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7169A - 옻 유래의 변성 우루시올을 이용한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옻 유래의 변성 우루시올을 이용한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7169A
KR20110077169A KR1020090133647A KR20090133647A KR20110077169A KR 20110077169 A KR20110077169 A KR 20110077169A KR 1020090133647 A KR1020090133647 A KR 1020090133647A KR 20090133647 A KR20090133647 A KR 20090133647A KR 20110077169 A KR20110077169 A KR 20110077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coating composition
alkylene
urushio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4218B1 (ko
Inventor
유혜진
정인우
변창세
이재륭
김진태
이정환
최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133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218B1/ko
Priority to CN201080060371.9A priority patent/CN102791809B/zh
Priority to PCT/KR2010/009403 priority patent/WO2011081398A2/ko
Priority to EP10841230.5A priority patent/EP2527410B1/en
Priority to JP2012547011A priority patent/JP5681996B2/ja
Priority to US13/519,617 priority patent/US9034937B2/en
Publication of KR20110077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natural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옻 유래의 변성 우루시올을 이용한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옻에서 추출한 우루시올의 하이드록시기의 반응성을 제거하여 강판 등의 기재의 UV 코팅제로 사용함으로써 높은 항균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효과, 전자파 차단효과, 내식성 향상 효과, 저 함량의 광개시제를 사용한 높은 가교반응속도, 우수한 표면 광택도, 고내스크래치성 등의 우수한 표면외관 및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다.
우루시올, 항균, 강판 표면 처리

Description

옻 유래의 변성 우루시올을 이용한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Surface treatment method of substrate using hydroxyl group substituted urushiol from Toxicodendron vernicifluum}
본 발명은 옻 유래의 변성 우루시올을 이용한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옻에서 추출한 우루시올의 하이드록시기의 반응성을 제거하여 강판 등의 기재의 UV 코팅제로 사용함으로써 높은 항균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효과, 전자파 차단효과, 내식성 향상 효과, 저 함량의 광개시제를 사용한 높은 가교반응속도, 우수한 표면 광택도, 고내스크래치성 등의 우수한 표면외관 및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는 옻 유래의 변성 우루시올을 이용한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옻나무(Toxicodendron vernicifluum)의 주 원산지는 중앙아시아 및 히말라야라고 알려져 있으나, 현재는 중국, 열대지방, 일본 및 한국 등 동아시아권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으며, 이로부터 얻어진 칠액은 항균성, 내후성, 내마모성, 내수성, 내부식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예로부터 금속, 목재 등의 코팅소재로 활용되어 왔으며, 한방에서는 약재로서 널리 활용되어 왔다. 생 옻의 주성분은 우루시올(60-70%), 수분(~20%), 기타 수용성 및 유용성 단백질, 락카아제 및 검(gum)류로 알려져 있다.
우루시올(urushiol)은 불포화 선형 알킬 그룹(unsaturated alkyl chain)을 가지는 카테콜(catechol)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poison ivy 질환의 주원인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러한 우루시올은 다양한 극성 및 비극성 용매에 잘 녹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법이 잘 발달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상태 또는 공기 중에 방치된 상태에서 생 옻은 내제된 락카아제(laccase)의 효소 반응에 의해서 우루시올 단량체와 분자량 1,000-5,000g/mol 정도의 올리고머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 이러한 우루시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우루시올의 중합 및 가교 반응을 통해 항균성이 우수한 코팅 및 도료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보고되었으며, 고전적인 방법으로는 락카아제 또는 퍼록사이드 개시제(peroxide initiators) 하에서의 자유 라디칼 중합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전자의 경우 긴 중합 및 가교 시간을 요구하나, 후자의 경우 몇 시간 내에 반응을 완료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에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45926호에 따르면, 고가의 우루시올을 넓은 중량 범위에서 UV 도료 대비 100:1~100까지 사용하였다.
