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6334A - 차량용 블랙박스,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블랙박스,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6334A
KR20110076334A KR1020090133016A KR20090133016A KR20110076334A KR 20110076334 A KR20110076334 A KR 20110076334A KR 1020090133016 A KR1020090133016 A KR 1020090133016A KR 20090133016 A KR20090133016 A KR 20090133016A KR 20110076334 A KR20110076334 A KR 20110076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cident
black box
accident situation
exter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5131B1 (ko
Inventor
이민구
강정훈
박용국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33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13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6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05Solid-state data logg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어 충격량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사고의 발생 유무를 판별하여 저장함과 동시에 경찰관 등이 구비한 외부 단말기로 사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에 인가되는 충격량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와, 센서에 인가된 충격량을 통해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충격량을 기반으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 제어유닛 및 사고 정황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로 무선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유닛을 포함한다.
블랙박스, 차량, 센서, 충격량, 유비쿼터스, USN

Description

차량용 블랙박스,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Blackbox for vehicle, Blackbox system and Controlling methdo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차량에 설치되어 충격량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사고의 발생 유무를 판별하여 저장함과 동시에 경찰관 등이 구비한 외부 단말기로 사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교통 사고의 발생시 사고 원인 규명은 주로 목격자의 진술에 의하거나 경찰관의 경험적 판단에 의해 처리되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와 같은 교통 사고 원인 규명 방식은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므로 과실 여부의 판단이 명확하지 않아 종종 가해자와 피해자가 뒤바뀌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통 사고 혹은 도난 사고가 발생된 경우 사고 당시의 차량 상태을 파악할 수 있고, 사고 원인을 정확히 분석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차량용 블랙박스의 장착 의무화 제도의 도입이 추진되고 있다.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운행 및 사고발생시 당시 상황의 정보를 영상과 음성으로 촬영 및 기록하여 사고 정황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 일반적인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 내부 또는 외부 상황 영상을 저장하기 위해 차량의 내, 외부에 설치된 카메라와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운행 전 구간을 녹화하는 `상시녹화'와 일정 충격을 받았을 때만 녹화할 수 있는 `충격녹화' 등의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랙박스는 미국, 유럽 등의 일부 국가에서 상용차를 중심으로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진행 중이며, 국내에도 오는 2010년 차량용 블랙박스 의무화 입법이 추진중에 있다. 특히, 서울시는 올해 안에 2만 2000대 택시에 경기도는 약 3만 4000대 택시에 블랙박스를 설치할 예정이다.
미국의 경우 2004년 출시된 승용차 80%가 블랙박스를 장착하고 있다. 일본은 2007년 기준 약 6만대 차량에 블랙박스가 장착됐으며 각 국가별로 2010년 이내 차량용 블랙박스 의무장착이 단계적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유럽에선 2010년도부터 모든 차량에, 미국은 2011년부터 4.5톤 이하의 모든 차량에 블랙박스 장착을 의무화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 전면, 차량 내부 또는 전면과 내부 모두를 녹화하기 위해 다수의 카메라를 구비하나, 카메라의 경우 영상 사각지대가 존 재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전/후면을 촬영하기 위한 전/후방 카메라, 차량의 양 측면을 촬영하기 위한 좌/우 측방 카메라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전방 카메라와 측방 카메라 사이의 사각지대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며, 야간에 충동 사고가 발생하거나 비/눈/안개/황사 등으로 인한 기상 악화시 사고 정황이 정확하게 촬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영상을 통한 사고 정황 판단 역시 사람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영상의 해석시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여지가 남아있어 객관적 사고판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블랙박스에 저장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해당 블랙박스의 제조사에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함과 동시에, 블랙박스의 내부에 구비된 사고 정황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가 조작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고 발생시 