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310A -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310A
KR20110109310A KR1020100028969A KR20100028969A KR20110109310A KR 20110109310 A KR20110109310 A KR 20110109310A KR 1020100028969 A KR1020100028969 A KR 1020100028969A KR 20100028969 A KR20100028969 A KR 20100028969A KR 20110109310 A KR20110109310 A KR 20110109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vehicle
amount
unit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864B1 (ko
Inventor
권만준
인종수
고광호
Original Assignee
권만준
인종수
고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만준, 인종수, 고광호 filed Critical 권만준
Priority to KR102010002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864B1/ko
Publication of KR20110109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5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nitored vehicles as destination, e.g. accidents, stolen, re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스마트폰에서 적절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자동차 블랙박스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영상 및 음성 데이터, 위치정보, 속도, 충격량, 충돌방향, 차량 운전정보 등을 시간에 따라 파일로 저장하고, 충격량이 소정 크기 이상이면 사고발생으로 판단하고, 또한 충격량이 소정 크기 이상이면 긴급구난센터에 사고사실을 알리는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Method for Making Automobile Driving Record Executed on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서 적절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자동차 블랙박스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현대의 생활에서 편리한 운송수단으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도구이다. 그런데 자동차는 운행 중일 때, 크고 작은 사고를 겪을 수 있다. 사고의 원인에 대하여 사고 당사자들 간에 시비가 붙기도 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사고의 원인을 분명하게 규명하기 위하여 자동차 블랙박스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블랙박스는 비행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사고 당시 비행기의 모든 운행상황, 즉 속도, 고도, 조종사의 음성 등을 저장하여 사후에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사고 원인을 알아내어 장래의 사고를 예방하는데 사용되는 사고기록장치인데, 자동차에도 이러한 블랙박스를 장착함으로써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사고원인을 규명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자동차 블랙박스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하고, 도 2는 통상적인 자동차 블랙박스의 개략적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블랙박스는 가속도센서 및 방향각속도센서와 같은 자동차에 장착된 센서들로부터의 충돌정보, 카메라와 마이크에 의하여 얻어지는 영상 및 음성 신호 그리고 조향각, 속도, 브레이크 작동여부, 제동지시등 작동여부, 안전띠 착용여부, 시동여부, 각종 스위치 조작 여부 등과 같은 자동차로부터 자동차의 운행정보 및 운전자 조작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회수한 후 분석하거나 블랙박스로부터 데이터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현장에서 분석함으로써 사고원인을 규명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차량 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교통사고 정보를 경찰 및 119 구조센터와 같은 긴급구난센터에 자동으로 통보함으로써 신속한 환자수송과 교통처리를 가능하게 해준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03569호(2005. 12. 05. 등록)는 평상시에는 휴대폰으로 사용하다가 자동차의 주행시에는 자동차 내부 운전석 앞 거치대에 장착하고 비디오 촬영버튼을 누르면 동영상을 촬영하여 무한대 순환방식으로 동영상을 메모리칩에 저장하며, 자동차의 차체에 외부충격이 가해지면 차체부설 충격감지센서의 전기적 신호를 받아 외부 충격감지 제어센서에 의해 충격 후에도 저장용량의 절반정도까지 동영상을 촬영, 저장하다가 촬영이 정지되어 사고 발생시 사고전과 사고후의 동영상이 저장되는 무한대 순환방식 메모리칩 카메라 폰을 개시한다. 이 고안은 휴대폰을 자동차 차체에 설치되는 충격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 충격을 감지함으로써 휴대폰을 자동차 블랙박스로 사용한다는 발상이지만, 단순히 외부 충격 전후의 정해진 시간 동안에 동영상만을 저장하는 것에 불과하여 자동차 블랙박스로 사용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휴대폰과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충격감지센서 간의 인터페이스 설정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실제로 제품화되지는 못하였다.
