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646A -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 - Google Patents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646A
KR20110065646A KR1020090122238A KR20090122238A KR20110065646A KR 20110065646 A KR20110065646 A KR 20110065646A KR 1020090122238 A KR1020090122238 A KR 1020090122238A KR 20090122238 A KR20090122238 A KR 20090122238A KR 20110065646 A KR20110065646 A KR 20110065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ixing
backrest
chair
spine
f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2894B1 (ko
Inventor
한완석
Original Assignee
한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완석 filed Critical 한완석
Priority to KR1020090122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894B1/ko
Publication of KR20110065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6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for compressive stressing of a part of the skeletal structure, e.g.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8H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Nur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의 등받이부에 이 등받이부의 전면으로부터 각각 수평인출되는 수평고정부와, 의자의 안착부에 이 안착부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승강되는 승강고정부를 더 구성하여 사용자 또는 환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지지되는 등과 둔부의 척추 및 골격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척추 및 골격에 대한 고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고정효과가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고정부들이 렉기어에 의해 승강 및 하강되도록 하여 수작업에 의해 고정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사용성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착석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받이부(1)와, 상기 등받이부(1)의 하부측에 구성되어 착석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안착부(2)로 구성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1)에는 상기 등받이부(1)의 전면 상부에 위치 구성되어 상기 등받이부(1)의 전면 상부로부터 수평 돌출되어 착석자의 뒷목부분을 밀어주는 제1수평고정부(10)와; 상기 등받이부(1)의 전면 중앙에 위치 구성되어 상기 등받이부(1)의 전면 중앙으로부터 수평 돌출되어 착석자의 척추부분을 밀어주는 제2수평고정부(20)와; 상기 제2수평고정부(20)의 하부측에 위치 구성되어 착석자의 요추와 미저골과 연결되는 천골(薦骨)부분을 밀어주는 제3수평고정부(30)가 더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2)에는 이 안착부(2)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승강돌출되어 착석자의 골반을 밀어주는 수직고정부(40)가 더 구성되되, 상기 수직고정부(40)는 상기 안착부 (2)의 상면에 대해 4개로 구획 구성되며, 상기 제1수평고정부(10)와, 제2수평고정부(20), 제3수평고정부(30) 및 수직고정부(40)는 상기 등받이부(1)와 안착부(2)의 내부에 각각 구성되는 구동수단(50)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수단(50)은, 제1수평고정부(10)와, 제2수평고정부(20), 제3수평고정부(30) 및 수직고정부(40)에 연결 구성되는 렉기어부(51)와; 상기 렉기어부(51)와 치합되고 전면에 키걸이(52)가 형성되어 상기 렉기어부(51)를 유동시키는 피니언기어부(53)와; 상기 피니언기어부(53)의 키걸이(52)에 걸어지도록 내측에 걸이홈(54)이 형성된 걸이부(55)가 구성되고 상기 걸이부(55)의 외면에 손잡이(56)가 결합된 조절키(57)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수평고정부(10)와, 제2수평고정부(20), 제3수평고정부(30)의 내측에는 이들 제1수평고정부(10)와, 제2수평고정부(20), 제3수평고정부(30)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조고정부(60)가 더 구성되되, 상기 보조고정부(60)는, 상기 제1수평고정부(10)와, 제2수평고정부(20), 제3수평고정부(30)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상기 보조고정부(60)의 하부측에 위치 구성되는 가이드편(61)과; 상기 가이드편(61)의 외면에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편(61)을 밀어주는 돌기(62)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척추 고정의자, 골격 고정의자, 의자 고정기

Description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CORRECTION CHAIR FOR SPINAL AND SKELETON}
본 발명은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의 등받이부와 안착부에 각각 척추 및 골격이 고정되는 고정부들을 더 구성하여 환자의 부분골격에 대한 고정이 상기 각각의 고정부들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의자에 앉아 공부나 업무와 같은 일상생활을 하면서 척추 및 골격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고정효과가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고정부들이 렉기어에 의해 유동되도록 하여 수작업에 의해 고정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사용성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학생이 책상을 이용하여 공부하거나 직장인들이 업무를 보거나 또는 사용자가 앉아 휴식을 취하는 하나의 수단으로써, 이러한 의자에 앉을 때 바른 자세로 앉이 않을 경우에는 인체의 척추 및 골격이 틀어지게 되어 디스크와 같은 질환이 유발된다.
