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134A -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6134A
KR20110086134A KR1020117012897A KR20117012897A KR20110086134A KR 20110086134 A KR20110086134 A KR 20110086134A KR 1020117012897 A KR1020117012897 A KR 1020117012897A KR 20117012897 A KR20117012897 A KR 20117012897A KR 20110086134 A KR20110086134 A KR 20110086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workpiece
absorbent article
adsorpt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5881B1 (ko
Inventor
히로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6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804Plant, e.g. involving several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23Partitioning batts;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64Transferring, feeding or handling devices;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1/00Mechanical throwing machines for articles or solid materials
    • B65G31/04Mechanical throwing machines for articles or solid materials comprising discs, drums, or like rotary impe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07Running or continuous length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07Running or continuous length work
    • Y10T156/1008Longitudinal be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07Running or continuous length work
    • Y10T156/1008Longitudinal bending
    • Y10T156/101Prior to or during assembly with additional lamin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10T156/1075Prior to assembly of plural laminae from single stock and assembling to each other or to additional lamin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10T156/1075Prior to assembly of plural laminae from single stock and assembling to each other or to additional lamina
    • Y10T156/1077Applying plural cut laminae to single face of additional lamin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12Indefinite or running length work
    • Y10T156/1734Means bringing articles into association with we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44Means bringing discrete articles into assembled relationship
    • Y10T156/1751At least three articles
    • Y10T156/1761Stacked seri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44Means bringing discrete articles into assembled relationship
    • Y10T156/1768Means simultaneously conveying plural articles from a single source and serially presenting them to an assembly s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44Means bringing discrete articles into assembled relationship
    • Y10T156/1768Means simultaneously conveying plural articles from a single source and serially presenting them to an assembly station
    • Y10T156/1771Turret or rotary drum-type convey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44Means bringing discrete articles into assembled relationship
    • Y10T156/1768Means simultaneously conveying plural articles from a single source and serially presenting them to an assembly station
    • Y10T156/1771Turret or rotary drum-type conveyor
    • Y10T156/1773For flexible she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반송되고 있는 웨브 위에 흡수 시트 등의 워크를 접착하는 경우에 있어서, 주름의 발생이나 전사 불량을 방지하여, 상기 워크를 보다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워크 반송 기구(100)는, 흡수체(4)를 흡착하는 흡착 패드(110)가 설치된 회전 드럼(102)을 구비하고, 회전 드럼(102)을 회전시켜 흡수체(4)를 반송하는 제3 웨브(7C) 위에 배치하고, 흡착 패드(110)에 흡착된 워크의 외형은 중앙부에 비해 외측 가장자리부가 회전 드럼(102)의 중심축측에 가깝고, 제3 웨브(7C)를 개재하여 회전 드럼(102)과 반대측에 설치되고 제3 웨브(7C)를 흡착 패드(110)측에 위치시키는 롤러 기구(120)를 구비하고, 전달점(P2)에서 롤러 기구(120)는,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중앙부보다 회전 드럼(102)의 중심축측에 배치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DEVICE AND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인 워크를 흡착하는 흡착부가 설치된 회전 드럼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공정에서는, 흡수성 물품의 구성 부품인 워크, 구체적으로는, 착용 대상(예를 들어, 인체)으로부터 배출된 액상 물질을 흡수하는 흡수 시트가 연속된 띠형상체를, 흡수 시트 단위로 절단하고 흡수 시트의 배치 방향을 90도 회전시키는 워크 반송 기구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러한 워크 반송 기구는, 회전 드럼과, 회전 드럼의 외측 둘레 위에 복수개 설치된 흡착 패드(흡착부)를 구비한다. 흡착 패드는, 절단된 흡수 시트를 1장씩 흡착하여, 회전 드럼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구성 부품, 예를 들어, 흡수 시트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백(back)시트나, 백시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시트가 연속된 웨브의 상측까지 반송된다. 웨브의 상측까지 반송된 흡수 시트는, 컨베이어 등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웨브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된다.
흡수 시트가 연속된 띠형상체에서는, 제조의 편의상, 흡수 시트의 긴 방향이 띠형상체의 긴 방향, 즉, 띠형상체의 반송 방향(MD 방향)을 따르도록 제조된다. 한편, 웨브에서는, 흡수 시트의 긴 방향이 웨브의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교차 방향(CD 방향)을 따르도록 흡수 시트를 배치하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이 때문에, 흡착 패드는, 회전 드럼에 의해 웨브의 상측까지 반송되는 동안에, 회전 드럼 내에 설치된 회전 기구에 의해 90도 회전된다.
