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016A - 호흡용 마스크의 장착구 및 호흡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호흡용 마스크의 장착구 및 호흡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016A
KR20110091016A KR1020117014395A KR20117014395A KR20110091016A KR 20110091016 A KR20110091016 A KR 20110091016A KR 1020117014395 A KR1020117014395 A KR 1020117014395A KR 20117014395 A KR20117014395 A KR 20117014395A KR 20110091016 A KR20110091016 A KR 20110091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reathing
mask
nostrils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코 오무라
신야 후지모토
아키토 니시지마
Original Assignee
데이진 화-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화-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화-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1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83Hold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05Means for improving the adaptation of the mask to the patient
    • A61M16/0616Means for improving the adaptation of the mask to the patient with face sealing means comprising a flap or membrane projecting inwards, such that sealing increases with increasing inhalation gas pressure
    • A61M16/0622Means for improving the adaptation of the mask to the patient with face sealing means comprising a flap or membrane projecting inwards, such that sealing increases with increasing inhalation gas pressure having an underlying cush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66Nasal cannulas or tu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08Condensation tr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4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by mixing different fluids, one of them being in a liquid phase
    • A61M16/16Devices to humidify the respiration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3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thermally insul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8Supports for equipment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62E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호흡용 마스크의 장착에 수반되는 불쾌감을 저감시킨다. 사용자의 콧구멍을 덮어 가압된 호흡용 기체를 상기 콧구멍에 공급하는 호흡용 마스크의 장착구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짐과 함께 제 1 단부가 상기 호흡용 마스크와 연결되는 1 쌍의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끼워 넣어진 1 쌍의 고정 부재를 갖기 때문에, 사용자의 헤드부 주위를 구속하는 것에 의한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호흡용 마스크의 장착구 및 호흡용 마스크{FITTING TOOL FOR USE IN WEARING BREATHING MASK, AND BREATHING MASK}
본 발명은, 사용자의 콧구멍을 덮어 가압된 호흡용 기체를 상기 콧구멍에 공급하는 호흡용 마스크와 그 장착구에 관한 것이다.
수면시에 기도가 폐색되어 무호흡 상태가 되는 수면시 무호흡 증후군의 치료법 중 하나로서, 환자의 수면시에 콧구멍에 392 ∼ 1961 ㎩ 정도로 가압된 호흡용 기체를 계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기도를 넓혀, 환자의 호흡을 지원하는 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요법이 알려져 있다.
CPAP 요법에서는, 공기를 가압하여 호흡용 기체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호흡용 기체 공급 장치가 사용된다. 호흡용 기체 공급 장치가 생성한 호흡용 기체는, 플렉시블 호스에 의해 호흡용 마스크에 공급된다. 호흡용 마스크는, 특허문헌 1 에 그 일례가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것을 사용하는 환자 (이하, 사용자) 의 콧구멍을 덮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수면시에 호흡용 마스크를 장착함으로써 호흡용 기체를 공급받는다.
CPAP 요법에 의한 예정된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호흡용 기체가 호흡용 마스크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호흡용 마스크를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에 밀착시키고, 그 상태에서 장시간 고정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망에 응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나 특허문헌 2 에는, 헤드기어식 장착구가 기재되어 있다. 헤드기어식 장착구는, 스트랩을 사용자의 헤드부 주변에 속박함으로써 호흡용 마스크를 고정시킨다. 또,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감기 마스크식 장착구는, 루프 형상의 고무줄 등을 귀 주위에 걸어 맞추어, 호흡용 마스크를 고정시킨다. 또한, 특허문헌 2 에는, 상기 장착구가 접속되는 각도가 조절 가능한 호흡용 마스크가 기재되어 있다. 이 호흡용 마스크는, 장착구의 접속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각도 조절 기구를 갖고,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에 대한 호흡용 마스크의 각도를 조절하여, 호흡용 마스크의 밀착도를 향상시킨다.
또, 호흡용 기체나 사용자의 호기에 함유되는 수분이 호흡용 마스크의 내벽에서 결로 (結露) 되어, 수적이 바로 누워 있는 사용자의 얼굴로 낙하되면, 사용자를 불필요하게 각성시킨다. 따라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인용 문헌 4 에 기재된 호흡용 마스크는, 외곽 (프레임) 이 이중으로 구성되고, 호흡용 마스크의 외벽과 내벽 사이에 단열용의 공기층을 갖는다. 이로써, 호흡용 마스크의 내벽 온도가 외벽 온도보다 높게 유지되어 결로가 억제된다.
또한, 사용자가 호흡용 마스크를 장착하고 옆으로 누울 때에 플렉시블 호스를 몸으로 누르면 호흡용 기체의 공급이 저해되어 치료에 지장을 초래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5 에는, 플렉시블 호스와 접속되는 L 자관을, 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형성한 호흡용 마스크가 기재되어 있다. 이 호흡용 마스크에 의하면,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 몸에 깔릴 우려가 적은 방향으로 플렉시블 호스를 미리 향하게 해 둘 수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 호스를 누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031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57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0906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1923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570호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먼저, 특허문헌 1 이나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헤드기어식 장착구는, 스트랩으로 헤드부 주변을 압박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구속감이나 압박감과 같은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또,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감기 마스크식 장착구는, 사용자의 귀밑둥에 고무줄이 파고 들어 불쾌감 혹은 통증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불쾌감이나 통증은 양질의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이것은, 불필요하고 유해한 각성을 억제하여 양질의 수면을 확보한다는 CPAP 요법의 치료 목적을 감안하면 문제가 된다.
또, 스트랩 등의 장착구에 있어서는, 수면 중에 사용자가 자세를 바꾸었을 때에, 호흡용 마스크나 호스가 사용자의 몸이나 침구 등과 접촉되어 당겨져, 스트랩에 대해 폭 방향으로 비트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스트랩이 비틀어져, 호흡용 마스크가 콧구멍 주변으로부터 어긋날 우려가 있다. 이것은, 치료 효과의 관점에서 문제가 된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호흡용 마스크와 장착구의 각도 조절 기구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에 깔리게 되면 사용자의 안면을 압박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이것에 더하여, 호흡용 마스크를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코의 높이나 콧구멍의 방향에 맞추어 호흡용 마스크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면, 콧구멍 주변에 간극이 쉽게 발생하고, 각도 조절 후에 장착구를 다시 고쳐서 장착해야 할 필요가 생길 우려가 있다. 이것은, 사용자의 편리성 관점에서 문제가 된다.
나아가, 특허문헌 4 에 기재된 호흡용 마스크는, 이중 구조의 프레임을 제조할 때의 비용 증가가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블로우 성형 등 고난도의 기술에 의해 일체 성형하고자 하면, 비용 증가로 연결된다. 그렇다고 해서 내벽과 외벽을 따로 따로 성형하고 이것을 조합하는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부품 점수의 증가와 조립 공정수의 증가에 의해, 역시 비용 증가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5 에 기재된 호흡용 마스크는, 프레임과 L 자관을 별도 부품으로서 형성하여, 이들을 조합하기 때문에, 부품 점수 및 공정수의 증가와 이에 따른 비용 증가로 연결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또, L 자관이 자유롭게 선회하면, 이마나 입술부에 플렉시블 호스가 접촉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우려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착에 수반되는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있는 호흡용 마스크와 그 장착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흡용 마스크가 잘 어긋나지 않는 장착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착시에 사용자의 콧구멍의 각도에 맞춘 조절이 가능하고, 장착이 용이한 장착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로를 억제할 수 있는 호흡용 마스크를 저비용으로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호흡용 기체의 공급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호흡용 마스크를 저비용으로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의 콧구멍을 덮어 가압된 호흡용 기체를 상기 콧구멍에 공급하는 호흡용 마스크의 장착구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짐과 함께 제 1 단부가 상기 호흡용 마스크와 연결되는 1 쌍의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끼워 넣어진 1 쌍의 고정 부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호흡용 기체를 공급하는 호흡용 마스크의 장착구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짐과 함께 제 1 단부가 상기 호흡용 마스크와 연결되는 1 쌍의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이개 (耳介) 의 주위에 배치되는 프레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사용자의 귀밑둥에 맞닿게 하여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의 콧구멍을 덮어 가압된 호흡용 기체를 상기 콧구멍에 공급하는 호흡용 마스크의 장착구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짐과 함께 제 1 단부가 상기 호흡용 마스크와 연결되어 상기 호흡용 마스크를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에 고정시키는 1 쌍의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당해 연결 부재보다 큰 강성을 갖는 지지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 1 단부측에서 제 1 폭을 갖고, 그 이외의 부분에서 상기 제 1 폭보다 좁은 제 2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의하면, 장착구를 갖는 호흡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짐과 함께 제 1 단부가 상기 호흡용 마스크와 연결되어 상기 호흡용 마스크를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는 1 쌍의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쌍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쌍보다 큰 강성을 갖는 지지 부재쌍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쌍은, 상기 호흡용 마스크에 고정되는 제 1 판 형상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에 고정되는 제 2 판 형상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제 2 판 형상 부재는, 상기 호흡용 마스크의 각도 조절이 행해질 때에 각도 조절의 지지점이 되는 위치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5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의 콧구멍을 덮어 호흡용 기체를 상기 콧구멍에 공급하는 호흡용 마스크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면에 맞닿게 하여 상기 콧구멍을 덮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제 1 부재보다 큰 강성을 갖는 제 2 부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부재에는, 상기 호흡용 기체를 내부로 흡입하는 제 1 흡기 포트와, 호기를 배출하는 제 1 배기 포트의 양방, 또는 상기 제 1 흡기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재에는, 상기 호흡용 기체의 반송 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제 1 흡기 포트 부분에 끼워 넣어지는 제 2 흡기 포트와, 상기 제 1 배기 포트 부분이 끼워 넣어지고 외부에 연통하는 제 2 배기 포트의 양방, 또는 상기 제 1 배기 포트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에 공동이 형성되고, 또는 상기 제 1 부재가 발수성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6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의 콧구멍을 덮어 호흡용 기체를 상기 콧구멍에 공급하는 호흡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맞닿게 하여 상기 콧구멍을 덮는 제 1 부재와, 상기 호흡용 기체의 반송 수단과 소정 위치에서 접속되어 상기 제 1 부재와 연결됨과 함께 상기 제 1 부재보다 큰 강성을 갖는 제 2 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의 연결 부분은, 180 도 회전 대칭의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1, 제 2 측면에 의하면, 호흡용 마스크를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부에 고정시킴과 함께, 장착에 수반되는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의하면, 사용중에 호흡용 마스크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장착에 수반되는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의하면, 장착시에 사용자의 코의 구조에 맞춘 조절이 가능하고, 장착이 용이한 호흡용 마스크의 장착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5 측면에 의하면, 결로를 억제할 수 있는 호흡용 마스크가 저비용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6 측면에 의하면, 호흡용 기체의 공급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호흡용 마스크가 저비용으로 제공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호흡용 마스크나 그 장착구가 적용되는 CPAP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착구의 사용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플러그 (12) 가 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끼워 넣어지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장착구 (14) 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고정 부재로서의 플러그 (12) 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삽입부 (12d) 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고정 부재로서의 플러그 (12) 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제 2 실시예의 사용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플러그 (12) 와 연결부 (12b) 의 접속 구조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은, 고정 부재로서의 플러그 (12) 의 제 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 는, 플러그 (12) 와 귀걸이부 (13) 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 은, 장착구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 는, 장착구 (14) 의 사용 상황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 는, 탄성 지지부 (130b) 의 형상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 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 은, 지지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 은, 패널 (16) 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 는, 지지 부재로서의 패널 (16) 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 은, 장착구의 제 4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 은, 판 형상 부재 (160a, 160b) 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 는, 종래의 헤드기어식 장착구에, 장착구의 제 3 또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패널 (16) 을 적용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 은, 장착구 (14) 의 제 1 실시형태와 제 3 실시형태를 조합한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 는, 종래의 호흡용 마스크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 는,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 은, 프레임 각부의 확대도이다.
도 27 은, 쿠션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 은, 쿠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 는, 프레임 (20) 과 쿠션 (30) 을 끼워 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0 은, 흡기 포트와 배기 포트를 따로 따로 갖는 프레임 (20) 및 쿠션 (30) 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 은, 프레임 (20) 과 쿠션 (30) 의 끼워 맞춤부의 형상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2 는, 프레임 (20) 및 쿠션 (30) 이 적용되는 종래의 호흡용 마스크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3 은, 프레임 (20) 과 패널 (16) 의 끼워 맞춤 방법에 관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그 균등물까지 미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호흡용 마스크나 그 장착구가 적용되는 CPAP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CPAP 시스템은, CPAP 요법을 받는 수면 무호흡 증후군의 환자 (사용자) 의 기도에 의사의 처방압에 따라 가압한 호흡용 기체를 보냄으로써 기도를 넓혀, 사용자의 호흡을 지원한다.
CPAP 시스템은, 의사에 의한 처방압이 입력되고, 처방압에 따라 공기를 가압하여 호흡용 기체를 공급하는 호흡용 기체 공급 장치 (2) 와, 호흡용 기체를 반송하는 플렉시블 호스 (4a, 4b) 와, 사용자가 수면시에 장착하는 호흡용 마스크 (8) 를 갖는다. 여기서는 추가로, 호흡용 기체를 미리 설정된 습도로 가습한 후에 호흡용 마스크 (8) 에 공급하는, 가습기 (6) 가 도시된다.
호흡용 기체 공급 장치 (2) 는 전원이 투입되면 동작을 개시하고, 가압된 호흡용 기체가 플렉시블 호스 (4a) 를 개재하여 먼저 가습기 (6) 에 보내진다. 가습기 (6) 에 의해 가습된 호흡용 기체는, 플렉시블 호스 (4b) 를 개재하여 호흡용 마스크 (8) 에 보내진다. 호흡용 마스크 (8) 는, 후술하는 장착구에 의해 사용자의 콧구멍을 덮도록 콧구멍 주변부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호흡용 기체를 사용자의 콧구멍으로부터 기도에 보낸다.
호흡용 기체 공급 장치 (2) 는, 예를 들어 공기를 392 ∼ 1961 ㎩ 의 범위에 있어서의 일정압으로 가압하는 고정압식이나, 장치 내에 형성된 호흡용 기체의 압력 센서나 유량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호흡 상태를 감시하고, 호흡 상태에 따라 압력을 조절하는 변동압 방식과 같은 동작 모드에서 동작한다. 또한, 가습기 (6) 는, 콧구멍 내부나 인두부 점막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데, 의사의 처방이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생략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호흡용 마스크의 장착구, 및 호흡용 마스크 각각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각각 단독 또는 조합에 의해, 혹은 다른 조합에 의해 실시 가능하다.
[1] 장착구의 제 1 실시형태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착구의 사용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호흡용 마스크 (8) 를 장착구 (14) 에 의해 장착했을 때의 정면도와 측면도가 도시된다. 플렉시블 호스 (4b) 와 연결되어 콧구멍을 덮는 호흡용 마스크 (8) 의 양측부에는, 장착구 (14) 가 연결된다. 장착구 (14) 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1 개의 단부가 호흡용 마스크 (8) 의 양측부 중 어느 것에 연결되는 1 쌍의 연결 부재인 스트랩 (10) 과, 스트랩 (10) 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는 1 쌍의 고정 부재인 플러그 (12) 를 갖는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착시에 있어서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전후, 및 상하의 각 방향을 규정한다.