인체에 있어서 척추는 위쪽으로 머리를 받치고 아래쪽은 골반과 연결되어 체중을 하지로 전달하며, 33개의 척추골과 그 사이의 섬유연골성 추간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두개골로부터 골반골까지 강한 인대와 근육으로 강화되어 신체를 지지하 고 평형을 유지하며, 척주관내의 척수를 보호하고 각 척추 신경근이 분기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서, 인체의 자세를 유지시켜주고 그 속에 있는 중요한 신경을 보호하며 충격을 흡수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성인의 경우, 척주(脊柱 ; Vertebral column)는 그 길이가 70∼75cm인데 경추부터 천골 직전까지의 길이가 약 60cm이며, 이중 1/4이 추간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측면에서 볼 때 경추와 요추 부위에서는 각각 전만을, 흉추 및 천골 부위에서는 각각 후만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근육, 인대, 신경 및 혈관 등은 척추골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즉, 척추골은 33개가 형성되어 상부로부터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추 5개 및 미추 4개로 구성되며, 성인의 경우에는 천추와 미추가 융합되어 천골과 미골을 형성하는 것으로, 환추, 축추와 천골을 제외한 전형적인 척추골은 부위에 따라 크기와 모양이 다르나 공통적인 구조를 갖는다. 앞쪽에는 추체가 있고 뒤쪽에는 척추경과 추궁판으로 구성된 척추궁(Vertebral arch) 및 근육 부착과 관절 연결을 위한 돌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추체는 하중을 지탱하는 부분으로 상, 하변연부의 치밀골은 다른 부위보다 두껍고 둥근 모양이며 인접한 추체와는 추간판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며, 척추궁은 추공(椎孔 ; Vertebral foramen)의 벽면을 형성하여 척수를 감싸 보호하며, 좌, 우의 척추경, 추궁판과 각각 2개의 상, 하관절 돌기, 양측의 횡돌기, 극돌기 등 7개의 돌기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각 척추골의 추공이 모여 척주관(脊柱管 ; Spinalcanal)이 되며 척주관의 전후 직경은 환추에서 약 3cm이고 그 이하 부위에서 는 15∼18mm이며, 횡직경은 경추부와 요추부에서는 20∼25mm 정도이나 흉추부에서는 15∼18mm로 가장 작다.
또한, 척추경은 전주(前柱 ; Anterior column)와 후주(後柱 ; Posterior column)를 연결하는 관상의 골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위치와 각도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척추 구조를 갖는 인체에 외부 자극이 가해지면 우선적으로 경추 및 요추의 전만곡도와 흉추의 후만곡도에 변화가 오는 바, 이는 신체의 각 부분이 받는 무게중심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고 신체의 자세까지 변화를 야기해 결국에는 척추근육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바르지 못한 공부 또는 업무자세, 만성피로, 각종 스포츠 활동으로 인한 부상, 자동차 사고 및 영양의 불균형 등이 있다.