그러나, 우루시올의 카테콜 구조는 자유 라디칼 중합 시(열 및 광 경화 모두 해당), 도 2와 같은 부 반응(라디칼 포획 반응)으로 인해서 코팅 표면의 광택도 저 하, 낮은 중합속도, 낮은 경화율, 높은 함량의 개시제 사용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을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생옻에서 추출한 우루시올의 하이드록시기를 블록화(blocking)하여 UV 코팅제로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물성을 갖는 기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인더;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UV 코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81486796-PA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C1-30의 알킬, C2-30의 알킬렌, C2-30의 알키닐 또는 C5-12의 아릴을 나타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O-C(O)NHR (from R-N=C=O), -O-C(O)-R (from R-O=C-Cl or R-COOH), -O-Si(R)x(R')3-x (from Rx-Si-(CH3O)3-x), -O-C(R)x(R')3-x (from R x-(CH3CH2O)3-x), 또는 -O-C(O)-(CH2)y-C(O)-OH(from 사이클릭 무수물)을 나타내며,
여기서 R은 C1-30의 알킬, C2-30의 알킬렌, C2-30의 알키닐, C5-12의 아릴, 또는 C6-24의 아르알킬을 나타내고,
상기 치환체 R은 각각 C1-12의 알킬, C2-12의 알킬렌, C2-12의 알키닐 및 C5-12의 아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하여 각각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고,
R'은 C1-12의 알콕시를 나타내며,
x는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 1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하이드록시기를 개질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UV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09081486796-PA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C1-30의 알킬, C2-30의 알킬렌, C2-30의 알키닐 또는 C5-12의 아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본 발명에 따른 UV 코팅용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표면 처리 기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표면 처리 기재를 이용한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옻의 항균특성을 나타내는 우루시올(urushiol)의 하이드록시기를 블록화하여 반응성을 제거한 후 UV 코팅제로 사용함으로써 기재의 항균 효과가 우 수하고, 원적외선 방사효과, 전자파 차단효과, 내식성 향상 효과, 우수한 표면 광택도, 고내스크래치성, 및 낮은 함량의 광개시제 사용에도 높은 가교반응속도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바인더;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UV 코팅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81486796-PAT00003
상기 식에서,
R1은 C1-30의 알킬, C2-30의 알킬렌, C2-30의 알키닐 또는 C5-12의 아릴을 나타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O-C(O)NHR (from R-N=C=O), -O-C(O)-R (from R-O=C-Cl or R-COOH), -O-Si(R)x(R')3-x (from Rx-Si-(CH3O)3-x), -O-C(R)x(R')3-x (from R x-(CH3CH2O)3-x), 또는 -O-C(O)-(CH2)y-C(O)-OH(from 사이클릭 무수물)을 나타내며,
여기서 R은 C1-30의 알킬, C2-30의 알킬렌, C2-30의 알키닐, C5-12의 아릴, 또는 C6-24의 아르알킬을 나타내고,
상기 치환체 R은 각각 C1-12의 알킬, C2-12의 알킬렌, C2-12의 알키닐 및 C5-12의 아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하여 각각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고,
R'은 C1-12의 알콕시를 나타내며,
x는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 1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옻나무(Toxicodendron vernicifluum) 또는 옻나무과의 목재로부터 추출이 가능한 생옻(raw lacquer 또는 칠액)의 주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우루시올의 하이드록시기를 블록화하여 반응성을 제거함으로써 UV 경화 반응성을 향상시킨 변성 우루시올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하이드록시기의 블록화는 본 발명의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에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우루시올의 표면 개질 단계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하고 있으며, 이러한 블록화는 카테콜 구조의 라디칼 공명 안정화 효과를 억제하여 라디칼의 소모 및 지연반응을 억제시킬 수 있어 UV 코팅제로 사용하여 광경화시 발생하는 부반응이 없으면서도 우루시올 특유의 우수한 특성, 예를 들어, 항균성, 원적외선 방사효과, 전자파 차단효과, 내식성 향상 효과, 우수한 표면 광택도, 고내스크래치성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치환체의 정의에 사용된 용어는 하기와 같다.
"알킬"은 다른 기재가 없는 한, 탄소수 1 내지 30의 직쇄 또는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포화 탄화수소를 가리킨다. C1-30 알킬기의 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sec-부틸 및 tert-부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이소헥실, 이소헵틸, 이소옥틸, 이소노닐, 또는 이소데실 등이 포함되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알킬은 "시클로알킬"을 포함한다. 상기 시클로알킬은 다른 기재가 없는 한, 탄소수 3 내지 12의 비방향족, 포화 탄화 수소환으로서 단일환 및 융합환을 포함한다. C3-12 시클로알킬의 대표적 예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및 시클로옥틸이 포함되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알킬렌"은 상기 알킬로부터 유도된 2가의 유기로서, 바람직한 탄소수의 범위는 상기 알킬과 동일하다.
"알키닐"은 다른 기재가 없는 한, 1 이상의 삼중 결합을 갖는, 탄소수 2 내 지 3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불포화 탄화수소를 가리킨다. C2-24 알키닐기의 예는 아세틸렌, 프로핀, 1-부틴, 2-부틴, 이소부틴, sec-부틴, 1-펜틴, 2-펜틴, 이소펜틴, 1-헥신, 2-헥신, 3-헥신, 이소헥신, 1-헵틴, 2-헵틴, 3-헵틴, 1-옥틴, 2-옥틴, 3-옥틴, 4-옥틴, 1-노닌, 2-노닌, 3-노닌, 4-노닌, 1-데신, 2-데신, 3-데신, 4-데신 및 5-데신이 포함되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릴"은 다른 기재가 없는 한, 5 내지 12-원의 방향족 고리화합물을 가리킨다. 아릴기의 예로는 페닐, 비페닐, 나프틸 및 안트라세닐을 포함하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르알킬"은 아릴 및 알킬이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아릴-알킬- 그룹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아르알킬은 저급 알킬 그룹을 포함한다. 적합한 아르알킬 그룹의 비-제한적 예는 벤질, 2-펜에틸 및 나프탈레닐메틸을 포함한다. 모 잔기에 대한 결합은 알킬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알킬, 알킬렌, 알키닐, 아릴 및 아르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 탄소수 2 내지 12의 알킬렌, 탄소수 2 내지 12의 알키닐 및 탄소수 5 내지 12의 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R1은 C12-25의 알킬 또는 C12-25의 알킬렌을 나타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O-C(O)NHR, -O-C(O)-R, -O-Si(R)x(R')3-x, -O- C(R)x(R')3-x, 또는 -O-C(O)-(CH2)y-C(O)-OH을 나타내며,
여기서 R은 C1-12의 알킬, C5-12의 아릴, 또는 C6-12의 아르알킬을 나타내며,
상기 치환체 R은 각각 C1-6의 알킬, C2-6의 알킬렌, 또는 C5-12의 아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하여 각각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고,
R'은 C1-6의 알콕시를 나타내며,
x는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 1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R1은 C15H31-2n이고, 여기서 n은 1 내지 3을 나타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O-C(O)NHR을 나타내며,
여기서 R은 C1-12의 알킬, 또는 C2-6의 알킬렌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12의 아르알킬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R1은 (CH2)14CH3, (CH2)7CH=CH(CH2)5CH3, (CH2)7CH=CHCH2CH=CH(CH2)2CH3, (CH2)7CH=CHCH2CH=CHCH=CHCH3, 또는 (CH2)7CH=CHCH2CH=CHCH2CH=CH2을 나타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O-C(O)NHR을 나타내며,