여기서 도 3 에 귀부의 명칭과 함께 플러그 (12) 의 사용 상황을 나타낸다. 플러그 (12) 는, 사용자의 이주 주변의 패인 곳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 넣어진다. 여기서, 스트랩 (10) 을 적절한 길이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호흡용 마스크 (8) 를 장착했을 때에 스트랩 (10) 의 길이 방향으로 장력 (화살표 T1) 이 작용하는 상태가 된다. 그러면, 플러그 (12) 가 가해지는 장력에 대항하여 이주 내측으로 훅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장착구 (14) 는, 호흡용 마스크 (8) 를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장착구 (14) 는, 헤드기어식 장착구와 같이 사용자의 헤드부를 구속하여 압박하지 않는다. 따라서, 육체적인 고통이나 구속감, 압박감과 같은 불쾌감이 저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 헤드기어식과 비교하여 장착구와 접촉하는 헤드부의 면적이 작다. 따라서, 장착구와의 접촉 지점이 발한되어 열기가 차서 무거움을 느끼는 것에 의한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두발이 흐트러지는 불편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장착구 (14) 는, 사용자가 바로 누웠을 때에 헤드기어식과 같이 베개와 접촉 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뒤척일 때에 베개와의 마찰에 의해 장착구와 헤드부의 상대적인 위치가 어긋나고, 그 결과 호흡용 마스크 (8) 의 위치가 어긋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호흡용 마스크 (8) 가 어긋나면,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부와의 밀착 상태가 없어져, 호흡용 마스크 (8) 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발생되는 간극으로부터 호흡용 기체가 새기 때문에, 사용자의 기도에 소기의 양의 호흡 기체가 이송되지 않아 치료 효과가 약해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얼굴에 호흡용 기체가 걸려 불필요하고 유해한 각성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귀 주위에 루프 형상의 고무줄 등의 탄성 부재에서 걸리는, 감기 마스크식 장착구와 비교했을 경우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착구 (14) 는 사용자에게 주는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것은, 귀 주위는 통증을 느끼기 쉬운 민감한 부위이고, 감기 마스크식 장착구는 이러한 부위에 파고듦으로써 사용자에게 고통을 주지만, 이주 내측은 귀 주위에 비해 견고한 구조로 통증을 느끼기 어려운 지점이라는 것에 따른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착구 (14) 는 사용자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장착구를 장착할 때, 헤드기어식과 같이 후두부에 거는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어깨의 가동역에 장해를 갖는 사용자라도, 용이하게 호흡용 마스크 (8) 를 장착할 수 있다.
도 4 는, 장착구 (14) 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의 (A) 는 우 방향의 장착구 (14) 를 예로 들어, 그 전체의 구성을 나타낸다. 스트랩 (10) 은, 일례로서 비신축성의 천으로 형성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스트랩 (10) 의 일방의 단부는 호흡용 마스크 (8) 의 측부에 연결되고, 일방의 단부는 플러그 (12) 에 연결된다. 여기서, 스트랩 (10) 을 호흡용 마스크 (8) 의 측부와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봉합이나 수지 접착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바람직한 양태로는, 도 4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랩 (10) 의 단부와 호흡용 마스크 (8) 의 측부에 서로 끼워 맞출 수 있는 버클이나 훅과 같은 끼워 맞춤부 (10a) 를 형성하여,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스트랩 (10) 과 호흡용 마스크 (8) 를 분해하여 세정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스트랩 (10) 을 플러그 (12) 에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봉합이나 수지 접착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바람직한 양태로는, 도 4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랩 (10) 의 선단에 베르크로 (등록상표) 나 매직 테이프 (등록상표) 와 같은 공지된 면파스너 (10b) 를 형성한다. 그리고, 그 선단을 플러그 (12) 에 형성되는 버클 (12a) 의 구멍을 통과시키고, 스트랩 (10) 의 표면에 면파스너 (10b) 에서 걸리게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스트랩 (10) 전체로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해진다. 또한, 면파스너 (10b) 이외에도 여러 가지 걸림 수단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트랩 (10) 의 선단부와 이것에 대향하는 스트랩 (10) 의 중앙부의 어느 일방에 등간격의 조절 구멍을 형성하고, 타방에 조절 구멍에 걸어 맞추는 고리나 버튼을 형성해도 된다. 또는 스트랩 (10) 표면의 재질에 걸 수 있는 톱니를 버클 (12a) 측에 형성해도 된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스트랩 (10) 의 일부, 예를 들어 버클 (12a) 을 통과시켜 되접는 부분 (10c) 을, 신축성을 갖는 천 고무 등의 별도의 부재로 형성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스트랩 (10) 전체에 있어서의 과도한 신축성을 방지하면서, 길이 조절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스트랩 (10) 의 길이를 사용자의 얼굴 사이즈에 적절한 길이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도 3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트랩 (1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장력 T1 에 대향하여 플러그 (12) 가 이주에 훅됨으로써, 호흡용 마스크 (8) 를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부에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플러그 (12) 에 대해 설명한다. 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끼워 넣어지는 플러그 (12) 는, 이주의 외부에 노출되는 연결부 (12b) 에 의해 버클 (12a) 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12), 연결부 (12b) 는, 대체로 스트랩 (10) 의 중심선 C (일점 쇄선으로 표시) 상에 배치된다. 이로써, 플러그 (12) 의 이주 내측에 대한 훅력이 분산되지 않고, 스트랩 (10) 의 길이 방향에 작용하는 장력에 대항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12) 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플러그의 일점 쇄선 C 에 있어서의 단면 (斷面) 을 도 4 의 (B) 에 나타낸다. 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끼워 넣어지는 플러그 (12) 는 대략 반구 형상을 갖는다. 또한, 플러그 (12) 의 바닥면과 측면을 나누는 에지 (E1) 를 둥글게 한 것은, 장착했을 때의 접촉을 부드럽게 하여 사용자의 고통을 경감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또, 플러그 (12) 의 직경 (R1) 을 연결부 (12b) 와의 접속 부분의 직경 (R2) 보다 크게 함으로써, 플러그 (12) 가 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끼워 넣어졌을 때에 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있어서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훅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플러그 (12) 의 높이 (H1) 는, 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들어가는 높이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부 (12b) 의 이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의 높이, 요컨대, 직경 (R3) 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 연결부 (12b) 가 베개와 접촉하여 이주 부근을 압박하는 경우에, 직경 (R3) 을 작게 함으로써 압박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치수의 예로는, 플러그 (12) 의 직경 (R1) 은 13 ∼ 17 ㎜, 높이 (H1) 는 5 ∼ 10 ㎜, 연결부 (12b) 의 직경 (R3) 은 8 ㎜ 이하이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 수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러그 (12) 는, 그 전체를 단일 재질의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해도 되고, 복수 재질의 조합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단일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적당한 탄력성, 내구성, 생체 적합성을 갖는 재질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재질의 예로서 실리콘 고무, 천연 고무, 폴리스티렌 고무, 폴리이소프렌 고무,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우레탄 등의 저반발 부재를 들 수 있다. 한편, 복수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도 4 의 (C) 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연결부 (12b) 와 플러그 (12) 의 해칭으로 나타내는 내부를 나일론 등의 재질 M1 로 형성하고, 외부를 우레탄 등의 저반발 부재나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 M2 로 피복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주 내측에 끼워넣었을 때의 마찰력을 크게 할 수 있어, 플러그 (12) 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그와 함께, 접촉을 부드럽게 하여 사용자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
플러그 (12) 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대해, 도 3 을 다시 참조하면서 도 4 의 (A) 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플러그 (12) 에는, 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끼워넣었을 때에 외이도를 통과하는 지점에 통음공 (12c) 으로서의 절결부가 형성된다. 이로써, 외부 환경의 소리나 자명종의 알람음이 통과하는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착구 (14) 를 장착하고, 수면 중에도 비상시에 있어서의 외부 환경의 소리나 자명종의 알람 소리를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소리의 경로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절결부 대신에 플러그 (12) 에 관통공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장착구 (14) 의 위생 확보를 위해서는, 이것을 분해하여 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자는 스스로 장착구 (14) 를 재차 조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정확하고 효율적인 조립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서, 플러그 (12) 에 그 좌우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플러그 (12) 를 확대하여 도 4 의 (D) 에 나타내면, 플러그 (12) (여기서는 플러그 (12) 에 형성되는 연결부 (12b)) 에 돌기 (12p) 를 형성함으로써, 돌기의 유무나 그 수에 의해 좌우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또, 판별 수단으로서 돌기 이외에 문자나 기호, 무늬를 형성해도 된다.
[고정 부재의 제 1 실시예]
도 5 는, 고정 부재로서의 플러그 (12) 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의 (A) ∼ (D) 는, 플러그 (12) 의 측면 방향으로부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의 (A)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플러그 (12) 는 외이도의 입구 부근에 삽입되는 삽입부 (12d) 를 추가로 갖는다. 삽입부 (12d) 는, 적어도 그 일부가 외이도의 직경과 동등하거나 그것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대략 원주 형상 혹은 대략 원추 사다리꼴 형상 (일점 쇄선으로 도시) 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부 (12d) 를 형성함으로써, 플러그 (12) 가 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끼워 맞추는 것에 더하여, 삽입부 (12d) 의 외벽과 외이도의 마찰력에 의해 플러그 (12) 의 탈락이 보다 높은 확실도를 갖고 방지된다. 특히, 연결부 (12b) 를 화살표 T2 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외력이 연결부 (12b) 에 작용한 경우에, 이러한 외력에 연동하여 플러그 (12) 는 화살표 T3 이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동하려고 한다. 이 때 삽입부 (12d) 를 가짐으로써 그 마찰력 및 항력에 의해 이러한 회동에 대항할 수 있고, 삽입부 (12d) 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보다 높은 확실도로 플러그 (12) 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 있어서, 도 5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결부 또는 관통공을 플러그 (12) 와 삽입부 (12d) 의 전체에 형성함으로써, 통음공 (12c) 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수면시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안전성이 확보되고 또한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외이도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얼굴의 전방 또한 상방으로 완만하게 굴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삽입부 (12d) 를 외이도의 형상을 따라 변형시킬 수 있음으로써, 외이도에 대한 마찰력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에게 위화감이나 압박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12) 를 실리콘 고무로 형성한 경우에, 삽입부 (12d) 는 이것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 예를 들어 우레탄 등의 저반발재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플러그 (12) 와 삽입부 (12d) 를 실리콘 고무 등의 동일한 재질로 일체 성형한 경우에는, 도 5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부 (12d) 에 직경 2 ㎜ 정도의 공동 (12e) 을 형성함으로써 강성을 저하시켜, 변형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공동이 통음공 (12c) 를 겸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은, 형상을 단순화하고 성형을 용이하게 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한 양태이다.
또는 도 5 의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12) 의 중심 CL 에 대해 삽입부 (12d) 의 중심이 어느 정도의 각도를 갖도록 삽입부 (12d) 를 형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으로 외이도는 사용자의 얼굴의 전방 또한 상방으로 완만하게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부 (12d) 는, 장착시에 사용자의 얼굴의 전방 또한 상방을 향하여 외이도를 따라 삽입되는 각도로 형성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삽입부 (12d) 를 외이도를 따라 변형시킴으로써 플러그 (12) 에 응력이 작용하여, 이주에 대한 플러그 (12) 의 위치가 미묘하게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플러그 (12) 와 이주의 위치 관계를 바람직하게 유지하면서 삽입부 (12d) 와 외이도의 마찰력이 얻어지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탈락이 방지된다. 그와 함께, 사용자에게 압박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은, 삽입부 (12d) 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삽입부 (12d) 는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과, 삽입 방향과 대략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부위를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120d) 주위에 칼의 날밑과 같은 형상의 마찰판 (121d) 을 복수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 6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120d) 주위에 나사의 홈을 형성하듯이 마찰판 (121d) 을 나선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도 6 의 (A), (B) 의 경우에 있어서의 마찰판 (121d) 의 평면 형상은, 예를 들어 도 6 의 (C) 에 나타내는 원형, 도 6 의 (D) 에 나타내는 클로버형, 도 6 의 (E) 에 나타내는 하트형 등, 여러 가지 임의의 형상이 가능하다. 또는 마찰판 (121d) 마다 형상을 바꾸어도 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도 6 의 (C) 의 원형 형상의 경우에는 절결부나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통음공 (12c) 이 확보된다. 또, 도 6 의 (D) 의 클로버형이나 도 6 의 (E) 의 하트형 등의 경우에는, 절결부나 관통공을 특별 형성하지 않아도 통음공 (12c) 으로서의 간극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 의 (A) ∼ (E) 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마찰판 (121d) 은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외이도의 직경에 개인차가 있어도, 삽입부 (12d) 를 외이도에 삽입했을 때에 마찰판 (121d) 이 휘어 외이도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외이도에 대한 마찰력이 높아져, 확실하게 플러그 (12) 와 삽입부 (12d) 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그와 함께, 외이도에 대한 접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압박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도 6 의 (A) ∼ (E) 에 나타낸 구성에 도 5 의 (C) 에서 나타낸 구성을 적용하여, 축 (120d) 에 공동을 형성함으로써 삽입부 (12d) 전체를 변형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는 플러그 (12) 의 중심에 대해 축 (120d) 이 외이도를 따른 각도를 갖도록 형성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외이도에 대한 마찰력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에게 위화감이나 압박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외이도에 대한 마찰력을 유지하면서 외이도에 대한 접촉을 경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12) 의 탈락을 방지함과 함께, 사용자의 위화감이나 압박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플러그 (12) 의 중심과 축 (120d) 의 중심을 어긋나게 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6 의 (F) 는,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의 플러그 (12) 의 중심과 축 (120d) 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12) 의 중심 (CL) 과 축 (120d) 의 중심을 어긋나게 함으로써, 플러그 (12) 의 이주에 대한 위치 관계와 축 (120d) 을 포함하는 삽입부 (12d) 의 외이도에 대한 위치 관계를 바람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축 (120d) 을,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함과 함께 내부에 공동 (121h) 을 형성함으로써, 외이도를 따라 축 (120d) 을 변형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축 (120d) 에 형성되는 공동 (121h) 은 밀폐된 공간으로 함으로써, 축 (120d) 을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과 함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도 6 의 (G)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12) 의 중심 (CL) 에 대해 축 (120d) 이 외이도를 따른 각도를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플러그 (12) 및 삽입부 (12d) 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6 의 (F), (G) 에서는, 마찰판 (121d) 의 직경은, 선단부만큼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외이도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삽입부 (12d) 의 외이도에 대한 마찰력을 유지하면서 외이도에 대한 접촉을 경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탈락을 방지함과 함께, 사용자의 위화감이나 압박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의 제 2 실시예]
도 7 은, 고정 부재로서의 플러그 (12) 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의 (A) 에는, 우 방향의 플러그 (12) 를 예를 들어 그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7 의 (B) 에는 동 측면도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연결부 (12b) 의 도시는 생략된다. 또, 도 8 은, 제 2 실시예의 사용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에는, 우 방향의 귀를 예를 들어 귀의 각 부 명칭과 플러그 (12) 가 끼워 넣어진 상태를 점선으로 나타낸다.
먼저, 도 7 의 (A), 도 8 에서는, 지면의 우 방향이 전방 요컨대 사용자의 안면측에, 지면의 좌 방향이 후방, 요컨대 사용자의 후두부측에 대응하고, 지면에 대한 수직 방향이 사용자의 좌우 방향에 대응한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플러그 (12) 는,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판 형상편에 의해 구성되고, 장착했을 때에 이주 내측의 패인 곳로부터 대 (對) 이주 내측의 패인 곳까지 달하는 길이 방향인 길이 L 을 갖는다. 여기서, 플러그 (12) 는, 예를 들어 전후 및/또는 상하에 비대칭인 대략 타원 형상, 바람직하게는 외경 R′의 대경부와 외경 r′의 소경부가 전후 방향으로 연결된 잠두콩의 형상을 갖는다.
플러그 (12) 는, 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걸리는 걸림부 (124a) 에 더하여 길이 방향에 있어서 걸림부 (124a) 와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 대이주 (對耳珠) 내측의 패인 곳에 걸리는 걸림부 (124b) 를 갖는다. 걸림부 (124a) 는, 이주 내측의 패인 곳의 형상을 따른 상하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만곡된 면을 갖는다. 동일하게, 걸림부 (124b) 는, 대이주 내측의 패인 곳의 형상을 따른 상하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만곡된 면을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12) 는, 주간절흔 (珠間切痕) 내측의 패인 곳에 걸리는 걸림부 (124c) 를 갖는다. 걸림부 (124c) 는, 주간절흔 내측의 패인 곳의 형상을 따른 상하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만곡면을 갖는다.