심한 척추 변형의 예로서는 측만증과 전만증 및 후만증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양쪽 어깨 높이와 견갑골이 비대칭을 이뤄 좌우로 만곡된 형상을 나타내게 되는 경우를 측만증이라 하며, 측만증이 나타나면 척추의 좌우방향 만곡도를 측만각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는 만곡이 시작되는 상부 끝 척추 부위의 상단과 하부 끝 척추 부위의 하단의 각 연장선상에 내향되는 법선을 작도하여 교차된 각도로서 척추 변형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의학계에서는 척추 측만증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찾으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기는 하지만, 브레이스 등의 고정보조기구의 사용과 함께 운동 요법, 견인 요업, 전기자극 등을 병행하여 치료하는 정도에 머물고 있으 며, 고정보조기구를 환자가 착용한 상태에서의 일상생활이 어렵기 때문에, 사용성에 따른 편의성 저하를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제10-0420965호인 척추 교정용 의자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부와, 착석자의 등부위가 밀착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좌판부와 등받이부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다리부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양측면에 형성된 수직의 장홈을 통해 "U"자형으로 형성되어 각 단부가 대칭 결합되는 좌,우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에 좌,우 프레임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폭조절수단과, 상기 좌,우 프레임의 각 단부측에 관통 결합되어 전방 연장부의 직하부로 연장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단부가 삽입장착되어 좌판부 저면에 결합된 조절레버의 조작에 의해서 등받이 내부에서 수직 이동되는 높이조절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등록특허 제10-0420947호인 척추 교정용 의자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부와, 앉은 자세에서 등부위에 밀착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좌판부와 등받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다리부로 구성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에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수직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의 내부에는 하단부가 좌판부상에 지지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에어스프링과 에어스프링의 상단부에 양측으로 결합구가 구비되어 고정되는 가로지지대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각 결합구에는 양측 하부에 겨드랑이 받침대가 구비된 척추지지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단부가 고정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등록특허 제10-0435846호인 척추 교정용 의자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다리와, 이 다리의 상단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착석자의 엉덩이 부분이 안착되는 좌판과, 이 좌판의 후면에 구비되어 착석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를 구비한 통상의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과 등받이가 하나의 몸체로 성형되고, 등받이는 착석자의 척추곡선과 동일한 곡선으로 형성되며, 등받이의 내측면 중앙부에는 착석자 등의 협세부(狹細部)가 접하는 위치에 돌기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착석자의 겨드랑이를 걸어 지지할 수 있게 한 걸이부가 상기 등받이에서 일체로 수평하게 전방 돌출되며, 상기 등받이의 상부에는 전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면서 착석자의 경추곡선을 따라 일체로 상향 연장되어 착석자의 경추 후면부를 감싸서 지지해 주도록 한 경추지지수단이 형성되어서, 착석자의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걸이부에는 걸이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과 상기 구멍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면에 래칫이 형성된 수직래칫바와 상기 수직래칫바의 상부에 장착되어 착석자의 겨드랑이를 받쳐주는 쿠션과 상기 걸이부의 전방에서 수평하게 삽입되어 상기 래칫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 작동하면서 상기 수직래칫바를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시켜서 상기 쿠션의 높낮이 조절을 가능케 하는 스토퍼로 구성되는 높이조절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의자에 앉아 의자에 구성되는 장치들에 의해 바른자세로 의자에 앉을 수 있도록 하고 있을 뿐 틀어지거나 뒤틀리거나 삐뚤어진 척추나 골격을 고정하는 고정효과는 많이 떨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생산단가의 증대를 가져오고 이에 따라 소비자의 구입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의자의 등받이부에 이 등받이부의 전면으로부터 각각 수평인출되는 수평고정부와, 의자의 안착부에 이 