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218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218A
KR20110074218A KR20090131125A KR20090131125A KR20110074218A KR 20110074218 A KR20110074218 A KR 20110074218A KR 20090131125 A KR20090131125 A KR 20090131125A KR 20090131125 A KR20090131125 A KR 20090131125A KR 20110074218 A KR20110074218 A KR 20110074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print medium
arm
unit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31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5093B1 (ko
Inventor
이민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1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093B1/ko
Priority to US12/926,740 priority patent/US8670682B2/en
Priority to EP10194961.8A priority patent/EP2343601B1/en
Publication of KR20110074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218A/ko
Priority to US14/155,934 priority patent/US912844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62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25Handling copy materials differing in width
    • B41J11/003Paper-size detection, i.e. automatic detection of the length and/or width of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5Detecting means for copy material, e.g. for detecting or sensing presence of copy material or its leading or trailing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4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absence of articles, e.g. exhaustion of pi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2Wid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05Registration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11Detector details, e.g. optical detector
    • G03G2215/00616Optical detect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11Detector details, e.g. optical detector
    • G03G2215/00628Mechanical detector or switc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25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presence in input tr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34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siz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Ink Jet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인쇄매체의 폭 및 적재여루블 감지하는 하나의 엑츄에이터와, 엑츄에이터의 동작을 감지하는 하나의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두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재료비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인쇄매체를 수용하는 카세트에 인쇄매체의 존재여부 및 인쇄매체 폭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전자사진방식을 채택한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인쇄매체가 저장되는 급지유닛과, 급지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에 현상제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과, 인쇄매체 상의 현상제를 정착시키는 정착유닛과,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유닛을 구비한다.
급지유닛은 화상형성장치에에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와, 급지카세트에 인쇄매체가 공급됨을 감지하는 용지감지장치를 구비한다.
한편, 정착유닛은 인쇄매체에 토너를 고착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열원을 사용하게 되는데 다양한 크기의 인쇄매체 폭에 따라서 정착 열원의 온도 제어를 하거나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속도를 제어하도록 화상형성장치에는 인쇄매체의 폭을 감지하는 폭 감지센서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하나의 엑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인쇄매체의 유무 및 폭을 감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경로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급지트레이;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빛이 상기 수광부에 수광됨에 따라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센서;와, 상기 급지트레이에 적재된 인쇄매체의 선단과 접촉됨에 따라 변위가 발생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 여부를 감지하는 제1작동암과, 상기 인쇄경로로 이송되는 인쇄매체의 폭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인쇄매체와 접촉됨에 따라 변위가 발생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폭을 감지하는 제2작동암과, 상기 제1작동암 및 상기 제2작동암과 연동하여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는 빛을 단속하는 제1감지암을 구비한 제1엑츄에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작동암과 상기 제2작동암과 상기 제1감지암은 동일한 제1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제1회전축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지트레이에 상기 인쇄매체가 적재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감지암은 상기 수광부에 감지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급지트레이에 상기 인쇄매체가 적재된 경우에는 상기 제1감지암은 상기 수광부에 감지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작동암과 접촉되는 인쇄매체의 폭은 적어도 19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작동암이 상기 인쇄매체와 접촉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감지암은 상기 수광부에 감지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작동암이 상기 인쇄매체와 접촉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감지암은 상기 수광부에 감지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빛이 상기 수광부에 수광됨에 따라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센서;와,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인쇄경로로 