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0261A - 자동 충돌 트리거링된 비디오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충돌 트리거링된 비디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0261A
KR20060120261A KR1020067017150A KR20067017150A KR20060120261A KR 20060120261 A KR20060120261 A KR 20060120261A KR 1020067017150 A KR1020067017150 A KR 1020067017150A KR 20067017150 A KR20067017150 A KR 20067017150A KR 20060120261 A KR20060120261 A KR 20060120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vehicle
footage
recording system
video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7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제이 에스. 라이싱가니
벤캣 나라야난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20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Abstract

비디오 기록 시스템은 차량 제어 시스템에 응답한다. 비디오 기록 시스템은 정지 사진들 또는 비디오 피트수를 캡쳐링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를 포함한다. 비디오 카메라는 예컨대 내비게이션 유닛에서 차량의 실내에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휴대 전화와 같은 착탈식 전자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 비디오 기록 시스템은 하드와이어 링크 또는 무선 링크에 의하여 제어 시스템과 통신한다. 제어 시스템은 충돌이 발생할 때를 검출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한 센서는 에어백 작동 센서이다. 충돌이 발생할 때를 제어 시스템이 검출할 때 제어 시스템은 비디오 기록 시스템에 작동 신호를 전송하며, 이에 따라 비디오 기록 시스템은 사진들 또는 비디오 피트수를 캡쳐링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비디오 피트수는 원격 서버에 국부적으로 저장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일 응용에서, 비디오 피트수는 사고직후 차량내의 상태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긴급 구조요원들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다.
비디오 기록 시스템, 비디오 작동 신호, 비디오 피트수, 차량 내비게이션 유닛, 차량 제어 시스템

Description

자동 충돌 트리거링된 비디오 시스템{Automatic collision triggered video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들에 사용하기 위한 비디오 기록 시스템들(video recording systems), 특히 차량 충돌이 검출될 때 작동되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 기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심각한 자동차 사고를 당한 사람이 알려질 때, 일단 사고가 발생하면 긴급 구호요원의 응답시간은 삶 또는 죽음의 문제가 될 수 있다. 긴급 구조요원이 빠르게 도착하면, 심각하게 부상당한 사람도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만일 기관들로의 통보가 지연되면, 생존 가능성은 현저하게 감소된다.
응답 시간외에, 정보의 정확성이 중요하다. 다시 말해서, 긴급 구조요원이 발생한 사고의 유형을 알아서 적절한 긴급 장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예컨대, 충격을 당한 사람은 앰뷸런스에 의하여 단독으로 충분히 서비스될 수 있다. 심각하게 파손된 차내에 갇히고 다량으로 출혈한 사람은 헬리콥터 및 인명구조용 절단기를 포함하는 추가 장비를 필요로 할 수 있다. 간략하게 말해서, 긴급 구조장비를 급송하기 전에 부상 정도를 정확하게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사고는 신속함 요하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는 사고 직후 사고 희생자 상태이 다. 많은 사고들에서, 자동차 운전자들은 의식 불명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동차 운전자들은 사고 장면을 설명할 수 없다. OnStar®와 같은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들(vehicular navigation systems)은 사고 시간 및 사고 위치를 즉시 중계할 수 있는 반면에, 이들 시스템들은 사고의 심각성 또는 유형에 관한 정보를 중계할 수 없다.
이러한 정보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일 해법은 "블랙 박스"이다. 비행기에서 발견된 기록 장치들과 유사하게, 종래의 해법은 비디오 피트수(footage)를 연속적으로 기록하는 카메라를 차량에 장착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디오 피트수는 블랙 박스와 떨어져 고정된 충돌 회피,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다. 사고가 발생하면, 블랙 박스는 박스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동결하며(freeze)" 선택적으로 이러한 데이터를 중앙 서버에 전송한다.
이러한 종래의 해법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3가지이다. 우선 비싸다. 비디오 카메라들은 차에 장착되어야 하며 연속적으로 비디오 피트수를 기록해야 한다. 부가적으로, 블랙박스는 피트수를 저장하는데 필요하다. 이러한 시스템은 차의 전체 가격에 상당한 가격을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소비자들은 옵션으로 구매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매를 통하여 긴급 구조요원들이 반드시 필요로 하는 정보를 획득해야 하는 것이 방지된다.