충격량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충격센서를 통해 감지된 충격량을 저장하고 충격량 데이터를 통해 사고 정황을 판단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 사고 정황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사고 정황과 관련한 데이터를 수집 저장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및 블랙박스와 무선 통신하여 사고 정황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 단말기로 이루어진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가해 차량과 피해 차량을 구분할 수 있도록 사고 정황을 판단함과 동시에 블랙박스를 제어하기 위한 차량용 블랙박스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에 인가되는 충격량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와, 센서에 인가된 충격량을 통해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충격량을 기반으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 제어유닛 및 사고 정황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로 무선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센서는 차량의 전면, 후면 및 좌우 측면에 각각 설치되 는 제1 내지 제4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센서는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의 충격 및 진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충격을 감지할 수 있는 2축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유닛은, 하나 이상의 센서와 유선통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된 각 센서의 충격량을 기반으로 차량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사고 정황 데이터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는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도록 ECU, GPS 또는 네비게이션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제1 내지 제4센서에 감지된 충격량들 중 어느 하나가 오프셋을 초과하는 경우 차량 사고 발생 상태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저장부는 차량 사고 발생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저장부는 차량 운행 동안 센서를 통해 감지된 충격량을 기반으로 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유닛은 저장부에 저장된 사고 정황 데이터를 변조하기 위한 제1RF모듈 및 변조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제1안테나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에 감지된 충격량을 기반으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산출하여 저장하며 외부로 송신 하기 위한 차량용 블랙박스 및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전송된 사고 차량의 사고 정황 데이터를 수신받아 표시하기 위한 외부 단말기를 포함하며, 차량용 블랙박스와 외부 단말기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외부 단말기는 차량용 블랙박스와의 사이에 무선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모듈 및 RF모듈을 포함하며, 사고 정황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부 단말기에 표시되는 사고 정황 데이터는 차량에 인가되어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충격량 정보 및 차량의 파손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가속페달/브레이크페달의 작동, 방향지시등의 작동, 스티어링휠의 조향각을 비롯한 엔진의 RPM수, 차량의 속도, ECU에 의해 제어되는 차량 상태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에 각각 설치되어 외부 단말기와 USN을 구성하며, 외부 단말기로 전송된 하나 이상의 차량의 사고 정황 데이터를 통해 가해 차량과 피해 차량이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차량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사고 정황을 판단하는 단계와, 사고 발생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외부 단말기의 데이터 호출 신호를 수신받는 단계 및 외부 단말기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고 정황 판단 단계에서, 차량의 전/후/좌/우 측면에 설치된 4개의 센서 중 어느 하나에 감지된 충격량이 오프셋 이상일 경우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사고 정황 판단 단계에서, 사고 발생시 4개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충격량의 크기를 비교하여 차량의 파손 위치가 판별될 수 있다.
또한, 사고 정황 데이터 저장 단계에서, 사고 상황 시점의 시간 및 사고 시점부터 센서에 감지된 충격량을 기반으로 한 사고 정황 데이터가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호출 신호 수신 단계에서, 차량용 블랙박스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호출 신호가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데이터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사고 정황 데이터를 변조할 수 있다.
사고 정황 데이터 송신 단계에서, 변조된 사고 정황 데이터는 라디오 주파수를 기반으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로 구성된 외부 단말기로 무선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블랙박스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객관적인 사고 정황을 판단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 경찰관 등이 구비한 외부 단말기로 사고 정황 데이터를 무선 송신함으로써 현장에서 사고 정황을 즉시 판별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100)는 하나 이상의 센서(110), 제어유닛(120), 무선 송수신유닛(130)을 포함하며 하나의 차량(A,B)에 하나의 블랙박스(100)가 설치된다.