이송되는 인쇄매체의 선단과 접촉됨에 따라 변위가 발생하는 제3작동암과, 상기 제3작동암과 연동하여 상기 제2센서의 수광부에 수광되는 빛을 단속하는 제2감지암을 구비한 제2엑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인쇄경로에 이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2감지암은 상기 제2센서에 감지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작동암이 상기 인쇄경로에 이송되는 인쇄매체와 접촉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감지암은 상기 제2센서에 감지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급지트레이로부터 공급된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열과 압력에 의해 정착하는 정착유닛과, 상기 제1센서 또는 상기 제2센서의 감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가 감지상태이고 상기 제2센서가 비감지상태인 경우에 는 상기 정착유닛의 비정상적인 열 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속도를 낮추거나 상기 정착유닛의 정착온도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경로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급지트레이;와, 상기 급지트레이에 적재된 상기 인쇄매체를 낱장씩 픽업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된 인쇄경로로 이송하는 픽업부재;와,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 여부 및 상기 인쇄매체의 폭을 감지하는 제1엑츄에이터와, 상기 제1엑츄에이터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1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엑츄에이터는, 상기 본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제1부분에서 연장되며 상기 급지트레이에 적재된 상기 인쇄매체의 선단과 마주하는 제1접촉부를 갖는 제1작동암;과, 상기 제1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제2부분에서 연장되며 상기 픽업부재에 의해 픽업되어 상기 인쇄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의 폭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인쇄매체와 접촉하는 제2접촉부를 갖는 제2작동암;과, 상기 제1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제3부분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작동암과 연동하여 상기 제1센서에 감지되는 제1감지부를 구비한 제1감지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축, 상기 제1작동암, 제2작동암 및 상기 제1감지암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접촉부에 접촉되는 상기 인쇄매체의 폭은 적어도 19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엑츄에이터는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회전되는 제1위치와, 상기 제1접촉부가 상기 급지트레이에 적재된 인쇄매체의 선단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제2위치와, 상기 제2접촉부가 상기 인쇄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제3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위치에서는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제1센서에 비감지되고, 상기 제2위치에서는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제1센서에 감지되며, 상기 제3위치에서는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제1센서에 비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지는 광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에 형성된 감지공간 내부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 여부를 감지하는 제2엑츄에이터와, 상기 제2엑츄에이터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엑츄에이터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회전축;과, 상기 인쇄경로를 향한 제1방향으로 상기 제2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는 단부에 상기 픽업부재에 의해 픽업되어 상기 인쇄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와 접촉하는 제3접촉부를 구비한 제3작동암;과, 상기 제2센서를 향한 제2방향으로 상기 제2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제2감지부를 구비한 제2감지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엑츄에이터는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3접촉부가 상기 인쇄경로 상에서 돌출되는 제1위치와, 상기 제3접촉부가 상기 인쇄매체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위치에서는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제2센서에 감지되고, 상기 제2위치에서는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제2센서에 비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하나의 엑츄에이터와 하나의 센서만을 적용하여 인쇄매체의 유무 감지 및 인쇄매체의 폭을 감지할 수 있어 재료비 절감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와, 인쇄매체(P)의 인쇄경로(S)를 따라 본체(1)의 내부에 마련된 급지유닛(10), 현상유닛(30), 정착유닛(40) 및 배지유닛(50)을 포함한다.
급지유닛(10)은 인쇄매체(P)의 저장 및 급송을 위한 것으로 본체(1)의 하부에 마련되어 현상유닛(30)쪽으로 인쇄매체(P)를 공급한다.
이러한 급지유닛(10)은 인쇄매체(P)를 저장하도록 본체(1)에 인출 가능한 카세트 타입의 급지트레이(11)와, 급지트레이(11)에 저장된 인쇄매체(P)를 낱장씩 픽업하여 현상유닛(3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급지트레이(11) 내에는 적재된 인쇄매체(P)를 이송유닛(20) 쪽으로 안내하도록 일단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가압스프링(13)에 지지되는 녹업플레이트(15)가 마련될 수 있다.
이송유닛(20)은 녹업플레이트(15)에 적재된 인쇄매체(P)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부재(21), 픽업부재(21)에 의해 픽업된 인쇄매체(P)를 현상유닛(30) 쪽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23) 및 이송백업롤러(24), 인쇄경로(S)를 형성하는 이송가이드(2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현상유닛(30)은 이송유닛(20) 상부의 인쇄경로(S)에 배치되어 급지유닛(10)으로부터 이송되는 인쇄매체(P)에 화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현상유닛(30)은 감광체(31), 감광체(31)를 대전하는 대전롤러(32), 화상신호에 따라 대전된 감광체(31)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감광체(3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유닛(33), 감광체(3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현상제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34), 현상제공급부(35)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현상롤러(34)에 공급하는 공급롤러(36), 감광체(31)에 형성된 화상이 인쇄매체(P)로 전사되도록 하는 전사롤러(37)를 포함할 수 있다.