여기서 R은 C1-8의 알킬, 벤질, 또는 C2-4의 알킬렌으로 치환된 C6-12의 아르알킬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UV 코팅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너무 적은 함량으로 우루시올의 특성을 발현하기 어려우며,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UV 용액 대비 우루시올의 함량이 더 많아져서 UV 경화 시 완전히 경화가 일어나지 않아 코팅 표면에 미반응 물질들이 남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UV 코팅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올리고머 및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계 변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릭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릭 아크릴레이트, 폴리치올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또는 폴리치올시피도아세탈계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방향족 이작용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노볼락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지방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중합은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활성수소를 가지고 있는 폴리올과의 수소 이동반응에 의하여 진행되고 이소시아네이트와 하이드록시 알킬 아크릴레이트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올리고머는
우레탄계 변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25 내지 45 중량부;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우레탄계로 변성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상기 함량이 25 중량부 미만이면 내식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좋지 않고, 45 중량부를 초과하면 도료의 점도가 증가하여 작업성이 감소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8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상기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도막경도가 증가하여 벤딩성(가공성), 특정적으로 굴곡 가공성 및 부착성이 좋지 않고, 25 중량부를 초과하면 도막경화도가 감소하여 내스크래치성이 감소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희석제는 상기 희석제는 1관능기 또는 3관능기 아크릴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아크릴 모르폴린(ACMO),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THFA),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HEA), 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HPA),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 등의 1관능기 아크릴 모노머; 또는 트리메 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3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6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3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TA) 등의 3관능기 아크릴 모노머 중 1개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크릴계 모노머는
1관능기 아크릴 모노머 25 내지 35 중량부; 및
3관능기 아크릴 모노머 7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1관능기 아크릴 모노머는 상기 함량이 25 중량부 미만이면 점도가 증가하여 부착성이 좋지 않고, 35 중량부를 초과하면 자외선 경화성이 감소하여 생산성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3관능기 아크릴 모노머는 상기 함량이 7 중량부 미만이면 점도가 증가하고,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전반적인 도막물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UV 코팅용 조성물은 상기 올리고머 및 희석제 이외에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개시제는 벤조페논계, 디페녹시벤조페논계, 안트라퀴논 유도체, 잔톤 유도체, 티옥산톤 유도체, 또는 벤질계 광개시제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광개시제로는 Micure HP-8, Irgacure 819, Darocur TPO, Micure CP-4와 같은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0.1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미만이면 경화가 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저장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페놀계 산화방지제, 알킬화된 모노페놀, 알킬티오메틸페놀, 하이드로퀴논, 알킬화된 하이드로퀴논, 토코페롤, 하이드록실화된 티오디페닐 에테르, 알킬리덴비스페놀, O-, N- 및 S-벤질 화합물, 하이드록시벤질화된 말로네이트, 방향족 하이드록시벤질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아민계 산화방지제, 아릴 아민, 디아릴 아민, 폴리아릴 아민, 아실아미노페놀, 옥사미드, 금속 불활성제, 포스파이트, 포스포나이트, 벤질포스포네이트, 아스코르브산, 하이드록실아민, 니트론, 티오시너지스트, 벤조푸라논, 또는 인돌리논이 포함되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UV 코팅용 조성물은 점착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실란 커플링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의 구체적 예에는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감마-메타크릴옥시프로필에톡시실란, 감마-클로로프로필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베타-메톡시에톡시)실란,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감마-글리시독시프로 필트리메톡시실란,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베타-(3,4-에폭시사이클로헥실) 에틸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클로로실란, 감마-머캅토프로필메톡시실란,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베타-(아미노에틸)-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그 혼합물이 포함되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하이드록시기를 개질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UV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9081486796-PAT00004
상기 식에서,
R1은 C1-30의 알킬, C2-30의 알킬렌, C2-30의 알키닐 또는 C5-12의 아릴을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C12-25의 알킬 또는 C12-25의 알킬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C15H31-2n이고, 여기서 n은 1 내지 3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CH2)14CH3, (CH2)7CH=CH(CH2)5CH3, (CH2)7CH=CHCH2CH=CH(CH2)2CH3, (CH2)7CH=CHCH2CH=CHCH=CHCH3, 또는 (CH2)7CH=CHCH2CH=CHCH2CH=CH2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에 있어서, 화학식 2의 화합물의 개질 단계는
유기용매 및 촉매의 존재 하에서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의 하이드록시기와 반응 가능한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옻나무(Toxicodendron vernicifluum) 또는 옻나무과의 목재로부터 추출이 가능한 생옻(raw lacquer 또는 칠액)으로부터 추출한 천연, 또는 합성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화학식 2의 화합물로 생옻에서 추출한 천연 상태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의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생옻 및 유기용매를 1:1~2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20 내지 25℃에서 3 내지 6시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교반한다. 상기 혼합비율이 1 미만일 경우, 우루시올이 충분히 용해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기며, 2를 초과할 경우, 유기용매의 사용 및 회수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로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낮은 비점으로 인해 저온에서 회수가 용이하여, 에너지가 적게 드는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옻은 원산지에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교반 후, 혼합용액을 페이퍼 필터(Whatman, 100㎛ pore size)에서 필터한 후, 다시 테프론 필터(Millipore, PTFE, 0.1㎛)에서 여과한다. 필터 방법은 원심분리법을 사용하지 않아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여과된 용액은 다시 20℃의 진공오븐에서 건조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한다.