위 고안이 실용신안으로 등록된 후에 특허공개 및 등록 공보 및 실용신안 공개 및 등록 공보에 자동차 블랙박스에 관한 많은 발명 및 고안이 개시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위 고안을 제외하고는 휴대폰을 자동차 블랙박스로 사용하려는 시도는 없었는데, 이것은 휴대폰으로는 자동차 블랙박스를 제대로 구현할 수 없다는 인식이 바탕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에서 적절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자동차 블랙박스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영상취득부, 음성취득부, 위치정보취득부, 충격검출부, 영상표시부, 음성출력부, 메모리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구현되는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명령을 입력함에 의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취득부 및 상기 음성취득부로부터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취득부로부터 위치정보를 연속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의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와 상기 스마트폰을 전기적으로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운전정보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자동차의 운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연속적인 상기 위치정보 및 자동차 운전정보를 연속적인 상기 영상 및 음성 데이터와 시간에 따라 일치되도록 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메모리부에 미리 정해진 만큼의 용량 또는 그 이상으로 상기 정보들이 저장되는 때에는 가장 이전의 정보들을 삭제하고 대신 가장 최근의 정보들을 저장함으로써 상기 메모리부에는 미리 정해진 만큼의 용량으로 상기 정보들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제1 기준 충격량 이상의 충격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그 충격시점 전의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그리고 그 충격시점 후의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의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에 대한 상기 영상 및 음성 데이터,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자동차 운전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별도의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기준 충격량보다 큰 제2 기준 충격량 이상의 충격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긴급구난센터로 사고사실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량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또한 자동차의 사고위치, 충격량 및 차량의 종류를 상기 긴급구난센터로 알리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기준 충격량은 차량의 종류 및 충격부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량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또한 자동차의 사고위치, 충격부위 및 충격량을 상기 긴급구난센터로 알리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충격방향 또는 충격부위와 충격시점의 속도를 더 상기 긴급구난센터로 알리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 이후에 상기 제2 기준 충격량 이상의 두번째 또는 그 다음의 충격이 있었는지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그 충격량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또한 그러한 두번째 및 그 다음의 충격의 충격량을 더 상기 긴급구난센터에 알리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사고발생시의 충격량으로는 상기 충격검출부에 의하여 측정되는 충격량, 스마트폰에서 상기 충격검출부에 의하여 측정된 충격량을 자동차 차체에서 받는 충격량으로 환산한 충격량, 또는 사고충격시각에서의 차량 운동량의 변화에 의하여 계산된 충격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된 암호에 의하여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모든 데이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로 연관된 방식으로 하나의 파일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을 스마트폰에서 구현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스마트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은 스마트폰에서 구현되어 자동차 블랙박스가 갖추어야 하는 기능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실질적인 자동차 블랙박스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즉, 본 발명은 자동차 블랙박스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기능으로서 동영상을 자동차 위치정보와 자동차 운전정보와 함께 시간에 따라 저장하는 기능을 달성하여 자동차 사고 발생시에 사고원인을 규명하는 증거로서 사용되게 할 뿐만 아니라 사고의 정도에 따라 오류 없이 또는 낮은 오류율로 긴급구난요청을 통지함으로써 신속한 환자수송 및 교통처리를 달성할 수 있게 해준다.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전용 자동차 블랙박스를 사용하는 대신에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자동차 블랙박스로 사용함으로써 경제적 이점을 얻게 된다.
도 1은 자동차 블랙박스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통상적인 자동차 블랙박스의 개략적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을 구현하는 스마트폰의 개략적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을 구현하는 스마트폰의 개략적 구성도를 도시한다. 스마트폰은 모바일용 범용 운영체제(General Purpose Operating System; GPOS)를 탑재한 프리미엄 단말기로서, 2005년 또는 그 이전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미국의 애플사가 2007년 6월말경에 아이폰(iPhone)을 출시한 후에 큰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은 제어부(10)를 가진다. 스마트폰의 이러한 제어부(10)는 PC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모바일용 범용 운영체제에 의하여 제공되는 명령 또는 기능 및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공되는 명령 또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을 실행하는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가진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물리적인 키패드 형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적인 키패드 형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입력부(110)에 프로그램의 실행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을 시작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또한 영상취득부(120) 및 음성취득부(130)를 가진다. 영상취득부(120)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음성취득부(130)는 마이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이 시작되면 그것들은 제어부(10)의 명령에 따라 작동되기 시작한다.
스마트폰은 또한 위치정보취득부(140)를 포함한다. 위치정보취득부(140)는 위성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GPS)를 포함하며, 그것에 의하여 자동차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며 또한 자동차의 진행방향 및 속도로 알 수 있게 된다.