감광체(31)는 현상제 화상을 수용하는 상담지체(像擔持體, Image Carrier)로서 드럼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감광체(31)는 화상정보에 따라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광주사유닛(33)으로부터 빛을 전달받아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대전롤러(32)는 감광체(31)의 외면에 접촉하여 마찰구동을 하면서 감광 체(31)의 외면에 전하를 공급하여 감광체(31)의 외면을 소정 전위로 대전시킨다.
현상롤러(34)는 감광체(31)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감광체(31) 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 화상으로 현상한다. 이러한 현상롤러(34)는 접촉 또는 비접촉방식으로 감광체(31)에 현상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급롤러(36)는 현상제공급부(35)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롤러(34)로 공급한다. 현상롤러(34)에 공급된 현상제는 규제부재를 통해 현상제 층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전롤러(32)에 의해 일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31)의 표면에는 광주사유닛(33)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현상제공급부(35)에 저장된 현상제는 공급롤러(36) 및 현상롤러(34)를 통해 정전잠상 영역에 현상되게 되어 감광체(31)에는 현상제 분말로 이루어지는 가시화상이 형성된다.
전사롤러(37)는 인쇄매체(P)를 감광체(31) 쪽으로 가압하여 인쇄매체(P)가 감광체(31)와 전사롤러(37)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전사닙에 의해 감광체(31)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P)의 표면으로 전사되도록 한다.
현상유닛(30)을 통과하여 가시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P)는 현상유닛(30) 상측의 인쇄경로(S) 상에 배치된 이송가이드(25)를 따라 정착유닛(40)으로 안내된다.
정착유닛(40)은 인쇄매체(P)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가열 정착하기 위한 것으로 가열원(42)이 내장된 가열부재(41)와, 인쇄매체(P)를 가열부재(41)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44)를 포함한다.
가열부재(41)는 가열원(42)이 내장된 롤러 타입의 가열롤러로 이루어지거나, 가열원(42)에 가열되는 벨트 타입의 가열벨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착유닛(40)은 가열부재(41)와 가압롤러(44) 사이의 정착닙으로 인쇄매체(P)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인쇄매체(P)에 전사된 가시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가시화상이 인쇄매체(P)에 융착되게 한다.
정착유닛(40)을 통과하여 가시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P)는 배지유닛(50)을 통해 본체(1)의 상부로 배출된다.
배지유닛(70)은 인쇄매체(P)의 배지경로를 형성하는 인쇄경로(S) 상에 배치된 복수의 배지롤러들(72,73,7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쇄매체 감지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급지유닛 및 인쇄매체 감지유닛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본체에 설치된 인쇄매체 감지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트레이(11)에 인쇄매체(P)가 적재되어 있는지 여부, 인쇄매체(P)의 폭(W) 및 인쇄매체(P)의 이송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인쇄매체 감지유닛(10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매체 감지유닛(1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매체(P)의 적재 여부 및 인쇄매체(P)의 폭(W)을 감지하는 제1엑츄에이터(110)와, 제1엑츄에이터(110)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1센서(120)와, 인쇄매체(P)의 이송 여부를 감지하는 제2엑츄에이터(130)와, 제2엑츄에이터(130)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2센서(140)를 포 함할 수 있다.