하나 이상의 센서(110)는 차량(A,B)의 전방, 후방 및 양 측면에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센서(111,112,113,114)로 구성되며, 유선 통신을 통해 블랙박스(100)의 제어유닛(12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센서(110)는 2축 이상의 충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사용하여 차량(A,B)의 진행방향에 대한 센싱값을 충돌을 인식하는 값으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센서(110)는 차량(A,B)의 진행방향에 해당하는 X축 및 진행방향에 직교하는 Y축의 충격을 감지할 수 있는 2축 센서를 사용하며, 이들 중 차량(A,B)의 진행방향에 해당하는 X축의 충격량만을 차량(A,B)의 충돌 사고 판별의 자료로 사용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센서(110)는 X축 방향으로의 충격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X축 방향으로의 충격량은 실질적으로 도로의 노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충격량을 의미한다. 또한 센서(110)는 차량(A,B)의 진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충격, 즉 도로의 노면 상태 불량 또는 과속방지턱으로 차 량(A,B)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Y축 방향으로의 충격은 사고 정황 데이터에서 배제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인 충돌 사고 정황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1 내지 제4센서(111,112,113,114)는 차량(A,B)의 전방/후방 및 양 측면의 충격을 감지할 수 있도록 차량(A,B)의 전방 및 후방 범퍼와 차량(A,B)의 좌/우측 도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센서(110)는 가속도 센서, 기울기 센서 또는 충격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유닛(120)은 제1 내지 제4센서(111,112,113,114)로부터 감지된 충격량을 바탕으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며 외부 단말기(14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 인터페이스(121), 제어부(122) 및 저장부(123)를 포함한다.
입력 인터페이스(121)는 상술한 제1 내지 제4센서(111,112,113,114)와 유선통신을 통해 충격량을 전달받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차량(A,B) 내부의 유선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RS232 등의 방식으로 센서(11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입력 인터페이스(121)는 센서(110)를 통한 사고 정황 데이터 이외에도, 차량(A,B)의 다양한 동작 상태를 입력받기 위해, 스티어링휠, 브레이크페달, 가속페달, 방향지시등, 엔진, 자동변속기, ABS 등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ECU, 차량의 위치추적을 위한 GPS 또는 네비게이션 장치 등의 디지털 구성요소 등에 연결되어 차량 상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의 고유 식별번호, 차량조작정보, 차량운행정보, 차량주변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조작정보는 가속페달의 작동상태, 엔진의 RPM수, 방향지시등의 작동상태, 브레이크페달의 작동상태, 스티어링휠의 조향각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운행정보는 차량의 속도 정보, ECU에 의해 제어되는 다양한 차량 부품의 작동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주변정보는 차량의 위치 정보 또는 차량 주변의 교통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입력 인터페이스(121)를 통해 전달된 사고 정황 데이터, 즉 충격량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A,B)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고,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사고 정황 데이터 및 차량 상태 데이터를 저장부(123)에 저장하며, 외부 단말기(140)에 의한 데이터 호출 시 외부 단말기(140)로의 사고 정황 데이터 및 차량 상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한다.
제어부(122)는 차량(A,B)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제1 내지 제4센서(111,112,113,114)에 인가된 충격량을 통해 가해 차량(A,B)의 판별 및 사고 발생 시 충돌 부위를 판별할 수 있으며, 이는 도 1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A,B)용 블랙박스(100)가 각각 설치된 차량(A,B) A의 후미에 차량(A,B) B가 충돌한 경우에 있어서, 차량(A)에 구비된 제1 내지 제4센서(111,112,113,114)와 차량(B)에 구비된 제1 내지 제4센서(111,112,113,114)에는 각각 서로 다른 충격량이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A)의 제1센서(111)에는 3의 충격량이, 제2센서(112)에는 5의 충격량이, 제3센서(113)에는 4의 충격량이, 마지막으로 제4센서(114)에는 10의 충격량이 감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격량의 차이를 기반으로 차량(A)에 설치된 블 랙박스(100)의 제어부(122)는 차량(A)은 차량의 후미와 좌측부위에 더 큰 충격이 가해졌음을 인지함으로써 차량(A)의 파손 부위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차량(B)의 제1센서(111)에는 9의 충격량이, 제2센서(112)에는 3의 충격량이, 제3센서(113)에는 4의 충격량이, 마지막으로 제4센서(114)에는 1의 충격량이 감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격량의 차이를 기반으로 차량(B)에 설치된 블랙박스(100)의 제어부(122)는 차량(B)의 전면과 우측부위에 더 큰 충격이 가해졌음을 인지함으로써 차량(B)의 파손 부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양 차량(A,B)에 구비된 블랙박스(100)의 사고 정황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고 당시 각 센서(111,112,113,114)에 감지되어 저장된 충격량 정보를 비교하여 보면 가해 차량(B)과 피해 차량(A)을 구분할 수 있다. 