둘째, 이러한 시스템은 사생활을 간섭할 수 있다. 사람들은 종종 차내에 있는 동안 화장하거나 또는 머리를 빗질한다. 사람들은 몸차림하기전 그들의 모습을 비디오 카메라에 기록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
셋째, 이러한 시스템은 계속해서 전력을 소비하여 배터리의 수명기간을 감소시킨다. 이는 특히 차량 엔진이 동작하지 않을 때 문제가 있다. 계속해서 실행되는 비디오 카메라들은 배터리에 대한 연속적인 부하로서 작용한다. 배터리의 이러한 연속적 소모는 배터리의 라이프 사이클을 감소시키며, 사용자가 배터리들을 더 자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전체 비용을 증가시킨다. 이는 비용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효율성을 감소시키며 이로 인하여 소비자들은 옵션으로 구매하는 것을 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비용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사생활을 덜 침해하며 차량의 효율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개선된 사고 정보 시스템(accident information system)에 대한 필요성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지금 기술된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유사한 도면번호들은 도면들 전반에 걸쳐 유사한 부분을 지시한다. 여기에 기술된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이하의 용어들은 문맥이 명확하게 다른 것을 지시하지 않는 경우에 여기에서 명백하게 연관되는 의미들을 가지며, 단수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고, "in"는 "in" 및 "on"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 충돌 검출 시스템(vehicular collision detection system)에 의하여 작동되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을 포함한다. 예컨대, 에어백들을 구비한 차량에서는 차량이 충돌할 때 에어백이 작동한다. 이러한 에어백 작동은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는 차량의 제어 시스템에 의하여 검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면, 차량 제어 시스템은 비디오 카메라를 포함하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에 비디오 작동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이 "비디오 피트수"를 기록하는 반면에, 오디오 피트수는 또한 동시에 캡쳐링될 수 있다. 비디오 기록 시스템은 차와 일체형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휴대 전화와 같은 착탈식 장치로 배치될 수 있다.
일단 이러한 비디오 작동 신호가 수신되면, 비디오 카메라는 비디오 피트수를 기록하기 시작한다. 렌즈가 차의 내부 쪽으로 향하도록 카메라가 배치되는 경우에, 비디오 피트수는 차량 캐빈의 상태뿐만 아니라 승객들의 상태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비디오 피트수는 무선 링크를 통해 원격 서버에 국부적으로 저장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원격 서버에 전송될 때, 비디오 피트수는 적절한 긴급 구조요원들에 의하여 액세스가능할 것이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이는 비디오 피트수의 기록을 초기화하는 충돌 센서(collision sensor)의 작동이다. 사고가 발생할 때까지 기록을 지연함으로써, 전력은 비디오 기록 유닛에 보존된다. 부가적으로는, 사고 장면의 피트수만이 기록되며, 이에 따라 과도한 이전 사고 및 비사고 피트수를 통해 정렬하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긴급 구조요원의 시간이 절약된다. 이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정보를 적시에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비디오 기록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임의의 수의 충돌 검출 메커니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에어백은 작동 수단으로서 용이하게 작용한다. 다른 가능한 대안들은, 우선 안전 벨트 모니터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사고가 발생할 때, 관성은 일반적으로 승객이 좌석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이러한 이탈 작용은 안전 벨트가 신속하게 풀리도록 한다. 이러한 신속한 풀림이 중지됨으로써, 승객은 잠금 메커니즘에 의하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안전 벨트 잠금 메커니즘의 작동은 비디오 기록 시스템에 대한 트리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둘째, 가속도계(accelerometer)가 사용될 수 있다. 가속도계들은 가속시 급격한 변화들을 검출하는 전자장치들이다. 차량의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비디오 카메라 그 자체에 가속도계를 결합함으로써, 가속도계는 트리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셋째, 속도계가 트리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사고가 발생할 때, 차량의 속도는 단기간에 일부 비제로(non-zero)값으로부터 제로(zero)로 변화한다. 차량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검출가능한 이러한 급격한 속도의 변화는 비디오 카메라에 대한 트리거링 메커니즘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방화벽 필터들은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될 수 있다.