도 7 의 (B) 는, 도 7 의 (A) 에 있어서의 화살표 P 로부터의 측면도에 대응한다. 도 7 의 (B) 에서는, 지면의 상방이 사용자의 우 방향에 대응하고, 지면의 하방이 사용자의 좌 방향, 요컨대 헤드부측에 대응한다. 바람직한 양태 중 하나로는, 플러그 (12) 는 그 측면 형상에 있어서, 걸림부 (124a) 가 외이도의 입구를 향해 굴곡되고, 걸림부 (124b) 가 걸림부 (124a) 와 반대 방향으로 굴곡된다. 요컨대, 플러그 (12) 는 전체적으로 완만한 S 자형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플러그 (12) 에 있어서,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L 의 바람직한 치수는, 예를 들어 13 ∼ 30 ㎜ 이다. 또, 대경부에 있어서의 외경 R′의 바람직한 치수는, 예를 들어 13 ∼ 20 ㎜ 이다. 한편, 소경부에 있어서의 외경 r′의 바람직한 치수는, 예를 들어 7 ∼ 15 ㎜ 이다. 또한, 플러그 (12) 의 두께 H′의 바람직한 치수는, 예를 들어 2 ∼ 10 ㎜ 이다. 단, 여기에 나타내는 플러그 (12) 의 형상·치수는 일례로서, 대경부, 소경부가 정확한 원호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러그 (12) 는, 예를 들어, 평면이나 자유 곡면에 의해 형성되는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 걸림부 (124a, b, 또는 c) 의 형상도, 각각이 이주, 대이주, 또는 주간절흔에 걸릴 수 있으면,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걸림부 (124a) 가 걸리는 것에 더하여 대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걸림부 (124b) 가 걸린다. 따라서, 이주가 작은 사용자라도 플러그 (12) 가 잘 이탈되지 않게 된다. 특히, 도 7 의 (B) 에 있어서 화살표 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12) 전체를 전방으로 선회시키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걸림부 (124b) 가 대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걸림으로써, 플러그 (12) 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점에서, 상기 제 1 실시예는 삽입부 (12d) 가 외이도 내에서 걸림으로써 플러그 (12) 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했지만, 제 2 실시예는 삽입부 (12d) 를 갖지 않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외이도에 통증이나 이물감을 느끼기 쉬운 사용자도, 장시간의 장착에 견딜 수 있다. 단,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걸림부 (124a) 와,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삽입부 (12d) 를 모두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걸림부 (124b) 가 대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걸림과 함께 삽입부 (12d) 가 외이도 내에서 걸리기 때문에, 훅을 더욱 강화할 수 있고, 보다 확실하게 플러그 (12) 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12) 는, 걸림부 (124c) 가 주간절흔 내측의 패인 곳에 걸림으로써, 훅력이 강화된다.
상기에 있어서, 걸림부 (124a, b 및 c) 가 이주, 대이주, 및 주간절흔 각각의 내측의 패인 곳의 형상을 따른 만곡면을 갖는 것은,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고 훅력을 강화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또, 걸림부 (124a) 가 외이도의 입구를 향하여 굴곡되고, 걸림부 (124b) 가 걸림부 (124a) 와 반대 방향, 요컨대 대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밀착하도록 굴곡됨으로써도, 이주 내측의 패인 곳와 대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대한 접촉 면적이 더욱 증대되어, 훅력이 강화된다.
또,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플러그 (12) 에 외이도에 통과하는 통음용의 절결 (또는 구멍 ; 124d) 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외부 환경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안전성과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바람직한 양태 중 하나로는, 플러그 (12) 가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주와 대이주의 거리에 개인차가 있는 경우라도, 동일 사이즈의 플러그 (12) 가 장착 가능해진다. 신축성을 얻기 위해서, 플러그 (12) 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천연 고무, 폴리스티렌 고무, 폴리이소프렌 고무,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우레탄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일체 성형되고, 플러그 (12) 보다 큰 강성을 갖는 연결부 (12b) 와 연결된다. 탄성 부재가 쿠션으로서 기능함으로써, 사용자의 고통을 저감시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플러그 (12) 가 측면 형상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S 자 형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플러그 (12) 가 길이 방향에서 쉽게 휘어져, 신축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9 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 (D) 에는, 플러그 (12) 를 전체로서 길이 방향으로 쉽게 휘게 하여 신축성을 얻는 예가 도시된다.
도 9 의 (A) 는, 플러그 (12) 의 소경부에 구멍 (125a) 을 형성한 예이다. 도 9 의 (B) 는, 플러그 (12) 의 소경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사각형 형상의 슬릿 (125b) 을 형성한 예이다. 도 9 의 (C) 는, 플러그 (12) 의 소경부에 공동 (중공 혹은 패인 곳 ; 125c) 을 형성한 예이다. 도 9(D) 는, 플러그 (12) 의 소경부에 절결 (125d) 을 형성한 예이다.
도 9 의 (A) ∼ (D) 에서는, 구멍 (125a) 이나 슬릿 (125b), 공동 (125c), 또는 절결 (125d) 이 형성된 소경부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저하되기 때문에, 그 지점에서 플러그 (12) 가 쉽게 휘어진다. 따라서, 플러그 (12) 는 전체로서 휨으로써,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신축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플러그 (12) 에 형성한 구멍 (125a) 이나 슬릿 (125b), 또는 절결 (125d) 이 통음공을 겸해도 된다.
도 10 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플러그 (12) 와 연결부 (12b) 의 접속 구조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의 (A) 에는, 우 방향의 플러그 (12) 를 예를 들어 그 평면도가 연결부 (12b) 의 일부와 함께 도시된다. 도 10 의 (B) 에는, 도 10 의 (B) 에 있어서의 NN′에서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10 의 (A), (B) 에서는, 지면의 우 방향이 전방에, 지면의 좌 방향이 후방에 대응한다.
여기서는, 플러그 (12) 가, 내부 구조 (12i) 와 외부 구조 (12o) 로 분할되고, 내부 구조 (12i) 와 외부 구조 (12o) 는, 각각 상이한 부재로 구성된다. 즉, 내부 구조 (12i) 는 연결부 (12b) 와 일체 성형되고, 이것들은 나일론 등,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갖는 부재로 형성된다. 한편, 플러그 (12) 의 외부 구조 (12o) 는, 실리콘 고무나 우레탄 등의 탄성 부재로 형성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플러그 (12) 전체로서 어느 정도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이주나 대이주 내측에 끼워 넣었을 때의 마찰력을 크게 할 수 있어, 플러그 (12) 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그것과 함께, 접촉을 부드럽게 하여 사용자의 고통을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12)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 (12i) 의 길이 L′ 를 짧게 함으로써, 플러그 (12)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외부 구조 (12o) 의 길이 L1, L2 를 길게 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플러그 (12)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신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12)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 (12i) 의 길이 L′ 의 바람직한 치수는, 예를 들어 3 ∼ 15 ㎜ 이다. 또, 플러그 (12)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외부 구조 (12o) 의 내부 구조 (12i) 로부터 전방의 길이 L1 의 바람직한 치수는, 예를 들어 0.5 ∼ 26 ㎜ 이다. 한편, 내부 구조 (12i) 로부터 후방으로의 길이 L2 의 바람직한 치수는, 예를 들어 0.5 ∼ 26 ㎜ 이다. 또한, 여기에 나타내는 형상·치수는 예로서, 상기 요건을 만족하는 여러 가지 형상·치수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걸림부 (124a, b), 및 전후 방향의 길이 L 을 갖고 있으면, 상하의 치수가 이륜각 (耳輪脚) 에 이르는 크기여도 된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는, 화살표 D1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12) 가 연결부 (12b) 와의 접속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변형됨으로써, 전후 방향의 경동 (傾動) 동작을 모의할 수 있다. 사용자의 귀의 각도에는 개인차가 있어, 귀가 비교적 전방을 향한 사용자도 있으면, 귀가 비교적 좌우의 측면 방향을 향한 사용자도 있다. 그러나, 플러그 (12) 가 전후 방향으로 경동함으로써, 이러한 개인차에 대응할 수 있고, 사용자의 귀의 각도에 의존하지 않고, 플러그 (12) 가 예정된 위치에 걸린다.
바람직한 양태 중 하나로는, 플러그 (12) 의 외부 구조 (12o) 와 내부 구조 (12i) 를 서로 끼워 맞춤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플러그 (12) 를 분해하고 세정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러그 (12) 의 외부 구조 (12o) 와 내부 구조 (12i) 의 조합은, 좌우로 상이한 끼워 맞춤 형상을 갖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어, 도 10 의 (C) 에 나타내는 플러그 (12) 의 외부 구조 (12o) 와 같이, 끼워 맞춤부 (124k) 는 위로 열린 C 자 형상으로서, 전후로 비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플러그 (12) 와 좌우 반대의 연결부 (12b) 를 끼워 맞추려고 하면, 끼워 맞출 수 없기 때문에, 조립 미스를 용이하게 알 수 있어, 정확한 조립을 지원할 수 있다. 또, 플러그 (12) 의 외부 구조 (12o) 에 있어서, 끼워 맞춤부 (124k) 의 C 자 형상을 따라 통음용의 절결 (혹은 구멍 ; 124d) 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에 나타내는 예에 한정하지 않고, 끼워 맞춤부의 형상은 여러 가지 가능하다. 좌우가 완전히 상이한 형상이어도 물론 된다.
[고정 부재의 제 3 실시예]
도 11 은, 고정 부재로서의 플러그 (12) 의 제 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3 실시예는, 플러그 (12) 의 탈락을 보다 높은 확실도로 방지하는 데에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제 3 실시예는 단독으로, 또는 상기 서술한 제 1, 제 2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시에 실시 가능하다.
도 11 의 (A) 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장착구 (14) 는, 귀 주위에 걸어 맞출 수 있는 걸어 맞춤 부재로서, 훅 형상의 귀걸이부 (13) 를 추가로 갖는다. 귀걸이부 (13) 는, 스트랩 (10) 에 있어서의 플러그 (12) 가 연결되는 단부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1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귀걸이부 (13) 는 플러그 (12) 의 연결부 (12b) 에 연결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플러그 (12) 와 귀걸이부 (13) 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의 동일한 재질로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혹은 플러그 (12) 와 귀걸이부 (13) 는 다른 재질로 형성해도 되는데, 그 경우, 귀걸이부 (13) 는 훅 형상을 유지하면서 귀 주위에 쉽게 걸리도록, 어느 정도의 탄력성과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질의 예로서 나일론,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셀룰로이드 등의 수지, 또는 티탄,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두랄루민 등의 금속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귀걸이부 (13) 를 형성함으로써, 플러그 (12) 의 탈락을 보다 높은 확실도로 방지할 수 있다. 또는 플러그 (12) 가 탈락한 경우라도, 귀걸이부 (13) 에 의해 장착구 (14) 전체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귀걸이부 (13) 의 점선 AB 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을, 도 11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귀 주위에 접촉하는 측이 곡선을 형성하는 방추형이나 원형으로 하는 것은, 귀걸이부 (13) 가 귀 주위에 파고드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바람직한 양태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 특히, 방추형으로 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에 베개 등으로 귀를 압박해도, 도 11 의 (B) 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의 상부 A 부근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압박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귀걸이부 (13) 의 단면의 직경은 일정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귀 주위에 걸어 맞출 때에 가장 훅력을 발휘하는 중앙부 부근 (13b) 에서는 직경을 크게 하고, 선단부 (13a) 에서는 직경을 작게 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중앙부 부근 (13b) 에서는 비틀림을 방지하여 훅 형상을 유지하고, 귀 주위에 쉽게 걸리게 함과 함께, 귀 주위에 대한 파고듦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선단부 (13a) 에서는 귀 주위의 형상을 따라 어느 정도 변형 가능하게 할 수 있어, 귀 주위에 대한 압박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도 11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12) 에 대해 화살표 (T4) 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귀걸이부 (13) 가 회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12) 와 귀걸이부 (13) 를 별도 부품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조합해도 되고, 어느 정도의 탄력성을 갖는 실리콘 고무 등의 단일 재질로 일체 성형하고, 비틈으로써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귀걸이부 (13) 를 귀 주위에 걸어 맞춘 후, 플러그 (12) 를 회동시키면서 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끼워넣거나 또는 플러그 (12) 를 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끼워넣은 후, 귀걸이부 (13) 를 회동시키면서 귀 주위에 걸어 맞추는 동작 순서에 의해 장착구 (14) 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12) 와 귀걸이부 (13) 가 회동하지 않는 경우보다 용이하게 장착구 (14) 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1 의 (A) ∼ (C) 에서 나타내는 귀걸이부 (13) 는, 귀 주위에 대한 침투를 경감시키는데, 예를 들어 직경 3 ∼ 1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 수치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1 의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귀걸이부 (13) 는 고리형이어도 된다. 이 경우,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귀걸이부 (13) 를 형성함으로써, 귀 주위에 걸어 맞춤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것은 이른바 감기 마스크식의 형상이지만, 이러한 귀걸이부 (13) 라도, 이것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러그 (12) 의 보조적 수단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귀걸이부 (13) 를 사용함으로써, 플러그 (12) 의 탈락을 보다 높은 확실도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2 는, 플러그 (12) 와 귀걸이부 (13) 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도 12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12) 와 귀걸이부 (13) 는 착탈 가능한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플러그 (12) 는, 적당한 탄력성, 내구성, 생체 적합성을 갖는 경도 40 정도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귀걸이부 (13) 는 어느 정도의 탄력성과 강성을 갖는 나일론 재질로, 연결부 (12b), 버클 (12a) 과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플러그 (12) 에 형성된 구멍부 (122b) 에, 귀걸이부 (13) 측의 끼워 맞춤부 (122a) 가 끼워 넣어져 서로 장착된다.
또한 여기서는, 플러그 (12) 는, 도 6 의 (F) 또는 (G) 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있어서의 형상의 외관이 도시된다. 이 경우, 도 6 의 (F) 또는 (G) 로 나타내는 공동 (121h) 은 구멍부 (122b) 와 연통하고 있어도 되고, 연통하고 있지 않아도 되는데, 연통된 구성으로 함으로써,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러그 (12) 와 귀걸이부 (13) 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분해하여 세정하거나 마모된 부품별로 교환하거나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있어서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이 변형예에서는, 귀걸이부 (13) 의 선단부 (13a) 는, 그 확대도가 도 12 의 (B)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경이 단속적으로 변화하는, 말하자면 원반이 꼬치에 꽂혀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귀걸이부 (13) 전체를 동일 재질로 일체 성형했을 때에, 선단부 (13a) 의 강성을 상대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중앙부 부근 (13b) 에서는 비틀림을 방지하여 훅 형상을 유지하고, 귀주위에 쉽게 걸리게 함과 함께, 귀 주위에 대한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선단부 (13a) 에서는 귀 주위의 형상을 따라 어느 정도 변형 가능하게 할 수 있어, 귀 주위에 대한 압박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2 의 (A) 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을 X 축, 세로 방향을 Y 축, 지면과 수직 방향을 Z 축으로 하고, Y-Z 축에 있어서의 외관을 도 12 의 (C) 에 나타내면, 중앙부 부근 (13b) 으로부터 연결부 (12b) 에 걸친 부분과 선단부 (13a) 가 Y-Z 축 방향으로 상이한 각도를 갖도록, 귀걸이부 (13) 를 전체로서 비틀린 입체적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착했을 때에, 귀 주위의 곡면 형상을 따라 귀걸이부 (13) 의 형상이 쉽게 적합해진다. 따라서, 귀걸이부 (13) 가 귀 주위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됨과 함께, 사용자에 대한 접촉을 부드럽게 하여 고통을 방지할 수 있다.
[2] 장착구의 제 2 실시형태
도 13 은, 장착구 (14) 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장착구 (14) 는, 스트랩 (10) 의 호흡용 마스크 (8) 에 연결되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귀의 위치에서 고정된다. 도 13 은, 예로서 우이용의 장착구 (14) 를 나타내고, 지면의 우 방향이 전방, 지면의 좌 방향이 후방에 대응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장착구 (14) 는, 상하가 반전된 U 자 형상으로 굴곡된 프레임부 (130a) 를 갖는다. 프레임부 (130a) 는, 그 일단측에 스트랩 (10) 과 연결하기 위한 버클 (12a) 을 갖고, 타단측에 탄성 지지부 (130b) 를 갖는다. 탄성 지지부 (130b) 는 프레임부 (130a) 의 내측에 형성된다. 프레임부 (130a) 와 탄성 지지부 (130b) 는 전체로서 헤어핀 커브를 그리는 형상으로 일체 성형되어 커브 부분 (130c) 에서 서로 결합한다. 프레임부 (130a) 와 탄성 지지부 (130b) 란, 예를 들어, 상기 귀걸이부 (13) 와 마찬가지로, 어느 정도 탄력성과 강성을 갖는, 나일론,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셀룰로이드 등의 수지, 또는 티탄,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두랄루민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다.