스마트폰은 또한 충격검출부(160)를 가진다. 충격검출부(160)는 중력센서 또는 G-센서, 특히 가속도센서를 포함한다. 가속도센서는 가속도와 중력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순간적인 충격감지 기능이 뛰어나다. 스마트폰에서 가속도센서를 사용하는 한 예는 스마트폰에 내장되는 가속도센서에 의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가로방향으로 눕혀서 화면을 보고 있는지 아니면 세로방향으로 세워서 화면을 보고 있는지를 감지하여 화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에 내장된 가속도센서를 사용하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이 제안되어 있으나,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자동차 블랙박스로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아직까지 제안되지 않았다.
스마트폰은 또한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하여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것을 운전정보 인터페이스부(150)로 이용하여 자동차의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와 스마트폰을 전기적으로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과 자동차의 전자제어장치 간을 연결하는 전선이 필요하다. 전선은 스마트폰과 결합하기 위한 핀수를 가지는 스마트폰측 플러그와 자동차와 결합하기 위한 핀수를 가지는 자동차측 플러그를 가져야 한다. 무선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무선통신 수단이 내장되어야 하는데,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 수단이 스마트폰 및 자동차에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는 퍼스날 컴퓨터와의 연결을 위한 PC 인터페이스부(240)로도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폰이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하여 PC와 연결되는 구성은 제시되었으나, 아직까지 스마트폰은 자동차의 운전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자동차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되는 구성을 제시한 적은 없었다.
스마트폰은 또한 메모리부(210)를 포함한다. 메모리부(210)에는 카메라(120) 및 마이크(130)에 의하여 얻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 GPS(140)로부터 얻는 위치정보, 방향정보 및 속도정보, 운전정보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자동차의 전자제어장치로부터 얻는 조향각, 속도, 브레이크 작동여부, 제동지시등 작동여부, 안전띠 착용여부, 시동여부, 각종 스위치 조작 여부 등과 같은 운전정보, 그리고 가속도센서(160)로부터 얻는 가속도 또는 충격량에 관한 데이터가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저장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하나의 파일로 저장될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의 분량으로 여러 파일로 저장될 수도 있다.
스마트폰은 또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부(220)를 가진다. 이러한 영상표시부(220)는 본 발명에서 입력을 위한 가상 키패드를 표시할 수 있고 또한 저장된 영상 등의 데이터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으며,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다른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표시하거나 영상통화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은 스마트폰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부(10)가 실행함에 의하여 시작된다.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제어부는 카메라, 마이크, GPS, 중력센서를 작동시키도록 명령한다. 이러한 장치들이 작동하면 그에 따라 영상, 음성, 위치정보, 속도, 충격량 및 충격방향에 관한 데이터가 이 장치들로부터 제어부로 수신되고 그러면 제어부는 그러한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로 저장한다(단계 110). 이 때, 제어부는 운전정보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자동차의 전자제어장치로부터 각종 운전정보를 수신하고 함께 파일로 저장한다. 저장되는 운전정보는 속도, 조향각, 브레이크 작동여부, 제동지시등 작동여부, 안전띠 착용여부, 시동여부, 각종 스위치 조작 여부와 같이 교통사고 발생시에 사고의 원인과 책임 및 피해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파일은 하나의 파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시간의 분량에 따라 예를 들어, 30분 분량을 가지는 여러 파일로 분할하여 저장될 수도 있다. 그런데, 스마트폰에 내장 또는 외장되는 메모리부는 그 크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터가 파일로 저장되어 그 분량이 증가할수록 추가적으로 기록하여야 할 분량이 줄어들게 되어 정작 사고발생시에는 기록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정해진 메모리 공간이 모두 소진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파일에서 가장 이전의 데이트는 삭제되고 대신에 가장 최근의 데이터가 추가되는 형식으로 덮어쓰기가 가능한 파일 형식으로 이러한 데이터 파일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데이터는 정해진 매 시간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파일에 저장된다. 정보보안을 위하여 이러한 파일은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되는 암호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0)는 수신된 데이터의 현재 시각에 해당하는 현재 충격량이 제1 기준 충격량 이상이 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120). 이 때, 제1 기준 충격량은 사고로 인식할 수 있는 최소의 충격량이 되며, 이것은 사용자가 입력에 의하여 설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통상의 자동차 블랙박스에서는 충격감지센서가 차체에 설치되고, 더욱 정밀한 측정을 위해서는 전,후, 좌,우 방향에 여러 개의 충격감지센서가 설치되는데. 이 경우에는 사고발생시에 사고의 충격량이 거의 그대로 충격감지센서에 전달되어 그 충격량에 의하여 사고의 발생 및 사고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은 자동차 내부 운전석 앞 거치대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차체에 충격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에 비하여 전달되어 측정되는 충격량은 실제 사고 충격량보다 작을 것이다. 따라서, 제1 기준 충격량을 설정함에 있어서, 이러한 사정이 감안되어야 할 것이며, 프로그램은 실제 사고충격량과 스마트폰에서 측정되는 충격량의 상관관계에 따라 적절한 안내를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스마트폰에 의하여 측정된 충격량을 자동차 차체에서 받는 충격량으로 환산하여 사고충격량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그러한 환산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에 의한 충격량 데이터와 자동차 제조회사의 충격시험의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함으로써 구해질 수 있다.