제1센서(120) 및 제2센서(140)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고, 제어부는 제1센서(120) 및 제2센서(140)에 의해 전달된 감지신호에 따라서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10), 현상유닛(30), 정착유닛(40) 및 배지유닛(50) 등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다양한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다수의 컴퓨터 명령을 수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Memory), 플래쉬 메모리(Flesh Memory) 등과 같은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엑츄에이터(110)는 제1회전축(111)과, 제1회전축(11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작동암(112) 및 제2작동암(114)과, 제1회전축(111)의 중앙에 배치된 제1감지암(1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작동암(112), 제2작동암(114) 및 제1감지암(116)은 제1회전축(111)을 따라 각각 이격되는 제1위치, 제2위치 및 제3위치에서 제1회전축(111)에 고정되며 제1회전축(111)의 회전시 일체로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작동암(112)은 급지트레이(11) 내부에 인쇄매체(P)의 적재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제1회전축(111)으로부터 급지트레이(11)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단부에서 상측으로 굴곡 연장되어 인쇄매체(P)의 선단(F)과 마주하는 제1접촉부(113)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작동암(114)은 본체(1) 내에 형성된 인쇄경로(S)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P)의 폭(W)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제1회전축(11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단부에서 급지트레이(11)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인쇄경로(S)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P)의 폭(W)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2접촉부(115)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엑츄에이터(110)가 본체(1)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회전축(111)은 본체(1)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작동암(112)의 제1접촉부(113)는 이송가이드(25)에 마련된 제1절개홈(26)을 통해 돌출되며, 제2작동암(114)의 제2접촉부(115)는 이송가이드(25)에 마련된 제2절개홈(27)을 통해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작동암(112) 및 제2작동암(114)은 자중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도록 배치되고, 이에 의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두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1작동암(112)은 본체(1)에 설치된 경우 인쇄매체(P)의 폭(W)에 무관하게 제1작동암(112)의 제1접촉부(113)가 인쇄매체(P)의 선단(F)에 가압될 수 있도록 본체(1)의 폭 중앙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급지트레이(11)의 선단부에는 급지트레이(11)가 본체(1)에 착탈될 때 급지트레이(11)가 제1작동암(112)의 제1접촉부(113)와 간섭되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개구부(1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작동암(112)은 인쇄매체(P)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제1작동암(112) 의 제1접촉부(113)가 급지트레이(11)에 적재된 인쇄매체(P)의 선단(F)과 접촉되지 않는 제1위치(도 5참조)와 제1작동암(112)의 제1접촉부(113)가 급지트레이(11)에 적재된 인쇄매체(P)의 선단(F)에 가압되어 이동되는 제2위치(도 6참조)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회전축(111)에 고정된 제2작동암(114)의 경우에도 제1작동암(112)과 함께 회전되게 되므로 제1위치 및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하게 된다.
제2작동암(114)은 본체(1)에 설치된 경우 인쇄경로(S)를 따라 이송되는 폭(W)이 190mm 이상의 A4, LETTER, LEGAL 등의 인쇄매체(P2)(도 7참조)와 간섭되어 변위가 발생될 수 있도록 본체(1)의 측면부근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작동암(114)은 인쇄매체(P)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제2위치(도 6참조)로부터 인쇄경로(S)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P)의 선단(F)에 의해 가압되어 밀리는 제3위치(도 9참조)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센서(120)는 제1작동암(112) 및 제2작동암(114)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제1감지암(116)의 동작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발광다이오드 등과 같은 발광소자로 이루어진 발광부(121)와, 포토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수광부(123)를 가지는 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센서(120)는 본체(1)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125)에 발광부(121)와 수광부(123)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발광부(121)와 수광부(123) 사이 공간에 감지공간(127)을 형성할 수 있다.
제1감지암(116)은 제1회전축(111)으로부터 제1센서(120)측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에 제1센서(120)에 감지되는 제1감지부(117)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감지암(116)은 제1회전축(111)이 회전하는 경우 발광부(121)와 수광부(123) 사이에 형성되는 감지공간(127) 내부로 제1감지부(117)가 진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며 제1감지부(117)가 수광부(123)에 수광되는 빛을 단속함에 따른 감지신호(전압변화)의 변화를 통해 인쇄매체(P)의 유무 및 폭(W)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제1감지암(116)은 급지트레이(11) 내부에 인쇄매체(P)가 적재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부(121)로부터 발산되어 수광부(123)에 수광되는 빛이 차단되지 않도록 제1센서(120)의 감지공간(127)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센서(120)로서 광센서가 사용된 예에 관해 설명하나, 제1감지암(116)의 위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종류의 센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쇄매체(P)의 이송 여부를 감지하는 제2엑츄에이터(130)는 제2회전축(131)과, 인쇄경로(S)를 향한 제1방향으로 제2회전축(131)으로부터 연장되며 제2회전축(131)으로부터 이격된 단부에 인쇄경로(S)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P)와 접촉하는 제3접촉부(134)(도 3참조)를 구비한 제3작동암(133)과, 제2센서(140)를 향한 제2방향으로 제2회전축(131)으로부터 연장되며 제2센서(140)에 의해 감지되는 제2감지부(136)를 구비한 제2감지암(13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엑츄에이터(130)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2센서(140)는 발광부(141)와 수광부(143)를 구비한 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엑츄에이터(130)가 본체(1)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회전축(131)은 본체(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작동암(133)의 제3접촉부(134)는 이송가이드(25)에 마련된 제3절개홈(28)을 통해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2엑츄에이터(130)는 인쇄경로(S)상에 돌출된 제3접촉부(134)가 인쇄경로(S)에서 이송되는 인쇄매체(P)에 접촉됨에 따라 제3작동암(133)은 제2회전축(131)을 중심으로 상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제2감지암(135) 역시 회전변위가 발생되어 수광부(143)에 수광되는 빛을 단속하게 된다.