상기 우루시올 추출방법은 질소 분위기에서 산화 상태를 막고, 저온에서 건조시켜 가열로 인한 우루시올의 부반응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촉매는 SnOct2, dibutyltin dilaurate(DBDTL)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화학식 2의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함량 범위 내일 경우, 반응성이 좋기 때문이다.
상기 유기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톨루엔, 벤젠, 자일렌, 아세톤, N- methyl-2-pyrrolidone, 또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유기용매는 중량 대비 1:2~4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용매의 중량비가 1:2 미만의 경우에서 반응 시 점도 상승 및 반응열 문제로 반응 온도 제어가 용이하지 않으며, 1:4의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다량의 유기용매를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하이드록시기와 반응 가능한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구조 내에 이소시아네이트기, 알콕시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화합물;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사이클릭 무수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이드록시기와 반응 가능한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R-N=C=O, R-O=C-X, R-COOH, R4-x-Si-(R')x, 또는 R-R'을 나타내고,
여기서 R은 C1-30의 알킬, C2-30의 알킬렌, C2-30의 알키닐, C5-12의 아릴, 또는 C6-24의 아르알킬을 나타내고,
상기 치환체 R은 각각 C1-12의 알킬, C2-12의 알킬렌, C2-12의 알키닐 및 C5-12의 아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하여 각각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고,
R'는 C1-12의 알콕시를 나타내며,
x는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 1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가장 구체적으로, 하이드록시기와 반응 가능한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벤질 이소시아네이트, 헥실 이소시아네이트, 3-이소프로페닐-a,a-디메틸 벤질 이소시아네이트, 메타아크로일 클로라이드, 알킬실란, 또는 지방산 숙신 무수물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유기용매에 녹인 반응용액 및 하이드록시기와 반응 가능한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1:2~2.1의 몰 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혼합 몰비가 1:2보다 적을 경우, 미반응 하이드록시기가 존재하여 중합 시 낮은 경화도, 낮은 중합속도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몰 비가 1:2.1 보다 큰 경우, 미반응 관능기(이소시아네이트)가 반응물에 존재하여, 이를 제거하기 위한 정제 과정이 필요하거나, 최종 제품에 잔류하여 독성 문제나 필름 외관에 나빠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의 개질 온도는 3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가 30℃ 미만이면 반응 시간이 너무 길어지며, 50℃를 초과하면, 빠른 반응속도로 인해 반응열 제어가 어려울 수 있으며, 관능기(이소시아네이트)의 부반응(biuret 및 allophanate 형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는 금속, 목재, 플라스틱, 가죽, 또는 종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바람직하게는 강판으로서, 냉연강판; 아연도금강판; 아연계 전 기도금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알루미늄도금강판; 도금층에 코발트, 몰리브덴, 텅스텐, 니켈, 티탄, 알루미늄, 망간, 철 마그네슘, 주석, 동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불순물 또는 이종금속을 함유한 도금강판; 실리콘, 동 마그네슘, 철, 망간, 티탄, 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한 알루미늄 합금판; 인산염이 도포된 아연도금강판; 냉연강판; 또는 열연강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본 발명에 따른 UV 코팅용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표면 처리 기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표면 처리 기재는 UV 코팅용 조성물을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고 UV 광경화반응을 통해 1 내지 20㎛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향균성, 고내스크래치성 및 코팅 표면의 우수한 표면 광택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효과, 전자파 차단효과, 또는 내식성 향상 효과 등을 나타내는 친환경적이고 건강에 유익한 기능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재는 금속, 목재, 플라스틱, 가죽, 또는 종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재로 금속, 바람직하게는 강판을 사용할 경우, 상기 강판의 종류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표면 처리 기재를 이용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표면 처리 기재는 우수한 항균효과뿐만 아니라 고광택, 선영성, 내스크래치성 등이 우수하여 우수한 표면외관 및 기능성이 요구되는 가전 제품, 또는 벽체, 천정재, 칸막이 등의 건축물 내외장재에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UV 코팅제 제조
우루시올을 생 옻으로부터 추출하기 위해, 생 옻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1:1의 비율로 넣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약 23℃에서 약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후, 용액을 페이퍼 필터(Whatman, 100-㎛ pore size)에서 필터한 후, 다시 테프론 필터(Millipore, PTFE, 0.1-㎛)에서 여과하였다.
여과된 용액은 다시 20℃의 진공오븐에서 건조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제거하였다.