또, 흡착 패드에서의 흡수 시트의 수취시에, 흡착 패드의 원주 속도차를 억제하기 위해, 회전 드럼의 외측 둘레 위를 회전하는 흡착 패드의 흡착면은, 회전 드럼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를 가능한 한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흡수 시트를 수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흡착면은, 흡착면의 중앙부에 비해, 적어도 흡착면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회전 드럼의 중심축측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98193호 공보(제6-7페이지, 도 1)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흡착 패드의 흡착면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회전 드럼의 중심축측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접착제가 도포된 웨브로 흡수 시트를 전달할 때, 흡착면의 중앙부에서는, 흡착 패드 위의 흡수 시트가 웨브에 확실하게 접착되지만, 외측 가장자리부에서는 흡착 패드 위의 흡수 시트가 웨브에 확실하게 접착되기 어려워, 흡수 시트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흡수 시트가 웨브 위의 미리 정해진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흡착 패드의 흡착면이 평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흡수 시트의 두께를 변화시켜 중앙부의 흡수 시트를 두껍게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기 문제와 마찬가지로, 흡착면의 외측 가장자리부에서는 흡수 시트가 웨브 위에 확실하게 접착되기 어려워, 흡수 시트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흡수 시트가 웨브 위의 미리 정해진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반송되고 있는 웨브 위에 흡수 시트 등의 워크를 접착하는 경우에 있어서, 주름의 발생이나 전사 불량을 방지하여, 상기 워크를 보다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흡수성 물품(흡수성 물품(1))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인 워크(흡수체(4))를 흡착하는 흡착부(흡착 패드(110))가 설치된 회전 드럼(회전 드럼(102))을 구비하고, 흡착부는, 워크의 수취점(수취점(P1))에서 워크를 흡착하여 회전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안에, 워크의 제1 배치 방향(제1 배치 방향(D1))으로부터 워크의 웨브(제3 웨브(7C)) 위로의 전달점(전달점(P2))에서의 워크의 제2 배치 방향(제2 배치 방향(D2))으로 워크의 배치 방향을 변경하고, 흡착부에 흡착된 워크를 흡수성 물품의 구성 부품이 연속된 상태로 반송되는 웨브 위에 배치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워크 반송 기구(100))로서, 전달점에서의 흡착부의 제2 배치 방향을 따르고 있는 단면에서, 흡착부에 흡착된 워크의 외형은, 워크의 중앙부에 비해 워크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회전 드럼의 중심축측에 가깝고, 웨브를 개재하여 회전 드럼과 반대측에 설치되고, 웨브를 흡착부측에 위치시키는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예를 들어, 롤러 기구(120))를 구비하고,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는, 전달점의 웨브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웨브의 폭방향에서, 전달점(P2)의 워크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부분인 웨브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웨브의 폭방향에서의 중앙부보다 회전 드럼의 중심축측에 배치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반송되고 있는 웨브 위에 흡수 시트 등의 워크를 접착하는 경우에 있어서, 주름의 발생이나 전사 불량을 방지하여, 상기 워크를 보다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도 3의 A 화살표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도 3의 B 화살표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변경예에 따른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변경예에 따른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도 9의 C 화살표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 따른 흡착 패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형태의 변경예에 따른 흡착 패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를 붙였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으로, 각 치수의 비율 등은 실제의 것과는 상이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1) 흡수성 물품의 구성, (2)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3)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 (4)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의 상세 구성, (5)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의 동작, (6) 변경예에 관해 설명한다.
(1) 흡수성 물품의 구성
먼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구성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1)은 일회용 기저귀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착용 대상(이하,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2)와, 표면 시트(2)보다 외측에 설치되는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3)와,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 사이에 설치되어 착용자로부터의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체(4)로 대략 구성된다.
이면 시트(3)와 흡수체(4) 사이에는, 액불투과성의 방수 시트(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즉, 흡수체(4)는, 표면 시트(2)와 방수 시트 사이에 설치된다.
표면 시트(2)에는, 부직포나 개구 플라스틱 필름 등이 사용된다. 이면 시트(3)는 부직포가 사용된다. 흡수체(4)에는, 분쇄 펄프나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혼합물 등이 사용된다.
흡수성 물품(1)은, 착용자의 앞몸통 둘레에 대응하는 앞몸통 둘레부(10)과, 착용자의 뒤몸통 둘레에 대응하는 뒷몸통 둘레부(20)와, 착용자의 가랑이에 대응하는 가랑이부(30)를 갖는다.
앞몸통 둘레부(10) 및 뒷몸통 둘레부(20)는 접합부(40)에 의해 일체화된다. 앞몸통 둘레부(10) 및 뒷몸통 둘레부(20)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신축성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웨이스트 개더(5)가 설치되어 있다. 웨이스트 개더(5)는, 앞몸통 둘레부(10)에 위치하는 전방 웨이스트 개더(5a)와, 뒷몸통 둘레부(20)에 위치하는 후방 웨이스트 개더(5b)로 구성된다. 전방 웨이스트 개더(5a)와 후방 웨이스트 개더(5b) 사이에는, 몸통 둘레 개구부(50)가 형성된다.
앞몸통 둘레부(10) 및 뒷몸통 둘레부(20)는, 표면 시트(2)를 구성하는 제1 웨브(7A) 및 이면 시트(3)를 구성하는 제2 웨브(7B)(도 2 참조)의 반송 방향(MD)(MD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앞몸통 둘레부(10) 및 뒷몸통 둘레부(20)는, 웨이스트 개더(5)가 설치됨으로써 반송 방향(MD)으로 신축성을 갖고 있어도 좋고, 앞몸통 둘레부(10) 및 뒷몸통 둘레부(20) 자체가 신축성을 갖는 시트로 형성됨으로써 반송 방향(MD)으로 신축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가랑이부(30)는, 앞몸통 둘레부(10)와 뒷몸통 둘레부(20) 사이에 설치된다. 가랑이부(30)의 양측부에는, 신축성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레그 개더(6)가 설치되어 있다. 레그 개더(6)는, 다리 둘레 개구부(60) 근방에서, 앞몸통 둘레부(10) 가까이에 위치하는 전방 레그 개더(6a)와, 뒷몸통 둘레부(20) 가까이에 위치하는 후방 레그 개더(6b)로 구성된다. 전방 레그 개더(6a)와 후방 레그 개더(6b) 사이에는 다리 둘레 개구부(60)가 형성된다.