탄성 지지부 (130b) 는, 프레임부 (130a) 의 상하 길이의 1/2 ∼ 3/4 정도의 길이를 가짐과 함께 대략 귀밑둥의 형상을 따라 완만하게 굴곡되고, 그 선단은 프레임부 (130a) 로부터 이간된다. 프레임부 (130a) 와 탄성 지지부 (130b) 란, 각각의 단면이 대략 원형으로 구성된다. 커브 부분 (130c) 은, 그 직경이 프레임부 (130a) 또는 탄성 지지부 (130b) 의 다른 부분보다 작게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강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탄성 지지부 (130b) 는, 커브 부분 (130c) 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D2)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경동한다.
또한, 여기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러그 (12) 와 동시에 제 2 실시형태가 실시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는데, 제 2 실시형태는 단독으로 실시 가능하다. 또, 제 2 실시형태를 실시할 때의 호흡용 마스크는, 콧구멍부 주변만을 덮는 호흡용 마스크여도 되고, 콧구멍부와 입을 덮는 호흡용 마스크여도 된다.
도 14 는, 도 13 에 나타낸 장착구 (14) 의 사용 상황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 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러그 (12) 의 도시가 생략 되어 있다. 도 14 에는, 예로서 오른쪽 귀를 나타내고 지면의 우 방향이 전방, 지면의 좌 방향이 후방에 대응한다. 프레임부 (130a) 는, 이개의 주위를 우회하고, 이것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탄성 지지부 (130b) 는 프레임부 (130a) 의 내측에 있어서 귀의 배후로부터 귀밑둥에 맞닿게 하고, 전방으로 탄성 지지된다. 또한, 장착구 (14) 가 보다 확실하게 고정되기 위해서는, 프레임부 (130a) 및 탄성 지지부 (130b) 가, 사용자의 측두부에 있어서의 귀밑둥의 형상을 따르도록, 사용자에게 있어서 좌우 방향, 즉, 본 도면에 있어서는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굴곡된 형상이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레임부 (130a) 가 이개의 주위를 우회하고 둘러싸기 때문에, 버클 (12a) 에 연결된 스트랩 (10) 의 장력에 의한 부하가 귀밑둥에 국소적으로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감기 마스크식 장착구에 있어서, 고무줄 등에 의한 부하가 귀밑둥에 국소적으로 걸림으로써 통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귀밑둥의 상단부에 고무줄이 파고 들어 통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에도, 프레임부 (130a) 가 귀와 헤드부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귀가 압박을 받아, 귀의 뒤편이나 헤드부에 프레임부 (130a) 가 파고 들어 통증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지지부 (130b) 가 귀밑둥 전체에 걸쳐서 탄성 지지함으로써, 확실하게 호흡용 마스크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 귀의 형태나 크기에 개인차가 있는 경우라도 탄성 지지부 (130b) 와 귀밑둥의 간극이 발생되기 어렵고, 훅력이 강화된다. 따라서, 장착구가 어긋남으로써 그 부분이 스쳐 통증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호흡용 마스크의 장착에 수반되는 통증이나 불쾌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5 는, 탄성 지지부 (130b) 형상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 의 (A) 는, 탄성 지지부 (130b) 의 선단이 프레임부 (130a) 에 접속된 루프 형상을 갖는 예이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지지부 (130b) 의 직경이 프레임부 (130a) 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된다. 이로써, 탄성 지지부 (130b) 에 의해 형성된 루프가 휨으로써 탄성 지지를 실시한다. 도 15 의 (B) 는, 탄성 지지부 (130b) 가 그 선단에서 프레임부 (130a) 에 접속됨과 함께 주름 형상을 갖고, 주름 형상이 신축됨으로써 탄성 지지를 실시하는 예이다. 도 15 의 (C) 는, 탄성 지지부 (130b) 가, 프레임부 (130a) 의 선단이 아닌 중심부에서 프레임부 (130a) 와 일체화되는 한편, 선단이 프레임부 (130a) 로부터 이간되어, 전체로서 분기된 형상이 되는 예이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지지부 (130b) 의 직경이 프레임부 (130a) 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된다. 이로써, 탄성 지지부 (130b) 가 화살표 (D3) 방향으로 경동되기 쉬워지고, 경동됨으로써 탄성 지지를 실시한다. 또한, 프레임부 (130a) 에 대해 스펀지 등의 저반발 소재나 알파겔, 금속제 스프링 등의 별도의 부재를 탄성 지지부 (130b) 로서 형성하는 경우도, 제 2 실시형태에 포함된다.
도 16 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 의 (A) 는, 버클 (12a) 이 복수의 스트랩 통과공 (12s) 을 갖는 장착구 (14) 의 예이다. 이로써, 스트랩 (10) 의 길이가 단계로 조절 가능해져, 장착시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도 16 의 (B) 는, 스트랩 통과공 (12s) 의 각도를 변경하여 부채 형상으로 배치한 예이다. 이로써, 프레임부 (130a) 에 대한 스트랩 (10) 의 각도가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콧구멍부와 귀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의 개인차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6 의 (C) 는, 이륜각 (도 8 참조) 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 (130d) 를 프레임부 (130a) 에 구비한 장착구 (14) 의 예이다. 이로써, 훅력이 강화된다. 또, 도 16 의 (D) 는, 프레임부 (130a) 가 그리는 U 자 형상의 내측에 리브 (130e) 를 형성한 장착구 (14) 의 예이다. 점선 FF′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을 하단에 나타낸다. 이로써, 프레임부 (130a) 의 직경을 작게 하여 소형화·경량화하는 한편, 프레임부 (130b) 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는 리브 (130e) 를 형성하는 대신에, 프레임부 (130a) 의 단면이, 내측 (F) 이 오므라든 방추 형상의 단면이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여기서, 리브 (130e) 혹은 방추 형상으로 한 경우의 에지는, 귀밑둥의 상부에 접하지 않게 이것을 우회하는 치수·형상으로 함으로써, 리브 (130e) 와 귀밑둥의 상부가 스쳐 통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를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러그 (12) 와 함께 실행하는 경우, 탄성 지지부 (130b) 에 의해 탄성 지지됨으로써, 이주나 대이주에 이러한 힘을 분산할 수 있다. 따라서, 호흡용 마스크의 장착에 수반되는 사용자의 고통이나 불쾌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3] 장착구의 제 3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장착구 (14) 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지지 부재를 갖는다.
도 17 은, 지지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 의 (A)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우 방향의 스트랩 (10) 을 예로, 스트랩 (10) 에 형성되는 지지 부재를 나타낸다. 단, 제 3 실시형태는 단독으로, 혹은 제 1, 제 2 실시형태, 혹은 다른 장착구의 어느 하나 이상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또, 제 3 실시형태를 실시할 때의 호흡용 마스크는, 콧구멍부 주변만을 덮는 호흡용 마스크여도 되고, 콧구멍부와 입을 덮는 호흡용 마스크여도 된다.
도 17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랩 (10) 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스트랩 (10) 보다 큰 강성을 갖고, 또한 폭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지지 부재로서 패널 (16) 이 형성된다. 패널 (16) 은, 강성에 더하여 바람직하게는 내구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아세탈,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스트랩 (10) 과 패널 (16) 이란, 적어도 패널 (16) 의 주연부로 봉합이나 수지 접착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패널 (16) 의 단부에는, 호흡용 마스크 (8) 의 측부에 대해 끼워 맞출 수 있는 끼워 맞춤부 (16a) 가 형성된다. 이로써, 스트랩 (10) 은 패널 (16) 에 의해 호흡용 마스크 (8) 와 연결된다.
패널 (16) 은 스트랩 (10) 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짐과 함께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갖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첫번째로, 가압된 호흡용 기체가 호흡용 마스크 (8) 내에 공급되고 스트랩 (10) 의 길이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했을 때에도,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응력에 의해 스트랩 (10) 의 성장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부에 호흡용 마스크 (8) 를 밀착시킬 수 있다. 두번째로, 호흡용 마스크 (8) 를 스트랩 (10) 의 폭 방향으로 비트는 외력 (화살표 (T5) 로 표시) 이 작용한 경우에도,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응력에 의해 스트랩 (10) 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호흡용 마스크 (8) 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패널 (16) 은, 호흡용 마스크 (8) 의 측부와 연결되는 단부 부근에서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갖는 평면부 (16b) 를 갖는다. 예를 들어, 길이 방향 3 ∼ 15 ㎝, 폭 2 ∼ 5 ㎝ 의 패널 (16) 에 대해, 평면부 (16b) 는, 길이 방향으로 1 ㎝ 이상, 폭 방향으로 2 ㎝ 이상의 평면 영역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폭 방향에 있어서의 비틀림에 대한 응력을 크게 할 수 있고, 비틀림을 보다 높은 확실도로 방지할 수 있다. 단, 평면부 (16b) 의 사이즈는 상기 수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패널 (16) 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에서, 호흡용 마스크 (8) 에 연결되는 단부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도 17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흡용 마스크 (8) 에 연결되는 단부의 폭 W1 에 대해, 길이 방향의 중앙부 부근으로부터 플러그 (12) 에 가까운 부분에서는 폭 W1 보다 좁은 폭 W2 를 갖는다. 즉, 말하자면 패널 (16) 상부가 도려내진 형상을 갖는다.
호흡용 마스크 (8) 를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부에 고정시켜, 어긋남을 방지하는 데 있어서 패널 (16) 은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갖는 것이 요구되지만,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장착했을 때에는, 스트랩 (10) 은 광대뼈 위를 통과하기 때문에, 패널 (16) 을 스트랩 (10) 의 전체면에 형성하면 패널 (16) 이 광대뼈에 접촉되어 고통을 줄 우려가 있다. 그래서 패널 (16) 을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광대뼈에 대한 접촉을 방지하고 (혹은 광대뼈에 접촉했다고 하더라도 그 면적을 작게 함), 사용자에게 고통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널 (16) 이 장착될 때의 스트랩 (10) 의 형상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스트랩 (10) 에 있어서의 플러그 (12) 의 버클 (12a) 을 통과하여 되접어 꺾는 부분의 폭 W3 을, 패널 (16) 이 형성되는 부분의 폭 W4 보다 좁게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 패널 (16) 을, 되접어 꺾인 스트랩 (10) 과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패널 (16) 과 되접어 꺾인 스트랩 (10) 이 중복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점에 의해서, 버클 (12a) 을 통과한 스트랩 (10) 의 선단을 되접어 꺾었을 때에, 그 선단에 형성된 면파스너 (10b) 가 걸리는 스트랩 (10) 의 표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스트랩 (10) 길이의 조정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그와 함께, 되접어 꺾인 스트랩 (10) 의 선단 및 면파스너 (10b) 와 패널 (16) 은 서로 중복되지 않는 위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스트랩 (10) 및 패널 (16) 전체로서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 얼굴의 측면을 베개로 가압할 때에, 스트랩 (10) 과 패널 (16) 이 안면에 파고드는 것에 의한 고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널 (16) 에 좌우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 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16) 에 있어서의 호흡용 마스크 (8) 와의 끼워 맞춤부 (16a) 부근을 확대하여 도 17 의 (B) 에 나타내면, 패널 (16) 에 돌기 (16p) 를 형성하고, 돌기의 유무나 그 수에 의해 좌우를 판별할 수 있다. 또, 판별 수단으로서 돌기 이외에 문자나 기호, 무늬를 형성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장착구 (14) 를 호흡용 마스크 (8) 에 연결할 때에 용이하게 좌우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구 (14) 를 분해하고 세정하여, 사용자가 재차 이것을 조립할 때에, 효율적으로 또한 정확한 작업을 지원할 수 있다.
또, 도 17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 (16) 은, 플러그 (12) 와 귀걸이부 (13) 가 병용되는 경우에도, 스트랩 (10) 에 대해 적용된다. 이 경우, 귀걸이부 (13) 에 의해 플러그 (12) 의 탈락을 방지하는 효과에 더하여, 패널 (16) 에 의해 스트랩 (10) 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더해져, 호흡용 마스크 (8) 를 더욱 확실하게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부에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8 은, 패널 (16) 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 의 (A) ∼ (C) 는, 평면부 (16b) 형상의 예를 나타낸다. 도 18(A) ∼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부 (16b) 는, 스트랩 (10) 을 되접어 꺾었을 때의 선단부가 겹치지 않도록, 선단부에 형성되는 면파스너 (10b) 의 형상에 대응되는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도 18 의 (D) 는, 플러그 (12) 와 연결되는 단부 근처에서 폭이 넓어지는 패널 (16) 형상의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하면,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평면부 (16b, 16c) 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7 의 (A), 또는 도 18 의 (A) ∼ (C) 에 나타낸 경우보다 폭 방향에 있어서의 비틀림에 대한 응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패널 (16)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에서의 폭을 좁게 함으로써, 되접어 꺾이는 스트랩 (10) 의 선단부의 면파스너 (10b) 가 스트랩 (10) 의 중앙 부근에 걸린다. 따라서, 길이 조정의 자유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비틀림을 방지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패널 (16) 이 광대뼈에 접촉되는 것을 피해 사용자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트랩 (10) 과 패널 (16) 이 중복되어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에 스트랩 (10) 이 안면에 파고듦으로써 고통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장착구의 제 4 실시형태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장착구 (14) 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지지 부재를 갖는다. 이 지지 부재는, 호흡용 마스크 (8) 에 고정되는 제 1 판 형상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에 고정되는 제 2 판 형상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제 2 판 형상 부재는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4 실시형태는 단독으로, 혹은 제 1, 제 2 실시형태, 혹은 다른 장착구의 어느 하나 이상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또, 제 4 실시형태를 실시할 때의 호흡용 마스크는, 콧구멍부 주변만을 덮는 호흡용 마스크 (8) 여도 되고, 콧구멍부와 입을 덮는 호흡용 마스크여도 된다.
도 19 는, 지지 부재로서의 패널 (16) 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 의 (A) 는, 우 방향 패널 (16) 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19 의 (B) 는 화살표 P′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패널 (16) 은, 호흡용 마스크 (8) 와 연결되는 끼워 맞춤부 (16a) 를 구비한 제 1 판 형상 부재 (160a) 와, 스트랩 (10) 에 연결되는 제 2 판 형상 부재 (160b) 로 구성된다. 판 형상 부재 (160a, 160b) 는, 서로 회동축 (160c) 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조합된다. 회동축 (160c) 은, 판 형상 부재 (160a) (또는 160b) 측에 형성된 돌기가, 판 형상 부재 (160b) (또는 160a) 측에 형성된 구멍 (혹은 오목부나 절결) 에 끼워 넣어져 구성된다. 여기서는, 판 형상 부재 (160a) 와, 판 형상 부재 (160b) 의 판 형상 부재 (160a) 와 중복되는 부분은 부채 형상으로 구성되고, 부채의 중심 부분에 회동축 (160c) 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의 판 형상 부재 (160a, 160b) 의 두께는, 0.1 ∼ 3 ㎜ 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판 형상 부재 (160a) 를 호흡용 마스크 (8) 와 연결하고, 판 형상 부재 (160b) 를 스트랩 (10) 과 연결함으로써, 호흡용 마스크 (8) 와 스트랩 (10) 의 각도가 가변이 된다. 여기서, 회동축 (160c) 은, 사용자가 호흡용 마스크 (8) 를 장착했을 때의 콧구멍의 하단과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콧구멍의 하단을 중심으로 한 호흡용 마스크 (8) 의 각도 조절이 가능해진다. 이것을, 도 20 을 사용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도 20 은, 제 4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는, 콧구멍부 주변만을 덮는 호흡용 마스크 (8) 와 동시에 실시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도 20 에는, 사용자의 옆 얼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콧구멍이 위를 향한 각도 α 인 경우와, 콧구멍이 아래를 향한 각도 β 인 경우를 대표적으로 나타낸다. 사용자의 콧구멍의 각도는 대체로 각도 α 와 각도 β 사이의 각도를 갖는 것으로 한다.
호흡용 마스크 (8) 는, 콧구멍부를 덮고, 콧구멍 주변에 맞닿는 주연부에 간극이 생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콧구멍의 각도에는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호흡용 마스크 (8) 의 주연부의 각도 (요컨대, 호흡용 마스크 (8) 의 각도) 를 콧구멍의 각도에 맞추어 조절하고, 주연부를 콧구멍 주변에 밀착시킬 필요가 있다. 즉, 콧구멍의 각도가 α 인 경우에는 점선 (81) 으로 나타내는 각도로 호흡용 마스크 (8) 를 장착하고, 콧구멍의 각도가 β 인 경우에는 점선 (82) 으로 나타내는 각도로 호흡용 마스크 (8) 를 장착할 필요가 있다.