도 3 및 4에 추출된 우루시올에 대한 FT-IR spectrum 및 1H-NMR 데이터를 각각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추출한 우루시올의 하이드록시기와 반응할 수 있는 모노이소시아네이트를 도입하여 하이드록시기를 블록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in octoate(SnOct2)(0.1 중량부) 하에서 우루시올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녹였다.
상기 용액에 모노이소시아네이트(헥실이소시아네이트, 벤질이소시아네이트, 또는 TMI®(Meta, Cytec사)를 천천히 첨가하고 약 4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시 실시간으로 FT-IR 분석을 통해서 2270-3 cm-1에서 검출되는 NCO 피크의 강도를 관찰하고, 이를 통해서 반응의 완결 시간 및 소모되는 모노이소시아네이트의 양을 결정하였다.
상기에서 반응이 완결된 변성 우루시올(HI-UR: 헥실이소시아네이트로 변성, BI-UR: 벤질이소시아네이트로 변성, TI-UR: TMI®(Meta, Cytec사)로 변성된 것)을 변성하지 않은 UR과 같은 조건에서 UV 코팅액과 균질 혼합하여, 항균 UV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코팅액을 강판에 도포한 후 UV 광경화 반응을 통해서 항균 UV 코팅 강판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변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CN 150/80, Sartomer, 미국] 35g,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UA-5221, HS 켐트론, 한국] 15g,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THFA) [SR285, Sartomer, 미국], 헥산디올 디아크릴레 이트(HDDA) [Miramer M200, 미원상사, 한국] 10g, 광개시제 [Darocur 1173, Ciba Chemicals, 스위스] 8g, 소포제[TEGO Airex 920, Evonik, 독일] 0.5g, 레벨링제[TEGO Rad 2250, Evonik, 독일] 0.5g 및 부착 증진제 1g을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도금 강판 (GI, EG) 위에 0.5~20㎛ 이하로 코팅한 뒤, UV 조사 램프를 이용하여 2000mJ 이하의 광량으로 경화하였다.
항균 UV 코팅액 대비(변성 또는 순수한)우루시올의 함량은 5%, 10%, 30% 로 변화하여 제조하였으며, 광개시제는 항균 UV 코팅액 중량 대비 1-10까지 사용하였다.
항균 UV 코팅액으로 코팅된 강판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항균성(KATRI,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 의뢰)을 측정하였다. 시험방법은 JIS Z2801법으로, 사용된 균주로는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ATCC 6538P)와 대장균(E. Coli, ATCC 8739)을 사용하였다.
먼저, 균주를 영양배지(nutrient broth)에 준비한 후, 0.4mL 정도의 부피의 양으로 미리 멸균시킨 시편(샘플 당 3개씩, 코팅 강판의 시편 크기 = 50mm×50mm)에 올려 놓고 그 위에 sterile polystyrene film(40mm×40mm)로 덮었다. 이 샘플들을 35℃에서 24시간 인큐베이터 안에서 배양시킨 후 다시 Stomacher bag에 들어 있는 neutralizer container에 넣고 24시간 배양 후, 각각 시편으로부터 생성된 균주의 콜로니 수를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 항균성(정균 감소값: R, 정균 감소율: %)을 평가하였다. 대조군으로는 강판 시편 없이 Stomacher bag 만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정균 감소값,
Figure 112009081486796-PAT00005
(1)
정균 감소율,% =
Figure 112009081486796-PAT00006
(2)
상기 식에서,
A는 초기 균주의 콜로니 수, B는 24시간 배양 후 대조군에서의 균주의 콜로니 수, C는 항균 처리된 강판 시편에서의 균주의 콜로니 수를 나타낸다.
경화도(degree of crosslinking, DC) 분석은 용매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상기 제조된 항균성 UV 코팅액을 강판에 도포한 후, UV로 광조사하여 경화시간 5분 후 시편을 꺼내서 이를 에탄올에 넣고 24시간 동안 방치 후 에탄올에 녹아 잔류하는 미반응된 단량체 및 우루시올의 양을 중량법으로 측정하였다. 중량법에 사용된 식(3)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81486796-PAT00007
(3)
상기 식에서,
W0는 시편에 코팅된 코팅액의 중량, Ws는 에탄올에 녹아 나온 코팅액의 중량이다.
강판의 나노 경도의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측정 팁: Berkovich 다이아몬드 tip(D =7.53h, A = 24.56hc 2)
분석온도: 20℃
최대 하중 = 500mN
시편의 평균값을 사용함
또한, 광택도는 광택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앵글 셀렉터를 60˚에 고정시킨 다음 흑색 광택 표준판을 샘플대에 놓았다. 스위치를 On 시킨 뒤 1~2분간 방치하여 표준판의 광택이 96.4%가 될 때까지 Standardizing Control Knob을 들어 조정한 후 시험하고자 하는 시편을 표준판과 바꾸어 놓고 마이크로 암페어의 스케일을 읽었다(단, 10회 측정한 후 평균치를 낸다.).
인장강도는 인장강도 시험기(만능 측정기)를 이용하여 시편을 시험기에 Setting후 파단 될 때까지 시험하였다. 시험속도는 50mm/min, 시험완료 하중 감소량(End Load)은 90%로 하였다.