가랑이부(30)는, 반송 방향(MD)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CD)(CD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가랑이부(30)는, 레그 개더(6)가 설치됨으로써 교차 방향(CD)으로 신축성을 갖고 있어도 좋고, 가랑이부(30) 자체가 신축성을 갖는 시트로 형성됨으로써 교차 방향(CD)으로 신축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2)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의 구성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구성 부품 배치 공정과, 다리 둘레 형성 공정과, 접는 공정과, 절단 공정을 적어도 포함한다. 또한, 각 공정간에는, 도시되지 않은 반송 장치(예를 들어, 벨트 컨베어 장치)에 의해, 표면 시트(2)를 구성하는 액투과성의 제1 웨브(7A)와, 이면 시트(3)를 구성하는 액불투과성의 제2 웨브(7B)와, 제2 웨브(7B)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고, 이면 시트(3)를 구성하는 제3 웨브(7C)를 반송 방향(MD)(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이 포함된다.
(2.1) 구성 부품 배치 공정
구성 부품 배치 공정(S1)에서는, 제2 웨브(7B) 위에, 탄성 부재, 제3 웨브(7C), 방수 시트(도시되지 않음), 흡수체(4) 등의 흡수성 물품(1)을 구성하는 구성 부품이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 부품 배치 공정 S1에서는, 흡착 패드(110)(흡착부)가 설치된 회전 드럼(102)이 회전함으로써, 흡착 패드(110)에 흡착된 워크(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4))를 흡수성 물품(1)의 구성 부품이 연속된 상태로 반송되는 제3 웨브(7C) 위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구성 부품 배치 공정 S1에는, 배치 변경 공정과 웨브 위치 가이드 공정이 적어도 포함된다. 배치 변경 공정에서는, 흡수체(4)의 수취점에서 흡수체(4)를 흡착하여, 흡수체(4)의 제1 배치 방향으로부터 흡수체(4)의 제3 웨브(7C) 위로의 전달점에서의 흡수체(4)의 제2 배치 방향으로 흡수체(4)의 배치 방향을 변경한다.
웨브 위치 가이드 공정에서는, 전달점에서,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후술함)에 의해, 제3 웨브(7C)를 흡착 패드(110)측에 배치한다.
(2.2) 다리 둘레 형성 공정
다리 둘레 형성 공정(S2)에서는, 구성 부품 공정(S1) 이후에, 구성 부품을 개재한 제2 웨브(7B) 및 제1 웨브(7A)(이하, 복합 웨브(7)) 위에서, 레그 개더(6)를 구성하는 대환상부(大環狀部)(6c)가 절취됨으로써 다리 둘레 개구부(60)가 형성된다.
(2.3) 접는 공정
접는 공정(S3)에서는, 다리 둘레 형성 공정(S2) 이후에, 복합 웨브(7)가 2개로 접힌다.
(2.4) 절단 공정
절단 공정(S4)에서는, 접는 공정(S3) 이후에, 흡수성 물품(1)의 접합부(40)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영역(40A)이 형성되고, 복합 웨브(7)가 절단된다. 이에 따라, 흡수성 물품(1)이 형성된다.
(3)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
다음으로, 전술한 구성 부품 배치 공정에서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도 3의 A 화살표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및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워크 반송 기구(100)는, 회전 드럼(102)과, 회전 드럼(102)의 외측 둘레 위에 복수개 설치된 흡착부(이하, 흡착 패드(110))와,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를 구비한다.
워크 반송 기구(100)를 구성하는 각 부위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3.1) 회전 드럼, (3.2) 흡착부, (3.3)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에 관해 설명한다.
(3.1) 회전 드럼
회전 드럼(102)은, 흡수성 물품(1)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인 워크를 흡착하는 흡착 패드(110)를 갖는다.
회전 드럼(102)은, 중심축(104)을 기준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흡착 패드(110)에 흡착된 워크(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4))를 흡수성 물품의 구성 부품이 연속된 상태로 반송되는 제3 웨브(7C) 위에 배치한다.
회전 드럼(102)은, 회전 드럼(102) 내에 회전 기구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드럼(102)은, 흡착 패드(110)를 제3 웨브(7C)의 상측까지 반송하는 동안에, 회전 기구에 의해 흡착 패드(110)를 90도 회전시킨다.
(3.2) 흡착부
흡착 패드(110)는, 절단된 흡수 시트를 구성하는 흡수체(4)를 1장씩 흡착한다. 흡착 패드(110)는, 회전 드럼(102)에 의해, 흡수체(4)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액불투과성의 방수 시트나, 방수 시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이면 시트(3)가 연속된 제3 웨브(7C)의 상측까지 반송된다.