한편, 사고충격량을 충격감지센서에 의하여 측정하는 대신에 충격감시센서에 의해서는 사고충격시각만을 얻고, 그 충격시각에서의 운동량의 변화를 구하여 그것을 충격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그 충격시각 직전의 차량속도를 V1, 그 충격시각 직후의 차량속도를 V2 그리고 차량의 중량을 m이라고 하면 그 충격시각에서의 차량의 운동량의 변화는 m(V1-V2)이고, 이것은 그 시각에서의 충격량이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계산에 의하여 구한 충격량이 스마트폰에 내장된 가속도센서에 의하여 측정한 충격량보다 더욱 정확할 수도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이것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차량의 속도는 GPS에 의하여 측정된 값을 사용할 수 있고, GPS가 제대로 작동할 수 없는, 예를 들어, 터널 내와 같은 곳에서는 차량의 운전정보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중량은 차량의 종류에 따라 차량 출고시 제공되는 정보에 의하여 차량의 종류를 사용자가 입력하면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계산될 수 있다. 물론 더욱 정밀한 중량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주행 전에 탑승자의 숫자 및 짐의 무게를 감안하여 입력한 중량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현재 충격량이 제1 기준 충격량보다 작으면 이 때에는 사고발생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단계 110으로 리턴하여 제어부는 각종 데이터의 수신 및 저장을 시간에 따라 계속한다. 반면에 현재 충격량이 제1 기준 충격량 이상이 되면, 제어부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현재 시각을 사고발생시각으로 인식하고 파일에 현재 시각을 사고발생시각으로 저장한다(단계 130). 이와 같이 파일에 사고발생시각을 저장하는 이점은 사용자로 하여금 나중에 사고분석을 할 때 사고발생시점을 빨리 찾을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것이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은 변수로서 사고시각을 설정하고 사고발생시 그 때의 현재시각을 변수 사고시각에 저장할 수 있다(단계 130). 그렇게 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긴급구난센터에 사고사실을 알릴 때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그러한 사고가 얼마나 위중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제어부는 현재 충격량이 제2 기준 충격량 이상인지를 판단한다(단계 140). 이 때, 제2 기준 충격량은 매우 위급한 사고가 발생하여 빠른 시간 내에 환자를 수송하여야 하는 위급상황 발생의 기준이 되는 충격량이다. 이러한 제2 기준 충격량은 자동차의 차종에 따라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차종에 따라 충격량을 견뎌낼 수 있는 능력이 다르기 때문이다. 자동차 제조회사는 자동차를 판매하기에 앞서 자동차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여러 조건에서 충격시험을 하여 데이터를 확립한다. 따라서, 제2 기준 충격량을 설정함에 있어서 자동차 제조회사가 확보한 이러한 충격시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은 자동차 내부 운전석 앞 거치대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차체에 충격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에 비하여 전달되어 측정되는 충격량은 실제 사고 충격량보다 작을 것이다. 따라서, 스마트폰에 의하여 측정된 충격량 자체로는 긴급구난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스마트폰을 실질적으로 자동차 블랙박스로 사용하는데 큰 장애가 되는 요소이다. 