안착부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승강되는 승강고정부를 더 구성하여 사용자 또는 환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지지되는 등과 둔부의 척추 및 골격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척추 및 골격에 대한 고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고정효과가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고정부들이 렉기어에 의해 승강 및 하강되도록 하여 수작업에 의해 고정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사용성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척추 및 골격 고정기는, 착석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하부측에 구성되어 착석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로 구성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에는 상기 등받이부의 전면 상부에 위치 구성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전면 상부로부터 수평 돌출되어 착석자의 뒷목부분을 밀어주는 제1수평고정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전면 중앙에 위치 구성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전면 중앙으로부터 수평 돌출되어 착석자의 척추부분을 밀어주는 제2수평고정부와; 상기 제2수평고정부의 하부측에 위치 구성되어 착석 자의 요추와 미저골과 연결되는 천골(薦骨)부분을 밀어주는 제3수평고정부가 더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에는 이 안착부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승강돌출되어 착석자의 골반을 밀어주는 수직고정부가 더 구성되되, 상기 수직고정부는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대해 4개로 구획 구성되며, 상기 제1수평고정부와, 제2수평고정부, 제3수평고정부 및 수직고정부는 구동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수단은, 제1수평고정부와, 제2수평고정부, 제3수평고정부 및 수직고정부에 연결 구성되는 렉기어부와; 상기 렉기어부와 치합되고 전면에 키걸이가 형성되어 상기 렉기어부를 유동시키는 피니언기어부와; 상기 피니언기어부의 키걸이에 걸어지도록 내측에 걸이홈이 형성된 걸이부가 구성되고 상기 걸이부의 외면에 손잡이가 결합된 조절키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는, 착석자가 의자의 안착부에 앉은 상태에서 의자의 등받이에 구성되는 제1수평고정부와, 제2수평고정부 및 제3수평고정부와, 의자의 착성부에 구성되는 수직고정부에 의해 착석자의 틀어진 척추와 골격을 고정하여 줄 뿐만 아니라, 착석자의 척추 및 골격의 정밀치료가 가능하며, 사용성 및 편의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렉기어부와 피니언기어부가 수작업에 의해 작동될 수 있어 전력 없이도 사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 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의 수평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의 수평고정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의 수평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의 수직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인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사무실 의자는 물론 자동차 의자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는, 착석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받이부(1)와, 상기 등받이부(1)의 하부측에 구성되어 착석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안착부(2)로 구성된 의자로서, 상기 등받이부(1)에 상기 등받이부(1)의 전면 상부에 위치 구성되어 상기 등받이부(1)의 전면 상부로부터 수평 돌출되어 착석자의 뒷목부분을 밀어주는 제1수평고정부(10)와, 상기 등받이부(1)의 전면 중앙에 위치 구성되어 상기 등받이부(1)의 전면 중앙으로부터 수평 돌출되어 착석자의 척추부분을 밀어주는 제2수평고정부(20)와, 상기 제2수평고정부(20)의 하부측에 위치 구성되어 착석자의 요추와 미저골과 연결되는 천골(薦骨)부분을 밀어주는 제3수평 고정부(30)가 더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2)에는 이 안착부(2)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승강돌출되어 착석자의 골반을 밀어주는 수직고정부(40)가 더 구성되되, 상기 수직고정부(40)는 상기 안착부(2)의 상면에 대해 4개로 구획 구성되며, 상기 제1수평고정부(10)와, 제2수평고정부(20), 제3수평고정부(30) 및 수직고정부(40)는 상기 등받이부(1)와 안착부(2)의 내부에 각각 구성되는 구동수단(50)에 의해 유동된다.
상기 제1수평고정부(10)는, 착석자의 뒷목부분을 밀어주는 것으로 환자의 뒷목부분의 경추를 밀어줌으로써 경추에 대한 틀어지거나 뒤틀린 것을 바로 잡아 준다.
상기 제2수평고정부(20)는, 착석자의 척추부분을 밀어주는 것으로 상부로부터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추 5개 및 미추 4개의 33개로 구성된 척추골의 부분부분을 밀어주어 척추의 부분부분에 대한 틀어짐과 비틀림을 정교하게 고정하여 준다.
상기 제3수평고정부(30)는, 환자의 요추와 미저골과 연결되는 천골(薦骨)부분을 밀어줌으로써 틀어진 천골(엉치뼈)을 바로 잡아준다.
상기 수직고정부(40)는, 환자의 양측 골반을 밀어주는 것으로 양측 골반의 관골부분을 밀어줌으로써 관골에 대한 틀어지거나 뒤틀림을 바로 잡아준다.