흡착 패드(110)는, 흡수체(4)를 흡착하여 회전 드럼(102)을 회전시키는 동안에, 회전 드럼(102) 내에 설치된 회전 기구에 의해, 흡수체(4)의 수취점(P1)에서의 배치 방향을 흡수체(4)의 전달점(P2)에서의 배치 방향으로 변경한다.
수취점(P1)에서의 흡착 패드(110)의 제1 배치 방향(D1)을 따르고 있는 단면에서, 흡착 패드(110)의 흡착면(112)의 중앙부(116)는, 흡착면(112)의 중앙부(116)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가장자리부[단부(114), 단부(118)]보다 회전 드럼(102)의 중심축(104) 근처에 형성된다.
또한, 전달점(P2)에서의 흡착 패드(110)의 흡착면(112)의 형상은, 흡착면(112)의 제2 배치 방향(D2)에서의 외측 가장자리부[단부(114), 단부(118)]가 회전 드럼(102)의 중심축(104)측으로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달점(P2)에서의 회전 드럼(102)의 중심축(104)의 연장 방향에서 봤을 때, 흡착면(112)의 제2 배치 방향(D2)에서의 단부(114) 및 단부(118)는, 중앙부(116)에 비해 중심축(104)측으로 경사져 있다.
전달점(P2)에서의 흡착 패드(110)는, 흡착면(112)의 중앙부(116)에 비해, 흡착면(112)의 외측 가장자리부[단부(114), 단부(118)]가 회전 드럼(102)의 중심축(104)측에 가깝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4)의 두께는 균일하다.
따라서, 전달점(P2)에서의 흡착 패드(110)의 제2 배치 방향(D2)을 따르고 있는 단면에서, 흡착 패드(110)에 흡착된 워크의 외형은, 워크의 중앙부에 비해, 워크의 중앙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가장자리부가 회전 드럼(102)의 중심축(104)측에 가깝다.
(3.3)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는, 제3 웨브(7C)를 개재하여 회전 드럼(102)과 반대측에 설치되고, 제3 웨브(7C)를 흡착 패드(110)측에 위치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는, 전달점(P2)의 제3 웨브(7C)의 반송 방향(MD)에 대하여 직교하는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 전달점(P2)의 흡수체(4)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부분인 제3 웨브(7C)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중앙부보다 회전 드럼(102)의 중심축(104)측에 배치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는,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제3 웨브(7C)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중앙부보다 흡착 패드(110)측에 배치한다.
또한, 제3 웨브(7C)의 외측 가장자리부란, 전달점(P2)에서,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제3 웨브(7C)의 중앙부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 흡수체(4)의 외측 가장자리부란, 전달점(P2)에서, 흡착 패드(110)의 외측 가장자리부[단부(114) 및 단부(118)]와 대응하는 부분이다.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외측 가장자리부란, 전달점(P2)에서, 반드시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단부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 웨브(7C)는, 폭방향으로 더 넓은 경우,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단부는,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중앙부보다 흡착 패드(110)로부터 먼 상태이어도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4)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의 상세 구성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의 상세 구성에 관해, 도 4 및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도 3의 B 화살표측에서 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는 제2 웨브(7B)의 반송 방향(MD)을 따라서 회전 가능한 롤러 기구(120)를 구성한다.
도 4 및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 기구(120)는, 외측 롤러(122), 외측 롤러(124), 중앙 롤러(126)로 구성된다. 롤러 기구(120)는, 흡착 패드(110)가 제2 배치 방향(D2)을 따르고 있는 상태에서의 흡착 패드(110)의 외측 가장자리부[단부(118)와 단부(114)]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외측 롤러(122) 및 외측 롤러(124)를 포함한다.
롤러 기구(120)는, 흡착 패드(110)의 중앙부(116)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3 웨브(7C)의 폭방향과 대략 평행한 중심축을 갖는 중앙 롤러(126)를 포함하고, 외측 롤러(122) 및 외측 롤러(124)는, 중앙 롤러의 제3 웨브(7C)의 폭방향 외측에 설치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외측 롤러(124)는, 외측 롤러(122)와 동일한 특징을 갖기 때문에, 외측 롤러(124)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롤러 기구(120)에 이용되는 롤러는 탄성 부재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롤러 기구(120)에 이용되는 롤러는, 실리콘, 우레탄 등으로 스폰지형으로 형성되는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등으로 형성된다.
롤러 기구(120)는, 전달점(P2)보다 제3 웨브(7C)의 반송 방향(MD)에서의 하류측에 설치된다. 롤러 기구(120)의 외측 둘레부(134)는, 회전 드럼(102)의 중심축(104)의 연장 방향에서 봤을 때, 전달점(P2)에서의 흡착면(112)의 중심의 회전 궤적의 접선(L1)보다 회전 드럼(102)의 중심축(104)측에 설치된다.
제2 웨브(7B)의 반송 방향(MD)에서 봤을 때, 외측 롤러(122)의 외측 둘레면(122S)은, 흡착면(112)의 외측 가장자리부(단부(118))를 따르고 있는 선과 대략 평행하다. 외측 롤러(122)는, 제3 웨브(7C)의 폭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진다. 외측 롤러(122)의 표면은, 다소의 요철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5)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의 동작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이하, 워크 반송 기구(100))의 동작에 관해, 도 3 내지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흡수체(4)는, 워크 반송 기구(100)의 상측으로부터 공급된다.