넷째, 음향 센서들(acoustic sensors)이 사용될 수 있다. 사고가 발생할 때, 두 가지 일들이 일반적으로 발생한다. 금속의 구부러짐, 플라스틱 또는 유리의 파손으로 인한 굉음이 종종 존재한다. 부가적으로, 금속의 변형으로 인한 음향 진동들(acoustic vibrations)은 다양한 차량 부품들에 전파된다. 공기 또는 차량 부품들 중 하나의 음향 진동들의 급격한 변화들을 검출하는 음향 센서들을 포함함으로써, 이들 센서들은 비디오 기록 시스템을 트리거링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섯째, 엔진 센서들이 사용될 수 있다. 대부분의 모든 차들에서 차량 마이크로컴퓨터는 구동축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회전속도계 센서(tachometer sensor)를 포함한다. 엔진의 작동들에 영향을 미치는 사고가 발생할 때, 회전속도계는 비제로 값으로부터 제로 값으로 신속하게 변화한다. 부가적으로는, 키는 "온(on)"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구동기가 엔진을 턴오프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차량의 마이크로컴퓨터에게 알린다. 이러한 상황들은 사고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비디오 기록 시스템을 트리거링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여섯째, 차량 시스템 센서들은 트리거링 메커니즘(triggering mechanism)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차량 마이크로컴퓨터는 냉각 시스템, 오일 시스템 및 연료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차량 시스템들을 모니터링한다. 사고가 발생할 때, 이러한 시스템들은 종종 펑크가 나거나 또는 파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동액, 오일 또는 가스가 급격하게 손실될 수 있다. 차량 마이크로컴퓨터가 이러한 급격한 유체 손실을 검출할 때, 차량 마이크로컴퓨터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새차들은 특별하게 설계된 충돌 센서들을 갖추고 있다. 포함되는 이들 충돌 센서들은 우수한 트리거링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일곱번째, 회전 센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들은 속도에 대한 얼라인먼트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들은 차량이 사고의 결과로서 "롤 오버(rolls over)"될 때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급격한 얼라인먼트의 비예측 변화들은 비디오 기록 시스템을 트리거링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기록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기록 시스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를 기술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비게이션 유닛(vehicle navigation unit)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기록 시스템을 갖춘 차량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충돌에 의한 작용이 검출될 때 비디오 피트수가 원격 서버에 전송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기록 시스템을 갖춘 차량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사고가 발생한 후 도 6의 차량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비디오 피트수를 기록하는 방법을 기술하는 도면.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기록 시스템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차량 전자 시스템(101)은 작동신호(104)를 비디오 기록 시스템(100)에 전송한다. 작동신호(104)의 전송은 와이어와 같은 도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비디오 기록 시스템(100)은 차에 일체형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일체형 장착은 비디오 기록 시스템(100)이 온-보드 내비게이션 유닛(on-board navigation unit) 또 는 다른 전자 시스템과 같은 차량 시스템에 통합될 때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비디오 기록 시스템(100)은 예컨대 휴대 전화와 같은 착탈식 장치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작동신호(104)의 전송은 하드-와이어 링크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하드-와이어 링크는 차량 전자 제어시스템에 접속된 차량 크래들(vehicular cradle)에 휴대 전화가 접속될 때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만일 휴대 전화가 차내에서 느슨하게 결합되면, 작동신호(104)의 전송은 예컨대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고주파수(RF) 통신링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차량 시스템(101)내에는 차량 충돌이 발생할 때를 감지하는 수단(117)이 제공된다. 차량 충돌이 발생할 때를 감지하는 수단(117)은 앞서 리스트된 트리거들 중 일부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차량 충돌이 발생할 때를 감지하는 수단(117)은 가속도계들, 에어백 작동 메커니즘, 속도계들, 충돌 센서들, 안전 벨트 모니터들, 음향 센서들, 엔진 센서들, 회전 센서들 및 차량 시스템 센서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들 장치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센서들(17)은 차량의 신경 센터 또는 제어 센터로서 사용되는 마이크로컴퓨터(102)에 접속된다. 센서들(117)중 하나가 작동될 때, 마이크로컴퓨터(102)는 충돌이 발생한 것을 검출한다. 그 다음에, 마이크로컴퓨터(102)는 비디오 작동 신호(103)를 전송하는 수단을 작동시킨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송신기(103)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100)에 차량 시스템(101)을 연결하는 구리 와이어로서 단순하게 사용될 수 있다. 무선 링크가 필요한 대안으로서, 송신 기(103)는 주파수 변조장치, 전력 증폭기 및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기록 시스템(100)에서 비디오 작동 신호(115)를 수신하는 대응하는 수단이 존재한다. 이러한 수신기(115)는 자동차 또는 차량 제어 시스템(101)으로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비디오 기록 시스템(100)내에 배치된 마이크로프로세서(112)에 전송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2)내에는 차량 충돌이 발생할 때를 감지하는 수단을 비디오 카메라(114)에 접속하는 트리거링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전자 스위치가 존재한다. 비디오 작동 신호(104)가 수신될 때, 스위치가 작동하며, 이에 따라 비디오 카메라(114)는 비디오 피트수를 기록하기 시작한다. 다시 말해서, 차량 충돌이 발생할 때를 감지하는 수단(117)이 작동될 때, 비디오 카메라(단일 카메라 또는 다수의 카메라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는 비디오 피트수를 기록하기 시작한다. 비디오 카메라(114)는 또한 얼라인먼트 및 방향, 결과적으로 뷰잉가능한 요지가 원격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원격적으로 작동가능한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기록 시스템(100)은 비디오 카메라(114)에 의하여 기록된 미리 결정된 양의 비디오 피트수를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메모리 장치(116)를 더 포함한다. 비디오 기록 시스템(100)이 전송 능력들을 가진 차량 내비게이션 유닛 또는 휴대 전화중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에, 송신장치(113)는 장치가 셀룰러 또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와 접속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될 것이다. 이러한 상황들에서, 비디오 기록 시스템(100)은 비디오 피트수의 스트림을 원격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서버는 비디오 피트수의 스트림을 저장할 수 있거나, 또는 원격 위치에 배치된 텔레비전 또는 컴퓨터와 같이 비디오 피트수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상에 비디오 피트수를 단순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메모리(116)는 비디오 피트수의 일부분만을 유지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디오 카메라(114)의 출력 및 전송 장치(113)사이의 버퍼로서 작동한다. 전송 장치(113)가 존재하지 않을 때, 메모리(116)는 관련 사고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충분히 긴 길이의 비디오 피트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크게 될 것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2)가 카메라(114) 및 다른 장치들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는 반면에 메모리(116) 및 마이크로프로세서(112)는 비디오 카메라(114)가 독립 유닛일때 비디오 카메라(114)내에 통합될 수 있다.