회동축 (160c) 이 콧구멍 하단의 위치 Nb 와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판 형상 부재 (160a, b) 가 콧구멍 하단의 위치 Nb 를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콧구멍 하단의 위치 Nb 를 지지점으로 하여 호흡용 마스크 (8) 의 각도 조절을 실시할 수 있다.
이것은,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통상, 사용자가 호흡용 마스크 (8) 를 장착할 때에는, 먼저, 호흡용 마스크 (8) 에 있어서의 콧구멍 하단에 대향해야 하는 위치 (여기서는, 콧구멍 하단의 대향 위치라고 한다) 가 콧구멍 하단에 밀착하도록, 스트랩 (10) 의 길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호흡용 마스크 (8) 를 스트랩 (10) 에 의해 장착하고, 실제로 호흡용 마스크 (8) 의 콧구멍 하단의 대향 위치가 콧구멍 하단에 밀착되는 것을 확인한다. 여기서, 콧구멍 주변의 적어도 일부에 호흡용 마스크 (8) 가 밀착되어 있지 않거나, 반대로 강하게 압박하는 경우, 요컨대 호흡용 마스크 (8) 의 각도가 부적절하지 않은 것이 판명된 경우에, 호흡용 마스크 (8)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중심에 각도 조절 기구를 갖는 종래 기술에서는, 콧구멍 하단의 위치 Nb 로부터 떨어진 위치 Nm 을 회동축으로서 호흡용 마스크 (8) 의 각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호흡용 마스크 (8) 에 있어서의 콧구멍 하단의 대향 위치가 콧구멍 하단으로부터 어긋나고, 그 결과, 콧구멍 하단에 간극이 생기거나, 반대로 콧구멍 하단이 강하게 압박받거나 하게 된다. 그러면, 재차 스트랩 (10) 의 길이나 장착 위치를 조절해야 한다. 이와 같이, 호흡용 마스크 (8) 의 각도가 부적절하다는 것은 스트랩 (10) 길이를 조절한 후에 판명되기 때문에, 호흡용 마스크 (8) 의 각도 조절을 실시한 후에, 스트랩 (10) 길이를 재조절할 필요가 발생한다.
이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콧구멍 하단의 위치 Nb 를 지지점으로 하여 호흡용 마스크 (8) 의 각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호흡용 마스크 (8) 에 있어서의 콧구멍 하단의 대향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다. 따라서, 호흡용 마스크 (8) 의 각도를 조절해도, 스트랩 (10) 의 길이를 재조절할 필요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도 조절을 수반하는 호흡용 마스크 (8) 의 장착이 용이해져,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각도 조절 기구는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기 때문에, 사용자가 뒤척였을 때에 각도 조절 기구가 밑에 깔리면, 얼굴이 압박을 받아 불쾌감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각도 조절 기구 전체를 얇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 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패널 (16) 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에서는 상부가 도려내어져 있어, 호흡용 마스크 (8) 에 연결되는 단부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과 제 4 실시형태를 동시에 실행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판 형상 부재 (160a, 160b) 에 있어서의 회동축 (160c) 은, 패널 (16) 의 하단부, 요컨대 좁은 폭 부분의 연장선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판 형상 부재 (160a, 160b) 를 회동시킬 때에, 패널 (16) 전체로서의 강도가 확보된다.
도 21 은, 판 형상 부재 (160a, 160b) 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 의 (A) ∼ (C) 에서는, 판 형상 부재 (160a, 160b) 를 회동시켰을 때에 회동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21 의 (A) 는, 회동축 (160c) 을 성형 혹은 그 밖의 톱니 바퀴 형상으로 하여, 고정 수단을 톱니 바퀴 기구에 의해 구성한 예이다. 이 예에서는, 판 형상 부재 (160b) 측에서 회동축 (160c) 를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호 상에 배치 형성된 톱니 바퀴 형상의 돌기가, 판 형상 부재 (160a) 측의 회동축 (160c) 에 대응하는 톱니 바퀴 형상의 구멍 또는 오목부에 끼워 넣어지고, 양자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회동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톱니 바퀴 기구가 서로 맞물리는 힘보다 큰 힘에 의해 판 형상 부재 (160a, b) 가 회동되면, 고정이 해제되어 다른 회동 위치에서 고정된다. 또, 도 21 의 (B) 는, 판 형상 부재 (160b) 의 원주 부근에 돌기 (160d) 를 형성하고, 판 형상 부재 (160a) 의 원주을 따라 구멍 또는 오목부 (160e) 를 형성한 예이다. 이 예에서는, 회동축 (160c) 를 중심으로 하여 판 형상 부재 (160a, 160b) 를 회동시키고, 판 형상 부재 (160b) 의 돌기 (160d) 와 판 형상 부재 (160a) 의 구멍 또는 오목부 (160e) 를 서로 걸어 맞춤으로써 회동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도 21 의 (C) 는, 판 형상 부재 (160b) 의 원주 부근에 돌기 (160f) 를 형성하고, 한편, 판 형상 부재 (160a) 에는 원주를 따른 원호상의 개구 (160g) 를 형성함으로써, 고정 수단을 구성한 예이다. 이 예에서는, 판 형상 부재 (160b) 에 형성된 개구 (160g) 는, 그 주연부에 파형의 부분을 갖는다. 그리고, 회동축 (160c) 를 중심으로 하여 판 형상 부재 (160a, 160b) 를 회동시킬 때 판 형상 부재 (160b) 의 돌기 (160f) 가 판 형상 부재 (160a) 의 개구 (160g) 내를 이동하여, 파형의 골짜기의 부분에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회동 위치가 고정된다.
도 22 는, 종래의 헤드기어식 장착구에, 제 3 또는 제 4 실시형태의 패널 (16) 을 적용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 에 나타내는 예는, 호흡용 마스크 (8) 의 양측부에 연결된 스트랩 (100) 을 갖고, 스트랩 (100) 을 사용자의 헤드부 주위에 걸리게 하는 헤드기어식 장착구의 예이다. 각 스트랩 (100) 은 사용자의 광대뼈 상을 통과하여 귀의 전방에서 2 개로 분기된다. 그리고, 분기된 단부는 각각 사용자의 두정부 및 후두부에서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연결되고, 사용자의 헤드부 주위에 걸린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호흡용 마스크 (8) 에 대해 스트랩 (100)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트랩 (100) 의 전체면에 강성을 갖는 지지 부재를 형성하면, 지지 부재가 광대뼈에 접촉하여 사용자에게 통증을 줄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고통을 방지하면서 스트랩 (100) 의 비틀림 방지를 과제로 했을 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패널 (16) 을 스트랩 (100) 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광대뼈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여 사용자에게 고통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스트랩 (100)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3 또는 제 4 실시형태는, 헤드기어식 장착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제 3 또는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호흡용 마스크 (8) 의 양측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헤드부 주위에 걸리는 장착구 (상기 서술한 예에 있어서의 스트랩 (100)) 에 형성되는 지지 부재 (상기 서술한 예에 있어서의 패널 (16)) 로서, 장착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장착구보다 큰 강성을 갖고, 길이 방향의 일부에서의 폭이 다른 부분의 폭보다 좁은 지지 부재가 제공된다.
도 23 은, 장착구 (14) 의 제 1 실시형태와 제 3 실시형태를 조합한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상기 서술한 스트랩 (10), 플러그 (12), 귀걸이부 (13), 및 패널 (16) 을 구비한 장착구 (14) 의 사용 상황이 도시된다. 즉, 호흡용 마스크 (8) 의 양측부에는, 스트랩 (10) 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플러그 (12) 에 연결된다. 그리고, 플러그 (12) 는, 사용자의 이주 주변의 패인 곳에 끼워 넣어져 고정된다. 또한, 스트랩 (10) 의 단부에는 귀걸이부 (13) 가 형성되고, 귀걸이부 (13) 가 귀 주위에 걸어 맞춰진다.
또한, 스트랩 (10) 에는 지지 부재로서의 패널 (16) 이 형성된다. 패널 (16) 은 스트랩 (10)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호흡용 마스크 (8) 와의 연결부 부근에서는 어느 정도의 폭을 갖고, 평면부를 형성한다. 이로써, 스트랩 (10) 이 길이 방향으로 과도하게 신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폭 방향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광대뼈에 접촉되는 부분의 폭이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고통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장착구 (14) 에 의하면, 호흡용 마스크 (8) 를 장착했을 때의 고통이나 불쾌감을 경감시킴과 함께, 호흡용 마스크 (8) 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호흡용 마스크 (8) 의 장착이 용이해진다.
[5] 호흡용 마스크의 제 1 실시형태
먼저, 도 23 을 이용하여 호흡용 마스크 (8) 의 개략 구성을 설명한다.
호흡용 마스크 (8) 는, 그 외곽을 형성함과 함께 플렉시블 호스 (4b) 와 연결되는 프레임 (20) 과, 이 프레임 (20) 과 조합되어 사용되고,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부에 접촉하여 이것을 덮는 쿠션 (30) 을 갖는다.
여기서 종래의 호흡용 마스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그 후, 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 는, 종래의 호흡용 마스크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 에서는, 호흡용 마스크의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면의 하방이, 바로 누운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부의 위치에 대응한다. 일반적인 호흡용 마스크는, 호흡용 마스크의 외각을 이루는 프레임 (200) 과, 프레임 (200) 의 개구부 (204)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부에 맞닿는 쿠션 (300) 을 갖는다. 프레임 (200) 은, 호흡용 기체가 공급되는 플렉시블 호스 (4b) 와 접합되는 흡기 포트 (202) 를 갖는다. 또한 여기서는, 바로 누운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부에 대해 연직 상방에 흡기 포트 (202) 가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의 호흡용 마스크는, 개구부 (204) 에 의해 사용자의 콧구멍을 덮도록 하고, 장착구에 의해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부에 밀착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흡기 포트 (202) 로부터 공급되는 호흡용 기체를, 사용자의 콧구멍에 보낸다.
여기서, 흡기 포트 (202) 나 프레임 (200) 은, 외력이 가해지거나 사용자의 호흡에 의해 내부가 부압이 되거나 함으로써 형상이 변화되고, 호흡용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가 폐색되지 않도록, 어느 정도 이상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호흡용 기체를 사용자의 콧구멍에 보내기 위해서는, 프레임 (200) 을 안면에 밀착시켜 기밀 상태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강성을 갖는 프레임 (200) 을 안면에 누르면 고통을 초래하고, 또, 프레임 (200) 의 개구부 (204) 둘레 가장자리의 형상이 사용자마다의 안면 형상을 따른다고는 할 수 없어 공극이 생길 우려가 있다. 따라서, 프레임 (200) 의 개구부 (202)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쿠션 (300) 은, 어느 정도의 유연성과 탄력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청에 응하기 위해서, 프레임 (200) 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쿠션 (300) 은, 실리콘 고무에 의해 형성된다.
그런데, CPAP 요법에서는, 콧구멍 내의 점막이 과도하게 건조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습기 (6) 를 사용하여 호흡용 기체를 가습하는 경우가 있다. 또, 사용자 자체적인 호기는 수분을 포함한다. 그러면,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는 프레임 (200) 은 발수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동계 등 저온하에서는 가습된 호흡용 기체나 수분을 함유하는 호기가 프레임 (200) 내벽에서 결로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바로 누워있는 경우, 결로된 수적이 중력에 저항하지 못할 정도의 크기로 성장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낙하하면, 사용자를 각성시킬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결로 대책으로서, 프레임 (200) 을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중 구조로서 단열 공기층 (206) 을 형성하고, 프레임 (200) 의 내벽의 온도를 외벽의 온도보다 높게 유지함으로써 결로를 억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프레임 (200) 을 일체 성형하기 위해서 블로우 성형 등 고난도의 기술을 사용하면, 비용 증가을 수반한다. 또, 내벽과 외벽을 따로 따로 성형하고 이것을 조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부품 점수의 증가와 조립 공정수의 증가에 의해 비용 증가를 초래한다.
그래서, 저비용으로 결로를 억제 가능한 호흡용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호흡용 마스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사용자의 콧구멍을 덮어 가습된 호흡용 기체를 상기 콧구멍에 공급하는 호흡용 마스크는, 상기 호흡용 기체를 내부로 흡입하는 제 1 포트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안면에 맞닿게 하여 상기 콧구멍을 덮는 제 1 부재 (쿠션) 와, 상기 호흡용 기체의 반송 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제 1 포트 부분에 끼워 넣어지는 제 2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제 1 부재보다 큰 강성을 갖는 제 2 부재 (프레임) 를 갖고,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에 공동을 갖는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호흡용 마스크는, 호흡용 기체를 내부로 흡입하는 제 1 흡기 포트와, 호기를 배출하는 제 1 배기 포트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안면에 맞닿게 하여 상기 콧구멍을 덮는 제 1 부재 (쿠션) 와, 상기 호흡용 기체의 반송 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제 1 흡기 포트 부분에 끼워 넣어지는 제 2 흡기 포트와, 상기 제 1 배기 포트 부분이 끼워 넣어지고 외부에 연통되는 제 2 배기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제 1 부재보다 큰 강성을 갖는 제 2 부재 (프레임) 를 갖고,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에 공동을 갖는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호흡용 마스크는, 상기 호흡용 기체를 내부로 흡입하는 제 1 포트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안면에 맞닿게 하여 상기 콧구멍을 덮는 제 1 부재 (쿠션) 와, 상기 호흡용 기체의 반송 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제 1 포트 부분에 끼워 넣어지는 제 2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제 1 부재보다 큰 강성을 갖는 제 2 부재 (프레임) 를 갖고, 상기 제 1 부재는 발수성을 갖는다.
또한, 다른 측면에 있어서의 호흡용 마스크는, 호흡용 기체를 내부로 흡입하는 제 1 흡기 포트와, 호기를 배출하는 제 1 배기 포트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안면에 맞닿게 하여 상기 콧구멍을 덮는 제 1 부재 (쿠션) 와, 상기 호흡용 기체의 반송 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제 1 흡기 포트 부분에 끼워 넣어지는 제 2 흡기 포트와, 상기 제 1 배기 포트 부분이 끼워 넣어지고 외부에 연통하는 제 2 배기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제 1 부재보다 큰 강성을 갖는 제 2 부재 (프레임) 를 갖고, 상기 제 1 부재는 발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제 1 흡기 포트는 상기 제 1 배기 포트를 겸용하고, 상기 제 2 흡기 포트는 상기 제 2 배기 포트를 겸용한다.
다음으로, 도 25 ∼ 도 33 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호흡용 마스크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도 25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 의 (A) 는 프레임의 정면 사시도, 도 25 의 (B), (C) 는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6 은, 프레임 각 부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 (20) 은, 사용자에 대향하는 개구부 (24) 와 호흡용 기체가 공급됨과 함께 호기가 배기되는 흡배기 포트 (22) 를 갖는다. 흡배기 포트 (22) 의 앞은 L 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L 자관 (28) 을 형성한다. 그리고, L 자관 (28) 의 선단은, 도 26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호스 (4b) 와 끼워 맞춤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L 자관 (28) 내벽에 있어서의 흡배기 포트 (22) 에 대향하는 지점에는, 배기 구멍 (21) 이 형성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호기가 프레임 (20) 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플렉시블 호스 (4b) 와 L 자관 (28) 이 호흡용 기체의 반송 수단을 구성한다.
또, 개구부 (24) 둘레 가장자리의 내벽에는, 오목 형상의 끼워 맞춤홈 (26)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쿠션 (30) 과 끼워 맞춤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도 26 의 (B) 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20) 의 양측부에는 스트랩 (10) 에 형성되는 패널 (16) 의 끼워 맞춤부 (16a) 와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부 (27) 가 형성된다. 이로써, 프레임 (20) 은 양측부에 있어서 스트랩 (10) 과 연결된다.
그리고 프레임 (20) 에는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지 않는 정도의 강성이 요구되고, 일례로서 폴리카보네이트에 의해 일체 성형된다. 또한, 일체 성형하는 것은, 부품 점수의 삭감과 저비용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양태이다.