연속된 띠형상체로 형성된 흡수체(4)에서, 흡수체(4)의 긴 방향은, 띠형상체의 긴 방향, 즉 띠형상체의 반송 방향을 따르고 있다.
흡착 패드(110)는, 흡수체(4)의 수취점(P1)에서 흡수체(4)를 흡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연속된 띠형상체로 형성된 흡수체(4)는, 흡착 패드(110)에 흡착되기 전에 흡수체(4)의 짧은 방향으로 절단되어 있다. 단, 흡수체(4)는, 흡착 패드(110)에 흡착된 후, 흡수체(4)의 짧은 방향을 따라서 절단됨으로써 1개의 흡수체(4)가 되어도 좋다.
회전 드럼(102)은, 흡착 패드(110)를 제3 웨브(7C)의 상측까지 반송하는 동안에 흡착 패드(110)를 90도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드럼(102)은, 흡착 패드(110)를 수취점(P1)으로부터 흡수체(4)의 전달점(P2)으로 반송하는 동안에, 회전 드럼(102) 내에 갖는 회전 기구에 의해 흡착 패드(110)를 90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흡착 패드(110)는, 흡수체(4)의 제1 배치 방향(D1)으로부터 흡수체(4)의 제2 배치 방향(D2)으로 흡수체(4)의 배치 방향을 변경한다.
흡착 패드(110)는, 흡수체(4)의 전달점(P2)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제3 웨브(7C)에 흡수체(4)를 전달한다.
구체적으로는, 흡착 패드(110)는, 흡수체(4)의 전달점(P2)에서, 흡수체(4)의 흡착을 해제하여 흡수체(4)를 개방한다.
롤러 기구(120)는, 전달점(P2)에서, 제3 웨브(7C)를 흡착 패드(110)측에 위치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롤러 기구(120)는,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외측 가장자리부[외측 둘레면(122S) 및 외측 둘레면(124S)에 대응하는 제3 웨브(7C)]를,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중앙부보다 회전 드럼(102)의 중심축측에 배치하여, 제3 웨브(7C)를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흡수체(4)는, 반송되고 있는 제3 웨브(7C) 위에 배치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착 패드(110)에 흡착된 워크의 외형은, 흡수체(4)의 두께와 흡착면(112)의 두께(형상)를 맞춤으로써 결정되고, 전달점(P2)에서의 워크의 외경은, 워크의 중앙부에 비해, 워크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회전 드럼(102)의 중심축(104)측에 가깝다. 즉, 제3 웨브(7C)로부터의 거리는, 워크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비해 워크의 중앙부가 가깝다.
이에 비해,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는,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중앙부보다 흡착 패드(110)에 접근시켜, 제3 웨브(7C)를 위치시킨다.
즉,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는, 흡수체(4)의 형상에 맞춰 제3 웨브(7C)를 접착할 수 있고, 롤러 기구(120)는, 전달점(P2)에서 제3 웨브(7C)를 흡착 패드(110)측에 확실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워크 반송 기구(100)는, 반송되고 있는 제3 웨브(7C) 위에 흡수체(4) 등의 워크를 접착하는 경우에, 주름의 발생이나 전사 불량을 방지하여, 상기 워크를 보다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는, 제3 웨브(7C)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회전 가능한 롤러 기구(롤러 기구(120))이므로, 롤러 기구(120)와 제3 웨브(7C)가 접촉할 때, 제3 웨브(7C)에 생기는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워크 반송 기구(100)는, 제3 웨브(7C)에 무리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외측 롤러(122)는, 흡착 패드(110)의 단부(118)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외측 둘레면(122S)을 가지며, 외측 롤러(124)는, 흡착 패드(110)의 단부(114)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외측 둘레면(124S)를 갖는다. 즉, 롤러 기구(120)는, 흡수체(4)의 중앙부 및 외측 가장자리부의 형상에 더 가깝게, 제3 웨브(7C)를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견고하게 제3 웨브(7C)를 흡수체(4)에 접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외측 롤러(122) 및 외측 롤러(124)는, 제3 웨브(7C)의 폭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기 때문에, 전달점(P2)에서,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흡착 패드(110)에 접근시켜, 흡착 패드(110)측에 확실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롤러 기구(120)는, 흡착 패드(110)의 중앙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중앙 롤러(126)를 더 포함하기 때문에, 롤러 기구(120)는, 흡수체(4)의 중앙부 및 외측 가장자리부의 형상에 맞춰 제3 웨브(7C)를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견고하게 제3 웨브(7C)를 흡수체(4)에 접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롤러 기구(120)에 이용되는 롤러는 탄성 부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롤러 기구(120)는, 흡수체(4)의 형상에 맞춰, 제3 웨브(7C)를 위치시킬 때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 기구(120)는, 쓸데없는 응력 등이 제3 웨브(7C)에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롤러(122)(외측 롤러(124))의 외경은, 제3 웨브(7C)의 폭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커지기 때문에, 외측 롤러(122)(외측 롤러(124))에는, 외경에 따라서 원주 속도에 차이(소위 원주 속도차)가 생긴다. 이에 비해,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롤러에 의하면, 전사시의 상기 원주 속도차를 탄성 부재의 변형에 의해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롤러 기구(120)는 주름의 발생, 전사 불량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롤러 기구(120)는, 접선(L1)보다 회전 드럼(102)의 중심축(104)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전달점(P2)에서, 제3 웨브(7C)를 흡착 패드(110)측에 확실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6) 변경예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롤러 기구(120)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롤러 기구(120)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이한 부분을 주(主)로 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변경예에 따른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롤러 기구(120)는, 외측 롤러(122), 외측 롤러(124), 중앙 롤러(126)로 구성된다. 이에 비해, 변경예에 따른 롤러 기구(120A)에서는, 중앙 롤러(126)가 없고, 롤러 기구(120A)는, 외측 롤러(122), 외측 롤러(124)로 구성된다.