도 2를 지금 참조하면,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기록 시스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휴대 전화(200)는 그에 접속된 카메라(201)를 가지는 것으로 제공된다. 카메라는 정지 사진들 또는 동영상 피트수를 찍을 수 있다. 전화에는 도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송신기(113), 마이크로프로세서(112) 및 메모리(116)가 장착된다. 휴대 전화(200)에 있어서, 수신 및 송신수단은 통신들이 무선인 안테나(202)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만일 전화(200)가 크래들에 접속되면, 전화(200)의 베이스(203) 상에 배치된 전기 접속기는 전화(200)로의 하드와이어 통신 그리고 전화(200)로부터의 하드와이어 통신들을 용이하게 한다.
도 3을 지금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비게이션 유닛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예컨대 NaviTM 시스템을 가진 Honda Accord
Figure 112006060899596-PCT00001
와 같은 오늘날 많은 차량들은 종래의 내비게이션 시스템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의 중심에 장착된다. 이들 종래의 내비게이션 시스템들은 입력 장치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및 원격 서버에 정보를 업로드 및 다운로드하는 무선 송신기들 및 수신기들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 유닛(300)은 충돌 검출 수단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301)를 포함한다. 장치들이 대시보드의 중심에 장착될 때, 내비게이션 유닛(300)의 카메라(301)는 실내의 선명한 파노라마 뷰가 보여질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301)는 내비게이션 유닛(300)의 시각 스크린 뒤에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부가적으로 스크린 근처의 피처로서 포함될 수 있다. 어느 한 경우에, 카메라(301)는 바람직하게 전체 차량이 충돌로 손상되는 경우에 보호되도록 내비게이션 유닛의 하우징의 범위내에 배치된다.
내비게이션 유닛(300)의 중심부에는 마이크로컴퓨터(302)가 있다. 내비게이션 유닛(300)은 무선 통신장치(303), GPS 모듈(304), 메모리(305), 서비스 중심으로부터 다운로딩된 내비게이션 정보 및 맵들에 대한 메모리(306), 카메라(301), 비디오 정보(310)를 저장하는 메모리, 시스템을 활성화/비활성화하기 위한 온/오프 버튼(307), 마이크로폰 및 핸즈프리 동작을 위한 출력(309)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장치(303)는 AMPS, CDMA, GSM 또는 TDMA와 같은 셀룰러 무선 통신들을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장치(303)는 또한 위성 통신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들에 의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 신장치(303)는 서비스 중심에 의하여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수신기를 포함한다. 수신기는 CDMA, GSM 또는 TDMA와 같은 디지털 셀룰러 통신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기는 또한 위성들에 의하여 전송된 것들과 같은 다른 타입들의 무선 통신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유닛(300)은 차량내에 이미 존재하는 다양한 센서들로부터의 입력들 또는 센서들(3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유닛(300)에 대하여 응용가능할 수 있는 센서들(311)의 타입들은 속도 센서 및 방향(direction) 또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이다. 부가적으로, 앞서 언급된 충돌 센서들은 카메라(301)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내비게이션 유닛에 접속될 수 있다.
도 4를 지금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기록 시스템을 갖춘 차량(400)을 도시한다. 차량(400)은 적어도 하나의 충돌 센서에 접속된 차량 제어 유닛(401)을 포함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401)은 다수의 센서들(402, 404)에 접속된다. 이들 센서들은 에어백 작동 센서들 및 가속도계들을 포함하는 앞서 언급된 충돌 센서들 중 일부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센서들은 판도 또는 파손된 유리를 감지하는 차량 앞 윈도우(402) 또는 윈도우들(406)에 접속될 수 있다.