상술한 충격량을 참조하면, 차량(A)의 제2센서(112)에 의해 감지된 충격량의 크기가 제1센서(111)의 충격량보다 크기 때문에, 차량(A)는 후미가 충돌되었음을 나타내며, 차량(B)의 제1센서(111)에 의해 감지된 충격량의 크기가 제2센서(112)의 충격량보다 크기 때문에, 차량(B)는 전면부가 충돌되었음을 판별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블랙박스(100)의 센서(110)로 가속도 센서가 사용되는 경우 차량(A,B)의 진행방향이 감지될 수 있으며, 차량(A,B) 모두가 전진 진행하는 동안 충돌이 발생한 경우, 차량(A)의 제2센서(112)의 충격량이 차량(B)의 제1센서(111)의 충격량보다 크기 때문에 차량(B)에 의한 충돌 사고임을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센서(110)는 차량(A,B)의 진행 방향 및 충격량을 감지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2)는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충격량을 통한 사고 정황 데이터 및 차량(A,B) 상태 정보를 저장부(123)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방식은 사고시 저장 방식과 상시 저장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사고시 저장 방식은 제1 내지 제4센서(111,112,113,114)를 통해 감지된 충격량이 기 설정된 오프셋을 초과하여 충돌 사고 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고 정황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상시 저장 방식은 차량(A,B) 운행 동안 센서(110)에 감지된 모든 사고 정황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고시 저장 방식을 적용하였으나, 상시 저장 방식으로 자유롭게 변경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122)는 사고시 저장 방식을 기반으로,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충격량을 기 설정된 오프셋과 비교하여 충격량을 기반으로 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저장부(123)에 저장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차량(A,B)에 설치된 4개의 센서(111,112,113,114) 각각에 감지된 충격량들 중 어느 하나라도 오프셋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시점부터의 충격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4개의 센서(111,112,113,114)에 감지된 충격량의 평균치를 산정하여 이를 오프셋과 비교함으로써 저장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차량용 블랙박스(100)의 설계시 자유롭게 변경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2)는 상시 저장 방식을 기반으로, 차량(A,B)의 운행 동안의 모든 정보를 저장부(123)에 저장할 수도 있다. 즉 차량(A,B)의 운행 동안 센서(110)를 통해 감지되는 모든 충격량을 기반으로 한 사고 정황 데이터 및 상술한 차량 상태 데이터를 시간 순으로 저장부(123)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어부(122)는 별도의 타이머(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2)는 차량(A,B)의 운행 동안에 센서(110) 및 ECU 등에 의해 수집되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부(123)에 저장함과 동시에 타이머를 구동하여 일정 시간 이후에 저장부(123)의 충격량 정보를 리셋하는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저장부(123)는 입력 인터페이스(121)를 통해 전달된 다양한 차량 상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읽기/쓰기 기능을 갖춘 플레시 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23)는 제어부(122)를 통해 전달된 사고 정황 데이터 또는 차량 상태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차량(A,B)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 경찰관이 구비한 외부 단말기(140)의 데이터 호출시 사고 정황 데이터 또는 차량 상태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140)로 전송하기 위해 해당 정보에 액세스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123)에는 차량(A,B)의 다양한 상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때 차량(A,B)의 상태 정보는 하나의 필드를 구성하여 저장부(123)에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시 저장 방식을 기반으로, 저장부(123)의 하나의 어드레스에 의해 지시되는 하나의 데이터 필드에는 타이머에 의해 지시되는 시간, 센서(110)에 의해 판별되는 사고 정황 데이터가 저장되며, 필요한 경우 차량(A,B)의 가속페달/브레이크페달의 작동, 방향지시등의 작동, 스티어링휠의 조향각을 비롯한 엔진의 RPM수, 차량의 속도, ECU에 의해 제어되는 다양한 차량(A,B) 부품의 작동 상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송수신유닛(130)은 저장부(123)에 저장된 충격량 정보 등을 외부 단말기(140)로 무선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무선 송수신유닛(130)은 단거리 송수신을 위한 제1RF모듈(131) 및 제1안테나모듈(132)을 포함한다.