이러한 외측 롤러(122)(외측 롤러(124))에 의하면, 흡수체(4)가, 제3 웨브(7C) 위에 접착되기 어려운 외측 가장자리부만을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롤러 기구(120A)는, 중앙 롤러와 외측 롤러(122)(외측 롤러(124)) 사이에서 생기는 원주 속도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원주 속도차에 기인하는 제3 웨브(7C)의 중앙부와 외측 가장자리부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 기구(120A)를 이용하는 경우, 전달점(P2)보다 하류측에서, 외측 가장자리부가 접착된 흡수체(4) 및 제3 웨브(7C)의 전체면을 프레스하는 프레스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제3 웨브(7C)의 중앙부와 흡수체(4)의 접착을 견고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워크를 보다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롤러 기구(120)는, 외측 롤러(122), 외측 롤러(124), 중앙 롤러(126)가 동일한 중심축을 갖고 있고,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외측 롤러(122), 외측 롤러(124), 중앙 롤러(126)는, 일체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또한, 외측 롤러(122), 외측 롤러(124), 중앙 롤러(126)의 중심축은 서로 독립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롤러 기구는, 중심축이 서로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외경이 상이한 롤러를 일체로 형성하는 롤러 기구에 비해, 롤러간의 원주 속도차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름의 발생, 전사 불량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롤러 기구는, 중심축이 서로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각도 조정 등, 배치 위치를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4)는 두께가 일정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흡수체(4)의 두께를 변화시켜도 좋다. 예를 들어, 흡수체(4)의 중앙부의 흡수체를 두껍게 형성하는 경우에도, 롤러 기구(120)는, 흡수체(4)의 형상에 맞춰 제3 웨브(7C)를 접착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워크 반송 기구(100)에서의 롤러 기구(120)는, 동일한 중심축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롤러 기구(120)와 상이한 롤러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에 관해,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을 주로 설명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의 상세 구성, (2) 변경예에 관해 설명한다.
(1)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의 상세 구성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롤러 기구(120B))는, 흡착면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따르고 있는 선과 대략 평행한 중심축을 갖는 외측 롤러(128) 및 외측 롤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측 롤러(128) 및 외측 롤러(130)의 외측 둘레면은, 흡착면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따르고 있는 선과 대략 평행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롤러 기구(120B)는, 흡착면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따르고 있는 선과 대략 평행한 중심축을 갖는다. 또한, 외측 롤러(128) 및 외측 롤러(130)의 외측 둘레면은, 흡착면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따르고 있는 선과 대략 평행하므로, 제1 실시형태의 효과에 더하여, 각 롤러에서(외측 롤러(128), 외측 롤러(130)) 원주 속도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주름의 발생을 방지하여 상기 워크를 접착할 수 있다.
(2) 변경예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롤러 기구(120B)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좋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변경예에 따른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변경예에 따른 롤러 기구(120C)에서는, 실시형태에 따른 롤러 기구(120B)에 더하여, 중앙 롤러(13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부의 중앙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3 웨브(7C)의 폭방향과 대략 평행한 중심축을 갖는 중앙 롤러(132)를 포함하고, 외측 롤러(128), 외측 롤러(130)는, 중앙 롤러(132)의 제3 웨브(7C)의 폭방향 외측에 설치된다.
롤러 기구(120C)에 의하면,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고, 중앙 롤러(132)에 의해, 제3 웨브(7C)의 중앙부를 흡수체(4)에 더욱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전술한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 워크 반송 기구(100)에서의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는,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 기구이다.
제3 실시형태에서, 워크 반송 기구(100)에서의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는, 전달점(P2)보다 제3 웨브(7C)의 반송 방향에서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도 9의 C 화살표측에서 본 도면)이다. 이하의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을 주로 설명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 (2) 변경예에 관해 설명한다.
(1)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
본 실시형태에서의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120D)는, 전달점(P2)보다 제3 웨브(7C)의 반송 방향에서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120D)는,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120D)는, 지지 부재(132A) 및 지지 부재(132B)로 구성된다. 지지 부재(132A) 및 지지 부재(132B)에는, 예를 들어, 턴바나 크로스가이더를 이용함으로써,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132A) 및 지지 부재(132B)에는, 제3 웨브(7C)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회전하는 롤러를 이용해도 좋다.