이러한 장애요소를 극복하고 실질적으로 충격된 부분에서의 실제 충격량에 근접하게 충격량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그러한 방법으로서, 첫 번째 방법은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에 의하여 충격량을 측정한 값은 실제 충격이 가해지는 차체에 설치된 충격감지센서에 의하여 측정한 값과는 상당한 차이를 가질 것이기 때문에, 그러한 값들 간의 상관관계를 실험에 의하여 설정한 후 자동차 제조회사의 충격시험 데이터를 스마트폰에서 측정한 충격량으로 환산, 전환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환산 및 전환작업에 더하여 더욱 정밀한 제2 기준 충격량의 설정을 위하여, 실제로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폰을 자동차 블랙박스로 사용한 후의 구체적 사고기록 데이터로부터 상기 환산 및 전환작업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고 아울러 보정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환산 및 전환작업 없이, 제2 기준 충격량의 설정 없이 본 발명을 어느 정도의 기간동안 적용한 후 실제 사고기록 데이터에 의거하여 제2 기준 충격량을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기준 충격량은 충격방향, 특히 충격부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자동차는 전방과 후방에서의 충돌에는 상대적으로 강하지만 측면에서의 충격에는 약하다. 따라서, 측면 충돌에 의한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2 기준 충격량을 상대적으로 낮게 적용하고 전방 또는 후방 충돌에 의한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2 기준 충격량을 상대적으로 높게 적용하도록 제2 기준 충격량을 전후방 제2 기준 충격량과 측방 제2 기준 충격량으로 구분하여 적용할 수 있다. 충돌방향에 대한 감지는 가속도센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충돌시점으로부터 짧은 소정 시간 동안의 가속도를 측정하면 자동차의 충격부위가 어디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전방 또는 후방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그 방향으로 큰 가속도가 발생하지만 측방으로는 가속도가 크게 발생하지는 않는다. 반면에 자동차의 측방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측방으로 큰 가속도가 발생한다. 자동차의 전방 측면 부근, 즉 휀다 부위에 충격이 가해지면 자동차는 앞으로 비스듬히 진행하면서 회전을 하기도 한다. 따라서, 충격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 동안 가속도를 측정하면 자동차의 어느 부위에 충격이 가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실질적으로 충격된 부분에서의 실제 충격량에 근접하게 충격량을 얻을 수 있는 두 번째 방법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때에도, 가속도센서에 의하여 측정한 충격량 대신에 충격시각에서의 차량의 운동량의 변화를 충격량으로 채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현재 충격량이 제2 기준 충격량 이상이라면, 사고는 단순한 접촉사고가 아닌 심각한 사고인 것으로 판단하여, 긴급구난센터에 사고사실을 무선통신으로 통보한다(단계 150). 이 때, 긴급구난센터에 알리는 데이터의 내용은 스마트폰에 의하여 측정된 사고충격량 또는 이것으로부터 환산되어 설정되는 차체의 사고충격량 또는 사고시각에서의 차량 운동량의 변화에 의하여 계산된 충격량, 자동차의 사고위치, 차량의 종류, 차량무게, 차량번호, 충격방향, 충격시의 속력, 사고시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의 사고위치는 경도와 위도로 표현될 수도 있고, 이에 대응하는 지도 및 행정구역이 조합된 다른 표현, 예를 들어 xxx 경찰서로부터 북쪽 500m 1번 국도 상에 사고발생 등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차량의 종류로는 사용자가 프로그램에 미리 등록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차량무게로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충격시의 속력은 GPS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이 사용될 수 있고, GPS에 의하여 속력 데이터를 얻을 수 없는 상황, 예를 들어 터널에서의 사고의 경우에는 차량 운전정보로부터 얻을 수 있다. 통보되는 충격량이 차체 충격에 대하여 정확하게 측정되는 것이라면 충격시의 속력은 통보될 필요가 없다고 할 수도 있으나, 충격시의 속력은 그 자체로 2차 충격의 가능성에 대한 판단자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긴급구난센터에서는 유용한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충격시의 속력이 매우 높은 경우에는 그 자체로 높은 사고 충격량을 발생할 것이지만, 2차 충격의 가능성이 매우 높고 연속적인 사고의 가능성이 크므로 긴급구난센터는 더욱 긴급한 구난활동을 하여야 할 상황임을 인식하게 해줄 것이다.