센서들(402, 404)을 통해 제어 유닛(401)이 충돌을 검출할 때, 제어 유닛(401)은 차량내에 배치된 비디오 카메라(405)를 작동시킨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비디오 카메라(405)는 휴대 전화와 같은 착탈식 장치와 함께 통합될 수 있으며, 차내에 느슨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크래들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카 메라는 내비게이션 유닛과 같은 차량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비디오 카메라는 차량에 통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비디오 피트수가 검출된 충돌에 의한 작동시에 원격 서버로 전송될 수 있는 네트워크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520)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522) 및 원격 서비스 센터(524)를 포함한다. 비디오 기록 시스템(522) 및 서비스 센터(524)는 통신 화살표들 A 및 B에 의하여 표시된 무선 통신들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들은 이하와 같이 이루어지며, 즉 통신 A는 셀룰러 네트워크(528) 및 공중전화 교환망(PSTN)(526)을 통해 기지국 안테나(526)에 전송되고 서비스 센터(524)에 전송되는 셀룰러 무선 통신이다.
당업자는 많은 가능한 무선 통신 방법들이 비디오 기록 시스템(522)으로부터 서비스 센터(524)에 통신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들은 AMPS, CDMA, GSM 또는 TDMA와 같은 셀룰러 무선 통신을 통해 이루어진다. 비디오 기록 시스템(522)으로부터 서비스 센터(24)로의 전송은 위성 통신들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들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 B는 공중전화 교환망(PSTN; 530) 및 셀룰러 네트워크(528)를 통해 전송되고 기지국 안테나(526)에 의하여 비디오 기록 시스템(522)에 전송되는 셀룰러 무선 통신이다. 다시, 당업자는 많은 가능한 무선 통신 방법들이 서비스 센터(524)로부터 비디오 기록 시스템(522)에 통신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은 CDMA, GSM 또는 TDMA와 같은 디지털 셀룰 러 무선 통신을 통해 이루어진다. 서비스 센터(524)로부터 비디오 기록 시스템(522)으로의 전송은 또한 위성 통신들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네트워크(520)는 인터넷(534) 및 원격장치(536)를 통해 비디오 카메라의 작동시에 경보들이 트리거링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직접 비디오 피드들은 긴급 구조요원들에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비디오 피트수의 통신은 긴급 구조요원이 사고 장면을 위하여 준비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기록 시스템을 갖춘 차량(600)의 내부를 도시한다. 도 6은 충돌이 발생한 것을 감지하는 차량이 감지할 때 작동되는 비디오 카메라에 대한 위치들의 많은 가능성들 중 3가지 가능성을 기술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일 위치에서, 휴대 전화(601)에 배치된 비디오 카메라는 좌석(605)상에 느슨하게 배치된다. 사용자는 카메라(604)가 실내의 비디오 피트수를 캡쳐링할 수 있도록 좌석(605)을 직시하도록 휴대 전화/카메라 결합(601)에 전략적으로 배치된다는 것을 주의하라. 이러한 특정 구성에서, 휴대 전화 및 비디오 카메라(601)와 차량 제어 및 센서 시스템간의 통신은 이들간에 하드 와이어 링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무선 링크에 의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대안 위치에서, 비디오 카메라(606)를 가진 휴대 전화는 차량내의 크래들(602)에 접속된다. 크래들(602)은 검출된 충돌에 의하여 작동될 때 실내 상태들을 적절하게 기록하도록 카메라(607)가 차량의 실내와 대면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특정 구성에서, 휴대 전화 및 비디오 카메라(606)와 차량 제어 및 센서 시스템 간의 통신은 차량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전화(606)에 대한 크래들(602)로의 하드와이어 링크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 링크 또는 하드와이어 접속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 3 대안 위치에서, 카메라(608)는 차량의 전자장치에 통합된다. 도 6에서, 통합 전자장치는 내비게이션 유닛(603)을 포함한다. 이는 내비게이션 유닛(603)이 차의 실내에 비디오 피트수를 기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GPS 유닛으로부터 사고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이러한 특정 구성에서, 비디오 카메라(603)와 차량 제어 및 센서 시스템간의 통신은 유닛이 차량 전자 시스템과 일체형일때 하드와이어 링크일 것이다.
도 7를 지금 참조하면, 도 7은 사고가 발생한 후에 도 6의 차량(600)의 실내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비디오 카메라의 작동을 야기하는 센서는 에어백을 작동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705)은 사고의 결과로서 작동된다. 이러한 작동은 제어 유닛(700)내의 에어백 센서(701)를 작동한다. 제어 유닛(700)은 차례로 비디오 기록 시스템에 의한 비디오 기록을 작동시킨다. 도 6에서처럼, 카메라에 대한 3개의 예시적인 위치들이 기술된다. 특히, 비록 다중 위치들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을지라도 사용자는 대부분 단지 하나의 위치를 선택할 것이다. 도시된 것과 다른 위치들이 균등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느슨하게 배치된 휴대 전화(601)와 관련하여, 작동신호(702)는 제어 유닛(700)으로부터 휴대 전화(601)에 전송된다. 이러한 신호(702)는 비디오 카메 라(604)를 작동시킨다. 비디오 카메라(604)는 광선들(706)에 의하여 느슨하게 표현된 비디오 피트수를 기록하기 시작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하드와이어 링크 또는 무선 링크에 의하여 전송된 작동신호(703)는 전화/카메라 결합(606)이 비디오 피트수를 기록하기 시작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작동신호(704)는 적분 카메라(608)가 비디오 피트수를 기록을 시작하게 한다.