지지 부재(132A) 및 지지 부재(132B)는, 회전 드럼(102)의 중심축(104)의 연장 방향에서 봤을 때, 전달점(P2)에서의 흡착면(112)의 중심의 회전 궤적의 접선보다 회전 드럼(102)의 중심축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3 웨브(7C)는, 지지 부재(132A) 및 지지 부재(132B)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120D)는,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중앙부보다 흡착 패드(110)에 접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120D)는, 제1 실시형태의 작용ㆍ효과와 마찬가지로, 주름의 발생이나 전사 불량을 방지하여, 상기 워크를 보다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3 웨브(7C)는, 지지 부재(132A) 및 지지 부재(132B)의 지지부와, 전달점(P2)과의 사이에서 반송 방향(MD)을 따르고 있는 힘이 가해진 상태로, 회전 드럼(102)의 흡착 패드(110)와 접촉한다. 또한,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120D)는, 전달점(P2)보다 제3 웨브(7C)의 반송 방향에서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중앙부보다 흡착 패드(110)에 용이하게 접근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120D)는, 전달점(P2)에서, 롤러를 이용한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120D)보다 제3 웨브(7C)를 변형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120)는, 신축이 약한 웨브 등을 이용할 때 적합하다.
(2) 변경예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120D)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120D)는, 지지 부재(132A) 및 지지 부재(132B)로서, 턴바 대신 벨트 컨베이어와 같은 반송 수단에 의해,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외측 가장자리부만을 지지하여, 회전 드럼(102)의 상측으로부터 제3 웨브(7C)를 반송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120D)는, 전달점(P2)보다 제3 웨브(7C)의 반송 방향에서의 하류측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제3 웨브(7C)는, 부드럽고,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제3 웨브(7C)의 폭방향에서의 중앙부보다 흡착 패드(110)에 접근시킬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개시를 통해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확해질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 패드(110A)의 흡착면(112A)의 형상은, 흡착면(112A)의 중앙부가, 흡착면(112A)의 외측 가장자리부보다 융기한 돔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 패드(110B)의 흡착면(112B)의 형상은, 흡착 패드(110B)의 제1 배치 방향(D1)을 따르고 있는 단면에서, 흡착 패드(110B)의 흡착면(112B)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회전 드럼(102)의 중심축(104)측으로 구부러진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지 않는 여러가지 실시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의 설명에서 타당한 특허청구범위에 따른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08-292369호(2008년 11월 14일 출원)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반송되고 있는 웨브 위에 흡수 시트 등의 워크를 접착하는 경우에, 주름의 발생이나 전사 불량을 방지하여, 상기 워크를 보다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 등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유용하다.

Claims (10)

  1. 흡수성 물품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인 워크(work)를 흡착하는 흡착부가 설치된 회전 드럼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부는, 상기 워크의 수취점에서 상기 워크를 흡착하여 상기 회전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안에, 상기 워크의 제1 배치 방향으로부터 상기 워크의 웨브(web) 위로의 전달점에서의 상기 워크의 제2 배치 방향으로 상기 워크의 배치 방향을 변경하고,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워크를 상기 흡수성 물품의 구성 부품이 연속된 상태로 반송되는 웨브 위에 배치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전달점에서의 상기 흡착부의 상기 제2 배치 방향을 따르고 있는 단면에서,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워크의 외형은, 상기 워크의 중앙부에 비해 상기 워크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회전 드럼의 중심축측에 가깝고,
    상기 웨브를 개재하여 상기 회전 드럼과 반대측에 설치되고, 상기 웨브를 상기 흡착부측에 위치시키는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는, 상기 전달점의 상기 웨브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웨브의 폭방향에서, 상기 전달점의 상기 워크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부분인 상기 웨브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상기 웨브의 폭방향에서의 중앙부보다 상기 회전 드럼의 중심축측에 배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점에서의 상기 흡착부의 상기 제1 배치 방향을 따르고 있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의 흡착면의 중앙부는, 상기 흡착면의 외측 가장자리부보다 상기 회전 드럼의 중심축 근처에 형성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는, 상기 웨브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회전 가능한 롤러 기구이고,
    상기 롤러 기구는, 상기 흡착부가 상기 제2 배치 방향을 따르고 있는 상태에서의 상기 흡착부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외측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롤러의 외측 둘레면은, 상기 흡착면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따르고 있는 선과 평행한 것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롤러는, 상기 웨브의 폭방향과 평행한 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웨브의 폭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것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롤러는, 상기 흡착면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따르고 있는 선과 평행한 중심축을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기구는,
    상기 흡착부의 중앙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웨브의 폭방향과 평행한 중심축을 갖는 중앙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롤러는, 상기 중앙 롤러의 상기 웨브의 폭방향 외측에 설치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롤러 및 상기 외측 롤러의 중심축은 서로 독립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8.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기구에 이용되는 롤러는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는, 상기 웨브의 폭방향에서의 상기 웨브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회전 드럼의 중심축의 연장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전달점에서의 상기 흡착면의 중심의 회전 궤적의 접선보다 상기 회전 드럼측에 설치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10. 흡수성 물품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인 워크를 흡착하는 흡착부가 설치된 회전 드럼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부는, 상기 회전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안에 상기 워크의 배치 방향을 변경하고, 상기 회전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워크를 상기 흡수성 물품의 구성 부품이 연속된 상태로 반송되는 웨브 위에 배치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워크의 수취점에서 상기 워크를 흡착하여, 상기 워크의 제1 배치 방향으로부터 상기 워크의 상기 웨브 위로의 전달점에서의 상기 워크의 제2 배치 방향으로 상기 워크의 배치 방향을 변경하는 배치 변경 공정과,