이러한 제3작동암(133)은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도록 설치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감지암(135)의 제2감지부(136)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초기 위치에 있어서는 제2센서(140)의 발광부(141)와 수광부(143) 사이의 감지공간에 배치되어 제2센서(140)에 감지된 상태에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감지유닛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지트레이(11)가 본체(1)에 장착되지 않거나 급지트레이(11) 내부에 인쇄매체(P)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엑츄에이터(110) 및 제2엑츄에이터(130)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회전된 상태인 제1위치에 있 게 된다.
이 경우, 제1엑츄에이터(110)의 제1감지부(117)는 제1센서(120)의 감지공간(127)(도2 참조)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 있게 되고, 제2엑츄에이터(130)의 제2감지부(136)는 제2센서(140)의 감지공간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급지트레이(11) 내부에 인쇄매체(P)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감지암(116)의 제1감지부(117)는 제1센서(120)에 의해 감지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현 상태가 인쇄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고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6과 같이, 급지트레이(11)에 인쇄매체(P)가 적재된 후 본체(1)에 급지트레이(11)가 장착된 경우에는 인쇄매체(P)의 선단(F)은 제1작동암(112)의 제1접촉부(113)와 접촉되어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엑츄에이터(110)는 제1회전축(111)을 중심으로 상측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된 상태인 제2위치에 있게 된다.
이 경우, 제1엑츄에이터(110)의 제1감지부(117)는 제1센서(120)의 감지공간(127)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제1센서(120)에 의해 제1감지부(117)가 감지되고,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현 상태가 인쇄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상태라고 인식하게 된다.
이후,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동작이 작동되면 도 7과 같이, 급지트레이(11)에 적재된 인쇄매체(P)는 픽업부재(21)에 의해 픽업되어 급지유닛(10) 상측의 인쇄경로(S)로 이송되게 된다.
이 경우, 폭(W)이 좁은 인쇄매체(P1)가 인쇄경로(S)를 따라 이송되는 경우에 는 인쇄매체(P1)에 의해 제2작동암(114)의 제2접촉부(115)가 접촉되지 않게 되므로 제1엑츄에이터(110)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에 의해 도 6과 같이 제1감지부(117)는 제1센서(120)에 의해 지속적으로 감지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감지신호의 변화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현 상태가 폭(W)이 좁은 인쇄매체 즉, 190mm 이하의 인쇄매체(P1)가 공급된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는 각 인쇄매체(P)간의 지간을 넓혀 정상 급지속도보다 낮은 급지속도로 인쇄매체(P)를 공급하거나 정착온도를 낮추는 등의 제어를 통해 정착유닛(40)의 비정상적인 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190mm 이상의 폭을 가진 인쇄매체(P2)의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매체(P2)가 인쇄경로(S)를 따라 이송되는 경우 인쇄매체(P2)는 인쇄경로(S) 상에서 돌출된 제2작동암(114)의 제2접촉부(115)에 접촉되어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엑츄에이터(110)는 도 6에 도시한 제2위치로부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회전축(111)을 중심으로 상측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된 상태인 제3위치에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제1엑츄에이터(110)의 제1감지부(117)는 제1센서(120)의 감지공간(127) 외부에 배치된 상태에 있게 되어 제1센서(120)에 의해 제1감지부(117)는 감지되지 않게 되므로 감지신호의 변화가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현 상태가 폭(W)이 넓은 인쇄매체(P2)가 공급된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폭(W)이 넓은 인쇄매체(P2)가 공급된 경우에는 제어부는 정상적으로 정해진 급지속도 및 정착온도로 제어를 하게 된다.