도 8를 참조하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피트수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을 기술한다. 단계(800)에서, 본 발명의 비디오 기록 시스템은 작동신호를 대기한다. 만일 모두가 잘 진행하고 차량의 충돌이 방지되어 운전자 및 승객들이 양호하면, 비디오 카메라는 결코 단계(800)를 떠나지 않는다. 이러한 모니터링 단계는 단계(801)로서 기술된다.
그러나, 만일 충돌로 인하여 일련의 불행한 사건이 발생하면, 카메라는 단계(802)에서 차량 제어 시스템에 의하여 작동된다. 비디오 피트수는 단계(803)에서 원격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또는 이들 둘 모두로 저장된다. 비디오 기록 시스템은 단계(804)에서 원격 서버로의 통신 링크가 존재하는지를 알기 위하여 검사한다. 만일 그렇다면, 비디오 피트 수는 단계(804)에서 원격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비디오 피트수는 단계(803)에서 국부적으로 저장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기술되는 반면에,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 것이 명확하다. 다수의 수정들, 변화들, 변형들, 대체들 및 균등물들은 이하의 청구항들에 의하여 규정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게 이루어질 것이다.

Claims (20)

  1. 비디오 기록 시스템에 있어서:
    a. 차량 충돌이 발생할 때를 감지하는 수단;
    b.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카메라;
    c.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카메라에 의하여 기록된 미리 결정된 양의 비디오 피트수(video footage)를 저장하는 수단; 및
    d. 차량 충돌이 발생할 때를 감지하는 상기 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카메라를 결합하는 트리거링 수단을 포함하며,
    차량 충돌이 발생할 때를 감지하는 상기 수단이 작동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카메라는 상기 비디오 피트수를 기록하기 시작하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 충돌이 발생할 때를 감지하는 상기 수단은 가속도계들, 에어백 작동 메커니즘들, 속도계들, 충돌 센서들, 안전 벨트 모니터들, 음향 센서들, 엔진 센서들, 회전 수단들 및 차량 시스템 센서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오디오 피트수를 기록하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양의 비디오 피트수를 저장하는 상기 수단은 하드-와이어 링크(hard-wire link)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카메라에 접속되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양의 비디오 피트수를 저장하는 상기 수단은 무선 링크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카메라에 접속되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비디오 피트수를 저장하는 적어도 제 2 수단을 더 포함하며, 비디오 피트수를 저장하는 상기 적어도 제 2 수단은 원격 위치에 배치되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피트수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디오 피트수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수단은 원격 위치에 배치되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피트수는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해 스트리밍되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카메라는 원격으로 작동가능한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카메라는 휴대 전화를 포함하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카메라는 차량 내비게이션 유닛을 포함하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
  12. 사고 장면의 비디오 피트수를 캡쳐링하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에 있어서:
    a. 비디오 카메라로서,
    i.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ii. 상기 비디오 피트수의 적어도 일부분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iii. 비디오 작동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비디오 카메라를 포함하는, 상기 비디오 카메라; 및
    b. 차량 제어 시스템으로서,
    i. 충돌을 검출하는 수단, 및
    ii. 비디오 작동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충돌이 발생한 것을 상기 충돌을 검출하는 수단이 검출할 때 비디오 작동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수단은 비디오 작동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비디오 작동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수단이 상기 비디오 작동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비디오 카메라가 상기 비디오 피트수의 기록을 시작하게 하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차량 충돌이 발생할 때를 감지하는 상기 수단은 가속도계들, 에어백 작동 메커니즘들, 속도계들, 충돌 센서들, 안전 벨트들, 음향 센서들, 엔진 센서들, 회전 센서들 및 차량 시스템 센서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비디오 피트수를 기록하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카메라는 휴대 전화를 포함하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카메라는 차량 내비게이션 유닛을 포함하는, 비디오 기록 시스템.
  17. 사고 장면의 비디오 피트수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차량 충돌이 발생할 때, 상기 차량 충돌이 발생했을 때를 검출할 수 있는 차량 진단 시스템으로부터 비디오 작동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비디오 기록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단계; 및
    c. 상기 비디오 기록 시스템에 의하여 기록된 비디오 피트수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피트수 기록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피트수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피트수 기록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기록 시스템은 제 1 항의 시스템을 포함하는, 비디오 피트수 기록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기록 시스템은 제 12 항의 시스템을 포함하는, 비디오 피트수 기록방법.