또한, 도 25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20) 의 흡배기 포트 (22) 주변부의 대향하는 위치 (예를 들어, 좌우 양단) 에, 1 쌍의 판 형상부 (22a) 를 형성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쿠션 (30) 의 흡배기 포트를 끼워 맞췄을 때에, 이것을 협지하여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일례로서 반원 형상의 판 형상부 (22a) 가 도시되지만, 쿠션 (30) 의 흡배기 포트를 협지 가능한 형상이면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 27 은, 쿠션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7 의 (A) 는 쿠션의 정면 사시도, 도 27 의 (B) 는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 도 28 은 쿠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 의 (A) 는, 도 27 의 (A) 에 있어서의 쿠션 (30) 의 평면 AA′에 있어서의 단면, 도 28 의 (B) 은, 도 27(A) 에 있어서의 쿠션 (30) 의 평면 BB′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쿠션 (30) 은, 사용자의 안면에 맞닿는 제 1 막 (맞닿음부 ; 31), 프레임 (20) 의 흡배기 포트 (22) 에 끼워 맞춰지는 흡배기 포트 (32), 및 이들 맞닿음부 (31) 와 흡배기 포트 (32) 를 연결하는 중간부 (33) 을 구비하고 있다. 맞닿음부 (31), 흡배기 포트 (32) 및 중간부 (33) 에 의해 내부 공간 (34) 이 형성되고, 이 내부 공간 (34) 내에 프레임 (20) 의 흡배기 포트 (22) 로부터의 호흡용 기체가 공급된다.
맞닿음부 (31) 의 대략 중앙부에는 내부 공간 (34) 에 연통하는 타원 형상의 개구부 (35)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 (35) 를 개재하여 사용자의 콧구멍은 내부 공간 (34) 으로 향하게 되어 있다. 맞닿음부 (31) 와 사용자의 안면의 접촉 영역은, 사용자의 얼굴의 상하 방향에서는 비첨으로부터 윗입술까지 사이의 범위 내이고, 좌우 방향에서는 양협부 사이의 범위 내이다. 이 때문에, 비교적으로 이물질의 접촉이나 압박에 대한 불쾌감을 느끼기 어려운 콧구멍 주변부만이, 맞닿음부 (31) 와의 접촉 계면이 된다. 따라서, 민감한 비량부나 눈 주위부에 쿠션 (30) 이 접촉하지 않고, 양호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장시간의 사용에 의해 가려움이나 염증 등이 발생하는 사태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맞닿음부 (31) 는, 어느 정도의 유연성과 탄력성을 가짐과 함께, 생체 적합성을 구비한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로 얇게 형성된다. 이 때문에, 내부 공간 (34) 내에 호흡용 기체를 가압 공급하면, 제 1 막 (31) 은 외측으로 향해 팽창되어 환자의 안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맞닿음부 (31) 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로부터 호흡용 기체가 새지 않고, 기체의 누설에 의한 이상한 음의 발생이나 눈에 대한 자극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장착구 (14) 를 죄어 호흡용 마스크 (8) 를 환자의 얼굴에 장착했을 때에도, 맞닿음부 (31) 가 환자의 얼굴에게 주는 접촉 압력이 완화되기 때문에, 양호한 장착감이 얻어진다.
또, 쿠션 (30) 에 있어서의 제 1 막인 맞닿음부 (31) 와 중간부 (33) 사이에는, 제 2 막 (36) 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막 (36) 은, 내부 공간 (34) 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맞닿음부 (31) 를 따라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막 (36), 중간부 (33) 및 흡배기 포트 (32) 는, 도 28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막인 맞닿음부 (31) 와 비교하여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호흡용 마스크 (8) 를 환자의 얼굴에 밀착시켰을 경우에도, 쿠션 (30) 의 형상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제 2 막 (36) 이 맞닿음부 (31) 를 내측으로부터 누르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맞닿음부 (31) 의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밀착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특히, 맞닿음부 (31) 에 있어서의 개구부 (35) 의 주연부는, 제 2 막 (36) 의 내주 가장자리보다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연한 맞닿음부 (31) 만이 사용자의 얼굴에 맞닿게 되기 때문에, 더욱 양호한 장착감을 얻을 수 있다. 또, 이러한 구성에 의해, 맞닿음부 (31) 의 내측과 제 2 막 (36) 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적을 유지 가능한 포켓 (37) 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막 (36), 중간부 (33) 및 흡배기 포트 (32) 는, 각각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는데, 부품 점수의 삭감과 저비용화의 관점에서도, 맞닿음부 (31) 와 동일 재료로 일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쿠션 (30) 에 있어서의 중간부 (33) 의 외측에는, 프레임 (20) 의 개구부 둘레 가장자리의 내벽에 형성되는 끼워 맞춤홈 (26) 에 끼워 맞출 수 있는 볼록 형상의 끼워 맞춤조 (38) 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도 29 는, 프레임 (20) 과 쿠션 (30) 을 끼워 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 의 (A) 는, 도 27 의 (A) 에서 나타내는 평면 BB′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낸다. 프레임 (20) 의 흡배기 포트 (22) 에는 쿠션 (30) 의 흡배기 포트 (32) 가 끼워 맞쳐짐과 함께, 프레임 (20) 의 끼워 맞춤홈 (26) 에는, 쿠션 (30) 의 끼워 맞춤조 (38) 가 끼워 맞춰진다. 이로써, 프레임 (20) 과 쿠션 (30) 은 2 개 지점에서 끼워 맞춰진다. 그리고, 프레임 (20) 의 외벽을 외측으로 부풀어 오른 형상이 되도록 미리 성형함으로써, 프레임 (20) 과 쿠션 (30) 사이에 공동 (40) 이 형성된다.
이 공동 (40) 이 단열 공기층으로서 기능함으로써, 쿠션 (30) 내의 온도를 프레임 (20) 외의 온도보다 높게 유지할 수 있어, 쿠션 (30) 내에 있어서의 결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공동 (40) 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서, 프레임 (20) 측의 끼워 맞춤홈 (26) 과 쿠션 (30) 측의 끼워 맞춤조 (38) 사이에 겔제 등의 접착제를 도포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공동 (40) 의 단열 효과를 높여 보다 확실도가 양호하게 결로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서는, 프레임 (20) 측의 끼워 맞춤홈 (26) 과 쿠션 (30) 측의 끼워 맞춤조 (38) 를 끼워 맞춰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장착구 (14) 를 죄어 호흡용 마스크 (8) 를 환자의 얼굴에 밀착시켰을 때에, 쿠션 (30) 이 프레임 (20) 내에 밀어 넣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공동 (40) 이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쿠션 (30) 을 실리콘 고무 등의 유연한 재료로 구성한 경우에는, 호흡용 기체를 가압 공급했을 때에 중간부 (33) 등이 약간 팽창하게 되지만, 이 경우에도, 끼워 맞춤홈 (26) 과 끼워 맞춤조 (38) 를 끼워 맞추고 있기 때문에, 프레임 (20) 과 쿠션 (30)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호흡용 마스크 (8) 를 사용자에게 장착했을 때의 접촉압은, 맞닿음부 (31) 의 팽창 작용에 의해 완충시킬 수 있는데, 이것에 더하여 볼록 형상의 끼워 맞춤조 (38) 를 쿠션 (30) 의 다른 부와 동일한 실리콘 고무 등으로 형성함으로써, 끼워 맞춤조 (38) 가 압력을 완충하는 쿠션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장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목 형상의 끼워 맞춤홈 (26) 과 볼록 형상의 끼워 맞춤조 (38) 를 형성하는 대신에, 프레임 (20) 과 쿠션 (30) 의 외주 또는 그 일부에, 서로 걸어 맞출 수 있는 단차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즉, 프레임 (20) 과 쿠션 (30) 을 걸어 맞춰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동 (40) 의 기밀성을 높임과 함께, 장착구 (14) 를 죄어 호흡용 마스크 (8) 를 환자의 얼굴에 밀착시켰을 때에, 쿠션 (30) 이 프레임 (20) 내에 밀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공동 (40) 이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가압된 호흡용 기체에 의해 쿠션 (30) 의 중간부 (33) 가 팽창했을 때에도, 프레임 (20) 과 쿠션 (30) 사이에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쿠션 (30) 이 프레임 (20) 에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압력을 완충하는 쿠션으로서 작용하여, 사용자의 장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9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쿠션 (30) 에 좌우를 판별하기 위한 돌기 (30p) 를 형성하여, 돌기의 유무나 그 수에 의해 좌우를 판별할 수 있다. 또, 판별 수단으로서 돌기 이외에 문자나 기호, 무늬를 형성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쿠션 (30) 과 프레임 (20) 을 연결했을 때에 용이하게 좌우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호흡용 마스크 (8) 를 분해하여 세정하고, 사용자가 재차 이것을 조립할 때에, 효율적 또한 정확한 작업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효과를 종래예와의 비교를 통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24 에 나타낸 종래예에서는 프레임 (200) 과 쿠션 (300) 을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하고, 이것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호흡용 마스크 (8) 에 있어서, 추가로 프레임 (200) 을 이중 구조로 함으로써 단열 공기층을 형성한다. 이것에 대해 도 25 ∼ 도 29 에서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 (20) 과 쿠션 (30) 을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하고, 이것을 조합하여 사용할 때에 단열 공기층으로서의 공동 (40) 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적은 부품 점수나 제조 공정수에 의해 결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는, 호흡용 마스크 (8) 의 내벽 전체를 쿠션 (30) 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실리콘 고무가 갖는 발수성을 내벽 전체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쿠션 (30) 내에 결로에 의해 소경의 수적이 생성되었다고 해도, 쿠션 (30) 과의 흡착력이 작기 때문에, 사용자의 얼굴에 낙하할 정도의 대경의 수적으로 성장하기 전에 마스크 내에 공급되는 호흡용 기체나 환자의 호흡 등의 기류에 의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사용자의 얼굴에 수적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흡배기 포트 (32) 부근, 즉 프레임 (20) 측의 흡배기 포트 (22) 부근에 배기 구멍 (21) 을 형성함으로써, 습윤한 공기의 배출을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빠른 타이밍으로 수적의 증발을 재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바로 누웠을 때에 콧구멍 주변부의 상방에 발수성을 갖지 않는 지점이 산재하면, 이러한 지점에서는 결로된 수적이 성장하여 사용자의 안면에 낙하할 개연성이 커진다. 이 점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바로 누운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부의 연직 상방에는, 발수성을 갖는 쿠션 (30) 의 내벽과 흡배기 포트 (32), 프레임 (20) 의 흡배기 포트 (22), 및 배기 구멍 (21) 이 형성된 L 자관 (28) 의 내벽 부분이 위치한다. 여기서, L 자관 (28) 내벽은 발수성을 갖지 않지만, 배기 구멍 (21) 이 형성됨으로써, 당해 지점에서 결로가 발생될 개연성, 혹은 결로된 수적이 대경으로 성장될 개연성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쿠션 (30) 의 내벽에서 결로가 생겼다고 해도 수적이 낙하할 정도로 성장하기 전에 마스크 내에 공급되는 호흡용 기체나 환자의 호흡 등의 기류에 의해 흡배기 포트 (32, 22) 를 개재하여 배기 구멍 (21) 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부의 상방으로 수적이 성장될 개연성을 작게 할 수 있어 수적의 낙하에 의한 각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부에 있어서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맞닿음부 (31) 는 전체로서 좌우 방향으로 만곡되고, 맞닿음부 (31) 에 있어서의 개구부 (35) 의 주연부가 제 2 막 (36) 의 내주 가장자리보다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바로 누워 장착했을 때에 결로된 수적이 쿠션 (30) 의 내벽으로 전해져 하강했다고 하더라도, 맞닿음부 (31) 의 내측과 제 2 막 (36) 에는 수적을 유지 가능한 포켓 (37) 이 형성된다. 그리고, 맞닿음부 (31) 의 형상을 좌우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함으로써, 포켓 (37) 은, 하방이 넓은 형상을 갖기 때문에, 모인 수적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켓 (37) 내에, 스펀지나 흡수 겔 등의 흡수재를 구비함으로써, 수적을 보다 높은 확실도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적이 사용자의 안면에 낙하하여 사용자를 각성시키는 것을, 보다 높은 확실도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양태로서 프레임 (20) 및 쿠션 (30) 은 흡기 포트와 배기 포트를 따로 따로 가져도 된다.
도 30 은, 흡기 포트와 배기 포트를 따로따로 갖는 프레임 (20) 및 쿠션 (30) 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구성에서는, 쿠션 (30) 의 흡기 포트 (32a) 와 배기 포트 (32b) 가, 각각 프레임 (20) 의 흡기 포트 (22a) 와 배기 포트 (22b) 에 끼워 맞출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쿠션 (30) 의 배기 포트 (32b) 부분이 쿠션 (30) 전체와 마찬가지로 발수성을 갖는 실리콘 고무로 형성된다. 따라서, 쿠션 (30) 내부에서 결로가 생겼다고 해도 낙하할 정도의 수적으로서 성장하기 전에 이것을 증발시켜, 습윤한 공기를 배기 포트 (32b) 로부터 마스크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결로가 수적으로서 낙하하여, 사용자를 각성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배기용 포트 (22b, 32b) 가 2 개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데, 배기용 포트의 수 및 그 배치는 여기에 나타내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이 경우에도, 프레임 (20) 과 쿠션 (30) 사이에 단열 공기층으로서의 공동 (40) 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결로를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한다고 할 수 있다.
[6] 호흡용 마스크의 제 2 실시형태
호흡용 마스크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 (20) 에 L 자관 (28) 을 일체 성형하여 형성함으로써 호흡용 마스크 (8) 의 부품 점수와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 (20) 과 쿠션 (30) 이 끼워 맞춰지는 부분, 요컨대 흡배기 포트 (22, 32) 와 끼워 맞춤홈 (26), 끼워 맞춤조 (38) 를 180 도 회전 대칭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와 함께, 프레임 (20) 과 스트랩 (10) 에 형성되는 패널 (16) 의 끼워 맞춤부 (27) 를 180 도 회전 대칭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L 자관 (28) 의 선단부의 방향을 좌우 어느 쪽을 향하여도 호흡용 마스크 (8) 를 구성할 수 있고, 장착구 (14) 에 의해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에 플렉시블 호스 (4b) 를 몸으로 누를 우려가 적은 방향으로 미리 플렉시블 호스 (4b) 를 향하여 호흡용 마스크 (8) 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호스 (4b) 를 눌러 호흡용 기체의 공급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1 은, 프레임 (20) 과 쿠션 (30) 의 끼워 맞춤 부분의 형상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1 에 나타내는 형상예는, 프레임 (20) 의 흡배기 포트 (22) 와 쿠션 (30) 의 흡배기 포트 (32) 의 형상예, 또는 프레임 (20) 의 끼워 맞춤홈 (26) 과 쿠션 (30) 의 끼워 맞춤조 (38) 의 형상예이다. 도 25 ∼ 도 29 에 나타내는 예는, 도 31 의 (A) 의 타원 형상에 대응한다. 이 밖에도, 예를 들어, 능형 (도 31 의 (B)), 직사각형 형상 (도 31 의 (C)), 그 외 변칙적인 형상 (도 31 의 (D)) 등, 180 도 회전 대칭 형상이면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진원, 정사각형 등의 90 도 회전 대칭의 형상도 포함되는데, 90 도 회전 대칭의 형상이면 프레임 (20) 과 쿠션 (30) 의 좌우 방향을 90 도 회전시킨 상태에서도 끼워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조립의 미스를 방지하는 데에는 180 도 회전 대칭의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 프레임 (20) 측의 흡배기 포트 (22) 와 끼워 맞춤홈 (26), 및 쿠션 (30) 측의 흡배기 포트 (32) 와 끼워 맞춤조 (38) 의 형상은 각각 동일한 형상이어도 되고, 상이한 형상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호흡용 마스크 (8) 를 조립할 때에는 L 자관 (28) 의 방향을 좌우 어디로든 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의 자유도가 확보되어, 그와 함께 상하 방향을 틀리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정확한 조립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저비용으로 프레임 (20) 과 플렉시블 호스 (4b) 의 접속 방향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과 쿠션의 끼워 맞춤 부분의 형상을 상기와 같이 180 도 회전 대상으로 하는 실시형태는, 도 32 에 나타내는 종래의 프레임과 쿠션으로 구성되는 호흡용 마스크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도 24 의 경우와 달리, 흡기 포트 (203) 는 좌우 방향을 향하는 L 자관을 형성한다.
