 간의 점 대 점 통신이 가능하도록 각 장치가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호스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HNP(Host Negotiation Protocol)와 장치들의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상대방 기기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만 연결을 유지하는 SRP(Session Request Protocol) 등 두 가지 프로토콜이 있다.
USB OTG 플러그(71)는 일반 USB 포트에 결합될 수 있는 4핀형 표준형 플러그로서, 1번 핀은 전원을 공급하는 VBUS 핀이고, 2번 핀과 3번 핀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D- 핀과 D+ 핀이며, 4번 핀은 접지를 위한 GND 핀이다.
스마트폰용 플러그(73)은 USB 호스트를 지원하는 미니형과 마이크로형 USB 플러그로서 통상 5개의 핀으로 이루어진다.
USB 호스트를 지원하는 상기 5개 핀의 미니형과 마이크로형의 경우 1번 핀은 전원을 공급하는 VBUS 핀이고, 2번 핀과 3번 핀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D- 핀과 D+ 핀이며, 4번 핀은 호스트와 슬레이브를 나타내는 ID 핀이고, 5번 핀은 신호 접지를 위한 GND 핀이다.
미니형과 마이크로형(40b)에서 4번 핀에 신호 접지를 위한 5번 핀이 연결되면 그 방향의 기기는 호스트(스마트기기)이고, 연결되지 않으면 그 방향의 기기는 슬레이브(주변기기)이다.
이러한 규격을 통해 스마트 단말(200)과 블랙박스는 별도의 통신 수립 과정이 없이 OTG 케이블(70) 연결만으로 스마트 단말(200)은 마스트로서 블랙박스는 슬레이브로서 동작하므로 스마트 단말(200)은 블랙박스를 일종의 외부 메모리로 인식하게 된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라 OTG 케이블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로 이동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OTG 케이블(70)을 통해 스마트 단말(200)이 블랙박스의 인터페이스부(50)에 접속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USB OTG 규격에 의해 스마트 단말(200)은 마스트로서 블랙박스는 슬레이브로서 동작하므로 스마트 단말(200)은 블랙박스를 일종의 외부 메모리로 인식하게 된다.(S400).
스마트 단말(200)은 블랙박스에 연결되면, 블랙박스의 저장부(20)에 스마트 단말(20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탐색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스마트 단말(200)내에 설치한다(S410).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블랙박스의 환경 설정 및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스마트 단말(200)에 설치되는 경우 스마트 단말(200)에서 블랙박스의 환경 설정 변경이나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설치 후 스마트 단말(200)은 파일 탐색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블랙박스의 저장부(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다(S420). 이때 저장부(20)에 저장된 데이터들이 상하위 폴더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 해당 폴더 구조 및 각 폴더별로 저장된 데이터가 일반적인 PC 환경의 파일 탐색기에서 제공되는 형태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파일 탐색기에서 제공되는 영상 파일들을 검색한 후 특정 파일을 재생할 수 있으며(S430), 재생중인 파일에 대하여 백업 명령 신호를 입력하여 선택 파일을 스마트 단말(200)내에 저장할 수 있다(S440. S450).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마킹 아이콘을 이용한 영상 락 설정 및 영상 백업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마킹 아이콘은 블랙박스에서 현재 촬영 중인 영상에 대하여 락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제 1 실시예에서 백업 아이콘이 녹화된 영상 재생중에 표시되나, 마킹 아이콘은 현재 촬영 중인 영상에 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블랙박스에서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 녹화가 진행중인 경우, 현재 촬영중인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표시부(30) 상에 도 7a와 같이 마킹 아이콘(M)이 표시된다(S500).
영상 녹화중에 사용자가 마킹 아이콘(M)을 클릭하면(S510), 제어부(60)는 마킹 시점의 촬영 영상에 대해 락을 설정한다(S52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의 운행 중 현재 시점에서 녹화중인 영상을 백업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마킹 아이콘(M)을 클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사고 현장이나 법률 위반 사례가 촬영된 경우 등에 있어 신고의 목적으로 해당 시점의 영상을 백업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마킹 아이콘(M)을 클릭하게 된다.
제어부(60)는 마킹 아이콘(M)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신호가 입력된 시각을 확인하고, 도 7b와 같이 촬영중인 영상에 대해 락 설정을 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확인 버튼이 입력되면, 해당 시각에 대응되는 영상파일에 대해 락을 설정하고, 도 7c와 같이 락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락이 설정되면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해당 파일은 삭제되지 않고, 사용자가 락 설정을 해제하기 전까지 해당 파일이 유지된다.
이때, 사용자가 마킹 아이콘(M)을 입력한 시각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와 사용자가 락을 설정하여 보호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 간의 차이가 있거나 짧은 시간 구간서만 원하는 영상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된 영상이 1분 단위로 저장되는 경우, 사용자가 차량 외부의 특정 상황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영상을 락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황을 인지한 시점과 마킹 아이콘(M)을 클릭한 시점이 차이가 있어, 각 시점별로 영상파일이 상이할 수 있다. 즉, 백업을 원하는 영상 파일이 이미 저장되고 다음 1분 분량의 영상이 녹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마킹 아이콘(M)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고려하여 마킹 아이콘이 선택된 시점이 영상파일 저장 구간의 초기 시점인 경우 이전 구간의 영상파일에 대해서도 같이 락을 설정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는 마킹 아이콘(M)을 클릭한 시점이 해당 영상 저장 주기의 후기 시점에 대행하는 경우 현 녹화주기 영상 다음 주기의 영상이 중요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유사하게 마킹 아이콘이 선택된 시점이 영상파일 저장 구간의 후기 시점인 경우 이전 구간의 영상파일에 대해서도 같이 락을 설정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초기시점 및 후기시점의 기준은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전체 시간 주기의 0.2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락을 설정하고자 하는 시점 전후의 여러 주기의 영상에 대한 백업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60)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마킹 아이콘(M) 신호 입력시 미리 설정된 수의 전후 주기 영상파일을 동시에 락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다양한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상황인지 학습을 통해 제어부(60)는 마킹 아이콘(M)이 선택된 시점의 상황을 분석하여 해당 상황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을 결정하고, 해당 구간에 속하는 모든 영상파일에 대해 락 설정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모드가 종료되면, 제어부(60)는 외부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외부기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락 설정된 영상 파일을 외부 기기에 백업처리한다(S530).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서, 마킹 아이콘을 이용한 영상 락 설정 및 영상 파일의 저장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 4 실시예에서 S600 ~ S620 단계는 제 3 실시예의 S500 ~ 520 단계와 동일하며, 락 설정된 파일을 바로 외부기기로 백업하는 것이 아니라, 락 설정된 영상 파일을 별도의 폴더(백업 후보 폴더)에 저장한다(S640).
사용자는 영상 파일을 외부 기기로 백업하고자 하는 경우 백업 후보 폴더를 열어 영상 파일을 재생한 후, 원하는 영상 파일을 외부기기로 백업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영상 촬영부 20 : 저장부
30 : 표시부 40 : 입력부
50 : 인터페이스부 60 : 제어부
70 : OTG 케이블 71 : USB OTG 플러그
72 : 케이블 73 : 스마트폰용 플러그
100 : USB 메모리 200 : 스마트 단말