KR1020067017150A 2004-02-25 2005-02-01 자동 충돌 트리거링된 비디오 시스템 KR200601202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86,635 2004-02-25
US10/786,635 US20050185052A1 (en) 2004-02-25 2004-02-25 Automatic collision triggered video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261A true KR20060120261A (ko) 2006-11-24

Family

ID=34861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7150A KR20060120261A (ko) 2004-02-25 2005-02-01 자동 충돌 트리거링된 비디오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185052A1 (ko)
EP (1) EP1730962A2 (ko)
JP (1) JP2007533174A (ko)
KR (1) KR20060120261A (ko)
AU (1) AU2005216003A1 (ko)
CA (1) CA2554000A1 (ko)
WO (1) WO200508177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86B1 (ko) * 2007-02-09 2008-06-13 이수익 네비게이션 장치에 적용가능한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촬영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00307B (en) * 2004-04-16 2008-08-21 Hon Hai Prec Ind Co Ltd Touch control / sound control electronic device
CN2762239Y (zh) * 2004-12-20 2006-03-01 西南交通大学 一种机动车驾驶及周边情景监视记录装置
JP2007069719A (ja) * 2005-09-06 2007-03-22 Honda Access Corp 車両用データ記録装置
US20070150138A1 (en) 2005-12-08 2007-06-28 James Plante Memory management in event recording systems
US20070132773A1 (en) * 2005-12-08 2007-06-14 Smartdrive Systems Inc Multi-stage memory buffer and automatic transfers in vehicle event recording systems
US10878646B2 (en) 2005-12-08 2020-12-29 Smartdrive Systems, Inc. Vehicle event recorder systems
US9201842B2 (en) 2006-03-16 2015-12-01 Smartdrive Systems, Inc. Vehicle event recorder systems and networks having integrated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8996240B2 (en) 2006-03-16 2015-03-31 Smartdrive Systems, Inc. Vehicle event recorders with integrated web server
US8989959B2 (en) 2006-11-07 2015-03-24 Smartdrive Systems, Inc. Vehicle operator performance history recording, scoring and reporting systems
US8649933B2 (en) 2006-11-07 2014-02-11 Smartdrive Systems Inc. Power management systems for automotive video event recorders
US8868288B2 (en) 2006-11-09 2014-10-21 Smartdrive Systems, Inc. Vehicle exception event management systems
JP4872733B2 (ja) * 2007-03-16 2012-02-0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緊急通報装置
US20080252444A1 (en) * 2007-04-12 2008-10-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rtable impact detection, wireless tracking and dispatch
US8239092B2 (en) 2007-05-08 2012-08-07 Smartdrive Systems Inc. Distributed vehicle event recorder systems having a portable memory data transfer system
US20080316312A1 (en) * 2007-06-21 2008-12-25 Francisco Castillo System for capturing video of an accident upon detecting a potential impact event
JP2009032143A (ja) * 2007-07-30 2009-02-12 Seiko Epson Corp ドライブレコーダ、ドライブレコーダシステム、ドライブレコーダ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E602008005700D1 (de) * 2008-01-15 2011-05-05 Smr Patents Sarl Notfallsystem für ein Fahrzeug
KR101502012B1 (ko) * 2008-10-06 2015-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비상 상황 알림방법
US20100157061A1 (en) * 2008-12-24 2010-06-24 Igor Katsman Device and method for handheld device based vehicle monitoring and driver assistance
US8054168B2 (en) * 2009-02-27 2011-11-08 General Motors Llc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n emergency level of a vehicular accident
IT1407504B1 (it) * 2011-02-10 2014-04-17 Lempfrecher Sistema di documentazione di eventi e di dati su un veicolo terrestre, aerei o su acqua, in particolare una automobile.