제1RF모듈(131)은 외부 단말기(140)로부터의 데이터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외부 단말기(140)로 사고 정황 데이터 및 다양한 차량 상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부(123)에 저장된 충격량 기반의 사고 정황 데이터 또는 차량 상태 기반의 차량 상태 데이터를 변조하여 제1안테나모듈(132)로 전송하여 송신한다.
제1안테나모듈(132)은 외부 단말기(140)로부터의 데이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수신유닛(132a)과 외부 단말기(140)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송신유닛(132b)으로 구성되며, 외부 단말기(140)와의 사이에 라디오 주파수를 기반으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Ubiqutous Sensor Network)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100)는 외부 단말기(140)와의 사에에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차량(A,B)의 사고 정황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단말기(140)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차량용 블랙박스(100)와의 사이에 무선 송수신을 위한 제2안테나모듈과 제2RF모듈을 포함하며, 블랙박스(100)로부터 전송된 사고 정황 데이터 및 차량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41)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은 상술한 차량용 블랙박스(100)와 외부 단말기(140)로 구성되며 블랙박스(100)와 외부 단말기(140)는 라디오 주파수를 기반으로 USN을 구성한다.
차량(A,B)용 블랙박스(100)는 충격량을 감지하는 센서(110)를 기반으로 차량(A,B)의 사고 정황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 사고 발생시 외부 단말기(140)에 의한 데이터 호출 신호 수신시 외부 단말기(140)로 사고 정황 데이터를 무선 송신한다. 블랙박스(100)로부터 송신되는 사고 정황 데이터는 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충격량 정보, 차량(A,B)의 파손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블랙박스(100)는 사고 정황 데이터 이외에도 차량의 가속페달/브레이크페달의 작동, 방향지시등의 작동, 스티어링휠의 조향각을 비롯한 엔진의 RPM수, 차량의 속도, ECU에 의해 제어되는 다양한 차량 부품의 상태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하며, 이와 같은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도 4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사고 정황을 판단하는 단계(S110)와 사고 발생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120)와 외부 단말기의 데이터 호출 신호를 수신받는 단계(S130)와 외부 단말기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고 정황 판단 단계(S110)에서는 차량의 전/후/좌/우 측면에 설치된 4개의 센서에 감지된 충격량을 기반으로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4개의 센서 중 어느 하나에 감지된 충격량이 기 설정된 오프셋 이상일 경우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사고 발생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4개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각각의 충격량을 기반으로 차량의 파손 위치가 판별될 수 있다. 즉, 가장 큰 충격량이 감지된 센서가 설치된 차량의 부위가 실질적인 파손 위치로 판단될 수 있으며, 또한 가장 큰 충격량이 감지된 2개의 센서를 통해 보다 정확한 파손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사고 정황 데이터 저장 단계(S120)에서는 사고 정황 판단 단계(S110)에서 차량 사고 발생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사고 상황 시점의 시간 및 사고 시점부터 센서에 감지된 충격량을 기반으로 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여기서 센서를 기반으로 한 사고 정황 데이터 이외에도 차량의 가속페달/브레이크페달의 작동, 방향지시등의 작동, 스티어링휠의 조향각을 비롯한 엔진의 RPM수, 차량의 속도, ECU에 의해 제어되는 다양한 차량 부품의 상태 데이터를 포함한 차량 상태 데이터가 저장부에 저장될 수도 있다.
데이터 호출 신호 수신 단계(S130)에서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구비된 무선 송수신유닛을 통해 외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호출 신호를 수신받는다. 즉 외부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호출 신호를 수신받기 전까지 사고 정황 데이터 및 차량 상태 데이터는 저장부에 저장되며, 데이터 호출 신호가 무선 송수신유닛에 수신되면 사고 발생 시점의 사고 정황 데이터 및 차량 상태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유닛의 제1RF모듈로 전송하여 변조한다.