이 경우, 호흡용 마스크의 겉껍데기를 이루는 프레임 (200) 과, 프레임 (200) 의 개구부 (204)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부에 맞닿는 쿠션 (300) 을 갖는 호흡용 마스크 (8) 에 있어서, 프레임 (200) 과 쿠션 (300) 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200) 의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와 쿠션 (300) 을 끼워 맞춤 가능하게 구성한다. 여기서, 프레임 (200) 의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와 쿠션 (300) 의 끼워 맞춤 부분의 형상을 상기와 같이 180 도 회전 대칭의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L 자관을 형성하는 흡기 포트 (203) 의 접속 방향은 좌우 어느 쪽이든 가능해진다. 즉, 프레임 (20) 과 플렉시블 호스 (4b) 의 접속 방향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정확한 조립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3 은, 프레임 (20) 의 끼워 맞춤부 (27) 와 패널 (16) 의 끼워 맞춤부 (16a) 의 조합에 관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3 의 (A) 에는, 프레임 (20) 과 좌우의 패널 (16) 의 평면도가 모식적으로 나타난다. 편의상, 여기서는 지면의 좌우에 프레임 (20) 및 패널 (16) 의 좌우를 대응시켜 설명한다.
또, 여기서는, 패널 (16) 측의 끼워 맞춤부 (16a) 가 원주 형상을 갖고, 일방 프레임 (20) 측의 끼워 맞춤부 (27) 가 이것에 끼워 맞춰지는 홈의 형상 (검정색으로 나타낸다) 을 갖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끼워 맞춤부 (16a 와 27) 가 반대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20) 의 끼워 맞춤부 (27) 와 패널 (16) 의 끼워 맞춤부 (16a) 는, 180 도 회전 대상으로서, 상하가 비대상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좌 방향의 끼워 맞춤부 (16a) 의 상단에 원추 형상의 부위 (16r) 를, 우 방향의 끼워 맞춤부 (16a) 의 하단에 원추 형상의 부위 (16r′) 를 형성하고, 끼워 맞춤부 (27) 를 이들에 대응한 형상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먼저 프레임 (20) 의 끼워 맞춤부 (27) 와 패널 (16) 의 끼워 맞춤부 (16a) 는 180 도 회전 대상이기 때문에, 프레임 (20) 전체를 회전시켜 L 자관 (28) 의 방향을 바꾸었을 때에, 끼워 맞춤부 (27) 의 어느 쪽도, 좌우 패널 (16) 의 끼워 맞춤부 (16a) 와 끼워 맞출 수 있다. 그런데 , 프레임 (20) 과 패널 (16) 을 잘못하여 표리를 반대로 장착하면, 끼워 맞춤부 (27, 16a) 의 끼워 맞춤 형상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할 수 없다. 패널 (16) 의 표리를 잘못하여 조립하면, 패널 (16) 이 사용자의 뺨에 맞닿게 되어 불쾌감을 일으킬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표리를 나타내는 표적을 형성한 경우, 사용자는 이것을 일일이 상세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잘못하여 조립할 수 없기 때문에, 용이하게 조립 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3 의 (B) ∼ (E) 는,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33 의 (B) ∼ (E) 에서는, 편의상, 좌 방향의 끼워 맞춤부 (16a, 27) 만이 도시된다. 도 33 의 (B) 는, 끼워 맞춤부 (27, 16a) 의 상단에, 원추 형상 대신에 반구상의 부위 (16s) 를 형성한 예이다. 도 33 의 (C) 는, 끼워 맞춤부 (16a) 의 중심으로부터 상단 가까이의 위치에 원반 형상의 부위 (16t) 를 형성하고, 끼워 맞춤부 (27) 에 이것과 대응하는 개구를 형성한 예이다. 도 33 의 (D) 는, 끼워 맞춤부 (27, 16a) 를 상하로 분할함과 함께, 상하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구성한 예이다. 도 33 의 (E) 는, 끼워 맞춤부 (27) 의 상단에 원주 형상의 홈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플랜지 형상의 볼록부 (16u) 를 형성하고, 끼워 맞춤부 (16a) 측에 이것에 대응한 개구를 형성한 예이다.
또한, 호흡용 마스크의 제 1,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 (20) 과 쿠션 (30) 을 갖는 호흡용 마스크 (8) 는, 상기 서술한 장착구의 제 1 ∼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착구 (14) 와 함께 사용해도 되고, 장착구 (14) 이외의 장착구, 예를 들어 종래의 헤드기어식 장착구와 함께 사용해도 된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내부에 있어서의 결로를 억제하는 호흡용 마스크가 저비용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 결로가 생겼다고 해도, 결로에 의한 수적이 수면 중 사용자의 얼굴에 낙하하여 각성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옆으로 누움으로써 플렉시블 호스 (4b) 를 몸으로 눌러, 호흡용 기체의 공급이 저해되는 사태를 방지 가능한 호흡용 마스크가 저비용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장착구의 제 1 ∼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착구 (14) 는, 수면시 무호흡 증후군에 대한 CPAP 요법뿐만이 아니라, 다른 용도에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시에 있어서의 구명 조치용의 산소 마스크의 장착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의 헤드부 주위에 걸리는 헤드기어식보다 용이하고 또한 신속한 장착이 가능해진다. 또, 장착구의 제 1 ∼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착구 (14) 나 호흡용 마스크의 제 1,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호흡용 마스크 (8) 는, 환기 부전의 치료법의 하나인,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부에 392 ∼ 1961 ㎩ 정도로 가압된 호흡용 기체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NIPPV (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요법에도 적용 가능하다. NIPPV 요법에 있어서는, 사용자는 수면시뿐만 아니라 낮에도 호흡용 마스크의 장착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다 장시간에 걸쳐서 호흡용 마스크의 장착에 수반되는 고통이나 불쾌감을 저감시키고, 또 결로의 억제나 수적으로서의 성장을 방지하는 데에 장착구의 제 1 ∼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착구 (14) 나 호흡용 마스크의 제 1,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호흡용 마스크 (8) 는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호흡용 마스크를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부에 고정시킴과 함께, 장착에 수반되는 고통이나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있어, 사용 중에 호흡용 마스크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호흡용 마스크 장착 시에 사용자의 코의 구조에 맞춘 조절이 가능하여, 호흡용 마스크의 장착이 용이해진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하면, 저비용으로 호흡용 마스크의 결로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호흡용 기체의 공급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호흡용 마스크가 저비용으로 제공된다.
2 : 호흡용 기체 공급 장치
4a, 4b : 플렉시블 호스
6 : 가습기
8 : 호흡용 마스크
10 : 스트랩
12 : 플러그
13 : 귀걸이부
13a : 프레임부
13b : 탄성 지지부
14 : 장착구
16 : 패널
160a, b : 판 형상 부재
20 : 프레임
21 : 배기 구멍
22 : 흡배기 포트
24 : 개구부
26 : 끼워 맞춤홈
28 : L 자관
30 : 쿠션
31 : 맞닿음부
32 : 흡배기 포트
35 : 개구부
37 : 포켓
38 : 끼워 맞춤조

Claims (48)

  1. 사용자의 콧구멍을 덮어 가압된 호흡용 기체를 상기 콧구멍에 공급하는 호흡용 마스크의 장착구로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짐과 함께 제 1 단부가 상기 호흡용 마스크와 연결되는 1 쌍의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끼워 넣어진 1 쌍의 고정 부재를 갖는 장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 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이주에 끼워 넣어졌을 때에 상기 사용자의 외이도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 또는 절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외이도를 따라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고정 부재의 중심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중심은 상기 고정 부재의 중심에 대해 어긋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걸리는 부분에 당해 패인 곳의 형상을 따라 만곡된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대이주 (對耳珠) 내측의 패인 곳에 걸리는 부분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대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걸리는 부분에 당해 패인 곳의 형상을 따라 만곡된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주간절흔 (珠間切痕) 내측의 패인 곳에 걸리는 부분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주간절흔 내측의 패인 곳에 걸리는 부분에 당해 패인 곳의 형상을 따라 만곡된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걸리는 부분과 대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걸리는 부분 사이가 신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대이주에 걸리는 부분에 탄성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제 2 단부와 접속되는 부분이 경동 (傾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제 2 단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귀 주위에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 부재가 추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 맞춤 부재는 소정 부위에 있어서의 직경과 다른 부위에 있어서의 직경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부위는 선단에 가까운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당해 연결 부재보다 큰 강성을 갖는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 1 단부측에서 제 1 폭을 갖고, 그 이외의 부분에서 상기 제 1 폭보다 좁은 제 2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착구를 구비한 호흡용 마스크.
  21. 사용자에게 호흡용 기체를 공급하는 호흡용 마스크의 장착구로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짐과 함께 제 1 단부가 상기 호흡용 마스크와 연결되는 1 쌍의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이개의 주위에 배치되는 프레임부를 갖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사용자의 귀밑둥에 맞닿게 하여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대략 U 자 형상으로 만곡됨과 함께 그 일단에서 상기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와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탄성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의 선단은 상기 프레임 부재로부터 이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끼워 넣어진 1 쌍의 고정 부재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개의 주위를 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26. 제 2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착구를 구비한 호흡용 마스크.
  27. 사용자의 콧구멍을 덮어 가압된 호흡용 기체를 상기 콧구멍에 공급하는 호흡용 마스크의 장착구로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짐과 함께 제 1 단부가 상기 호흡용 마스크와 연결되어, 상기 호흡용 마스크를 사용자의 콧구멍 주변에 고정시키는 1 쌍의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당해 연결 부재보다 큰 강성을 갖는 지지 부재를 갖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 1 단부측에서 제 1 폭을 갖고, 그 이외의 부분에서 상기 제 1 폭보다 좁은 제 2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제 2 단부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이주 내측의 패인 곳에 끼워 넣어진 1 쌍의 고정 부재를 추가로 갖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 2 단부를 되접어 꺾어 중앙부에 걸림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되접어 꺾인 제 2 단부와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 부재에 있어서의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호흡용 마스크에 고정되는 제 1 판 형상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에 고정되는 제 2 판 형상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제 2 판 형상 부재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이,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제 2 폭에서 연장되는 연장선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판 형상 부재에, 당해 제 1, 제 2 판 형상 부재를 회동시킨 위치에서 고정되는 고정 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31. 장착구를 갖는 호흡용 마스크로서,
    상기 장착구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짐과 함께 제 1 단부가 상기 호흡용 마스크와 연결되어, 상기 호흡용 마스크를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는 1 쌍의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쌍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쌍보다 큰 강성을 갖는 지지 부재쌍을 갖고,
    상기 지지 부재쌍의 각각은, 상기 호흡용 마스크에 고정되는 제 1 판 형상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에 고정되는 제 2 판 형상 부재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 1, 제 2 판 형상 부재는, 상기 호흡용 마스크의 각도 조절이 행해질 때에 각도 조절의 지지점이 되는 위치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스크.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판 형상 부재의 두께가, 0.1 ㎜ ∼ 3.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스크.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판 형상 부재에, 당해 제 1, 제 2 판 형상 부재를 회동시킨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스크.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판 형상 부재는,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부채 형상을 갖고,
    상기 고정 수단은, 당해 부채 형상의 원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스크.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제 1, 제 2 판 형상 부재 중 어느 원호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구멍과, 상기 제 1, 제 2 판 형상 부재의 타방에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걸어 맞출 수 있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스크.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제 1, 제 2 판 형상 부재 중 어느 원호에 형성되고, 주연부에 절결을 갖는 단일 구멍과, 상기 제 1, 제 2 판 형상 부재의 타방에 형성되고, 상기 구멍 내를 이동 가능함과 함께 상기 절결에 걸어 맞출 수 있는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스크.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회동축에 형성된 톱니 바퀴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스크.
  38. 제 31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콧구멍을 덮는 호흡용 마스크로서,
    상기 호흡용 마스크의 하단부가, 당해 호흡용 마스크의 각도 조절시에 지지점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스크.
  39. 사용자의 콧구멍을 덮어 가습된 호흡용 기체를 상기 콧구멍에 공급하는 호흡용 마스크로서,
    상기 호흡용 기체를 내부로 흡입하는 제 1 포트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안면에 맞닿게 하여 상기 콧구멍을 덮는 제 1 부재와,
    상기 호흡용 기체의 반송 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제 1 포트 부분에 끼워 넣어지는 제 2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제 1 부재보다 큰 강성을 갖는 제 2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에 공동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스크.
  40. 사용자의 콧구멍을 덮어 가습된 호흡용 기체를 상기 콧구멍에 공급하는 호흡용 마스크로서,
    호흡용 기체를 내부로 흡입하는 제 1 흡기 포트와, 호기를 배출하는 제 1 배기 포트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안면에 맞닿게 하여 상기 콧구멍을 덮는 제 1 부재와,
    상기 호흡용 기체의 반송 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제 1 흡기 포트 부분에 끼워 넣어지는 제 2 흡기 포트와, 상기 제 1 배기 포트 부분이 끼워 넣어지고 외부에 연통되는 제 2 배기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제 1 부재보다 큰 강성을 갖는 제 2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에 공동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스크.
  41. 제 39 항 또는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란, 서로 끼워 맞춤 또는 걸어 맞춤으로써 상기 공동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스크.
  42. 사용자의 콧구멍을 덮어 가습된 호흡용 기체를 상기 콧구멍에 공급하는 호흡용 마스크로서,
    상기 호흡용 기체를 내부로 흡입하는 제 1 포트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안면에 맞닿게 하여 상기 콧구멍을 덮는 제 1 부재와,
    상기 호흡용 기체의 반송 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제 1 포트 부분에 끼워 넣어지는 제 2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제 1 부재보다 큰 강성을 갖는 제 2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부재는 발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스크.
  43. 사용자의 콧구멍을 덮어 가습된 호흡용 기체를 상기 콧구멍에 공급하는 호흡용 마스크로서,
    호흡용 기체를 내부로 흡입하는 제 1 흡기 포트와, 호기를 배출하는 제 1 배기 포트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안면에 맞닿게 하여 상기 콧구멍을 덮는 제 1 부재와,
    상기 호흡용 기체의 반송 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제 1 흡기 포트 부분에 끼워 넣어지는 제 2 흡기 포트와, 상기 제 1 배기 포트 부분이 끼워 넣어지고 외부에 연통되는 제 2 배기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제 1 부재보다 큰 강성을 갖는 제 2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부재는 발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스크.
  44. 제 40 항 또는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기 포트는 상기 제 1 배기 포트를 겸용하고, 상기 제 2 흡기 포트는 상기 제 2 배기 포트를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스크.
  45. 제 42 항 또는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내벽의 주연부에 수적을 유지하는 포켓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스크.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내부에 흡수 재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스크.
  47. 사용자의 콧구멍을 덮어 호흡용 기체를 상기 콧구멍에 공급하는 호흡용 마스크로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맞닿게 하여 상기 콧구멍을 덮는 제 1 부재와,
    상기 호흡용 기체의 반송 수단과 소정 위치에서 접속되어, 상기 제 1 부재와 연결됨과 함께 상기 제 1 부재보다 큰 강성을 갖는 제 2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의 연결 부분은, 180 도 회전 대칭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스크.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호흡용 마스크를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는 장착구쌍과 양단에서 접속 가능하고,
    상기 제 2 부재의 양단과 상기 장착구쌍의 접속부쌍은 ,함께 상하 비대칭의 형상을 갖고, 또한 일방을 180 도 회전시켰을 때에 타방과 동일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스크.