하기 표 1 내지 3은 본 발명의 UV 코팅액의 광경화에 따른 물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9081486796-PAT00008
Figure 112009081486796-PAT00009
Figure 112009081486796-PAT00010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순수 UV 코팅액의 경우, 항균성이 전혀 없었으며, 미변성 우루시올이 10% 도입된 UV 코팅액의 경우에도 E. Coli에 대해서는 낮은 정균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이 경우 무엇보다 문제가 된 것은 높은 개시제의 함량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낮은 경화도와 상당히 긴 경화시간을 나타내었다.
헥실 이소시아네이트로 변성된 우루시올을 5, 10% 함유한 항균 UV 코팅액의 경우 E. Coli 에 대해서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변성 우루시올의 높은 경화 반응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우루시올의 하이드록시기를 블록화함으로써 카테콜 구조의 라디칼 공명 안정화 효과를 억제하여 라디칼의 소모 및 지연반응을 억제시킨다. 또한 우수한 경화도로 외관의 광택도가 우수한 코팅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루시올의 도입으로 광택도가 증가하였다. 이는 우루시올의 고광택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나, 측정값보다 실제 육안으로 볼 때 고광택뿐만 아니라 선영성에서 두드러지게 차이가 났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루시올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도 8은 내식성 시험 결과 (SST)를 나타낸 것으로, 개질하지 않은 우루시올을 함유하는 경우 낮은 경화효율로 인한 표면 미경화로 도막에 균열이 생기며, 백청이 발생하고, 우루시올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용액의 경우 내식성 열위, 개질한 우루시올을 함유한 경우 우루시올의 특성인 내식성 향상(방청성) 효과로 백청 발생이 없다.
따라서, 소지강판이 내식효과를 가지고 있는 STS 외에는 내식성을 위한 하도 도막이 필요하나 우루시올 첨가시 1coat로 원하는 내식 성능 구현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생옻 유래의 변성 우루시올 처리에 따른 나노 경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순수 UV 코팅액에 비해 경도가 증가하였다. 즉,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옻에서 추출한 우루시올 단량체의 화학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생옻에서 추출한 우루시올의 광경화 반응 시 발생하는 라디칼 포획 반응 및 중합 메커니즘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생옻에서 추출한 우루시올의 FT-IR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생옻에서 추출한 우루시올의 1H-NMR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생옻에서 추출한 우루시올의 변성 반응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생옻에서 추출한 우루시올(a) 및 변성 우루시올(b)의 FT-IR 스펙트럼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대조군(a), 본 발명의 생옻에서 추출한 우루시올(b), 5% 헥실 이소시아네이트로 변성된 우루시올(c) 및 10% 헥실 이소시아네이트로 변성된 우루시올(d)을 포함하는 UV 코팅제를 사용하여 강판의 항균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생옻 유래의 변성 우루시올 처리에 따른 내식성 시험 결과(SST)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생옻 유래의 변성 우루시올 처리에 따른 나노 경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생옻 유래의 변성 우루시올을 이용한 강판의 UV 경화기술을 도식화한 것이다.

Claims (14)

  1. 바인더;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UV 코팅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9081486796-PAT00011
    상기 식에서,
    R1은 C1-30의 알킬, C2-30의 알킬렌, C2-30의 알키닐 또는 C5-12의 아릴을 나타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O-C(O)NHR (from R-N=C=O), -O-C(O)-R (from R-O=C-Cl or R-COOH), -O-Si(R)x(R')3-x (from Rx-Si-(CH3O)3-x), -O-C(R)x(R')3-x (from R x-(CH3CH2O)3-x), 또는 -O-C(O)-(CH2)y-C(O)-OH(from 사이클릭 무수물)을 나타내며,
    여기서 R은 C1-30의 알킬, C2-30의 알킬렌, C2-30의 알키닐, C5-12의 아릴, 또는 C6-24의 아르알킬을 나타내고,
    상기 치환체 R은 각각 C1-12의 알킬, C2-12의 알킬렌, C2-12의 알키닐 및 C5-12의 아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하여 각각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고,
    R'은 C1-12의 알콕시를 나타내며,
    x는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 1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은 C12-25의 알킬 또는 C12-25의 알킬렌을 나타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O-C(O)NHR, -O-C(O)-R, -O-Si(R)x(R')3-x, -O-C(R)x(R')3-x, 또는 -O-C(O)-(CH2)y-C(O)-OH을 나타내며,
    여기서 R은 C1-12의 알킬, C5-12의 아릴, 또는 C6-12의 아르알킬을 나타내며,
    상기 치환체 R은 각각 C1-6의 알킬, C2-6의 알킬렌, 또는 C5-12의 아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 의하여 각각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고,
    R'는 C1-6의 알콕시를 나타내며,
    x는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 1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는 UV 코팅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R1은 C15H31-2n이고, 여기서 n은 1 내지 3을 나타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O-C(O)NHR을 나타내며,
    여기서 R은 C1-12의 알킬, 또는 C2-6의 알킬렌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12의 아르알킬을 나타내는 UV 코팅용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R1은 (CH2)14CH3, (CH2)7CH=CH(CH2)5CH3, (CH2)7CH=CHCH2CH=CH(CH2)2CH3, (CH2)7CH=CHCH2CH=CHCH=CHCH3, 또는 (CH2)7CH=CHCH2CH=CHCH2CH=CH2을 나타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O-C(O)NHR을 나타내며,
    여기서 R은 C1-8의 알킬, 벤질, 또는 C2-4의 알킬렌으로 치환된 C6-12의 아르알킬을 나타내는 UV 코팅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이 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UV 코팅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바인더는 올리고머 및 희석제를 포함하는 UV 코팅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올리고머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계 변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릭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릭 아크릴레이트, 폴리치올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및 폴리치올시피도아세탈계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UV 코팅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올리고머가
    우레탄계 변성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25 내지 45 중량부;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UV 코팅용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희석제는 아크릴계 모노머인 UV 코팅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모노머가
    1관능기 아크릴 모노머 25 내지 35 중량부; 및
    3관능기 아크릴 모노머 7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UV 코팅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광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UV 코팅용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광개시제는 벤조페논계, 디페녹시벤조페논계, 안트라퀴논 유도체, 잔톤 유도체, 티옥산톤 유도체 및 벤질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UV 코팅용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광개시제는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UV 코팅용 조성물.