한편, 인쇄경로(S) 상에서 이송되는 인쇄매체(P2)가 제2접촉부(115)로부터 벗어나 제2작동암(114)의 제2접촉부(115)와 간섭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엑츄에이터(110)는 자중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경우 제1작동암(112)의 제1접촉부(113)는 도 6과 같이 급지트레이(11)에 적재된 인쇄매체(P)의 선단(F)과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이 경우, 제1감지부(117)는 다시 제1센서(120)에 의해 감지되게 되므로 이 시점에서의 급지트레이(11)에 인쇄매체(P)의 적재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감지유닛(100)은 하나의 제1엑츄에이터(110) 및 제1센서(120)를 통해 인쇄매체(P)의 폭 및 적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되므로 두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재료비 절감 및 내부 구조의 단순화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와 같이 급지트레이(11)에 적재된 인쇄매체(P)가 픽업부재(21)에 의해 픽업되어 인쇄경로(S) 상에서 이송되는 경우에는 인쇄경로(S) 상에서 돌출된 제2엑츄에이터(130)의 제3접촉부(134)(도3 참조)는 인쇄매체(P)의 선단(F)에 접촉되게 되므로 제2엑츄에이터(130)의 제3작동암(133)은 제2회전축(131)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감지암(135)은 제2센서(140)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위치로 변위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이 시점을 기준으로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P)에 뿌려줄 시점을 정하게 되고, 이후 인쇄매체(P)의 후단이 제2엑츄에이터(130)의 제2접촉부(115)를 통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2엑츄에이터(130)는 자중에 의해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제2감지부(136)는 제2센서(140)에 의해 감지되게 되므로 제어부는 1장의 인쇄매체(P)의 이송이 완료됨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엑츄에이터(110) 및 제1센서(120)와 제2엑츄에이터(130) 및 제2센서(140)의 관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급지트레이(11)에 인쇄매체(P)가 미 장착된 경우, 제1센서(120)에는 제1엑츄에이터(110)가 비감지된 상태에 있게 되고, 제2센서(140)에는 제2엑츄에이터(130)가 감지된 상태에 있게 된다.(도 5참조)
이후, 인쇄매체(P)가 장착된 경우, 제1센서(120)에는 제1엑츄에이터(110)가 감지된 상태에 있게 되고, 제2센서(140)에는 제2엑츄에이터(130)가 감지된 상태에 있게 된다.(도 6참조)
그리고, 인쇄동작이 수행되어 폭 넓은 인쇄매체(P2,도3참조)가 픽업되어 인쇄경로(S) 상에서 이송되는 경우, 제1센서(120)에는 제1엑츄에이터(110)가 비감지된 상태(도 8참조)에 있게 되고, 제2센서(140)에는 제2엑츄에이터(130)가 비감지된 상태(도 9참조)에 있게 된다.
한편, 인쇄동작이 수행되어 폭 좁은 인쇄매체(P1,도3참조)가 픽업되어 인쇄경로(S) 상에서 이송되는 경우, 제1센서(120)에는 제1엑츄에이터(110)가 감지된 상태(도 6참조)에 있게 되고, 제2센서(140)에는 제2엑츄에이터(130)가 비감지된 상태(도 9참조)에 있게 된다.
즉, 인쇄매체(P)의 적재 여부 및 이송 상태, 그리고 인쇄매체(P)의 폭(W)에 따라서 제1센서(120) 및 제2센서(140)의 감지신호는 모두 다르게 되므로 제어부는 이러한 감지신호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속도 및 정착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쇄매체 감지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급지유닛 및 인쇄매체 감지유닛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본체에 설치된 인쇄매체 감지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급지트레이에 인쇄매체가 적재되지 않는 상태의 인쇄매체 감지유닛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급지트레이에 인쇄매체가 적재된 상태의 인쇄매체 감지유닛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쇄매체의 폭과 제2작동암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폭이 넓은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경우 인쇄매체 감지유닛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엑츄에이터의 동작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20: 이송유닛,
30: 현상유닛, 40: 정착유닛,
50: 배지유닛, 100: 인쇄매체 감지유닛,
110: 제1엑츄에이터, 111: 제1회전축,
112: 제1작동암, 113: 제1접촉부,
114: 제2작동암, 115: 제2접촉부,
116: 제1감지암, 117: 제1감지부,
120: 제1센서, 130: 제2엑츄에이터,
131: 제2회전축, 133: 제3작동암,
134: 제3접촉부, 135: 제2감지암,
136: 제2감지부, 140: 제2센서.