특히, 상기 수직고정부(40)가 착석자가 앉는 안착부(2)의 상면에 대해 4개로 구획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석자의 골반 전체를 한 번에 밀어주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밀어줌으로써 골반의 틀어짐을 고정할 수 있어 세밀하게 정교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수평고정부(10)와, 제2수평고정부(20), 제3수평고정부(30) 및 수직고정부(40)를 유동시키는 상기 구동수단(50)은, 제1수평고정부(10)와, 제2수평고정부(20), 제3수평고정부(30) 및 수직고정부(40)에 연결 구성되는 렉기어부(51)와, 상기 렉기어부(51)와 치합되고 전면에 키걸이(52)가 형성되어 상기 렉기어부(51)를 유동시키는 피니언기어부(53)와, 상기 피니언기어부(53)의 키걸이(52)에 걸어지도록 내측에 걸이홈(54)이 형성된 걸이부(55)가 구성되고 상기 걸이부(55)의 외면에 손잡이(56)가 결합된 조절키(57)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렉기어부(51)는, 상기 등받이(1)와 안착부(2)의 내부에 구성되는 프레임(1a)에 돌설된 돌기(1b)에 상기 렉기어부(51)의 내면 슬라이딩홈(51a)에 끼워짐으로써 고정되며, 상기 렉기어부(51)에 치합되는 상기 피니언기어부(53) 역시 상기 등받이(1)와 안착부(2)의 내부에 구성되는 프레임(1a)에 축설되며 상기 피니언기어부(53)의 전면에 형성된 키걸이(52)는 상기 등받이(1)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키(57)의 걸이부(55) 내측에 형성된 걸이홈(54)을 상기 등받이(1) 또는 안착부(2)의 외면에 노출된 키걸이(52)에 걸은 다음, 상기 손잡이(56)를 좌 또는 우측방향으로 돌려 상기 제1수평고정부(10)와, 제2수평고정부(20), 제3수평고정부(30) 및 수직고정부(40)들이 돌출될 수 있어 의자에 앉은 착석자의 척추 및 골격에 대한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수평고정부(10)와, 제2수평고정부(20), 제3수평고정부(30)의 내측에는 이들 제1수평고정부(10)와, 제2수평고정부(20), 제3수평고정부(30)의 내 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조고정부(60)가 더 구성되되, 상기 보조고정부(60)는, 상기 제1수평고정부(10)와, 제2수평고정부(20), 제3수평고정부(30)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상기 보조고정부(60)의 하부측에 위치 구성되는 가이드편(61)과, 상기 가이드편(61)의 외면에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편(61)을 밀어주는 돌기(62)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수평고정부(10)와, 제2수평고정부(20), 제3수평고정부(30)들이 각각의 위치에 맞도록 신체의 척추 및 골격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고정부(60)를 더 밀어 줌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섬세한 고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인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는, 수동으로 구동되는 것 이외에 전동모터를 구성하거나 또는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으로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동작되도록 하여 자동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의 수평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의 수평고정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의 수평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의 수직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수평고정부 20 : 제2수평고정부
30 : 제3수평고정부 40 : 수직고정부
50 : 구동수단 51 : 렉기어부
52 : 키걸이 53 : 피니언기어부
54 : 걸이홈 55 : 걸이부
56 : 손잡이 57 : 조절키
60 : 보조고정부 61 : 가이드편
62 : 돌기

Claims (3)

  1. 착석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받이부(1)와, 상기 등받이부(1)의 하부측에 구성되어 착석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안착부(2)로 구성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1)에는
    상기 등받이부(1)의 전면 상부에 위치 구성되어 상기 등받이부(1)의 전면 상부로부터 수평 돌출되어 착석자의 뒷목부분을 밀어주는 제1수평고정부(10)와;
    상기 등받이부(1)의 전면 중앙에 위치 구성되어 상기 등받이부(1)의 전면 중앙으로부터 수평 돌출되어 착석자의 척추부분을 밀어주는 제2수평고정부(20)와;
    상기 제2수평고정부(20)의 하부측에 위치 구성되어 착석자의 요추와 미저골과 연결되는 천골(薦骨)부분을 밀어주는 제3수평고정부(30)가 더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2)에는 이 안착부(2)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승강돌출되어 착석자의 골반을 밀어주는 수직고정부(40)가 더 구성되되,
    상기 수직고정부(40)는 상기 안착부(2)의 상면에 대해 4개로 구획 구성되며,
    상기 제1수평고정부(10)와, 제2수평고정부(20), 제3수평고정부(30) 및 수직고정부(40)는 상기 등받이부(1)와 안착부(2)의 내부에 각각 구성되는 구동수단(50)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50)은,