    상기 전달점에서 상기 웨브를 상기 흡착부측에 위치시키는 웨브 위치 가이드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워크의 외형은, 상기 워크의 중앙부에 비해 상기 워크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회전 드럼의 중심축측에 가깝고,
    상기 웨브를 개재하여 상기 회전 드럼과 반대측에 설치되고, 상기 웨브를 상기 흡착부측에 위치시키는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웨브 위치 가이드 기구는, 상기 웨브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에서, 상기 워크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부분인 상기 웨브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상기 웨브의 폭방향에서의 중앙부보다 상기 회전 드럼의 중심축측에 배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117012897A 2008-11-14 2009-11-13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KR101485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92369A JP5385591B2 (ja) 2008-11-14 2008-11-14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JP-P-2008-292369 2008-11-14
PCT/JP2009/069352 WO2010055910A1 (ja) 2008-11-14 2009-11-13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134A true KR20110086134A (ko) 2011-07-27
KR101485881B1 KR101485881B1 (ko) 2015-01-26

Family

ID=42170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897A KR101485881B1 (ko) 2008-11-14 2009-11-13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327904B2 (ko)
EP (1) EP2359787A4 (ko)
JP (1) JP5385591B2 (ko)
KR (1) KR101485881B1 (ko)
CN (1) CN102215800B (ko)
AR (1) AR074118A1 (ko)
AU (1) AU2009314878A1 (ko)
EA (1) EA201100777A1 (ko)
WO (1) WO20100559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0189B (zh) * 2012-05-15 2016-02-10 安庆市恒昌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用于一次性卫生用品的整流隔仓
JP5926121B2 (ja) 2012-05-31 2016-05-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859918B2 (ja) * 2012-05-31 2016-02-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EP3042641B1 (en) 2013-09-30 2017-06-14 Zuiko Cor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disposable wearable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disposable wearable article
JP6370703B2 (ja) * 2014-12-25 2018-08-08 花王株式会社 シートの転写装置
ES2764494T3 (es) * 2015-04-24 2020-06-03 Zuiko Corp Unidad de trasporte y método para fabricar artículos llevables desechables que usa la misma
WO2016190067A1 (ja) * 2015-05-28 2016-12-01 株式会社瑞光 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US10391000B2 (en) 2015-05-28 2019-08-27 Zuiko Corporation Transport device and disposable wearable article production method using same
ITUB20154187A1 (it) 2015-10-06 2016-01-06 Fameccanica Data Spa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una struttura assorbente
CN106726158A (zh) * 2017-02-17 2017-05-31 陈家荣 一种弹性腰围变横变速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7166A (en) * 1961-02-27 1964-09-01 Paul D Friday Lay-up drum machine
US6656312B1 (en) * 1999-01-16 2003-1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process for applying discrete portions of a web material onto receiving web
JP4054191B2 (ja) * 1999-12-16 2008-02-27 株式会社瑞光 搬送方法及び搬送装置
US6497032B2 (en) * 2000-05-16 2002-12-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fastenable bonding of garment side panels
US6565691B2 (en) * 2000-05-16 2003-05-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lap seam
US6648122B1 (en) * 2000-10-25 2003-11-18 Curt G. Joa, Inc. Apparatus for transferring articles
JP3898196B2 (ja) * 2004-04-15 2007-03-28 東亜機工株式会社 ワーク搬送装置
JP3898195B2 (ja) 2004-04-15 2007-03-28 東亜機工株式会社 ワーク搬送装置
US7398870B2 (en) * 2005-10-05 2008-07-15 Curt G. Joa, Inc Article transfer and placement apparatus
US7770712B2 (en) * 2006-02-17 2010-08-10 Curt G. Joa, Inc. Article transfer and placement apparatus with active puck
JP4859040B2 (ja) * 2006-08-01 2012-01-18 株式会社瑞光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2008292369A (ja) 2007-05-25 2008-12-04 Victor Co Of Japan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15800A (zh) 2011-10-12
US20100122766A1 (en) 2010-05-20
EP2359787A4 (en) 2012-04-18
JP5385591B2 (ja) 2014-01-08
KR101485881B1 (ko) 2015-01-26
US8327904B2 (en) 2012-12-11
WO2010055910A1 (ja) 2010-05-20
CN102215800B (zh) 2014-05-28
JP2010115427A (ja) 2010-05-27
EA201100777A1 (ru) 2011-12-30
AU2009314878A1 (en) 2011-07-07
EP2359787A1 (en) 2011-08-24
AR074118A1 (es)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6134A (ko)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JP2010227545A (ja) 折り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385748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装置
KR20110139733A (ko)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JP5243305B2 (ja) ウェブ搬送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859918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US9622917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s
JP6751710B2 (ja) 搬送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5707468B1 (ja) 吸収性物品に係る連続シートの複合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5291164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JP5666493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JP6420904B2 (ja) 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WO2016190065A1 (ja) 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WO2016170947A1 (ja) 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6354622B2 (ja)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