Claims (17)

  1. 인쇄경로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급지트레이;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빛이 상기 수광부에 수광됨에 따라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센서;와,
    상기 급지트레이에 적재된 인쇄매체와 접촉됨에 따라 변위가 발생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 여부를 감지하는 제1작동암과, 상기 인쇄경로로 이송되는 인쇄매체의 폭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인쇄매체와 접촉됨에 따라 변위가 발생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폭을 감지하는 제2작동암과, 상기 제1작동암 및 상기 제2작동암과 연동하여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는 빛을 단속하는 제1감지암을 구비한 제1엑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암과 상기 제2작동암과 상기 제1감지암은 동일한 제1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제1회전축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트레이에 상기 인쇄매체가 적재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감지암은 상기 수광부에 감지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급지트레이에 상기 인쇄매체가 적재된 경우에는 상기 제1감지암은 상기 수광부에 감지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암과 접촉되는 인쇄매체의 폭은 적어도 19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암이 상기 인쇄매체와 접촉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감지암은 상기 수광부에 감지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작동암이 상기 인쇄매체와 접촉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감지암은 상기 수광부에 감지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빛이 상기 수광부에 수광됨에 따라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센서;와,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인쇄경로로 이송되는 인쇄매체의 선단과 접촉됨에 따라 변위가 발생하는 제3작동암과, 상기 제3 작동암과 연동하여 상기 제2센서의 수광부에 수광되는 빛을 단속하는 제2감지암을 구비한 제2엑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인쇄경로에 이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2감지암은 상기 제2센서에 감지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작동암이 상기 인쇄경로에 이송되는 인쇄매체와 접촉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감지암은 상기 제2센서에 감지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급지트레이로부터 공급된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열과 압력에 의해 정착하는 정착유닛과, 상기 제1센서 또는 상기 제2센서의 감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가 감지상태이고 상기 제2센서가 비감지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정착유닛의 비정상적인 열 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속도를 낮추거나 상기 정착유닛의 정착온도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인쇄경로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급지트레이;와, 상기 급지트레이에 적재된 상기 인쇄매체를 낱장씩 픽업하여 상기 인쇄경로로 이송하는 픽업부재;와,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 여부 및 상기 인쇄매체의 폭을 감지하는 제1엑츄에이터와, 상기 제1엑츄에이터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1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엑츄에이터는,
    상기 본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제1부분에서 연장되며 상기 급지트레이에 적재된 상기 인쇄매체의 선단과 마주하는 제1접촉부를 갖는 제1작동암;과,
    상기 제1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제2부분에서 연장되며 상기 픽업부재에 의해 픽업되어 상기 인쇄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의 폭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인쇄매체와 접촉하는 제2접촉부를 갖는 제2작동암;과,
    상기 제1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제3부분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작동암과 연동하여 상기 제1센서에 감지되는 제1감지부를 구비한 제1감지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 상기 제1작동암, 제2작동암 및 상기 제1감지암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에 접촉되는 상기 인쇄매체의 폭은 적어도 190mm 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엑츄에이터는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회전되는 제1위치와, 상기 제1접촉부가 상기 급지트레이에 적재된 인쇄매체의 선단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제2위치와, 상기 제2접촉부가 상기 인쇄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제3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에서는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제1센서에 비감지되고, 상기 제2위치에서는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제1센서에 감지되며, 상기 제3위치에서는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제1센서에 비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지는 광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에 형성된 감지공간 내부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 여부를 감지하는 제2엑츄에이터와, 상기 제2엑츄에이 터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엑츄에이터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회전축;과,
    상기 인쇄경로를 향한 제1방향으로 상기 제2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는 단부에 상기 픽업부재에 의해 픽업되어 상기 인쇄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와 접촉하는 제3접촉부를 구비한 제3작동암;과,
    상기 제2센서를 향한 제2방향으로 상기 제2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제2감지부를 구비한 제2감지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엑츄에이터는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3접촉부가 상기 인쇄경로 상에서 돌출되는 제1위치와, 상기 제3접촉부가 상기 인쇄매체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에서는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제2센서에 감지되고, 상기 제2위치에서는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제2센서에 비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90131125A 2009-12-24 2009-12-24 화상형성장치 KR101725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125A KR101725093B1 (ko) 2009-12-24 2009-12-24 화상형성장치
US12/926,740 US8670682B2 (en) 2009-12-24 2010-12-07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aper presence and paper width sensor