반면에 현재 충격량이 제2 기준 충격량보다 작다면 단순 접촉사고로 판단하여 긴급구난센터에는 알리지 않고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현재시각과 사고시각의 차이를 계산하여 그것이 정해진 시간이거나 그 이상이 되는지를 판단한다(160).
만약 사고시각으로부터 정해진 시간만큼 경과하였다면, 그 사고에 관한 데이터 파일을 별도로 작성하여 저장하고(170), 절차를 단계 110으로 리턴한다. 이 때, 이 파일은 사고시각 전후 소정시간동안의 각종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고시각 전 20초 동안의 각종 데이터와 사고시각 후의 20초 동안의 각종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 파일은 나중에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는 유력한 증거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자체에 의하여는 덮어쓰기가 불가능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별도의 파일을 저장하는 경우, 전체 기록을 저장하는 파일이 메모리의 용량을 전부 사용하여 여분의 메모리가 없는 경우에는 전체 기록 파일에 저장된 내용 중 가장 이전의 기록들을 별도 파일의 용량 만큼 지운 후에 그 별도 파일을 작성한다.
만약 사고시각으로부터 정해진 시간만큼 경과하지 않았다면, 제어부는 다음 데이터를 수신한 후 저장하고(단계 180), 절차는 단계 140으로 리턴된다. 여기에서 절차가 단계 140으로 리턴되어 다시 수신된 충격량이 제2 기준충격량 이상이 되는지를 판단하고, 그렇다면 다시 긴급구난센터에 사고사실을 다시 통보하게 하는 이유는 특히 고속도로 상에서의 사고는 1차 충돌사고에 이은 2차 이상의 사고에 의하여 더욱 큰 사고로 확대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대형 참사가 빚어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1차 충돌사고에 이어 2번째 또는 그 후의 사고에 의한 소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있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그러한 경우에는 다시 그러한 2차 충격사고를 긴급구난센터에 통보한다. 긴급구난센터에 통보되는 데이터는 1차 충돌사고때의 것과 같을 수 있다. 다만, 긴급구난센터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2차 충격사고임을 명시하여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제어부 110: 사용자 입력부
120: 영상취득부 130: 음성취득부
140: 위치정보취득부 150: 운전정보 인터페이스부
160: 충격검출부 210: 메모리부
220: 영상표시부 230: 무선통신부
240: 통신부

Claims (10)

  1.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영상취득부, 음성취득부, 위치정보취득부, 충격검출부, 영상표시부, 음성출력부, 메모리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구현되는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이력 기록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명령을 입력함에 의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취득부 및 상기 음성취득부로부터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취득부로부터 위치정보를 연속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의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와 상기 스마트폰을 전기적으로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운전정보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자동차의 운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연속적인 상기 위치정보 및 자동차 운전정보를 연속적인 상기 영상 및 음성 데이터와 시간에 따라 일치되도록 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메모리부에 미리 정해진 만큼의 용량 또는 그 이상으로 상기 정보들이 저장되는 때에는 가장 이전의 정보들을 삭제하고 대신 가장 최근의 정보들을 저장함으로써 상기 메모리부에는 미리 정해진 만큼의 용량으로 상기 정보들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제1 기준 충격량 이상의 충격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그 충격시점 전의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그리고 그 충격시점 후의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의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에 대한 상기 영상 및 음성 데이터,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자동차 운전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별도의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기준 충격량보다 큰 제2 기준 충격량 이상의 충격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긴급구난센터로 사고사실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량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또한 자동차의 사고위치, 충격량 및 차량의 종류를 상기 긴급구난센터로 알리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충격량은 차량의 종류 및 충격부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량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또한 자동차의 사고위치, 충격부위 및 충격량을 상기 긴급구난센터로 알리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충격방향 또는 충격부위와 충격시점의 속력을 더 상기 긴급구난센터로 알리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 이후에 상기 제2 기준 충격량 이상의 두번째 또는 그 다음의 충격이 있었는지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그 충격량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또한 그러한 두번째 및 그 다음의 충격의 충격량을 더 상기 긴급구난센터에 알리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발생시의 충격량은 상기 충격검출부에 의하여 측정되는 충격량, 스마트폰에서 상기 충격검출부에 의하여 측정된 충격량을 자동차 차체에서 받는 충격량으로 환산한 충격량, 또는 사고충격시각에서의 차량 운동량의 변화에 의하여 계산된 충격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된 암호에 의하여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데이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로 연관된 방식으로 하나의 파일로 저장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10. 제1항에서 제9항까지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을 스마트폰에서 구현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스마트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00028969A 2010-03-31 2010-03-31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KR101157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969A KR101157864B1 (ko) 2010-03-31 2010-03-31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969A KR101157864B1 (ko) 2010-03-31 2010-03-31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310A true KR20110109310A (ko) 2011-10-06