JP5234153B2 (ja) * 2011-09-20 2013-07-1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緊急通報装置
US8996234B1 (en) 2011-10-11 2015-03-31 Lytx, Inc. Driver performance determination based on geolocation
US9298575B2 (en) 2011-10-12 2016-03-29 Lytx, Inc. Drive event capturing based on geolocation
US9728228B2 (en) 2012-08-10 2017-08-08 Smartdrive Systems, Inc. Vehicle event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s
US9344683B1 (en) * 2012-11-28 2016-05-17 Lytx, Inc. Capturing driving risk based on vehicle state and automatic detection of a state of a location
US20140285337A1 (en) * 2013-03-21 2014-09-25 Mark Anthony Gebhardt Automobile Alert System for Recording and Communicating Incidents to Remote Monitoring Devices
US9501878B2 (en) 2013-10-16 2016-11-22 Smartdrive Systems, Inc. Vehicle event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s
US9610955B2 (en) 2013-11-11 2017-04-04 Smartdrive Systems, Inc. Vehicle fuel consumption monitor and feedback systems
US8892310B1 (en) 2014-02-21 2014-11-18 Smartdriv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to detect execution of driving maneuvers
US10599155B1 (en) 2014-05-20 2020-03-24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Autonomous vehicle operation feature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effectiveness
US9663127B2 (en) 2014-10-28 2017-05-30 Smartdrive Systems, Inc. Rail vehicle event detection and recording system
US9557794B2 (en) * 2014-11-07 2017-01-3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electrical power
US11069257B2 (en) 2014-11-13 2021-07-20 Smartdriv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vehicle event and generating review criteria
US20160286156A1 (en) * 2015-02-12 2016-09-29 Creative Law Enforcement Resources, Inc.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related to recordings from video/audio recording devices
US9679420B2 (en) 2015-04-01 2017-06-13 Smartdrive Systems, Inc. Vehicle event recording system and method
US20160379492A1 (en) * 2015-06-29 2016-12-29 Royal Truck & Equipment, Inc. All In One Safety Display
US9870649B1 (en) 2015-08-28 2018-01-16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Shared vehicle usage, monitoring and feedback
US9786104B2 (en) 2016-01-25 2017-10-10 Smartdrive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 to trigger vehicle events based on contextual information
US10818109B2 (en) 2016-05-11 2020-10-27 Smartdrive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offloading different information based on event trigger type
US11288760B2 (en) * 2016-09-15 2022-03-29 Axon Enterpri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ing information from a recording device
US10632908B2 (en) * 2018-09-19 2020-04-28 Ria Dubey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ular communication
CN113079311B (zh) * 2020-01-06 2023-06-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图像获取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4268728B (zh) * 2022-02-28 2022-07-08 杭州速玛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作业车辆协同记录被破坏现场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2326A (en) * 1994-09-19 1999-12-14 Valerie Turner Automotive vehicle anti-theft and anti-vandalism and anti-carjacking system
US6163338A (en) * 1997-12-11 2000-12-19 Johnson; D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apture of realtime events
US6389340B1 (en) * 1998-02-09 2002-05-14 Gary A. Rayner Vehicle data recorder
US6141611A (en) * 1998-12-01 2000-10-31 John J. Mackey Mobile vehicle accident data system
US6535242B1 (en) * 2000-10-24 2003-03-18 Gary Steven Strumolo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and displaying vehicular information
US20030041329A1 (en) * 2001-08-24 2003-02-27 Kevin Bassett Automobile camera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86B1 (ko) * 2007-02-09 2008-06-13 이수익 네비게이션 장치에 적용가능한 차량 사고 기록용 동영상촬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216003A1 (en) 2005-09-09
US20050185052A1 (en) 2005-08-25
JP2007533174A (ja) 2007-11-15
WO2005081773A3 (en) 2008-10-30
WO2005081773A2 (en) 2005-09-09
EP1730962A2 (en) 2006-12-13
CA2554000A1 (en) 200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0261A (ko) 자동 충돌 트리거링된 비디오 시스템
US9491420B2 (en) Vehicle security with accident notification and embedded driver analytics
US201503714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Remotely Assessing Vehicle Incidents and Dispatching Assistance
US86350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nking vehicles to telematics-enabled portable devices
US8836784B2 (en) Automotive imaging system for recording exception events
US20050096007A1 (en) Method and emergency call device for triggering an emergency call from a vehicle
US20170148235A1 (en) Vehicle damage detection and notification system
EP2518710A1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notifying of vehicle accidents
US1023281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during an emergency call
JP6838891B2 (ja) 車載器および運行管理システム
JP7349694B2 (ja) 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等
JP2008225777A (ja)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カメラ装置
JP2007334574A (ja) 緊急通報装置および緊急通報システムならびに緊急車両案内システム
JP2011128782A (ja) 車両用情報端末装置
EP3791365B1 (en) Telematic device for motor vehicles
KR101532087B1 (ko) 외장형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하는 오토바이용 블랙박스
KR102124210B1 (ko)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복합 단말기.
JP2014215875A (ja) 緊急発報機能付きデジタルタコグラフ
JP2008236385A (ja) 携帯端末装置
WO2017013685A1 (en) Apparatus for automatic alerting in case of crash of a means of transportation
CN100585644C (zh) 驾驶信息记录装置
MXPA06009768A (es) Sistema de video automatico activado por colision
JP2022057088A (ja) 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等
KR20170127322A (ko) 스마트카 컨버전 시스템
JP2020109675A (ja) 情報収集装置、情報収集サーバ及び情報収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