EP10194961.8A EP2343601B1 (en) 2009-12-24 2010-12-14 Image forming apparatus
US14/155,934 US9128440B2 (en) 2009-12-24 2014-01-15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aper presence and paper width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125A KR101725093B1 (ko) 2009-12-24 2009-12-24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218A true KR20110074218A (ko) 2011-06-30
KR101725093B1 KR101725093B1 (ko) 2017-04-10

Family

ID=4379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125A KR101725093B1 (ko) 2009-12-24 2009-12-24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670682B2 (ko)
EP (1) EP2343601B1 (ko)
KR (1) KR1017250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5648B1 (en) 2017-07-05 2019-01-08 Hp Printing Korea Co., Ltd. Paper sensor to sense paper passing through fus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8492A (ja) * 2010-09-24 2012-04-05 Fuji Xerox Co Ltd 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130055266A (ko) * 2011-11-18 2013-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감지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9821973B2 (en) * 2015-11-27 2017-11-21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sheet feed unit removably mounted
CN111356593B (zh) * 2017-11-20 2022-06-24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介质感测
JP2020093879A (ja) * 2018-12-11 2020-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321782B2 (ja) * 2019-06-05 2023-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1195208A (ja) * 2020-06-12 2021-12-27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2844A (ja) * 1993-10-18 1995-05-02 Canon Inc シート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323227B2 (ja) * 1992-05-20 2002-09-09 株式会社リコー 排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350A (ja) * 1986-07-16 1988-02-05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原稿読取装置
JP2886537B2 (ja) * 1988-10-19 1999-04-26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JPH02310219A (ja) * 1989-05-22 1990-12-26 Nec Corp 給紙機構
JPH04136882A (ja) * 1990-09-28 1992-05-11 Canon Inc シート幅検知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5842694A (en) * 1996-01-11 1998-12-01 Xerox Corporation Stack height control with height sensing feedhead
JPH11116097A (ja) * 1997-10-15 1999-04-2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6292636B1 (en) * 2000-05-18 2001-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per detecting apparatus of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JP2003226444A (ja) * 2002-02-06 2003-08-12 Funai Electric Co Ltd 印字装置
KR100431005B1 (ko) * 2002-05-14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무기기의 용지 감지장치
KR100449106B1 (ko) * 2002-09-18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의 용지검출장치
KR20050074218A (ko) * 2004-01-13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자동양면급지유닛
US8095062B2 (en) * 2007-09-07 2012-01-10 Lexmark International, Inc. Media width sensors containing axially spaced paddles and method of using the media width sensor
KR20100041292A (ko) * 2008-10-14 2010-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3227B2 (ja) * 1992-05-20 2002-09-09 株式会社リコー 排紙装置
JPH07112844A (ja) * 1993-10-18 1995-05-02 Canon Inc シート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5648B1 (en) 2017-07-05 2019-01-08 Hp Printing Korea Co., Ltd. Paper sensor to sense paper passing through fuser
WO2019009516A1 (en) * 2017-07-05 2019-01-10 Hp Printing Korea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26920A1 (en) 2014-05-08
US8670682B2 (en) 2014-03-11
KR101725093B1 (ko) 2017-04-10
EP2343601B1 (en) 2020-03-11
EP2343601A3 (en) 2016-07-20
US9128440B2 (en) 2015-09-08
EP2343601A2 (en) 2011-07-13
US20110158729A1 (en)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4218A (ko) 화상형성장치
US80428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185559B1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US8285182B2 (en) Fixing device used for image forming device with heating roller and peeler
US8070152B2 (en) Sheet supplying unit and image forming device
US790931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335434A (ja) 用紙感知装置
US834615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107874B2 (en) Printing medium guide device including rollers
JP2006267375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474771B1 (ko) 화상형성장치
KR20110067519A (ko) 화상형성장치
JP7135784B2 (ja) 媒体厚検出装置、媒体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3746847B1 (en) Detecting size of print medium using sensors available along paper path
JP7205060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35977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268401A (ja) 定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6065892A (ja) シート待機装置
JP636584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25913A (ja) 定着装置
JP6512772B2 (ja) シート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49722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98282A (ja) 画像形成装置
US2017026953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3008286A (ja) 接離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