KR1020117014395A 2008-11-27 2009-11-26 호흡용 마스크의 장착구 및 호흡용 마스크 KR201100910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02362 2008-11-27
JP2008302362 2008-1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016A true KR20110091016A (ko) 2011-08-10

Family

ID=42225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395A KR20110091016A (ko) 2008-11-27 2009-11-26 호흡용 마스크의 장착구 및 호흡용 마스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9517319B2 (ko)
EP (4) EP3351282A1 (ko)
JP (7) JP4604135B2 (ko)
KR (1) KR20110091016A (ko)
CN (4) CN103656824B (ko)
BR (1) BRPI0921657A2 (ko)
CA (1) CA2744637A1 (ko)
ES (1) ES2682993T3 (ko)
HK (1) HK1158999A1 (ko)
RU (1) RU2011126187A (ko)
TW (4) TWI572379B (ko)
WO (1) WO20100615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470A1 (ko) * 2016-11-28 2018-05-3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L-튜브와 결합되는 얼굴 산소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725939A (en) 2009-06-02 2018-06-29 Resmed Ltd Unobtrusive nasal mask
EP2611489B1 (en) 2010-09-01 2018-06-20 ResMed Limited Mask system
CA2825206C (en) * 2011-01-31 2021-03-30 Breathe Technologies,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ventilation using a nasal ventilation mask with a manifold and internal compliant tube and nasal sealing cushion assembly
TWI655007B (zh) * 2011-04-08 2019-04-01 費雪&佩凱爾關心健康有限公司 鼻套管、導管及固定系統
CN103476447B (zh) * 2011-04-18 2016-12-21 皇家飞利浦有限公司 包括用于可变形部件的减压件的患者界面装置
US9211388B2 (en) * 2011-05-31 2015-12-15 Resmed Limited Mask assembly supporting arrangements
AU2012283758B2 (en) * 2011-07-12 2015-07-16 Resmed Limited Textile mask systems
US20140318546A1 (en) * 2011-09-27 2014-10-30 Koninklijke Philips N.V. Respiratory mask with condensed liquid outlet
US20130239301A1 (en) * 2012-03-16 2013-09-19 Meredith Broderick Headgear Apparatus
JP5895103B2 (ja) 2012-07-16 2016-03-3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側方スタビライザを有するクレードルクッション
GB2572108B (en) 2012-11-16 2019-12-04 Fisher & Paykel Healthcare Ltd Nasal seal and respiratory interface
AU2014207247B2 (en) * 2013-01-16 2017-03-02 ResMed Pty Ltd Patient interfac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140261430A1 (en) * 2013-03-15 2014-09-18 Lucy Carol Davis Facial Mask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DE202013005712U1 (de) * 2013-06-26 2013-09-06 Weinmann Geräte für Medizin GmbH + Co. KG Kopfbänderung zur Positionierung eines Patienten lnterfaces
JP6018989B2 (ja) * 2013-08-20 2016-11-02 株式会社金陽社 印刷機ロール用保護シート及び印刷機ロール
SG10201913708XA (en) * 2014-07-18 2020-03-30 Fisher & Paykel Healthcare Ltd Headgear clip arrangement
EP3782685B1 (en) * 2014-11-07 2023-12-27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Breathing apparatus
ES2910409T3 (es) 2015-03-31 2022-05-12 Fisher & Paykel Healthcare Ltd Sistema para administrar gases a una vía respiratoria
US20190298953A1 (en) * 2016-06-28 2019-10-03 Koninklijke Philips N.V. Rain-out resistant component a gas delivery system
EP3995168A1 (en) 2016-08-11 2022-05-11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A collapsible conduit, patient interface and headgear connector
CN106669001B (zh) * 2017-02-15 2023-12-01 中国人民解放军联勤保障部队第九八三医院 一种可进行多种操作的医用面罩
USD874646S1 (en) 2017-03-09 2020-02-04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Headgear component for a nasal mask assembly
USD901673S1 (en) 2017-03-09 2020-11-10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Frame and breathing tube assembly for a nasal mask
USD855793S1 (en) 2017-09-20 2019-08-06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Frame for a nasal mask
USD875242S1 (en) 2017-09-20 2020-02-11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Nasal mask and breathing tube set
WO2020037359A1 (en) 2018-08-20 2020-02-27 ResMed Pty Ltd Patient interface
CN111840740A (zh) * 2020-08-21 2020-10-30 广州爱特科技有限公司 一种呼吸管

Family Cites Families (8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08815A (en) * 1919-07-08 Combiktatioir-sqirare
US879048A (en) * 1907-10-01 1908-02-11 Eldred M Hibbler Cane-cutter.
US975581A (en) * 1909-09-29 1910-11-15 Arthur Stevens Jointed square.
US2133699A (en) 1937-03-01 1938-10-18 Ohio Chemical And Mfg Company Inhaler
US2127136A (en) * 1937-03-25 1938-08-16 Albert I Pobirs Sanitary guard for inhalers
DE735534C (de) * 1940-11-28 1943-05-17 Rodenstock Optik G Brillenbuegel
US2430229A (en) 1943-10-23 1947-11-04 Zenith Radio Corp Hearing aid earpiece
US2946394A (en) * 1954-01-18 1960-07-26 Alonzo L Smith Air-conduction hearing aid clamps
US2954027A (en) * 1958-08-26 1960-09-27 Paul B Marasco Face mask
GB976067A (en) * 1963-06-26 1964-11-25 Bernatone Ltd Tube connector for use in hearing aids
US3747599A (en) * 1971-05-28 1973-07-24 O Malmin Bacterial control mask
US3807526A (en) * 1972-10-26 1974-04-30 Illinois Tool Works Ear protector
US3953114A (en) * 1974-09-23 1976-04-27 Bidgood William T Cushion retaining means for eyeglasses
US3983336A (en) * 1974-10-15 1976-09-28 Hooshang Malek Directional self containing ear mounted hearing aid
US4179590A (en) 1977-12-23 1979-12-18 Snow Milton L Apparatus for controlling related equipment and for enabling hand free usage
US4269183A (en) * 1979-03-26 1981-05-26 Hunt Patrick T Cold weather breathing mask
DE29918139U1 (de) 1999-10-14 2000-05-25 Hoergeraete Seifert Gmbh Otoplastik für Hinter-dem-Ohr (HdO)-Hörgeräte
SE8008962L (sv) * 1980-12-18 1982-06-19 Erik Allan Lindkvist Anordning vid narkosmask
DE3215466C2 (de) 1982-04-24 1984-03-08 Drägerwerk AG, 2400 Lübeck Sauerstoff-Insufflationsbrille
US4458679A (en) * 1982-06-01 1984-07-10 Ward Russell G Cold weather respiratory mask
JPS5961689U (ja) 1982-10-15 1984-04-23 日本電気株式会社 イヤホン
DE3315941C1 (de) * 1983-05-02 1984-06-20 Drägerwerk AG, 2400 Lübeck Halbmaske in Pendelatmung
JPH0659120B2 (ja) 1983-05-31 1994-08-03 ソニー株式会社 ヘツドホン
DE8423472U1 (ko) * 1984-08-07 1987-10-29 Anger, Wilhelm, St. Moritz, Ch
GB2176404B (en) * 1985-06-13 1988-07-27 Od G Univ Im I I Mechnikova Respirator
DE8520246U1 (ko) * 1985-07-12 1988-03-24 Anger, Wilhelm, St. Moritz, Ch
FR2604800B1 (fr) * 1986-10-06 1989-03-03 Pujolle Michel Dispositif d'adaptation d'une branche de lunette cordee sur une branche de lunette droite
US4846170A (en) * 1986-11-19 1989-07-11 Mcanalley Bill H Gas delivery apparatus protection device
US4905686A (en) * 1988-01-12 1990-03-06 Simulators Limited, Inc. Cold weather breathing mask
US4807617A (en) * 1988-02-01 1989-02-28 Massachusetts Eye And Ear Infirmary Scavenging mask
JPH01171418U (ko) 1988-05-14 1989-12-05
JPH0277052U (ko) 1988-11-30 1990-06-13
CA2016005C (en) * 1990-05-03 1995-02-21 Sheldon Sturrock Reusable pocket resuscitation mask
US5284469A (en) * 1991-11-08 1994-02-08 Dale Medical Products, Inc. Nasal dressing holder
CN2149738Y (zh) 1993-02-06 1993-12-15 王伟 保健型宽频耳挂式耳机
US5422685A (en) * 1993-04-15 1995-06-06 Bausch & Lomb Incorporated Dual temple system for eyewear
JP3254834B2 (ja) * 1993-08-06 2002-02-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ヤホン
US5659156A (en) 1995-02-03 1997-08-19 Jabra Corporation Earmolds for two-way communications devices
US5724965A (en) 1995-06-06 1998-03-10 Respironics Inc. Nasal mask
US5697363A (en) * 1996-04-12 1997-12-16 Albert Einstein Healthcare Network Inhalation and monitoring mask with headset
US6176576B1 (en) * 1997-06-06 2001-01-23 Radians, Inc. Eyewear supported by a wearer's concha of an ear
US6135109A (en) * 1997-08-15 2000-10-24 Blasdell; Richard J. Inhalation apparatus
DE29718483U1 (de) 1997-10-17 1999-02-18 Lux Wellenhof Gabriele Haltevorrichtung zur Befestigung von otologischen Geräten, wie Hörgeräten, Tinitusmaskern und Geräuschgeneratoren
ES2182424T3 (es) * 1999-04-20 2003-03-01 Kochler Erika Un aparato de ayuda auditiva.
FR2804330B1 (fr) 2000-02-01 2003-01-10 Georges Boussignac Appareil d'assistance respiratoire
US6578576B1 (en) * 2000-04-28 2003-06-17 Salvatore A. Taormina Medical tube holder
ES2657501T3 (es) * 2000-06-14 2018-03-05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Mascarilla nasal
JP3420186B2 (ja) 2000-08-07 2003-06-23 株式会社東京興業貿易商会 医療用マスク
JP2003111180A (ja) * 2001-09-28 2003-04-11 Audio Technica Corp ヘッドホン装置
US7313246B2 (en) * 2001-10-06 2007-12-25 Stryker Corporation Information system using eyewear for communication
US6728974B2 (en) * 2001-10-12 2004-05-04 Jake Wadsworth Safety goggles with earplugs
US6629532B2 (en) 2002-02-08 2003-10-07 George L. Campbell, Sr. Oxygen mask retention device and method for retaining an oxygen mask
US20030150460A1 (en) * 2002-02-08 2003-08-14 Campbell George L. Oxygen mask retention device and method for retaining an oxygen mask
US7536008B2 (en) 2002-03-02 2009-05-19 Logitech Europe S.A. Antihelix-conforming ear-mount for personal audio-set
AUPS192602A0 (en) 2002-04-23 2002-05-30 Resmed Limited Nasal mask
US7931025B2 (en) 2002-08-09 2011-04-26 Ric Investments, Llc Patient interface and headgear connector
US6986353B2 (en) 2002-08-21 2006-01-17 Medical Device Group, Inc. Divided nasal cannula assembly
EP2913079B1 (en) 2002-09-06 2017-10-25 ResMed Limited Cushion for respiratory mask assembly
US6758215B2 (en) 2002-10-17 2004-07-06 Paul G. Begum Aromatic travel mask
JP2004209061A (ja) 2003-01-07 2004-07-29 Teijin Ltd 呼吸用マスク
US7621274B2 (en) * 2003-03-22 2009-11-24 Invacare Corporation Nasal mask
FR2854808B1 (fr) 2003-05-16 2005-11-11 Robert Schegerin Filtre interne amovible de masque a mise en place rapide pour pilotes d'avions
EP1660004A4 (en) 2003-08-18 2017-05-31 Breath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non-invasive ventilation with nasal interface
US7357136B2 (en) 2003-08-18 2008-04-15 Ric Investments, Llc Patient interface assembly and system using same
AU2004268479B2 (en) 2003-09-03 2008-12-11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A mask
CN101904739B (zh) * 2003-10-09 2013-01-16 日本电信电话株式会社 血压计
WO2005063328A1 (en) * 2003-12-31 2005-07-14 Resmed Ltd Compact oronasal patient interface
CN2721141Y (zh) * 2004-08-27 2005-08-31 鸿图医疗器材制造厂有限公司 一种呼吸面罩
JP2006068471A (ja) 2004-09-01 2006-03-16 Kenichi Sakamoto 酸素誘導機
US9625065B2 (en) * 2004-09-03 2017-04-18 Loewenstein Medical Technology S.A. Plastics for medical technical devices
US8261745B2 (en) * 2004-12-10 2012-09-11 Respcare, Inc. Ventilation interface
US8757150B2 (en) * 2004-12-17 2014-06-24 Ric Investments, Llc Condensation reduction and management systems in a gas flow delivery system
US7546837B2 (en) * 2005-03-16 2009-06-16 Ric Investments, Llc Interface with rolling diaphragm
US7287528B2 (en) * 2005-04-13 2007-10-30 Ric Investments, Llc Cushion inside a cushion patient interface
JP4730002B2 (ja) 2005-07-04 2011-07-20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US7798144B2 (en) 2005-07-29 2010-09-21 Resmed Limited Life style flow generator and mask system
CA2617486A1 (en) 2005-08-08 2007-02-15 Novartis Ag Insulated canister for metered dose inhalers
EP1780580A1 (en) 2005-10-27 2007-05-02 Olver Rabbi Support particularly for frames of eyeglasses and in-ear speakers
US7448386B2 (en) * 2005-12-07 2008-11-11 Ric Investments, Llc Full face respiratory mask with integrated nasal interface
TWI451887B (zh) * 2006-03-24 2014-09-11 Teijin Pharma Ltd Nasal respiratory mask
JP2008010484A (ja) * 2006-06-27 2008-01-17 Opnext Japan Inc 半導体光素子及び光送信モジュール
JP4994377B2 (ja) 2006-07-18 2012-08-08 帝人ファーマ株式会社 呼吸用鼻マスクシステム
ES2458618T3 (es) 2006-07-28 2014-05-06 Resmed Limited Interfaz de paciente
EP3682927A1 (en) 2006-07-28 2020-07-22 ResMed Pty Ltd Delivery of respiratory therapy
JP5214873B2 (ja) 2006-11-13 2013-06-19 帝人ファーマ株式会社 鼻マスク
EP2114500B8 (en) * 2007-03-02 2019-07-31 ResMed Pty Ltd Respiratory mask
US8875709B2 (en) 2007-05-10 2014-11-04 Resmed Limited Mask assembly
NZ570059A (en) * 2007-07-30 2010-08-27 Resmed Ltd Nostril prong elastic support for gas breathing mask
EP2964301B1 (en) * 2013-03-04 2019-07-17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Patient interfaces with condensation reducing or compensating arrangem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470A1 (ko) * 2016-11-28 2018-05-3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L-튜브와 결합되는 얼굴 산소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72750A (ja) 2010-08-12
CN103736190A (zh) 2014-04-23
EP3354310B1 (en) 2020-01-01
EP3351283A1 (en) 2018-07-25
EP2359888B1 (en) 2018-06-13
JP2010221047A (ja) 2010-10-07
JP4595037B2 (ja) 2010-12-08
ES2682993T3 (es) 2018-09-24
US9517319B2 (en) 2016-12-13
CN102227233A (zh) 2011-10-26
EP3354310A1 (en) 2018-08-01
TW201622768A (zh) 2016-07-01
HK1158999A1 (zh) 2012-07-27
EP2359888A4 (en) 2014-07-30
JP2010172749A (ja) 2010-08-12
CA2744637A1 (en) 2010-06-03
WO2010061599A1 (ja) 2010-06-03
CN103736190B (zh) 2016-08-17
JPWO2010061599A1 (ja) 2012-04-26
TWI572378B (zh) 2017-03-01
RU2011126187A (ru) 2013-01-10
JP4608024B2 (ja) 2011-01-05
JP4595036B2 (ja) 2010-12-08
EP3351282A1 (en) 2018-07-25
TWI573600B (zh) 2017-03-11
JP2010184126A (ja) 2010-08-26
EP2359888A1 (en) 2011-08-24
TW201031438A (en) 2010-09-01
TW201622769A (zh) 2016-07-01
CN103656824A (zh) 2014-03-26
CN102227233B (zh) 2016-05-18
TW201622767A (zh) 2016-07-01
JP2010172752A (ja) 2010-08-12
CN103656824B (zh) 2017-03-01
TWI572379B (zh) 2017-03-01
JP4604135B2 (ja) 2010-12-22
TWI554293B (zh) 2016-10-21
JP4595035B2 (ja) 2010-12-08
CN103656823A (zh) 2014-03-26
JP2010172751A (ja) 2010-08-12
BRPI0921657A2 (pt) 2016-02-16
EP3351283B1 (en) 2020-02-26
CN103656823B (zh) 2016-09-07
JP4604133B2 (ja) 2010-12-22
US20170043114A1 (en) 2017-02-16
JP4612745B2 (ja) 2011-01-12
US20110247627A1 (en)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1016A (ko) 호흡용 마스크의 장착구 및 호흡용 마스크
EP2308536B1 (en) Headgear
AU2009321054B2 (en) Fitting tool for use in wearing breathing mask, and breathing mask
AU2015221482B2 (en) Wearing tool for breathing mask, and breathing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