    제1수평고정부(10)와, 제2수평고정부(20), 제3수평고정부(30) 및 수직고정부(40)에 연결 구성되는 렉기어부(51)와;
    상기 렉기어부(51)와 치합되고 전면에 키걸이(52)가 형성되어 상기 렉기어부(51)를 유동시키는 피니언기어부(53)와;
    상기 피니언기어부(53)의 키걸이(52)에 걸어지도록 내측에 걸이홈(54)이 형성된 걸이부(55)가 구성되고 상기 걸이부(55)의 외면에 손잡이(56)가 결합된 조절키(57)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고정부(10)와, 제2수평고정부(20), 제3수평고정부(30)의 내측에는 이들 제1수평고정부(10)와, 제2수평고정부(20), 제3수평고정부(30)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조고정부(60)가 더 구성되되,
    상기 보조고정부(60)는, 상기 제1수평고정부(10)와, 제2수평고정부(20), 제3수평고정부(30)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상기 보조고정부(60)의 하부측에 위치 구성되는 가이드편(61)과;
    상기 가이드편(61)의 외면에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편(61)을 밀어주는 돌기(62)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
KR1020090122238A 2009-12-10 2009-12-10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 KR101102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238A KR101102894B1 (ko) 2009-12-10 2009-12-10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238A KR101102894B1 (ko) 2009-12-10 2009-12-10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646A true KR20110065646A (ko) 2011-06-16
KR101102894B1 KR101102894B1 (ko) 2012-01-09

Family

ID=44398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238A KR101102894B1 (ko) 2009-12-10 2009-12-10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8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002A (ko) * 2019-11-01 2021-05-11 조형진 허리 보호 및 자세 교정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069Y1 (ko) 2018-12-11 2019-09-19 전병효 둔부 압박이 분산되는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934A (ja) * 1991-09-30 1993-04-16 Shiroki Corp シ−ト装置
KR19980014035U (ko) * 1996-08-31 1998-06-05 박병재 차량의 시트백의 허리 지지장치
KR19980021406A (ko) * 1996-09-16 1998-06-25 박병재 자동차의 시트 조절장치
KR20040098373A (ko) * 2003-05-14 2004-11-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레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002A (ko) * 2019-11-01 2021-05-11 조형진 허리 보호 및 자세 교정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2894B1 (ko) 201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1837B2 (en) Thoracic back support
JP2014525303A (ja) 脊椎・脊髄疾患を予防及び治療するための矯正椅子
CN109259914A (zh) 一种脊柱外科用矫正装置
KR100420965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101684475B1 (ko) 유아용 시트 장치 및 유모차
KR200477364Y1 (ko) 등쿠션
KR101102894B1 (ko)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
KR20150047490A (ko) 척추 질환의 예방을 위한 좌석 장치
KR20090055662A (ko) 체중 견인방식에 의한 척추 교정 기구
KR101102892B1 (ko) 척추 및 골격 고정기
KR200323761Y1 (ko) 경추교정의자
KR200230508Y1 (ko) 척추가 편한 의자
CN206355200U (zh) 颈椎腰椎悬吊牵引装置
KR100367074B1 (ko)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JP2006101957A (ja) 頸椎牽引治療装置
KR20021613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100371610B1 (ko) 의자를 이용한 척추 교정방법
KR102006783B1 (ko) 자가 견인 의료기기
JP2000210318A (ja) 腰痛治療器具
JP4341845B2 (ja) 腰痛障害者用自動車座席
KR200268150Y1 (ko)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KR200270422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CN208080936U (zh) 一种可组装拆卸的脊柱舒缓椅
KR200220097Y1 (ko) 의자
CN213310694U (zh) 一种可调节的颈椎牵引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9