KR101157864B1 KR101157864B1 (ko) 2012-06-22

Family

ID=45026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969A KR101157864B1 (ko) 2010-03-31 2010-03-31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86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459B1 (ko) * 2011-12-20 2013-06-17 이성종 운송수단의 조기경보 시스템
KR101339454B1 (ko) * 2012-01-18 2013-12-06 네무스텍(주) 모바일 기기의 멀티 센서를 이용한 차량 운행 정보 제공 방법
US9813540B2 (en) 2015-01-27 2017-11-07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computing statistical vehicle data using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20190086166A (ko) * 2018-01-12 2019-07-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지능형 영상 녹화 장치 및 방법
KR20200030864A (ko) 2018-09-13 2020-03-23 강석현 구형 스마트폰을 활용한 자동차의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74487A (ko) * 2018-12-17 2020-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 제어방법
US11769356B2 (en) 2017-11-17 2023-09-26 Xtract360 Ltd Collision evalu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591B1 (ko) * 2014-06-03 2015-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사고 발생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8996B2 (ja) * 2002-06-19 2006-07-19 圭寿 藤沼 車輌事故状況自動収集システム
KR20090046477A (ko) * 2007-11-06 2009-05-11 한규생 블랙박스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데이터제어방법
KR20090090464A (ko) * 2008-02-21 2009-08-26 유종태 차량용 블랙박스와 연동된 사고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459B1 (ko) * 2011-12-20 2013-06-17 이성종 운송수단의 조기경보 시스템
KR101339454B1 (ko) * 2012-01-18 2013-12-06 네무스텍(주) 모바일 기기의 멀티 센서를 이용한 차량 운행 정보 제공 방법
US9813540B2 (en) 2015-01-27 2017-11-07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computing statistical vehicle data using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US11769356B2 (en) 2017-11-17 2023-09-26 Xtract360 Ltd Collision evaluation
KR20190086166A (ko) * 2018-01-12 2019-07-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지능형 영상 녹화 장치 및 방법
KR20200030864A (ko) 2018-09-13 2020-03-23 강석현 구형 스마트폰을 활용한 자동차의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74487A (ko) * 2018-12-17 2020-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7864B1 (ko) 201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864B1 (ko)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US9852553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questing emergency call for vehicle accident by using travelling information about vehicle
EP2481037B1 (en) Driver assistance device and system for vehicle accident detec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a vehicle accident
JP5817812B2 (ja) 歩行者衝突検知システム及び歩行者衝突通報システム
US8344913B2 (en) Transmission of an emergency call comprising address data
JP5044140B2 (ja) 事故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事故情報記録装置
US8620256B2 (en) Automated voice emergency call
KR101738414B1 (ko) 차량 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콜 시스템
KR20150102059A (ko) 차량 충돌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571752B2 (en) Vehicle mirror and telematics system
US20100049438A1 (en) Gps device with video security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20150121529A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충격 감지에 따른 이벤트 영상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21055B1 (ko)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 및 차량사고 확인 방법
US8239102B2 (en) Vehicle safety system and method with automatic accident reporting
CN104318641A (zh) 行车记录仪和车辆报警方法
KR101445370B1 (ko) Mdr 모듈이 장착된 멀티 블랙박스
KR20110076334A (ko) 차량용 블랙박스,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4038441A (ja) ドライブレコーダ
KR101555051B1 (ko) 후방차량 충돌사고 방지장치
CN111572484A (zh) 车辆撞击事故的处理方法、系统、车载终端及云端服务器
KR100394091B1 (ko) 차량 정보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Pinart et al. ECall-compliant early crash notification service for portable and nomadic devices
KR20150121775A (ko)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4063241A (ja) 移動体情報通信装置
JP2001027647A (ja) 二輪車の事故通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