사고 정황 데이터 송신 단계(S140)에서는 제1RF모듈에 의해 변조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제1안테나모듈을 통해 외부 단말기로 무선 송신하며, 본 실시예에서 차량용 블랙박스와 외부 단말기는 라디오 주파수를 기반으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를 구성한다.
상술한 제어방법을 통해 외부 단말기(140)로 전송된 사고 정황 데이터를 기반으로 외부 단말기(140)를 구비한 경찰관 등은 차량(A,B)의 사고 정황을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돌 차량(A,B) 모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100)를 구비한 경우, 양 차량(A,B)의 충돌 사고 발생시 파손 부위 및 가해/피해 차량의 판별이 센서에 의해 감지된 충격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어 객관적 사고 처리가 가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차량용 블랙박스,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블랙박스의 개략적인 개념도;
도 3은 도 2의 차량용 블랙박스의 제어유닛 및 무선 송수신유닛의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차량용 블랙박스 110 : 센서
111 : 제1센서 112 : 제2센서
113 : 제3센서 114 : 제4센서
120 : 제어유닛 121 : 입력 인터페이스
122 : 제어부 123 : 저장부
130 : 무선 송수신유닛 131 : 제1RF모듈
132 : 제1안테나모듈 132a : 제1수신유닛
132b : 제1송신유닛 140 : 외부 단말기
141 : 디스플레이부

Claims (20)

  1.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에 인가되는 충격량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센서에 인가된 충격량을 통해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충격량을 기반으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사고 정황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로 무선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기 차량의 전면, 후면 및 좌우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의 충격 및 상기 진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충격을 감지할 수 있는 2축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와 유선통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된 상기 각 센서의 충격량을 기반으로 차량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사고 정황 데이터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도록 ECU, GPS 또는 네비게이션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센서에 감지된 충격량들 중 어느 하나가 오프셋을 초과하는 경우 차량 사고 발생 상태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차량 사고 발생시 상기 사고 정황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차량 운행 동안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충격량을 기반으로 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유닛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고 정황 데이터를 변조하기 위한 제1RF모듈; 및
    상기 변조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제1안테나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10. 차량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에 감지된 충격량을 기반으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산출하여 저장하며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차량용 블랙박스; 및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전송된 사고 차량의 사고 정황 데이터를 수신받 아 표시하기 위한 외부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와 상기 외부 단말기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와의 사이에 무선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모듈 및 RF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사고 정황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기 사고 정황 데이터는 상기 차량에 인가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충격량 정보 및 상기 차량의 파손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가속페달/브레이크페달의 작동, 방향지시등의 작동, 스티어링휠의 조향각을 비롯한 엔진의 RPM수, 차량의 속도, ECU에 의해 제어되는 차량 상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외부 단말기와 USN을 구성하며,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하나 이상의 차량의 상기 사고 정황 데이터를 통해 가해 차량과 피해 차량이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15. 차량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사고 정황을 판단하는 단계;
    사고 발생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외부 단말기의 데이터 호출 신호를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단말기로 사고 정황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사고 정황 판단 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전/후/좌/우 측면에 설치된 4개의 센서 중 어느 하나에 감지된 충격량이 오프셋 이상일 경우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제어방법.