  14.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UV 코팅용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표면 처리 기재.
KR1020090133647A 2009-12-30 2009-12-30 옻 유래의 변성 우루시올을 이용한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 KR101204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647A KR101204218B1 (ko) 2009-12-30 2009-12-30 옻 유래의 변성 우루시올을 이용한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
CN201080060371.9A CN102791809B (zh) 2009-12-30 2010-12-28 使用源自漆树的改性漆酚处理基材表面的方法
PCT/KR2010/009403 WO2011081398A2 (ko) 2009-12-30 2010-12-28 옻 유래의 변성 우루시올을 이용한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
EP10841230.5A EP2527410B1 (en) 2009-12-30 2010-12-28 Antibacterial surface treatment with denatured urushiol derivative
JP2012547011A JP5681996B2 (ja) 2009-12-30 2010-12-28 Uv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表面処理剤
US13/519,617 US9034937B2 (en) 2009-12-30 2010-12-28 Surface treatment method for a substrate using denatured urushiol derived from Toxicodendron verniciflu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647A KR101204218B1 (ko) 2009-12-30 2009-12-30 옻 유래의 변성 우루시올을 이용한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169A true KR20110077169A (ko) 2011-07-07
KR101204218B1 KR101204218B1 (ko) 2012-11-27

Family

ID=44227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647A KR101204218B1 (ko) 2009-12-30 2009-12-30 옻 유래의 변성 우루시올을 이용한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34937B2 (ko)
EP (1) EP2527410B1 (ko)
JP (1) JP5681996B2 (ko)
KR (1) KR101204218B1 (ko)
CN (1) CN102791809B (ko)
WO (1) WO2011081398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292B1 (ko) * 2011-11-30 2014-01-22 한국내쇼날주식회사 옻독이 제거된 우루시올-uv 도료 혼합 코팅제의 제조방법 및 코팅 방법
WO2020067799A1 (ko) * 2018-09-27 2020-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항균 코팅제가 처리된 기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62712A (ko) * 2021-10-29 2023-05-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조개 껍데기를 포함하는 인조 대리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 대리석
US11814544B2 (en) 2018-09-27 2023-11-14 Lg Chem, Ltd. Substrate treated with antimicrobial coating ag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5361A1 (ja) * 2013-05-13 2014-11-20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新規複合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るポリマー被覆材前駆体
CN103694891B (zh) * 2013-12-23 2016-03-23 福建师范大学 一种经烯类有机硅改性漆酚光固化膜的制备方法
CN104962197A (zh) * 2015-07-24 2015-10-07 南京林业大学 一种可喷涂的彩色生漆的制备方法
KR101577950B1 (ko) 2015-09-04 2015-12-16 신수연 나노 탄소와 옻액조성물을 이용한 전자파 차단제 제조방법
KR101819306B1 (ko) * 2015-12-23 2018-01-17 주식회사 포스코 밀착성이 우수한 철강 소재용 잉크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린트 강판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프린트 강판
CN107345087B (zh) * 2016-05-05 2019-07-05 中国林业科学研究院林产化学工业研究所 一种漆酚丙烯基醚光固化膜的制备方法
CN107779095B (zh) * 2016-08-30 2020-04-21 南京中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漆酚丙烯酸酯光固化膜的制备方法
KR101948514B1 (ko) 2017-05-18 2019-02-15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필름 인너라이너층을 갖는 공기입 타이어 및 제조 방법
KR102193014B1 (ko) * 2017-10-11 2020-1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항균성 고분자 코팅 조성물 및 항균성 고분자 필름
CN110387184A (zh) * 2019-07-11 2019-10-29 闽江学院 漆酚交联改性潮气固化丙烯酸树脂涂料及制备方法
JP7267863B2 (ja) * 2019-07-17 2023-05-02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うるし化合物及び該うるし化合物の製造方法
CN111732872A (zh) * 2020-04-30 2020-10-02 中国林业科学研究院林产化学工业研究所 一种漆酚基环保型木蜡油的制备方法
CN112920713B (zh) * 2021-02-25 2022-04-15 中国林业科学研究院林产化学工业研究所 一种烯丙基改性生漆及其制备方法
FR3131323A1 (fr) * 2021-12-24 2023-06-30 Orpia Innovation Nouvelle utilisation de composés diacide dans le domaine des revêtements des surfac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5262A (ja) * 1983-01-24 1984-08-03 Asahi Pen:Kk 二液系スプレ−用漆調塗料
JPH02105880A (ja) * 1988-10-14 1990-04-18 Nippon Soda Co Ltd 塗料組成物
JPH08283664A (ja) * 1995-04-17 1996-10-29 Rengo Co Ltd 合成漆塗料
JP2821110B2 (ja) * 1996-11-15 1998-11-05 福島県 紫外線硬化型含漆合成樹脂塗料及び秒速乾燥法
FR2773480B1 (fr) 1998-01-13 2000-05-12 Oreal Composition de teinture d'oxyd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et procede de teinture mettant en oeuvre cette composition
KR100332702B1 (ko) 1999-07-28 2002-04-17 정명세 옻칠 도막처리제