Claims (9)

  1.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촬영시간대별로 분할하여 복수 개의 파일형태로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메모리가 구비된 외부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USB 인터페이스와, 상기 외부 기기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용 커넥터 단자와 OTG USB 규격을 갖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USB 단자를 포함하는 OTG 케이블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영상 촬영과 저장 및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 중에서 선택된 영상이 상기 표시부에서 재생중이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외부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표시부 상에 백업 아이콘을 생성하고, 사용자로부터 백업 아이콘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재생중인 파일의 재생을 중지하고, 해당 파일을 즉시 상기 외부 기기로 백업하고, 상기 영상촬영부가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모드에서 상기 표시부 상에 마킹 아이콘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마킹 아이콘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마킹 아이콘이 선택된 시점을 포함하는 영상 파일이 삭제되지 않도록 락을 설정하며, 상기 마킹 아이콘 선택 신호가 입력된 시점이 해당 영상파일이 생성되는 시간 구간의 초기시점 또는 후기시점에 해당하는 경우, 이전 구간 또는 이후 구간의 영상파일에 대해서도 락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OTG 케이블을 통해 상기 외부 기기와 블랙박스가 연결되면, 상기 블랙박스는 별도의 관계 수립 과정없이 USB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블랙박스를 외부 메모리 장치로 인식하고,
    상기 저장부에는 블랙박스의 환경 설정 및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외부 기기는 외부 메모리 장치로서 상기 블랙박스가 인식되면, 상기 저장부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있는지 탐색하고, 탐색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외부 기기에 설치하여, 상기 블랙박스의 환경 설정 변경 및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외부 이동이 용이한 차량용 블랙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모드 종료 후,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락이 설정된 영상 파일을 상기 외부 기기로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외부 이동이 용이한 차량용 블랙박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영상에 락 설정이 이루어지면 상기 락 설정된 영상 파일을 외부 기기로 이동하기 위한 백업 아이콘을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외부 이동이 용이한 차량용 블랙박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락이 설정된 영상 파일을 백업후보 파일저장을 위한 폴더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외부 이동이 용이한 차량용 블랙박스.
KR1020170043068A 2016-04-08 2017-04-03 데이터의 외부 이동이 용이한 차량용 블랙박스 KR101836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251 2016-04-08
KR20160043251 2016-04-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576A KR20170116576A (ko) 2017-10-19
KR101836093B1 true KR101836093B1 (ko) 2018-04-20

Family

ID=6029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068A KR101836093B1 (ko) 2016-04-08 2017-04-03 데이터의 외부 이동이 용이한 차량용 블랙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0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947B1 (ko) * 2018-06-29 2023-10-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KR102108131B1 (ko) * 2018-07-31 2020-05-07 주식회사 미소전자통신 블랙박스의 중요 데이터 손실방지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86B1 (ko) * 2007-02-09 2008-06-13 이수익 네비게이션 장치에 적용가능한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촬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86B1 (ko) * 2007-02-09 2008-06-13 이수익 네비게이션 장치에 적용가능한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촬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576A (ko)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97939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629974B (zh) 摄像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836093B1 (ko) 데이터의 외부 이동이 용이한 차량용 블랙박스
JP2002359810A (ja) 電子カメラ
US7418601B2 (en) Data transfer control system
JP2009141484A (ja)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2266716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881714B1 (ko)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장치에 이용되는 파일 관리 방법
KR102129048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658803B1 (ko) 블랙박스의 데이터 백업 시스템 및 그 방법
JP5043607B2 (ja) 情報記録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070497A1 (en) Recording apparatus for vehicles and method of recording
JP4878456B2 (ja) 記録媒体および撮像装置
KR102337472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26631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JP4745908B2 (ja)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0307911A (ja) マスストレージデバイス
JP5119519B2 (ja) 情報収集システム
KR102588947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JP2011108108A (ja) デジタルビデオシステム
US20090187685A1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JP2005110132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記録装置、画像管理装置、画像表示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US20120201505A1 (en)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image reproducing method thereof
JP2012119905A (ja) 記録再生装置、その記録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I227623B (en) Electronic device with host fun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