  17. 청구항 15 또는 16에 있어서,
    상기 사고 정황 판단 단계에서,
    사고 발생시 상기 4개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충격량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파손 위치가 판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제어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사고 정황 데이터 저장 단계에서,
    사고 상황 시점의 시간 및 사고 시점부터 센서에 감지된 충격량을 기반으로 한 사고 정황 데이터가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제어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호출 신호 수신 단계에서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호출 신호가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데이터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고 정황 데이터를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제어방법.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사고 정황 데이터 송신 단계에서,
    상기 변조된 사고 정황 데이터는 라디오 주파수를 기반으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로 구성된 상기 외부 단말기로 무선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90133016A 2009-12-29 2009-12-29 차량용 블랙박스,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25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016A KR101125131B1 (ko) 2009-12-29 2009-12-29 차량용 블랙박스,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016A KR101125131B1 (ko) 2009-12-29 2009-12-29 차량용 블랙박스,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334A true KR20110076334A (ko) 2011-07-06
KR101125131B1 KR101125131B1 (ko) 2012-03-16

Family

ID=44916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016A KR101125131B1 (ko) 2009-12-29 2009-12-29 차량용 블랙박스,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1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991B1 (ko) * 2011-09-09 2013-03-04 (주) 아이테크코리아 스마트 폰에서 차량 운행 정보의 공유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WO2014047487A1 (en) * 2012-09-20 2014-03-27 Cloudcar, Inc. Collection and use of captured vehicle data
KR20220050280A (ko) 2020-10-15 2022-04-25 (주)디 넷 주차 차량 접근 경보 및 잔류승객 감지 시스템
KR20220136609A (ko) 2021-04-01 2022-10-11 (주)오투원스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
KR102575275B1 (ko) * 2022-08-19 2023-09-06 주식회사 디텍 산업용 차량운행정보 저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285B1 (ko) 2012-05-18 2013-08-07 전자부품연구원 도로 위치기반 적응형 영상 및 차량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3160A (ko) 2014-12-16 2016-06-2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지능형 운송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4977A (ko) * 2004-03-24 2005-09-29 백두일렉트론 주식회사 카메라 폰을 이용한 차량 사고 기록 장치 및 방법
KR100796265B1 (ko) * 2006-08-16 2008-01-21 아이클루(주) 차량용 블랙박스
KR20090099716A (ko) * 2008-03-18 2009-09-23 유종태 네트워크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블랙박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991B1 (ko) * 2011-09-09 2013-03-04 (주) 아이테크코리아 스마트 폰에서 차량 운행 정보의 공유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WO2014047487A1 (en) * 2012-09-20 2014-03-27 Cloudcar, Inc. Collection and use of captured vehicle data
KR20220050280A (ko) 2020-10-15 2022-04-25 (주)디 넷 주차 차량 접근 경보 및 잔류승객 감지 시스템
KR20220136609A (ko) 2021-04-01 2022-10-11 (주)오투원스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
KR102575275B1 (ko) * 2022-08-19 2023-09-06 주식회사 디텍 산업용 차량운행정보 저장장치
WO2024039063A1 (ko) * 2022-08-19 2024-02-22 주식회사 디텍 산업용 차량 운행정보 저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5131B1 (ko)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131B1 (ko) 차량용 블랙박스,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659939B2 (ja) 車両検出システム、車載機およびセンター
JP6027743B2 (ja) 車両挙動解析装置、車両挙動解析プログラム及びドライブレコーダ
JP5533626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システム
JP5820190B2 (ja) イベント監視用車載器
KR101947493B1 (ko) Obd 정보를 이용한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
CN104252722A (zh) 集成的车辆交通摄像头
CN107770724A (zh) 用于云托管传感器数据的车辆通信系统
JP5938197B2 (ja) 走行データ転送システム
US20190371083A1 (en) Self declaring device for a vehicle using restrict traffic lanes
JP5200568B2 (ja) 車載装置、車両走行支援システム
JP2006347493A (ja) ドライブレコーダー
JP2008221906A (ja) 車両損傷箇所報知システム
JP5627369B2 (ja) 車載運行記録装置
KR20160145937A (ko) 노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환자 이송 차량에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113766B1 (ko) 유무선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262903A (zh) 服务器装置及车辆
KR20110109310A (ko)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CN106558123A (zh) 一种行车记录安全控制系统
US20150145663A1 (en) System for transmitting accident data and method thereof
JP2015028711A (ja) 車両の交通環境情報記録装置
KR20150055278A (ko) 차량용 레이더를 이용한 실시간 교통정보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555051B1 (ko) 후방차량 충돌사고 방지장치
KR101353047B1 (ko) 차량 감시용 vsdt 장치
JPWO2021010396A5 (ja) 走行記憶システム、走行記憶方法、および映像記録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