JP3947187B2 (ja) * 2004-08-13 2007-07-18 学校法人明治大学 木材又は紙用塗料
CN1657582A (zh) 2005-03-17 2005-08-24 福建师范大学 一种含天然生漆耐温变抗紫外涂料及其制备方法
KR20060130398A (ko) * 2005-06-14 2006-12-1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내후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옻칠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제품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10323A (ko) * 2005-07-18 2007-01-24 한상재 전극재료의 자체 전기분해에 의한 지반개량공법 및 장치
KR100751014B1 (ko) 2006-03-21 2007-08-23 주식회사 뉴팩코리아 모서리 개봉형 개량 지퍼용기
JP5013582B2 (ja) * 2006-06-21 2012-08-29 学校法人明治大学 漆系塗料、その製造方法及び漆塗装材
KR100925245B1 (ko) * 2006-11-21 2009-11-05 한국내쇼날주식회사 우루시올-uv 도료 혼합 코팅제를 제조하여 코팅하는 방법
KR100831662B1 (ko) * 2007-01-31 2008-05-22 한국내쇼날주식회사 우루시올을 함유한 고체혼합물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의하여 제조된 우루시올을 함유한 고체혼합물 및 그 분말
KR20090011881A (ko) * 2007-07-27 2009-02-02 한국내쇼날주식회사 우루시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일액형 도료가 코팅된 도장품의 제조방법
JP2009242731A (ja) * 2008-03-31 2009-10-22 Fukushima Prefecture 光重合性含漆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292B1 (ko) * 2011-11-30 2014-01-22 한국내쇼날주식회사 옻독이 제거된 우루시올-uv 도료 혼합 코팅제의 제조방법 및 코팅 방법
WO2020067799A1 (ko) * 2018-09-27 2020-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항균 코팅제가 처리된 기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11814544B2 (en) 2018-09-27 2023-11-14 Lg Chem, Ltd. Substrate treated with antimicrobial coating ag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230062712A (ko) * 2021-10-29 2023-05-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조개 껍데기를 포함하는 인조 대리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 대리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91809B (zh) 2016-01-20
KR101204218B1 (ko) 2012-11-27
JP5681996B2 (ja) 2015-03-11
EP2527410B1 (en) 2015-09-16
WO2011081398A3 (ko) 2011-11-17
US20120288550A1 (en) 2012-11-15
US9034937B2 (en) 2015-05-19
JP2013516511A (ja) 2013-05-13
WO2011081398A2 (ko) 2011-07-07
EP2527410A4 (en) 2014-04-09
CN102791809A (zh) 2012-11-21
EP2527410A2 (en)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218B1 (ko) 옻 유래의 변성 우루시올을 이용한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
KR101714847B1 (ko) 그래핀 코팅 조성물, 그래핀 코팅 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Ma et al. Renewable cardanol-based star-shaped prepolymer containing a phosphazene core as a potential biobased green fire-retardant coating
EP2181162B1 (de) Strahlenhärtbare formulierungen
US7759406B2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silsesquioxane graft polym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ltıntaş et al. The maleimide modified epoxy resins for the preparation of UV‐curable hybrid coatings
CN110698646B (zh) 一种环氧丙烯酸酯及其制备方法
CN107011834B (zh) 粘合剂组合物、粘合构件、光学构件、及电子构件
Karataş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UV‐curable phosphorus containing hybrid materials prepared by sol–gel technique
KR20170082973A (ko) 아릴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CN110872372B (zh) 含三嗪环的六官能团丙烯酸聚氨酯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200299553A1 (en)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as well as adhesive tapes an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KR20120051596A (ko) 톨루엔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테이프의 제조 방법
CN114249878A (zh) 一种耐高温低黄变uv油墨用树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831867A (zh) 粘合剂组合物、粘合构件、光学构件、及电子构件
WO2010008201A2 (en) Uv-curable coat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water resistance and optical fiber using the same
JP4468134B2 (ja) (メタ)アクリレート系ポリマー
NO339721B1 (no) Fremgangsmåte for fremstilling av varmeherdede belegg
CN112679577B (zh) 一种生物基高附着力树脂的合成方法
JP2006070060A (ja) 感圧接着剤用組成物
CN116426157B (zh) 一种抗刮耐磨uv玻璃油墨
WO2024002742A1 (en) Silicone urethane (meth)acrylates and their use in coating compositions
US20240191036A1 (en) Polysiloxane composition, adhesive, method for producing polysiloxan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adhesive
Park et al. Synthesis of poly (methyl urethane) acrylate oligomer using 2-Isocyanatoethyl methacrylate for UV curable coating
CN112724912A (zh) 一种耐蒸煮水性聚氨酯胶黏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